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631A -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3631A
KR20230083631A KR1020210171805A KR20210171805A KR20230083631A KR 20230083631 A KR20230083631 A KR 20230083631A KR 1020210171805 A KR1020210171805 A KR 1020210171805A KR 20210171805 A KR20210171805 A KR 20210171805A KR 20230083631 A KR20230083631 A KR 20230083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lla asiatica
powder
drying
extrac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덕호
Original Assignee
조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덕호 filed Critical 조덕호
Priority to KR1020210171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3631A/ko
Publication of KR20230083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풀의 초미립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건조 과정이나 분쇄 과정에서 투입 또는 발생하는 열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병풀에 함유되어 있는 특유의 유효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고른 입도의 분말을 형성할 수 있어 그 가공성 및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인조 방부제 등을 별도로 첨가하지 않고도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장기간 보관에 있어서도 그 보관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병풀의 초미립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ENTELLA ASIATICA FINE PARTICLE POWDER}
본 발명은 병풀의 초미립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건조 과정이나 분쇄 과정에서 투입 또는 발생하는 열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병풀에 함유되어 있는 특유의 유효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고른 입도의 분말을 형성할 수 있어 그 가공성 및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인조 방부제 등을 별도로 첨가하지 않고도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장기간 보관에 있어서도 그 보관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병풀의 초미립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풀(Centella asiatica)은 산형과(Api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덩굴이나 뿌리가 땅 위로 길게 뻗으며 자라는 포복성 식물에 해당하며, 한반도 남부 도서군에 산이나 들에서 흔히 자생하는 식물이다. 오래전부터 중국, 인도, 스리랑카 등 세계 각국에서 피부 상처나 만성 궤양을 치료하기 위한 약용 작물로 흔히 이용되어 왔으며, 유효 성분으로 asiaticoside, madecassoside, asiatic acid, madecassic acid 등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madecassoside는 그 이름을 딴 상처치료제까지 개발되어 활발히 시판중에 있으나, 정작 이러한 병풀은 국내에 생산 기반이 거의 없어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까지 병풀의 효능으로는 피부 상처, 만성 궤양, 관절염, 나병, 당뇨 및 아토피의 치료 및 개선, 기타 해열, 이뇨, 강장 작용 등이 보고된 바 있으며, 이러한 효능을 활용하여 각종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피부 외용제 등으로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종래기술의 경우, 병풀을 활용하기 위한 가공 과정에서 그 특유의 유효 성분을 상당부분 소실하거나, 분말화 과정에 있어 가공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00522(2021.01.05)공개 "병풀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병풀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일반적인 분말화 과정을 거쳐 상기한 문제점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병풀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유효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병풀 초미립 분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조 및 분쇄 과정에서 응집이 잘 발생하지 않으며, 고른 입도의 분말을 형성할 수 있어 그 가공성 및 활용성이 증대된 병풀 초미립 분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조 방부제 등을 별도로 첨가하지 않고도 보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장기간 보관에서의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병풀 초미립 분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과제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 및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 가능한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은, 병풀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시킨 병풀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단계; 및 상기 이물질제거단계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병풀을 분쇄하여 병풀 초미립 분말을 형성하는 분말화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말화단계는 -1℃ 내지 -25℃ 범위의 온도 조건 하에서 상기 병풀의 분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냉풍건조 또는 동결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병풀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말화단계는, -1℃ 내지 -25℃ 범위의 온도를 갖는 