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666A - 이중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프리폼, 용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프리폼, 용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6666A
KR20230086666A KR1020237010045A KR20237010045A KR20230086666A KR 20230086666 A KR20230086666 A KR 20230086666A KR 1020237010045 A KR1020237010045 A KR 1020237010045A KR 20237010045 A KR20237010045 A KR 20237010045A KR 20230086666 A KR20230086666 A KR 20230086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orm
outside air
inner bag
introduction hol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0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히 쿠라하시
신스케 타루노
요스케 무로야
Original Assignee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741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109147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8980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07885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10114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11497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102850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129715A/ja
Application filed by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86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65D83/006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the contents of a flexible bag being expelled by the contracting forces inherent in the bag or a sleeve fitting snugly around the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208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joining several separate preforms while blow-moulding, e.g. two cylindrical preforms welded together during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8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 B29C49/10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using mechanical means for pre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8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 B29C49/10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using mechanical means for prestretching
    • B29C49/12Stretching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8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 B29C49/10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using mechanical means for prestretching
    • B29C49/12Stretching rods
    • B29C49/1208Stretching rods using additional means to clamp the preform bottom while stretching the pre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2049/024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not using inherent heat of the preform, i.e. 2 step blow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2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wall thickness
    • B29C2949/0724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wall thickness at body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2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wall thickness
    • B29C2949/072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wall thickness at bottom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1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body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09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 B29C49/6418Heating of pre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03PET, i.e. poyl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65D1/0284Bottom construction having a discontinuous contact surface, e.g. discrete f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1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7Materials used as gas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고습 환경 하에서의 가스 배리어성의 저하가 억제되는, 이중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각(外殼)과 내측 주머니를 가지고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상기 내측 주머니가 수축하도록 구성되는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이중 용기이고, 상기 내측 주머니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내측층과 가스 배리어층과 외측층을 구비하는, 이중 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중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프리폼, 용기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이중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프리폼,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 관점)
특허 문헌 1에는, 외각(外殼)과 내측 주머니를 가지고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내측 주머니가 수축하는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이중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제2 관점)
특허 문헌 2에는, 프리폼의 내측에 튜브 형상 성형체를 장전(裝塡)하고, 그 상태로 이축 연신(延伸) 블로우 성형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이중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제3 관점)
특허 문헌 3에는, 내(內)프리폼과 외(外)프리폼을 겹친 상태로 블로우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이중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5-101396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7-94677호 WIPO국제공개공보 제2004/071887호
(제1 관점)
특허 문헌 1의 이중 용기는,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는 EVOH층을 가지는 것이지만, 본 발명자들이 검토를 행한 바, 특허 문헌 1의 이중 용기는, 고습 환경 하에 있어서 가스 배리어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고습 환경 하에서의 가스 배리어성의 저하가 억제되는, 이중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2 관점)
튜브 형상 성형체는,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저부(底部)에 핀치 오프부를 가진다. 핀치 오프부는, 강도가 비교적 약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튜브 형상 성형체를 프리폼의 내측에 장전한 상태로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을 행하면, 튜브 형상 성형체의 핀치 오프부가 세차게 연신되면, 핀치 오프부가 개열(開裂)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 시에, 핀치 오프부가 개열되는 것이 억제되는, 프리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3 관점)
내프리폼에 의하여 내측 주머니가 구성되고, 외프리폼에 의하여 외각이 구성된다. 내측 주머니 내의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내측 주머니는 수축하지만, 외각에 설치한 외기(外氣) 도입 구멍으로부터, 내측 주머니와 외각의 사이의 중간 공간에 외기가 도입되는 것에 의하여, 외각은, 원래의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이중 용기에 있어서, 내측 주머니와 외각의 사이의 중간 공간에 외기가 도입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내측 주머니와 외각의 사이의 중간 공간에 외기가 순조롭게 도입 가능한, 이중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관점)
본 발명에 의하면, 외각과 내측 주머니를 가지고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상기 내측 주머니가 수축하도록 구성되는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이중 용기이고, 상기 내측 주머니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내측층과 가스 배리어층과 외측층을 구비하는, 이중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자가 예의(銳意) 검토를 행한 바, 특허 문헌 1의 이중 용기에서는, 내용물의 토출(吐出)에 수반하여 외각과 내측 주머니의 사이의 중간 공간에 외기가 비집고 들어가기 때문에, 내측 주머니의 최외층(最外層)인 EVOH층이 외기에 노출되는 결과, 고습 환경 하에서의 가스 배리어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이 지견에 기초하여, 내측 주머니의 가스 배리어층을 내측층과 외측층으로 끼우는 것에 의하여, 가스 배리어층이 내용물이나 외기에 포함되는 수분에 노출되는 것이 억제되는 것을 찾아내고,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된 이중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높이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 상기 내측 주머니의 두께는, 80 ~ 200μm이고, (상기 가스 배리어층의 두께/상기 내측 주머니의 두께)의 값은, 0.2 ~ 0.6인, 이중 용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된 이중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 공정에서는, 내프리폼에 외프리폼을 씌워 구성되는 프리폼을 가열하여 연화시킨 상태로 상기 프리폼 내에 에어를 불어넣어 상기 프리폼을 이축 연신하는, 방법이다.
(제2 관점)
본 발명에 의하면, 통상(筒狀)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下端)을 닫는 저부를 가지는 프리폼에 있어서, 상기 저부에 핀치 오프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리폼의 높이 방향의 중앙면에서의 상기 몸통부의 두께를 T1로 하고, 상기 프리폼을 상기 저부 측으로부터 상기 프리폼의 긴쪽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의, 상기 핀치 오프부의 긴쪽 방향의 중앙과 단(端)의 사이의 중간점에서의 상기 저부의 두께를 T2로 하면, T2/T1>1인, 프리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프리폼에서는, 저부의 두께가 몸통부의 두께보다도 크기 때문에, 이축 연신 블로우 시에 프리폼의 저부의 연신이 억제된다. 저부의 연신이 억제되면, 저부에 설치되어 있는 핀치 오프부에서의 연신도 억제되고, 핀치 오프부가 개열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된 프리폼에 있어서, T2/T1≥1. 2인, 프리폼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된 프리폼에 있어서, 상기 프리폼의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최내층(最內層)과 가스 배리어층과 최외층을 구비하는, 프리폼이다.
바람직하게는, 내프리폼에 외프리폼을 씌워 구성되는 프리폼에 있어서, 상기 내프리폼은, 상기 기재된 프리폼인, 프리폼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된 프리폼에 있어서, 상기 외프리폼은, 상기 외프리폼의 저부에 환상(環狀)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핀치 오프부의 단은, 상기 환상 볼록부의 바깥 가장자리의 외측에 위치하는, 프리폼이다.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 공정에서는, 상기 기재된 프리폼을 가열하여 연화시킨 상태로 상기 프리폼 내에 에어를 불어넣어 상기 프리폼을 이축 연신하는, 방법이다.
