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8996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78996A KR20230078996A KR1020237003380A KR20237003380A KR20230078996A KR 20230078996 A KR20230078996 A KR 20230078996A KR 1020237003380 A KR1020237003380 A KR 1020237003380A KR 20237003380 A KR20237003380 A KR 20237003380A KR 20230078996 A KR20230078996 A KR 202300789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er
- outdoor air
- absorber
- outdoor
- air condition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10000003027 ear inner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6010016807 Fluid reten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94 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63 ad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120 nichrom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95 poly(sodium acrylat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41 silica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27 silica g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NNMHYFLPFNGQFZ-UHFFFAOYSA-M sodium polyacrylate Chemical compound [Na+].[O-]C(=O)C=C NNMHYFLPFNGQFZ-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humidification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3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08—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cleaning air in build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Ventilation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흡수재(58)는 실외 공기의 수분을 흡수한다. 제 1 유로(유로(R1))는 흡수재(58)를 통과하고, 실외와 실내기(20) 내를 접속하고, 실외 공기가 흐른다. 제 2 유로(유로(R2))는 흡수재(58)를 통과하고, 실외와 실내기(20) 내를 접속하고, 실외 공기가 흐른다. 제 1 히터(76A)는 제 1 유로(R1)에 있어서의 흡수재(58)에 대한 상류측에서 실외 공기를 가열한다. 제 2 히터(76B)는 제 2 유로(R2)에 있어서의 흡수재(58)에 대한 상류측에서 실외 공기를 가열한다. 이 공기 조화기는,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 중 적어도 한쪽이 실외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실외 공기가 흡수재(58)의 수분을 빼앗아 실내기(20)로 향하는 가습 운전을 실행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허문헌 1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 대상의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로 구성되는 공기 조화기가 알려져 있다. 이 공기 조화기는 실외기로부터 실내기에 가습된 실외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는, 실내의 가습량을 보다 세밀하게 제어하고 싶다고 하는 요구가 있다.
그래서, 본 개시는 실내의 가습량을 보다 세밀하게 제어 가능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흡수재와, 제 1 유로와, 제 2 유로와, 제 1 히터와, 제 2 히터를 구비한다. 흡수재는 실외 공기의 수분을 흡수한다. 제 1 유로는 흡수재를 통과하고, 실외와 실내기 내를 접속하고, 실외 공기가 흐른다. 제 2 유로는 흡수재를 통과하고, 실외와 실내기 내를 접속하고, 실외 공기가 흐른다. 제 1 히터는 제 1 유로에 있어서의 흡수재에 대한 상류측에서 실외 공기를 가열한다. 제 2 히터는 제 2 유로에 있어서의 흡수재에 대한 상류측에서 실외 공기를 가열한다. 그리고, 본 개시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 중 적어도 한쪽이 실외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실외 공기가 흡수재의 수분을 빼앗아 실내기로 향하는 가습 운전을 실행한다.
본 개시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가습량을 보다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실외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구성요소의 일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구성요소의 일부를 분리한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이한 시점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일부의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가습 운전(저가습 운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가습 운전(고가습 운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가습 운전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제습 운전과 재생 운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제습 운전과 재생 운전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환기 운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도관의 일부분의 분해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도관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실외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구성요소의 일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구성요소의 일부를 분리한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이한 시점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일부의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가습 운전(저가습 운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가습 운전(고가습 운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가습 운전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제습 운전과 재생 운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제습 운전과 재생 운전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의 환기 운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도관의 일부분의 분해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에 따른 환기 도관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본 개시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이며, 흡수재와, 제 1 유로와, 제 2 유로와, 제 1 히터와, 제 2 히터를 구비한다. 흡수재는 실외 공기의 수분을 흡수한다. 제 1 유로는 흡수재를 통과하고, 실외와 실내기 내를 접속하고, 실외 공기가 흐른다. 제 2 유로는 흡수재를 통과하고, 실외와 실내기 내를 접속하고, 실외 공기가 흐른다. 제 1 히터는 제 1 유로에 있어서의 흡수재에 대한 상류측에서 실외 공기를 가열한다. 제 2 히터는 제 2 유로에 있어서의 흡수재에 대한 상류측에서 실외 공기를 가열한다. 그리고, 본 개시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 중 적어도 한쪽이 실외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실외 공기가 흡수재의 수분을 빼앗아 실내기로 향하는 가습 운전을 실행한다.
본 개시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가습량을 보다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본 개시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가 출력 조절 가능한 히터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본 개시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는, 흡수재가 보지하는 수분량에 근거해서,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 각각의 출력이 조절되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본 개시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실내기에 설치되고, 실내 습도를 측정하고, 실내 습도의 측정값을 출력하는 실내 습도 센서를 추가로 구비해도 좋다. 그리고, 본 개시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는, 실내 습도 센서에 의해 출력된 실내 습도의 측정값에 근거해서,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 각각의 출력이 조절되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본 개시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가 흡수재의 통과 후에 서로 합류하는 합류로를 포함해도 좋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공기 조화기가, 합류로에 설치되고, 실내기 내로 향하는 실외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과, 실내기에 설치되고, 실내 습도를 측정하고, 실내 습도의 측정값을 출력하는 실내 습도 센서를 추가로 구비해도 좋다. 그리고, 본 개시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 각각의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실내 습도 센서에 의해 출력된 실내 습도의 측정값에 근거해서, 팬의 회전수가 조절되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본 개시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가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본 개시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는, 흡수재가 고분자 수착재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본 개시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가 실외 공기가 통과하는 래비린스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실시형태)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각 도에서의 Z축 방향(연직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의 구성에 대해, 도 1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1은 공기 조화기(10)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0)는 공기 조화 대상의 실내(Rin)에 배치되는 실내기(20)와, 실외(Rout)에 배치되는 실외기(30)를 구비한다.
