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363A - 발광 디바이스,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디바이스,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363A
KR20230048363A KR1020237007537A KR20237007537A KR20230048363A KR 20230048363 A KR20230048363 A KR 20230048363A KR 1020237007537 A KR1020237007537 A KR 1020237007537A KR 20237007537 A KR20237007537 A KR 20237007537A KR 20230048363 A KR20230048363 A KR 20230048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layer
electron
transpor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7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 카와노
아이리 우에다
타케요시 와타베
노부하루 오사와
케이토 토수
하루에 오사카
사토시 세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230048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5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 C07D25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5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5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at least one ring carbon atom
    • C07D251/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at least one ring carbon atom to three ring carbon ato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09F9/3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be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10K71/13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 H10K71/135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using ink-jet prin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41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 H10K85/342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comprising iridiu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4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comprising only nitrogen as hetero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subpixels, e.g. red-green-blue-white [RGBW]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2Cathodes
    • H10K59/80524Transparent cathodes, e.g. comprising thin meta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발광 효율이 높고 저렴한 발광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양극과, 음극과,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EL층을 가지는 발광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EL층은 정공 수송 영역과, 발광층과, 전자 수송 영역을 가지고, 정공 수송 영역은 양극과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고, 전자 수송 영역은 음극과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고, 정공 수송 영역은 헤테로폴리산 및 π전자 과잉형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 또는 헤테로폴리산 및 π전자 과잉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을 가지고, 전자 수송 영역은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을 가지고,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은 파장 455nm 이상 465nm 이하의 광에서의 상광선 굴절률이 1.50 이상 1.75 이하이다.

Description

발광 디바이스,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유기 화합물, 발광 소자, 발광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모듈, 조명 모듈, 표시 장치, 발광 장치, 전자 기기, 조명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기술분야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등에서 개시(開示)하는 발명의 일 형태가 속하는 기술분야는 물건, 방법, 또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공정(process), 기계(machine), 제품(manufacture), 또는 조성물(composition of matter)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본 발명의 일 형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더 구체적인 예로서는 반도체 장치,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발광 장치, 조명 장치, 축전 장치, 기억 장치, 촬상 장치, 이들의 구동 방법, 또는 이들의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유기 화합물을 사용한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 Electroluminescence)를 이용하는 발광 디바이스(유기 EL 디바이스)의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들 발광 디바이스의 기본적인 구성은 한 쌍의 전극 사이에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층(EL층)을 끼운 것이다. 이 디바이스에 전압을 인가하여 캐리어를 주입하고, 상기 캐리어의 재결합 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발광 재료로부터의 발광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발광 디바이스는 자발광형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화소로서 사용하면 액정에 비하여 시인성이 높고, 백라이트가 불필요하다는 등의 이점이 있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는 특히 적합하다. 또한 이러한 발광 디바이스를 사용한 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볍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이점이다. 또한, 응답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것도 특징의 하나이다.
또한 이들 발광 디바이스는 발광층을 이차원으로 연속하여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면 발광을 얻을 수 있다. 이는, 백열전구 및 LED로 대표되는 점광원 또는 형광등으로 대표되는 선광원으로는 얻기 어려운 특색이기 때문에 조명 등에 응용할 수 있는 면광원으로서의 이용 가치도 높다.
이와 같이 발광 디바이스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및 조명 장치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합하지만, 더 양호한 특성을 가지는 발광 디바이스를 위하여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유기 EL 디바이스가 논의될 때 흔히 문제가 되는 점 중 하나에 광 추출 효율이 낮다는 점이 있다. 특히, 인접한 층의 굴절률의 차이로 일어나는 반사로 인한 감쇠는 발광 디바이스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큰 요인이 된다. 이 영향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EL층 내부에 저굴절률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하는 구성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제품화된 유기 EL 디바이스는 증착법으로 제조되는 경우가 많지만, 증착법은 재료 효율, 제조 분위기의 유지 등에 비용이 들기 때문에 습식 성막법을 적용함으로써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20/0176692호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발광 효율이 높은 발광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하나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소비 전력이 작은 발광 디바이스, 발광 장치, 전자 기기, 표시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 중 어느 것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하나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저렴한 발광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하나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저렴하며 발광 효율이 높은 발광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 중 어느 하나를 해결하면 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양극과, 음극과,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EL층을 가지고, EL층은 정공 수송 영역과, 발광층과, 전자 수송 영역을 가지고, 정공 수송 영역은 양극과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고, 전자 수송 영역은 음극과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고, 정공 수송 영역은 헤테로폴리산이 포함되는 바니시를 도포 및 소성함으로써 형성된 층을 가지고, 전자 수송 영역은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을 가지고,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의 파장 455nm 이상 465nm 이하의 광에서의 상광선 굴절률이 1.50 이상 1.75 이하인 발광 디바이스이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양극과, 음극과,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EL층을 가지고, EL층은 정공 수송 영역과, 발광층과, 전자 수송 영역을 가지고, 정공 수송 영역은 양극과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고, 전자 수송 영역은 음극과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고, 정공 수송 영역은 헤테로폴리산이 포함되는 바니시를 도포 및 소성함으로써 형성된 