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602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67602A KR20230067602A KR1020237005890A KR20237005890A KR20230067602A KR 20230067602 A KR20230067602 A KR 20230067602A KR 1020237005890 A KR1020237005890 A KR 1020237005890A KR 20237005890 A KR20237005890 A KR 20237005890A KR 20230067602 A KR20230067602 A KR 202300676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support
- rotation
- reaping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01D41/145—Header lift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24—Lifting devices for the cutter-ba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3/00—Outside dividers
- A01D63/04—Non-rotating divi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예취부에 의한 예취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 지면이나 그루터기로부터 접지체에 작용하는 힘에서 기인하는 문제를 해소하고, 양호한 정밀도로 예취 높이를 검출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주행 기체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된 예취부와, 예취부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를 구비한 콤바인으로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전측 고정축 (61) 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장치 본체 (41) 와, 전측 고정축 (61) 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측 회동축 (62) 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접지체 (42) 와, 접지체 (42) 의 후측 회동축 (62) 의 둘레의 회동량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 (43) 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 센서 (43) 에 의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예취부의 높이를 검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높이 조정 가능한 예취부를 갖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바인은, 주행 기체의 전측에 예취부를 구비함과 함께, 주행 기체 상에 탈곡부를 구비하고, 주행하면서 예취부에 의한 곡간 (穀稈) 의 예취나 탈곡부에 의한 탈곡 등을 행한다. 종래, 콤바인에는, 예취부를 주행 기체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형성하고, 예취부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인 예취 높이를 제어하기 위해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를 구비한 것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예취부를 승강시키는 유압 실린더 등의 승강용 장치의 동작이 제어되어, 예취 높이의 자동 제어가 행해진다.
특허문헌 1 에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로서, 예취부가 갖는 분초체 (分草體) 의 후방 하방에 배치된 센서 유닛을 구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센서 유닛은, 분초체에 브래킷을 개재하여 상하 회동 (回動) 가능하게 장착된 유닛 본체와, 유닛 본체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는 퍼텐쇼미터와, 유닛 본체에 대해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접지체를 구비한다. 유닛 본체는, 그 전부 (前部) 에 위치하는 제 1 회전축에 의해서 브래킷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접지체는, 유닛 본체의 후부에 위치하는 제 2 회전축에 의해서 유닛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유닛 본체의 후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센서 유닛에 의하면, 통상 주행시인 기체 전진시에 있어서, 후방으로의 회동이 규제된 접지체가 지면이나 그루터기로부터 가압되면, 접지체와 유닛 본체가 일체적으로 제 1 회전축 둘레로 상하 회동하고, 그 유닛 본체의 회동 위치에 기초하여 분초체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검출된다. 한편, 기체 후진시에 있어서는, 접지체가 지면이나 그루터기로부터 가압되면, 전방으로 회동하여 유닛 본체의 하면에 맞닿고, 또한 접지체가 그루터기 등으로부터 상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접지체와 유닛 본체가 일체적으로 제 1 회전축 둘레로 상방으로 회동한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센서 유닛은, 접지체의 후방으로의 회동을 규제함으로써, 통상 주행시에, 접지체와 함께 유닛 본체를 제 1 회전축 둘레로 상하 회동시켜, 그 유닛 본체의 회동을 검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센서 유닛의 구성에 의하면, 통상 주행시에 있어서, 유닛 본체가 항상 상하 회동하는 상황이 발생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유닛 본체가 손상을 받기 쉬워진다. 또, 예를 들어 분초체와 유닛 본체 사이에 진흙등이 쌓임으로써, 통상 주행시에 있어서 유닛 본체의 상방으로의 회동이 방해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접지체의 후방으로의 회동이 규제되어 있음으로써, 접지체가 지면이나 그루터기로부터 받는 힘이 과대해져, 예를 들어 접지체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예취부에 의한 예취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 지면이나 그루터기로부터 접지체에 작용하는 힘에서 기인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양호한 정밀도로 예취 높이를 검출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콤바인은, 주행 기체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된 예취부와, 상기 예취부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예취 높이 검출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으로서,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제 1 축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장치 본체와, 상기 제 1 축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축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접지체와, 상기 접지체의 상기 제 2 축 둘레의 회동량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예취부의 높이를 검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접지체는, 상기 제 2 축 둘레의 회동에 대해서, 외력의 작용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의 기준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검출 센서는, 상기 접지체의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후방으로의 회동량을 검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접지체는,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축 둘레의 회동을 정지시킨 상태의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해서 상기 제 2 축 둘레로 회동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접지체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접지체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 1 축 둘레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상기 제 2 축의 회전 동력의 전달을 받아 회동하는 제 3 축을 구비하고, 상기 검출 센서는, 상기 제 3 축의 회동량으로부터, 상기 접지체의 상기 제 2 축 둘레의 회동량을 검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상기 제 2 축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 1 전달 부재와, 상기 제 1 전달 부재로부터 상기 제 2 축의 회전 동력의 전달을 받는 제 2 전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축은, 상기 제 1 전달 부재 및 상기 제 2 전달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제 2 축의 회전 동력의 전달을 받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상기 제 2 축에 고정된 구동 부재를 갖고,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접지체의 후방으로의 회동에 수반하는 상기 제 2 축의 회동을 상기 제 1 전달 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제 1 전달 부재를 제 2 축 둘레로 회동시키는 제 1 전달 부재용 입력부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상기 제 2 축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 3 전달 부재와, 상기 제 3 축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 3 전달 부재로부터 상기 제 2 축의 회전 동력의 전달을 받는 제 4 전달 부재와, 상기 제 4 전달 부재의 회전 동력을 받아 상기 장치 본체를 상기 제 1 축 둘레로 회동시키는 회동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상기 제 2 축에 고정된 구동 부재를 갖고,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접지체의 전방으로의 회동에 수반하는 상기 제 2 축의 회동을 상기 제 3 전달 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제 3 전달 부재를 제 2 축 둘레로 회동시키는 제 3 전달 부재용 입력부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전후에,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를 전후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측 축지부와 후측 축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는, 분초부를 갖고, 상기 분초부는, 상기 예취부의 하부에 형성된 분초 프레임과, 상기 분초 프레임의 전측에 형성된 분초판과, 상기 분초 프레임에 고정된 서포트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전측 축지부는, 상기 분초판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후측 축지부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상기 장치 본체를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 본체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측 축지부는, 상기 분초판의 후측에 형성된 전지지부와, 상기 장치 본체 지지 부재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지지부에 지지된 전지지축부를 가지며, 상기 후측 축지부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형성된 후지지부와, 상기 장치 본체 지지 부재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지지부에 지지된 후지지축부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전측 축지부는, 상기 분초 프레임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장치 본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분초 프레임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분초부는, 상기 분초판을 상기 분초 프레임에 지지하는 분초판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분초판 지지 부재는, 후방 상향의 경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상기 분초판 지지 부재의 후방측으로부터 후방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 프레임부를 갖고, 상기 분초판 지지 부재 및 상기 경사 프레임부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측을 볼록측으로 한 산형의 형태를 이루고,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상기 분초판 지지 부재와 상기 경사 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 지지 부재는, 전단부 및 후단부의 각각에, 전후 방향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장치 본체의 적어도 일부와 중복되는 부분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취부에 의한 예취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 지면이나 그루터기로부터 접지체에 작용하는 힘에서 기인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양호한 정밀도로 예취 높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예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및 그 설치부의 근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분초부 및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분초부 및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센서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장치 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장치 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장치 본체의 내부 구조의 일부를 생략한 좌측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장치 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는, 도 11 에 있어서의 A-B-C 위치의 조합 단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측 고정축의 위치 조정 기구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측 축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백시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백시로부터 전진할 때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기체 정지시에 있어서 예취부가 하강했을 때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좌우 회동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및 그 설치부의 근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장치 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장치 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7 은, 도 25 에 있어서의 X-Y-Z 위치의 조합 단면도이다.
도 2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측 축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2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후측 축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3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예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및 그 설치부의 근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분초부 및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분초부 및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센서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장치 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장치 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장치 본체의 내부 구조의 일부를 생략한 좌측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장치 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는, 도 11 에 있어서의 A-B-C 위치의 조합 단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측 고정축의 위치 조정 기구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측 축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백시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백시로부터 전진할 때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기체 정지시에 있어서 예취부가 하강했을 때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좌우 회동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및 그 설치부의 근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장치 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장치 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7 은, 도 25 에 있어서의 X-Y-Z 위치의 조합 단면도이다.
도 2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측 축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2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후측 축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3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높이 조정 가능한 예취부를 갖는 콤바인에 있어서, 예취부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고,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구성을 연구함으로써,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려고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먼저, 도 1 및 도 2 를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 (1) 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콤바인 (1) 의 전방 (도 1 에 있어서의 좌방) 을 향하여 좌측 및 우측을, 각각 콤바인 (1) 에 있어서의 좌측 및 우측으로 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 (1) 은, 좌우 1 쌍의 크롤러부 (3, 3) 를 갖는 크롤러식의 주행 장치로서 구성된 주행부 (2) 와, 주행부 (2) 에 의해서 지지된 주행 기체 (4) 를 구비한다. 주행 기체 (4) 는, 콤바인 (1) 의 차체의 프레임상의 구조부를 포함한다. 콤바인 (1) 은, 주행 기체 (4) 상에 탑재된 구동원으로서의 엔진 (11) 을 구비한다.
주행 기체 (4) 의 전부에는, 포장의 벼, 보리 등의 곡간을 베어내면서 받아들이는 예취부 (5) 가 형성되어 있다. 주행 기체 (4) 상에는, 예취부 (5) 에 의해서 베어내어진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부 (6) 와, 탈곡부 (6) 로부터 꺼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 (7) 가 가로 배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탈곡부 (6) 는 기체 좌측에, 곡립 탱크 (7) 는 기체 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콤바인 (1) 은, 주행부 (2) 에 의해서 주행하면서 예취부 (5) 에 의한 곡간의 예취나 탈곡부 (6) 에 의한 탈곡 등을 행한다.
주행부 (2) 를 구성하는 각 크롤러부 (3) 는, 주행 기체 (4) 의 하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트럭 프레임 (3a) 과, 트럭 프레임 (3a) 에 지지된 구동 스프로킷 (3b) 등의 각종 회전체와, 이들 회전체에 감겨진 캐터필러 (3c) 를 갖는다. 크롤러부 (3) 는, 구동 스프로킷 (3b) 에 있어서 엔진 (11) 의 동력의 전달을 받아 구동한다.
예취부 (5) 는, 엔진 (11) 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구동되고, 곡간을 베어내고, 베어내어진 곡간을 탈곡부 (6) 등으로 반송한다. 예취부 (5) 는, 주행 기체 (4) 의 전측에 있어서, 콤바인 (1) 의 기체 폭의 대략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예취부 (5) 는, 주행 기체 (4) 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는, 예취부 (5) 를 도 1 에 나타내는 상태에 대해서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탈곡부 (6) 는, 전후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는 탈곡통 (6a) 과, 탈곡통 (6a) 의 좌방에 형성된 곡간 공급 장치를 갖는다. 곡간 공급 장치는, 예취부 (5) 에 의해서 베어내어진 곡간의 밑둥치를 협지하여 이삭 끝을 탈곡통 (6a) 측으로 한 횡와 자세로 곡간을 후방으로 반송한다. 곡간 공급 장치는, 좌우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는 복수의 스프로킷에 감겨진 피드 체인 (6b) 과, 이것과 협력 작동하여 곡간의 밑둥치를 협액 (挾扼) 하는 곡간 공급 협액체 (6c)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주행 기체 (4) 상에 있어서의 탈곡부 (6) 의 하방에는, 탈곡부 (6) 에 의해서 탈곡 처리된 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선별부 (8) 가 형성되어 있다. 선별부 (8) 는, 요동 선별 장치 (8a) 와, 바람 선별 장치 및 곡립 반송 장치를 갖는다. 선별부 (8) 는, 탈곡부 (6) 로부터 낙하되어 온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 (8a) 에 의해서 요동 선별하고, 요동 선별 후의 처리물을 바람 선별 장치에 의해서 바람 선별한다. 선별부 (8) 는, 바람 선별 후의 처리물 중, 곡립을 곡립 반송 장치에 의해서 곡립 탱크 (7) 를 향하여 우측으로 반송하고, 짚 부스러기나 먼지 등을 바람 선별 장치에 의해서 후방으로 날려 기체의 외부로 배출한다. 곡립 반송 장치에 의해서 곡립 탱크 (7) 를 향하여 반송된 곡립은, 곡립 탱크 (7) 에 저류된다.
주행 기체 (4) 상의 우측 후단부에는, 곡립 탱크 (7) 내의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로서의 배출 오거 (9) 가 선회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배출 오거 (9) 는, 선단부에 배출구 (9a) 를 갖고, 곡립 탱크 (7) 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을 배출구 (9a) 로부터 배출한다. 배출구 (9a) 로부터 배출된 곡립은, 트럭의 짐받이나 컨테이너 등에 투입된다.
주행 기체 (4) 상에 있어서, 탈곡부 (6) 의 후방에는, 탈곡부 (6) 에 의한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처리하는 배출 짚 처리부 (10) 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 짚 처리부 (10) 는, 배출 짚 반송 장치 (10a) 와, 배출 짚 절단 장치 (10b) 를 갖는다. 배출 짚 반송 장치 (10a) 는, 탈곡부 (6) 에 의해서 탈곡이 종료된 곡간 (배출 짚) 을 후방으로 반송하여 기체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혹은 배출 짚 절단 장치 (10b) 로 반송한다. 배출 짚 절단 장치 (10b) 는, 배출 짚 반송 장치 (10a) 로부터 반송된 배출 짚을 절단하여 기체의 외부로 배출한다.
또, 주행 기체 (4) 상에 있어서, 예취부 (5) 의 우측이고 곡립 탱크 (7) 의 전방에는, 캐빈 (13) 에 의해서 가려진 운전부 (14) 가 형성되어 있다. 운전부 (14) 의 전부에는, 조향 조작부로서의 핸들부 (15) 가 형성되어 있고, 핸들부 (15) 의 후방에, 운전석 (16) 이 형성되어 있고, 운전석 (16) 의 측방에, 각종 조작 도구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운전부 (14) 의 하방에는 엔진 (11) 을 포함하는 원동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엔진 (11) 은, 예를 들어 디젤 엔진이다. 엔진 (11) 의 동력은, 변속 장치 등을 개재하여, 콤바인 (1) 이 각 부에 있어서 구비하는 각종 장치에 전달된다.
예취부 (5) 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예취부 (5) 는, 예취 프레임으로서의 예취 지지기틀 (20) 을 갖고, 이 예취 지지기틀 (20) 에, 분초판 (21), 일으켜 세움 장치 (22), 쓸어 들임 장치 (23), 예취날 장치 (24), 곡간 반송 장치 (25) 등을 지지하게 하여 구성되어 있다. 예취부 (5) 가 갖는 각 장치는, 엔진 (11) 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작동한다.
분초판 (21) 은, 예취부 (5) 가 갖는 분초부 (50) 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예취부 (5) 의 전단에 형성되어,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고, 포장에 식생하는 곡간을 분초한다. 일으켜 세움 장치 (22) 는, 분초판 (21) 의 후측에 형성되어 있고, 체인으로 연결된 복수의 타인 (22a) 을 동작시킴으로써, 쓰려져 있는 곡간을 일으켜 세운다.
쓸어 들임 장치 (23) 는, 일으켜 세움 장치 (22) 의 후측에 형성되어 있고, 체인 구동하는 반송 기구 (23a) 나 회전 파커 (23b)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곡간을 쓸어 들인다. 또한, 도 3 에 있어서는, 쓸어 들임 장치 (23) 중, 좌측의 단부에 형성된 구성 부분만을 나타내어, 다른 구성 부분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예취날 장치 (24) 는, 일으켜 세워진 곡간의 밑둥치를 절단하는 바리캉형의 장치이다. 곡간 반송 장치 (25) 는, 베어내어진 곡간을 반송하는 장치로서, 복수 조의 예취 곡간을 합류시켜 후측 상방으로 협지 반송하고, 탈곡부 (6) 의 피드 체인 (6b) 의 시단부에 옆으로 쓰러진 자세로 건네 준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지지기틀 (20) 은, 주행 기체 (4) 의 전측에 있어서 전방 하향상으로 배치된 지지 프레임 (26) 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 (26) 은, 기체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지지 프레임 (26) 의 전측에 예취 지지기틀 (20) 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지지기틀 (20) 은, 기체의 좌우 방향으로 연신된 횡 프레임 (31) 과, 횡 프레임 (31) 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분초 프레임 (32, 34) 을 갖는다. 예취 지지기틀 (20) 은, 횡 프레임 (31) 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 (26) 에 의한 지지를 받는다.
횡 프레임 (31) 은, 각(角)파이프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직선상의 프레임 부분이다. 분초 프레임 (32, 34) 은, 환(丸)파이프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부분이고, 소정의 굴곡 형상 또는 만곡 형상을 가지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분초 프레임 (32, 34) 은, 후단부 또는 후부를 횡 프레임 (31) 에 고정 지지시킴으로써, 캔틸레버상으로 지지되어 있다.
