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438A -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438A
KR20230048438A KR1020237009237A KR20237009237A KR20230048438A KR 20230048438 A KR20230048438 A KR 20230048438A KR 1020237009237 A KR1020237009237 A KR 1020237009237A KR 20237009237 A KR20237009237 A KR 20237009237A KR 20230048438 A KR20230048438 A KR 20230048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cylinder
coil
damping force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9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이치 슈카
밀톤 무즈비드지와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48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01F7/1607Armatures entering the wi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6Characteristics of dampers, e.g. mechanical dampers
    • B60G17/08Characteristics of fluid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19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with a single cylinder and of single-tub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1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characterised by actu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86Braking, pressure equilibration, shock absorbing
    • F16K31/0693Pressure equilibration of the arm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B60G13/0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20Type of damper
    • B60G2202/24Fluid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1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10Damping action or damper
    • B60G2500/11Damp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20Manual control or se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22Magnetic elements
    • B60G2600/26Electromagnets; Soleno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16Running
    • B60G2800/162Reducing road induced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12Fluid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8/00Functional characteristics, e.g. variability, frequency-dependence
    • F16F2228/06Stiffness
    • F16F2228/066Variable stiff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18Contro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01F2007/085Yoke or polar piece between coil bobbin and armature having a gap, e.g. filled with non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솔레노이드(33)의 하우징(36)이, 코일(34A)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일단 측이 개구되는, 수납 통부(36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앵커(41)가,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의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돌출부(41)와 측면부(41D)가 일체로 성형된다. 요크(39)가 고정 구멍(39A)을 갖고, 고정 구멍(39A)의 내주면이 앵커(41)의 측면부(41D)의 일부와 대향한다. 실린더(44)는, 코일(34A)의 권회 축선 방향 일단 측의 외주가 요크(39)의 내주와 접합되고, 타단 측의 내주가 하우징(36)의 외주와 접합된다.

Description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본 개시는, 예컨대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사륜자동차 등의 차량은, 차체(스프링 상) 측과 각 차륜(스프링 하) 측의 사이에 완충기(댐퍼)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의 완충기로서, 예컨대 주행 조건, 차량의 거동 등에 따라서 감쇠력을 가변으로 조정하는,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가 알려져 있다.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는, 예컨대 차량의 세미액티브식 서스펜션을 구성하고 있다.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는, 감쇠력 조정 밸브의 밸브개방압(開弁壓)을 감쇠력 가변 액추에이터에 의해 조정함으로써, 발생 감쇠력을 가변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감쇠력 가변 액추에이터로서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완충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솔레노이드(솔레노이드 블록(31))는, 하우징(코어(74))과 요크(솔레노이드 케이스(71))가, 접합 부재(부호 없음)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요크(솔레노이드 케이스(71))의 외경 측(외주)에 접합 부재(부호 없음) 일단의 내경 측(내주)을 고정하며, 또한 하우징(코어(74))의 외경 측(외주)에 접합 부재 타단의 내경 측(내주)을 고정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3-11342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솔레노이드(솔레노이드 블록(31))의 경우, 코일(72)의 내경이 커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가동자(플런저(75))의 외경을 크게 하면, 가동자(플런저(75))의 외경 측과 코일(72)의 내경 측의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자(코어(73)), 요크(솔레노이드 케이스(71)) 및 접합 부재(부호 없음)의 두께가 얇아진다. 이 경우, 고정자(코어(73))의 코너부(부호 없음)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자기 포화하여, 추력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솔레노이드의 추력 특성 향상과 축 길이 단축을 도모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추력 특성 향상과 축 길이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솔레노이드이며, 환상으로 휘감겨,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일단 측이 개구되는 수납부가 마련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수납 부재와, 상기 수납부에,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가동자와, 상기 수납부의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의 개구를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수납부의 개구로부터 떠나는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의 외주로부터 연장되는 측면부가, 자성체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측면부 일부가 내주면과 대향하는 고정 구멍을 갖는 요크와,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 일단 측의 외주가 상기 요크의 내주와 접합되고, 타단 측의 내주가 상기 수납 부재의 외주와 접합되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접합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감쇠력 조정 기구이며, 환상으로 휘감겨,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일단 측이 개구된 수납부가 마련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수납 부재와, 상기 수납부에,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의 이동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밸브와, 상기 수납부의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의 개구를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수납부의 개구로부터 떠나는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의 외주로부터 연장되는 측면부가, 자성체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측면부 일부가 내주면과 대향하는 고정 구멍을 갖는 요크와,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 일단 측의 외주가 상기 요크의 내주와 접합되고, 타단 측의 내주가 상기 수납 부재의 외주와 접합되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접합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실린더 안의 상기 피스톤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조정 기구를 구비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이며, 상기 감쇠력 조정 기구는, 환상으로 휘감겨,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일단 측이 개구된 수납부가 마련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수납 부재와, 상기 수납부에,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의 이동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밸브와, 상기 수납부의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의 개구를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수납부의 개구로부터 떠나는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의 외주로부터 연장되는 측면부가, 자성체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측면부 일부가 내주면과 대향하는 고정 구멍을 갖는 요크와,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 일단 측의 외주가 상기 요크의 내주와 접합되고, 타단 측의 내주가 상기 수납 부재의 외주와 접합되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접합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솔레노이드(감쇠력 조정 기구의 솔레노이드에 대응하는 부분)의 추력 특성 향상과 축 길이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 실시형태에 의한 솔레노이드 및 감쇠력 조정 기구가 삽입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 도 1에서의 감쇠력 조정 밸브 및 솔레노이드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도 1에서의 솔레노이드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도 3에서의 (IV)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수납 부재(하우징), 접합 부재(실린더) 및 요크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 제1 변형예에 의한 고정자(앵커), 접합 부재, 요크 등을 도시하는 도 4와 거의 같은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7] 제2 변형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를 도시하는 반단면도이다.
[도 8] 제3 변형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를 도시하는 반단면도이다.
[도 9] 도 8에서의 (IX)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 제4 변형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를 도시하는 도 9와 같은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11] 제5 변형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를 도시하는 도 4와 같은 위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의한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를,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에 이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첨부 도면(도 1 내지 도 10)은 설계도에 준하는 정확성을 가지고서 그려진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는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1)(이하, 유압 완충기(1)라고 한다)는, 솔레노이드(33)를 구동원으로 하는 감쇠력 조정 기구(17)를 구비한다. 즉,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로서의 유압 완충기(1)는, 외통(2)과 실린더로서의 내통(4)과 피스톤(5)과 피스톤 로드(8)와 로드 가이드(9)와 감쇠력 조정 기구(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압 완충기(1)는, 외각(外殼)을 이루는 바닥을 가진 통형의 외통(2)을 구비한다. 외통(2)의 하단 측은, 보텀 캡(3)에 의해 용접 수단 등을 이용하여 폐색된다. 외통(2)의 상단 측은, 직경 방향 내측으로 굴곡된 코킹부(2A)로 되어 있다. 코킹부(2A)와 내통(4) 사이에는, 로드 가이드(9)와 시일 부재(10)가 마련된다. 한편, 외통(2)의 하부 측에는, 중간통(12)의 접속구(12C)와 동심으로 개구(2B)가 형성된다. 외통(2)의 하부 측에는, 개구(2B)와 대향하여 감쇠력 조정 기구(17)가 부착된다. 보텀 캡(3)에는, 예컨대 차량의 차륜 측에 부착되는 부착 아이(3A)가 마련된다.
외통(2) 안에는, 외통(2)과 동축 상에 내통(4)이 설치된다. 내통(4)의 하단 측은, 보텀 밸브(13)에 감합하여 부착된다. 내통(4)의 상단 측은, 로드 가이드(9)에 감합하여 부착된다. 실린더로서의 내통(4) 안에는, 작동액(작동 유체)으로서의 오일액이 봉입된다. 작동액은, 오일액, 오일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첨가제를 혼재시킨 물 등이라도 좋다.
내통(4)과 외통(2) 사이에는, 환상의 리저버실(A)이 형성된다. 리저버실(A) 안에는, 오일액과 함께 가스가 봉입된다. 이 가스는, 대기압 상태의 공기라도 좋고, 또한 압축된 질소 가스 등의 기체를 이용하여도 좋다. 리저버실(A)은, 피스톤 로드(8)의 진입 및 후퇴를 보상한다. 내통(4)의 길이 방향(축 방향) 도중 위치에는, 로드 측 오일실(B)을 환상 오일실(D)에 항상 연통시키는 오일 구멍(4A)이, 직경 방향으로 뚫려 형성된다.
피스톤(5)은, 내통(4) 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즉, 피스톤(5)은, 내통(4) 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피스톤(5)은, 내통(4) 안을 로드 측 오일실(B)과 보텀 측 오일실(C)의 2실로 규정(구획)한다. 피스톤(5)에는, 로드 측 오일실(B)과 보텀 측 오일실(C)을 연통할 수 있게 하는 오일 유로(5A, 5B)가, 각각 여러 개 둘레 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피스톤(5)의 하단면에는, 신장 측의 디스크 밸브(6)가 마련된다. 신장 측의 디스크 밸브(6)는, 피스톤 로드(8)의 신장 행정에서 피스톤(5)이 상향으로 미끄럼 이동 변위할 때, 로드 측 오일실(B) 안의 압력이 릴리프 설정압을 넘으면 밸브개방(開弁)하여, 이때의 압력을 각 오일 유로(5A)를 통해 보텀 측 오일실(C) 측으로 릴리프한다. 릴리프 설정압은, 감쇠력 조정 기구(17)가 하드하게 설정되었을 때의 밸브개방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설정된다.
피스톤(5)의 상단면에는, 피스톤 로드(8)의 축소 행정에서 피스톤(5)이 하향으로 미끄럼 이동 변위할 때에 밸브개방하고, 이 이외일 때는 밸브패쇄(閉弁)하는, 축소 측 역지 밸브(7)가 마련된다. 역지 밸브(7)는, 보텀 측 오일실(C) 안의 오일액이 로드 측 오일실(B)을 향해서 각 오일 유로(5B) 안을 유통하는 것을 허락하고, 이와는 역방향으로 오일액이 흐르는 것을 저지한다. 역지 밸브(7)의 밸브개방압은, 감쇠력 조정 기구(17)가 소프트하게 설정되었을 때의 밸브개방압보다 낮은 압력으로 설정되어, 실질적으로 감쇠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 실질적으로 감쇠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것은, 피스톤(5)이나 시일 부재(10)의 마찰 이하의 힘이며, 차의 운동에 대하여 영향을 주지 않는다.
피스톤 로드(8)는, 내통(4) 안에서 축 방향(도 1의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피스톤 로드(8)의 하단 측은, 내통(4) 안에 삽입된다. 피스톤 로드(8)는, 너트(8A) 등에 의해 피스톤(5)에 고착하여 설치된다. 피스톤 로드(8)의 상단 측은, 로드 가이드(9)를 통해 외통(2) 및 내통(4)의 외부로 돌출한다. 즉, 피스톤 로드(8)는, 피스톤(5)에 연결되어 내통(4) 외부로 연장되어 나온다. 또한, 피스톤 로드(8)의 하단을 더욱 늘려서 보텀부(예컨대 보텀 캡(3)) 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시켜, 소위, 양(兩) 로드로 하여도 좋다.