실내기(20)에는, 실내(Rin)의 실내 공기(Ain)와 열교환을 실시하는 열교환기(22)와, 실내 공기(Ain)를 실내기(20) 내에 유인하는 동시에 열교환기(22)와 열교환한 공기를 실내(Rin)에 흡출하기 위한 팬(24)이 설치되어 있다.
실외기(30)에는, 실외(Rout)의 실외 공기(Aout)와 열교환을 실시하는 열교환기(32)와, 열교환기(32)를 통과하는 실외 공기(Aout)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34)과, 압축기(36)와, 팽창 밸브(38)가 설치되어 있다.
실내기(20)의 열교환기(22), 실외기(30)의 열교환기(32), 압축기(36), 및 팽창 밸브(38)가 냉매 배관(40)에 의해 접속되는 것에 의해, 공기 조화기(10)의 냉동 사이클이 구성되어 있다. 이 냉동 사이클에 의해, 가열된 실내 공기(Ain)를 실내(Rin)에 흡출하는 난방 운전, 냉각된 실내 공기(Ain)를 실내(Rin)에 흡출하는 냉방 운전, 및 제습한 실내 공기(Ain)를 실내(Rin)에 흡출하는 제습 운전을, 공기 조화기(10)는 실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난방 운전, 냉방 운전, 제습 운전 등의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의 선택이나 설정 온도 등의 운전에 필요한 파라미터 등의 설정을 유저가 실시하기 위한 컨트롤러(42)를, 공기 조화기(10)는 구비한다.
또한, 공기 조화기(10)의 실외기(30)는 실외 공기(Aout)를 실내(Rin)에 공급한다, 즉, 실내(Rin)를 환기하는 환기 장치(50)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외기(30)가 환기 장치(50)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환기 장치(50)는 실외기(30)에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이하, 환기 장치(50)의 구성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8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2는 실외기(30)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환기 장치(5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환기 장치(50)의 구성요소의 일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및 상면도이다. 또한, 도 6은 환기 장치(50)의 분해 사시도이다. 추가로, 도 7은 상이한 시점으로부터 본 환기 장치(50)의 일부의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환기 장치(5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환기 장치(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이 개방된 하우징(52)과, 하우징(52)에 덮개 역할을 하는 천판(54)을 구비한다. 환기 장치(50)의 하우징(52)에는, 실외 공기(Aout)를 하우징(52) 내에 취입하기 위한 복수의 흡기구(52a, 52b, 52c)와, 하우징(52) 내에 취입된 실외 공기(Aout)를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52d, 52e, 52f)가 설치되어 있다. 배기구(52d)에는, 도 2에 도시하는 환기 도관(56)이 접속된다. 환기 도관(56)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외기(30)의 측면에 장착되어, 실내기(20)에 연통하는 환기 호스와 연결한다. 즉, 환기 도관(56)은 실외기(30) 내와 실내기(20) 내를 접속한다. 나머지의 배기구(52e, 52f)는 실외(Rout)에 연통한다.
환기 장치(50)는, 도 4,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52) 내의 중앙에, 실외 공기(Aout)의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재(58)를 구비한다.
흡수재(58)는 공기가 통과 가능한 부재이며,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포집하는 또는 통과하는 공기에 수분을 부여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흡수재(58)는, 연직 방향(Z축 방향)으로 공기가 통과 가능하며, 연직 방향으로 연재하는 회전 중심선(C1)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원반형상의 부재이다. 그 흡수재(58)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홀더(60)에 의해 보지되고, 그 홀더(60)의 외부 톱니에 계합하는 기어(62)를 구비하는 흡수재용 모터(64)에 의해 회전된다. 환기 장치(50)의 운전 중, 흡수재(58)는 일정한 회전 속도로 계속 회전한다.
또한, 흡수재(58)는 공기중의 수분을 수착하는 고분자 수착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수착재는,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가교체로 구성된다. 고분자 수착재는, 실리카 겔이나 제올라이트 등의 흡착재에 비해, 수분을 흡수하는 속도가 높고, 낮은 가열 온도로 보지하는 수분을 이탈할 수 있고, 그리고 수분을 장시간 보지할 수 있다.
환기 장치(50)는 또한,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외 공기(Aout)를 환기 장치(50) 내에 유인해서 흡수재(58)를 통과시켜, 흡수재(58)를 통과한 실외 공기(Aout)를 실내기(20)로 향해 송풍하는 제 1 팬(66)을 구비한다.
제 1 팬(66)은 흡수재(58)에 대해서 환기 장치(5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의 한쪽측에 배치되고, 예를 들면 시로코 팬(sirocco fan)이다. 제 1 팬(66)은 흡수재(58)에 대해서 길이 방향의 한쪽측의 공간을 상하로 2분할하는 격벽판(68)에 설치된 원통형상부(68a)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격벽판(68)에 의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재(58)의 상면(58a)의 일부분이 접하는 상측 공간(S1)과, 흡수재(58)의 하면(58b)의 일부분이 접하는 하측 공간(S2)이 형성되어 있다.