질소 가스를 주입하면서 상기 병풀의 분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말화단계는, 상기 병풀을 70 내지 12000 메쉬(mesh)로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은, 상기 건조단계 이전에 병풀을 복합식물추출분말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혼합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는, 상기 복합식물추출분말을 상기 병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 중량부로 혼합하며, 상기 복합식물추출분말은, 유백피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가자육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황련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및 모자반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개시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채용함으로써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냉풍건조 또는 동결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를 수행하고, 분쇄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계적 마찰열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병풀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유효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병풀 초미립 분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건조 및 분쇄 과정에서 응집이 잘 발생하지 않으며, 고른 입도의 분말을 형성할 수 있어 그 가공성 및 활용성이 증대된 병풀 초미립 분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천연 원료로 구성된 부원료만을 투입하여 보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인조 방부제 등을 별도로 첨가하지 않고도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장기간 보관에서의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병풀 초미립 분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이라도 하기의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 전체의 기재에 있어 합리적으로 추론 가능한 범위 내에서 도출 가능한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으로 취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와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은 병풀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2); 상기 건조단계(S2)에서 건조시킨 병풀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단계(S3); 및 상기 이물질제거단계(S3)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병풀을 분쇄하여 병풀 초미립 분말을 형성하는 분말화단계(S4);를 포함하며, 상기 분말화단계는 -1℃ 내지 -25℃ 범위의 온도 조건 하에서 상기 병풀의 분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단계(S2)는 원료로 사용되는 병풀나물을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건조단계(S2)는, 냉풍건조 또는 동결건조 방법으로 병풀의 건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경우 대체로 병풀을 건조시키는데 있어 열풍 또는 온풍을 가하거나, 고온 조건 하에서 병풀을 건조시키는 고온건조 방법을 채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병풀 내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유효성분이 쉽게 파괴되거나 변형되며, 특히 병풀 내의 주요 유효성분인 asiaticoside, madecassoside 등 triterpene 류의 성분들이 소실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고온건조 방법은, 원료로 사용되는 병풀나물을 질겨지게 만들어 이후의 가공 과정에서의 가공성을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의 경우, 그 건조단계에 있어 병풀의 건조 방법으로 냉풍건조 또는 동결건조 방법으로 병풀의 건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풍건조 또는 동결건조 방법을 채용하여 병풀의 건조를 수행하는 경우, 함유되어 있는 주요 성분들의 소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원료로 사용되는 병풀이 질겨지지 않아 그 가공성 역시 증대될 수 있다. 상기 냉풍건조의 경우 공지된 냉풍건조 방법에 해당하면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던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40 내지 60 시간 동안 4℃ 내지 16℃의 온도를 가지는 냉풍을 공급하여 건조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동결건조의 경우 역시 공지된 동결건조 방법에 해당하면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던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30℃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45℃의 온도 조건 하에서 24 내지 48 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제거단계(S3)는 상기 건조단계(S2)에서 건조시킨 병풀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의미하며, 공지된 방법에 해당하면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던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이물질제거단계(S3)를 통해 원료로 활용한 병풀에서 미처 제거되지 못하고 잔존하고 있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분말화단계(S4)는 상기 이물질제거단계(S3)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병풀을 분쇄하여 병풀 초미립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를 의미하며, 여기서 상기 분말화단계는 -1℃ 내지 -25℃의 온도 조건 하에서 상기 병풀의 분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는 