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5792A -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5792A
KR20230055792A KR1020210139589A KR20210139589A KR20230055792A KR 20230055792 A KR20230055792 A KR 20230055792A KR 1020210139589 A KR1020210139589 A KR 1020210139589A KR 20210139589 A KR20210139589 A KR 20210139589A KR 20230055792 A KR20230055792 A KR 20230055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gage compartment
conveyor belt
unit
bus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3388B1 (ko
Inventor
노홍아
박현진
염하늘
오제훈
이다은
이성은
전소을
진현웅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39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388B1/ko
Publication of KR20230055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03Luggage racks, e.g. for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 간 이동에 이용하는 고속버스의 하부 짐칸에 관한 것으로, 운전기사 또는 하역담당자가 짐칸의 도어를 열고 전후 이동이 가능한 돌출컨베이어벨트를 돌출시켜 화물을 하역할 수 있어 종래의 화물 하역 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운전기사 또는 하역담당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The bus luggage compartment that uses the conveyor belt}
본 발명은 도시 간 이동에 이용하는 고속버스의 하부 짐칸에 관한 것으로, 운전기사 또는 하역담당자가 짐칸의 도어를 열고 전후 이동이 가능한 돌출컨베이어벨트를 돌출시켜 화물을 하역할 수 있어 종래의 화물 하역 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운전기사 또는 하역담당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에 관한 것이다.
도시간의 이동에서 사용되는 대중교통은 기차 또는 고속버스가 가장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이때 고속버스의 경우 승객들의 화물 중 차량 내부에 들고 타기 힘들 정도로 부피가 크거나 무거울 경우 차량 하부에 마련된 짐칸에 수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버스 짐칸은 주로 운행 업무를 수행하는 버스 기사나 화물의 하역을 담당하는 담당자가 상차 및 하차 시 화물의 상차 및 하차를 도와주게 된다.
이때 짐칸이 차량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화물의 상차 및 하차 시 허리를 숙이고 작업을 진행하여야 했다. 허리를 숙인 불안정한 자세에서 부피가 큰 화물 또는 무거운 화물을 들고 움직이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에 따라 해당 작업을 수행하다 근골격계 질환을 갖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0-1534691호로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기술은 차량의 슬라이드 아웃 짐칸 장치로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차량의 트렁크 내에 제공된 한 쌍의 트랙들, 트랙들 상에 장착된 짐칸, 트렁크 뚜껑을 차량 바디 패널에 연결하는 연결부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 바, 그리고 짐칸과 바에 연결되고 트렁크 뚜껑이 열렸을 때 짐칸이 케이블에 가해지는 장력의 간섭 없이 후방으로 트렁크 밖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는 케이블이 포함되는 장치로서, 짐칸을 개폐하는 동작과 동시에 짐칸이 전후로 이동하여 보다 쉽게 화물을 내릴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뚜껑이 과도하게 열렸을 경우, 짐칸이 과도하게 돌출되어 무게가 무거운 짐이 상차되어 있을 경우 파손의 위험이 높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짐칸의 내측의 짐을 하역하기 위해서는 하역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허리를 숙여야 한다는 점에서는 여전히 변함이 없어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유도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34691호(2015.07.07.)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도시 간 이동에 이용하는 고속버스의 하부 짐칸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기사 또는 하역담당자가 짐칸의 도어를 열고 전후 이동이 가능한 돌출컨베이어벨트를 돌출시켜 화물을 하역할 수 있어 종래의 화물 하역 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운전기사 또는 하역담당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은,
버스 하부의 내부에 화물을 수납하는 중공으로 형성되는 버스 짐칸(100)에 있어서,
상기 짐칸(100)의 외측면에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도어(111)를 포함하는 도어부(110),
상기 짐칸(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차 및 하차 시 외부로 돌출되는 바닥판(121)과, 상기 바닥판(121)에 결합되고 모터로 구동되는 컨베이어벨트(122)와, 상기 짐칸(100)의 전측면 또는 후측면에 상기 바닥판(121) 및 컨베이어벨트(122)의 구동을 위해 구비되는 구동스위치(123)로 구성되는 컨베이어벨트부(120),
상기 짐칸(100)의 선택되는 영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131)로 구성되는 도난감시부(130),
상기 짐칸(100)의 선택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균수단(141)으로 구성되는 짐칸살균부(140) 및
상기 도어부(110), 컨베이어벨트부(120), 도난감시부(130) 및 짐칸살균부(140)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51)로 구성되는 제어부(150)로 구성되되,
상기 컨베이어벨트부(120)가 차량의 외측 및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벨트부(120)는 외부로 돌출될 경우 전체 길이의 2/3 지점까지만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51)은 상기 도난감시부(130)에서 전달받은 이미지를 통해 상기 짐칸(100) 내부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살균수단(141)은 100~280nm 파장의 자외선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도난감시부(130)에서 전송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을 저장하고, 외부 출력기기로 출력하기 위한 영상처리장치(15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어수단(151)이 승객별로 짐을 분류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은 컨베이어 벨트를 통하여 화물을 상차 및 하차할 수 있어, 종래 버스의 화물을 상차 및 하차하는 사용자, 운전자 또는 하역 작업자들에게 발생될 수 있었던 근골격계 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난감시부를 통하여 버스 내부에서도 실시간으로 짐칸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 도난을 막을 수 있으며, 도난이 발생 되어도 증거자료로 활용이 가능하여 보다 안전한 짐칸 이용이 가능하다.
