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559Y1 - 휴대 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559Y1
KR200488559Y1 KR2020180004300U KR20180004300U KR200488559Y1 KR 200488559 Y1 KR200488559 Y1 KR 200488559Y1 KR 2020180004300 U KR2020180004300 U KR 2020180004300U KR 20180004300 U KR20180004300 U KR 20180004300U KR 200488559 Y1 KR200488559 Y1 KR 2004885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case
present
us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정
Original Assignee
박남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남정 filed Critical 박남정
Priority to KR2020180004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5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5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5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 케이스가 개시된다. 휴대 단말기 케이스는, 휴대 단말기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케이스부와, 케이스부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며 휴대 단말기의 파지시에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사이 위치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케이스{PORTABLE TERMINAL CASE}
본 고안은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걸림 작용으로 파지가 용이한 휴대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흠집이나 낙하 등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하고 또한 미려한 외관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용 케이스를 씌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폰 케이스를 사용하더라도 사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지거나 떨어트리는 경우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또한 휴대폰을 사용할 때 통상적으로 양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고, 특히 최신 휴대폰,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그 무게와 부피의 증가로 인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안전하게 휴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5-0105737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파지시에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사이 위치에 삽입되는 돌기부; 를 포함하되, 상기 돌기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모서리에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삼각형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들 사이 위치로 삽입되고, 표면에 복수개의 마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가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 미사용 시 케이스부의 내부로 회전시켜 돌기부가 외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사이 위치로 삽입되는 돌기부가 케이스부의 측면에 돌출되는 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케이스부에 돌출된 돌기부가 손가락 사이 위치에 안정적으로 걸림 고정되어 휴대 단말기의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가 휴대 단말기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 케이스가 휴대 단말기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에 돌기부가 돌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가 휴대 단말기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에 돌기부가 돌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가 휴대 단말기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 케이스가 휴대 단말기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100)는, 휴대 단말기(11)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케이스부(10)와, 케이스부(10)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며 휴대 단말기의 파지시에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사이 위치에 삽입되는 돌기부(20)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11)는 휴대폰 등의 휴대 기기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휴대 단말기(11)는 휴대폰으로 적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테블릿 피시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소정의 기기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11)에는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케이스부(10)가 삽입될 수 있다.
케이스부(10)는 휴대 단말기(11)가 삽입되는 삽입부(미도시)가 내부에 형성되는 바, 휴대 단말기(11)의 외부 표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부(10)는 휴대 단말기(11)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범퍼 타입으로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고, 휴대 단말기(11)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방한 상태로 휴대 단말기(11)의 가장자리와 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케이스부(10)는 휴대 단말기(11)의 가장자리 둘레와 후면을 덮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1)의 디스플레이부를 선택적으로 덮는 덮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케이스부(10)는 휴대 단말기를 확인 가능한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불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스부(10)는 휴대 단말기(11)의 일부분을 외부로 노출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휴대 단말기(11)의 외부 표면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케이스부(10)의 가장자리에는 돌기부(20)가 돌출될 수 있다.
돌기부(20)는 케이스부(10)의 일측 가장자리의 모서리 부분에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20)가 케이스부(10)의 모서리 부분에 돌출되는 것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돌기부(20)가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사이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돌기부(20)는 케이스부(10)의 모서리에 돌출되며 삼각형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들 사이 위치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0)는 케이스부(10)의 모서리 위치에 삼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돌출된 단부 방향으로 원추형의 단면을 갖도록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돌기부(20)는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부(10)의 일측 모서리 위치에 하나로 돌출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 케이스(100)는,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사이 위치로 삽입되는 돌기부(20)가 측면에 돌출되는 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돌기부(20)가 손가락 사이 위치에 안정적으로 걸림 고정되어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에 돌기부가 돌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돌기부(20)의 표면에는 마찰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찰부(110)는 돌기부(20)의 표면에 복수개의 접촉돌기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마찰부(110)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보다 효과적인 접촉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가 휴대 단말기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300)의 돌기부(20)는 케이스부(10)의 2개의 모서리에 각각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돌기부(20)는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는 왼손 또는 오른손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사이 부분으로 안정적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에 돌기부가 돌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돌기부(320)는 케이스부(1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돌기부(320)는 휴대 단말기(11)의 미사용 상태에서 케이스부(10)의 내부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한 바, 접촉 손상을 방지하여 사용 수명을 연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케이스부 11...휴대 단말기
20, 320...돌기부 110..마찰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휴대 단말기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파지시에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사이 위치에 삽입되는 돌기부;
    를 포함하되,
    상기 돌기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모서리에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삼각형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들 사이 위치로 삽입되고, 표면에 복수개의 마찰부가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 미사용 시 케이스부의 내부로 회전시켜 돌기부가 외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20180004300U 2018-09-14 2018-09-14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04885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300U KR200488559Y1 (ko) 2018-09-14 2018-09-14 휴대 단말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300U KR200488559Y1 (ko) 2018-09-14 2018-09-14 휴대 단말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559Y1 true KR200488559Y1 (ko) 2019-02-20

Family

ID=65515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300U KR200488559Y1 (ko) 2018-09-14 2018-09-14 휴대 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5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310Y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100988204B1 (ko) 바 형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10139428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EP2852302B1 (en) Cleaning apparatu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KR101422194B1 (ko)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101386340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0488559Y1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160001563A (ko)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케이스
KR20140037405A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JP5841681B1 (ja) 保護具
KR101423640B1 (ko)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200461030Y1 (ko)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KR200481246Y1 (ko) 슬라이딩 휴대전화 케이스
KR101946952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3421Y1 (ko) 미러 부착형 휴대폰 케이스
KR20150000060A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0477277Y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491077B1 (ko) 휴대용 스마트 기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627088B1 (ko)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
KR20200080881A (ko) 코받침 일체형 엠보싱 안경 케이스
KR20140066287A (ko) 휴대폰 케이스
KR20130017804A (ko)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 케이스
KR101303345B1 (ko) 휴대기기용 수납 케이스
KR20130001381U (ko)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
KR200468570Y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