내통(4)의 상단 측에는, 단차를 가진 원통형의 로드 가이드(9)가 설치된다. 로드 가이드(9)는, 내통(4)의 상측 부분을 외통(2) 중앙에 위치 결정하며, 또한 그 내주 측에서 피스톤 로드(8)를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한다. 로드 가이드(9)와 외통(2)의 코킹부(2A) 사이에는, 환상의 시일 부재(10)가 마련된다. 시일 부재(10)는, 예컨대 중심에 피스톤 로드(8)가 삽입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금속제의 원형 링 플레이트에 고무 등의 탄성 재료를 베이킹함으로써 구성된다. 시일 부재(10)는, 탄성 재료의 내주가 피스톤 로드(8)의 외주 측으로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피스톤 로드(8)와의 사이를 시일한다.
시일 부재(10)는, 하면 측에 로드 가이드(9)와 접촉하도록 연장되는 체크 밸브로서의 립 시일(10A)이 형성된다. 립 시일(10A)은, 오일 저장실(11)과 리저버실(A) 사이에 배치된다. 립 시일(10A)은, 오일 저장실(11) 안의 오일액 등이 로드 가이드(9)의 복귀 통로(9A)를 통해 리저버실(A) 측을 향해서 유통하는 것을 허락하고, 역방향의 흐름을 저지한다.
외통(2)과 내통(4) 사이에는, 통체로 이루어지는 중간통(12)이 배치된다. 중간통(12)은, 예컨대 내통(4)의 외주 측에 상, 하의 통형 시일(12A, 12B)을 통해 부착된다. 중간통(12)은, 내통(4)의 외주 측을 전체 둘레에 걸쳐 둘러싸도록 연장되는, 환상 오일실(D)을 내부에 형성된다. 환상 오일실(D)은, 리저버실(A)과는 독립된 오일실로 되어 있다. 환상 오일실(D)은, 내통(4)에 형성한 직경 방향의 오일 구멍(4A)에 의해, 로드 측 오일실(B)과 항상 연통된다. 환상 오일실(D)은, 피스톤 로드(8)의 이동에 의해서 작동 액체의 흐름이 생기는 유로로 되어 있다. 중간통(12)의 하단 측에는,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접속 관체(20)가 부착되는 접속구(12C)가 형성된다.
보텀 밸브(13)는, 내통(4)의 하단 측에 위치하여 보텀 캡(3)과 내통(4) 사이에 마련된다. 보텀 밸브(13)는, 보텀 캡(3)과 내통(4) 사이에서 리저버실(A)과 보텀 측 오일실(C)을 규정(구획)하는 밸브 보디(14)와, 밸브 보디(14)의 하면 측에 마련되는 축소 측의 디스크 밸브(15)와, 밸브 보디(14)의 상면 측에 마련되는 신장 측 역지 밸브(16)에 의해 구성된다. 밸브 보디(14)에는, 리저버실(A)과 보텀 측 오일실(C)을 연통할 수 있게 하는 오일 유로(14A, 14B)가 각각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다.
축소 측의 디스크 밸브(15)는, 피스톤 로드(8)의 축소 행정에서 피스톤(5)이 하향으로 미끄럼 이동 변위할 때에, 보텀 측 오일실(C) 안의 압력이 릴리프 설정압을 넘으면 밸브개방하여, 이때의 압력을 각 오일 유로(14A)를 통해 리저버실(A) 측으로 릴리프한다. 릴리프 설정압은, 감쇠력 조정 기구(17)가 하드하게 설정되었을 때의 밸브개방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설정된다.
신장 측 역지 밸브(16)는, 피스톤 로드(8)의 신장 행정에서 피스톤(5)이 상향으로 미끄럼 이동 변위할 때에 밸브개방하고, 이 이외일 때는 밸브패쇄한다. 역지 밸브(16)는, 리저버실(A) 안의 오일액이 보텀 측 오일실(C)을 향해서 각 오일 유로(14B) 안을 유통하는 것을 허락하고, 이것과는 역방향으로 오일액이 흐르는 것을 저지한다. 역지 밸브(16)의 밸브개방압은, 감쇠력 조정 기구(17)가 소프트하게 설정되었을 때의 밸브개방압보다 낮은 압력으로 설정되어, 실질적으로 감쇠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어서, 유압 완충기(1)의 발생 감쇠력을 가변으로 조정하기 위한 감쇠력 조정 기구(17)에 관해서, 도 1에 더하여 도 2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감쇠력 조정 기구(17)는, 실린더(내통(4)) 안의 피스톤(5)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작동 액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며, 또한 유압 완충기(1)의 발생 감쇠력을 가변으로 조정하는 기구이다. 또한, 도 2의 감쇠력 조정 기구(17)는, 솔레노이드(33)의 코일(34A)에의 통전(예컨대 하드한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제어)을 외부로부터 행함으로써, 아마추어(48)(작동 핀(49))가 도 2의 좌측(즉, 파일럿 밸브체(32)가 파일럿 보디(26)의 밸브 시트부(26E)에 착좌하는 밸브패쇄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감쇠력 조정 기구(17)는, 그 기단 측(도 1의 좌단 측)이 리저버실(A)과 환상 오일실(D) 사이에 개재하여 배치되고, 선단 측(도 1의 우단 측)이 외통(2)의 하부 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감쇠력 조정 기구(17)는, 환상 오일실(D)에서 리저버실(A)로의 오일액의 유통을, 감쇠력 조정 밸브(18)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밸브개방압을, 감쇠력 가변 액추에이터로서 이용되는 솔레노이드(33)로 조정함으로써, 발생 감쇠력을 가변으로 조정한다. 이와 같이, 감쇠력 조정 기구(17)는, 내통(4) 안의 피스톤(5)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작동 유체(오일액)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감쇠력 조정 기구(17)는, 환상 오일실(D)에서 리저버실(A)로의 오일액의 유통을 가변으로 제어함으로써 하드 또는 소프트한 특성의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조정 밸브(18)와,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밸브 개폐 동작을 조정하는 솔레노이드(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밸브개방압은, 감쇠력 가변 액추에이터로서 이용되는 솔레노이드(33)에 의해 조정되고, 이로써, 발생 감쇠력은, 하드 또는 소프트한 특성으로 가변으로 제어된다. 감쇠력 조정 밸브(18)는, 솔레노이드(33)에 의해서 밸브 개폐 동작이 조정되는 밸브이며, 피스톤 로드(8)의 이동에 의해서 작동 액체의 흐름이 생기는 유로(예컨대 환상 오일실(D)과 리저버실(A) 사이)에 마련된다.
여기서, 감쇠력 조정 밸브(18)는, 그 기단 측이 외통(2)의 개구(2B) 주위에 고착되며 선단 측이 외통(2)으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대략 원통형의 밸브 케이스(19)와, 기단 측이 중간통(12)의 접속구(12C)에 고정되며 또한 선단 측이 환상 플랜지부(20A)로 되어, 밸브 케이스(19)의 내측에 간극을 두고서 배치되는 접속 관체(20)와, 이 접속 관체(20)의 플랜지부(20A)에 맞닿는 밸브 부재(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밸브 케이스(19)의 기단 측은,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환상의 내측 플랜지부(19A)로 되어 있다. 밸브 케이스(19)의 선단 측은, 밸브 케이스(19)와 솔레노이드(33)의 요크(39)(일측 통부(39G))를 결합하는 로크 너트(53)가 나사식으로 부착되는 수나사부(19B)로 되어 있다. 밸브 케이스(19)의 내주면과 밸브 부재(21)의 외주면의 사이, 또한 밸브 케이스(19)의 내주면과 파일럿 보디(26) 등의 외주면의 사이는, 리저버실(A)에 항상 연통하는 환상의 오일실(19C)로 되어 있다. 여기서, 밸브 케이스(19)와 솔레노이드(33)는, 로크 너트(53)로 결합하는 것 외에, 예컨대 밸브 케이스의 선단 측을 솔레노이드의 요크에 코킹시키는 구성(로크 너트를 이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접속 관체(20)의 내측은, 일측이 환상 오일실(D)에 연통되고, 타측이 밸브 부재(21) 위치까지 연장되는, 오일 유로(20B)로 되어 있다. 또한, 접속 관체(20)의 플랜지부(20A)와 밸브 케이스(19)의 내측 플랜지부(19A) 사이에는, 원환형의 스페이서(22)가, 협지(挾持) 상태로 형성된다. 스페이서(22)에는, 오일실(19C)과 리저버실(A)을 연통하기 위해서 직경 방향의 오일 유로가 되는 절결(22A)이,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여러 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페이서(22)에 오일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절결(22A)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스페이서(22) 대신에, 밸브 케이스(19)의 내측 플랜지부(19A)에 오일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절결을 방사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스페이서(22)를 생략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밸브 부재(21)에는, 직경 방향 중심에 위치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구멍(21A)이 형성된다. 또한, 밸브 부재(21)에는, 중심 구멍(21A) 주위에 둘레 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의 오일 유로(21B)가 형성된다. 각 오일 유로(21B)는, 그 일측(도 1 및 도 2의 좌측)이 접속 관체(20)의 오일 유로(20B) 측에 항상 연통된다. 또한, 밸브 부재(21)의 타측(도 1 및 도 2의 우측)의 단부면에는, 오일 유로(21B)의 타측 개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환상 오목부(21C)와, 이 환상 오목부(21C)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메인 밸브(23)가 이착좌(離着座)하는 환상 밸브 시트(21D)가 마련된다. 여기서, 밸브 부재(21)의 각 오일 유로(21B)는, 환상 오일실(D)에 연통된 접속 관체(20)의 오일 유로(20B)와, 리저버실(A)에 연통된 밸브 케이스(19)의 오일실(19C)의 사이에서, 메인 밸브(23)의 개방도에 따른 유량의 압유(壓油)가 유통하는 유로가 된다.
메인 밸브(23)는, 내주 측이 밸브 부재(21)와 파일럿 핀(24)의 대직경부(24A) 사이에 협지되는 디스크 밸브에 의해 구성된다. 메인 밸브(23)는, 외주 측이 밸브 부재(21)의 환상 밸브 시트(21D)에 이착좌한다. 메인 밸브(23)의 배면 측의 외주부에는, 탄성 시일 부재(23A)가 베이킹 등의 수단으로 고착된다. 메인 밸브(23)는, 밸브 부재(21)의 오일 유로(21B) 측(환상 오일실(D) 측)의 압력을 받아 환상 밸브 시트(21D)로부터 이좌함으로써 밸브개방된다. 이로써, 밸브 부재(21)의 오일 유로(21B)(환상 오일실(D) 측)는, 오일실(19C)(리저버실(A) 측)에 메인 밸브(23)를 통해 연통되고, 이때에 화살표 Y 방향으로 흐르는 압유의 양(유량)은, 메인 밸브(23)의 개방도에 따라서 가변으로 조정된다.
파일럿 핀(24)은, 단차를 가진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축 방향 중간부에 환상 대직경부(24A)가 형성된다. 파일럿 핀(24)은, 내주 측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구멍(24B)을 갖는다. 중심 구멍(24B)의 일단부(접속 관체(20) 측의 단부)에는, 소직경 구멍(오리피스(24C))이 형성된다. 파일럿 핀(24)은, 일단 측(도 1 및 도 2의 좌단 측)이 밸브 부재(21)의 중심 구멍(21A)에 압입되어, 대직경부(24A)와 밸브 부재(21) 사이에서 메인 밸브(23)를 협지한다.
