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088B1 -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 - Google Patents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088B1
KR102627088B1 KR1020220092038A KR20220092038A KR102627088B1 KR 102627088 B1 KR102627088 B1 KR 102627088B1 KR 1020220092038 A KR1020220092038 A KR 1020220092038A KR 20220092038 A KR20220092038 A KR 20220092038A KR 102627088 B1 KR102627088 B1 KR 102627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ver
credit card
case
se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로스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로스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로스몰
Priority to KR1020220092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가 제공된다. 커버케이스는,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결합되는 2개의 몸체를 가지며, 2개의 몸체 사이에 힌지가 장착되어 접을 수 있게 형성된 폴더블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한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에 있어서, 2개의 몸체 중 제1몸체에 결합되며 제1몸체의 배면을 덮는 제1배면커버를 포함하는 제1케이스, 2개의 몸체 중 제2몸체에 결합되며 제2몸체의 배면을 덮는 제2배면커버를 포함하는 제2케이스, 제1배면커버에 배치되되, 신용카드의 일부만 수용하여 신용카드의 말단을 제1몸체의 상기 힌지 반대편 말단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카드삽입용 반포켓, 및 제1배면커버로부터 제1몸체 외측으로 확장되어 제1몸체 외측으로 돌출된 신용카드의 말단에 중첩되는 카드 안착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Cover case for foldable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술적 개선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평판형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던 유리기판을 플라스틱기판으로 변경하여 플라스틱의 가요성에 의해 접히도록 형성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이미 상용화되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문서처럼 말아서 가지고 다닐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로도 활용이 가능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한 다양한 휴대용 제품군(예, 스마트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종래 구조적으로 불가능했던 접는 스마트폰(폴더블 스마트폰)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장점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제품이다.
그러나 현재 폴더블 스마트폰은 크기, 형태, 접는 방식의 다양화 등으로 인해 제품의 규격과 형태가 일정치 않으며 여러 형태의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그로 인해, 폴더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종전처럼 스마트폰에 액세서리를 적용하는 데 문제를 겪고 있다.
예를 들어, 폴더블 스마트폰을 충격에서 보호하기 위한 커버케이스(또는 보호커버)의 경우 폴더블 스마트폰의 접힘구조 때문에 종래와는 다른 구조가 불가피하다(예, 대한민국 특허10-2228224등). 또한 폴더블 스마트폰의 크기나 형태, 접힘방식 등이 바뀌면 그에 대응하여 커버케이스의 구조나 형상도 바뀔 수 밖에 없으므로 현재 다양한 제품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2228224호, (2021. 03. 18)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폴더블 스마트 폰에 적용가능한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특히 세로로 반 접히는 접힘구조를 갖는 폴더블 스마트폰에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신용카드 삽입구조를 가지고 있는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는,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결합되는 2개의 몸체를 가지며, 2개의 상기 몸체 사이에 힌지가 장착되어 접을 수 있게 형성된 폴더블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한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에 있어서, 2개의 상기 몸체 중 제1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몸체의 배면을 덮는 제1배면커버를 포함하는 제1케이스; 2개의 상기 몸체 중 제2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2몸체의 배면을 덮는 제2배면커버를 포함하는 제2케이스; 상기 제1배면커버에 배치되되, 신용카드의 일부만 수용하여 상기 신용카드의 말단을 상기 제1몸체의 상기 힌지 반대편 말단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카드삽입용 반포켓; 및 상기 제1배면커버로부터 상기 제1몸체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제1몸체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신용카드의 말단에 중첩되는 카드 안착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1몸체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신용카드의 말단은, 일 면은 상기 카드 안착판에 밀착되고 반대편 타 