더불어, 짐칸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균수단이 구비되어 버스 운행 중에 짐칸 내부의 살균을 실시하여 화물과 함께 유입될 수 있는 바이러스를 살균하여 짐칸 내부의 위생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 일실시예
도 2는 본 발명 도난감시부의 일실시예
도 3은 본 발명 짐칸살균부의 일실시예
도 4는 본 발명 제어부의 일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 구동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 일실시예이고, 도 2는 본 발명 도난감시부의 일실시예이며, 도 3은 본 발명 짐칸살균부의 일실시예이고, 도 4는 본 발명 제어부의 일실시예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 구동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은,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 하부의 내부에 화물을 수납하는 중공으로 형성되는 버스 짐칸(100)에 있어서,
상기 짐칸(100)의 외측면에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도어(111)를 포함하는 도어부(110),
상기 짐칸(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차 및 하차 시 외부로 돌출되는 바닥판(121)과, 상기 바닥판(121)에 결합되고 모터로 구동되는 컨베이어벨트(122)와, 상기 짐칸(100)의 전측면 또는 후측면에 상기 바닥판(121) 및 컨베이어벨트(122)의 구동을 위해 구비되는 구동스위치(123)로 구성되는 컨베이어벨트부(120),
상기 짐칸(100)의 선택되는 영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131)로 구성되는 도난감시부(130),
상기 짐칸(100)의 선택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균수단(141)으로 구성되는 짐칸살균부(140) 및
상기 도어부(110), 컨베이어벨트부(120), 도난감시부(130) 및 짐칸살균부(140)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51)로 구성되는 제어부(150)로 구성되되,
상기 컨베이어벨트부(120)가 차량의 외측 및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벨트부(120)는 짐칸(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차 및 하차 시 외부로 돌출되는 바닥판(121)과, 상기 바닥판(121)에 결합되고 모터로 구동되는 컨베이어벨트(122)와, 상기 짐칸(100)의 전측면 또는 후측면에 상기 바닥판(121) 및 컨베이어벨트(122)의 구동을 위해 구비되는 구동스위치(123)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버스 짐칸의 경우 화물을 사용자, 운전사 또는 화물 하역 작업자들이 허리를 굽히고 화물을 집어넣고 빼낸다. 이러한 동작은 허리의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사용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은 상기 컨베이벨트부(120)가 화물의 상차 및 하차 시 외측으로 돌출되고, 버스 운행 중에는 짐칸 내부에 수납되는 형태로 운용되어 버스의 구조변화 없이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바닥판(121) 및 컨베이어벨트(122)는 스텝모터 등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바닥판(121)은 전진 및 후진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122)는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화물을 상차 시, 상기 구동스위치(123)를 구동시켜 상기 바닥판(121)을 짐칸 외부로 돌출시키고, 상기 컨베이어벨트(122)에 화물을 놓은 후 상기 구동스위치(123)를 구동시켜 상기 컨베이어벨트(122)를 짐칸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컨베이어벨트(122) 위에 놓인 화물이 짐칸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 다시 컨베이어벨트(122)에 화물을 놓은 후 상기 구동스위치(123)를 구동시켜 상기 컨베이어벨트(122)를 짐칸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컨베이어벨트(122) 위에 놓인 화물이 짐칸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통해, 컨베이어벨트(122) 위에 놓인 화물을 순차적으로 버스 짐칸 방향으로 이동시켜 버스 짐칸에 수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컨베이어벨트(122) 위에 화물을 올려놓으면 화물이 컨베이어벨트(122)에 의해 순차적으로 짐칸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화물을 버스 짐칸에 쉽게 보관할 수 있다.
화물의 상차가 완료되면, 상기 구동스위치(123)를 구동시켜 상기 바닥판(121)을 짐칸 내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어(111)를 닫게 된다.
