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870A -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 - Google Patents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82870A KR20230082870A KR1020210170743A KR20210170743A KR20230082870A KR 20230082870 A KR20230082870 A KR 20230082870A KR 1020210170743 A KR1020210170743 A KR 1020210170743A KR 20210170743 A KR20210170743 A KR 20210170743A KR 20230082870 A KR20230082870 A KR 202300828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of
- planning step
- planning
- hanok
- model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20—Configuration CAD, e.g. designing by assembling or positioning modules selected from libraries of predesigned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한옥의 초기 설계 단계에서 실 모듈(room module)을 이용하여 한옥의 몸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공간 계획 단계; 계획칸 모듈을 이용하여 한옥의 몸체부의 매스를 결정하는 구조 계획 단계; 지붕틀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를 바탕으로 상부에 올라갈 지붕부의 형태를 결정하는 지붕 계획 단계; 및 상기 지붕 계획 단계에서 결정된 지붕부의 형태를 기반으로 기와지붕을 모델링하는 기와지붕 모델링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공간 계획 단계와 상기 구조 계획 단계 사이의 참조 기준은 구획된 공간의 교차점들을 연결하여 생성되는 제1 교차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 계획 단계, 구조 계획 단계, 지붕 계획 단계, 기와지붕 모델링 단계로 구분된 설계 단계의 참조 기준을 정의하여 단계 전환시 모델링 자동화의 지원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설계 지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한옥의 직교 체계 내 설계를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한옥은 칸을 계획 단위이자 공간, 구조 단위와 동일하게 활용되어 몸체부 및 지붕의 형상까지 통합하여 계획하였다. 하지만 최근 지어지는 한옥의 경우 칸이 계획 단위로 기능하지만 공간, 구조와 느슨한 관계를 맺으면서 지붕과의 연결고리도 약해지고 있는 경향이 관찰된다. 전통 한옥의 구축원리를 최근 지어지는 한옥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칸 단위의 공간 및 구조 계획으로 인해 기둥과 분리된 벽체 설치의 어려움이 있고, 비교적 큰 경간의 한옥에서 중도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중도리를 지지하기 위한 고주의 설치가 필요하여 공간 구획의 한계가 있다.
몸체부와 지붕부의 분리에 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3량을 초과하는 전통 한옥은 중도리를 받치기 위한 고주의 설치가 일반적이다. 또한 몸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이주, 감주를 통해 중도리를 받치는 기둥의 의치를 조정하거나 삭제하는 현상도 나타났으며, 조선 후기, 근대기를 거치며 지붕부와 몸체부를 분리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여전히 몸체부와 지붕부가 건물 내에서 완전하게 분리되지는 못하였다. 다시 말해 칸이 곧 계획의 모듈이자, 구조 및 지붕 계획의 단위로 기능하였다.
최근 신한옥 기술이 발전하면서 지붕부와 몸체부를 분리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특히 구조 성능을 확보한 보 부재의 개발 등을 통해 중간에 기둥없이 10m 정도의 보 방향 칸 폭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몸체와 지붕을 분리하여 계획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몸체부와 지붕부의 분리 계획이 가능해졌지만, 그 구분의 기준을 어디로 할 것인가에 관하여는 명확하게 정의된 바가 없다.
다음으로, 지붕부와 기와지붕의 분리에 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최근에 지어지는 한옥의 경우, 전통한옥과 마찬가지로 지붕틀이 기와지붕의 형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마구리칸의 도리 끝 점의 위치관계를 통해 맞배, 팔작, 우진각 지붕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지붕틀과 기와지붕 마감면 사이의 보토와 적심을 통해 지붕의 형상을 일정부분 조정 가능하다. 이와 같은 기와지붕의 생성 원리를 반영하여 서울대학교 건축사연구실에서는 이미 관련 프로그램(등록번호: C- 2015-0022845)을 개발하였다. 하지만, 공간, 구조, 지붕틀 및 기와지붕이 서로 독립하지 못한 채 일괄적으로 계획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종래 기술의 한계를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몸체부와 지붕부를 분리하여 설계는 가능하나 구분 기준이 모호하여 계획 및 모델링에 다소 어려움이 있다. 즉, 사람이 부재를 일일이 배치하여 계획 및 모델링할 수 있으나 그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모되어 효과적이지 못하다.
