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511A - 약제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511A
KR20230072511A KR1020237015952A KR20237015952A KR20230072511A KR 20230072511 A KR20230072511 A KR 20230072511A KR 1020237015952 A KR1020237015952 A KR 1020237015952A KR 20237015952 A KR20237015952 A KR 20237015952A KR 20230072511 A KR20230072511 A KR 20230072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cassette
rotating body
dispensing devic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5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2743B1 (ko
Inventor
마사시 니시오
마사토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30072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69Trays for holding or distributing medic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8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rotary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8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rotary feeders
    • B65B37/12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rotary feeders of centrifuga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4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in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약제 카세트(10)의 덮개(12)를 폐쇄한 후라도 다시 덮개를 개방할 수 있는 약제 불출 장치를 개발한다.
약제 카세트(10)는, 고형제 수용부(11)와, 덮개 부재(12)를 갖는다. 약제 카세트(10)에는, 덮개 부재(12)를 시정 상태로 유지하는 덮개 로크 수단(72)이 있다. 약제 카세트(10)를 적재하는 카세트 적재부(8)가 있고, 카세트 적재부(8)에 상기 약제 카세트(10)를 분리 불가능하게 하는 분리 로크 수단(22)과,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이 마련되어 있다.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에 의해 덮개 로크 수단(72)이 개정 상태로 된 후에는, 작업자의 조작에 기인하여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이 동작하여 덮개 로크 수단(72)이 시정될 때까지, 덮개 로크 수단(72)의 개정 상태가 유지된다.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에 의해 상기 덮개 로크 수단(72)이 시정된 후, 분리 로크 수단(22)이 해제되어 상기 약제 카세트(10)가 상기 카세트 적재부(8)로부터 분리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약제 불출 장치 {Drug dispensing device}
본 발명은, 소정량의 고형상 약제를 불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약제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원이나 약국에서는, 환자에 따른 정제 등을 바이알병 등에 채워 환자 등에게 건넨다. 종래, 바이알병에 약제를 채우는 작업은, 약사 등의 조제 종사자가 수작업으로 행하고 있었다. 즉, 약사는, 재고되어 있는 많은 종류의 약제 중에서 처방전에 기초하여 약제가 들어있는 약제병을 골라, 약제병으로부터 약제를 취출하고, 수량을 세어 바이알병에 채워, 환자 등에게 건넨다.
그러나 약제병을 선별하고, 다시 수작업으로 약제병으로부터 바이알병에 약제를 충전하는 작업은 수고가 드는 작업이다. 그래서 약제의 선별로부터 바이알병에의 충전까지의 일련의 작업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약제 불출 장치가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불출되는 각종 약제는, 복수의 약제 카세트에 보존되어 있다. 그런데 약제 카세트 내의 약제가 비었을 경우, 조제 종사자는, 약제 불출 장치로부터 약제 카세트를 취출하여, 손수 약제 카세트에 약제를 보충한다. 그 때, 약제 카세트에 잘못된 약제를 보충해 버린다고 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책이, 특허문헌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약제 카세트에 덮개가 있고, 또한 당해 덮개를 로크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당해 약제 불출 장치에는, 약제 카세트에 약제를 보충할 때에 사용되는 적재대가 있다. 적재대에는, 덮개의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 해제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약제 불출 장치는, 광학식 스캐너를 갖고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약제병에 부여된 코드를 광학식 스캐너로 판독한다. 그리고 약제병에 내장된 약제가 약제 카세트에 수용해야 할 약제이면, 로크 해제 장치가 동작하여 약제 카세트의 덮개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WO2010/110360호 공보 WO2016/67929호 공보 WO2013/118838호 공보
종래 기술의 약제 불출 장치에 의하면, 약제가 다르면 약제 카세트의 덮개가 개방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잘못된 약제를 약제 카세트에 보충해 버릴 우려는 낮다. 그런데 특허문헌 2에는, 약제 카세트의 덮개를 일단 폐쇄해 버린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다. 예를 들어, 약제 카세트에 약제를 보충하고 덮개를 폐쇄하기는 하였지만, 조금 더 많이 약제를 보충하는 편이 좋았을 것이라고 후회하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약제 카세트에 약제를 지나치게 넣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이러한 경우의 대책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상기한 문제점에 주목하여, 약제 카세트의 덮개를 폐쇄한 후라도 다시 덮개를 개방할 수 있는 약제 불출 장치의 개발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양상은, 복수의 약제 카세트를 갖고, 상기 약제 카세트로부터 원하는 수의 고형상 약제를 취출하는 것이 가능한 약제 불출 장치이며, 상기 약제 카세트는, 고형상 약제를 수용하는 고형제 수용부와, 당해 고형제 수용부를 봉쇄하는 덮개 부재를 갖고, 상기 약제 카세트에는, 상기 덮개 부재를 시정한 상태로 유지하는 덮개 로크 수단이 있고, 상기 약제 카세트를 적재하는 카세트 적재부가 있고, 당해 카세트 적재부에 상기 약제 카세트를 보유 지지하여 분리 불가능하게 하는 분리 로크 수단과, 상기 덮개 로크 수단을 조작하는 덮개 로크 조작 수단이 마련된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덮개 로크 조작 수단에 의해 덮개 로크 수단을 시정 가능 상태 및 개정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덮개 로크 조작 수단에 의해 덮개 로크 수단이 개정 상태로 된 후에는, 작업자의 조작에 기인하여 덮개 로크 조작 수단이 동작하여 덮개 로크 수단이 시정 가능 상태로 될 때까지, 상기 덮개 로크 수단의 개정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덮개 로크 조작 수단에 의해 상기 덮개 로크 수단이 시정 가능 상태로 된 후, 또는 덮개 로크 수단이 시정 가능 상태로 되는 조건이 갖추어진 경우에, 자동적으로 또는 소정의 조작을 거쳐 상기 분리 로크 수단이 해제되어, 상기 약제 카세트가 상기 카세트 적재부로부터 분리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이다.
여기서 「덮개 부재를 시정한 상태」란, 덮개 부재가 개방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시정한 상태」에 있는 덮개 부재는, 기구를 사용하거나, 복잡한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개방할 수 없다. 덮개 로크 수단의 「시정 가능 상태」란, 덮개 부재가 소정의 위치나 자세에 있으면, 「덮개 부재를 시정한 상태」로 할 수 있는 상태이다. 덮개 로크 수단의 「개정 상태」란, 덮개 부재가 자동적으로 개방되거나, 손으로 덮개 부재를 움직임으로써 덮개 부재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덮개 부재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로 할 수 있는 경우도 개정 상태에 포함된다.
상기한 양상에 있어서는, 조작부가 있고, 작업자가 조작부에 대해 특정 조작을 행한 경우에 덮개 로크 조작 수단이 동작하고, 상기 분리 로크 수단이 해제되어, 상기 약제 카세트가 상기 카세트 적재부로부터 분리 가능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의 과제를 해결하는 또 하나의 양상은, 복수의 약제 카세트를 갖고, 상기 약제 카세트로부터 원하는 수의 고형상 약제를 취출하는 것이 가능한 약제 불출 장치이며, 상기 약제 카세트는, 고형상 약제를 수용하는 고형제 수용부와, 당해 고형제 수용부를 봉쇄하는 덮개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를 시정한 상태로 유지하는 덮개 로크 수단을 갖고, 상기 덮개 로크 수단을 조작하는 덮개 로크 조작 수단이 있고, 작업자의 조작에 기인하여 덮개 로크 조작 수단에 의해 덮개 로크 수단을 시정 가능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이다.
상기한 각 양상에 있어서, 약제 카세트를 적재하는 카세트 적재부가 있고, 당해 카세트 적재부에 상기 약제 카세트를 보유 지지하여 분리 불가능하게 하는 분리 로크 수단과, 덮개 로크 수단을 조작하는 덮개 로크 조작 수단이 더 마련된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덮개 로크 조작 수단에 의해 덮개 로크 수단을 시정 가능 상태 및 개정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작부가 있고, 조작부를 통해, 작업자 정보, 작업 실시일과, 약품 제조 번호 정보, 보충 수 또는 유효 기한 중 어느 것을 입력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덮개 로크 조작 수단이 동작하여 덮개 로크 수단이 개정 상태로부터 시정 가능 상태로 됨과 함께 상기 분리 로크 수단이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양상에 있어서, 약제 불출 장치 내 및/또는 약제 불출 장치 내와 통신 가능한 기억부가 있고, 상기 작업자 정보, 상기 작업 실시일, 약제 카세트 식별 정보와, 약품 제조 번호 정보 또는 유효 기한 중 어느 것을 관련시켜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제 불출 장치는, 작업자의 조작에 기인하여 덮개 로크 조작 수단이 동작한다. 본 발명의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작업자의 조작에 기인하여 덮개 로크 수단이 시정 상태로 될 때까지, 덮개 로크 수단의 개정 상태가 유지된다. 그 때문에 일단 덮개를 폐쇄한 후라도 다시 덮개를 개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약제 불출 장치에 구비된 약제 카세트의 사시도이며, 덮개 부재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약제 카세트를 A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약제 카세트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약제 카세트의 덮개 부재를 개방하여 내부를 관찰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약제 카세트의 덮개 부재를 개방하여 내부를 도 5와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약제 카세트와 약제 검지 센서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2의 약제 카세트에 내장된 덮개 로크 수단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며, 덮개 로크 수단이 시정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2의 약제 카세트에 내장된 덮개 로크 수단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며, 덮개 로크 수단이 개정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2의 약제 카세트가 구비하는 덮개 로크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2의 약제 카세트 내의 덮개 로크 수단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12의 (a)는 도 2의 약제 카세트 내의 덮개 로크 수단이 시정 가능 상태로 되어 있어 덮개 부재를 시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고, (b)는 덮개 로크 수단이 개정 가능 상태로 되어 있어 덮개 부재를 개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약제 불출 장치의 카세트 적재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카세트 적재부에 약제 카세트를 장착할 때의 양자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카세트 적재부에 약제 카세트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양자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하는 약제 불출 장치의 내부이며, 용기 배치부의 이면측을 관찰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용기 배치부의 이면측의 일부와 이동 헤드의 구성도이다.
도 18은 도 1에 도시하는 약제 불출 장치의 외부측의 일부 확대도이며, 용기 배치부의 약제 카세트 설치부를 도시한다.
도 19의 (a), (b)는 약제 카운트 수단의 발광 부재와 수광 부재의 배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0은 약제 불출 장치의 동작의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약제 카세트로부터 통상 불출 동작에 의해 정제를 불출할 때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21은 약제 불출 장치의 동작의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약제 카세트로부터 타이머 제어 동작에 의해 정제를 불출할 때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22는 약제 불출 장치의 동작의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약제 카세트로부터 정제를 불출할 때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3은 약제 불출 장치의 동작의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약제 카세트로부터 정제를 불출할 때의 동작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24는 약제 카운트 수단의 광량 조정을 실시할 때의 수순을 나타내는 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약제 불출 장치(1)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1)는, 입력된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다품종의 고형상 약제군에서 특정 고형상 약제를 선택하여, 바이알병에 충전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고형상 약제란, 정제, 캡슐 등의 총칭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정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1)는, 정제를 불출하는 용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제 이외의 고형상 약제를 불출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1)는, 정면에 보관 선반(2)과,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3)가 있다. 또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3)의 이면측에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있다. 약제 불출 장치(1)의 정면에는 또한, 광학식 스캐너(5)와, 카세트 적재부(8)가 있다.