(제3 관점)
본 발명에 의하면, 이중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중 용기는, 외각과 내측 주머니를 가지고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상기 내측 주머니가 수축하도록 구성되는 용기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각은, 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 주머니의 사이에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외기 도입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가열 공정과 성형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 공정에서는, 내프리폼에 외프리폼을 씌워 구성되는 프리폼을 가열하여 연화시켜 연화 상태로 하고, 상기 성형 공정은, 상기 연화 상태로 상기 내프리폼 내에 에어를 불어넣는 블로우 성형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 공정에서는, 상기 프리폼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프리폼을 복수의 히터로 가열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상기 프리폼의 측면에 인접한 위치에 있어서, 상기 프리폼의 긴쪽 방향을 따라 나란히 놓이도록 배치되고, 상기 프리폼 중 상기 외기 도입 구멍이 형성되는 부위를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로 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 중, 상기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에 최근접의 것을 최근접 히터로 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 중, 상기 최근접 히터 이외의 것을 그 외 히터로 하고, 상기 최근접 히터의 출력을, 상기 최근접 히터로부터 상기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까지의 거리의 제곱으로 나눈 값을 V로 하고, 상기 그 외 히터의 각각에 관하여 출력을 상기 프리폼까지의 거리의 제곱으로 나누어 얻어진 값 중 최대의 것을 Wa로 하면, V/Wa가 0.60 이하인,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자가 예의 검토를 행한 바, 외기 도입 구멍의 주위의 영역에 있어서, 외프리폼에 의하여 구성되는 외각과, 내프리폼에 의하여 구성되는 내측 주머니가 강하게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내측 주머니와 외각의 사이의 중간 공간에 외기가 순조롭게 도입되지 않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이 지견에 기초하여, 외기 도입 구멍이 형성되는 부위의 가열이 약해지도록 V의 값을 저하시킨 바, 외각과 내측 주머니의 밀착도가 저하하여 외기가 도입되기 쉬워지는 것을 찾아내고,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덧붙여, 프리폼의 전체의 가열을 약하게 하는 것에 의하여도, 외각과 내측 주머니의 밀착도를 저하시킬 수 있지만, 그 경우는, 성형 후에 내측 주머니의 전체가 수축하여 내용량이 감소하기 쉬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측 주머니의 수축을 억제하면서, 중간 공간에 외기를 순조롭게 도입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그 외 히터의 각각에 관하여 출력을 상기 프리폼까지의 거리의 제곱으로 나누어 얻어진 값을 평균한 것을 Wb로 하면, V/Wb가 0.70 이하인, 방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그 외 히터의 각각에 관하여 출력을 상기 프리폼까지의 거리의 제곱으로 나누어 얻어진 값 중 최소의 것을 Wc로 하면, V/Wc가 0.95 이하인, 방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프리폼은, 상기 외프리폼보다도 성형 수축율이 큰 재료로 구성되는, 방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프리폼에 설치된 관통 구멍이, 상기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인, 방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프리폼에는, 상기 외기 도입 구멍이 되는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성형 공정에 의하여 얻어진 용기 본체의 외각의 피천공 부위를 천공하는 것에 의하여 외기 도입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는, 상기 피천공 부위가 되는 부위인, 방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리폼은, 상기 성형 공정에서 연신되는 피연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은, 상기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의 온도가, 상기 피연신부 중 온도가 최고인 부위의 온도보다도 낮아지도록 행하여지는, 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이중 용기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한 이중 용기(1)의 용기 본체(2)를 도시하고, 도 1a는 정면도이고, 도 1b는 저면도이다.
도 2의 도 2a는, 도 1의 용기 본체(2)를 저부(7)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외각(3)의 저부(7) 근방을, 용기의 내측으로부터 본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의 도 3a는, 도 1b 중의 A-A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 중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내측 주머니(4)의 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5는, 내프리폼(14) 및 외프리폼(13)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의 도 6a는, 내프리폼(14)을 저부(14c)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6b는, 내프리폼(14)의 저면도(내프리폼(14)을 저부(14c) 측으로부터 내프리폼(14)의 긴쪽 방향을 따라 본 도면)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b 중의 A-A 단면도(핀치 오프부(14h)의 긴쪽 방향의 중앙(14h1)을 지나고 또한 핀치 오프부(14h)의 긴쪽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도 8의 도 8a는, 도 6b 중의 B-B 단면도(중간점(14h3)을 지나고 또한 핀치 오프부(14h)의 긴쪽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8a 중의 영역 D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5의 외프리폼(13)의 저부(13c) 근방을, 외프리폼(13)의 내측으로부터 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의 도 10a는, 내프리폼(14)에 외프리폼(13)을 씌우는 것에 의하여 구성된 프리폼(15)의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를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구부(口部) 지지형(21)에 프리폼(15)을 장착하여 히터(31)에 근접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상태로부터, 프리폼(15)을 장착한 구부 지지형(21)을 성형형(成形型)(23, 24)의 사이의 위치에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상태로부터, 성형형(23, 24)을 닫고, 저부 지지형(22)이 외프리폼(13)의 저부(13c)를 지지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상태로부터, 지지봉(25)을 신장시키는 것과 함께 저부 지지형(22)을 후퇴시켜 프리폼(15)을 세로 연신시킨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내프리폼(14) 및 외프리폼(13)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외프리폼(13)의 저부(13c) 근방을, 외프리폼(13)의 내측으로부터 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7의 도 17a는, 내프리폼(14)에 외프리폼(13)을 씌우는 것에 의하여 구성된 프리폼(15)의 사시도이고, 도 17b는, 도 17a를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구부 지지형(21)에 프리폼(15)을 장착하여 히터(31)에 근접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상태로부터, 프리폼(15)을 장착한 구부 지지형(21)을 성형형(23, 24)의 사이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상태로부터, 성형형(23, 24)을 닫고, 저부 지지형(22)이 외프리폼(13)의 저부(13c)를 지지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상태로부터, 지지봉(25)을 신장시키는 것과 함께 저부 지지형(22)을 후퇴시켜 프리폼(15)을 세로 연신시킨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중에서 나타낸 각종 특징 사항은, 서로 조합 가능하다. 또한, 각 특징에 관하여 독립하여 발명이 성립한다.
1. 이중 용기(1)
최초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이중 용기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한 이중 용기(1)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한 이중 용기(1)는, 용기 본체(2)를 구비한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는, 외각(3)과 내측 주머니(4)를 가지고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내측 주머니(4)가 수축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는, 구부(5)와 몸통부(6)와 저부(7)를 구비한다. 구부(5)는, 캡이나 펌프 등의 구부 장착 부재를 장착 가능한 계합부(係合部)(5a)를 구비한다. 계합부(5a)는, 구부 장착 부재가 나사식의 경우는 수나사부이고, 구부 장착 부재가 타전식의 경우는 둘레 방향으로 돌출하는 환상 돌기이다. 구부 장착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체크 밸브를 가지고 있고, 내용물의 토출은 가능하지만, 외기가 용기 본체(2) 내에 유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구부(5)는, 몸통부(6)의 상단(上端)(6a)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부(5)는, 원통형(圓筒形)이다. 몸통부(6)는, 구부(5)보다도 외경(外徑)(본 명세서에 있어서, 「외경」은, 단면이 원형이 아닌 경우는, 외접원 직경을 의미한다.)이 크다.
몸통부(6)는 통상이고, 저부(7)는, 몸통부(6)의 하단에 설치되고, 몸통부(6)의 하단을 폐색(閉塞)한다. 저부(7)는, 저부(7)의 중앙에 설치된 중앙 오목부(7a)와, 중앙 오목부(7a)를 둘러싸는 둘레 가장자리부(7b)를 구비한다.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오목부(7a)에는, 계지부(係止部)(7a1)와 외기 도입 구멍(16)과 환상 볼록부(7a3)와 위치 결정 오목부(7a4)가 설치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부(7a1)는, 외각(3)에 설치된 삽통(揷通) 구멍(3a) 내에, 내측 주머니(4)에 설치된 계지 돌기(4a)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계지부(7a1)에 의하여 내측 주머니(4)가 외각(3)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저지된다. 외기 도입 구멍(16)은, 외각(3)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고, 내측 주머니(4)의 수축에 수반하여, 외기 도입 구멍(16)을 통하여 외각(3)과 내측 주머니(4)의 사이의 중간 공간에 외기가 도입된다. 계지부(7a1)와 외기 도입 구멍(16)은, 환상 볼록부(7a3) 내에 배치된다. 위치 결정 오목부(7a4)는, 용기 본체(2)에 인쇄 등을 행할 때에, 용기 본체(2)를 둘레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둘레 가장자리부(7b)에는, 접지부(7b1)와 둘레 가장자리 오목부(7b2)가 설치되어 있다. 접지부(7b1)는, 용기 본체(2)를 입설(立設)시켰을 때에, 용기 본체(2)를 재치(載置)하는 재치면에 접촉하는 부위이다. 둘레 가장자리부(7b)의 전체를 접지부(7b1)로 하면, 용기 본체(2)를 입설시켰을 때에 중앙 오목부(7a)가 용기 본체(2)와 재치면과의 사이에서 밀폐 공간이 되고, 외기 도입 구멍(16)을 통한 외기의 도입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중앙 오목부(7a) 내가 밀폐 공간이 되지 않도록 통기로(通氣路)로서 둘레 가장자리 오목부(7b2)를 설치하고 있다.
