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9487A -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9487A
KR20230049487A KR1020210132716A KR20210132716A KR20230049487A KR 20230049487 A KR20230049487 A KR 20230049487A KR 1020210132716 A KR1020210132716 A KR 1020210132716A KR 20210132716 A KR20210132716 A KR 20210132716A KR 20230049487 A KR20230049487 A KR 20230049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er
wheel
main body
frame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0375B1 (ko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오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오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오토
Priority to KR1020210132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375B1/ko
Publication of KR20230049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85Postal items, e.g. letters, parc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면 복수의 개소에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의 하면에 제1홀더부재가 구비된 탑커버와, 상기 탑커버 하부에 설치되고 판면 복수의 개소에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 주연부의 상하면에 제2홀더부재가 구비된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체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 영역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소터프레임과,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구동하는 복수의 롤러가 구비된 휠소터와; 상기 탑커버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과, 상기 휠소터의 상기 소터프레임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홀더부재와 상기 소터프레임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상기 소터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베어링이 설치됨으로써, 휠소터가 본체에 체결되는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휠소터를 본체에 조립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휠소터가 본체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구조{JOINING STRUCTURE OF WHEEL SORTER AND MAIN BODY}
본 발명은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휠소터가 본체에 체결되는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됨을 방지하고, 휠소터가 본체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포나 택배 등의 물건을 분류하기 위해 휠소터 시스템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휠소터는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물품을 분류하여 분류물품 배출장치로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물건에 부착된 송장의 바코드를 인식한 후 컨베이어 곳곳에 설치된 소형 휠이 좌우로 회전되면서 각도가 가변됨에 따라 물건을 배송 지역별로 자동 분류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구조는 판면 복수의 개소에 체결공(11a)이 관통 형성된 탑커버(11)와, 탑커버(11)의 하부에 설치되고 판면 복수의 개소에 삽입공(12a)이 관통 형성된 베이스(12)로 이루어지는 본체(10)와, 상기 체결공(11a)을 통과하여 상기 삽입공(12a)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소터프레임(21)과, 상기 소터프레임(21)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22)와, 모터(22)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구동하는 복수의 롤러(23)가 구비된 휠소터(20)와, 소터프레임(21) 하부의 소터프레임(21) 외면에서 소터프레임(21)의 직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체결부재(30)와, 상기 체결부재(30)와 상기 베이스(12)의 접촉 영역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40)와 너트(50)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10)는 상면을 형성하며 판면 복수의 개소에 체결공(11a)이 관통 형성된 탑커버(11)와, 탑커버(11)와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판면 복수의 개소에 삽입공(12a)이 관통 형성된 베이스(12)로 이루어진다.
탑커버(11)는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됨으로써 체결공(11a)을 통하여 삽입되어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소터프레임(21)에 구비된 복수의 롤러(23)가 체결공(11a)의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되게 배치되도록 하여 물품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베이스(12)는 본체(10) 내부의 탑커버(11)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판면에 복수의 삽입공(12a)이 관통 형성되며, 소터프레임(21)의 하부가 삽입공(12a)에 일정 깊이 삽입되어 베이스(12)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휠소터(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휠소터(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소터프레임(21)과, 소터프레임(21)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22)와, 모터(2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함으로써 물품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의 롤러(23)로 구성되어 있다.