파일럿 핀(24)의 타단 측(도 1 및 도 2의 우단 측)은, 파일럿 보디(26)의 중심 구멍(26C)에 감합된다. 이 상태에서, 파일럿 보디(26)의 중심 구멍(26C)과 파일럿 핀(24)의 타단 측의 사이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일 유로(25)가 형성된다. 이 오일 유로(25)는, 메인 밸브(23)와 파일럿 보디(26) 사이에 형성되는 배압실(27)에 연통된다. 바꿔 말하면, 파일럿 핀(24)의 타단 측의 측면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일 유로(25)가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고, 그 밖의 둘레 방향 위치는 파일럿 보디(26)의 중심 구멍(26C)에 압입된다.
파일럿 보디(26)는, 대략 바닥을 가진 통상체로서 형성되고, 내측에 단차를 가진 구멍이 형성되는, 원통부(26A)와, 이 원통부(26A)를 막는 바닥부(26B)를 갖는다. 파일럿 보디(26)의 바닥부(26B)에는, 파일럿 핀(24)의 타단 측이 감합되는 중심 구멍(26C)이 형성된다. 파일럿 보디(26)의 바닥부(26B)의 일단 측(도 1 및 도 2의 좌단 측)에는, 외경 측에 위치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 밸브 부재(21)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 통부(26D)가 일체로 형성된다. 돌출 통부(26D)의 내주면에는, 메인 밸브(23)의 탄성 시일 부재(23A)가 액밀하게 감합되고, 이로써, 메인 밸브(23)와 파일럿 보디(26) 사이에 배압실(27)을 형성한다. 배압실(27)은, 메인 밸브(23)에 대하여 밸브패쇄 방향, 즉, 메인 밸브(23)를 밸브 부재(21)의 환상 밸브 시트(21D)에 착좌시키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력(내압, 파일럿 압력)을 발생시킨다.
파일럿 보디(26)의 바닥부(26B)의 타단 측(도 1 및 도 2의 우단 측)에는, 파일럿 밸브체(32)가 이착좌하는 밸브 시트부(26E)가, 중심 구멍(26C)을 둘러싸도록 마련된다. 또한, 파일럿 보디(26)의 원통부(26A)의 내측에는, 파일럿 밸브체(32)를 파일럿 보디(26)의 밸브 시트부(26E)로부터 떠나는 방향으로 밀어 붙이는, 리턴 스프링(28), 솔레노이드(33)가 비통전 상태일 때(파일럿 밸브체(32)가 밸브 시트부(26E)로부터 가장 떨어졌을 때)의 페일 세이프 밸브를 구성하는, 디스크 밸브(29), 중심 측에 오일 유로(30A)가 형성되는, 유지 플레이트(30) 등이 배치된다.
파일럿 보디(26)의 원통부(26A)의 개구단에는, 이 원통부(26A)의 내측에 리턴 스프링(28), 디스크 밸브(29), 유지 플레이트(30) 등을 배치한 상태에서, 캡(31)이 감합 고정된다. 캡(31)에는, 예컨대 둘레 방향으로 이격된 네 곳의 위치에 절결(31A)이 형성된다. 도 2에 화살표 X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절결(31A)은, 유지 플레이트(30)의 오일 유로(30A)를 통해 솔레노이드(33) 측으로 흐르는 오일액을 오일실(19C)(리저버실(A) 측)로 유통시키는 유로로 되어 있다.
파일럿 밸브체(32)는, 파일럿 보디(26)와 함께 파일럿 밸브(제어 밸브)를 구성한다. 파일럿 밸브체(32)는, 단차를 가진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파일럿 밸브체(32)의 선단부, 즉, 파일럿 보디(26)의 밸브 시트부(26E)에 이착좌하는 선단부는, 끝이 가늘게 되는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다. 파일럿 밸브체(32)의 내측에는, 솔레노이드(33)의 작동 핀(49)이 감합 고정되고, 이 솔레노이드(33)에의 통전에 따라서 파일럿 밸브체(32)의 밸브개방압이 조절된다. 이로써, 제어 밸브로서의 파일럿 밸브(파일럿 보디(26) 및 파일럿 밸브체(32))는, 솔레노이드(33)의 작동 핀(49)(즉, 아마추어(48))의 이동에 의해 제어된다. 파일럿 밸브체(32)의 기단 측에는, 스프링 받이가 되는 플랜지부(32A)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플랜지부(32A)는, 솔레노이드(33)가 비통전 상태일 때, 즉, 파일럿 밸브체(32)가 밸브 시트부(26E)로부터 가장 이격하는 완전 개방 위치까지 변위했을 때에, 디스크 밸브(29)의 내주부와 맞닿음으로써 페일 세이프 밸브를 구성한다.
이어서, 감쇠력 조정 밸브(18)와 함께 감쇠력 조정 기구(17)를 구성하는 솔레노이드(33)에 관해서, 도 1 및 도 2에 더하여 도 3 내지 도 5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3은, 도 2의 우측을 상측으로 하여 부호를 붙이고 있다. 즉, 도 1 및 도 2의 좌측, 우측 방향은, 도 3 내지 도 5의 상, 하 방향에 대응한다.
솔레노이드(33)는, 감쇠력 조정 기구(17)의 감쇠력 가변 액추에이터로서, 감쇠력 조정 기구(17)에 삽입된다. 즉, 솔레노이드(33)는,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밸브 개폐 동작을 조정하기 위해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이용된다. 솔레노이드(33)는, 몰드 코일(34)과, 수납 부재로서의 하우징(36)과, 요크(39)와, 고정자로서의 앵커(41)와, 접합 부재(비자성링)로서의 실린더(44)와, 가동자(가동 철심)로서의 아마추어(48)와, 작동 핀(49)과, 커버 부재(51)를 구비한다.
그런데, 솔레노이드의 추력 특성 향상과 축 길이 단축을 도모하기 위해서, 아마추어(가동자)의 직경을 크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에 맞춰 코일의 내경도 크게 하면, 코일의 권선이 길어져, 코일의 저항치가 커진다. 이 때문에, 코일의 내경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면서 또한 아마추어의 외경을 크게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술한 특허문헌 1의 솔레노이드(솔레노이드 블록(31))는, 하우징(코어(74))과 요크(솔레노이드 케이스(71))가 접합 부재(부호 없음)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요크(솔레노이드 케이스(71))의 외경 측(외주)에 접합 부재(부호 없음) 일단의 내경 측(내주)을 고정하면서, 또한 하우징(코어(74))의 외경 측(외주)에 접합 부재 타단의 내경 측(내주)을 고정하고 있다. 이 경우, 하우징(코어(74))과 접합 부재(부호 없음)와 요크(솔레노이드 케이스(71))에 의해 압력 용기를 형성하기 위해서, 요크(솔레노이드 케이스(71))의 외경 측에 접합 부재(부호 없음) 일단의 내경 측을 압입으로 고정하면서, 또한 하우징(코어(74))의 외경 측에 접합 부재 타단의 내경 측을 압입으로 고정하고, 각각 브레이징으로 접합을 행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솔레노이드(솔레노이드 블록(31))의 경우, 코일(72)의 내경이 커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가동자(플런저(75))의 외경을 크게 하면, 가동자(플런저(75)) 외경 측과 코일(72) 내경 측의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자(코어(73)), 요크(솔레노이드 케이스(71)) 및 접합 부재(부호 없음)의 두께가 얇아진다. 이 경우, 고정자(코어(73))의 코너부(부호 없음)의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자기 포화하여, 추력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예컨대 접합 부재 중 요크와 감합하는 부분을, 다른 부분보다도 직경 방향 치수(내경 치수)가 큰 대직경부(돌출부)로 하고, 이 대직경부 안에 고정자와 요크가 들어가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고정자와 접합 부재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접합 부재 형상의 복잡화로 인해서 재료 비용 및 가공 비용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대직경부를 둠으로써, 코일의 위치가 하우징 측으로 이동하여, 축 길이가 커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종래 기술의 경우는, 솔레노이드의 추력 특성 향상과 축 길이 단축을 도모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린더(44)의 형상을 원통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실린더(44)의 일단 측(요크(39) 측)의 외주(외경 측)와 요크(39)(통형 돌기부(39C))의 내주(내경 측), 및 실린더(44)의 타단 측(하우징(36) 측)의 내주(내경 측)와 하우징(36)(소직경 통부(36C))의 외주(외경 측)를 압입으로 고정(조립)한 후, 브레이징 접합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실린더(44)는, 예컨대 스테인리스강으로 하고, 하우징(36)과 요크(39)는, 예컨대 기계 구조용 탄소강(S10C)으로 한다. 브레이징에 동반하여, 실린더(44)와 하우징(36)을 가열(온도 상승)했을 때에, 재료 특성의 차이에 의해, 실린더(44)가 하우징(36)(소직경 통부(36C))보다도 팽창되는 경향으로 된다. 이때, 브레이징재(예컨대 구리 링)는, 실린더(44)의 내주와 하우징(36)(소직경 통부(36C))의 외주로 들어간다.
한편, 브레이징에 동반하여, 실린더(44)와 요크(39)를 가열했을 때에, 재료의 특성 차이에 의해, 실린더(44)가 요크(39)(통형 돌기부(39C))보다도 팽창되는 경향으로 된다. 이때, 브레이징재(예컨대 구리 링)를 실린더(44)와 요크(39) 사이로 흘려 넣을 수 있도록, 실린더(44)와 요크(39)(통형 돌기부(39C)) 사이에는, 이들의 조립에 사용하기 위한 압입부(46) 및 브레이징 접합에 사용하기 위한 간극부가 되는 비접촉부(45)가 미리 마련된다(도 4 참조). 이하, 이러한 실린더(44)를 구비한 본 실시형태의 솔레노이드(33)에 관해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솔레노이드(33)는, 몰드 코일(34)과 하우징(36)과 요크(39)와 앵커(41)와 실린더(44)와 아마추어(48)와 작동 핀(49)을 구비하고 있다. 몰드 코일(34)은, 코일(34A)을 코일 보빈(34B) 주위로 권회한 상태에서, 이들을 열경화성 수지 등의 수지 부재(34C)로 일체적으로 덮음(몰드 성형함)으로써,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몰드 코일(34)의 둘레 방향 일부에는, 축 방향 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케이블 취출부(34E)가 설치되고, 이 케이블 취출부(34E)에 전선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된다. 몰드 코일(34)의 코일(34A)은, 코일 보빈(34B) 주위에 환상으로 휘감기고, 외부로부터의 케이블을 통한 전력 공급(통전)에 의해, 전자석으로 되어 자력을 발생시킨다.
