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249A -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및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및 점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249A
KR20230074249A KR1020237014016A KR20237014016A KR20230074249A KR 20230074249 A KR20230074249 A KR 20230074249A KR 1020237014016 A KR1020237014016 A KR 1020237014016A KR 20237014016 A KR20237014016 A KR 20237014016A KR 20230074249 A KR20230074249 A KR 20230074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weight
meth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4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후미 가타미
가즈키 사사하라
다케시 나카노
다카히로 노나카
도모카즈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2071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056352A/ja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74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08Radiating ends of two-conductor microwave transmission lines, e.g. of coaxial lines, of microstrip l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고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저유전율 및 저유전 손실과, 저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어느 정도 높은 유전율을 양립시키고, 디스플레이 위에 배치한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구성하는 부재의 접합에 적합한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은, 주파수 28㎓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5이며, 주파수 100㎑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8이며, 주파수 28㎓에서의 유전 손실은 0.0001 내지 0.05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은, 주파수 60㎓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5이고, 주파수 100㎑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8이며, 주파수 60㎓에서의 유전 손실은 0.0001 내지 0.05이다.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및 점착 시트
본 발명은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및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구성 부재의 접합에 적합한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및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근년, 스마트폰 등 휴대용 통신 기기에 있어서의 통신의 고속도화, 대용량화는 해마다 진보하고 있어, 차세대의 초고속 데이터 통신 규격인 제5 세대(5G)에 있어서는, 제4 세대(4G)보다도 100배의 초고속·대용량 통신, 1/10의 저지연, 10배 이상의 다수 동시 접속이 가능해지리라 기대되고 있다.
5G에 있어서의 상기와 같은 초고속·대용량 통신, 저지연, 다수 동시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밀리미터파라고 불리는 주파수가 24㎓를 초과하는 고주파대의 전자파가 사용되고, 파장이 밀리미터 오더로 짧아짐으로써, 한번에 대량의 데이터를 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밀리미터파는, 4G에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대에 비하여, 비나 공기 중의 산소, 물분자와의 공명 흡수 등에 의해 감쇠하기 쉬워 직진성이 강하고, 반사하기 쉽다고 하는 성질이 있고, 밀리미터파 통신에 사용되는 안테나(이하,「밀리미터파 안테나」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에는, 종래의 4G 통신 이상으로 높은 안테나 이득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에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통신 기기에 탑재되는 밀리미터파 안테나로서, 안테나 소자를 마련한 기재에 커버 부재가 적층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고, 이들 기재와 커버 부재의 접합에 점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그와 같은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디스플레이 위에 배치하는 것도 개시되어 있다.
밀리미터파의 안정된 수신을 위해서 넓은 안테나 면적이 필요해지고, 또한, 밀리미터파는 지향성이 높기 때문에, 공간 상부로부터의 수신이 이상적이라고 생각된다.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통신 기기의 디스플레이는, 사용 시에는 상부를 향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대화면화에 의해 넓은 면적도 확보되어 있다는 점에서,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디스플레이 위에 배치하면 수신 효율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9-186942호 공보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구성하는 부재에는, 그 소재가 갖는 유전 손실에 의해 밀리미터파가 저감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안테나 이득을 낮추지 않기 위해서도, 밀리미터파의 고주파수대에서의 저유전율, 특히 저유전 손실의 특성이 요구된다.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구성하는 부재의 접합에 사용되는 점착제에도 고주파수대에서의 저유전율, 저유전 손실의 특성이 요구된다.
한편,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가 구비하는 터치 센서로서는, 정전 용량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저주파수대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높은 유전율이 필요하다. 따라서,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디스플레이 위에 배치하는 경우, 안테나 이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고주파수대에서의 낮은 유전율과 유전 손실과, 터치 센서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저주파수대에서의 어느 정도 높은 유전율을 양립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기초하여 생각해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저유전율 및 저유전 손실과, 저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어느 정도 높은 유전율을 양립시키고, 디스플레이 위에 배치한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구성하는 부재의 접합에 적합한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주파수대에 있어서 저유전율 및 저유전 손실과, 저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어느 정도 높은 유전율을 양립시키고, 디스플레이 위에 배치한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구성하는 부재의 접합에 적합한 점착제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저유전율 및 저유전 손실과, 저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어느 정도 높은 유전율을 양립시키고, 디스플레이 위에 배치한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구성하는 부재의 접합에 적합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주파수 28㎓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5이고, 주파수 100㎑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8이며, 주파수 28㎓에서의 유전 손실은 0.0001 내지 0.05인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주파수 28㎓에서의 유전율이 2 내지 5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구성 부재가 접합된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안테나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주파수 100㎑에서의 유전율이 2 내지 8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구성 부재가 접합된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디스플레이 위에 배치한 경우에도, 터치 센서 감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주파수 28㎓에서의 유전 손실이 0.0001 내지 0.05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구성 부재가 접합된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안테나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주파수 60㎓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구성 부재가 접합된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안테나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주파수 60㎓에서의 유전 손실이 0.0001 내지 0.05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구성 부재가 접합된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안테나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주파수 60㎓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5이고, 주파수 100㎑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8이며, 주파수 60㎓에서의 유전 손실은 0.0001 내지 0.05인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주파수 60㎓에서의 유전율이 2 내지 5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구성 부재가 접합된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안테나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주파수 100㎑에서의 유전율이 2 내지 8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구성 부재가 접합된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디스플레이 위에 배치한 경우에도, 터치 센서 감도를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주파수 60㎓에서의 유전 손실이 0.0001 내지 0.05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구성 부재가 접합된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안테나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 또는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층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 또는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기 때문에, 28㎓, 60㎓ 등의 고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저유전율 및 저유전 손실과, 100㎑ 등의 저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어느 정도 높은 유전율을 양립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층을 갖는 본 발명의 제4 측면의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구성 부재를 접합한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디스플레이 위에 배치한 경우에,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안테나 이득의 향상과, 터치 센서 감도의 향상을 양립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측면은, 본 발명의 제4 측면의 점착 시트, 기판, 및 화상 표시 패널을 적어도 갖는 밀리미터파 안테나이며, 상기 기판은 적어도 편면에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의 상기 안테나 소자를 갖는 측의 면 위에 상기 점착 시트가 접착되어 있으며, 화상 표시 패널은 터치 센서를 갖는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의 밀리미터파 안테나는, 기판 위에 탑재된 안테나 소자가 본 발명의 제4 측면의 점착 시트에 의해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하는 밀리미터파의 방사 손실을 낮게 억제하고, 본 발명의 제5 측면의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안테나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측면의 점착 시트는, 저주파수대인 정도의 높은 유전율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이 갖는 터치 센서의 감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은, 밀리미터파의 고주파수대에 있어서 낮은 유전율, 유전 손실과, 저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어느 정도의 높은 유전율을 나타내고, 밀리미터파의 방사 손실을 낮게 억제함과 함께, 터치 센서의 감도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구성 부재를 접합한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디스플레이 위에 배치한 스마트폰 등의 전자 통신 기기의 안테나 이득과 터치 센서 감도를 양립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단면도)이다.
도 2는, 송수신 특성 평가에서 사용한 안테나 적층체를 나타내는 모식도(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측방 단면도, 도 2의 (b)는 상방 투영도이다.
[1.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은, 주파수 28㎓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5이고, 주파수 100㎑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8이며, 주파수 28㎓에서의 유전 손실은 0.0001 내지 0.05이면 되며, 그 밖의 점에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은, 주파수 60㎓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5이고, 주파수 100㎑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8이며, 주파수 60㎓에서의 유전 손실은 0.0001 내지 0.05이면 되며, 그 밖의 점에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층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 또는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되며, 그 밖의 점에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의 점착 시트는,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층을 갖고 있으면 되며, 그 밖의 점에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 및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을, 총칭하여, 단순히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점착제층을, 단순히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측면의 점착 시트를, 단순히 「본 발명의 점착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어느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되며, 예를 들어 용제형, 에멀션형, 열용융형(핫 멜트형), 무용제형(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예를 들어 모노머 혼합물, 또는 모노머 혼합물과 그의 부분 중합물 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용제형이어도 되며, 즉, 유기 용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유기 용제로서는, 용매로서 사용되는 유기 화합물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시클로헥산, 헥산, 헵탄,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탄화수소계 용제;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계 용제;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메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용제는, 2종 이상의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혼합 용제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은, 28㎓에서의 유전율이 낮게 제어되고 있고, 밀리미터파의 방사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은, 주파수 28㎓에 있어서의 유전율은 5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며, 3.4 이하, 3.3 이하, 3.2 이하, 3.1 이하, 3.0 이하, 또는 2.9 이하여도 된다. 주파수 28㎓에 있어서의 유전율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1 이상, 또는 2.2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은, 주파수 28㎓에 있어서의 유전율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28㎓에서의 유전율은,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 모노머 조성, 첨가제의 종류나 함유량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전율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다.
또한, 「비유전율」은 「유전율」을 「진공의 유전율」로 나눈 값이지만, 「진공의 유전율」은 1이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전율」과 「비유전율」은 동일한 의미로서 다루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100㎑에서의 유전율이 어느 정도 높게 제어되고 있고, 터치 센서(특히,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주파수 100㎑에 있어서의 유전율은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이상이며, 2.3 이상, 2.4 이상, 2.5 이상, 2.6 이상, 2.7 이상, 2.8 이상, 2.9 이상, 3.0 이상, 3.5 이상, 또는 4.0 이상이어도 된다. 주파수 100㎑에 있어서의 유전율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터치 패널의 오작동을 억제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이하, 또는 7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100㎑에서의 유전율은,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 모노머 조성, 첨가제의 종류나 함유량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은, 28㎓에서의 유전 손실이 낮게 제어되고 있고, 밀리미터파의 방사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은, 주파수 28㎓에 있어서의 유전 손실은 0.05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04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이하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25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 이하이다. 주파수 28㎓에 있어서의 유전 손실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0.0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5 이상, 또는 0.001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은, 주파수 28㎓에 있어서의 유전 손실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28㎓에서의 유전 손실은,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 모노머 조성, 첨가제의 종류나 함유량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전 손실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은, 60㎓에서의 유전율이 낮게 제어되고 있고, 밀리미터파의 방사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은, 주파수 60㎓에 있어서의 유전율은 5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며, 3.4 이하, 3.3 이하, 3.2 이하, 3.1 이하, 3.0 이하, 또는 2.9 이하여도 된다. 주파수 60㎓에 있어서의 유전율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1 이상, 또는 2.2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은, 주파수 60㎓에 있어서의 유전율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60㎓에서의 유전율은,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 모노머 조성, 첨가제의 종류나 함유량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은, 60㎓에서의 유전 손실이 낮게 제어되고 있고, 밀리미터파의 방사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은, 주파수 60㎓에 있어서의 유전 손실은 0.05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04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2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 이하이며, 0.019 이하, 0.018 이하, 0.017 이하, 0.016 이하, 0.015 이하, 0.014 이하, 0.013 이하, 또는 0.012 이하여도 된다. 주파수 60㎓에 있어서의 유전 손실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0.0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5 이상, 또는 0.001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점착제 조성물은, 주파수 60㎓에 있어서의 유전 손실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60㎓에서의 유전 손실은,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 모노머 조성, 첨가제의 종류나 함유량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베이스 폴리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베이스 폴리머로서 함유하는 아크릴계 폴리머,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천연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이나 합성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등)이 베이스 폴리머로서 함유하는 고무계 폴리머, 실리콘계 점착제 조성물이 베이스 폴리머로서 함유하는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조성물이 베이스 폴리머로서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이 베이스 폴리머로서 함유하는 우레탄계 폴리머,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조성물이 베이스 폴리머로서 함유하는 폴리아미드계 폴리머, 에폭시계 점착제 조성물이 베이스 폴리머로서 함유하는 에폭시계 폴리머,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조성물이 베이스 폴리머로서 함유하는 비닐알킬에테르계 폴리머, 불소계 점착제 조성물이 베이스 폴리머로서 함유하는 불소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베이스 폴리머는, 고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유전율, 유전 손실을 낮게 제어하고, 투명성, 내후성, 접착 신뢰성 등의 점에서, 아크릴계 폴리머, 고무계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후술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서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후술하는 고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서 함유하는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 폴리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베이스 폴리머」란,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머 성분 중의 주성분(배합 비율의 가장 큰 성분이고, 이하 동일함)를 가리키고, 전형적으로는 상기 폴리머 성분의 50중량%보다도 큰 비율을 차지하는 성분을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베이스 폴리머」라고 할 때는, 「베이스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혼합물 또는 베이스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혼합물 부분 중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성분의 혼합물」은, 단일 모노머 성분으로 구성되는 경우와 2 이상의 모노머 성분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노머 성분의 혼합물 부분 중합물」이란, 상기 「모노머 성분의 혼합물」의 구성 모노머 성분 중 1 또는 2 이상의 모노머 성분이 부분적으로 중합되어 있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베이스 폴리머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75중량% 이상(예를 들어 75 내지 99.9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이상(예를 들어 85 내지 99.9중량%)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산성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술포기 함유 모노머, 인산기 함유 모노머 등)를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은, 안테나 소자 또는 배선에 대한 우수한 부식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산성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0.05중량%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0.05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0.01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0.001중량%)인 것은,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라고 할 수 있다.
[1-1. 아크릴계 폴리머 (A)]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베이스 폴리머로서 포함되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아크릴계 폴리머 (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 (A)의 구체적인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 전량(전체 중량, 100중량%)에 대하여 75중량% 이상(예를 들어 75 내지 99.9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이상(예를 들어 85 내지 99.9중량%)이다.
아크릴계 폴리머 (A)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 (A)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혼합물(「모노머 혼합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전자로서는, 예를 들어 소위 용제형, 수분산형 조성물(에멀션형 조성물) 등을 들 수 있고, 후자로서는, 예를 들어 소위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이란, 단일의 모노머 성분으로 구성되는 경우, 2 이상의 모노머 성분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분 중합물」이란, 상기 모노머 혼합물의 구성 성분 중 1 또는 2 이상의 성분이 부분적으로 중합되어 있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그 중에서도,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노머 성분은 매크로 모노머여도 된다. 매크로 모노머는, 상기 모노머 성분이 복수 중합된 고분자량 모노머이다. 매크로 모노머를 사용한 경우, 베이스 폴리머 중에서, 매크로 모노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가 어느 정도 연속하여 존재하게 된다. 이 때문에, 매크로 모노머를 사용함으로써 베이스 폴리머 중에 매크로 모노머에서 유래되는 고차 구조를 도입할 수 있고, 점착제로서 요구되는 특성(접착력이나 응집력, 단차 추종성 등)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매크로 모노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35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내지 3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25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6000 내지 20000이다.