면은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카드 안착판의 말단에 형성된 절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몸체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신용카드의 말단은, 상기 일 면의 일부가 상기 절개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사람의 손가락이 삽입 가능한 너비로 상기 카드 안착판의 말단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입되어, 상기 절개부 내측과 그 반대편 측으로 상기 신용카드의 양 면을 동시에 파지하여 빼낼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에 상기 제1배면커버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측면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드 안착판은 상기 제1배면커버 외측에서 상기 신용카드의 폭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제1측면커버와 연결되는 확장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이 상기 확장연결부 및 상기 제1측면커버에 연결되고 상기 카드 안착판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어 있는 돌출라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삽입용 반포켓은, 상기 제1배면커버의 내면이 상기 돌출라인부보다 낮게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폴더블 스마트 폰을 커버케이스를 이용하여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로로 반으로 접히는 구조의 폴더블 스마트 폰에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므로 해당 스마트폰에 액세서리를 적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신용카드(또는 그와 동일한 규격의 플라스틱 카드)를 케이스 안에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용카드의 삽입 및 배출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삽입상태에서 신용카드도 안전하게 보호되므로, 신용카드를 일상적으로 소지하는 다수의 폴더블 스마트 폰 사용자들의 사용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를 폴더블 스마트폰 및 신용카드와 결합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버케이스를 다른 방향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버케이스에서 폴더블 스마트폰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커버케이스에서 신용카드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커버케이스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커버케이스에서 신용카드를 입출하는 방식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신용카드 배출 후 제1케이스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커버케이스와 폴더블 스마트폰 및 신용카드의 결합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폴더블 스마트폰의 제1몸체 및 제2몸체는 2개의 몸체를 구분하기 위한 외에 다른 한정적인 의미는 갖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 역시 폴더블 스마트폰을 구성하는 2개의 몸체 각각에 결합되는 2개의 케이스를 구분하기 위한 외에 다른 한정적인 의미는 갖지 않는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위치,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위치는 예시적이며, 다른 실시예에서 제1몸체와 제2몸체,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또한 각 케이스와 관련하여 정의된 구성요소들(예, 카드삽입용 반포켓, 카드 안착판 등)역시 케이스의 위치에 따라 위치를 바꿀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신용카드는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카드를 대표하는 의미이므로, 신용카드와 갖은 규격을 갖는 다양한 플라스틱 카드들도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신용카드에 포함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를 폴더블 스마트폰과 결합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버케이스를 다른 방향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1)(이하, 커버케이스)는 말단이 (폴더블 스마트폰 외측으로)돌출된 상태로 신용카드(B)를 일 측에 수용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신용카드(B)의 돌출된 말단을 보고 커버케이스(1)에 수용된 신용카드(B)를 확인할 수 있고 신용카드(B)의 소지유무, 종류 등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신용카드(B)의 돌출부위는 커버케이스(1)에서 돌출된 카드 안착판(120)에 의해 보호된다. 카드 안착판(120)은 커버케이스(1)의 외측으로 확장되어 있어 신용카드(B)의 말단이 휘거나 구부러지지 않도록 보호한다. 