몰드 코일(34)의 수지 부재(34C) 중, 요크(39)(환상부(39B))와 대향하는 측면(축 방향 일측의 단부면)에는, 시일 홈(34D)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시일 홈(34D) 안에는, 시일 부재(예컨대 O-링(35))가 장착된다. O-링(35)은, 몰드 코일(34)과 요크(39)(환상부(39B)) 사이를 액밀하게 시일한다. 이로써, 빗물이나 흙탕물을 포함한 더스트가 요크(39)와 몰드 코일(34) 사이를 통해 요크(39)의 통형 돌기부(39C) 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채용하는 코일은, 코일(34A), 코일 보빈(34B) 및 수지 부재(34C)로 이루어지는 몰드 코일(34)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이 이외의 코일을 채용하여도 좋다. 예컨대 전기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코일 보빈에 코일을 권회한 상태에서, 이 위(외주 측)로부터 수지 재료를 몰드한 오버 몰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코일의 외주를 덮는 구성이라도 좋다.
하우징(36)은, 몰드 코일(34)의 내주 측(즉, 코일(34A)의 내주)에 배치하여 설치되는 제1 고정 철심(수납 부재)을 구성한다. 하우징(36)은, 예컨대 저탄소강, 기계 구조용 탄소강(S10C) 등의 자성 재료(자성체)에 의해, 덮개를 가진 원통형의 통체로서 형성된다. 하우징(36)은, 몰드 코일(34)(코일(34A))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일단 측(도 2의 좌측, 도 3 내지 도 5의 하측)이 개구된, 수납부로서의 수납 통부(36A)와, 수납 통부(36A)의 타단 측(도 2의 우측, 도 3 내지 도 5의 상측)을 폐색하는, 단차를 가진 덮개부(36B)와, 수납 통부(36A)의 개구 측(일측)에서, 그 외주를 직경 축소시키게 하여 형성되는, 접합용의 소직경 통부(36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36)의 소직경 통부(36C)의 외주에는, 실린더(44)의 내주가 브레이징에 의해 접합된다.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는, 그 내경 치수가 아마추어(48)의 외경 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고, 수납 통부(36A) 안에는 아마추어(48)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된다.
하우징(36)의 덮개부(36B)는, 수납 통부(36A)를 축방향 타측에서 폐색하는 덮개를 가진 통체로서, 수납 통부(36A)에 일체로 형성된다. 덮개부(36B)의 외경은, 수납 통부(36A)의 외경보다도 소직경의 단차를 가진 형상을 이루고, 덮개부(36B)의 외주 측에는, 커버 부재(51)의 감합 통부(51A)가 감합되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36)에는, 덮개부(36B) 내측에 위치하여 바닥이 있는 단차를 가진 구멍(37)이 형성된다. 단차를 가진 구멍(37)은, 부시 부착 구멍부(37A)와, 부시 부착 구멍부(37A)보다도 안쪽에 위치하여 소직경으로 형성되는 소직경 구멍부(37B)로 이루어진다. 부시 부착 구멍부(37A) 안에는, 작동 핀(49)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 부시(38)가 마련된다.
또한, 하우징(36)의 덮개부(36B)는, 그 타측 단부면이 커버 부재(51)의 덮개판(51B)에 대하여 축 방향 간극을 가지고서 대향 배치된다. 이 축 방향 간극은, 커버 부재(51)의 덮개판(51B) 측으로부터 덮개부(36B)를 통해 축 방향 힘이 하우징(36)에 직접 가해지는 것을 막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하우징(36)의 덮개부(36B)에 관해서는, 수납 통부(36A)와 반드시 일체로 동일 재료(자성체)로 형성할 필요는 없다. 이 경우의 덮개부(36B)는, 자성체 재료가 아니라, 예컨대 강성을 가진 금속 재료, 세라믹스 재료 또는 섬유 강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와 덮개부(36B)의 이음부는 자속의 전달을 고려한 위치로 한다.
요크(39)는, 하우징(36)과 함께 몰드 코일(34)(코일(34A))의 내주 측과 외주 측에 걸쳐 자기 회로(자로)를 형성하는 자성 부재이다. 요크(39)는, 하우징(36)과 마찬가지로, 자성 재료(자성체)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몰드 코일(34)(코일(34A))의 축 방향 일측(권회 축선 방향 일측)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주 측이 단차를 가진 고정 구멍(39A)으로 된 환상부(39B)와, 환상부(39B)의 내주 측으로부터 축 방향 타측(코일(34A) 측)을 향해서 고정 구멍(39A)의 축 방향을 따라 통형으로 돌출하는 통형 돌기부(39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형 돌기부(39C)는, 실린더(44)와의 접합용 돌기(통부)를 구성하고, 통형 돌기부(39C) 내경 측에는 실린더(44)가 삽입된다.
바꿔 말하면, 요크(39)는 고정 구멍(39A)을 갖고 있고, 고정 구멍(39A)의 내주면은 앵커(41)의 측면부(41D)의 일부와 대향한다. 또한, 고정 구멍(39A) 안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내경 측으로 돌출하는 내향 플랜지부(39D)가 형성된다. 내향 플랜지부(39D)의 측면(코일(34A) 측의 측면)에는, 실린더(44)의 축 방향 일측의 단부면(일단면)이 맞닿는다. 또한, 요크(39)의 내주, 즉, 고정 구멍(39A)의 내면(바꿔 말하면, 통형 돌기부(39C)의 내주면)에는, 실린더(44)의 축 방향 일측의 외주가 감합된다.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요크(39)의 고정 구멍(39A)(통형 돌기부(39C)의 내경 측)은, 축 방향 일측(내향 플랜지부(39D) 측)으로부터 순차, 내경 치수가 작은 소직경 구멍부(39E)와, 소직경 구멍부(39E)보다도 내경 치수가 큰 대직경 구멍부(39F)를 구비한다. 이로써, 실린더(44)와 요크(39)는, 코일(34A)의 권회 축선 방향의 하우징(36) 측, 즉, 축 방향 타측에, 실린더(44)의 외주와 요크(39)의 내주(고정 구멍(39A)의 내면, 통형 돌기부(39C)의 내주면) 사이가 비접촉으로 되는 비접촉부(45)가 형성된다. 또한, 실린더(44)와 요크(39)는, 코일(34A)의 권회 축선 방향의 하우징(36) 측과는 반대측, 즉, 축 방향 일측에, 실린더(44)의 외주와 요크(39)의 내주(고정 구멍(39A)의 내면, 통형 돌기부(39C)의 내주면)가 압입되는 압입부(46)가 형성된다. 비접촉부(45)는, 예컨대 브레이징에 동반하여 실린더(44) 및 요크(39)가 온도 상승했을 때에 브레이징재가 들어가는 간극이 확보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요크(39)는, 환상부(39B)의 외주 측으로부터 축 방향 일측(감쇠력 조정 밸브(18) 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원통형의 일측 통부(39G)와, 환상부(39B)의 외주 측으로부터 축 방향 타측(커버 부재(51) 측)을 향해서 연장되고, 몰드 코일(34)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타측 통부(39H)와, 타측 통부(39H)의 선단 측에 형성되어 커버 부재(51)의 플랜지부(51C)를 고정 상태로 유지하는, 코킹부(39J)를 포함하는, 일체물로서 형성된다. 또한, 요크(39)의 타측 통부(39H)에는, 몰드 코일(34)의 케이블 취출부(34E)를 타측 통부(39H) 외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절결(39K)이 형성된다.
요크(39)의 일측 통부(39G)와 타측 통부(39H) 사이에는, 요크(39)의 외주면으로 개구되도록 단면 반원 형상을 이루는 계합 오목부(39L)가 (전체 둘레에 걸쳐 또는 둘레 방향으로 이격하여 여러 곳에) 형성된다. 계합 오목부(39L)에는,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밸브 케이스(19)에 나사식으로 부착되는 로크 너트(53)가 고정 링(54)(도 2 참조)을 통해 계합된다. 또한, 일측 통부(39G)의 외주면에는, 시일 홈(39M)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시일 홈(39M)에는 시일 부재로서의 O-링(40)(도 2 참조)이 장착된다. O-링(40)은, 요크(39)(일측 통부(39G))와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밸브 케이스(19) 사이를 액밀하게 밀봉한다.
앵커(41)는, 요크(39)의 고정 구멍(39A) 안에 압입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제2 고정 철심(고정자)이다. 앵커(41)는, 하우징(36)(제1 고정 철심) 및 요크(39)와 마찬가지로, 저탄소강, 기계 구조용 탄소강(S10C) 등의 자성 재료(자성체)에 의해, 요크(39)의 고정 구멍(39A)을 내측에서 메우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앵커(41)는, 중심 측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41A)으로 된 단척(短尺)의 원통형 환상체로서 형성된다. 앵커(41)의 축 방향 일측면(도 2에 도시하는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캡(31)과 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은, 요크(39)의 환상부(39B)의 일측면과 마찬가지로 평탄면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앵커(41)의 축 방향 타측(아마추어(48)와 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타측면)에는, 수납 통부(36A)와 동축이 되도록 원형의 오목부(41B)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오목부(41B)는, 그 내측에 아마추어(48)가 자력에 의해 진입, 후퇴할 수 있게 삽입되도록, 아마추어(48)보다도 약간 대직경의 원형 홈으로서 형성된다. 이 때문에, 앵커(41)의 타측에는 원통형의 돌출부(41C)가 형성된다. 돌출부(41C)의 개구 측의 외주면은, 앵커(41)와 아마추어(48) 사이에서 자기 특성이 리니어(직선적) 특성으로 되도록 원추면으로서 형성된다.
즉, 코너부라고도 불리는 돌출부(41C)는, 앵커(41)의 외주 측으로부터 축 방향 타측을 향해서 통형으로 돌출해 있다. 그리고, 돌출부(41C)의 외주면(개구 측의 외주면)은, 축 방향 타측(개구 측)을 향해서 외경 치수가 점차 작아지도록 테이퍼형으로 경사진 추면(conical surface)으로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앵커(41)의 돌출부(41C)는, 하우징(36)(수납 통부(36A))의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수납 통부(36A)의 개구에 가까워질수록 외경이 축소되는, 직경 축소부(41C1)를 갖는다.
또한, 앵커(41)의 외주 측에는, 돌출부(41C)의 외주를 따라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의 개구로부터 떠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부(41D)가 형성된다. 이 측면부(41D) 중 개구로부터 떨어진 측의 단부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환상 플랜지부(41E)로 되어 있다. 환상 플랜지부(41E)는,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의 개구단으로부터 축 방향 일측으로 크게 이격된 위치(즉, 오목부(41B)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배치된다.
환상 플랜지부(41E)는, 예컨대 요크(39)의 고정 구멍(39A) 안에 압입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환상 플랜지부(41E)는, 요크(39)의 고정 구멍(39A)에 대한 앵커(41)(측면부(41D))의 고정 부분이 되며, 플랜지부(41E)와 고정 구멍(39A)이 직경 방향에서 대향하는 부분이기도 한다. 앵커(41)의 측면부(41D)(환상 플랜지부(41E)를 제외한다)는, 실린더(44)의 내주면 및 요크(39)의 내향 플랜지부(39D)의 내면과 간극(직경 방향 간극)을 통해 대향한다.