2) 종래의 프로그램은 몸체부의 구조 및 기와지붕 모델링이 완료된 후 공간을 계획할 수 있다. 이는 전체적인 공간의 조직 및 건물의 형상을 Revit 등 BIM 소프트웨어 외부에서 수행한 후 자동화 프로그램에 의해 일괄적으로 모델링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3차원 형상의 작성 과정 중 사용자의 디자인 피드백이 반영되기 힘들다. 또한, 기와지붕 모델링이 완성된 후 기와지붕의 가시성 조정 후 내부의 바닥, 벽, 천장의 마감을 작성하는 것은 작성의 순서상 비합리적이다.
3) 특히, 기와지붕 모델링의 경우 모델링 완성 후의 형상을 숫자로 표현된 정보로 사용자가 상상해야 하는데, 그 과정이 쉽지 않다. 다시 말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기와지붕 모델링이 수행되기 전 지붕의 형상을 시각적으로 가늠할 수 있는 단계 및 장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한옥의 몸체부, 지붕부, 기와지붕 모델링의 참조점을 정의하여 직교 체계 내 한옥의 설계를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은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한옥의 초기 설계 단계에서 실 모듈(room module)을 이용하여 한옥의 몸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공간 계획 단계; 계획칸 모듈을 이용하여 한옥의 몸체부의 매스를 결정하는 구조 계획 단계; 지붕틀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를 바탕으로 상부에 올라갈 지붕부의 형태를 결정하는 지붕 계획 단계; 및 상기 지붕 계획 단계에서 결정된 지붕부의 형태를 기반으로 기와지붕을 모델링하는 기와지붕 모델링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공간 계획 단계와 상기 구조 계획 단계 사이의 참조 기준은 구획된 공간의 교차점들을 연결하여 생성되는 제1 교차선이다.
아울러, 상기 구조 계획 단계와 상기 지붕 계획 단계 사이의 참조 기준은 평면과 단면으로 구분하되, 상기 평면의 참조 기준은 보방향으로 작성된 한 개 또는 보방향으로 배치된 여러 개의 칸과 지붕틀 한단위의 점들을 연결하여 생성되는 제2 교차선이고, 상기 단면의 참조 기준은 주심도리 부재의 바닥면의 점들을 연결하여 생성되는 제3 교차선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지붕 계획 단계와 상기 기와지붕 모델링 단계 사이의 참조 기준은, 지붕틀의 종도리, 중도리, 주심도리와 마구리칸의 각 도리 끝 점을 연결하여 생성되는 제4 교차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에 의하면,
첫째, 공간 계획 단계, 구조 계획 단계, 지붕 계획 단계, 기와지붕 모델링 단계로 구분된 설계 단계의 참조 기준을 정의하여 단계 전환시 모델링 자동화의 지원이 가능하다.
둘째, 각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계획하고 디자인 관련 내용을 독립적으로 정의하되, 단계가 전환될 때 참조 기준에 의해 자동으로 모델링이 수행가능하므로 비로소 효율적인 설계 및 모델링이 가능하다.
셋째, 각 단계가 구분된 설계 방법론을 전제로 단계 전환시 참조 기준을 바탕으로 그 부위가 구분되므로, 설계의 수정이 필요할 경우 구분된 단계와 참조 기준의 변경 유무를 전제로 디자인 피드백의 범위를 지정하고, 수정할 수 있다.
넷째, 공간, 구조, 지붕 및 기와 지붕을 순차적으로 계획하며, 한옥의 구축적 특성이 반영된 설계가 가능하다.
다섯째, 공간 계획 단계와 구조 계획 단계 사이의 참조 기준을 구획된 공간의 교차점들을 연결하여 생성되는 제1 교차선으로 정하여 자동으로 모델링 수행이 가능하다.
여섯째, 구조 계획 단계와 지붕 계획 단계 사이의 참조 기준 중에서 평면의 참조 기준을 보방향으로 작성된 한 개 또는 보방향으로 배치된 여러 개의 칸과 지붕틀 한단위의 점들을 연결하여 생성되는 제2 교차선으로 정하여 자동으로 모델링 수행이 가능하다.
일곱째, 구조 계획 단계와 지붕 계획 단계 사이의 참조 기준 중에서 단면의 참조 기준을 주심도리 부재의 바닥면의 점들을 연결하여 생성되는 제3 교차선으로 정하여 자동으로 모델링 수행이 가능하다.
