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219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219A
KR20230133219A KR1020230030427A KR20230030427A KR20230133219A KR 20230133219 A KR20230133219 A KR 20230133219A KR 1020230030427 A KR1020230030427 A KR 1020230030427A KR 20230030427 A KR20230030427 A KR 20230030427A KR 20230133219 A KR20230133219 A KR 20230133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device main
support
harve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0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이치 이마다
유이치 심푸쿠
Original Assignee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203761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31323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203761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3132350A/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33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2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24Lifting devices for the cutter-b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01D41/145Header lif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예취부에 의한 예취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분초체의 위치를 조정해도 예취 높이의 목표값을 재설정할 필요를 없애서 양호한 작업성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주행 기체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예취부와, 예취부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를 구비한 콤바인으로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는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장치 본체(41)와, 장치 본체(41)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접지체(42)와, 접지체(42)의 회동량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43)를 갖고, 검출 센서(43)에 의한 검출 신호에 의거해서 예취부의 높이를 검출하는 것이며, 장치 본체(41)는 예취부의 전단에 설치된 분초판(21)을 지지하는 분초체 지지부(120)에 대해서 설치되어 있고, 분초판(21)은 분초체 지지부(120)에 대해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높이 조정 가능한 예취부를 갖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바인은 주행 기체의 전방측에 예취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주행 기체 상에 탈곡부를 구비하고, 주행하면서 예취부에 의한 곡간의 예취나 탈곡부에 의한 탈곡 등을 행한다. 종래, 콤바인에는 예취부를 주행 기체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예취부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인 예취 높이를 제어하기 위해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를 구비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예취부를 승강시키는 유압 실린더 등의 승강용 장치의 동작이 제어되어 예취 높이의 자동 제어가 행해진다.
특허문헌 1에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로서, 예취부가 갖는 분초체의 후하방에 배치된 센서 유닛을 구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센서 유닛은 분초체에 부착된 브래킷에 대해서 설치된 장치 본체로서의 유닛 본체와, 유닛 본체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센서인 포텐셔미터와, 유닛 본체에 대해서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접지체를 구비한다.
특허문헌 2에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로서, 예취부가 갖는 분초체의 후하방에 배치된 센서 유닛을 구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센서 유닛은 분초체에 부착된 브래킷에 대해서 설치된 장치 본체로서의 유닛 본체와, 유닛 본체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센서인 포텐셔미터와, 유닛 본체에 대해서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접지체를 구비한다.
유닛 본체는 그 전방부에 위치하여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한 회전축에 의해 브래킷에 대해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접지체는 유닛 본체의 후방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일본 특허 5954275호 공보 일본 특허 5857987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센서 유닛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예취부가 갖는 분초체의 부착 구조에 관해서, 분초체를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 등에 의해, 분초체의 상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한 것이 있다. 이러한 분초체에 대해서 브래킷을 통해 유닛 본체를 부착한 구성에 의하면, 분초체의 상하 위치의 변경에 따라 분초체와 함께 유닛 본체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유닛 본체가 상하로 이동하면, 소정의 높이 위치에 있는 유닛 본체에 대해서 예취부의 예취날의 높이 위치 등을 기준으로 해서 미리 설정된 목표값을 다시 설정할 필요가 발생한다. 일단 설정한 예취 높이의 목표값을 분초체의 상하 위치의 변경시마다 다시 설정하는 것은 작업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예취부에 의한 예취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 분초체의 위치를 조정해도 예취 높이의 목표값을 재설정할 필요가 없어 양호한 작업성을 얻을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센서 유닛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곡간의 예취 작업에 있어서는, 기체의 전진에 따라 분초체에 의해 그루터기가 좌우로 나뉘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좌우로 나뉘어진 그루터기나 그 뿌리 등이 분초체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유닛 본체나 접지체에 접촉하는 일이 있다. 유닛 본체나 접지체에 그루터기 등이 접촉하는 것은 센서 유닛의 오작동을 발생시켜서 예취 높이의 검출값이 안정되지 못한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좌우로 나뉘어진 그루터기가 접지체에 작용하는 것은 센서 유닛에 의한 예취 높이의 검출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예취부에 의한 예취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 분초체에 의해 좌우로 나뉘어진 그루터기나 그 뿌리 등이 접촉하는 것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되게 예취 높이를 검출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주행 기체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예취부와, 상기 예취부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예취 높이 검출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으로서,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접지체와, 상기 접지체의 회동량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를 갖고, 상기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예취부의 높이를 검출하는 것이며,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예취부의 전방부에 설치된 분초체를 지지하는 분초체 지지부에 대해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초체는 상기 분초체 지지부에 대해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분초체 지지부에는 상기 장치 본체의 상방에 위치하고, 기체의 전진에 따라 곡간을 좌우 외측으로 안내하는 상방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상방 가이드부는 상기 검출 센서로부터 연장된 신호선을 지지하는 부분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분초체 지지부에는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에 위치하고, 기체의 전진에 따라 곡간을 좌우 외측으로 안내하는 전방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검출 센서는 상기 장치 본체에 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치 본체에는 상기 검출 센서를 피복하는 센서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콤바인은, 상기 예취부의 전방부에 설치된 분초체를 지지하는 분초체 지지부에 대해서 상기 장치 본체를 지지하고, 상기 장치 본체를 전방측 및 좌우 양측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콤바인은,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분초체 지지부에 대해서 상기 장치 본체와 일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콤바인은,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장치 본체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보호하는 부분으로서,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한 판형상의 부분인 좌우의 측방 판부를 포함하고,
좌우의 상기 측방 판부의 후방측에는 상기 장치 본체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굴곡된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콤바인은, 상기 분초체 지지부에는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에 위치하고, 기체의 전진에 따라 곡간을 좌우 외측으로 안내하는 전방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주행 기체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예취부와, 상기 예취부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예취 높이 검출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으로서,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접지체와, 상기 접지체의 회동량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를 갖고, 상기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예취부의 높이를 검출하는 것이며, 상기 예취부의 전방부에 설치된 분초체를 지지하는 분초체 지지부에 대해서 상기 장치 본체를 지지하고, 상기 장치 본체를 전방측 및 좌우 양측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부재를 더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분초체 지지부에 대해서 상기 장치 본체와 일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장치 본체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보호하는 부분으로서,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한 판형상의 부분인 좌우의 측방 판부를 포함하고, 좌우의 상기 측방 판부의 후방측에는 상기 장치 본체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굴곡된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분초체 지지부에는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에 위치하고, 기체의 전진에 따라 곡간을 좌우 외측으로 안내하는 전방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취부에 의한 예취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 분초체의 위치를 조정해도 예취 높이의 목표값을 재설정할 필요가 없어 양호한 작업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취부에 의한 예취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 분초체에 의해 좌우로 나뉘어진 그루터기나 그 뿌리 등이 접촉하는 것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되게 예취 높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콤바인의 예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분초부 및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예취 높이 검출 장치 및 그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좌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예취 높이 검출 장치 및 그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우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예취 높이 검출 장치 및 그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예취 높이 검출 장치 및 그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예취 높이 검출 장치 및 그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센서 유닛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축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예취 높이 검출 장치 및 그 주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콤바인의 작용 효과에 대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높이 조정 가능한 예취부를 갖는 콤바인에 있어서, 분초체를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예취부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예취 높이 검출 장치의 장치 본체의 지지 구성 등을 연구함으로써,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사용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콤바인(1)의 전체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콤바인(1)의 전방(도 1에 있어서의 좌방)을 향해서 좌측 및 우측을 각각 콤바인(1)에 있어서의 좌측 및 우측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콤바인(1)은 좌우 한쌍의 크롤러부(3,3)를 갖는 크롤러식의 주행 장치로서 구성된 주행부(2)와, 주행부(2)에 의해 지지된 주행 기체(4)를 구비한다. 주행 기체(4)는 콤바인(1)의 차체의 프레임형상의 구조부를 포함한다. 콤바인(1)은 주행 기체(4) 상에 탑재된 구동원으로서의 엔진(11)을 구비한다.
주행 기체(4)의 전방부에는 포장의 벼, 보리 등의 곡간을 예취하면서 거두어 들이는 예취부(5)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 기체(4) 상에는 예취부(5)에 의해 예취된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부(6)와, 탈곡부(6)로부터 취출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7)가 옆으로 줄지어진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탈곡부(6)는 기체 좌측에, 곡립 탱크(7)는 기체 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콤바인(1)은 주행부(2)에 의해 주행하면서 예취부(5)에 의한 곡간의 예취나 탈곡부(6)에 의한 탈곡 등을 행한다.
주행부(2)를 구성하는 각 크롤러부(3)는 주행 기체(4)의 하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트랙 프레임(3a)과, 트랙 프레임(3a)에 지지된 구동 스프로킷(3b) 등의 각종 회전체와, 이들 회전체에 권회된 무한궤도(3c)를 갖는다. 크롤러부(3)는 구동 스프로킷(3b)에 있어서 엔진(11)의 동력의 전달을 받아서 구동한다.
예취부(5)는 엔진(11)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하여 곡간을 예취하고, 예취한 곡간을 탈곡부(6) 등에 반송한다. 예취부(5)는 주행 기체(4)의 전방측에 있어서, 콤바인(1)의 기체폭의 대략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예취부(5)는 주행 기체(4)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예취부(5)를 도 1에 나타내는 상태에 대해서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탈곡부(6)는 전후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는 급동(6a)과, 급동(6a)의 좌방에 설치된 곡간 공급 장치를 갖는다. 곡간 공급 장치는 예취부(5)에 의해 예취된 곡간의 밑둥을 협지해서 이삭끝을 급동(6a)측으로 한 횡와자세로 곡간을 후방으로 반송한다. 곡간 공급 장치는 좌우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는 복수의 스프로킷에 권회된 피드 체인(6b)과, 이것과 협동해서 곡간의 밑둥을 협지하는 곡간 공급 협지체(6c)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주행 기체(4) 상에 있어서의 탈곡부(6)의 하방에는 탈곡부(6)에 의해 탈곡 처리된 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선별부(8)가 설치되어 있다. 선별부(8)는 요동 선별 장치(8a)와, 바람 선별 장치 및 곡립 반송 장치를 갖는다. 선별부(8)는 탈곡부(6)로부터 낙하해 온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8a)에 의해 요동 선별하고, 요동 선별후의 처리물을 바람 선별 장치에 의해 바람 선별한다. 선별부(8)는 바람 선별후의 처리물 중 곡립을 곡립 반송 장치에 의해 곡립 탱크(7)를 향해서 우방으로 반송하고, 짚부스러기나 진애 등을 바람 선별 장치에 의해 후방으로 날려서 기체의 외부로 배출한다. 곡립 반송 장치에 의해 곡립 탱크(7)를 향해서 반송된 곡립은 곡립 탱크(7)에 저류된다.
주행 기체(4) 상의 우측 후단부에는 곡립 탱크(7) 내의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로서의 배출 오거(9)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배출 오거(9)는 선단부에 배출구(9a)를 갖고, 곡립 탱크(7)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을 배출구(9a)로부터 배출한다. 배출구(9a)로부터 배출된 곡립은 트럭의 짐받이나 컨테이너 등에 투입된다.
주행 기체(4) 상에 있어서, 탈곡부(6)의 후방에는 탈곡부(6)에 의한 탈곡 처리후의 폐짚을 처리하는 폐짚 처리부(10)가 설치되어 있다. 폐짚 처리부(10)는 폐짚 반송 장치(10a)와, 폐짚 절단 장치(10b)를 갖는다. 폐짚 반송 장치(10a)는 탈곡부(6)에 의해 탈곡이 완료된 곡간(배간(排稈))을 후방으로 반송해서 기체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혹은 폐짚 절단 장치(10b)로 반송한다. 폐짚 절단 장치(10b)는 폐짚 반송 장치(10a)로부터 반송된 배간을 절단해서 기체의 외부로 배출한다.
주행 기체(4) 상에 있어서, 예취부(5)의 우방이며 곡립 탱크(7)의 전방에는 캐빈(13)에 의해 덮여진 운전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부(14)의 전방부에는 조향 조작부로서의 핸들부(15)가 설치되어 있고, 핸들부(15)의 후방에 운전석(16)이 설치되어 있고, 운전석(16)의 측방에 각종 조작구가 배치되어 있다.
