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5653A - 차량용 무릎 에어백 - Google Patents

차량용 무릎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5653A
KR20230075653A KR1020210162050A KR20210162050A KR20230075653A KR 20230075653 A KR20230075653 A KR 20230075653A KR 1020210162050 A KR1020210162050 A KR 1020210162050A KR 20210162050 A KR20210162050 A KR 20210162050A KR 20230075653 A KR20230075653 A KR 20230075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bag
cushion
knee
deplo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가람
김도형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2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5653A/ko
Publication of KR20230075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6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60R21/2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in the lower part of dashboards, e.g. for protecting the 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무릎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되며, 쿠션 일단부의 수직 방향 길이가 쿠션 타단부의 수직 방향 길이보다 긴 형상을 가지고, 쿠션 내부에 가스가 공급되어 하방으로 전개시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전개되는 에어백쿠션;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릎 에어백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무릎 에어백{VEHICLE KNEE AIRBAG}
본 발명은 차량용 무릎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쿠션 내부에 가스가 공급되어 하방으로 전개시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전개되도록 하여 최근 적용되는 슬림 칵핏에서 별도의 무릎에어백 장착공간을 확보하고, 탑승자의 무릎부의 조기 구속을 통한 탑승자의 상해를 완화할 수 있으며, 무릎 에어백의 패키지를 축소하고자 하는 차량용 무릎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충돌, 전복 등의 사고로부터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안전장치로는 탑승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안전벨트와 탑승자가 차체에 부딪히는 충격으로부터 충격을 완화시키는 에어백이 있다.
이러한 에어백은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는 운전석 에어백, 조수석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등 필요에 따라 차량 각 부위에 다양하게 설치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승객의 머리/가슴/무릎을 보호하는 운전자 에어백(DAB), 동승석 에어백(PAB), 무릎에어백(KAB), 측면 에어백(CAB/SAB), 센터에어백(CSAB)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최근, 전기차 플랫폼의 도입에 따라 승객실의 공간감을 극대화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롱슬라이딩 시트가 도입되면서 이와 동시에 칵핏의 L 방향 및 H 방향이 축소되었다.
이와 같이 최근 도입된 슬림 칵핏의 L 방향 및 H 방향이 축소됨에 따라, 차량 충돌이 일어나서 차량의 무릎 에어백이 작동하는 경우 탑승자의 무릎 구속을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무릎에어백을 장착할 공간이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7-0008100 A
본 발명은, 쿠션 내부에 가스가 공급되어 하방으로 전개시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전개되도록 하여 최근 적용되는 슬림 칵핏에서 별도의 무릎에어백 장착공간을 확보하고, 탑승자의 무릎부의 조기 구속을 통한 탑승자의 상해를 완화할 수 있으며, 무릎 에어백의 패키지를 축소하고자 하는 차량용 무릎 에어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되며, 쿠션 일단부의 수직 방향 길이가 쿠션 타단부의 수직 방향 길이보다 긴 형상을 가지고, 쿠션 내부에 가스가 공급되어 하방으로 전개시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전개되는 에어백쿠션;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릎 에어백을 구성한다.
에어백쿠션의 일단부는 차량시트 측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차량시트의 반대측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에어백쿠션은 하방으로 전개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하단부와 동시에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에어백쿠션은 탑승자의 무릎과 직교한 방향으로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하방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부채꼴 형상은 차량시트 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에어백쿠션은 플로어와 마주보는 방향에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하단부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에어백쿠션이 전개시 타단부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고정되고, 일단부는 차량시트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에어백쿠션이 전개시 하방으로 갈수록 일단부와 타단부의 이격된 거리가 점차 증가하도록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에어백쿠션이 전개시 일단부와 타단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에어백쿠션은 전개시 차량의 종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에 위치된 탑승자의 하체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에어백쿠션의 전개가 완료된 경우 부채꼴 형상은 탑승자의 무릎 방향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에어백쿠션의 전개가 완료된 경우 에어백쿠션의 상면 및 측면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면착되며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 차량용 무릎 에어백에 따르면, 쿠션 내부에 가스가 공급되어 하방으로 전개시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전개되도록 하여 최근 적용되는 슬림 칵핏에서 별도의 무릎에어백 장착공간을 확보하고, 탑승자의 무릎부의 조기 구속을 통한 탑승자의 상해를 완화할 수 있으며, 무릎 에어백의 패키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무릎 에어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백쿠션이 전개 전, 전개 중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백쿠션이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전개가 완료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무릎 에어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백쿠션이 전개 전, 전개 중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백쿠션이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전개가 완료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무릎 에어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되며, 쿠션 일단부의 수직 방향 길이(H1)가 쿠션 타단부의 수직 방향 길이(H2)보다 긴 형상을 가지고, 쿠션 내부에 가스가 공급되어 하방으로 전개시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전개되는 에어백쿠션(A);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릎 에어백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경우 쿠션 내부에 가스가 공급되어 하방으로 전개시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전개되도록 하여 최근 적용되는 슬림 칵핏에서 별도의 무릎에어백 장착공간을 확보하고, 탑승자의 무릎부의 조기 구속을 통한 탑승자의 상해를 완화할 수 있으며, 무릎 에어백의 패키지를 최소화하려는데 특징이 있다. 차량의 충돌 상황에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에어백이 탑재된다.