약제 불출 장치(1)는, 내부에 바이알병 공급 장치(110)와, 라벨 첨부 장치(120)와, 바이알병 운반 장치(130)(도 16, 도 17)를 갖고 있다. 약제 불출 장치(1)의 내외는, 병 배출구(140)로 연통되어 있다. 또한 약제 불출 장치(1)는, 측면에, 용기 배치부(200)를 갖고 있다.
용기 배치부(200)에는, 다수의 약제 카세트 설치부(204)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약제 카세트 설치부(204)에 각각 약제 카세트(10)가 설치된다. 용기 배치부(200)에는, 복수의 약제 카세트(10)가 행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약제 카세트(10)에는 다른 종류의 정제가 내장되어 있다.
바이알병 공급 장치(110)는, 복수의 바이알병을 보존하는 기능을 아울러 갖고 있다.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3)는, 표시 장치로서의 기능과 입력 장치(조작부)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갖고 있다. 광학식 스캐너(5)는, 바코드, 2차원 코드 등의, 광학식 스캐너 판독용 심볼을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3) 등으로부터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약제 불출 장치(1)가 구비하는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약제 불출 장치(1)가 약제를 불출할 때에는, 먼저, 광학식 스캐너(5)가 처방전에 부여된 심볼을 스캔하여, 그 처방전 정보를 취득한다. 혹은, 약제 불출 장치(1)에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약제 불출 장치(1)는, 이들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로부터, 처방전 정보의 입력을 접수할 수도 있다. 나아가, 약제 불출 장치(1)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약제 불출 장치(1)는, 네트워크를 통해, 처방전 정보의 입력을 접수할 수도 있다.
약제 불출 장치(1)가 처방전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고, 또한 조제 종사자로부터 약제 불출 지시의 입력을 접수하면, 먼저, 바이알병 공급 장치(110)가, 바이알병을 라벨 첨부 장치(120)에 공급한다. 이어서, 라벨 첨부 장치(120)는, 입력된 처방전 정보에 기초하여 라벨을 인쇄하고, 이 라벨을, 바이알병에 첩부한다. 그 후, 바이알병 운반 장치(130)가, 라벨이 첩부된 바이알병을, 처방된 약제가 수납된 약제 카세트(10)의 근방으로 반송한다. 그리고 약제 카세트(10)는, 처방된 약제를, 처방된 수량만큼, 바이알병에 불출한다. 바이알병에 처방된 약제가 충전되면, 바이알병 운반 장치(130)는, 바이알병을, 병 배출구(140)로 반송한다. 그리고 병 배출구(140)로 나온 바이알병을, 약사, 테크니션 등의 조제 종사자가 취출한다.
다음으로, 약제 불출 장치(1)에 장비되어 있는 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약제 카세트(10))
약제 카세트(10)는, 도 5, 도 6과 같이 정제를 수용하는 고형제 수용부(11)를 갖고, 고형제 수용부(11) 내의 정제를 원하는 수만큼 배출하는 것이다. 또한 약제 카세트(10)에는, 도 2, 도 3, 도 8, 도 9와 같이 고형제 수용부(11)를 덮는 덮개 부재(12)가 마련되어 있다. 주로 도 5, 도 6을 참조하면서, 약제 카세트(10)의 기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5, 도 6은, 상부를 덮는 덮개 부재(12)를 생략한 도면이다. 약제 카세트(10)는, 각종 형상이나 구조의 정제나 캡슐제에 대응하고, 이들을 1개씩 또는 복수 개씩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약제 카세트(10)는, 정제의 형상에 따라서 정제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형태를 변경시키는 형태 변경 수단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약제 카세트(10)는 복수의 형상이나 구조의 정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정제가 통과하는 불출 경로의 넓이를 증감하여 통과할 수 있는 정제의 형상을 제한하여, 복수 종류의 정제에 대응할 수 있다.
약제 카세트(10)는, 도 5, 도 6과 같이 다수의 정제가 수용되는 고형제 수용부(11)와, 제1 회전체(이하, 내측 회전체 또는 내륜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50) 및 제2 회전체(이하, 외측 회전체 또는 외륜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51)를 갖고 있다. 제1 회전체(50)는, 고형제 수용부(11)의 저면을 구성하는 원반상의 부재이다. 제1 회전체(50)의 회전축은, 연직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경사져 있고, 제1 회전체(50)의 상면이 수평면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경사져 있다. 또한, 제1 회전체(50)의 상면에는 방사상의 리브가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다. 제1 회전체(50)는, 약제 카세트(10)의 하우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제1 회전체(50)는, 승강한다.
제2 회전체(51)는, 평면으로 보아 상기 제1 회전체(50)의 주위에 배치된 중공 환상의 부재이다. 제2 회전체(51)는, 고형제 수용부(11)의 상부측에 있다. 상기한 제1 회전체(50)의 상단부는, 제2 회전체(51)와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2 회전체(51)에 대해서도, 약제 카세트(10)의 하우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회전한다.
제2 회전체(51)의 일부는, 고형제 수용부(11)로부터 정제를 배출하는 정제 배출구(17)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회전체(51)의 회전에 의해, 정제가 정제 배출구(17)로 운반되게 된다. 따라서, 제2 회전체(51)의 상부는 정제가 통과하는 불출 경로(35)의 일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회전체(51)에 의해 구성되는 불출 경로(35) 상에, 높이 규제 부재(56) 및 폭 규제 부재(5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제가, 제2 회전체(51)에 의해 구성되는 불출 경로(35) 상에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넘침 센서(약제 검지 센서)(53)가 후기하는 이동 헤드(400)에 마련되어 있다. 넘침 센서(53)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는 광 센서이며, 불출 경로(35)에 면하는 구멍(73)으로부터 광을 발하고, 정제에 의해 반사하는 광을 수광부에서 수광하여 정제의 유무를 검지한다. 또한, 도 5, 도 6, 도 7에서는, 넘침 센서(53)의 발광부에 의해 조사된 광이 약제 카세트(10)의 외곽체에 마련된 구멍(55)을 통과하고 있는 상태(또는 정제에 의해 반사한 광이 구멍(55)을 통과하고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높이 규제 부재(56)는, 제2 회전체(51) 상에 있고, 제2 회전체(51)의 반송면으로부터 상부의 높이를 규제하는 것이다. 높이 규제 부재(56)는, 당해 부위를 통과하는 물체의 높이를 제한하는 것이다. 높이 규제 부재(56)는, 제2 회전체(51)에 의해 정제 배출구(17)까지 반송 가능한 정제의 높이 방향의 사이즈를 규제하는 것이다.
한편, 폭 규제 부재(57)는 제2 회전체(51)의 측방측으로부터 제2 회전체(51)의 영역(불출 경로(35))으로 돌출되는 것이며, 제2 회전체(51)의 불출 경로(35)의 폭을 일시적으로 좁히는 것이다. 폭 규제 부재(57)는, 제2 회전체(51)에 의해 정제 배출구(17)까지 반송 가능한 정제의 폭 방향의 사이즈를 규제한다. 이에 의해, 약제 카세트(10)에서는, 제2 회전체(51)에 적재된 정제 중 상기한 높이 규제 부재(56)에 의해 규제되는 높이 및 상기 폭 규제 부재(57)에 의해 규제되는 폭에 수납되는 정제만이 정제 배출구(17)로부터 불출된다. 따라서, 약제 카세트(10)에서는, 높이 및 폭이, 고형제 수용부(11)에 수용되는 정제의 1정분의 높이 및 폭인 경우에, 그 정제를 1개 단위로 불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약제 카세트(10)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제1 회전체(내측 회전체)(50) 및 제2 회전체(외측 회전체)(51)가 회전한다. 또한 제1 회전체(50)는, 고형제 수용부(11) 내에서 승강한다. 약제 카세트(10) 내의 정제를 배출시킬 때에는, 제1 회전체(50)와 제2 회전체(51)를 회전시킨다. 제1 회전체(5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고형제 수용부(11) 내의 정제가 제1 회전체(50)로부터 제2 회전체(51)로 배출된다. 또한 제2 회전체(51)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회전체(51) 상의 정제가 정제 배출구(17)를 향해 반송된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높이 규제 부재(56) 및 폭 규제 부재(57)에 의해 정제의 불출 경로(35)의 높이와 폭이 제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 회전체(51)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 중 높이 방향으로 쌓인 정제는 높이 규제 부재(56)에 접촉하여 고형제 수용부(11)로 복귀된다. 또한, 제2 회전체(51)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 중 폭 방향으로 나열되어 반송되고 있는 고형제는 폭 규제 부재(57)에 접촉하여 고형제 수용부(11)로 복귀된다.
본 실시 형태의 약제 카세트(10)에서는, 내측의 제1 회전체(5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천천히 상승한다. 고형제 수용부(11) 내의 정제군은, 제1 회전체(50)의 회전 및 상승에 수반하여, 회전하면서 상승해 간다. 그리고 정제군의 상부의 높이가 외측의 제2 회전체(51)의 높이에 도달하여, 넘침 센서(53)가 정제를 검지하면, 제1 회전체(50)의 상승을 정지하고, 그 높이에서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정제를 외측의 제2 회전체(51)에 공급한다. 외측의 제2 회전체(51)도 또한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있고, 제2 회전체(51) 상의 정제가 정제 배출구(17)를 향해 반송된다.
다음으로, 약제 카세트(10)의 덮개 부재(12)에 대해,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약제 카세트(10)에서는, 본체(15)의 상면에 덮개 부재(12)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 부재(12)는, 도 2, 도 8, 도 9와 같이, 그 한 변측이 힌지(58)에 의해, 본체(15)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덮개 부재(12)의 로크가 해제되면, 덮개 부재(12)는, 힌지(58)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도 9와 같이 덮개 부재(12)를, 그 자유단이 위로 올라가도록 하여 개방할 수 있다. 약제 카세트(10)는, 덮개 부재(12)를 폐쇄하고, 또한 덮개 부재(12)가 개방되지 않도록 시정한 상태로 유지하는 덮개 로크 수단(72)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 로크 수단(72)은, 도 8, 도 9, 도 11, 도 12와 같이, 덮개 부재(12)에 마련된 덮개측 제1 걸림 결합부(13a) 및 덮개측 제2 걸림 결합부(13b)와, 본체(15)측에 마련된 로크 기구(6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약제 카세트(10)는, 본체(15)의 내부에, 덮개 부재(12)를 로크하는 로크 기구(60)를 갖고 있다. 또한 약제 카세트(10)의 본체(15)의 저면에, 도 4, 도 8과 같이 구멍(61)이 마련되어 있다. 후기하는 바와 같이 약제 불출 장치(1)의 카세트 적재부(8)에는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이 있고,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의 로드(33)가 돌출되어 약제 카세트(10)의 구멍(61)에 삽입 관통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은, 구멍(61)을 거쳐 로크 기구(60)를 조작하여, 덮개 부재(12)의 로크를 해제한다.
