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2201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2201A
KR20230052201A KR1020220073354A KR20220073354A KR20230052201A KR 20230052201 A KR20230052201 A KR 20230052201A KR 1020220073354 A KR1020220073354 A KR 1020220073354A KR 20220073354 A KR20220073354 A KR 20220073354A KR 20230052201 A KR20230052201 A KR 20230052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threshing device
threshing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나부 모리
도모야 무로타니
도모노리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23005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배기관을 용이하게 마련하는 것이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콤바인은, 탈곡 장치(3)와 곡립 저류부(4) 사이를 통과하여, 엔진(E)의 배기를 배출하는 배기관(29)을 구비하고 있다. 배기관(29)의 배기 하류측 단부에, 배기구(32a)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관(29)은, 양곡 장치(19)보다도 전방측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3)와 곡립 저류부(4) 사이에 있어서, 탈곡 장치(3)보다도 상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배기구(32a)는, 양곡 장치(19)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은, 예취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부와, 탈곡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탈곡 처리물을 선별하는 선별부를 갖는 탈곡 장치(문헌에서는 「탈곡 장치〔8〕」)와, 탈곡 장치와 횡배열로 배치되어,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부(문헌에서는 「곡립 탱크〔9〕」)와, 탈곡 장치와 곡립 저류부 사이에 배치되어, 선별부에 의해 선별된 1번물을 곡립 저류부를 향해 양곡 반송하는 양곡 장치(문헌에서는 「양곡 장치〔10〕」)와, 탈곡 장치 및 곡립 저류부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되는 엔진(문헌에서는 「엔진〔5〕」)과, 탈곡 장치와 곡립 저류부 사이를 통과하여, 엔진의 배기를 배출하는 배기관(문헌에서는 「배기관〔14〕」)을 구비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9-135970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배기관이 탈곡 장치와 양곡 장치의 좁은 간극을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관을 마련하는 것이 어렵다.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배기관을 용이하게 마련하는 것이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예취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부와, 상기 탈곡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탈곡 처리물을 선별하는 선별부를 갖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와 횡배열로 배치되어,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부와, 상기 탈곡 장치와 상기 곡립 저류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선별부에 의해 선별된 1번물을 상기 곡립 저류부를 향해 양곡 반송하는 양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 및 상기 곡립 저류부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되는 엔진과, 상기 탈곡 장치와 상기 곡립 저류부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엔진의 배기를 배출하는 배기관을 구비하고, 상기 배기관의 배기 하류측 단부에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양곡 장치보다도 전방측에 있어서의 상기 탈곡 장치와 상기 곡립 저류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보다도 상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양곡 장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기구가 탈곡 장치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또한 양곡 장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게 된다. 이로써, 배기관을 탈곡 장치와 양곡 장치의 좁은 간극을 통과시키는 일 없이,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 가능한 한 높은 위치이고, 또한 가능한 한 기체 후방측에서 배출되도록 하여, 기체가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배기관을 용이하게 마련하는 것이 가능한 콤바인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탈곡 장치측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 탈곡 장치의 상방을 기체 좌우 방향에서 탈곡 장치측을 향해 배출되게 된다. 이로써,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 곡립 저류부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탈곡 장치와 중복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 탈곡 장치의 상방을 탈곡 장치측을 향해 흐르도록, 배기구 중 평면에서 보아 탈곡 장치와 중복되는 부분에 의해,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가 상기 탈곡 장치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기관의 배기 하류측 단부가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탈곡 장치측을 향해 구부러져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기구가 탈곡 장치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기관의 배기 하류측 단부를 기체 좌우 방향에서 탈곡 장치측을 향해 구부리는 것만으로, 배기구가 평면에서 보아 탈곡 장치와 중복되도록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곡립 저류부의 전단부와 상기 양곡 장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양곡 장치측 근방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 가능한 한 기체 후방측에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에 의해 선별된 2번물을 상기 선별부로 환원하는 2번 환원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2번 환원 장치의 전단부는, 상기 양곡 장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2번 환원 장치의 전방 상단부의 전방 상방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2번 환원 장치의 전방 상단부의 전방 상방의 공간을 이용하여, 배기관을 잘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평면에서 보아 상기 2번 환원 장치의 전단부와 중복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2번 환원 장치의 전단부의 상방의 공간을 이용하여, 배기관을 잘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정면에서 보아 상기 양곡 장치와 중복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양곡 장치의 전방의 공간을 이용하여, 배기관을 잘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상기 탈곡 장치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여기서, 탈곡 장치는, 강성이 높은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기관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탈곡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배기관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배기를 정화하는 배기 정화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 정화 장치는, 상기 탈곡 장치의 전방에서 상기 엔진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배기 정화 장치로부터 후방측일수록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곡립 저류부측에 위치하도록 경사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탈곡 장치와 상기 곡립 저류부 사이를 후방 상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탈곡 장치의 전방에서 엔진의 상방의 공간을 이용하여, 배기 정화 장치를 잘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배기 정화 장치가 탈곡 장치의 전방에서 엔진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배기 정화 장치가 탈곡 장치와 곡립 저류부 사이보다도 탈곡 장치측으로 위치 어긋나 있게 된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기 정화 장치가 이렇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배기관을, 배기 정화 장치로부터 후방측일수록 기체 좌우 방향에서 곡립 저류부측에 위치하도록 경사 후방을 향해 연장시킴으로써, 배기관을 탈곡 장치와 곡립 저류부 사이에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미관의 배기 하류측 단부에 접속되는 제1 관부와, 상기 탈곡 장치에 지지되어, 상기 제1 관부의 배기 하류측 단부에 접속되는 제2 관부를 갖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제1 관부와 제2 관부의 접속부의 형상(예를 들어, 굽힘 형상)에 의해, 배기관의 형상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관부를 지지하는 부재로서 탈곡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제2 관부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부의 배기 하류측 단부는, 상기 제2 관부의 배기 상류측 단부에 직경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삽입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제1 관부의 배기 하류측 단부와 제2 관부의 배기 상류측 단부 사이에, 외기를 배기관의 내부에 도입하는 외기 도입부가 형성되게 된다. 