구체적으로, 탑승자의 정면에 탑재되어 차량의 정면 충돌시 승객의 머리/가슴/무릎을 보호하는 운전자 에어백(DAB), 동승석 에어백(PAB), 무릎에어백(KAB)로 분류할 수 있으며, 측면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가슴/골반 보호하고, 탑승자의 차외 이탈을 방지하는 측면 에어백(CAB/SAB) 또한 승객간 혹은 반대편으로 탑승객이 충돌시 상해를 저감시킬 수 있는 센터에어백(CSAB)으로 구성된다.
다만, 최근 전기차 플랫폼의 도입에 따라 롱슬라이딩 시트가 되며 기존칵핏(C)에서 L 방향 및 H 방향이 축소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칵핏(C)에서 L 방향 및 H 방향이 축소됨에 따라 슬림칵핏(B)으로 에어백쿠션(A)을 장착할 공간이 사라지면서 에어백이 탑재되는 공간은 탑승자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에어백이 탑재되는 공간이 탑승자로부터 멀어지면서 차량의 정면 또는 측면 충돌 상황에서 에어백이 탑승자를 보호하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이는 차량 충돌에 대한 충격시간을 감소시켜 탑승자가 위험해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칵핏(C)에서 L 방향 및 H 방향이 축소된 슬림칵핏(B)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무릎 에어백을 제공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이 정면부, 후면부의 길이가 달라 부채꼴 형태로 펴지는 쿠션 구조가지고, 부채꼴 영역이 승객의 무릎 방향에 위치하는 에어백쿠션(A)을 포함하는 무릎 에어백을 구성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무릎 에어백을 구성하는 에어백쿠션(A)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되며, 쿠션 일단부의 수직 방향 길이(H1)가 쿠션 타단부의 수직 방향 길이(H2)보다 긴 형상을 가지고, 쿠션 내부에 가스가 공급되어 하방으로 전개시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전개된다.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대시보드(Dash Board)라고도 하며, 스피드미터를 비롯하여 운전에 필요한 각종 정보가 모인 부품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우레탄 등의 패드로 커버된다.
에어백쿠션(A)은 플로어와 마주보는 방향에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하단부와 장착될 수 있다. 에어백쿠션(A)은 도 1과 같이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하단부와 장착되며, 에어백쿠션(A)이 전개시 탑승자 방향으로 전개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백쿠션(A)이 전개 전, 전개 중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백쿠션(A)은 하방으로 전개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하단부와 동시에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에어백쿠션(A)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하단부와 연결 장착되어 있어 쿠션 내부에 가스가 공급되기 전 에어백쿠션(A)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같은 재질로 구성된 에어백쿠션(A)이 함께 장착되어 에어백쿠션(A)이 전개시 함께 전개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플로어는 탑승자가 발을 둘 수 있는 공간으로서, 최근 기존칵핏(C)에서 L 방향 및 H 방향이 축소된 슬림칵핏(B) 구조에서 승객실의 공간감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차량 플로어와 평행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에어백쿠션(A)은 플로어와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어 탑승자의 무릎을 빠르게 구속하기 위하여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에어백쿠션(A)의 일단부는 차량시트 측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차량시트의 반대측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단부 및 타단부의 위치가 나타나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에어백쿠션(A)의 일단부는 차량시트 측에 위치하여 탑승자 방향으로 전개되는 방향이고, 타단부는 차량시트의 반대측에 위치하여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에어백쿠션(A)의 일단부의 수직 방향 길이(H1)는 일단부에서 차량시트 방향으로 전개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에서 측정한 길이를 의미하며, 에어백쿠션(A) 타단부의 수직 방향 길이(H2)를 의미한다.
