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837B1 - 옻을 이용한 수용성 추출액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옻을 이용한 수용성 추출액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837B1
KR101446837B1 KR1020120108727A KR20120108727A KR101446837B1 KR 101446837 B1 KR101446837 B1 KR 101446837B1 KR 1020120108727 A KR1020120108727 A KR 1020120108727A KR 20120108727 A KR20120108727 A KR 20120108727A KR 101446837 B1 KR101446837 B1 KR 101446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acquer
extract
heat
chest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0593A (ko
Inventor
권영길
Original Assignee
권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길 filed Critical 권영길
Priority to KR1020120108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837B1/ko
Publication of KR20140040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옻을 이용한 수용성 추출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생옻 옻나무 밤나무 감초 등의 재료를 가열하여 얻어진 액을 이용하여 추출액을 제조함으로서 방부성, 방충성, 항균성, 살균성, 알레르기에 우수한 것으로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섬유, 제품, 식품, 과일, 채소, 잉크, 해충기피제, 동물사료 등으로 코팅(첨가)하여 사용 할 경우 인체에 유용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일상에서 사용되는 섬유, 제품, 식품등을 착용하거나 섭취 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을 이용한 수용성 추출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옻을 이용한 수용성 추출액 제조방법{Lacquer manufacturing method using water-soluble extract}
본 발명은 옻을 이용한 수용성 추출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옻나무, 생옻 감초 밤나무 등의 재료를 가열하여 얻어진 액을 이용하여 추출액을 제조함으로서 방부성, 방충성, 항균성, 살균성, 알레르기, 특히 곰팡이,세균에 우수한 것으로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해충기피제, 섬유, 잉크, 동물사료 식품등으로 코팅(첨가)하여 사용 할 경우 인체에 유용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일상에서 사용되는 섬유, 잉크, 해충기피제, 동물사료 등에 첨가하거나 섭취 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을 이용한 수용성 추출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옻은 방부성, 방충성, 항균성, 및 살균성이 우수하여 직물로 사용할 경우 인체에 유용하게 작용하고 도막에 의해 탈색 방지 및 내구성이 뛰어나며, 그 외 인체에 미치는 효능 효과로는 아토피 예방 및 치료 효과, 습진 알레르기 개선효과, 원적외선 방사로 피부 청결효과, 살균, 항균 작용으로 각종 피부질환예방, 정전기 발생억제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동물사료에 첨가할 경우 고기의 맛 향기 육색이 좋아지고 불포화지방 함량이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나고 잉크액에 첨가할 경우 변색 탈색이 되지않아 문서보관 등이 오래 지속 되며 해충기피제로 사용할 경우 살충 살균 효과로 친환경 재료로도 사용 할 수 있다.(원주 옻 을 이용한 실내 건축자재가 아토피 피부염 및 알르레기천식 증상 호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산.학.관 협동연구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업협력단(최웅호 교수), 옻의 주성분인 urusniol에 대한 해충 기피실험 -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유용만 교수), 기능성 한방 옻 사료 급여가 돼지의 성장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 경남기술대학교 석사논문(한기학))
밤나무는 산기슭이나 밭둑에서 자라며, 나무껍질은 세로로 갈라지고 작은가지는 자줏빛을 띤 붉은 갈색이며, 짧은 털이 나지만 나중에 없어진다. 그리고 잎은 어긋나고 곁가지에서는 2줄로 늘어서며, 타원형·긴 타원형 또는 타원 모양의 바소꼴로서 길이 10∼20cm, 나비 4∼6cm이고 물결 모양의 끝이 날카로운 톱니 모양으로 겉면은 짙은 녹색이며 윤이 나고, 뒷면은 성모(星毛:여러 갈래로 갈라진 별 모양의 털)가 나며,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6월에 핀다. 수꽃은 꼬리 모양의 긴 꽃이삭에 달리고, 암꽃은 그 밑에 2∼3개가 달리고, 열매는 견과로서 9∼10월에 익으며, 1송이에 1개 또는 3개씩 들어 있다.
이러한 밤나무 껍질에는 quercetin, 요소, 색소, 탄닌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외용으로는 달인물로 씻거나 태운 재를 바른다.
