KR19980060699U - 모니터에 부착되는 보조물 고정구조물 - Google Patents

모니터에 부착되는 보조물 고정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0699U
KR19980060699U KR2019970004808U KR19970004808U KR19980060699U KR 19980060699 U KR19980060699 U KR 19980060699U KR 2019970004808 U KR2019970004808 U KR 2019970004808U KR 19970004808 U KR19970004808 U KR 19970004808U KR 19980060699 U KR19980060699 U KR 199800606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auxiliary
cap
attach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돈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2019970004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0699U/ko
Publication of KR199800606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699U/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의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모니터에 부착되는 보조물들을 견고하게 부착 및 고정시키는 모니터 보조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모니터의 주변에 보조적으로 부착되는 보조물들을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캡을 이용하여 견고하고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에 부착되는 보조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구성은 모니터(10)의 상단에 긴밀히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캡(50)과 상기 캡(50)의 전면에 설치되어 보안경(20)을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과 상기 캡(50)의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보조물을 모니터의 일측 모서리에 부착시킬 수 있는 보조물 고정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안경 고정수단은 상기 캡(50)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홀더(51)를 형성하고, 상기 보안경(20)의 상단에는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고정부(33)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물 고정수단은 상기 캡(50)의 측면에 돌출 되고 그 단부에 형성된 돌출홈(52)을 지니며 보조물에 형성된 걸림턱(53)이 상기 돌출홈(52)에 끼워지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니터에 부착되는 보조물 고정구조물
본 고안은 컴퓨터의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니터에 부착되는 보조물들을 견고하게 부착 및 고정시키는 모니터 보조물 고정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에는 전면으로 발산되는 전자파를 차단하여 컴퓨터 작업자의 건강과 특히 시력을 보호하기 위해 보안경이 설치되고, 또 컴퓨터 작업의 효율성을 위하여 원고대 및 마우스 수납통 등 보조물들이 부착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서 모니터에 보안경이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서 모니터에 보안경과 기타 보조물이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상술한 보안경과 기타 보조물 즉 원고대, 및 마우스 수납통 등이 모니터에 결합되는 종래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보안경(20)은 상단에 판 형상의 고정턱이 직각으로 결합되어 있고, 고정턱(21)의 바닥면에 양면테이프(35)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보안경(20)은 모니터(10)의 전면에 위치시킨 다음 모니터의 상면에 고정턱(21)을 밀착시키게 되면 고정턱의 바닥면에 부착된 양면테이프(35)가 모니터(10)와 접착되어 상기 보안경(20)이 모니터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원고대(30)는 직각으로 형성된 고정턱(21)과, 이 고정턱의 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지지바(31)와, 그리고 지지바의 상부에 설치되어 도면을 고정하는 집게(36)로 구성되어 있는데, 지지바(31)가 힌지 결합된 면의 이면부에 양면테이프(35)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원고대(30)를 모니터에 결합시킬 때에는 모니터(10)의 위치에 따라 작업의 편의에 따라 모니터의 양측면 상단 모서리부 중 어느 일측 모서리에 원고대(30)의 고정턱(21)을 밀착시켜 양면테이프가 모니터(10)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원고대를 모니터에 고정시킨다.
또한, 마우스를 보관하는 마우스 수납통(40) 또한 도 1, 2에서와 같이 배면부에 양면테이프(35)를 부착하여 모니터의 특정부위에 부착시켜 사용한다.
이와 같이 모니터에 부착되는 보안경, 원고대, 마우스 수납통 등의 보조물들은 단순히 양면테이프(35)에 의해 부착되어 있어 주위의 온도가 높아지거나 장시간에 걸쳐 사용하게 되면 양면테이프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부착된 보안경(20), 원고대(30), 마우스 수납통(40) 등이 모니터로부터 쉽게 떨어지기 때문에 그 낙하충격에 의해 상하거나 사용에 불편함을 주게 되는 폐단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모니터의 주변에 보조적으로 부착되는 보조물들을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캡을 이용하여 견고하고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에 부착되는 보조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서 모니터에 보안경이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서 모니터에 보안경과 기타 보조물이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물 고정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물 고정장치에 보안경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물 고정장치에 기타 보조물이 결합되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모니터 20 : 보안경
21 : 고정턱 30 : 원고대
31 : 지지바 32 : 지지대
33 : 고정부 35 : 양면테이프
36 : 집게 40 : 마우스 수납통
50 : 캡 51 : 홀더
52 : 돌출홈 53 : 걸림턱
54 : 완충부재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구성은 모니터의 상단에 긴밀히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캡과;
상기 캡의 전면에 설치되어 보안경을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과;
상기 캡의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보조물을 모니터의 일측 모서리에 부착시킬 수 있는 보조물 고정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안경 고정수단은 상기 캡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홀더를 형성하고, 상기 보안경의 상단에는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물 고정수단은 상기 캡의 측면에 돌출 되고 그 단부에 형성된 돌출홈을 지니며 보조물에 형성된 걸림턱이 상기 돌출홈에 끼워지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모니터의 상부에 부착물들을 부착시키기 위한 캡을 씌워 결합한 뒤 그 전면에 보안경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양쪽면에 원고대 및 마우스 수납통을 부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기간에 따른 보조부착물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물 고정구조물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물 고정구조물에 부착되어지는 기타 보조물이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조물 고정구조물(이하 캡이라 한다.)은 모니터의 상단부에 씌워지며, 보안경(20)의 상단면에는 고정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는 원통형의 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보안경(20)이 모니터(10)에 결합된 후에도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캡(50)은 내부가 빈 상자형상으로 캡의 내부면은 상기 모니터(20)의 상측외주면의 형상과 동일하게 성형되어 있고 모니터와 빈틈없이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완충부재(54)가 내측면에 부착되게 된다. 상기 완충부재는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캡(50)의 측면의 단부에는 돌출홈(52)이 형성되어 있어 각 보조물의 측면에 형성된 ㄱ자 형상의 걸림턱(53)이 상기 돌출홈에 끼워지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보조물 고정구조물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니터(10)의 상단부에 내부가 빈 상자형상으로 되어 있는 캡(50)을 씌운다. 이때 캡의 양측단에 설치되는 완충부재(54)는 상기 캡(50)이 모니터와 안정하게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캡에 형성된 홀더(51)에 상기 보안경(2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33)를 끼우면 원통형의 고정부가 회동 가능하게 되어 모니터의 청소시 보안경(20)을 위로 회전시켜 젖힐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캡(50)에 형성된 돌출홈(52)에 상기 보조물 등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53)을 체결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효과는 모니터(10)의 상부로 씌워지는 별도의 캡(50)을 사용하여 모니터에 보조적으로 부착되는 부착물들을 부착하였음으로 모니터에 별도의 장치를 성형하지 않고 보안경(20), 마우스 수납통(40), 원고대(30) 등의 기타 보조물을 손쉽고 용이하고 안정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모니터(10)의 상단에 긴밀히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캡(50)과;
    상기 캡(50)의 전면에 설치되어 보안경(20)을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과;
    상기 캡(50)의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보조물을 모니터의 일측 모서리에 부착시킬 수 있는 보조물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에 부착되는 보조물 고정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경 고정수단은 상기 캡(50)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홀더(51)를 형성하고, 상기 보안경(20)의 상단에는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고정부(3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에 부착되는 보조물 고정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물 고정수단은 상기 캡(50)의 측면에 돌출 되고 그 단부에 형성된 돌출홈(52)을 지니며 보조물에 형성된 걸림턱(53)이 상기 돌출홈(52)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에 부착되는 보조물 고정구조물.
KR2019970004808U 1997-03-14 1997-03-14 모니터에 부착되는 보조물 고정구조물 KR199800606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808U KR19980060699U (ko) 1997-03-14 1997-03-14 모니터에 부착되는 보조물 고정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808U KR19980060699U (ko) 1997-03-14 1997-03-14 모니터에 부착되는 보조물 고정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699U true KR19980060699U (ko) 1998-11-05

