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548A -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 - Google Patents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548A
KR20230072548A KR1020210158384A KR20210158384A KR20230072548A KR 20230072548 A KR20230072548 A KR 20230072548A KR 1020210158384 A KR1020210158384 A KR 1020210158384A KR 20210158384 A KR20210158384 A KR 20210158384A KR 20230072548 A KR20230072548 A KR 20230072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runner
flow groove
injection
cutting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훈
Original Assignee
에이테크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테크솔루션(주) filed Critical 에이테크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210158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2548A/ko
Publication of KR20230072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38Cutting-off equipment for sprues or in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Abstract

본 발명은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는 사출금형의 합형과 개형을 위한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측면과, 성형재료를 상기 제1측면으로 도입하는 제1유동홈이 형성된 제1금형; 및 상기 제1금형과의 합형시 상기 제1측면과 밀착하는 제2측면과, 상기 제2측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금형과의 상호 결합면에 형성된 캐비티와 상기 제1유동홈을 연결하는 제2유동홈이 형성된 제2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2유동홈은 상기 제1금형 또는 제2금형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 {Injection molding apparatus with runner cutting function}
본 발명은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출물과 연결된 런너가 금형의 개형과정에서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은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데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제조방법 중 하나로써, 가열 실린더에서 용융시킨 수지를 고압으로 닫혀진 금형의 캐비티(Cavity)에 사출하여 고화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캐비티 형상에 상응하는 사출성형물을 만드는 방법으로서, 이러한 사출성형물은 사출금형의 내부에서 성형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사출금형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사출금형기(10)는,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제조될 사출성형물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캐비티(12)와, 용융된 수지가 주입되는 스프루(14)와, 스프루(14)를 통해 주입된 용융 수지를 캐비티(12)로 분산하여 공급하는 런너(16)와, 런너(16)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캐비티(12)에 주입되는 용융 수지의 흐름을 제어하는 사이드 게이트(1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출금형기(10)로 용융 수지를 주입하면, 용융 수지는 스프루(14)와 런너(16) 및 사이드 게이트(18)를 통하여 캐비티(12)로 충진된 후 고화된다.
상기 사출금형기(10)로부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화된 사출성형물(20)을 취출한다.
그러나, 상기의 사출금형기(10)로부터 사출성형물(20)을 취출할 경우, 사출성형물(20)에 스프루(14), 런너(16) 및 사이드 게이트(18)도 함께 취출되는바, 상기 사출성형물로부터 불필요한 스프루, 런너 및 사이드 게이트를 수작업으로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작업시간 및 작업공수가 증가 되는바, 인건비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수작업으로 사출성형물로부터 사이드 게이트를 절단하여 제거할 경우, 절단면이 깨끗하지 못하고 버(burr)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고, 사출성형물의 절단시, 사출성형물에 이물질이 달라붙어 사출성형물이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25403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출물과 연결된 런너가 금형의 개형과정에서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커터를 이용해 사출물과 런너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런너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어 일정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는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런너가 분리된 사출물 측 절단부위에서 깨끗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어 사출물의 성형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사출금형의 합형과 개형을 위한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측면과, 성형재료를 상기 제1측면으로 도입하는 제1유동홈이 형성된 제1금형; 및 상기 제1금형과의 합형시 상기 제1측면과 밀착하는 제2측면과, 상기 제2측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금형과의 상호 결합면에 형성된 캐비티와 상기 제1유동홈을 연결하는 제2유동홈이 형성된 제2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2유동홈은 상기 제1금형 또는 제2금형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 배치되는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유동홈의 일측에 배치되고, 개형 과정에서 상기 제2유동홈 내에서 형성된 런너를 상기 캐비티 내에서 형성된 사출물로부터 분리하는 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터는 상기 제2블록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유동홈은 상기 제1유동홈과 캐비티 사이에서 캐비티를 향할 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금형은 상기 제1측면이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유동홈은 상기 삽입홈의 상기 제1측면과 접하는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에는 이젝터핀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공 내에 삽입되는 이젝터핀의 단부에는 상기 관통공 내로 유입된 성형재료에 의해 런너 측에 형성되는 분기돌기를 관통공 내에 