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713A - 굴삭기용 집게의 결합구조체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집게의 결합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713A
KR20230063713A KR1020210149066A KR20210149066A KR20230063713A KR 20230063713 A KR20230063713 A KR 20230063713A KR 1020210149066 A KR1020210149066 A KR 1020210149066A KR 20210149066 A KR20210149066 A KR 20210149066A KR 20230063713 A KR20230063713 A KR 20230063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coupling
tilt rotator
excavat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8579B1 (ko
Inventor
윤승훈
여한수
Original Assignee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9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579B1/ko
Publication of KR20230063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E02F3/3681Rot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4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comprising two parts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e.g. for gr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작업 종류에 따라 틸트 로테이터의 하부에 집게를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착탈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록킹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집게와 틸트 로테이터의 결합이 완료된 후에 조립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집게와 틸트 로테이터의 결합시 틸트 로테이터의 전면에 암,수 퀵 커넥터 연결방식으로 유로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한 집게와 틸트 로테이터의 결합과정에서 유압의 공급 경로를 자동으로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굴삭기용 집게의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굴삭기용 집게의 결합구조체{GRAB CONNECTING STRUCTURE OF EXCAVATOR}
본 발명은 굴삭기용 집게의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굴삭기의 작업 종류에 따라 틸트 로테이터의 하부에 집게를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착탈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록킹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집게와 틸트 로테이터의 결합이 완료된 후에 조립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집게와 틸트 로테이터의 결합시 틸트 로테이터의 전면에 암,수 퀵 커넥터 연결방식으로 유로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한 집게와 틸트 로테이터의 결합과정에서 유압의 공급 경로를 자동으로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굴삭기용 집게의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 위에 탑재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전,후방에 장착되는 운전실 및 엔진실과,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붐과, 상기 붐에 연결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아암과, 상기 아암의 단부에 연결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버킷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굴삭기는 상부프레임에 연결된 제1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붐이 상하 회동되고, 붐에 설치된 제2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아암이 붐 연결부분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아암에 설치된 제3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버킷이 회전되어, 아암의 회전반경 변화 및 버킷의 회전에 의해 굴착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굴삭기는 제1,2,3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 회동작동되어 굴착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굴삭기의 주행동작이나 선회동작이 어려운 공간 즉, 협소한 공간내에서의 작업시, 일방향에 대한 굴착작업만이 이루어질 뿐, 굴착방향을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 굴삭기용 집게(GRAB)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3745호 "굴삭기의 집게 구동구조"(등록일자 : 2003.11.10)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 아암 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소정 제어동작에 의해 유압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유압력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실린더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소정 물체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집게가 구비되는 굴삭기의 집게 구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아암 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한 쌍의 제 1 및 제 2집게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하나 이상의 구동링크가 구비되는 브라켓이 더 제공되며, 상기 브라켓은 유압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유압력에 의해 실린더로드가 일방향으로만 신축 구동되도록 상기 브라켓내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로드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 