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949B1 -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949B1
KR102623949B1 KR1020210089126A KR20210089126A KR102623949B1 KR 102623949 B1 KR102623949 B1 KR 102623949B1 KR 1020210089126 A KR1020210089126 A KR 1020210089126A KR 20210089126 A KR20210089126 A KR 20210089126A KR 102623949 B1 KR102623949 B1 KR 102623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tether
support portion
airbag
outer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8460A (ko
Inventor
민병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9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949B1/ko
Priority to US17/476,507 priority patent/US11608022B2/en
Priority to CN202111264307.9A priority patent/CN115593349A/zh
Priority to DE102021128263.2A priority patent/DE102021128263A1/de
Publication of KR20230008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4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roof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6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t least two passengers, e.g. preventing them from hitting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0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the individual compartments defin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루프에서 에어백이 하방으로 전개되어 좌석에 착좌한 탑승자를 보호하며, 에어백이 테더에 의해 탑승자를 향해 휘어지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탑승자의 구속력이 확보되어 탑승자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는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 {ROOF AIRBAG FOR VEHICLE}
본 발명은 실내 루프에서 에어백이 하방으로 전개되어 좌석에 착좌한 탑승자를 보호하는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충돌, 전복 등의 사고로부터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안전장치로는 탑승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안전벨트와 탑승자가 차체에 부딪히는 충격으로부터 충격을 완화시키는 에어백이 있다. 이러한 에어백은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는 운전석 에어백, 조수석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등 필요에 따라 차량 각 부위에 다양하게 설치되고 있다.
한편, 차량은 앞좌석 탑승자가 있는 전방 공간과 뒷좌석 탑승자가 있는 후방 공간으로 구분되는데, 차량 충돌시 뒷좌석 탑승자가 관성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내부 탑승자간 충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자율 주행 차량이 증가되고 있으며, 자율 주행 차량의 경우 시트의 위치가 360도 방향으로 다양하게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앞좌석 탑승자와 뒷좌석 탑승자가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가 가능한데, 앞좌석 탑승자와 뒷좌석 탑승자가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 발생시 탑승자 간의 충돌에 의해 상해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2-0033743 A (2012.04.09)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실내 루프에서 에어백이 하방으로 전개되어 좌석에 착좌한 탑승자를 보호하고, 에어백이 휘어지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는 실내 루프에 설치되고, 상단 지지부와 하단 지지부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쿠션으로 구성되며, 복수개의 쿠션은 상단 지지부의 상부와 하단 지지부의 하부가 서로 연결되고 상단 지지부와 하단 지지부의 분기 지점에서 꺾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에어백; 및 복수개의 쿠션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 지지부와 하단 지지부에 연결되어, 에어백의 전개시 쿠션이 꺾이도록 유도하는 테더;를 포함한다.
에어백은 한 쌍의 쿠션으로 이루어지고, 전개시 각 쿠션이 테더에 의해 상호 마주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꺾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쿠션은 상단 지지부와 하단 지지부의 분기 지점에서 테두리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꺾임 유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단 지지부는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고 전개시 팽창되는 상단 외측쿠션부와 상단 외측쿠션부의 내측면을 이루며 미팽창되는 상단 데드부로 이루어지고, 하단 지지부는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며 전개시 팽창되고 상단 외측쿠션부와 연통되게 연결된 하단 외측쿠션부와 하단 외측쿠션부의 내측면을 이루며 미팽창되는 하단 데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쿠션은 상단 지지부와 하단 지지부의 분기지점을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상단 외측쿠션부 및 하단 외측쿠션부에 연통되게 연결된 중앙 쿠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앙 쿠션부는 상단 외측쿠션부 및 하단 외측쿠션부에 연결되는 부분의 직경이 상단 외측쿠션부와 하단 외측쿠션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지지부에는 중앙 쿠션부에서 하단 데드부를 수직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하단 외측쿠션부와 연통되게 연결된 지지 쿠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쿠션은 상단 지지부와 하단 지지부의 분기지점 직경이 상단 외측쿠션부와 하단 