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353A -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 - Google Patents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353A
KR20230027353A KR1020210108580A KR20210108580A KR20230027353A KR 20230027353 A KR20230027353 A KR 20230027353A KR 1020210108580 A KR1020210108580 A KR 1020210108580A KR 20210108580 A KR20210108580 A KR 20210108580A KR 20230027353 A KR20230027353 A KR 20230027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re
runner
movable
molding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훈
Original Assignee
에이테크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테크솔루션(주) filed Critical 에이테크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210108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7353A/ko
Publication of KR20230027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8Closure devices therefor
    • B29C45/2803Closure devices therefor comprising a member with an opening or the injection nozzle movable into or out of alignment with the sprue channel or mould g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29C45/332Mountings or guides therefor; Driv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2045/2693Mould cores with a built-in injection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29C2045/338Mould parts with combined axial and transversal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는 제1성형면이 형성된 하부금형; 상기 제1성형면과 함께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2성형면이 형성된 상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캐비티로 용융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로가 형성된 가동코어; 및 사출 성형 후 상기 가동코어를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주입로에 형성된 런너를 캐비티 내의 성형품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가동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 {Injection mold apparatus with removable runner}
본 발명은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비티 내에 용융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주입로가 형성된 가동코어가 상부금형의 탈형 과정에서 하부금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탈형 과정에서 주입로 내에 형성된 런너가 성형품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이라 함은 실린더 속에서 가열하여 용융시킨 성형재료를 고압으로 닫혀진 금형의 캐비티에 사출하고, 냉각고화(열가소성 수지) 또는 경화(열경화성 수지)시킴으로써 캐비티에 형성되어 있는 형상에 상당하는 사출 성형품을 만드는 방법이다.
상기 사출금형은 통상 고정측 금형과 가동측 금형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금형에는 상기 실린더의 노즐로부터 성형재료를 받아 금형에 주입하는 스프루, 상기 스프루와 연통되어 성형재료가 이동하는 런너, 성형물의 형상이 각인되어 실질적으로 사출 성형품의 성형공간을 이루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와 런너 사이에 위치되어 성형재료의 주입 길목 역할을 하는 게이트가 구비된다.
즉, 가소화 및 용융된 수지가 상기 금형의 스프루, 런너 및 게이트를 통하여 캐비티로 사출된 후 냉각 고화 또는 경화되어서 원하는 형상의 사출 성형품이 제작되는 것이다.
다만, 사출금형의 캐비티로부터 취출되는 사출물과 연결된 게이트에 남은 수지는 상기 사출물의 스크랩이 되고, 완제품의 사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스크랩을 절단하여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스크랩 절단작업은 보통 작업자가 사출물을 파지한 상태로 공구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작업은 사출물을 직접 작업자가 파지하는 과정에서 사출물 표면의 손상 및 오염, 절단 부위의 또다른 다듬질 가공의 필요성 등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고, 이는 생산 효율의 감소 및 품질 저하를 초래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캐비티와 게이트 사이에 커팅핀을 설치하여 게이트 내부의 수지를 커팅하는 금형 내 게이트 커팅장치를 구비하고, 캐비티로 사출되는 사출물과 연결되는 게이트의 수지를 커팅하여 금형으로부터 완제품의 사출물이 바로 취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게이트 커팅장치 중 금형에 단순히 커팅핀 만을 구비할 경우는 커팅핀의 파손이나 마모에 따른 수리 및 교체시 금형을 전부 분해하여 재조립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280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캐비티 내에 용융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주입로가 형성된 가동코어가 상부금형의 탈형 과정에서 하부금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탈형 과정에서 주입로 내에 형성된 런너가 성형품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성형면이 형성된 하부금형; 상기 제1성형면과 함께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2성형면이 형성된 상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캐비티로 용융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로가 형성된 가동코어; 및 사출 성형 후 상기 가동코어를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주입로에 형성된 런너를 캐비티 내의 성형품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가동안내부;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코어는 상기 런너와 성형품의 연결부위에 커팅홈을 형성하는 성형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동코어는 상기 주입로와 하는 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런너에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성형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동안내부는 상기 상부금형의 상기 가동코어와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가동코어의 이동방향으로 경사 배치되는 가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코어는 상기 가동부와 접촉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동안내부는 상기 가동부와 상부금형 사이에서 상기 상부금형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지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동코어는 상기 하부금형의 제1성형면과 연결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일측에서 상기 제1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금형과 접촉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주입로는 상기 제2부분의 상면과 상기 제1부분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런너와 성형품 사이에 상기 가동코어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목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금형의 상기 목부와 접하는 부분은 상기 런너로부터 성형품으로 진행할 수록 목부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동코어는 상기 제1부분의 상기 주입로와 마주하는 면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목부와 성형품의 연결부위에 커팅홈을 형성하는 성형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비티 내에 용융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주입로가 형성된 가동코어가 상부금형의 탈형 과정에서 하부금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탈형 과정에서 주입로 내에 형성된 런너가 성형품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동코어와 가동안내부 및 성형품의 발췌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동코어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의 작동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성형품으로부터 런너가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동코어와 가동안내부 및 성형품의 발췌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동코어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는 하부금형(110), 상부금형(120), 가동코어(130) 및 가동안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금형(110)은 상부금형(120)과 마주하는 면에 제1성형면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금형(120)은 하부금형(110)과 마주하는 면에 제2성형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금형(110)과의 합형시 제1성형면과 제2성형면 사이에는 용융 수지가 주입되어 성형품(10)의 성형이 이루어지는 캐비티가 형성되고, 성형이 완료된 이후에는 성형품(10)의 취출을 위해 하부금형(110)과 이격된다.