이로써, 외기 도입부에 의해 외기를 배기관의 내부에 도입하여, 배기의 온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제1 경사관부와, 상기 제1 경사관부의 배기 하류측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1 경사관부보다도 급각도로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제2 경사관부를 갖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제1 경사관부 및 제2 경사관부에 의해, 배기관 내의 배기를 후방 상방을 향해 빠르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곡립 저류부에 있어서의 상기 탈곡 장치측의 횡벽부 중 상기 제1 경사관부 및 상기 제2 경사관부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탈곡 장치측으로 팽출되는 팽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팽출부 중 상기 제1 경사관부 및 상기 제2 경사관부측의 에지부는,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제1 경사관부 및 상기 제2 경사관부에 의한 굽힘 형상을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팽출부에 의해 곡립 저류부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측면에서 본 팽출부의 범위를 제1 경사관부 및 제2 경사관부에 근접하는 정도까지 확장함으로써, 팽출부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관부는 상기 탈곡 장치에 지지되고, 상기 제2 경사관부는 상기 제1 경사관부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제1 경사관부를 지지하는 부재로서 탈곡 장치를 이용함과 함께, 제2 경사관부도 제1 경사관부를 통해 탈곡 장치에 지지되어 있게 된다. 이로써, 제1 경사관부 및 제2 경사관부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곡립 저류부에 있어서의 상기 탈곡 장치측의 횡벽부 중 상기 배기관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탈곡 장치측으로 팽출되는 제1 팽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제1 팽출부에 의해 곡립 저류부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곡립 저류부에 있어서의 상기 탈곡 장치측의 횡벽부 중 상기 배기관과 상기 양곡 장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탈곡 장치측으로 팽출되는 제2 팽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제2 팽출부에 의해 곡립 저류부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팽출부는, 정면에서 보아 상기 양곡 장치와 중복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정면에서 본 제2 팽출부의 범위를 양곡 장치와 중복될 정도까지 확장함으로써, 제2 팽출부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곡립 저류부에 있어서의 상기 탈곡 장치측의 횡벽부 중 측면에서 보아 상기 배기관의 배기 하류측 단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탈곡 장치측으로 팽출되는 제3 팽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제3 팽출부에 의해 곡립 저류부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 팽출부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배기관의 배기 하류측 단부와 중복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평면에서 본 제3 팽출부의 범위를 배기관의 배기 하류측 단부와 중복될 정도까지 확장함으로써, 제3 팽출부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아, 상기 배기관의 배기 하류측 단부가 상기 제1 팽출부, 상기 제2 팽출부 및 상기 제3 팽출부에 의해 전방, 후방 및 상방에서 둘러싸여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제1 팽출부, 제2 팽출부 및 제3 팽출부를, 배기관의 배기 하류측 단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팽출부 및 상기 제2 팽출부에 의해, 상기 곡립 저류부에 있어서의 상기 탈곡 장치측의 횡벽부에,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탈곡 장치와는 반대측에 요입되는 요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요입부에 들어가는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요입부는, 상측일수록 기체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의 상단부는, 상기 탈곡 장치보다도 상측에 있어서,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탈곡 장치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요입부를 이용하여, 배기관을 잘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요입부 내에 가득 찬, 배기관의 주위의 열기를, 요입부의 상단부를 향해 흐르기 쉽게 함과 함께, 요입부의 상단부로부터 기체 좌우 방향에서 탈곡 장치측을 향해 배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 중 상기 탈곡 장치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탈곡 장치측으로부터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요입부 사이를 통과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요입부 중 탈곡 장치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진애가 침입하거나, 배기관 중 탈곡 장치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진애가 걸리거나 하는 것을, 커버 부재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탈곡 장치측을 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기구의 개구단과, 상기 커버 부재 중 상기 탈곡 장치측의 횡측면은, 동일 평면 또는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커버 부재가 배기구에 간섭하지 않도록 하면서, 요입부를 커버 부재에 의해 확실하게 덮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의 내부 중 상기 배기관의 상단부의 후방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은, 상기 요입부의 외부로 개방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요입부 내에 가득 찬, 배기관의 주위의 열기가 공간을 통해 배기관의 상단부의 후방으로부터 요입부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로써, 요입부 내에 가득 찬, 배기관의 주위의 열기를 기체 후방측을 향해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 중 상기 탈곡 장치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하여 상기 탈곡 장치측의 횡측에, 상기 요입부 중 상기 탈곡 장치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탈곡 장치측으로부터 덮는 커버 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요입부 중 탈곡 장치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진애가 침입하거나, 배기관 중 탈곡 장치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진애가 걸리거나 하는 것을, 커버 부재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과 상기 곡립 저류부에 있어서의 상기 탈곡 장치측의 횡벽부 사이에, 차열 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곡립 저류부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측의 횡벽부에 대한 배기관의 열적 영향을, 차열 부재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곡립 저류 탱크, 양곡 장치, 배기관 및 2번 환원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4는 탈곡 장치, 곡립 저류 탱크, 양곡 장치, 배기관 및 2번 환원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의 V-V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있어서의 VI-VI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있어서의 VII-VII 단면도이다.