구부(5)에 장착한 펌프에 의하여 내측 주머니(4) 내의 내용물을 배출하면, 내측 주머니(4)가 수축하여 외각(3)으로부터 떨어지려고 한다. 이 때에, 외기 도입 구멍(16)을 통하여 내측 주머니(4)와 외각(3) 사이의 공간에 외기가 도입된다. 외기 도입 구멍(16)의 근방에 있어서 외각(3)과 내측 주머니(4)가 밀착하고 있으면, 외각(3)과 내측 주머니(4)의 사이의 중간 공간에 외기가 도입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각(3)과 내측 주머니(4)의 사이에 스페이서(9)를 배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페이서(9)로서, 외각(3)으로부터 내측 주머니(4)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3b)를 설치하고 있다. 스페이서(9)를 설치하면 스페이서(9)에 인접한 위치에 있어서 외각(3)과 내측 주머니(4)의 사이에 간극(間隙)(8)이 형성되고, 간극(8)에 의하여, 외기가 도입되기 쉽게 되어 있다.
그런데, 스페이서(9)를 설치하였을 경우에서도, 외기 도입 구멍(16)의 근방에 있어서 외각(3)과 내측 주머니(4)가 밀착하여 중간 공간에 외기가 도입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래서,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서는, 제조 조건을 연구하는 것에 의하여, 외기 도입 구멍(16)의 근방에서의 외각(3)과 내측 주머니(4)의 밀착을 억제하고 있다.
내측 주머니(4) 및 외각(3)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이나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 등의 수지 성형에 의하여, 용기 본체(2)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용기 본체(2)의 두께는, 예를 들어 400 ~ 1200μm이고, 500 ~ 1000μm가 바람직하다. 이 두께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400, 450, 500, 550,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1000, 1050, 1100, 1150, 1200μm이고, 여기서 예시한 수치 중 어느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여도 무방하다. 내측 주머니(4)의 두께는, 예를 들어 80 ~ 200μm이고, 90 ~ 150μm가 바람직하다. 이 두께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200μm이고, 여기서 예시한 수치 중 어느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여도 무방하다. 외각(3)의 두께는, 예를 들어 300 ~ 1000μm이고, 400 ~ 800μm가 바람직하다. 이 두께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300, 350, 400, 450, 500, 550,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1000μm이고, 여기서 예시한 수치 중 어느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용기 본체(2), 내측 주머니(4), 외각(3) 및 이것들을 구성하는 각 층의 두께는, 특별한 지정이 없는 한, 용기 본체(2)의 높이 방향의 중앙에서의 두께를 의미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관점에서는, 내측 주머니(4)는, 내측 주머니(4)의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내측층(4c)과 가스 배리어층(4d)과 외측층(4e)을 구비한다. 한편, 제2 및 제3 관점에서는, 내측 주머니(4)의 층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 관점과 마찬가지의 구성이어도, 다른 구성이어도 무방하고, 단층 구성이어도, 복수층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내측층(4c)은, 가스 배리어층(4d)보다도 내측 주머니(4)의 내측에 배치되는 층이다. 내측 주머니(4)가 내측층(4c)을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내용물에 포함되는 수분에 가스 배리어층(4d)이 노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내측층(4c)의 두께는, 예를 들어, 5 ~ 60μm이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μm이고, 여기서 예시한 수치 중 어느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여도 무방하다. 내측층(4c)은, 바람직하게는, 내측 주머니(4)의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최내층(4c1)과 리프로층(4c2)과 접착층(4c3)을 구비한다.
최내층(4c1)은, 폴리올레핀(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나 PET 등의 수분 배리어성에 뛰어난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내층(4c1)은, 내측 주머니(4) 내의 내용물에 접하는 층이고, 내용물의 오염을 억제하도록, 재생 수지가 아닌 신품의 수지(이하 「버진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프로층(4c2)은, 재생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로 구성되고, 재생 수지와 버진 수지로 구성되는 혼합 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프로층(4c2)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환경 부하 및 용기 제조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리프로층(4c2)은, 불필요한 경우는 생략 가능하다.
혼합 수지 전체를 100질량%로 하면, 혼합 수지는, 재생 수지를 15 ~ 50질량%(15, 20, 25, 30, 35, 40, 45, 50질량%)와, 버진 수지 50 ~ 85질량%(50, 55, 60, 65, 70, 75, 80, 85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생 수지 및 버진 수지의 비율은, 괄호 내에 예시한 수치 중 어느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여도 무방하다. 재생 수지는, 용기 본체(2)의 성형 시에 발생하는 스크랩을 재생하여 얻어지는 수지이다. 스크랩에는, 용기 본체(2)의 전체 층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재생 수지는, 용기 본체(2)의 전체 층의 각각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을 혼합한 것이 된다.
접착층(4c3)은, 접착성 수지로 구성된다. 접착성 수지로서는, 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예: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층(4c3)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접착층(4c3)에 인접하는 층간의 접착성이 향상한다.
외측층(4e)은, 가스 배리어층(4d)보다도 내측 주머니(4)의 외측에 배치되는 층이다. 내측 주머니(4)가 외측층(4e)을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외기에 포함되는 수분에 가스 배리어층(4d)이 노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외측층(4e)의 두께는, 예를 들어, 5 ~ 60μm이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μm이고, 여기서 예시한 수치 중 어느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여도 무방하다. 외측층(4e)은, 바람직하게는, 내측 주머니(4)의 외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최외층(4e1)과 접착층(4e2)을 구비한다.
최외층(4e1)은, 폴리올레핀(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나 PET 등의 수분 배리어성에 뛰어난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외층(4e1)은, 내측 주머니(4)의 외부에 노출되는 층이고, 외부 환경의 오염을 억제하도록, 버진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 4e2의 설명은, 접착층 4c3과 마찬가지이다.
내측층(4c)은, 외측층(4e)보다도 두께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스 배리어층(4d)을 내용물의 수분으로부터, 보다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 (내측층(4c)의 두께/외측층(4e)의 두께)의 값은, 예를 들어 1.1 ~ 3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값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이고, 여기서 예시한 수치 중 어느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층(4c)의 두께를 외측층(4e)보다도 두께도 크게 하고, 리프로층(4c2)을 내측층(4c)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리프로층(4c2)의 두께를 비교적 크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리프로층(4c2)은, 내측층(4c)과 외측층(4e)의 양방(兩方)에 설치하여도 무방하고, 외측층(4e)에만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가스 배리어층(4d)은, 가스 배리어성 수지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가스 배리어성 수지는, 두께 20μm의 필름으로 한 상태에서, 20℃ㆍ65%RH의 환경 하에서의 산소 투과도가 50cc/(m2ㆍ24시간ㆍatm)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산소 투과도는, 예를 들어 0 ~ 49cc/(m2ㆍ24시간ㆍatm)이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0.01, 0.1, 0.2, 0.5, 1, 2, 5, 10, 15, 20, 25, 30, 35, 40, 45, 49cc/(m2ㆍ24시간ㆍatm)이고, 여기서 예시한 수치 중 어느 2개의 사이의 범위 내 또는 어느 하나 이하여도 무방하다.