상기 가동코어(130)는 상기 하부금형(110)의 일측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부금형(120)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캐비티로 용융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로(131)가 형성된다. 상기 가동코어(130)의 상면 중 상기 하부금형(110)의 제1성형면과 연결되는 제1부분(130a)은 상부금형(120)과 접촉하는 제2부분(130b)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됨에 따라, 주입로(131) 내에 형성되는 런너(20)는 성형품(10)과의 연결부위에 대략 수직방향의 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부분(130b)의 주입로(131)와 접하는 면에는 상기 목부와 성형품(10)의 연결부위에 커팅홈(21)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돌기(132)가 형성되고, 상기 제1부분(130a)의 주입로(131)와 접하는 면에는 상기 런너(20)에 상기 가동코어(130)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걸림돌기(22)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홈(133)이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금형(120)의 상기 목부와 접하는 부분은 상기 런너(20)로부터 성형품(10)으로 진행할 수록 목부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성형돌기(132)는 상기 목부의 단면적이 가장 작은 상단부에 커팅홈(21)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부분(130a)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동코어(130)는 주입로(131)의 상측 방향으로 런너(20)를 취출할 수 있도록, 상기 주입로(131)의 상기 상부금형(120)과 마주하는 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성형홈(133)은 런너(20)의 취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함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주입로(131)는 사출 실린더와 연결되어 용융수지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동안내부(140)는 사출 성형 후 상기 하부금형(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동코어(130)를 성형품(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주입로(131)에 형성된 런너(20)가 성형품(1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동안내부(140)는 상기 상부금형(120)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금형(120)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연부(141) 및 상기 상부금형(120)의 상기 가동코어(130)와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가동코어(130)의 이동방향으로 경사 배치되는 가동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동코어(130)의 상기 가동안내부(14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가동안내부(140)가 관통하는 관통홀(134)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34)의 일측에는 상기 지연부(141)와 밀착하는 제1지지면(134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34)의 타측에는 상기 가동부(142)와 밀착하는 제2지지면(134b)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코어(130)는 상기 지연부(141) 및 제1지지면(134a)에 의해 하부금형(110)과 밀착하는 위치가 안내되고, 상기 가동부(142) 및 제2지지면(134b)에 의해 하부금형(110)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하부금형(110)에는 상기 가동코어(130)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양측면에 밀착하여 상기 가동코어(130)의 좌우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금형(120)이 상하로 이동하고, 상부 금형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코어(130)가 좌우로 이동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부금형(120)과 가동코어(130)의 이동 방향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의 작동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성형품으로부터 런너가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부금형(120)과 하부금형(110) 및 가동코어(130)가 서로 밀착한 합형 상태에서, 상기 가동코어(130)의 주입로(131)를 통해 상기 상부금형(120)의 제2성형면과 하부금형(110)의 제1성형면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 내에 용융수지를 충진하면, 상기 캐비티 내에서는 상기 제1성형면과 제2성형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성형품(10)이 사출 성형되고, 상기 주입로(131) 내에서는 상기 성형품(10)과 연결된 런너(20)가 성형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코어(130)의 관통홀(134)에는 상부금형(120)에 고정된 가동안내부(140)가 수직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고, 상기 가동안내부(140)의 지연부(141)가 관통홀(134)의 제1지지면(134a)에 밀착되어 상기 가동코어(130)를 하부금형(110)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가동코어(130)가 하부금형(110)의 측면에 밀착 지지된다. 즉, 상부금형(120)과 하부금형(110)의 합형시에는 상기 상부금형(120)에 고정된 가동안내부(140)에 의해 상기 가동코어(130)가 하부금형(11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금형(120)과 하부금형(110)의 합형 상태에서 사출 성형이 완료된 이후에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성형품(10)의 탈형을 위해 하부금형(110)의 상측에 위치한 상부금형(120)이 상승하면서 하부금형(110)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코어(130)의 관통홀(134) 내에 삽입된 가동안내부(140)가 상부금형(120)과 함께 상승하게 되고, 상기 가동안내부(140)의 지연부(141)는 상부금형(120)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안내부(140)의 지연부(141)가 상기 가동코어(130)의 관통홀(134) 일측에 마련된 제1지지면(134a)에 밀착한 상태로 상승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가동코어(130)의 이동방향에 대한 변위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지연부(141)의 길이만큼 가동코어(130)의 수평 방향 이동이 지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부금형(110)과 상부금형(120) 사이에서 