도 8은 곡립 저류 탱크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배기관의 배기 하류측 단부 및 그 주변을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화살표 F의 방향을 「기체 전방측」, 화살표 B의 방향을 「기체 후방측」, 화살표 L의 방향을 「기체 좌측」, 화살표 R의 방향을 「기체 우측」이라고 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는, 자탈형 콤바인(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에 상당)을 도시하고 있다. 본 콤바인은, 주행 기체(1)와, 예취부(2)와, 탈곡 장치(3)와, 곡립 저류 탱크(4)(본 발명에 관한 「곡립 저류부」에 상당)와, 곡립 배출 장치(5)와, 운전 캐빈(6)과, 원동부(7)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기체(1)는,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8)와, 기체 프레임(9)을 구비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9)은,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8)에 지지되어 있다. 예취부(2)는 주행 기체(1)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예취부(2)는 식립 곡간을 예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4)는, 탈곡 장치(3)와 횡배열(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 옆)로 배치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4)는, 곡립을 저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곡립 배출 장치(5)는, 곡립 저류 탱크(4) 내의 곡립을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운전 캐빈(6)은, 주행 기체(1)에 있어서의 좌우 일방측(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6)은,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부(10)와, 운전부(10)를 덮는 캐빈부(11)를 구비하고 있다. 운전부(10)는, 운전 좌석(10a)을 구비하고 있다. 운전 캐빈(6) 내를 공조하는 에어컨 유닛(도시 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에어컨 유닛은, 예를 들어 캐빈부(11)의 루프부에 수용되어 있다.
운전 캐빈(6)과 곡립 저류 탱크(4) 사이에는, 상기 에어컨 유닛용의 리시버(12)가 배치되어 있다. 리시버(12)의 상면부에는, 리시버(12)의 냉매량을 확인하기 위한 관측창(도시 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캐빈부(11)의 리어 글래스(11a)를 개방함으로써, 운전 캐빈(6) 내로부터 상기 관측창을 시인할 수 있다.
〔탈곡 장치〕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3)는, 탈곡부(13)와, 선별부(14)를 구비하고 있다. 탈곡부(13)는 예취 곡간을 탈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탈곡부(13)는 급동(15)을 구비하고 있다. 급동(15)은,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축심 Y1 주위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별부(14)는 탈곡부(13)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선별부(14)는, 탈곡 처리물을 1번물(단립화 곡립), 2번물(지경이 붙어 있는 곡립) 및 짚 부스러기 등으로 선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별부(14)는, 요동 선별 장치(16)와, 1번 회수부(17)와, 2번 회수부(18)를 구비하고 있다. 요동 선별 장치(16)는, 탈곡 처리물을 요동 선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번 회수부(17)는, 1번물로서의 단립화 곡립을 회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번 회수부(18)는, 2번물로서의 지경이 붙어 있는 곡립을 회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탈곡 장치(3)와 곡립 저류 탱크(4) 사이에는, 양곡 장치(19) 및 2번 환원 장치(20)가 배치되어 있다. 양곡 장치(19)는, 선별부(14)에 의해 선별된 1번물을 곡립 저류 탱크(4)를 향해 양곡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4)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3)측의 횡벽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벽부)의 상부에는, 곡립 입구(4a)가 형성되어 있다. 양곡 장치(19)는, 1번 회수부(17)와 곡립 입구(4a)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1번 회수부(17)에 의해 회수된 1번물은, 양곡 장치(19)에 의해 상방을 향해 반송된 후, 곡립 입구(4a)로부터 곡립 저류 탱크(4) 내로 방출되게 된다.
2번 환원 장치(20)는, 선별부(14)에 의해 선별된 2번물을 선별부(14)로 환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번 환원 장치(20)는, 반송부(21)와, 안내 부재(22)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부(21)는, 양곡 장치(19)보다도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반송부(21)는, 2번 회수부(18)에 의해 회수된 2번물을 상방을 향해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안내 부재(22)는, 반송부(21)로부터의 2번물을 요동 선별 장치(16)를 향해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안내 부재(22)의 우측면은, 평면에서 보아 전방측일수록 탈곡부(13)의 우측벽부에 접근하도록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 부재(22)의 후단부는, 반송부(21)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안내 부재(22)의 전단부는, 양곡 장치(19)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2번 회수부(18)에 의해 회수된 2번물은, 반송부(21)에 의해 상방을 향해 반송된 후, 안내 부재(22)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16)의 전방부를 향해 안내되게 된다.
급동(15)의 상방에는, 급동(15)을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좌측 천장판(23) 및 우측 천장판(24)이 마련되어 있다. 좌측 천장판(23)은,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요동 축심 Y2 주위로 요동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우측 천장판(24)은,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요동 축심 Y3 주위로 요동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급동(15)은, 회전 축심 Y1 주위로 회전 가능하도록, 전후의 측판(25)에 지지되어 있다. 전후의 측판(25)은,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요동 축심 Y4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후의 측판(25)이 급동(15)과 일체적으로 요동 축심 Y4 주위로 상측으로 요동함으로써, 급동(15)이 상방으로 개방되게 된다(도 5 내지 도 7 참조).
