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869B1 - 한약재 및 뽕잎을 이용한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과립형 소금 - Google Patents

한약재 및 뽕잎을 이용한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과립형 소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869B1
KR102569869B1 KR1020200161242A KR20200161242A KR102569869B1 KR 102569869 B1 KR102569869 B1 KR 102569869B1 KR 1020200161242 A KR1020200161242 A KR 1020200161242A KR 20200161242 A KR20200161242 A KR 20200161242A KR 102569869 B1 KR102569869 B1 KR 102569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verized
salt
granular
mulberry leaf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3300A (ko
Inventor
금은혁
Original Assignee
금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은혁 filed Critical 금은혁
Priority to KR1020200161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869B1/ko
Publication of KR20220073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8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 및 뽕잎을 이용한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과립형 소금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은 뽕잎(Morus alba leaf) 분쇄물, 유근피(Ulmus davidiana var. japonica bark) 분쇄물,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s) 분쇄물, 겨우살이(Viscum album) 분쇄물, 솔잎(Pinus densiflora leaf) 분쇄물 및 소금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20℃ 이하에서 동결 건조하여 제1 건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건조물을 건조하여, 제2 건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건조물에 뽕잎 추출액을 분사 및 압출 성형하여, 과립 형태의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한약재 및 뽕잎을 이용한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과립형 소금 {MANUFACTURING METHOD FOR GRANULAR TYPE SALT USING HERB REMEDY WITH MULBERRY LEAF AND GRANULAR TYPE SALT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한약재 및 뽕잎을 이용한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과립형 소금에 관한 것이다.
소금은 짠맛을 내는 백색의 결정체로 염화나트륨(NaCl)을 주 성분으로 포함한다. 한편, 식용 소금(식염)은 주로 조미료와 방부제의 역할을 하며, 섭취시 체내에서 체내 삼투압 유지 등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재 식염으로 천일염, 정제염, 재제염, 자염 및 암염 등 여러 종류가 생산되고 있다.
최근 맛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금에도 다양한 식감과 함께 영양성을 부여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소금에 각종 약초를 우려낸 추출물을 함유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뽕(mulberry, Morus alba)은 나무, 줄기, 열매 및 잎이 모두 효능이 우수하고 건강에 유익하여 여러 가지로 이용하고 있다, 뽕잎 속에 들어있는 미네랄이나 식이섬유는 체내 장운동을 활발하게 촉진시켜주고, 배변 활동을 개선하여 숙변 해소와 변비를 예방 및 개선에 큰 도움이 된다. 또한 뽕잎 속에 들어 있는 성분들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와, 중성지방 수치를 낮추어 주며, 이로 인해 고혈압 및 뇌졸증 등의 혈관 관련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 뽕잎에 포함되는 데옥시노지리마이신(deoxynojirimycin) 화합물은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시켜주고 혈당을 안정적으로 만들어주어서 당뇨를 예방하고 아스파라긴산 및 알라닌은 알코올을 해독해주는데 도움을 주어서 숙취 해소에 도움을 준다.
유근피는 장미목 느릅나무과의 식물인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의 껍질 부위를 의미한다. 유근피는 고름을 빨아내고 새살을 돋아나게 하는 작용이 매우 강하여 종기 또는 종창 치료에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s)는 초롱꽃과 도라지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도라지의 뿌리는 사포닌 함량이 높으며, 칼슘, 섬유질, 무기질과 각종 비타민을 함유하여 소염, 거담, 진통, 해열 작용을 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겨우살이(Viscum album)는 쌍떡잎식물 단향목 겨우살이과의 상록 기생관목으로, 다른 식물에 기생해서 겨울을 나는 식물이다. 겨우살이는 항암 효과, 거담 및 간 해독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솔잎은 구과목 소나무과의 식물인 소나무(Pinus densiflora)의 잎 부위를 의미한다. 솔잎은 테레빈, 베타카로틴 및 비타민 A 함량이 높아 혈중 콜레스테롤 저감, 고혈압 예방, 간, 위장 및 동맥경화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과 관련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11951호(2002.02.09. 공개, 발명의 명칭: 녹차성분이 함유된 구운소금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맛, 향 및 저작감 등의 식감이 우수한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해성이 우수한 과립 형태로, 섭취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과립형 소금 제조시 혼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한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산화, 고지혈증, 당뇨 및 변비 개선 효과가 우수한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성,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과립형 소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한약재 및 뽕잎을 이용한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은 뽕잎(Morus alba leaf) 분쇄물, 유근피(Ulmus davidiana var. japonica bark) 분쇄물,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s) 분쇄물, 겨우살이(Viscum