층을 가지고, 전자 수송 영역은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을 가지고,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의 파장 633nm의 광에 대한 상광선 굴절률이 1.45 이상 1.70 이하인 발광 디바이스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정공 수송 영역이 헤테로폴리산 및 π전자 과잉형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 또는 헤테로폴리산 및 π전자 과잉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이 포함되는 바니시를 도포 및 소성함으로써 형성된 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π전자 과잉형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 및 π전자 과잉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이 아릴아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양극과, 음극과,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EL층을 가지고, EL층은 정공 수송 영역과, 발광층과, 전자 수송 영역을 가지고, 정공 수송 영역은 양극과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고, 전자 수송 영역은 음극과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고, 정공 수송 영역은 헤테로폴리산을 가지고, 전자 수송 영역은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을 가지고,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은 파장 455nm 이상 465nm 이하의 광에서의 상광선 굴절률이 1.50 이상 1.75 이하인 발광 디바이스이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양극과, 음극과,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EL층을 가지고, EL층은 정공 수송 영역과, 발광층과, 전자 수송 영역을 가지고, 정공 수송 영역은 양극과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고, 전자 수송 영역은 음극과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고, 정공 수송 영역은 헤테로폴리산을 가지고, 전자 수송 영역은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을 가지고,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의 파장 633nm의 광에 대한 상광선 굴절률이 1.45 이상 1.70 이하인 발광 디바이스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정공 수송 영역이 헤테로폴리산 및 π전자 과잉형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 또는 헤테로폴리산 및 π전자 과잉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π전자 과잉형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 및 π전자 과잉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이 아릴아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정공 수송 영역이 헤테로폴리산 및 3급 아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헤테로폴리산이 인텅스텐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정공 수송 영역이 아릴설폰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발광층이 이리듐 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이리듐 착체가 녹색의 인광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발광층이 ToF-SIMS에 의한 포지티브 모드의 측정에서 m/z=1676 부근에 시그널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이리듐 착체가 하기 구조식(301)으로 나타내어지는 이리듐 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이 질소를 포함하는 6원자 고리의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적어도 하나, 벤젠 고리를 2개, 하나 또는 복수의 탄소수 6 내지 14의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 복수의 sp3 혼성 궤도로 결합을 형성하는 탄화수소기를 가지고, sp3 혼성 궤도로 결합을 형성하는 탄소의 총수가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의 분자 내의 총 탄소수의 10% 이상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자 수송 영역이 전자 수송층과 전자 주입층을 가지고, 전자 주입층이 음극에 접하여 제공되고, 전자 수송층이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자 수송층이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금속 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금속 착체가 8-퀴놀리놀레이토 구조를 포함하는 배위자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금속 착체가 리튬의 금속 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자 주입층이 ToF-SIMS에 의한 포지티브 모드 또는 네거티브 모드의 측정에서 m/z=587 부근에 시그널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자 주입층이 헤테로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헤테로 방향족 화합물이 2-페닐-9-[3-(9-페닐-1,10-페난트롤린-2-일)페닐]-1,10-페난트롤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자 주입층이 플루오린과 소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자 주입층이 바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를 복수로 가지고, 복수의 발광 디바이스가 적어도 적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디바이스와, 녹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적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디바이스의 발광층, 및 녹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디바이스의 발광층이 이리듐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적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디바이스 및 녹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디바이스의 각각으로부터 얻어지는 광이 모두 인광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복수의 발광 디바이스가 청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청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디바이스로부터 얻어지는 광이 형광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를 복수로 가지는 발광 장치이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광 장치를 가지는 표시 장치이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와, 센서와, 조작 버튼과, 스피커 또는 마이크로폰을 가지는 전자 기기이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와 하우징을 가지는 조명 장치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발광 장치는 발광 디바이스를 사용한 화상 표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발광 디바이스에 커넥터, 예를 들어 이방 도전성 필름 또는 TCP(Tape Carrier Package)가 장착된 모듈, TCP 끝에 인쇄 배선판이 제공된 모듈, 또는 발광 디바이스에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IC(집적 회로)가 직접 실장된 모듈도 발광 장치에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조명 기구 등은 발광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발광 효율이 높은 발광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소비 전력이 작은 발광 디바이스, 발광 장치, 전자 기기, 표시 장치, 또는 전자 디바이스 중 어느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서는 신규 유기 금속 착체(금속 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서는 구동 전압이 낮은 발광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서는 저굴절률의 전자 수송층을 가지며, 구동 전압이 낮은 발광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는 금속 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효과의 기재는 다른 효과의 존재를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들 효과 모두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또한 이들 외의 효과는 명세서, 도면, 청구항 등의 기재로부터 저절로 명백해지는 것이며, 명세서, 도면, 청구항 등의 기재에서 이들 외의 효과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의 (A) 내지 (D)는 발광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발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 및 (B)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발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발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는 패시브 매트릭스형 발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 및 (B)는 조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 (B1), (B2), 및 (C)는 전자 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 내지 (C)는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조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조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차량 탑재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의 (A) 및 (B)는 전자 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의 (A) 내지 (C)는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Li-6mq의 탈수 아세톤 용액에서의 흡수 스펙트럼 및 발광 스펙트럼이다.
도 15는 mmtBumBPTzn의 굴절률을 측정한 데이터이다.