복수의 분초 프레임 (32, 34) 은,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렬 배치되어 있다. 분초 프레임 (32, 34) 은, 콤바인 (1) 의 예취의 조 (條) 수보다 1 개 많은 개수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 (1) 은 7 조의 예이고, 8 개의 분초 프레임 (32, 34) 이 형성되어 있다. 8 개의 분초 프레임 (32, 34) 중, 좌단에 위치하는 분초 프레임 (34) 은, 다른 복수의 (7 개의) 분초 프레임 (32) 과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좌우로 이웃하는 분초 프레임 (32, 34) 사이에, 일으켜 세움 장치 (22) 가 배치되어 있고, 합계 7 대의 일으켜 세움 장치 (22) 가 형성되어 있다. 일으켜 세움 장치 (22) 의 하부가, 각 분초 프레임 (32, 34) 의 전부에 지지 스테이 (33) (도 4 참조) 등을 개재하여 연결 지지되어 있다. 또, 각 분초 프레임 (32, 34) 의 전단에, 분초판 (21) 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분초판 (21) 으로는, 비교적 큰 것과 비교적 작은 것의 2 종의 분초판 (21) 이 소정의 배치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예취부 (5) 는, 주행 기체 (4) 에 대해서, 승강용 장치로서의 유압 실린더 (18) 를 개재하여 소정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1 참조). 요컨대, 예취부 (5) 는, 유압 실린더 (18) 의 신축 동작에 의한 회동 동작에 의해서 주행 기체 (4) 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 (18) 는, 주행 기체 (4) 와 지지 프레임 (26)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지지 프레임 (26) 의 후단부가, 예취부 (5) 의 승강 회동의 지점으로서 좌우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콤바인 (1) 은, 예취부 (5) 를 주행 기체 (4) 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콤바인 (1) 은, 예취부 (5) 의 지면 (G1) 으로부터의 높이인 예취 높이를 제어하기 위해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예취부 (5) 를 승강시키는 유압 실린더 (18) 의 동작이 제어되고, 예취 높이의 자동 제어가 행해진다.
유압 실린더 (18) 의 동작은, 제어 밸브인 전자 밸브의 동작 제어에 의해서 제어된다. 콤바인 (1) 이 구비하는 제어부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유압 실린더 (18) 의 제어 밸브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예취 높이를 제어한다.
예취 높이의 자동 제어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예취부 (5) 의 예취 높이를 설정치로 유지하도록, 유압 실린더 (18) 의 제어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여, 예취부 (5) 를 자동적으로 승강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운전부 (14) 에는, 예취 높이 조정용의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예취 높이의 자동 제어 중에 있어서, 조작부의 조작에 의한 예취 높이의 조정을 우선시키는 제어가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콤바인 (1) 은, 분초판 (21) 을 포함하는 분초부 (50) 를 갖고 주행 기체 (4) 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된 예취부 (5) 와, 예취부 (5) 의 높이인 예취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8 개의 분초판 (21) 중, 좌단에 위치하는 분초판 (21A) 의 후측에 배치되어 있다. 좌단의 분초판 (21A) 은, 좌단에 위치하는 분초 프레임 (34) 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좌단의 분초판 (21A) 은, 2 종의 분초판 (21) 중 비교적 큰 분초판 (21) 이다.
[제 1 실시형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및 그 지지 구성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21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구성)
도 4 내지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장치 본체 (41) 와, 접지체 (42) 와, 검출 센서 (43) 와, 장치 본체 지지 부재인 유닛 지지체 (44) 를 구비한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있어서, 장치 본체 (41), 접지체 (42), 및 검출 센서 (43) 에 의해서, 일체적인 센서 유닛 (45) 이 구성되어 있고 (도 8 참조), 이 센서 유닛 (45) 이, 유닛 지지체 (44) 에 대해서 좌우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유닛 지지체 (44) 는, 분초부 (50) 에 대해서, 전후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전체적으로 분초부 (50) 에 대해서 전후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센서 유닛 (45) 을, 유닛 지지체 (44) 에 대해서 좌우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전후 방향 축 둘레의 회동, 및 센서 유닛 (45) 의 좌우 방향 축 둘레의 회동은,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작용하는 외력에 따라서 행해진다. 이하에서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기준 상태로 하고,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기준 상태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대해서 설명한다.
센서 유닛 (45) 에 있어서, 장치 본체 (41) 는, 예를 들어 금속제의 주물로 구성된 케이스 (51) 내에, 각종 기어나 스프링 등을 소정의 축에 지지시킨 구성을 갖는다. 케이스 (51) 는, 케이스 (51) 의 본체부를 이루는 우측 케이스체 (52) 와, 우측 케이스체 (52) 의 좌측을 덮개상으로 덮는 좌측 케이스체 (53) 에 의한 좌우 2 분할 구조를 갖는다. 우측 케이스체 (52) 와 좌측 케이스체 (53)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케이스 (51) 의 주위의 4 개 지점에서 고정 볼트 (55) 에 의해서 서로 고정되어 있다. 고정 볼트 (55) 는, 케이스 (51) 의 좌측으로부터 좌측 케이스체 (53) 의 볼트공을 관통하고, 우측 케이스체 (52) 의 나사공 (52a) (도 11 참조) 에 나선 삽입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51)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전후 방향 (도 9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을 길이 방향으로 한 개략 직사각 형상의 외형을 갖는다. 케이스 (51) 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외형에 있어서의 4 개의 구석 근방에, 고정 볼트 (55) 에 의한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51)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개략적으로, 상변측을 볼록측, 하변측을 오목측으로 한 만곡 형상을 갖는다.
센서 유닛 (45) 에 있어서, 접지체 (42) 는, 케이스 (51) 의 후단의 후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검출 센서 (43) 는, 케이스 (51) 의 우측면부에 부설된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유닛 지지체 (44) 는, 띠상의 판상 부재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소정의 형상을 이루도록 굴곡 형성된 양태의 부재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유닛 지지체 (44) 는, 전후 방향에 가늘고 긴 좌측면부 (44a) 와, 좌측면부 (44a) 의 전단부로부터 우방을 향하여 직각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전면부 (44b) 와, 전면부 (44b) 의 우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직각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우전측면부 (44c) 와, 좌측면부 (44a) 의 후단부로부터 우방을 향하여 직각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후면부 (44d) 를 갖는다. 이들 면부는, 모두 세로면부이고, 전체적으로 대략 일정한 폭 (상하 방향의 치수) 을 갖는다.
좌측면부 (44a) 는,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전후로 가늘고 긴 대략 직사각형 판상의 부분이다. 좌측면부 (44a) 는, 그 뒷부분에 있어서, 전측으로부터 후측에 걸쳐서 서서히 폭을 좁게 한 형상을 갖는다. 전면부 (44b) 는, 전후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판상의 부분이다. 전면부 (44b) 는, 좌우 방향에 대해서, 좌측면부 (44a) 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1/4 ∼ 1/3 정도의 치수를 갖는다.
우전측면부 (44c) 는,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판상의 부분으로서, 좌측면부 (44a) 의 전단부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우전측면부 (44c) 는, 전후 방향에 대해서, 좌측면부 (44a) 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1/6 ∼ 1/5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후면부 (44d) 는, 전후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판상의 부분으로서, 전면부 (44b) 에 대해서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후면부 (44d) 는, 좌우 방향에 대해서, 전면부 (44b) 의 길이의 절반보다 긴 치수를 갖는다.
유닛 지지체 (44) 는, 상하를 개방시킴과 함께, 좌측면부 (44a), 전면부 (44b), 우전측면부 (44c), 및 후면부 (44d) 에 의해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로 긴 직사각 형상을 따름과 함께, 우방 후측의 대부분을 개방시킨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유닛 지지체 (44) 에 대해서, 센서 유닛 (45) 이, 유닛 지지체 (44) 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 부분의 전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센서 유닛 (45) 은, 그 대략 전체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유닛 지지체 (44) 의 외형을 따르는 직사각 형상의 범위 내에 위치시키고 있다.
센서 유닛 (45) 은, 케이스 (51) 의 전단부를, 전면부 (44b) 의 직후방이고 좌측면부 (44a) 의 전단부와 우전측면부 (44c) 사이에 위치시키고 있다. 또, 전후 방향에 대해서, 좌측면부 (44a) 는, 그 후측의 대략 절반을, 케이스 (51) 의 후단보다 후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또, 센서 유닛 (45) 은,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케이스 (51) 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를, 유닛 지지체 (44) 의 좌측면부 (44a) 에 중첩시키고 있다. 센서 유닛 (45) 은,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좌측면부 (44a) 에 대해서, 케이스 (51) 의 전후 중앙부를 상방으로 비어져 나오게 함과 함께, 케이스 (51) 의 하측의 부분부를 하방으로 비어져 나오게 하고 있다 (도 9 참조).
센서 유닛 (45) 의 각 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장치 본체 (41) 는, 제 1 축인 전측 고정축 (61) 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전측 고정축 (61) 은,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지축으로서, 제 1 축심 (P1) 을 중심으로 하여 센서 유닛 (45) 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전측 고정축 (61) 은, 장치 본체 (41) 에 있어서, 케이스 (51) 의 전단부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전측 고정축 (61) 은, 우단부를, 유닛 지지체 (44) 의 우전측면부 (44c) 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우전측면부 (44c) 로부터 좌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요컨대, 전측 고정축 (61) 은, 우전측면부 (44c) 에 대해서 캔틸레버상으로 지지된 고정축이다. 또한, 전측 고정축 (61) 은, 그 좌단부를 유닛 지지체 (44) 의 좌측면부 (44a) 의 전단부에 고정시킴으로써 캔틸레버상으로 지지된 축이어도 되고, 또, 좌측면부 (44a) 의 전단부 및 우전측면부 (44c) 의 양측에 고정되고, 이들 면부 사이에 가설된 축이어도 된다.
전측 고정축 (61) 은, 케이스 (51) 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요컨대, 케이스 (51) 는, 전측 고정축 (61) 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고정축 (61) 은, 우측 케이스체 (52) 에 대해서, 우측 케이스체 (52) 의 전부에 형성된 통상의 보스부 (52h) 를 관통하고, 보스부 (52h) 에 대해서 베어링 부재인 부시 (47) 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다. 전측 고정축 (61) 은, 좌측 케이스체 (53) 에 대해서, 좌측의 단부를 좌측 케이스체 (53) 의 전부에 형성된 축지공 (53a) 에 부시 (48) 를 개재하여 삽입 감합시킨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다. 또, 우측 케이스체 (52) 에 있어서의 전측 고정축 (61) 의 우방으로의 돌출 기부에는, 전측 고정축 (61) 을 관통시키는 링상의 오일 시일 (49) 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센서 유닛 (45) 은, 유닛 지지체 (44) 에 고정 설치된 고정축인 전측 고정축 (61) 에 대해서,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서 캔틸레버 지지 상태에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9, 화살표 A1 참조).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닛 지지체 (44) 는, 전측 고정축 (61) 에 의해서 센서 유닛 (45) 의 장치 본체 (41) 를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 본체 지지 부재에 상당한다.
유닛 지지체 (44) 에 대한 센서 유닛 (45) 의 제 1 축심 (P1) 둘레의 회동에 관하여, 센서 유닛 (45) 은,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복귀 스프링 (56) 및 고정 플레이트 (57) 에 의해서, 하방 회동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고정 플레이트 (57) 는, 전측 고정축 (61) 의 축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판상의 부분으로서, 전측 고정축 (61) 의 좌측의 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요컨대, 고정 플레이트 (57) 는, 전측 고정축 (61) 과 일체의 부분이다. 고정 플레이트 (57) 는, 부시 (48) 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고정 플레이트 (57) 는, 원 형상의 외형을 따른 본체 부분으로부터 후측을 향하여 돌출된 예각상의 지지 아암부 (57a) 를 갖고, 전체적으로 대략 눈물 방울형의 판 형상을 갖는다.
케이스 복귀 스프링 (56) 은, 이른바 토션 스프링으로서, 코일상의 부분의 양단측에 연장부 (56a, 56b) 를 갖는다. 케이스 복귀 스프링 (56) 은, 고정 플레이트 (57) 의 우측에 위치하고, 코일상의 부분의 우측의 부분을 보스부 (52h) 에 대해서 외감시키고, 전측 고정축 (61) 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복귀 스프링 (56) 은, 코일상의 부분의 우측에 위치하는 일방의 연장부 (56a) 를, 우측 케이스체 (52) 의 하면 (52b) 에 맞닿게 함과 함께, 코일상의 부분의 좌측에 위치하는 타방의 연장부 (56b) 를, 고정 플레이트 (57) 에 걸게 하고 있다. 타방의 연장부 (56b) 는, 선단부를 좌방을 향하여 굴곡시켜, 고정 플레이트 (57) 의 지지 아암부 (57a) 에 형성된 걸림공 (57b) 에 관통시킴으로써, 고정 플레이트 (57) 에 걸려 있다.
케이스 복귀 스프링 (56) 은, 연장부 (56a, 56b) 끼리를 이간시키는 방향의 탄성력에 의해서, 전측 고정축 (61) 에 고정 설치된 고정 플레이트 (57) 에 대해서 우측 케이스체 (52) 를 하측으로 밀어 내리는 힘을 작용시킨다. 이로써, 센서 유닛 (45) 이, 전측 고정축 (61) 의 축 둘레로 하방으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한편, 유닛 지지체 (44) 에 대한 센서 유닛 (45) 의 회동에 관하여, 케이스 (51) 에 형성된 걸림 돌기 (53b) 에 의해서, 센서 유닛 (45) 의 하방으로의 회동이 기준 상태의 위치에서 규제되고 있다. 걸림 돌기 (53b) 는, 좌측 케이스체 (53) 의 전후 중앙부의 상단부에, 좌측 케이스체 (53) 의 일부로서, 좌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기준 상태에 있어서, 센서 유닛 (45) 은, 걸림 돌기 (53b) 를 유닛 지지체 (44) 의 좌측면부 (44a) 의 상측 가장자리에 맞닿게 함으로써, 유닛 지지체 (44) 에 대한 하방으로의 상대 회동을 불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센서 유닛 (45) 은, 전측 고정축 (61) 둘레의 회동에 대해서, 하방 회동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기준 상태로부터의 유닛 지지체 (44) 에 대한 하방 회동이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센서 유닛 (45) 을 전측 고정축 (61) 둘레로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외력이 센서 유닛 (45) 에 작용함으로써, 센서 유닛 (45) 은, 케이스 복귀 스프링 (56)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회동하고, 외력이 해제됨으로써, 케이스 복귀 스프링 (56) 의 탄성력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하방으로 회동하고, 걸림 돌기 (53b) 의 걸림 작용에 의해서 기준 상태의 위치로 돌아온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있어서, 유닛 지지체 (44) 에 대해서 센서 유닛 (45) 을 지지하는 전측 고정축 (61) 은, 유닛 지지체 (44) 에 대한 회동 방향의 상대 위치가 조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전측 고정축 (61) 의 위치 조정 기구에 대해서, 도 10, 도 14 및 도 16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전측 고정축 (61) 은, 횡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하는 봉상의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우단부를, 유닛 지지체 (44) 의 우전측면부 (44c) 의 하부에 형성된 원형의 축공 (44e) (도 7 참조) 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게 하고 있다. 전측 고정축 (61) 의 우단부에는, 우전측면부 (44c) 의 내측 (좌측) 과 중첩되는 축 지지 플레이트 (46) 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축 지지 플레이트 (46) 는, 전측 고정축 (61) 과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부분이 된다. 축 지지 플레이트 (46)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우전측면부 (44c) 의 외형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14 에 있어서는 축 지지 플레이트 (46) 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축 지지 플레이트 (46) 는, 고정 볼트 (58) 에 의해서, 우전측면부 (44c) 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고정 볼트 (58) 는, 전측 고정축 (61) 의 상방의 위치에 있어서, 우측에서 우전측면부 (44c) 를 관통하여, 축 지지 플레이트 (46) 의 좌측에 형성된 너트부 (46a) 에 나선 삽입되어 있다. 우전측면부 (44c) 에 있어서, 고정 볼트 (58) 을 관통시키는 볼트공 (44f) 은, 전측 고정축 (61) 의 제 1 축심 (P1) 을 중심으로 한 회동을 허용하는 장공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고정 볼트 (58) 에 의한 체결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제 1 축심 (P1) 둘레로 축 지지 플레이트 (46) 를 회동시킴으로써 (도 16, 화살표 B1 참조), 유닛 지지체 (44) 에 대한 전측 고정축 (61) 의 회동 방향의 위치가 조정된다. 이렇게 한 전측 고정축 (61) 의 위치 조정에 관하여, 전측 고정축 (61) 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고정 나사 (59)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나사 (59) 는, 유닛 지지체 (44) 에 있어서의 전면부 (44b) 와 우전측면부 (44c) 에 의한 각부의 하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통축 방향으로 하는 원통상의 나사통 (60) 의 내주측에 형성된 나사공 (60a) 에 대해서 하방으로부터 나선 삽입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나사통 (60) 은, 용접 등에 의해서 유닛 지지체 (44) 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나사 (59) 는, 선단부를 축경상의 맞닿음부 (59a) 로 하여 나사통 (60) 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시키고, 축 지지 플레이트 (46) 에 하방으로부터 맞닿아 있다. 고정 나사 (59) 의 맞닿음부 (59a) 의 반대측의 단면에는, 고정 나사 (59) 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홈부 (59b) 가 형성되어 있다.
축 지지 플레이트 (46) 는, 고정 나사 (59) 의 맞닿음을 받는 부분으로서, 예각상의 부분인 피맞닿음부 (46b) 를 전측 (도 16 에 있어서 좌측) 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피맞닿음부 (46b) 는, 하측에, 고정 나사 (59) 의 맞닿음부 (59a) 의 맞닿음을 받는 피맞닿음면 (46c) 을 갖는다.