〔원동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동부(7)는, 운전 좌석(10a)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원동부(7)는, 엔진(E)과, 배기 정화 장치(26)를 구비하고 있다. 엔진(E)은, 탈곡 장치(3) 및 곡립 저류 탱크(4)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E)은, 평면에서 보아 운전 좌석(10a)과 중복되는 상태로 운전 좌석(10a)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 정화 장치(26)는, 탈곡 장치(3)의 전방에서 엔진(E)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 정화 장치(26)는, 탈곡 장치(3)의 횡폭 내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 정화 장치(26)는, 엔진(E)의 배기를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매연 저감 장치)에 의해 정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기 정화 장치(26)는, 상기 DPF를 수용하는 본체부(27)와, 본체부(27)에 접속되는 미관(28)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27)의 후방 하부에는 배기부(27a)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부(27a)는, 본체부(27)의 후방 하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미관(28)은, 배기부(27a)에 하방으로부터 접속되어 있다. 미관(28)은, 후방측일수록 기체 좌우 방향에서 곡립 저류 탱크(4)측(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에 위치하도록 경사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경사 부분(28a)을 구비하고 있다.
〔배기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정화 장치(26)에는, 배기 정화 장치(26)에 의한 배기 정화 후의 엔진(E)의 배기를 배출하는 배기관(29)이 접속되어 있다. 배기관(29)은, 탈곡 장치(3)와 곡립 저류 탱크(4) 사이를 통과하고 있다. 배기관(29)은, 양곡 장치(19)보다도 전방측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3)와 곡립 저류 탱크(4) 사이에 있어서, 탈곡 장치(3)보다도 상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배기관(29)은,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기관(29)은, 미관(28)으로부터 후방측일수록 기체 좌우 방향에서 곡립 저류 탱크(4)측(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에 위치하도록 경사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탈곡 장치(3)와 곡립 저류 탱크(4) 사이를 후방 상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배기관(29)은, 제1 관부(30)와, 제2 관부(31)와, 제3 관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즉, 배기관(29)은, 3개의 관부로 분할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관부(30)는, 미관(28)의 배기 하류측 단부(경사 부분(28a))에 접속되어 있다. 제1 관부(30)는, 제1 경사 부분(30a)과, 제2 경사 부분(30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경사 부분(30a)은, 미관(28)으로부터 후방측일수록 우측에 위치하도록 경사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2 경사 부분(30b)은 제1 경사 부분(30a)의 배기 하류측 단부로부터 후방 상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경사 부분(28a)은, 제1 관부(30)의 배기 상류측 단부(제1 경사 부분(30a))에 직경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즉, 경사 부분(28a)과 제1 경사 부분(30a) 사이에는, 외기를 배기관(29)의 내부에 도입하는 제1 외기 도입부 I1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관부(31)는, 제1 관부(30)의 배기 하류측 단부(제2 경사 부분(30b))에 접속되어 있다. 제2 관부(31)는, 제1 경사 부분(31a)과, 제2 경사 부분(31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경사 부분(31a)은, 제1 관부(30)로부터 후방 상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경사 부분(31a)은, 안내 부재(22)의 전방 상단부의 전방 상방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경사 부분(31b)은, 제1 경사 부분(31a)으로부터 제1 경사 부분(31a)보다도 급각도로 후방 상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경사 부분(30b)은, 제2 관부(31)의 배기 상류측 단부(제1 경사 부분(31a))에 직경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즉, 제2 경사 부분(30b)과 제1 경사 부분(31a) 사이에는, 외기를 배기관(29)의 내부에 도입하는 제2 외기 도입부 I2가 형성되어 있다.
제3 관부(32)는, 제2 관부(31)의 배기 하류측 단부(제2 경사 부분(31b))에 접속되어 있다. 제3 관부(32)는, 평면에서 보아 안내 부재(22)의 전단부와 중복되어 있다. 제3 관부(32)는, 정면에서 보아 양곡 장치(19)와 중복되어 있다. 제2 경사 부분(31b)은, 제3 관부(32)의 배기 상류측 단부에 직경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즉, 제2 경사 부분(31b)과 제3 관부(32)의 배기 상류측 단부 사이에는, 외기를 배기관(29)의 내부에 도입하는 제3 외기 도입부 I3이 형성되어 있다.
제3 관부(32)는, 제2 경사 부분(31b)으로부터 후방 상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 관부(32)는, 탈곡 장치(3)의 상면(구체적으로는, 좌측 천장판(23) 및 우측 천장판(24)의 각 상면)(3a)보다도 상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3 관부(32)의 상단은, 곡립 저류 탱크(4)의 상단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또한 양곡 장치(19)의 상단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배기관(29)은, 탈곡 장치(3)의 상면(3a)보다도 상측까지 연장되어 있지만, 양곡 장치(19)의 상단 및 곡립 저류 탱크(4)의 상단보다도 상측까지는 연장되어 있지 않다.
