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655A - 퓨즈 용단 장치 - Google Patents

퓨즈 용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655A
KR20230064655A KR1020210149494A KR20210149494A KR20230064655A KR 20230064655 A KR20230064655 A KR 20230064655A KR 1020210149494 A KR1020210149494 A KR 1020210149494A KR 20210149494 A KR20210149494 A KR 20210149494A KR 20230064655 A KR20230064655 A KR 20230064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use
terminal
type fus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7588B1 (ko
Inventor
박성민
김용은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49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588B1/ko
Publication of KR20230064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8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11Miniature fuses
    • H01H85/0415Miniature fuses cartridge type
    • H01H85/0417Miniature fuses cartridge type with parallel sid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43Electrical contacts; Fastening fusible members to such contacts
    • H01H85/147Parallel-side contact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레이드형 퓨즈를 용단시키도록 블레이드형 퓨즈에 결합되는 퓨즈 용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통평면을 따라 배열되는 제1 및 제2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 및 단자부를 고정시키는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제1 단자는 대전류를 발생시키는 전원에 연결되고, 제2 단자는 접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퓨즈 용단 장치{FUSING DEVICE FOR FUSE}
본 발명은 퓨즈 용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레이드형 퓨즈를 의도적으로 용단시킬 수 있는 퓨즈 용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에는 전조등, 히터, 에어콘, 오디오 등의 부하가 구비되어 있으며, 부하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전원과 부하 사이에 퓨즈가 구비된다. 퓨즈는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용단하여 해당 회로에 연결된 부하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5808호(2020.03.02.)의 '블레이드 퓨즈'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블레이드형 퓨즈를 의도적으로 용단시킬 수 있는 퓨즈 용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퓨즈 용단 장치는 블레이드형 퓨즈를 용단시키도록 상기 블레이드형 퓨즈에 결합되는 퓨즈 용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통평면을 따라 배열되는 제1 및 제2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를 고정시키는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대전류를 발생시키는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접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블레이드형 퓨즈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부에는 상기 블레이드형 퓨즈의 단자가 노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가이드홈부에 상기 제1 및 제2 단자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단자와 상기 블레이드형 퓨즈의 단자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 상기 블레이드형 퓨즈의 용단부, 및 상기 접지를 연결하는 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레이드형 퓨즈를 용단시킬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블레이드형 퓨즈를 용단시킬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전원을 제어하여 대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레이드형 퓨즈에 연결된 부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블레이드형 퓨즈를 용단시킬 필요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블레이드형 퓨즈가 연결된 회로에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블레이드형 퓨즈를 의도적으로 용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블레이드형 퓨즈를 의도적으로 용단시킴으로써 블레이드형 퓨즈에 연결된 부하의 이상에 따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형 퓨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용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내연기관을 이용하는 차량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에 퓨즈 용단 장치를 적용한 실시예이다.
도 4는 전기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차에 퓨즈 용단 장치를 적용한 실시예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 용단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용단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용단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블레이드형 퓨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형 퓨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형 퓨즈(100)는 단자부(110), 용단부(120) 및 하우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110)는 공통평면을 따라 배열되는 한쌍의 단자(111, 112)를 포함할 수 있다. 용단부(120)는 한쌍의 단자(111, 112)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용단부(120)는 금속 와이어일 수 있으며, 과전류가 흐를 경우 녹아서 끊어질 수 있다.
하우징부(130)는 단자부(110)를 고정시키고, 용단부(120)를 수용할 수 있다. 즉, 한쌍의 단자(111, 112)는 용단부(120)와 연결된 상태로 사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하우징부(130)에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부(130)는 후술하는 퓨즈 용단 장치(200)의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홈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부(140)에는 블레이드형 퓨즈(100)의 단자(111, 112)가 노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가이드홈부(140)는 퓨즈 용단 장치(200)의 단자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으며, 퓨즈 용단 장치(200)의 단자가 가이드홈부(140)에 삽입되는 경우, 블레이드형 퓨즈(100)의 단자(111, 112)는 퓨즈 용단 장치(200)의 단자와 접촉할 수 있다.