구속할 수 있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젝터핀의 단부면과 연결되고 상기 고정홈과 접하는 면은 상기 단부면과의 사잇각이 예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측면 및 제1유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금형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고정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측면 및 제2유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금형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고정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출물과 연결된 런너가 금형의 개형과정에서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커터를 이용해 사출물과 런너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런너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어 일정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는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런너가 분리된 사출물 측 절단부위에서 깨끗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어 사출물의 성형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사출금형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사출금형기로부터 취출된 사출성형물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1고정블록의 부분절개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1고정블록과 커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의 커팅부위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9 내지 도 13은 도 8의 A-A'선 작용단면도,
도 14 내지 도 18은 도 8의 B-B'선 작용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1고정블록의 부분절개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2고정블록과 커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의 커팅부위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는 제1금형(M1), 제2금형(M2), 커터(130) 및 이젝터핀(1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금형(M1)과 제2금형(M2)은 상호 결합면에 사출물(P)의 성형을 위한 캐비티(C)가 형성된다. 상기 제1금형(M1)과 제2금형(M2)은 합형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C)로 성형재료를 주입하여 사출물(P)을 성형하고 개형 상태에서 성형이 완료된 사출물(P)을 분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1금형(M1)과 제2금형(M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금형(M1)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금형(M2)이 이동하면서 합형과 개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금형(M2)이 고정된 상태로 제1금형(M1)이 이동하거나, 상기 제1금형(M1)과 제2금형(M2)이 각각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금형(M1)과 제2금형(M2)은 사출물(P)이 분리와 동시에 자연스럽게 낙하할 수 있도록 좌우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금형(M1)과 제2금형(M2)의 결합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제1고정블록(110)과 제2고정블록(12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금형(M1)에는 삽입홈(111)이 형성된 제1고정블록(110)이 고정되고, 상기 제2금형(M2)에는 상기 삽입홈(111)과 맞물릴 수 있는 돌출부(121)가 형성된 제2고정블록(120)이 고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고정블록(110)이 제2금형(M2) 측에 고정되고 제2고정블록(120)이 제1금형(M1) 측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1고정블록(110)에는 상기 제2금형(M2)의 이동방향과 비교적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1)과 접하는 제1측면(112), 상기 제1측면(112)과 인접한 바닥면에 형성되고 성형재료를 상기 제1측면(112)으로 도입하는 제1유동홈(113) 및 상기 바닥면의 상기 제1유동홈(11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유동홈(113) 내에서 성형된 런너(R)를 분리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1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블록(120)에는 제1금형(M1)과 제2금형(M2)의 합형시 상기 제1측면(112)과 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12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측면(122) 및 상기 제2측면(122) 상에서 상기 캐비티(C)와 제1유동홈(113)을 연결하는 제2유동홈(123)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유동홈(123)은 상기 제2금형(M2)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 배치되고, 상기 제1유동홈(113)과 캐비티(C) 사이에서 캐비티(C)를 향할 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커터(130)는 제2금형(M2)이 개형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유동홈(123) 내에서 형성된 런너(R)와 상기 캐비티(C) 내에서 형성된 사출물(P)의 연결부위(이하, '게이트'라고 함)를 커팅하여 런너(R)를 사출물(P)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커터(130)는 커팅날의 마모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고정블록(12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커팅날은 상기 사출물(P)을 향하는 제1면이 상기 제2측면(122)과 나란한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런너(R)를 향하는 제2면이 상기 제1면과 예각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터(130)는 상기 커팅날의 이동 범위 내에 상기 게이트가 포함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유동홈(123)의 일측에서 경사 배치된다.
상기 이젝터핀(140)은 상기 제1유동홈(113) 내에서 성형된 런너(R)를 제1유동홈(113)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제1고정블록(110)의 관통공(114) 내에서 축방향 이동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사출물(P)의 성형시에는 제1유동홈(113)을 향하는 단부면(142)이 제1유동홈(113)과 근접한 위치에서 관통공(114) 내에 위치하고, 사출물(P)의 성형이 완료된 이후에는 축방향으로 전진하여 제1유동홈(113) 내에서 형성된 런너(R)를 제1유동홈(113)으로부터 분리시킨다.