아크릴계 폴리머 (A)는 필수의 모노머 단위(단량체 단위, 모노머 구성 단위)로서 아크릴계 모노머(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폴리머(중합체)이다. 다시 말해, 아크릴계 폴리머 (A)는 구성 단위로서 아크릴계 모노머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머이다. 즉, 아크릴계 폴리머 (A)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필수의 모노머 성분으로서 구성(형성)된 중합체이다.
아크릴계 폴리머 (A)는 필수의 모노머 단위로서,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이하, 단순히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 「메타크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나타내고, 다른 것도 마찬가지이다.
아크릴계 폴리머 (A)는 모노머 단위로서, 탄소수 10 내지 24의 분지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이하,「(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및/또는 탄소수 6 이상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이하,「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과 같은 장쇄의 분지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와 같은 장쇄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모노머 성분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장쇄의 분지쇄상 알킬기나, 상기 장쇄의 탄화수소기 및 메타크릴부의 작용에 의해, 고주파수대에 있어서 저유전율, 저유전 손실의 점착제 조성물을 실현할 수 있고,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구비하는 기판 위에 첩부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이 고주파수대에 있어서 저유전율, 저유전 손실을 위해서, 밀리미터파의 조사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 및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는 각각, 이들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고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유전율, 유전 손실을 낮추기 위해서는, 클라우지우스-모소티(Clausius-Mossotti)의 식으로부터, 분자의 쌍극자 모멘트를 작게 하고, 몰 체적을 크게 하면 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주성분인 베이스 폴리머가 아크릴계 폴리머 (A)인 경우, 주 모노머 단위로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을 사용하면, 장쇄의 분지쇄상 알킬기를 갖는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얻어진다는 점착제층에서는 몰 체적이 증가하고, 알킬기가 분지를 더 가짐으로써 쌍극자 모멘트가 낮아진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몰 체적이 증가하고, 쌍극자 모멘트가 작아지는, 양쪽의 밸런스를 갖는 점착제 조성물은, 알킬기로서, 탄소수 10 내지 24의 분지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을 사용한 경우에 발휘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주성분인 베이스 폴리머가 아크릴계 폴리머 (A)인 경우, 주 모노머 단위로서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를 사용하면,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측쇄인 아크릴부에 분극이 치우쳐 있는 데 반하여,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 중의 메타크릴부가 α-메틸기를 가짐으로써, 주쇄 부근의 분극이 경감되고, 그 결과 유전 손실이 저감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메타크릴부는 아크릴부보다도 소수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생각되고, 흡습에 의한 유전 손실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탄소수 10 내지 24의 분지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호모 폴리머의 Tg는, -80 내지 0℃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70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호모 폴리머의 Tg가, -80℃ 이상이면 점착제층의 상온에서의 탄성률이 너무 낮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호모 폴리머의 Tg가, 0℃ 이하이면, 적당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호모 폴리머의 Tg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또한, 분지쇄상의 알킬기는, 고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유전율, 유전 손실과 적당한 탄성률을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탄소수 10 내지 24이지만,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적절하게 바람직한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등에 의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알킬기는, 나아가 탄소수 10 내지 18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탄소수 10 내지 16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탄소수 10 내지 14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선 중합 등에 의해, 아크릴계 폴리머 (A)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알킬기는, 나아가 탄소수 12 내지 18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탄소수 14 내지 18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 관한, 호모 폴리머의 Tg가 -80 내지 0℃여도, 알킬기가 직쇄이거나, 탄소수가 9 이하에서는, 점착제 조성물을 고주파수대에 있어서 저유전율화, 저유전 손실로 하는 효과는 크지 않다.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로서는, 예를 들어 이소데실아크릴레이트(탄소수 10, 호모 폴리머의 Tg=-60℃, 이하, 단순히 Tg라고 약기함), 이소데실메타크릴레이트(탄소수 10, Tg=-41℃), 이소미스티릴아크릴레이트(탄소수 14, Tg=-56℃), 이소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탄소수 18, Tg=-18℃, 2-프로필헵틸아크릴레이트, 이소운데실아크릴레이트, 이소도데실아크릴레이트, 이소트리데실아크릴레이트, 이소펜타데실아크릴레이트, 이소헥사데실아크릴레이트, 이소헵타데실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예시의 메타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예시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수 10 내지 24의 분지쇄상 알킬기 중에서도 t-부틸기 등의 분지쇄상의 알킬기를에스테르기의 말단에 갖는 것은, 특히 몰 체적이 증가하고, 쌍극자 모멘트가 낮아지고, 양쪽의 밸런스를 갖는 점착제 조성물이 얻어진다고 생각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와 후술하는 첨가제와 상용성이 우수하다는 점에 있어서도 바람직하다. 에스테르기의 말단에 갖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로서는, t-부틸기, 네오펜틸기, t-부틸기 등의 탄소수 4 내지 6의 분지쇄상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특히 t-부틸기가 바람직하다. t-부틸기를에스테르기의 말단에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이소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1
또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로서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쪽이,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보다도, 몰 체적의 증가와 쌍극자 모멘트의 저하에 의한, 점착제 조성물을 고주파수대에 있어서 저유전율화, 저유전 손실화하는 효과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쪽이,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보다도,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중합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를 방사선 중합에 의해 경화시킨 경우에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적합하다.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에 있어서의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의 함유량(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3 내지 6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중량%이다. 3중량% 이상을 사용하는 것은 고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저유전율화, 저유전 손실화의 면에서 바람직하고, 60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것은 접착력, 단차 추종성의 유지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는 탄소수 6 이상의 탄화수소기를에스테르 부분에 갖는다.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에 있어서의 상기 탄소수 6 이상의 탄화수소기는, 지방족기, 지환 함유기, 방향환 함유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족기로서는,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지방족기를 들 수 있다.
상기 탄소수 6 이상의 탄화수소기가 지방족기인 경우의 상기 탄화수소기에 있어서의 탄소수는 8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상기 탄화수소기에 있어서의 탄소수는 22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이하이다.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에 있어서의 상기 탄소수 6 이상의 탄화수소기가 지방족기인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로서는,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헥실, 메타크릴산헵틸, 메타크릴산옥틸,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이소옥틸, 메타크릴산노닐, 메타크릴산이소노닐, 메타크릴산데실, 메타크릴산이소데실, 메타크릴산운데실, 메타크릴산라우릴, 메타크릴산트리데실, 메타크릴산테트라데실, 메타크릴산펜타데실, 메타크릴산헥사데실, 메타크릴산헵타데실, 메타크릴산옥타데실, 메타크릴산이소스테아릴, 메타크릴산스테아릴, 메타크릴산노나데실, 메타크릴산에이코실 등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타크릴산라우릴, 메타크릴산트리데실, 메타크릴산이소데실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6 이상의 탄화수소기가 지환 함유기인 경우의 상기 탄화수소기에 있어서의 탄소수는, 8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상기 탄화수소기에 있어서의 탄소수는 22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이하이다.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에 있어서의 상기 탄소수 6 이상의 탄화수소기가 지환 함유기인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알칸환(시클로펜탄환, 시클로헥산환, 시클로헵탄환, 시클로옥탄환 등)을 갖는 메타크릴산시클로알킬에스테르, 2환식 탄화수소환(피난환, 피넨환, 보르난환, 노르보르난환, 노르보르넨환 등)을 갖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 3환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환(디시클로펜탄환, 디시클로펜텐환, 아다만탄환, 트리시클로펜탄환, 트리시클로펜텐환 등)을 갖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타크릴산시클로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시클로헵틸, 메타크릴산시클로옥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2환식 탄화수소환을 갖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보르닐, 메타크릴산이소보르닐 등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상기 3환 이상의 탄화수소환을 갖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 메타크릴산트리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산1-아다만틸, 메타크릴산2-메틸-2-아다만틸, 메타크릴산2-에틸-2-아다만틸 등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상기 탄소수 6 이상의 탄화수소기가 방향환 함유기인 경우의 상기 탄화수소기에 있어서의 탄소수는 6 내지 14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이다.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에 있어서의 상기 탄소수 6 이상의 탄화수소기가 방향환 함유기인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로서는, 예를 들어 방향족성 탄소환(예를 들어, 벤젠환 등의 단환 탄소환이나, 나프탈렌환 등의 축합 탄소환 등)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벤질메타크릴레이트, 페닐메타크릴레이트, 나프틸메타크릴레이트, 6-(1,1'-비페닐-4-일옥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는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고 있어도 된다.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경우, 상기 탄소수 6 이상의 탄화수소기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에 있어서의 에스테르부의 말단에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쇄에 있어서의 산소 원자수(즉, 옥시알킬렌기의 반복수)는 1 내지 1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이다. 상기 말단에 갖는 탄소수 6 이상의 탄화수소기는, 지방족기, 지환식기, 방향족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지환식기 또는 방향족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알킬렌쇄 및 상기 탄소수 6 이상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로서는, 예를 들어 2-페녹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에 있어서의 상기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의 함유량(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10중량% 이상(예를 들어 10 내지 99.9중량%)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상(예를 들어 15 내지 99.7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상(예를 들어 20 내지 99.5중량%)이다. 15중량% 이상을 사용하는 것은 고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저유전율화, 저유전 손실화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99.9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것은 접착력, 단차 추종성의 유지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에 있어서의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 및 상기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의 합계의 함유량(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3 내지 99.9 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9.7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9.5중량%이다. 3중량% 이상을 사용하는 것은 고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저유전율화, 저유전 손실화의 면에서 바람직하고, 99.9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것은 접착력, 단차 추종성의 유지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폴리머 (A)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 및/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와 함께, 또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 및/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 대신에,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 및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 이외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이하,「(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B)를 포함함으로써, 아크릴계 폴리머 (A) 자체의 Tg을 조정하고,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응집력 및 접착력을 조절 할 수 있고, 또한 응력 완화성을 향상시켜서, 단차 추종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B)로서는, 탄소수가 1 내지 24인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탄소수가 3 내지 9인 분지쇄상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탄소수가 1 내지 5인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탄소수가 3 내지 5인 분지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고,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의 고주파수대에서의 저유전율, 저유전 손실을 실현한다는 관점에서는, 탄소수가 10 내지 24인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B)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가 1 내지 24인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프로필, 아크릴산부틸(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펜틸, 아크릴산헥실, 아크릴산헵틸, 아크릴산옥틸, 아크릴산노닐, 아크릴산데실, 아크릴산운데실, 아크릴산도데실, 아크릴산트리데실, 아크릴산테트라데실, 아크릴산펜타데실, 아크릴산헥사데실, 아크릴산헵타데실, 아크릴산옥타데실, 아크릴산노나데실, 아크릴산에이코실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가 3 내지 9인 분지쇄상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아크릴산이소프로필, 아크릴산이소부틸, 아크산릴산s-부틸, 아크릴산t-부틸, 아크릴산이소펜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이소옥틸, 아크릴산이소노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소수가 1 내지 5인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프로필, 메타크릴산부틸(메타크릴산n-부틸), 메타크릴산펜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소수가 3 내지 5인 분지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메타크릴산이소프로필, 메타크릴산이소부틸, 메타크릴산s-부틸, 메타크릴산t-부틸, 메타크릴산이소펜틸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B)의 호모 폴리머의 Tg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00℃ 이상(예를 들어 -10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40℃,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20℃이다. 또한, 상기 호모 폴리머의 Tg는, -30℃ 이하여도 되고, -40℃ 이하여도 된다. 호모 폴리머의 Tg가, -100℃ 이상이면 점착제층의 상온에서의 탄성률이 너무 낮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호모 폴리머의 Tg가 높은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B)를 아크릴 폴리머 (A)와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점착제층의 응집력 및 접착력을 조정할 수 있어, 적절히 응력 완화성이나 단차 추종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B)로서는, 점착제층의 응력 완화성을 개선하여 단차 추종성을 조정한다는 점에서, 탄소수가 6 내지 9의 분지쇄상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7 내지 9의 분지쇄상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특히 아크릴산2-에틸헥실(탄소수 8의 분지쇄상 알킬, Tg=-70℃)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주파수대에서의 저유전율화, 저유전 손실화의 관점에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8 내지 24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0 내지 24인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특히 아크릴산라우릴(탄소수 12의 직쇄상 알킬, Tg=-50℃)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B)로서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쪽이,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보다도, 몰 체적의 증가와 쌍극자 모멘트의 저하에 의한, 점착제층을 고주파수대에 있어서 저유전율화·저유전 손실화하는 효과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쪽이,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보다도,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중합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를 방사선 중합에 의해 경화시킨 경우에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적합하다.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에 있어서의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B)의 함유량(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1중량% 이상(예를 들어 1 내지 95중량%)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93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5중량%이다. 1중량% 이상을 사용하는 것은 접착력, 단차 추종성, 고주파수대(28 내지 60㎓)에서의 저유전율화, 저유전 손실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에 있어서의 탄소수가 1 내지 24인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0 내지 24인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 탄소수가 1 내지 5인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합계 함유량(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0.1중량% 이상(예를 들어 0.1 내지 97중량%)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9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9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7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중량%이다. 0.1중량% 이상을 사용하는 것은 고주파수대(28 내지 60㎓)에서의 저유전율화, 저유전 손실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에 있어서의 상기 탄소수가 3 내지 9인 분지쇄상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6 내지 9의 분지쇄상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 탄소수가 3 내지 5인 분지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합계 함유량(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0.1중량% 이상(예를 들어 0.1 내지 80중량%)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중량%이다. 0.1중량% 이상을 사용하는 것은 접착력, 단차 추종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폴리머 (A)는, 모노머 단위로서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 상기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B) 외에도, 공중합이 가능한 모노머(공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즉, 아크릴계 폴리머 (A)는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공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공중합성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 (A)가 모노머 단위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으면,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을 중합시킬 때 중합시키기 쉬워지고, 또한 양호한 응집력이 얻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강접착성이 얻기 쉬워지고, 또한 겔 분율을 크게 하여, 우수한 내발포 박리성이 얻기 쉬워진다. 또한, 고습 환경하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점착 시트의 백화를 억제하기 쉬워진다. 한편, 아크릴계 폴리머 (A)가 모노머 단위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많이 포함하면, 고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유전율, 유전 손실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한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양이 일정 이상이면, 응집력의 관점, 접착성, 내발포 박리성 등의 접착 신뢰성, 저주파수대(100㎑)에서의 신뢰성 향상을 얻기 쉬워진다.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의 하한은, 0.01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이다. 또한,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은, 고주파수대에서의 저유전율, 저유전 손실을 실현한다는 점에서, 30중량% 이하인 것 바람직하고, 25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5중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 (A)가 모노머 단위로서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으면, 적당한 응집력이 얻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유리판에 대한 180°(도) 박리 접착력 및 아크릴판에 대한 180° 박리 접착력을 크게 하여, 강접착성이 얻기 쉬워지고, 또한 겔 분율을 크게 하여, 우수한 내발포 박리성이 얻기 쉬워진다. 또한, 점착제층에서 적당한 유연성이 얻기 쉬워지고, 300% 인장 잔류 응력을 특정한 범위 내로 조정하여, 우수한 응력 완화성 및 우수한 단차 추종성이 얻기 쉬워진다. 또한, 저주파수대(100㎑)에서의 저유전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방청제는 모노머에 대한 용해성에 선택성이 있지만, 예를 들어 방청제의 하나인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은,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에 대하여 양호한 용해성을 갖는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가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100중량%) 중의,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이다. 상기 비율이 1중량% 이상이면 양호한 응집력이 얻기 쉬워지고, 고온에서의 접착 신뢰성이 얻기 쉬워진다고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고습 환경하에서의 백탁화의 억제와 내구성이 보다 향상되고, 피착체에 대한 보다 높은 접착 신뢰성을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저주파수대(100㎑)에서의 저유전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의 비율은,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얻는다는 점, 투명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얻는다는 점에서, 3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다.