한편 도 1b와 같이, 가이드홈부(140)를 통해 다른 블레이드형 퓨즈(100)의 단자(111, 112)가 수용될 수도 있다. 블레이드형 퓨즈(100)의 하우징부(130)에 형성된 가이드홈부(140)에 다른 블레이드형 퓨즈(100)의 단자(111, 112)를 삽입함으로써 블레이드형 퓨즈(100)를 병렬 연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블레이드형 퓨즈(100)의 용량(A)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용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a는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용단 장치(200)는 단자부(210) 및 하우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210)는 공통평면을 따라 배열되는 제1 및 제2 단자(211, 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211)의 일측은 대전류를 발생시키는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단자(211)의 타측은 블레이드형 퓨즈(100)의 하우징부(130)에 형성된 가이드홈부(140)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단자(211)가 블레이드형 퓨즈(100)의 하우징부(130)에 형성된 가이드홈부(140)에 삽입되는 경우, 제1 단자(211)는 가이드홈부(140)에 노출 형성된 블레이드형 퓨즈(100)의 단자(111)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단자(212)의 일측은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단자(212)의 타측은 블레이드형 퓨즈(100)의 하우징부(130)에 형성된 가이드홈부(140)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단자(212)가 블레이드형 퓨즈(100)의 하우징부(130)에 형성된 가이드홈부(140)에 삽입되는 경우, 제2 단자(212)는 가이드홈부(140)에 노출 형성된 블레이드형 퓨즈(100)의 단자(112)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부(220)는 단자부(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단자부(210)는 공통평면을 따라 배열된 상태로 사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하우징부(220)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단자(211)는 하우징부(220)를 통해 제2 단자(212)와 전기적인 절연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단자(211, 212)가 블레이드형 퓨즈(100)의 하우징부(130)에 형성된 가이드홈부(140)에 수용되는 경우, 제1 및 제2 단자(211, 212)와 블레이드형 퓨즈(100)의 단자(111, 112)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퓨즈 용단 장치(200)의 제1 단자(211), 블레이드형 퓨즈(100)의 단자(111), 블레이드형 퓨즈의 용단부(120), 블레이드형 퓨즈(100)의 단자(112), 퓨즈 용단 장치(200)의 제2 단자(212), 및 접지를 연결하는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전원으로부터 발생된 대전류가 상기 회로를 통해 흐를 경우, 블레이드형 퓨즈(100)가 연결된 본래의 회로에 영향을 주지않고, 블레이드형 퓨즈(100)의 용단부(120)를 용단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퓨즈 용단 장치(200)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블레이드형 퓨즈(100)를 용단시킬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블레이드형 퓨즈(100)를 용단시킬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원을 제어하여 대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블레이드형 퓨즈(100)에 연결된 부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블레이드형 퓨즈(100)를 용단시킬 필요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부하에 발생한 이상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부하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으며, 부하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기 위해 부하에 연결된 퓨즈를 의도적으로 용단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블레이드형 퓨즈가 연결된 회로에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블레이드형 퓨즈를 의도적으로 용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형 퓨즈를 의도적으로 용단시킴으로써 블레이드형 퓨즈에 연결된 부하의 이상에 따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내연기관을 이용하는 차량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에 퓨즈 용단 장치를 적용한 실시예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용단 장치를 통해 차량의 급발진을 방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퓨즈 용단 장치는 차량의 엔진으로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와, 인젝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사이에 연결된 퓨즈에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차량의 급발진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차량에 구비된 비상 스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압하되는 경우 차량의 급발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230)는 주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차량의 급발진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의 급발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30)는 전원을 제어하여 퓨즈 용단 장치로 대전류를 인가함으로써 퓨즈를 용단시킬 수 있다. 퓨즈가 용단되는 경우 인젝터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어 인젝터의 작동이 중단될 수 있으며, 인젝터의 작동이 중단되는 경우 엔진의 연소가 불가능해짐에 따라 차량의 급발진이 해소될 수 있다.
도 4는 전기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차에 퓨즈 용단 장치를 적용한 실시예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용단 장치를 통해 차량의 급발진을 방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퓨즈 용단 장치는 전기차의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인버터와, 인버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사이에 연결된 퓨즈에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차량의 급발진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차량에 구비된 비상 스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압하되는 경우 차량의 급발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230)는 주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차량의 급발진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의 급발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30)는 전원을 제어하여 퓨즈 용단 장치로 대전류를 인가함으로써 퓨즈를 용단시킬 수 있다. 퓨즈가 용단되는 경우 인버터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어 인버터의 작동이 중단될 수 있으며, 인버터의 작동이 중단되는 경우 구동모터의 작동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차량의 급발진이 해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용단 장치는 블레이드형 퓨즈가 연결된 회로에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블레이드형 퓨즈를 의도적으로 용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형 퓨즈를 의도적으로 용단시킴으로써 블레이드형 퓨즈에 연결된 부하의 이상에 따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블레이드형 퓨즈
110: 단자부
111, 112: 단자
120: 용단부
130: 하우징
140: 가이드홈부
200: 퓨즈 용단 장치
210: 단자부
211: 제1 단자
212: 제2 단자
220: 하우징부
230: 제어부

