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116A - 차선스위칭 도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선스위칭 도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116A
KR20230063116A KR1020210148005A KR20210148005A KR20230063116A KR 20230063116 A KR20230063116 A KR 20230063116A KR 1020210148005 A KR1020210148005 A KR 1020210148005A KR 20210148005 A KR20210148005 A KR 20210148005A KR 20230063116 A KR20230063116 A KR 20230063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parking
road
inform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212B1 (ko
Inventor
김영렬
김주완
Original Assignee
(주)케이시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시크 filed Critical (주)케이시크
Priority to KR1020210148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212B1/ko
Priority to PCT/KR2022/015599 priority patent/WO2023075238A1/ko
Publication of KR20230063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6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by position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통행이 많지 않을 때 도로의 일부 차선을 주차차선으로 자동으로 변경하였다가 통행이 많을 때 다시 주행차선으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차선스위칭 도로에 관련된 기술을 제시한다. 또한 차선스위칭 도로에서 주차된 자동차에 전기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도로에 관련된 기술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단위도로마다의 주차현황 및 충전현황정보를 수집관리하고 차량에 이동주차를 명령하거나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도로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선스위칭 도로 및 방법 {The lane switching road and method}
본 발명은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로의 일부 차선을 주차용 차선과 주행용 차선으로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주차차선에서 자동차에 전기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선스위칭 도로 및 차선스위칭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자세하게는 차선스위칭의 스케줄 정보 또는 도로의 교통량 정도에 따라 도로의 일부 차선을 주행차선 또는 주차차선으로 자동으로 스위칭하고, 자동차나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차선이 주행차선인지 주차차선인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출력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차선스위칭 도로의 차선에서 주차된 자동차를 특정하고 자동차에 전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전기충전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주행-주차 차선스위칭 도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분야의 기술로는 교통량에 따라 자동으로 주행 또는 주행금지 차선으로 전환하는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고속도로의 길 어깨 등과 같은 공간을 교통량이 증가했을 때 임시적으로 주행차선으로 전환했다가 교통량이 감소하면 다시 주행이 금지되는 차선으로 전환하는 기술이다.
종래의 이 분야의 또 다른 기술로 도심의 출퇴근 시간에 자동차의 주행방향을 스위칭하는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도로의 한방향의 통행량이 많은 경우 다른 방향의 교통량이 적을 때 많은 교통량을 분산하기 위해 주행차선을 더 확보하는 형식으로의 기술이다. 이 기술은 교통흐름이 원활할 때, 중앙 경계 부분의 일부차선에서의 통행을 금지함으로써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는 자동차 간의 접촉사고 가능성을 낮추는 형태로 운용되기도 한다.
이 분야의 종래의 기술에는 주차장 또는 도로에서 유도전류방식으로 무선충전을 제공하는 기술이 다수 소개되고 있다.
세계 각국은 탄소중립을 선언하면서 앞으로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시대에서 전기자동차의 시대로 전환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전기자동차의 경우 충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공유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자율주행자동차의 기술의 발전으로 미래사회는 자동차를 개인 소유하는 형태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자동차를 공유하는 형태로 이용하게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가 확대보급되거나 교통 공유서비스가 확대되면 주차장의 수요가 줄어들고, 도시마다 자동차 숫자가 파격적으로 감소할 것이며 1인만 탑승하여 이동하는 자동차의 주행 감소로 인해 도로의 교통여건이 획기적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본 발명은 주행용도 위주로 사용되고 있는 도로공간을 교통량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선을 주차용 또는 주행용 차선으로 스위칭함으로써 도로의 공간적 사용성과 자동차에 전기충전을 제공하는 기능적 사용성을 향상하기 위한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도로공간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교통량이 많지 않을 때 한쪽 차선부터 주행차선을 주차차선으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차선스위칭 (Lane switching)방법 및 차선스위칭 도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교통량이 많지 않다는 판단은 운영관리 주체에 따라서 정해진 시간에 따라 전환되는 방법과 실시간적으로 도로의 교통량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차선의 용도 전환을 판단하는 방법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차선의 주차장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주차차선으로 활용되는 차선에서 자동차에 충전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소요로 하는 자동차가 주차차선에서 충전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간도로에 있어서 차선전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주차차선에 대한 주차 서비스 현황정보를 수집하고, 주차가 필요한 자동차나 운전자에게 주차정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도로구간에 대한 충전서비스 현황정보를 수집하고 각 자동차에게 충전이 가능한 도로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선스위칭도로에 주차한 자동차를 특정하고 자동차의 충전 또는 주차에 대한 사용료를 산정하고 과금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통량에 따라 차선을 주차차선 또는 주행차선으로 전환하여 활용함으로써 교통량이 많을 때는 주행차선을 높이고 교통량이 적을 때는 주차차선으로 활용하여 도심의 도로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차선에 주차한 자동차들에게 충전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도로의 공간적 기능적 사용성을 증대할 수 있다.
