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601A - 삽입 가능한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삽입 가능한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601A
KR20230057601A KR1020210141542A KR20210141542A KR20230057601A KR 20230057601 A KR20230057601 A KR 20230057601A KR 1020210141542 A KR1020210141542 A KR 1020210141542A KR 20210141542 A KR20210141542 A KR 20210141542A KR 20230057601 A KR20230057601 A KR 20230057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ain body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우
김용재
유재석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10141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7601A/ko
Priority to PCT/US2022/023964 priority patent/WO2023069138A1/en
Publication of KR20230057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41J3/46Printing mechanisms combined with apparatus providing a visual ind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 형성 장치는 본체, 제1 디스플레이, 본체의 내부에 인입되는 삽입 위치 및 본체 외부로 돌출되는 인출 위치 사이에서 제1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부재, 본체의 외관 또는 제1 디스플레이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 및 제1 디스플레이가 인출 위치에 있으면 제1 디스플레이가 정보를 제공하고, 제1 디스플레이가 삽입 위치에 있으면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삽입 가능한 디스플레이{INSERTABLE DISPLAY}
화상 형성 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스캐너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삽입형 UI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1 디스플레이가 삽입 위치에 있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1 디스플레이가 인출 위치에 있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삽입형 UI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삽입형 UI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삽입 위치에 있는 경우 본체 외관에 형성된 윈도우를 통해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회전 가능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삽입형 UI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형성장치”란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는 각종 UI 화면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UI 화면을 직접 터치하거나, 유저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버튼을 조작하여 다양한 선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선택 명령은 화상 형성 장치가 구비한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거나, 모드 변경, 동작 정지 및 재개 등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일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복사 명령이나, 팩스 명령, 스캔 명령 등과 같은 작업 명령을 직접 입력 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된 각종 프로그램을 선택하거나 실행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화상 형성 장치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내부에 인입된 위치 또는 외부로 인출된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각각의 위치에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삽입형 UI 구조의 다양한 예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는 그 크기나 성능, 가격, 사용 용도, 모델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구조 및 기능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그러한 구조 중 하나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는 급지 장치, 인쇄 엔진, 배출 장치 등 용지함에 적재된 용지(P)를 급지하여 이송 경로(A) 상에서 이송하며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고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내부에 수납 가능한 삽입형 UI 구조(1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삽입형 UI 구조(100)는 인쇄 엔진으로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20)와 본체(10)의 상부 커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삽입형 UI 구조(100)가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10) 내부 공간에 수납 가능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예에 따른 삽입형 UI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삽입형 UI 구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제1 디스플레이(110), 제2 디스플레이(120) 및 이동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0)는 정보를 시각적인 형태로 출력하는 구성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감지부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UI 화면을 표시하고 UI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120)는 정보를 시각적인 형태로 출력하는 구성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UI 화면을 표시하고 UI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본체에 형성된 윈도우를 통하여, 제1 디스플레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켜 구현할 수도 있고, 본체 외부에 형성된 발광 소자들을 활용하여 부호 형태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디스플레이(110)는 본체(10)의 내부에 인입되는 삽입 위치 또는 본체(10) 외부로 돌출되는 인출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상 형성 장치(1)는 삽입 위치 또는 인출 위치로 제1 디스플레이(1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부재(130)는 제1 디스플레이(110)를 지지하기 위한 케이스(또는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제1 디스플레이(110)를 삽입 위치 또는 상기 인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 부재(130)는 본체(10)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부(131, 도 7 참조)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이동 부재(130)를 수동으로 이동시키도록 보조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부재(130)는 푸쉬래치(push-latch) 방식을 적용하여 삽입 위치에서 이동 부재(130)에 본체(10) 내측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고정된 래치가 해제되며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외부로 인출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1)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동 부재(130)를 자동으로 외부로 인출시킬 수도 있다.
제2 디스플레이(120)는 제1 디스플레이(110)의 위치와 관계 없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120)는 본체(10)의 외관 또는 이동 부재(1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120)가 이동 부재(130)의 외측,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디스플레이(110)의 삽입 위치에서 이동 부재(130)가 외부로 노출되는 측면에 배치된 구조를 도시하였다.