도 16의 (A) 내지 (D)는 발광 디바이스의 제작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액적 토출 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8은 시료 1, 비교 시료 1, 및 비교 시료 2의 ESR 스펙트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시료 1의 자외 가시 흡수 스펙트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비교 시료 1의 자외 가시 흡수 스펙트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비교 시료 2의 자외 가시 흡수 스펙트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 및 그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그 형태 및 자세한 사항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디바이스는 양극(101)과, 음극(102)과, EL층(103)을 가지고, 상기 EL층(103)은 정공 수송 영역(120)과, 발광층(113)과, 전자 수송 영역(121)을 가진다.
정공 수송 영역(120)에는 정공 주입층(111) 및 정공 수송층(112)이, 전자 수송 영역(121)에는 전자 수송층(114) 및 전자 주입층(115)이 각각 도시되어 있지만, 각각 어느 한쪽이 제공되지 않아도 되고, 또한 다른 기능층이 제공되어 있어도 좋다. 다른 기능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캐리어 블록층, 여기자 블록층, 전하 발생층 등이 있다.
발광층(113)은 적어도 발광 재료를 가지고, 전자 수송 영역(121)은 적어도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을 가진다. 또한, 정공 수송 영역(120)은 적어도 일부에 습식 성막법으로 형성된 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정공 수송 영역(120)은 재료를 포함하는 잉크를 사용하여 잉크젯법으로 대표되는 습식 성막법으로 성막된 층을 가진다. 정공 수송 영역(120)은 정공 주입층(111), 정공 수송층(112), 전자 블록층 등 원하는 기능을 가지는 층을 단층으로 또는 복수로 적층함으로써 형성한다. 또한, 하나의 층이 하나의 기능을 하는 구성뿐만 아니라, 정공 주입 수송층과 같이 복수의 기능을 하는 층을 제공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정공 수송 영역(120)은 이름대로 양극(101)과 발광층(113) 사이에서 정공을 수송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정공 수송 영역(120)에는 정공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공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와 억셉터성을 나타내는 재료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정공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π전자 과잉형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 또는 π전자 과잉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π전자 과잉형 방향족 고리로서, 예를 들어 아릴아민 골격이 있다. 또한, π전자 과잉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로서, 싸이오펜 골격, 피롤 골격, 카바졸 골격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정공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로서는, 아릴아민 골격을 가지는 아릴아민, 싸이오펜 골격을 가지는 싸이오펜 유도체, 피롤 골격을 가지는 피롤 유도체, 또는 카바졸 골격을 가지는 카바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정공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는 저분자, 올리고머, 고분자 중 어느 것이어도 좋고,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도 1의 (A) 및 (B)에서는 정공 수송 영역(120)이 정공 주입층(111) 및 정공 수송층(112)의 2층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정공 주입층(111), 정공 주입 수송층 등, 양극(101)에 접하는 층을 습식 성막법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억셉터성을 나타내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헤테로폴리산(헤테로폴리옥소메타레이트, 금속 옥소산이라고도 함) 등이 있다. 헤테로폴리산은 습식법으로 간편하게 성막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고체 상태에서도 강산성을 나타내므로 바람직하다.
헤테로폴리산이란, 2종류 이상의 무기 산소산의 축합 또는 중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무기 산소산이다. 헤테로폴리산은 예를 들어 [XwMxOy]n-로 나타내어지고, X는 헤테로 원자를, M은 폴리 원자를, O는 산소를, w, x, y, 및 n은 각각 임의의 정수를 나타낸다. 헤테로폴리산의 헤테로 원자로서, 인(P), 실리콘(Si), 비소(As), 저마늄(Ge), 붕소(B)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헤테로폴리산의 골격 원자(폴리 원자라고도 함)로서, 예를 들어 텅스텐(W), 몰리브데넘(Mo), 바나듐(V), 나이오븀(Nb), 탄탈럼(Ta) 등이 있다. 또한, 골격 원자는 상술한 원소 중 1종류 또는 복수 종류를 가진다.
헤테로폴리산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인텅스텐산, 인몰리브데넘산, 인몰리브드텅스텐산, 인몰리브드바나듐산, 실리코텅스텐산, 실리코몰리브데넘산, 저마늄텅스텐산, 저마늄몰리브데넘산이나, 이들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정공 수송 영역(120)에 사용하는 헤테로폴리산으로서는, 인텅스텐산 또는 인몰리브데넘산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공 수송 영역(120)에 사용하는 헤테로폴리산은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특히 몰리브데넘, 텅스텐, 또는 바나듐을 포함하는 헤테로폴리산은, 강산성뿐만 아니라 산화력도 강하므로, π전자 과잉형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 또는 π전자 과잉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과 혼합하면, 캐리어가 발생하기 쉬워, 도전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인텅스텐산 또는 인몰리브데넘산이 저렴하고 다루기 쉬우므로 바람직하고, 인텅스텐산이 착색되기 어렵기 때문에 더 바람직하다.