도 1은 주행-주차 차선전환 도로 모식도
도 2는 주차정보 및 충전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차선전환 도로 모식도.
도 3은 운전자단말 모식도
도 4는 주차정보 또는 충전정보 서버를 더 포함하는 차선전환도로 모식도.
도 5는 차선스위칭장치의 모식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도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다양한 다른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용어의 명칭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용어가 가지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만이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것을 사이에 두고 연결한 경우도 포함된다.
어디에서 어디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한다는 표현은 직접적으로 연결된 장치나 모듈 간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 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장비나 모듈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명세서 전반에서 '차선'이란 자동차가 다닐 수 있는 도로의 차선을 말하며, 차선이 주행을 할 수 있는 주행차선인지, 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차선으로 구분되어 용도가 스위칭 되는 특성이 있다.
명세서 전반에서 '충전'이란 전기 충전을 위해 전기선을 사용하지 않고 충전하는 무선 또는 유선 방식의 충전기술 등을 말한다. 전자기 유도코일을 이용한 충전기술 등이 여기에 속한다.
명세서 전반에서 '차선스위칭장치'는 차선을 주행차선과 주차차선으로 전환지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제어시스템으로 차선의 상태정보를 표출하는 출력모듈, 자동차의 흐름을 감지하는 센서모듈, 각종 영상자료 및 스케줄자료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 자동차에 전기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충전모듈 또는 차선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선스위칭장치에는 부가적으로 차선현황정보, 충전현황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반에서 '운전자단말'은 자동차의 운전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휴대전화, 스마트폰, 태블릿PC, 랩탑 PC, 또는 자동차에 포함된 시스템 등의 단말기에 운전자단말 기능을 수행하는 SW가 작동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운전자단말에는 서버로부터 전송되어온 주차차선을 안내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주차된 주차차선이 주행차선으로 전환됨에 따라 자동차가 주차차선에서의 주차를 중지하도록 하는 명령정보를 수신하여 운전자를 위해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반에서 '서버'는 주행차선과 주차차선으로 전환하는 시기나 조건에 따라 전환결정을 하고 전환결정에 따른 전환명령을 차선제어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컴퓨터를 말한다.
서버는 각 주차차선의 주차현황 정보를 관리하고, 각 주차정보 또는 충전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주차 또는 충전이 필요한 자동차나 운전자단말에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서버는 단일 시스템으로 구축되는 것도 가능하나 다양한 종류의 다수의 서버로 분산되어 통합적으로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1은 차선스위칭 차선으로 구성되는 도로의 모식도이다. 도로는 중앙 경계를 중심으로 양쪽에 3개씩의 차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 경계의 양쪽에 서로다른 주행방향의 주행차선(120)이 있고 바깥쪽 2개씩의 차선은 주차차선이다.
차선스위칭 도로는 다수 차선의 도로(100)와 차선단위로 차선의 용도를 주차차선 또는 주행차선으로 상호 전환시키는 차선스위칭장치(5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로(100)는 다수의 차선으로 구성되어 있어 일부 차선을 주차차선으로 이용하여도 주행차선을 통해 주차차선에 주차한 자동차가 빠져나가 주차된 자동차가 없는 주차차선을 주행차선으로 전환하도록 한다.
차선스위칭장치(500)는 자동차가 효율적으로 주차차선 또는 주행차선을 이용하여 통행하거나 주차할 수 있도록 일부 자동차에 대한 이동주차 또는 주차중지 등의 명령정보를 전달하도록 한다.
교통량이 감소하거나 주차수요가 많아지게 되어 단위 구간도로의 주차차선을 증가시킬 경우에는 차선스위칭장치(500)는 도로의 바깥쪽부터 순차적으로 주행차선을 주차차선으로 전환하도록 한다.