또한 화물을 하차 시, 상기 구동스위치(123)를 구동시켜 상기 바닥판(121)을 짐칸 외부로 돌출시키고, 상기 컨베이어벨트(122) 위에 놓인 화물을 하차시킨 후 상기 구동스위치(123)를 구동시켜 상기 컨베이어벨트(122)를 바깥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컨베이어벨트(122) 위에 놓인 화물이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 다시 컨베이어벨트(122) 위에 놓인 화물을 하차시킨 후 상기 구동스위치(123)를 구동시켜 상기 컨베이어벨트(122)를 바깥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컨베이어벨트(122) 위에 놓인 화물이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통해, 컨베이어벨트(122) 위에 놓인 화물을 순차적으로 바깥 방향으로 이동시켜 버스 짐칸에 수납된 화물을 하차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컨베이어벨트(122) 위에 놓인 화물을 하차시키면 화물이 컨베이어벨트(122)에 의해 순차적으로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버스 짐칸에 수납된 화물을 쉽게 하차시킬 수 있다.
화물의 하차가 완료되면, 상기 구동스위치(123)를 구동시켜 상기 바닥판(121)을 짐칸 내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어(111)를 닫게 된다.
이때,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벨트부(120)는 외부로 돌출될 경우 전체 길이의 2/3 지점까지만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화물이 가벼울 경우엔 별다른 영향이 없으나 화물이 무거울 경우, 상기 컨베이어벨트부(120)에 하중으로 인한 파손이 발생될 수 있어, 미리 전체 길이의 2/3 지점까지만 돌출되도록 제한하여 하중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스위치(123)는 짐칸(100)의 전측면 또는 후측면에 구비되며, 사용자는 상기 구동스위치(123)를 누르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구동스위치(123)가 제어되어 상기 바닥판(121) 및 컨베이어벨트(122)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도어(111)를 여는 동시에 상기 구동스위치(123)가 작동하여 상기 바닥판(121)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벨트부(120)는 돌출되는 컨베이어벨트부(12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길이조절부를 통하여 돌출되는 컨베이어벨트부(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면에 존재하는 장애물에 맞추어 돌출되는 컨베이어벨트부(120)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또는 거치되는 화물의 수량에 맞추어 컨베이어벨트부(120)를 돌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벨트부(120)는 컨베이어벨트(122) 위에 놓인 화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는 컨베이어벨트(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화물의 무게가 특정수치 이상이 되면, 상기 구동스위치(123)를 구동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컨베이어벨트(122)를 자동적으로 짐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더불어,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도난감시부(130)는 상기 짐칸(100)의 선택되는 영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31)를 통하여 간혹 발생되는 도난 사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도난 사건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상기 도난감시부(130)에 저장된 영상을 가지고 사건을 보다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난감시부(130)는 화염감지기, 가스감지기와 같은 상태확인센서(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짐칸의 화물에서 화재 또는 가스누출이 발생될 경우 이를 즉각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어 보다 안전한 버스운행을 도울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짐칸살균부(140)는 짐칸(100)의 선택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균수단(1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짐칸살균부(140)는 하나 이상의 상기 살균수단(141)을 통하여 버스 운행 중 짐칸 내부의 살균을 실시하여, 화물과 함께 유입될 수 있는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 및 화물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살균수단(141)은 100~280nm 파장의 자외선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UV 살균장치가 상기 짐칸(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살균수단(141)과는 별도로 브러쉬 형태의 청소도구와 UV 살균장치가 결합된 형태로 상기 컨베이어벨트(122)의 청소 및 살균을 수행하는 컨베이어벨트관리수단(142)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도어부(110), 컨베이어벨트부(120), 도난감시부(130) 및 짐칸살균부(140)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51); 및 상기 도난감시부(130)에서 전송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저장하고 외부 출력기기로 출력하기 위한 영상처리장치(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152)는 상기 카메라(131)에서 전송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단순히 저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버스 객실에 설치되어 있는 TV와 같은 영상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승객은 자신의 목적지가 아니거나 객실에서 대기하고 있을 때, 현재 하차되고 있는 화물을 확인할 수 있어 확인되지 않을 때 느낄 수 있는 불안감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버스 운행 중에는 버스 짐칸 내부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 짐칸 내부에 수용된 화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51)은 상기 도난감시부(130)에서 전달받은 영상 또는 이미지를 통해 상기 짐칸(100) 내부 또는 근처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짐칸 내부 또는 근처에 사람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버스가 출발하여 발생할 수 있는 발차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미지 판독은 머신러닝을 통한 이미지 처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어수단(151)이 승객별로 짐을 분류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승객 인식수단(RFID, QR 등)이 구비되어 이를 통해 승객을 인지하고 화물을 상차하여 상차 시 미리 지정된 위치에 화물을 이송하고, 화물 하차 시 승객이 승객 인식수단을 통해 상기 제어수단(151)에 입력하면 해당 화물을 하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은 화물 하차 시 승객별로 화물을 제공하여 승객의 편의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화물 하차 시 발생될 수 있는 승객의 화물 섞임으로 인한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짐칸(100) 근처의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짐칸(100) 근처에 감지되는 물체가 없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도어(111)를 여는 동시에 상기 구동스위치(123)가 작동하여 상기 바닥판(121)을 바깥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100: 짐칸