또한 카드 안착판(120)의 절개부(121)를 이용하면 신용카드(B)를 양면으로 파지하여 빼내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카드 안착판(120)은 커버케이스(1) 안의 카드삽입용 반포켓(110)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카드 안착판(120)은 포켓으로 신용카드(B)를 가이드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포켓의 입구 등을 찾을 필요없이 카드 안착판(120)을 이용하여 신용카드(B)를 카드삽입용 반포켓(110) 안으로 쉽게 밀어 넣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커버케이스(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커버케이스(1)는,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도 3의 A3참조)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결합되는 2개의 몸체[제1몸체(도 3의 A1참조) 및 제2몸체(도 3의 A2참조)]를 가지며, 2개의 몸체 사이에 힌지(도 3의 A4참조)가 장착되어 접을 수 있게 형성된 폴더블 스마트폰(A)을 보호하기 위한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1)에 있어서, 2개의 몸체 중 제1몸체(A1)에 결합되며 제1몸체(A1)의 배면을 덮는 제1배면커버(도 2의 101참조)를 포함하는 제1케이스(100), 2개의 몸체 중 제2몸체(A2)에 결합되며 제2몸체(A2)의 배면을 덮는 제2배면커버(도 2의 201참조)를 포함하는 제2케이스(200), 제1배면커버(101)에 배치되되, 신용카드(B)의 일부만 수용하여 신용카드(B)의 말단을 제1몸체(A1)의 힌지(A4) 반대편 말단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카드삽입용 반포켓(도 2의 110참조), 및 제1배면커버(101)로부터 제1몸체(A1) 외측으로 확장되어 제1몸체(A1) 외측으로 돌출된 신용카드(B)의 말단에 중첩되는 카드 안착판(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몸체(A1) 외측으로 돌출된 신용카드(B)의 말단은 일 면은 카드 안착판(120)에 밀착되고 반대편 타 면은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도 1참조). 또한, 커버케이스(1)는 카드 안착판(120)의 말단에 형성된 절개부(121)를 더 포함하여, 제1몸체(A1) 외측으로 돌출된 신용카드(B)의 말단은 상기 일 면(카드 안착판과 밀착되는 면)의 일부가 상기 절개부(121)로 노출될 수 있다(도 2참조).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커버케이스에서 폴더블 스마트폰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폴더블 스마트폰(A)의 구조를 간단히 설명한다. 폴더블 스마트폰(A)은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A3)에 2개의 몸체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2개의 몸체[제1몸체(A1) 및 제2몸체(A2)]는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A3)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결합된다. 2개의 몸체 사이에는 힌지(도 7의 A4참조)가 장착되어 있어, 폴더블 스마트폰(A)은 힌지(A4)를 중심으로 접을 수 있게 형성된다(도 7참조).
이러한 폴더블 스마트폰(A)은 전체적으로 일 방향으로 긴 형태이며, 힌지(A4)가 길이방향의 중앙에 배치되어 세로로(즉 길이방향으로) 반 접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폴더블 스마트폰(A)은 힌지(A4)를 제외한 제1몸체(A1), 제2몸체(A2) 각각의 길이가 통상의 신용카드(B)보다 짧을 수 있다.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폴더블 스마트폰(A)에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제1케이스(100)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2개의 몸체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1몸체(A1)에 결합된다. 제1케이스(100)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제1몸체(A1)의 배면을 덮는 제1배면커버(101)를 포함한다. 제1케이스(100)는 제1배면커버(101)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측면커버(10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배면커버(101)와 제1측면커버(102)가 연결되어 제1몸체(A1)의 배면과 측면을 차폐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측면커버(102)는 제1배면커버(101)의 둘레에 형성되되, 폴더블 스마트폰의 힌지(A4)가 위치하는 측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제2케이스(200)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2개의 몸체 중 다른 하나, 예를 들어 제2몸체(A2)에 결합된다. 제2케이스(200)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제2몸체(A2)의 배면을 덮는 제2배면커버(201)를 포함한다. 제2케이스(200) 역시 제2배면커버(201)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측면커버(20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배면커버(201)와 제2측면커버(202)가 연결되어 제2몸체(A2)의 배면과 측면을 차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측면커버(202) 역시 제2배면커버(201)의 둘레에 형성되되, 폴더블 스마트폰의 힌지(A4)가 위치하는 측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제1케이스(100)와 제2케이스(200)의 세부구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케이스(100)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스피커, 충전단자 등이 형성된 몸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와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부(131)가 배치될 수 있다. 반면 제2케이스(200)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음량버튼, 시작버튼, 카메라 등이 형성된 몸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와 대응하는 위치에 또 다른 형상의 홈부(213)와 버튼부(212)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케이스(200)에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노출시키는 카메라홀(211)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구조에 따라 바뀔 수도 있다.