소터프레임(21)은 체결공(11a)을 통하여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되어 그 하부가 삽입공(12a)에 삽입된 상태로 베이스(12)에 고정 결합되어 내부에 설치된 모터(22)와, 롤러(23)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모터(22)는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축이 회전 구동하며 밸트를 통하여 회전 구동력을 롤러(23) 측으로 전달하여 롤러(23)를 회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롤러(23)는 복수로 구비되며 그 외면에 밸트가 권취된 상태에서 모터(22)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밸트를 회전시킴으로써 밸트의 상면에 안착되는 물품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체결부재(30)는 소터프레임(21) 하부의 소터프레임(21) 외면에서 소터프레임(21)의 직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판상의 부재로서, 체결부재(30)의 중앙에는 볼트(40)를 삽입하여 소터프레임(21)을 베이스(12)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휠소터와 본체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휠소터(2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체결부재(30)를 볼트(40)와 너트(50)를 이용하여 베이스(12)에 고정시킴으로써 본체(10)와 휠소터(20)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므로 휠소터(20)를 본체(10)에 체결시켜 조립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휠소터(20)의 하부를 하측에 위치한 베이스(12)에 체결한 상태에서 휠소터(20)의 상부가 자전하여 물품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는 구조이므로 고정점과 작용점이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된 구조이므로 휠소터(20)에 유동이 발생하게 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탑커버(11)에 형성된 체결공(11a)의 주연부와 소터프레임(21) 상부 둘레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하여 본체(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제품의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휠소터가 본체에 체결되는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됨을 방지하고, 휠소터가 본체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구조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판면 복수의 개소에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의 하면에 제1홀더부재가 구비된 탑커버와, 상기 탑커버 하부에 설치되고 판면 복수의 개소에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 주연부의 상하면에 제2홀더부재가 구비된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체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 영역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소터프레임과,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구동하는 복수의 롤러가 구비된 휠소터와; 상기 탑커버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과, 상기 휠소터의 상기 소터프레임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홀더부재와 상기 소터프레임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상기 소터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베어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구조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제2홀더부재와, 상기 휠소터의 상기 소터프레임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상기 소터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2베어링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소터프레임의 단부 측면에는 외면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후크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상기 휠소터를 조립시에 상기 후크부재의 상면과 상기 제2베어링의 하면이 상호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터프레임의 하부가 상기 제2베어링의 높이 방향을 따라 유동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베어링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의 상기 소터프레임 외면에는 상기 본체에 상기 휠소터를 조립시에 하면에 상기 제2베어링의 상면과 접촉되는 간극채움부재가 돌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휠소터가 본체에 체결되는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됨을 방지하고, 휠소터가 본체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휠소터의 하단 양측면에 본체의 베이스와 체결되는 후크부재를 구비하여 제품의 조립에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구조를 분리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구조를 조립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구조를 분리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구조를 조립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구조는, 판면 복수의 개소에 체결공(11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111)의 하면에 제1홀더부재(112)가 구비된 탑커버(110)와, 상기 탑커버(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판면 복수의 개소에 삽입공(12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121) 주연부의 상하면에 제2홀더부재(122)가 구비된 베이스(120)로 이루어지는 본체(100)와; 상기 체결공(111)을 통과하여 상기 삽입공(121)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 영역에 수용공간(211)이 형성된 소터프레임(210)과, 상기 수용공간(211)에 설치되는 모터(220)와, 상기 모터(22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구동하는 복수의 롤러(230)가 구비된 휠소터(200)와; 상기 탑커버(110)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111)과, 상기 휠소터(200)의 상기 소터프레임(210)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홀더부재(112)와 상기 소터프레임(210)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상기 소터프레임(210)를 지지하는 제1베어링(3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100)는 상면을 형성하며 판면 복수의 개소에 체결공(111)이 관통 형성된 탑커버(110)와, 탑커버(110)와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판면 복수의 개소에 삽입공(121)이 관통 형성된 베이스(120)로 이루어진다.
탑커버(110)는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됨으로써 체결공(111)을 통하여 삽입되어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소터프레임(210)에 구비된 복수의 롤러(230)가 체결공(111)의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되게 배치되도록 하여 물품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체결공(111)이 형성된 탑커버(110)의 하면 주연부에는 제1베어링(300)을 설치시에 제1베어링(300)을 지지하는 제1홀더부재(112)가 일정 길이 돌출되게 구비되는데, 제1홀더부재(112)의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제1베어링(300)의 하면이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20)는 본체(100) 내부의 탑커버(110)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판면에 복수의 삽입공(121)이 관통 형성되며, 소터프레임(210)의 하부가 삽입공(121)에 일정 깊이 삽입되어 베이스(120)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휠소터(2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삽입공(122)이 형성된 베이스(120)의 상면과 하면 주연부에는 제2베어링(400)을 설치시에 제2베어링(400)을 지지하는 제2홀더부재(122)가 구비되는데, 제2홀더부재(122)의 상단과 하단에는 제2홀더부재(122)의 직경 방향을 따라 돌출턱이 일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2베어링(400)의 상면 및 하면과 상기 돌출턱이 접촉됨으로써 견고하게 제2베어링(4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120)에 형성된 제2홀더부재(122)와, 휠소터(200)의 상기 소터프레임(210)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소터프레임(2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베어링(400)이 설치됨으로써 휠소터(200)의 하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소터프레임(210)이 회전 구동시에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휠소터(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소터프레임(210)과, 소터프레임(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220)와, 모터(2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함으로써 물품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의 롤러(230)로 구성되어 있다.