해머-밀, 볼-밀, 커터-밀 등 건조물에 대한 기계적인 분쇄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에 해당하면 당업자가 무리없이 임의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분쇄 방법의 경우, 기계적인 분쇄 방법으로 인해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주요 유효성분의 파괴 또는 변형이 일어나거나, 마찰열에 의한 케이킹(caking) 현상으로 인해 응집이 발생, 가공성이 극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은, 분쇄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한 상기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1℃ 내지 -25℃의 저온의 온도 조건 하에서 상기 병풀의 분쇄를 수행함으로써 마찰열에 의한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분말화단계(S4)는, 상기 병풀의 분쇄과정에 있어 -1℃ 내지 -25℃ 범위의 온도를 갖는 질소 가스를 주입하면서 상기 병풀을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만일 -1℃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상기 분쇄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하술할 바와 같은 분쇄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고, -25℃ 미만의 온도에서 상기 분쇄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그 효과에 비해 필요 이상으로 온도를 낮추게 되어 제조과정상 경제성에 있어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분말화단계(S4)는, 예컨대, 분쇄기를 이용하여 상기 병풀의 분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온도범위의 온도를 갖는 저온의 질소 가스를 공급하는 장치를 상기 분쇄기에 연결함으로써, 저온의 질소 가스 분위기를 조성한 상태로 분쇄를 수행하는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쇄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한 주요 성분의 소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마찰열에 의한 케이킹 현상 역시 방지할 수 있어 응집되지 않고 고운 가루 형태의 가공성이 좋은 병풀 초미립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말화단계(S4)는, 상기 분말화단계(S4)에서의 상술한 바와 같은 분쇄 과정을 거침으로써, 최종적으로 70 내지 12000 메쉬(mesh)의 평균 입도를 가지는 병풀 초미립 분말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병풀 초미립 분말은 1μm 이하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병풀 초미립 분말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 활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활용을 위한 가장 적합한 가공성을 가질 수 있는 상기와 같은 평균 입도를 가지도록 상기 병풀 초미립 분말을 형성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다양한 제품군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분말화단계(S4)에서 채용하는 분쇄 과정을 거침으로써, 병풀 자체가 가지고 있는 각종 섬유질이 제거되어 원하는 정도의 고른 입도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은 상기 건조단계(S2) 이전에 병풀을 복합식물추출분말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단계(S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건조단계(S2)는 상기 혼합단계(S1)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단계(S1)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의 최초 단계에 있어, 상기 건조단계(S2)를 수행하기 전 병풀을 복합식물추출분말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의미하며, 여기서 상기 복합식물추출분말은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병풀 초미립 분말의 보존성을 더욱 증진시키기 위한, 천연물 유래의 복합식물추출분말을 의미하며, 이러한 과정을 더욱 거침으로써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병풀 초미립 분말의 보존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혼합단계(S1)에 있어, 상기 복합식물추출분말은 상기 병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합식물추출분말은, 유백피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가자육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황련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및 모자반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식물추출분말이 상기 병풀의 총 중량 대비 0.5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그 보존성 증대 효과가 미미하고, 반대로 총 중량 대비 2 중량부 이상으로 혼합되는 경우 상기 복합식물추출분말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특유의 이취, 색깔 등이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병풀 초미립 분말에 육안 또는 오감으로 관찰될 정도로 반영되게 되거나, 그 가공성을 과도하게 해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병풀 및 복합식물추출분말의 혼합 방법은 공지된 혼합 방법에 해당하면 당업자가 여러 생산 조건을 고려하여 임의적으로 적합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유백피 추출물은 유백피의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백피는 느릅나무과(Ulmaceae)에 속하는 왕느릅나무의 껍질, 그 중에서도 가지 부분의 껍질을 말린 것을 의미하며, 한방에서는 이전 부터 면역력 증강, 이뇨 작용, 변비 개선 등을 위한 한약 재료로 널리 쓰이고 있었고, 특유의 살균 및 항균 효능을 바탕으로 최근에는 건축 자재, 선박 재료로도 활용되고 있다.