제1케이스(100)와 제2케이스(200) 각각의 모서리 부분에는 충격에 대비하기 위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과 도 1, 도 2를 참조하면, 제1케이스(100)의 모서리 부분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케이스(100)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제1완충부(140) 및 제2케이스(200)의 모서리 부분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케이스(200)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제2완충부(220)가 각각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100)와 제2케이스(2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연질의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1완충부(140) 및 제2완충부(220)를 이용하여 낙하 시 모서리로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제1케이스(100) 및 제2케이스(200)의 재질은 완충이 가능한 한도 내에서 바뀔 수도 있으므로 재질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각 케이스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다중 사출 등의 방식으로 필요한 부분의 경도, 탄성력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재질로 완충구조(제1완충부 및 제2완충부 등)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케이스(100)에는 카드삽입용 반포켓(110)과 카드 안착판(120)이 형성된다. 이하, 도 3과 도 4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카드삽입용 반포켓(110) 및 카드 안착판(120)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커버케이스에서 신용카드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커버케이스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신용카드(B)가 제거된 상태이므로, 신용카드(B) 삽입상태인 도 3과 비교하며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은 제1케이스(100)의 제1배면커버(101)에 배치된다.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은 신용카드(도 3의 B참조)의 일부만 수용하며 신용카드(B)의 수용되지 않은 말단은 제1몸체(A1)의 힌지(A4) 반대편 말단의 외측으로 돌출시킨다(도 3의 확대도 참조). 즉 제1배면커버(101)는 제1몸체(A1)와 중첩되지만, 제1배면커버(101)에 형성된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은 신용카드(B)를 제1몸체(A1) 안쪽에 전부 수용하지 않고 말단을 제1몸체(A1) 밖으로 돌출시킨다.
신용카드(B)가 돌출되는 방향은 제1몸체(A1)의 힌지(A4) 반대편 말단 방향이다(도 3의 확대도 참조). 따라서, 힌지(A4)구조에 영향 받지 않고 카드를 힌지(A4) 반대편으로 편리하게 입출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은 신용카드(B)의 돌출방향[즉, 카드 안착판(120)이 위치한 방향]으로 입구홈(111)이 형성된다.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은 제1배면커버(101)의 내면이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면은 각 배면커버의 폴더블 스마트폰과 접하는 면을 의미한다(따라서 외면은 각 배면커버의 폴더블 스마트폰과 접하지 않는 반대편 면이다). 도 4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은 제1배면커버(101)의 내면 일부가 만입되어 홈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처럼 그 내부에 신용카드를 삽입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은 제1배면커버(101)의 힌지(도 3의 A4참조-폴더블 스마트폰의 힌지를 말함) 반대편 말단에 형성된 입구홈(111)과, 입구홈(111)과 연결되어 신용카드를 고정하는 카드 고정홈(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입구홈(111)은 카드 안착판(120)을 향해 열려있다.
입구홈(111)은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이 시작되는 부분이고 카드 고정홈(112)은 신용카드가 고정되는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의 나머지 부분이다. 카드 고정홈(112)의 길이는 신용카드의 길이(신용카드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길이로, 도 4의 세로방향 길이를 말함)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입구홈(111)과 카드 고정홈(112)은 서로 연결된 홈구조의 일부분으로 둘 사이의 구분은 예시적이나, 본 명세서에서는 카드 안착판(120) 쪽으로 개방된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의 시작부분만을 입구홈(111)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실질적인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의 길이는 카드 고정홈(112)의 길이로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홈구조인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은 전체 길이가 신용카드보다 짧을 뿐, 너비(길이와 수직한 방향의 너비)는 신용카드 규격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에 삽입된 신용카드(B)는 끼움 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의 둘레에 신용카드(B)가 빠지지 않게 돌출된 돌기 등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외 다른 고정구조(예, 카드의 양 옆과 밀착되는 가이드 홈이나 홈의 폭이 감소하는 구조 등)를 카드삽입용 반포켓(110) 안쪽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케이스(100)의 제1배면커버(101) 내면에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드 안착판(120)은 제1배면커버(101)로부터 제1몸체(A1)의 외측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카드 안착판(120)은 제1몸체(A1) 외측으로 돌출된 신용카드(B)의 말단에 중첩될 수 있다. 카드 안착판(120)은 실질적으로 제1배면커버(101)가 신용카드(B)의 돌출 측으로 연장된 구조이며 제1배면커버(101)가 확장되어 폴더블 스마트폰(A)의 힌지(A4) 반대편으로 돌출된 구조이다(도 2참조).