덮개 로크 수단(72)의 구체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 로크 수단(72)은, 덮개 부재(12)에 마련된 덮개측 제1 걸림 결합부(13a) 및 덮개측 제2 걸림 결합부(13b)와, 본체(15)측에 마련된 로크 기구(6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덮개 부재(12)의 힌지(58)와는 반대측의 단부 근방에는, 도 9와 같이 덮개측 제1 걸림 결합부(13a)와, 덮개측 제2 걸림 결합부(13b)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덮개측 제1 걸림 결합부(13a) 및 덮개측 제2 걸림 결합부(13b)는, 로크 기구(60)와 걸림 결합된다.
도 10은, 로크 기구(6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로크 기구(60)는, 조작 레버(62)와, 동력 전달 레버(63)와, 샤프트(65)와, 가압 부재(66)와, 로크측 제1 걸림 결합부(67)와, 로크측 제2 걸림 결합부(68)를 갖고 있다. 로크측 제2 걸림 결합부(68)는, 샤프트(65)의 일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동력 전달 레버(63), 로크측 제1 걸림 결합부(67), 및 가압 부재(66)는 샤프트(65)의 타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가압 부재(66)는, 로크측 제1 걸림 결합부(67)와 일체로 성형된 것이며, 대략 V 또는 U자 형상의 판 스프링이다. 로크측 제1 걸림 결합부(67) 및 로크측 제2 걸림 결합부(68)에는 걸림 결합 갈고리(70)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측 제1 걸림 결합부(67) 및 로크측 제2 걸림 결합부(68)는 샤프트(65)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일체적으로 회동하여, 덮개측 제1 걸림 결합부(13a) 및 덮개측 제2 걸림 결합부(13b)와 걸림 결합·이탈한다.
로크 기구(60)는, 도 8, 도 9와 같이 약제 카세트(10)의 본체(15)측에 설치되어 있다. 로크 기구(60)는, 요동하여 시정 가능 상태의 자세와, 개정 상태의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도 12는, 로크 기구(60)가 덮개 부재(12)를 로크/언로크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2의 (a)는, 로크 기구(60)가 시정 가능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12의 (b)는, 로크 기구(60)가 개정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연 상태(시정 가능 상태)에서는 가압 부재(66)의 가압력에 의해, 로크측 제1 걸림 결합부(67) 및 제2 걸림 결합부(68)는, 수직 자세로 세워진 상태로 되어 있고, 걸림 결합 갈고리(70)는 수평 방향을 향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걸림 결합 갈고리(70)는, 덮개측 제1 걸림 결합부(13a) 및 덮개측 제2 걸림 결합부(13b)에 끼워져 있다. 이 때문에, 덮개 부재(12)는 시정된 상태가 되어, 작업자는, 덮개 부재(12)를 개방할 수 없다. 즉,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개정하여 덮개 부재(12)를 개방할 수 없다. 로크 기구(60)가 시정 가능 상태일 때에는, 도 12의 (a)와 같이, 조작 레버(62)는, 대략 수평 자세로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62)에 외력을 가하여 도 12의 (b)와 같이 핀(7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켜, 자유단측이 상부가 되도록 경사지게 하면, 제1 걸림 결합부(67) 및 제2 걸림 결합부(68)가 경사 자세로 되어 걸림 결합 갈고리(70)가 인입된다. 그 결과, 로크 기구(60)의 걸림 결합부(67, 68)와, 덮개 부재(12)측의 걸림 결합부(13a, 13b)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즉, 조작 레버(62)에 외력을 가하여 회동시키면, 로크 기구(60)는 개정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덮개 부재(12)는 개정된 상태가 되어, 작업자는, 덮개 부재(12)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기구(60)의 로크측 제1 걸림 결합부(67) 및 제2 걸림 결합부(68)는, 가압 부재(66)에 의해, 세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그 때문에 외력을 해제하면, 가압 부재(66)의 힘에 의해 로크측 제1 걸림 결합부(67) 및 제2 걸림 결합부(68)가 수직 자세로 돌아가, 덮개 부재(12)측과 걸림 결합 가능한 자세로 복귀된다. 즉, 로크 기구(60)는, 가압 부재(66)에 의해, 시정 가능 상태로 돌아간다. 이 상태에서 덮개 부재(12)를 폐쇄하면, 덮개측 제1 걸림 결합부(13a) 및 덮개측 제2 걸림 결합부(13b)가 로크 기구(60)의 걸림 결합 갈고리(70)와 걸림 결합되어, 덮개 부재(12)는 시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세트 적재부(8)의 로드(33)에 의해, 조작 레버(62)에 외력을 부여하여, 조작 레버(62)를 밀어 움직이게 하고, 로크 기구(60)를 조작하여, 로크 기구(60)를 개정 상태로 하여, 덮개 부재(12)의 로크를 해제한다. 또한 로드(33)가 조작 레버(62)로부터 이격되면, 로크측 제1 걸림 결합부(67) 및 로크측 제2 걸림 결합부(68)와 덮개측 제1 걸림 결합부(13a) 및 덮개측 제2 걸림 결합부(13b)가 걸림 결합 가능한 자세(시정 가능 상태)로 복귀된다.
다음으로, 약제 카세트(10)의 외곽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약제 카세트(10)는, 도 2, 도 3과 같이, 하부측의 폭이 상부측에 비해 작고, 하부에 단차부(38)가 있다. 또한 도 2, 도 14와 같이, 단차부(38)의 근방이며, 손잡이측의 부분에는, 작은 돌기(21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3, 도 14와 같이, 단차부(38)의 근방이며, 손잡이에 대해 배면측에도 작은 돌기(211)가 마련되어 있다.
약제 카세트(10)의 저면에 주목하면, 도 4와 같이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의 로드(33)가 삽입 관통되는 구멍(61)이 마련되어 있다. 당해 구멍(61)에 삽입 관통된 로드(33)는, 상기한 로크 기구(60)의 조작 레버(62)에 도달해 있다. 도 4와 같이 약제 카세트(10)의 이면에는 복수의 오목부가 있다. 오목부의 하나로서, 손잡이측에 마련된 걸림 결합 오목부(220)가 있다. 또한 약제 카세트(10)에는, 도 3과 같이 기억 매체로서 RF(radio frequency) 태그(2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RF 태그(212)는, 약제 카세트(10)가 저류하는 약제를 특정 가능하게 하는 기억 매체이다. 모든 약제 카세트(10)에는, 식별 번호 등의 식별 정보가 있고, 당해 식별 정보가 RF 태그(212)에 기억되어 있다.
(카세트 적재부(8))
카세트 적재부(8)에 대해 도 1,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카세트 적재부(8)는, 약제 카세트(10)에 약제를 보충하기 위해 약제 카세트(10)를 임시 배치(적재)하는 부분이다. 카세트 적재부(8)는, 도 1과 같이 약제 불출 장치(1)의 정면이며, 중간 정도의 높이의 위치에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제 불출 장치(1)의 정면의 코너 부분에 오목부(40)가 있고, 선반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0)는, 바닥부(41)와, 안쪽 벽부(42)와 한쪽의 측벽부(43)를 갖고 있다. 그리고 당해 선반부(20)에, 적재대(52)와, 분리 로크 수단(22)과,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 및 근접 스위치(18)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은, 덮개 로크 수단(72)을 조작하는 장치이다.
적재대(52)는, 도 13과 같이, 2조의 각봉상 부재(25, 26)가, 앞쪽으로부터 안쪽 벽부(42)를 향해 연장되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것이다. 또한 각봉상 부재(25, 26)의 안쪽 벽부(42)측에는, 스토퍼 부재(27, 28)가 수직 자세로 마련되어 있다. 각봉상 부재(25, 26)의 전방측의 돌출단 면에는, 걸림 결합 구멍(3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 부재(27, 28)에도 걸림 결합 구멍(31)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은, 한쪽의 각봉상 부재(26)측에 내장되어 있다.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은, 도 15와 같은 로드(33)를 갖고 있다. 로드(33)는 상시, 각봉상 부재(26)에 마련된 개구(47) 내에 들어가 있고, 필요에 따라서 수직으로 돌출된다. 로드(33)를 돌출시키는 방책으로서는, 모터와 나사의 조합이나, 크랭크, 캠 등의 링크 기구, 솔레노이드를 활용한 구조가 채용 가능하다.
분리 로크 수단(22)은, 선반부(20)의 바닥부(41)이며, 안쪽 벽부(42)로부터 먼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분리 로크 수단(22)은, 각봉상 부재(25, 26) 사이에 끼인 위치에 있다. 분리 로크 수단(22)은, 바닥부(41)에 마련된 개구(48)로부터, 도 15와 같이 걸림 결합편(46)을 돌출시키는 것이다. 걸림 결합편(46)은 판상이다.
근접 스위치(18)는, 선반부(20)의 바닥부(41)에 있고, 약제 카세트(10)의 특정 위치가, 근접 스위치(18)에 도달하여, 약제 카세트(10)가 정규의 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것이다.
(약제 카세트(10)에 약제를 보충할 때의 동작)
다음으로, 약제 카세트(10)에 약제를 보충할 때의 작업 수순 및 약제 불출 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약제 카세트(10)에 약제를 보충할 때에는, 약제의 보충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목적이나, 만일 무언가의 오류가 발생한 경우의 추적 조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종 확인 동작을 행하고, 그것을 기록으로 남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언제, 어디서, 누가, 무엇을 하였는지를 입력하고, 그것이 올바른 행위인지를 확인하고, 또한 기록으로 남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제 불출 장치(1)와 통신 가능한 컴퓨터(500)가 있고, 당해 컴퓨터(500)의 기억 수단(기억부)(501)에 소정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소정의 정보는, 약제 불출 장치(1) 자신의 기억 수단(기억부)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기억 수단(50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는 여러 갈래에 걸쳐 있지만, 적어도 하기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1) 작업자 정보
작업자 정보에는, 약국이나 병원에 등록되어 있는 약사, 의사, 간호사, 그 밖에, 당해 약제 불출 장치(1)를 조작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는 사람과, 그 조작 가능 범위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작업자 정보에는, 작업자의 이름 등과, ID 등이 관련되어 기억되어 있다.
(2) 약제 카세트 정보
약제 카세트 정보에는, 약제 카세트(10)를 식별하는 약제 카세트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약제 카세트 정보에는, 약제 카세트(10)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약제 카세트 식별 정보와, 약제명을 특정하는 정보, 과거의 보충 이력, 수용되어 있는 약제의 약품 제조 번호 정보나 유효 기한, 제조일 등이 관련되어 기억되어 있다.
(3) 보유 약제 정보
보유 약제 정보에는, 약국 등이 보유하고 있는 약제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약제의 정보에는, 약제명과, 당해 약제의 약품 제조 번호 정보나 유효 기한, 제조일 등이 포함된다. 또한 약제병에 부여된 바코드 등과 약제의 정보 등이 관련되어 기억되어 있다.
약제 카세트(10)에 약제를 보충할 때에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조작부)(3)를 조작하여, 소정의 약제 보충 화면을 불러온다. 약제 보충 화면에는, 하기의 입력란이 있다.
(1) 작업 일시 입력란
작업 일시 입력란은, 보충 작업을 개시하는 일시를 입력하는 란이다. 작업 일시 입력란의 입력은, 약제 불출 장치(1)가 내장하는 시계와 연동되어 자동 입력되어도 되고, 수동으로 입력되어도 된다.