격벽판(68)의 원통형상부(68a)에는, 배기구(52d)에 접속하는 개구(68b)와, 배기구(52e)와 접속하는 개구(68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격벽판(68)에는, 원통형상부(68a) 내의 제 1 팬(66)에 공기를 취입하기 위한 관통 구멍(68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격벽판(68)의 원통형상부(68a)에는, 제 1 팬(66)을 덮는 팬 커버(70)가 장착되어 있다. 그 팬 커버(70)에, 제 1 팬(66)을 회전시키는 모터(7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팬 커버(70)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격벽판(68)의 개구(68b) 및 개구(68c) 중 한쪽을 폐쇄하는 댐퍼 장치(74)가 설치되어 있다. 댐퍼 장치(74)는 선회 가능한 댐퍼(74a)를 구비하고, 그 댐퍼(74a)를 선회시키는 것에 의해 격벽판(68)의 개구(68b) 및 개구(68c) 중 한쪽을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터(72)가 제 1 팬(66)을 회전시키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52)의 흡기구(52a, 52b)를 거쳐서, 실외 공기(Aout)가 하우징(52) 내에 유입한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기구(52a, 52b) 각각을 거쳐서 유입한 실외 공기(Aout)는 격벽판(68)의 상방의 상측 공간(S1)에 유입하고, 흡수재(58)의 상방으로 향해 흐른다. 다음에, 실외 공기(Aout)는 흡수재(58)의 상면(58a)으로부터 하면(58b)으로 향해 흡수재(58)를 통과한다. 그리고, 흡수재(58)를 통과한 실외 공기(Aout)는 격벽판(68)의 하방의 하측 공간(S2) 내를 이동하고, 격벽판(68)의 관통 구멍(68d)을 통과해 제 1 팬(66)에 취입된다. 제 1 팬(66)에 취입된 실외 공기(Aout)는, 개구(68b) 및 개구(68c) 중, 댐퍼 장치(74)의 댐퍼(74a)에 의해 폐쇄되지 않은 쪽의 개구를 통과한다. 즉, 실외 공기(Aout)는 배기구(52d)를 통과해 최종적으로 실내기(20) 내에 도달하거나, 또는 배기구(52e)를 거쳐서 실외(Rout)에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제 1 팬(66)은 실외기(30) 내에 실외 공기(Aout)를 취입하고, 취입한 실외 공기(Aout)를 실내기(20)로 향해 환기 도관(56)을 거쳐서 보낸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52)의 흡기구(52a)와 흡기구(52b)와의 사이에는, 팬 커버(70)와 모터(72)가 존재한다. 그 때문에, 흡수재(58)를 통과하고, 실외(Rout)와 실내기(20) 내를 접속하고, 즉 환기 도관(56)과 접속하고, 실외 공기(Aout)가 흐르는 유로가 실질적으로 2개 존재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유로(R1, R2)는 흡수재(58)의 통과 후에 서로 합류하는 합류로를 포함하고, 그 합류로에 제 1 팬(66)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제 1 팬(66)은 유로(R1, R2)에 실내기(20)로 향하는 실외 공기(Aout)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기 장치(50)는 흡기구(52a)로부터 시작되는 유로(R1)에 대해서 설치된 제 1 히터(76A)와, 흡기구(52b)로부터 시작되는 유로(R2)에 대해서 설치된 제 2 히터(76B)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환기 장치(50)가 실내기(20)로 향하는 실외 공기(Aout)의 유로를 복수 마련하고, 그 유로 각각에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를 마련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는 흡수재(58) 근방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실외 공기(Aout)의 유로(R1, R2)에 있어서의 흡수재(58)에 대해서 상류측에,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는 격벽판(78)에 설치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히터(76A), 제 2 히터(76B), 및 유로(R1, R2)가 통과하는 흡수재(58)의 상면(58a)의 부분은 히터 커버(80)에 의해 덮여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에 의해 가열된 실외 공기(Aout)가 흡수재(58)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에 의한 실외 공기(Aout)의 가열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는 동일한 가열 능력을 갖는 히터여도 좋고, 상이한 가열 능력을 갖는 히터여도 좋다. 또한,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는 전류가 흘러 온도가 상승하면 전기 저항이 증가하는, 즉 과잉인 가열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PTC 히터가 바람직하다. 니크롬선이나 카본 섬유 등을 이용하는 히터를 이용해도 좋지만, 이 경우 전류가 계속 흐르면 가열 온도(표면 온도)가 계속 상승하기 때문에, 그 온도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한편, PTC 히터의 경우, 히터 자체가 가열 온도를 일정한 온도 범위 내에서 조절하기 때문에, 가열 온도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점에서, PTC 히터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는 히터 커버(80)에 의해 덮여 있다. 그 때문에, 유로(R1, R2)를 흐르는 실외 공기(Aout)는, 우선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에 진입하기 위해서, 측벽부(80a)의 외측면을 따라 강하한다. 다음에, 실외 공기(Aout)는 간극에 진입해서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실외 공기(Aout)는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를 관통해서 이동한다. 그리고, 실외 공기(Aout)는 흡수재(58)의 상면(58a)을 향해 강하한다. 즉, 2개의 유로(R1, R2)는 실외 공기(Aout)가 통과하는 래비린스를 포함하고 있다.
실외 공기(Aout)가 흐르는 유로(R1, R2)가 실외 공기(Aout)가 통과하는 래비린스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실외 공기(Aout)에 포함되는 먼지나 모래 등이 환기 도관(56), 실내기(20), 및 실내(Rin)에 도달하는 것이 억제된다. 즉, 실외 공기(Aout)가 래비린스를 이동할 경우에 먼지나 모래 등이 중력에 의해 실외 공기(Aout)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실외 공기(Aout)로부터 분리한 먼지 등을 수용하여 회수하는 트레이(82)가,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 근방의 격벽판(78)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기 장치(50)는 실외 공기(Aout)의 유로로서, 유로(R1, R2) 이외의 유로(R3)를 구비한다.
실외 공기(Aout)의 유로(R3)는, 유로(R1, R2)와 상이하게, 실내기(20) 내에 접속하고 있지 않다. 유로(R3)는, 흡수재(58)를 통과하고, 실외 공기(Aout)가 실외(Rout)로부터 실외(Rout)에 흐르는 유로이다.
구체적으로, 유로(R3)는, 흡기구(52c)로부터 시작되어, 흡수재(58)를 그 하면(58b)으로부터 상면(58a)을 향해 통과하고, 배기구(52f)에 도달한다. 그 유로(R3)에 실외 공기(Aout)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제 2 팬(84)을, 환기 장치(50)는 구비한다.