제3 관부(32)의 배기 하류측 단부에는 배기구(32a)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구(32a)는, 기체 좌우 방향에서 탈곡 장치(3)측(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기구(32a)는, 평면에서 보아 탈곡 장치(3)와 중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기구(32a)는, 평면에서 보아 우측 천장판(24)의 우측 에지부와 중복되어 있다. 배기구(32a)가 탈곡 장치(3)(우측 천장판(24)의 우측 에지부)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제3 관부(32)의 배기 하류측 단부가 좌측을 향해 구부러져 있다. 배기구(32a)는, 양곡 장치(19)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기구(32a)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곡립 저류 탱크(4)의 전단부와 양곡 장치(19) 사이에 있어서의 양곡 장치(19)측(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측) 근방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제2 경사 부분(30b)과 제1 경사 부분(31a)에 의해,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제1 경사관부(T1)가 구성되어 있다. 제2 경사 부분(31b)과 제3 관부(32)에 의해, 제1 경사관부(T1)의 배기 하류측 단부에 접속되어, 제1 경사관부(T1)보다도 급각도로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제2 경사관부(T2)가 구성되어 있다. 즉, 배기관(29)은, 제1 경사관부(T1)와, 제2 경사관부(T2)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는, 제1 경사관부(T1)의 후방 상향의 경사 각도(제1 경사 각도)를 α1로 나타내고, 제2 경사관부(T2)의 후방 상향의 경사 각도(제2 경사 각도)를 α2로 나타내고 있다. 제2 경사 각도 α2는, 제1 경사 각도 α1보다도 크다.
배기관(29)은, 제1 스테이(33)를 통해 지주(34)에 지지되고, 또한 제2 스테이(35) 및 제3 스테이(36)를 통해 탈곡 장치(3)의 우측벽부에 지지되어 있다. 제1 스테이(33)는 제1 관부(30)에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관부(30)는 제1 스테이(33)를 통해 지주(34)에 지지되어 있다. 제1 경사 부분(30a)에는 제1 설치부(37)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스테이(33)는, 제1 설치부(37)에 볼트 고정되고, 또한 지주(34)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지주(34)는, 운전부(10)의 후방부를 지지하고 있다. 지주(34)는, 기체 프레임(9)에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제2 스테이(35)는 제2 관부(31)에 설치되어 있다. 즉, 제2 관부(31)는, 제2 스테이(35)를 통해 탈곡 장치(3)의 우측벽부에 지지되어 있다. 제1 경사 부분(31a)의 하부에는 제2 설치부(38)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스테이(35)는, 제2 설치부(38)에 볼트 고정되고, 또한 탈곡 장치(3)의 우측벽부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제3 스테이(36)는 제2 관부(31)에 설치되어 있다. 즉, 제2 관부(31)는, 제3 스테이(36)를 통해 탈곡 장치(3)의 우측벽부에 지지되어 있다. 제1 경사 부분(31a)의 상부에는 제3 설치부(39)가 마련되어 있다. 제3 스테이(36)는, 제3 설치부(39)에 볼트 고정되고, 또한 탈곡 장치(3)의 우측벽부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제3 관부(32)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제4 스테이(40)를 통해 제2 관부(31)에 지지되어 있다. 제4 스테이(40)는, 제3 관부(32)에 볼트 고정되고, 또한 제2 경사 부분(31b)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제1 경사관부(T1)에 포함되어 있는 제1 경사 부분(31a)은, 제2 스테이(35) 및 제3 스테이(36)를 통해 탈곡 장치(3)의 우측벽부에 지지되어 있다. 제3 관부(32) 및 제2 경사 부분(3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2 경사관부(T2)는, 제1 경사관부(T1)(구체적으로는, 제1 경사 부분(31a))에 지지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저류 탱크(4)의 좌측벽부에는, 좌측으로 팽출되는, 제1 팽출부(41)(본 발명에 관한 「팽출부」, 「제1 팽출부」에 상당), 제2 팽출부(42) 및 제3 팽출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팽출부(41), 제2 팽출부(42) 및 제3 팽출부(43)에 의해, 곡립 저류 탱크(4)의 좌측벽부에, 기체 좌우 방향에서 탈곡 장치(3)와는 반대측(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으로 요입되는 전방 요입부(44)(본 발명에 관한 「요입부」에 상당)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팽출부(41), 제2 팽출부(42) 및 제3 팽출부(43)는, 전방 요입부(44)의 저면(44a)에 대하여 좌측으로 팽출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4)의 좌측벽부 중 양곡 장치(19)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우측으로 요입되는 후방 요입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양곡 장치(19)는, 후방 요입부(45)에 들어가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배기관(29)은 전방 요입부(44)에 들어가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전방 요입부(44)는, 상측일수록 기체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는, 전방 요입부(44)의 상단의 기체 전후 방향의 길이를 L로 나타내고 있다. 전방 요입부(44)는, 탈곡 장치(3)의 상면(3a)보다도 상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즉, 전방 요입부(44)의 상단부는, 탈곡 장치(3)보다도 상측에 있어서, 좌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전방 요입부(44)의 내부에 있어서, 제3 관부(32)의 상단부의 주위에는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공간(S)은, 전방 요입부(44)의 내부에 있어서, 제3 관부(32)의 상단부의 상방, 우측방, 전방 및 후방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공간(S)은, 전방 요입부(44)의 외부에 개방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팽출부(41), 제2 팽출부(42) 및 제3 팽출부(43)는, 곡립 저류 탱크(4)의 좌측벽부 중 양곡 장치(19)보다도 전방측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측면에서 보아, 제3 관부(32)의 배기 하류측 단부(배기구(32a))가 제1 팽출부(41), 제2 팽출부(42) 및 제3 팽출부(43)에 의해 전방, 후방 및 상방으로 둘러싸여 있다.