그리고 밤나무껍질은 옻이 오르거나 입안이 헐거나 술 중독으로 피부가 붉게 붓고 쑤시는 주독에 삶은 물로 씻거나 재를 발라 치료하고 꽃은 꿀의 밀원 또는 심한 설사, 이질, 혈변에 쓰이고 밤 껍질은 약용이나 염료, 목재는 철도, 침목, 달구지 등 농기구 재로 쓰인다.
따라서 옻이 오른 데는 밤나무 잎이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레르기성 피부염, 피부염, 땀띠에 좋으며, 밤나무껍질과 밤 껍질은 화상, 살갗이 텃을 때 좋은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이러한 옻나무와 밤나무등을 이용하여 코팅액을 제조함으로서 체질에 따라 옻이 오르는 것을 방지하고 일상생활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감초는 모든 약의 독성을 조화시켜서 약효가 잘 나타나게 하며 장부의 한열과 사기를 다스리고 모든 혈맥의 소통을 잘 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한다. 약리작용은 해독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진해·거담, 근육이완, 이뇨작용, 항염작용이 있으며 소화성궤양을 억제한다. 감초의 겉껍질은 적갈색이나 암갈색을 띠며 세로로 주름이 있고 때때로 피목, 싹눈 및 비늘잎이 붙어 있다. 껍질 벗긴 감초는 바깥 면이 엷은 황색이고 섬유성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824204호(2008.04.1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4377호(2010.11.0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2011-0033174호(2011.03.30)가 있다.
본 발명은 옻나무 생옻 밤나무(잎,줄기) 감초 등을 이용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여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섬유, 식품, 잉크, 해충기피제, 동물사료 등으로 코팅(첨가)하여 살충 살균, 방부, 방습 항균, 항취, 알레르기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옻 독소를 제거하여 안전하게 섭취하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용성 옻 추출액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서 발명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생옻 또는 옻나무 1∼5g: 천연유화제 1∼100g: 밤나무 1∼10,000g : 물 1∼10,000g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재료를 내열 내압성 용기를 이용하여 80∼150°C 사이에서 1∼100시간을 열처리하는 혼합가열단계; 상기 열처리된 재료를 불순물을 걸러주고 액만을 채취하는 거름단계; 상기 불순물을 제거한 액으로 물을 넣고 희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을 이용한 수용성 추출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옻과 옻나무, 밤나무, 감초 등을 이용하여 액만을 채취하여 옻 독소를 제거한 수용성 옻 추출액을 제공함으로서 섬유, 제품, 식품, 잉크, 해충기피제, 동물사료 등으로 코팅(첨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피부질환 등 알레르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성분의 유지가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어 옻이 가지고 있는 방부성, 방충성, 항균성, 살균성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섬유, 제품, 식품, 잉크, 해충기피제, 동물사료 등으로 코팅(첨가)하여 안전하게 사용 할 수 있거나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그 효과가 큰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공정도
본 발명은 옻을 이용한 수용성 추출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옻은 항암 효과가 뛰어난 우루시올 60% 이상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통증, 숙취해소, 원기회복, 염증 등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며, 항균, 항취 효과가 높다. 또한 밤나무, 감초는 알레르기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이러한 재료를 이용하여 섬유, 제품, 식품 잉크, 해충기피제, 동물사료 등에 코팅(첨가)함으로서 안전하게 섭취하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옻을 이용한 수용성 추출액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생옻 또는 옻나무 1∼5g: 올리브천연유화제 1∼100g: 밤나무 1∼10,000g: 물 1∼10,000g의 기준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생옻 또는 옻나무 1∼5g: 올리브천연유화제:1∼5g, 밤나무 500g∼2kg, 물 1kg∼3kg사이에서 사용 하였다.
또한 상기 사이로 옻 독소가 제거한 옻액을 사용하도록 하며, 상기 밤나무의 잎 부분은 따로 빻아서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준비된 재료를 내열 내압성 용기에 넣고 80∼150°C 사이에서 1∼100시간을 가열하여 끊인다.
상기 재료를 내열 내압성 용기에 넣고 열처리함으로서 옻나무와 밤나무에 함유된 다양한 성분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부가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내열 내압성 용기는 내부에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외부에서 온도를 높이더라도 내부의 재료손실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내열 내압성 용기를 이용하여 가열함으로서 재료에서 얻어진 액을 채취하기 위한 것으로 불순물을 걸러 액만을 채취하도록 한다.