가스 배리어성 수지는, (20℃ㆍ100%RH의 환경 하에서의 산소 투과도)/(20℃ㆍ40%RH의 환경 하에서의 산소 투과도)의 값이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 값이 클수록, 고습화에서의 가스 배리어성이 낮은 것을 의미하고, 본 발명을 적용하는 기술적 의의가 현저하다. 이 값은, 예를 들어 2 ~ 10000이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2, 5, 10, 20, 50, 100, 200, 1000, 10000이고, 여기서 예시한 수치 중 어느 2개의 사이의 범위 내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이어도 무방하다.
가스 배리어성 수지로서는, EVOH나, 폴리아미드와 같은 가스 배리어성이 높은 수지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상기 수지와 다른 수지와의 혼합 수지여도 무방하다. 다른 수지로서는, 접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가스 배리어층(4d)에 접착성 수지를 배합하는 것에 의하여, 접착층(4c3, 4e2)을 생략할 수 있고, 내측 주머니(4)를 구성하는 층수를 줄일 수 있다.
내측 주머니(4)의 두께를 80 ~ 200μm로 하고, (가스 배리어층(4d)의 두께/내측 주머니(4)의 두께)의 값을 0.2 ~ 0.6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주머니(4)는, 높은 유연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두께를 80 ~ 200μm로 할 필요가 있고, 그 경우에, (가스 배리어층(4d)의 두께/내측 주머니(4)의 두께)의 값을, 일반의 적층 용기와 같이 5% 정도로 하면, 가스 배리어층(4d)이 너무 얇아져, 가스 배리어성이 불충분하게 되기 쉽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주머니(4)의 두께를 80 ~ 200μm로 하면서, (가스 배리어층(4d)의 두께/내측 주머니(4)의 두께)의 값을 0.2 ~ 0.6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내측 주머니(4)의 유연성 및 가스 배리어성을 양립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가스 배리어층(4d)의 두께는, 예를 들어, 20 ~ 100μm이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20, 30, 40, 50, 60, 70, 80, 90, 100μm이고, 여기서 예시한 수치 중 어느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여도 무방하다.
외각(3)은, 폴리올레핀(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나 PET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 도 10 및 도 15 ~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는, 내측 주머니(4)가 되는 내프리폼(14)에, 외각(3)이 되는 외프리폼(13)을 씌워 구성된 프리폼(「어셈블리」라고 칭하여도 무방하다.)(15)을 가열하여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5 ~ 도 17의 프리폼(15)은, 도 5 ~ 도 10에 도시하는 프리폼(15)의 변형예이다.
도 5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프리폼(14)은, 바닥이 있는 통상이고, 구부(14a)와 몸통부(14b)와 저부(14c)를 구비한다. 구부(14a)의 개구단(開口端)에는, 플랜지(14a1)가 설치되어 있다. 저부(14c)는, 몸통부(14b)의 하단을 닫도록 설치된다. 저부(14c)에는, 위치 결정 핀(14c1)이 설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프리폼(13)은, 바닥이 있는 통상이고, 구부(13a)와 몸통부(13b)와 저부(13c)를 구비한다. 저부(13c)는, 몸통부(13b)의 하단을 닫도록 설치된다. 도 9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프리폼(13)의 저부(13c)의 내면에는,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치된 돌기(13c1)가 설치되어 있다. 저부(13c)에는, 위치 결정 구멍(13c2) 및 관통 구멍(17)이 설치되어 있다. 도 10b 및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부(13c)의 외면(外面)에는 환상 볼록부(13c4)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구멍(13c2) 및 관통 구멍(17)은, 환상 볼록부(13c4)의 내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외프리폼(13)은, 내프리폼(14)이 삽입 가능한 사이즈로 되어 있다. 관통 구멍(17)이 용기 본체(2)의 외기 도입 구멍(16)이 되기 때문에, 관통 구멍(17)이 설치되어 있는 부위가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41)가 된다.
프리폼(15)을 형성할 때에, 플랜지(14a1)를 구부(13a)의 개구단에 당접(當接)시키는 것과 함께, 위치 결정 핀(14c1)을 위치 결정 구멍(13c2)에 삽입한다. 이것에 의하여, 내프리폼(14)과 외프리폼(13)이 서로 위치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구부 14a와 구부 13a가 대향하고, 몸통부 14b와 몸통부 13b가 대향한다.
구부(13a, 14a)가 프리폼(15)의 구부(15a)가 되고, 몸통부(13b, 14b)가 프리폼(15)의 몸통부(15b)가 되고, 저부(13c, 14c)가 프리폼(15)의 저부(15c)가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통부(15b) 및 저부(15c)가 후술하는 성형 공정에서 연신되는 피연신부(15d)가 된다.
내프리폼(14) 및 외프리폼(13)은, 폴리에스테르(예: PET)나 폴리올레핀(예: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의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이나 사출 성형 등에 의하여 형성 가능하다. 내프리폼은, 외프리폼보다도 성형 수축율이 큰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성형 수축에 의하여 외각(3)과 내측 주머니(4)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외각(3)과 내측 주머니(4)의 사이의 중간 공간으로의 외기 도입이 용이하게 된다.
내프리폼(14)을 구성하는 재료의 성형 수축율은, 예를 들어 0.5 ~ 6%이고, 예를 들어, 0.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이고, 여기서 예시한 수치 중 어느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여도 무방하다. 외프리폼(13)을 구성하는 재료의 성형 수축율은, 예를 들어 0.1 ~ 3%이고, 예를 들어,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5, 2.0, 2.5, 3.0%이고, 여기서 예시한 수치 중 어느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여도 무방하다. 성형 수축율의 차이는, 예를 들어 0.1 ~ 5.5%이고, 예를 들어, 0.1, 0.2, 0.3, 0.4, 0.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이고, 여기서 예시한 수치 중 어느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여도 무방하다. 성형 수축율은, JIS K7152-4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일례에서는, 내프리폼(14)이 폴리올레핀(예: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고, 외프리폼(13)은 PET로 구성된다. 폴리올레핀은, PET보다도 성형 수축율이 크기 때문에, 이와 같은 수지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외각(3)과 내측 주머니(4)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또한, 내프리폼(14)과 외프리폼(13)의 재료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블로우 성형 시에 서로 용착하는 것이 억제된다.
내프리폼(14)은,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용해 상태의 통상 파리손(parison)을 이용한 블로우 성형)에 의하면, 적층 구조의 내프리폼(14)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외프리폼(13)은, 사출 성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출 성형 시에 관통 구멍(17)을 형성 가능하기 때문에, 후가공의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내프리폼(14)을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으로 형성하면, 내프리폼(14)의 저부(14c)에는, 파리손을 폐색시킨 위치에 핀치 오프부(14h)가 형성된다. 핀치 오프부(14h)는, 강도가 비교적 약하기 때문에,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 시에 핀치 오프부(14h) 근방의 부위가 세차게 연신되면, 핀치 오프부(14h)가 개열할 우려가 있다.