축 지지 플레이트 (46) 는, 유닛 지지체 (44) 에 대한 전측 고정축 (61) 의 회동 위치의 위치 조정에 있어서, 피맞닿음부 (46b) 를 고정 나사 (59) 에 맞닿게 함으로써 위치 결정된다. 요컨대,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유닛 지지체 (44) 에 대한 전측 고정축 (61) 의 좌회전 방향의 회동에 대해서, 고정 나사 (59) 가, 축 지지 플레이트 (46) 에 대한 스토퍼가 되고, 축 지지 플레이트 (46) 를 개재하여 전측 고정축 (61) 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따라서, 고정 나사 (59) 를 회전시켜 나사통 (60) 의 상단으로부터의 고정 나사 (59) 의 돌출량을 조정함으로써, 유닛 지지체 (44) 에 대해서 축 지지 플레이트 (46) 가 위치 결정되는 회동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축 지지 플레이트 (46) 의 회동 위치의 조정에 의해서, 유닛 지지체 (44) 에 대한 전측 고정축 (61) 의 위치 조정이 가능해진다.
접지체 (42) 는, 장치 본체 (41) 에 대해서 전측 고정축 (61) 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축인 후측 회동축 (62) 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후측 회동축 (62) 은,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지축으로서, 제 2 축심 (P2) 을 중심으로 하여, 장치 본체 (41) 의 케이스 (51) 에 대해서 접지체 (42) 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후측 회동축 (62) 은, 장치 본체 (41) 에 있어서, 케이스 (51) 의 후단부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후측 회동축 (62) 은, 케이스 (51) 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후측 회동축 (62) 은, 우측 케이스체 (52) 에 대해서, 우측 케이스체 (52) 의 후부에 형성된 축 지지공 (52c) 을 관통하고, 축 지지공 (52c) 에 대해서 베어링 부재인 부시 (65) 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다. 후측 회동축 (62) 은, 좌측 케이스체 (53) 에 대해서, 좌측의 단부를 좌측 케이스체 (53) 의 후부에 형성된 축지공 (53c) 에 부시 (66) 를 개재하여 삽입 감합시킨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다. 또, 우측 케이스체 (52) 에 있어서의 후측 회동축 (62) 의 우방으로의 돌출 기부에는, 후측 회동축 (62) 을 관통시키는 링상의 오일 시일 (67) 이 형성되어 있다.
후측 회동축 (62) 의 케이스 (51) 로부터 우방으로의 돌출 부분에, 접지체 (42) 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접지체 (42) 는, 장치 본체 (41) 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부분인 접지체 본체부 (42a) 와, 후측 회동축 (62) 에 대한 지지 부분인 지지 아암부 (42b) 를 갖는다. 접지체 본체부 (42a) 및 지지 아암부 (42b) 는, 모두 소정의 형상을 갖는 판상의 부분이다.
접지체 본체부 (42a) 는, 배면에서 보았을 때에 나타내어지는 판면 형상으로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에 걸쳐서 서서히 폭 (좌우 방향의 치수) 을 넓힌 아래로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 주걱상의 부분이다. 접지체 본체부 (42a)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하의 중앙부를 정상부로 하여 전측을 볼록측으로 한 둔각상의 굴곡 형상을 이루는 부분이다.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접지체 본체부 (42a) 의 상반부와 하반부가 이루는 굴곡의 각도는, 예를 들어 140 ∼ 150°정도이다. 접지체 본체부 (42a) 는, 최대 폭을 케이스 (51) 의 좌우 폭과 대략 동일하게 하고, 좌우 방향에 대해서 케이스 (51) 의 좌우 폭 내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 아암부 (42b) 는, 둔각상의 굴곡 형상을 이루는 종벽상의 부분으로서, 케이스 (51) 의 직후방에 위치하는 접지체 본체부 (42a) 의 상단부로부터, 케이스 (51) 를 따르도록 우전측으로 연장되고, 후측 회동축 (62) 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아암부 (42b) 는, 그 전측의 부분을,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고정면부로 하고, 이 고정면부에, 후측 회동축 (62) 의 우단부를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관통시키고, 너트 (68) 등에 의해서 후측 회동축 (62) 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지체 (42) 는, 후측 회동축 (62) 에 고정되고, 제 2 축심 (P2) 을 중심으로 하여 후측 회동축 (62) 과 일체적으로 회동한다. 접지체 (42) 는, 그 회동 범위에 있어서, 케이스 (51) 에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지체 (42) 의 회동 위치에 관하여, 기준 상태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있어서의 접지체 (42) 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한다.
접지체 (42) 는, 장치 본체 (41) 에 대한 후측 회동축 (62) 둘레의 상대 회동으로서, 다음과 같은 회동을 행한다. 즉, 접지체 (42) 는, 선단을 지면 (G1) 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콤바인 (1) 이 전진하는 것에 의한 지면 (G1) 으로부터의 드래그 저항 (접지 슬라이딩 저항) 에 의해서, 선단측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회동 (후방 회동) 한다 (도 9, 화살표 C1 참조). 한편, 접지체 (42) 는, 콤바인 (1) 이 후진하는 것에 의한 접지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서, 선단측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회동 (전방 회동) 한다 (도 9, 화살표 C2 참조).
검출 센서 (43) 는, 접지체 (42) 의 후측 회동축 (62) 둘레의 회동량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검출 센서 (43) 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가 구비하는 제 3 축인 중간 회동축 (70) 에 대해서 형성되고, 중간 회동축 (70) 의 회동량으로부터, 접지체 (42) 의 후측 회동축 (62) 둘레의 회동량을 검출한다.
중간 회동축 (70) 은,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지축으로서, 제 3 축심 (P3) 을 중심으로 하여, 장치 본체 (41) 의 케이스 (51) 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중간 회동축 (70) 은, 전후 방향에 대해서, 전측 고정축 (61) 과 후측 회동축 (62) 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중간 회동축 (70) 은, 우측 케이스체 (52) 에 대해서, 우측 케이스체 (52) 의 전후 중간부에 형성된 통상의 보스부 (52d) 를 관통하고, 보스부 (52d) 에 대해서 베어링 부재인 부시 (71) 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다. 중간 회동축 (70) 은, 좌측 케이스체 (53) 에 대해서, 좌측의 단부를 좌측 케이스체 (53) 의 전후 중간부에 형성된 축지공 (53d) 에 부시 (72) 를 개재하여 삽입 감합시킨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다.
검출 센서 (43) 는, 로터리형의 퍼텐쇼미터로서, 중간 회동축 (70) 및 후측 회동축 (62) 을 개재하여, 접지체 (42) 의 회전 위치를 검출한다. 검출 센서 (43) 는, 전후 방향에 대해서, 전측 고정축 (61) 과 후측 회동축 (6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검출 센서 (43) 는, 우측 케이스체 (52) 의 우측면부에 형성된 원 형상의 오목부 (52e) 에 본체부의 좌측에 형성된 원 형상의 돌출부 (43b) 를 끼워 맞추게 한 상태에서, 우측 케이스체 (52) 에 나선 삽입되는 볼트 (73) 에 의해서 전후 2 개 지점에서 우측 케이스체 (52) 에 고정되어 있다.
검출 센서 (43) 는, 중간 회동축 (70) 의 우단부의 연결을 받아, 중간 회동축 (70) 을 검출축으로 하여, 직접적으로는 중간 회동축 (70) 의 제 3 축심 (P3) 둘레의 회전 위치를 검출한다. 검출 센서 (43) 는, 그 본체부로부터 상방에 신호선 (43a) 을 연장시키고 있고, 주행 기체 (4) 측에 구비된 제어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신호선 (43a) 대신에, 본체부에 있어서 신호선을 접속시키는 커넥터부를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중간 회동축 (70) 은, 접지체 (42) 의 회동에 수반하는 후측 회동축 (62) 의 회전 동력의 전달을 받아 회동한다. 중간 회동축 (70) 은,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가 구비하는 제 1 전달 부재인 검출용 구동 기어 (76) 및 제 2 전달 부재인 검출용 종동 기어 (77) 를 개재하여, 후측 회동축 (62) 의 회전 동력의 전달을 받는다.
검출용 구동 기어 (76) 는, 후측 회동축 (62) 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후측 회동축 (62) 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검출용 구동 기어 (76) 는, 둘레 방향의 일부에 요철상의 톱니부를 이루는 기어부 (76a) 를 갖는 부분 기어로서, 대략 부채꼴 형상을 갖는다. 검출용 구동 기어 (76)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기어부 (76a) 를 중간 회동축 (70) 측을 향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기어부 (76a) 가 형성되는 각도 범위는, 예를 들어 80 ∼ 90°의 각도 범위이다.
검출용 종동 기어 (77) 는, 중간 회동축 (70) 을 관통시킴과 함께 중간 회동축 (70) 에 고정된 상태에서, 중간 회동축 (70) 과 일체적으로 회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검출용 종동 기어 (77) 는, 검출용 구동 기어 (76) 로부터 후측 회동축 (62) 의 회전 동력의 전달을 받는다. 검출용 종동 기어 (77) 는, 둘레 방향의 일부에 요철상의 톱니부를 이루는 기어부 (77a) 를 갖는 부분 기어이다. 검출용 종동 기어 (77)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기어부 (77a) 를 후측을 향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고, 기어부 (77a) 를 검출용 구동 기어 (76) 의 기어부 (76a) 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검출용 구동 기어 (76) 와 맞물려 있다. 기어부 (77a) 가 형성되는 각도 범위는, 예를 들어 150 ∼ 170°의 각도 범위이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후측 회동축 (62) 의 회동을 검출용 구동 기어 (76) 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후측 회동축 (62) 에 고정된 구동 부재인 구동 아암 (80) 을 갖는다. 구동 아암 (80) 은, 후측 회동축 (62) 을 관통시킨 통상의 기부 (81) 와, 기부 (81) 로부터 후측 회동축 (62) 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아암부 (82) 를 갖는다.
구동 아암 (80) 은, 후측 회동축 (62) 에 대해서 기부 (81) 를 스플라인 끼워 맞춤의 양태로 걸어맞추게 하고 있고, 후측 회동축 (62) 에 대해서, 상대 회전이 불가능해지도록 체결 고정되어 있다. 요컨대, 구동 아암 (80) 은, 제 2 축심 (P2) 을 중심으로 하여 후측 회동축 (62) 과 일체적으로 회동한다.
아암부 (82) 는, 후측 회동축 (62) 의 축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판상의 부분으로서, 기부 (81) 로부터 제 2 축심 (P2) 에 대해서 경사지게 후측 상방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아암부 (82)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기부 (81) 측으로부터 선단측에 걸쳐서, 기부 (81) 의 외경으로부터 서서히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아암부 (82) 는, 후측 회동축 (62) 의 축 방향에 대해서, 통상의 기부 (81) 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고, 검출용 구동 기어 (76) 의 좌측에 인접하고 있다. 검출용 구동 기어 (76) 는, 기부 (81) 중 아암부 (82) 보다 우측의 부분에 대해서 장착되어 있고, 기부 (81) 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후측 회동축 (62) 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구동 아암 (80) 은, 검출용 구동 기어 (76) 에 맞닿음 작용하는 검출용 핀 (83) 을 갖는다. 검출용 핀 (83) 은, 아암부 (82) 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우방을 향하여 원주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검출용 핀 (83) 은, 검출용 구동 기어 (76) 에 대해서, 기어부 (76a) 의 외주연부보다 후측 회동축 (62) 의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후측 회동축 (62) 의 축 방향에 대해서, 검출용 구동 기어 (76) 에 간섭하는 돌출 길이를 갖는다. 검출용 핀 (83) 은, 기어부 (76a) 의 후측의 가장자리부 (76b) 를, 검출용 구동 기어 (76) 에 대한 맞닿음부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검출용 핀 (83) 이, 접지체 (42) 의 후방으로의 회동에 수반하는 후측 회동축 (62) 의 회동을 검출용 구동 기어 (76) 에 전달하여 검출용 구동 기어 (76) 를 후측 회동축 (62) 둘레로 회동시키는 제 1 전달 부재용 입력부가 된다.
즉, 접지체 (42) 의 후방으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후측 회동축 (62) 을 개재하여 구동 아암 (80) 이 아암부 (82) 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회동하고, 이로써 검출용 구동 기어 (76) 가 후측으로부터 검출용 핀 (83) 에 의해서 밀려 후측 회동축 (62) 둘레로 회동한다. 검출용 구동 기어 (76) 가 회동함으로써, 이것에 맞물린 검출용 종동 기어 (77) 와 함께 중간 회동축 (70) 이 회동하고, 그 중간 회동축 (70) 의 회동이 검출 센서 (43) 에 의해서 검출된다.
이상과 같이,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센서 유닛 (45) 에 있어서, 접지체 (42) 의 후방 회동을 검출 센서 (43) 에 검출시키기 위한 검출용 전달 기구로서, 후측 회동축 (62), 구동 아암 (80), 검출용 구동 기어 (76), 검출용 종동 기어 (77), 및 중간 회동축 (70) 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 장치 본체 (41) 는, 접지체 (42) 가 기준 위치로부터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접지체 (42) 의 회동에 연동하여 전측 고정축 (61) 둘레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예를 들어 콤바인 (1) 의 기체 후진시 등에 있어서, 접지 슬라이딩 저항으로서 접지체 (42) 가 후방으로부터의 가압 작용을 받음으로써 기준 위치보다 전측으로 회동할 때에는, 장치 본체 (41) 에 대한 접지체 (42) 의 상대 회동에 수반하여, 장치 본체 (41) 가 전측 고정축 (61) 둘레로 상방으로 회동한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센서 유닛 (45) 에 있어서, 접지체 (42) 의 기준 위치로부터 전방으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장치 본체 (41) 를 상방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케이스 회동용 전달 기구를 구비한다.
케이스 회동용 전달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케이스 회동용 전달 기구는, 후측 회동축 (62), 구동 아암 (80), 제 3 전달 부재로서의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제 4 전달 부재로서의 케이스 회동용 종동 기어 (87), 중간 회동축 (70), 고정 플레이트 (57), 및 전측 고정축 (61) 을 포함한다.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는, 후측 회동축 (62) 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후측 회동축 (62) 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는, 후측 회동축 (62) 의 축 방향에 대해서, 구동 아암 (80) 의 아암부 (82) 의 좌측에 인접하고 있다.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는, 구동 아암 (80) 의 기부 (81) 중 아암부 (82) 보다 좌측의 부분에 대해서 장착되어 있고, 기부 (81) 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후측 회동축 (62) 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는, 주연부의 대부분을 요철상의 톱니부를 이루는 기어부 (86a) 로 함과 함께, 주연부의 일부를 절결상의 오목부 (86b) 로 한 부분 기어이다.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는, 오목부 (86b) 를 상측을 향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86b) 는, 후측에,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기어부 (86a) 를 따르는 원호 형상과 함께 산 형상의 각부를 이루는 걸림면 (86c) 을 갖는다. 오목부 (86b) 가 형성되는 각도 범위는, 예를 들어 70 ∼ 80°의 각도 범위이다.
케이스 회동용 종동 기어 (87) 는, 중간 회동축 (70) 을 관통시킴과 함께 중간 회동축 (70) 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회동용 종동 기어 (87) 는, 중간 회동축 (70) 상에 있어서, 검출용 종동 기어 (77) 의 좌방에 위치하고 있다. 케이스 회동용 종동 기어 (87) 는,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로부터 후측 회동축 (62) 의 회전 동력의 전달을 받는다. 케이스 회동용 종동 기어 (87) 는, 둘레 방향의 일부에 요철상의 톱니부를 이루는 기어부 (87a) 를 갖는 부분 기어이다. 케이스 회동용 종동 기어 (87) 는, 중간 회동축 (70) 에 대한 소정의 직경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 긴 형상의 부재로서, 길이 방향의 일측에 기어부 (87a) 를 갖고, 길이 방향 타측을, 정상부를 이루도록 예각상으로 연장시킨 아암부 (87b) 로 하고 있다.
케이스 회동용 종동 기어 (87)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기어부 (87a) 를 후측 회동축 (62) 측을 향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고, 기어부 (87a) 를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의 기어부 (86a) 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와 맞물려 있다. 기어부 (87a) 가 형성되는 각도 범위는, 예를 들어 80 ∼ 90°의 각도 범위이다.
케이스 회동용 종동 기어 (87) 는, 고정 플레이트 (57) 에 맞닿음 작용하는 지지 핀 (88) 을 갖는다. 지지 핀 (88) 은, 아암부 (87b) 의 선단부로부터 우방을 향하여 원주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회동용 종동 기어 (87) 는, 중간 회동축 (70) 의 축 방향에 대해서, 본체 부분을, 고정 플레이트 (57) 로부터 좌측에 위치시키고 있고, 지지 핀 (88) 은, 고정 플레이트 (57) 에 간섭하는 돌출 길이를 갖는다. 지지 핀 (88) 은, 지지 아암부 (57a) 의 상측의 가장자리부 (57c) 를, 고정 플레이트 (57) 에 대한 맞닿음부로 한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후측 회동축 (62) 의 회동을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후측 회동축 (62) 에 고정된 구동 아암 (80) 을 갖는다.