(2) 작업자 정보 입력란
보충 작업을 행하는 사람의 이름이나 ID를 입력한다. 입력된 작업자가 약제를 보충하는 권한을 갖지 않은 사람인 경우에는, 에러 표시가 이루어진다.
(3) 약제 정보 입력란
보충하는 약제의 명칭 등을 입력한다. 또한 당해 약제의 약품 제조 번호 정보나 유효 기한, 제조일 등을 입력한다. 약품 제조 번호 정보나 유효 기한, 제조일 등은, 보유 약제 정보로부터 정보가 입수되어 자동 입력되어도 된다.
(4) 보충 개수 입력란
충전할 약제의 개수를 입력한다. 보충 개수 입력란에의 입력 정보는, 추후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병에 부여된 약품의 정보와, 기억 수단(기억부)(501)이 기억하고 있는 약제 카세트(10)에 수용되어 있는 약품에 관한 정보와, 카세트 적재부(8)에 적재된 약제 카세트(10)에 수용되어 있는 약품에 관한 정보가 합치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후기하는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이 기능하여, 도 15와 같이 로드(33)가 각봉상 부재(26)에 마련된 개구(47)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다. 또한, 작업자가 약제를 약제병으로부터 약제 카세트(10)에 약제를 보충한 후에, 상기한 작업 일시 입력란, 작업자 정보 입력란, 약제 정보 입력란 및 보충 개수 입력란 전부에 소정의 입력이 있었음을 조건으로 하여 후기하는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이 기능하여, 로드(33)가 강하하여, 각봉상 부재(26)에 마련된 개구(47) 내로 인입된다.
또한 보충 작업의 종료 후에는, 상기한 입력 정보가 관련되어 기억 수단(501)에 기억된다. 즉, 언제(작업 일시 입력란의 정보), 어디서(특정 약제 불출 장치(1)), 누가(작업자 정보 입력란의 정보), 무엇을(어느 약제 카세트(10)에, 무엇을 몇 개 보충) 하였는지가 관련되어 기억된다. 적어도 작업자 정보와, 작업의 실시일, 약제 카세트(10)의 식별 정보가 관련되어 기억부(501)에 기억된다. 또한 이들과, 약품 제조 번호 정보 또는 유효 기한 중 어느 것도 관련되어 기억부(501)에 기억된다.
다음으로, 실제의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약제 카세트(10)에 약제를 보충하는 경우에는, 용기 배치부(200)로부터 소정의 약제 카세트(10)를 분리한다. 그리고 당해 약제 카세트(10)를 카세트 적재부(8)에 싣는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제 카세트(10)의 단차부(38)를 적재대(52)의 2조의 각봉상 부재(25, 26) 상에 싣고, 그 상태에서, 약제 카세트(10)를 안쪽 벽부(42)측으로 밀어넣는다.
약제 카세트(10)의 선단 부분은, 스토퍼 부재(27, 28)와 맞닿아, 그 이상의 밀어넣기가 불가능해진다. 또한 스토퍼 부재(27, 28)에 마련된 걸림 결합 구멍(31)에, 약제 카세트(10)의 작은 돌기(211)를 걸림 결합시킨다. 또한 각봉상 부재(25, 26)의 전방측의 걸림 결합 구멍(30)에, 약제 카세트(10)의 작은 돌기(210)를 걸림 결합시킨다.
그 결과, 약제 카세트(10)는, 카세트 적재부(8)가 특정 위치에서 위치 결정된다. 즉, 약제 카세트(10)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는, 약제 카세트(10)의 선단 부분이 스토퍼 부재(27, 28)와 맞닿음으로써 위치 결정된다. 약제 카세트(10)의 좌우 방향에 대해서는, 약제 카세트(10)의 단차부(38)가 적재대(52)의 2조의 각봉상 부재(25, 26)와 걸림 결합되고, 또한 약제 카세트(10)의 작은 돌기(210, 211)가, 걸림 결합 구멍(30, 31)과 걸림 결합됨으로써 위치 결정된다. 또한 약제 카세트(10)의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은, 약제 카세트(10)의 작은 돌기(210, 211)가, 걸림 결합 구멍(30, 31)과 걸림 결합됨으로써 규제된다.
근접 스위치(18)는, 선반부(20)의 바닥부(41)에 있고, 약제 카세트(10)가 특정 위치에 있는 것이 근접 스위치(18)에 의해 확인되면, 자동적으로, 혹은 소정의 동작에 의해, 분리 로크 수단(22)이 동작하여, 바닥부(41)에 마련된 개구(48)로부터, 도 15와 같이 판상의 걸림 결합편(46)이 돌출된다. 그리고 걸림 결합편(46)은, 약제 카세트(10)의 이면에 형성된 걸림 결합 오목부(220)와 걸림 결합된다. 그 결과, 약제 카세트(10)는, 카세트 적재부(8)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또한, 약제 카세트(10)는 카세트 적재부(8) 상에 있어서, 그 위치를 바꿀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약제 카세트(10)의 바닥에 마련된 구멍(61)의 위치가, 각봉상 부재(26)에 마련된 로드(33)가 출몰하는 개구(47)의 위치와 합치한다. 또한 약제 카세트(10)에 부여된 RF 태그(212)로부터, 약제 카세트(10)의 식별 정보가 판독되어, 당해 약제 카세트(10)가 약제를 보충해야 할 약제 카세트(10)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어서, 작업자는, 보충하고자 하는 약제가 보존되어 있는 약제병(도시하지 않음)을, 예를 들어 약품고나 약품 선반으로부터 가져온다. 통상, 약제가 보존된 약제병의 라벨에는, 바코드, 이차원 코드 등의 심볼이 인쇄되어 있다. 이 심볼에는, 그 병이 보존하고 있는 약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작업자는, 병의 심볼을, 광학식 스캐너(5)에 판독시킨다. 이 스캔 결과에 기초하여, 약제 불출 장치(1)는, 약제병에 들어 있는 약제를 특정한다.
이어서 약제 불출 장치(1)는, 약제병에 들어 있는 약제가, 약제 카세트(10)에 보충될 약제로서 정확한지 여부를 판별한다. 약제병에 들어 있는 약제가 약제 카세트(10)에 보충될 약제로서 틀린 경우에는, 소정의 경고를 표시한다. 약제병에 들어 있는 약제가, 약제 카세트(10)에 보충되어야 할 약제인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혹은 소정의 동작에 의해,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이 기능하여, 도 15와 같이 로드(33)가 각봉상 부재(26)에 마련된 개구(47)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봉상 부재(26)에 마련된 개구(47)의 위치는, 약제 카세트(10)의 바닥에 마련된 구멍(61)과 합치하고 있으므로, 개구(47)로부터 돌출된 로드(33)는, 약제 카세트(10)의 구멍(61)에 삽입 관통되어, 조작 레버(62)와 충돌하여 조작 레버(62)에 상향의 외력을 가한다. 그 결과, 로크 기구(60)의 로크측 제1 걸림 결합부(67) 및 로크측 제2 걸림 결합부(68)가 경사 자세가 되어 걸림 결합 갈고리(70)가 인입되어, 덮개측 제1 걸림 결합부(13a) 및 덮개측 제2 걸림 결합부(13b)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즉, 로드(33)에 의해 로크 기구(60)가 시정 가능 상태로부터 개정 상태로 자세 변화된다. 그 결과, 덮개 부재(12)가 개정된 상태가 된다.
그 후, 작업자의 손에 의해 덮개 부재(12)가 개방되어, 내부의 고형제 수용부(11)에 약제가 보충된다. 약제의 보충을 종료하면, 작업자의 손에 의해, 덮개 부재(12)가 폐쇄된다. 그리고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조작부)(3)를 조작하여, 약제 카세트(10)에 약제를 투입하였다는 취지의 입력을 행한다. 작업자는, 덮개 부재(12)가 폐쇄된 후라도, 약제의 보충량 등에 대해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아무런 오류가 없다고 확신하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조작부)(3)를 조작하여, 약제 카세트(10)의 로크 기구(60)를 개정 상태로부터 시정 상태로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의 의사에 따라,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3)의 확인부를 조작함으로써,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이 기능하여, 로드(33)가 강하하여, 각봉상 부재(26)에 마련된 개구(47) 내로 인입된다. 그 결과, 로크 기구(60)의 조작 레버(62)는 외력을 잃고, 가압 부재(66)에 의해, 로크측 제1 걸림 결합부(67) 및 로크측 제2 걸림 결합부(68)가 수직 자세로 돌아가, 덮개 부재(12)가 걸림 결합 가능한 자세로 복귀된다. 즉, 로드(33)에 의해 로크 기구(60)가 개정 상태로부터 시정 가능 상태로 자세 변화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덮개 부재(12)가 폐쇄된 상태이므로, 로크 기구(60)의 걸림 결합 갈고리(70)가 덮개 부재(12)의 덮개측 제1 걸림 결합부(13a) 및 제2 걸림 결합부(13b)와 걸림 결합되어, 덮개 부재(12)는 시정 상태가 된다.