album) 분쇄물, 솔잎(Pinus densiflora leaf) 분쇄물 및 소금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20℃ 이하에서 동결건조하여 제1 건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건조물을 40℃ 이상에서 건조하여, 제2 건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건조물에 뽕잎 추출액을 분사 및 압출 성형하여, 과립 형태의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혼합물은 소금 100 중량부; 및 뽕잎 분쇄물, 유근피 분쇄물, 도라지 분쇄물, 겨우살이 분쇄물 및 솔잎 분쇄물의 합 5~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건조물은 상기 제1 혼합물을 -25℃~-45℃에서 동결 건조하여 제조되며, 상기 제2 건조물은 상기 제1 건조물을 45~60℃에서 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뽕잎 추출액은 상기 제2 건조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35 중량부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과립형 소금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과립형 소금은 뽕잎(Morus alba leaf) 분쇄물, 유근피(Ulmus davidiana var. japonica bark) 분쇄물,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s) 분쇄물, 겨우살이(Viscum album) 분쇄물, 솔잎(Pinus densiflora leaf) 분쇄물 및 소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과립형 소금은 맛, 향 및 저작감 등의 식감이 우수하고, 제조시 혼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며, 동결건조를 이용하여 용해성이 우수한 과립형태로 제조되어, 소금 섭취와 음식 조리시 사용이 편리하며,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고, 인공적인 결착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성이 우수하며, 항산화, 고지혈증, 당뇨 및 변비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약재 및 뽕잎을 이용한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한약재 및 뽕잎을 이용한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은 (S10) 제1 혼합물 제조단계; (S20) 제1 건조물 제조단계; (S30) 제2 건조물 제조단계; 및 (S40) 과립 성형체 제조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은 (S10) 뽕잎(Morus alba leaf) 분쇄물, 유근피(Ulmus davidiana var. japonica bark) 분쇄물,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s) 분쇄물, 겨우살이(Viscum album) 분쇄물, 솔잎(Pinus densiflora leaf) 분쇄물 및 소금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S20) 상기 제1 혼합물을 -20℃ 이하에서 동결건조하여 제1 건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S30) 상기 제1 건조물을 40℃ 이상에서 건조하여, 제2 건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S40) 상기 제2 건조물에 뽕잎 추출액을 분사 및 압출 성형하여, 과립 형태의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및 뽕잎을 이용한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S10) 제1 혼합물 제조단계
상기 단계는 뽕잎(Morus alba leaf) 분쇄물, 유근피(Ulmus davidiana var. japonica bark) 분쇄물,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s) 분쇄물, 겨우살이(Viscum album) 분쇄물 및 솔잎(Pinus densiflora leaf) 분쇄물을 포함하는 혼합 분쇄물, 및 소금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뽕잎은 뽕나무(Morus alba)의 잎 부위를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근피는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의 껍질 부위를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도라지는 뿌리 부위를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겨우살이는 잎, 줄기, 열매 및 뿌리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솔잎은 솔나무(Pinus densiflora)의 잎 부위를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소금은 천일염, 정제염 및 가공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일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금은 제1 혼합물 제조시 세척 및 탈수하고 건조하는 전처리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기 전처리시 상기 소금에 포함되어 있는 간수, 중금속 및 미세 플라스틱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소금은 천일염의 간수를 제거한 다음, 800℃ 이상에서 장시간 열처리(태움 또는 용융)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열처리시 천일염에 포함된 다이옥신 등의 유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면서, 본 발명의 맛, 향 및 저작감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소금은 천일염을 800~1000℃ 에서 8~24시간 동안 열처리(태움 또는 용융)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소금은 0.01~0.5mm(10~500㎛)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크기"는, 상기 소금의 최대 길이 또는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시, 상기 제1 혼합물의 혼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며 섭취시 맛과 식감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혼합 분쇄물은 상기 뽕잎, 유근피, 도라지, 겨우살이 및 솔잎을 각각 0.01~0.1mm(10~100㎛)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크기로 분쇄시 상기 제1 혼합물 구성 성분의 혼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뽕잎 분쇄물을 포함시 상기 과립형 소금의 맛, 향 및 영양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뽕잎 분쇄물은 상기 소금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제1 혼합물의 혼합성과 분산성이 우수하며, 과립형 소금 제조시 맛, 향과 영양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3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근피 분쇄물을 포함시 상기 과립형 