1집게와 힌지 결합되는 제 1구동링크, 상기 제1구동링크의 구동과 대응되게 일단은 상기 제 1구동링크의 소정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타단은 제 3구동링크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 2구동링크, 및 제 1구동링크의 구동력을 제 2구동링크를 매개로 전달받고 제 2집게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집게가 결합되는 제 3구동링크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기존 굴삭기용 집게(GRAB)와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0884호 "굴삭기용 집게장치"(등록일자 : 2010.10.25)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가 돌출형성된 암에 설치되는 굴삭기용 집게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에 결합되는 제 1 집게와, 상기 암과 상기 클램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암에 대해 상기 클램프를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 1 집게를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암의 결합구에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집게와, 상기 제 1 집게와 상기 제 2 집게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집게의 회동시 상기 제 2 집게가 상기 제 1 집게의 회동방향에 반대로 회동되도록 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런데, 기존 굴삭기용 집게는 틸트 로테이터와의 결합된 경우에는 집게가 틸트 로테이터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작업의 종류에 따른 집게의 탈 부착이 불가능하며 부품의 유지 보수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집게가 부착된 경우에는 굴삭기에 의한 흙 운반시 집게의 중량으로 인해 더 많은 양의 흙을 운반할 수 없는 제한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3745호 "굴삭기의 집게 구동구조"(등록일자 : 2003.11.1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0884호 "굴삭기용 집게장치"(등록일자 : 2010.10.25)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굴삭기의 작업 종류에 따라 틸트 로테이터의 하부에 집게를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착탈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집게와 틸트 로테이터의 결합이 완료된 후에 이탈을 방지하도록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굴삭기용 집게의 결합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게와 틸트 로테이터의 결합시 틸트 로테이터의 전면에 암,수 퀵 커넥터 연결방식으로 유로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한 집게와 틸트 로테이터의 결합과정에서 유압의 공급 경로를 자동으로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굴삭기용 집게의 결합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틸트 로테이터의 하부 좌,우 양측면과 하부 전면 부위에 집게를 분리 및 조립가능하게 착탈 결합시키는 결합수단과; 상기 집게와 틸트 로테이터의 결합시 상기 틸트 로테이터의 유압 유로와 상기 집게의 유로를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틸트 로테이터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돌출되고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브라켓과, 상기 틸트 로테이터의 전면 좌,우 양측에 상부가 개구되는 거치홈이 형성되는 거치부재와, 상기 집게의 내측 좌,우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집게와 틸트 로테이터의 결합시 상기 거치홈에 안착되는 조립바와, 상기 집게의 좌,우 양측 후단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결합브라켓이 중간에 위치하도록 전,후로 이격되며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연결공이 형성되는 연결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의 연결공과 결합브라켓의 결합공에 관통되도록 전방으로 이동되거나 분리를 위해 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조립핀, 및 상기 집게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작업자의 상,하방향 조작에 의해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조립핀을 전,후진시키는 회전블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회전축 및 상기 회전블록의 회전을 제한하는 록킹고정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록킹고정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연동되도록 결합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개구홈이 형성되는 고정포크부재와, 상기 집게에 좌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복귀스프링에 의해 다시 우측방향으로 복귀동작되며 상기 개구홈 내에 회전 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돌기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록킹바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틸트 로테이터의 전면에 복수개 배치되고 수 커넥터 단자와의 결합시 오일의 외부 전달 경로가 되는 암 커넥터 단자와, 상기 틸트 로테이터의 전면과 대응되는 상기 집게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암 커넥터 단자의 내부로 진입되어 결합되는 수 커넥터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블록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일측부와, 상기 일측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측부로 구분하되, 상기 타측부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고 끼움결합 후 조작압력을 가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블록을 회전시키는 조작봉을 더 구비한 것이다.