어떻든간에, 앵커(41)는, 돌출부(41C)와 측면부(41D)가 자성체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앵커(41)는,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의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돌출부(41C)는,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의 개구를 향해서 돌출해 있다. 측면부(41D)는,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의 개구로부터 떠나는 방향으로 돌출부(41C)의 외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측면부(41D)는, 실린더(44)의 내주면 및 요크(39)의 내향 플랜지부(39D)의 내면에 대하여 간극을 갖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앵커(41)의 중심(내주) 측에 형성된 단차를 가진 관통 구멍(41A)에는, 작동 핀(49)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2 부시(43)가 감합하여 마련된다. 한편,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요크(39)의 일측 통부(39G)의 내주 측에는,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파일럿 보디(26), 리턴 스프링(28), 디스크 밸브(29), 유지 플레이트(30) 및 캡(31) 등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또한, 일측 통부(39G)의 외주 측에는,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밸브 케이스(19)가 감합(바깥 끼우기)된다.
실린더(44)는, 직경 방향에 관해서, 요크(39)와 앵커(41)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실린더(44)는, 축 방향 및 직경 방향에 관해서, 요크(39)와 하우징(36) 사이에 설치된다. 즉, 실린더(44)는, 하우징(36)의 소직경 통부(36C)와 요크(39)의 통형 돌기부(39C) 사이에 위치하여 몰드 코일(34)(코일(34A))의 내주 측에 마련되는, 비자성의 이음 부재(접합 부재)이다. 실린더(44)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린더(44)는, 예컨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등의 비자성 재료에 의해, 원통체(단순한 원통체)로서 형성된다.
실린더(44)는, 몰드 코일(34)(코일(34A))의 권회 축선 방향의 일단 측(요크(39) 측)의 외주가 요크(39)(고정 구멍(39A), 통형 돌기부(39C))의 내주와 접합된다. 또한, 실린더(44)는, 몰드 코일(34)(코일(34A))의 권회 축선 방향의 타단 측(하우징(36) 측)의 내주가 하우징(36)(소직경 통부(36C))의 외주와 접합된다. 즉, 실린더(44)는, 하우징(36)의 소직경 통부(36C)의 외측(외주 측)에 감합(압입)되고, 브레이징에 의해 양자는 접합된다. 또한, 실린더(44)는, 요크(39)의 통형 돌기부(39C)의 내측(내주 측)에 감합(압입)되고, 브레이징에 의해 양자는 접합된다. 이 경우, 예컨대 실린더(44)와 하우징(36)을 압입하고, 실린더(44)와 요크(39)를 압입하여, 이들 실린더(44)와 하우징(36)과 요크(39)를 조립한 후, 브레이징 접합을 행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36)과 실린더(44) 및 실린더(44)와 요크(39)는, 브레이징재를 통해 접합된다. 브레이징재는, 예컨대 순동 브레이징 필러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브레이징은, 순동 브레이징 필러로 이루어지는 브레이징재(구리 링)를 이용하여, 예컨대 1000℃ 이상의 브레이징 처리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징재는, 순동 브레이징 필러 이외의 것이라도 좋다. 예컨대 황동 브레이징 필러, 니켈 브레이징 필러, 금 브레이징 필러, 파라듐 브레이징 필러 등이라도 좋다. 어떻든간에, 실린더(44)는, 하우징(36)의 소직경 통부(36C)와 요크(39)의 통형 돌기부(39C)에 대하여 브레이징에 의해 접합된다. 브레이징 처리 후에는 급냉 처리가 실시된다. 이 상태에서, 실린더(44)의 내경은, 앵커(41) 측면부(41D)의 외경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실린더(44)와 요크(39) 및 하우징(36)은, 선 팽창 계수가 다른 재료로 형성된다. 예컨대 실린더(44)를 스테인리스강으로 하고, 하우징(36)을 기계 구조용 탄소강(S10C)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브레이징에 동반하여 실린더(44) 및 하우징(36)의 온도가 상승했을 때에, 선 팽창 계수가 큰 스테인리스강의 실린더(44)가 하우징(36)보다도 팽창하여, 실린더(44)의 타단 측의 내주와 하우징(36)(소직경 통부(36C))의 외주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브레이징재를 모아 둘 수 있다. 이로써, 실린더(44)와 하우징(36)(소직경 통부(36C))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요크(39)의 고정 구멍(39A)은, 소직경 구멍부(39E)보다도 내경 치수가 큰 대직경 구멍부(39F)를 구비한다. 이로써, 실린더(44)와 요크(39) 사이, 즉, 실린더(44)의 외주와 요크(39)의 내주(고정 구멍(39A)의 내면, 통형 돌기부(39C)의 내주면) 사이에, 비접촉부(45)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브레이징에 동반하여 실린더(44) 및 요크(39)의 온도가 상승했을 때에, 선 팽창 계수가 큰 스테인리스강의 실린더(44)가 요크(39)보다도 팽창하는 경향으로 되더라도, 실린더(44)의 외주와 요크(39)의 내주(고정 구멍(39A)의 내면, 통형 돌기부(39C)의 내주면) 사이의 비접촉부(45)에 브레이징재를 모아 둘 수 있다. 이로써, 실린더(44)와 요크(39)(고정 구멍(39A))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린더(44)와 하우징(36)의 접합 및/또는 실린더(44)와 요크(39)의 접합은, 브레이징 이외의 접합 수단(예컨대 레이저 용접 등의 용접에 의한 접합 수단)으로 가열하여 접합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즉, 하우징(36)과 실린더(44) 및 실린더(44)와 요크(39)는, 용접으로 접합하여도 좋다.
아마추어(48)는,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와 앵커(41)의 오목부(41B) 사이에, 코일(34A)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가동자이다. 아마추어(48)는,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 앵커(41)의 오목부(41B), 요크(39)의 통형 돌기부(39C) 및 실린더(44)의 내주 측에 배치되어,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와 앵커(41)의 오목부(41B)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아마추어(48)는,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 및 앵커(41)의 오목부(41B)의 내주 측에 배치되어, 코일(34A)에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제1, 제2 부시(38, 43) 및 작동 핀(49)을 통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아마추어(48)는, 그 중심 측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작동 핀(49)에 고정(일체화)하여 설치되며, 작동 핀(49)과 함께 이동한다. 작동 핀(49)은, 하우징(36)의 덮개부(36B)와 앵커(41)에, 제1, 제2 부시(38, 43)를 통해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서, 아마추어(48)는, 예컨대 하우징(36), 요크(39) 및 앵커(41)와 마찬가지로, 철계 자성체를 이용하여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아마추어(48)는, 코일(34A)에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앵커(41)의 오목부(41B) 안을 향해서 흡착되는 방향의 추력이 발생된다.
작동 핀(49)은, 아마추어(48)의 추력을 감쇠력 조정 밸브(18)(제어 밸브)의 파일럿 밸브체(32)에 전달하는 축부로, 중공(中空) 로드에 의해 형성된다. 작동 핀(49)의 축 방향 중간부에는, 아마추어(48)가 압입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이로써, 아마추어(48)와 작동 핀(49)은 서브어셈블리화된다. 작동 핀(49)의 축 방향 양측은, 하우징(36) 측의 덮개부(36B)와 요크(39)(앵커(41))에, 제1, 제2 부시(38, 43)를 통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작동 핀(49)의 일단 측(도 2에서의 좌측 단부, 도 3에서의 하측 단부)은, 앵커(41)(요크(39))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하며, 또한 그 돌출단에는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파일럿 밸브체(32)가 고정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 밸브체(32)는, 아마추어(48) 및 작동 핀(49)과 함께, 축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바꿔 말하면, 파일럿 밸브체(32)의 밸브개방 설정압은, 코일(34A)에의 통전에 기초한 아마추어(48)의 추력에 대응하는 압력치가 된다. 아마추어(48)는, 코일(34A)로부터의 자력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유압 완충기(1)의 파일럿 밸브(즉, 파일럿 보디(26)에 대한 파일럿 밸브체(32))의 밸브 개폐를 행한다.
커버 부재(51)는, 요크(39)의 타측 통부(39H)와 함께 몰드 코일(34)을 외측으로부터 덮는, 자성체 커버이다. 이 커버 부재(51)는, 몰드 코일(34)을 축 방향 타측으로부터 덮는 덮개체로서, 자성 재료(자성체)에 의해 형성되고, 요크(39)의 타측 통부(39H)와 함께 몰드 코일(34)(코일(34A))의 외측에서 자기 회로(자로)를 형성한다. 커버 부재(51)는, 전체적으로 덮개가 있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원통형의 감합 통부(51A)와, 감합 통부(51A)의 타단 측(도 2의 우측 단부, 도 3에서의 상측 단부)을 폐색하는 둥근접시 모양의 덮개판(51B)에 의해 대략 구성된다.
여기서, 커버 부재(51)의 감합 통부(51A)는, 하우징(36)의 덮개부(36B) 외주에 끼워지고, 이 상태에서 하우징(36)의 덮개부(36B)를 내측에 수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커버 부재(51)의 덮개판(51B)은, 그 외주 측이 감합 통부(51A)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환상 플랜지부(51C)로 되고, 플랜지부(51C)의 외주 가장자리는, 요크(39)의 타측 통부(39H)에 형성하는 코킹부(39J)에 고정된다. 이로써, 요크(39)의 타측 통부(39H)와 커버 부재(51)의 덮개판(51B)은,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내측에 몰드 코일(34)을 내장한 상태에서 예비 조립(서브어셈블리화)된다.
이와 같이, 요크(39)의 타측 통부(39H)와 커버 부재(51)의 덮개판(51B)의 내측에 몰드 코일(34)을 내장한 상태에서는, 하우징(36)의 덮개부(36B)가 커버 부재(51)의 감합 통부(51A) 안에 끼워져 부착된다. 이로써, 커버 부재(51)의 감합 통부(51A), 덮개판(51B) 및 요크(39) 사이에서 자속 전달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51)의 감합 통부(51A)에는, 몰드 코일(34)의 수지 부재(34C)가 감합되는 외주 측에, 시일 홈(51D)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이 시일 홈(51D) 안에는 시일 부재(예컨대 O-링(52))가 장착된다. O-링(52)은, 몰드 코일(34)과 커버 부재(51)(감합 통부(51A)) 사이를 액밀하게 시일한다. 이로써, 빗물이나 흙탕물을 포함한 더스트가, 커버 부재(51)와 몰드 코일(34) 사이를 통해 하우징(36)과 몰드 코일(34) 사이, 나아가서는 하우징(36)과 커버 부재(51) 사이 등으로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요크(39)와 커버 부재(51)는,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내측에 몰드 코일(34)을 내장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체결 부재로서의 로크 너트(53)와 고정 링(54)을 이용하여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밸브 케이스(19)에 체결된다. 이 경우, 요크(39)의 계합 오목부(39L)에는, 로크 너트(53)에 앞서서 고정 링(54)이 부착된다. 이 고정 링(54)은, 요크(39)의 계합 오목부(39L)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부분적으로 돌출하여, 로크 너트(53)에 의한 체결력을 요크(39)의 일측 통부(39G)에 전하는 것이다.