가동코어(130)의 이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동코어(130)의 주입로(131) 내에서 형성된 런너(20)는 걸림돌기(23)가 가동코어(130)의 성형홈(133)과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상부금형(120)이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런너(20)가 주입로(131) 내에서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동코어(130)가 종래와 같이 하부금형(110) 내부에 배치되지 않고 하부금형(110)의 일측에 노출되는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금형을 분해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가동코어(130)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장치의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이어, 지연부(141)의 하단에 마련된 가동부(142)가 관통홀(134)의 제2지지면(134b)에 밀착한 상태가 되는데, 상기 가동부(142)는 상기 가동코어(130)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120)이 추가로 상승하면 가동코어(130)의 이동방향을 따라 경사 배치된 가동부(142)가 가동코어(130)의 관통홀(134) 내에서 제2지지면(134b)을 가압하므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안내된 가동코어(130)가 하부금형(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가동안내부(140)는 상부금형(120)과 함께 상승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동코어(130)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안내되는데, 상부금형(120)의 초기 상승구간에서는 가동안내부(140)의 지연부(141)에 의해 가동코어(130)의 수평 방향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부금형(120)의 추가 상승구간에서 가동안내부(140)의 가동부(142)에 의해 가동코어(130)의 수평 방향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특히, 가동코어(130)의 주입로(131) 내에서 형성되는 런너(2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부금형(120)과 접촉하는 제2부분(130b)과 상부금형(120)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부분(130a)의 상기 하부금형(110)과 마주하는 단부에서 상기 제2부분(130b)보다 상대적으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금형(110)의 제1성형면과 연결되는 제1부분(130a)에 의해 런너(20)와 성형품(10)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목부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금형(120)의 상기 목부와 접하는 부분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목부의 단면적이 상기 런너(20)로부터 성형품(10)으로 진행할 수록 작아지게 되고, 상기 가동코어(130)의 제2부분(130b)에 형성된 성형돌기(132)에 의해 상기 목부와 성형품(10)의 연결부위에 커팅홈(21)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부분(130a)의 주입로(131)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런너(2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부분(130a)의 주입로(131)와 접하는 면에 형성된 성형홈(133)에 의해 런너(20)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걸림돌기(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 및 도 7과 같이 상부금형(120)이 상승하게 되면 하부금형(110)과 가동코어(130)의 상측면이 개방됨에 따라 런너(20)와 성형품(10)의 상측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런너(20)와 성형품(10)을 연결하는 수직방향의 목부의 일측 면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일측 면과 마주하는 타측 면은 상기 가동코어(130)의 제1부분(130a)이 감싸는 형태가 된다.
이어, 도 6 및 도 8과 같이 가동코어(13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부금형(110)으로부터 이격되면, 주입로(131) 내에 형성된 런너(20)가 가동코어(130)와 함께 이동함에 따라 성형품(10)으로부터 런너(20)가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런너(20)의 목부는 런너(20)로부터 성형품(10)을 향해 진행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목부와 성형품(10)의 연결부분에는 커팅홈(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동코어(130)가 런너(20)를 잡아당겨 성형품(1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목부의 커팅홈(21)이 형성된 부분이 비교적 쉽게 절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동코어(130)의 제1부분(130a)은 목부의 측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성형품(1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이때 상기 제1부분(130a)의 상단에 형성된 성형돌기(132)의 선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커팅날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기 성형품(10)과 목부의 절단부위가 비교적 깨끗한 면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코어(130)의 제1부분(130a)이 목부의 측면을 수평방향으로 가압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동코어(130)의 제2부분(130b)에 위치한 런너(20)가 주입로(131)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경우에는, 성형품(10)과 목부의 절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런너(20)가 주입로(131) 내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동코어(130)의 제2부분(130b)에서 런너(20)의 걸림돌기(22)와 가동코어(130)의 성형홈(133)이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런너(20)가 주입홈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목부의 절단 과정에서 런너(20)가 가동코어(130)와 함께 목부의 분리 방향으로 이동하여 목부의 절단부위에 견인력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동코어(130)의 제1부분(130a)이 런너(20)의 목부를 분리 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가동코어(130)의 제2부분(130b)이 런너(20)를 분리 방향으로 견인함에 따라, 목부의 분리를 위한 힘이 목부의 전단과 후단측에 동시에 작용하게 되어, 목부의 절단 과정에서 목부와 성형품(10) 사이의 절단부위에 버(burr)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동코어(130)가 하부금형(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성형품(10)으로부터 런너(20)를 분리한 이후에는, 밀핀이나 이젝터 등을 이용해 상기 하부금형(110)의 제1성형면에 안착된 성형품(10)과 상기 가동코어(130)의 주입로(131) 내에 안착된 런너(20)를 각각 취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하부금형, 120:상부금형, 130:가동코어,