상기 조립핀을 전,후로 연동시키도록 연결되고 단부가 집게의 양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 고정블록에 의해 각각 지지되며 회전블록의 회전동작에 따라 전,후로 연동되도록 동작되고 상기 고정블록에 일단이 지지되는 탄성스프링에 의해 복귀동작되는 연동바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은 틸트 로테이터와 집게의 결합시 거치부재의 거치홈에 조립바가 안착되도록 결합되고 연결브라켓 사이에 결합브라켓이 개재된 후에 조립핀으로 핀 결합되므로, 3점 지지방식으로 집게를 틸트 로테이터의 하부 전면과 좌,우 양측면에 결합시켜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이 완료된 후에 회전축의 회전을 방지하고 조립핀의 분리를 방지하는 록킹고정수단(500)을 이용하여 집게와 틸트 로테이터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수단이 결합수단인 회전블록의 일측부 회전동작과 연계동작되어 수 커넥터 단자와 암 커넥터 단자가 결합되어 유로가 자동으로 연결되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회전블록의 타측부에 형성되는 끼움공에 조작봉을 끼워서 간편하게 회전블록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틸트 로테이터와 집게의 조립 및 분리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 결합구조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집게와 틸트 로테이터의 결합 전 회전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집게와 틸트 로테이터의 결합을 위해 회전블록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록킹고정수단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연동바의 전,후동작에 따른 조립핀의 결합 전,후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 결합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틸트 로테이터(100)의 하부 좌,우 양측면과 하부 전면 부위에 집게(200)를 분리 및 조립가능하게 착탈 결합시키는 결합수단(300)과; 상기 집게(200)와 틸트 로테이터(100)의 결합시 상기 틸트 로테이터(100)의 유압 유로와 상기 집게(200)의 유로를 연결시키는 연결수단(400);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수단(300)은 상기 틸트 로테이터(100)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돌출되고 결합공(315)이 형성된 결합브라켓(310)과, 상기 틸트 로테이터(100)의 전면 좌,우 양측에 상부가 개구되는 거치홈(325)이 형성되는 거치부재(320)와, 상기 집게(200)의 내측 좌,우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집게(200)와 틸트 로테이터(100)의 결합시 상기 거치홈(325)에 안착되는 조립바(370)와, 상기 집게(200)의 좌,우 양측 후단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결합브라켓(310)이 중간에 위치하도록 전,후로 이격되며 상기 결합공(315)과 대응되는 연결공(335)이 형성되는 연결브라켓(334)과, 상기 연결브라켓(334)의 연결공(335)과 결합브라켓(310)의 결합공(315)에 관통되도록 전방으로 이동되거나 분리를 위해 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조립핀(340), 및 상기 집게(200)에 회전축(38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작업자의 상,하방향 조작에 의해 슬라이딩 플레이트(390) 및 조립핀(340)을 전,후진시키는 회전블록(3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부재(3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틸트 로테이터(100)의 전면 좌,우 양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거치홈(325)은 상부가 개구되고 오목한 원호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집게(200)와의 결합시 조립바(370)가 상측에서 안착되어 상기 집게(200)와 틸트 로테이터(100)의 결합시 가조립을 위한 거치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립핀(340)과 회전블록(380) 사이에 상기 조립핀(340)을 전,후로 연동시키도록 연결되고 단부가 집게(200)의 양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 고정블록(352)에 의해 각각 지지되며 회전블록(380)의 회전동작에 따라 전,후로 연동되도록 동작되고 상기 고정블록(352)에 일단이 지지되는 탄성스프링(360)에 의해 복귀동작되는 연동바(35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조립핀(340)은 상기 회전블록(380)의 회전력이 상기 연동바(350)를 통해 전달되어 전진 이동되고, 상기 탄성스프링(3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후진 이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집게(200)는 상기 틸트 로테이터(100)의 하부 좌,우 양측면과 전면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틸트 로테이터(100)의 양측면과 대응되는 양 내측면 단부에 상기 연결브라켓(334)이 각각 마련된다.
상기 연결브라켓(334)은 상기 결합브라켓(310)이 중간에 개재되도록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조립핀(340)이 끼워지도록 상기 결합공(315)과 대응되는 연결공(335)이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조립핀(340)은 상기 연동바(350)의 전,후 방향 움직임에 연동되어 전진동작될 경우, 상기 연결브라켓(334)의 연결공(335)과 상기 결합브라켓(310)의 결합공(315)에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동바(350)의 후진동작시 상기 연결브라켓(334)의 연결공(335)과 상기 결합브라켓(310)의 결합공(315)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조립핀(340)은 상기 지지블록에 지지되는 연동바(350)의 일단부에 연결편(354)으로 연동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집게(200)의 양 내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동바(350)가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연동바(350)의 전,후 움직임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연동바(350)의 타단부는 상기 회전블록(380)의 일측부 회전동작과 연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전블록(380)의 일측부가 상기 회전축(385)을 중심으로 시계바늘의 진행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연동바(350)가 전진동작되어 상기 조립핀(340)을 연결공(335)과 결합공(315)에 관통되도록 결합시키게 되며, 상기 회전블록(380)의 일측부가 상기 회전축(385)을 중심으로 시계바늘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연동바(350)가 후진동작되어 상기 조립핀(340)이 상기 연결공(335)과 결합공(315)으로부터 분리되는 연결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연동바(350)는 상기 지지블록에 일측이 지지되는 탄성스프링(360)에 의해 상기 연동바(350)를 후진시키는 복귀 방향으로 탄성력이 제공된다.