헤테로폴리산의 일차 구조로서, Keggin형, Dawson형 등을 들 수 있다. Keggin형 인텅스텐산(H3PW12O40)의 구조를 이하에 나타낸다. 또한, 폴리음이온([PW12O40]3-)의 골격 구조를 나타내고, 카운터 양이온(결정수, 유기 분자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음)의 기재는 생략하였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도포하는 잉크로서는, 원하는 기능을 가지는 폴리머 재료, 저분자 재료, 또는 덴드리머 등의 재료를 그대로, 또는 용제로 분산 또는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면 좋다. 또한, 얻으려고 하는 폴리머 재료의 모노머를 1종류 또는 복수 종류 혼합된 잉크를 도포하고, 가열, 에너지광 조사 등에 의하여 도포한 후에 가교, 축합, 중합, 배위, 염 등의 결합을 형성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잉크에는 계면 활성제, 점도 조정용 물질 등, 다른 기능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모노머를 혼합한 잉크를 도포하는 경우, 상기 모노머로서는 2급 아릴아민과 헤테로폴리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급 아릴아민은 헤테로폴리산과 혼합함으로써 가교를 형성하고, 막질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캐리어를 생성하기 쉽고, 도전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모노머로서 사용하는 아릴아민에는 1급 아민, 2급 아민, 및 3급 아민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3급 아민이 더 바람직하다. 3급 아민은 2급 아민보다 전기 화학적, 광 화학적으로 안정적이기 때문에 3급 아민과 헤테로폴리산을 혼합하면 정공 수송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모노머로서 사용하는 아릴아민은 1종류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급 아민 및 2급 아민 모두를 사용하거나, 1급 아민 및 3급 아민 모두를 사용하거나, 또는 1급 아민 및 2급 아민 모두를 사용하는 등이 가능하다. 또한, 1급 아민, 2급 아민, 및 3급 아민 모두를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아릴아민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2의 π전자 과잉형 헤테로아릴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릴기로서는, 예를 들어 페닐기, 바이페닐기, 나프틸기, 플루오렌일기, 페난트렌일기, 안트릴기 등이 있다. 특히, 페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아릴아민의 용해성이 양호해져, 이의 원료비가 저렴해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π전자 과잉형 헤테로아릴기로서는, 카바졸 골격, 피롤 골격, 싸이오펜 골격, 퓨란 골격, 또는 이미다졸 골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릴아민은 상기 π전자 과잉형 헤테로아릴아민을 통하여 형성되는 결합을 복수로 가지면, 막질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결합을 많이 가지는,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아릴아민이 복수의 아민 골격을 가지는 경우, 그 아민 골격의 일부가 3급 아민, 2급 아민, 또는 1급 아민이어도 좋고, 3급 아민의 비율이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모두 3급 아민이면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므로 더 바람직하다. 아민 골격의 개수는 10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분자량은 10만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플루오린이 치환되어 있으면 플루오린이 치환된 화합물과의 상용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상술한 아릴아민 중 3급 아민으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Gam1)으로 나타내어지는 유기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다만, 상기 일반식(Gam1)에서, Ar1 내지 Ar3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이들은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Ar1 내지 Ar3이 치환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치환기가 다이아릴아미노기 또는 카바졸릴기가 복수 연결된 기이어도 좋다. 또한, 에터 결합, 설파이드 결합, 아민을 통한 결합을 가져도 좋고, 복수의 아릴기를 가지는 경우에 이들 결합을 통하면,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치환기로서 알킬기를 가지는 경우에도 에터 결합, 설파이드 결합, 아민을 통하여 결합하여도 좋다.
상기 일반식(Gam1)으로 나타내어지는 3급 아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하기 구조식(Am1-1) 내지 구조식(Am1-8)으로 나타내어지는 유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다만, 이들 3급 아민에 다른 정공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를 적절히 혼합하여도 좋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화학식 5]
Figure pct00005
또한, 상기 모노머로서 사용하는 아민으로서는 2급 아민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2급 아민으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Gam2)으로 나타내어지는 유기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다만, 상기 일반식(Gam2)에서, Ar11 내지 Ar13 중 하나 이상은 수소를 나타내고, 나머지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방향족 고리를 나타내고, Ar14 내지 Ar17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방향족 고리를 나타낸다. 또한, Ar12와 Ar16, Ar14와 Ar16, Ar11과 Ar14, Ar14와 Ar15, Ar15와 Ar17, Ar13과 Ar17은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p는 0 내지 1000의 정수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이다. 또한, 일반식(Gam2)으로 나타내어지는 유기 화합물의 분자량은 1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6 내지 14의 방향족 고리로서는 벤젠 고리, 비스벤젠 고리, 나프탈렌 고리, 플루오렌 고리, 페난트렌 고리, 안트라센 고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Gam2)으로 나타내어지는 2급 아민(NH기를 가짐)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하기 구조식(Am2-1) 내지 구조식(Am2-32)으로 나타내어지는 유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머로서 사용하는 경우, 헤테로폴리산 외에 혼합한 화합물이 플루오린화물이고, 하기 구조식(Am2-22) 내지 구조식(Am2-28) 및 구조식(Am2-31)과 같이 플루오린화물을 사용하면, 바니시 중에 플루오린화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용성이 향상되기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 기재된 바니시는 잉크로 환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 기재된 잉크는 바니시로 환언할 수 있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7
[0078]
[화학식 8]
Figure pct00008
[화학식 9]