130a:제1부분, 130b:제2부분, 131:주입로,
132:성형돌기, 133:성형홈, 134:관통홀,
134a:제1지지면, 134b:제2지지면, 140:가동안내부,
141:지연부, 142:가동부, 10:성형품,
20:런너, 21:커팅홈, 22:걸림돌기

Claims (8)

  1. 제1성형면이 형성된 하부금형;
    상기 제1성형면과 함께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2성형면이 형성된 상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캐비티로 용융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로가 형성된 가동코어; 및
    사출 성형 후 상기 가동코어를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주입로에 형성된 런너를 캐비티 내의 성형품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가동안내부;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코어는 상기 런너와 성형품의 연결부위에 커팅홈을 형성하는 성형돌기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코어는 상기 주입로와 하는 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런너에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성형홈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안내부는 상기 상부금형의 상기 가동코어와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가동코어의 이동방향으로 경사 배치되는 가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코어는 상기 가동부와 맞물리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안내부는 상기 가동부와 상부금형 사이에서 상기 상부금형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지연부를 더 포함하는 사출 성형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코어는 상기 하부금형의 제1성형면과 연결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일측에서 상기 제1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금형과 접촉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주입로는 상기 제2부분의 상면과 상기 제1부분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런너와 성형품 사이에 상기 가동코어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목부를 형성하는 사출 성형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의 상기 목부와 접하는 부분은 상기 런너로부터 성형품으로 진행할 수록 목부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사출 성형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코어는 상기 제1부분의 상기 주입로와 마주하는 면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목부와 성형품의 연결부위에 커팅홈을 형성하는 성형돌기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장치.
KR1020210108580A 2021-08-18 2021-08-18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 KR202300273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580A KR20230027353A (ko) 2021-08-18 2021-08-18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580A KR20230027353A (ko) 2021-08-18 2021-08-18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353A true KR20230027353A (ko) 2023-02-28

Family

ID=85326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580A KR20230027353A (ko) 2021-08-18 2021-08-18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73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66538A (zh) * 2023-06-25 2023-09-19 苏州瑞德智慧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侧向脱螺纹功能的注塑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806A (ko) 1997-06-23 1999-01-15 구자홍 사출 성형 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 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806A (ko) 1997-06-23 1999-01-15 구자홍 사출 성형 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66538A (zh) * 2023-06-25 2023-09-19 苏州瑞德智慧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侧向脱螺纹功能的注塑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75947A1 (en) Cut structure for mold
KR101036759B1 (ko) 사출금형
KR20230027353A (ko)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
KR20160143401A (ko) 3단 사출금형 및 3단 사출금형의 제품취출방법
KR20100113463A (ko) 생산성 향상 사출성형장치
TWI696507B (zh) 壓鑄裝置
JP2005262781A (ja) 射出成形金型のスライド開き構造
TWM549694U (zh) 模內具導斜面驅動之料頭切斷結構
KR102479247B1 (ko) 런너의 제거가 가능한 사출 금형 장치
CN213108009U (zh) 一种注塑模具的稳定脱料结构
CN212603058U (zh) 一种注塑模具
CN113977878A (zh) 一种模内裁切注塑模具及其使用方法
JP7145246B2 (ja) 射出成形装置及び該射出成形装置で得られる成形品のエジェクト方法
KR100967875B1 (ko) 사출성형장치
KR101464548B1 (ko) 게이트 자동절단 사출금형
KR101960814B1 (ko) 소형 성형품의 자동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금형
JP3701229B2 (ja) 射出成形装置
KR100232820B1 (ko) 슬라이드코아를 이용한 사출 성형 금형 및 사출방법
KR200270248Y1 (ko) 필기구용 러버 사출금형구조
JP7124415B2 (ja) ダイカスト鋳造装置およびダイカスト鋳造方法
TWI774551B (zh) 澆道截斷式塑膠鏡片成型裝置
CN221136722U (zh) 侧浇口自动切断结构以及使用该结构的注塑模具
KR20090120715A (ko) 사출성형용 금형
CN105904675A (zh) 一种三处分型面结构的注塑模具
TWI663042B (zh) 模內料頭切斷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