또한,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 (A)가 모노머 단위로서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으면, 적당한 응집력이 얻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유리판에 대한 180° 박리 접착력 및 아크릴판에 대한 180° 박리 접착력을 크게 하여, 강접착성이 얻기 쉬워지고, 또한 겔 분율을 크게 하여, 우수한 내발포 박리성이 얻기 쉬워진다. 또한, 점착제층에서 적당한 유연성이 얻기 쉬워지고, 300% 인장 잔류 응력을 특정한 범위 내로 조정하여, 우수한 응력 완화성 및 우수한 단차 추종성이 얻기 쉬워진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가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상기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100중량%) 중의, 상기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내구성 향상, 높은 접착 신뢰성을 얻는다는 점에서, 1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이다. 또한, 상기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의 비율은,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얻는다는 점에서, 5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 형태로는,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는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는 상기 모노머 단위(모노머 성분)를 공지 내지 관용의 중합 방법에 의해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방법, 유화 중합 방법, 괴상 중합 방법,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중합 방법(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점착제층의 투명성, 내수성, 비용 등의 점에서, 용액 중합 방법, 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이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중합(광중합) 시에 조사되는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α선, β선, γ선, 중성자선, 전자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에너지, 조사시간, 조사 방법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광중합 개시제를 활성화시켜서, 모노머 성분의 반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면 된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중합 시에는, 각종의 일반적인 용제가 사용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톨루엔, 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의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중합 시에는, 중합 반응의 종류에 따라서, 열 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광 개시제) 등의 중합 개시제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광 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아니솔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토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메틸-2-히드록시프로피오페논, 1-[4-(2-히드록시에틸)페닐]-2-메틸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나프탈렌술포닐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 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1-페닐-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산,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폴리비닐벤조페논, α-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질디메틸케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도데실티오크산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중량부이다.
또한, 상기 열 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아조계 중합 개시제,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디벤조일퍼옥시드, tert-부틸퍼말레에이트 등),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일본 특허 공개 제2002-69411호 공보에 개시된 아조계 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아조계 중합 개시제로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이하,「AIBN」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이하,「AMBN」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산)디메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아조계 중합 개시제의 경우,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0.5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중량부이다.
[1-2.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등]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이 베이스 폴리머로서 아크릴계 폴리머 (A)를 포함하는 경우, 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지만,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라고 함은, 불가피적으로 혼입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능동적으로 배합은 하지 않음을 말한다. 또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란,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를 적어도 하나 갖는 모노머를 의미한다. 보다 우수한 부식 방지 효과가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구체적으로는,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이, 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0.05중량%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0.05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0.01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부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0.001중량%)인 것은,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에는, 예를 들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 무수물기 함유 모노머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예를 들어 이타콘산 등과 에스테르 결합시킨, 유도체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이 베이스 폴리머로서 아크릴계 폴리머 (A)를 포함하는 경우, 보다 더 우수한 부식 방지 효과가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카르복실기 이외의 산성기(술포기, 인산기 등)를 갖는 모노머에 대해서도, 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아크릴계 폴리머 (A)는, 바람직하게는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와 그 밖의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를 모두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및 그 밖의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의 총량이, 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0.05중량%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0.05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0.01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0.001중량%)인 것은,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폴리머 (A) 이외의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도, 산성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는 의미, 바람직한 정도, 및 카르복실기 이외의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 등에 대해서는, 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인 경우와 마찬가지의 것으로 한다.
[1-3. 염기성기 함유 모노머]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이 베이스 폴리머로서 아크릴계 폴리머 (A)를 포함하는 경우, 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염기성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폴리머 (A) 이외의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도, 염기성기 함유 모노머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종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이 아닌 경우라도, 상기 점착제층 중에 염기성기 함유 모노머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점은,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는 의미, 바람직한 정도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것으로 한다.
[1-4. 수산기 함유 모노머]
수산기 함유 모노머란, 분자 내에 수산기를 적어도 하나 갖는 모노머를 의미한다. 또한, 분자 내에 수산기를 적어도 하나 갖고, 또한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를 적어도 하나 갖는 모노머는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이며, 수산기 함유 모노머가 아닌 것으로 한다.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6-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라우릴, (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 등의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비닐알코올, 알릴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양호한 응집력이 얻기 쉬워지고, 고온에서의 접착 신뢰성이 얻기 쉬워진다고 하는 관점에서,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HEA),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HPA), 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4HBA)이다. 또한, 수산기 함유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고 있어도 된다.
[1-5.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란, 분자 내(1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적어도 하나 갖는 모노머를 의미한다. 단,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에는,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는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즉,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분자 내에 수산기 및 질소 원자를 갖는 모노머는,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적어도 하나 갖고, 또한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를 적어도 하나 갖는 모노머는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이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가 아닌 것으로 한다.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로서는, 내발포 박리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N-비닐 환상 아미드, (메트)아크릴아미드류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N-비닐 환상 아미드로서는, 양호한 응집력이 얻기 쉬워지고, 고온에서의 접착 신뢰성이 얻기 쉬워진다고 하는 관점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N-비닐 환상 아미드가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2
(식 1 중, R1은 2가의 유기기를 나타냄)
상기 식 (1)에 있어서의 R1은 2가의 유기기이며, 바람직하게는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예를 들어, 탄소수 3 내지 5의 알킬렌기 등)이다.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N-비닐 환상 아미드로서는, 내발포 박리성,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의 상용성을 더욱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N-비닐-2-피롤리돈(NVP), N-비닐-2-피페리돈, N-비닐-2-카프로락탐,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비닐-3-모르폴리논, N-비닐-1,3-옥사진-2-온, N-비닐-3,5-모르폴린디온 등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N-비닐-2-피롤리돈, N-비닐-2-카프로락탐,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N-비닐-2-피롤리돈이다.
상기 (메트)아크릴아미드류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아미드, N-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N-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N-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옥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N-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에는,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와 같은 아미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아미드도 포함된다. 상기 N,N-디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t-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아미드류에는, 예를 들어 각종 N-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도 포함된다. 상기 N-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1-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3-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N-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아미드류에는, 예를 들어 각종 N-알콕시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도 포함된다. 상기 N-알콕시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N-비닐 환상 아미드, 상기 (메트)아크릴아미드류 이외의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산t-부틸아미노에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기 함유 모노머;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N-비닐피라진, N-비닐모르폴린, N-비닐피라졸, 비닐피리딘, 비닐피리미딘, 비닐옥사졸, 비닐이소옥사졸, 비닐티아졸, 비닐이소티아졸, 비닐피리다진, (메트)아크릴로일피롤리돈, (메트)아크릴로일피롤리딘, (메트)아크릴로일피페리딘, N-메틸비닐피롤리돈 등의 복소환 함유 모노머;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N-라우릴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계 모노머, N-메틸이타콘이미드, N-에틸이타콘이미드, N-부틸이타콘이미드, N-옥틸이타콘이미드, N-2-에틸헥실이타콘이미드, N-라우릴이타콘이미드, N-시클로헥실이타콘이미드 등의 이타콘이미드계 모노머, N-(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6-옥시헥사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8-옥시옥타메틸렌숙신이미드 등의 숙신이미드계 모노머 등의 이미드기 함유 모노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1-6.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란,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의 관능기를 갖고, 또한 지환 구조를 갖는 모노머(단,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에 해당하는 것을 제외함)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클로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상기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에 포함된다. 단, 분자 내에 지환 구조를 적어도 하나 갖고, 또한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를 적어도 하나 갖는 모노머는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이며,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가 아닌 것으로 한다. 또한,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에 있어서의 지환 구조는, 환상의 탄화수소 구조이며, 탄소수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6 내지 24가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6 내지 15가 더욱 바람직하며, 탄소수 6 내지 10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헵틸아크릴레이트, 시클로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HPMPA,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TMA-2, 하기 식 (4)로 표시되는 HCPA 등의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또한, 하기 식 (4)에 있어서, 선으로 연결한 시클로헥실환과 괄호 내의 구조식의 결합 장소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들 중에서도,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1-7. 그 밖의 공중합성 모노머]
아크릴계 폴리머 (A)에 있어서의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 수산기 함유 모노머,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 외에,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2-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3-메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3-에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4-메톡시부틸, (메트)아크릴산4-에톡시부틸, (메트)아크릴산2-(2-메톡시에톡시)에틸 등];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메틸글리시딜 등];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비닐술폰산나트륨 등]; 인산기 함유 모노머;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단, 메타크릴산에스테르 (A2)에 해당하는 것을 제외함)[예를 들어, 아크릴산페닐, 아크릴산페녹시에틸, 아크릴산벤질 등]; 비닐에스테르류[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 방향족 비닐 화합물[예를 들어, 스티렌, 비닐톨루엔 등]; 올레핀류 또는 디엔류[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등]; 비닐에테르류[예를 들어, 비닐알킬에테르 등]; 염화비닐; 주쇄의 반복 단위 모든 탄소가 측쇄를 갖는 치환 메틸렌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에 있어서의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다관능성 모노머도 들 수 있다. 다관능성 모노머는, 가교 성분으로서 작용한다.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관능성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 있어도 된다.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전체 모노머 단위에 있어서의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의 함유량(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0.5중량%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0.5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3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2중량%이다. 다관능성 모노머의 함유량이 0.5중량% 이하이면, 점착제층이 적당한 응집력을 갖고, 점착력이나 단차 흡수성이 향상되기 쉬워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관능성 모노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가교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다관능성 모노머의 함유량은 0.001 내지 0.5 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3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2 내지 0.2중량%이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00000 내지 50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0 내지 40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750000 내지 3000000이다.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상이라고 하는 구성은, 점착력이나 유지 특성이 향상되고,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5000000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점착력을 높게 하기 쉬워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GPC법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하여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소(주) 제조의 고속 GPC 장치 「HPLC-8120GPC」를 사용하여, 하기의 조건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칼럼: TSKgel SuperHZM-H/HZ4000/HZ3000/HZ2000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유속: 0.6ml/분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70 내지 1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이다.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유리 전이 온도가 -70℃ 이상이면 응집력이 향상되고,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되기 쉬워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유리 전이 온도가 100℃ 이하이면, 점착제층이 적당한 유연성을 갖고, 양호한 점착력이나 양호한 단차 흡수성이 얻기 쉬워지고, 우수한 접착 신뢰성이 얻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하기 FOX의 식으로 표시되는 유리 전이 온도(이론값)이다.
Figure pct00006
상기 식 중, Tg는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 K), Tgi는 모노머 i가 호모 폴리머를 형성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 K), Wi는 모노머 i의 모노머 성분 전량 중의 중량 분율을 나타낸다(i=1, 2, ·…n).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호모 폴리머 Tg로서는, 하기의 값을 채용할 수 있다.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0℃
n-헥실아크릴레이트 -65℃
n-옥틸아크릴레이트 -65℃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60℃
n-노닐아크릴레이트 -58℃
n-부틸아크릴레이트 -55℃
에틸아크릴레이트 -20℃
라우릴아크릴레이트 0℃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10℃
메틸아크릴레이트 8℃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20℃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5℃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65℃
이소데실메타크릴레이트 -41℃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66℃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173℃
디시클로펜타닐메타크릴레이트 175℃
2-페녹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5℃
벤질메타크릴레이트 54℃
2-(2-메톡시에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3℃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55℃
아크릴산 106℃
메타크릴산 228℃
N-비닐피롤리돈 86℃
아세트산비닐 32℃
스티렌 100℃
또한, 상기에 기재가 없는 모노머의 호모 폴리머 Tg로서는, 「Polymer Handbook」(제3판, John Wiley & Sons, Inc, 1989년)에 기재된 수치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헌에도 기재되지 않은 모노머의 호모 폴리머 Tg로서는, 상술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점탄성 시험에 의한 tanδ의 피크 톱 온도)을 채용할 수 있다.