도1의 차선은 오른쪽 방향 주행차선에서 a, b, c, d, e 의 5개 차선이 있다. 오른쪽 주행차선에서 a차선과 e차선은 바깥자선이 된다.
차선스위칭장치(500)은 스케줄 또는 교통량에 따라 a, b, c 순으로 주행차선을 주차차선으로 전환하고 c, b, a 순으로 주차차선에서 주행차선으로 전환하도록 한다. 또는 e, d, c 순으로 주차차선을 주행차선을 주차차선으로 전환하고 c, d, e 순으로 주행차선에서 주차차선으로 변경하도록 한다.
교통량의 증가 또는 주차수요의 감소에 따라 주행차선을 증가시킬 경우에는 차선스위칭장치(500)는 반대순서로 주차차선을 주행차선으로 전환하도록 한다.
도1에서는 도로 중심에 중앙 경계를 두고 도로의 양 바깥쪽 2개선이 주차차선으로 설정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중앙 경계 쪽의 주행차선부터 순차적으로 주차차선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는 한쪽 방향으로 가는 차선들 만을 감안하여 중앙 경계 쪽의 차선도 바깥의 한쪽 차선으로 간주한다.
복수의 차선 가운데 다수의 차선을 주차차선으로 전환하더라도 주차차선에 주차된 자동차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선은 주행차선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차선스위칭장치(500)는 도로구간마다 또는 차선마다 구분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단위 구간도로마다 각각의 차선스위칭장치(500)를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다수의 구간도로를 통합하여 총괄하는 형태의 차선스위칭장치(500)로 구성할 수도 있다.
차선스위칭장치(500)은 기능의 일부를 분할하여 작동되도록 서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서버의 구성은 한대의 서버에 다수의 차선스위칭장치를 연계하도록 구성하거나 다수의 서버를 다수의 차선스위칭장치에 연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차선스위칭장치(500)에 서버(300)는 통합 연계되어 구축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서버는 서버모듈로 또는 서버시스템으로 구성되게 된다.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운전자단말 또는 자동차와 유무선의 네트워크 수단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면서 통합적인 차선스위칭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서버(300)은 정보관리 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해 별도 단위의 모듈로 설계하여 차선스위칭 장치(500)과 연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선스위칭장치(500)는 서버로부터 차선 용도 변경에 대한 스케줄정보를 수신하고, 스케줄정보에 따라 차선의 용도를 주차차선 또는 주행차선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스케줄정보에는 자동차의 이동이 많은 출퇴근 시간과 낮시간에는 주행차선을 많도록 하고 자동차의 이동이 덜한 심야에는 주차차선이 많도록 할수 있다.
또한 지역적이거나 사람들의 이동 특성을 고려하여 산업단지나 거주밀집지역등의 도로에 따라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서 차선의 용도를 변경하도록 한다.
차선스위칭장치(500)는 출력모듈(510), 센서모듈(520), 네트워크모듈(530), 데이터베이스모듈(540) 또는 충전모듈(5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출력모듈(510)은 도로면에 설치된 LED 표시장치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도로 위에 공중가설물에 설치된 표시등(sign light)의 형태로 구축될 수 있다.
도 5에서 출력모듈(510)은 사람의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LED 신호등으로 출력하는 출력모듈의 한 실시예이다. 왼편은 파킹이 가능한 차선을 표시하며, 오른편은 충전까지 가능한 주차차선을 표시한다.
출력모듈(510)은 자율주행자동차나 운전자단말에 무선 전파로 시그널을 보내거나 무선 네트워크 수단으로 차선의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차선에 대한 상태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서버나 차선스위칭장치는 자동차 또는 운전단말로 도로의 정보, 차선현황정보, 충전현황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출력모듈(510)은 차선이 주행차선인지 주차차선인지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주차차선에서 충전서비스 이용이 가능한지 출력하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모듈은 스케줄정보를 저장하거나 교통량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를 유지 관리하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모듈은 자동차에 제공된 충전서비스 또는 주차서비스에 대한 이력정보를 관리하도록 한다.