화상 형성 장치(1)는 제1 디스플레이(110)가 인출 위치에 배치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제1 디스플레이(110)가 삽입 위치에 배치된 경우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는 제2 디스플레이(120)보다 큰 화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공 가능한 정보의 양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는 제1 디스플레이(110)가 삽입 위치에 배치된 경우 외부로 노출된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비교적 간단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110)가 외부로 인출되면 제1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이후 도면을 참고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2에서는 삽입형 UI 구조(100)가 본체(10)의 일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삽입형 UI 구조(10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10)의 전면, 후면, 상면 등 다양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형 UI 구조(100)가 본체(10)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면, 이동 부재(130)의 외측에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120)가 본체(10) 전면으로 노출될 수 있어 사용자의 제2 디스플레이(120) 접근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는 제1 디스플레이(110), 제2 디스플레이(12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화상 형성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4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SoC(System on Chip)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제1 디스플레이(110)가 인출 위치에 배치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제1 디스플레이(110)가 삽입 위치에 배치된 경우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40)는 제1 디스플레이(110)가 인출 위치에 배치되었다고 식별되면(S410, Y) 제1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정보를 제공(S420)할 수 있다. 이후, 제1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던 중 제1 디스플레이(110)가 삽입 위치로 이동하였다고 식별되면(S430, Y)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정보를 제공(S440)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던 중 제1 디스플레이(110)가 인출 위치로 이동하였다고 식별되면(S450, Y) 제1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정보를 제공(S420)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110)의 인출 또는 삽입 동작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적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디스플레이(110)가 삽입 위치에 배치되면 제1 디스플레이(110)를 비활성화시키고, 제1 디스플레이(110)가 인출 위치에 배치되면 제1 디스플레이(11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110)가 본체(10) 내부에 인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제1 디스플레이(110)가 삽입 위치에 배치되고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110)가 인출 위치로 이동하면, 제1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상기 제2 디스플레이(120)에서 제공된 정보와 관련된 세부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1 디스플레이가 삽입 위치에 배치된 경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1 디스플레이가 인출 위치에 배치된 경우 제1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화상 형성 장치(1)에서 에러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되면 제1 디스플레이(110)가 삽입 위치에 배치된 상태(도 5 참고)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프로세서(140)는 화상 형성 장치(1)에서 용지 부족이 감지되면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용지 부족 알림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에러 상태를 인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제1 디스플레이(110)가 인출 위치로 이동하면(도 6 참고) 제1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에러 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는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된 에러 상태 알림과 연관된 해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제2 디스플레이(120)는 도 5에서 제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된 에러 상태인 용지 부족에 대응되는 해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0)는 제2 디스플레이(120)보다 비교적 넓은 면적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제공된 정보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지 부족 상태에 대한 해결 정보로써 용지를 충전하기 위한 용지함의 위치를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으며, 용지 충전 방법을 상세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의 에러 상태는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나 인쇄 품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러 상태는 용지 부족, 현상제 부족, 용지 걸림, 부품 오염 등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디스플레이(12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디스플레이(120)는 화상 형성 장치(1)의 본체(10) 외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40)는 화상 형성 장치(1)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하는 것과 같이 발광 소자(160)의 발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화상 형성 장치(1)에서 에러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되면, 발광 소자(160)의 발광 색상, 발광 주기 등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에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110)의 위치와 관계 없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120)의 다양한 예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110)가 삽입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알림을 즉각적으로 노출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삽입형 UI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르면, 이동 부재(130)는 제1 디스플레이(110)가 삽입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31)를 잡고 외력을 가하여 이동 부재(130)에 탑재된 제1 디스플레이(110)를 본체(10) 내부 공간으로 삽입시키거나 본체(10)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삽입형 UI 구조(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디스플레이(210), 이동 부재(230) 및 윈도우(27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일 예와는 달리, 도 8에 개시된 삽입형 UI 구조(200)는 본체(10)의 내부에 인입되는 삽입 위치 또는 본체(10) 외부로 돌출되는 인출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10)의 외관에 형성되고 삽입 위치에 배치된 디스플레이(2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윈도우(270)를 포함한다.