제 2 팬(84)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재(58)에 대해서 환기 장치(5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의 다른쪽측에 배치되고, 예를 들면 시로코 팬이다. 제 2 팬(84)은 하우징(52)의 저판부(52g)의 외측면에 장착된 모터(86)에 의해 회전된다. 또한, 제 2 팬(84)은 하우징(52)의 저판부(52g)의 내측면에 설치된 원통형상부(52h) 내에 수용되어 있다. 원통형상부(52h)의 내부 공간은 배기구(52f)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52)의 원통형상부(52h)상에는, 제 2 팬(84)을 덮는 격벽판(78)이 장착되어 있다. 이 격벽판(78)은 흡수재(58)에 대해서 길이 방향(Y축 방향)의 다른쪽측의 공간을 상하로 2분할한다. 또한, 격벽판(78)에는, 실외 공기(Aout)를 제 2 팬(84) 내에 취입하기 위한 관통 구멍(78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격벽판(78)에는, 상면(58a)을 덮는 일이 없이 흡수재(58)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흡수재 수용부(78b)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86)가 제 2 팬(84)을 회전시키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52)의 흡기구(52c)를 거쳐서, 실외 공기(Aout)가 하우징(52) 내에 유입한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기구(52c)를 거쳐서 유입한 실외 공기(Aout)는 격벽판(78)의 하방의 하측 공간(S4)에 유입하고, 흡수재(58)의 하방으로 향해 흐른다. 다음에, 실외 공기(Aout)는 흡수재(58)의 하면(58b)으로부터 상면(58a)으로 향해 흡수재(58)를 통과한다. 그리고, 흡수재(58)를 통과한 실외 공기(Aout)는 격벽판(78)의 상방의 상측 공간(S3) 내를 이동하고, 격벽판(78)의 관통 구멍(78a)을 통과해 제 2 팬(84)에 취입된다. 제 2 팬(84)에 취입된 실외 공기(Aout)는 배기구(52f)를 거쳐서 실외(Rout)에 배출된다.
또한, 흡수재(58)의 하방의 하측 공간(S2)과 하측 공간(S4)과의 사이에서 실외 공기(Aout)의 왕래를 차단하기 위해서,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52)은, 그 저판부(52g)에 시일부(52j)를 구비한다. 또한, 흡수재(58)의 상방의 상측 공간(S1, S3) 사이에서 실외 공기(Aout)의 왕래를 차단하기 위해서, 격벽판(78)이 시일부(78c)를 구비하는 것과 동시에, 또한 격벽판(78)과 천판(54)과의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88)가 이들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로(R1, R2)를 흐르는 실외 공기(Aout)와 유로(R3)를 흐르는 실외 공기(Aout)가 상이한 위치에서 흡수재(58)를 통과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서로 혼합되는 것이 억제된다.
여기까지는, 환기 장치(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했다. 여기서부터는 환기 장치(50)의 동작에 대해, 도 9 내지 도 14를 이용해 설명한다.
환기 장치(5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가습 운전, 제습 운전, 재생 운전, 및 환기 운전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환기 장치(50)는 제 1 팬(66), 제 2 팬(84), 제 1 히터(76A), 제 2 히터(76B) 및 댐퍼 장치(74)(댐퍼(74a)) 등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가습 운전, 제습 운전, 재생 운전, 및 환기 운전을 실시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컴퓨터 시스템이 제어 장치로서 기능한다.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여기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에 미리 기록되어 있다고 했지만, 메모리 카드 등의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제공되어도 좋고, 인터넷 등의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서 제공되어도 좋다.
도 9 및 도 10은 환기 장치(50)의 가습 운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가습 운전의 타이밍 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기 장치(50)의 가습 운전은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 중 적어도 한쪽(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히터(76A))이 작동한 상태로 행해진다. 실내(Rin)의 실내 습도를 작게 증가시키는 경우(저가습 운전),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 중 적어도 한쪽이 작동한다. 한편, 실내(Rin)의 실내 습도를 크게 증가시키는 경우(고가습 운전),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의 양쪽이 작동한다. 또한, 가습 운전 중, 제 1 팬(66) 및 제 2 팬(84)의 양쪽이 회전한다. 또한, 가습 운전 중, 댐퍼(74a)가 실외 공기(Aout)를 실내기(20)로 돌리기 위해서, 배기구(52e)를 폐쇄한다(IN 상태).
이러한 가습 운전에 의하면,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가열된 실외 공기(Aout)가, 흡수재(58)가 보지하는 수분을 빼앗아 실내(Rin)에 공급된다. 그 결과, 실내(Rin)가 가습된다. 또한, 가열된 실외 공기(Aout)에 의해 수분을 빼앗긴 흡수재(58)는 유로(R3)를 흐르는 실외 공기(Aout)로부터 수분을 포집한다. 그것에 의해, 흡수재(58)는 일정량의 수분을 계속 보지할 수 있고, 그 결과적으로 환기 장치(50)는 가습 운전을 계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외 공기(Aout)의 가열 수단으로서 복수의 히터(제 1 히터(76A), 제 2 히터(76B))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1개의 가열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실외 공기(Aout)의 수분량(흡수재(58)로부터 빼앗는 수분량)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실내(Rin)의 가습량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가 일정한 온도로 작동하는 타입의 경우, 그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 각각을 ON/OFF하는 것에 의해, 실외 공기(Aout)의 수분량을 3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과잉인 가습을 억제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히터가 쓸데없이 전력을 소비하는 것이 억제할 수 있다(1개의 가열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또한,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 각각이, ON/OFF 뿐만 아니라, 출력 조절 가능한 히터인 경우, 실외 공기(Aout)의 수분량(흡수재(58)로부터 빼앗는 수분량)을 더욱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실내 습도를 유저가 설정한 설정값으로 유지하는 경우에, 그 유지가 용이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하는 컨트롤러(42)가 유저에 의한 실내 습도의 설정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실내기(20)에, 실내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실내 습도의 측정값을 출력하는 실내 습도 센서(90)가 설치된다. 실내 습도 센서(90)에 의해 출력되는 실내 습도(측정값)가 설정값으로 되도록,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의 출력이 제어된다. 예를 들면, 실내 습도 센서(90)의 측정값과 설정값과의 차이가 소정값(예를 들면 30%)보다 큰 경우,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의 양쪽이 최대 출력으로 작동한다. 또한, 예를 들면, 실내 습도 센서(90)의 측정값과 설정값과의 차이가 상술의 소정값보다 작은 경우,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 중 한쪽만이 작동하고, 그 출력값을 조절한다.