충전모듈(550)은 차선 노면 밑에 코일형태로 설치되는 유도충전시설이거나 전기에너지를 전파 등의 에너지로 전환시켜 주차된 자동차에게 보내는 무선충전 기능으로 구성한다. 또는 충전모듈은 자동차의 충전모듈과 유선으로 연결되는 모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충전모듈(550)은 자동차에 공급된 전기에너지의 량을 누계한다.
센서모듈(520)은 카메라, 라이다, 레이더, 초음파 또는 도로상에 설치할 수 있는 압력센서일 수 있으며 도로의 교통량을 측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 분석기법으로 교통량을 측정하거나 압력센서는 차선이나 도로를 통과하는 자동차의 숫자를 카운팅하는 방식으로 시간단위, 일단위, 월단위 등의 교통량을 측정하도록 한다.
네트워크모듈(530)은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를 지원하며 서버, 자동차 또는 운전자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차선스위칭장치는 센서모듈(520) 또는 네트워크모듈(530)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특정하도록 한다. 센서모듈을 이용하는 경우 자동차의 외관 영상을 분석하거나 자동차의 번호판이나 식별기호를 입력받아 분석하는 방법으로 자동차를 특정하도록 한다.
또한 네트워크모듈을 사용하여 서버에 운전자단말과 연동하여 운전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로서 인증하고 자동차를 인증받은 운전자의 자동차로 특정하거나 네트워크모듈과 자동차의 네트워크 모듈간의 통신으로 자동차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자동차를 특정하도록 한다.
차선스위칭장치(500)는 자동차가 충전이 가능한 주차차선에 주차하면 충선서비스를 제공한다. 충전서비스는 자동차에게 자동으로 제공하거나, 특정한 자동차에 유료의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방식으로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차선스위칭장치(500)는 차선스위칭장치가 차선의 용도를 변경하는 경우 출력모듈(510)을 통해 차선의 용도에 관련한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차선의 용도는 현재 차선의 용도를 표시하거나 앞으로 변경하게될 시간 변경하게될 차선의 용도를 출력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차선정보 출력모듈(510)은 차선스위칭장치(500)의 일부로서 차선 바닥에 설치된 예로서 차선이 주행차선일 때는 주행을 뜻하는 D표시를 출력하고, 주차차선일 경우 P를 출력하고, 충전이 가능한 경우 C를 출력하도록 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주차차선인 경우 자동차가 주차할 수 있는 주차면(140)을 도로에 표시한다. 주차면표시에는 주차면에서 충전서비스가 제공되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함께 표시하도록 한다.
주차차선에 표시되는 주차면에 대한 표시는 실제주차가 가능한 경우에만 나타나도록 차선스위칭과 연계에서 표출되도록 전자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페이팅 등을 통해 주행차선으로 사용되던 주차차선으로 사용되던 항상 구분되어 보이도록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입사각에 따라서 식별정도가 다른 표시장치 또는 페인팅 기술을 사용하면 빨리달리며 멀리 보는 시각에서는 입사각이 작아 보이지 않고 주차를 위한 가까운 차선지면에서는 입사각이 커 잘 식별되도록 함으로써 주차하는 경우에만 식별이 가능하고 주행하는 동안에는 방해되지 않는 형태의 표시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자동차만 알 수 있는 디지털이나 무선신호로써 주차면의 표시를 출력하거나 전송하게 하는 것도 간능하다.
차선스위칭장치(500)는 구간 도로에 대하여 도로의 길이, 도로의 위치, 도로의 차선수, 각 차선의 사용용도, 사용스케줄, 충전서비스 제공여부, 충전서비스 이용현황 또는 교통량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시로 서버로 전송하도록 한다.
도 2는 각 구간으로 구성된 다수의 도로와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선스위칭 도로에 대한 모식도이다. 서버는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중앙처리장치 등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많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신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서버(300)는 다수의 구간도로에 대해서 도로의 중요도에 따라서 주차차선의 사용빈도를 다르게 조정하도록 각 구간에 대한 스케줄을 조정하거나 스위칭 조절에 따른 교통량의 하한선이나 상한선 조건의 가중치를 달리하도록 한다.
서버(300)은 주요 도로의 속도가 높은 주요도로나 간선도로에서는 가급적 주차차선으로 활용되는 빈도를 낮추고, 주택가나 공장 근처의 이면도로나 중요성이 덜하거나 교통량이 확실히 줄어드는 도로 등을 우선적으로 주차차선으로의 전환빈도를 높이도록 한다.