소금의 맛, 향 및 영양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근피 분쇄물은 상기 소금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제1 혼합물의 혼합성과 분산성이 우수하며, 과립형 소금 제조시 맛, 향과 영양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도라지 분쇄물을 포함시 상기 과립형 소금의 맛, 저작감 및 영양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도라지 분쇄물은 상기 소금 100 중량부에 대하여 1~3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제1 혼합물의 혼합성과 분산성이 우수하며, 과립형 소금 제조시 맛, 저작감과 영양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3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겨우살이 분쇄물을 포함시 본 발명의 과립형 소금의 맛, 관능성 및 영양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겨우살이 분쇄물은 상기 소금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제1 혼합물의 혼합성과 분산성이 우수하며, 과립형 소금 제조시 맛과 영양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솔잎 분쇄물을 포함시 본 발명의 과립형 소금의 맛, 향, 저작감 및 영양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솔잎 분쇄물은 상기 소금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제1 혼합물의 혼합성과 분산성이 우수하며, 과립형 소금 제조시 맛, 향, 저작감과 영양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혼합물은 소금 100 중량부; 및 뽕잎 분쇄물, 유근피 분쇄물, 도라지 분쇄물, 겨우살이 분쇄물 및 솔잎 분쇄물의 합 5~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과립형 소금의 맛이 우수하면서, 향, 저작감 등의 관능성이 우수하고, 영양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혼합물은 소금 100 중량부 및 뽕잎 분쇄물, 유근피 분쇄물, 도라지 분쇄물, 겨우살이 분쇄물 및 솔잎 분쇄물의 합 5~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 분쇄물은 뽕잎 분쇄물, 유근피 분쇄물, 도라지 분쇄물, 겨우살이 분쇄물 및 솔잎 분쇄물을 1:1~2:2~8:1~3:1~3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제1 혼합물 제조시 혼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며, 과립형 소금의 맛, 향, 저작감 등의 관능성이 우수하고, 영양성이 우수할 수 있다.
(S20) 제1 건조물 제조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혼합물을 -20℃ 이하에서 동결건조하여 제1 건조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동결건조시, 제1 혼합물에 포함된 유용성분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과립형 소금의 맛, 향, 식감 및 저작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립형 소금 제조시 용해성이 증가하여, 소금 섭취가 더욱 용이하며, 음식 조리시 용해도와, 음식물과의 혼합성이 우수하여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동결 건조는 상기 제1 혼합물을 상기 온도 조건으로 급랭 후, 감압 건조 챔버 등을 이용하여 승화에 의해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혼합물을 -20℃를 초과하는 온도로 동결 건조시, 제1 혼합물의 수분이 용이하게 동결 및 승화되어 건조되지 않으며, 상기 과립형 소금 제조시 저작감, 맛 또는 향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건조물은 상기 제1 혼합물을 -25℃~-45℃에서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15~50 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건조물은 크기(또는 직경)가 0.01~0.5mm(10~500㎛) 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혼합성 및 성형성이 우수할 수 있다.
(S30) 제2 건조물 제조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건조물을 40℃ 이상에서 건조하여, 제2 건조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조건으로 건조하여, 제2 건조물을 제조시 상기 제1 건조물에 포함된 수분 제거 효율성이 우수하여, 상기 제1 건조물에 함유된 유용 성분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과립형 소금 제조시 저작감, 맛 또는 향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제1 건조물을 40℃ 미만의 온도로 건조시, 건조 시간이 지연되고 수분이 완전히 건조되지 않아 상기 과립형 소금의 맛, 향 또는 저작감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건조물은 상기 제1 건조물을 45~60℃에서 5~30 시간 동안 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S40) 과립 성형체 제조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제2 건조물에 뽕잎 추출액을 분사 및 압출 성형하여, 과립 형태의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뽕잎 추출액을 분사시, 상기 제2 건조물을 과립 형태의 성형체로 용이하게 성형 가능하며, 인공적인 결착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여 친환경성이 우수하며, 본 발명의 과립형 소금의 맛, 향 및 영양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압출은, 상기 뽕잎 추출액이 분사된 제2 건조물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1~80bar의 조건으로 압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압출 성형시 과립 형태의 성형체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과립 형태의 성형체는 구형 또는 다면체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형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뽕잎 추출액은 물 100 중량부에 뽕잎 분쇄물 1~60 중량부를 투입하고, 50~90℃에서 1~30 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뽕잎 분쇄물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뽕잎 추출액은 상기 제2 건조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35 중량부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분사하여 혼합시 성형성이 우수하고, 본 발명의 과립형 소금의 맛, 향 및 영양성이 우수할 수 있다.