또한, 예를 들면 실내 습도 센서(90)의 측정값과 설정값이 대략 일치하는 등의 경우,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의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제 1 팬(66)의 회전수를 조절해도 좋다. 실내 습도 센서(90)의 측정값에 근거해 제 1 팬(66)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에 의해 조절하는 경우에 비해, 조절 가능 범위는 작기는 하지만, 실내 습도를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의 출력 조절은 흡수재(58)가 보지하는 수분량에 근거해 실행되어도 좋다. 흡수재(58)로부터 빼앗아 보지할 수 있는 실외 공기(Aout)의 수분량은, 그 온도, 즉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의 출력에 의해 정해진다. 따라서, 최대 출력의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에 의해 가열된 실외 공기(Aout)를 보지할 수 있는 수분량에 비해 흡수재(58)가 보지하는 수분량이 적은 경우, 전력이 쓸데없이 소비되어 실외 공기(Aout)가 가열되게 된다. 이러한 히터의 쓸데없는 전력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서,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의 출력 조절은 흡수재(58)가 보지하는 수분량에 근거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재(58)가 보지하는 수분량은, 예를 들면 실외(Rout)의 습도와 제 2 팬(84)의 회전 시간에 근거해서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외기(30)에, 실외 습도를 측정하는 실외 습도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0)의 공조 운전 정지 후( 타이밍(Te) 후), 제 2 팬(84)이 소정의 시간 작동해도 좋다. 이 경우, 실내기(20)의 팬(24), 실외기(30)의 팬(34), 및 압축기(36)가 정지하고 있는 것에도 불구하고, 환기 장치(50)의 제 2 팬(84)이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공기 조화기(10)의 공조 운전 정지 후, 흡수재(58)에 수분이 축적된다. 그 결과, 그 후의 공조 운전의 개시와 동시에 가습 운전이 실행되었을 경우, 흡수재(58)의 수분의 보지량이 부족없이 충분한 상태로, 가습 운전을 확실히 실행할 수 있다. 즉, 공조 운전의 개시 직후에, 실내(Rin)의 가습을 충분히 또한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0)의 공조 운전 개시 전(타이밍(T0) 전)에, 제 2 팬(84)이 작동하기 시작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공기 조화기(10)의 공조 운전 개시 전에, 흡수재(58)에 수분을 축적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후의 공조 운전의 개시와 동시에 가습 운전이 실행되었을 경우, 흡수재(58)의 수분의 보지량이 부족없이 충분한 상태로, 가습 운전을 확실히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도 1에 도시하는 컨트롤러(42)가 유저에 의한 공조 운전의 개시 시간의 설정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그 개시 시간의 소정의 시간 전부터 제 2 팬(84)이 회전하기 시작한다. 소정의 시간은, 예를 들면 흡수재(58)의 수분의 보지량이 제로로부터 최대로 되기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이다.
다음에, 환기 장치(50)의 제습 운전과 재생 운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환기 장치(50)의 제습 운전과 재생 운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3은 제습 운전과 재생 운전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기 장치(50)의 제습 운전은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가 정지한 상태(OFF 상태)로 행해진다. 또한, 제습 운전 중, 제 1 팬(66)이 회전하고, 제 2 팬(84)이 정지한다. 그리고, 제습 운전 중, 댐퍼(74a)가 실외 공기(Aout)를 실내기(20)로 돌리기 위해서, 배기구(52e)를 폐쇄한다(IN 상태).
이러한 제습 운전에 의하면, 실외 공기(Aout)가 가열되는 일이 없이, 흡수재(58)를 통과한다. 그것에 의해, 실외 공기(Aout)는, 그 수분이 흡수재(58)에 의해 포집되어, 건조된 상태로 실내(Rin)에 공급된다. 그 결과, 실내(Rin)가 제습된다.
제습 운전을 계속 중, 흡수재(58)는 실외 공기(Aout)의 수분을 계속 포집한다. 그 때문에, 흡수재(58)는, 어느것도, 더 이상 수분을 보지할 수가 없는 포화 상태에 도달한다. 그래서, 흡수재(58)의 포집 능력을 재생시키는 재생 운전이 실행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기 장치(50)의 재생 운전은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가 작동한 상태(ON 상태)로 행해진다. 또한, 재생 운전 중, 제 1 팬(66)이 회전하고, 제 2 팬(84)이 정지한다. 그리고, 재생 운전 중, 댐퍼(74a)가 실외 공기(Aout)를 실내기(20)가 아닌 실외(Rout)로 돌리기 위해서, 배기구(52d)를 폐쇄한다(OUT 상태).
이러한 재생 운전에 의하면,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의 양쪽에 의해 가열된 실외 공기(Aout)가, 흡수재(58)가 보지하는 수분을 빼앗아 실외(Rout)에 배출된다. 그 결과, 흡수재(58)가 건조되어, 그 수분 포집 능력이 재생된다.
재생 운전은 제습 운전과 쌍으로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제습 운전의 계속 시간이, 흡수재(58)가 포화 상태가 될 때까지의 시간에 비해 긴 경우에, 재생 운전은 실행된다. 이 경우,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습 운전과 재생 운전은 교대로 실행된다. 이것에 의해, 제습 운전이 단속적으로 계속된다.
도 14는 환기 장치(50)의 환기 운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기 장치(50)의 환기 운전은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가 정지한 상태(OFF 상태)로 행해진다. 또한, 환기 운전 중, 제 1 팬(66)이 회전하고, 제 2 팬(84)이 정지한다. 그리고, 환기 운전 중, 댐퍼(74a)가 실외 공기(Aout)를 실내기(20)로 돌리기 위해서, 배기구(52e)를 폐쇄한다(IN 상태).