상기 가자육 추출물은 가자육의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자육(Therminalia chebula Retz)은 인도, 미얀마, 말레이시아, 중국 사천성 등지에서 자생하는 사군자과의 열대성 큰키나무인 가자(訶子)의 성숙한 열매에서 씨를 제거하고 과육을 말린 것을 의미하며, 한방에서는 오래전부터 약재로 활발히 사용하여 왔다. 타닌이 풍부히 함유되어 있어 지사 작용을 하고, 녹농균 등 각종 균에 대한 항균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황련 추출물은 황련의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황련(Coptis chinensis)은 중국 원산의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이며, 산지의 수림 그늘의 습진 땅에서 주로 자라고, 땅속줄기는 굵고 옆으로 뻗으며 많은 수염뿌리가 나며, 10 내지 27cm 길이로 자란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캐서 그늘에서 말린 것을 캐어 약용하며, 건위, 진정, 소염 및 항균 등의 효능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모자반 추출물은 모자반의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은 모자반 속에 속하는 난해성 다년생 갈조 식물류로서 국내 연안에서 해중림을 이루는 대표적인 식용해조류에 해당하며, 각종 항균, 항염증, 항산화 작용 및 혈액응고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유백피 추출물, 가자육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모자반 추출물은 모두 에탄올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추출 방법은 공지된 에탄올 활용 추출 방법에 해당하면 어떠한 방법이던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이는 유백피, 가자육, 황련 및 모자반을 에탄올에 혼합하여 추출하고 여과 및 동결건조하여 추출한 추출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자육의 경우 자체의 색택과 이미가 강하고, 황련 및 모자반의 경우 특유의 향이 강렬하며, 유백피의 경우 특유의 은은한 향을 덧입히는 성질이 있어, 상기 수치범위 미만 내지 초과의 조성으로 상기 복합식물추출분말을 구성하는 경우 각 구성 원료 특유의 색택, 이취 등이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병풀 미립자 분말의 외관, 풍미, 물성 등에 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합식물추출분말은 유백피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가자육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황련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및 모자반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추출 분말의 형태를 가진 유백피, 가자육, 황련 및 모자반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수치 범위인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상기 유백피, 가자육, 황련 및 모자반의 경우 식용으로도 활용 가능할 정도로 인체에 무해한 천연 재료로, 각 성분을 일정 조성비로 포함하는 복합식물추출분말을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중량부로 병풀과 혼합하여 줌으로써, 병풀 특유의 각종 성분을 그대로 보존하면서도, 그 물성, 외관 또는 색택의 저하 없이 보존기간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을 통해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병풀 초미립 분말을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등 다방면으로 사용해도 인체에 대한 위해 우려 없이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기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기준시료의 준비
(1) 복합식물추출분말의 준비
건조되고 파쇄된 유백피, 가자육, 황련 및 모자반을 각각 에탄올에 혼합한 뒤, 혼합물 각각을 교반하여 48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각 추출물을 형성하였고, 상기 각 추출물 중 유백피 추출물 0.25g, 가자육 추출물 0.25g, 황련 추출물 0.25g 및 모자반 추출물 0.25g을 혼합하여 최종적으로 복합식물추출분말 1g을 준비하였다.
(2) 병풀 초미립 분말의 준비
선별한 병풀나물 100g을 상기 (1) 단계에서 준비한 복합식물추출분말 1g과 잘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45℃의 온도에서 36시간 동안 건조하였고, 건조가 끝난 상기 혼합물에서 이물질을 추가적으로 선별하여 제거한 뒤,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 과정을 수행하였다. 상기 분쇄 과정에 있어 분쇄기에 -20℃ 온도의 질소 가스를 지속적으로 투입하여 분쇄를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50 mesh의 평균 입도를 가지는 병풀 초미립 분말을 제조함으로써, 기준시료를 얻었다.
<실시예 2> 비교시료의 준비
상기 실시예 1의 기준시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 하기 표 1의 사항만이 변경된 시료를 각각 제조하여 비교시료 1 내지 6을 얻었다.
[표 1]
Figure pat00001
<시험예 1> 보존기간 증대 효과의 평가
상기 기준시료 및 비교시료 1 내지 6 각각을 상온에서 하루동안 방치한 후, 각각을 100배 희석한 후 멸균된 standard methods agar(Difco) 위에 접종하여 35℃에서 36 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집락을 세어 1평판 당 50~300개의 집락을 생성한 평판을 택하여 콜로니 수를 카운팅 후 희석배율을 곱하여 일반세균수를 산출하였는데, 이 경우 기준시료와 비교시료 3이 나머지 비교시료들에 비해 일반세균수가 유의미한 수준으로 적었으며, 나머지 비교시료들을 비교할 경우 비교시료 6이 나머지 비교시료들 중 일반세균수가 가장 적었고, 비교시료 4 및 5가 근소한 차이를 보이면서 그 뒤를 이었으며, 비교시료 1 및 2는 상기 비교시료 4 내지 6에 비해 일반세균수가 현저히 많이 관찰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비교시료 1은 비교시료 2에 비해서도 육안으로 확연히 비교될 정도로 일반세균수가 많이 관찰되었다. 이는 복합식물추출분말의 각 성분이 강한 항균 작용을 가지는 점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기준시료와 비교시료 3이 비교시료 4 내지 6에 비해서도 유의미한 정도의 항균 효과를 가지는 것은 유백피, 가자육, 황련 및 모자반이 모두 균등하게 포함된 복합식물추출분말의 경우 그렇지 아니한 경우에 비해 유의미한 상승 효과를 가지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예 2> 관능 평가
상기 기준시료 및 비교시료 2 내지 3을 성인남녀 10명으로 이루어진 피실험자에게 제공하고, 외관 및 향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이들이 부여한 점수를 합산 평균하여 하기 표 2에 개시하였다.