Figure pct00009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또한, 정공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로서, 아릴아민 대신에 싸이오펜 유도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싸이오펜 유도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하기 구조식(T-1) 내지 구조식(T-4)으로 나타내어지는 유기 화합물 외에, 폴리싸이오펜, 폴리(3,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PEDOT) 등이 바람직하다. 싸이오펜 유도체는 헤테로폴리산과 혼합함으로써, 캐리어가 발생하기 쉬워, 도전성이 향상된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12
상기 정공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 및 헤테로폴리산에 더하여, 헤테로폴리산 이외의 억셉터성을 나타내는 재료가 동시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상기 억셉터성을 나타내는 재료로서는 설폰산 화합물, 플루오린 화합물, 트라이플루오로 아세트산 화합물, 프로피온산 화합물, 또는 금속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설폰산 화합물로서는 아릴설폰산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아릴설폰산으로서는, 설포기를 가지고 있으면 좋고, 설폰산 또는 설폰산염, 알콕시설폰산, 설폰산 할라이드, 설폰산 음이온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설포기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설포기를 복수로 가져도 좋다. 또한, 아릴설폰산의 아릴기로서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6의 아릴기를 사용할 수 있다. 아릴기로서, 예를 들어 페닐기, 바이페닐기, 나프틸기, 플루오렌일기, 페난트렌일기, 안트릴기, 피렌일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나프틸기가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성과 수송성이 좋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아릴설폰산은 복수의 아릴기를 가져도 좋고, 플루오린이 치환된 아릴기가 있으면, LUMO 준위를 깊게(마이너스로 크게) 조절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에터 결합, 설파이드 결합, 아민을 통한 결합을 가져도 좋고, 복수의 아릴기를 가지는 경우에 이들 결합을 통하면,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치환기로서 알킬기를 가지는 경우에도 에터 결합, 설파이드 결합, 아민을 통하여 결합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아릴설폰산은 폴리머에 복수로 치환되어도 좋다. 폴리머로서는 폴리에틸렌, 나일론, 폴리스타이렌, 폴리플루오렌일렌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폴리스타이렌 또는 폴리플루오렌일렌은 도전성이 좋으므로 바람직하다.
아릴설폰산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구조식(S-1) 내지 구조식(S-15)으로 나타내어지는 유기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폴리(4-스타이렌설폰산)(PSS) 등의 설포기를 가지는 폴리머도 사용할 수 있다. 아릴설폰산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HOMO 준위가 얕은 전자 공여체(아민 화합물, 카바졸 화합물, 싸이오펜 화합물 등)로부터의 전자를 수용할 수 있어, 전자 공여체와 혼합함으로써 전극으로부터의 정공 주입이나 정공 수송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플루오린 화합물로 함으로써, LUMO 준위를 더 깊게(더 마이너스의 에너지 준위를 가지게) 조절할 수 있다.
[화학식 13]
Figure pct00013
[화학식 14]
Figure pct00014
[화학식 15]
Figure pct00015
아릴설폰산 화합물 외에, 전자 수용체로서 테트라사이아노퀴노다이메테인 화합물 등 사이아노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2,3,5,6-테트라플루오로-7,7,8,8-테트라사이아노-퀴노다이메테인(F4TCNQ), 다이피라지노[2,3-f:2',3'-h]퀴녹살린-2,3,6,7,10,11-헥사카보나이트릴(HAT-CN6)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머를 혼합한 잉크에는 3,3,3-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화합물 및 페닐트라이메톡시실레인 화합물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포함되어 있으면, 습식으로 성막한 경우에 젖음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여기서, 액적 토출법을 사용하여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786)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1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6의 (A) 내지 (D)는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786)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우선, 평탄화 절연막(770) 위에 도전막(772)이 형성되고, 도전막(772)의 일부를 덮도록 절연막(730)이 형성된다(도 16의 (A) 참조).
다음으로, 절연막(730)의 개구인 도전막(772)의 노출 부분에 액적 토출 장치(783)에서 액적(784)을 토출하여,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785)을 형성한다. 액적(784)은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이고, 도전막(772) 위에 부착된다(도 16의 (B) 참조).
또한 액적(784)을 토출하는 공정을 감압하에서 수행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785)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고, 고체화함으로써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786)을 형성한다(도 16의 (C) 참조).
또한 용매의 제거 방법으로서는 건조 공정 또는 가열 공정을 수행하면 좋다.
다음으로,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786) 위에 도전막(788)을 형성하고, 발광 소자(782)를 형성한다(도 16의 (D) 참조).
이와 같이,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786)을 액적 토출법으로 형성하면 선택적으로 조성물을 토출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의 낭비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형상을 가공하기 위한 리소그래피 공정 등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어 저비용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액적 토출법이란, 조성물의 토출구를 가지는 노즐,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노즐을 가지는 헤드 등 액적을 토출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의 총칭으로 한다.
다음으로, 액적 토출법에 사용하는 액적 토출 장치에 대하여 도 1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액적 토출 장치(1400)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액적 토출 장치(1400)는 액적 토출 수단(1403)을 가진다. 또한 액적 토출 수단(1403)은 헤드(1405)와, 헤드(1412)와, 헤드(1416)를 가진다.
헤드(1405), 헤드(1412), 및 헤드(1416)는 제어 수단(1407)에 접속되고, 이를 컴퓨터(1410)로 제어함으로써 미리 프로그래밍된 패턴을 묘화할 수 있다.
또한 묘화하는 타이밍으로서는, 예를 들어 기판(1402) 위에 형성된 마커(1411)를 기준으로 수행하면 좋다. 또는 기판(1402)의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하여 기준점을 확정시켜도 좋다. 여기서는, 마커(1411)를 촬상 수단(1404)으로 검출하고 화상 처리 수단(1409)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것을 컴퓨터(1410)로 인식한 후,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 수단(1407)으로 보낸다.