[1-8. 아크릴계 폴리머 (B)]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이 베이스 폴리머로서 아크릴계 폴리머 (A)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와 함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0인 아크릴계 폴리머 (B)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폴리머 (B)를 함유하고 있으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의 계면에 있어서의 피착체에 대한 접착성이 향상되므로, 강접착성이 얻기 쉬워지고, 또한 우수한 내발포 박리성이 얻기 쉬워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0인 아크릴계 폴리머 (B)」를 단순히 「아크릴계 폴리머 (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B)로서는,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필수의 모노머 성분으로서 구성된 아크릴계 폴리머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필수의 모노머 성분으로서 구성된 아크릴계 폴리머를 보다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즉,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B)로서는, 모노머 단위로서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모노머 단위로서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보다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분자 내(1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이하,「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환상 구조(환)는 방향족성환, 비방향족성환 중 어느 것이어도 되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방향족성환으로서는, 예를 들어 방향족성 탄소환[예를 들어, 벤젠환 등의 단환 탄소환이나, 나프탈렌환 등의 축합 탄소환 등], 각종 방향족성 복소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방향족성환으로서는, 예를 들어 비방향족성 지방족환(비방향족성 지환식환)[예를 들어, 시클로펜탄환, 시클로헥산환, 시클로헵탄환, 시클로옥탄환 등의 시클로알칸환; 시클로헥센환 등의 시클로알켄환 등], 비방향족성 가교환[예를 들어, 피난환, 피넨환, 보르난환, 노르보르난환, 노르보르넨환 등에 있어서의 2환식 탄화수소환; 아다만탄환 등에 있어서의 3환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환(가교식 탄화수소환) 등], 비방향족성 복소환[예를 들어, 에폭시환, 옥솔란환, 옥세탄환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3환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환(3환 이상의 가교식 탄화수소환)으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5a)로 표시되는 디시클로펜타닐기, 하기 식 (5b)로 표시되는 디시클로펜테닐기, 하기 식 (5c)로 표시되는 아다만틸기, 하기 식 (5d)로 표시되는 트리시클로펜타닐기, 하기 식 (5e)로 표시되는 트리시클로 펜테닐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7
즉, 상기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시클로펜틸,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헵틸, (메트)아크릴산시클로옥틸 등의 (메트)아크릴산시클로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이소보르닐 등의 2환식의 지방족 탄화수소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1-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3환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페닐 등의 (메트)아크릴산아릴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페녹시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아릴옥시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벤질 등의 (메트)아크릴산아릴알킬에스테르 등의 방향족성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특히 비방향족성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시클로헥실(CHA),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CHMA), 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DCPA),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DCPMA)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DCPA),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DCPMA)이다. 또한,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비방향족성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에서도 3환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환(특히, 3환 이상의 가교식 탄화수소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사용한 경우, 특히 중합 저해를 일으키기 어려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불포화 결합을 갖지 않는 상기 식 (5a)로 표시되는 디시클로펜타닐기, 상기 식 (5c)로 표시되는 아다만틸기, 상기 식 (5d)로 표시되는 트리시클로펜타닐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사용한 경우에는, 내발포 박리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또한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저극성의 피착체에 대한 접착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 (B)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폴리머 (B)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에 있어서의 상기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함유량(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아크릴계 폴리머 (B)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9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중량%이다. 상기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함유량이 10중량% 이상이면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되기 쉬워져서 바람직하다. 또한, 함유량이 90중량% 이하이면, 점착제층이 적당한 유연성을 갖고, 점착력이나 단차 흡수성 등이 향상되기 쉬워져서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폴리머 (B)의 모노머 단위로서의 상기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프로필, (메트)아크릴산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s-부틸, (메트)아크릴산t-부틸, (메트)아크릴산펜틸, (메트)아크릴산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헥실, (메트)아크릴산헵틸, (메트)아크릴산옥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노닐, (메트)아크릴산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데실, (메트)아크릴산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운데실, (메트)아크릴산도데실, (메트)아크릴산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옥타데실, (메트)아크릴산노나데실, (메트)아크릴산에이코실 등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20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폴리머 (A)와의 상용성이 양호해진다는 점에서, 메타크릴산메틸(MMA)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아크릴계 폴리머 (B)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폴리머 (B)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에 있어서의 상기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내발포 박리성의 점에서, 아크릴계 폴리머 (B)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10중량% 이상(예를 들어 10 내지 90중량%)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중량%이다. 함유량이 10중량% 이상이면 특히, 아크릴 수지나 폴리카르보네이트제의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이 향상되기 쉬워져서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폴리머 (B)의 모노머 단위로서는, 상기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외에도, 이들 모노머와 공중합이 가능한 모노머(공중합성 모노머)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아크릴계 폴리머 (B)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폴리머 (B)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에 있어서의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의 함유량(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아크릴계 폴리머 (B)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49.9중량%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49.9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이다. 또한, 공중합성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아크릴계 폴리머 (B)의 모노머 단위로서의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아크릴계 폴리머 (B)를 구성하는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2-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3-메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3-에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4-메톡시부틸, (메트)아크릴산4-에톡시부틸 등]; 히드록실기(수산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6-히드록시헥실 등의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 비닐알코올, 알릴알코올 등];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t-부틸아미노에틸 등]; 시아노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비닐술폰산나트륨 등]; 인산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 이미드기 함유 모노머[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아크릴계 폴리머 (B)는 모노머 단위로서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모노머 단위로서,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상기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노머 단위로서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 아크릴계 폴리머 (B)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한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0 내지 9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중량%이다. 또한,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0 내지 9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중량%이다.
또한, 아크릴계 폴리머 (B)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적 구성으로서는, 모노머 단위로서 (1) 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아크릴산시클로헥실, 및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모노머, 그리고 (2) 메타크릴산메틸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상기 특히 바람직한 구체적 구성의 아크릴계 폴리머 (B)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폴리머 (B)의 전체 모노머 단위 중의, (1) 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아크릴산시클로헥실, 및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의 함유량(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들의 합계량)은 아크릴계 폴리머 (B)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70중량%, (2) 메타크릴산메틸의 함유량은 30 내지 7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B)는 상기 구체적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크릴계 폴리머 (B)는 상기 모노머 성분을 공지 내지 관용의 중합 방법에 의해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B)의 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방법, 유화 중합 방법, 괴상 중합 방법,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중합 방법(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괴상 중합 방법, 용액 중합 방법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액 중합 방법이다.
아크릴계 폴리머 (B)의 중합 시에는, 각종의 일반적인 용제가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톨루엔, 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의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아크릴계 폴리머 (B)의 중합 시에는, 공지 내지 관용의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열 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 등)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열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AMBN,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산)디메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4-트리메틸펜탄) 등의 아조계 개시제; 벤조일퍼옥시드, t-부틸히드로퍼옥시드, 디-t-부틸퍼옥시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쿠밀퍼옥시드,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도데칸 등의 과산화물계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용액 중합을 행하는 경우에는, 유용성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열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 (B)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폴리머 (B)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부이다.
또한,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에서 예를 든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중합 시에 사용되는 광중합 개시제와 동일한 광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적절히 선택된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B)의 중합 시에는, 분자량을 조정하기 위해서(구체적으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을 1000 내지 30000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연쇄 이동제가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연쇄 이동제로서는, 예를 들어 2-머캅토에탄올, α-티오글리세롤, 2,3-디머캅토-1-프로판올, 옥틸머캅탄, t-노닐머캅탄, 도데실머캅탄(라우릴머캅탄), t-도데실머캅탄, 글리시딜머캅탄,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리콜산메틸, 티오글리콜산에틸, 티오글리콜산프로필, 티오글리콜산부틸, 티오글리콜산t-부틸, 티오글리콜산2-에틸헥실, 티오글리콜산옥틸, 티오글리콜산이소옥틸, 티오글리콜산데실, 티오글리콜산도데실, 에틸렌글리콜의 티오글리콜산에스테르, 네오펜틸글리콜의 티오글리콜산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의 티오글리콜산에스테르, α-메틸스티렌 다이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습에 의한 점착 시트의 백화를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α-티오글리세롤, 티오글리콜산메틸이 바람직하고, α-티오글리세롤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연쇄 이동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연쇄 이동제의 함유량(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아크릴계 폴리머 (B)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폴리머 (B)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75 내지 3중량부이다. 연쇄 이동제의 함유량(사용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0으로 제어된 아크릴계 폴리머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B)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000 내지 30000이며,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1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8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4000 내지 6000이다. 아크릴계 폴리머 (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이상이므로, 점착력이나 유지 특성이 향상되고,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된다. 한편, 아크릴계 폴리머 (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30000 이하이므로, 점착력을 높게 하기 쉬워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된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B)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GPC법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하여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소(주) 제조의 고속 GPC 장치 「HPLC-8120GPC」를 사용하여, 하기의 조건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칼럼: TSKgel SuperHZM-H/HZ4000/HZ3000/HZ2000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유속: 0.6ml/분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B)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20 내지 3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5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이다. 아크릴계 폴리머 (B)의 유리 전이 온도를 20℃ 이상이면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되기 쉬워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폴리머 (B)의 유리 전이 온도가 300℃ 이하이면, 점착제층이 적당한 유연성을 갖고, 양호한 점착력이나 양호한 단차 흡수성이 얻기 쉬워지고, 우수한 접착 신뢰성이 얻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B)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상기 FOX의 식으로 표시되는 유리 전이 온도(이론값)이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B)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호모 폴리머 Tg로서는,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값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표 1에 기재가 없는 모노머의 호모 폴리머 Tg로서는, 「Polymer Handbook」(제3판, John Wiley & Sons, Inc, 1989년)에 기재된 수치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헌에도 기재되지 않은 모노머의 호모 폴리머 Tg로서는, 상술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점탄성 시험에 의한 tanδ의 피크 톱 온도)을 채용할 수 있다.
Figure pct00008
또한, 표 1에 있어서의 「DCPMA/MMA=60/40」의 코폴리머는, DCPMA 60중량부와 MMA 40중량부의 코폴리머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이 아크릴계 폴리머 (A) 및 (B)를 함유하는 경우의 아크릴계 폴리머 (B)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중량부이다. 즉,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폴리머 (B)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의 전체 모노머 단위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폴리머 (B)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모노머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중량부이다. 아크릴계 폴리머 (B)의 함유량이 1중량부 이상이면 우수한 접착성 및 우수한 내발포 박리성이 얻기 쉬워져서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폴리머 (B)의 함유량이 30중량부 이하이면, 우수한 투명성과 접착 신뢰성이 얻기 쉬워져서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폴리머 (A) 및 (B)를 함유하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제작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혼합물 또는 아크릴계 폴리머 (A)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혼합물 부분 중합물(아크릴계 폴리머 (A)를 형성하는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의 부분 중합물)에, 아크릴계 폴리머 (B), 첨가제 등을 필요에 따라서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을 거쳐 제작된다.
[1-9. 고무계 폴리머]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로서, 고무계 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고무계 폴리머로서는, 천연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폴리이소프렌(PIP); 폴리이소부틸렌(PIB); 부텐(1-부텐 및 cis- 혹은 trans-2-부텐을 가리킴) 및/또는 2-메틸프로펜(이소부틸렌)을 주 모노머로 하는 부텐계 폴리머; A-B-A형 블록 공중합체 고무 및 그의 수소화물,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고무(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고무(SIS),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고무(SIBS), 스티렌-비닐·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고무(SVIS), SBS의 수소화물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고무(SEBS), SIS의 수소화물인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고무(SEPS) 등의 다양한 고무계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이들 고무계 폴리머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더한층의 고주파수대에서의 저유전율화, 저유전 손실화의 관점, 및/또는 저주파수대에서의 유전율의 제어의 관점에서, 상기 베이스 폴리머에 추가하여, 무기 미립자, 유기 미립자, 베이스 폴리머 이외의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무기 미립자, 유기 미립자로서는, 고주파수대에서의 저유전율화, 저유전 손실화의 관점에서, 절연성을 나타내는 것(절연성 필러)이 바람직하다.
[1-10. 무기 미립자]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무기 미립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실리카,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티타니아 등의 금속 산화물; 붕산 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금속염, 마이카 등의 광물, 중공 나노실리카 등의 중공 구조를 갖는 무기 미립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무기 미립자는, 베이스 폴리머 중의 분산성의 관점에서, 표면 처리가 실시된 것이어도 된다. 표면 처리제로서는, 공지 내지 관용의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란 커플링제, 티타늄 커플링제, 유기산, 폴리올, 실리콘 등을 들 수 있고, 실란 커플링제가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디메틸비닐메톡시실란, 디메틸비닐에톡시실란, 메틸비닐디메톡시실란, 메틸비닐디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2-메톡시)실란,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 2-메타크릴옥시에틸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트리에톡시페닐실란, 트리메톡시페닐실란, 디메톡시디페닐실란, 메틸디에톡시페닐실란, 디메톡시메틸페닐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미립자의 입경(D50)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점착제 조성물의 고주파수대에서의 저유전율화, 저유전 손실화, 저주파수대에서의 유전율의 제어, 투명성의 관점에서, 1 내지 1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이다. 또한, 상기 중심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법으로 측정한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적산값 50%에서의 입경(메디안 직경)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이 무기 미립자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점착제 조성물의 고주파수대에서의 저유전율화·저유전 손실화, 저주파수대에서의 유전율의 제어, 투명성의 관점에서, 베이스 폴리머(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30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5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10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중량부이다.
[1-11. 유기 미립자]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유기 미립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스티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스티렌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염화 비닐리덴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페놀계 수지, 스티렌-공액 디엔계 수지, 아크릴-공액 디엔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의 폴리머, 또는 이들 폴리머의 가교체에 의해 구성된 미립자, 나아가 이들 폴리머·폴리머 가교체에 의해 중공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 미립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유기 미립자의 입경(D50)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점착제 조성물의 고주파수대에서의 저유전율화·저유전 손실화, 저주파수대에서의 유전율의 제어, 투명성의 관점에서, 1 내지 1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이다. 또한, 상기 중심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법으로 측정한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적산값 50%에서의 입경(메디안 직경)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이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점착제 조성물의 고주파수대에서의 저유전율화·저유전 손실화, 저주파수대에서의 유전율의 제어, 투명성의 관점에서, 베이스 폴리머(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30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5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10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중량부이다.
[1-12. 폴리머 재료]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폴리머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유전율, 유전 손실이 낮고, 베이스 폴리머와 상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불소 수지, 불소 고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카르보네이트, 노르보르넨계 수지 또는 올레핀류와의 부가 공중합형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비스말레이미드·트리아진·레진,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액정 폴리머, 고무·엘라스토머, 수소 첨가 폴리올레핀 수지, 테르펜, 이소프렌, 테르펜페놀 수지,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 및 그것들의 수소 첨가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이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점착제 조성물의 고주파수대에서의 저유전율화·저유전 손실화, 저주파수대에서의 유전율의 제어, 투명성의 관점에서, 베이스 폴리머(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4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20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중량부이다.