로크 너트(53)는, 단차를 가진 통형체로서 형성되고, 그 축 방향 일측에 위치하여 내주 측에 밸브 케이스(19)의 수나사부(19B)에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53A)와, 내경 치수가 고정 링(54)의 외경 치수보다도 작아지도록 직경 방향 안쪽을 향해 굴곡되어, 고정 링(54)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계합하는, 계합 통부(53B)가 마련된다. 로크 너트(53)는, 요크(39)의 계합 오목부(39L)에 장착되는 고정 링(54)에 대하여 계합 통부(53B)의 내측면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암나사부(53A)와 밸브 케이스(19)의 수나사부(19B)를 나사결합함으로써, 감쇠력 조정 밸브(18)와 솔레노이드(33)를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체결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솔레노이드(33), 감쇠력 조정 기구(17) 및 유압 완충기(1)는 상술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며, 이어서 그 작동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유압 완충기(1)를 자동차 등의 차량에 실장할 때에는, 예컨대 피스톤 로드(8)의 상단 측(돌출단 측)이 차량의 차체 측에 부착되고, 보텀 캡(3)에 마련된 부착 아이(3A) 측이 차륜 측에 부착된다. 또한, 감쇠력 조정 기구(17)의 솔레노이드(33)는, 차량의 차체 측에 설치되는 제어 장치(컨트롤러)에 전기 배선의 케이블(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해 접속된다.
차량의 주행 시에는, 노면의 요철 등으로 인해 상, 하 방향의 진동이 발생하면, 피스톤 로드(8)가 외통(2)으로부터 신장, 축소하도록 변위하여, 감쇠력 조정 기구(17) 등에 의해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차량의 진동을 완충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에 의해 솔레노이드(33)의 코일(34A)에의 전류치를 제어하여, 파일럿 밸브체(32)의 밸브개방압을 조정함으로써, 유압 완충기(1)의 발생 감쇠력을 가변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피스톤 로드(8)의 신장 행정 시에는, 내통(4) 안의 피스톤(5)이 이동함으로써 피스톤(5)의 축소 측 역지 밸브(7)가 닫힌다. 피스톤(5)의 디스크 밸브(6)의 밸브개방 전에는, 로드 측 오일실(B)의 오일액이 가압되고, 내통(4)의 오일 구멍(4A), 환상 오일실(D), 중간통(12)의 접속구(12C)를 통해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접속 관체(20)의 오일 유로(20B)에 유입된다. 이때, 피스톤(5)이 이동한 만큼의 오일액은, 리저버실(A)로부터 보텀 밸브(13)의 신장 측 역지 밸브(16)를 열어 보텀 측 오일실(C)로 유입된다. 또한, 로드 측 오일실(B)의 압력이 디스크 밸브(6)의 밸브개방압에 달하면, 상기 디스크 밸브(6)가 열려, 로드 측 오일실(B)의 압력을 보텀 측 오일실(C)로 릴리프한다.
감쇠력 조정 기구(17)에서는, 접속 관체(20)의 오일 유로(20B)에 유입된 오일액은, 메인 밸브(23)의 밸브개방 전(피스톤 속도 저속 영역)에는, 도 2에 화살표 X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밸브 부재(21)의 중심 구멍(21A), 파일럿 핀(24)의 중심 구멍(24B), 파일럿 보디(26)의 중심 구멍(26C)을 지나고, 파일럿 밸브체(32)를 밀어서 열어, 파일럿 보디(26) 내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파일럿 보디(26) 내측에 유입된 오일액은, 파일럿 밸브체(32)의 플랜지부(32A)와 디스크 밸브(29) 사이, 유지 플레이트(30)의 오일 유로(30A), 캡(31)의 절결(31A), 밸브 케이스(19)의 오일실(19C)을 지나 리저버실(A)로 흐른다. 피스톤 속도 상승에 동반하여, 접속 관체(20)의 오일 유로(20B)의 압력, 즉, 로드 측 오일실(B)의 압력이, 메인 밸브(23)의 밸브개방압에 달하면, 접속 관체(20)의 오일 유로(20B)에 유입된 오일액은, 도 2에 화살표 Y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밸브 부재(21)의 오일 유로(21B)를 지나고, 메인 밸브(23)를 밀어서 열어, 밸브 케이스(19)의 오일실(19C)을 지나 리저버실(A)로 흐른다.
한편, 피스톤 로드(8)의 축소 행정 시에는, 내통(4) 안의 피스톤(5)이 이동함으로써 피스톤(5)의 축소 측 역지 밸브(7)가 열리고, 보텀 밸브(13)의 신장 측 역지 밸브(16)가 닫힌다. 보텀 밸브(13)(디스크 밸브(15))의 밸브개방 전에는, 보텀 측 오일실(C)의 오일액이 로드 측 오일실(B)로 유입된다. 이와 함께, 피스톤 로드(8)가 내통(4) 안으로 침입한 만큼에 상당하는 오일액이, 로드 측 오일실(B)로부터 감쇠력 조정 밸브(18)를 통해 리저버실(A)로, 신장 행정 시와 같은 경로로 흐른다. 또한, 보텀 측 오일실(C) 안의 압력이 보텀 밸브(13)(디스크 밸브(15))의 밸브개방압에 달하면, 보텀 밸브(13)(디스크 밸브(15))가 열리고, 보텀 측 오일실(C)의 압력을 리저버실(A)로 릴리프한다.
이로써, 피스톤 로드(8)의 신장 행정 시와 축소 행정 시에,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메인 밸브(23)의 밸브개방 전에는, 파일럿 핀(24)의 오리피스(24C)와 파일럿 밸브체(32)의 밸브개방압에 의해서 감쇠력이 발생하고, 메인 밸브(23)의 밸브개방 후에는, 상기 메인 밸브(23)의 개방도에 따라서 감쇠력이 발생한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33)의 코일(34A)에의 통전에 의해서 파일럿 밸브체(32)의 밸브개방압을 조정함으로써, 피스톤 속도에 구속되지 않고 감쇠력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일(34A)에의 통전 전류를 작게 하여 아마추어(48)의 추력을 작게 하면, 파일럿 밸브체(32)의 밸브개방압이 저하하고, 소프트 측의 감쇠력이 발생한다. 한편, 코일(34A)에의 통전 전류를 크게 하여 아마추어(48)의 추력을 크게 하면, 파일럿 밸브체(32)의 밸브개방압이 상승하고, 하드 측의 감쇠력이 발생한다. 이때, 파일럿 밸브체(32)의 밸브개방압에 의해서, 그 상류 측의 오일 유로(25)를 통해 연통되는 배압실(27)의 내압이 변화된다. 이로써, 파일럿 밸브체(32)의 밸브개방압을 제어함으로써, 메인 밸브(23)의 밸브개방압을 동시에 조정할 수 있어, 감쇠력특성의 조정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코일(34A)의 단선 등으로 인해 아마추어(48)의 추력을 잃게 된 경우에는, 파일럿 밸브체(32)가 리턴 스프링(28)에 의해 후퇴(밸브 시트부(26E)로부터 떠나는 방향으로 변위)하여, 파일럿 밸브체(32)의 플랜지부(32A)와 디스크 밸브(29)가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는, 디스크 밸브(29)의 밸브개방압에 의해서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코일 단선 등의 고장이 있을 때에도 필요한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솔레노이드(33)의 실린더(44)는, 코일(34A)의 권회 축선 방향 일단 측의 외주(외주면)가 요크(39)(통형 돌기부(39C))의 내주(내주면)와 접합되고, 타단 측의 내주(내주면)가 하우징(36)(소직경 통부(36C))의 외주(외주면)와 접합된다. 이 때문에, 앵커(41)(측면부(41D))와 실린더(44) 사이의 요크를 없앨 수 있다. 이로써, 앵커(41)(오목부(41B), 즉, 원통형의 돌출부(41C))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고, 앵커(41)의 두께(보다 구체적으로는 앵커(41)의 돌출부(41C)의 두께)를 확보하면서, 아마추어(48)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솔레노이드(33)의 축 길이 단축을 도모하면서, 솔레노이드(33)(아마추어(48))의 추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실린더(44)와 앵커(41)를 접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들을 접합함으로 인한 앵커(41)의 돌출부(41C)의 붕괴(돌출부(41C)가 내경 측으로 넘어지는 것)를 억제할 수도 있다. 이로써, 이 면으로부터도 솔레노이드(33)(아마추어(48))의 추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린더(44)에 대직경부(돌출부)를 두지 않더라도 앵커(41)(돌출부(41C))와 실린더(44)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자기 포화를 억제하여, 추력 저하를 억제할 수 있음에 더하여, 실린더(44)의 형상을 간략화, 예컨대 실린더(44)를 단순한 원통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실린더(44)의 재료 비용 및 가공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44)에 대직경부(돌출부)를 둘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코일(34A)의 위치를 앵커(41) 측(하우징(36) 측과는 축 방향 반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솔레노이드(33)의 축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코일(34A)의 수납 영역은 감소하지 않기 때문에, 코일(34A)의 권회수나 저항치를 원하는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더구나, 실린더(44)를 단순한 원통 형상으로 함으로써, 특허문헌 1의 접합 부재의 내면에 형성된 내경 측 돌기, 즉, 하우징(코어(74))의 위치맞춤에 이용하는 내경 측 돌기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로써, 솔레노이드(33)의 설계 자유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어떻든간에, 실시형태에 의하면, 솔레노이드(33)의 축 길이 단축을 도모하면서, 솔레노이드(33)(아마추어(48))의 추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써, 감쇠력 조정 기구(17)의 소형화(축 길이 단축)를 도모하면서, 파일럿 밸브체(32)의 특성(밸브개방 특성), 메인 밸브(23)의 특성(밸브개방 특성), 나아가서는 유압 완충기(1)의 감쇠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우징(36)과 실린더(44)와 요크(39)를 각각 브레이징재를 통해 접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들 하우징(36)과 실린더(44)와 요크(39)를 밀봉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36)과 실린더(44)와 요크(39)를 압력 용기(밀봉 용기)로서 구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실린더(44)와 요크(39) 사이, 즉, 실린더(44)의 외주와 요크(39)의 내주(고정 구멍(39A)의 내면, 통형 돌기부(39C)의 내주면) 사이에 비접촉부(45)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비접촉부(45)에 브레이징재가 들어감으로써, 실린더(44)의 외주와 요크(39)의 내주(고정 구멍(39A)의 내면, 통형 돌기부(39C)의 내주면)의 브레이징재에 의한 접합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비접촉부(45) 이외의 부위는, 실린더(44)를 요크(39)(고정 구멍(39A), 통형 돌기부(39C)의 내측)에 압입하는 압입부(46)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실린더(44)와 요크(39)의 위치맞춤을 행할 수도 있다. 즉, 브레이징재를 흘려 넣는 간극과 위치맞춤을 양립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실린더(44)와 요크(39) 및 하우징(36)은, 선 팽창 계수가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린더(44)를 스테인리스강으로 하고, 하우징(36) 및 요크(39)를 기계 구조용 탄소강(S10C)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브레이징에 동반하여 실린더(44) 및 하우징(36)(소직경 통부(36C))의 온도가 상승했을 때에, 선 팽창 계수가 큰 스테인리스강의 실린더(44)가 하우징(36)(소직경 통부(36C))보다도 팽창하여, 실린더(44) 타단 측의 내주와 하우징(36)(소직경 통부(36C))의 외주 사이의 간극에 브레이징재를 모아 둘 수 있다. 