촬상 수단(1404)으로서는 전하 결합 소자(CCD) 또는 상보형 금속-산화물-반도체(CMOS)를 이용한 이미지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판(1402) 위에 형성될 패턴의 정보는 기억 매체(1408)에 저장된 것이고, 이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 수단(1407)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액적 토출 수단(1403)의 헤드(1405), 헤드(1412), 헤드(1416)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토출되는 재료는 재료 공급원(1413), 재료 공급원(1414), 및 재료 공급원(1415)으로부터 배관을 통하여 헤드(1405), 헤드(1412), 및 헤드(1416)에 각각 공급된다.
헤드(1405), 헤드(1412), 헤드(1416) 내부는 점선(140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상의 재료를 충전하는 공간과, 토출구인 노즐을 가지는 구조가 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헤드(1412)도 헤드(1405)와 같은 내부 구조를 가진다. 헤드(1405) 및 헤드(1412)의 노즐을 상이한 크기로 하면, 상이한 재료를 상이한 폭으로 동시에 묘화할 수 있다. 하나의 헤드로 복수 종류의 발광 재료 등을 각각 토출하여 묘화할 수 있고, 넓은 범위에 묘화하는 경우에는, 스루풋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노즐로부터 같은 재료를 동시에 토출하여 묘화할 수 있다. 대형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헤드(1405), 헤드(1412), 헤드(1416)는 기판 위를 도 17 중에 나타낸 X, Y, Z의 화살표 방향으로 자유로이 주사하고, 묘화하는 영역을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고, 같은 패턴을 한 장의 기판에 복수 묘화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을 토출하는 공정을 감압하에서 수행하여도 좋다. 토출 시에 기판을 가열해 두어도 좋다. 조성물을 토출한 후, 건조 및 소성 중 한쪽 또는 양쪽 공정을 수행한다. 건조 공정과 소성 공정은 양쪽 모두 가열 처리 공정이지만, 그 목적, 온도, 시간이 상이하다. 건조 공정, 소성 공정은 상압하 또는 감압하, 대기 중 또는 질소 등의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레이저 광 조사, 순간 열 어닐링, 가열로를 사용한 가열 등에 의하여 수행한다. 또한 이 가열 처리를 수행하는 타이밍, 가열 처리 횟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건조 공정과 소성 공정을 양호하게 수행하기 위한 온도는 기판의 재질 및 조성물의 성질에 의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적 토출 장치를 사용하여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786)을 제작할 수 있다.
액적 토출 장치를 사용하여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층(786)을 제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각종 유기 재료나 유기 무기 할로젠 페로브스카이트류를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조성물로서 습식법으로 형성하는 경우, 다양한 유기 용제를 사용하여 도포용 조성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기 용제로서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 메시틸렌,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세인, 에탄올, 메탄올, n-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n-뷰탄올, t-뷰탄올, 아세토나이트릴,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다이메틸폼아마이드, 클로로폼, 메틸렌클로라이드, 사염화 탄소, 아세트산 에틸, 헥세인, 사이클로헥세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벤젠, 톨루엔, 자일렌, 메시틸렌 등의 저극성 벤젠 유도체를 사용함으로써, 적합한 농도의 용액을 만들 수 있으며, 액적 중에 포함되는 재료가 산화 등으로 인하여 열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제작 후의 막의 균일성이나 막 두께의 균일성 등을 고려하면 끓는점이 10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톨루엔, 자일렌, 메시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은 다른 실시형태 및 본 실시형태 중의 다른 구성과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디바이스에서의 전자 수송 영역(121)에 포함되는,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은 파장 455nm 이상 465nm 이하의 범위에서의 어느 파장(λB)의 광에 대한 상광선 굴절률이 1.50 이상 1.75 이하 또는 파장 633nm의 광에 대한 상광선 굴절률이 1.45 이상 1.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 등, 본 명세서 중에서의 굴절률은 상기 재료의 박막을 측정함으로써 결정하지만, 이와 같은 박막에 있어서 재료에 이방성이 발생되는 경우, 상광선에 대한 굴절률과 이상광선에 대한 굴절률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측정하는 박막이 이러한 상태에 있는 경우, 이방성 해석을 실시함으로써, 상광선 굴절률과 이상광선 굴절률로 분리하여 각 굴절률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측정한 재료에 상광선 굴절률과 이상광선 굴절률의 양쪽이 존재한 경우, 상광선 굴절률을 지표로서 사용한다.