제1 팽출부(41)는, 좌측으로 팽출되도록, 곡립 저류 탱크(4)의 좌측벽부 중 배기관(29)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팽출부(41)는, 곡립 저류 탱크(4)의 좌측벽부 중 제1 경사관부(T1) 및 제2 경사관부(T2)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제2 팽출부(42)는, 좌측으로 팽출되도록, 곡립 저류 탱크(4)의 좌측벽부 중 배기관(29)과 양곡 장치(19)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제2 팽출부(42)는, 정면에서 보아 양곡 장치(19)와 중복되어 있다. 제2 팽출부(42)는, 상부 팽출 부분(42A)과, 중간 팽출 부분(42b)과, 하부 팽출 부분(42C)을 구비하고 있다. 전방 요입부(44)의 저면(44a)에 대한 좌측으로의 팽출량은, 상부 팽출 부분(42A), 중간 팽출 부분(42B) 및 하부 팽출 부분(42C)의 순으로 크다. 중간 팽출 부분(42B)은, 우측 하향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팽출부(43)는, 좌측으로 팽출되도록, 곡립 저류 탱크(4)의 좌측벽부 중 측면에서 보아 제3 관부(32)의 배기 하류측 단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제3 팽출부(43)는, 평면에서 보아 제3 관부(32)의 배기 하류측 단부와 중복되어 있다.
도 8에는, 제1 팽출부(41)와 제3 팽출부(43)의 경계를 B1, 제2 팽출부(42)와 제3 팽출부(43)의 경계를 B2, 제1 팽출부(41), 제2 팽출부(42) 및 제3 팽출부(43)와, 전방 요입부(44)의 저면(44a)의 경계(즉, 제1 팽출부(41), 제2 팽출부(42) 및 제3 팽출부(43)의 각 에지부)를, B3, B4, B5 및 B6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1 팽출부(41)의 에지부(B3, B4)는,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팽출부(41)의 에지부(B4)는, 제1 팽출부(41)의 에지부(B3)보다도 급각도로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팽출부(41) 중 제1 경사관부(T1) 및 제2 경사관부(T2)측의 에지부(B3, B4)는, 측면에서 보아 제1 경사관부(T1) 및 제2 경사관부(T2)에 의한 굽힘 형상을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팽출부(41) 중 전방 요입부(44)의 저면(44a)측의 면(41a, 41b)은, 전방 요입부(44)의 저면(44a)측 하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팽출부(42) 중 전방 요입부(44)의 저면(44a)측의 면(42a)은, 전방 요입부(44)의 저면(44a)측 하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3 팽출부(43) 중 전방 요입부(44)의 저면(44a)측의 면(43a)은, 전방 요입부(44)의 저면(44a)측 하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차열 부재〕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관(29)과 곡립 저류 탱크(4)의 좌측벽부 사이에, 상부 차열 부재(46)(본 발명에 관한 「차열 부재」에 상당) 및 하부 차열 부재(47)(본 발명에 관한 「차열 부재」에 상당)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차열 부재(46) 및 하부 차열 부재(47)는, 전방 요입부(44)에 들어가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상부 차열 부재(46)는, 제1 경사관부(T1)와 제2 경사관부(T2)의 접속부보다도 상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즉, 상부 차열 부재(46)는, 제2 경사관부(T2)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상부 차열 부재(46)는, 제3 관부(32)에 지지되어 있다. 상부 차열 부재(46)는, 제3 관부(32)에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볼트(4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하부 차열 부재(47)는, 제1 경사관부(T1)와 제2 경사관부(T2)의 접속부보다도 하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즉, 하부 차열 부재(47)는, 제1 경사관부(T1)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하부 차열 부재(47)는 제2 관부(31)에 지지되어 있다.