특히, 상기 제2금형(M2)이 개형 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커터(130)를 이용해 사출물(P)과 런너(R) 사이의 게이트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런너(R)를 제1고정블록(110) 측에 고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제1유동홈(113)과 연통하는 관통공(114) 내에서 상기 런너(R)와 연결되는 분기돌기(R1)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관통공(114) 내에 배치된 이젝터핀(140)에 상기 분기돌기(R1)를 관통공(114) 내에서 구속할 수 있는 고정홈(141)을 형성함으로써 커팅시 요구되는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홈(141)은 이젝터핀(140)의 단부 일측에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관통공(114)과 마주하는 측면부위가 개방되고 내부 공간이 확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정홈(141)은 상기 이젝터핀(140)의 단부면(142)과 연결되고 상기 고정홈(141)과 접하는 고정면(143)에 의해 정의될 수 있고, 상기 고정면(143)과 단부면(142)의 사잇각이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젝터핀(140)은 고정홈(141)이 관통공(114) 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런너(R)를 제1고정블록(110) 측에 구속할 수 있어 런너(R)를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어 제2금형(M2)이 개형 측으로 이동하여 런너(R)를 커팅한 후에는, 이젝터핀(140)이 축방향으로 전진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유동홈(113) 내에서 형성된 런너(R)를 제1고정블록(1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젝터핀(140)의 고정홈(141)이 관통공(114)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는, 고정홈(141) 내에 삽입된 런너(R)의 분기돌기(R1)가 고정홈(141)의 개방된 측면부를 통해 고정홈(141)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사출물(P)로부터 분리된 런너(R)가 중력에 의해 자유낙하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한 번의 사출재료 주입을 통해 두 개의 사출물(P)을 성형할 수 있도록 삽입홈(111)과 돌출부(121) 및 캐비티(C)가 중앙 양측에 대칭이 되는 형태로 배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의 정면 작용도,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의 측면 작용도이다.
도 9 및 도 14는 사출물(P)의 사출성형 전, 제1금형(M1)과 제2금형(M2)이 상호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1금형(M1)에는 삽입홈(111)이 형성된 제1고정블록(110)이 설치되고 상기 제2금형(M2)의 상기 제1금형(M1)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삽입홈(111)에 대응하는 돌출부(121)가 형성된 제2고정블록(120)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0 및 도 15와 같이 제1금형(M1)과 제2금형(M2)을 합형하면 제1금형(M1)과 제2금형(M2)의 결합면 사이에 사출물(P)의 성형을 위한 캐비티(C)가 형성된다.
또한, 제1고정블록(110)의 삽입홈(111) 내부로 제2고정블록(120)의 돌출부(121)가 삽입되며, 상기 제2고정블록(120)의 돌출부(121) 측면에 형성된 제2유동홈(123)은 제1고정블록(110)의 삽입홈(111) 바닥면에 형성된 제1유동홈(113)과 캐비티(C)를 연결한다.
이어, 도 11 및 도 16과 같이 사출재료를 주입하면, 사출재료가 제1유동홈(113)과 제2유동홈(123)을 경유하여 캐비티(C)로 흘러들어가 사출물(P)의 성형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고정블록(110)의 관통공(114) 내에 이젝터핀(14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동홈(113)을 통해 주입되는 사출재료가 관통공(114)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제1유동홈(113) 내에서 형성되는 런너(R)와 연결되는 분기돌기(R1)가 형성된다. 이러한 분기돌기(R1)가 상기 이젝터핀(140)의 고정홈(141)과 관통공(114) 내에서 서로 맞물림에 따라, 제1유동홈(113) 내에서 형성되는 런너(R)를 제1고정블록(110) 측에 구속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 및 도 17은 사출물(P)의 사출성형이 완료된 이후 제2금형(M2)이 제1금형(M1)에 대하여 개형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2고정블록(120)의 돌출부(121)는 제2금형(M2)과 함께 개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금형(M1)에 고정된 제1고정블록(110)의 삽입홈(111)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121) 측면의 제2유동홈(123)이 제2금형(M2)의 개형 방향에 대하여 경사 배치됨에 따라, 상기 런너(R)가 제1고정블록(110) 측에 구속된 상태에서, 제2유동홈(123) 내에 위치한 런너(R)가 제2유동홈(123)의 경사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런너(R)와 사출물(P) 사이에 위치한 게이트(G) 부분이 절단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제2유동홈(123)의 일측에 경사 배치된 커터(130)가 절단부위를 가로 질러 이동하므로 깨끗한 절단면을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유동홈(123)은 제1유동홈(113) 측으로부터 사출물(P)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2유동홈(123) 내에서 형성된 런너(R)의 사출물(P) 측 단부가 제2유동홈(123) 내에서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게이트의 원활한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 도 13 및 도 18과 같이, 제2금형(M2)이 개형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1고정블록(110)의 관통공(114) 내에 삽입된 이젝터핀(140)을 축방향으로 전진시켜 이젝터핀(140)의 단부를 관통공(114) 외부로 노출시키면, 이젝터핀(140)에 의해 제1유동홈(113) 내에 위치하고 있던 런너(R)가 제1고정블록(110)으로부터 분리되는 동시에, 관통공(114) 내에서 이젝터핀(140)의 고정홈(141) 내에 구속되어 있던 런너(R)의 분기돌기(R1)가 구속해제 됨에 따라, 자유롭게 낙하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금형(M1)의 캐비티(C) 내에 안착된 사출물(P)의 분리를 위한 이젝터핀(14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제1고정블록, 111:삽입홈, 112:제1측면,