외측쿠션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테더는 일단이 상단 지지부의 상측 끝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단 지지부의 하측 끝단에 연결되며, 에어백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짧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테더는 상단 지지부 및 하단 지지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쿠션의 일부 또는 전체를 덮는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쿠션에는 일단이 상단 지지부의 상측 끝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단 지지부와 하단 지지부의 분기 지점에 연결되며, 테더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보조테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는 실내 루프에서 에어백이 하방으로 전개되어 좌석에 착좌한 탑승자를 보호하며, 에어백이 테더에 의해 탑승자를 향해 휘어지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탑승자의 구속력이 확보되어 탑승자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에어백 전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에어백 전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는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루프(R)에 설치되고, 상단 지지부(110)와 하단 지지부(120)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쿠션(100)으로 구성되며, 복수개의 쿠션(100)은 상단 지지부(110)의 상부와 하단 지지부(120)의 하부가 서로 연결되고 상단 지지부(110)와 하단 지지부(120)의 분기 지점에서 꺾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에어백(A); 및 복수개의 쿠션(100)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 지지부(110)와 하단 지지부(120)에 연결되어, 에어백(A)의 전개시 쿠션(100)이 꺾이도록 유도하는 테더(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에어백(A)은 실내 루프(R)에 설치되며, 인플레이터(I)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루프(R)에서 하방으로 전개되어 탑승자를 보호한다. 이에 따라, 에어백(A)은 전개시 실내에 구비된 복수개의 좌석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에어백(A)은 한 쌍의 쿠션(10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 쌍의 쿠션(100)은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되거나 각 쿠션(100)의 보호범위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 또는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백(A)은 상단 지지부(110)와 하단 지지부(120)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쿠션(100)으로 구성되며, 각 쿠션(100)은 상단 지지부(110)의 상부와 하단 지지부(120)의 하부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에어백(A)의 전개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쿠션(100)은 상단 지지부(110)의 상측 끝단과 하단 지지부(120)의 하측 끝단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단 지지부(110)와 하단 지지부(120)는 연결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꺾이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쿠션(100) 사이에는 테더(200)가 배치되고, 테더(200)는 상단 지지부(110)와 하단 지지부(120)에 연결되어 에어백(A)의 형상 변형을 유도한다.
이러한 테더(200)는 일단이 상단 지지부(110)의 상측 끝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단 지지부(120)의 하측 끝단에 연결되며, 에어백(A)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짧게 연장된다.
여기서, 쿠션(100) 제작시 팽창되는 영역을 제외한 데드존 부분이 마련되는데, 테더(200)는 상단 지지부(110) 및 하단 지지부(120)에서 데드존 부분에 쏘잉되어 고정됨으로써, 에어백(A)의 전개시 쿠션(100)의 파손이 회피되도록 한다.
또한, 테더(200)는 일단이 상단 지지부(110)의 상측 끝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단 지지부(120)의 하측 끝단에 연결됨으로써, 상단 지지부(110)와 하단 지지부(120)의 변형 가능한 면적이 확보됨에 따라 각 쿠션(100)의 변형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테더(200)의 경우 에어백(A)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에어백(A)의 전개시 테더(200)의 길이만큼 전개가 제한됨에 따라 쿠션(100)을 이루는 상단 지지부(110) 및 하단 지지부(120)가 꺾이도록 변형된다. 즉, 한 쌍의 쿠션(100)은 전개시 하방으로 전개되되 테더(200)에 의해 각 쿠션(100)의 전개가 제한되고, 각 쿠션(100)의 하단 지지부(120)가 테더(200)에 의해 말아 올려져 꺾임이 발생됨으로써 에어백(A)은 타원형 또는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전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어백(A)을 이루는 각 쿠션(100)에 탑승자가 접촉시, 탑승자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고, 탑승자가 감싸지면서 탑승자의 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A)의 쿠션(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쿠션(100)은 상단 지지부(110)와 하단 지지부(120)의 분기 지점에서 테두리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꺾임 유도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쿠션(100)의 테두리에는 상단 지지부(110)와 하단 지지부(120)의 분기 지점에 꺾임 유도부(130)가 형성됨으로써, 쿠션(100)은 꺾임 유도부(130)를 기점으로 상단 지지부(110)에서 하단 지지부(120)가 꺾이는 변형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꺾임 유도부(130)는 각 쿠션(100)의 테두리가 함몰되게 형성되며, 쿠션(100)은 꺾임 유도부(130)를 기점으로 하단 지지부(120)가 꺾이도록 변형됨에 따라, 상단 지지부(110)가 탑승자의 상체를 지지하고, 하단 지지부(120)가 탑승자의 하체쪽에 지지되는 형태가 된다.