구동 아암 (80) 은,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에 맞닿음 작용하는 케이스 회동용 핀 (84) 을 갖는다. 케이스 회동용 핀 (84) 은, 아암부 (82) 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좌방을 향하여 원주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회동용 핀 (84) 은, 검출용 핀 (83) 과 동축 상에 위치하고 있고, 검출용 핀 (83) 에 대해서 대략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회동용 핀 (84) 은, 후측 회동축 (62) 의 축 방향에 대해서,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에 간섭하는 돌출 길이를 갖고,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의 오목부 (86b) 상에 위치하고 있다. 케이스 회동용 핀 (84) 은, 오목부 (86b) 의 걸림면 (86c) 을,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에 대한 맞닿음부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케이스 회동용 핀 (84) 이, 접지체 (42) 의 전방으로의 회동에 수반하는 후측 회동축 (62) 의 회동을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에 전달하여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를 후측 회동축 (62) 둘레로 회동시키는 제 3 전달 부재용 입력부가 된다.
즉, 접지체 (42) 의 전방으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후측 회동축 (62) 을 개재하여 구동 아암 (80) 이 아암부 (82) 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회동하고, 이로써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가 전측으로부터 케이스 회동용 핀 (84) 에 의해서 밀려 후측 회동축 (62) 둘레로 회동한다.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가 회동함으로써, 이것에 맞물린 케이스 회동용 종동 기어 (87) 가 회동한다.
케이스 회동용 종동 기어 (87) 는, 회동하여 지지 핀 (88) 을 고정 플레이트 (57) 에 맞닿게 함으로써, 고정 플레이트 (57) 에 가압 작용한다. 고정 플레이트 (57) 는, 전측 고정축 (61) 에 고정되어 있는 점에서, 지지 핀 (88) 에 의한 가압 작용의 반작용으로서, 장치 본체 (41) 를 구성하는 케이스 (51) 가 후측을 상승시키도록 전측 고정축 (61) 둘레로 회동한다. 여기에서, 케이스 (51) 의 상승 회동은, 케이스 복귀 스프링 (56) 에 의한 탄성력에 저항하여 행해진다. 이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 (57) 는, 전측 고정축 (61) 에 고정되고 케이스 회동용 종동 기어 (87) 의 회전 동력을 받아 장치 본체 (41) 를 전측 고정축 (61) 둘레로 회동시키는 회동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접지체 (42) 는, 후측 회동축 (62) 둘레의 회동에 대해서, 외력의 작용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의 기준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지체 (42) 의 위치 결정을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접지체 (42) 는, 후측 회동축 (62) 둘레의 회동에 대해서, 접지체 복귀 스프링 (90) 에 의해서, 검출용 구동 기어 (76) 및 구동 아암 (80) 을 개재하여, 전방 회동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접지체 복귀 스프링 (90) 은, 이른바 토션 스프링으로서, 코일상의 부분의 양단측에 연장부 (90a, 90b) 를 갖는다. 접지체 복귀 스프링 (90) 은, 검출용 구동 기어 (76) 의 우측에 위치하고, 코일상의 부분에 부시 (91) 를 개재하여 후측 회동축 (62) 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접지체 복귀 스프링 (90) 은, 코일상의 부분의 우측에 위치하는 일방의 연장부 (90a) 를, 우측 케이스체 (52) 의 하면 (52b) 에 맞닿게 함과 함께, 코일상의 부분의 좌측에 위치하는 타방의 연장부 (90b) 를, 검출용 구동 기어 (76) 에 걸리게 하고 있다. 타방의 연장부 (90b) 는, 선단부를 좌방을 향하여 굴곡시켜, 검출용 구동 기어 (76) 의 기어부 (76a) 의 전측의 가장자리부 (76c) 에 맞닿게 함으로써, 검출용 구동 기어 (76) 에 걸려 있다.
접지체 복귀 스프링 (90) 은, 연장부 (90a, 90b) 끼리를 이간시키는 방향의 탄성력에 의해서, 검출용 구동 기어 (76) 에 대해서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우회전으로 회동하는 힘을 작용시키고, 검출용 구동 기어 (76) 로부터 검출용 핀 (83) 에 의해서 구동 아암 (80) 에 대해서 아암부 (82) 를 후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작용시킨다. 이로써, 접지체 (42) 가, 구동 아암 (80) 이 고정 설치된 후측 회동축 (62) 을 개재하여 전방으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한편, 기준 상태에 있어서의 접지체 (42) 의 전방으로의 회동은, 상기 서술한 케이스 회동용 전달 기구에 의해서, 케이스 복귀 스프링 (56) 의 탄성력의 작용에 의해서 규제된다. 접지체 (42) 가 전방으로 회동하려고 함으로써, 구동 아암 (80) 의 케이스 회동용 핀 (84) 으로부터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및 케이스 회동용 종동 기어 (87) 를 개재하여, 지지 핀 (88) 으로부터 고정 플레이트 (57) 에 가압력이 작용하고, 이 가압력이, 케이스 복귀 스프링 (56) 에 의해 케이스 (51) 를 밀어 내리려고 하는 탄성력에 저항하는 힘이 된다.
즉, 케이스 복귀 스프링 (56) 에 의한 케이스 (51) 를 밀어 내리려고 하는 탄성력이, 케이스 회동용 종동 기어 (87),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구동 아암 (80), 및 후측 회동축 (62) 을 개재하여 접지체 (42) 에 작용하고, 기준 상태에 있어서의 접지체 (42) 의 전방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케이스 복귀 스프링 (56) 및 접지체 복귀 스프링 (90) 각각의 탄성력 (토크) 은, 접지체 (42) 가 기준 위치에서 위치 결정되도록 설정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있어서, 접지체 (42) 는, 기준 위치로부터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전측 고정축 (61) 축 둘레의 회동을 정지시킨 상태의 장치 본체 (41) 에 대해서, 후측 회동축 (62) 둘레로 회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예를 들어 콤바인 (1) 의 기체 전진시 등에 있어서, 접지체 (42) 가 전방으로부터의 가압 작용을 받음으로써 기준 위치보다 후측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장치 본체 (41) 는 전측 고정축 (61) 둘레로 회동하지 않고, 접지체 (42) 만이 장치 본체 (41) 에 대해서 후측 회동축 (62) 둘레로 상대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검출 센서 (43) 는, 접지체 (42) 의 기준 위치로부터 후방으로의 회동량을 검출한다. 즉, 접지체 (42) 가 기준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의 접지체 (42) 의 장치 본체 (41) 에 대한 후방으로의 상대 회동이, 예취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회동으로서 검출 센서 (43) 에 의해서 검출된다.
한편, 접지체 (42) 의 장치 본체 (41) 에 대한 상대 회동에 관하여, 접지체 (42) 의 기준 위치로부터 전방으로의 회동에 대해서는, 케이스 (51) 의 상승 회동을 수반하게 된다. 즉, 접지체 (42) 의 기준 위치로부터 전방으로의 회동에 있어서는, 접지체 (42) 의 회동에 연동하여, 장치 본체 (41) 가 전체적으로 전측 고정축 (61) 둘레로 상승 회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장치 본체 (41) 에 대한 접지체 (42) 의 기준 위치로부터 전방으로의 상대 회동에 있어서는, 구동 아암 (80) 이 아암부 (82) 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회동하기 때문에, 검출용 핀 (83) 은, 검출용 구동 기어 (76) 에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검출용 구동 기어 (76) 에 맞물린 검출용 종동 기어 (77) 를 축지하는 중간 회동축 (70) 은 회동하지 않고, 검출 센서 (43) 에 의한 중간 회동축 (70) 의 회동의 검출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장치 본체 (41) 에 대한 접지체 (42) 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후방으로의 회동 상태에 있어서, 검출 센서 (43) 에 의한 접지체 (42) 의 회동량의 검출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의해서, 콤바인 (1) 은, 검출 센서 (43) 에 의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예취부 (5) 의 높이 (예취 높이) 를 검출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접지체 (42) 의 후방 회동을 검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주로 콤바인 (1) 의 기체 전진시에 있어서, 예취 높이의 검출을 행한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있어서, 검출 센서 (43) 는, 접지체 (42) 의 회동 위치에 대응한 제 2 축심 (P2) 회전의 중간 회동축 (70) 의 회동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분초판 (21) 의 지면 (G1) 으로부터의 높이, 요컨대 예취 높이를 검출한다. 검출 센서 (43) 의 검출 신호는, 신호선 (43a) 으로부터 제어부에 보내진다. 제어부는, 검출 센서 (43) 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입력을 받고, 그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 결과로부터 산출되는 예취 높이를 설정치로 유지하도록, 유압 실린더 (18) 를 동작시켜, 예취 높이를 조정한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지지 구성)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지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분초부 (50) 에 대한 유닛 지지체 (44) 의 지지 구성에 의해서, 전후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분초부 (50) 에 대해서, 전후 방향을 따르는 축심선 (O1) 을 중심으로, 좌우로 요동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지지에 관한 분초부 (50) 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분초부 (50) 는, 예취부 (5) 의 하부에 형성된 좌단의 분초 프레임 (34) 과, 분초 프레임 (34) 의 전측에 형성되는 분초판 (21) 과, 분초 프레임 (34) 에 고정되는 서포트 프레임 (100) 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지지에 관한 분초판 (21) 은, 좌단에 위치하는 분초판 (21A) 이다 (도 3 참조).
분초 프레임 (34) 은, 후측으로부터 전측에 걸쳐서, 전방 하향의 경사 부분인 후측 경사부 (101) 와, 후측 경사부 (101) 와 함께 둔각상의 각부를 이루는 전방 상향의 경사 부분인 중간 경사부 (102) 와 중간 경사부 (102) 와 함께 예각상의 각부를 이루는 전방 하향의 경사 부분인 전측 경사부 (103) 를 갖는다. 중간 경사부 (102) 및 전측 경사부 (103) 는, 각부로서 상측으로 볼록한 만곡부 (104) 를 형성하고 있다. 분초 프레임 (34) 은, 후측 경사부 (101) 의 후단부를 기단부로 하고, 전측 경사부 (103) 의 전단부를 선단부로 한다. 분초 프레임 (34) 은, 전체적으로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Z」상을 이루는 굴곡 형상을 갖는다.
분초 프레임 (34) 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측 경사부 (101) 의 중간부를 횡 프레임 (31) 의 좌단부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횡 프레임 (31) 의 좌단부 상에 고정 설치된 지지 부재 (105) 를 개재하여, 후측 경사부 (101) 를 횡 프레임 (31) 에 고정시키고 있다. 분초 프레임 (34) 은, 중간 경사부 (102) 의 만곡부 (104) 근방의 부위로부터, 우방을 향하여, 좌단의 일으켜 세움 장치 (22) 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부 (106) 을 연장시키고 있다 (도 4 참조). 지지 프레임부 (106) 에, 좌단의 일으켜 세움 장치 (22) 를 지지하는 지지 스테이 (33) 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서포트 프레임 (100) 은, 환파이프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부분으로서, 소정의 굴곡 형상 또는 만곡 형상을 갖고, 분초 프레임 (34) 의 하측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포트 프레임 (100) 은, 분초 프레임 (32) 보다 직경이 작은 파이프 부재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서포트 프레임 (100) 은, 후측으로부터 전측에 걸쳐서, 전방 하향의 경사 부분인 후측 경사부 (111) 과, 후측 경사부 (111) 와 함께 둔각상의 각부를 이루는 수평상의 부분인 수평부 (112) 와, 수평부 (112) 와 함께 둔각상의 각부를 이루기 전방 상향의 경사 부분인 전측 경사부 (113) 와, 전측 경사부 (113) 와 함께 둔각상의 각부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후측 상방으로 일어선 기립부 (114) 를 갖는다.
서포트 프레임 (100) 의 후단부인 후측 경사부 (111) 의 후단부는, 분초 프레임 (34) 의 중간 경사부 (102) 의 하부의 전측에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후측 경사부 (111)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분초 프레임 (34) 의 후측 경사부 (101) 와 대략 상하 대칭이 되는 경사 각도를 갖는다. 분초 프레임 (34) 에 대한 후측 경사부 (111) 의 고정 부분의 하측에는,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보강판 (115) 이 양 프레임 사이에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된 상태에서 가설되어 있다.
또, 서포트 프레임 (100) 에 있어서, 수평부 (112) 는, 상하 방향에 대해서, 분초판 (21) 의 하단보다 미세하게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전측 경사부 (113)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분초 프레임 (34) 의 중간 경사부 (102) 와 대략 평행이 되는 경사 각도를 갖는다. 기립부 (114)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분초 프레임 (34) 의 전측 경사부 (103) 와 대략 평행이 되는 경사 각도를 갖고, 전측 경사부 (103) 의 후측을 따른 상태에서 전측 경사부 (103) 에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전측 경사부 (113) 와 기립부 (114) 가 이루는 각부는, 분초 프레임 (34) 의 선단부의 직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서포트 프레임 (100) 은, 전후 양측을 분초 프레임 (34) 에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시키고 있고, 분초 프레임 (34) 과 함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다각 형상을 이루는 닫힌 프레임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즉, 분초 프레임 (34) 의 중간 경사부 (102) 및 전측 경사부 (103) 에 의한 상측으로 볼록한 부분과, 개략적으로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하측을 볼록측으로 한 형태를 이루는 서포트 프레임 (100) 이 상하로 합쳐져,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오각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 부분이 구성되어 있다.
분초판 (21) 은, 분초판 본체 (121) 와, 분초판 본체 (121) 의 후측에 형성된 리브판부 (122) 를 갖는다. 분초판 본체 (121) 는, 평면을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전측을 볼록측으로 하는 판상의 부재로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을 이루는 정면판부와, 정면판부의 주위로부터 후측으로 만곡상으로 형성된 측면부를 갖는다. 분초판 본체 (121) 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및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후측으로부터 전측에 걸쳐서 서서히 폭이 좁아지게 되는 첨예 형상을 갖는다. 분초판 본체 (121)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전방 하향이며 또한 후방 하측을 볼록측으로 한 만곡 형상을 갖는다.
리브판부 (122) 는,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판상의 부분으로서, 분초판 본체 (121) 의 정면판부의 후측에 있어서, 분초판 본체 (121) 의 좌우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리브판부 (122) 는, 판상의 부재를 용접 등에 의해서 분초판 본체 (121) 에 고정시킴으로써, 분초판 본체 (121) 와 일체의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리브판부 (122) 는, 분초판 본체 (121) 에 대해서, 상하 방향에 대해서 중앙보다 약간 위의 위치로부터 하단 (선단) 까지의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리브판부 (122) 는, 분초판 본체 (121) 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만곡 형상을 따르는 형상을 가지면서, 평면을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분초판 본체 (121) 와 함께 화살표 형상을 이루도록 분초판 본체 (121) 로부터 후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분초판 본체 (121) 에 리브판부 (122) 를 형성한 구성은,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는다.
또, 분초부 (50) 는, 분초판 (21) 의 후측에 형성된 분초판 지지 부재로서의 히치 (125) 를 포함한다. 히치 (125) 는, 분초판 (21) 에 장착됨과 함께, 분초 프레임 (34) 에 고정됨으로써, 분초판 (21) 을 분초 프레임 (34) 에 지지한다.
히치 (125) 는, 긴 형상의 판상 부재로서, 그 길이 방향을, 분초판 (21) 의 후방 상향의 경사를 따르게 하도록, 후방 상향의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히치 (125) 는, 상하 방향에 대해서, 리브판부 (122) 의 상단과 대략 동일한 위치로부터, 리브판부 (122) 의 하부까지의 범위에 걸치는 길이를 갖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부분을 리브판부 (122) 에 중첩한 상태에서, 리브판부 (122) 에 장착되어 있다.
히치 (125) 는, 리브판부 (122) 에 대해서 좌측으로부터 중첩되고, 히치 (125) 의 하단부와 상부의 상하 2 개 지점에서 볼트 (126) 및 너트 (127) 에 의해서 리브판부 (122) 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볼트 (126) 는, 좌측으로부터 히치 (125) 및 리브판부 (122) 를 관통하여 우측에 위치하는 너트 (127) 에 나선 삽입되어 있다.
히치 (125) 는, 용접 등에 의해서 분초 프레임 (34) 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히치 (125) 는, 상부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리브판부 (122) 로부터 후방으로 비어져 나온 상부 돌출부 (125a) 를 갖고, 이 상부 돌출부 (125a) 의 후측이, 분초 프레임 (34) 의 선단부의 전측에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분초 프레임 (34) 은, 히치 (125) 의 고정을 받는 선단 부분, 요컨대 전측 경사부 (103) 의 하단 부분을, 분초 프레임 (34) 의 본체 부분을 이루는 파이프 부재와는 별체인 선단 형성 부재 (128) 에 의해서 형성하고 있다. 선단 형성 부재 (128) 는, 원통상의 부재로서, 일측에 원통상의 축경부를 갖고, 그 축경부를 분초 프레임 (34) 의 본체 부분을 이루는 파이프 부재에 삽입 감합시킨 상태에서, 볼트 (129) 등에 의해서 파이프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선단 형성 부재 (128) 는, 분초 프레임 (34) 에 있어서, 본체 부분을 이루는 파이프 부재와 동일 직경 형상의 선단부를 형성하고 있고, 선단부를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의 테이퍼부 (128a) 로 하고 있다. 히치 (125) 의 상부 돌출부 (125a) 는, 그 후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테이퍼부 (128a) 를 갖는 선단 형성 부재 (128) 의 전측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을 모방하는 굴곡 형상을 갖고, 선단 형성 부재 (128) 를 끼워 맞추게 한 양태로, 선단 형성 부재 (128) 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히치 (125) 는, 분초 프레임 (34) 에 고정됨으로써, 분초 프레임 (34) 의 전방에서, 분초판 (21) 을 지지한다. 분초판 (21) 은, 히치 (125) 에 대한 장착 각도 (경사 각도) 가 조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히치 (125) 의 리브판부 (122) 에 대한 볼트 (126) 에 의한 상하 2 개 지점의 고정부 중, 상측의 고정부에 있어서, 히치 (125) 에 볼트 (126) 를 관통시키는 볼트공 (125b) 은, 후방 하향의 경사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장공으로 되어 있다. 또, 하측의 고정부에 있어서의 히치 (125) 의 볼트공 (125c) 은, 볼트 (126) 를 관통시키는 원형의 구멍이다. 이와 같은 히치 (125) 의 고정 구조에 의해서, 분초판 (21) 은, 히치 (125) 에 대해서, 하측의 볼트 (126) 에 의한 고정부를 지점으로 한 회동 방향에 대해서, 장공인 볼트공 (125b) 에 의한 가동 범위에서, 장착 각도 (경사 각도) 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분초부 (50) 에 대해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분초부 (50) 에 대해서, 전후 양측을 축지부 (130) 로 하여 전후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분초부 (50) 에 대한 지지부로서, 전측의 축지부 (130) 인 전측 축지부 (130A) 와, 후측의 축지부 (130) 인 후측 축지부 (130B) 를 갖고, 이들 축지부 (130) 에 의해서, 전후 방향의 축심선 (O1) 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전후에,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를 전후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측 축지부 (130A) 와 후측 축지부 (130B) 가 형성되어 있다.