*평가기준(5점 평점법)
5점: 매우 좋음, 4점: 좋음, 3점: 보통, 2점: 나쁨, 1점: 매우 나쁨
[표 2]
Figure pat00002
상기 표 2를 보면, 비교시료 3은 기준시료 및 비교시료 2에 비해 외관과 향에 대한 평가가 유의미하게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복합식물추출분말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첨가되는 경우 복합식물추출분말의 각 성분들이 가지는 특유의 이취, 색택 등이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병풀 초미립 분말에 과도하게 반영되어, 병풀 초미립 분말이 가지는 외관 또는 향을 해치게 되는 점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례 또는 수정례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병풀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시킨 병풀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단계; 및
    상기 이물질제거단계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병풀을 분쇄하여 병풀 초미립 분말을 형성하는 분말화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단계는 냉풍건조 또는 동결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병풀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분말화단계는 -1℃ 내지 -25℃ 범위의 온도 조건 하에서 상기 병풀의 분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화단계는
    -1℃ 내지 -25℃ 범위의 온도를 갖는 질소 가스를 주입하면서 상기 병풀의 분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화단계는
    상기 병풀을 70 내지 12000 메쉬(mesh)로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은
    상기 건조단계 이전에 병풀을 복합식물추출분말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혼합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
  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는
    상기 복합식물추출분말을 상기 병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 중량부로 혼합하며,
    상기 복합식물추출분말은
    유백피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가자육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황련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및 모자반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
KR1020210171805A 2021-12-03 2021-12-03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 KR202300836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805A KR20230083631A (ko) 2021-12-03 2021-12-03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805A KR20230083631A (ko) 2021-12-03 2021-12-03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631A true KR20230083631A (ko) 2023-06-12

Family

ID=86770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805A KR20230083631A (ko) 2021-12-03 2021-12-03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36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370B1 (ko) 쌀가루의 제조방법
KR20200127545A (ko) 천연 모발 염모제 조성물
KR101526124B1 (ko) 앤초비 간장소스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앤초비 간장소스
KR20190037966A (ko)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KR20230083631A (ko) 병풀 초미립 분말의 제조방법
KR20130075207A (ko) 탈모 및 새치 방지용 천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441230A (zh) 一种茶油冷制皂
KR102173618B1 (ko) 셀레늄이 강화된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65007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6269A (ko) 비린내를 제거한 홍합분말의 제조방법
KR102569869B1 (ko) 한약재 및 뽕잎을 이용한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과립형 소금
KR101230573B1 (ko) 천년초 추출물 또는 백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유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의약 조성물
KR102324645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항산화 탄소나노입자를 함유하고 점도가 감소된 천년초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652897B1 (ko) 해풍 쑥 분말의 제조방법
KR102258166B1 (ko) 두피 건강 개선용 헤어 샴푸 조성물
KR101907013B1 (ko) 생약재를 이용한 환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070091388A (ko) 기능성 천연색소가 함유된 가래떡의 제조방법
KR102267942B1 (ko) 항균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91783B1 (ko) 버섯 가공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42240B1 (ko) 꾸지뽕 분말차 조성물
KR101872937B1 (ko) 비타민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89344B1 (ko) 패각 용해액을 추출용매로 하여 얻어진 오크라, 여주 및 노니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39196B1 (ko) 아로마 컬러 테라피를 위한 천일염 입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6837B1 (ko) 옻을 이용한 수용성 추출액 제조방법
KR101661744B1 (ko) 된장과 현미를 이용한 차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