상기 불순물을 제거한 액으로 물을 넣고 희석시켜서 사용하도록 하며, 상기 물과 희석시킨 액을 섬유 과일, 채소, 잉크, 동물사료, 해충기피제 비료용 등으로 코팅(첨가)하여 항균, 항취, 살균 효과가 높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 하면,
(실시예 1)
1. 재료준비
재료는 생옻 또는 옻나무 1∼5g: 올리브천연유화제 1∼100g: 밤나무 1∼10,000g: 물 1∼10,000g으로 준비하고, 생옻 또는 옻나무 1∼5g: 올리브천연유화제:1∼5g, 밤나무 500g∼2kg, 물 1kg∼3kg사이에서 사용 하였다. 밤나무 사용 시 잎 부분은 빻아서 사용한다.
2. 혼합가열
상기 재료를 내열 내압성 용기에 넣고 80∼150°C 사이에서 1∼100시간 가열하여 끓인다.
상기 재료를 내열 내압성 용기에 넣고 끓여 옻나무, 밤나무의 진액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3. 거름
상기 내열 내압성 용기를 이용하여 가열함으로서 재료에서 얻어진 액을 채취하기 위한 것으로 불순물을 걸러 추출액만을 채취하도록 한다.
4. 희석
상기 불순물을 제거한 액으로 물을 넣고 희석시켜서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액을 섬유, 식품, 비료 ,잉크, 동물사료, 해충기피제용 등으로 사용함으로서 항균, 항취, 살균 등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또 다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 하면,
(실시예 2)
상기 거름과정 후 제2혼합가열 과정을 진행한다.
1∼3. 은 상기 동일한 과정을 거치고,
4. 제2혼합가열
1차 거름과정을 거친 추출액 : 올리브천연유화제를 1g: 1∼500g으로 혼합하여 고르게 저어 유화시킨 추출액을 준비하고, 상기 유화시킨 추출액과 물을 다시 1g: 1∼500g 으로 다시 혼합하여 물 혼합 추출액을 구성한 다음, 상기 유화시킨 추출액 1g 대비 물을 1∼500g 사이에서 선택하여 혼합한 상기 물 혼합 추출액, 밤나무, 감초의 비율을 100g : 1∼100g : 1∼100g 으로 혼합하여 내열 내압성 용기를 이용하여 90°C∼150°C로 5시간 ∼ 100시간 고온에서 열처리하고, 고온 열처리 시 증기배출 밸브를 미세하게 열어 옻 독소를 증기로 배출시킨다.
이에 상기 열처리 과정으로 인하여 옻 독소를 제거하고, 옻이 물에 완전히 녹을 수 있도록 하였다.
5. 제2거름
상기 내열 내압성 용기를 이용하여 가열함으로서 재료에서 얻어진 액을 채취하기 위한 것으로 불순물을 걸러 액만을 채취하도록 한다.
6. 희석
상기 불순물을 제거한 액으로 물을 넣고 희석시켜서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액을 섬유, 식품, 비료, 잉크, 동물사료, 해충기피제용 등으로 사용함으로서 항균, 항취, 살균. 살충 등의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옻 독소를 제거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2)

  1. 생옻 또는 옻나무 1∼5g: 천연유화제 1∼100g: 밤나무 1∼10,000g: 물 1∼10,000g 으로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내열 내압성 용기를 이용하여 80∼150°C 사이에서 1∼100시간동안 재료를 열처리하는 혼합가열단계;
    열처리된 재료를 불순물을 걸러주고 액만을 채취하는 거름단계;
    불순물을 제거한 액과 천연유화제를 1g:1∼500g으로 혼합하여 고르게 저어 유화시킨 추출액을 준비하고, 상기 유화시킨 추출액과 물을 다시 1g: 1∼500g으로 다시 혼합하여 물 혼합 추출액을 구성한 다음, 상기 유화시킨 추출액 1g 대비 물을 1∼500g 사이에서 선택하여 혼합한 상기 물 혼합 추출액, 밤나무, 감초를 100g : 1∼100g : 1∼100g 으로 혼합하여 내열 내압성 용기를 이용하여 90°C∼150°C로 5시간∼ 100시간 고온에서 열처리하는 제2혼합가열 단계;
    상기 제2혼합가열 단계에서 열처리된 재료를 불순물을 걸러주고 액만을 채취하는 제2거름 단계;
    상기 제2거름 단계를 거친 액에 물을 넣고 희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을 이용한 수용성 추출액 제조방법
  2. 삭제
KR1020120108727A 2012-09-26 2012-09-26 옻을 이용한 수용성 추출액 제조방법 KR101446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727A KR101446837B1 (ko) 2012-09-26 2012-09-26 옻을 이용한 수용성 추출액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727A KR101446837B1 (ko) 2012-09-26 2012-09-26 옻을 이용한 수용성 추출액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593A KR20140040593A (ko) 2014-04-03
KR101446837B1 true KR101446837B1 (ko) 2014-10-08

Family

ID=50650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727A KR101446837B1 (ko) 2012-09-26 2012-09-26 옻을 이용한 수용성 추출액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8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431B1 (ko) * 2020-10-12 2022-10-1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좋은날에 대마를 이용한 물티슈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345A (ko) * 1999-07-27 2001-02-15 김명조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한 옻물 제조방법