카드 안착판(120)은 적어도 신용카드(B)의 너비(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너비를 말함)보다는 넓게 형성되며 길이는 돌출된 신용카드(B)의 말단에 대응하여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의 길이가 짧아져 신용카드(B)의 말단이 제1몸체(A1)의 외측으로 더 많이 돌출되는 경우 카드 안착판(120)의 길이는 대응하여 증가될 수 있다.
신용카드(B)는 이러한 카드 안착판(120)에 의해 돌출된 부분이 보호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몸체(A1) 외측으로 돌출된 신용카드(B)의 말단은, 일 면은 카드 안착판(120)에 밀착되고 반대편 타 면은 노출된다. 즉 제1배면커버(101)에서 확장된 카드 안착판(120)은 제1배면커버(101) 측을 향하는 신용카드(B)의 일 면에 맞닿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신용카드(B)의 카드 안착판(120)과 밀착되지 않은 반대편 타 면(도 3의 신용카드 상면)은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신용카드(B)를 커버케이스(1)에 삽입한 상태로 말단의 노출부를 보고 신용카드(B)를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떤 종류의 신용카드(B)를 커버케이스(1)에 삽입하여 휴대하였는지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신용카드(B)가 케이스 내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에는 신용카드 구분은 매우 곤란한다.
또한 신용카드(B) 말단의 노출여부를 보고 신용카드(B)를 커버케이스(1)에 휴대하였는지 아닌지 소지여부도 알 수 있으므로 지갑 등을 사용하지 않고 스마트폰과 신용카드(B) 정도만 간단히 휴대하여 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커버케이스(1)는 더욱 유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드 안착판(120)에는 절개부(121)가 형성된다. 절개부(121)는 카드 안착판(120)의 말단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몸체(A1) 외측으로 돌출된 신용카드(B)의 말단은, 일 면(카드 안착판과 밀착되는 면으로, 도 3의 신용카드 하면)의 일부가 절개부(121)로 노출될 수 있다. 절개부(121)로 노출된 모습은 도 2에 나타나 있다.
특히 절개부(121)는 사람의 손가락이 삽입 가능한 너비로 카드 안착판(120)의 말단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절개부(121) 내측과 그 반대편 측으로 신용카드(B)의 양 면을 동시에 파지하여 신용카드(B)를 빼내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돌출되어 있는 신용카드(B)의 말단은 절개부(121)를 통해서 양 면을 동시에 파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게 손가락을 절개부(121)에 넣어 신용카드(B)의 말단 양면을 동시에 파지하고 빼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커버케이스(1) 안에 숨겨진 좁은 슬릿 형태의 홈(즉 카드삽입용 반포켓)으로 신용카드(B)를 넣고 빼낼 때 매우 유용하며, 사용자는 두 손가락으로 카드 양면에 동시에 압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과도한 힘을 주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얻게 된다.
한편 카드 안착판(120)에는 돌출된 신용카드(B)의 말단을 보호하기 위한 구조들도 함께 형성된다. 도 3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카드 안착판(120)은 제1배면커버(101) 외측으로 신용카드(B)의 폭방향으로 확장되어 제1측면커버(102)와 연결되는 확장연결부(120a)를 포함한다.
확장연결부(120a)는 제1측면커버(102) 중에서도 모서리부분에 위치한 돌출구조인 제1완충부(140)에 연결될 수 있다. 확장연결부(120a)에 의해 카드 안착판(120)의 폭은 신용카드(B)의 폭보다 실질적으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신용카드(B)의 돌출된 말단을 더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확장연결부(120a)는 제1완충부(140)와 연결된 곡면형상의 연결구조일 수 있으며 쉽게 휠 수 있는 뾰족한 모서리 등은 제거하여 휨 강성을 증가시킨 구조일 수 있다. 확장연결부(120a)를 포함하는 카드 안착판(120)의 말단에는 돌출라인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라인부(122)는 일단이 확장연결부(120a) 및 제1측면커버(102)에 연결되고 카드 안착판(120)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된다. 돌출라인부(122)는 절개부(121)를 사이에 두고 분리될 수 있다. 즉 절개부(121)를 제외한 카드 안착판(120)의 테두리를 따라 선형으로 돌출된 돌출라인부(122)를 형성할 수 있다.