여덟째, 지붕 계획 단계와 기와지붕 모델링 단계 사이의 참조 기준을 지붕틀의 종도리, 중도리, 주심도리와 마구리칸의 각 도리 끝 점을 연결하여 생성되는 제4 교차선으로 정하여 자동으로 모델링 수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 중 공간 계획 단계와 구조 계획 단계의 참조 기준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의 몸체부, 지붕틀, 기와지붕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 중 구조 계획 단계와 지붕 계획 단계의 참조 기준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 중 구조 계획 단계와 지붕 계획 단계의 참조 기준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 중 구조 계획 단계와 지붕 계획 단계의 참조 기준 및 지붕 계획 단계와 기와지붕 모델링 단계의 참조 기준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 중 공간 계획 단계와 구조 계획 단계의 참조 기준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의 몸체부, 지붕틀, 기와지붕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 중 구조 계획 단계와 지붕 계획 단계의 참조 기준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 중 구조 계획 단계와 지붕 계획 단계의 참조 기준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 중 구조 계획 단계와 지붕 계획 단계의 참조 기준 및 지붕 계획 단계와 기와지붕 모델링 단계의 참조 기준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본 발명은 전통 한옥의 구축원리를 보완함과 동시에 최근 지어지는 한옥의 경향을 반영하여 크게 몸체부(공간 및 구조), 지붕틀, 기와지붕으로 계획 단위로 나눈 설계 방법론을 전제로 각 계획 단위의 연계 원리에 관한 제안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 중 공간 계획 단계와 구조 계획 단계의 참조 기준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의 몸체부, 지붕틀, 기와지붕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 중 구조 계획 단계와 지붕 계획 단계의 참조 기준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 중 구조 계획 단계와 지붕 계획 단계의 참조 기준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 중 구조 계획 단계와 지붕 계획 단계의 참조 기준 및 지붕 계획 단계와 기와지붕 모델링 단계의 참조 기준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은 단계 S110 내지 단계 S140을 포함한다.
단계 S110은 공간 계획 단계로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한옥의 초기 설계 단계에서 실 모듈(room module)을 이용하여 한옥의 몸체부(M1)의 공간을 구획하는 단계이다.
단계 S120은 구조 계획 단계로서 계획칸 모듈을 이용하여 한옥의 몸체부(M1)의 매스를 결정한다.
단계 S130은 지붕 계획 단계로서 지붕틀 모듈을 이용하여 몸체부(M1)를 바탕으로 상부에 올라갈 지붕부(M2)의 형태를 결정하는 지붕 계획 단계이다.
단계 S140은 기와지붕 모델링 단계로서 S130에서 결정된 지붕부(M2)의 형태를 기반으로 기와지붕(M3)을 모델링하는 단계이다.
이하에서는 먼저 단계 S110에서 단계 S120으로 넘어가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단계 S110인 공간 계획 단계와 단계 S120인 구조 계획 단계 사이의 참조 기준을 제1 참조 기준이라고 정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10인 공간 계획 단계와 단계 S120인 구조 계획 단계 사이의 참조 기준은 구획된 공간의 교차점들(P1)을 연결하여 생성되는 제1 교차선(L1)이다.
단계 S110에서 공간 계획 후 공간 계획을 참조한 구조 계획을 실시하는데 먼저 실의 모든 교차점(P1)에 그리드를 발생시키고, 그리드를 적절히 수정한다. 즉, 공간의 구획을 기준으로 구조 그리드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참조 기준은 구획된 공간의 교차점(110) 및 교차점을 이은 제1 교차선(210)이 되며, 구획된 공간의 교차점(111) 및 교차점을 이은 제1 교차선(210)은 기둥, 도리, 보 등의 위치가 된다.