Claims (5)

  1. 블레이드형 퓨즈를 용단시키도록 상기 블레이드형 퓨즈에 결합되는 퓨즈 용단 장치에 있어서,
    공통평면을 따라 배열되는 제1 및 제2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를 고정시키는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대전류를 발생시키는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접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용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형 퓨즈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부에는 상기 블레이드형 퓨즈의 단자가 노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용단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부에 상기 제1 및 제2 단자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단자와 상기 블레이드형 퓨즈의 단자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 상기 블레이드형 퓨즈의 용단부, 및 상기 접지를 연결하는 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용단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레이드형 퓨즈를 용단시킬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블레이드형 퓨즈를 용단시킬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전원을 제어하여 대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용단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레이드형 퓨즈에 연결된 부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블레이드형 퓨즈를 용단시킬 필요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용단 장치.
KR1020210149494A 2021-11-03 2021-11-03 퓨즈 용단 장치 KR102617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494A KR102617588B1 (ko) 2021-11-03 2021-11-03 퓨즈 용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494A KR102617588B1 (ko) 2021-11-03 2021-11-03 퓨즈 용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655A true KR20230064655A (ko) 2023-05-11
KR102617588B1 KR102617588B1 (ko) 2023-12-26

Family

ID=8637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494A KR102617588B1 (ko) 2021-11-03 2021-11-03 퓨즈 용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5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7394A (ja) * 1997-04-22 1998-11-10 Yazaki Corp 車両用電源供給装置
JP2003100197A (ja) * 2001-09-21 2003-04-04 Yazaki Corp 電源回路の安全装置及びヒューズボックス
JP2013089383A (ja) * 2011-10-14 2013-05-13 Yazaki Corp ブレード型ヒューズ
KR20160065853A (ko) * 2013-10-09 2016-06-09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전류 퓨즈
JP2016225162A (ja) * 2015-06-01 2016-12-28 エス・オー・シー株式会社 ヒューズ溶断回路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7394A (ja) * 1997-04-22 1998-11-10 Yazaki Corp 車両用電源供給装置
JP2003100197A (ja) * 2001-09-21 2003-04-04 Yazaki Corp 電源回路の安全装置及びヒューズボックス
JP2013089383A (ja) * 2011-10-14 2013-05-13 Yazaki Corp ブレード型ヒューズ
KR20160065853A (ko) * 2013-10-09 2016-06-09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전류 퓨즈
JP2016225162A (ja) * 2015-06-01 2016-12-28 エス・オー・シー株式会社 ヒューズ溶断回路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588B1 (ko) 202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9178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including interrupt wire
JPH10123196A (ja) 電源供給装置及びコネクタの接続不良検出方法
CN101631953B (zh) 预热塞驱动装置
JPH11250790A (ja) 強制溶断ヒューズおよび電流遮断装置
KR20180027897A (ko) 배터리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1231865B (zh) 车载系统
WO2013121685A1 (ja) 過電流保護装置
KR20230064655A (ko) 퓨즈 용단 장치
KR20120008944A (ko) 전기차량용 배터리 팩
JP2016060426A (ja) 車両用電力供給システム
KR20150027556A (ko) 인터락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7103966B2 (ja) スイッチング装置
JP6671440B1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制御装置
JP2020124007A (ja) 電池回路
CN112701931A (zh) 功率转换装置及功率转换装置一体化旋转电机
JP2002313194A (ja) 保護装置
JP3329132B2 (ja)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の電源分配装置
JP7494900B2 (ja) 全固体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KR102611249B1 (ko) 전자 제어 장치
JP2018148631A (ja) 電池の制御装置
KR100461274B1 (ko) 전기자동차에서 아크 차단장치 및 방법
KR20230127055A (ko) 정션 블록 검사 장치 및 방법
JP2006197741A (ja) 携帯用電子機器の保護回路
KR20220030810A (ko) 차량 시거잭 전원 제어 장치
JP2019110626A (ja) 衝突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