돌출라인부(122)는 일단이 확장연결부(120a) 및 확장연결부(120a)가 연결되어 있는 제1측면커버(102)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확장연결부(120a)가 제1완충부(140)에 연결되므로 돌출라인부(122) 역시 일단이 확장연결부(120a)와 제1완충부(140)에 연결된다(도 3의 확대도 참조). 따라서 확장연결부(120a)와 제1완충부(140)와 돌출라인부(122)가 실질적으로 한 점에 모여 입체적인 연결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확장연결부(120a)는 카드 안착판(120)에서 수평으로 확장된 면 구조이나 그와 수직한 제1측면커버(102)의 제1완충부(140)와 교차하여 연결되고(도 2참조), 연결지점에서 돌출라인부(122)가 돌출구조로 두께를 증가시키므로 서로 교차된 면 구조와 돌출구조의 복합작용으로 카드 안착판(120)의 휨에 대한 저항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카드 안착판(120)의 구조적 강성도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돌출된 신용카드(B)의 말단이 굽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더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머니 등에 스마트폰을 자주 넣고 다니는 경우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강성이 증가된 카드 안착판(120)은 카드의 변형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돌출라인부(122)는 말단이 돌출되어 있는 신용카드(B)를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단면을 살펴보면,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은 제1배면커버(101)의 내면이 돌출라인부(122)보다 낮게 만입되어 형성된다.
이때 낮게 만입된다는 것은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의 바닥이 돌출라인부(122)보다 만입방향으로 더 낮게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의 바닥은 돌출라인부(122)보다 만입방향(제1배면커버의 내면이 홈을 형성하는 방향이므로 도 4에서는 오른쪽 방향)으로 더 낮게 위치한다. 따라서 신용카드(B)의 말단은 돌출라인부(122)에 걸리게 된다.
즉 홈 구조인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의 바닥은 카드 안착판(120)의 테두리에서 돌출된 돌출라인부(122)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양자의 높이차에 의해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에 삽입된 신용카드(B)는 말단이 돌출라인부(122)에 걸려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커버케이스(1)를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3의 커버케이스에서 신용카드를 입출하는 방식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신용카드 배출 후 제1케이스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커버케이스와 폴더블 스마트폰 및 신용카드의 결합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커버케이스의 내측으로 신용카드(B)를 보다 편리하게 삽입할 수 있다. 카드 안착판(120)은 제1배면커버(101)에서 확장된 구조이므로 제1배면커버(101)에 만입되어 있는 카드삽입용 반포켓(110)과도 연결된다.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된 카드 안착판(120)에 신용카드(B)를 대고 밀어 넣으면 카드삽입용 반포켓(110) 안으로 매우 쉽게 신용카드(B)를 삽입할 수 있다.