즉, 상기 탄성스프링(360)은 상기 연동바(350)의 전진동작시 수축동작되고, 상기 연동바(350)의 전진동작력이 해소된 후에는 자체 탄성력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연동바(350)를 후진동작시키는 복귀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결합수단(300)은 상기 회전축(385) 및 상기 회전블록(380)의 회전을 제한하는 록킹고정수단(500)을 더 구비한다.
상기 록킹고정수단(500)은 상기 회전축(385)의 일단부에 연동되도록 결합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개구홈(515)이 형성되는 고정포크부재(510)와, 상기 집게(200)에 좌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복귀스프링(530)에 의해 다시 우측방향으로 복귀동작되며 상기 개구홈(515) 내에 회전 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돌기부(527)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록킹바(5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포크부재(510)는 상기 회전축(385)과 연동되는 움직임을 갖도록 결합되며, 상기 돌기부(527)가 개구홈(515) 내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회전축(385)의 회전동작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록킹바(520)는 지지브라켓(540)의 외측에 돌출되는 일단부에 작업자의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고리형태의 손잡이(525)가 형성된다.
또, 상기 록킹바(5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527)가 형성된 대경부(522)와, 상기 대경부(522)보다 외경 두께가 작은 소경부(524)로 구성된다.
즉, 상기 록킹바(520)는 손잡이(525)를 당겨서 지지브라켓(540)의 외측 방향인 좌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상기 돌기부(527)를 상기 고정포크부재(510)의 개구홈(515)과 동일한 각도로 조정한 후에 손잡이(525)의 당김력을 해제하면 상기 복귀스프링(530)의 복귀 탄성력에 의해 우측방향으로 복귀되면서 상기 돌기부(527)를 개구홈(515) 내에 진입시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록킹바(520)와 회전축(385)은 상기 집게(200)의 상측면에 마련되는 지지브라켓(540)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고, 상기 고정포크부재(510)와 돌기부(527)의 결합은 상기 지지브라켓(540)의 외측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록킹바(520)는 상기 지지브라켓(540)의 외측 방향으로 당길 경우, 상기 복귀스프링(530)이 수축 동작되면서 상기 록킹바(520)의 단부가 지지브라켓(540)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개구홈(515)과 돌기부(527)의 각도를 일치하도록 조절한 후에 록킹바(520)의 당김력을 해제할 경우 상기 록킹바(520)가 상기 복귀스프링(53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개구홈(515) 내에 돌기부(527)가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385)의 회전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연결수단(400)은 상기 틸트 로테이터(100)의 전면에 복수개 배치되고 수 커넥터 단자(420)와의 결합시 오일의 외부 전달 경로가 되는 암 커넥터 단자(410)와, 상기 틸트 로테이터(100)의 전면과 대응되는 상기 집게(200)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암 커넥터 단자(410)의 내부로 진입되어 결합되는 수 커넥터 단자(420)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블록(380)은 상기 회전축(385)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90)와 접촉되는 일측부와, 상기 일측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측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타측부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끼움공(382)과, 상기 끼움공(382)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고 끼움결합 후 조작압력을 가해 상기 회전축(385)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블록(380)을 회전시키는 조작봉(387)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회전블록(380)은 시계바늘 방향으로 회전동작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90)를 전진동작시키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90)의 동작과 연동되는 상기 수 커넥터 단자(420)가 전진 동작됨에 따라 상기 암 커넥터 단자(410)의 내부로 진입되어 결합된다.