이로써, 실린더(44)와 하우징(36)(소직경 통부(36C))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실린더(44) 일단 측의 외주와 요크(39)의 내주(고정 구멍(39A)의 내면, 통형 돌기부(39C)의 내주면) 사이에는 비접촉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브레이징에 동반하여 실린더(44) 및 요크(39)(통형 돌기부(39C))의 온도가 상승했을 때에, 선 팽창 계수가 큰 스테인리스강의 실린더(44)가 요크(39)(통형 돌기부(39C))보다도 팽창하는 경향이 되더라도, 실린더(44) 일단 측의 외주와 요크(39)의 내주(고정 구멍(39A)의 내면, 통형 돌기부(39C)의 내주면) 사이의 비접촉부(45)에 브레이징재를 모아 둘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요크(39)의 내주(고정 구멍(39A)의 내면, 통형 돌기부(39C)의 내주면)에 소직경 구멍부(39E)와 대직경 구멍부(39F)를 형성함으로써, 실린더(44)의 외주와 요크(39)의 내주(고정 구멍(39A)의 내면, 통형 돌기부(39C)의 내주면) 사이에 비접촉부(45)(및 압입부(46))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실린더(접합 부재)의 축 방향 일측의 단부(요크 측의 단부)에 외경 치수가 다른 부분보다도 큰 대직경부를 형성함으로써, 실린더(접합 부재) 외주와 요크 내주의 사이에 비접촉부(및 압입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실시형태에서는, 요크(39)의 내향 플랜지부(39D)의 측면(코일(34A) 측의 측면)에 실린더(44)의 축 방향 일측의 단부면이 맞닿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도 6에 도시하는 제1 변형예와 같이, 요크(39)의 고정 구멍(39A)에 대한 앵커(41)의 고정을, 요크(39)의 고정 구멍(39A)의 내향 플랜지부(61)에 앵커(41)의 환상 플랜지부(62)를 압입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면서, 또한 실린더(44)의 축 방향 일측의 단부면을 내향 플랜지부(61)와 환상 플랜지부(62) 양쪽에 맞닿게 하여도 좋다. 이 경우도, 실린더(44)의 내주면은, 앵커(41)의 측면부(41D)(환상 플랜지부(41E)를 제외한다)에 대하여 간극(직경 방향 간극)을 둔다. 이로써, 앵커(41) 돌출부(41C)의 붕괴(돌출부(41C)가 내경 측으로 넘어지는 것)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36)과 실린더(44) 및 실린더(44)와 요크(39)를, 브레이징재를 통해 접합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하우징(36)과 실린더(44) 및 실린더(44)와 요크(39)를 용접으로 접합하여도 좋다. 또한, 브레이징 및 용접을 생략하고, 감합(압입 감합)에 의한 접합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예컨대 도 7에 도시하는 제2 변형예와 같이, 하우징(36)과 실린더(44) 사이 및 실린더(44)와 요크(39) 사이에 각각, O-링(71, 72)을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하우징(36)과 실린더(44) 사이를 O-링(71)에 의해서 밀봉할 수 있고, 또한 실린더(44)와 요크(39) 사이를 O-링(72)에 의해서 밀봉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36)과 실린더(44)와 요크(39)를 압력 용기로서 구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실린더(44)를 단순한 원통체로 하여 형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이 경우는, 실린더(44)의 타단 측(하우징(36) 측)의 단부면(개구 단부면)과 하우징(36)의 소직경 통부(36C)의 기단 측의 단차면이 맞닿음으로써, 실린더(44)와 하우징(36)의 위치맞춤(축 방향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제3 변형예와 같이, 실린더(81)의 내측(내주)에 전체 둘레에 걸쳐(또는 부분적으로 복수 위치에) 내경 측으로 돌출하는 돌기(82)(위치 결정 돌기)를 두어도 좋다. 이 경우, 「돌기(82)」와 「하우징(36)의 소직경 통부(36C)의 선단 측(개구 측)의 단부면」이 맞닿음으로써, 실린더(81)와 하우징(36)의 위치맞춤(축 방향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제3 변형예에서는, 하우징(36)의 소직경 통부(36C)의 기단 측의 단차면(83), 즉, 실린더(81)의 타단 측(하우징(36) 측)의 단부면(개구 단부면)과 대향하는 단차면(83)을, 소직경 통부(36C)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이 경우, 이 단차면(83)과 실린더(81)의 타단 측(하우징(36) 측)의 단부면(개구 단부면) 사이는, 브레이징재를 수납하는 공간(간극)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예컨대 도 10에 도시하는 제4 변형예와 같이, 하우징(36)의 소직경 통부(36C)의 기단 측의 단차면(84), 즉, 실린더(81)의 타단 측(하우징(36) 측)의 단부면(개구 단부면)과 대향하는 단차면(84)을, 소직경 통부(36C)의 중심 축선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테이퍼면(원추면)으로 하여도 좋다.
즉, 단차면(84)은, 소직경 통부(36C)의 기단 측에서 축 방향 타측(하우징(36)의 덮개부(36B) 측)으로 진행할수록 외경 치수가 커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면(원추면)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도, 단차면(84)과 실린더(81)의 타단 측(하우징(36) 측)의 단부면(개구 단부면) 사이는, 브레이징재를 수납하는 공간(간극)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예컨대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하우징(36)의 소직경 통부(36C)의 기단 측의 단차면(91)을, 소직경 통부(36C)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92)(직교면)과, 이 평면(92)에 대하여 경사진 테이퍼면(93)(원추면)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평면(92)은, 실린더(44)의 타단 측(하우징(36) 측)의 단부면(개구 단부면)과 맞닿는다. 이로써, 실린더(44)와 하우징(36)의 위치맞춤(축 방향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테이퍼면(93)(원추면)과 실린더(44)의 타단 측(하우징(36) 측)의 단부면(개구 단부면) 사이는, 브레이징재를 수납하는 공간(간극)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실린더(44)와 요크(39)(통형 돌기부(39C)) 사이에 압입부(46) 및 비접촉부(45)를 두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도 11에 도시하는 제5 변형예와 같이, 실린더(44)와 요크(39)(통형 돌기부(39C)) 사이에 압입부(98)를 두고,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비접촉부(45)를 생략하여도 좋다. 이 경우, 압입부(98)를 구성하는 실린더(44)의 외주는, 다른 부분(예컨대 실린더(44)의 내주, 요크(39)의 고정 구멍(39A)의 내주)보다도 표면거칠기를 거칠게 한다. 즉, 제5 변형예에서는, 실린더(44)의 외주는, 표면거칠기가 다른 부분(예컨대 실린더(44)의 내주, 요크(39)의 고정 구멍(39A)의 내주)보다도 거칠게 되어 있다.
여기서, 실린더(44)의 외주는, 절삭 가공 공정 또는 연삭 가공 공정에 있어서, 가공물(실린더(44))의 회전 속도를 느리게, 또는 블레이드의 이송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표면거칠기를 거칠게 할 수 있다. 즉, 가공물(실린더(44))의 회전 속도를 느리게 함으로써 또는 블레이드의 이송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실린더(44)의 외주에 가공 홈의 산과 골짜기, 바꿔 말하면 요철(99)이 형성된다. 이로써, 실린더(44) 외주의 표면거칠기를 거칠게 할 수 있다. 표면거칠기는, 예컨대 면 조도(粗度) Ra 6.3(산술 평균 거칠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노(爐) 내(고온 시)에서, 실린더(44)의 외주와 요크(39)의 고정 구멍(39A)의 내주 사이에 간극을 확보할 수 있고, 그 간극에 브레이징재를 흘릴 수 있다. 절삭 가공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면 조도는 Ra 6.3이며, 감합에서 사용하는 면 조도는 최대라도 Ra 8.0이다. 예컨대 이 이상의 면 조도로 되면, 압입 하중이 과대하게 되어, 압입 불가로 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면 조도는 Ra 6.3부터 Ra 12.5가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지나치게 거칠다=공차 범위가 크다). 또한, 실린더(44) 외주의 표면거칠기를 거칠게 하기 위해서, 실린더(44)의 외주에 불균일한 작은 딤플 또는 세로 홈 등을 형성하여도 좋다. 즉, 실린더(44)의 외주와 요크(39)의 고정 구멍(39A)의 내주 사이(2 부재 사이)에, 브레이징재가 흐르는 간극을 형성할 수 있으면 되며, 이러한 간극을 형성할 수 있는 가공 방법을 채용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제5 변형예에서는, 실린더(44) 외주의 표면거칠기를 거칠게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요크(고정 구멍) 내주의 표면거칠기를 거칠게 하여도 좋다. 어느 경우나, 즉, 실린더의 외주를 거칠게 한 경우도, 요크의 내주를 거칠게 한 경우도, 실린더와 요크의 압입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고, 이들의 동축도(同軸度)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브레이징되는 부분의 길이도 길어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표면거칠기로서는, 일반적인 기계 가공의 면 조도가 되기 때문에, 가공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앵커(41)를 요크(39)의 고정 구멍(39A) 안에 압입에 의해 고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나사 등의 나사결합 수단, 코킹 수단 등을 이용하여, 고정자를 요크 안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은 제1 변형예 내지 제5 변형예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다.
실시형태에서는, 요크(39)에 타측 통부(39H)를 설치하고, 타측 통부(39H)의 선단 측(축 방향 타측)을 코킹부(39J)에 의해 커버 부재(51)의 외주 측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요크의 환상부와 타측 통부를 별체로 형성하고, 이 타측 통부를 커버 부재와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은 제1 변형예 내지 제5 변형예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다.
실시형태에서는, 솔레노이드(33)를 비례 솔레노이드로 하여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ON/OFF식 솔레노이드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것은 제1 내지 제5 변형예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다.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서는, 솔레노이드(33)를 유압 완충기(1)의 감쇠력 가변 액추에이터로서 이용하는 경우, 즉,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파일럿 밸브를 구성하는 파일럿 밸브체(32)를 솔레노이드(33)의 구동 대상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솔레노이드는, 예컨대 유압 회로에 이용하는 밸브 등의 각종 기계 장치에 삽입되는 액추에이터, 즉, 직선적으로 구동해야 할 구동 대상물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로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초한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로서, 예컨대 후술하는 양태로 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제1 양태로서는, 솔레노이드이며, 환상으로 휘감겨,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일단 측이 개구된 수납부가 마련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수납 부재와, 상기 수납부에,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가동자와, 상기 수납부의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의 개구를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수납부의 개구로부터 떠나는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의 외주로부터 연장되는 측면부가, 자성체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측면부 일부가 내주면과 대향하는 고정 구멍을 갖는 요크와,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 일단 측의 외주가 상기 요크의 내주와 접합되고, 타단 측의 내주가 상기 수납 부재의 외주와 접합되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접합 부재를 구비한다.