도 5에 삽입방향이 예시되었지만, 사용자가 또 다른 다양한 방향으로 카드를 삽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카드 안착판(120)에 신용카드(B)의 말단을 경사지게 대고, 도 6의 입구홈(111) 측으로 신용카드(B)를 밀어넣으면 카드 안착판(120)의 가이드작용에 의해 신용카드(B)는 카드 고정홈(112) 안쪽으로 쉽게 삽입된다. 따라서 좁은 입구홈(111) 등을 찾을 필요없이 외측으로 돌출된 카드 안착판(120)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신용카드(B)를 커버케이스(1)에 장착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카드 안착판(120)과,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의 입구홈(111)과, 입구홈(111)과 연결된 카드 고정홈(112)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카드 안착판(120)을 통해서 카드 고정홈(112) 안쪽까지 신용카드(B)를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도 7에는 그와 같이 신용카드(B)가 삽입된 커버케이스(1)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신용카드(B)는 카드삽입용 반포켓(110)에 일부가 삽입되고 말단은 전술한 것처럼 폴더블 스마트폰(A)의 제1몸체(A1) 외측으로 돌출된다. 커버케이스(1)는 폴더블 스마트폰(A)의 몸체와 밀착되어 있고 신용카드(B)의 말단은 커버케이스(1)의 두께보다 길게 돌출되므로, 신용카드(B)의 말단은 실질적으로 커버케이스(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신용카드(B)의 돌출된 말단은 카드 안착판(120)에 받쳐져 보호된다. 카드 안착판(120)은 전술한 것처럼 강성이 증가된 구조이고 신용카드(B)와 밀착상태로 본래의 형상을 유지하므로, 카드 안착판(120)에 의해 보호되어 신용카드(B)는 돌출부분의 휨이나 변형 등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삽입상태에서 신용카드(B)는 돌출라인부(122)에 의해 말단이 걸려 고정되므로, 도시된 것처럼 폴더블 스마트폰(A)을 접거나 펴는 등 다양하게 조작하고 휴대상태로 움직이더라도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빼내지 않는 한 커버케이스(1)로부터 쉽게 배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신용카드(B)를 커버케이스(1)에 삽입하면, 사용자는 폴더블 스마트폰(A)의 디스플레이 등을 확인하거나 폴더블 스마트폰(A)을 꺼낼 때마다 돌출되어 있는 신용카드(B)의 단부도 동시에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신용카드(B)의 종류나 소지여부 등을 스마트폰을 보거나 만질 때마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신용카드(B)를 빼내고자 할 때는 절개부(121)에 손가락을 넣고 앞서 설명한 것처럼 집게 손가락 등으로 신용카드(B)의 말단 양면을 동시에 파지할 수 있다. 즉 도 7의 노출되어 있는 신용카드(B) 상면과, 절개부(121)와 중첩된 신용카드(B) 하면을 동시에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신용카드(B)를 빼낼 수 있다.
또한, 돌출라인부(122)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신용카드(B) 말단을 살짝 들어올리는 동작 등도 이러한 구조에 의해 매우 쉽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신용카드(B)를 빼낼 때에도 카드 안착판(120)이 배출방향으로 가이드작용을 하므로 가드 안착판(120)에 한 쪽을 지지하면서 더욱 쉽게 빼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의 커버케이스(1)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
100: 제1케이스 101: 제1배면커버
102: 제1측면커버 110: 카드삽입용 반포켓
111: 입구홈 112: 카드 고정홈
120: 카드 안착판 120a: 확장연결부
121: 절개부 122: 돌출라인부
131, 213: 홈부 140: 제1완충부
200: 제2케이스 201: 제2배면커버
202: 제2측면커버 211: 카메라홀
212: 버튼부 220: 제2완충부
A: 폴더블 스마트폰 A1: 제1몸체
A2: 제2몸체 A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4: 힌지 B: 신용카드

Claims (7)

  1.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결합되는 2개의 몸체를 가지며, 2개의 상기 몸체 사이에 힌지가 장착되어 접을 수 있게 형성된 폴더블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한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에 있어서,
    2개의 상기 몸체 중 제1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몸체의 배면을 덮는 제1배면커버를 포함하는 제1케이스;
    2개의 상기 몸체 중 제2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2몸체의 배면을 덮는 제2배면커버를 포함하는 제2케이스;
    상기 제1배면커버에 배치되되, 신용카드의 일부만 수용하여 상기 신용카드의 말단을 상기 제1몸체의 상기 힌지 반대편 말단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카드삽입용 반포켓; 및
    상기 제1배면커버로부터 상기 제1몸체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제1몸체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신용카드의 말단에 중첩되는 카드 안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스에 상기 제1배면커버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측면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드 안착판은 상기 제1배면커버 외측에서 상기 신용카드의 폭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제1측면커버와 연결되는 확장연결부를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확장연결부 및 상기 제1측면커버에 연결되고 상기 카드 안착판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어 있는 돌출라인부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신용카드의 말단은, 일 면은 상기 카드 안착판에 밀착되고 반대편 타 면은 노출되어 있는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안착판의 말단에 형성된 절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몸체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신용카드의 말단은, 상기 일 면의 일부가 상기 절개부로 노출되는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사람의 손가락이 삽입 가능한 너비로 상기 카드 안착판의 말단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입되어,