운전부(14)의 하방에는 엔진(11)을 포함하는 원동기부가 설치되어 있다. 엔진(11)은 예를 들면, 디젤 엔진이다. 엔진(11)의 동력은 변속 장치 등을 통해 콤바인(1)이 각 부에 있어서 구비하는 각종 장치에 전달된다.
예취부(5)에 대해서 도 1∼도 3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예취부(5)는 예취 프레임으로서의 예취 지지기 프레임(20)을 갖고, 이 예취 지지기 프레임(20)에 분초판(21), 일으켜세움 장치(22), 그러모음 장치(23), 예취날 장치(24), 곡간 반송 장치(25) 등을 지지시켜서 구성되어 있다. 예취부(5)가 갖는 각 장치는 엔진(11)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작동한다.
분초판(21)은 예취부(5)가 갖는 분초부(50)를 구성하는 분초체의 일례이며, 예취부(5)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다. 분초판(21)은 앞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고, 포장에 식생하는 곡간을 분초한다. 일으켜세움 장치(22)는 분초판(21)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고, 체인으로 연결된 복수의 타인(22a)을 동작시킴으로써 도복하고 있는 곡간을 일으켜 세운다.
그러모음 장치(23)는 일으켜세움 장치(22)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고, 체인 구동하는 반송 기구(23a)나 회전 패커(23b) 등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고, 곡간을 그러모은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그러모음 장치(23) 중 좌측의 단부에 설치된 구성 부분만을 나타내고, 다른 구성 부분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예취날 장치(24)는 일으켜 세워진 곡간의 밑둥을 절단하는 바리캉형의 장치이다. 곡간 반송 장치(25)는 예취된 곡간을 반송하는 장치이며, 복수 조의 예취 곡간을 합류해서 후상방으로 협지 반송하고, 탈곡부(6)의 피드 체인(6b)의 시단부로 옆으로 쓰러진 자세로 운반한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예취 지지기 프레임(20)은 주행 기체(4)의 전방측에 있어서 앞이 내려간 형상으로 배치된 지지 프레임(2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26)은 기체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고, 지지 프레임(26)의 전방측에 예취 지지기 프레임(20)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예취 지지기 프레임(20)은 기체의 좌우 방향으로 연신된 횡 프레임(31)과, 횡 프레임(31)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분초 프레임(32,34)을 갖는다. 예취 지지기 프레임(20)은 횡 프레임(31)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26)에 의한 지지를 받는다.
횡 프레임(31)은 각 파이프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직선형상의 프레임 부분이다. 분초 프레임(32,34)은 둥근 파이프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부분이며, 소정의 굴곡형상 또는 만곡형상을 갖고, 평면으로 볼 때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분초 프레임(32,34)은 후단부 또는 후방부를 횡 프레임(31)에 고정 지지시킴으로써, 외팔보형상으로 지지되어 있다.
복수의 분초 프레임(32,34)은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렬 배치되어 있다. 분초 프레임(32,34)은 콤바인(1)의 예취의 조수보다 1개 많은 개수로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콤바인(1)은 6조 예취이며, 7개의 분초 프레임(32,34)이 설치되어 있다. 7개의 분초 프레임(32,34) 중 좌측으로부터 2번째, 6번째에 각각 위치하는 분초 프레임(34)은 다른 복수의(5개의) 분초 프레임(32)과 다른 형상을 갖는다.
좌우에 이웃하는 분초 프레임(32,34) 사이에 일으켜세움 장치(22)가 배치되어 있고, 합계 6대의 일으켜세움 장치(22)가 설치되어 있다. 일으켜세움 장치(22)의 하부가 각 분초 프레임(32,34)의 전방부에 도시하지 않은 지지 스테이 등을 통해 연결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각 분초 프레임(32,34)의 전단에 분초판(21)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분초판(21)으로서는 비교적 큰 것과 비교적 작은 것의 2종의 분초판(21)이 소정의 배치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비교적 큰 분초판(21)과 3개의 비교적 작은 분초판(21)이 좌우 방향에 대해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예취부(5)는 주행 기체(4)에 대해서 승강용 장치로서의 유압 실린더(18)(도 1 참조)를 통해 소정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예취부(5)는 유압 실린더(18)의 신축 동작에 의한 회동 동작에 의해 주행 기체(4)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18)는 주행 기체(4)와 지지 프레임(26)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26)의 후단부가 예취부(5)의 승강 동작의 회동 지점으로서 주행 기체(4)에 대해서 좌우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콤바인(1)은 예취부(5)를 주행 기체(4)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콤바인(1)은 예취부(5)의 지면(G1)으로부터의 높이인 예취 높이(대지(對地) 높이)를 제어하기 위해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예취부(5)를 승강시키는 유압 실린더(18)의 동작이 제어되고, 예취 높이의 자동 제어가 행해진다.
유압 실린더(18)의 동작은 제어밸브인 전자밸브의 동작 제어에 의해 제어된다. 콤바인(1)이 구비하는 제어부를 구성하는 제어 장치(도시 대략)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유압 실린더(18)의 제어밸브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예취 높이를 제어한다.
예취 높이의 자동 제어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예취부(5)의 예취 높이를 설정값으로 유지하도록, 유압 실린더(18)의 제어밸브의 동작을 제어하고, 예취부(5)를 자동적으로 승강 제어하는 것이다. 예취 높이의 자동 제어에 있어서, 제어 장치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에 의해 검출된 예취 높이가 미리 설정된 목표값(이하 「예취 높이 목표값」이라고 한다.)이 되도록 예취부(5)의 높이를 제어한다.
즉, 제어 장치는 검출된 예취 높이가 예취 높이 목표값을 하회하고 있는 경우는 예취부(5)를 상승시키고, 검출된 예취 높이가 예취 높이 목표값을 상회하고 있는 경우는 예취부(5)를 하강시킴으로써, 예취부(5)의 높이가 예취 높이 목표값에 대응한 높이로 유지되도록 예취부(5)의 승강 제어를 행한다. 또한, 운전부(14)에는 예취 높이 조정용의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예취 높이의 자동 제어 중에 있어서, 조작부의 조작에 의한 예취 높이의 조정을 우선시키는 제어가 행해진다. 예취 높이 목표값은 예를 들면, 10mm, 30mm, 50mm 등이다.
이상과 같이, 콤바인(1)은 분초판(21)을 포함하는 분초부(50)를 갖고 주행 기체(4)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예취부(5)와, 예취부(5)의 높이인 예취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는 7개의 분초판(21) 중 좌측으로부터 2번째, 6번째에 각각 위치하는 분초판(21A)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3 참조). 분초판(21A)은 다른 분초 프레임(32)과 형상이 다른 분초 프레임(3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분초판(21A)은 2종의 분초판(21) 중 비교적 작은 분초판(21)이다. 이렇게, 콤바인(1)은 2개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를 구비하고 있다. 단, 콤바인(1)이 구비하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의 수나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를 설치하는 위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는 예를 들면, 좌단 또는 우단의 분초판(21)의 후방측의 1개소에 설치되어도 좋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의 구성 및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의 지지 구성에 대해서 도 4∼도 14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는 장치 본체(41)와, 접지체(42)와, 예취 높이 센서인 검출 센서(43)와, 장치 본체(41)를 지지하는 부재인 유닛 지지체(44)를 구비한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에 있어서, 장치 본체(41), 접지체(42), 및 검출 센서(43)에 의해, 일체적인 센서 유닛(45)이 구성되어 있고(도 12 참조), 이 센서 유닛(45)이 유닛 지지체(44)에 대해서 좌우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유닛 지지체(44)는 분초부(50)에 대해서 전후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는 전체적으로 분초부(50)에 대해서 전후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센서 유닛(45)을 유닛 지지체(44)에 대해서 좌우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의 전후 방향 축 둘레의 회동, 및 센서 유닛(45)의 좌우 방향 축 둘레의 회동은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에 작용하는 외력에 따라 행해진다. 이하에서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에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기준상태로 하고, 기본적으로 기준상태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에 대해서 설명한다.
센서 유닛(45)에 있어서, 장치 본체(41)는 예를 들면, 금속제의 주물로 구성된 케이스(51) 내에 각종 기어나 스프링 등을 소정의 축에 지지시킨 구성을 갖는다. 케이스(51)는 케이스(51)의 본체부를 이루는 우측 케이스체(52)와, 우측 케이스체(52)의 좌측을 덮개형상으로 덮는 좌측 케이스체(53)에 의한 좌우 2분할 구조를 갖는다. 우측 케이스체(52)와 좌측 케이스체(53)는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케이스(51) 주위의 4개소에서 고정 볼트(55)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51)는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전후 방향(도 7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 개략 직사각형상의 외형을 갖는다. 케이스(51)는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변측을 상측으로 볼록한 산형 형상으로 하고 있다.
센서 유닛(45)에 있어서, 접지체(42)는 케이스(51)의 후단의 후방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검출 센서(43)는 케이스(51)의 우측면부에 부설된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유닛 지지체(44)는 폭이 좁은 판형상 부재가 평면으로 볼 때 소정의 형상을 이루도록 굴곡 형성된 양태의 부재이며,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유닛 지지체(44)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듯이, 주로 유닛 지지체(44)의 좌측 부분을 구성하는 제 1 지지체(46)와, 주로 유닛 지지체(44)의 우측 부분을 구성하는 제 2 지지체(47)를 갖는다.
유닛 지지체(44)는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좌측면부(44a)와, 좌측면부(44a)의 전단부으로부터 우방을 향해서 직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앞면부(44b)와, 앞면부(44b)의 우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우측면부(44c)를 갖는다. 유닛 지지체(44)를 이루는 이들의 면부는 모두 종면부이다.
즉, 제 1 지지체(46) 및 제 2 지지체(47)는 모두 평면으로 볼 때 소정의 형상을 이루도록 굴곡 형성된 양태의 판형상 부재이며, 이들 지지체에 의해 좌측면부(44a), 앞면부(44b) 및 우측면부(44c)가 형성되어 있다. 유닛 지지체(44)는 전체적으로 하측의 가장자리부를 대략 일정한 높이에 위치시키는 형상을 갖는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듯이, 제 1 지지체(46)는 유닛 지지체(44)의 좌측면부(44a)를 이루는 외측 벽면부(46a)와, 유닛 지지체(44)의 앞면부(44b)의 일부를 이루는 전방측 벽면부(46b)와, 전방측 벽면부(46b)의 우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직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내측 벽면부(46c)를 갖는다. 내측 벽면부(46c)는 외측 벽면부(46a)의 전단부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지체(46)는 외측 벽면부(46a), 전방측 벽면부(46b) 및 내측 벽면부(46c)에 의해 평면으로 볼 때 대략 「J」자형상의 굴곡형상을 이루고 있다(도 9 참조).
제 2 지지체(47)는 유닛 지지체(44)의 우측면부(44c)를 이루는 측벽면부(47a)와, 유닛 지지체(44)의 앞면부(44b)의 일부를 이루는 전방측 벽면부(47b)와, 측벽면부(47a)와 전방측 벽면부(47b)에 의한 코너부에 형성되어 저면에서 볼 때 모따기형상을 이루는 사면 벽면부(47c)를 갖는다.
유닛 지지체(44)의 좌측면부(44a)(제 1 지지체(46)의 외측 벽면부(46a))는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전후로 가늘고 긴 판형상의 부분이다. 좌측면부(44a)는 전방측의 대략 절반을 비교적 상하 방향의 치수(폭)를 넓게 한 폭이 넓은 부분으로 하고 있고, 후방측의 대략 절반을 전방측의 부분에 대해서 대략 1/2∼1/3 정도의 폭을 갖는 폭이 좁은 부분으로 하고 있다. 좌측면부(44a)는 전후의 중앙부의 상측에 있어서,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에 걸쳐서 서서히 폭을 좁게 하도록 아래로 경사진 사변부를 갖는다. 좌측면부(44a)는 전후 방향에 대해서 후단부의 위치를 케이스(51)의 후단부보다 후방으로 연장시키고 있다.