신한옥 계획은 현대건축과 마찬가지로 공간을 조직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따라서 스페이스 프로그램에 따른 실의 크기를 산정하고 실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배치하고, 다듬는 과정을 거치면서 설계는 진행된다. 조직된 공간을 바탕으로 기본적인 구조의 평면, 단면 계획을 하는데, 따라서 구조 계획의 시작은 구획된 공간의 교차점(P1)과 그 점을 연결하여 형성된 제1 교차선(210)들의 집합인 그리드(G)를 생성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그리드(G) 생성은 평면과 단면 모두에 적용된다. 또한 사용자는 생성된 그리드(G)를 본인의 실수로 인해 잘못된 치수로 작성되거나, 혹은 전반적인 구조 모듈의 변경될 경우 그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작성된 그리드(G)를 참조하여 기둥 등 수직부재가 포함된 칸 모듈을 배치한다. 칸 모듈은 다수의 단위 패밀리와 모듈 파라메터로 조직되어 각 단위 패밀리의 가시성 및 크기 조정을 통해 모듈의 변형이 가능하다. 칸 모듈은 그리드(G)와 공간 경계의 교차점에서 기둥 등을 생성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생성하지 않고 배치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할 경우에는 칸 모듈의 조정을 통해 기둥 등의 생성 혹은 삭제가 가능하다. 칸 모듈은 평면 기준 좌하단에서 우상단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부재 중복을 막기 위해 칸 모듈 간의 위치 관계에 따라 부재 활성화 여부(Visibility)가 조절된다. 최초에는 기둥 4개소의 부재가 모두 활성화된 칸 모듈이, 좌측에 칸 모듈이 존재할 경우 우측 전, 후 기둥 2개소의 부재만 활성화된 칸 모듈이, 전측에 칸 모듈이 존재할 경우 후측 좌, 우 기둥 2개소의 부재만 활성화된 칸 모듈이, 좌측과 전측에 칸 모듈이 존재할 경우 우측 뒤 기둥 1개소의 부재만 활성화된 칸 모듈이 배치된다. 퇴칸이나 누마루의 경우 본칸에 덧붙는 개념이므로 본칸 모듈 배치를 마친 후에 해당 부분 모듈을 배치한다. 상층에 실이 있는 위치에 하층에는 실이 없다면 누마루로 자동 인식한다.
다음으로, 앞서 설명한 구조 그리드(G)를 기준으로 지붕 계획을 할 수 있도록 지붕틀의 작성 범위 및 기준을 정의한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단계 S120인 구조 계획 단계와 단계 S130인 지붕 계획 단계 사이의 참조 기준을 제2 참조 기준이라고 정의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120인 구조 계획 단계와 단계 S130인 지붕 계획 단계 사이의 참조 기준은 평면과 단면으로 구분하되, 평면의 참조 기준은 보방향으로 작성된 한 개 또는 보방향으로 배치된 여러 개의 칸과 지붕틀 한단위의 점들(120)을 연결하여 생성되는 제2 교차선(220)이고, 단면의 참조 기준은 주심도리 부재의 바닥면의 점들(130)을 연결하여 생성되는 제3 교차선(230)이 된다. 도면에서 제2 교차선(220)은 녹색으로, 제3 교차선(230)은 적색으로 구분하여 표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참조 기준에 의해 계획된 몸체부(M1) 구조 계획을 바탕으로 지붕틀(M2)을 작성하면서 지붕 계획 단계가 시작된다.
구조 계획 단계 이후 지붕 계획 단계를 실시하며, 이는 공간 계획과 지붕 계획을 분리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있다. 이때, 보방향 다수의 칸모듈과 지붕틀 모듈의 매칭이 필요하다.
평면의 참조 기준은 간단히 설명하면, 보 방향 칸 집합으로, 단면의 참조 기준은 주심도리의 바닥면, 즉 주심도리 아래 레벨의 1 Bay를 의미한다.
한옥은 보통 정면 n 칸, 측면 n 칸을 가지는데, 정면에 평행인 방향을 도리방향, 수직인 방향을 보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정면과 평행한 방향에 용마루가 설치된다.
따라서 한옥의 지붕은 정면과 수직한 방향인 보 방향과 보 부재의 계획이 중요하다. 따라서 몸체의 구조 계획에 따라 도리 방향 한단위에 보 방향으로 배열된 칸 수를 하나의 지붕틀(M2)로 정의하였다.
지붕틀(M2)은 크게 마구리칸과 가운데칸으로 구분된다. 마구리칸은 도리방향의 양 단에 있는 지붕틀(M2)을 의미하고, 그 사이에 있는 칸을 가운데칸으로 정의한다.