이러한 환기 운전에 의하면, 실외 공기(Aout)가 그대로 실내(Rin)에 공급된다.
그 결과, 실내(Rin)가 환기된다.
이러한 환기 장치(50)의 가습 운전, 제습 운전, 및 환기 운전 중 어느 것을 실행할까는, 예를 들면 유저가 결정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컨트롤러(42)를 거쳐서 환기 장치(50)의 운전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가습 운전, 제습 운전, 및 환기 운전 중, 유저에게 선택된 운전이 실행된다. 또한, 컨트롤러(42)를 거쳐서 유저가 실내 습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공기 조화기(10)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실내 습도 센서(90)의 측정값이 설정값이 되도록, 가습 운전과 제습 운전이 선택적으로 실행된다. 또한, 재생 운전은 유저의 조작은 아니고, 제습 운전의 계속 시간이나 흡수재(58)의 수분 보지량에 근거해 실행된다.
또한, 환기 장치(50)의 운전(특히, 가습 운전)에 의해 실외 공기(Aout)가 도 1에 도시하는 환기 도관(56)에 흐르면, 주위의 환경이나 계절에 따라서는, 결로가 생겨 환기 도관(56) 내에 물이 고일 가능성이 있다. 구체적으로, 환기 도관(56)에 있어서 최하부에 물이 고이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기 도관(56)은, 실외기(30)의 측면에 고정된 고정 배관(92)과, 고정 배관(92)과 실내기(20)를 접속하는 환기 호스(도시하지 않음)와, 커넥터(94)를 포함하고 있다. 커넥터(94)는 환기 호스의 선단에 장착되어 고정 배관(92)의 선단부(92a)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접속한다. 고정 배관(92)의 선단부(92a)가 환기 도관(56)에 있어서 가장 아래에 위치하여, 물이 고일 가능성이 있다.
도 15는 환기 도관(56)의 일부분의 분해도이다. 또한, 도 16은 환기 도관(56)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배관(92)의 선단부(92a)에 있어서의 최하부에는, 관통 구멍(92b)이 형성되어 있다. 즉, 환기 도관(56)은 환기 도관(56)의 최하부에 관통 구멍(92b)을 구비한다. 이 관통 구멍(92b)을 거쳐서, 환기 도관(56)에 모인 물이 외부에 배출된다. 또한, 실외기(30)로부터 실내기(20)로 향하는 실외 공기(Aout)가 관통 구멍(92b)을 거쳐서 외부에 누설되지 않도록, 고정 배관(92)(즉, 환기 도관(56))은, 실외기(30)측으로부터 연재해서 관통 구멍(92b)을 덮는 반원통형상의 후드부(92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드부(92c)는 반원통형상이지만, 다른 형상, 예를 들면 삼각형상, 직사각형상 또는 다각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후드부(92c)에 들어가 관통 구멍(92b)에 도달하는 물의 유로는, 물이 흐르는 방향이 실외 공기(Aout)의 방향과 역방향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실외 공기(Aout)가 후드부(92c)에 들어가 관통 구멍(92b)으로부터 쓸데없이 빠지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또한, 관통 구멍(92b)의 직경은 2.5㎜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물방울의 직경이 2㎜ 정도이며, 관통 구멍(92b)에 브릿지해서 막히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10)는 실내(Rin)의 가습량을 보다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10)는 실내기(20)와 실외기(30)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로서, 흡수재(58)와, 제 1 유로(유로(R1))와, 제 2 유로(유로(R2))와, 제 1 히터(76A)와, 제 2 히터(76B)를 구비한다. 여기서, 유로(R1)는 본 개시에 따른 제 1 유로의 일례이며, 유로(R2)는 본 개시에 따른 제 2 유로의 일례이다. 흡수재(58)는 실외 공기(Aout)의 수분을 흡수한다. 제 1 유로(유로(R1))는 흡수재(58)를 통과하고, 실외(Rout)와 실내기(20) 내를 접속하고, 실외 공기(Aout)가 흐른다. 제 2 유로(유로(R2))는 흡수재(58)를 통과하고, 실외(Rout)와 실내기(20) 내를 접속하고, 실외 공기(Aout)가 흐른다. 제 1 히터(76A)는 제 1 유로(유로(R1))에 있어서의 흡수재(58)에 대한 상류측에서 실외 공기(Aout)를 가열한다. 제 2 히터(76B)는 제 2 유로(유로(R2))에 있어서의 흡수재(58)에 대한 상류측에서 실외 공기(Aout)를 가열한다. 그리고,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10)는,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 중 적어도 한쪽이 실외 공기(Aout)를 가열하고, 가열된 실외 공기(Aout)가 흡수재(58)의 수분을 빼앗아 실내기(20)로 향하는 가습 운전을 실행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에서는,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가 출력 조절 가능한 히터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에서는, 흡수재(58)가 보지하는 수분량에 근거해서,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 각각의 출력이 조절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10)는, 실내기(20)에 설치되어, 실내 습도를 측정하고, 실내 습도의 측정값을 출력하는 실내 습도 센서(90)를 추가로 구비한다. 그리고,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에서는, 실내 습도 센서(90)에 의해 출력된 실내 습도의 측정값에 근거해서,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 각각의 출력이 조절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에서는, 제 1 유로(유로(R1)) 및 제 2 유로(유로(R2))가 흡수재(58)의 통과 후에 서로 합류하는 합류로를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10)는 팬(제 1 팬(66))과, 실내 습도 센서(90)를 추가로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팬(66)은 본 개시에 따른 팬의 일례이다. 팬(제 1 팬(66))은, 합류로에 설치되어, 실내기(20) 내로 향하는 실외 공기(Aout)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실내 습도 센서(90)는 실내기(20)에 설치되어, 실내 습도를 측정하고, 실내 습도의 측정값을 출력한다. 그리고,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에서는,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 각각의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실내 습도 센서(90)에 의해 출력된 실내 습도의 측정값에 근거해서, 팬(제 1 팬(66))의 회전수가 조절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에서는,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가 PTC 히터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에서는, 흡수재(58)가 고분자 수착재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에서는, 제 1 유로(유로(R1)) 및 제 2 유로(유로(R2))가 실외 공기(Aout)가 통과하는 래비린스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10)는 실내기(20)와 실외기(30)를 구비하며, 실외기(30)가 환기 장치(50)를 구비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10)는 실외기(30)와 환기 장치(50)를 별도 구성으로 하고, 즉, 실내기(20)와, 실외기(30)와, 환기 장치(50)를 구비하도록 변형해도 좋다(변형예 1).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10)는 실내기(20)와 실외기(30)를 구비하며, 흡수재(58)와, 제 1 유로(유로(R1))와, 제 2 유로(유로(R2))와, 제 1 히터(76A)와, 제 2 히터(76B)를 적어도 구비하도록 변형해도 좋다(변형예 2).