상기한 수 커넥터 단자(420)와 암 커넥터 단자(410)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틸트 로테이터(100)측으로 공급된 오일을 집게(200)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유로를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한 유로 연결시 상기 집게(200)측으로 오일이 공급되어 집게(200)의 동작을 수행하는 실린더측에 유압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틸트 로테이터(100)의 하부와 집게(200)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결합수단(300)과 연결수단(400)이 연계동작되며, 상기 결합수단(300)의 결합과정은 틸트 로테이터(100)의 하부 전면과 좌,우 양측면을 집게(200)의 내측면이 감싸도록 결합하는 과정에서 먼저 거치부재(320)의 거치홈(325) 내에 조립바(370)를 상측에서 안착시켜 거치한 후에, 상기 틸트 로테이터(100)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돌출된 결합브라켓(310)이 연결브라켓(334)의 중간 내부로 진입되어 개재된 후에 회전블록(380)의 일측부를 회전축(385)을 중심으로 시계바늘의 진행방향으로 회전동작시켜 상기 회전블록(380)의 일측부와 간섭되면서 연동바(350)를 전진동작시킴과 아울러, 슬라이딩 플레이트(390)를 전진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연동바(350)는 전진동작시 탄성스프링(360)을 수축시키면서 일단부와 연결된 연결편(354) 및 조립핀(340)을 전진시키게 되고, 상기 조립핀(340)을 연결공(335)과 결합공(315)에 관통시켜 결합브라켓(310)과 연결브라켓(334)에 조립핀(340)으로 핀 결합되는 측면 결합 부위와 틸트 로테이터(100)의 전면에 형성된 거치부재(320)에 조립바(370)를 거치시키는 전면 결합 부위를 포함하여 3점 지지방식으로 안정적으로 조립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블록(380)은 앞서 설명한 조작봉(387)을 끼움공(382) 내에 끼움 결합시킨 후에, 작업자가 조작봉(387)을 파지한 상태로 회전블록(38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록킹고정수단(500)을 이용하여 회전블록(380)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연동바(350)가 상기 탄성스프링(360)의 복원 탄성력에 의해 후진동작되는 것을 예방하여 상기 조립핀(340)이 결합공(315)과 연결공(335)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록킹고정수단(500)은 상기 회전블록(380)의 일측부 테두리가 상기 연동바(350)를 밀어내어 전진동작시킨 상태에서 회전블록(380)의 회전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회전축(385)의 단부에 마련된 고정포크부재(510)의 개구홈(515) 내에 록킹바(520)의 돌기부(527)를 삽입시킴으로써, 회전축(385)의 회전동작시 록킹바(520)가 간섭되도록 하여 회전축(385)의 회전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록킹바(520)는 손잡이(525)가 상기 복귀스프링(530)에 의해 지지브라켓(540)의 외측면에 근접되도록 복귀 동작될 경우, 상기 돌기부(527)가 고정포크부재(510)의 개구홈(515) 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385)의 회전동작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수단(400)은 상기 회전블록(380)의 일측부 회전동작에 연계동작되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90)가 전진동작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90)와 연동되는 수 커넥터 단자(420)가 전진동작되면서 암 커넥터 단자(410)의 내부로 진입되어 커넥팅 결합되며, 틸트 로테이터(100)와 집게(200)의 유압 전달 유로가 자동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틸트 로테이터(100)와 집게(200)의 결합시 거치부재(320)의 거치홈(325)에 조립바(370)가 안착되도록 결합되고 연결브라켓(334) 사이에 결합브라켓(310)이 개재된 후에 조립핀(340)으로 핀 결합되므로, 3점 지지방식으로 집게(200)를 틸트 로테이터(100)의 하부 전면과 좌,우 양측면에 결합시켜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이 완료된 후에 회전축(385)의 회전을 방지하고 조립핀(340)의 분리를 방지하는 록킹고정수단(500)을 이용하여 집게(200)와 틸트 로테이터(100)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수단(400)이 결합수단(300)인 회전블록(380)의 일측부 회전동작과 연계동작되어 수 커넥터 단자(420)와 암 커넥터 단자(410)가 결합되어 유로가 자동으로 연결되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회전블록(380)의 타측부에 형성되는 끼움공(382)에 조작봉(387)을 끼워서 간편하게 회전블록(38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틸트 로테이터(100)와 집게(200)의 조립 및 분리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틸트 로테이터 200 : 집게