전측 축지부 (130A) 는, 분초판 (21) 의 후측에 형성되고, 후측 축지부 (130B) 는, 서포트 프레임 (100) 에 형성되어 있다. 전후의 각 축지부 (130) 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측 축지부 (130A) 는, 분초판 (21) 의 후측에 형성된 전지지부인 보스부 (132) 와, 유닛 지지체 (44) 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보스부 (132) 에 지지된 전지지축부 (131) 를 갖는다. 전측 축지부 (130A) 는, 유닛 지지체 (44) 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전지지축부 (131) 를, 히치 (125) 의 하단부에 형성된 보스부 (132) 에 지승 (支承) 시킨 구성을 갖는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전단부측은, 보스부 (132) 를 개재하여 히치 (125) 에 장착되어 있다.
전지지축부 (131) 는, 유닛 지지체 (44) 의 전면부 (44b) 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전지지축부 (131) 는, 전면부 (44b) 에 대해서, 핀상의 축체를, 전후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용접 등에 의해서 관통 고정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전지지축부 (131) 는, 유닛 지지체 (44) 와 일체의 부분으로서, 축심을 축심선 (O1) 에 일치시키고 있다.
보스부 (132) 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상의 내주면 (132a) 에 의해서 축 지지 공간 (132b) 을 이루는 중공 원통상의 부분으로서, 후측을 개구시킴과 함께, 전측을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의 테이퍼부 (132c) 로 하고 있다. 보스부 (132) 는, 원통상의 부재를 히치 (125) 의 하단부에 고정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히치 (125) 는, 그 하단부에,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테이퍼부 (132c) 를 갖는 보스부 (132) 의 전부의 상측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을 따른 굴곡 형상을 이루는 오목부 (125d) 를 갖는다. 보스부 (132) 를 이루는 원통상의 부재는, 히치 (125) 의 오목부 (125d) 에 전부를 끼워 맞추게 한 상태에서, 용접 등에 의해서 히치 (125) 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보스부 (132) 는, 히치 (125) 의 판두께보다 큰 외경을 갖고, 좌우 방향에 대해서 중앙부에 히치 (125) 를 위치시키고 있다.
보스부 (132) 에 대해서, 전지지축부 (131) 가, 그 전부를 축 지지 공간 (132b) 내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지지축부 (131) 는, 보스부 (132) 의 내주면 (132a) 과의 사이에, 전지지축부 (131) 를 관통시킨 부재로서, 전측으로부터 후측에 걸쳐서 순서대로, 베어링 부재로서의 원통상의 부시 (134), 백업 링 (135), 및 O 링 (136) 을 개재시키고 있다.
전지지축부 (131) 는, 보스부 (132) 에 대해서, 보스부 (132) 의 외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나선 삽입된 고정 나사 (137) 및 로크 너트 (138) 에 의해서 빠짐 방지되어 있다. 로크 너트 (138) 는, 보스부 (132) 의 외주면에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고정 나사 (137) 은, 로크 너트 (138) 에 나선 삽입됨과 함께, 보스부 (132) 의 주벽을 관통하여, 전지지축부 (131) 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고정 나사 (137) 는, 그 선단부를, 전지지축부 (131) 의 부시 (134) 보다 전측의 부분에 부분적인 축경부에 의해서 형성된 외주 홈 (131a)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전지지축부 (131) 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이와 같이, 전측 축지부 (130A) 는, 분초판 (21) 에 대해서, 히치 (125) 를 개재하여, 보스부 (132) 에 의해서, 유닛 지지체 (44) 의 전부에 형성된 전지지축부 (131) 를 지승하고 있다. 이로써, 전측 축지부 (130A) 는, 분초부 (50) 에 대해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전측을, 전후 방향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상기 후측 축지부 (130B) 는, 서포트 프레임 (100) 에 형성된 후지지부인 스테이 (142) 와, 유닛 지지체 (44) 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스테이 (142) 에 지지된 후지지축부 (141) 를 갖는다. 후측 축지부 (130B) 는, 유닛 지지체 (44) 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후지지축부 (141) 를, 서포트 프레임 (100) 에 대해서 지지 플레이트 (143) 를 개재하여 형성된 스테이 (142) 에 지승시킨 구성을 갖는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후단부측은, 스테이 (142) 및 지지 플레이트 (143) 를 개재하여 서포트 프레임 (100) 에 장착되어 있다.
후지지축부 (141) 는, 유닛 지지체 (44) 의 후면부 (44d) 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후지지축부 (141) 는, 후면부 (44d) 에 대해서, 핀상의 축체를, 전후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용접 등에 의해서 관통 고정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후지지축부 (141) 는, 유닛 지지체 (44) 와 일체의 부분으로서, 축심을 축심선 (O1) 에 일치시키고 있다. 요컨대, 후지지축부 (141) 는, 전지지축부 (131) 와 동축심 상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 (143) 는, 대략 직각 삼각 형상의 판상 부재이다. 지지 플레이트 (143) 는, 서포트 프레임 (100) 에 대해서, 직각 삼각 형상의 외형의 직각측을 전측으로 함과 함께 사변부를 전측 경사부 (113) 의 경사에 따르게 하고, 전측 경사부 (113) 의 하부의 좌측에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 (142) 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 판상의 부재를 대략「L」자상으로 굴곡 형성한 부재로서, 직각상의 각부를 이루는 면부로서, 긴 형상의 면부인 고정면부 (142a) 와 짧은 형상의 면부인 지지면부 (142b) 를 갖는다. 스테이 (142) 는, 고정면부 (142a) 를,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여 지지 플레이트 (143) 의 좌측에 중첩하고, 고정면부 (142a) 및 지지 플레이트 (143) 를 관통하는 볼트 (145) 및 볼트 (145) 의 나선 삽입을 받는 너트부 (146) 등에 의해서 전후 2 개 지점에서 지지 플레이트 (143) 에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 (142) 는, 고정면부 (142a) 의 전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굴곡된 지지면부 (142b) 를, 유닛 지지체 (44) 의 후면부 (44d) 와 평행상으로 하여, 후면부 (44d) 의 후측에 근접 대향시키고 있다. 지지면부 (142b) 에는, 후지지축부 (141) 를 관통시키는 지지공 (142c) 이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 (142) 는, 지지공 (142c) 에 대해서 여유가 있는 상태에서 후지지축부 (141) 를 관통시켜, 후지지축부 (141) 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후측 축지부 (130B) 는, 서포트 프레임 (100) 에 대해서, 지지 플레이트 (143) 를 개재하여, 스테이 (142) 에 의해서, 유닛 지지체 (44) 의 후부에 형성된 후지지축부 (141) 를 지승하고 있다. 이로써, 후측 축지부 (130B) 는, 분초부 (50) 에 대해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후측을 전측 축지부 (130A) 와 동축 상에 전후 방향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분초부 (50) 에 대해서 유닛 지지체 (44) 를 전후 방향의 축심선 (O1)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시킴으로써, 유닛 지지체 (44) 에 지지된 센서 유닛 (45) 을 좌우 요동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지지 구성에 있어서, 유닛 지지체 (44) 는, 전단부 및 후단부의 각각에, 전후의 각 축지부 (130) 에서 지지되는 지지축부로서, 전지지축부 (131) 및 후지지축부 (141) 를 갖는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전후 방향의 축 둘레의 회동에 대해서, 전측 축지부 (130A) 에 형성된 복귀 스프링 (147) 에 의해서, 소정의 중립 위치에 위치하도록 탄성적으로 위치 결정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 (147) 은, 이른바 토션 스프링으로서, 코일상의 부분의 양단측에 직선상의 연장부 (147a, 147b) 를 갖는다. 복귀 스프링 (147) 은, 그 코일상의 부분을, 전지지축부 (131) 의 확경상의 기부 (131b) 에 관통시켜, 양단의 연장부 (147a, 147b) 를 상방으로 연장시킨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부 (131b) 는, 전지지축부 (131) 중, 보스부 (132) 로부터 후측으로 노출된 부분으로서, 보스부 (132) 와 유닛 지지체 (44) 의 전면부 (44b) 사이에 위치한다.
한편, 유닛 지지체 (44) 에 있어서는, 전면부 (44b) 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걸림 핀 (148) 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걸림 핀 (148) 은, 전면부 (44b) 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반원상의 돌출부 (44g) 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전지지축부 (131) 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복귀 스프링 (147) 은, 걸림 핀 (148) 의 좌우 양측에 연장부 (147a, 147b) 를 위치시키고, 연장부 (147a, 147b) 에 의해서 걸림 핀 (148) 을 좌우 양측에서 탄성력을 갖고 협지하고 있다. 또, 복귀 스프링 (147) 은, 걸림 핀 (148) 의 상방에 위치하는 히치 (125) 의 하부의 좌우 양측에 연장부 (147a, 147b) 를 위치시키고, 연장부 (147a, 147b) 에 의해서 탄성력을 갖고 히치 (125) 를 협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를 축심선 (O1) 둘레로 회동시키는 소정의 크기 이상의 외력이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작용하면,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회동 방향에 따라서 걸림 핀 (148) 에 의해서 일방의 연장부 (147a, 147b) 를 밀음으로써, 복귀 스프링 (147)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회동한다. 그리고, 외력의 작용이 없어지면, 복귀 스프링 (147) 의 탄성력에 의해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가 중립 위치로 복귀한다.
또, 분초판 (21) 에 있어서는, 리브판부 (122) 의 하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가이드 봉 (124) 이 형성되어 있다. 2 개의 가이드 봉 (124) 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간의 간격을 전측으로부터 후측에 걸쳐서 서서히 넓히도록, 리브판부 (122) 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2 개의 가이드 봉 (124) 은, 예를 들어 콤바인 (1) 의 기체 전진시에 있어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가까워지려고 하는 잡초 등의 협잡물 등을 좌우의 측방으로 안내하여 후방으로 빠져 나가게 하기 위한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콤바인 (1) 에 있어서, 전측 축지부 (130A) 는, 분초 프레임 (34)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장치 본체 (41) 의 적어도 일부는, 분초 프레임 (34) 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전측 축지부 (130A) 의 후단부는, 유닛 지지체 (44) 의 전면부 (44b) 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전지지축부 (131) 의 기단부이다. 한편, 분초 프레임 (34) 의 전단부는, 선단 형성 부재 (128) 의 테이퍼부 (128a) 이고, 테이퍼부 (128a) 는, 전후 방향에 대해서, 유닛 지지체 (44) 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한다. 전후 방향에 대해서, 테이퍼부 (128a) 의 위치는, 장치 본체 (41) 의 후단부와 대략 동일한 위치이다. 이와 같이, 전측 축지부 (130A) 는, 분초 프레임 (34)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 유닛 지지체 (44) 는, 전후 방향에 대해서, 대략 전반부를, 분초 프레임 (34) 의 전단부인 테이퍼부 (128a) 보다 전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그리고, 유닛 지지체 (44) 에 지지된 센서 유닛 (45) 의 장치 본체 (41) 는, 전후 방향에 대해서, 대략 전체를, 유닛 지지체 (44) 의 대략 전반부의 범위 내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치 본체 (41) 는, 전후 방향의 대략 전체를, 분초 프레임 (34) 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분초부 (50) 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배치로 형성되어 있다. 분초부 (50) 에 있어서, 서포트 프레임 (100) 은, 히치 (125) 의 후방에, 전방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 프레임부인 전측 경사부 (113) 를 갖는다. 요컨대, 전측 경사부 (113) 는, 히치 (125) 의 후방 하향으로 경사진 프레임 부분이다. 그리고, 히치 (125) 및 전측 경사부 (113)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측을 볼록측으로 한 산형의 형태를 이룬다.
도 5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후방 상향상으로 경사진 히치 (125) 와, 전방 상향상으로 경사진 서포트 프레임 (100) 의 전측 경사부 (113) 에 의해서, 분초 프레임 (34) 의 선단부 근방을 정상부로 하는 개략 산형상의 부분이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후방 상향상으로 경사진 히치 (125) 의 상단부와, 전방 상향상으로 경사진 전측 경사부 (113) 의 상단부가, 분초 프레임 (34) 의 선단부를 개재하여 서로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히치 (125) 와 서포트 프레임 (100) 의 전측 경사부 (11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히치 (125) 및 전측 경사부 (113) 의 하측에는, 전후 방향에 대해서 히치 (125) 와 전측 경사부 (113) 에 의해서 협지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공간 내에,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가 배치되어 있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히치 (125) 및 전측 경사부 (113) 의 하측에 있어서, 유닛 지지체 (44) 의 전측에 대해서는 보스부 (132) 를 개재하여 히치 (125) 의 하단부에 지지되고, 유닛 지지체 (44) 의 후측에 대해서는 스테이 (142) 등을 개재하여 전측 경사부 (113) 의 하부에 지지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가설된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지 구성에 의하면, 전후 방향으로 연신된 유닛 지지체 (44) 와, 유닛 지지체 (44) 의 전단부 근방으로부터 후방 상향으로 경사진 히치 (125) 와, 유닛 지지체 (44) 의 후단부 근방으로부터 전방 상향으로 경사진 전측 경사부 (113) 에 의해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유닛 지지체 (44) 측을 저변측으로 한 대략 이등변 삼각 형상을 따르는 프레임 구조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있어서의 장치 본체 (41) 의 지지 구성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유닛 지지체 (44) 는, 전단부 및 후단부의 각각에, 전후 방향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장치 본체 (41) 의 적어도 일부와 중복되는 부분을 갖는다.
유닛 지지체 (44) 는, 전단부에 전면부 (44b) 를 갖고, 후단부에 후면부 (44d) 를 갖는다. 전면부 (44b) 는, 유닛 지지체 (44) 의 좌측면부 (44a) 의 전부와 대략 동일한 상하 폭을 갖고, 후면부 (44d) 는, 좌측면부 (44a) 의 후부와 대략 동일한 상하 폭을 갖는다. 장치 본체 (41) 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 (51)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좌측면부 (44a) 에 대해서 상하로 비어져 나온 크기를 갖는다 (도 9 참조).
또,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 지지체 (44) 는, 좌우 방향에 대해서, 전면부 (44b) 의 좌우 방향의 치수 D1 의 범위 내에, 케이스 (51) 의 전체를 위치시키고 있다. 또, 유닛 지지체 (44) 는, 좌우 방향에 대해서, 후면부 (44d) 의 좌우 방향의 치수 D2 의 범위 내에, 케이스 (51) 의 좌측 (도 10 에 있어서의 하측) 의 대부분을 위치시키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서, 유닛 지지체 (44) 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전면부 (44b) 의 대부분을 케이스 (51) 에 중첩시킨 상태에서, 케이스 (51) 를 전측으로부터 가리고 있다. 한편, 유닛 지지체 (44) 는, 배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후면부 (44d) 의 대략 전체를 케이스 (51) 에 중첩시킨 상태에서, 케이스 (51) 를 후측으로부터 가리고 있다. 또한, 유닛 지지체 (44) 는, 좌측면부 (44a) 에 의해서, 케이스 (51) 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를, 케이스 (51) 의 전후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좌방으로부터 가리고 있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동작)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콤바인 (1) 에 의한 통상 작업시, 요컨대 기체 전진 상태에서의 작업시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동작에 대해서, 도 13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통상 작업시에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있어서 검출용 전달 기구가 작용하여, 예취 높이의 검출이 행해진다. 즉, 예취 높이가 설정치에 유지되도록,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의한 예취 높이의 검출치에 기초하여, 예취 높이의 제어가 행해진다. 예취 높이의 검출은, 접지체 (42) 가 장치 본체 (41) 에 대한 회동 위치를 기준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한 상태에서 행해진다.
기체 전진시 (이하 간단히「전진시」라고 한다.) 에 있어서, 선단을 지면 (G1) 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하는 접지체 (42) 는, 접지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서, 장치 본체 (41) 의 케이스 (51) 에 대해서, 기준 위치로부터 후측 회동축 (62) 둘레로 후방으로 회동한다 (화살표 E1 참조). 접지체 (42) 는, 후측 회동축 (62) 과 일체적으로 제 2 축심 (P2) 둘레로 회동하고, 이로써, 후측 회동축 (62) 에 고정 설치된 구동 아암 (80) 이, 아암부 (82) 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회동한다 (화살표 E2 참조).