113:제1유동홈, 114:관통공, 120:제2고정블록,
121:돌출부, 122:제2측면, 123:제2유동홈,
130:커터, 140:이젝터핀, 141:고정홈,
142:단부면, 143:고정면, M1:제1금형,
M2:제2금형, C:캐비티, P:사출물,
R:런너, R1:분기돌기

Claims (9)

  1. 사출금형의 합형과 개형을 위한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측면과, 성형재료를 상기 제1측면으로 도입하는 제1유동홈이 형성된 제1금형; 및
    상기 제1금형과의 합형시 상기 제1측면과 밀착하는 제2측면과, 상기 제2측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금형과의 상호 결합면에 형성된 캐비티와 상기 제1유동홈을 연결하는 제2유동홈이 형성된 제2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2유동홈은 상기 제1금형 또는 제2금형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 배치되는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동홈의 일측에 배치되고, 개형 과정에서 상기 제2유동홈 내에서 형성된 런너를 상기 캐비티 내에서 형성된 사출물로부터 분리하는 커터;를 더 포함하는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제2금형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동홈은 상기 제1유동홈과 캐비티 사이에서 캐비티를 향할 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설정되는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형은 상기 제1측면이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유동홈은 상기 삽입홈의 상기 제1측면과 접하는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에는 이젝터핀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내에 삽입되는 이젝터핀의 단부에는 상기 관통공 내로 유입된 성형재료에 의해 런너 측에 형성되는 분기돌기를 관통공 내에 구속할 수 있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핀의 단부면과 연결되고 상기 고정홈과 접하는 면은 상기 단부면과의 사잇각이 예각으로 설정되는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및 제1유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금형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고정블록;을 더 포함하는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 및 제2유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금형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고정블록;을 더 포함하는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
KR1020210158384A 2021-11-17 2021-11-17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 KR20230072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384A KR20230072548A (ko) 2021-11-17 2021-11-17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384A KR20230072548A (ko) 2021-11-17 2021-11-17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548A true KR20230072548A (ko) 2023-05-25

Family

ID=8654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384A KR20230072548A (ko) 2021-11-17 2021-11-17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254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5403B1 (ko) 1997-06-23 1999-10-15 구자홍 게이트의 자동절단용 사출성형금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5403B1 (ko) 1997-06-23 1999-10-15 구자홍 게이트의 자동절단용 사출성형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0862B2 (en) Removable in-mold degating insert
JP4678616B1 (ja) 射出成形における、ガス抜きピン
KR20230072548A (ko) 런너 절단 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장치
US5435956A (en) In-mold degating method and apparatus
KR20230027353A (ko)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
JP2537985B2 (ja) プラスチックの成形方法
US93649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everal injection-molded parts
JP6758756B2 (ja) 厚肉成形品の成形方法
JP7215692B2 (ja) 射出成形モールド
KR20090110281A (ko) 사출성형금형의 금형내 게이트 커팅장치
JP7145246B2 (ja) 射出成形装置及び該射出成形装置で得られる成形品のエジェクト方法
JP2006334980A (ja) 射出成形用金型のゲ−トカット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707379B1 (ko) 사출 금형의 직접 압축 및 게이트 커팅 구조 및 그사용방법
JP5703084B2 (ja) 射出成形用金型
KR102479247B1 (ko)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
CN210851154U (zh) 降低浇口凝料残余的注塑模具
KR100421131B1 (ko) 사출성형용 금형
JP3999355B2 (ja) 射出成形方法
JP2021020378A (ja) 射出成形用金型
KR20090120715A (ko) 사출성형용 금형
JP2000141427A (ja) 射出成形金型
JP2007062121A (ja) 金型装置
JPH07108571A (ja) サイドゲート方式の射出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H06143352A (ja) サイドゲートブロック切断式射出成形用金型
JP2002283417A (ja) 樹脂成形用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