한편, 상단 지지부(110)는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고 전개시 팽창되는 상단 외측쿠션부(111)와 상단 외측쿠션부(111)의 내측면을 이루며 미팽창되는 상단 데드부(112)로 이루어지고, 하단 지지부(120)는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며 전개시 팽창되고 상단 외측쿠션부(111)와 연통되게 연결된 하단 외측쿠션부(121)와 하단 외측쿠션부(121)의 내측면을 이루며 미팽창되는 하단 데드부(122)로 이루어진다.
즉, 쿠션(100)을 이루는 상단 지지부(110)와 하단 지지부(120)는 팽창되는 영역과 미팽창되는 영역이 구분된다.
상세하게, 쿠션(100)의 팽창영역으로서, 상단 지지부(110)는 테두리를 따라 상단 외측쿠션부(111)가 연장되고, 하단 지지부(120)는 테두리를 따라 하단 외측쿠션부(121)가 연장되며, 상단 외측쿠션부(111)와 하단 외측쿠션부(121)는 서로 연통되게 연결된다.
한편, 쿠션(100)의 미팽창영역으로서, 상단 지지부(110)에서 상단 외측쿠션부(111)의 내측으로 상단 데드부(112)가 형성되고, 하단 지지부(120)에서 하단 외측쿠션부(121)의 내측으로 하단 데드부(12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쿠션(100)은 상단 지지부(110)와 하단 지지부(120)의 테두리 부분만이 팽창되어 쿠션(100)의 팽창속도를 확보할 수 있고, 상단 지지부(110)와 하단 지지부(120)의 전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단 지지부(110)의 상단 데드부(112)가 탑승자의 상체에 접촉되고, 하단 지지부(120)의 하단 데드부(122)가 탑승자의 하체에 접촉됨에 따라, 탑승자의 상체 부분과 하체 부분이 쿠션(100)에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쿠션(100)은 상단 지지부(110)와 하단 지지부(120)의 분기지점을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상단 외측쿠션부(111) 및 하단 외측쿠션부(121)에 연통되게 연결된 중앙 쿠션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쿠션부(140)는 쿠션(100)의 팽창영역으로서, 상단 지지부(110)와 하단 지지부(120)의 분기지점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됨으로써 탑승자가 쿠션(100)에 로드시 탑승자의 상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탑승자가 쿠션(100)에 로드되는 상황에서, 에어백(A)이 탑승자에 의해 밀려 회전되더라도 중앙 쿠션부(140)가 탑승자의 머리 또는 상체에 걸리면서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쿠션부(140)는 쿠션(100)을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연장됨에 따라, 중앙 쿠션부(140)의 팽창되는 힘에 의해 쿠션(100)의 전개 형상이 유지된다.
여기서, 중앙 쿠션부(140)는 상단 외측쿠션부(111) 및 하단 외측쿠션부(121)에 연결되는 부분의 직경(a)이 상단 외측쿠션부(111)와 하단 외측쿠션부(121)의 직경(b)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중앙 쿠션부(140)로 가스가 유입되는 부분의 직경(a)은 상단 외측쿠션부(111) 및 하단 외측쿠션부(121)의 직경(b)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인플레이터(I)에서 공급된 가스의 유통량이 상단 외측쿠션부(111)와 하단 외측쿠션부(121)에 확보되어 쿠션(100)의 전개속도가 확보된다. 이로 인해, 쿠션(100)의 전개시 가스가 외측쿠션부(111)와 하단 외측쿠션부(121)에 유통됨에 따라 루프(R)에서 하방으로 신속히 전개된 후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중앙쿠션(100)부측으로 일부 가스가 유통됨으로써, 쿠션(100)의 전개 형상 유지 및 탑승자의 원활한 구속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하단 지지부(120)에는 중앙 쿠션부(140)에서 하단 데드부(122)를 수직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하단 외측쿠션부(121)와 연통되게 연결된 지지 쿠션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쿠션부(150)는 팽창되는 영역으로서, 지지 쿠션부(150)의 팽창시 하단 지지부(120)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에어백(A)의 전개시 각 쿠션(100)의 하단 지지부(120)는 상단 지지부(110)에서 각 쿠션(100)이 마주하는 방향으로 꺾이게 되는데, 하단 지지부(120)에 형성된 지지 쿠션부(150)가 각 쿠션(100)이 마주하는 방향으로 지지력을 형성하여 쿠션(100)의 전개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쿠션(100)은 상단 지지부(110)와 하단 지지부(120)의 분기지점 직경(c)이 상단 외측쿠션부(111)와 하단 외측쿠션부(121)의 직경(b)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각 쿠션(100)은 상단 지지부(110)와 하단 지지부(120)의 분기지점 직경(c)이 상단 외측쿠션부(111)와 하단 외측쿠션부(121)의 직경(b)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직경이 작게 형성된 부분을 기점으로 하단 지지부(120)의 꺾이는 변형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백(A)을 이루는 쿠션(100)은 전개시 상단 지지부(110)에서 하단 지지부(120)가 꺾이도록 변형됨에 따라, 쿠션(100)의 상단 지지부(110)가 탑승자의 상체를 지지하고, 하단 지지부(120)가 탑승자의 하체측에 지지되어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구속하고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쿠션(100)의 상단 외측쿠션부(111)와 하단 외측쿠션부(121)에 가스 유통량이 확보되어 초기 전개 속도가 향상되고, 중앙 쿠션부(140) 및 지지 쿠션부(150)에 의해 쿠션(100)의 전개 형상이 유지된다. 