Family

ID=69678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808U KR19980060699U (ko) 1997-03-14 1997-03-14 모니터에 부착되는 보조물 고정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069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77706A1 (en) * 2001-03-19 2002-10-03 Technology Tree Co., Ltd. Apparatus for fixing mirror for three-dimensional image
KR100395595B1 (ko) * 2000-09-07 2003-08-21 최준승 원고그립퍼를 갖는 메모도구 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595B1 (ko) * 2000-09-07 2003-08-21 최준승 원고그립퍼를 갖는 메모도구 홀더
WO2002077706A1 (en) * 2001-03-19 2002-10-03 Technology Tree Co., Ltd. Apparatus for fixing mirror for three-dimensional im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2405U (ko) 휴대폰홀더
BRPI0706208A2 (pt) estojo para proteção de lentes para óculos
US20060098158A1 (en) Clip on eyeware with spring hinge and magnetic fastener
US5257696A (en) Mirrored lipstick container
KR19980060699U (ko) 모니터에 부착되는 보조물 고정구조물
USD339524S (en) Shock absorbing lid for liquid containers
US6339860B1 (en) Glasses wiper structure
KR101423640B1 (ko)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DK0574353T3 (da) Kontaktlinsebeholder
JP3078532U (ja) 収納が便利な手持ち眼鏡
KR200389540Y1 (ko) 다기능 소형 노트북 가방
KR20000014829U (ko) 모니터 부착물의 고정구조
US4764958A (en) Telephone magnifier attachment
JP2011056067A (ja) 手鏡
KR102067995B1 (ko) 연필 홀더가 구비된 필통
JP2000139538A (ja) メガネ用ホルダー
CN216581717U (zh) 多种材料交叉重复用的综合科学实验盒子
KR20120124299A (ko) 디스플레이 개폐장치
JP2549370Y2 (ja) 眼鏡ケ−ス
KR20230088384A (ko) 융착 접속 작업용의 트레이, 및 융착 접속기 세트
KR200356459Y1 (ko) 안경 케이스
KR200340719Y1 (ko) 다용도 휴대용 거울
KR200488559Y1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100007604A (ko) 컨택트 렌즈용 케이스
JPH0630097Y2 (ja) 化粧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