일례에서는, 도 6 ~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프리폼(14)은, 다층 구성이고,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내측층(14d)과 가스 배리어층(예: EVOH층)(14e)와 외측층(14f)을 구비한다. 내측층(14d), 가스 배리어층(14e), 및 외측층(14f)은, 각각, 내측 주머니(4)의 내측층(4c), 가스 배리어층(4d), 및 외측층(4e)에 대응하는 층이고, 내측 주머니(4)와 마찬가지의 재료 및 층 비율로 구성 가능하다. 내측층(14d)과 외측층(14f)이, 각각, 내프리폼(14)의 최내층 및 최외층을 포함한다. 최내층 및 최외층은, 폴리올레핀(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나 PET 등으로 구성 가능하다.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치 오프부(14h)에 있어서, 가스 배리어층(14e)은 매우 얇게 되어 있다.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 시에 핀치 오프부(14h) 근방의 부위가 연신되면, 가스 배리어층(14e)이 더 얇아지거나, 가스 배리어층(14e)에 핀홀이 형성되거나 하여, 가스 배리어성 저하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하는 내프리폼(14)의 높이 방향의 중앙면(C)에서의 몸통부(14b)의 두께를 T1로 하고,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프리폼(14)을 저부(14c)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핀치 오프부(14h)의 긴쪽 방향의 중앙(14h1)과 단(14h2)의 사이의 중간점(14h3)에서의 저부(14c)의 두께(도 8b에 있어서, 핀치 오프부(14h)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의 두께)를 T2로 하면, T2/T1>1(바람직하게는 T2/T1≥1.2)이라고 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은, 내프리폼(14)의 저부(14c)의 두께가 몸통부(14b)의 두께보다도 크다고 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저부(14c)의 두께를 크게 하는 것에 의하여, 저부(14c)의 연신이 억제되고, 그 결과, 핀치 오프부(14h) 근방의 부위의 연신도 억제되고, 상기 과제가 해결된다.
중앙면(C)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핀치 오프부(14h)의 긴쪽 방향의 중앙(14h1)을 지나고 또한 핀치 오프부(14h)의 긴쪽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내프리폼(14)의 상단면(上端面)(14i)과 하단(14j)의 중앙을 지나고 또한 상단면(14i)에 평행한 평면이다. 두께 T1은, 중앙면(C)에서의 내프리폼(14)의 두께이고, 둘레 방향의 복수점에서의 두께의 평균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두께 T1은, 도 6b에 도시하는 저면도에 있어서 핀치 오프부(14h)의 연장선 상(上)에 배치되는 점 P1, P2와, 중앙(14h1)을 지나고 또한 핀치 오프부(14h)의 긴쪽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점 P3, P4에서의 평균값으로 한다.
T2/T1은, 예를 들어, 1.05 ~ 3이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05,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이고, 여기서 예시한 수치 중 어느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여도 무방하다.
상기 구성은, 예를 들어, 내프리폼(14)을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할 때에 형성하는 파리손 중, 저부(14c)를 구성하는 부위의 두께를 그 외의 부위보다도 크게 하는 것에 의하여 실현할 수 있다.
중간점(14h3)에 있어서, 저부(14c)로부터의 핀치 오프부(14h)의 돌출량을 T3으로 하면, T3/T2는, 0.5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값이 너무 크면, 핀치 오프부(14h)가 외프리폼(13)의 내면에 당접하여 내프리폼(14)과 외프리폼(13)의 사이의 간격이 커지고,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 시의 가열 공정에서의 내프리폼(14)의 가열이 불균일하게 되기 쉽거나, 성형에 의하여 얻어진 용기 본체(2)의 내측 주머니(4)와 외각(3)의 사이에 에어 고임이 생기기 쉬워진다. T3/T2는, 예를 들어, 0.01 ~ 0.5이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0.01, 0.05, 0.10, 0.15, 0.20, 0.25, 0.30, 0.35, 0.40, 0.45, 0.50이고, 여기서 예시한 수치 중 어느 2개의 사이의 범위 내 또는 어느 하나의 값 이하여도 무방하다.
핀치 오프부(14h)의 단(14h2)은, 환상 볼록부(13c4)의 바깥 가장자리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상 볼록부(13c4)의 바깥 가장자리의 외측의 영역은, 환상 볼록부(13c4)에 의한 연신 억제의 효과가 미치지 않기 때문에, 이 영역에서는 내프리폼(14)이 세차게 연신되기 쉽고, 그 때문에, 핀치 오프부(14h)의 개열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핀치 오프부(14h)의 단(14h2)이 환상 볼록부(13c4)의 바깥 가장자리의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저부(14c)의 두께를 크게 하여, 저부(14c)의 연신을 억제하는 것의 기술적 의의가 현저하다.
2. 제조 장치(4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이중 용기(1)의 제조 방법에 이용 가능한 제조 장치(4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 ~ 도 14 및 도 18 ~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조 장치(40)는, 금형 유닛(20)과, 복수의 히터(31)를 구비한다. 도 18 ~ 도 21은, 도 11 ~ 도 14의 변형예이다.
복수의 히터(31)는, 프리폼(15)이 히터(31)에 근접하였을 때에, 프리폼(15)의 측면에 인접한 위치에 있어서, 프리폼(15)의 긴쪽 방향을 따라 나란히 놓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히터(31)는, 서로 독립하여 출력이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히터(31)는, 바람직하게는, 도 11 및 도 18의 지면(紙面)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상(棒狀)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히터(31) 중,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41)에 최근접의 것을 최근접 히터(31a)라고 칭하고, 나머지를 그 외 히터(31b(31b1, 31b2, 31b3))라고 칭한다.
금형 유닛(20)은, 구부 지지형(21)과 저부 지지형(22)과 성형형(23, 24)을 구비한다.
구부 지지형(21)은, 외프리폼(13)의 구부(13a)를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부 지지형(21) 내에는, 삽통 구멍(21a)이 설치되어 있고, 삽통 구멍(21a)에 지지봉(25)이 삽통되어 있다. 지지봉(25)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하여 신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부 지지형(21)은, 도 11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히터(31)에 근접한 위치 A와, 도 12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성형형(23, 24)의 사이의 위치 B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위치 A에 있어서 프리폼(15)을 가열하는 가열 공정을 실시한 후에, 위치 B에 있어서 프리폼(15)을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부 지지형(21)은, 구부(13a)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프리폼(15)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프리폼(15)을 회전시키면서 프리폼(15)을 히터(31)에 근접시키는 것에 의하여, 프리폼(15)의 전체 둘레을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덧붙여, 구부 지지형(21)을 이동시키는 대신에, 히터(31)를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저부 지지형(22)은, 구동 기구(22c)로 구동되어, 세로 연신 방향(도 12 ~ 도 14 및 도 19 ~ 도 21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성형형(23, 24)은, 개폐 가능하고, 각각, 캐비티면(23a, 24a)을 구비한다. 캐비티면(23a, 24a)이 합쳐져, 용기 본체(2)의 외형에 대응한 형상의 캐비티가 형성된다.
3. 이중 용기(1)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이중 용기(1)의 제조 방법은,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 공정을 구비한다.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 공정에서는, 프리폼(15)을 가열하여 연화시킨 상태로 프리폼(15) 내에 에어를 불어넣어 프리폼(15)을 이축 연신한다. 이 공정은, 가열 공정과 저부 지지 공정과 세로 연신 공정과 블로우 공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공정>
가열 공정에서는, 프리폼(15)을 가열하고 연화시켜 연화 상태로 한다. 가열 공정은, 프리폼(15)을 회전시키면서, 프리폼(15)을 복수의 히터(31)로 가열하는 것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일례에서는, 도 11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폼(15)을 구부 지지형(21)에 장착한 상태에서, 프리폼(15)을 히터(31)에 근접시키는 것에 의하여, 프리폼(15)의 가열을 행할 수 있다. 프리폼(15)의 구부(15a)는 구부 지지형(21)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몸통부(15b) 및 저부(15c)(즉, 피연신부(15d))가 가열된다.