이상, 상술의 실시형태(변형예 1, 2를 포함함)를 열거해서 본 개시를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술의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술의 실시형태의 경우, 실외 공기(Aout)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으로서, 제 1 히터(76A) 및 제 2 히터(76B)가 설치되어 있다. 그라나, 가열 수단으로서의 히터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외 공기(Aout)를 가열하는 수단은 3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의 경우, 제습 운전은 실내 습도를 저하시키기 위해서 실행되지만, 제습 운전을 실행하는 목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냉방 운전 후에 물방울이 붙은 실내기(20)의 열교환기(22)를 건조시키기 위해서, 제습 운전이 실행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제습 운전에 의해 건조한 실외 공기(Aout)가 열교환기(22)로 향해 분사되도록, 실내기(20)가 구성된다.
즉,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광의로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이며, 흡수재와, 제 1 유로와, 제 2 유로와, 제 1 히터와, 제 2 히터를 구비한다. 흡수재는 실외 공기의 수분을 흡수한다. 제 1 유로는 흡수재를 통과하고, 실외와 실내기 내를 접속하고, 실외 공기가 흐른다. 제 2 유로는 흡수재를 통과하고, 실외와 실내기 내를 접속하고, 실외 공기가 흐른다. 제 1 히터는 제 1 유로에 있어서의 흡수재에 대한 상류측에서 실외 공기를 가열한다. 제 2 히터는 제 2 유로에 있어서의 흡수재에 대한 상류측에서 실외 공기를 가열한다. 그리고,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 중 적어도 한쪽이 실외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실외 공기가 흡수재의 수분을 빼앗아 실내기로 향하는 가습 운전을 실행한다.
본 개시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라면 적용 가능하다.
10: 공기 조화기
20: 실내기
22: 열교환기 24: 팬
30: 실외기 32: 열교환기
34: 팬 36: 압축기
38: 팽창 밸브 40: 냉매 배관
42: 컨트롤러 50: 환기 장치
52: 하우징 52a: 흡기구
52b: 흡기구 52c: 흡기구
52d: 배기구 52e: 배기구
52f: 배기구 52g: 저판부
52h: 원통형상부 52j: 시일부
54: 천판 56: 환기 도관
58: 흡수재 58a: 상면
58b: 하면 60: 홀더
62: 기어 64: 흡수재용 모터
66: 제 1 팬 68: 격벽판
68a: 원통형상부 68b: 개구
68c: 개구 68d: 관통 구멍
70: 팬 커버 72: 모터
74: 댐퍼 장치 74a: 댐퍼
76A: 제 1 히터 76B: 제 2 히터
78: 격벽판 78a: 관통 구멍
78b: 흡수재 수용부 78c: 시일부
80: 히터 커버 80a: 측벽부
82: 트레이 84: 제 2 팬
86: 모터 88: 시일 부재
90: 실내 습도 센서 92: 고정 배관
92a: 선단부 92b: 관통 구멍
92c: 후드부 94: 커넥터
Ain: 실내 공기 Aout: 실외 공기
C1: 회전 중심선 R1: 유로
R2: 유로 R3: 유로
Rin: 실내 Rout: 실외
S1: 상측 공간 S2: 하측 공간
S3: 상측 공간 S4: 하측 공간
T0: 타이밍 Te: 타이밍
22: 열교환기 24: 팬
30: 실외기 32: 열교환기
34: 팬 36: 압축기
38: 팽창 밸브 40: 냉매 배관
42: 컨트롤러 50: 환기 장치
52: 하우징 52a: 흡기구
52b: 흡기구 52c: 흡기구
52d: 배기구 52e: 배기구
52f: 배기구 52g: 저판부
52h: 원통형상부 52j: 시일부
54: 천판 56: 환기 도관
58: 흡수재 58a: 상면
58b: 하면 60: 홀더
62: 기어 64: 흡수재용 모터
66: 제 1 팬 68: 격벽판
68a: 원통형상부 68b: 개구
68c: 개구 68d: 관통 구멍
70: 팬 커버 72: 모터
74: 댐퍼 장치 74a: 댐퍼
76A: 제 1 히터 76B: 제 2 히터
78: 격벽판 78a: 관통 구멍
78b: 흡수재 수용부 78c: 시일부
80: 히터 커버 80a: 측벽부
82: 트레이 84: 제 2 팬
86: 모터 88: 시일 부재
90: 실내 습도 센서 92: 고정 배관
92a: 선단부 92b: 관통 구멍
92c: 후드부 94: 커넥터
Ain: 실내 공기 Aout: 실외 공기
C1: 회전 중심선 R1: 유로
R2: 유로 R3: 유로
Rin: 실내 Rout: 실외
S1: 상측 공간 S2: 하측 공간
S3: 상측 공간 S4: 하측 공간
T0: 타이밍 Te: 타이밍
Claims (8)
-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실외 공기의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재와,
상기 흡수재를 통과하고, 실외와 상기 실내기 내를 접속하고, 상기 실외 공기가 흐르는 제 1 유로와,
상기 흡수재를 통과하고, 상기 실외와 상기 실내기 내를 접속하고, 상기 실외 공기가 흐르는 제 2 유로와,
상기 제 1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재에 대한 상류측에서 상기 실외 공기를 가열하는 제 1 히터와,
상기 제 2 유로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재에 대한 상류측에서 상기 실외 공기를 가열하는 제 2 히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실외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상기 실외 공기가 상기 흡수재의 상기 수분을 빼앗아 상기 실내기로 향하는 가습 운전을 실행하는
공기 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가 출력 조절 가능한 히터인
공기 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가 보지하는 수분량에 근거해서,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 각각의 출력이 조절되는
공기 조화기.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에 설치되고, 실내 습도를 측정하고, 상기 실내 습도의 측정값을 출력하는 실내 습도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실내 습도 센서에 의해 출력된 상기 실내 습도의 상기 측정값에 근거해서,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 각각의 출력이 조절되는
공기 조화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 및 상기 제 2 유로가 상기 흡수재의 통과 후에 서로 합류하는 합류로를 포함하며,
상기 합류로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 내로 향하는 상기 실외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과,