110: 도어부
111: 도어
120: 컨베이어벨트부 121: 바닥판
122: 컨베이어벨트 123: 구동스위치
130: 도난감시부
131: 카메라 132: 상태확인센서
140: 짐칸살균부
141: 살균수단 142: 컨베이어벨트관리수단
150: 제어부
151: 제어수단 152: 영상처리장치

Claims (7)

  1. 버스 하부의 내부에 화물을 수납하는 중공으로 형성되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100)에 있어서,
    상기 짐칸(100)의 외측면에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도어(111)를 포함하는 도어부(110);
    상기 짐칸(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차 및 하차 시 외부로 돌출되는 바닥판(121)과, 상기 바닥판(121)에 결합되고 모터로 구동되는 컨베이어벨트(122)와, 상기 짐칸(100)의 전측면 또는 후측면에 상기 바닥판(121) 및 컨베이어벨트(122)의 구동을 위해 구비되는 구동스위치(123)로 구성되는 컨베이어벨트부(120);
    상기 짐칸(100)의 선택되는 영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131)로 구성되는 도난감시부(130);
    상기 짐칸(100)의 선택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균수단(141)으로 구성되는 짐칸살균부(140); 및
    상기 도어부(110), 컨베이어벨트부(120), 도난감시부(130) 및 짐칸살균부(140)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51)로 구성되는 제어부(150)로 구성되되,
    상기 컨베이어벨트부(120)가 차량의 외측 및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부(120)는
    외부로 돌출될 경우 전체 길이의 2/3 지점까지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부(120)는
    돌출되는 컨베이어벨트부(12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51)은
    상기 도난감시부(130)에서 전달받은 이미지를 통해 상기 짐칸(100) 내부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단(141)은
    100~280nm 파장의 자외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도난감시부(130)에서 전송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을 저장하고 외부 출력기기로 출력하기 위한 영상처리장치(1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어수단(151)이 승객별로 짐을 분류하여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
KR1020210139589A 2021-10-19 2021-10-19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 KR102603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589A KR102603388B1 (ko) 2021-10-19 2021-10-19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589A KR102603388B1 (ko) 2021-10-19 2021-10-19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792A true KR20230055792A (ko) 2023-04-26
KR102603388B1 KR102603388B1 (ko) 2023-11-16

Family

ID=86099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589A KR102603388B1 (ko) 2021-10-19 2021-10-19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3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420A1 (ko) 2022-07-20 2024-01-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차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512A (ko) * 2001-06-25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화물 이송장치
KR101534691B1 (ko) 2009-07-30 2015-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드 아웃 짐칸 장치
KR20160067233A (ko) * 2014-12-03 2016-06-14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적재 물품 도난 방지 장치
KR20190104011A (ko) * 2019-08-15 2019-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주행시스템에서 물품전달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512A (ko) * 2001-06-25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화물 이송장치
KR101534691B1 (ko) 2009-07-30 2015-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드 아웃 짐칸 장치
KR20160067233A (ko) * 2014-12-03 2016-06-14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적재 물품 도난 방지 장치
KR20190104011A (ko) * 2019-08-15 2019-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주행시스템에서 물품전달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420A1 (ko) 2022-07-20 2024-01-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388B1 (ko)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9224A (en) Apparatus for accommodating wheelchairs in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s
US20060051196A1 (en) Integrated vehicle docking system and related method
JP7354980B2 (ja) 配送用車両及び配送用車両制御システム
US20080124203A1 (en) Integrated vehicle docking system and related method
JP2004034975A (ja) 車両の荷物室を保護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20230055792A (ko)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버스 짐칸
US11883336B2 (en) Vehicle
US2021032259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infection using uvc light
CN114099731A (zh) 上车扶手杀菌装置
JP2007315069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2010076483A (ja) 降車支援装置
JP7011463B2 (ja) 異物検知システムと方法
JP2009084788A (ja) 開閉体の閉作動警告表示装置
US10434939B2 (en) Vehicular illumination mechanism
CN115284993A (zh) 被构造成在进入和离开车辆时使用的辅助把手装置
JP5270671B2 (ja) 航空機の貨物室の中で物体、特に荷物を移動させる装置
JP6574139B2 (ja) 駐車装置
US6495933B2 (en) Powered trap door device for vehicle
US20220332240A1 (en) Ramp-equipped vehicle
KR102406042B1 (ko) 차량의 화물 적하역 장치
KR20200074776A (ko) 어린이 등원 차량용 탑승자 차내 방치 방지장치
JP4272630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制御装置
JP2007277900A (ja) 車両用自動スライドドア制御装置
US20200123809A1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ized door adjust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JP6914226B2 (ja) 機械式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