[1-13. 방청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방청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에 방청제가 포함되어 있으면, 안테나 소자, 금속 배선에 대한 우수한 부식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방청제는, 금속의 녹이나 부식을 방지하는 화합물이다. 방청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아민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아질산염류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벤조산암모늄, 프탈산암모늄, 스테아르산암모늄, 팔미트산암모늄, 올레산암모늄, 탄산암모늄, 디시클로헥실아민벤조산염, 요소, 우로트로핀, 티오 요소, 카르밤산페닐, 시클로헥실암모늄-N-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CHC)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방청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모노에탄올아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 디에틸에탄올아민, 암모니아나 암모니아수 등의 히드록시기 함유 아민 화합물; 모르폴린 등의 환상 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등의 환상 알킬아민 화합물; 3-메톡시프로필아민 등의 직쇄상 알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질산염류로서는, 예를 들어 디시클로헥실암모늄나이트라이트(DICHAN), 디이소프로필암모늄나이트라이트(DIPAN), 아질산나트륨, 아질산칼륨, 아질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청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2 내지 15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0.02중량부 이상이면 양호한 부식 방지 성능이 얻기 쉬워져서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함유량이 15중량부 미만이면, 투명성을 확보하기 쉬워지고, 또한 내발포 박리성 등의 접착 신뢰성이 확보하기 쉬워져서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상기 방청제는, 베이스 폴리머에 대한 상용성, 투명성의 점에서,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특히, 접착 신뢰성, 투명성 및 부식 방지성의 특성을, 밸런스 좋게 높은 레벨로 얻을 수 있다는 점, 우수한 외관성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방청제가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2 내지 3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2.5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2중량부이다.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의 양이 일정 이하이기 때문에, 내발포 박리성 등의 접착 신뢰성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어, 점착 시트의 헤이즈 상승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로서는, 벤조트리아졸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하기 식 (6)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보다 우수한 부식 방지 효과가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9
(단, 상기 식 (6)에 있어서,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고, R2는 벤젠환 위의 치환기이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기, 아미노기, 모노 또는 디 C1-10 알킬아미노기, 아미노-C1-6 알킬기, 모노 또는 디 C1-10 알킬아미노-C1-6 알킬기, 머캅토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등의 치환기를 나타내고, n은 0 내지 4의 정수이며, n이 2 이상인 경우에는, n개의 R2는 동일해도 되고, 다르게 되어 있어도 되고, R3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기, 아미노기, 모노 또는 디 C1-10 알킬아미노기, 아미노-C1-6 알킬기, 모노 또는 디 C1-10 알킬아미노-C1-6 알킬기, 머캅토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 등의 치환기를 나타냄)
보다 우수한 부식 방지 효과가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R2로서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알콕시카르보닐기 등이 바람직하고, 메틸기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n은 0 또는 1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R3으로서는, 수소 원자, 모노 또는 디 C1-10 알킬아미노-C1-6 알킬기 등이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 디 C1-8알킬아미노 C1-4 알킬기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1-14. 실란 커플링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에, 실란 커플링제가 포함되어 있으면, 유리에 대한 우수한 접착성(특히, 고온 고습에서의 유리에 대한 우수한 접착 신뢰성)이 얻기 쉬워진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예를 들어 상품명 「KBM-403」(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제조) 등의 시판품도 들 수 있다. 또한, 실란 커플링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유리에 대한 접착 신뢰성 향상의 점에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5중량부이다.
[1-15. 가교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점착제 조성물에 가교제가 포함되어 있으면, 베이스 폴리머가 가교하여 겔 분율을 크게 하고, 내발포 박리성을 향상시키기 쉽게 한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를 가교하여, 겔 분율의 컨트롤을 용이하게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내발포 박리성을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과산화물계 가교제 외에, 요소계 가교제, 금속 알콕시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금속염계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점착제층이 베이스 폴리머로서 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인 경우, 내발포 박리성 향상의 점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이다. 또한,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1,2-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저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시클로펜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닛폰 폴리우레탄 고교(주) 제조, 상품명 「코로네이트 L」],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닛폰 폴리우레탄 고교(주) 제조, 상품명 「코로네이트 HL」], 트리메틸올프로판/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미츠이 가가쿠(주) 제조, 상품명 「타케네이트 D-110N」] 등의 시판품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다관능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디글리시딜아닐린,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탄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글리시딜에테르, 아디프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o-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트리글리시딜-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레조르신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S-디글리시딜에테르 외에, 분자 내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갖는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주) 제조, 상품명 「테트래드 C」 등의 시판품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베이스 폴리머로서 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인 경우, 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부이다. 가교제의 함유량이 0.001중량부 이상이면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되기 쉬워져서 바람직하다. 한편, 가교제의 함유량이 10중량부 이하이면, 점착제층이 적당한 유연성을 갖고, 점착력이 향상되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1-16. 첨가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가교 촉진제, 점착 부여 수지(로진 유도체, 폴리테르펜 수지, 유용성 페놀 등), 노화 방지제, 착색제(안료나 염료 등), 자외선 흡수제, 연쇄 이동제, 가소제, 연화제, 계면 활성제, 대전 방지제 등의 공지된 첨가제가, 본 발명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첨가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이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적당한 점착성을 부여한다는 관점에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 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박리 강도가 너무 높아지는 것을 피한다는 관점에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몇몇 양태에서는, 베이스 폴리머의 조성이나 Tg, 점착제의 겔 분율 등을 통하여 점착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점착 부여제를 사용하지 않는 양태에서도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2. 점착제층]
[2-1. 점착제층의 유전율, 유전 손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주파수대(28 내지 60㎓)의 밀리미터파에 있어서, 저유전율, 저유전 손실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밀리미터파의 방사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저주파수대(100㎑)의 밀리미터파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높은 유전율을 나타내고,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디스플레이 위에 배치한 경우에서도 높은 터치 센서 감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주파수 28㎓에 있어서의 유전율은,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며, 3.4 이하, 3.3 이하, 3.2 이하, 3.1 이하, 3.0 이하, 또는 2.9 이하여도 된다. 주파수 28㎓에 있어서의 유전율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1 이상, 또는 2.2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28㎓에서의 유전율은,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 모노머 조성, 첨가제의 종류나 함유량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100㎑에서의 유전율이 어느 정도 높게 제어되고 있고, 터치 센서(특히,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주파수 100㎑에 있어서의 유전율은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3 이상이며, 2.4 이상, 2.5 이상, 2.6 이상, 2.7 이상, 2.8 이상, 2.9 이상, 3.0 이상, 3.5 이상, 또는 4.0 이상이어도 된다. 주파수 100㎑에 있어서의 유전율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터치 패널의 오작동을 억제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이하, 또는 7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100㎑에서의 유전율은,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 모노머 조성, 첨가제의 종류나 함유량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28㎓에서의 유전 손실이 낮게 제어되고 있고, 밀리미터파의 방사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주파수 28㎓에 있어서의 유전 손실은,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5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3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2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 이하이다. 주파수 28㎓에 있어서의 유전 손실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0.0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5 이상, 또는 0.001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28㎓에서의 유전 손실은,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 모노머 조성, 첨가제의 종류나 함유량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60㎓에서의 유전율이 낮게 제어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밀리미터파의 방사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주파수 60㎓에 있어서의 유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며, 3.4 이하, 3.3 이하, 3.2 이하, 3.1 이하, 3.0 이하, 또는 2.9 이하여도 된다. 주파수 60㎓에 있어서의 유전율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1 이상, 또는 2.2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60㎓에서의 유전율은,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 모노머 조성, 첨가제의 종류나 함유량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60㎓에서의 유전 손실이 낮게 제어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밀리미터파의 방사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주파수 60㎓에 있어서의 유전 손실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5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3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2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 이하이며, 0.019 이하, 0.018 이하, 0.017 이하, 0.016 이하, 0.015 이하, 0.014 이하, 0.013 이하, 또는 0.012 이하여도 된다. 주파수 60㎓에 있어서의 유전 손실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0.0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5 이상, 또는 0.001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60㎓에서의 유전 손실은,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 모노머 조성, 첨가제의 종류나 함유량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2-2. 점착제층의 헤이즈, 전체 광선 투과율]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투명하거나 또는 투명성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점착제층을 통한 시인성이나 외관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광학용으로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헤이즈(JIS K7136에 준하는 것)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2%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8% 이하이다. 헤이즈가 1.2% 이하이면, 우수한 투명성이나 우수한 외관이 얻어져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헤이즈는, 예를 들어 점착제층(두께: 100㎛)으로 하고, 이것을 상태(23℃, 50% RH)에 적어도 24시간 정치한 후, 슬라이드 글라스(예를 들어, 전체 광선 투과율 91.8%, 헤이즈 0.4%의 것)에 접합한 것을 시료로 하고, 헤이즈 미터((주)무라카미 시키사이 기쥬츠 겐큐죠 제조, 상품명 「HM-150」)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가시광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JIS K7361-1에 준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85%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9%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1%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2% 이상이다. 전체 광선 투과율이 85% 이상이면 우수한 투명성이나 우수한 외관이 얻어져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체 광선 투과율은, 예를 들어 점착제층(두께: 100㎛)으로 하고, 이것을 상태(23℃, 50% RH)에 적어도 24시간 정치한 후, 세퍼레이터를 갖는 경우에는 이것을 박리하고, 슬라이드 글라스(예를 들어, 전체 광선 투과율 91.8%, 헤이즈 0.4%의 것)에 접합한 것을 시료로 하고, 헤이즈 미터((주)무라카미 시키사이 기쥬츠 겐큐죠 제조, 상품명 「HM-150」)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헤이즈, 전체 광선 투과율은,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 모노머 조성, 첨가제의 종류나 함유량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2-3. 점착제층의 겔 분율]
본 발명의 점착제층 겔 분율(불용 성분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30 내지 9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5%,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8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5%이다. 겔 분율이 30% 이상이면 상기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향상되고, 취급에서의 타흔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고온 환경하에서의 피착체와의 계면에서의 발포나 박리가 억제되고, 우수한 내발포 박리성이 얻기 쉬워져서 바람직하다. 또한, 겔 분율이 95% 이하이면, 적당한 유연성이 얻어지고, 보다 접착성, 단차 추종성이 향상되고, 또한 이물을 흡수하기 어려워져서 바람직하다.
(겔 분율)
상기 겔 분율(용제 불용 성분의 비율)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이하의 「겔 분율의 측정 방법」에 의해 산출되는 값이다.
점착 시트로부터 점착제층: 약 0.1g을 채취하고, 평균 구멍 직경 0.2㎛의 다공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상품명 「NTF1122」, 닛토덴코(주) 제조)로 둘러싼 후, 연실로 묶어, 그 때의 중량을 측정하고, 해당 중량을 침지 전 중량(Z)으로 한다. 또한, 해당 침지 전 중량은, 점착제층(상기에서 채취한 점착제층)과,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와, 연실의 총중량이다. 또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와 연실의 합계 중량도 측정해 두고, 해당 중량을 포대 중량(Y)으로 한다.
다음으로, 점착제층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로 둘러싸고 연실로 묶은 것(「샘플」이라고 칭함)을 아세트산에틸 또는 톨루엔으로 채운 50ml 용기에 넣고, 23℃에서 7일간 정치한다. 그 후, 용기로부터 샘플(아세트산에틸 또는 톨루엔 처리 후)을 꺼내어, 알루미늄제 컵으로 옮기고, 130℃에서 2시간, 건조기 내에서 건조하여 아세트산에틸 또는 톨루엔을 제거한 후, 중량을 측정하여, 해당 중량을 침지 후 중량(X)으로 한다.
그리고, 하기의 식으로부터 겔 분율을 산출한다.
겔 분율[%(중량%)]=(X-Y)/(Z-Y)×100
또한, 겔 분율은, 예를 들어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의 베이스 폴리머(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 등)의 모노머 조성, 중량 평균 분자량, 가교제의 사용량(첨가량), 그 밖의 첨가제의 종류나 사용량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2-4.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
본 발명의 점착제층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01M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MPa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MPa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MPa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MPa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1MPa 이상이다. 상기 저장 탄성률이 0.01MPa 이상이면, 취급에서의 타흔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양호한 접착 신뢰성이 얻기 쉬워져서 바람직하다. 또한, 단차 추종성, 이물 흡수성의 관점에서, 상기 점착제층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5MPa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5MPa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MPa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MPa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MPa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MPa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MPa 이하이다.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은, 동적 점탄성을 주파수 1㎐에 있어서 실시했을 때에 측정되는 것이다. 상기 저장 탄성률은 복소수로 표시되는 전단 탄성률의 실부이며, 인장 탄성률 등이란 샘플의 푸아송비를 고려하여 환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저장 탄성률은, 베이스 폴리머(아크릴계 폴리머)의 모노머 조성, 중량 평균 분자량, 가교제의 사용량(첨가량), 그 밖의 첨가제의 종류나 사용량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2-5. 점착제층의 300% 인장 잔류 응력]
본 발명의 점착제층 300% 인장 잔류 응력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2 내지 24N/㎠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20N/㎠,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6N/㎠이다. 상기 300% 인장 잔류 응력이 2N/㎠ 이상이면 양호한 내발포 박리성이 얻기 쉬워져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300% 인장 잔류 응력이24N/㎠ 이하이면, 양호한 응력 완화성이 얻어지고, 양호한 단차 추종성이 얻기 쉬워져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300% 인장 잔류 응력이 특정한 범위 내인 상기 점착제층을 갖고 있으면, 우수한 응력 완화성이 얻기 쉬워지고, 우수한 단차 추종성을 발휘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큰 단차(예를 들어, 45㎛ 정도의 높이를 갖는 단차, 특히 20 내지 50㎛의 높이를 갖는 단차)에 대해서도 양호하게 추종할 수 있다.
상기 300% 인장 잔류 응력은, 23℃ 50% RH의 환경하에 점착제층을, 길이 방향으로, 신율(변형) 300%까지 인장하고, 그 신율을 유지하여, 인장 종료로부터 300초 경과 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에 가해진 인장 하중을 구하고, 해당 인장 하중을 점착제층의 초기 단면적(인장하기 전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N/㎠)이다. 또한, 점착제층의 초기의 신율은 100%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300% 인장 잔류 응력은, 베이스 폴리머(아크릴계 폴리머)의 모노머 조성, 중량 평균 분자량, 가교제의 사용량(첨가량), 그 밖의 첨가제의 종류나 사용량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2-6. 점착제층의 두께]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0 내지 5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4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50㎛,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00㎛이다. 두께가 일정 이상이면 단차 추종성이나 접착 신뢰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가 일정 이하이면, 취급에서의 이물이 흡수하기 어려워지고, 또한 제조성이 특히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2-7.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
상기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또는 박리 라이너 위에 도포(도공)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 경화, 또는 건조 및 경화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경화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가열 건조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도공)에는, 공지된 코팅법이 이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콤마 코터, 다이렉트 코터 등의 코터가 사용되어도 된다.
[3. 점착 시트]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상기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갖고 있으면 되며, 그 밖의 점에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양면이 모두 점착제층 표면으로 되어 있는 양면 점착 시트여도 되고, 편면만이 점착제층 표면으로 되어 있는 편면 점착 시트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2개의 부재끼리를 접합한다는 관점에서는, 양면 점착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점착 시트」라고 하는 경우에는, 테이프 형상의 것, 즉, 「점착 테이프」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점착제층 표면을 「점착면」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사용 시까지는 점착면에 세퍼레이터(박리 라이너)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기재(기재층)을 갖지 않는, 소위 「무기재 타입」의 점착 시트(이하,「무기재 점착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여도 되고, 기재를 갖는 타입의 점착 시트(이하,「기재를 갖는 점착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여도 된다. 상기 무기재 점착 시트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양면 점착 시트나,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 이외의 점착제층(「다른 점착제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으로 이루어지는 양면 점착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기재를 갖는 점착 시트로서는, 기재의 적어도 편면측에 상기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무기재 점착 시트(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착제층만으로 이루어지는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이다. 또한, 기재의 양면에 상기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기재를 갖는 양면 점착 시트)도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를 갖는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의 양면의 점착제층은, 모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어도 되고, 한쪽이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며 다른 쪽이 다른 점착제층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기재(기재층)」에는, 점착 시트의 사용(첩부) 시에 박리되는 세퍼레이터는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기재를 갖는 점착 시트인 경우, 기재에 의한 밀리미터파의 방사 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무기재 점착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기재가 저유전율, 저유전 손실의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 기재를 갖는 점착 시트여도 된다.