상기 실내기에 설치되고, 실내 습도를 측정하고, 상기 실내 습도의 측정값을 출력하는 실내 습도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 각각의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실내 습도 센서에 의해 출력된 상기 실내 습도의 측정값에 근거해서, 상기 팬의 회전수가 조절되는
공기 조화기.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가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인
공기 조화기.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가 고분자 수착재인
공기 조화기.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 및 상기 제 2 유로가 상기 실외 공기가 통과하는 래비린스를 포함하고 있는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0168618A JP7126175B2 (ja) | 2020-10-05 | 2020-10-05 | 空気調和機 |
JPJP-P-2020-168618 | 2020-10-05 | ||
PCT/JP2021/028704 WO2022074918A1 (ja) | 2020-10-05 | 2021-08-03 | 空気調和機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8996A true KR20230078996A (ko) | 2023-06-05 |
Family
ID=81125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03380A KR20230078996A (ko) | 2020-10-05 | 2021-08-03 | 공기 조화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4227593A4 (ko) |
JP (1) | JP7126175B2 (ko) |
KR (1) | KR20230078996A (ko) |
CN (1) | CN116157633A (ko) |
WO (1) | WO202207491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436897B1 (ja) | 2022-09-09 | 2024-02-22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換気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91000A (ja) | 1999-09-27 | 2001-04-03 | Daikin Ind Ltd | 加湿機能を有する空気調和機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97626A (ja) * | 1985-10-23 | 1987-05-07 | San Plant:Kk | 回転式乾式除湿機 |
JP3370757B2 (ja) * | 1993-12-24 | 2003-01-27 | 松下精工株式会社 | 除湿装置 |
JPH08178350A (ja) * | 1994-12-28 | 1996-07-1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調湿装置および調湿機能付空気調和機 |
JP2003262427A (ja) * | 2002-03-08 | 2003-09-19 | Denso Corp | エンジン駆動式システムの換気制御装置 |
KR101398897B1 (ko) * | 2007-04-11 | 2014-07-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환기장치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
JP5099099B2 (ja) * | 2009-10-14 | 2012-12-12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JP2017044395A (ja) * | 2015-08-25 | 2017-03-02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JP6297626B2 (ja) | 2016-06-17 | 2018-03-20 | 株式会社平和 | 遊技機 |
-
2020
- 2020-10-05 JP JP2020168618A patent/JP7126175B2/ja active Active
-
2021
- 2021-08-03 KR KR1020237003380A patent/KR20230078996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8-03 CN CN202180055359.7A patent/CN116157633A/zh active Pending
- 2021-08-03 EP EP21877222.6A patent/EP4227593A4/en active Pending
- 2021-08-03 WO PCT/JP2021/028704 patent/WO2022074918A1/ja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91000A (ja) | 1999-09-27 | 2001-04-03 | Daikin Ind Ltd | 加湿機能を有する空気調和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2060876A (ja) | 2022-04-15 |
CN116157633A (zh) | 2023-05-23 |
EP4227593A1 (en) | 2023-08-16 |
WO2022074918A1 (ja) | 2022-04-14 |
JP7126175B2 (ja) | 2022-08-26 |
EP4227593A4 (en) | 2024-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7278633A (ja) | 除加湿機 | |
WO2022074919A1 (ja) | 空気調和機 | |
JP5014378B2 (ja) | 除湿乾燥機 | |
KR20230078996A (ko) | 공기 조화기 | |
WO2022074920A1 (ja) | 空気調和機 | |
WO2022074917A1 (ja) | 空気調和機 | |
CN109070700A (zh) | 车辆用空调装置 | |
JP5007098B2 (ja) | 吸着体、調湿装置及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 |
JP7065446B2 (ja) | 空気調和機 | |
WO2022172485A1 (ja) | 換気装置及び換気装置を備える空気調和機 | |
KR101957682B1 (ko) | 제가습 장치 | |
KR200435911Y1 (ko) | 데시칸트 제습기 | |
JP7485975B2 (ja) | 換気ユニット | |
WO2023042632A1 (ja) | 空気調和機 | |
WO2023079995A1 (ja) | 空気調和機 | |
KR100624729B1 (ko) | 공기조화기 | |
JP3835920B2 (ja) | 温風器 | |
JP2024039514A (ja) | 換気システム | |
JP2023069781A (ja) | 空気調和機 | |
JP2004353879A (ja) | 空気調和機 | |
KR20230149242A (ko) |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 | |
CN118836498A (en) | Dehumidify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same | |
JP2000081228A (ja) | 除湿及び加湿機能付き換気装置 | |
JP2001330284A (ja) | 加湿・除湿機 | |
JPS60169027A (ja) | 空気調和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