유닛 지지체(44)의 앞면부(44b)는 전후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판형상의 부분이다. 앞면부(44b)는 상하 방향의 치수를 좌측면부(44a)의 전방부의 상하 방향의 치수와 대략 같게 하고 있다. 앞면부(44b)는 좌우 방향에 대해서 좌측면부(44a)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1/2 정도의 치수를 갖는다. 앞면부(44b)는 제 1 지지체(46)의 전방측 벽면부(46b)와, 제 2 지지체(47)의 전방측 벽면부(47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앞면부(44b)는 제 1 지지체(46)의 전방측 벽면부(46b)의 우측 부분에 대해서 제 2 지지체(47)가 전방측 벽면부(47b)를 전방측으로부터 겹친 부분으로 되어 있다.
제 1 지지체(46) 및 제 2 지지체(47)는 전방측 벽면부(46b,47b)끼리의 겹침 부분을 관통하는 나사체(48) 및 너트(49)에 의해 체결 고정됨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다. 나사체(48)는 나사부를 제 2 지지체(47)의 전방측 벽면부(47b)로부터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있고, 이 돌출 부분에 너트(49)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나사체(48)에 의한 고정부는 상하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유닛 지지체(44)의 우측면부(44c)(제 2 지지체(47)의 측벽면부(47a))는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전후로 가늘고 긴 판형상의 부분이며, 좌측면부(44a)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우측면부(44c)는 전방측의 부분을 비교적 폭을 넓게 한 폭이 넓은 부분으로 하고 있고, 후방측의 부분을 전방측의 부분에 대해서 대략 1/2∼1/3 정도의 폭을 갖는 폭이 좁은 부분으로 하고 있다. 우측면부(44c)는 전방부의 상하 방향의 치수를 앞면부(44b)의 상하 방향의 치수와 대략 같게 하고 있다. 우측면부(44c)는 전방부의 상측에 있어서,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에 걸쳐서 서서히 폭을 좁게 하도록 아래로 경사진 사변부를 갖는다. 우측면부(44c)는 전후 방향에 대해서 후단부의 위치를 케이스(51)의 후단부와 대략 같은 위치로 하고 있다.
유닛 지지체(44)는 상하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좌측면부(44a), 앞면부(44b), 및 우측면부(44c)에 의해, 평면으로 볼 때,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 대략 직사각형상을 따르는 형상을 갖는다. 유닛 지지체(44)는 좌측면부(44a), 앞면부(44b), 및 우측면부(44c)를 각각 센서 유닛(45)(도 12 참조)의 좌측방, 전방, 및 우측방에 위치시켜서 센서 유닛(45)의 주위를 둘러싸는 둘레벽부를 구성하고 있다. 즉, 센서 유닛(45)은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대략 전체를 유닛 지지체(44)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 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센서 유닛(45)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해서 대략 전체를 유닛 지지체(44)의 내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특히, 센서 유닛(45)은 좌우 방향에 대해서 케이스(51)의 대략 전체를 제 1 지지체(46)의 외측 벽면부(46a)와 내측 벽면부(46c) 사이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센서 유닛(45)은 케이스(51)의 전단부를 앞면부(44b)의 바로 후방이며 외측 벽면부(46a)(좌측면부(44a))의 전단부와 내측 벽면부(46c) 사이에 위치시키고 있다.
또한, 센서 유닛(45)은 케이스(51)의 좌우 양측에 있어서, 좌측면부(44a) 및 우측면부(44c)를 케이스(51)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위치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센서 유닛(45)은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좌측면부(44a) 및 우측면부(44c)에 대해서 케이스(51)의 상하 양측을 유닛 지지체(44)로부터 돌출시키고 있다(도 7 참조).
센서 유닛(45)의 각 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장치 본체(41)는 제 1 축인 전방측 고정축(61)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전방측 고정축(61)은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지지축이며, 제 1 축심(P1)을 중심으로 해서 센서 유닛(45)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도 7, 도 9 참조).
전방측 고정축(61)은 장치 본체(41)에 있어서, 케이스(51)의 전단부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전방측 고정축(61)은 우단부를 제 1 지지체(46)의 내측 벽면부(46c)에 대해서 지지 플레이트(56)를 통해 고정시킨 상태에서, 내측 벽면부(46c)로부터 좌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전방측 고정축(61)은 내측 벽면부(46c)에 대해서 외팔보형상으로 지지된 고정축이다. 지지 플레이트(56)는 내측 벽면부(46c)의 내측(좌측)에 겹쳐진 상태에서, 볼트(57)에 의해 상하 2개소에서 고정되어 있다.
전방측 고정축(61)은 유닛 지지체(44)에 대해서 고정된 축이면 좋다. 따라서, 전방측 고정축(61)은 그 좌단부를 유닛 지지체(44)의 좌측면부(44a)의 전단부에 고정시킴으로써 외팔보형상으로 지지된 축이어도 좋고, 또, 좌측면부(44a)의 전단부 및 내측 벽면부(46c)의 양측에 고정되어서 이들 사이에 가설(架設)된 축이어도 좋다.
전방측 고정축(61)은 케이스(51)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케이스(51)는 전방측 고정축(61)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렇게, 센서 유닛(45)은 유닛 지지체(44)에 고정 설치된 고정축인 전방측 고정축(61)에 대해서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해서 외팔보 지지의 상태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도 7, 화살표(A1) 참조). 즉, 유닛 지지체(44)는 전방측 고정축(61)에 의해 센서 유닛(45)의 장치 본체(41)를 제 1 축심(P1) 둘레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유닛 지지체(44)에 대한 센서 유닛(45)의 제 1 축심(P1) 둘레의 회동에 관해서 센서 유닛(45)은 케이스(51) 내에 설치된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인 케이스 복귀부재에 의해, 하방 회동 방향(좌측면에서 볼 때 우측 둘레 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다. 케이스 복귀부재는 예를 들면, 코일형상의 본체부의 양단측을 직선형상의 연장부로 한 토션 스프링이다. 이 경우, 케이스 복귀부재는 본체부에 전방측 고정축(61)을 관통시키고, 일방의 연장부를 전방측 고정축(61)측에 록킹시킴과 아울러 타방의 연장부를 케이스(51)측에 록킹시킨 상태로 설치되고, 전방측 고정축(61)측에 대해서 케이스(51)를 하측으로 눌러 내리는 힘을 작용시킨다. 이것에 의해, 센서 유닛(45)이 전방측 고정축(61)의 축 둘레로 하방으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된다.
또한, 전방측 고정축(61)의 케이스(51)로부터의 우방으로의 돌출 부분에는 센서 유닛(45)을 전방측 고정축(61)에 대해서 하방 회동 방향으로 바이어싱하기 위한 케이스 복귀 스프링(58)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 복귀 스프링(58)은 코일형상의 본체부의 양단측을 직선형상의 연장부(58a)로 한 토션 스프링이다.
케이스 복귀 스프링(58)은 본체부에 전방측 고정축(61)을 관통시키고, 일방의 연장부(58a)를 케이스(51)의 우측 케이스체(52)의 전방부의 우측에 형성된 록킹 구멍부(52a)(도 8 참조)에 삽입시켜서 록킹시킴과 아울러, 타방의 연장부(58a)를 유닛 지지체(44)의 앞면부(44b)에 소정 양태로 록킹시킨 상태로 설치되고, 전방측 고정축(61)측에 대해서 케이스(51)를 하측으로 눌러 내리는 힘을 작용시킨다. 이것에 의해, 센서 유닛(45)이 전방측 고정축(61)의 축 둘레로 하방으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된다.
한편, 유닛 지지체(44)에 대한 센서 유닛(45)의 회동에 관해서, 케이스(51)에 설치된 케이스 스톱 볼트(59)에 의해, 센서 유닛(45)의 하방으로의 회동이 기준상태의 위치에서 규제되어 있다. 케이스 스톱 볼트(59)는 좌측 케이스체(53)의 상측 가장자리부의 전후 중간부에 좌방으로부터 나사 삽입되어 있고, 머리부를 좌측 케이스체(53)로부터 좌방을 향해서 돌출시키고 있다. 케이스 스톱 볼트(59)는 4개의 고정 볼트(55) 중 상측에 위치하는 고정 볼트(55)의 후방측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기준상태에 있어서, 센서 유닛(45)은 케이스 스톱 볼트(59)의 머리부를 유닛 지지체(44)의 좌측면부(44a)의 상측 가장자리에 접촉시킴으로써, 유닛 지지체(44)에 대한 하방으로의 상대 회동을 불능으로 하고 있다. 또한, 유닛 지지체(44)에 대한 센서 유닛(45)의 록킹부는 좌측 케이스체(53)의 일부로서 돌출 형성된 돌기 부분이어도 좋다.
이렇게, 센서 유닛(45)은 전방측 고정축(61) 둘레의 회동에 대해서 하방 회동 방향으로 바이어싱된 상태에서, 기준상태로부터의 유닛 지지체(44)에 대한 하방 회동이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센서 유닛(45)을 전방측 고정축(61) 둘레로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지면(G1) 등으로부터의 외력이 센서 유닛(45)에 작용함으로써, 센서 유닛(45)은 케이스(51) 내의 케이스 복귀부재 및 케이스 복귀 스프링(58)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상방으로 회동한다. 상방으로 회동한 상태의 센서 유닛(45)은 외력의 작용이 해제됨으로써, 케이스 복귀 스프링(58) 등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하방으로 회동하고, 케이스 스톱 볼트(59)의 유닛 지지체(44)에 대한 록킹 작용에 의해 기준상태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접지체(42)는 장치 본체(41)에 대해서 전방측 고정축(61)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축인 후방측 회동축(6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후방측 회동축(62)은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지지축이며, 제 2 축심(P2)을 중심으로 해서 장치 본체(41)의 케이스(51)에 대해서 접지체(42)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후방측 회동축(62)은 케이스(51)의 후단부 근방에 위치하고, 케이스(51)에 대해서 부시 등의 베어링부재를 통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후방측 회동축(62)의 케이스(51)로부터 우방으로의 돌출 부분에 접지체(42)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접지체(42)는 장치 본체(4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부분인 접지체 본체부(42a)와, 후방측 회동축(62)에 대한 지지 부분인 지지 암부(42b)를 갖는다. 접지체 본체부(42a) 및 지지 암부(42b)는 모두 소정의 형상을 갖는 판형상의 부분이다.
접지체 본체부(42a)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에 걸쳐서 서서히 폭(좌우 방향의 치수)을 넓힌 아래로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 주걱형상의 부분이다. 접지체 본체부(42a)는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전방측을 볼록측으로 한 둔각형상의 굴곡형상을 이루고 있다. 접지체 본체부(42a)는 최대폭을 케이스(51)의 좌우 폭과 대략 같게 하고, 좌우 방향에 대해서 케이스(51)의 좌우 폭 내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 암부(42b)는 케이스(51)의 바로 후방에 위치하는 접지체 본체부(42a)의 상단부로부터 케이스(51)를 따르도록 우전방측으로 연장되고, 후방측 회동축(62)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암부(42b)는 그 전방부를,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고정면부로 하고, 이 고정면부에 후방측 회동축(62)의 우단부를 관통시키고, 너트(68) 등에 의해 후방측 회동축(62)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후방측 회동축(62)의 우단부에는 너트(68)의 나사 결합을 받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접지체(42)는 후방측 회동축(62)에 고정되고, 제 2 축심(P2)을 중심으로 해서 후방측 회동축(62)과 일체적으로 회동한다. 접지체(42)는 그 회동범위에 있어서, 케이스(51)에 간섭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접지체(42)의 회동 위치에 관해서 기준상태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에 있어서의 접지체(42)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한다.
접지체(42)는 장치 본체(41)에 대한 후방측 회동축(62) 둘레의 상대 회동으로서 다음과 같은 회동을 행한다. 즉, 접지체(42)는 선단을 지면(G1)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콤바인(1)이 전진하는 것에 의한 지면(G1)으로부터의 끌어당김 저항(접지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 선단측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회동(후방 회동)한다(도 7, 화살표(C1) 참조). 한편, 접지체(42)는 콤바인(1)이 후진하는 것에 의한 접지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 선단측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회동(전방 회동)한다(도 7, 화살표(C2) 참조).