300 : 결합수단 310 : 결합브라켓
315 : 결합공 320 : 거치부재
325 : 거치홈 334 : 연결브라켓
335 : 연결공 340 : 조립핀
350 : 연동바 360 : 탄성스프링
370 : 조립바 380 : 회전블록
382 : 끼움공 385 : 회전축
387 : 조작봉 390 : 슬라이딩 플레이트
400 : 연결수단 410 ; 암 커넥터 단자
420 : 수 커넥터 단자 500 : 록킹고정수단
510 : 고정포크부재 515 : 개구홈
520 : 록킹바 522 : 대경부
524 : 소경부 525 : 손잡이
527 : 돌기부 530 : 복귀스프링
540 : 지지브라켓

Claims (5)

  1. 틸트 로테이터(100)의 하부 좌,우 양측면과 하부 전면 부위에 집게(200)를 분리 및 조립가능하게 착탈 결합시키는 결합수단(300)과; 상기 집게(200)와 틸트 로테이터(100)의 결합시 상기 틸트 로테이터(100)의 유압 유로와 상기 집게(200)의 유로를 연결시키는 연결수단(400);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수단(300)은 상기 틸트 로테이터(100)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돌출되고 결합공(315)이 형성된 결합브라켓(310)과,
    상기 틸트 로테이터(100)의 전면 좌,우 양측에 상부가 개구되는 거치홈(325)이 형성되는 거치부재(320)와,
    상기 집게(200)의 내측 좌,우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집게(200)와 틸트 로테이터(100)의 결합시 상기 거치홈(325)에 안착되는 조립바(370)와,
    상기 집게(200)의 좌,우 양측 후단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결합브라켓(310)이 중간에 위치하도록 전,후로 이격되며 상기 결합공(315)과 대응되는 연결공(335)이 형성되는 연결브라켓(334)과,
    상기 연결브라켓(334)의 연결공(335)과 결합브라켓(310)의 결합공(315)에 관통되도록 전방으로 이동되거나 분리를 위해 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조립핀(340), 및
    상기 집게(200)에 회전축(38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작업자의 상,하방향 조작에 의해 슬라이딩 플레이트(390) 및 상기 조립핀(340)을 전,후진시키는 회전블록(38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 결합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300)은 상기 회전축(385) 및 상기 회전블록(380)의 회전을 제한하는 록킹고정수단(5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록킹고정수단(500)은 상기 회전축(385)의 일단부에 연동되도록 결합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개구홈(515)이 형성되는 고정포크부재(510)와,
    상기 집게(200)에 좌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복귀스프링(530)에 의해 다시 우측방향으로 복귀동작되며 상기 개구홈(515) 내에 회전 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돌기부(527)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록킹바(5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 결합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400)은 상기 틸트 로테이터(100)의 전면에 복수개 배치되고 수 커넥터 단자(420)와의 결합시 오일의 외부 전달 경로가 되는 암 커넥터 단자(410)와,
    상기 틸트 로테이터(100)의 전면과 대응되는 상기 집게(200)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암 커넥터 단자(410)의 내부로 진입되어 결합되는 수 커넥터 단자(4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 결합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록(380)은 상기 회전축(385)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90)와 접촉되는 일측부와, 상기 일측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측부로 구분하되,
    상기 타측부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끼움공(382)과,
    상기 끼움공(382)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고 끼움결합 후 조작압력을 가해 상기 회전축(385)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블록(380)을 회전시키는 조작봉(387)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 결합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핀(340)을 전,후로 연동시키도록 연결되고 단부가 집게(200)의 양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 고정블록(352)에 의해 각각 지지되며 회전블록(380)의 회전동작에 따라 전,후로 연동되도록 동작되고 상기 고정블록(352)에 일단이 지지되는 탄성스프링(360)에 의해 복귀동작되는 연동바(35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 결합구조체.