전술하였듯이 지붕의 형상은 지붕틀의 도리 관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종도리(310)는 지붕의 수직적인 범위, 즉 높이와 관계가 있고, 주심도리(330)는 수평적인 범위, 즉 크기와 관계가 있으며, 중도리(320)는 자연스러운 곡선 생성과 관련이 있다. 또한 맞배, 팔작, 우진각과 같은 지붕의 형태는 마구리칸의 도리 끝점과 관계가 있다.
종도리(310), 중도리(320), 주심도리(330)가 정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있게 되면 맞배지붕, 주심도리(330)와 중도리(320) 끝 점을 잇는 선이 내측 45도 방향, 중도리(320) 끝점과 종도리(310) 끝점이 정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있으면 팔작지붕, 주심도리(330), 중도리(320), 종도리(310) 끝 점을 잇는 선이 내측 45도 방향에 있으면 우진각 지붕을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도리 간의 위치관계를 통해 지붕의 전체적인 형상과 크기를 정의하고, 마구리칸의 종도리(310) 끝 점의 위치관계를 통해 맞배, 팔작, 우진각 지붕을 정의할 수 있다.
끝으로, 제2 참조 기준을 통해 지붕 계획 단계가 마무리 되면, 제3 참조 기준을 통해 지붕 계획 단계 후 기와지붕 모델링 단계, 즉 몸체부(M1) 계획과 지붕 계획의 분리를 하게 된다. 편의상 단계 S130인 지붕 계획 단계와 단계 S140인 기와지붕 모델링 단계 사이의 참조 기준을 제3 참조 기준이라고 정의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130인 지붕 계획 단계와 단계 S140인 기와지붕 모델링 단계 사이의 참조 기준은 지붕틀(M2)의 종도리(310), 중도리(320), 주심도리(330)와 마구리칸의 각 도리 끝 점(140)을 연결하여 생성되는 제4 교차선(240)이 된다.
즉, 제2 참조 기준을 통해 작성한 지붕틀 내 도리 간 위치관계 및 마구리칸의 각 도리의 끝 점(140)을 바탕으로 기와지붕 모델링 단계가 시작된다.
기와지붕 모델링은 제 참조 기준 외에 처마내밀기, 앙곡 및 안허리곡, 팔작지붕일 경우 합각면의 위치, 맞배지붕일 경우 풍판의 위치를 별도로 정의해주어야 한다.
제2 참조 기준 외 상기의 설명은 기 개발된 프로그램(등록번호: C- 2015-0022845)으로 이미 구현되었다. 기존 프로그램과의 차이는 지붕 계획과 기와지붕 모델링의 단계를 구분하면서 사용자가 지붕의 전체적인 규모, 맞배, 팔작, 우진각 지붕의 개별 설정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디자인 피드백을 위해 기존 프로그램이 최초 계획부터 다시 시작했던 것에 반해, 지붕 계획만 별도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용이 있다.
종래에는 초기 설계안 작성 시, 단계의 구분 및 참조 기준이 정의되지 않을 경우에는 작성된 계획안 및 모델링 데이터의 변경의 수정 범위를 정확히 정의할 수 없었다. 다시 말해 변경이 발생한 부위의 변경이 다른 부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본 발명은 단계가 구분된 설계 방법론을 전제로, 단계 전환시 참조 기준을 바탕으로 그 부위가 구분된다. 따라서 수정이 필요할 경우 구분된 단계와 참조점의 변경 유무를 전제로 디자인 피드백의 범위를 지정하고, 수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구획된 공간의 교차점
120...보방향으로 작성된 한 개 또는 보방향으로 배치된 여러 개의 칸과 지붕틀 한단위의 점
130...주심도리 부재의 바닥면의 점
140...지붕틀의 종도리, 중도리, 주심도리와 마구리칸의 각 도리 끝 점
210...제1 교차선
220...제2 교차선
230...제3 교차선
240...제4 교차선
120...보방향으로 작성된 한 개 또는 보방향으로 배치된 여러 개의 칸과 지붕틀 한단위의 점
130...주심도리 부재의 바닥면의 점
140...지붕틀의 종도리, 중도리, 주심도리와 마구리칸의 각 도리 끝 점
210...제1 교차선
220...제2 교차선
230...제3 교차선
240...제4 교차선
Claims (3)
-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한옥의 초기 설계 단계에서 실 모듈(room module)을 이용하여 한옥의 몸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공간 계획 단계;
계획칸 모듈을 이용하여 한옥의 몸체부의 매스를 결정하는 구조 계획 단계;
지붕틀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를 바탕으로 상부에 올라갈 지붕부의 형태를 결정하는 지붕 계획 단계; 및
상기 지붕 계획 단계에서 결정된 지붕부의 형태를 기반으로 기와지붕을 모델링하는 기와지붕 모델링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공간 계획 단계와 상기 구조 계획 단계 사이의 참조 기준은 구획된 공간의 교차점들을 연결하여 생성되는 제1 교차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조 계획 단계와 상기 지붕 계획 단계 사이의 참조 기준은 평면과 단면으로 구분하되,