〔커버 부재〕
도 3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요입부(44) 중 탈곡 장치(3)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좌측으로부터 덮는 커버 부재(50)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 부재(50)는, 제3 관부(32) 중 탈곡 장치(3)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하여 탈곡 장치(3)측의 횡측(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에 마련되어 있다. 커버 부재(50)는, 스테이(51)를 통해 제3 관부(32)에 지지되어 있다. 스테이(51)는, 제3 관부(32)에 상부 차열 부재(46)와 함께 조인트 고정(볼트(4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3 관부(32)는, 커버 부재(50)와 전방 요입부(44) 사이를 통과하고 있다. 커버 부재(50)는 배기구(32a)를 막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50)에는, 배기구(32a)를 측면에서 보아 전체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구(32a)의 개구단과, 커버 부재(50) 중 탈곡 장치(3)측의 횡측면(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면)은, 동일 평면 또는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기관(29)은, 탈곡 장치(3)와 곡립 저류 탱크(4) 사이에 있어서, 탈곡 장치(3)보다도 상측까지 후방 상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배기관(29)은, 탈곡 장치(3)와 곡립 저류 탱크(4) 사이에 있어서, 탈곡 장치(3)보다도 상측까지 상방을 향해 연직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기구(32a)는, 기체 좌우 방향에서 탈곡 장치(3)측(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배기구(32a)는 후방측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기구(32a)는, 평면에서 보아 탈곡 장치(3)와 중복되어 있다. 그러나, 배기구(32a)는, 평면에서 보아 탈곡 장치(3)와 중복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기구(32a)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곡립 저류 탱크(4)의 전단부와 양곡 장치(19) 사이에 있어서의 양곡 장치(19)측(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측) 근방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배기구(32a)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곡립 저류 탱크(4)의 전단부와 양곡 장치(19) 사이에 있어서의 곡립 저류 탱크(4)의 전단부측 근방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배기구(32a)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곡립 저류 탱크(4)의 전단부와 양곡 장치(19) 사이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3 관부(32)는, 평면에서 보아 안내 부재(22)의 전단부와 중복되어 있다. 그러나, 배기관(29)은, 평면에서 보아 2번 환원 장치(20)의 전단부와 중복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3 관부(32)는, 정면에서 보아 양곡 장치(19)와 중복되어 있다. 그러나, 배기관(29)은, 정면에서 보아 양곡 장치(19)와 중복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기관(29)은 탈곡 장치(3)에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배기관(29)은 탈곡 장치(3)에 지지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원동부(7)는, DPF식의 배기 정화 장치(26)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원동부(7)는, DPF식의 배기 정화 장치(26)에 더하여, 요소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식의 배기 정화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원동부(7)는, DPF식의 배기 정화 장치(26) 및 요소 SCR식의 배기 정화 장치 모두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9)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관부(30)(제1 경사 부분(30a))는, 미관(28)으로부터 후방측일수록 우측에 위치하도록 경사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배기관(29)은, 배기 정화 장치(26)로부터 평면에서 보아 후방을 향해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10)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기관(29)은, 제1 관부(30)와, 제2 관부(31)와, 제3 관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즉, 배기관(29)은, 3개의 관부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배기관(29)은, 2개의 관부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4개 이상의 관부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배기관(29)은, 복수의 관부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1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경사관부(T2)는, 제1 경사관부(T1)보다도 급각도로 후방 상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러나, 제1 경사관부(T1)는, 제2 경사관부(T2)보다도 급각도로 후방 상향으로 경사져 있어도 된다. 혹은, 제1 경사관부(T1)의 후방 상향의 경사 각도와 제2 경사관부(T2)의 후방 상향의 경사 각도는 동일해도 된다.
(1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팽출부(41) 중 제1 경사관부(T1) 및 제2 경사관부(T2)측의 에지부(B3, B4)는, 측면에서 보아 제1 경사관부(T1) 및 제2 경사관부(T2)에 의한 굽힘 형상을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1 팽출부(41) 중 제1 경사관부(T1) 및 제2 경사관부(T2)측의 에지부(B3, B4)는, 측면에서 보아 제1 경사관부(T1) 및 제2 경사관부(T2)에 의한 굽힘 형상을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1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곡립 저류 탱크(4)의 좌측벽부에, 제1 팽출부(41), 제2 팽출부(42) 및 제3 팽출부(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곡립 저류 탱크(4)의 좌측벽부에, 제1 팽출부(41), 제2 팽출부(42) 및 제3 팽출부(43)에 더하여, 이것들과는 별도의 팽출부가 하나 혹은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곡립 저류 탱크(4)의 좌측벽부에, 제1 팽출부(41), 제2 팽출부(42) 및 제3 팽출부(43) 중 적어도 어느 것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1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곡립 저류부」는, 탱크식의 곡립 저류부(곡립 저류 탱크(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곡립 저류부」는, 호퍼식의 곡립 저류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 외에, 전간 투입형 콤바인에도 이용 가능하다.
3: 탈곡 장치
4: 곡립 저류 탱크(곡립 저류부)
13: 탈곡부
14: 선별부
19: 양곡 장치
20: 2번 환원 장치
26: 배기 정화 장치
28: 미관
29: 배기관
30: 제1 관부
31: 제2 관부
32a: 배기구
41: 제1 팽출부(팽출부, 제1 팽출부)
42: 제2 팽출부
43: 제3 팽출부
44: 요입부
46: 상부 차열 부재(차열 부재)
47: 하부 차열 부재(차열 부재)
50: 커버 부재
B3: 에지부
B4: 에지부
E: 엔진
S: 공간
T1: 제1 경사관부
T2: 제2 경사관부

Claims (27)

  1. 예취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부와, 상기 탈곡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탈곡 처리물을 선별하는 선별부를 갖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와 횡배열로 배치되어,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부와,
    상기 탈곡 장치와 상기 곡립 저류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선별부에 의해 선별된 1번물을 상기 곡립 저류부를 향해 양곡 반송하는 양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 및 상기 곡립 저류부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되는 엔진과,
    상기 탈곡 장치와 상기 곡립 저류부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엔진의 배기를 배출하는 배기관을 구비하고,