또한, 분리 로크 수단(22)이 동작하여, 돌출되어 있던 걸림 결합편(46)이, 바닥부(41)에 마련된 개구(48)에 인입된다. 그 결과, 걸림 결합편(46)과 약제 카세트(10)의 이면에 형성된 걸림 결합 오목부(220)의 걸림 결합이 해소된다. 또한 분리 로크 수단(22)의 걸림 결합 해제와,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에 의한 로크 기구(60)의 조작 레버(62)의 조작은, 어느 것이 먼저여도 된다. 즉,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에 의해 덮개 로크 수단(72)이 시정 가능한 상태로 된 후에, 분리 로크 수단(22)의 걸림 결합 해제가 이루어져도 되고, 분리 로크 수단(22)의 걸림 결합 해제가 이루어진 후에, 덮개 로크 조작 수단에 의해 덮개 로크 수단(72)이 시정 가능한 상태로 되어도 된다. 즉,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에 의해 덮개 로크 수단(72)이 시정 가능 상태로 되는 조건이 갖추어진 경우에, 분리 로크 수단(22)이 해제되어 약제 카세트(10)가 카세트 적재부(8)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또한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이 기능한 후, 또한 작업자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3) 등을 조작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분리 로크 수단(22)이 해제되어 약제 카세트(10)가 카세트 적재부(8)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단 덮개 부재(12)를 폐쇄한 후라도, 작업자의 의사에 따라,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3)의 확인부를 조작하여,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을 기능시킬 때까지라면, 다시 덮개 부재(12)를 개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자의 의사에 기인하여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을 기능시키지 않으면,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의 로드(33)는,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로드(33)는 로크 기구(60)의 조작 레버(62)를 계속 압박한다. 그 때문에 덮개 부재(12)는 외관상, 폐쇄되어 있기는 하지만, 시정 상태로는 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작업자의 손에 의해 다시 덮개 부재(12)를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제가 부족하다고 느끼면, 다시 덮개 부재(12)를 개방하여, 약제를 추가할 수 있다. 반대로 지나치게 많다고 느끼면, 다시 덮개 부재(12)를 개방하여 숟가락 등으로 약제를 떠내어, 약제를 저감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세트 적재부(8)는, 약제 불출 장치(1)의 본체 부분의 일부에 마련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약제 불출 장치(1)의 본체 부분과는 별개로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 부재(12)를 시정 상태로 하는 의사를 나타내는 수단으로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3)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충 완료」를 확인하는 스위치 등(조작부)이나 그것을 시사하는 스위치 등(조작부)이 있어 작업자가 조작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 로크 수단(72)의 구동부인 로크 기구(60)가 약제 카세트(10)의 본체(15)에 있고, 로크 기구(60)와 걸림 결합되는 걸림 결합부가 덮개 부재(12)에 있다.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로드(33) 그 밖에 구동되는 측의 부재가 덮개 부재(12)측에 있고, 이것과 걸림 결합되는 부재가 본체(15)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약제 카세트(10)의 덮개 부재(12)를 로크하는 로크 기구(60)는,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토글 기구를 이용한 것, 나사나 래치를 이용한 것, 전자적인 수단을 이용한 것이어도 된다. 로크 기구(60)는, 도구나 기구 없이는 덮개 부재(12)를 개방할 수 없도록 시정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덮개 로크 조작 수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로드(33)가 수직 이동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로드(33) 그 밖의 작용편이 수평 이동하거나, 요동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작용편이 회전하는 것이나, 전자적인 수단을 이용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비접촉으로 로크 기구를 움직이게 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자의 의사에 기초하여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이 기능할 때까지, 로크 기구(60)는 개정 상태를 유지하고, 덮개측 제1 걸림 결합부(13a) 및 덮개측 제2 걸림 결합부(13b)와 걸림 결합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자의 의사에 기초하여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이 기능할 때까지의 동안, 덮개 부재(12)의 자유단측은 무엇과도 걸림 결합되지 않아, 덮개 부재(12)는 프리한 상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로크 기구(60)가 덮개 부재(12)와 반걸림 결합 상태로 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로크 기구(60)가 덮개 부재(12)와 반걸림 결합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덮개 부재(12)는 폐쇄된 상태로 되어 있지만, 덮개 부재(12)를 강한 힘으로 개방하면, 걸림 결합이 해제되어 덮개 부재(12)가 개방된다. 또한 작업자의 의사에 기초하여 덮개 로크 조작 수단(23)이 기능할 때까지의 동안은, 임시 시정 상태로 되어, 간단한 수동 조작에 의해 덮개 부재(12)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약제 카세트(10)는, 내측 회전체와 외측 회전체를 갖는 것이지만, 이것은 약제 카세트(10)의 일례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회전체를 1개만 갖는 것이어도 되고, 애당초 회전체 자체를 갖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바이알병 운반 장치(130))
바이알병 운반 장치(130)는, 약제 불출 장치(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바이알병 운반 장치(130)는, 도 16과 같이 용기 배치부(200)의 이면측에 마련된 것이며, 이동 헤드(400)를 갖고 있다. 이동 헤드(400)는, 도시하지 않은 레일을 따라 용기 배치부(200)의 이면측을 약제 불출 장치(1)의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동 헤드(400)는, 도시하지 않은 승강 장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어, 상하 방향(Y 방향)으로도 이동한다. 즉, 이동 헤드(400)는, 1종의 X-Y 테이블에 보유 지지되어 있고, 용기 배치부(200)의 이면측을 평면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동 헤드(400)는, 용기 배치부(200)의 이면에 대해, 근접·이반 방향으로도 이동한다.
이동 헤드(400)는, 도 17과 같이 바이알병을 보유 지지하는 척(401)과, 약제 카운트 기판(약제 카운트 수단)(402)과, 넘침 센서(53)(약제 검지 센서)가 마련되어 있다. 약제 카운트 기판(402)은, 도 17, 도 19와 같이 2개의 암 부재(405, 406)를 갖고, 암 부재(405, 406)의 사이를 통과하는 정제의 수를 광 센서로 카운트하는 것이다. 한쪽의 암 부재(405)는, 발광측 암이며, 도 19의 (a)와 같이 복수의 발광 소자(410)가 배치되어 있다.
다른 쪽의 암 부재(406)는, 수광측 암이며, 도 19의 (a)와 같이 복수의 수광 소자(411)가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410)와 수광 소자(411)는, 거리가 떨어진 위치에 있는 2개의 암 부재(405, 406)에 마련되어 있어, 양자 사이에는 소정의 거리가 있다. 약제 카운트 기판(402)은, 발광 소자(410)와 수광 소자(411)로 둘러싸인 평면 공간(430)을 정제가 통과하고, 발광 소자(410)의 광을 정제가 차단하여 수광 소자(411)의 수광이 도중에 끊어진 것을 검지하고, 약제의 통과량을 계수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측 암 부재(405)에 발광 소자(발광 부재)(410)가 8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광측 암 부재(406)에는, 수광 소자(수광 부재)(411)가 8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의 발광 소자(410)는,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바와 같이 2개의 발광 소자군(431, 432)으로 나뉘어 있다. 8개의 발광 소자(410) 중, 발광측 암 부재(405)의 개방단측에 치우친 위치에 있는 2개의 발광 소자(410)와, 발광측 암 부재(405)의 기단측에 치우친 위치에 있는 2개의 발광 소자(410)의 합계 4개가, 그룹 A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중앙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 4개의 발광 소자(410)가 그룹 B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룹마다 발광량이 제어되어 있다. 즉, 그룹 A에 속하는 4개의 발광 소자(410)는, 동일한 발광량으로 발광한다. 또한 그룹 B에 속하는 4개의 발광 소자(410)는, 동일한 발광량으로 발광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9의 (b)와 같은 그룹 분할이어도 된다. 발광 소자(410)의 수나 그룹의 수는 임의이며, 많은 편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도 16과 같이, 용기 배치부(200)의 이면측에는, 용기 배치부(200)의 약제 카세트 설치부(204)에 대응하여 복수의 약제 불출구(214)가 있다. 또한 용기 배치부(200)의 약제 카세트 설치부(204)는, 상기한 약제 불출구(214)와 연통되는 약제 투입구(213)가 있다. 상기한 약제 카세트(10)는, 표면측의 약제 카세트 설치부(204)에 설치되고, 약제 카세트(10)로부터 약제 불출구(214)로 정제가 배출된다.
용기 배치부(200)의 벽면에는, 표리를 관통하는 개구(412, 413), 및 센서 삽입구(41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 배치부(200)의 이면측으로부터, 개구(412, 413)에, 상기한 약제 카운트 기판(402)의 암 부재(405, 406)가 삽입되고, 당해 암 부재(405, 406)는 개구(412, 413)를 관통하여 용기 배치부(200)의 표면측으로 돌출 가능하다. 또한 센서 삽입구(415)는 넘침 센서(53)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광축이 통과하도록 마련된다.
즉, 이동 헤드(400)는, 용기 배치부(200)의 이면에 대해, 근접·이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동 헤드(400)를 용기 배치부(200)의 벽면측으로 이동시켜 암 부재(405, 406)를 개구(412, 413)로부터 표면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암 부재(405, 406)는, 약제 투입구(213)를 덮는 위치로 돌출되고, 약제 카세트(10)로부터 배출된 약제는, 약제 투입구(213)에 낙하할 때, 2개의 암 부재(405, 406)로 둘러싸이는 평면 공간(430)을 통과하여, 계수된다.
(넘침 센서(53)의 기능)
본 실시 형태의 약제 카세트(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회전체(51)에 의해 불출 경로(35)가 구성되어 있다. 넘침 센서(53)(약제 검지 센서)는, 불출 경로(35)에 정제가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센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넘침 센서(53)는, 제2 회전체(51)에 의해 구성되는 불출 경로(35)에 면하는 구멍(73)으로부터 광을 발하고, 정제에 의해 반사하는 광을 수광부에서 수광하여 정제의 유무를 검지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사광의 절댓값에 의한 정제 유무의 판정 외에도, 반사광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에 의해서도 고형상 약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정제에는, 광을 반사하기 어려운 것도 있어, 반사광의 강약에만 의존하면, 제2 회전체(51) 상에 정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없는 것으로 판단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제1 회전체(50)가 상승하여 정제군의 상부의 높이가 외측의 제2 회전체(51)의 높이에 도달하여, 제1 회전체(50)로부터 제2 회전체(51) 상으로 정제가 옮겨져, 제1 회전체(50)의 상승을 정지시켜야 하는 타이밍임에도 불구하고, 제1 회전체(50)가 계속 상승하여, 정제가 불출 경로(35) 상으로 넘쳐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회전체(51)에 약제가 있는 것을 더 확실하게 판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반사광의 절댓값에 의한 정제 유무의 판정 외에도, 반사광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에 의해서도 고형상 약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로 하였다. 즉, 반사광의 미분값에 의해서도 고형상 약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로 하였다.
가령 광이 반사되기 어려운 정제가, 제2 회전체(51)에 실린 경우, 반사광이 약하기 때문에, 수광부에의 수광 강도가 정제가 있다고 판정하는 역치에는 도달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정제는, 제2 회전체(51) 상에서 이동하거나 자세 변경되기 때문에, 반사광이 어른거린다. 그 때문에 수광 강도가, 정제가 있다고 판정되는 역치에는 도달하지 않은 경우라도, 수광에 통상 정도를 초과하는 어른거림이 있고,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이 어느 역치에는 도달한 경우에는, 제2 회전체(51)에 실렸다고 판정한다. 물론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미분값)이 어느 역치에는 도달하지 않고, 반사광의 절댓값이 역치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2 회전체(51) 상에 정제가 있다고 판정한다.
본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1)에서는, 약제를 불출할 때에 내측의 제1 회전체(50)가 회전하면서 천천히 상승하여, 제1 회전체(50)에 적재된 정제군을 회전시키면서 상승시킨다. 넘침 센서(53)의 수광량이 역치를 초과하거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이 역치에 도달하면, 제1 회전체(50)의 상승을 정지하고, 제1 회전체(50)는 그 높이에서 회전하여 정제를 외측의 제2 회전체(51)에 공급한다. 외측의 제2 회전체(51)는 회전하고 있고, 제2 회전체(51) 상의 정제가 정제 배출구(17)를 향해 반송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채용하는 약제 카세트(10)는, 고형상 약제를 수용하는 고형제 수용부(11)와, 상기 고형제 수용부(11)로부터 고형상 약제를 배출하는 배출구(정제 배출구(17))와, 회전체(51)를 갖고, 회전체(51)에 고형상 약제를 놓고, 회전체(51)를 회전시켜 고형상 약제를 상기 배출구(17)로 이동시키는 것이며, 상기 회전체(51)에 고형상 약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넘침 센서(53)를 갖고, 당해 넘침 센서(53)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고 있어 고형상 약제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부에서 수광하는 것이며, 반사광의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에 의해 고형상 약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회전체(51) 상의 정제 검지를 반사광의 절댓값과,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미분값)의 양쪽에 의해 검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1)에서는, 약제 카세트(10)로부터 통상 불출 동작에 의해 정제를 불출할 때의 동작은, 도 20의 흐름도와 같다.