검출 센서(43)는 접지체(42)의 후방측 회동축(62) 둘레의 회동량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검출 센서(43)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가 구비하는 제 3 축인 중간 회동축(70)에 대해서 설치되고, 중간 회동축(70)의 회동량으로부터 접지체(42)의 후방측 회동축(62) 둘레의 회동량을 검출한다.
중간 회동축(70)은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지지축이며, 제 3 축심(P3)을 중심으로 해서 장치 본체(41)의 케이스(51)에 대해서 부시 등의 베어링부재를 통해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중간 회동축(70)은 전후 방향에 대해서 전방측 고정축(61)과 후방측 회동축(62)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검출 센서(43)는 로터리형의 포텐셔미터이며, 중간 회동축(70) 및 후방측 회동축(62)을 통해 접지체(42)의 회전 위치를 검출한다. 검출 센서(43)는 우측 케이스체(52)의 우측면부에 대해서 볼트(73)에 의해 전후 2개소에서 우측 케이스체(52)에 고정되어 있다.
검출 센서(43)는 중간 회동축(70)의 우단부의 연결을 받고, 중간 회동축(70)을 검출축으로 해서 직접적으로는 중간 회동축(70)의 제 3 축심(P3) 둘레의 회전 위치를 검출한다. 검출 센서(43)는 본체부(43a)와, 본체부(43a)에 있어서 신호선을 접속시키는 커넥터부(43b)를 갖는다. 커넥터부(43b)에는 신호선으로서의 와이어 하니스(80)의 일단측이 접속된다(도 6 참조). 검출 센서(43)는 와이어 하니스(80)에 의해, 주행 기체(4)측에 구비된 제어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부(43b)는 본체부(43a)로부터 후측이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돌출된 통형상의 부분이다. 일단측을 커넥터부(43b)에 접속시킨 와이어 하니스(80)는 검출 센서(43)로부터 후측이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연장된 양태가 된다. 또한, 검출 센서(43)는 제어 장치에 대한 접속 구성으로서, 본체부로부터 신호선을 직접 연장시킨 구성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중간 회동축(70)은 접지체(42)의 회동에 따른 후방측 회동축(62)의 회전 동력의 전달을 받아서 회동한다. 중간 회동축(70)은 후방측 회동축(62) 및 중간 회동축(70)의 각 축에 대해서 설치된 기어 등을 통해 후방측 회동축(62)의 회전 동력의 전달을 받는다. 중간 회동축(70)의 회동이 검출 센서(43)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접지체(42)는 케이스(51) 내에 설치된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인 접지체 복귀부재가 사용되며, 접지체 복귀부재나 케이스 복귀부재 등의 바이어싱력(토크)의 설정 등에 의해, 후방측 회동축(62) 둘레의 회동에 대해서 외력의 작용을 받고 있지 않는 상태로 소정의 기준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에 있어서, 접지체(42)는 기준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전방측 고정축(61) 축 둘레의 회동을 정지시킨 상태의 장치 본체(41)에 대해서 후방측 회동축(62) 둘레로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콤바인(1)의 기체 전진시 등에 있어서, 접지체(42)가 전방으로부터의 압압 작용을 받음으로써 기준 위치보다 후방측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장치 본체(41)는 전방측 고정축(61) 둘레로 회동하지 않고, 접지체(42)만이 장치 본체(41)에 대해서 후방측 회동축(62) 둘레로 상대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검출 센서(43)는 접지체(42)의 기준 위치로부터 후방으로의 회동량을 검출한다. 즉, 접지체(42)가 기준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의 접지체(42)의 장치 본체(41)에 대한 후방으로의 상대 회동이 예취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회동으로서 검출 센서(43)에 의해 검출된다.
한편, 접지체(42)의 장치 본체(41)에 대한 상대 회동에 관하여, 접지체(42)의 기준 위치부터 전방으로의 회동에 대해서는 케이스(51)의 상승 회동을 수반하게 된다. 즉, 접지체(42)의 기준 위치로부터 전방으로의 회동에 있어서는 접지체(42)의 회동에 연동해서 장치 본체(41)가 전체적으로 전방측 고정축(61) 둘레로 상승 회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장치 본체(41)에 대한 접지체(42)의 기준 위치로부터 전방으로의 상대 회동에 있어서는 중간 회동축(70)은 회동하지 않고, 검출 센서(43)에 의한 중간 회동축(70)의 회동의 검출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는 장치 본체(41)에 대한 접지체(42)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후방으로의 회동상태에 있어서, 검출 센서(43)에 의한 접지체(42)의 회동량의 검출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에 의해, 콤바인(1)은 검출 센서(43)에 의한 검출 신호에 의거해서 예취부(5)의 높이(예취 높이)를 검출한다. 상술과 같이,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는 접지체(42)의 후방 회동을 검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주로 콤바인(1)의 기체 전진시에 있어서, 예취 높이의 검출을 행한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에 있어서, 검출 센서(43)는 접지체(42)의 회동에 연동해서 회동하는 중간 회동축(70)의 회동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분초판(21)의 지면(G1)로부터의 높이, 즉 예취 높이를 검출한다. 접지체(42)의 검출 신호는 와이어 하니스(80)에 의해 제어 장치로 보내어진다. 제어 장치는 검출 센서(43)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입력을 받고, 그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검출 결과로부터 산출되는 예취 높이를 설정값으로 유지하도록, 유압 실린더(18)(도 1 참조)를 동작시켜서 예취 높이를 조정한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는 분초부(50)에 대한 유닛 지지체(44)의 지지 구성에 의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축심선(O1)(도 7, 도 9 참조)을 중심으로, 좌우로 요동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분초부(5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분초부(50)는 예취부(5)의 하부에 설치된 분초 프레임(34)과, 분초 프레임(34)의 전방측에 설치된 분초판(21)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의 지지에 관한 분초판(21) 및 분초 프레임(34)은 좌측으로부터 2번째, 6번째에 각각 위치하는 분초판(21A) 및 분초 프레임(34)이다(도 3 참조).
분초 프레임(34)은 후단측으로부터 전단측에 걸쳐서 다음의 각 부를 갖는다. 즉, 분초 프레임(34)은 도 4에 나타내듯이, 앞이 내려간 경사 부분인 후방측 경사부(101)와, 수평형상의 부분인 중간 수평부(102)와, 중간 수평부(102)와 함께 둔각형상의 코너부를 이루는 앞이 올라가는 경사 부분인 전방측 경사부(103)를 갖는다. 후방측 경사부(101)는 후방부에 대해서 전방부의 경사를 비교적 급하게 한 굴곡형상을 갖는다. 중간 수평부(102) 및 전방측 경사부(103)는 만곡형상의 코너부(104)를 형성하고 있다. 분초 프레임(34)은 후방측 경사부(101)의 후단부를 기단부로 하고, 전방측 경사부(103)의 전단부를 선단부로 한다.
분초 프레임(34)은 후방측 경사부(101)의 후단부를 횡 프레임(31)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횡 프레임(31)에 고정 설치된 지지부재(105)를 통해 후방측 경사부(101)를 횡 프레임(31)에 고정시키고 있다(도 4 참조). 지지부재(105)는 횡 프레임(31)이나 분초 프레임(34)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복수의 판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분초판(21)은 분초판 본체(121)와, 분초판 본체(121)의 후방측에 설치된 리브판부(122)를 갖는다. 분초판 본체(121)는 평면 단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전방측을 볼록측으로 하는 판형상의 부재이며, 정면 및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에 걸쳐서 서서히 폭이 좁아지는 선예형상을 갖는다. 분초판 본체(121)는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앞이 내려가고 또한 후하측을 볼록측으로 한 만곡형상을 갖는다.
리브판부(122)는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판형상의 부분이며, 분초판 본체(121)의 정면판부의 후방측에 있어서, 분초판 본체(121)의 좌우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리브판부(122)는 판형상의 부재를 용접 등에 의해 분초판 본체(121)에 고정함으로써, 분초판 본체(121)와 일체의 부분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리브판부(122)는 분초판 본체(121)에 대해서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하단(선단)까지의 범위에서 설치되어 있다.
리브판부(122)는 분초판 본체(121)의 측면에서 볼 때의 만곡형상을 따르는 형상을 가지면서, 평면 단면에서 볼 때 분초판 본체(121)와 함께 화살표형상을 이루도록 분초판 본체(121)로부터 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분초판 본체(121)에 리브판부(122)를 설치한 구성은 대략 좌우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또한, 분초부(50)는 분초판(21)의 후방측에 설치된 분초판 지지부재로서의 히치(125)를 포함한다. 히치(125)는 히치 지지판(124)과 함께, 분초체 지지부(120)를 구성하고 있다. 분초체 지지부(120)는 분초판(21)의 부착을 받음과 아울러, 분초 프레임(34)에 고정됨으로써, 분초판(21)을 분초 프레임(34)에 대해서 지지한다.
히치(125)는 긴 형상의 판형상 부재이며, 그 길이 방향을 분초판(21)의 뒤가 올라가는 경사를 따르게 하도록 뒤가 올라가는 경사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히치(125)은 분초판 본체(121)의 연신 방향에 대해서 후단부를 분초판 본체(121)의 후단부의 하측의 근방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전단부를 리브판부(122)의 전후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시키는 길이를 갖는다.
히치(125)는 그 후방부인 히치 후방부(125a)를 비교적 폭이 좁은 판형상 부분으로 해서 경사형상으로 배치함과 아울러, 히치 후방부(125a)보다 전방측의 부분을 히치 후방부(125a)에 대해서 폭이 넓은 히치 전방부(125b)로 하고 있다. 히치 전방부(125b)는 히치(125) 중 장치 본체(41)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된다. 히치 전방부(125b)는 히치(125)에 있어서 히치 후방부(125a)와 함께 직선형상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이룸과 아울러,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상을 따르는 하측으로의 돌출부를 이루고, 히치(125)의 전방부의 상하 방향의 치수를 부분적으로 크게 하고 있다. 히치 전방부(125b)는 측면에서 볼 때 후방부를 분초판(21)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히치 전방부(125b)는 히치(125)의 전방부에 있어서, 수평형상의 하측 가장자리부(125c)를 형성하고 있다.
히치(125)는 히치 지지판(124)을 통해 분초 프레임(34)에 고정되어 있다. 히치 지지판(124)은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판형상의 부재이며, 분초 프레임(34)의 전방측 경사부(103)에 대해서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히치 지지판(124)은 전방측 경사부(103)의 상부의 전방측으로부터 분초판(21)의 경사를 따르도록 전하방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히치 지지판(124)은 측면에서 볼 때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에 걸쳐서 서서히 상하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한 대략 삼각형상의 외형을 갖는다. 히치 지지판(124)은 통형상의 전방측 경사부(103)에 대해서 좌우 방향에 대해서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히치 지지판(124)은 히치(125)보다 두꺼운 판두께를 갖는다.