    상기 배기관의 배기 하류측 단부에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양곡 장치보다도 전방측에 있어서의 상기 탈곡 장치와 상기 곡립 저류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보다도 상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양곡 장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탈곡 장치측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탈곡 장치와 중복되어 있는, 콤바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가 상기 탈곡 장치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기관의 배기 하류측 단부가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탈곡 장치측을 향해 구부러져 있는, 콤바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곡립 저류부의 전단부와 상기 양곡 장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양곡 장치측 근방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콤바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에 의해 선별된 2번물을 상기 선별부로 환원하는 2번 환원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2번 환원 장치의 전단부는, 상기 양곡 장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2번 환원 장치의 전방 상단부의 전방 상방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평면에서 보아 상기 2번 환원 장치의 전단부와 중복되어 있는, 콤바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정면에서 보아 상기 양곡 장치와 중복되어 있는, 콤바인.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상기 탈곡 장치에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배기를 정화하는 배기 정화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 정화 장치는, 상기 탈곡 장치의 전방에서 상기 엔진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배기 정화 장치로부터 후방측일수록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곡립 저류부측에 위치하도록 경사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탈곡 장치와 상기 곡립 저류부 사이를 후방 상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콤바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미관의 배기 하류측 단부에 접속되는 제1 관부와, 상기 탈곡 장치에 지지되어, 상기 제1 관부의 배기 하류측 단부에 접속되는 제2 관부를 갖고 있는, 콤바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부의 배기 하류측 단부는, 상기 제2 관부의 배기 상류측 단부에 직경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삽입되어 있는, 콤바인.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제1 경사관부와, 상기 제1 경사관부의 배기 하류측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1 경사관부보다도 급각도로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제2 경사관부를 갖고 있는, 콤바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저류부에 있어서의 상기 탈곡 장치측의 횡벽부 중 상기 제1 경사관부 및 상기 제2 경사관부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탈곡 장치측으로 팽출되는 팽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팽출부 중 상기 제1 경사관부 및 상기 제2 경사관부측의 에지부는,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제1 경사관부 및 상기 제2 경사관부에 의한 굽힘 형상을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관부는 상기 탈곡 장치에 지지되고, 상기 제2 경사관부는 상기 제1 경사관부에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곡립 저류부에 있어서의 상기 탈곡 장치측의 횡벽부 중 상기 배기관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탈곡 장치측으로 팽출되는 제1 팽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저류부에 있어서의 상기 탈곡 장치측의 횡벽부 중 상기 배기관과 상기 양곡 장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탈곡 장치측으로 팽출되는 제2 팽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팽출부는, 정면에서 보아 상기 양곡 장치와 중복되어 있는, 콤바인.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저류부에 있어서의 상기 탈곡 장치측의 횡벽부 중 측면에서 보아 상기 배기관의 배기 하류측 단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탈곡 장치측으로 팽출되는 제3 팽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팽출부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배기관의 배기 하류측 단부와 중복되어 있는, 콤바인.
  21. 제19항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아, 상기 배기관의 배기 하류측 단부가 상기 제1 팽출부, 상기 제2 팽출부 및 상기 제3 팽출부에 의해 전방, 후방 및 상방에서 둘러싸여 있는, 콤바인.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팽출부 및 상기 제2 팽출부에 의해, 상기 곡립 저류부에 있어서의 상기 탈곡 장치측의 횡벽부에,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탈곡 장치와는 반대측에 요입되는 요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요입부에 들어가는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요입부는, 상측일수록 기체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의 상단부는, 상기 탈곡 장치보다도 상측에 있어서,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탈곡 장치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콤바인.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 중 상기 탈곡 장치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탈곡 장치측으로부터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요입부 사이를 통과하고 있는, 콤바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탈곡 장치측을 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기구의 개구단과, 상기 커버 부재 중 상기 탈곡 장치측의 횡측면은, 동일 평면 또는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의 내부 중 상기 배기관의 상단부의 후방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은, 상기 요입부의 외부로 개방되어 있는, 콤바인.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 중 상기 탈곡 장치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하여 상기 탈곡 장치측의 횡측에, 상기 요입부 중 상기 탈곡 장치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탈곡 장치측으로부터 덮는 커버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콤바인.
  2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과 상기 곡립 저류부에 있어서의 상기 탈곡 장치측의 횡벽부 사이에, 차열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콤바인.
KR1020220073354A 2021-10-12 2022-06-16 콤바인 KR202300522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67173A JP2023057611A (ja) 2021-10-12 2021-10-12 コンバイン
JPJP-P-2021-167173 2021-10-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201A true KR20230052201A (ko) 2023-04-19

Family

ID=8590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354A KR20230052201A (ko) 2021-10-12 2022-06-16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057611A (ko)
KR (1) KR20230052201A (ko)
CN (1) CN11595643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35970A (ja) 2018-02-09 2019-08-22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35970A (ja) 2018-02-09 2019-08-22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57611A (ja) 2023-04-24
CN115956435A (zh) 202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65604B (zh) 联合收割机
KR101512682B1 (ko) 콤바인
JP6879714B2 (ja) 収穫機
KR102656750B1 (ko) 콤바인
KR20180034574A (ko) 콤바인
KR20240038686A (ko) 콤바인
JP2020000223A (ja) コンバイン
KR20230052201A (ko) 콤바인
JP2019216693A (ja) コンバイン
JP7220611B2 (ja) コンバイン
JP2020124224A (ja) コンバイン
CN106465605B (zh) 联合收割机
JP6869744B2 (ja) コンバイン
JP6877225B2 (ja) コンバイン
JP7055167B2 (ja) コンバイン
CN110622682B (zh) 联合收割机
TWI727064B (zh) 聯合收割機
JP7368339B2 (ja) コンバイン
JP7296850B2 (ja) 収穫機
JP2019216692A (ja) コンバイン
JP6707578B2 (ja) コンバイン
JP2018174823A (ja) コンバイン
JP7370839B2 (ja) コンバイン
JP2019004836A (ja) コンバイン
JP2018050595A (ja) コンバイ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