또한, 전개된 각 쿠션(100)의 하단 지지부(120)가 서로 지지되는 형태를 이룸에 따라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한편, 테더(200)는 상단 지지부(110) 및 하단 지지부(12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쿠션(100)의 일부 또는 전체를 덮는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테더(200)는 상단 지지부(110) 및 하단 지지부(120)를 덮는 면적을 가지는 면테더(200)로 구성됨으로써, 쿠션(100)에 대해 결합 부분이 증가되어 쿠션(100)에 대한 결합력이 향상된다. 또한, 테더(200)는 상단 지지부(110) 및 하단 지지부(120)의 폭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에어백(A)을 이루는 쿠션(100)의 전개시 테더(200)에 의한 쿠션(100)의 형상 변형이 원하는 형태로 정확히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100)에는 일단이 상단 지지부(110)의 상측 끝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단 지지부(110)와 하단 지지부(120)의 분기 지점에 연결되며, 테더(20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보조테더(3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쿠션(100)에는 상단 지지부(110)와 하단 지지부(120)에 보조테더(300)가 연결되어 에어백(A)의 전개 형상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에어백(A)을 이루는 각 쿠션(100)은 전개시 테더(200)의 길이만큼 전개가 제한되어 꺾이도록 변형되고, 보조테더(300)에 의해 꺾이는 형상이 가이드됨으로써 각 쿠션(100)의 꺾이는 부분이 탑승자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는 실내 루프에서 에어백(A)이 하방으로 전개되어 좌석에 착좌한 탑승자를 보호하며, 에어백(A)이 테더(200)에 의해 탑승자를 향해 휘어지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탑승자의 구속력이 확보되어 탑승자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쿠션 110:상단 지지부
111:상단 외측쿠션부 112:상단 데드부
120:하단 지지부 121:하단 외측쿠션부
122:하단 데드부 130:꺾임 유도부
140:중앙 쿠션부 150:지지 쿠션부
200:테더 300:보조테더
A:에어백 R:루프

Claims (11)

  1. 실내 루프에 설치되고,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고 전개시 팽창되는 상단 외측쿠션부와 상단 외측쿠션부의 내측면을 이루며 미팽창되는 상단 데드부로 이루어진 상단 지지부와,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며 전개시 팽창되고 상단 외측쿠션부와 연통되게 연결된 하단 외측쿠션부와 하단 외측쿠션부의 내측면을 이루며 미팽창되는 하단 데드부로 이루어진 하단 지지부로 구성된 복수개의 쿠션으로 구성되며, 복수개의 쿠션은 상단 지지부의 상부와 하단 지지부의 하부가 서로 연결되고 상단 지지부와 하단 지지부의 분기 지점에서 꺾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에어백; 및
    복수개의 쿠션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 지지부와 하단 지지부에 연결되어, 에어백의 전개시 쿠션이 꺾이도록 유도하는 테더;를 포함하며,
    에어백은 상단 지지부와 하단 지지부의 분기지점을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상단 외측쿠션부 및 하단 외측쿠션부에 연통되게 연결된 중앙 쿠션부가 형성되고,
    하단지지부에는 중앙 쿠션부에서 하단 데드부를 수직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하단 외측쿠션부와 연통되게 연결된 지지 쿠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백은 한 쌍의 쿠션으로 이루어지고, 전개시 각 쿠션이 테더에 의해 상호 마주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꺾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쿠션은 상단 지지부와 하단 지지부의 분기 지점에서 테두리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꺾임 유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중앙 쿠션부는 상단 외측쿠션부 및 하단 외측쿠션부에 연결되는 부분의 직경이 상단 외측쿠션부와 하단 외측쿠션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쿠션은 상단 지지부와 하단 지지부의 분기지점 직경이 상단 외측쿠션부와 하단 외측쿠션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테더는 일단이 상단 지지부의 상측 끝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단 지지부의 하측 끝단에 연결되며, 에어백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짧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테더는 상단 지지부 및 하단 지지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쿠션의 일부 또는 전체를 덮는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쿠션에는 일단이 상단 지지부의 상측 끝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단 지지부와 하단 지지부의 분기 지점에 연결되며, 테더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보조테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
KR1020210089126A 2021-07-07 2021-07-07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 KR102623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126A KR102623949B1 (ko) 2021-07-07 2021-07-07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
US17/476,507 US11608022B2 (en) 2021-07-07 2021-09-16 Roof airbag for vehicle
CN202111264307.9A CN115593349A (zh) 2021-07-07 2021-10-28 用于车辆的车顶安全气囊