구동 아암 (80) 이 전방으로 회동함으로써, 구동 아암 (80) 의 검출용 핀 (83) 에 의해서 검출용 구동 기어 (76) 가 후측으로부터 밀리고, 검출용 구동 기어 (76) 가 후측 회동축 (62) 에 대해서 제 2 축심 (P2) 을 중심으로 하여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좌회전으로 상대 회동한다 (화살표 E3 참조). 이 검출용 구동 기어 (76) 의 회동에 수반하여, 검출용 구동 기어 (76) 에 맞물린 검출용 종동 기어 (77) 가, 중간 회동축 (70) 과 일체적으로 제 3 축심 (P3) 을 중심으로 하여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우회전으로 회동한다 (화살표 E4 참조). 이 중간 회동축 (70) 의 회동이 검출 센서 (43) 에 의해서 검출되고, 중간 회동축 (70) 의 회동량에 기초하여 예취 높이가 검출된다.
다음으로, 콤바인 (1) 의 기체 후진시 (이하「백시」라고 한다.) 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동작에 대해서, 도 11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백시에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있어서 케이스 회동용 전달 기구가 작용하여, 장치 본체 (41) 의 전측 고정축 (61) 둘레의 상방 회동이 행해진다. 장치 본체 (41) 의 상방 회동은, 접지체 (42) 가 장치 본체 (41) 에 대한 회동 위치를 기준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한 상태에서 행해진다.
백시에 있어서, 선단을 지면 (G1) 에 접촉시킨 접지체 (42) 는, 접지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서, 장치 본체 (41) 의 케이스 (51) 에 대해서, 기준 위치로부터 후측 회동축 (62) 둘레로 전방으로 회동한다 (화살표 F1 참조). 접지체 (42) 는, 후측 회동축 (62) 과 일체적으로 제 2 축심 (P2) 둘레로 회동하고, 이로써, 후측 회동축 (62) 에 고정 설치된 구동 아암 (80) 이, 아암부 (82) 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회동한다 (화살표 F2 참조).
구동 아암 (80) 이 후방으로 회동함으로써, 구동 아암 (80) 의 케이스 회동용 핀 (84) 에 의해서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가 전측으로부터 밀리고,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가 후측 회동축 (62) 에 대해서 제 2 축심 (P2) 을 중심으로 하여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우회전으로 상대 회동한다 (화살표 F3 참조). 이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의 회동에 수반하여,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에 맞물린 케이스 회동용 종동 기어 (87) 가, 중간 회동축 (70) 에 대해서 제 3 축심 (P3) 을 중심으로 하여 아암부 (87b) 를 내리는 방향으로 상대 회동한다 (화살표 F4 참조).
이 케이스 회동용 종동 기어 (87) 의 회동에 수반하여, 아암부 (87b) 에 고정된 지지 핀 (88) 이, 고정 플레이트 (57) 의 지지 아암부 (57a) 에 상측으로부터 가압 작용하여 하중을 전달한다 (화살표 F5 참조). 이로써, 장치 본체 (41) 가 전측 고정축 (61) 을 중심으로 하여 후측을 상승시키도록, 접지체 (42) 및 검출 센서 (43) 와 일체적으로 회동한다 (화살표 F6 참조). 이와 같이, 케이스 회동용 전달 기구는, 백시에 있어서 장치 본체 (41) 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빠져나가게 하는 릴리프 구조로서 기능한다.
다음으로, 백시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거동에 대해서, 도 18 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백시에 있어서, 접지체 (42) 가 접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기준 상태로 되고, 접지체 (42) 는 기준 위치에 위치한다 (도 18a 참조).
백시에 있어서 (화살표 T1 참조), 접지체 (42) 가 접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예취부 (5) 가 하강하고, 도 1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초판 (21) 의 하단의 지면 (G1) 으로부터의 높이인 분초판 높이가, 접지체 (42) 가 접지하는 소정의 높이 H0 보다 낮아짐으로써, 접지체 (42) 가 지면 (G1) 으로부터 접지 슬라이딩 저항을 받아 제 2 축심 (P2) 둘레로 전방으로 회동한다. 높이 H0 은, 예를 들어 약 60 ㎜ 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 2 축심 (P2) 은, 제 1 축심 (P1) 보다 미세하게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분초판 높이는, 예취 높이를 규정하는 지표의 하나이다.
도 18b 는, 분초판 높이가 높이 H0 보다 미세하게 낮은 높이 H1 로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접지체 (42) 는, 장치 본체 (41) 에 대해서 미세하게 전방으로 상대 회동하고 (화살표 J1 참조), 이것에 연동하여, 장치 본체 (41) 는, 기준 상태로부터 미세하게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화살표 K1 참조). 이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높이 H1 이 약 50 ㎜ 인 경우, 접지체 (42) 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회동 각도 α1 은 약 30°가 된다. 또, 장치 본체 (41) 의 기준 상태로부터의 회동 각도는 약 10°가 되고, 제 2 축심 (P2) 은, 제 1 축심 (P1) 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도 18c 는, 분초판 높이가 높이 H1 보다 낮은 높이 H2 로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접지체 (42) 는, 장치 본체 (41) 에 대해서 더욱 전방으로 상대 회동하고 (화살표 J2 참조), 이것에 연동하여, 장치 본체 (41) 는, 더욱 상방으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화살표 K2 참조). 이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높이 H2 가 약 28 ㎜ 인 경우, 접지체 (42) 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회동 각도 α2 는 약 60°가 된다. 또, 장치 본체 (41) 의 기준 상태로부터의 회동 각도는 약 25°가 되고, 제 2 축심 (P2) 은, 제 1 축심 (P1)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도 18d 는, 분초판 높이가 0 의 상태, 요컨대 분초판 (21) 의 하단이 지면 (G1) 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접지체 (42) 는, 장치 본체 (41) 에 대해서 더욱 전방으로 상대 회동하고 (화살표 J3 참조), 장치 본체 (41) 는, 더욱 상방으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화살표 K3 참조). 이 상태에 있어서, 접지체 (42) 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회동 각도 α3 은 약 90°가 된다. 또, 장치 본체 (41) 의 회동 각도는 약 37.5°가 되고, 제 2 축심 (P2) 은, 제 1 축심 (P1) 보다 더욱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계속해서, 백시에 장치 본체 (41) 가 상방 회동에 의해서 빠져나간 상태로부터, 분초판 높이가 0 의 상태인 채 전진했을 경우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거동에 대해서, 도 19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9a 는, 백시에 있어서의 분초판 높이가 0 의 상태, 요컨대 도 18d 와 동일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a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분초판 높이 0 을 유지한 상태에서 기체가 전진하기 시작하면 (화살표 T2 참조), 도 1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체 (42) 가 접지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서 장치 본체 (41) 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후방 회동함과 함께 (화살표 L1 참조), 장치 본체 (41) 도 상방으로 회동한다 (화살표 M1 참조). 도 19b 에 나타내는 상태는, 장치 본체 (41) 가 가장 상방으로 회동한 상태로서, 이 상태에 있어서, 접지체 (42) 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회동 각도 α4 는 약 60°가 된다. 요컨대, 접지체 (42) 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회동 각도가 약 60°에서, 지면 (G1) 으로부터의 장치 본체 (41) 의 밀어 올림량이 최대로 된다.
또한, 케이스 회동용 전달 기구에 의한 장치 본체 (41) 에 대한 접지체 (42) 의 전방 회동의 위치에 대응한 장치 본체 (41) 의 상방 회동의 위치보다 더욱 상방으로의 장치 본체 (41) 의 회동은, 케이스 복귀 스프링 (56) 의 탄성력에 저항한 회동이 된다. 또, 장치 본체 (41) 의 상방 회동에 대해서는, 히치 (125) 의 상부 돌출부 (125a) 의 하측의 오목상의 각부 (125e) 의 근방 부분이 장치 본체 (41) 에 대한 스토퍼가 된다.
도 19b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더욱 기체가 전진하면, 도 19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체 (42) 가 밀려 더욱 후방으로 회동하는 한편으로 (화살표 L2 참조), 장치 본체 (41) 는, 접지체 (42) 의 선단의 위치에 따라서 하방으로 회동한다 (화살표 M2 참조). 도 19c 는, 접지체 (42) 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회동 각도 α5 가 30°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장치 본체 (41) 의 기준 상태로부터의 회동 각도는 약 38°가 된다.
도 19c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더욱 기체가 전진하면, 도 19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 (41) 가 더욱 하방으로 회동함과 함께 (화살표 M3 참조), 접지체 (42) 는 기준 위치로 돌아온다 (화살표 L3 참조). 이와 같이 전진시에 있어서 접지체 (42) 가 기준 위치로 돌아오는 동작은, 주로 장치 본체 (41) 내의 기구의 작용은 아니고 지면 (G1) 으로부터의 반력 (접지 슬라이딩 저항) 의 작용에 의해서 행해진다.
다음으로, 콤바인 (1) 이 정지되어 있는 기체 정지 상태에 있어서, 예취부 (5) 를 내렸을 때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동작에 대해서, 도 20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0a 는, 기체 정지시에 있어서, 접지체 (42) 가 접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기준 상태가 되고, 접지체 (42) 는 기준 위치에 위치한다.
도 20a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분초판 높이가 0 이 되도록 예취부 (5) 가 내려감으로써 (화살표 U1 참조), 도 2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접지체 (42) 를 접지시킴으로써, 지면 (G1) 으로부터의 반력 (접지 반력) 에 의해서 장치 본체 (41) 를 상승시키도록 제 1 축심 (P1) 둘레로 회동시킨다 (화살표 N1 참조). 여기에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접지체 (42) 를 장치 본체 (41) 에 대해서 상대 회동시키지 않고, 접지체 (42) 의 기준 위치를 유지한 상태인 채, 장치 본체 (41) 를 회동시킨다. 기준 상태로부터의 장치 본체 (41) 의 회동 각도 β1 은, 예를 들어 약 27°이다.
다음으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가 횡방향의 외력을 받았을 경우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거동에 대해서, 도 21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가, 유닛 지지체 (44) 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접지체 (42) 에 있어서 횡방향으로부터의 외력을 받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접지체 (42) 가 접지된 상태에서 기체의 조향 조작이 행해진 경우 등에 있어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횡방향의 외력이 작용한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횡방향의 외력이 작용했을 경우,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전후의 축지부 (130) 에 의해서, 전후 방향의 축심선 (O1) 둘레로 회동하여 빠져나가게 된다. 도 21a 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횡방향의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고, 축심선 (O1) 둘레에 대해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가 중립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a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대해서 좌방 (도 21a 에 있어서의 우측) 으로부터 외력이 작용하면, 도 2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축심선 (O1) 을 중심으로 하여, 접지체 (42) 를 우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회동한다 (화살표 Q1 참조). 도 21b 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가 중립 위치로부터 축심선 (O1) 둘레로 좌측으로 각도 γ1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b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각도 γ1 은 약 45°이다.
한편, 도 21a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대해서 우방 (도 21a 에 있어서의 좌방) 으로부터 외력이 작용하면, 도 21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축심선 (O1) 을 중심으로 하여, 접지체 (42) 를 좌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회동한다 (화살표 Q2 참조). 도 21c 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가 중립 위치로부터 축심선 (O1) 둘레로 우측으로 각도 γ2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c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각도 γ2 는 약 70°이다.
도 21b 나 도 21c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횡방향의 외력의 작용이 없어지면, 복귀 스프링 (147) 및 걸림 핀 (148) 에 의한 탄성 지지 구조에 의해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소정의 중립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이러한 전후 방향의 축심선 (O1) 둘레의 횡방향의 회동 (좌우 회동) 은, 접지체 (42) 에 대해서 전후 방향의 힘이 작용하는 것에 의한 접지체 (42) 및 장치 본체 (41) 의 회동과 독립한 동작으로서 행해진다. 요컨대,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축심선 (O1) 둘레의 좌우 회동과, 제 1 축심 (P1) 둘레의 장치 본체 (41) 의 회동 및 제 2 축심 (P2) 회전의 접지체 (42) 의 회동은,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작용하는 외력에 따라서 동시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 (1) 에 의하면, 예취부 (5) 에 의한 예취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 지면 (G1) 이나 그루터기로부터 접지체 (42) 에 작용하는 힘에서 기인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양호한 정밀도로 예취 높이를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의하면, 통상 주행시에 있어서, 접지체 (42) 의 후방 회동에 의해서 예취 높이가 검출되기 때문에, 장치 본체 (41) 가 항상 상하 회동하는 상황을 잘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장치 본체 (41) 가 잘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장치 본체 (41) 가 상하 회동하는 상황이 잘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치 본체 (41) 와 분초판 (21) 이나 히치 (125) 등의 사이에 진흙 등이 차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접지체 (42) 에 지면 (G1) 이나 그루터기로부터 받는 힘이 과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접지체 (42) 의 파손 등의 문제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예를 들어 전진시에 있어서, 후측 회동축 (62) 둘레의 접지체 (42) 의 후방 회동을 규제하지 않고, 그 접지체 (42) 의 회동에 기초하여, 중간 회동축 (70) 의 회동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 (43) 에 의해서 예취 높이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양호한 정밀도로 예취 높이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예취 높이의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접지체 (42) 의 장치 본체 (41) 에 대한 상대 회동에 대해서, 접지체 (42) 의 기준 위치로부터 후방으로의 회동량을 검출 센서 (43) 에 의해서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전진시에 있어서, 접지 슬라이딩 저항에 의한 접지체 (42) 의 후방 회동에 의해서, 검출 센서 (43) 에 의한 예취 높이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이로써, 접지체 (42) 에 지면 (G1) 이나 그루터기로부터 과대한 힘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접지체 (42) 의 파손 등의 문제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있어서는, 접지체 (42) 는, 기준 위치로부터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전측 고정축 (61) 둘레의 회동을 정지시킨 상태의 장치 본체 (41) 에 대해서 후측 회동축 (62) 둘레로 회동한다. 요컨대,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접지체 (42) 가 기준 위치로부터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장치 본체 (41) 는 회동하지 않고 접지체 (42) 만이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전진시에 있어서 장치 본체 (41) 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접지체 (42) 의 파손 등의 문제를 억제하면서, 접지체 (42) 의 회동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예취 높이를 양호한 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접지체 (42) 가 기준 위치로부터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장치 본체 (41) 가 접지체 (42) 의 회동에 연동하여 전측 고정축 (61) 둘레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백시에 있어서 접지체 (42) 를 개재하여 장치 본체 (41) 를 강제적으로 상방으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본체 (41) 나 접지체 (42) 에 대해서 파손을 발생시키게 할 수 있는 과대한 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백시에 있어서는, 접지체 (42) 는, 접지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서, 전방 회동 방향의 작용을 받지만, 접지체 (42) 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전방 회동에 수반하여, 장치 본체 (41) 가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기 때문에, 접지체 (42) 가 과부하 상태로 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장치 본체 (41) 나 접지체 (42) 의 파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접지체 (42) 의 후방 회동을 검출 센서 (43) 에 검출시키기 위한 검출용 전달 기구에 있어서, 접지체 (42) 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후측 회동축 (62) 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검출용 구동 기어 (76) 와, 검출 센서 (43) 에 대한 입력축이 되는 중간 회동축 (70) 에 고정된 검출용 종동 기어 (77) 를 갖는다. 그리고, 이들 기어를 개재하여 후측 회동축 (62) 의 회동이 중간 회동축 (70) 에 전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지체 (42) 의 회동을 확실하게 검출 센서 (43) 에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접지체 (42) 의 회동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예취 높이를 양호한 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검출용 전달 기구에 있어서, 구동 아암 (80) 을 갖고, 구동 아암 (80) 에, 검출용 구동 기어 (76) 를 회동시키는 검출용 핀 (83) 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검출용 전달 기구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음과 함께, 접지체 (42) 의 회동을 확실하게 검출 센서 (43) 에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져, 예취 높이를 양호한 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접지체 (42) 의 전방 회동에 연동하여 장치 본체 (41) 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케이스 회동용 전달 기구에 있어서, 후측 회동축 (62) 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와, 중간 회동축 (70) 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케이스 회동용 종동 기어 (87) 와, 전측 고정축 (61) 에 고정된 고정 플레이트 (57) 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심플한 구성에 의해서 케이스 회동용 전달 기구를 실현할 수 있고, 백시에 있어서 장치 본체 (41) 를 상방으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본체 (41) 의 파손 등의 문제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케이스 회동용 전달 기구에 있어서, 구동 아암 (80) 에,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를 회동시키는 케이스 회동용 핀 (84) 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케이스 회동용 전달 기구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음과 함께, 접지체 (42) 의 회동을 확실하게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에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져, 장치 본체 (41) 를 상방으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고정 나사 (59) 의 조작에 의한 유닛 지지체 (44) 에 대한 전측 고정축 (61) 의 위치 조정 기구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케이스 복귀 스프링 (56) 및 걸림 돌기 (53b) 에 의한 유닛 지지체 (44) 에 대한 장치 본체 (41) 의 위치 결정 구조에 있어서, 장치 본체 (41) 내에 있어서의 기어끼리의 맞물림 위치에 따라서, 구동 아암 (80) 의 검출용 핀 (83) 및 케이스 회동용 핀 (84) 과, 검출용 구동 기어 (76) 및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각각의 사이의 덜컥거림을 없애도록 이것들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검출 센서 (43) 에 의한 예취 높이의 검출에 있어서 예취 높이를 양호한 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 (1) 에 의하면, 예취부 (5) 에 의한 예취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는 것에서 기인하여 지지부에 있어서 발생되는 파손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어, 양호한 정밀도로 예취 높이를 검출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센서 유닛에 있어서, 제 1 회전축을 개재하여 유닛 본체의 장착을 받는 브래킷은, 분초부의 커버 지지 부재에 장착된 전방 경사 형상의 회동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요컨대, 유닛 본체는, 분초체의 커버 지지 부재에 대해서, 브래킷과 함께, 전방 경사 형상의 회동축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센서 유닛의 지지 구성은, 센서 유닛을 그 전측에 위치하는 분초부에 대해서 브래킷 등을 개재하여 지지함으로써, 캔틸레버 지지의 양태로 센서 유닛을 지지한다. 