여기서, 최근접 히터(31a)의 출력 Pa를, 최근접 히터(31a)로부터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41)까지의 거리 Da의 제곱으로 나눈 값(=Pa/(Da)2)을 V로 하고, 그 외 히터(31b)의 각각 31b1 ~ 31b3에 관하여 출력 Pb(Pb1 ~ Pb3)를 프리폼(15)까지의 거리 Db(Db1 ~ Db3)의 제곱으로 나누어 얻어진 값을 W1 ~ W3(=Pb/(Db)2)으로 하고, W1 ~ W3 중 최대의 것을 Wa로 하고, W1 ~ W3의 평균값을 Wb로 하고, W1 ~ W3 중 최소의 것을 Wc로 한다. 히터로부터의 방사 에너지의 밀도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히터의 출력을 거리의 제곱으로 나누는 것에 의하여, 프리폼(15)이 가열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 V 및 W1 ~ W3을 산출하고 있다.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41)에서의 프리폼(15)의 가열이 약하게 되도록, V의 값을 작게 하고, V/Wa를 0.6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V를 작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출력 Pa를 내리거나, 거리 Da를 크게 하거나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V/Wa가 0.60 이하의 경우,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41) 및 그 근방에서의 프리폼의 가열이 약하게 되기 때문에, 외기 도입 구멍(16) 근방에서의 외각(3)과 내측 주머니(4)의 밀착도가 저하하여, 외기 도입 구멍(16)을 통하여 중간 공간에 외기가 순조롭게 도입된다. 또한, 외기 도입 구멍(16) 근방 이외에서는, 외각(3)과 내측 주머니(4)의 밀착도가 저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내측 주머니(4)의 수축에 의한 내용량의 저감은 억제된다. V/Wa는, 예를 들어, 0.10 ~ 0.60이고, 예를 들어, 0.10, 0.15, 0.20, 0.25, 0.30, 0.35, 0.40, 0.45, 0.50, 0.55, 0.60이고, 여기서 예시한 수치 중 어느 2개의 사이의 범위 내 또는 어느 하나 이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는, V/Wb가 0.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도, 내측 주머니(4)의 수축을 억제하면서, 중간 공간에 외기가 순조롭게 도입된다고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V/Wb는, 예를 들어, 0.10 ~ 0.70이고, 예를 들어, 0.10, 0.15, 0.20, 0.25, 0.30, 0.35, 0.40, 0.45, 0.50, 0.55, 0.60, 0.65, 0.70이고, 여기서 예시한 수치 중 어느 2개의 사이의 범위 내 또는 어느 하나 이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는, V/Wc가 0.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도, 내측 주머니(4)의 수축을 억제하면서, 중간 공간에 외기가 순조롭게 도입된다고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V/Wc는, 예를 들어, 0.10 ~ 0.95이고, 예를 들어, 0.10, 0.15, 0.20, 0.25, 0.30, 0.35, 0.40, 0.45, 0.50, 0.55, 0.60, 0.65, 0.70, 0.75, 0.80, 0.85, 0.90, 0.95이고, 여기서 예시한 수치 중 어느 2개의 사이의 범위 내 또는 어느 하나 이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V의 값을 작게 하면,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41)의 온도가 낮아진다.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41)의 온도는, 피연신부(15d) 중 온도가 최고인 부위의 온도보다도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피연신부(15d) 전체의 평균 온도보다도 낮아지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덧붙여, 가열 공정 전에, 지지봉(25)의 선단(先端)을 내프리폼(14)의 내저면(內底面)에 당접시켜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여, 연화된 프리폼(15)이 흔들리는 것이 억제된다.
내측 주머니(4)와 외각(3)이 접착하지 않도록, 프리폼(15)의 가열 온도는, 프리폼(15)을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보다도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융점」은, JIS K 7121:2012에 따라 측정한 융해 피크 온도 Tpm을 의미한다.
<저부 지지 공정>
저부 지지 공정에서는, 도 12 ~ 도 13 및 도 19 ~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부 지지형(22)이 외프리폼(13)의 저부(13c)를 향하여 이동하고, 저부 지지형(22)으로 외프리폼(13)의 저부(13c)를 지지한다. 저부 지지형(22)에는, 환상 볼록부(13c4)를 수용 가능한 오목부(22a)가 설치되어 있고, 저부 지지형(22)은, 환상 볼록부(13c4)가 오목부(22a) 내에 수용되도록 저부(13c)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환상 볼록부(13c4) 및 그 내측의 영역이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 공정 시에 연신되는 것이 억제된다. 오목부(22a)는, 환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부 지지형(22)은, 위치 결정 핀(14c1)을 수용 가능한 오목부(22b)를 구비하고, 오목부(22b) 내에 위치 결정 핀(14c1)을 수용하도록 저부(13c)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위치 결정 핀(14c1)이 저부 지지형(22)에 간섭하는 것이 억제된다. 도 13 및 도 20은, 성형형(23, 24)이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성형형(23, 24)은,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 공정 전의 임의의 시점에서 닫으면 되기 때문에, 세로 연신 공정 후에 닫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세로 연신 공정>
세로 연신 공정에서는, 도 13 ~ 도 14 및 도 20 ~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봉(25)을 내프리폼(14)의 내저면에 꽉 눌러 신장시키는 것에 의하여, 프리폼(15)을 세로 방향(도 13 ~ 도 14 및 도 20 ~ 도 21의 상하 방향)으로 연신시킨다. 이 때, 지지봉(25)의 신장과 동기시켜 저부 지지형(22)을 후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프리폼(15)을 안정되게 연신시킬 수 있다. 덧붙여, 세로 연신 공정은, 저부 지지형(22)으로 저부(13c)를 지지하고 있지 않는 상태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세로 연신 공정 후에 저부 지지 공정을 행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내프리폼(14)의 내저면에는, 지지봉이 끼이는 오목부를 설치하여, 지지봉을 내프리폼(14)에 고정하기 쉽게 하여도 무방하다.
<블로우 공정>
블로우 공정에서는, 도 14 및 도 20의 상태로부터 내프리폼(14) 내에 에어를 불어넣는 것에 의하여 프리폼(15)을 가로 방향으로 연신시켜(즉 팽창시켜) 캐비티면(23a, 24a)의 형상으로 부형(賦形)한다. 에어의 불어넣기는, 구부 지지형(21)과 지지봉(25)의 사이의 통기로(26)를 통하여 행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지지봉(25) 내에 통기로를 설치하여, 지지봉(25)의 측면으로부터 에어를 불어내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프리폼(13)의 저부(13c)가 저부 지지형(22)으로 지지된 상태로 에어의 불어넣기를 행하기 때문에, 외프리폼(13)의 저부(13c)의 연신이 억제된다.
덧붙여, 블로우 공정은, 세로 연신 공정과 동시에 행할 수도 있다. 즉, 프리폼(15)을 세로 방향으로 연신시키면서, 내프리폼(14) 내에 에어를 불어넣어도 무방하다. 또한, 세로 연신 공정을 생략하여, 저부 지지 공정 후에, 프리폼(15)을 세로 방향으로 연신시키지 않고, 에어의 불어넣기를 행하여도 무방하다.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프리폼(15)이 팽창하여 도 1 ~ 도 3에 도시하는 용기 본체(2)를 얻을 수 있다. 구부 13a, 14a가 구부 5가 되고, 몸통부 13b, 14b가 몸통부 6이 되고, 저부 13c, 14c가 저부 7이 된다. 돌기 13c1, 환상 볼록부 13c4 및 관통 구멍 17은, 각각, 돌기 3b, 환상 볼록부 7a3 및 외기 도입 구멍 16이 된다. 블로우 성형 시에, 구부(13a, 14a)와, 환상 볼록부(13c4)와 그 내측의 영역은, 거의 변형하지 않고, 그 외의 부위가 주로 변형한다. 관통 구멍(17)은, 환상 볼록부(13c4)의 내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블로우 성형 시에 변형하여 폐색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내프리폼(14)의 저부(14c)의 두께가 크기 때문에, 내프리폼(14)의 저부(14c)의 연신이 억제되어, 핀치 오프부(14h)의 개열이 억제된다. 플랜지 14a1은,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의 구부(5)의 개구단을 덮는 플랜지 4b가 된다.