히치 지지판(124)에 대해서 히치(125)는 히치 후방부(125a)를 좌측으로부터 겹친 상태에서, 전후 2개소에서 볼트(127) 및 너트(128)에 의해 히치 지지판(124)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볼트(127)는 히치(125) 및 히치 지지판(124)을 관통하고, 너트(128)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히치 지지판(124)은 후방부에 있어서, 좌측면에서 볼 때 히치(125)의 후방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하방 노출부(124a)를 갖는다. 하방 노출부(124a)는 히치 지지판(124)에 있어서, 좌측면에서 볼 때, 볼트(127)에 의한 2개소의 고정부 중 후방측의 고정부보다 하측의 부분이며, 히치(125)의 후단부와 전방측 경사부(103)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히치(125)에 대해서 분초판(21)이 부착되어 있다. 분초판(21)은 히치 전방부(125b)에 대해서 리브판부(122)의 후방부를 우측으로부터 겹친 상태에서, 전후 2개소에서 볼트(141) 및 너트(142)에 의해 히치(125)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볼트(141)는 히치(125) 및 리브판부(122)를 관통하고, 너트(142)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이렇게, 히치(125)는 분초 프레임(34)에 고정됨으로써, 분초 프레임(34)의 전방에 분초판(21)을 지지한다. 분초판(21)은 분초체 지지부(120)에 대해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초판(21)은 분초체 지지부(120)를 구성하는 히치(125)에 대한 부착 각도(경사 각도)가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분초판(21)은 히치(125)에 대해서 각도 위치가 조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내듯이, 히치(125)의 리브판부(122)에 대한 볼트(141)에 의한 전후 2개소의 고정부 중 후방측의 고정부에 있어서, 히치(125)에 볼트(141)를 관통시키는 볼트 구멍(125d)은 뒤가 내려가는 경사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 긴 구멍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방측의 고정부에 있어서의 히치(125)의 볼트 구멍(125e)은 볼트(141)를 관통시키는 원형의 구멍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히치(125)의 고정 구조에 의해, 분초판(21)은 히치(125)에 대해서 전방측의 볼트(141)에 의한 고정부의 중심을 회동지점(B0)으로 한 회동 방향에 대해서 긴 구멍인 볼트 구멍(125d)에 의한 가동범위에서 부착 각도(경사 각도)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4, 화살표(B1) 참조). 즉, 분초판(21)은 위치 조정으로서, 하측의 고정부를 지점으로 한 회동범위 내에 있어서, 후방측을 승강시키는 승강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있어서는 하강 상태의 분초판(21)을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상승시킨 상태의 분초판(21)을 1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분초부(50)에 대해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는 전후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는 그 전방측에 분초부(50)에 대한 지지 부분으로서 축지지부(130)를 갖고, 이 축지지부(130)에 의해, 전후 방향의 축심선(O1)을 회동축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축지지부(130)는 분초판(21)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축지지부(130)는 분초판(21)의 후방측에 설치된 지지부인 보스부(132)와, 유닛 지지체(44)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보스부(132)에 지지된 지지축부(131)를 갖는다. 축지지부(130)는 유닛 지지체(44)의 앞면부(44b)의 전방측 벽면부(46b)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돌출 설치된 지지축부(131)를 히치(125)의 하단부에 설치된 보스부(132)에 지지시킨 구성을 갖는다. 즉,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의 전단부측은 보스부(132)를 통해 히치(125)에 부착되어 있다.
지지축부(131)는 유닛 지지체(44)의 전방측 벽면부(46b)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지지축부(131)는 앞면부(44b)에 대해서 핀형상의 축체를, 전후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해서 용접 등에 의해 관통 고정시킴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부(131)는 유닛 지지체(44)와 일체의 부분이며, 축심을 축심선(O1)에 일치시키고 있다.
보스부(132)는 도 13에 나타내듯이, 원통형상의 내주면(132a)에 의해 축지지 공간(132b)을 이루는 중공 원통형상의 부분이며, 후방측을 개구시킴과 아울러, 전방측을 앞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테이퍼부(132c)로 하고 있다. 보스부(132)는 원통형상의 부재를 히치(125)의 하단부에 고정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히치(125)는 그 하단부에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보스부(132)의 전방부의 측면에서 볼 때의 형상을 따르는 굴곡형상을 이루는 노치형상의 오목부(125f)를 갖는다. 보스부(132)를 이루는 원통형상의 부재는 히치(125)의 오목부(125f)에 전방부를 감합시킨 상태에서, 용접 등에 의해 히치(125)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보스부(132)는 히치(125)의 판두께보다 큰 외경을 갖고, 좌우 방향에 대해서 중앙부에 히치(125)를 위치시키고 있다.
보스부(132)에 대해서 지지축부(131)가 그 전방부를 축지지 공간(132b) 내에 삽입시킨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보스부(132)는 후방측의 개구측의 면단을 유닛 지지체(44)의 앞면부(44b)의 앞면에 근접시키고 있다. 지지축부(131)는 보스부(132)의 내주면(132a)과의 사이에 지지축부(131)를 관통시킨 베어링부재로서의 원통형상의 부시(134) 및 O링(136)을 개재시키고 있다. O링(136)은 보스부(132)의 개구단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지지축부(131)에 형성된 외주홈(131c)에 외측에서 끼운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부(131)는 보스부(132)에 대해서 보스부(132)의 외측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해서 나사 삽입된 고정 나사(137) 및 록 너트(138)에 의해 빠짐 방지되어 있다. 록 너트(138)는 보스부(132)의 외주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고정 나사(137)는 록 너트(138)에 나사 삽입됨과 아울러, 보스부(132)의 둘레벽을 관통하고, 지지축부(131)에 맞물려 있다. 고정 나사(137)는 그 선단부를 지지축부(131)의 부시(134)보다 전방측의 부분에 축경부(131a)에 의해 형성된 외주홈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지지축부(131)에 맞물려 있다(도 13 참조).
이렇게, 축지지부(130)는 분초판(21)에 대해서 히치(125)를 통해 보스부(132)에 의해, 유닛 지지체(44)의 전방부에 설치된 지지축부(131)를 지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축지지부(130)는 분초부(50)에 대해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의 전방측을 전후 방향을 회동축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는 축지지부(130)에 의해, 분초부(50)에 대해서 외팔보 지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는 분초부(50)에 대해서 유닛 지지체(44)를 전후 방향의 축심선(O1)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시킴으로써, 유닛 지지체(44)에 지지된 센서 유닛(45)을 좌우 요동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는 전후 방향의 축 둘레의 회동에 대해서 축지지부(130)에 설치된 복귀 스프링(147)에 의해, 소정의 중립 위치에 위치하도록 탄성적으로 위치 결정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147)은 소위 토션 스프링이며, 코일형상의 부분의 양단측에 직선형상의 연장부(147a)를 갖는다. 복귀 스프링(147)은 그 코일형상의 부분을 보스부(132)의 후방부에 관통시키고, 양단의 연장부(147a)를 상방으로 연장시킨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유닛 지지체(44)에 있어서는 전방측 벽면부(46b)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록킹 핀(148)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록킹 핀(148)은 전방측 벽면부(46b)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반원형상의 돌출부(44g)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보스부(132)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복귀 스프링(147)은 록킹 핀(148)의 좌우 양측에 연장부(147a)를 위치시키고, 연장부(147a)에 의해 록킹 핀(148)을 좌우 양측으로부터 탄성력을 갖고 협지하고 있다. 또한, 복귀 스프링(147)은 록킹 핀(148)의 상방에 위치하는 히치(125)의 하부의 좌우 양측에 연장부(147a)를 위치시키고, 좌우의 연장부(147a)에 의해 탄성력을 갖고 히치(125)를 협지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를 축심선(O1) 둘레로 회동 시키는 소정의 크기 이상의 외력이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에 작용하면,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는 회동 방향을 따라서 록킹 핀(148)에 의해 일방의 연장부(147a)를 누름과 아울러 타방의 연장부(147a)를 히치(125)에 록킹시킨 상태에서, 복귀 스프링(147)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회동한다. 그리고, 외력의 작용이 없어지면, 복귀 스프링(147)의 탄성력에 의해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가 중립 위치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에 있어서는 유닛 지지체(44)가 보호부재로서 기능한다. 보호부재로서의 유닛 지지체(44)는 예취부(5)의 전단에 설치된 분초판(21)을 지지하는 분초체 지지부(120)에 대해서 장치 본체(41)를 지지하고, 장치 본체(41)를 전방측 및 좌우 양측으로부터 보호한다.
유닛 지지체(44)는 앞면부(44b)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돌출된 지지축부(131) 및 보스부(132)를 통해 히치(125)에 대해서 전후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유닛 지지체(44)는 내측 벽면부(46c)로부터 좌방을 향해서 돌출된 전방측 고정축(61)을 통해 장치 본체(41)를 좌우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렇게, 유닛 지지체(44)는 히치(125)와 장치 본체(41) 사이에 있어서, 히치(125)에 대해서 장치 본체(4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로서 개재되어 있다. 즉, 장치 본체(41)는 히치(125)에 대해서 유닛 지지체(44)를 통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닛 지지체(44)는 앞면부(44b)를 장치 본체(41)의 전방에 위치시키고 있고, 앞면부(44b)에 의해, 장치 본체(41)를 전방측으로부터 보호한다. 유닛 지지체(44)는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앞면부(44b)의 대부분을 장치 본체(41)의 케이스(51)에 겹친 상태에서, 케이스(51)를 전방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유닛 지지체(44)는 좌측면부(44a) 및 우측면부(44c)를 각각 장치 본체(41)의 좌방 및 우방에 위치시키고 있고, 좌측면부(44a) 및 우측면부(44c)에 의해, 장치 본체(41)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보호한다. 유닛 지지체(44)는 좌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좌측면부(44a)의 대부분을 케이스(51)에 겹친 상태에서, 케이스(51)를 좌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또한, 유닛 지지체(44)는 우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우측면부(44c)의 대부분을 케이스(51)에 겹친 상태에서, 케이스(51)를 우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이렇게, 유닛 지지체(44)는 장치 본체(41)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보호하는 부분으로서,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한 판형상의 부분인 좌우의 측방 판부인 좌측면부(44a) 및 우측면부(44c)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유닛 지지체(44)는 분초체 지지부(120)에 대해서 장치 본체(41)와 일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분초판(21)에 대해서 히치(125)를 통해 축지지부(130)에 의해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를 지지한 구성에 의해, 유닛 지지체(44)는 전방측 고정축(61)을 통해 연결된 장치 본체(41)와 일체적으로 히치(125)에 대해서 축심선(O1)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유닛 지지체(44)에 있어서, 좌측면부(44a) 및 우측면부(44c) 각각의 후방측에는 장치 본체(41)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굴곡된 굴곡부로서의 좌우의 굴곡면부(151,152)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면부(44a)는 전후 방향에 대해서 장치 본체(41)의 후단보다 후방으로 연신되어 있고, 좌측면부(44a)의 후방측에 좌측 굴곡면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 굴곡면부(151)는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한 판형상의 부분인 좌측면부(44a)의 후단으로부터, 저면에서 볼 때 좌측면부(44a)와 함께 둔각을 이루도록 좌우 내측(우측)을 향해서 굴곡된 부분이다. 좌측 굴곡면부(151)는 제 1 지지체(46)의 후단부에 있어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면부(44a)와 좌측 굴곡면부(151)가 이루는 각도는 약 130°이다.
좌측 굴곡면부(151)는 좌측면부(44a)측으로부터 선단측에 걸쳐서 서서히 상하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한 약간 앞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좌측 굴곡면부(151)는 선단부(151a)를 케이스(51)의 좌측 부분의 후방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좌측 굴곡면부(151)는 선단부(151a)를 반원통형상의 면을 이루는 원호형상의 둥근 형상부로 하고 있다.
우측면부(44c)의 후방측의 우측 굴곡면부(152)는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한 판형상의 부분인 우측면부(44c)의 후단으로부터, 저면에서 볼 때 우측면부(44c)와 함께 둔각을 이루도록 좌우 내측(좌측)을 향해서 굴곡된 부분이다. 우측 굴곡면부(152)는 제 2 지지체(47)의 후단부에 있어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면부(44a)와 우측 굴곡면부(152)가 이루는 각도는 약 120°이다.
우측 굴곡면부(152)는 우측면부(44c)측으로부터 선단측에 걸쳐서 서서히 상하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한 약간 앞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우측 굴곡면부(152)는 선단부(152a)를 케이스(51)의 우측 부분의 후방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우측 굴곡면부(152)는 선단부(152a)를 반원통형상의 면을 이루는 원호형상의 둥근 형상부로 하고 있다.