이 때문에, 센서 유닛의 지지부에 있어서 충분한 지지 강도를 얻기가 곤란하고, 예를 들어 유닛 본체에 대해서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센서 유닛의 지지부에 있어서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예취부에 의한 예취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는 것에서 기인하여 지지부에 있어서 발생되는 파손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어, 양호한 정밀도로 예취 높이를 검출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분초부 (50) 에 대해서, 전후 양측을 축지부 (130) 로 하여 전후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접지체 (42) 가 접지된 상태에서 기체의 조향 조작이 행해졌을 때 등에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횡방향의 외력이 작용했을 경우,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를 축심선 (O1) 둘레로 롤링 회동시켜 빠져나가게 할 수 있어, 외력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이로써,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를 분초부 (50) 에 대해서 안정적인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어, 주로 횡방향의 입력에 대해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파손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를 전후 양측에서 지지함으로써, 충분한 지지 강도를 용이하게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초부 (50) 는, 히치 (125) 를 개재하여 분초판 (21) 을 지지하는 분초 프레임 (34) 과, 분초 프레임 (34) 에 고정된 서포트 프레임 (100) 을 포함한다. 그리고,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전후의 축지부 (130) 중, 전측 축지부 (130A) 는, 분초판 (21) 의 후측에 형성되고, 후측 축지부 (130B) 는, 서포트 프레임 (100) 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전측을 분초판 (21) 에 의해서 가드할 수 있다. 이로써,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안정적인 동작을 확보할 수 있어, 양호한 정밀도로 예취 높이를 검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유닛 지지체 (44) 를 구비하고, 전측 축지부 (130A) 는, 보스부 (132) 와 유닛 지지체 (44) 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보스부 (132) 에 지지된 전지지축부 (131) 를 갖고, 후측 축지부 (130B) 는, 서포트 프레임 (100) 에 대해서 형성된 스테이 (142) 와 유닛 지지체 (44) 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스테이 (142) 에 지지된 후지지축부 (141) 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전후의 축지부 (130) 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안정적으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를 전후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대한 횡방향의 입력에 대해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파손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측 축지부 (130A) 는, 분초 프레임 (34)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장치 본체 (41) 의 대략 전체는, 분초 프레임 (34) 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센서 유닛 (45) 을 전방에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취 높이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예취 높이는, 센서 유닛 (45) 의 접지체 (42) 의 회동 동작에 기초하여, 분초판 (21) 의 높이로서 검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센서 유닛 (45) 이 전방의 분초판 (21) 에 가까워짐으로써, 접지체 (42) 의 동작을 분초판 (21) 의 높이 위치로 하여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초부 (50) 는, 분초판 (21) 을 분초 프레임 (34) 에 지지하는 히치 (125) 를 포함하고, 전측 축지부 (130A) 는, 히치 (125) 에 대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히치 (125) 에 대한 분초판 (21) 의 장착 각도에 관계없이, 전측 축지부 (130A) 에 의한 지지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지지 구성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산형의 형태를 이루는 히치 (125) 와 서포트 프레임 (100) 의 전측 경사부 (113) 사이에,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히치 (125) 와 서포트 프레임 (100) 의 전측 경사부 (113) 에 의해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를 전후로부터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센서 유닛 (45) 에 대해서, 베어 낸 곡간이나 협잡물 등이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안정적인 동작을 확보할 수 있어, 양호한 검출 정밀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닛 지지체 (44) 는, 전단부 및 후단부의 각각에, 전후 방향의 축심선 (O1) 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장치 본체 (41) 와 중복되는 부분으로서, 전면부 (44b) 및 후면부 (44d) 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닛 지지체 (44) 의 전면부 (44b) 와 후면부 (44d) 에 의해서 장치 본체 (41) 를 전후로부터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본체 (41) 에 대해서, 베어 낸 곡간이나 협잡물 등이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안정적인 동작을 확보할 수 있어, 양호한 검출 정밀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실시형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및 그 지지 구성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22 내지 도 30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거나 또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주로 장치 본체 (41) 의 내부 기구의 관점, 및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지지 구성의 관점에 대해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제 1 실시형태와의 대비에 있어서, 접지체 (42) 의 후방 회동을 검출 센서 (43) 에 검출시키기 위한 검출용 전달 기구만을 갖고, 접지체 (42) 의 기준 위치로부터 전방으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장치 본체 (41) 를 상방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케이스 회동용 전달 기구를 생략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있어서, 구동 아암 (80) 에는 케이스 회동용 핀 (84) 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후측 회동축 (62) 에는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86) 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중간 회동축 (70) 에는 케이스 회동용 종동 기어 (87) 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치 본체 (41) 에 있어서 케이스 회동용 전달 기구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접지체 (42) 의 위치 결정을 위한 구성이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접지체 (42) 의 위치 결정을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지체 (42) 는, 제 1 접지체 복귀 스프링 (221) 과, 제 2 접지체 복귀 스프링 (222) 에 의해서, 후측 회동축 (62) 둘레의 회동에 대해서, 외력의 작용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의 기준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지체 (42) 는, 후측 회동축 (62) 둘레의 회동에 대해서, 제 1 접지체 복귀 스프링 (221) 에 의해서, 구동 아암 (80) 을 개재하여, 후방 회동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또, 접지체 (42) 는, 제 2 접지체 복귀 스프링 (222) 에 의해서, 검출용 종동 기어 (77), 검출용 구동 기어 (76), 및 구동 아암 (80) 을 개재하여, 전방 회동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아암 (80) 의 기부 (81) 는, 아암부 (82) 와 일체적인 판상의 부분으로 되어 있다.
제 1 접지체 복귀 스프링 (221) 은, 이른바 토션 스프링으로서, 코일상의 부분의 양단측에 연장부 (221a, 221b) 를 갖는다. 제 1 접지체 복귀 스프링 (221) 은, 검출용 구동 기어 (76) 의 우측에 위치하고, 코일상의 부분에 부시 (223) 를 개재하여 후측 회동축 (62) 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지체 복귀 스프링 (221) 은, 코일상의 부분의 우측에 위치하는 일방의 연장부 (221a) 를, 하측 후방으로 연장시켜 우측 케이스체 (52) 의 후방 하측의 고정 볼트 (55) 가 나선 삽입되는 보스부 (52f) 의 상측에 맞닿게 함과 함께, 코일상의 부분의 좌측에 위치하는 타방의 연장부 (221b) 를, 구동 아암 (80) 에 걸리게 하고 있다. 타방의 연장부 (221b) 는, 구동 아암 (80) 의 검출용 핀 (83) 에 대해서 하측으로부터 맞닿음으로써, 구동 아암 (80) 에 걸려 있다.
제 1 접지체 복귀 스프링 (221) 은, 연장부 (221a, 221b) 끼리를 이간시키는 방향의 탄성력에 의해서, 구동 아암 (80) 에 대해서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좌회전으로 회동하는 힘을 작용시킨다. 이로써, 접지체 (42) 가, 구동 아암 (80) 이 고정 설치된 후측 회동축 (62) 을 개재하여 후방으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한편, 제 2 접지체 복귀 스프링 (222) 은, 이른바 토션 스프링으로서, 코일상의 부분의 양단측에 연장부 (222a, 222b) 를 갖는다. 제 2 접지체 복귀 스프링 (222) 은, 검출용 종동 기어 (77) 의 우측에 위치하고, 코일상의 부분을 보스부 (52d) 에 대해서 외감시키고, 중간 회동축 (70) 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제 2 접지체 복귀 스프링 (222) 은, 코일상의 부분의 우측에 위치하는 일방의 연장부 (221a) 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우측 케이스체 (52) 의 후방 상측의 고정 볼트 (55) 가 나선 삽입되는 보스부 (52g) 의 전측에 맞닿게 함과 함께, 코일상의 부분의 좌측에 위치하는 타방의 연장부 (221b) 를, 검출용 종동 기어 (77) 에 걸리게 하고 있다. 타방의 연장부 (222b) 는, 선단부를 좌방을 향하여 굴곡시켜, 검출용 종동 기어 (77) 의 전측에 있어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예각상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 볼록부 (77b) 에 대해서 상측으로부터 맞닿게 함으로써, 검출용 종동 기어 (77) 에 걸려 있다.
제 2 접지체 복귀 스프링 (222) 은, 연장부 (222a, 222b) 끼리를 이간시키는 방향의 탄성력에 의해서, 검출용 종동 기어 (77) 에 대해서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좌회전으로 회동하는 힘을 작용시키고, 검출용 종동 기어 (77) 에 맞물린 검출용 구동 기어 (76) 로부터 검출용 핀 (83) 에 의해서 구동 아암 (80) 에 대해서 아암부 (82) 를 후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작용시킨다. 이로써, 접지체 (42) 가, 구동 아암 (80) 이 고정 설치된 후측 회동축 (62) 을 개재하여 전방으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이와 같이, 제 1 접지체 복귀 스프링 (221) 에 의한 접지체 (42) 에 대한 후방 회동 방향으로의 탄성력과, 제 2 접지체 복귀 스프링 (222) 에 의한 접지체 (42) 에 대한 전방 회동 방향으로의 탄성력이, 서로 항력이 된다. 제 2 접지체 복귀 스프링 (222) 에 의한 접지체 (42) 의 전방 회동 방향으로의 탄성력이, 제 1 접지체 복귀 스프링 (221) 에 의한 접지체 (42) 의 후방 회동 방향으로의 탄성력보다 항상 커지도록, 양 스프링의 탄성력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케이스체 (52) 의 후부에는, 검출용 구동 기어 (76) 의 후측의 위치에, 검출용 구동 기어 (76) 의 후측의 단면 (76d) 의 맞닿음을 받는 걸림면 (52s) 을 이루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검출용 구동 기어 (76) 의 후측의 단면 (76d) 이 걸림면 (52s) 에 맞닿음으로써, 검출용 구동 기어 (76) 의 후측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2 접지체 복귀 스프링 (222) 에 의한 접지체 (42) 의 전방 회동 방향으로의 탄성력에 의해서 검출용 구동 기어 (76) 가 단면 (76d) 을 걸림면 (52s) 에 맞닿게 함으로써 우측 케이스체 (52) 에 걸리고, 제 1 접지체 복귀 스프링 (221) 의 탄성력에 의해서 후방 회동하려고 하는 접지체 (42) 의 회동이 정지 상태로 되어, 기준 상태에 있어서의 접지체 (42) 의 회동이 규제된다. 또한, 접지체 (42) 를 기준 위치에서 위치 결정시키기 위한 구성은, 상기와 같이 서로 항력이 되는 제 1 접지체 복귀 스프링 (221) 및 제 2 접지체 복귀 스프링 (222) 각각의 탄성력 (토크) 의 설정에 의해서, 접지체 (42) 를 기준 위치에서 위치 결정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 복귀 스프링 (56) 및 고정 플레이트 (57) 에 의한 센서 유닛 (45) 의 유닛 지지체 (44) 에 대한 제 1 축심 (P1) 둘레의 하방 회동 방향에 대한 탄성 지지 구조에 관하여, 센서 유닛 (45) 의 하방으로의 회동을 기준 상태의 위치에서 규제하기 위한 구성이,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림 돌기 (53b) 대신에, 케이스 (51) 에 형성된 케이스 스토퍼 볼트 (210) 에 의해서, 센서 유닛 (45) 의 하방으로의 회동이 기준 상태의 위치에서 규제되고 있다.
케이스 스토퍼 볼트 (210) 는, 좌측 케이스체 (53) 의 상측 가장자리부의 전후 중간부에 좌방으로부터 나선 삽입되어 있고, 헤드부를 좌측 케이스체 (53) 로부터 좌방을 향하여 돌출시키고 있다. 케이스 스토퍼 볼트 (210) 는, 4 개의 고정 볼트 (55) 중 상전 (上前) 에 위치하는 고정 볼트 (55) 의 후측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기준 상태에 있어서, 센서 유닛 (45) 은, 케이스 스토퍼 볼트 (210) 의 헤드부를 유닛 지지체 (44) 의 좌측면부 (44a) 의 상측 가장자리에 맞닿게 함으로써, 유닛 지지체 (44) 에 대한 하방으로의 상대 회동을 불가능하게 하고 있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지지 구성)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지지 구성은, 주로 전측 축지부 (130A) 및 후측 축지부 (130B) 의 구성의 관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측 축지부 (130A) 및 후측 축지부 (130B) 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측 축지부 (130A) 는, 분초판 (21) 의 후측에 형성된 전지지부인 스테이 (242) 와, 유닛 지지체 (44) 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스테이 (242) 에 지지된 전지지축부 (231) 를 갖는다. 전측 축지부 (130A) 는, 유닛 지지체 (44) 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전지지축부 (231) 를, 분초판 (21) 의 리브판부 (122) 에 대해서 스테이 (242) 에 지승시킨 구성을 갖는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전단부측은, 스테이 (242) 를 개재하여 분초판 (21) 에 장착되어 있다.
전지지축부 (231) 는, 유닛 지지체 (44) 의 전면부 (44b) 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전지지축부 (231) 는, 전면부 (44b) 에 대해서, 핀상의 축체를, 전후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용접 등에 의해서 관통 고정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전지지축부 (231) 는, 유닛 지지체 (44) 와 일체의 부분으로서, 축심을 축심선 (O1) 에 일치시키고 있다.
스테이 (242) 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 판상의 부재를 대략「L」자상으로 굴곡 형성한 부재이고, 직각상의 각부를 이루는 면부로 하여, 긴 형상의 면부인 고정면부 (242a) 와, 짧은 형상의 면부인 지지면부 (242b) 를 갖는다. 스테이 (242) 는, 고정면부 (242a) 를,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여 리브판부 (122) 의 하부의 우측에 중첩하고, 고정면부 (242a) 및 리브판부 (122) 를 관통하는 볼트 (245) 및 볼트 (245) 의 나선 삽입을 받는 너트 (246) 등에 의해서 전후 2 개 지점에서 리브판부 (122) 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 (242) 는, 고정면부 (142a) 의 후측으로부터 좌방을 향하여 굴곡된 지지면부 (242b) 를, 유닛 지지체 (44) 의 전면부 (44b) 와 평행상으로 하여, 전면부 (44b) 의 전측에 대향시키고 있다. 지지면부 (242b) 에는, 전지지축부 (231) 를 관통시키는 지지공 (242c) 이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 (242) 는, 지지공 (242c) 에 대해서 여유가 있는 상태에서 전지지축부 (231) 를 관통시켜, 전지지축부 (231) 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전지지축부 (231) 는, 유닛 지지체 (44) 의 전면부 (44b) 와 스테이 (242) 의 지지면부 (242b) 사이의 부분을 확경상의 기부 (231a) 로 하고 있고, 이 기부 (231a) 에, 복귀 스프링 (147) 이 외감 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측 축지부 (130B) 는, 서포트 프레임 (100) 에 형성된 후지지부인 보스부 (232) 와, 유닛 지지체 (44) 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보스부 (232) 에 지지된 후지지축부 (241) 를 갖는다. 후측 축지부 (130B) 는, 유닛 지지체 (44) 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후지지축부 (241) 를, 서포트 프레임 (100) 에 대해서 지지 플레이트 (143) 및 스테이 (142) 를 개재하여 형성된 보스부 (232) 에 지승시킨 구성을 갖는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후단부측은, 보스부 (232), 스테이 (142), 및 지지 플레이트 (143) 를 개재하여 서포트 프레임 (100) 에 장착되어 있다.
후지지축부 (241) 는, 유닛 지지체 (44) 의 후면부 (44d) 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후지지축부 (241) 는, 후면부 (44d) 에 대해서, 핀상의 축체를, 전후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용접 등에 의해서 관통 고정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후지지축부 (241) 는, 유닛 지지체 (44) 와 일체의 부분으로서, 축심을 축심선 (O1) 에 일치시키고 있다. 요컨대, 후지지축부 (241) 는, 전지지축부 (231) 와 동축심 상에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 (142) 에 있어서, 유닛 지지체 (44) 의 후면부 (44d) 의 후측에 대향한 지지면부 (142b) 에는, 후지지축부 (241) 를 관통시키는 지지공 (142c) 이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 (142) 는, 지지공 (142c) 에 대해서 여유가 있는 상태에서 후지지축부 (241) 를 관통시켜, 후지지축부 (241) 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보스부 (232) 는,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상의 내주면 (232a) 에 의해서 축 지지 공간 (232b) 을 이루는 중공 원통상의 부분으로서, 전측을 개구측으로 함과 함께, 후측을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의 테이퍼부 (232c) 로 하고 있다. 보스부 (232) 는, 원통상의 부재를 유닛 지지체 (44) 의 후면부 (44d) 의 후측에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 (232) 는, 그 외경을 후면부 (44d) 의 외형보다 작게 하고, 축심선 (O1) 을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후면부 (44d) 의 외형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 (232) 에 대해서, 후지지축부 (241) 가, 그 후부를 축 지지 공간 (232b) 내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후지지축부 (241) 는, 보스부 (232) 의 내주면 (232a) 과의 사이에, 후지지축부 (241) 를 관통시킨 부재로서, 베어링 부재로서의 원통상의 부시 (234), 및 그 전측에 형성된 O 링 (236) 을 개재시키고 있다.