소터프레임(210)은 체결공(111)을 통하여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그 하부가 삽입공(121)에 삽입된 상태로 후술할 후크부재(500)에 의하여 베이스(120)에 설치된 제2베어링(400)에 결합되어 내부에 설치된 모터(220)와, 복수의 롤러(230)를 지지함과 동시에 롤러(230)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모터(220)는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축이 회전 구동하며 회전 구동력을 롤러(230) 측으로 전달하여 롤러(230)를 회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롤러(230)는 복수로 구비되며 그 외면에 밸트가 권취된 상태에서 모터(220)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밸트를 회전시킴으로써 밸트의 상면에 안착되는 물품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제1베어링(300)은 탑커버(110)에 형성된 체결공(111)과, 휠소터(200)의 소터프레임(210)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본체(1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홀더부재(112)와 소터프레임(210) 사이의 이격공간에 설치되어 소터프레임(2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베어링(300)이 탑커버(110)와 연결된 제1홀더부재(112)에 설치됨으로써 소터프레임(210)의 상부 측면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물품의 이송 방향 전환을 위하여 소터프레임(210)이 회전시에 안정적인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1베어링(300)으로 인하여 소터프레임(210)의 회전 중심축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여 소터프레임(210)이 안정적으로 회전 구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터프레임(210)이 반복적으로 회전 구동하더라도 유동 발생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베어링(300)이 탑커버(110)에 형성된 체결공(111)의 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탑커버(110)의 상부 측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공(111)과 소터프레임(210)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이 본체(100)의 내부로 깊숙히 침투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하여 제품의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2베어링(40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소터프레임(210)의 단부 측면에는 외면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후크부재(500)가 구비되어 본체(100)에 휠소터(200)를 조립시에 후크부재(500)의 상면과 제2베어링(400)의 하면이 상호 접촉되도록 한다.
후크부재(500)로 인하여 소터프레임(210)의 하부가 제2베어링(400)과 접촉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소터프레임(210)의 회전 중심축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휠소터(200)의 유동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소터프레임(210)의 하부가 제2베어링(4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유동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베어링(40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의 소터프레임(210) 외면에는 본체(100)에 휠소터(210)를 조립시에 하면에 제2베어링(400)의 상면과 접촉되는 간극채움부재(600)가 돌출 구비되어 있다.
간극채움부재(600)는 후크부재(500)가 제2베어링(400)의 하면과 접촉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제2베어링(400)의 상면과 접촉되어 간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소터프레임(210)이 안정적으로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하고, 소터프레임(210)의 하부 외면에 제2베어링(400)이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간극채움부재(600)는 내측면 일부가 소터프레임(210)의 외면에 삽입된 형태로 설치되며, 어떠한 재질로 형성하여도 무방하지만 소터프레임(210)이 회전 구동시에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됨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구조는 휠소터가 본체에 체결되는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됨을 방지하고, 휠소터가 본체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탑커버
111 : 체결공 120 : 베이스
121 : 삽입공 200 : 휠소터
210 : 소터프레임 220 : 모터
230 : 롤러 300 : 제1베어링
400 : 제2베어링 500 : 후크부재
600 : 간극채움부재

Claims (3)

  1. 판면 복수의 개소에 체결공(11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111)의 하면에 제1홀더부재(112)가 구비된 탑커버(110)와, 상기 탑커버(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판면 복수의 개소에 삽입공(12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121) 주연부의 상하면에 제2홀더부재(122)가 구비된 베이스(120)로 이루어지는 본체(100)와;
    상기 체결공(111)을 통과하여 상기 삽입공(121)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 영역에 수용공간(211)이 형성된 소터프레임(210)과, 상기 수용공간(211)에 설치되는 모터(220)와, 상기 모터(22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구동하는 복수의 롤러(230)가 구비된 휠소터(200)와;
    상기 탑커버(110)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111)과, 상기 휠소터(200)의 상기 소터프레임(210)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홀더부재(112)와 상기 소터프레임(210)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상기 소터프레임(210)을 지지하는 제1베어링(3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20)에 형성된 제2홀더부재(122)와, 상기 휠소터(200)의 상기 소터프레임(210)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상기 소터프레임(2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베어링(400)이 설치되고, 상기 제2베어링(40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소터프레임(210)의 단부 측면에는 외면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후크부재(500)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에 상기 휠소터(200)를 조립시에 상기 후크부재(500)의 상면과 상기 제2베어링(400)의 하면이 상호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터프레임(210)의 하부가 상기 제2베어링(4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유동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베어링(40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의 상기 소터프레임(210) 외면에는 상기 본체(100)에 상기 휠소터(210)를 조립시에 하면에 상기 제2베어링(400)의 상면과 접촉되는 간극채움부재(600)가 돌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구조.