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과립형 소금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과립형 소금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과립형 소금은 뽕잎(Morus alba leaf) 분쇄물, 유근피(Ulmus davidiana var. japonica bark) 분쇄물,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s) 분쇄물, 겨우살이(Viscum album) 분쇄물 및 솔잎(Pinus densiflora leaf) 분쇄물을 포함하는 혼합 분쇄물 및 소금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상기 과립형 소금은 소금 100 중량부; 및 뽕잎 분쇄물, 유근피 분쇄물, 도라지 분쇄물, 겨우살이 분쇄물 및 솔잎 분쇄물의 합 5~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과립형 소금의 맛이 우수하면서, 향, 저작감 등의 관능성이 우수하고, 영양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과립형 소금은 소금 100 중량부 및 뽕잎 분쇄물, 유근피 분쇄물, 도라지 분쇄물, 겨우살이 분쇄물 및 솔잎 분쇄물의 합 5~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 분쇄물은 뽕잎 분쇄물, 유근피 분쇄물, 도라지 분쇄물, 겨우살이 분쇄물 및 솔잎 분쇄물을 1:1~2:2~8:1~3:1~3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제1 혼합물 제조시 혼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며, 과립형 소금의 맛, 향, 저작감 등의 관능성이 우수하고, 영양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과립형 소금은 구형 또는 다면체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형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과립형 소금은 크기(또는 직경)가0.1~5mm 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맛과 저작감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4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립형 소금은 식용, 음료용, 조리용, 청결제용, 가글용 및 양치용 등의 용도로 사용되기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립형 소금은 맛, 향 및 저작감 등의 식감이 우수하고, 제조시 혼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며, 동결건조를 이용하여 용해성이 높은 과립형태로 제조되어, 소금 섭취시 용이하게 분해되고, 음식 조리시 사용이 편리하며,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고, 항산화, 고지혈증, 당뇨 및 변비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된 성분은 하기와 같다.
(A) 천일염: 천일염을 800~1000℃에서 8~24시간 동안 열처리한 다음, 0.1~0.5mm 크기로 분쇄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분쇄된 천일염을 세척 및 탈수하고 건조하는 전처리 단계를 통해, 천일염에 포함되어 있는 간수, 중금속 및 미세 플라스틱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B) 혼합 분쇄물
(B1) 뽕잎 분쇄물: 뽕나무(Morus alba)의 잎을 0.05mm(50㎛)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였다.
(B2) 유근피 분쇄물: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의 껍질 부위를 0.05mm(50㎛)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였다.
(B3) 도라지 분쇄물: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s)의 뿌리 부위를 0.05mm(50㎛)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였다.
(B4) 겨우살이 분쇄물: 겨우살이(Viscum album)의 줄기, 잎, 열매 및 뿌리 부위를 0.05mm(50㎛)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였다.
(B5) 솔잎 분쇄물: 솔나무(Pinus densiflora)의 잎을 0.05mm(50㎛)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였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 및 함량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제1 혼합물을 동결건조기에 투입하여 -35℃로 급랭한 다음, 감압하여 24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0.01~0.5mm 크기의 제1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제1 건조물을 5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제2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물 100 중량부에 뽕나무(Morus alba)의 잎을 0.01~1mm로 세절한 세절물 1~10 중량부를 투입하고, 60~70℃에서 1~10 시간 동안 가열하여 뽕나무 잎의 유용성분을 추출한 후, 공지된 방법으로 여과하여 뽕잎추출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2 건조물 100 중량부에 뽕잎 추출액 20~25 중량부를 분사하고, 성형기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하여, 직경 2~3mm의 구형의 성형체를 제조하여, 과립형 소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제1 혼합물을 -15℃에서 24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여 제1 건조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과립형 소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제1 건조물을 3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제2 건조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과립형 소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상기 제2 건조물 100 중량부와 옥수수 전분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과립 형태의 성형체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과립형 소금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외관성(성형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외관을 육안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형 형상이 양호하며, 박리 없음, ○: 구형 형상이 양호하며, 약간의 박리 발생, △: 구형 형상을 가지나 박리가 심하게 발생, X: 구형의 과립 형태로 성형되지 않음).
(2) 관능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훈련된 20명의 관능검사 요원들을 대상으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7의 과립형 소금을 시식하게 하여 맛, 향 및 저작감을 평가하였다. 각 항목은 10점을 최고점으로 하여 3회 측정 후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3의 경우, 과립형 소금의 성형성이 우수하였으며, 소금의 박리가 거의 없고, 맛, 향, 저작감 등의 관능성이 우수하였으며, 용해성이 우수하여 섭취 또는 식재료에 도포했을 때 쉽게 용해되었다.