좌측 굴곡면부(151) 및 우측 굴곡면부(152)는 선단부(151a,152a)끼리를 맞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좌우의 굴곡면부(151,152)는 좌우 방향에 대해서 각각의 선단부(151a,152a)를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의 후방에 위치하는 분초 프레임(34)의 외경의 범위(D0)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좌우 방향에 대해서 좌측 굴곡면부(151)의 선단부(151a)는 분초 프레임(34)의 좌단의 위치(D1)보다 우측(도 10에 있어서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고, 우측 굴곡면부(152)의 선단부(152a)는 분초 프레임(34)의 우단의 위치(D2)보다 좌측(도 10에 있어서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유닛 지지체(44)가 좌우의 굴곡면부(151,152)를 갖는 구성에 있어서는 유닛 지지체(44)에 의해, 장치 본체(41)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가 좌우 양측으로부터 케이스(51)의 전후 방향의 전체에 걸쳐 덮여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유닛 지지체(44)의 후방측에 있어서의 좌측 굴곡면부(151)와 우측 굴곡면부(152)의 선단부(151a,152a) 사이의 간극(153)이 후방으로부터 분초 프레임(34)의 코너부(104)에 의해 덮여진 양태로 되어 있다. 간극(153)은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분초 프레임(34)에 의해 덮여진 상태가 된다. 또한, 좌측 굴곡면부(151) 및 우측 굴곡면부(152) 각각에 대한 좌측면부(44a) 또는 우측면부(44c)에 대한 굴곡 각도의 크기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 굴곡 각도는 예각의 각도이어도 직각이어도 좋다.
또한, 분초체 지지부(120)를 구성하는 히치(125) 중 히치 전방부(125b)에는 장치 본체(41)의 전방에 위치하고, 기체의 전진에 따라 곡간을 좌우 외측으로 안내하는 전방 가이드부로서의 수평 가이드판부(160)가 설치되어 있다. 수평 가이드판부(160)는 수평판형상의 부분이며, 판형상의 부재인 전방 가이드판을 히치(125)의 하측에 고정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수평 가이드판부(160)는 히치(125)의 하측 가장자리부(125c)에 있어서의 수평면형상의 하면에 대해서 평판형상의 전방 가이드판을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수평 가이드판부(160)는 저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정점측을 전방측으로 한 대략 이등변 삼각형상의 외형을 갖는다. 수평 가이드판부(160)는 좌우 양측에 대략 이등변 삼각형상의 외형에 있어서의 사변부에 대응한 가이드 가장자리부(162)를 갖는다.
수평 가이드판부(160)는 좌우 방향에 대해서 대략 중앙부에 히치(125)를 위치시키고, 좌우 양측의 대부분을 히치(125)로부터 좌우로 돌출시키고 있다. 또한, 수평 가이드판부(160)는 전단부인 정부(頂部)(163)를 히치(125)의 하측 가장자리부(125c)로부터 전방으로 돌출시켜서 리브판부(122)의 좌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수평 가이드판부(160)의 정부(163)측에는 리브판부(122)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직각형상의 노치부(164)가 형성되어 있다.
수평 가이드판부(160)는 후측 가장자리부를 복귀 스프링(147)의 하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수평 가이드판부(160)는 후면(165)을 전후 방향에 대해서 유닛 지지체(44)의 앞면부(44b)보다 약간 전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수평 가이드판부(160)의 후측 가장자리부에는 전후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하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대략 U자상의 노치부(16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에 있어서, 검출 센서(43)는 장치 본체(41)의 케이스(51)의 외측에 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장치 본체(41)의 외측에 검출 센서(43)를 배치한 구성에 있어서, 장치 본체(41)에는 검출 센서(43)를 피복하는 센서 커버(170)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 커버(170)는 케이스(51)의 우측에 부착된 검출 센서(43)에 대해서 검출 센서(43)를 주로 상측, 우측 및 후상측으로부터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센서 커버(170)는 복수의 면부에 의해 대략 상자형상으로 구성된 일체의 부재이며, 케이스(51)에 부착됨으로써, 전방측 및 후하측을 개방시킨 커버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센서 커버(170)는 예를 들면, 수지제나 금속제의 부재이다.
센서 커버(170)는 상면부(171)와, 우측면부(172)와, 후상면부(173)와, 우측면부(172)에 대향한 좌측면부(174)를 갖는다. 센서 커버(170)의 좌측에는 센서 커버(170)를 케이스(5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면부(175)가 형성되어 있다. 센서 커버(170)는 상면부(171) 및 우측면부(172)에 의해, 상방 및 우방으로부터 검출 센서(43)의 전체를 피복하고 있다. 상면부(171) 및 우측면부(172)에 의해, 우측 케이스체(52)의 우전방측에 있어서 우측 케이스체(52)와 함께 전방측의 개구부(170a)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면부(175)는 측면에서 볼 때 산형 형상을 이루는 케이스(51)의 상변측의 후방측의 외형을 따른 형상을 갖는다. 고정면부(175)는 상면부(171)의 전방부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된 수평형상의 앞면부와, 이 앞면부의 후방측의 부분이며 좌측면부(174)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아래로 내려가는 경사형상을 이루는 후경사면부를 갖는다.
센서 커버(170)는 고정면부(175)에 있어서, 앞면부와 후경사면부의 전후 중간부의 2개소에서 볼트(176)에 의해 케이스(51)에 고정되어 있다. 볼트(176)는 고정면부(175)을 관통하고, 케이스(51)의 우측 케이스체(52)에 형성된 나사 구멍(52b)(도 12 참조)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센서 커버(170)는 상면부(171) 및 우측면부(172)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의 위치를 검출 센서(43)의 전단의 위치에 대략 일치시키고 있다. 우측면부(172)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에는 상하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좌우 내측을 향해서 1/4 원통형상의 곡면형상을 이루는 만곡면부(177)가 형성되어 있다.
센서 커버(170)는 후방부를 케이스(51)의 상부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돌출시킨 돌출부(178)로 하고 있다. 돌출부(178)는 상면부(171) 및 우측면부(172) 각각의 후방부와, 후상면부(173)와, 좌측면부(174)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검출 센서(43)의 커넥터부(43b)의 후방측에 센서 커버(170)에 의해 둘러싸여진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 내부 공간은 우측면부(172), 후상면부(173), 및 좌측면부(174)에 의해, 센서 커버(170)의 후하측을 향해서 개구된 개구부(179)를 형성하고 있다. 돌출부(178)의 내부 공간은 센서 커버(170) 내에 있어서, 검출 센서(43)에 대한 와이어 하니스(80)의 접속부 및 그 근방부분의 배치 공간이 된다.
또한, 분초체 지지부(120)에는 장치 본체(41)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갖고, 기체의 전진에 따라 곡간을 좌우 외측으로 안내하는 상방 가이드부로서 좌전방 가이드판부(201), 좌후방 가이드판부(202), 우전방 가이드판부(203) 및 우후방 가이드판부(204)가 설치되어 있다.
좌전방 가이드판부(201)는 측면에서 볼 때 소정의 굴곡형상을 이루는 판형상의 부분이며, 히치(125)의 좌측면(125g)에 대해서 판형상의 부재를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좌전방 가이드판부(201)는 히치(125)의 앞이 내려간 경사를 따르도록 경사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좌전방 가이드판부(201)는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앞이 내려간 경사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고 있다.
좌전방 가이드판부(201)는 측면에서 볼 때의 굴곡형상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에 걸쳐서, 전방 경사부(201a)와, 전방 경사부(201a)보다 경사가 완만한 중간 경사부(201b)와, 후방 경사부(201c)를 갖는다(도 7 참조). 좌전방 가이드판부(201)는 전방 경사부(201a)와 중간 경사부(201b)의 전방부로 이루어지는 전방측의 대략 절반을 좌측면에서 볼 때 분초판(21)의 좌측 부분에 의해 피복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분초판(21)을 상승 회동시킴으로써, 좌전방 가이드판부(201)의 전체 또는 대략 전체가 노출된 상태가 된다(도 7 참조).
좌전방 가이드판부(201)는 중간 경사부(201b)의 후방부와 후방 경사부(201c)로 이루어지는 후방측의 대략 절반을 측면에서 볼 때 분초판(21)의 하측 가장자리의 하방에 위치시키고, 분초판(21)으로부터 노출시키고 있다. 좌전방 가이드판부(201)는 후방 경사부(201c)의 좌우 폭을 다른 부분에 대해서 좌측으로 넓히고 있고, 후방 경사부(201c)의 좌측 부분을 정면에서 볼 때 분초판(21)으로부터 좌방을 향해서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좌전방 가이드판부(201)는 좌우 방향에 대해서 후방 경사부(201c)의 좌단을 케이스(51)보다 외측(좌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방 경사부(201c)의 좌단에 위치하는 측단면(201d)은 좌우 방향에 대해서 유닛 지지체(44)의 좌측면부(44a)의 좌측면(44d)과 대략 같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도 11 참조). 또한, 측단면(201d)은 평면으로 볼 때 전후 방향을 따르는 면이다. 후방 경사부(201c)는 전방부의 측면을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에 걸쳐서 서서히 후방 경사부(201c)의 폭을 좁게 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01e)으로 하고 있다. 경사면(201e)은 중간 경사부(201b)의 측면(201f)에 연속되어 있다(도 14 참조).
좌전방 가이드판부(201)의 후방 경사부(201c)는 좌측면에서 볼 때 히치(125)의 후방부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따르도록 경사형상으로 연신되어 있다. 좌전방 가이드판부(201)는 전후 방향에 대해서 후방 경사부(201c)의 전단부를 케이스(51)의 전단부 근방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후방 경사부(201c)의 후단부를 케이스(51)의 후방부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렇게, 좌전방 가이드판부(201)는 장치 본체(41)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후방 경사부(201c)를 갖고, 후방 경사부(201c)에 의해 장치 본체(41)의 좌측부분을 상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좌전방 가이드판부(201)의 전방 경사부(201a) 및 중간 경사부(201b)는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케이스(51)의 좌측 부분의 상부의 대부분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전방 경사부(201a)는 후방부의 측면을 중간 경사부(201b)의 측면(201f)과 면일(面一)형상의 면으로 함과 아울러, 전방부의 측면을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에 걸쳐서 서서히 전방 경사부(201a)의 폭을 좁게 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01g)으로 하고 있다. 좌전방 가이드판부(201)는 전단부를 전후 방향에 대해서 보스부(132)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연장 설치되어 있다.
좌전방 가이드판부(201)의 후방측에 좌후방 가이드판부(202)가 설치되어 있다. 좌후방 가이드판부(202)는 좌전방 가이드판부(201)의 후방측에 있어서, 좌전방 가이드판부(201)와 평행형상으로 설치된 판형상의 부분이다. 좌후방 가이드판부(202)는 히치 지지판(124)의 좌측면(124b) 및 분초 프레임(34)의 전방측 경사부(103)의 좌측의 외주면에 대해서 판형상의 부재를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좌후방 가이드판부(202)를 이루는 판형상의 부재는 분초 프레임(34)을 감합시키는 원호형상의 오목부(202a)를 갖는다(도 5 참조).
좌후방 가이드판부(202)는 좌전방 가이드판부(201)와 대략 같은 폭을 갖고, 좌우 방향에 대해서 평면으로 볼 때 전후 방향을 따르는 면으로서 좌단에 위치하는 측단면(202d)을 좌전방 가이드판부(201)의 측단면(201d)과 대략 같은 위치에 위치시키고 있다(도 11 참조). 좌후방 가이드판부(202)는 전방부의 측면을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에 걸쳐서 서서히 좌후방 가이드판부(202)의 폭을 좁게 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02e)으로 하고 있다(도 5 참조).
좌후방 가이드판부(202)는 전단부를 좌전방 가이드판부(201)의 후단부의 하방에 위치시키고, 평면으로 볼 때 좌전방 가이드판부(201)와 전후로 연속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좌후방 가이드판부(202)는 전후 방향에 대해서 전단부를 케이스(51)의 중앙부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있고, 후단부를 케이스(51)보다 후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렇게, 좌후방 가이드판부(202)는 장치 본체(41)의 상방에 위치하고, 장치 본체(41)의 좌측부분의 후방부를 상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우전방 가이드판부(203)는 히치(125)의 우측에 있어서의 히치 지지판(124)과 리브판부(122) 사이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우전방 가이드판부(203)는 히치(125)의 우측면(125h)에 대해서 판형상의 부재를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우전방 가이드판부(203)는 히치(125)의 앞이 내려간 경사를 따르도록 경사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우전방 가이드판부(203)는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앞이 내려간 경사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고 있다.