후지지축부 (241) 는, 보스부 (232) 에 대해서, 보스부 (232) 의 외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나선 삽입된 고정 나사 (237) 및 로크 너트 (238) 에 의해서 빠짐 방지되어 있다. 로크 너트 (238) 는, 보스부 (232) 의 외주면에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고정 나사 (237) 는, 로크 너트 (238) 에 나선 삽입됨과 함께, 보스부 (232) 의 주벽을 관통하여, 후지지축부 (241) 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고정 나사 (237) 는, 그 선단부를, 후지지축부 (241) 의 부시 (234) 보다 후측의 부분에 부분적인 축경부에 의해서 형성된 외주 홈 (241a)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후지지축부 (241) 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이와 같이, 후측 축지부 (130B) 는, 서포트 프레임 (100) 에 대해서, 지지 플레이트 (143) 및 스테이 (142) 를 개재하여, 보스부 (232) 에 의해서, 유닛 지지체 (44) 의 후부에 형성된 후지지축부 (241) 를 지승하고 있다. 이로써, 후측 축지부 (130B) 는, 분초부 (50) 에 대해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후측을 전측 축지부 (130A) 와 동축 상에 전후 방향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분초부 (50) 에 대해서 유닛 지지체 (44) 를 전후 방향의 축심선 (O1)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시킴으로써, 유닛 지지체 (44) 에 지지된 센서 유닛 (45) 을 좌우 요동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지지 구성에 있어서, 유닛 지지체 (44) 는, 전단부 및 후단부의 각각에, 전후의 각 축지부 (130) 에서 지지되는 지지축부로서, 전지지축부 (231) 및 후지지축부 (241) 를 갖는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동작)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콤바인 (1) 에 의한 통상 작업시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있어서 검출용 전달 기구가 작용하고, 예취 높이의 검출이 행해진다. 즉,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진시에 있어서, 접지체 (42) 는, 접지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서, 후측 회동축 (62) 과 일체적으로 제 2 축심 (P2) 둘레로 후방 회동하고 (화살표 S1 참조), 후측 회동축 (62) 에 고정 설치된 구동 아암 (80) 이, 아암부 (82) 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회동한다. 이로써, 검출용 구동 기어 (76) 가 검출용 핀 (83) 에 의해서 밀려 후측 회동축 (62) 에 대해서 제 2 축심 (P2) 을 중심으로 하여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좌회전으로 상대 회동하고, 검출용 구동 기어 (76) 에 맞물린 검출용 종동 기어 (77) 가, 중간 회동축 (70) 과 일체적으로 제 3 축심 (P3) 을 중심으로 하여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우회전으로 회동한다. 이 중간 회동축 (70) 의 회동이 검출 센서 (43) 에 의해서 검출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케이스 회동용 전달 기구를 구비하지 않은 점에서, 콤바인 (1) 의 백시에는, 장치 본체 (41) 내의 기어의 동작을 수반하지 않고, 접지체 (42) 및 이것과 일체인 부분만이 회동한다. 즉,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시에 있어서, 접지체 (42) 는, 접지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서, 장치 본체 (41) 의 케이스 (51) 에 대해서, 기준 위치로부터 후측 회동축 (62) 둘레로 전방으로 회동한다 (화살표 S2 참조). 접지체 (42) 는, 후측 회동축 (62) 과 일체적으로 제 2 축심 (P2) 둘레로 회동하고, 이로써, 후측 회동축 (62) 에 고정 설치된 구동 아암 (80) 이, 아암부 (82) 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회동한다 (화살표 S3 참조). 여기에서, 접지체 (42) 는, 제 1 접지체 복귀 스프링 (221) 의 탄성력에 저항하고 전방 회동한다. 또한, 접지체 (42) 는, 예를 들어 기준 위치보다 후측의 회동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전방으로 회동하는 경우, 지면 (G1) 으로부터의 반력을 받아 장치 본체 (41) 를 상승시키도록 제 1 축심 (P1) 둘레로 회동시켜, 장치 본체 (41) 의 하측을 지나가듯이 하여 전방으로 회동한다. 도 25 에 있어서는, 접지체 (42) 의 전방 회동에 대해서, 회동 각도가 약 85°이고, 케이스 (51) 에 맞닿은 상태가 되는 최대 회동 상태의 접지체 (42) 및 구동 아암 (80) 을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다른 거동에 대해서, 도 30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0a 는, 기체 정지시에 있어서, 접지체 (42) 가 접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기준 상태이며, 접지체 (42) 는 기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30a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분초판 높이가 0 이 되도록 예취부 (5) 가 내려감으로써 (화살표 U1 참조), 도 3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접지체 (42) 를 접지시킴으로써, 지면 (G1) 으로부터의 반력 (접지 반력) 에 의해서 장치 본체 (41) 를 상승시키도록 제 1 축심 (P1) 둘레로 회동시킨다 (화살표 V1 참조). 이 제 1 축심 (P1) 둘레의 장치 본체 (41) 의 회동에 수반하여,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접지 반력에 의해서 접지체 (42) 를 장치 본체 (41) 에 대해서 전방 회동시킨다 (화살표 W1 참조). 여기에서, 기준 상태로부터의 장치 본체 (41) 의 회동 각도는, 예를 들어 약 55°이고, 접지체 (42) 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회동 각도는 예를 들어 약 10°이다.
도 30b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분초판 높이 0 을 유지한 상태에서 기체가 백하면 (화살표 T1 참조), 도 30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체 (42) 가 접지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서 장치 본체 (41) 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전방 회동함과 함께 (화살표 W2 참조), 장치 본체 (41) 는 하방으로 회동하여, 케이스 복귀 스프링 (56) 의 탄성력 등에 의해서 기준 상태의 위치로 돌아온다 (화살표 V2 참조). 이 상태에 있어서, 접지체 (42) 는, 전방으로의 최대 회동 상태 또는 그것과 대략 동일한 상태가 된다.
한편, 도 30b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분초판 높이 0 을 유지한 상태에서 기체가 전진하면 (화살표 T2 참조), 도 30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체 (42) 가 접지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서 장치 본체 (41) 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후방 회동함과 함께 (화살표 W3 참조), 장치 본체 (41) 는 하방으로 회동하고, 케이스 복귀 스프링 (56) 의 탄성력 등에 의해서 기준 상태의 위치로 돌아온다 (화살표 V3 참조). 이 상태에 있어서, 접지체 (42) 는, 후방으로의 최대 회동 상태 또는 그것과 대략 동일한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 (1) 과 동일하게, 예취부 (5) 에 의한 예취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 지면 (G1) 이나 그루터기로부터 접지체 (42) 에 작용하는 힘에서 기인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양호한 정밀도로 예취 높이를 검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의 지지 구성에 의하면, 예취부 (5) 에 의한 예취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는 것에서 기인하여 지지부에 있어서 발생되는 파손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어, 양호한 정밀도로 예취 높이를 검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따르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양태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예취부 (5) 를 구성하는 예취 지지기틀 (20) 의 좌단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를 형성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좌우 대칭인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취 지지기틀 (20) 의 우단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0) 는, 예를 들어 예취 지지기틀 (20) 의 좌우 양 단부에 형성하는 것 등에 의해서,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유닛 지지체 (44) 는, 전면부 (44b) 와 후면부 (44d) 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좌측면부 (44a) 를 갖는 것이지만, 유닛 지지체 (44) 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닛 지지체 (44) 는, 예를 들어, 전면부 (44b) 와 후면부 (44d) 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장치 본체 (41) 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면부를 갖는 구성의 것이어도 된다.
1 : 콤바인
4 : 주행 기체
5 : 예취부
18 : 유압 실린더
21 : 분초판
34 : 분초 프레임
40 :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1 : 장치 본체
42 : 접지체
43 : 검출 센서
44 : 유닛 지지체 (장치 본체 지지 부재)
44b : 전면부
44d : 후면부
45 : 센서 유닛
50 : 분초부
57 : 고정 플레이트 (회동 지지부)
61 : 전측 고정축 (제 1 축)
62 : 후측 회동축 (제 2 축)
70 : 중간 회동축 (제 3 축)
76 : 검출용 구동 기어 (제 1 전달 부재)
77 : 검출용 종동 기어 (제 2 전달 부재)
80 : 구동 아암 (구동 부재)
83 : 검출용 핀 (제 1 전달 부재용 입력부)
84 : 케이스 회동용 핀 (제 3 전달 부재용 입력부)
86 :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제 3 전달 부재)
87 : 케이스 회동용 종동 기어 (제 4 전달 부재)
100 : 서포트 프레임
113 : 전측 경사부 (경사 프레임부)
121 : 분초판 본체
122 : 리브판부
125 : 히치 (분초판 지지 부재)
130 : 축지부
130A : 전측 축지부
130B : 후측 축지부
131 : 전지지축부
132 : 보스부 (전지지부)
141 : 후지지축부
142 : 스테이 (후지지부)
231 : 전지지축부
232 : 보스부 (후지지부)
241 : 후지지축부
242 : 스테이 (전지지부)
4 : 주행 기체
5 : 예취부
18 : 유압 실린더
21 : 분초판
34 : 분초 프레임
40 :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1 : 장치 본체
42 : 접지체
43 : 검출 센서
44 : 유닛 지지체 (장치 본체 지지 부재)
44b : 전면부
44d : 후면부
45 : 센서 유닛
50 : 분초부
57 : 고정 플레이트 (회동 지지부)
61 : 전측 고정축 (제 1 축)
62 : 후측 회동축 (제 2 축)
70 : 중간 회동축 (제 3 축)
76 : 검출용 구동 기어 (제 1 전달 부재)
77 : 검출용 종동 기어 (제 2 전달 부재)
80 : 구동 아암 (구동 부재)
83 : 검출용 핀 (제 1 전달 부재용 입력부)
84 : 케이스 회동용 핀 (제 3 전달 부재용 입력부)
86 : 케이스 회동용 구동 기어 (제 3 전달 부재)
87 : 케이스 회동용 종동 기어 (제 4 전달 부재)
100 : 서포트 프레임
113 : 전측 경사부 (경사 프레임부)
121 : 분초판 본체
122 : 리브판부
125 : 히치 (분초판 지지 부재)
130 : 축지부
130A : 전측 축지부
130B : 후측 축지부
131 : 전지지축부
132 : 보스부 (전지지부)
141 : 후지지축부
142 : 스테이 (후지지부)
231 : 전지지축부
232 : 보스부 (후지지부)
241 : 후지지축부
242 : 스테이 (전지지부)
Claims (15)
- 주행 기체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된 예취부와, 상기 예취부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예취 높이 검출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으로서,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제 1 축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장치 본체와,
상기 제 1 축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축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접지체와,
상기 접지체의 상기 제 2 축 둘레의 회동량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예취부의 높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체는, 상기 제 2 축 둘레의 회동에 대해서, 외력의 작용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의 기준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검출 센서는, 상기 접지체의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후방으로의 회동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체는,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축 둘레의 회동을 정지시킨 상태의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해서 상기 제 2 축 둘레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접지체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접지체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 1 축 둘레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상기 제 2 축의 회전 동력의 전달을 받아 회동하는 제 3 축을 구비하고,
상기 검출 센서는, 상기 제 3 축의 회동량으로부터, 상기 접지체의 상기 제 2 축 둘레의 회동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상기 제 2 축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 1 전달 부재와,
상기 제 1 전달 부재로부터 상기 제 2 축의 회전 동력의 전달을 받는 제 2 전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축은, 상기 제 1 전달 부재 및 상기 제 2 전달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제 2 축의 회전 동력의 전달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상기 제 2 축에 고정된 구동 부재를 갖고,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접지체의 후방으로의 회동에 수반하는 상기 제 2 축의 회동을 상기 제 1 전달 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제 1 전달 부재를 제 2 축 둘레로 회동시키는 제 1 전달 부재용 입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상기 제 2 축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 3 전달 부재와,
상기 제 3 축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 3 전달 부재로부터 상기 제 2 축의 회전 동력의 전달을 받는 제 4 전달 부재와,
상기 제 4 전달 부재의 회전 동력을 받아 상기 장치 본체를 상기 제 1 축 둘레로 회동시키는 회동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상기 제 2 축에 고정된 구동 부재를 갖고,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접지체의 전방으로의 회동에 수반하는 상기 제 2 축의 회동을 상기 제 3 전달 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제 3 전달 부재를 제 2 축 둘레로 회동시키는 제 3 전달 부재용 입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전후에,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를 전후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측 축지부와 후측 축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는, 분초부를 갖고,
상기 분초부는, 상기 예취부의 하부에 형성된 분초 프레임과, 상기 분초 프레임의 전측에 형성된 분초판과, 상기 분초 프레임에 고정된 서포트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전측 축지부는, 상기 분초판의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후측 축지부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상기 장치 본체를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 본체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측 축지부는, 상기 분초판의 후측에 형성된 전지지부와, 상기 장치 본체 지지 부재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지지부에 지지된 전지지축부를 가지며,
상기 후측 축지부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형성된 후지지부와, 상기 장치 본체 지지 부재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지지부에 지지된 후지지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축지부는, 상기 분초 프레임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장치 본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분초 프레임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 1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초부는, 상기 분초판을 상기 분초 프레임에 지지하는 분초판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분초판 지지 부재는, 후방 상향의 경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상기 분초판 지지 부재의 후방측으로부터 후방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 프레임부를 갖고,
상기 분초판 지지 부재 및 상기 경사 프레임부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측을 볼록측으로 한 산형의 형태를 이루고,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상기 분초판 지지 부재와 상기 경사 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 지지 부재는, 전단부 및 후단부의 각각에, 전후 방향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장치 본체의 적어도 일부와 중복되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0154847A JP7485578B2 (ja) | 2020-09-15 | 2020-09-15 | コンバイン |
JPJP-P-2020-154847 | 2020-09-15 | ||
JPJP-P-2020-154848 | 2020-09-15 | ||
JP2020154848A JP7568456B2 (ja) | 2020-09-15 | 2020-09-15 | コンバイン |
JPJP-P-2020-154849 | 2020-09-15 | ||
JP2020154849A JP7568457B2 (ja) | 2020-09-15 | 2020-09-15 | コンバイン |
PCT/JP2021/031452 WO2022059458A1 (ja) | 2020-09-15 | 2021-08-27 | コンバイン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7602A true KR20230067602A (ko) | 2023-05-16 |
Family
ID=80776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05890A KR20230067602A (ko) | 2020-09-15 | 2021-08-27 | 콤바인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67602A (ko) |
CN (1) | CN116075215A (ko) |
WO (1) | WO202205945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242978B (zh) * | 2023-11-17 | 2024-01-26 | 山西农业大学 | 一种双链齿式谷物联合收割机割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672293B2 (ja) | 2012-11-29 | 2015-02-18 | 井関農機株式会社 | コンバイン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52837U (ja) * | 1982-04-06 | 1983-10-13 | 株式会社クボタ | 刈高さ自動調整装置付き刈取機 |
JP2004283008A (ja) * | 2003-03-19 | 2004-10-14 | Kubota Corp | 収穫機 |
JP4903545B2 (ja) * | 2006-12-14 | 2012-03-28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の刈高さ検出装置 |
US10349578B2 (en) * | 2017-02-16 | 2019-07-16 | Cnh Industrial America Llc | Combination flex and rigid header height control in a harvester |
JP6870575B2 (ja) * | 2017-10-30 | 2021-05-12 | 井関農機株式会社 | コンバイン |
-
2021
- 2021-08-27 KR KR1020237005890A patent/KR20230067602A/ko unknown
- 2021-08-27 CN CN202180061953.7A patent/CN116075215A/zh active Pending
- 2021-08-27 WO PCT/JP2021/031452 patent/WO202205945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672293B2 (ja) | 2012-11-29 | 2015-02-18 | 井関農機株式会社 | コンバイン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059458A1 (ja) | 2022-03-24 |
CN116075215A (zh) | 2023-05-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29761B1 (ko) | 크롤러 주행 장치 | |
KR20230067602A (ko) | 콤바인 | |
JP7568457B2 (ja) | コンバイン | |
JP7568456B2 (ja) | コンバイン | |
JP7485578B2 (ja) | コンバイン | |
JP5929888B2 (ja) | コンバイン | |
KR20230133219A (ko) | 콤바인 | |
JP5991448B2 (ja) | 刈取装置の高さ検出装置 | |
JP7484539B2 (ja) | コンバイン | |
JP2533445Y2 (ja) | コンバインの刈取スライド装置 | |
CN116724754A (zh) | 联合收割机 | |
JP5954275B2 (ja) | コンバイン | |
JP4765305B2 (ja) | コンバイン | |
JP2023132350A (ja) | コンバイン | |
JP6066008B2 (ja) | コンバイン | |
JPH0783656B2 (ja) | コンバインの刈取作業方法 | |
JPH0531863Y2 (ko) | ||
JPH0514748Y2 (ko) | ||
JPH0210900Y2 (ko) | ||
JPH07203745A (ja) | コンバインにおけるナローガイド装置 | |
JP2007117016A (ja) | コンバインの刈取り部昇降構造 | |
JP4548172B2 (ja) | コンバイン | |
JP2006262819A (ja) | コンバイン | |
JPH0137392Y2 (ko) | ||
JP2002176825A (ja) | 多条刈りコンバイ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