[3-1. 점착 시트의 180° 박리 접착력]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유리판에 대한 인장 속도 300㎜/분에서의 180° 박리 접착력(특히,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점착면의 유리판에 대한 180° 박리 접착력)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접착력이 높으면, 안테나 소자에 대한 충분한 밀착이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3N/20㎜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N/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N/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N/20㎜, 더욱 바람직하게는 6N/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N/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N/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N/2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N/20㎜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유리판에 대한 인장 속도 300㎜/분에서의 180° 박리 접착력이 일정한 값 이상이면, 유리에 대한 접착성, 단차에 있어서의 들뜸의 억제성이 한층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유리판에 대한 인장 속도 300㎜/분에서의 180° 박리 접착력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30N/2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N/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2N/2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N/20㎜ 이하이며, 19N/20㎜ 이하, 18N/20㎜ 이하, 17N/20㎜ 이하, 16N/20㎜ 이하, 15N/20㎜ 이하, 14N/20㎜ 이하, 13N/20㎜ 이하, 12N/20㎜ 이하, 또는 11N/20㎜ 이하여도 된다. 유리판에 대한 인장 속도 300㎜/분에서의 180° 박리 접착력은, 하기의 180° 박리 접착력의 측정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 유리판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상품명 「소다석회 유리 #0050」(마츠나미 가라스 고교(주) 제조)을 들 수 있다. 또한, 무알칼리 유리나 화학 강화 유리 등도 들 수 있다.
(180° 박리 접착력의 측정 방법)
점착 시트의 점착면을 피착체에 접합하고, 2㎏ 롤러, 1왕복의 압착 조건에서 압착하고, 23℃, 50% RH의 분위기하에서 30분간 에이징한다. 에이징 후, JIS Z 0237에 준거하여, 23℃, 50% RH의 분위기하에서, 인장 속도 300㎜/분, 박리 각도 180°의 조건에서, 피착체로부터 점착 시트를 박리하고, 180° 박리 접착력(N/20㎜)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180° 박리 접착력은, 베이스 폴리머(아크릴계 폴리머)의 모노머 조성, 중량 평균 분자량, 가교제의 사용량(첨가량), 그 밖의 첨가제의 종류나 사용량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3-2. 점착 시트의 두께]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두께(총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0 내지 5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4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50㎛,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00㎛이다. 두께가 일정 이상이면 단차 부위에서의 박리가 발생하기 어려워져서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가 일정 이하이면, 제조 시에 우수한 외관을 유지하기 쉬워져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두께에는,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3-3. 점착 시트의 헤이즈, 전체 광선 투과율]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헤이즈(JIS K7136에 준함)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2%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8% 이하이다. 헤이즈가 1.2% 이하이면, 우수한 투명성이나 우수한 외관이 얻어져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헤이즈는, 예를 들어 점착 시트를 상태(23℃, 50% RH)에 적어도 24시간 정치한 후, 세퍼레이터를 갖는 경우에는 이것을 박리하고, 슬라이드 글라스(예를 들어, 전체 광선 투과율 91.8%, 헤이즈 0.4%의 것)에 접합한 것을 시료로 하고, 헤이즈 미터((주)무라카미 시키사이 기쥬츠 겐큐죠 제조, 상품명 「HM-150」)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가시광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JIS K7361-1에 준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85%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9%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1%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2% 이상이다. 전체 광선 투과율이 85% 이상이면 우수한 투명성이나 우수한 외관이 얻어져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체 광선 투과율은, 예를 들어 점착 시트를 상태(23℃, 50% RH)에 적어도 24시간 정치한 후, 세퍼레이터를 갖는 경우에는 이것을 박리하고, 슬라이드 글라스(예를 들어, 전체 광선 투과율 91.8%, 헤이즈 0.4%의 것)에 접합한 것을 시료로 하고, 헤이즈 미터((주)무라카미 시키사이 기쥬츠 겐큐죠 제조, 상품명 「HM-150」)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헤이즈, 전체 광선 투과율은,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 모노머 조성, 첨가제의 종류나 함유량, 기재 종류나 두께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3-4.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공지 내지 관용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무기재 점착 시트인 경우에는, 세퍼레이터 위에 상기 방법에 의해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기재를 갖는 점착 시트인 경우에는, 상기 점착제층을 기재의 표면에 직접 형성함으로써 얻어도 되고(직사법), 일단 세퍼레이터 위에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기재에 전사함(접합함)으로써, 기재 위에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얻어도 된다(전사법).
[3-5. 점착 시트의 다른 층]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상기 점착제층 외에, 다른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다른 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그 밖의 점착제층(상기 점착제층 이외의 점착제층(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 이외의 점착제층)), 중간층, 하도층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다른 층을 2층 이상 갖고 있어도 된다.
[3-6. 점착 시트의 기재]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기재를 갖는 점착 시트인 경우의 기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필름, 반사 방지(AR) 필름, 편광판, 위상차판 등의 각종 광학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 등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염화비닐,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상품명 「아톤(환상 올레핀계 폴리머, JSR(주)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환상 올레핀계 폴리머, 닛폰 제온(주) 제조)」 등의 환상 올레핀계 폴리머, 불소계 폴리머 등의 플라스틱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플라스틱 재료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하드 코트층, 안티 블로킹층, 반사 방지층, 대전 방지층, 접착 용이층, 방습층과 같은 공지 관용의 단일, 또는 복수의 기능을 겸한 기능을 갖는 표면 처리층이 적절히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기재」란, 점착 시트를 피착체에 첩부할 때에는, 점착제층과 함께 피착체에 첩부되는 부분이다. 점착 시트의 사용 시(첩부 시)에 박리되는 세퍼레이터(박리 라이너)는 「기재」에는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기재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의 가시광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JIS K7361-1에 준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85%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이상이다. 또한, 상기 기재의 헤이즈(JIS K7136에 준함)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2%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8% 이하이다. 이와 같은 투명한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PET 필름이나, 상품명 「아톤」, 상품명 「제오노아」 등의 무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무배향 필름은 그 특성이 밀리미터파의 전기장의 방향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12 내지 500㎛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는 단층 및 복층 중 어느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기재의 표면에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스마 처리, 전자선 처리 등의 물리적 처리, 하도 처리 등의 화학적 처리 등의 공지 관용의 표면 처리가 적절히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3-7. 점착 시트의 세퍼레이터]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사용 시까지는 점착면에 세퍼레이터(박리 라이너)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양면 점착 시트인 경우, 각 점착면은, 2매의 세퍼레이터에 의해 각각 보호되어 있어도 되고, 양면이 박리면이 되어 있는 세퍼레이터 1매에 의해, 롤형으로 권회되는 형태로 보호되어 있어도 된다. 세퍼레이터는 점착제층의 보호재로서 사용되고, 피착체에 첩부할 때에 박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무기재 점착 시트인 경우, 세퍼레이터는 점착제층의 지지체로서의 역할도 담당한다. 또한, 세퍼레이터는 반드시 마련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세퍼레이터로서는, 관용의 박리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박리 처리층을 갖는 기재, 불소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나 무극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박리 처리층을 갖는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장쇄 알킬계, 불소계, 황화몰리브덴 등의 박리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불소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에 있어서의 불소계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클로로 플루오로에틸렌-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극성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어 올레핀계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등을 들 수 있으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기재,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기재,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기재 등) 등도 사용된다. 또한, 세퍼레이터는 공지 내지 관용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의 두께 등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3-8. 점착 시트의 용도 등]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가지므로, 접착성 및 내발포 박리성이 우수하고, 또한 응력 완화성이 우수하며, 단차 추종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접착 신뢰성, 특히 고온 시의 접착 신뢰성이 우수하다. 또한, 외관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고온 시에 계면에서의 발포가 발생하기 쉬운 부재의 접합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수지(PMMA)는 미반응 모노머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고, 고온 시에 이물에 의한 발포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폴리카르보네이트(PC)는 고온 시에 물과 이산화탄소의 아웃 가스를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내발포 박리성이 우수하므로, 이러한 수지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피착체에 대해서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선팽창 계수가 작은 피착체에 추가하여, 선팽창 계수가 큰 피착체에 대해서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선팽창 계수가 작은 피착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유리판(선팽창 계수: 0.3×10-5 내지 0.8×10-5/℃),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PET 필름, 선팽창 계수: 1.5×10-5 내지 2×10-5/℃)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팽창 계수가 큰 피착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선팽창 계수가 큰 수지 기재를 들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기재(PC, 선팽창 계수: 7×10-5 내지 8×10-5/℃폴리메타크릴산메틸 수지 기재(PMMA, 선팽창 계수: 7×10-5 내지 8×10-5/℃),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기재(COP, 선팽창 계수: 6×10-5 내지 7×10-5/℃), 상품명 「제오노아」(닛폰 제온(주) 제조), 상품명 「아톤」(JSR(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선팽창 계수가 작은 피착체와 선팽창 계수가 큰 피착체의 접합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유리 피착체(예를 들어, 유리판, 화학 강화 유리, 유리 렌즈 등)와 상기 선팽창 계수가 큰 수지 기재의 접합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다양한 소재의 피착체끼리의 접합에 유용하며, 특히 유리 피착체와 플라스틱 피착체의 접합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플라스틱 피착체는, 표면에 ITO(인듐과 주석의 산화물)층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광학 필름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표면이 평활한 피착체에 추가하여, 표면에 단차를 갖는 피착체에 대해서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유리 피착체 및 상기 선팽창 계수가 큰 수지 기재 중 적어도 한쪽이 표면에 단차를 갖고 있어도, 유리 피착체와 상기 선팽창 계수가 큰 수지 기재의 접합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휴대 전자 기기의 제조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휴대 전자 기기로서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PHS, 스마트폰, 태블릿(태블릿형 컴퓨터), 모바일 컴퓨터(모바일 PC), 휴대 정보 단말기(PDA), 전자 수첩, 휴대형 텔레비전이나 휴대형 라디오 등의 휴대형 방송 수신기, 휴대형 게임기, 포터블 오디오 플레이어, 휴대용 DVD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등의 카메라, 캠코더형의 비디오 카메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예를 들어 휴대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부재나 모듈끼리의 첩부나, 휴대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부재나 모듈의 하우징에 대한 고정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버 유리나 렌즈(특히 유리 렌즈)와 터치 패널이나 터치 센서, 안테나 모듈의 접합, 커버 유리나 렌즈(특히 유리 렌즈)의 하우징에 대한 고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우징에 대한 고정, 안테나 모듈의 하우징에 대한 고정, 시트 형상 키보드나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의 하우징에 대한 고정, 정보 표시부의 보호 패널과 하우징의 접합, 하우징끼리의 접합, 하우징과 장식용 시트의 접합, 휴대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나 모듈의 고정이나 접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이란, 렌즈(특히 유리 렌즈) 및 터치 패널에 의해 적어도 구성되는 구조물을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렌즈는, 광의 굴절 작용을 나타내는 투명체 및 광의 굴절 작용이 없는 투명체의 양쪽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렌즈에는, 굴절 작용이 없는 단순한 창 패널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광학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광학 용도에 사용되는 광학용 점착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광학 부재를 접합하는 용도(광학 부재 접합용)나 상기 광학 부재가 사용된 제품(광학 제품)의 제조 용도 등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9. 광학 부재]
광학 부재로서는, 상기 점착 시트 및 기판을 적어도 갖는 광학 부재이며, 상기 기판은 적어도 편면에 금속 전극 및 배선(예를 들어 구리, 은, ITO 배선 등)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의 상기 금속 전극 및 배선을 갖는 측의 면 위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접착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 시트는, 사용 시까지는 점착면에 세퍼레이터가 마련되어 있어도 되지만, 본 발명의 광학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 시트는 사용시의 점착 시트이기 때문에, 세퍼레이터는 갖지 않는다.
또한,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기판의 상기 금속 전극 및 배선을 갖는 측과는 반대 측에 상기 점착제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기판의 상기 금속 전극 및 배선을 갖는 측과는 반대 측의 면 위에 상기 점착제층이 접착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전극 및 배선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티타늄, 규소, 니오븀, 인듐, 아연, 주석, 금, 은, 구리, 알루미늄, 코발트, 크롬, 니켈, 납, 철, 팔라듐, 백금, 텅스텐, 지르코늄, 탄탈, 하프늄 등의 금속, ITO(인듐과 주석의 산화물), 산화아연, 산화주석 등의 금속 산화물을 들 수 있다. 나아가, 이들 금속, 금속 산화물을 2종 이상 함유하는 것이나, 이들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도전성의 점에서, 금, 은, 구리, ITO가 바람직하고, 도전성 및 비용의 점에서, 은, 구리, ITO가 보다 바람직하고, 투명성의 점에서 ITO가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금속 전극 및 배선은, 은, 구리 또는 ITO 배선인 것이 바람직하고, ITO 배선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밀리미터파 안테나 소자를 구성하는 재료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금속 전극 및 배선은, 금속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전극 및/또는 배선을 은폐할 목적으로, 해당 금속의 질화물, 산화물, 황화물 등의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흑화 처리를 실시하고 있어도 된다.