스텝 1에서 통상 불출 동작이 선택되면, 스텝 2로 이행하여, 제2 회전체(외륜)(51)가 정회전을 개시한다. 계속해서 스텝 3으로 이행하여, 소정량의 정제가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량의 정제가 배출되었으면, 스텝 4로 이행하여 약제 카세트(10)의 동작을 정지시켜 일련의 작업을 종료한다.
한편, 소정량의 정제가 아직 배출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5로 이행하여, 결품 검지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일정 시간에 걸쳐 제2 회전체(51)를 계속 회전해도, 약제가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약제 카세트(10)가 비어 있다고 판단하고, 스텝 4로 이행하여 약제 카세트(10)의 동작을 정지시켜 일련의 작업을 종료한다.
결품 검지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5로부터 스텝 6, 또한 스텝 7로 이행하고, 넘침 센서(53)의 수광량의 절댓값의 역치를 초과하고 있는지, 혹은 미분값의 역치를 초과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어느 역치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8로 이행하여 제1 회전체(내륜)(50)의 상승을 정지시켜, 스텝 3으로 돌아간다. 또한 제1 회전체(내륜)(50)가 회전 및 상승을 개시하고 있지 않으면, 그 상태를 유지하고 스텝 3으로 돌아간다. 스텝 6, 스텝 7에서 어느 역치도 초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9로 이행하여 일정한 외륜 구동 시간 한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외륜 구동 시간 한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는, 정제군이 제2 회전체까지 끌어올려져 있지 않다고 예상되므로, 스텝 10으로 이행하고, 내륜을 회전시킴과 함께 내륜을 상승시켜 스텝 3으로 돌아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제 카세트(10)로부터 약제를 불출하는 동작으로서, 타이머 제어 불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타이머 제어 불출 동작은, 일정 시간 동안만 제1 회전체(50)를 상승시키고, 이어서 일정 시간 동안, 상승을 정지시키는 방법이다. 타이머 제어 불출 동작을 행할 때에는, 반사광의 절댓값과, 단위 시간당의 변화량(미분값)의 양쪽에 의해 약제를 검지해도 되지만, 「타이머 제어 불출 동작」을 행하는 것은, 반사광의 절댓값에 의한 약제 검지가 곤란한 경우가 많으므로, 미분값만을 활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1)에서는, 약제 카세트(10)로부터 타이머 제어 불출 동작에 의해 정제를 불출할 때의 동작은, 도 21의 흐름도와 같다. 타이머 제어 불출 동작의 플로우는, 스텝 5까지가 도 20의 통상 불출 동작과 동일하다. 타이머 제어 불출 동작에서는, 스텝 6에서, 미분값의 역치를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미분값의 역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스텝 7로 이행하여 제1 회전체(50)의 상승을 정지시키고, 스텝 3으로 돌아간다. 스텝 6에서, 미분값의 역치를 초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8로 이행하여, 내륜이 상승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내륜이 상승 중인 경우는 스텝 9로 이행하여, 일정한 내륜 구동 시간 한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내륜 구동 시간 한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3으로 돌아간다. 내륜 구동 시간 한도에 도달한 경우는, 스텝 7로 이행하여 제1 회전체(50)의 상승을 정지시키고, 스텝 3으로 돌아간다.
스텝 8에서, 내륜이 상승 중이지 않은 경우는, 일정한 내륜 정지 시간 한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내륜 정지 시간 한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3으로 돌아간다. 내륜 정지 시간 한도에 도달한 경우는, 스텝 11로 이행하여 제1 회전체(50)를 회전시키고 또한 제1 회전체(50)를 상승시킨다.
(넘침 센서(53)의 감도 조정)
넘침 센서(53)는, 적절하게 역치의 조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제 카세트(10)로부터 약제를 불출할 때에 넘침 센서(53)의 역치의 조정을 행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넘침 센서(53)의 역치 조정을 행할 때, 현상의 역치에서 제2 회전체(51)에 정제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한다. 제2 회전체(51)에 정제가 없는 경우에는, 넘침 센서(53)의 역치 조정을 행한다.
이 이유는, 가령 제2 회전체(51)에 정제가 있는 상태에서 역치 조정을 행하면, 역치 조정 시에 정제의 표면에서 광이 반사하여, 역치가 높게 설정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가령 역치가 높게 설정되어 버리면, 제1 회전체(50)가 상승하고, 제1 회전체(50)로부터 제2 회전체(51) 상으로 옮겨져 제1 회전체(50)의 상승을 정지시켜야 하는 타이밍임에도 불구하고, 넘침 센서(53)가 제2 회전체(51)의 정제를 검지할 수 없어, 제1 회전체(50)가 계속 상승하여, 제2 회전체(51)에 정제가 넘쳐 버릴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제2 회전체(51)에 정제가 실려 있는 경우의 대책으로서는, 대략 다음 두 가지의 방책이 고려된다. 제1 방책은, 제2 회전체(51)를 역회전시켜, 제2 회전체(51)에 실려 있는 정제를 제2 회전체(51)로부터 제1 회전체(50)측으로 복귀시키고, 그 후에 넘침 센서(53)의 역치 조정을 행한다. 제2 방책은, 제2 회전체(51)를 정회전시켜, 제2 회전체(51)에 실려 있는 정제를 정제 배출구(17)로부터 배출하고, 그 후에 넘침 센서(53)의 역치 조정을 행한다. 이하, 설명한다.
(제1 방책)
제2 회전체(51) 상에는, 정제 배출구(17)가 있어, 제2 회전체(5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약제가 정제 배출구(17)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비해 제2 회전체(5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회전체(51)에 실려 있는 약제가 정제 배출구(17)의 커버 등에 닿아, 제1 회전체(내륜)(50)측으로 낙하한다. 그리고 넘침 센서(53)가 정제를 검지하지 않게 되면, 제2 회전체(51)의 역회전을 정지시키고, 넘침 센서(53)의 역치 조정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넘침 센서(53)의 역치 조정을 행할 때, 제2 회전체(51)에 정제가 없는 것을 확인하고, 정제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역치 조정을 행한다. 그리고 통상의 불출 동작을 따라 약제의 불출을 행한다. 제2 회전체(51)의 역회전을 일정 시간에 걸쳐 역회전시켜도, 넘침 센서(53)가 정제를 계속 검지하고 있는 경우는, 넘침 센서(53)의 역치 조정은 행하지 않는다.
제2 회전체(51)의 역회전을 일정 시간에 걸쳐 역회전시켜도, 넘침 센서(53)가 정제를 계속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회전체(50)의 상승을 통상의 경우에 비해 천천히 상승시키는 방법, 또는 상기한 타이머 제어 불출 동작이 실행된다.
전자의 방법은, 제1 회전체(50)의 상승을 통상의 경우에 비해 천천히 상승시킨다. 예를 들어 타이머를 이용하여 제1 회전체(50)의 상승 속도를 제한한다. 즉, 제2 회전체(51)가 회전하여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정제의 양에 비해, 제1 회전체(50)가 상승하여 제2 회전체(51)로 옮겨지는 정제량이 적어지도록 제1 회전체(50)의 상승 속도를 억제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약제를 불출할 때에 내측의 제1 회전체(50)가 회전하면서 더 천천히 상승한다. 제1 회전체(50)가 상승함에 따라 제1 회전체(50)에 적재된 제1 회전체(50)에 적재된 정제가, 제2 회전체(51)로 이동하는데, 단위 시간당 제2 회전체(51)로 이동하는 개수가 적고, 제2 회전체(51) 상의 정제가 모두 배출되므로, 정제가 넘치는 일은 없다.
도 22의 흐름도는, 제1 방책을 채용하여, 제2 회전체(51)를 역회전시켜 정제를 제1 회전체(50)측으로 복귀시키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이다. 즉, 스텝 1에서, 넘침 센서(53)가 약제를 검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요컨대, 제2 회전체(51) 상에 약제가 있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약제가 없으면, 스텝 6으로 이행하여 넘침 센서(53)의 역치 조정을 행하고, 스텝 7로 이행하여 통상 불출을 행한다. 제2 회전체(51) 상에 약제가 있으면 스텝 2로 이행하여 제2 회전체(외륜)(51)를 역회전시킨다. 스텝 3에서 시간의 경과를 판단하여, 제2 회전체(51)를 일정 시간 동안 역회전시키고, 그 동안에도 넘침 센서(53)가 약제를 검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넘침 센서(53)가 약제를 검지하지 않게 되면, 스텝 6으로 이행하여 넘침 센서(53)의 역치 조정을 행한다. 제2 회전체(51)를 일정 시간 동안, 역회전시켜도, 넘침 센서(53)가 약제를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4로 이행하여 타이머 제어 불출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스텝 2에서 제2 회전체(외륜)(51)를 역회전시킨 후, 스텝 3에서 넘침 센서(53)가 계속 검지하면서 역회전 계속 시간이 일정 시간 α1 경과하였다고 판단하고, 스텝 4의 타이머 제어 불출 동작으로 이행할 때까지의 동안에, 넘침 센서(53)의 수광량의 미분값에 기초하는 검출 신호를 검출하지 않는 상태가 일정 시간 β1 계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건으로서 설정되는 시간 β1은 α1 이하로 한다. 즉, 역회전시켜, 넘침 센서(53)가 계속 검지하면서 넘침 센서(53)의 수광량의 미분값에 기초하는 검출 신호를 검출하지 않는 상태가 일정 시간 β1 계속되는 경우, 스텝 6으로 이행하여 넘침 센서(53)의 역치 조정을 행한다. 넘침 센서(53)가 계속 검지하면서 넘침 센서(53)의 수광량의 미분값에 기초하는 검출 신호를 검출하지 않는 상태가 일정 시간 β1 계속되지 않는 경우, 스텝 3에서 넘침 센서(53)가 계속 검지하면서 역회전 계속 시간이 일정 시간 α1 경과하였다고 판단하고, 스텝 4로 이행하여 타이머 제어 불출 동작을 실행한다. 이에 의해, 타이머 제어 불출 동작을 실행하는 빈도를 낮출 수 있다.
(제2 방책)
제2 방책은, 제1 회전체(50)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제2 회전체(51)를 정회전시켜, 제2 회전체(51) 상의 정제를 정제 배출구(17)로부터 배출하여, 바이알병 등에 투입한다. 바이알병 등에 투입된 정제의 개수는, 약제 카운트 기판(402)에서 계수한다. 이 동안, 넘침 센서(53)에 의해 제2 회전체(51) 상의 정제를 계속 감시하여, 넘침 센서(53)가 정제를 검지하지 않게 되면, 제2 회전체(5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그 후, 넘침 센서(53)의 역치 조정을 행한다. 넘침 센서(53)의 역치 조정이 완료되면, 통상의 정제 배출 동작을 행하고, 나머지 정제를 배출한다. 예를 들어, 정제를 합계 100정 배출하라는 요구가 있고, 넘침 센서(53)의 역치 조정을 행하기 전에, 정제를 6정, 바이알병 등에 투입하면, 나머지 94정을 통상의 정제 배출 동작에 의해 배출한다.