서버(300)는 하나의 서버 기기에 모든 서버 기능을 운영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기능에 따라서 다수의 서버 기기로 구성하고 네트워크상에서 통합적인 서버로서 작동되도록 할수 있다. 서버에는 DB모듈, 웹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버(300)은 다수의 구간도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한다. 상기 정보에는 각 구간도로의 차로 수, 차선스위칭 스케줄정보, 도로의 규격, 도로의 위치, 시간대별 요일별 이용하는 자동차 또는 운전자에 대한 정보, 교통량정보 또는 운영주체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차선스위칭장치(500)은 시간단위로 구간도로의 차선을 주행차선과 주차차선 등으로 전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교통량을 측정하여 차선당 일정시간에 통과하는 자동차의 숫자로 교통량을 측정하고 차선당 교통량이 일정 하한선 이하로 내려가거나 주차 또는 충전서비스의 수요가 많은 경우 주차차선을 늘리는 방식으로 차선을 스위칭하도록 한다.
차선스위칭장치(500)은 차선당 교통량이 상한선 이하로 올라가거나 주차 또는 충전서비의 수요가 줄어든 경우 주차차선을 주행차선으로 전환한다.
차선스위칭장치(500)은 주행차선으로 전환시켜야 할 주차차선에 주차된 자동차가 있다면 다른 주차공간으로 이동주차하거나 또는 주차를 중지하도록 하는 명령을 자동차 또는 운전자단말에 전송하도록 한다.
서버(300)는 차선스위칭장치(500)으로부터 도로의 각종 정보와 차선 운영현황정보 또한 충전서비스에 대한 현황정보 등을 수시로 수신받고 전체적인 상황정보를 운영관리하도록 한다.
서버(300)는 자동차 또는 운전자단말이 주차가능한 주차차선에 대한 정보를 요구할 경우 운전자단말 또는 자동차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이동시 걸리는 시간이나 이동에 따른 연료소모, 주차차선의 이용가능시간 또는 자동차의 이동 예정정보 등을 고려하여 주차가 가능한 주차차선에 대한 추천정보를 선정하여 운전자단말 또는 자동차에게 전송한다.
서버(300)는 자동차 또는 운전자단말이 충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주차차선에 대한 정보를 요구할 경우 운전자단말 또는 자동차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이동시 걸리는 시간이나 이동에 따른 연료소모, 주차차선의 이용가능시간 또는 자동차의 이동 예정정보 등을 고려하여 충전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주차차선에 대한 추천정보를 선정하여 운전자단말 또는 자동차에게 전송한다.
서버(300)는 특정된 자동차가 주차서비스 또는 충전서비스를 이용하였을 경우 주차요금 또는 충전요금을 산정하여 운전자단말에 전송하도록 한다. 주차요금은 횟수 및 주차이용시간 등을 기초로 산정하고 충전요금은 충전량 또는 충전횟수 등을 기초로 산정하되 이용시간이나 이용한 장소에 따라 다르게 산정하도록 한다.
서버(300)은 자동차에 대한 주차 또는 충전에 따라 산정된 요금을 운전자 또는 요금을 지불해야하는 당사자의 금융계좌에서 자동이체방식으로 결제하는 1방법, 카드결제를 하는 제 2방법, 온라인페이로 결제하도록 하는 제3방법 또는 누적포인트를 사용하도록 하는 제 4방법 등으로 요금을 과금한다.
도 3은 운전자단말의 모식도이다.
운전자단말은 일반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써 자동차에 설치된 단말일 수도 있으며, 운전자가 휴대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의 단말장치에 운전자단말기능을 수행하는 SW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한다.
운전자단말(200)은 네트워크 수단으로 서버 또는 차선스위칭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차선현황정보, 주차현황정보 또는 충전현황정보 등을 수신받는다.