즉, 탑승자와 가까운 부분인 쿠션 일단부의 수직 방향 길이(H1)는 쿠션 일타부의 수직 방향 길이보다 길어야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무릎구속 면적이 증가하며, 이에 따라 충격시간이 증대되어 탑승자의 무릎 보호에 효과적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백쿠션(A)이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전개가 완료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에어백쿠션(A)은 탑승자의 무릎과 직교한 방향으로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하방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에어백쿠션(A)이 전개된 경우의 형상이 나타나며, 탑승자의 무릎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개되는 방향이 중요하다. 부채꼴 형상은 차량시트 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이며, 전개된 에어백쿠션(A)의 형상은 부채꼴 형상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에어백쿠션(A)은 도 3과 같이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따라 전개될 수 있다. 기존칵핏(C)에서는 글로브박스가 무릎을 지지해주는 기능 및 효과가 있음에 반하여, L 방향 및 H 방향이 축소된 슬림칵핏(B)에서는 글로브박스가 없기 때문에 무릎을 지지해주는 기능 및 효과가 결여된다. 그리고, 에어백쿠션(A)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따라 전개가 완료된 경우 에어백쿠션(A)의 상면 및 측면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면착되며 지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 에어백쿠션(A)은 전개가 완료된 경우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따라 전개되어 무릎을 지지해줄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에어백쿠션(A)의 전개가 완료된 경우 부채꼴 형상은 탑승자의 무릎 방향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에어백쿠션(A)은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무릎을 구속하기 위한 목적이므로 탑승자의 무릎으로 접근하도록 전개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개가 완료된 에어백쿠션(A)의 중심점은 탑승자의 무릎 방향과 직교하는 지점에서 탑승자의 무릎 중심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에어백쿠션(A)을 배치하기 위한 탑승자의 기준은 일반적인 성인의 평균 통계치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백쿠션(A)은 전개시 차량의 종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에 위치된 탑승자의 하체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차량의 종방향이란 차량에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탑승자의 무릎부의 조기 구속을 통한 탑승자의 상해를 완화하기 위하여 탑승자의 하체측, 구체적으로는 무릎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자의 무릎을 포함하는 하체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이므로, 에어백쿠션(A)이 전개시 하방으로 갈수록 일단부와 타단부의 이격된 거리가 점차 증가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이는 슬림칵핏(B)은 도 2와 같이 상부가 돌출되고, 하부와 상부가 기역자 모양으로 꺾인 형태이므로 본 발명 차량의 무릎 에어백은 하부와 상부가 이어지는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무릎 에어백 구조상 및 기능상 비추어 하방으로 갈수록 일단부와 타단부의 이격된 거리가 점차 증가하도록 전개되는 것이다.
또한, 에어백쿠션(A)이 전개시 타단부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고정되고, 일단부는 차량시트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무릎 에어백은 하부와 상부가 이어지는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일단부 방향 에어백쿠션(A)은 탑승자가 위치한 차량시트 방향으로 전개되어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타단부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고정되어 일단부가 차량시트 방향으로 전개되어 탑승자의 무릎을 구속하도록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위와 같이 에어백쿠션(A)이 전개시 하방으로 갈수록 일단부와 타단부의 이격된 거리가 점차 증가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에어백쿠션(A)이 전개시 일단부와 타단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게 된다. 에어백쿠션(A)은 플로어와 마주보는 방향에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하단부와 장착되기 때문에 에어백쿠션(A)의 전개는 일단부와 타단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과 같은, 중력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에어백쿠션(A) 내부에 가스가 공급되어 하방으로 전개되는 경우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연결되는 부분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일단부와 타단부의 이격된 거리가 점차 증가하고, 상방은 에어백쿠션(A) 내부에 가스가 공급되지 전 상태에서 크게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기존 상태에서의 길이와 차이가 없을 수 있다.