    상기 절개부 내측과 그 반대편 측으로 상기 신용카드의 양 면을 동시에 파지하여 빼낼 수 있게 형성된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삽입용 반포켓은, 상기 제1배면커버의 내면이 상기 돌출라인부보다 낮게 만입되어 형성된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
KR1020220092038A 2022-07-25 2022-07-25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 KR102627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038A KR102627088B1 (ko) 2022-07-25 2022-07-25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038A KR102627088B1 (ko) 2022-07-25 2022-07-25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088B1 true KR102627088B1 (ko) 2024-01-23

Family

ID=8971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038A KR102627088B1 (ko) 2022-07-25 2022-07-25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08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530B1 (ko) * 2011-09-27 2013-08-09 주식회사 이노웍스 카드 보관이 가능한 단말기커버
KR101620781B1 (ko) * 2015-01-09 2016-05-13 (주)서원인텍 보안창을 갖는 플립형 스마트폰 보호커버
KR200482934Y1 (ko) * 2015-10-06 2017-03-17 주식회사 하미코리아 핸드폰 슬라이딩 케이스
KR102228224B1 (ko) 2019-11-06 2021-03-18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폴더블폰 커버
KR20210110528A (ko) * 2021-08-19 2021-09-08 윤광규 정중앙부가 접혀지는 휴대폰을 위한 카드수납 휴대폰 케이스
KR20220057491A (ko) * 2022-04-19 2022-05-09 주식회사 이디즌 카드수납구조를 포함하는 접이식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530B1 (ko) * 2011-09-27 2013-08-09 주식회사 이노웍스 카드 보관이 가능한 단말기커버
KR101620781B1 (ko) * 2015-01-09 2016-05-13 (주)서원인텍 보안창을 갖는 플립형 스마트폰 보호커버
KR200482934Y1 (ko) * 2015-10-06 2017-03-17 주식회사 하미코리아 핸드폰 슬라이딩 케이스
KR102228224B1 (ko) 2019-11-06 2021-03-18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폴더블폰 커버
KR20210110528A (ko) * 2021-08-19 2021-09-08 윤광규 정중앙부가 접혀지는 휴대폰을 위한 카드수납 휴대폰 케이스
KR20220057491A (ko) * 2022-04-19 2022-05-09 주식회사 이디즌 카드수납구조를 포함하는 접이식 휴대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9850B2 (en) Case for a tablet shaped device, a method for removing a stylus therefrom and a method for making a case for a tablet shaped device
US9717314B2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ith shutter stand
US9768822B1 (en) Smart phone carrying case with stand
US8965458B2 (en) Protective cushion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180129246A1 (en) Electronic having flexible display panel
EP2759223B1 (en) Foldable pouch for mobile terminal
US20140076753A1 (en) Case for wireless devices
US9418707B2 (en) Accommodating case for portable recording medium
KR20220057491A (ko) 카드수납구조를 포함하는 접이식 휴대폰 케이스
KR102531444B1 (ko) 카드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102627088B1 (ko)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
KR20150068380A (ko) 개인용 전자 기기 및 카드를 넣기 위한 케이스
KR101635152B1 (ko) 이동 단말기 보호용 케이스
KR20140037405A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2056653B1 (ko) 카드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71353Y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200130069A (ko) 카드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73019Y1 (ko)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US20150195931A1 (en) Case for a portable device with a screen
KR102025187B1 (ko)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US20210052053A1 (en) Cover for a mobile device with a screen and a case having such a cover
KR101999915B1 (ko) 핸드폰 케이스
KR20160114955A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240010965A (ko)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케이스
KR200488559Y1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