상기 평면의 참조 기준은 보방향으로 작성된 한 개 또는 보방향으로 배치된 여러 개의 칸과 지붕틀 한단위의 점들을 연결하여 생성되는 제2 교차선이고,
상기 단면의 참조 기준은 주심도리 부재의 바닥면의 점들을 연결하여 생성되는 제3 교차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붕 계획 단계와 상기 기와지붕 모델링 단계 사이의 참조 기준은,
지붕틀의 종도리, 중도리, 주심도리와 마구리칸의 각 도리 끝 점을 연결하여 생성되는 제4 교차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0743A KR20230082870A (ko) | 2021-12-02 | 2021-12-02 |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0743A KR20230082870A (ko) | 2021-12-02 | 2021-12-02 |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2870A true KR20230082870A (ko) | 2023-06-09 |
Family
ID=8676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0743A KR20230082870A (ko) | 2021-12-02 | 2021-12-02 |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82870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5515B1 (ko) | 2010-11-05 | 2012-05-15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파라메트릭 구동에 의한 한옥 부재의 모델링 방법 |
-
2021
- 2021-12-02 KR KR1020210170743A patent/KR2023008287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5515B1 (ko) | 2010-11-05 | 2012-05-15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파라메트릭 구동에 의한 한옥 부재의 모델링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30082870A (ko) | 직교 체계 내 한옥 설계 지원 방법 | |
KR102674843B1 (ko) | 모듈을 활용한 한옥 설계 지원 방법 | |
JP3135951B2 (ja) | 建築躯体の構造設計システム | |
KR20240088230A (ko) | 한옥 설계의 구조 부재 통합 방법 | |
JP3614453B2 (ja) | 屋根割付用基準線作成装置 | |
KR20230114365A (ko) | 한옥 설계 모듈의 배치 방법 | |
JPH0668212A (ja) | 建築躯体の配筋自動設計システム | |
JP4215350B2 (ja) | コンピュータを利用した建物の構造計算に使用される耐力壁の配置方法 | |
KR20230114364A (ko) | 모듈을 활용한 한옥 설계 지원 방법 | |
JP6401981B2 (ja) | 建物の設計システムおよび設計方法 | |
Lang et al. | Development of a Design-Driven Parametric Mass Timber Construction System for Modular High-Rise Urban Housing | |
JP3267769B2 (ja) | 屋根割付用基準線作成装置 | |
JP2003271675A (ja) | 木造住宅の構造部材の製作データ作成システム | |
CN114182982B (zh) | 钢筋混凝土屋面洞口的加固结构及加固方法和建筑物 | |
JPH10320435A (ja) | ユニット式建物の平面図作成用cadシステム | |
JPH08147335A (ja) | 設計支援装置 | |
JP3614452B2 (ja) | 屋根割付用基準線作成装置 | |
KR20230139516A (ko) | 한옥 설계의 구조 부재 작성 방법 | |
JP3614454B2 (ja) | 屋根割付用基準線作成装置 | |
JP3622794B2 (ja) | 設計支援装置 | |
ZHANG et al. |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Technology of Gable Wall of Traditional Wooden Hsien-Shan Architecture in Northern Jiangsu: A Case Study of the Canal Longwang Temple | |
JP3158380B2 (ja) | 壁面パネル割付装置 | |
JPH06322882A (ja) | 屋根ユニット | |
JP3746095B2 (ja) | ユニット式建物設計用cadのインナーバルコニ入力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 |
JPH11247337A (ja) | 壁パネルの割付構造及び壁パネルの割付設計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