윈도우(270)는 삽입 위치에 배치된 디스플레이(21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210)가 본체(10) 내부에 완전히 인입되는 삽입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라도 윈도우(270)를 통해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되는 정보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윈도우(270)는 본체(10) 외관에 개구로 형성되거나, 외부 이물질이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 재질의 가림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삽입 위치에 있는 경우 본체 외관에 형성된 윈도우를 통해 디스플레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윈도우(270)는 디스플레이(210)의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 또는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210)가 인출 위치에 배치된 경우 뿐만 아니라, 삽입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도 외부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210)가 인출 위치에 배치된 경우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210)가 삽입 위치에 배치된 경우 윈도우(27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2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1)는 본체(10)의 외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키(2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키(25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210)가 삽입 위치에 배치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키(25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210)가 본체(10)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도 외부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본체(10) 외관에 배치된 키(25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되는 UI 화면은 디스플레이(210)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10)가 인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된 UI 화면을 터치하여 조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210)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되는 UI 화면은 터치 조작에 적합한 레이아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210)가 삽입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된 UI 화면을 터치 조작할 수 없으므로, 본체(10) 외관에 배치된 키(250)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210)의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되는 UI 화면은 키 조작에 적합한 레이아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회전 가능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이동 부재(230)는 디스플레이(210)를 지지하는 트레이(231), 힌지부(232) 및 측벽(233)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231)는 제1 디스플레이(210)를 수용하고, 본체(10)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본체(10) 내부 공간에 인입되거나 본체(10)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동 가능한 구조이다. 측벽(233)은 트레이(231)가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에 형성되며, 트레이(231)가 본체(10) 내부 공간에 완전히 인입되면 본체(10)에 형성된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힌지부(232)는 트레이(231) 상에서 디스플레이(210)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210)는 트레이(231)가 이동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힌지부(232)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삽입형 UI 구조(3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삽입형 UI 구조(300)는 제1 디스플레이(310), 제2 디스플레이(320) 및 이동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부재(330)는 앞서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조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310)를 본체(10) 내부에 인입되는 삽입 위치 또는 본체(10) 외부로 돌출되는 인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1 디스플레이(3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부재(330)의 외측 측벽에 제2 디스플레이(3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310) 및 제2 디스플레이(320)의 동작은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의 동작이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디스플레이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210) 및 제1 디스플레이가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면, 제1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가 본체의 외부로부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면 제1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는 본체의 외관 또는 제1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는 제1 디스플레이의 위치에 관계 없이 항상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1 디스플레이가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가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면, 제1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정보와 관련된 세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디스플레이가 본체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제공하며, 제1 디스플레이가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면 제1 디스플레이를 통해 에러 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개시는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개시는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본체;
    제1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인입되는 삽입 위치 및 상기 본체 외부로 돌출되는 인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부재;
    상기 본체의 외관 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가 상기 인출 위치에 있으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가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가 상기 삽입 위치에 있으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가 상기 삽입 위치에 있으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가 상기 인출 위치에 있으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활성화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가 상기 삽입 위치에 있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가 상기 인출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정보와 관련된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가 상기 삽입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에러 상태가 발생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제공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가 상기 인출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에러 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에러 상태는 용지 부족, 현상제 부족, 용지 걸림, 부품 오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 공간에 인입되거나 상기 본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동 가능한 트레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상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상기 트레이가 이동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상기 본체의 외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발광 상태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본체;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인입되는 삽입 위치 및 상기 본체 외부로 돌출되는 인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부재;
    상기 본체의 외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 위치의 디스플레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윈도우; 및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인출 위치에 있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삽입 위치에 있으면 상기 윈도우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삽입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의 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인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 공간에 인입되거나 상기 본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동 가능한 트레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트레이가 이동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2.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디스플레이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부터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상기 본체의 외관 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정보와 관련된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제공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에러 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210141542A 2021-10-22 2021-10-22 삽입 가능한 디스플레이 KR20230057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542A KR20230057601A (ko) 2021-10-22 2021-10-22 삽입 가능한 디스플레이
PCT/US2022/023964 WO2023069138A1 (en) 2021-10-22 2022-04-08 Insertabl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542A KR20230057601A (ko) 2021-10-22 2021-10-22 삽입 가능한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601A true KR20230057601A (ko) 2023-05-02

Family

ID=8139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542A KR20230057601A (ko) 2021-10-22 2021-10-22 삽입 가능한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57601A (ko)
WO (1) WO2023069138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7819B2 (ja) * 2001-04-06 2005-02-0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2433269B1 (ko) * 2016-01-18 2022-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266152B1 (ko) * 2018-02-22 202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변경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7342572B2 (ja) * 2019-09-27 2023-09-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9138A1 (en)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481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3220199B1 (en) Image formation device
US84113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230057601A (ko) 삽입 가능한 디스플레이
US1190248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108501551B (zh) 信息处理设备
US6702488B1 (en) Printing device configured to print a demonstration page
US9093005B2 (en) Display device
US511124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image contrast on a display device
US1029594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7719700B2 (en) Image forming device with print mode actuator and method
JP6908454B2 (ja) 画像形成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WO2020189249A1 (ja) 画像形成装置
JP741907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H0675732A (ja) 印刷装置及びメニュー選択方法
US10965825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comprising display panel which serves as operation portion and image reader, image forming apparatus,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control method
JPH02205861A (ja) 電子写真装置
JP201223410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072600A (ja) 画像形成装置
KR20050112181A (ko) 프로젝터기능이 구비된 화상인쇄기기
KR19990035519A (ko) 화면을 통한 인쇄상태 사전 확인기능이 구비된 복사기
JP2022073555A (ja) 画像処理装置
JP202404888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458309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112037A (ja) 画像記録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