전자 수송 영역(121)에는 이와 같은 재료가 포함되기 때문에 굴절률이 낮은 층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EL층 내부에 굴절률이 낮은 층을 제공함으로써, 광의 추출 효율이 향상되어, 발광 효율이 높은 발광 디바이스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광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유기 화합물의 굴절률은 1.8 내지 1.9 정도이고,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디바이스는 굴절률이 낮은 층을 가지는 전자 수송 영역(121)이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 효율이 양호한 발광 디바이스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디바이스가 청색 발광 디바이스인 경우, 전자 수송 영역(121)은 λB의 광에 대한 상광선 굴절률이 1.50 이상 1.75 미만,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1.70 미만인 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 수송 영역에 포함되는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은 λB의 광에 대한 상광선 굴절률이 1.50 이상 1.7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이상 1.7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원리적으로 굴절률은 단파장 측이 크고 장파장 측이 작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전자 수송층(114)에 사용되는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의 633nm의 파장의 광에 대한 상광선 굴절률은 1.45 이상 1.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은 알킬기 또는 사이클로알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이 알킬기 또는 사이클로알킬기를 가짐으로써, 굴절률을 저하시킬 수 있어 굴절률이 낮은 전자 수송층(114)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이 가지는 알킬기는 분지를 가지는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3 또는 4의 알킬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특히 tert-뷰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은 하나 이상 3개 이하의 질소를 포함하는 6원자 고리의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적어도 하나 가지고, 고리를 형성하는 탄소수 6 내지 14의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를 복수로 가지고, 복수의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 중 적어도 2개는 벤젠 고리이고, sp3 혼성 궤도로 결합을 형성하는 탄화수소기를 복수로 가지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유기 화합물은 sp3 혼성 궤도로 결합을 형성하는 탄소의 총수가 상기 유기 화합물의 분자 내의 총 탄소수의 10% 이상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유기 화합물의 분자 내의 총 탄소수의 10% 이상 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상기 유기 화합물의 분자 내의 총 탄소수에 대한 sp3 혼성 궤도로 결합을 형성하는 탄소수의 비율이 10% 이상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 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는 이와 같은 유기 화합물은 1H-NMR로 상기 유기 화합물을 측정한 결과에서 4ppm 미만의 시그널의 적분값이 4ppm 이상의 시그널의 적분값의 1/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기 화합물에서 sp3 혼성 궤도로 결합을 형성하는 모든 탄화수소기는, 상기 고리를 형성하는 탄소수 6 내지 14의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에 결합되고, 그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에는 상기 유기 화합물의 LUMO가 분포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은 전자 수송 영역(121) 내의 전자 수송층(114)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Ge11)으로 나타내어지는 유기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6]
Figure pct00016
식 중에서 A는 하나 이상 3개 이하의 질소를 포함하는 6원자 고리의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나타내고, 피리딘 고리, 피리미딘 고리, 피라진 고리, 피리다진 고리, 트라이아진 고리 중 어느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200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0의 지환식기, 및 상기 일반식(Ge11-1)으로 나타내어지는 치환기 중 어느 것을 나타낸다.
R201 내지 R215 중 적어도 하나는 치환기를 가지는 페닐기이고, 나머지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0의 지환식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고리를 형성하는 탄소수 6 내지 14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딜기 중 어느 것을 나타낸다. 또한 R201, R203, R205, R206, R208, R210, R211, R213, 및 R215는 수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환기를 가지는 페닐기는 하나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상기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0의 지환식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고리를 형성하는 탄소수 6 내지 14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중 어느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일반식(Ge11)으로 나타내어지는 유기 화합물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및 탄소수 3 내지 10의 지환식기에서 선택되는 탄화수소기를 복수로 가지고, 분자 내의 총 탄소수에 대한 sp3 혼성 궤도로 결합을 형성하는 총 탄소수의 비율은 10% 이상 60% 이하이다.
또한 상기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Ge12)으로 나타내어지는 유기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7]
Figure pct00017
식 중에서, Q1 내지 Q3 중 2개 또는 3개는 N을 나타내고, 상기 Q1 내지 Q3 중 2개가 N인 경우, 나머지 하나는 CH를 나타낸다.
또한, R201 내지 R215 중 적어도 하나는 치환기를 가지는 페닐기이고, 나머지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0의 지환식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고리를 형성하는 탄소수 6 내지 14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리딜기 중 어느 것을 나타낸다. 또한 R201, R203, R205, R206, R208, R210, R211, R213, 및 R215는 수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환기를 가지는 페닐기는 하나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상기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0의 지환식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고리를 형성하는 탄소수 6 내지 14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중 어느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일반식(Ge12)으로 나타내어지는 유기 화합물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및 탄소수 3 내지 10의 지환식기 중에서 선택되는 탄화수소기를 복수로 가지고, 분자 내의 총탄소수에 대한 sp3 혼성 궤도로 결합을 형성하는 탄소수의 비율은 10% 이상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반식(Ge11) 또는 일반식(Ge12)으로 나타내어지는 유기 화합물에서, 치환기를 가지는 페닐기가 하기 일반식(Ge11-2)으로 나타내어지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8]
Figure pct00018
식 중에서, α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렌기를 나타내고, 메타 위치에서 치환된 페닐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 위치에서 치환된 페닐렌기가 하나의 치환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치환기도 메타 위치에서 치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치환기로서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10의 지환식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tert-뷰틸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20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0의 지환식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고리를 형성하는 탄소수 6 내지 14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또한, m 및 n은 1 또는 2를 나타낸다. 또한, m이 2인 경우, 복수의 α는 각각 같아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다. 또한, n이 2인 경우, 복수의 R20은 각각 같아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다. 또한, R20은 페닐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R20의 2개의 메타 위치 중 한쪽 또는 양쪽이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10의 지환식기를 가지는 페닐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페닐기가 2개의 메타 위치 중 한쪽 또는 양쪽에 가지는 치환기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tert-뷰틸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디바이스에 있어서는, 전자 수송 영역(121)의 전자 수송층(114)에서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에 더하여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금속 착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금속 착체로서는 리튬의 금속 착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금속 착체로서는 8-퀴놀리놀레이토 구조를 포함하는 배위자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금속 착체로서는, 예를 들어 8-퀴놀리놀레이토-리튬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8-퀴놀리놀레이토 구조를 포함하는 배위자는 알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8-퀴놀리놀레이토 구조를 포함하는 배위자를 가지는 리튬 착체가 알킬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착체가 가지는 알킬기는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칼리 금속의 금속 착체가 가지는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3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기를 가지는 8-퀴놀리놀레이토-리튬은 굴절률이 낮은 금속 착체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박막 상태에서의 455nm 이상 465nm 이하의 범위의 파장의 광에서의 상광선 굴절률을 1.45 이상 1.70 이하, 633nm의 파장의 광에 대한 상광선 굴절률을 1.40 이상 1.65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특히 6위치에 알킬기를 가지는 6-알킬-8-퀴놀리놀레이토-리튬을 사용함으로써, 발광 디바이스의 구동 전압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6-알킬-8-퀴놀리놀레이토-리튬 중에서도, 6-메틸-8-퀴놀리놀레이토-리튬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6-알킬-8-퀴놀리놀레이토-리튬은 하기 일반식(Giq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9]
Figure pct00019
다만, 상기 일반식(Giq1)에서, R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일반식(Giq1)으로 나타내어지는 금속 착체에 있어서, 더 바람직한 형태는 하기 구조식(100)으로 나타내어지는 금속 착체이다.