우전방 가이드판부(203)는 우측면에서 볼 때 분초판(21)의 우측 부분에 의해 전체적으로 피복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분초판(21)을 상승 회동시킴으로써, 우전방 가이드판부(203)의 전체가 노출된 상태가 된다(도 8 참조). 우전방 가이드판부(203)는 평면으로 볼 때 전후 방향을 따르는 면으로서 우단에 위치하는 측단면(203d)을 분초판(21)의 우단보다 내측(좌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우전방 가이드판부(203)는 전방부의 측면을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에 걸쳐서 서서히 우전방 가이드판부(203)의 폭을 좁게 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03e)으로 하고 있다.
우전방 가이드판부(203)는 전후 방향에 대해서 전단부를 보스부(132)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후단부를 케이스(51)의 전방부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렇게, 우전방 가이드판부(203)는 장치 본체(41)의 상방에 위치하고, 장치 본체(41)의 우측 부분의 전방부를 상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우전방 가이드판부(203)의 후상방에 우후방 가이드판부(204)가 설치되어 있다. 우후방 가이드판부(204)는 히치 지지판(124)의 우측에 있어서, 좌후방 가이드판부(202)보다 상방의 높이 위치에 히치(125)의 앞이 내려간 경사를 따르도록 경사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우후방 가이드판부(204)는 좌후방 가이드판부(202)에 대해서 평행형상이 되도록, 또한 평면으로 볼 때 좌우 대략 대칭의 외형을 이루도록 설치된 판형상의 부분이다. 우후방 가이드판부(204)는 히치 지지판(124)의 우측면(124c) 및 분초 프레임(34)의 전방측 경사부(103)의 우측의 외주면에 대해서 판형상의 부재를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우후방 가이드판부(204)를 이루는 판형상의 부재는 분초 프레임(34)을 감합시키는 원호형상의 오목부(204a)를 갖는다(도 11 참조).
우후방 가이드판부(204)는 좌우 방향에 대해서 평면으로 볼 때 전후 방향을 따르는 면으로서 우단에 위치하는 측단면(204d)을 케이스(51)보다 외측(우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우후방 가이드판부(204)의 전방부는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에 걸쳐서 서서히 폭을 좁게 한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우후방 가이드판부(204)는 우측의 측면으로서, 측단면(204d)과, 측단면(204d)의 전방측의 제 1 경사면(204e)과, 제 1 경사면(204e)의 전방측의 제 2 경사면(204f)을 갖는다. 제 2 경사면(204f)의 평면으로 볼 때의 전후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제 1 경사면(204e)의 동 경사 각도보다 작다.
우후방 가이드판부(204)는 우측면에서 볼 때 히치 지지판(124)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따르도록 경사형상으로 연신되어 있다. 우후방 가이드판부(204)는 전후 방향에 대해서 전단부를 케이스(51)의 전방부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있고, 후단부를 케이스(51)보다 후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렇게, 우후방 가이드판부(204)는 장치 본체(41)의 상방에 위치하고, 장치 본체(41)의 우측 부분의 후방측의 대부분을 상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이상과 같은 4개의 상방 가이드부 중 우측에 위치하는 우전방 가이드판부(203) 및 우후방 가이드판부(204)는 검출 센서(43)로부터 연장된 와이어 하니스(8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듯이, 우전방 가이드판부(203) 및 우후방 가이드판부(204)는 분초체 지지부(120)의 우측에 있어서, 분초체 지지부(120)의 앞이 내려간 경사를 따라 배치되는 와이어 하니스(80)의 일부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판부가 된다.
우전방 가이드판부(203)는 상측의 판면을 평평한 경사면으로 하고 있고, 이 상측의 판면을 와이어 하니스(80)의 지지면(203g)으로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우후방 가이드판부(204)는 평평한 경사면인 상측의 판면을 와이어 하니스(80)의 지지면(204g)으로 하고 있다. 우전방 가이드판부(203)의 지지면(203g)은 우후방 가이드판부(204)의 지지면(204g)에 대해서 단차를 두고 내려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우전방 가이드판부(203) 및 우후방 가이드판부(204)는 각각 와이어 하니스(80)의 일부를 지지면(203g,204g) 상에 적재시킨 상태로 와이어 하니스(80)를 지지한다. 우전방 가이드판부(203) 및 우후방 가이드판부(204)에 의한 와이어 하니스(80)에 대한 지지 작용에 의해, 와이어 하니스(80)가 소정의 배선 형태를 이루도록 부분적으로 안내된다.
와이어 하니스(80) 중 우전방 가이드판부(203) 및 우후방 가이드판부(204)에 의해 지지된 부분은 분초체 지지부(120)의 앞이 내려간 경사를 따르도록 경사형상으로 배치된 부분이 된다. 또한, 우전방 가이드판부(203) 및 우후방 가이드판부(204)에 의한 와이어 하니스(80)의 피지지 부분의 대부분은 하강 상태의 분초판(21)의 우측 부분에 피복된 상태가 된다.
우전방 가이드판부(203) 및 우후방 가이드판부(204)에 있어서, 와이어 하니스(80)는 도시하지 않은 밴드 등의 고정구나 클램프 등의 록킹구에 의해, 우전방 가이드판부(203) 및 우후방 가이드판부(204)에 대해서 적당히 록킹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우전방 가이드판부(203) 및 우후방 가이드판부(204)에 대한 와이어 하니스(80)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와이어 하니스(80)는 일단측에 설치된 커넥터(도시생략)를 검출 센서(43)의 커넥터부(43b)에 접속시켜서 검출 센서(43)로부터 연장되고, 소정의 배선 경로에 의해, 제어 장치가 설치된 주행 기체(4)측으로 배선된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하니스(80)는 접속구를 후상측을 향해서 개구시킨 커넥터부(43b)로부터 센서 커버(170)에 있어서의 돌출부(178)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전방측으로 리턴되고, 센서 커버(170) 내에 있어서 검출 센서(43) 상을 전방측을 향해서 배치된다.
와이어 하니스(80)는 센서 커버(170)의 전방측의 개구부(170a)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우측면에서 볼 때 보스부(132)의 근방에서 리턴되고, 분초체 지지부(120)의 우측에 있어서, 분초체 지지부(120)의 앞이 내려간(뒤가 올라간) 경사를 따라 후방측에 배치된다. 보스부(132)의 상방에는 후방측으로 리턴되는 와이어 하니스(80)를 록킹하는 록킹 가이드(180)가 설치되어 있다.
록킹 가이드(180)는 소정의 굴곡형상 내지 만곡형상을 갖는 대략 판형상의 외형 부분이며, 리브판부(122)의 우측면(122a)에 고정되고, 리브판부(122)의 후단부로부터 우방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록킹 가이드(180)는 리브판부(122)로부터의 돌출 부분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따르는 암부(181)와, 암부(181)의 선단부로부터 전방측을 향해서 굴곡된 굴곡부(182)와, 암부(181)의 기단부로부터 후방측을 향해서 굴곡된 고정부(183)를 갖는다. 록킹 가이드(180)는 고정부(183)를 리브판부(122)의 우측면(122a)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리브판부(122)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록킹 가이드(180)에 있어서는 암부(181)로부터 굴곡부(182)에 걸쳐서 폭 방향의 중간부에 긴 구멍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록킹 가이드(180)에 의해 후방측으로 리턴된 와이어 하니스(80)는 분초체 지지부(120)의 우측에 있어서, 우전방 가이드판부(203) 및 우후방 가이드판부(204)에 지지되어서 안내된다. 와이어 하니스(80)는 우후방 가이드판부(204)에 의한 지지 부분보다 후방측의 부분을 분초 프레임(34) 내에 수납시키고 있다.
분초 프레임(34)은 중공 파이프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분초 프레임(34)의 내부 공간이 와이어 하니스(80)의 배치 공간으로 되어 있다. 분초 프레임(34)의 전방측 경사부(103)의 우측의 둘레벽부에는 와이어 하니스(80)를 관통시키는 긴 구멍형상의 구멍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분초 프레임(34) 내에 배치된 와이어 하니스(80)는 분초 프레임(34)의 후방부에 있어서 소정의 장소로부터 분초 프레임(34) 밖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배선 경로를 거쳐 본 기측의 제어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분초 프레임(34)을 구성하는 중공 파이프의 선단 개구부는 원반형상의 덮개부재(35)에 의해 막혀져 있다.
도 6에는 와이어 하니스(80)와 고정되는 록킹구로서 센서 커버(170) 내에 배치된 와이어 하니스(80)의 부분을 고정하는 수지제의 결속 밴드(210)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결속 밴드(2106)는 일측의 부분을 센서 커버(170)의 우측면부(172)의 외측에 배치함과 아울러, 타측의 부분을 센서 커버(170) 내에 있어서 검출 센서(43)와 우측 케이스체(52) 사이를 통과해서 센서 커버(170)의 상면부(171)에 개구된 록킹 구멍(171a)(도 5, 도 12 참조)에 관통시키고, 상면부(171)의 상측에서 록되어 있다.
결속 밴드(210)는 검출 센서(43) 및 센서 커버(170)의 우측면부(172)와 함께 와이어 하니스(80)를 둘러싼 상태에서, 센서 커버(170) 내에 있어서 검출 센서(43)의 상측에 배치된 와이어 하니스(80)를 고정 유지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 한정되지 않고, 와이어 하니스(80)는 그 배선 경로에 있어서, 결속 밴드 등에 의해 적당한 장소에 대해서 고정 유지된다.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콤바인(1)에 의한 통상 작업시, 즉 기체 전진 상태에서의 작업시에는 예취 높이가 설정값으로 유지되도록,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에 의한 예취 높이의 검출값에 의거하여 예취 높이의 제어가 행해진다. 예취 높이의 검출은 접지체(42)가 장치 본체(41)에 대한 회동 위치를 기준 위치보다 후방으로 한 상태에서 행해진다.
기체 전진시에 있어서, 선단을 지면(G1)에 접촉시킨 상태로 슬라이딩하는 접지체(42)는 접지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 장치 본체(41)의 케이스(51)에 대해서 기준 위치로부터 후방측 회동축(62) 둘레로 후방으로 회동한다(도 7, 화살표(C1) 참조). 접지체(42)는 후방측 회동축(62)과 일체적으로 제 2 축심(P2) 둘레로 회동하고, 후방측 회동축(62)의 회동이 기어 등을 통해 중간 회동축(70)에 전달되고, 이 중간 회동축(70)의 회동이 검출 센서(43)에 의해 검출되고, 중간 회동축(70)의 회동량에 의거해서 예취 높이가 검출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접지체(42)가 접지한 상태로 기체의 조향 조작이 행해진 경우 등,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에 횡 방향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는 축지지부(130)에 의해, 전후 방향의 축심선(O1) 둘레로 회동해서 빠지게 된다(도 11, 화살표(E1) 참조).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에 대한 횡 방향의 외력의 작용이 없어지면, 복귀 스프링(147) 및 록킹 핀(148)에 의한 바이어싱 구조에 의해,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는 소정의 중립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콤바인(1)에 의하면, 예취부(5)에 의한 예취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 분초판(21)에 의해 좌우로 나뉘어진 그루터기나 뿌리 등이 접촉하는 것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정되게 예취 높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내듯이, 곡간의 예취 작업에 있어서는 가로 베기 등이 행해질 때에 기체의 전진에 따라 분초판(21)에 의해 그루터기(220)가 좌우의 곡간(221)으로 나뉘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좌우로 나뉘어진 그루터기(220)나 그 뿌리 등이 분초판(21)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장치 본체(41)나 접지체(42)에 접촉하는 일이 있다. 장치 본체(41)나 접지체(42)에 그루터기(220) 등이 접촉하는 것은 센서 유닛(45)의 오작동을 발생시켜서 예취 높이의 검출값이 안정되지 못한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좌우로 나뉜 그루터기(220) 등이 접지체(42)에 작용하는 것은 센서 유닛(45)에 의한 예취 높이의 검출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도 14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 및 그 주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래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는 분초체 지지부(120)에 대해서 장치 본체(41)를 지지함과 아울러, 장치 본체(41)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부재로서의 유닛 지지체(44)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곡간의 예취 작업에 있어서 분초판(21)에 의해 그루터기를 좌우로 나눈 경우이어도, 유닛 지지체(44)에 의해 센서 유닛(45)을 보호할 수 있다.