운전자단말은 카메라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선현황정보에는 주행차선으로 사용되는 차선에 대한 정보 주차차선으로 사용되는 차선에 대한 정보, 충전서비스가 제공되는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현황정보는 주차하고 있는 자동차의 수 주차될 예정시간, 추가 주차할 수 있는 여분의 주차면의 수 또는 시간단위 주차가능 주차면의 예측 수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현황정보는 현재 충전하고 있는 자동차의 수, 충전서비스를 이용할 예정시간, 추가 사용할 수 있는 여분의 충전가능 주차면의 수 또는 시간단위 충전가능 주차면의 예측 수치, 충전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단말(200)은 서버(300)로부터 주차가가능한 주차차선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운전자단말(200)은 서버(300)으로부터 충전이 가능한 주차차선 정보를 추천받아 출력한다.
도 4는 자율주행자동차(400~) 및 일반자동차(400)에 대한 도로상태정보 서비스에 대한 모식도이다.
운전자단말 또는 자동차에는 주차서비스 또는 충전서비스를 이용가능한 주차차선에 대한 정보를 서버(300)에 요청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운전자단말 또는 자동차에는 주차서비스 또는 충전서비스에 대해 서버에 예약을 요청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다
자동차에는 차선스위칭 도로의 충전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충전장치를 더 구비하도록 한다.
차선스위칭장치(500) 또는 서버(300)는 어느 일정 도로의 일부 주차차선에 주차된 자동차가 있는 상태에서 주행차선으로 변경하는 경우 또는 주차차선의 정리상의 목적으로 주차된 자동차 또는 자동차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운전자단말에 이동주차 또는 주차중지를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자동차가 스스로 도로를 주행할 수 있는 자율주행자동차인 경우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자율주행자동차는 서버로부터 주차 또는 충전이 가능한 주차차선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으면 해당 주차차선의 위치로 이동하여 자동으로 주차하거나 충전을 시행하도록 한다.
자율주행자동차는 주차 또는 충전이 필요한 경우 서버에 주차 또는 충전서비스가 가능한 주차차선 정보를 요청한다.
자율주행자동차는 라이다, 카메라, 레이다 등의 센서와 판독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도로를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다.
자율주행자동차가 서버 혹은 차선스위칭장치로부터 이동주차 또는 주차중지의 명령을 수신하면 자율주행자동차는 이동주차 공간으로 이동하거나 주차를 종료하고 주차면에서 나와 이동한다.
자율주행자동차는 주차가 필요하거나 충전서비스가 필요한경우 자동으로 서버 혹은 차선스위칭장치에 충전서비스 또는 주차서비스를 요청하도록 한다.
자율주행자동차는 필요한 경우 충전서비스와 주차서비스에 대한 예약요청 정보를 서버 혹은 차선스위칭장치에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주차를 명령에는 이동주차할 수 있는 주차차선이나 주자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운전자단말(200)은 자동차에 대한 이동주차 또는 주차중지를 요청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서버(300)는 여러 도로의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교통상황에 따라 각 단위 도로의 차선운영에 따른 스케줄을 수립하거나 운영자에 의해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서버(300)는 운전자단말 또는 자동차로부터 주차 또는 충전예약을 요청하는 경우 해당시간에 주차 또는 충전이 가능한 주차차선을 선별하고 예약을 확정한후 예약정보를 운전자단말, 자동차에 전송한다.
서버(300)는 상기 스케줄 정보를 각 단위도로의 차선전환에 연계되도록 차선스위칭장치(500)에 전송한다. 차선스위칭장치는 상기 스케줄정보를 수신하고 스케줄정보에 따라 도로의 차선을 주행차선 또는 주차차선으로 스위칭하도록 한다.
차선스위칭장치(500)는 별도로 관리자에 의해 기본설정된 스케줄정보를 저장하고 이에 따라 도로의 차선을 주행차선 또는 주차차선으로 스위칭하도록 한다.
차선스위칭장치(500)는 출력모듈에 주행 제한속도정보를 더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서버 또는 차선스위칭장치(500)은 교통량, 토로여건 또는 스케줄 등에 따라서 차선에 따라서 차등화된 제한속도를 지정하도록 한다. 출퇴근시간대이거나 통행량이 많으면 안전사고상 주행속도를 줄이도록 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시간에는 통행속도를 올리는 방식이다.
차선스위칭장치(500)은 차선에 따라서 다른 제한속도를 설정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주차차선과 가까운차선은 주차된 차선에 사람들이 탑승하거나 할 수 있음을 고려해서 비교적 낮은 제한속도를 설정하고, 주차차선과 떨어진 차선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제한속도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운행이 감소하는 시간대에 도로를 주차장으로 활용하여 주차이용료 수익을 올리거나 주차차선에서 전기충전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전기충전서비스 이용료를 징수하는 사업에 활용할 수 있다.