광학 부재란, 광학적 특성(예를 들어, 편광성, 광 굴절성, 광산란성, 광 반사성, 광투과성, 광흡수성, 광회절성, 선광성, 시인성, 전자파 투과성 등)을 갖는 부재를 말한다. 상기 광학 부재를 구성하는 기판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표시 장치(화상 표시 장치), 입력 장치 등의 기기(광학 기기), 안테나 모듈을 구성하는 기판 또는 이들 기기에 사용되는 기판을 들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편광판, 파장판, 위상차판,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도광판, 반사 필름, 반사 방지 필름, 안테나 기판, 하드 코트 필름(PET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하드 코트 처리가 실시된 필름), 투명 도전 필름(예를 들어, 표면에 ITO층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바람직하게는, PET-ITO,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등의 ITO 필름) 등), 의장 필름, 장식 필름, 표면 보호판, 프리즘, 렌즈, 컬러 필터, 투명 기판(유리 센서, 유리제 표시 패널(LCD 등), 투명 전극을 구비한 유리판 등의 유리 기판 등)이나, 나아가 이들이 적층되어 있는 기판(이들을 총칭하여 「기능성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필름은, 금속 나노 와이어층이나 도전성 고분자층 등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이들 필름에는, 금속 세선이 메시 인쇄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들 필름에는, 안테나 소자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판」 및 「필름」은, 각각 판 형상, 필름 형상, 시트 형상 등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예를 들어 「편광 필름」은, 「편광판」 및 「편광 시트」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필름」은 필름 센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금속 세선은, 금속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은폐할 목적으로, 해당 금속의 질화물, 산화물, 황화물 등의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흑화 처리를 실시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표시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PDP(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페이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장치로서는,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안테나 모듈로서는, 후술하는 밀리미터파 안테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를 구성하는 기판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유리,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금속 박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판(예를 들어, 시트 형상이나 필름 형상, 판 형상의 기판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학 부재」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나 입력 장치의 시인성을 유지하면서 장식이나 보호의 역할을 담당하는 부재(의장 필름, 장식 필름이나 표면 보호 필름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기재를 갖는 점착 시트이고, 또한 상기 점착 시트가 광학적 특성을 갖는 부재를 구성하면, 상기 기재는 상기 기판과 동일시할 수 있고, 상기 광학 부재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라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기재를 갖는 점착 시트이며, 상기 기재로서 상기 기능성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기능성 필름의 적어도 편면측에 상기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형 기능성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3-10. 밀리미터파 안테나]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밀리미터파 등의 고주파수대에서의 유전율, 유전 손실이 낮은 점착제층(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가지므로, 밀리미터파의 방사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밀리미터파 통신에 사용되는 안테나(밀리미터파 안테나)를 구성하는 부재를 접합하는 용도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저주파수대(100㎑)에서의 유전율은 어느 정도 높게 제어되고 있기 때문에,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디스플레이 위에 배치한 경우에도 터치 센서의 감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밀리미터파 통신」이란, 20㎓ 내지 300㎓의 주파수대에서의 통신을 의미한다.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구성하는 부재로서는, 적어도 편면에 밀리미터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소자(이하,「밀리미터파 안테나 소자」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구비하는 기판(이하,「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들 수 있다.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으로서는, 상기 점착 시트의 기재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필름이 예시되고, 밀리미터파의 방사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저유전율, 저유전 손실의 소재가 바람직하고, 특히 상품명 「아톤(환상 올레핀계 폴리머, JSR(주)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환상 올레핀계 폴리머, 닛폰 제온(주) 제조)」 등의 환상 올레핀계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의 28㎓ 및 또는 60㎓에 있어서의 유전율은, 밀리미터파의 방사 손실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2.0 내지 5.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4.5,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5,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4,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3,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2,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1, 특히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0이다.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의 28㎓ 및 또는 60㎓에 있어서의 유전 손실은, 밀리미터파의 방사 손실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0.0001 내지 0.0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02,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2 내지 0.019,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3 내지 0.018,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4 내지 0.017,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016,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6 내지 0.015,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7 내지 0.014,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8 내지 0.013,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9 내지 0.012,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11이다.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은,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의 가시광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JIS K7361-1에 준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85%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9%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1%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2% 이상이다.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의 헤이즈(JIS K7136에 준함)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2%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8% 이하이다.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의 두께는, 밀리미터파 안테나 소자를 실장하면서, 밀리미터파의 방사 손실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5 내지 250㎛가 바람직하다.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은 단층 및 복층 중 어느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의 표면에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스마 처리 등의 물리적 처리, 하도 처리 등의 화학적 처리, 하드 코팅 등의 코팅층 등의 공지 관용의 표면 처리가 적절히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이 구비하는 밀리미터파 안테나 소자로서는, 밀리미터파를 송수신 가능한 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통신 기기로 밀리미터파를 효율적으로 수신한다는 관점에서, 페이즈드 어레이 안테나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페이즈드 어레이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어레이 형상으로 배열하고, 각각의 안테나 소자의 위상을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안테나이다. 즉, 페이즈드 어레이 안테나는, 안테나의 방향에 관계없이, 전자적으로 각 안테나 소자의 위상을 컨트롤함(빔 스티어링)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전파를 송신하거나, 전파를 수신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밀리미터파 안테나 소자로서는, 공지된 안테나를 특별히 한정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루프 안테나 구조체, 패치 안테나 구조체, 스택형 패치 안테나 구조체, 기생 소자를 갖는 패치 안테나 구조체, 역 F 안테나 구조체, 슬롯 안테나 구조체, 평판 역 F 안테나 구조체, 모노폴, 다이폴, 헤리컬 안테나 구조체, 야기(야기·우다) 안테나 구조체, 표면 집적 도파로 구조체, 이들의 설계의 허브 리드 등으로 형성되는 공진 소자를 갖는 안테나 소자를 들 수 있다. 다른 주파수 대역의 조합에 대하여 다른 종류의 밀리미터파 안테나 소자가 사용되어도 된다.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통신 기기로 밀리미터파를 효율적으로 수신한다는 관점에서, 패치 안테나 소자를 어레이 형상으로 배열한 페이즈드 어레이 안테나가 바람직하다.
밀리미터파 안테나 소자를 구성하는 소재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티타늄, 규소, 니오븀, 인듐, 아연, 주석, 금, 은, 구리, 알루미늄, 코발트, 크롬, 니켈, 납, 철, 팔라듐, 백금, 텅스텐, 지르코늄, 탄탈, 하프늄 등의 금속, ITO(인듐과 주석의 산화물), 산화아연, 산화주석 등의 금속 산화물을 들 수 있다. 나아가, 이들 금속이나 금속 산화물을 2종 이상 함유하는 것이나, 이들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도전성의 관점에서, 은, 구리, ITO가 바람직하고, 투명성, 시인성의 점에서, ITO가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소자는, 특히 ITO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테나 소자가 은, 구리 등의 금속으로 구성되는 경우, 금속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안테나 소자를 은폐할 목적으로, 해당 금속의 질화물, 산화물, 황화물 등의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흑화 처리를 실시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은, 밀리미터파 안테나 소자가 송수신하는 신호를 송수신기 회로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선 경로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전송선 경로는, 동축 케이블 경로,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 스트립 라인 전송선, 에지 결합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 에지 결합 스트립 라인 전송선, 밀리미터파 주파수대에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도파로 구조체(예를 들어, 공면 도파로 또는 접지된 공면 도파로), 이들 종류의 전송선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전송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선 경로를 구성하는 소재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밀리미터파 안테나 소자를 구성하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구성하는 부재로서는,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 위에 배열된 밀리미터파 안테나 소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에 적층하는 커버 부재를 들 수 있다. 커버 부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유리나 플라스틱 필름 등의 광학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 등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투명 폴리이미드, 폴리염화비닐, 폴리아세트산비닐, 불소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상품명 「아톤(환상 올레핀계 폴리머, JSR(주)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환상 올레핀계 폴리머, 닛폰 제온(주) 제조)」 등의 환상 올레핀계 폴리머 등의 플라스틱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플라스틱 재료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커버 부재의 28㎓ 및 또는 60㎓에 있어서의 유전율은, 밀리미터파의 방사 손실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2.0 내지 5.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4.5,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5,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4,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3,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2,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1, 특히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0이다. 또한, 커버 부재의 28㎓ 및 또는 60㎓에 있어서의 유전 손실은, 밀리미터파의 방사 손실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0.0001 내지 0.0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02,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2 내지 0.019,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3 내지 0.018,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4 내지 0.017,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016,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6 내지 0.015,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7 내지 0.014,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8 내지 0.013,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9 내지 0.012,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11이다.
상기 커버 부재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부재의 가시광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JIS K7361-1에 준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85%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9%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1%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2% 이상이다. 또한, 커버 부재의 헤이즈(JIS K7136에 준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2%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8% 이하이다.
커버 부재의 두께는, 밀리미터파의 방사 손실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0.025 내지 1.5㎜가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 부재는 단층 및 복층 중 어느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커버 부재의 표면에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스마 처리 등의 물리적 처리, 하도 처리 등의 화학적 처리, 하드 코팅 등의 코팅층 등의 공지 관용의 표면 처리가 적절히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휴대용 통신 기기에 사용되는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제조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휴대용 통신 기기로서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PHS, 스마트폰, 태블릿(태블릿형 컴퓨터), 모바일 컴퓨터(모바일 PC), 휴대 정보 단말기(PDA) 등을 들 수 있다.
밀리미터파 안테나는,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 커버 부재, 점착 시트 이외의 부재를 갖고 있어도 되며, 예를 들어 편광판, 파장판, 위상차판,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도광판, 반사 필름, 반사 방지 필름, 하드 코트 필름, 투명 도전 필름, 의장 필름, 장식 필름, 표면 보호판, 프리즘, 렌즈, 컬러 필터, 투명 기판이나, 화상 표시 패널(예, 액정 표시 패널, 유기 EL 패널,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 등을 갖고 있어도 된다. 화상 표시 패널은, 터치 센서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밀리미터파 안테나는, 휴대용 통신 기기가 어떤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며,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통신 기기의 전면, 이면, 측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휴대용 통신 기기의 전면이란, 사용자가 휴대용 통신 기기를 사용할 때에, 사용자에 대향하는 면이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면이 해당되고, 이면, 측면은 하우징이 해당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이란, 렌즈(특히 유리 렌즈) 및 터치 패널에 의해 적어도 구성되는 구조물을 말한다.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크기(넓이)도 한정되지 않고, 휴대용 통신 기기의 각 면의 전체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며, 일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사각, 동그라미, 배선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프레임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휴대용 통신 기기에 배치되는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수도 한정되지 않고, 1개여도 되고, 복수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의 밀리미터파 안테나가 배치되는 경우, 크기(넓이)는 동일해도 되고 다르게 되어 있어도 된다. 휴대용 통신 기기의 밀리미터파 안테나가 배치되지 않은 개소에는,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구비하지 않는 더미 패턴을 배치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밀리미터파 등의 고주파수대에서의 유전율, 유전 손실이 낮은 점착제층(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갖는 한편, 저주파수대(100㎑)에서의 유전율은 어느 정도 높게 제어되고 있기 때문에, 높은 안테나 이득을 나타내면서, 터치 센서(특히,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에 대해서도 높은 감도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밀리미터파 안테나는, 터치 센서의 검출 기능을 저해하지 않고 높은 안테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의 밀리미터파 안테나(이하,「본 발명의 밀리미터파 안테나」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는, 상기 점착 시트, 기판 및 화상 표시 패널을 적어도 갖는 밀리미터파 안테나이며, 상기 기판은 편면에 안테나 소자(밀리미터파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의 상기 안테나 소자를 갖는 측의 면 위에 상기 점착 시트가 접착되어 있고, 화상 표시 패널은 터치 센서를 갖고 있으면 되며, 그 밖의 점에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밀리미터파 안테나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 시트는 사용 시의 점착 시트이기 때문에, 세퍼레이터는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밀리미터파 등의 고주파수대에서의 유전율, 유전 손실이 낮은 점착제층(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갖는 한편, 저주파수대(100㎑)에서의 유전율은 어느 정도 높게 제어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밀리미터파 안테나는, 높은 안테나 이득을 나타내면서, 터치 센서(특히,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에 대해서도 높은 감도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밀리미터파 안테나는, 디스플레이(화상 표시 패널) 위에 적합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리미터파 안테나에 있어서,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은 디스플레이(화상 표시 패널) 위에 배치되는 한, 어떠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크기(넓이)도 한정되지 않고, 화상 표시 패널의 전체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일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사각, 동그라미, 배선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에 프레임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위에 배치되는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수도 한정되지 않고, 1개여도 되고, 복수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의 밀리미터파 안테나가 배치되는 경우, 크기(넓이)는 동일해도 되고 다르게 되어 있어도 된다. 화상 표시 패널의 밀리미터파 안테나가 배치되지 않은 개소에는, 시인성을 향상시기 위해서,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구비하지 않는 더미 패턴을 배치해도 된다.
상기 밀리미터파 안테나로서는,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을, 화상 표시 패널(반드시 상기 점착 시트를 갖고 있어도 되며, 갖고 있지 않아도 되지만, 갖고 있는 것이, 밀리미터파의 방사 손실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함)과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는 양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이외의 광학 부재(예를 들어, 편광판 등)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화상 표시 패널 이외의 광학 부재는, 단수여도, 복수여도 된다.
상기 양태의 경우의 본 발명의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과 상기 커버 부재의 접합의 양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1)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통해 본 발명의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과 상기 커버 부재를 접합하는 양태, (2)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을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하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상기 상기 커버 부재에 접합하는 양태, (3)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를 통해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을 커버 부재에 접합하는 양태, (4)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을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하는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를, 상기 커버 부재에 접합하는 양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2)의 양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기재가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인 양면 점착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태의 경우의 본 발명의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과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의 접합의 양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 점착 시트를 통해 본 발명의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과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을 접합하는 양태, (2)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을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하는 점착 시트를, 상기 화상 표시 패널에 접합하는 양태, (3) 점착 테이프를 통해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을 화상 표시 패널에 접합하는 양태, (4)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을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하는 점착 테이프를, 상기 화상 표시 패널에 접합하는 양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2)의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점착 시트는, 기재가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인 양면 점착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과 화상 표시 패널의 접합에 사용되는 상기 점착 시트, 점착 테이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높은 안테나 이득과 터치 센서 감도를 실현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점착 시트,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가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커버 부재(12), 점착 시트(10a),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11), 점착 시트(10b), 및 화상 표시 패널(13)을 이 순서로 서로 접하는 상태에서 갖는 밀리미터파 안테나(1)가 기재되어 있다.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11)은 점착 시트(10a) 측의 면에 밀리미터파 안테나 소자(2)를 구비하고 있고, 점착 시트(10a)는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11)의 밀리미터파 안테나 소자(2)를 갖는 측의 면 위에 접착되어 있다. 커버 부재(12)는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고,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11)은 저유전율, 저유전 손실의 점에서, COP인 것이 바람직하고, 밀리미터파 안테나 소자(2)는 투명성, 시인성의 관점에서, ITO, 또는 질화물, 산화물, 황화물 등의 피막으로 흑화 처리된 은 또는 구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시트(10b)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여도 되고,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아니어도 되지만,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표시 패널(13)은 터치 센서(특히,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갖고 있다(도시생략).