반면, 본 발명의 추출물을 일부 미포함하는 비교예 1~4의 경우, 상기 실시예 1~3 보다 맛, 향, 저작감 등의 관능성이 저하되었으며, 본 발명 건조 조건을 벗어난 비교예 5~6의 경우, 외관이 저하되거나 성형이 불가하였고, 관능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옥수수 전분을 이용하여 과립 형태의 성형체를 제조한 비교예 7의 경우, 실시예 1~3에 비해 관능성이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용해성이 낮아 섭취하거나 식재료에 도포했을 때 쉽게 용해되지 않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뽕잎(Morus alba leaf) 분쇄물, 유근피(Ulmus davidiana var. japonica bark) 분쇄물,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s) 분쇄물, 겨우살이(Viscum album) 분쇄물, 솔잎(Pinus densiflora leaf) 분쇄물 및 소금을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25℃~-45℃에서 동결건조하여 제1 건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건조물을 45~60℃에서 건조하여, 제2 건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건조물에 뽕잎 추출액을 분사 및 압출 성형하여, 과립 형태의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이며,
    상기 제1 혼합물은 소금 100 중량부; 및 뽕잎 분쇄물, 유근피 분쇄물, 도라지 분쇄물, 겨우살이 분쇄물 및 솔잎 분쇄물의 합 5~30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뽕잎 분쇄물, 유근피 분쇄물, 도라지 분쇄물, 겨우살이 분쇄물 및 솔잎 분쇄물은 1:1~2:2~8:1~3:1~3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뽕잎 추출액은 상기 제2 건조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35 중량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
  5. 제1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소금.
KR1020200161242A 2020-11-26 2020-11-26 한약재 및 뽕잎을 이용한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과립형 소금 KR102569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242A KR102569869B1 (ko) 2020-11-26 2020-11-26 한약재 및 뽕잎을 이용한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과립형 소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242A KR102569869B1 (ko) 2020-11-26 2020-11-26 한약재 및 뽕잎을 이용한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과립형 소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300A KR20220073300A (ko) 2022-06-03
KR102569869B1 true KR102569869B1 (ko) 2023-08-24

Family

ID=81982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242A KR102569869B1 (ko) 2020-11-26 2020-11-26 한약재 및 뽕잎을 이용한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과립형 소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8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857B1 (ko) * 2022-10-04 2023-06-16 장경옥 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송죽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송죽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563B1 (ko) * 2009-07-22 2012-10-17 윤정은 황토와 뽕잎성분이 함유된 황토뽕잎소금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782B1 (ko) * 2004-04-21 2006-05-2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맛과 향이 보존된 마늘죽염 또는 마늘소금 복합조미소재의제조방법
KR101751788B1 (ko) * 2014-11-12 2017-06-28 강수지 산야초복합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KR102239662B1 (ko) * 2018-11-27 2021-04-13 (주)마린바이오프로세스 과립제형 건강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563B1 (ko) * 2009-07-22 2012-10-17 윤정은 황토와 뽕잎성분이 함유된 황토뽕잎소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300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1535B1 (ko) 머위대 또는 고구마 순을 이용한 산채 블록의 제조방법
KR101388455B1 (ko) 견사단백질을 갖는 누에의 가공방법 및 그 누에가공물
KR101826907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기능성 건조 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69869B1 (ko) 한약재 및 뽕잎을 이용한 과립형 소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과립형 소금
KR102050800B1 (ko) 장기 저장을 위한 동결건조된 산채 블록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산채 블럭
KR20190142494A (ko) 해초와 키토산을 이용한 돌산 갓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김치
KR102120461B1 (ko) 비타민나무가 첨가된 냉면 면발의 제조 방법
KR101449993B1 (ko) 배즙 부산물을 이용한 배 티백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즙 부산물을 이용한 배 티백차
KR102120463B1 (ko) 비타민나무가 첨가된 칼국수 면발의 제조 방법
KR101063973B1 (ko) 떡의 제조방법
KR102121349B1 (ko) 블렌딩 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23799B1 (ko) 강황을 함유하는 갓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김치
KR102114952B1 (ko) 비린내를 제거한 홍합분말의 제조방법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R102091783B1 (ko) 버섯 가공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2937B1 (ko) 비타민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Raju et al. Kokam and cambodge
KR101083428B1 (ko) 곰취 또는 고춧잎 또는 취나물를 이용한 산채 블록 제조방법
KR101799815B1 (ko) 갯기름나물을 이용한 돌산 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 김치
KR101153437B1 (ko) 함초를 이용한 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 김치
CN104996746A (zh) 一种狗獾专用饲料
CN109105573A (zh) 一种火棘味的茶叶及其制备方法
KR101585498B1 (ko) 순대 및 순대 제조방법
KR101213129B1 (ko) 뽕잎 및 울금추출물을 이용한 굴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