블로우 성형 후에, 위치 결정 구멍(13c2)이 도 3a에 도시하는 삽통 구멍(3a)이 되고, 삽통 구멍(3a)에 위치 결정 핀(14c1)이 삽통된 상태가 된다. 그 후, 위치 결정 핀(14c1)을 변형시켜(즉, 찌부러뜨리거나, 절곡하거나 하여) 도 3a에 도시하는 계지 돌기(4a)로 한다. 이것에 의하여, 용기 본체(2)의 계지부(7a1)가 구성된다.
4. 그 외의 실시 형태
(제1 ~ 제3 관점)
ㆍ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외프리폼(13)에 설치한 관통 구멍(17)이 블로우 성형 후에 외기 도입 구멍(16)이 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외프리폼(13)에는, 외기 도입 구멍(16)이 되는 부위에 관통 구멍을 설치하지 않고, 블로우 성형 후에 외각(3)의 피천공 부위를 천공하는 것에 의하여 외기 도입 구멍(16)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41)란, 외각(3)의 피천공 부위가 되는 부위이다.
ㆍ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 본체(2)의 저부(7)에 외기 도입 구멍(16)을 형성하고 있지만, 외기 도입 구멍(16)은 몸통부(6)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ㆍ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스페이서(9)는 방사상으로 설치하고 있지만, 스페이서(9)는, 다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스페이서(9)는, 내측 주머니(4)로부터 돌출하는 돌기에 의하여 구성하거나, 별도의 부재에 의하여 구성하거나 하여도 무방하다. 스페이서(9)는, 없어도 무방하다.
(제1 관점)
ㆍ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용기 본체(2)를 제조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을 진행하였지만, 용기 본체(2)는,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제조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내측 주머니(4)와 외각(3)이 접착하지 않도록, 내측 주머니(4)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수지와, 외각(3)의 최내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서로 접착하지 않는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관점)
ㆍ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내프리폼(14)은, 다층 구성이지만, 단층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ㆍ 프리폼(15)은, 외프리폼(13)과 내프리폼(14)의 이체(二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일체(一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그 경우, 프리폼(15)은, 예를 들어, 내프리폼(14)과 마찬가지의 제조 방법 및 두께 구성을 가지고, 외프리폼(13)과 마찬가지의 구부(13a)를 가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일중(一重)의 용기를 얻을 수 있다.
(제3 관점)
외기 도입 구멍(16)을 몸통부(6)에 형성하는 경우,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41)는, 외프리폼(13)의 몸통부(13b)에 위치한다. 또한, 히터(31b1 ~ 31b3)와 같이, 외프리폼(13)의 몸통부(13b)에 인접하여 배치된 히터 중 어느 하나가 최근접 히터가 되고, 나머지가 그 외 히터가 된다. 이 경우, 몸통부(13b)에는 외기 도입 구멍(16)이 되는 관통 구멍(17)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41)에 인접한 위치에 스페이서(9)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제3 관점)
상술한 방법에 따라, 도 15 ~ 도 17에 도시하는 외프리폼(13) 및 내프리폼(14)을, 도 18 ~ 도 21에 도시하는 제조 장치(40)를 이용하여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도 1 ~ 도 3에 도시하는 용기 본체(2)(내용량 300mL)를 제조하였다. 가열 공정에서의 히터의 출력 Pa, Pb 및 거리 Da, Db를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정하여, 실시예ㆍ비교예의 용기 본체(2)를 제조하였다. 가열 공정에서의 프리폼(15)의 회전 속도는 70rpm로 하였다. 또한, 각 히터의 단면 직경은 15mm이고, 인접하는 히터의 상하 방향의 피치는, 17.5mm로 하고, 프리폼(15)의 몸통부(15b)의 직경은 30mm로 하였다.
다음으로, 용기 본체(2) 내에 내용물(물)을 만충전한 후, 구부(5)에 체크 밸브를 가지는 펌프를 장착하고, 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내용물을 토출하였다. 내용물을 30mL 토출한 시점에서, 외각(3)의 상태를 육안으로 보고, 외기 도입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외각(3)이 수축하고 있지 않다
×: 외각(3)이 수축하고 있다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V/Wa가 0.60 이하인 실시예의 이중 용기에서는, 외각(3)과 내측 주머니(4)의 사이의 중간 공간에 외기가 순조롭게 도입되었다. 한편, V/Wa가 0.60을 넘어 있는 비교예의 이중 용기에서는, 외각(3)과 내측 주머니(4)의 사이의 중간 공간에 외기가 순조롭게 도입되지 않았다.
Figure pct00001
1: 이중 용기
2: 용기 본체
3: 외각
3a: 삽통 구멍
3b: 돌기
4: 내측 주머니
4a: 계지 돌기
4b: 플랜지
4c: 내측층
4c1: 최내층
4c2: 리프로층
4c3: 접착층
4d: 가스 배리어층
4e: 외측층
4e1: 최외층
4e2: 접착층
5: 구부
5a: 계합부
6: 몸통부
6a: 상단
7: 저부
7a: 중앙 오목부
7a1: 계지부
7a3: 환상 볼록부
7a4: 위치 결정 오목부
7b: 둘레 가장자리부
7b1: 접지부
7b2: 둘레 가장자리 오목부
8: 간극
9: 스페이서
13: 외프리폼
13a: 구부
13b: 몸통부
13c: 저부
13c1: 돌기
13c2: 위치 결정 구멍
13c4: 환상 볼록부
14: 내프리폼
14a: 구부
14a1: 플랜지
14b: 몸통부
14c: 저부
14c1: 위치 결정 핀
14d: 내측층
14e: 가스 배리어층
14f: 외측층
14h: 핀치 오프부
14h1: 중앙
14h2: 단
14h3: 중간점
14i: 상단면
14j: 하단
15: 프리폼
15a: 구부
15b: 몸통부
15c: 저부
15d: 피연신부
16: 외기 도입 구멍
17: 관통 구멍
20: 금형 유닛
21: 구부 지지형
21a: 삽통 구멍
22: 저부 지지형
22a: 오목부
22b: 오목부
22c: 구동 기구
23: 성형형
23a: 캐비티면
24: 성형형
24a: 캐비티면
25: 지지봉
26: 통기로
31: 히터
31a: 최근접 히터
31b: 그 외 히터
31b1: 그 외 히터
31b2: 그 외 히터
31b3: 그 외 히터
40: 제조 장치
41: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
C: 중앙면
D: 영역
Da: 거리
Db: 거리
Pa: 출력
Pb: 출력
T1: 두께
Tpm: 융해 피크 온도

Claims (16)

  1. 외각(外殼)과 내측 주머니를 가지고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상기 내측 주머니가 수축하도록 구성되는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이중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측 주머니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내측층과 가스 배리어층과 외측층을 구비하는, 이중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높이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 상기 내측 주머니의 두께는, 80 ~ 200μm이고, (상기 가스 배리어층의 두께/상기 내측 주머니의 두께)의 값은, 0.2 ~ 0.6인, 이중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이중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이축 연신(延伸) 블로우 성형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 공정에서는, 내(內)프리폼에 외(外)프리폼을 씌워 구성되는 프리폼을 가열하여 연화시킨 상태로 상기 프리폼 내에 에어를 불어넣어 상기 프리폼을 이축 연신하는, 방법.