이 제1 양태에 의하면, 접합 부재는,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 일단 측의 외주가 요크의 내주와 접합되고, 타단 측의 내주가 수납 부재의 외주와 접합된다. 이 때문에, 고정자와 접합 부재 사이의 요크를 없앨 수 있다. 이로써, 고정자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고, 고정자의 두께(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자의 돌출부의 두께)를 확보하면서 가동자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솔레노이드의 축 길이 단축을 도모하면서, 솔레노이드(가동자)의 추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접합 부재와 고정자를 접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들을 접합함으로 인한 고정자 돌출부의 붕괴(돌출부가 내경 측으로 넘어지는 것)를 억제할 수도 있다. 이로써, 이러한 면에서도 솔레노이드(가동자)의 추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합 부재에 대직경부(돌출부)를 두지 않더라도 고정자와 접합 부재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자기 포화를 억제하여, 추력 저하를 억제할 수 있음에 더하여, 접합 부재의 형상을 간략화, 예컨대 단순한 원통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접합 부재의 재료 비용 및 가공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더욱이, 접합 부재에 대직경부(돌출부)를 둘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코일의 위치를 고정자 측(수납 부재 측과는 축 방향 반대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의 축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제2 양태로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와 상기 접합 부재 및 상기 접합 부재와 상기 요크는, 브레이징재를 통해 접합된다. 이 제2 양태에 의하면, 수납 부재와 접합 부재와 요크를 각각 브레이징재를 통해 접합함으로써, 이들 수납 부재와 접합 부재와 요크를 밀봉할 수 있다. 이로써, 수납 부재와 접합 부재와 요크를 압력 용기로서 구성할 수 있다.
제3 양태로서는,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접합 부재와 상기 요크는,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의 상기 수납 부재 측에, 상기 접합 부재의 외주와 상기 요크의 내주 사이가 비접촉으로 되는, 비접촉부가 형성된다. 이 제3 양태에 의하면, 비접촉부에 브레이징재가 들어감으로써, 접합 부재의 외주와 요크의 내주를 브레이징재에 의해 안정적으로 접합할 수 있다. 또한, 비접촉부 이외의 부위는, 요크와 접합 부재를 압입하는 압입부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접합 부재와 요크의 위치맞춤을 행할 수도 있다. 즉, 브레이징재를 흘려 넣는 간극과 위치맞춤을 양립시킬 수 있다.
제4 양태로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접합 부재와 상기 요크 및 상기 수납 부재는, 선 팽창 계수가 다른 재료로 형성된다. 이 제4 양태에 의하면, 예컨대 접합 부재를 스테인리스강으로 하고, 수납 부재를 기계 구조용 탄소강(S10C)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브레이징에 동반하여 접합 부재 및 수납 부재의 온도가 상승했을 때에, 선 팽창 계수가 큰 스테인리스강의 접합 부재가 수납 부재보다도 팽창하여, 접합 부재의 타단 측의 내주와 수납 부재의 외주 사이의 간극에 브레이징재를 모아 둘 수 있다. 이로써, 접합 부재와 수납 부재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양태로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와 상기 접합 부재 사이 및 상기 접합 부재와 상기 요크 사이에는, O-링이 배치된다. 이 제5 양태에 의하면, 수납 부재와 접합 부재 사이를 O-링에 의해서 밀봉할 수 있으며, 또한 접합 부재와 요크 사이를 O-링에 의해서 밀봉할 수 있다. 이로써, 수납 부재와 접합 부재와 요크를 압력 용기로서 구성할 수 있다.
제6 양태로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와 상기 접합 부재 및 상기 접합 부재와 상기 요크는, 용접으로 접합된다. 이 제6 양태에 의하면, 수납 부재와 접합 부재와 요크를 각각 용접으로 접합함으로써, 이들 수납 부재와 접합 부재와 요크를 밀봉할 수 있다. 이로써, 수납 부재와 접합 부재와 요크를 압력 용기로서 구성할 수 있다.
제7 양태로서는, 제1 양태 내지 제6 양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납부의 개구에 가까워질수록 외경이 축소되는, 직경 축소부를 갖는다. 이 제7 양태에 의하면, 직경 축소부에 의해 추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8 양태로서는, 제1 양태 내지 제7 양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접합 부재의 외주 또는 상기 요크의 내주는, 표면거칠기가 다른 부분보다도 거칠다. 이 제8 양태에 의하면, 접합 부재와 요크의 압입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고, 이들의 동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합 부재와 요크를 브레이징하는 경우에는, 브레이징되는 부분의 길이도 길어지고,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표면거칠기는 일반적인 기계 가공의 면 조도로 되기 때문에, 가공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제9 양태로서는, 감쇠력 조정 기구이며, 환상으로 휘감겨,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일단 측이 개구된 수납부가 마련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수납 부재와, 상기 수납부에,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의 이동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밸브와, 상기 수납부의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의 개구를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수납부의 개구로부터 떠나는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의 외주로부터 연장되는 측면부가, 자성체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측면부 일부가 내주면과 대향하는 고정 구멍을 갖는 요크와,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 일단 측의 외주가 상기 요크의 내주와 접합되고, 타단 측의 내주가 상기 수납 부재의 외주와 접합되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접합 부재를 구비한다.
이 제9 양태에 의하면, 제1 양태와 마찬가지로, 솔레노이드에 대응하는 부분의 축 길이 단축을 도모하면서, 솔레노이드(가동자)의 추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써, 감쇠력 조정 기구의 소형화(축 길이 단축)를 도모하면서, 제어 밸브 특성(예컨대 밸브개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0 양태로서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실린더 안의 상기 피스톤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조정 기구를 구비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이며, 상기 감쇠력 조정 기구는, 환상으로 휘감겨,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일단 측이 개구된 수납부가 마련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수납 부재와, 상기 수납부에,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의 이동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밸브와, 상기 수납부의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의 개구를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수납부의 개구로부터 떠나는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의 외주로부터 연장되는 측면부가, 자성체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측면부 일부가 내주면과 대향하는 고정 구멍을 갖는 요크와,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 일단 측의 외주가 상기 요크의 내주와 접합되고, 타단 측의 내주가 상기 수납 부재의 외주와 접합되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접합 부재를 구비한다.
이 제10 양태에 의하면, 제1 양태와 마찬가지로, 솔레노이드에 대응하는 부분의 축 길이 단축을 도모하면서, 솔레노이드(가동자)의 추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써, 감쇠력 조정 기구의 소형화(축 길이 단축)를 도모하면서, 제어 밸브 특성(예컨대 밸브개방 특성), 나아가서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의 감쇠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유압 완충기(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4: 내통(실린더)
5: 피스톤 8: 피스톤 로드
17: 감쇠력 조정 기구 32: 파일럿 밸브체(제어 밸브)
33: 솔레노이드 34A: 코일
36: 하우징(수납 부재) 36A: 수납 통부(수납부)
39: 요크 39A: 고정 구멍
41: 앵커(고정자) 41C: 돌출부
41C1: 직경 축소부 41D: 측면부
44, 81: 실린더(접합 부재) 48: 아마추어(가동자)
45: 비접촉부 71, 72: O-링.

Claims (10)

  1. 환상으로 휘감겨,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일단 측이 개구된 수납부가 마련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수납 부재와,
    상기 수납부에,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가동자와,
    상기 수납부의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의 개구를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수납부의 개구로부터 떠나는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의 외주로부터 연장되는 측면부가, 자성체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측면부 일부가 내주면과 대향하는 고정 구멍을 갖는 요크와,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 일단 측의 외주가 상기 요크의 내주와 접합되고, 타단 측의 내주가 상기 수납 부재의 외주와 접합되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접합 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와 상기 접합 부재 및 상기 접합 부재와 상기 요크는, 브레이징재를 통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부재와 상기 요크는,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의 상기 수납 부재 측에, 상기 접합 부재의 외주와 상기 요크의 내주 사이가 비접촉으로 되는, 비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부재와 상기 요크 및 상기 수납 부재는, 선 팽창 계수가 다른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와 상기 접합 부재 사이 및 상기 접합 부재와 상기 요크 사이에는, O-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와 상기 접합 부재 및 상기 접합 부재와 상기 요크는, 용접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납부의 개구에 가까워질수록 외경이 축소되는, 직경 축소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부재의 외주 또는 상기 요크의 내주는, 표면거칠기가 다른 부분보다도 거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9. 환상으로 휘감겨,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일단 측이 개구된 수납부가 마련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수납 부재와,
    상기 수납부에,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의 이동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밸브와,
    상기 수납부의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의 개구를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수납부의 개구로부터 떠나는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의 외주로부터 연장되는 측면부가, 자성체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측면부 일부가 내주면과 대향하는 고정 구멍을 갖는 요크와,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 일단 측의 외주가 상기 요크의 내주와 접합되고, 타단 측의 내주가 상기 수납 부재의 외주와 접합되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접합 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조정 기구.
  10.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외부로 연장되어 나오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실린더 안의 상기 피스톤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조정 기구를 구비하는 것인,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로서,
    상기 감쇠력 조정 기구는,
    환상으로 휘감겨,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일단 측이 개구된 수납부가 마련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수납 부재와,
    상기 수납부에,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의 이동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밸브와,
    상기 수납부의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의 개구를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수납부의 개구로부터 떠나는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의 외주로부터 연장되는 측면부가, 자성체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측면부 일부가 내주면과 대향하는 고정 구멍을 갖는 요크와,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 일단 측의 외주가 상기 요크의 내주와 접합되고, 타단 측의 내주가 상기 수납 부재의 외주와 접합되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접합 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KR1020237009237A 2020-09-30 2021-08-04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KR202300484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64781 2020-09-30
JP2020164781 2020-09-30
PCT/JP2021/028935 WO2022070602A1 (ja) 2020-09-30 2021-08-04 ソレノイド、減衰力調整機構および減衰力調整式緩衝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438A true KR20230048438A (ko) 2023-04-11

Family

ID=80951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9237A KR20230048438A (ko) 2020-09-30 2021-08-04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52226A1 (ko)
JP (1) JP7446462B2 (ko)
KR (1) KR20230048438A (ko)
CN (1) CN116324248A (ko)
DE (1) DE112021005169T5 (ko)
WO (1) WO202207060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1342A (ja) 2011-05-31 2013-01-17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緩衝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5433A (ja) * 2005-09-21 2007-04-05 Aisan Ind Co Ltd 流体用制御弁
JP2014073018A (ja) * 2012-09-28 2014-04-21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ソレノイド
WO2019130682A1 (ja) 2017-12-26 2019-07-0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およびソレノイ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1342A (ja) 2011-05-31 2013-01-17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緩衝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1005169T5 (de) 2023-08-24
JP7446462B2 (ja) 2024-03-08
WO2022070602A1 (ja) 2022-04-07
JPWO2022070602A1 (ko) 2022-04-07
US20230352226A1 (en) 2023-11-02
CN116324248A (zh)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6678B2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JP6440861B2 (ja) 緩衝器及び緩衝器の組立方法
US20230032430A1 (en) Solenoid, damping force adjustment mechanism, and damping force adjustable shock absorber
JP2007321863A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053967A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およびソレノイド
JP6719278B2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WO2022091632A1 (ja) ソレノイド、ソレノイドバルブ、緩衝器およびソレノイドの製造方法
KR20230048438A (ko)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JP7526870B2 (ja) ソレノイド、減衰力調整機構および減衰力調整式緩衝器
WO2023238543A1 (ja) ソレノイド、減衰力調整機構および減衰力調整式緩衝器
WO2022070879A1 (ja) ソレノイド、減衰力調整機構および減衰力調整式緩衝器
WO2023157503A1 (ja) ソレノイド、減衰力調整機構および減衰力調整式緩衝器
KR102691684B1 (ko)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JP2024003373A (ja) ソレノイド、減衰力調整機構および減衰力調整式緩衝器
JP2024048011A (ja) ソレノイド
JP2023172640A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および圧力制御弁
CN118715580A (zh) 螺线管、阻尼力调整机构以及阻尼力调整式缓冲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