KR1020210149066A 2021-11-02 2021-11-02 굴삭기용 집게의 결합구조체 KR102558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066A KR102558579B1 (ko) 2021-11-02 2021-11-02 굴삭기용 집게의 결합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066A KR102558579B1 (ko) 2021-11-02 2021-11-02 굴삭기용 집게의 결합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713A true KR20230063713A (ko) 2023-05-09
KR102558579B1 KR102558579B1 (ko) 2023-07-24

Family

ID=86408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066A KR102558579B1 (ko) 2021-11-02 2021-11-02 굴삭기용 집게의 결합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5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745Y1 (ko) 2003-06-17 2003-11-19 서동훈 굴삭기의 집게 구동구조
KR100990884B1 (ko) 2007-12-05 2010-11-01 김은겸 굴삭기용 집게장치
KR101651856B1 (ko) * 2015-03-31 2016-09-05 (주)정우엠텍 퀵 커플러의 3중 안전장치
KR101820404B1 (ko) * 2017-01-05 2018-01-22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퀵 커플러용 안전장치
KR102184166B1 (ko) * 2019-09-20 2020-11-27 주식회사 제이케이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틸트형 회전 퀵커플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745Y1 (ko) 2003-06-17 2003-11-19 서동훈 굴삭기의 집게 구동구조
KR100990884B1 (ko) 2007-12-05 2010-11-01 김은겸 굴삭기용 집게장치
KR101651856B1 (ko) * 2015-03-31 2016-09-05 (주)정우엠텍 퀵 커플러의 3중 안전장치
KR101820404B1 (ko) * 2017-01-05 2018-01-22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퀵 커플러용 안전장치
KR102184166B1 (ko) * 2019-09-20 2020-11-27 주식회사 제이케이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틸트형 회전 퀵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579B1 (ko) 202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2426C (en) Thumb with detachable body
US10480154B2 (en) Implement carrier and implements
JP6821213B2 (ja) 迅速交換連結装置、及び、その迅速交換連結装置を備えた迅速交換連結システム
US20040057784A1 (en) Assembly for coupling implements to excavating machines
JPH056610B2 (ko)
KR101488588B1 (ko) 굴삭기의 버킷과 그래브를 연동시키기 위한 그래브 연동장치
KR20230063713A (ko) 굴삭기용 집게의 결합구조체
US20110033273A1 (en) Dipper Stick with Implement Coupling Means
US8468905B2 (en) Operating device for control valve
US10422104B2 (en) Work vehicle and front loader
KR101442165B1 (ko) 클램프장착형 굴삭기용 집게장치
KR101394863B1 (ko) 버킷 체결용 집게 링크 장치
US11208782B2 (en) Post driving implement
JP2529268Y2 (ja) アイアンフオークと土工機械本体アームの連結構造
JP2782015B2 (ja) 両▲つか▼みバケットアタッチメントの組付構造
JPH0480434A (ja) ローダ車輌の油圧継手装置
JPH074069A (ja) パワーショベルの掴み爪装置
US20170225722A1 (en) Mechanical control linkage
US10815100B1 (en) Grappling assembly for use with utility equipment
JPH0573162U (ja) アイアンフオークと土工機械本体アームの連結構造
JPH0343522A (ja) バックホウの操作構造
JP2916067B2 (ja) 建設機械の開閉リンク機構
JP2643703B2 (ja) バックホーのバルブ操作構造
JPH033647Y2 (ko)
JPS5820689Y2 (ja) 作業機の遠隔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