  4. 통상(筒狀)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단(下端)을 닫는 저부(底部)를 가지는 프리폼에 있어서,
    상기 저부에 핀치 오프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리폼의 높이 방향의 중앙면에서의 상기 몸통부의 두께를 T1로 하고,
    상기 프리폼을 상기 저부 측으로부터 상기 프리폼의 긴쪽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의, 상기 핀치 오프부의 긴쪽 방향의 중앙과 단(端)의 사이의 중간점에서의 상기 저부의 두께를 T2로 하면,
    T2/T1>1인, 프리폼.
  5. 제4항에 있어서,
    T2/T1≥1.2인, 프리폼.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폼의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최내층(最內層)과 가스 배리어층과 최외층(最外層)을 구비하는, 프리폼.
  7. 내프리폼에 외프리폼을 씌워 구성되는 프리폼에 있어서,
    상기 내프리폼은,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프리폼인, 프리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프리폼은, 상기 외프리폼의 저부에 환상(環狀)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핀치 오프부의 단은, 상기 환상 볼록부의 바깥 가장자리의 외측에 위치하는, 프리폼.
  9.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이축 연신 블로우 성형 공정에서는,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프리폼을 가열하여 연화시킨 상태로 상기 프리폼 내에 에어를 불어넣어 상기 프리폼을 이축 연신하는, 방법.
  10. 이중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중 용기는, 외각과 내측 주머니를 가지고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상기 내측 주머니가 수축하도록 구성되는 용기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각은, 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 주머니의 사이에 외기(外氣)를 도입하기 위한 외기 도입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가열 공정과 성형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 공정에서는, 내프리폼에 외프리폼을 씌워 구성되는 프리폼을 가열하여 연화시켜 연화 상태로 하고,
    상기 성형 공정은, 상기 연화 상태로 상기 내프리폼 내에 에어를 불어넣는 블로우 성형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 공정에서는, 상기 프리폼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프리폼을 복수의 히터로 가열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상기 프리폼의 측면에 인접한 위치에 있어서, 상기 프리폼의 긴쪽 방향을 따라 나란히 놓이도록 배치되고,
    상기 프리폼 중 상기 외기 도입 구멍이 형성되는 부위를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로 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 중, 상기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에 최근접의 것을 최근접 히터로 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 중, 상기 최근접 히터 이외의 것을 그 외 히터로 하고,
    상기 최근접 히터의 출력을, 상기 최근접 히터로부터 상기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까지의 거리의 제곱으로 나눈 값을 V로 하고,
    상기 그 외 히터의 각각에 관하여 출력을 상기 프리폼까지의 거리의 제곱으로 나누어 얻어진 값 중 최대의 것을 Wa로 하면,
    V/Wa가 0.60 이하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그 외 히터의 각각에 관하여 출력을 상기 프리폼까지의 거리의 제곱으로 나누어 얻어진 값을 평균한 것을 Wb로 하면,
    V/Wb가 0.70 이하인,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 외 히터의 각각에 관하여 출력을 상기 프리폼까지의 거리의 제곱으로 나누어 얻어진 값 중 최소의 것을 Wc로 하면,
    V/Wc가 0.95 이하인,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프리폼은, 상기 외프리폼보다도 성형 수축율이 큰 재료로 구성되는,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프리폼에 설치된 관통 구멍이, 상기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인,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프리폼에는, 상기 외기 도입 구멍이 되는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성형 공정에 의하여 얻어진 용기 본체의 외각의 피천공 부위를 천공하는 것에 의하여 외기 도입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는, 상기 피천공 부위가 되는 부위인,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폼은, 상기 성형 공정에서 연신되는 피연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은, 상기 외기 도입 구멍 형성 부위의 온도가, 상기 피연신부 중 온도가 최고인 부위의 온도보다도 낮아지도록 행하여지는, 방법.
KR1020237010045A 2020-10-15 2021-10-12 이중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프리폼, 용기의 제조 방법 KR202300866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74189A JP2021091477A (ja) 2019-11-29 2020-10-15 二重容器
JPJP-P-2020-174189 2020-10-15
JP2020189809A JP2022078857A (ja) 2020-11-13 2020-11-13 二重容器
JPJP-P-2020-189809 2020-11-13
JPJP-P-2021-011489 2021-01-27
JP2021011489A JP2022114973A (ja) 2021-01-27 2021-01-27 プリフォーム、容器の製造方法
JP2021028500A JP2022129715A (ja) 2021-02-25 2021-02-25 二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21-028500 2021-02-25
PCT/JP2021/037747 WO2022080370A1 (ja) 2020-10-15 2021-10-12 二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プリフォーム、容器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666A true KR20230086666A (ko) 2023-06-15

Family

ID=8120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045A KR20230086666A (ko) 2020-10-15 2021-10-12 이중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프리폼, 용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64847A1 (ko)
EP (1) EP4230540A1 (ko)
KR (1) KR20230086666A (ko)
CN (1) CN116367988A (ko)
WO (1) WO202208037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887A (ko) 2003-02-07 2004-08-1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전자제어 컨트롤러의 피씨비 조립체 고정방법
JP2015101396A (ja) 2013-11-27 2015-06-0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JP2017094677A (ja) 2015-11-27 2017-06-01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ブロー成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7183B2 (ja) 2003-02-14 2009-11-04 大成化工株式会社 積層剥離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EP3050815B1 (en) * 2013-09-27 2019-11-20 Kyoraku Co., Ltd. Layer separating container
JP7385994B2 (ja) * 2019-02-05 2023-11-24 メビウス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二重構造容器
JP7258425B2 (ja) * 2019-03-28 2023-04-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プリフォーム組立体、二重容器及び二重容器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887A (ko) 2003-02-07 2004-08-1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전자제어 컨트롤러의 피씨비 조립체 고정방법
JP2015101396A (ja) 2013-11-27 2015-06-0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JP2017094677A (ja) 2015-11-27 2017-06-01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ブロー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64847A1 (en) 2023-11-16
CN116367988A (zh) 2023-06-30
EP4230540A1 (en) 2023-08-23
WO2022080370A1 (ja)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44618B1 (en) Synthetic resin biaxial oriented blow formed preform for forming bottle body
JP5414162B2 (ja) 遮光性プラスチック容器
KR20140100991A (ko) 압력 하에 충전 제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플라스틱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960010465A (ko) 복합 용기
US6461697B1 (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multi-layer preform used for plastic blow molding
US20060113274A1 (en) Vacuum panel base
JP3820104B2 (ja) ライナおよびプリフォーム
JP4547843B2 (ja) 二軸延伸ブロー成形壜体の一次成形品及び壜体
KR20230086666A (ko) 이중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프리폼, 용기의 제조 방법
JP4333280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容器
CN112789163A (zh) 多层瓶
JPH0376646B2 (ko)
KR920000004B1 (ko) 다층 합성수지제 캔 몸체 및 그 제조방법
US20050249902A1 (en) Compression over-molding container preforms
ES2336367T3 (es) Objetos muticapa y procedimiento de realizacion.
JP2017148963A (ja) ブロー成形プラスチックボトルの製造方法、ブロー成形プラスチックボトル、ブロー成形プラスチックボトル用金型、および表面部材
JP4214685B2 (ja) 耐熱性容器の製造方法
WO2021085374A1 (ja) 収容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二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CA3106957C (en) Heat-shrinkable plastic element, composite preform, and composite container
JP2022114973A (ja) プリフォーム、容器の製造方法
JP7100820B2 (ja) 複合容器および該複合容器の作製に用いられる複合プリフォーム
JP6860778B2 (ja) プリフォームカバー、複合プリフォーム、容器の製造方法
JP2022078857A (ja) 二重容器
JP2023079576A (ja) インサートブロー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190864A (ja) プリフォーム及び二重容器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