도 1의 밀리미터파 안테나(1)에 있어서, 점착 시트(10a), 및 바람직하게는 점착 시트(10b)는 고주파수대에서의 유전율, 유전 손실이 낮은 본 발명의 점착제층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밀리미터파의 방사 손실이 억제되어 있고, 밀리미터파 통신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밀리미터파 통신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안테나 면적을 소형화할 수 있어, 안테나를 미세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밀리미터파 안테나(1)에 있어서, 점착 시트(10a) 및 바람직하게는 점착 시트(10b)는 저주파수대에서의 어느 정도 높은 유전율로 제어되고 있기 때문에, 화상 표시 패널(13)이 갖는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커버 부재(12)의 상부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감도 좋게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크릴산2-에틸헥실(2EHA) 43중량부, 아크릴산이소스테아릴(ISTA) 43중량부, N-비닐-2-피롤리돈(NVP) 12중량부, 및 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4HBA) 1중량부로 구성되는 모노머 혼합물에, 광중합 개시제(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BASF사 제조) 0.035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상품명 「이르가큐어 651」, BASF사 제조) 0.035중량부를 배합한 후, 점도(BH 점도계 No.5 로터, 10rpm, 측정 온도 30℃)가 약 20Pa·s가 될 때까지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모노머 성분의 일부가 중합된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해당 프리폴리머 조성물 100중량부에,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0.075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상품명 「KBM-403」,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제조) 0.3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점착제 조성물(경화 전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세퍼레이터(상품명 「MRF50」, 미츠비시 케미컬(주) 제조) 위에 최종적인 두께(점착제층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도포하고, 도포층(점착제 조성물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도포층 위에, PET 세퍼레이터(상품명 「MRF38」, 미츠비시 케미컬(주) 제조)를 마련하고, 도포층을 피복하여 산소를 차단하였다. 그리고, MRF50/도포층(점착제 조성물층)/MRF38의 적층체를 얻었다.
다음으로, 이 적층체에 대하여 적층체의 상면(MRF38 측)으로부터, 블랙 라이트((주)도시바 제조)로, 조도(5㎽)/㎠의 자외선을 300초간 조사하였다. 또한 90℃의 건조기에서 2분간 건조 처리를 행하고, 잔존 모노머를 휘발시켰다. 그리고, 점착제층만으로 이루어지고, 점착제층의 양면이 세퍼레이터로 보호되어 있는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2]
아크릴산2-에틸헥실(2EHA) 25중량부, 아크릴산라우릴(LA) 62중량부, N-비닐-2-피롤리돈(NVP) 8중량부 및 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4HBA) 5중량부로 구성되는 모노머 혼합물을 사용하여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얻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3]
폴리이소부틸렌(상품명 「OPPANOL N80」, Mw: 1,050,000, Mn: 440,000, Mw/Mn: 2.4, BASF사 제조) 100중량부와, 점착 부여제로서, 완전 수소 첨가 테르펜페놀(연화점: 135℃, 수산기가: 160인 완전 수소 첨가 테르펜페놀) 22중량부를 톨루엔 중에서 배합하고, 고형분이 13중량%인 점착제 조성물(용액)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용액)을 PET 세퍼레이터(상품명 「MRF50」, 미츠비시 케미컬(주) 제조) 위에 최종적인 두께(점착제층의 두께)가 50㎛가 되도록 도포하고, 도포층(점착제 조성물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도포층을 130℃에서 5분 건조시켜서,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점착제층의 두께가 50㎛의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점착 시트의 점착면에는, PET 세퍼레이터(상품명 「MRF38」, 미츠비시 케미컬(주) 제조)를 박리 처리면과 상기 점착제층이 접하도록 접합하였다. 점착제층의 양면이 세퍼레이터로 보호되어 있는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4]
점착제 조성물로서,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폴리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고무(SEPS: 쿠라레사 제조 「셉톤 2063」, 스티렌 함유량: 13%) 100중량부를, 300중량부의 톨루엔과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PET 세퍼레이터(상품명 「MRF50」, 미츠비시 케미컬(주) 제조)의 박리 처리면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한 후, 130℃에서 5분간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점착 시트의 점착면에는, PET 세퍼레이터(상품명 「MRF38」, 미츠비시 케미컬(주) 제조)를 박리 처리면과 상기 점착제층이 접하도록 접합하였다. 점착제층의 양면이 세퍼레이터로 보호되어 있는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1]
아크릴산부틸(BA) 65중량부, 아크릴산시클로헥실(CHA) 13중량부,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HEA) 7중량부, 및 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4HBA) 30중량부로 구성되는 모노머 혼합물을 사용하여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얻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5 내지 42]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표 2에 도시한 모노머 성분의 혼합물, 열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2중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을 모노머 성분이 70중량%로 되도록 투입하고, 질소 가스를 흘려, 교반하면서 약 1시간의 질소 치환을 행하였다. 그 후, 반응 용기를 70℃에서 가열하고, 6시간 반응시켰다. 또한, 반응 용기를 80℃에서 가열하고, 3시간 반응시켜서 중량 평균 분자량(Mw) 40만의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얻었다. 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용액(고형분 100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상품명 「코로네이트 HX」, 도소(주) 제조)로서, 고형분 농도 100중량%를 고형분 기준으로 0.1중량부, 가교 촉진제로서 디옥틸주석 디라우레이트(상품명 「엔비라이저 OL-1」, 도쿄 파인케미컬(주) 제조) 0.01중량부, 및 가교 지연제로서 아세틸아세톤 5중량부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본 예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세퍼레이터(상품명 「MRF38」, 미츠비시 케미컬(주) 제조) 위에 최종적인 두께(점착제층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도포하고, 도포층(점착제 조성물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130℃의 건조기에서 120분간 건조 처리를 행하고, 용매 및 잔존 모노머를 휘발시켰다. 또한, 상기 도포층 위에, PET 세퍼레이터(상품명 「MRE38」, 미츠비시 케미컬(주) 제조)를 마련하고, 점착제층만으로 이루어지고, 점착제층의 양면이 세퍼레이터로 보호되어 있는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를 얻었다.
표 2에 나타낸 수치의 단위는 「중량부」이다. 또한, 표 2에 나타낸 각 모노머 성분은 이하와 같다.
LMA: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LA: 라우릴아크릴레이트
2-EH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i-NA: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L-7MA: C12-13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IDMA: 이소데실메타크릴레이트
HEMA: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MM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매크로 모노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매크로 모노머
CHMA: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IBXMA: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MAA: 메타크릴산
NVP: N-비닐피롤리돈
PHE-1G: 2-페녹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BzMA: 벤질메타크릴레이트
M-20G: 2-(2-메톡시에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Figure pct00010
[특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무기재 양면 점착 시트에 대하여, 하기의 측정 또는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1) 유전율, 유전 손실의 평가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 단체(양면 점착 시트로부터 실리콘 처리를 실시한 PET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것)를 이하의 장치에 의해, 주파수 28㎓ 및 60㎓에 있어서의 유전율 및 유전 손실, 및 100㎑에서의 유전율을 측정하였다. 28㎓의 측정인 경우에는 직경 8㎝의 원의 영역에 대하여 실시하고, 60㎓의 측정인 경우에는 직경 4㎝의 원의 영역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각 검체에서 3샘플 제작하고, 그러한 3샘플의 측정값의 평균을 비유전율, 유전 손실로 하였다.
측정 방법: 개방형 공진기법 JIS R1660-2
장치: 키컴(주) 제조, 간섭형 공진기법 유전율 측정 시스템
측정 환경: 23±1℃, 52±1% RH
(2) 전체 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
양면 점착 시트로부터 한쪽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하여, 해당 양면 점착 시트를 슬라이드 글라스(마츠나미 가라스 고교(주) 제조, 「백연마 No.1」, 두께 0.8 내지 1.0㎜, 전체 광선 투과율 92%, 헤이즈 0.2%)에 접합하고, 추가로 다른 쪽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하여, 양면 점착 시트(점착제층)/슬라이드 글라스의 층 구성을 갖는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상기 시험편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를, 헤이즈 미터(장치명 「HM-150」, (주)무라카미 시키사이 기쥬츠 겐큐죠 제조)를 사용하여 23±1℃, 52±1% RH의 환경하에서 측정하였다. 각 검체에서 3샘플 제작하고, 그러한 3샘플의 측정값의 평균을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로 하였다.
(3) 송수신 특성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양면 점착 시트로부터 실리콘 처리를 실시한 PET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것)의 송수신 특성은 도 2에 도시된 사각형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전자통신정보학회 4군 2편 5장 「평면 안테나」, URL: http://www.ieice hbkb.org/files/04/04gun_02hen_05.pdf를 참조)에 의해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안테나 기판(24)으로서 두께 100㎛의 COP 기재(상품명: 제오노아, 닛폰 제온(주) 제조)의 표면에 도 2에 도시한 형상의 밀리미터파용 패치 안테나(23), 이면에 1㎛ 두께의 구리 그라운드층(25)이 형성된, 안테나 필름(26)을 작성하였다. 밀리미터파용 패치 안테나(23)의 사이즈는, 각 실시예·비교예의 점착제와 적층했을 때에 최량이 되도록 조정하였다(세로 A: 2.8 내지 3.2㎜, 가로 B: 4.13㎜). 상기 안테나 필름(26)의 패치 안테나(23) 측에 각 실시예·비교예의 점착제층(22)을 기포나 이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첩부하고, 계속하여 커버 유리(21)로서 두께 0.7㎜의 화학 강화 유리(코닝사 제조)에 접합하고, 커버 유리(21)/점착제층(22)/안테나 필름(26)의 안테나 적층체(2A)를 작성하였다. 각종 안테나 적층체(2A)의 밀리미터파용 패치 안테나(23)에 접속된 마이크로스트립 선로(23a)로부터 급전하고, 30㎓의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송수신 특성을 평가하여, 점착제층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커버 유리(21)에 안테나 필름(26)을 근접 배치한 것)의 이득(5.7㏈)보다 향상된 것을 ○, 저하(악화)된 것을 ×로 하였다.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본 발명의 베리에이션을 이하에 부기한다.
[부기 1] 주파수 28㎓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5이고,
주파수 100㎑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8이며,
주파수 28㎓에서의 유전 손실은 0.0001 내지 0.05인 점착제 조성물.
[부기 2] 주파수 60㎓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5이고,
주파수 60㎓에서의 유전 손실은 0.0001 내지 0.05인, 부기 1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
[부기 3] 주파수 60㎓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5이고,
주파수 100㎑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8이며,
주파수 60㎓에서의 유전 손실은 0.0001 내지 0.05인 점착제 조성물.
[부기 4] 부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
[부기 5] 부기 4에 기재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
[부기 6] 부기 5에 기재된 점착 시트, 및 기판, 및 화상 표시 패널을 적어도 갖는 밀리미터파 안테나이며, 상기 기판은 적어도 편면에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의 상기 안테나 소자를 갖는 측의 면 위에 상기 점착 시트가 접착되어 있으며, 화상 표시 패널은 터치 센서를 갖는, 밀리미터파 안테나.
1: 밀리미터파 안테나
10a, 10b: 점착 시트
11: 밀리미터파 안테나 기판
12: 커버 부재
2: 밀리미터파 안테나 소자
13: 화상 표시 패널
2A: 안테나 적층체
21: 커버 유리
22: 점착제층
23: 밀리미터파용 패치 안테나
23a: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24: 안테나 기판
25: 구리 그라운드층
26: 안테나 필름

Claims (6)

  1. 주파수 28㎓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5이고,
    주파수 100㎑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8이며,
    주파수 28㎓에서의 유전 손실은 0.0001 내지 0.05인, 점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주파수 60㎓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5이고,
    주파수 60㎓에서의 유전 손실은 0.0001 내지 0.05인, 점착제 조성물.
  3. 주파수 60㎓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5이고,
    주파수 100㎑에서의 유전율은 2 내지 8이며,
    주파수 60㎓에서의 유전 손실은 0.0001 내지 0.05인, 점착제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
  5. 제4항에 기재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
  6. 제5항에 기재된 점착 시트, 기판, 및 화상 표시 패널을 적어도 갖는 밀리미터파 안테나이며, 상기 기판은 적어도 편면에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의 상기 안테나 소자를 갖는 측의 면 위에 상기 점착 시트가 접착되어 있으며, 화상 표시 패널은 터치 센서를 갖는, 밀리미터파 안테나.
KR1020237014016A 2020-09-29 2021-09-14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및 점착 시트 KR202300742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64071 2020-09-29
JP2020164071 2020-09-29
JPJP-P-2021-120710 2021-07-21
JP2021120710A JP2022056352A (ja) 2020-09-29 2021-07-21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PCT/JP2021/033796 WO2022070900A1 (ja) 2020-09-29 2021-09-14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249A true KR20230074249A (ko) 2023-05-26

Family

ID=8095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016A KR20230074249A (ko) 2020-09-29 2021-09-14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및 점착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30074249A (ko)
CN (1) CN116209726A (ko)
TW (1) TW202231826A (ko)
WO (1) WO20220709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16419A (ja) * 2021-07-21 2023-02-0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JP2023016418A (ja) * 2021-07-21 2023-02-0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JP2023016420A (ja) * 2021-07-21 2023-02-0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86942A (ja) 2018-04-11 2019-10-24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誘電体層に搭載された電子デバイスのアンテナアレ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1638A (ja) * 2011-12-27 2013-08-08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カバーレイフィルム、フレキシブル配線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4147903A1 (ja) * 2013-03-22 2014-09-25 東亞合成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カバーレイフィルム及びフレキシブル銅張積層板
JP2018035226A (ja) * 2016-08-30 2018-03-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2019218452A (ja) * 2018-06-19 2019-12-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部品内蔵基板用熱硬化性接着シートおよび部品内蔵基板の製造方法
EP3828994A4 (en) * 2018-10-05 2021-10-20 Agc Inc. ANTENNA SYSTEM
CN110708406B (zh) * 2019-10-09 2021-05-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及其制备方法和电子设备
CN110982489A (zh) * 2019-10-16 2020-04-10 山东金鼎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高频胶水及应用该高频胶水的高频挠性覆铜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86942A (ja) 2018-04-11 2019-10-24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誘電体層に搭載された電子デバイスのアンテナア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31826A (zh) 2022-08-16
CN116209726A (zh) 2023-06-02
WO2022070900A1 (ja) 202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2267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光学部材、及びタッチパネル
KR102203147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시트, 광학 부재 및 터치 패널
KR20230074561A (ko) 밀리미터파 안테나
KR102227098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시트, 광학 부재 및 터치 패널
US20140226085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ptical component and touch panel
KR20230074249A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및 점착 시트
KR20230073322A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및 점착 시트
US20140227502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optical us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ptical component and touch panel
JP2022056352A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JP2022056353A (ja) ミリ波アンテナ
JP2023047296A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光学部材、及びタッチパネル
JP2023047297A (ja) 粘着シート、光学部材、及びタッチパネル
KR102232000B1 (ko) 광학용 점착제층, 점착 시트, 광학 부재 및 터치 패널
WO2023002981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WO2023002982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WO2023002980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JP2022056351A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KR20230043739A (ko) 점착 시트, 광학 부재 및 터치 패널
KR20230043738A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시트, 광학 부재 및 터치 패널
JP2024028055A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粘着剤層付光学部材、画像表示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