DE102021128263.2A DE102021128263A1 (de) 2021-07-07 2021-10-29 Dachairbag für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126A KR102623949B1 (ko) 2021-07-07 2021-07-07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460A KR20230008460A (ko) 2023-01-16
KR102623949B1 true KR102623949B1 (ko) 2024-01-10

Family

ID=84533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126A KR102623949B1 (ko) 2021-07-07 2021-07-07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08022B2 (ko)
KR (1) KR102623949B1 (ko)
CN (1) CN115593349A (ko)
DE (1) DE10202112826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4772A (ja) 2016-07-12 2018-03-0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
JP2018122824A (ja) 2017-02-03 2018-08-09 豊田合成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695B1 (ko) 2010-09-30 2013-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에어백장치
DE102012213284A1 (de) 2012-07-27 2014-02-13 Takata AG Gassackanordnung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JP6718340B2 (ja) 2016-09-08 2020-07-08 株式会社ダイセル ハードコート積層体並びに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10407018B2 (en) * 2017-10-10 2019-09-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oof mounted airbag
US10486637B2 (en) 2017-11-29 2019-11-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bag assembly with tethered reaction surface and cushion configured to permit forward head rotation
KR102542937B1 (ko) 2018-02-02 2023-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센터 커튼 에어백
KR102545853B1 (ko) * 2018-06-05 2023-06-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루프탑 에어백 장치
US11639148B2 (en) * 2020-07-17 2023-05-02 Hyundai Mobis Co., Ltd. Roof mounted airbag
KR20220063509A (ko) * 2020-11-10 2022-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루프 에어백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4772A (ja) 2016-07-12 2018-03-0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
JP2018122824A (ja) 2017-02-03 2018-08-09 豊田合成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93349A (zh) 2023-01-13
US11608022B2 (en) 2023-03-21
US20230007863A1 (en) 2023-01-12
DE102021128263A1 (de) 2023-01-12
KR20230008460A (ko) 202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2937B1 (ko) 차량용 센터 커튼 에어백
RU2695014C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пассажира для переднего пассажирского сиденья
KR101866083B1 (ko) 자립형 센터 사이드 에어백
US11498512B2 (en) Airbag assembly for a vehicle seat of a motor vehicle
KR101708217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EP1369314B1 (en)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KR102064842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2064844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CN214240720U (zh) 用于车辆的侧气囊
JP5954268B2 (ja) 乗員頭部拘束エアバッグ装置
KR101708200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KR102388323B1 (ko)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20170051824A (ko) 센터에어백 장치
US20230382343A1 (en) Roof airbag for vehicle
US11926279B2 (en) Roof airbag apparatus for a vehicle
KR102144753B1 (ko) 자동차의 센터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2022112029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190070174A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102623949B1 (ko)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
KR102593658B1 (ko)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
KR20230082657A (ko) 에어백 장치
WO2020174892A1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2626944B1 (ko)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그의 폴딩 방법
KR20230055159A (ko)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
KR20230140195A (ko) 모빌리티의 루프 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