자율주행자동차가 시대가 개막되면 공공 도로를 활용하여 주차장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도시공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데 주차나 충전서비스이용료를 징수하는 사업 이외에 도시에 차선스위칭이 가능한 도로를 구축하는 사업을 수행할 수 있다.
100: 차선스위칭 도로
110: 주행차선 표시모듈
120: 주행차선
130: 주차차선
140: 주차면
200: 운전자단말이기기
210: 출력모듈
220: 서비스모듈
230: DB모듈
240: 통신모듈
300: 서버
310: DB모듈
320: 웹모듈
330: 서비스제공모듈
400: 자동차
400~: 자율주행자동차
500: 차선스위칭장치
510: 정보출력모듈
520 센서모듈
530 네트워크모듈
540 데이터베이스모듈
550 충전모듈

Claims (15)

  1. 자동차가 통행하는 복수 차선의 도로에 있어서,
    도로에 통행하는 교통량을 측정하거나 차선전환 스케줄 정보를 확보하고, 교통량 또는 스케줄에 따라 차선을 주행차선 또는 주차차선으로 전환하고, 차선이 주차차선인지 주행차선인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차선스위칭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스위칭 도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선스위칭장치는 주차차선에 주차하는 자동차에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선스위칭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스위칭 도로.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스위칭장치는 주차차선의 충전서비스 제공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출하는 차선스위칭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스위칭 도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선의 전환은 바깥 주행차선부터 순차적으로 주차차선으로 전환하고, 주차차선에 대해서는 상기 전환 순서와 반대 순서로 주행차선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스위칭 도로
  5. 다수의 구간도로에서 주차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차선스위칭이 가능한 다수의 도로구간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각 도로구간에 대한 주차차선에 대한 주차현황정보를 관리하고, 자동차 또는 운전자단말에 주차 가능한 주차차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와
    복수의 차선중 일부차선을 교통량 또는 스케줄에 따라 주차차선 또는 주행차선으로 전환하고, 차선이 주차차선인지 주행차선인지를 표출하고, 차선의 전환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주차차선에 자동차가 주차중인 상황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차선스위칭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스위칭 도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차선스위칭장치는 주차차선에 주차한 자동차에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며, 충전서비스 현황정보를 관리하고, 충전서비스 현황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차선스위칭장치이고;
    상기 충전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고 자동차 또는 운전자단말에 충전이 가능한 주차차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스위칭 도로
  7.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는 주차가능한 주차차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주차차선이 있는 위치로 스스로 주행하여 이동하여 주차차선에 주차하는 자율주행자동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스위칭 도로
  8.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는 충전가능한 주차차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주차차선이 있는 위치로 스스로 주행하여 이동하여 주차차선에서 충전하는 자율주행자동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스위칭 도로
  9. 자동차가 통행하는 복수 차선의 도로에 있어서,
    차선스위칭장치가 도로의 교통량을 측정하거나 스케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차선스위칭장치가 도로의 교통량, 스케줄정보에 의해 상기 도로의 차선을 주행차선 또는 주차차선으로 스위칭하는 단계; 및
    차선스위치장치는 상기 차선이 주차차선인지 주행차선인지를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스위칭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선스위칭장치가 주차차선을 통해 자동차에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스위칭 방법
  11. 청구항 10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스위칭장치가 주차차선에서 충전서비스 제공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스위칭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차선을 스위칭하는 단계는 바깥쪽 주행차선부터 순차적으로 주차차선으로 스위칭하고, 주차차선에 대해서는 상기 스위칭 순서와 반대 순서로 주행차선으로 스위칭하는 단계인 차선스위칭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서버가 자동차 또는 운전자단말에 주차 가능한 주차차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차선스위칭장치가 주차차선의 주차현황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스위칭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차선스위칭장치가 주차차선에 주차한 자동차에게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차선스위칭장치가 자동차에 대한 충전서비스 현황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충전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자동차 또는 운전자단말에 충전이 가능한 주차차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스위칭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는 스스로 도로를 주행하는 자율주행자동차이고,
    상기 자율주행자동차가 주차 또는 충전이 가능한 주차차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자율주행자동차가 서버로부터 주차차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및
    상기 자율주행자동차가 스스로 상기 주차차선으로 이동하고 주차하거나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스위칭방법