도 23의 흐름도는, 제2 방책을 채용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이다. 즉 스텝 1에서, 넘침 센서(53)가 약제를 검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약제가 없는 경우의 동작은, 제1 방법과 동일하며, 스텝 9로 이행하여 넘침 센서(53)의 역치 조정을 행하고, 스텝 10으로 이행하여 통상 불출을 행한다. 제2 회전체(51) 상에 약제가 있으면 스텝 2로 이행하여 배출량의 계수를 개시하고, 스텝 3으로 이행하여 제2 회전체(51)를 정회전시킨다. 스텝 3, 스텝 4, 스텝 5에서, 제2 회전체(51)를 일정 시간 동안, 정회전시켜, 그 동안에도 넘침 센서(53)가 약제를 검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넘침 센서(53)가 약제를 검지하지 않게 된 경우에는, 스텝 9로 이행하여 넘침 센서(53)의 역치 조정을 행한다. 제2 회전체(51)를 일정 시간 동안, 정회전시켜도, 넘침 센서(53)가 약제를 계속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6으로 이행하여 타이머 제어 불출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스텝 3에서 제2 회전체(외륜)(51)을 정회전시킨 후, 스텝 5에서 넘침 센서(53)가 계속 검지하면서 정회전하고 있는 시간이 일정 시간 α2 경과하였다고 판단할 때까지의 동안에, 넘침 센서(53)의 수광량의 미분값에 기초하는 검출 신호를 검출하지 않는 상태가 일정 시간 β2 계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건으로서 설정되는 시간 β2는 α2 이하로 한다. 즉, 정회전시켜, 넘침 센서(53)가 계속 검지하면서 넘침 센서(53)의 수광량의 미분값에 기초하는 검출 신호를 검출하지 않는 상태가 일정 시간 β2 계속되는 경우, 스텝 9로 이행하여 넘침 센서(53)의 역치 조정을 행한다. 넘침 센서(53)가 계속 검지하면서 넘침 센서(53)의 수광량의 미분값에 기초하는 검출 신호를 검출하지 않는 상태가 일정 시간 β2 계속되지 않는 경우, 스텝 5로 이행하여 넘침 센서(53)가 계속 검지하면서 정회전하고 있는 시간이 일정 시간 α2 경과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 6으로 이행하여 타이머 제어 불출 동작을 실행한다. 이에 의해, 타이머 제어 불출 동작을 실행하는 빈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예 외에, 넘침 센서(53)의 역치 조정을 행하는 타이밍에 대해서는, 상술한 것 외에, 정제 불출 종료 후에 행해도 된다. 즉, 정제 불출 종료 후(소정 개수 배출 후)에, 제2 회전체(외륜)(51)를 역회전시킨다. 제2 회전체(51)를 일정 시간 동안 역회전시켜, 그 동안에도 넘침 센서(53)가 약제를 검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일정 시간 동안에 넘침 센서(53)가 약제를 검지하지 않게 된 경우에, 넘침 센서(53)의 역치 조정을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는, 넘침 센서(53)가 계속 검지하면서 넘침 센서(53)의 수광량의 미분값에 기초하는 검출 신호를 검출하지 않는 상태가 일정 시간 계속되는 경우에, 넘침 센서(53)의 역치 조정을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2 회전체(외륜)(51)를 회전시키지만, 정회전과 역회전을 교대로, 또는 각각을 일정 비율로 행해도 되고, 정회전 또는 역회전 중 어느 회전 방향으로 최종적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예를 들어, 제2 방책이면, 스텝 3에 있어서 제2 회전체(51)를 정회전과 역회전을 교대로, 또는 각각을 일정 비율로 행한 후에 최종적으로 정회전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고형상 약제가 약제 카세트(10) 내에 존재하고 있는 것을 넘침 센서(53)가 검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2 회전체(51)를 일정 시간 이상 회전시켜도, 약제 카운트 기판(402)이 고형상 약제를 카운트하지 않는 경우, 약제 불출 장치(1)는 배출 에러를 통지한다. 배출 에러를 통지함으로써, 유저에게 배출 에러의 원인을 해소하게 하여, 약제 카세트(10)로부터 고형상 약제를 배출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 에러의 원인의 일례로서, 높이 규제 부재(56), 또는 폭 규제 부재(57)에 고형상 약제가 걸려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걸려 있는 고형상 약제가 있으면 유저는 그것을 제거한다. 막힘의 원인의 다른 예로서, 높이 규제 부재(56)가 규제하는 높이 방향의 사이즈, 또는 폭 규제 부재(57)가 규제하는 폭 방향의 사이즈가 고형상 약제에 비해 지나치게 작은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는 높이 규제 부재(56) 또는 폭 규제 부재(57)가 규제하는 사이즈를 적절하게 조정한다.
본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1)는, 약제 카세트(10)는 고형상 약제를 수용하는 고형제 수용부와, 상기 고형제 수용부로부터 고형상 약제를 배출하는 배출구(정제 배출구(17))와, 회전체(51)를 갖고, 회전체(51)에 고형상 약제를 싣고, 회전체(51)를 회전시켜 고형상 약제를 상기 배출구(17)로 이동시키는 것이며, 상기 회전체(51)에 고형상 약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넘침 센서(53)를 갖고, 넘침 센서(53)의 감도를 조절하는 감도 설정 동작을 행하는 것이며, 상기 회전체(51)에 고형상 약제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감도 설정 동작이 실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1)는, 약제 카세트(10)는 고형상 약제를 수용하는 고형제 수용부(11)와, 상기 고형제 수용부(11)로부터 고형상 약제를 배출하는 배출구(정제 배출구(17))와, 회전체(51)를 갖고, 회전체(51)에 고형상 약제를 싣고, 회전체(51)를 정회전시켜 고형상 약제를 상기 배출구(17)로 이동시키는 것이며, 상기 회전체(51)에 고형상 약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넘침 센서(53)를 갖고, 넘침 센서(53)의 감도를 조절하는 감도 설정 동작을 행하는 것이며, 상기 회전체(51)에 고형상 약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회전체(51)를 역회전시켜 고형상 약제를 회전체(51)로부터 배제하고, 그 후에 감도 설정 동작이 실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1)는, 약제 카세트(10)는 고형상 약제를 수용하는 고형제 수용부(11)와, 상기 고형제 수용부(11)로부터 고형상 약제를 배출하는 배출구(정제 배출구(17))와, 회전체(51)를 갖고, 회전체(51)에 고형상 약제를 싣고, 회전체(51)를 정회전시켜 고형상 약제를 상기 배출구(17)로 이동시키는 것이며, 상기 회전체(51)에 고형상 약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넘침 센서(53)를 갖고, 넘침 센서(53)의 감도를 조절하는 감도 설정 동작을 행하는 것이며, 상기 회전체(51)에 고형상 약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회전체(51)를 정회전시켜 고형상 약제를 상기 배출구(17)로부터 배출하고, 그 후에 감도 설정 동작이 실시된다.
(약제 카운트 기판(402)의 광량 조정)
본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1)는, 약제 카운트 기판(402)을 갖고, 당해 약제 카운트 기판(402)은, 발광측 암 부재(405)와 수광측 암 부재(406)를 갖고 있다. 수광측 암 부재(406)의 수광량은, 일정한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수광측 암 부재(406)의 수광량은 상시 감시되고 있고, 수광량이 적정 범위로부터 벗어나면, 약제 카운트 기판(402)의 광량 조정이 행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발광측 암 부재(405)에는, 발광 소자(발광 부재)(410)가 8개 설치되어 있고, 다시 8개의 발광 소자(410)는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바와 같이 2개의 발광 소자군(431, 432)으로 나뉘어 있다. 광량 조정은, 발광 소자군(431, 432)의 발광량의 총량뿐만 아니라, 양자의 밸런스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발광 소자군(431)에 공급하는 전력량과, 발광 소자군(432)에 공급하는 전력량의 조합을 순차 변경하여 수광량의 적정화를 도모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 소자군(431)에 공급하는 전력량과, 발광 소자군(432)에 공급하는 전력량의 조합이 미리 정해져 있고, 이 조합을 실제로 실험하여 적정값으로 조절한다. 또한 발광 소자군(431)에 공급하는 전력량과, 발광 소자군(432)에 공급하는 전력량의 조합은, 경험칙상, 적정값인 경우가 많은 조합을 우선적으로 실험한다. 예를 들어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매트릭스를 상정하고, 백색 바탕 영역을 제1 우선의 조합으로 한다.
타원으로 둘러싸인 영역은, 적정값이 되는 경우가 가장 많은 조합이며, 백색 표시된 제1 우선의 조합은, 타원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우선의 조합에 대해서는, 광량 조정 시에 모두 실험된다. 즉, 제1 우선의 조합은, 발광량의 실험을 행하는 표준 범위이며, 광량 조정 시에 모두 실험된다. 표의 번호는, 실험을 행하는 순서를 나타내고 있지만, 표준 범위의 조합에 대해서는, 모든 조합을 시도하므로, 순서에는 큰 의미는 없다. 제1 우선의 조합을 모두 실험한 결과, 적절한 수광량을 얻을 수 있는 조합이 존재하는 경우는, 당해 조합에 의해 발광 소자(410)를 발광시킨다.
제1 우선의 조합을 시도하였지만, 바람직한 수광량을 얻을 수 있는 조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이외의 조합을 시도한다. 이 경우에는, 표와 같이, 미리 실험 순서를 정해 두고, 그 순서로 실험을 행한다. 바람직한 수광량을 얻을 수 있는 조합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이후의 실험을 중지하고, 그 조합에 의해 발광 소자(410)를 발광시킨다.
또한 제2 우선 그룹, 제3 우선 그룹이라고 하는 것과 같이, 조합을 그룹 분할하여, 제1 우선의 조합 중에서 적절한 것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우선 그룹에 속하는 조합을 모두 실험한다고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약제 카운트 기판(402)의 광량 조정은, 제1 우선의 조합 실험을 계속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약제의 불출 작업이 일정 시간 동안 중단되어 버린다고 하는 불만이 있다. 그래서 한창 광량 조정을 행하고 있는 중에, 새롭게 약제의 불출 요구가 있을 경우에는, 광량 조정을 중단하고 약제의 불출을 행해도 된다.