KR1020210132716A 2021-10-06 2021-10-06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구조 KR102640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716A KR102640375B1 (ko) 2021-10-06 2021-10-06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716A KR102640375B1 (ko) 2021-10-06 2021-10-06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487A true KR20230049487A (ko) 2023-04-13
KR102640375B1 KR102640375B1 (ko) 2024-02-27

Family

ID=8597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716A KR102640375B1 (ko) 2021-10-06 2021-10-06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37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2330U (ko) * 1986-12-23 1988-09-20
JP2003341830A (ja) * 2002-05-28 2003-12-03 Daifuku Co Ltd 分岐設備
JP2013028417A (ja) * 2011-07-27 2013-02-07 Tsubakimoto Chain Co 搬送装置
KR20170004753A (ko) * 2015-07-03 2017-01-11 엠제이씨 주식회사 테이블 소터용 회전 소팅 유닛
KR20210110207A (ko) * 2020-02-27 2021-09-07 우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환 구동 장치
KR20210112096A (ko) * 2020-03-04 2021-09-14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휠 소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2330U (ko) * 1986-12-23 1988-09-20
JP2003341830A (ja) * 2002-05-28 2003-12-03 Daifuku Co Ltd 分岐設備
JP2013028417A (ja) * 2011-07-27 2013-02-07 Tsubakimoto Chain Co 搬送装置
KR20170004753A (ko) * 2015-07-03 2017-01-11 엠제이씨 주식회사 테이블 소터용 회전 소팅 유닛
KR20210110207A (ko) * 2020-02-27 2021-09-07 우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환 구동 장치
KR20210112096A (ko) * 2020-03-04 2021-09-14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휠 소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375B1 (ko)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3389B2 (en) Side-flexing conveyor module with detachable roller assembly
KR101550541B1 (ko) 호차
CN102551773A (zh) 用于ct扫描架的自调整轴承
US20080210523A1 (en) Inverted conveyor
US10112782B2 (en) Motor driven roller support
KR20230049487A (ko) 휠소터와 본체의 결합구조
CN111434593A (zh) 一种双层直线式分拣机
KR20210002467U (ko) 경량화 구조를 갖는 컨베이어용 프레임틀
KR102650398B1 (ko) 독립형 단위소터 및 그것을 구비한 물품분류장치
JPH085141Y2 (ja) 仕分装置
KR102284970B1 (ko) 휠 소터 장치
KR20230033538A (ko) 드럼 모터를 구비한 휠소터
JP2004323208A (ja) 飲食容器搬送装置
CN109877047A (zh) 一种倾斜角度可调的仓储物流用分拣机
US20110315517A1 (en) Wing pulley having central reinforcing disk
JPH1072110A (ja) ローラコンベア
KR20230089888A (ko) 왕복이동이 승강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갖는 디버터
CN113909125B (zh) 一种物流用分拣装置
CN215945786U (zh) 复合式回程支撑组件
JP3388326B2 (ja) カーブコンベア
CN213737437U (zh) 一种支撑结构和分拣设备
CN212668448U (zh) 分拣机
KR102307636B1 (ko) 휠 소터 장치용 이송 휠 유닛
KR102482940B1 (ko) 단위 소터 및 그것을 구비한 물품분류장치
KR102307635B1 (ko) 휠 소터 장치용 이송 휠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