KR1020210148005A 2021-11-01 2021-11-01 차선스위칭 도로 및 방법 KR102548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005A KR102548212B1 (ko) 2021-11-01 2021-11-01 차선스위칭 도로 및 방법
PCT/KR2022/015599 WO2023075238A1 (ko) 2021-11-01 2022-10-14 차선스위칭 도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005A KR102548212B1 (ko) 2021-11-01 2021-11-01 차선스위칭 도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116A true KR20230063116A (ko) 2023-05-09
KR102548212B1 KR102548212B1 (ko) 2023-06-27

Family

ID=86158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005A KR102548212B1 (ko) 2021-11-01 2021-11-01 차선스위칭 도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48212B1 (ko)
WO (1) WO20230752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27556B (zh) * 2023-11-16 2024-02-02 北京工业大学 一种应用于双向公路中间车道的无线充电车道控制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1309B2 (ko) * 1979-03-07 1982-09-02
JPH11323804A (ja) * 1998-05-11 1999-11-26 Kawasaki Heavy Ind Ltd 走行路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000006919A (ko) * 1999-11-12 2000-02-07 최인석 차로표시장치
KR100329488B1 (ko) * 1999-02-25 2002-03-20 김시중 가변차선 자동 제어장치
JP2020166634A (ja) * 2019-03-29 2020-10-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050716A (ko) * 2019-10-29 2021-05-1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적 가변차선을 이용한 교통량 제어 방법 및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1309B2 (ja) 2011-08-10 2015-07-0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充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1309B2 (ko) * 1979-03-07 1982-09-02
JPH11323804A (ja) * 1998-05-11 1999-11-26 Kawasaki Heavy Ind Ltd 走行路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0329488B1 (ko) * 1999-02-25 2002-03-20 김시중 가변차선 자동 제어장치
KR20000006919A (ko) * 1999-11-12 2000-02-07 최인석 차로표시장치
JP2020166634A (ja) * 2019-03-29 2020-10-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050716A (ko) * 2019-10-29 2021-05-1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적 가변차선을 이용한 교통량 제어 방법 및 제어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독일의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 (2014.05.01.), <https://blog.naver.com/hdongw/110190025486>* *
목포시, 순천당약국~죽교파출소 구간 가변차로제 시행 (2020.01.16.), <https://www.mokpo.go.kr/mayor/activity/media_report?idx=457137&mode=view#no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212B1 (ko) 2023-06-27
WO2023075238A1 (ko)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42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ffic and parking management
US11699346B1 (en) Advanced parking management system
CN109285373B (zh) 一种面向整体道路网的智能网联交通系统
US9613532B2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ions to available parking spaces via dynamic signs
CN201170927Y (zh) 智能尘埃式交通传感器和信号控制网络及其信息传输系统
US8816879B2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changeable parking spaces
KR101211374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화 주차 시스템
CN101414407A (zh) 智能尘埃式交通传感器和信号控制网络及其信息传输系统
US201903854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 on-street parking control and unoccupied parking spot availability detection
CN105957397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停车集成系统
CN205177167U (zh) 一种基于etc和v2x的智能终端及系统
CN106157681A (zh) 停车区域管理系统及方法
CA2802573A1 (en) Non-enforcement autonomous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CN102768768A (zh) 一种智能交通服务系统
CN104221065A (zh) 利用照明网络进行交通管理的系统和方法
KR102548212B1 (ko) 차선스위칭 도로 및 방법
KR101492137B1 (ko) 구획별 무인 주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EP3873764A1 (en) Autonomous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Smiai et 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search opportunities in dynamic charging for electric vehicle
CN108961822B (zh) 路内泊位停车智能管理方法及系统
CN110866806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租还汽车系统及其管理方法
CN109993923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汽车自动充电、泊车系统及方法
CN111932939A (zh) 一种基于大数据的城市智慧停车系统及其工作方法
KR20030009243A (ko) 단거리무선단말기(dsrc)를 이용한 불법주차단속시스템버스우선신호시스템 버스정보시스템 그 장치와 방법
KR20240045811A (ko) 도로차선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