광량 조정을 중단하는 경우에는, 그때까지 실시한 실험의 데이터와, 어디까지 실험하였는지를 기억 수단에 기억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광량 조정을 재개할 때에는, 중복되는 실험을 생략하고, 최종 실험의 다음 순번의 실험부터 재개하는 것이 권장된다. 혹은, 과거에 행한 조합, 예를 들어 마지막에 행한 조합을 다시 실험하고, 기억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양자의 차가 일정값 이하이면 중복되는 실험을 생략하고, 양자의 차가 크면, 처음부터 실험을 행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1)는, 약제 카세트(10)로부터 배출되는 고형상 약제의 수를 계수하는 약제 카운트 수단을 갖고, 당해 약제 카운트 수단은, 복수의 발광 소자(410)를 구비한 발광부(발광측 암 부재(405))와, 복수의 수광 소자(411)를 구비한 수광부(수광측 암 부재(406))를 갖고, 일정 요건하에 있어서 발광부의 발광량 및/또는 수광부의 감도를 적정하게 조절하는 카운터 조절 동작을 행하는 것이며, 상기 발광 소자(410)는, 개개로, 또는 복수의 발광 소자군으로 나뉘어 있어 발광 소자군마다 발광량을 조절 가능하고, 발광 소자(410) 또는 발광 소자군에 공급되는 전력의 조합이 설정되어 있고, 또한 당해 조합이 그룹 분할되어 있으며 우선 순위가 있고, 제1 우선 순위의 그룹에 속하는 전력의 조합을 모두 시행하여, 그 결과 바람직한 조합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당해 조합에 공급 전력이 결정되고, 바람직한 조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우선 순위의 그룹 이외의 전력의 조합을 시행하는 약제 불출 장치(1)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1)는, 약제 카세트(10)로부터 배출되는 고형상 약제의 수를 계수하는 약제 카운트 수단(약제 카운트 기판(402))을 갖고, 당해 약제 카운트 수단은, 복수의 발광 소자(410)를 구비한 발광부(발광측 암 부재(405))와, 복수의 수광 소자(411)를 구비한 수광부(수광측 암 부재(406))를 갖고, 일정 요건하에 있어서 발광부의 발광량 및/또는 수광부의 감도를 적정하게 조절하는 카운터 조절 동작을 행하는 것이며, 상기 발광 소자(410)는, 개개로, 또는 복수의 발광 소자군으로 나뉘어 있어 발광 소자군마다 발광량을 조절 가능하고,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소자군에 공급되는 전력의 조합이 설정되어 있고, 소정의 순서로 전력의 조합을 모두 시행하고, 시행의 중단이 가능하며, 시행을 중단하는 경우에는, 특정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소자군의 시행 결과를 기억하고, 재개 시에는, 상기 기억된 조합 등을 재시행하고, 기억된 시행 결과와 재시행 시의 시행 결과를 비교하여, 양자의 차가 일정값 이하인 경우에는 중단된 시행의 계속을 실시하고, 양자의 차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처음부터 시행을 다시 하는 약제 불출 장치(1)이다.
1: 약제 불출 장치
3: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조작부)
8: 카세트 적재부
10: 약제 카세트
11: 고형제 수용부
12: 덮개 부재
13a: 덮개측 제1 걸림 결합부
13b: 덮개측 제2 걸림 결합부
17: 정제 배출구
22: 분리 로크 수단
23: 덮개 로크 조작 수단
33: 로드
35: 불출 경로
46: 걸림 결합편
50: 제1 회전체
51: 제2 회전체
52: 적재대
53: 넘침 센서(약제 검지 센서)
60: 로크 기구
61: 구멍
62: 조작 레버
72: 덮개 로크 수단
200: 용기 배치부
220: 걸림 결합 오목부

Claims (8)

  1. 복수의 약제 카세트를 갖고, 상기 약제 카세트로부터 원하는 수의 고형상 약제를 취출하는 것이 가능한 약제 불출 장치이며,
    상기 약제 카세트는, 상기 고형상 약제를 수용하는 고형제 수용부와, 당해 고형제 수용부를 봉쇄하는 덮개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를 시정한 상태로 유지하는 덮개 로크 수단을 갖고,
    상기 덮개 로크 수단을 조작하는 덮개 로크 조작 수단의 동작에 의해 상기 덮개 로크 수단이 시정 가능 상태 및 개정 상태로 되고,
    상기 덮개 로크 조작 수단이 동작하여 상기 덮개 로크 수단이 개정 상태로 된 후에는, 덮개 부재를 폐쇄한 후라도, 상기 덮개 로크 수단이 시정 가능 상태로 되도록 상기 덮개 로크 조작 수단이 동작하기 전까지는 상기 덮개 로크 수단의 개정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로크 수단이 시정 가능 상태로 되도록 상기 덮개 로크 조작 수단이 동작하는 것은 전자적 수단에 의하여 행해지는 약제 불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로크 수단이 시정 가능 상태로 되도록 상기 덮개 로크 조작 수단이 동작하는 것은 로드의 강하에 의하여 행해지는 약제 불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카세트를 적재하는 카세트 적재부가 마련되는 약제 불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적재부에 상기 약제 카세트를 보유 지지하여 분리 불가능하게 하는 분리 로크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덮개 로크 조작 수단에 의해 상기 덮개 로크 수단이 시정 가능 상태로 된 후, 또는 상기 덮개 로크 수단이 시정 가능 상태로 되는 조건이 갖추어진 경우에, 자동적으로 또는 소정의 조작을 거쳐 상기 분리 로크 수단이 해제되어, 상기 약제 카세트가 상기 카세트 적재부로부터 분리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조작부가 있고, 작업자가 상기 조작부에 대해 특정 조작을 행한 경우에 상기 덮개 로크 조작 수단이 동작하고, 상기 분리 로크 수단이 해제되어, 상기 약제 카세트가 상기 카세트 적재부로부터 분리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작업자 정보, 작업 실시일과, 약품 제조 번호 정보, 보충 수 또는 유효 기한 중 어느 것을 입력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덮개 로크 조작 수단이 동작하여 상기 덮개 로크 수단이 개정 상태로부터 시정 가능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불출 장치 내 및/또는 상기 약제 불출 장치 내와 통신 가능한 기억부가 있고,
    상기 작업자 정보, 상기 작업 실시일, 약제 카세트 식별 정보와, 상기 약품 제조 번호 정보 또는 상기 유효 기한 중 어느 것을 관련시켜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KR1020237015952A 2018-06-26 2019-06-25 약제 불출 장치 KR102652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20763 2018-06-26
JPJP-P-2018-120763 2018-06-26
KR1020217001937A KR102533906B1 (ko) 2018-06-26 2019-06-25 약제 불출 장치
PCT/JP2019/025244 WO2020004423A1 (ja) 2018-06-26 2019-06-25 薬剤払出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937A Division KR102533906B1 (ko) 2018-06-26 2019-06-25 약제 불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511A true KR20230072511A (ko) 2023-05-24
KR102652743B1 KR102652743B1 (ko) 2024-04-02

Family

ID=689848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5952A KR102652743B1 (ko) 2018-06-26 2019-06-25 약제 불출 장치
KR1020217001937A KR102533906B1 (ko) 2018-06-26 2019-06-25 약제 불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937A KR102533906B1 (ko) 2018-06-26 2019-06-25 약제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093513A1 (ko)
EP (1) EP3815668A4 (ko)
JP (1) JPWO2020004423A1 (ko)
KR (2) KR102652743B1 (ko)
CN (1) CN111787900B (ko)
AU (1) AU2019293561B2 (ko)
CA (1) CA3093894C (ko)
WO (1) WO20200044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96592B2 (ja) * 2020-02-12 2023-12-12 株式会社トーショー 錠剤分包機
US11605259B2 (en) 2020-03-25 2023-03-14 Parata Systems, Llc Drug product packaging system including locking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drug product cells
CN112309537B (zh) * 2020-10-30 2024-02-23 柳州市潭中人民医院 一种护士站药品管理装置
NL2028490B1 (en) * 2021-06-20 2022-12-27 Dd Innovations B V Container for medicine units and device for filling such machine and medicine unit delivery device
EP4174807A3 (en) * 2021-06-20 2023-07-26 DD Innovations B.V. Device for filling a medicine-unit container for use in a medicine unit dispensing device, medicineunit container, assembly of such device and a container and method for cleaning such device
NL2031831B1 (en) * 2022-05-11 2023-11-17 Vmi Holland Bv Sensor system, assembl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cting events in an automatic dispensing process of discrete medicamen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0360A1 (ja) 2009-03-26 2010-09-3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充填装置
WO2013118838A1 (ja) 2012-02-10 2013-08-15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カセット
WO2016067929A1 (ja) 2014-10-31 2016-05-0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い出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3416B2 (ja) * 1991-11-27 2002-03-04 三洋電機株式会社 薬類保管庫
JP2000024085A (ja) * 1998-07-14 2000-01-25 Tosho:Kk 調剤用薬剤払出装置
TWI225836B (en) * 2002-02-20 2005-01-01 Sanyo Electric Co Medicine supply apparatus
EP1535251A2 (en) * 2002-08-09 2005-06-01 Mckesson Automation Systems, Inc. Dispensing device having a storage chamber, dispensing chamber and a feed regulator there between
JP4520814B2 (ja) * 2004-10-15 2010-08-1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品払出装置
JP2006206090A (ja) * 2005-01-27 2006-08-10 Sanyo Electric Co Ltd 薬剤供給装置
TWI485093B (zh) * 2008-11-21 2015-05-21 Yuyama Mfg Co Ltd Lozenge delivery device
US9977871B2 (en) * 2014-01-14 2018-05-22 Capsa Solutions Llc Cassette control including presence sensing and verification
JP5904388B1 (ja) * 2014-10-31 2016-04-1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い出し装置
US10329040B2 (en) * 2015-04-11 2019-06-25 Yuyama Mfg. Co., Ltd. Medicine dispensing cassette
WO2016172185A1 (en) * 2015-04-24 2016-10-27 Reelex Packaging Solu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winding coil using traverse with rotating element
AU2016362656B2 (en) * 2015-11-30 2021-03-25 Yuyama Mfg. Co., Ltd. Drug cassette, drug delivery device, and drug packaging device
JP6569909B2 (ja) * 2016-01-21 2019-09-04 株式会社トーショー 錠剤カセット
EP4174807A3 (en) * 2021-06-20 2023-07-26 DD Innovations B.V. Device for filling a medicine-unit container for use in a medicine unit dispensing device, medicineunit container, assembly of such device and a container and method for cleaning such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0360A1 (ja) 2009-03-26 2010-09-3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充填装置
WO2013118838A1 (ja) 2012-02-10 2013-08-15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カセット
WO2016067929A1 (ja) 2014-10-31 2016-05-0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い出し装置
KR20170084041A (ko) * 2014-10-31 2017-07-19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불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87900A (zh) 2020-10-16
KR20210021082A (ko) 2021-02-24
EP3815668A1 (en) 2021-05-05
CA3093894C (en) 2023-09-26
AU2019293561A1 (en) 2020-08-27
CN111787900B (zh) 2023-01-24
EP3815668A4 (en) 2022-04-06
US20210093513A1 (en) 2021-04-01
KR102652743B1 (ko) 2024-04-02
JPWO2020004423A1 (ja) 2021-07-08
WO2020004423A1 (ja) 2020-01-02
AU2019293561B2 (en) 2024-04-18
KR102533906B1 (ko) 2023-05-26
CA3093894A1 (en)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3906B1 (ko) 약제 불출 장치
JP4910341B2 (ja) 錠剤充填装置
US7753229B2 (en) Vacuum pill dispensing cassette and counting machine
CA2533265C (en) Medicine supply apparatus and tablet case
CA2533754C (en) Random access and random load dispensing unit
US5964374A (en) Method of supplying drug ampules to an ampule feeders of ampule dispenser
KR102666501B1 (ko) 정제 분포 장치
WO2000034925A2 (en) Automatic dispensing system for unit medicament packages
JP2005535390A (ja) ピックアンドプレース方式処方薬充填装置
US11705236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item management
US9977871B2 (en) Cassette control including presence sensing and verification
JP2011078598A (ja) 自動薬剤供給装置
JP2011078599A (ja) 自動薬剤供給装置および薬剤供給方法
JP7460084B2 (ja) 薬剤分包機
JP2004256310A (ja) ドラム型アンプル払出装置
JP3583392B2 (ja) ドラム型アンプル払出装置
JP2023143826A (ja) 薬剤払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