본 발명 차량용 무릎 에어백에 따르면, 쿠션 내부에 가스가 공급되어 하방으로 전개시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전개되도록 하여 최근 적용되는 슬림 칵핏에서 별도의 무릎에어백 장착공간을 확보하고, 탑승자의 무릎부의 조기 구속을 통한 탑승자의 상해를 완화할 수 있으며, 무릎 에어백의 패키지를 최소화함으로써 타 에어백의 디자인의 침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A : 에어백쿠션
B : 슬림칵핏
C : 기존칵핏
H1 : 일단부의 수직 방향 길이
H2 : 타단부의 수직 방향 길이

Claims (12)

  1.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되며, 쿠션 일단부의 수직 방향 길이가 쿠션 타단부의 수직 방향 길이보다 긴 형상을 가지고, 쿠션 내부에 가스가 공급되어 하방으로 전개시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전개되는 에어백쿠션;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릎 에어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의 일단부는 차량시트 측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차량시트의 반대측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릎 에어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은 하방으로 전개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하단부와 동시에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릎 에어백.
  4.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은 탑승자의 무릎과 직교한 방향으로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하방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릎 에어백.
  5. 청구항 4에 있어서,
    부채꼴 형상은 차량시트 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릎 에어백.
  6.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은 플로어와 마주보는 방향에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하단부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릎 에어백.
  7.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이 전개시 타단부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고정되고, 일단부는 차량시트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릎 에어백.
  8.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이 전개시 하방으로 갈수록 일단부와 타단부의 이격된 거리가 점차 증가하도록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릎 에어백.
  9.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이 전개시 일단부와 타단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릎 에어백.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은 전개시 차량의 종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에 위치된 탑승자의 하체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릎 에어백.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의 전개가 완료된 경우 부채꼴 형상은 탑승자의 무릎 방향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릎 에어백.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의 전개가 완료된 경우 에어백쿠션의 상면 및 측면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면착되며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릎 에어백.


KR1020210162050A 2021-11-23 2021-11-23 차량용 무릎 에어백 KR202300756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050A KR20230075653A (ko) 2021-11-23 2021-11-23 차량용 무릎 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050A KR20230075653A (ko) 2021-11-23 2021-11-23 차량용 무릎 에어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653A true KR20230075653A (ko) 2023-05-31

Family

ID=86544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050A KR20230075653A (ko) 2021-11-23 2021-11-23 차량용 무릎 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565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8100A (ko) 2015-07-13 2017-0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무릎 에어백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8100A (ko) 2015-07-13 2017-0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무릎 에어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26777B (zh) 用于车辆的中央帘式气囊
US8038169B2 (en) Restraint system for front vehicle occupants
RU2661303C2 (ru) Единая подушка безопасности для защиты головы, торса и коленей пассажир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19034698A (ja) 助手席用乗員保護装置
JPH09169252A (ja) 膝保護装置
US8814201B2 (en) Knee airbag having increased package width
KR20170051824A (ko) 센터에어백 장치
KR20200043122A (ko) 차량 테이블용 에어백
JP2005335694A (ja) 自動車用オーバーヘッド・エアバッグ
KR102648736B1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그리고 에어백 장치용 에어백 쿠션
KR20170067962A (ko) 차량의 측면지지 에어백
JP5208930B2 (ja) 膝拘束用エアバッグ装置
CN115315379A (zh) 气囊模块和车辆乘员约束系统
JPH09123857A (ja) 脚部用エアバッグ装置
KR20230075653A (ko) 차량용 무릎 에어백
KR102623949B1 (ko)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
KR20050029833A (ko) 자동차의 후석용 에어백
KR100990614B1 (ko) 커튼에어백용 마운팅 브래킷
KR20220066338A (ko) 커튼 에어백 조립체
KR20090019261A (ko)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CN215663331U (zh) 一种车体及汽车
JP3095474B2 (ja) 自動車のニープロテクタ構造
KR20090082648A (ko)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구조
KR20220101438A (ko) 차량용 루프에어백 장치
JP3337516B2 (ja) 自動車の乗員保護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