KR100955651B1 (ko) 2009-06-04 2010-05-06 권양섭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는 친환경 도료 제조방법
KR20110033174A (ko) * 2011-03-20 2011-03-30 박귀조 옻추출물을 이용하여 음용수를 만드는 방법
KR20120083966A (ko) * 2011-01-19 2012-07-27 한종수 천연옻칠을 이용한 우루시올다량체의 합성밥법 및 산업용옻칠도료, 코팅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345A (ko) * 1999-07-27 2001-02-15 김명조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한 옻물 제조방법
KR100955651B1 (ko) 2009-06-04 2010-05-06 권양섭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는 친환경 도료 제조방법
KR20120083966A (ko) * 2011-01-19 2012-07-27 한종수 천연옻칠을 이용한 우루시올다량체의 합성밥법 및 산업용옻칠도료, 코팅제의 제조방법
KR20110033174A (ko) * 2011-03-20 2011-03-30 박귀조 옻추출물을 이용하여 음용수를 만드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593A (ko)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093B1 (ko) 숯겔 미용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6397A (ko)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의 기능성 고형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비누 제조방법
KR101561579B1 (ko) 편백나무, 계피, 아마씨를 주재로 하는 마사지용 오일타입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479414B1 (ko) 순비기나무, 도꼬마리, 소리쟁이, 민들레, 어성초, 호호바오일과 티트리오일, 아마씨오일, 박하유, 시금치, 무청, 양배추, 프로폴리스, 쌀뜨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의 홍조현상과 미백에 관한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6480B1 (ko) 닭진드기 퇴치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닭진드기 퇴치용 조성물
KR102358986B1 (ko) 황칠을 이용한 해조류 기능성 국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황칠을 이용한 해조류 기능성 국수
KR101767979B1 (ko) 편백나무 추출액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61356B1 (ko)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0827774B2 (en) Method for preparing food containing medicinal herb extracts beneficial for liver and food prepared thereby
KR101202829B1 (ko) 편백 차의 제조방법
KR20070068881A (ko)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
KR101446837B1 (ko) 옻을 이용한 수용성 추출액 제조방법
CN107312659A (zh) 一种婴儿衣物用手工皂
KR100768471B1 (ko) 솔방울과 솔순을 이용한 음료용 추출액의 제조 방법
KR101357168B1 (ko) 부추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토시 및 그 제조방법
KR101758904B1 (ko) 강황, 하고초, 참마 및 뽕나무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1260A (ko) 와구모 퇴치를 위한 양계용 음용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양계용 음용수를 이용한 양계 사육방법
KR100886290B1 (ko) 유황오리와 작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1711143B1 (ko) 천연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천연 비누
Biswas et al. The Miracle Plant—Moringa
KR20110090195A (ko) 순비기나무, 도꼬마리, 소리쟁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
CN105362123A (zh) 一种驱蚊中药香水
CN104473072A (zh) 一种石榴味的姜晶颗粒及其制备方法
CN108743441A (zh) 消炎化瘀婴幼儿山茶润肤油及其制备方法
KR102256711B1 (ko)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