즉, 기체의 전진에 따라 분초판(21)에 의해 좌우로 나뉘어진 그루터기 등을 분초판(21)의 후방측에 있어서 유닛 지지체(44)에 의해 센서 유닛(45)의 좌우 외측으로 안내해서 좌우 외측으로 쓰러뜨릴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분초판(21)에 의해 일단 좌우로 나뉘어진 그루터기 등에 대해서 유닛 지지체(44)에 의해 분초작용을 연속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좌우로 나뉘어진 그루터기 등이 센서 유닛(45)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좌우로 나뉘어진 그루터기가 좌우 내측으로 쓰러져서 장치 본체(41)에 접촉하거나 접지체(42)에 걸리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좌우로 나뉘어진 그루터기가 접지체(42)에 걸리는 것 등에 기인하는 센서 유닛(45)의 오작동을 억제할 수 있어 예취 높이의 검출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콤바인(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닛 지지체(44)는 분초체 지지부(120)를 구성하는 히치(125)에 대해서 전후 방향의 축 둘레로 장치 본체(41)와 일체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에 횡 방향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 있어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를 축심선(O1) 둘레로 롤링 회동시켜서 빼낼 수 있어 외력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회동하는 장치 본체(41)에 유닛 지지체(44)를 추종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장치 본체(41)의 전후 방향의 축 둘레의 회동 위치에 관계 없이, 유닛 지지체(44)에 의해 장치 본체(41)를 보호할 수 있어 예취 높이의 검출 정밀도를 효과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유닛 지지체(44)는 좌측면부(44a) 및 우측면부(44c) 각각의 후방측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굴곡된 좌측 굴곡면부(151) 및 우측 굴곡면부(152)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평면으로 볼 때 장치 본체(41)의 주위를 둘러싸는 유닛 지지체(44)에 있어서, 후방측을 폐색 내지 대략 폐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체의 후진시 등에 밑둥이나 미예취의 그루터기 등이 유닛 지지체(44)의 내측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그루터기 등이 장치 본체(41)나 접지체(42) 등에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므로, 예취 높이의 검출 정밀도를 효과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의 굴곡면부(151,152)는 각각의 선단부(151a,152a)를 그 바로 후방에 위치하는 분초 프레임(34)의 좌우 폭의 범위 내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좌우의 굴곡면부(151,152) 사이의 간극(153)을 분초 프레임(34)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커버할 수 있으므로, 기체의 후진시 등에 그루터기 등이 유닛 지지체(44)의 내측에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히치(125)의 하측에는 장치 본체(41)의 전방에 위치하는 수평 가이드판부(16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평면으로 볼 때 전방측을 정점측으로 한 대략 이등변 삼각형상의 외형에 있어서의 좌우의 가이드 가장자리부(162)가 주로 가이드부가 되고, 좌우로 나뉘어진 그루터기나 잡초 등의 협잡물을 기체의 전진에 따라 센서 유닛(45)의 좌우 외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분초판(21)과 더불어 분초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고, 좌우로 나뉘어진 그루터기 등이 센서 유닛(45)에 접촉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콤바인(1)에 의하면, 예취부(5)에 의한 예취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 분초판(21)의 위치를 조정해도 예취 높이의 목표값을 재설정할 필요가 없어 양호한 작업성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취 높이의 자동 제어에 있어서 미리 설정되는 예취 높이 목표값은 장치 본체(41)의 대지 높이에 관한 값이다. 이 때문에 분초판(21)의 상하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예를 들면, 분초판(21)에 대해서 장치 본체(41)를 부착한 구성의 경우, 분초판(21)의 상하 위치의 변경에 따라 장치 본체(41)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예취 높이 목표값을 다시 설정할 필요가 발생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장치 본체(41)를 분초판(21)을 상하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지지한 분초체 지지부(120)에 대해서 설치함으로써, 분초판(21)의 위치 조정과는 무관계로 장치 본체(41)의 높이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분초판(21) 및 장치 본체(41)가 각각 독립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분초체 지지부(120)에 대해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초판(21)만의 높이의 변경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분초판(21)의 위치 조정에 따른 예취 높이 목표값의 재설정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도복 상태 등의 작물의 육성 상황이나 포장조건 등에 따라서 행해지는 분초판(21)의 위치 조정의 작업을 스무드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히치(125)에 있어서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의 지지 강도를 확보함으로써, 히치(125)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초체 지지부(120)에는 장치 본체(41)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방 가이드부로서, 좌전방 가이드판부(201), 좌후방 가이드판부(202), 우전방 가이드판부(203) 및 우후방 가이드판부(204)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분초판(21)을 상승 회동시킨 경우이어도, 이들 가이드판부에 의해, 좌우로 나뉘어진 그루터기 등을 기체의 전진에 따라 센서 유닛(45)의 좌우 외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분초판(21)의 위치에 관계 없이, 좌우로 나뉘어진 그루터기 등이 센서 유닛(45)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예취 높이의 검출 정밀도를 안정시킬 수 있다. 각 가이드판부에 있어서는 주로 경사면(201e,201g,202e,203e), 제 1 경사면(204e), 및 제 2 경사면(204f)이 좌우로 나뉘어진 그루터기 등에 대한 가이드면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우전방 가이드판부(203) 및 우후방 가이드판부(204)는 와이어 하니스(80)의 지지부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분초체 지지부(120)의 주위에 있어서, 와이어 하니스(80)를 지지·안내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 설치할 필요를 없앨 수 있으므로, 와이어 하니스(80)의 지지 구조를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분초판(21)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수평 가이드판부(160)가 분초체 지지부(120)의 히치(125)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분초판(21)의 위치 조정의 영향을 받지 않고 수평 가이드판부(160)의 위치가 유지되므로, 분초판(21)의 위치에 관계 없이 수평 가이드판부(160)에 의한 분초작용을 얻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분초판(21)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도, 수평 가이드판부(160)에 의한 분초작용에 의해, 좌우로 나뉘어진 그루터기 등이 센서 유닛(45)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안심하고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예취 높이 검출 장치(40)는 장치 본체(41)에 부착된 검출 센서(43)를 피복하는 센서 커버(170)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검출 센서(43), 및 검출 센서(43)에 대한 와이어 하니스(80)의 접속부를 기체의 이동에 따라 장치 본체(41)에 접근하려고 하는 그루터기나 협잡물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검출 센서(43) 자체나 검출 센서(43)에 대한 신호의 전달 경로의 파손 등의 문제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례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상술한 실시형태 이외여도,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이면, 설계 등에 따라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개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다른 효과가 있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장치 본체(41)의 우측에 있어서, 보호부재인 유닛 지지체(44)의 우측면부(44c)의 내측(좌측)에 센서 커버(170)가 설치되어 있지만, 센서 커버(170)가 본 발명에 따른 보호부재를 겸한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예를 들면, 센서 커버(170)에 의한 장치 본체(41)에 대한 피복 범위를 넓히거나, 센서 커버(170)의 우측면부(172)를 장치 본체(41)에 대해서 유닛 지지체(44)의 우측면부(44c)와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좌우 외측(우측)에 위치시키거나 함으로써, 분초판(21)에 의해 좌우로 나뉘어진 그루터기 등을 센서 커버(170)에 의해 우외측으로 안내하는 작용이 얻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닛 지지체(44)에 있어서 우측면부(44c)를 생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지지체(47)를 생략하고, 유닛 지지체(44)를 제 1 지지체(46)에 의해서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유닛 지지체(44)가 센서 커버(170)를 겸한 구성이어도 좋다. 즉, 유닛 지지체(44)의 일부에 의해, 센서 커버(170)에 상당하는 커버 부분을 설치한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예를 들면, 유닛 지지체(44)의 우측면부(44c)를 확대하는 것 등에 의해, 유닛 지지체(44)의 일부로서 검출 센서(43)를 피복하는 커버 부분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닛 지지체(44)가 본 발명에 따른 보호부재 및 센서 커버로서 기능하게 되고, 센서 커버를 유닛 지지체(44)와는 별도 부재로서 설치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1: 콤바인
4: 주행 기체
5: 예취부
21: 분초판(분초체)
40: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1: 장치 본체
42: 접지체
43: 검출 센서
44: 유닛 지지체(보호부재)
44a: 좌측면부(측방 판부)
44c: 우측면부(측방 판부)
45: 센서 유닛
51: 케이스
80: 와이어 하니스
120: 분초체 지지부
121: 분초판 본체
122: 리브판부
124: 히치 지지판
125: 히치
151: 좌측 굴곡면부(굴곡부)
152: 우측 굴곡면부(굴곡부)
160: 수평 가이드판부(전방 가이드부)
170: 센서 커버
201: 좌전방 가이드판부(상방 가이드부)
202: 좌후방 가이드판부(상방 가이드부)
203: 우전방 가이드판부(상방 가이드부)
204: 우후방 가이드판부(상방 가이드부)

Claims (9)

  1. 주행 기체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예취부와, 상기 예취부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예취 높이 검출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으로서,
    상기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접지체와,
    상기 접지체의 회동량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를 갖고,
    상기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예취부의 높이를 검출하는 것이며,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예취부의 전방부에 설치된 분초체를 지지하는 분초체 지지부에 대해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초체는 상기 분초체 지지부에 대해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초체 지지부에는 상기 장치 본체의 상방에 위치하고, 기체의 전진에 따라 곡간을 좌우 외측으로 안내하는 상방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가이드부는 상기 검출 센서로부터 연장된 신호선을 지지하는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초체 지지부에는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에 위치하고, 기체의 전진에 따라 곡간을 좌우 외측으로 안내하는 전방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센서는 상기 장치 본체에 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치 본체에는 상기 검출 센서를 피복하는 센서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의 전방부에 설치된 분초체를 지지하는 분초체 지지부에 대해서 상기 장치 본체를 지지하고, 상기 장치 본체를 전방측 및 좌우 양측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부재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분초체 지지부에 대해서 상기 장치 본체와 일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장치 본체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보호하는 부분으로서,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한 판형상의 부분인 좌우의 측방 판부를 포함하고,
    좌우의 상기 측방 판부의 후방측에는 상기 장치 본체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굴곡된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초체 지지부에는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에 위치하고, 기체의 전진에 따라 곡간을 좌우 외측으로 안내하는 전방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230030427A 2022-03-10 2023-03-08 콤바인 KR202301332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37611A JP2023132351A (ja) 2022-03-10 2022-03-10 コンバイン
JPJP-P-2022-037611 2022-03-10
JP2022037610A JP2023132350A (ja) 2022-03-10 2022-03-10 コンバイン
JPJP-P-2022-037610 2022-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219A true KR20230133219A (ko) 2023-09-19

Family

ID=8819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0427A KR20230133219A (ko) 2022-03-10 2023-03-08 콤바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321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7987U (ja) 1981-10-16 1983-04-19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飾り石付リユ−ズ装置
JPS5954275U (ja) 1982-10-01 1984-04-09 日本電気株式会社 ケ−ブル固定サポ−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7987U (ja) 1981-10-16 1983-04-19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飾り石付リユ−ズ装置
JPS5954275U (ja) 1982-10-01 1984-04-09 日本電気株式会社 ケ−ブル固定サポ−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16944B1 (en) Automatic divider height positioning for an agricultural harvester
JP2011200188A (ja) コンバイン
JP6419001B2 (ja) コンバイン
KR20230133219A (ko) 콤바인
JP2010063443A (ja) 普通型コンバイン
WO2022059458A1 (ja) コンバイン
JP2007117015A (ja) コンバインの分草装置
JP2023132350A (ja) コンバイン
JP2023132351A (ja) コンバイン
JP7485578B2 (ja) コンバイン
JP7484539B2 (ja) コンバイン
JP5330781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H0750901Y2 (ja) コンバインの穀稈刈取装置
JP2605716Y2 (ja) コンバインの掻込み作用力調節構造
JP2019205415A (ja) コンバイン
JP3103058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2607045B2 (ja) コンバインの補助刈取装置取付構造
JP4063855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り部昇降構造
JPS6041069Y2 (ja) 刈取機
JP3280262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支持構造
JPH1084732A (ja) コンバインの刈り高さ制御装置
JP4956605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り部昇降構造
JPH0432913Y2 (ko)
JP2021023119A (ja) 収穫機
JP4832395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り部昇降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