[화학식 20]
Figure pct00020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디바이스에서의 전자 수송층(114)에 사용되는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탄소수 3 또는 4의 알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은 상기 알킬기를 복수로 가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분자 내의 알킬기의 수가 지나치게 많으면 캐리어 수송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에서 sp3 혼성 궤도로 결합을 형성하는 탄소의 비율은 상기 유기 화합물의 총 탄소수에 대하여 10% 이상 6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이상 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은 전자 수송성이 크게 저하시키지 않고 낮은 굴절률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유기 화합물을 1H-NMR(프로톤 핵자기 공명)로 측정을 수행하면, 4ppm 미만의 시그널의 적분값이 4ppm 이상의 시그널의 적분값을 웃도는 결과가 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알킬기 또는 사이클로알킬기의 존재는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과 알칼리 금속의 금속 착체의 상호 작용(도킹(docking)이라고도 함)을 저해하므로, 구동 전압이 상승될 것으로 생각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디바이스는 구동 전압이 크게 상승되면 전자 수송 영역(121)에 굴절률이 낮은 층을 가지는 발광 효율이 양호한 발광 디바이스로 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디바이스의 다른 구조 및 재료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디바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극(101)과 음극(102)의 한 쌍의 전극 사이에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EL층(103)을 가지고, 상기 EL층(103)은 발광 재료를 가지는 발광층(113)과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정공 수송 영역(120) 및 전자 수송 영역(121)을 가진다.
양극(101)은 일함수가 큰(구체적으로는 4.0eV 이상) 금속, 합금, 도전성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산화 인듐-산화 주석(ITO: Indium Tin Oxide), 실리콘 또는 산화 실리콘을 함유한 산화 인듐-산화 주석, 산화 인듐-산화 아연, 산화 텅스텐 및 산화 아연을 함유한 산화 인듐(IWZO) 등이 있다. 이들 도전성 금속 산화물막은 일반적으로 스퍼터링법으로 성막되지만, 졸겔법 등을 응용하여 제작되어도 좋다. 제작 방법의 예로서는 산화 인듐에 대하여 1wt% 내지 20wt%의 산화 아연이 첨가된 타깃을 사용한 스퍼터링법으로 산화 인듐-산화 아연을 형성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산화 인듐에 대하여 산화 텅스텐이 0.5wt% 내지 5wt%, 산화 아연이 0.1wt% 내지 1wt% 함유된 타깃을 사용한 스퍼터링법으로 산화 텅스텐 및 산화 아연이 함유된 산화 인듐(IWZO)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외에, 양극(101)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금(Au), 백금(Pt), 니켈(Ni), 텅스텐(W), 크로뮴(Cr), 몰리브데넘(Mo), 철(Fe), 코발트(Co), 구리(Cu), 팔라듐(Pd), 또는 금속 재료의 질화물(예를 들어, 질화 타이타늄) 등이 있다. 또는, 양극(101)에 사용되는 재료로서, 그래핀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는 복합 재료를 EL층(103)에서 양극(101)과 접하는 층에 사용함으로써 일함수에 상관없이 전극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양극(101)을 가시광에 대하여 투과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한 경우, 도 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극 측으로부터 광을 발하는 발광 디바이스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광 디바이스는 양극(101)을 기판 측에 제작한 경우, 소위 보텀 이미션형 발광 디바이스로 할 수 있다.
EL층(103)은 적층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적층 구조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캐리어 블록층(정공 블록층, 전자 블록층), 여기자 블록층, 전하 발생층 등 다양한 층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어느 층이 제공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층(113) 외에 정공 수송 영역(120)에 정공 주입층(111) 및 정공 수송층(112)을 가지고, 전자 수송 영역(121)에 전자 수송층(114) 및 전자 주입층(115)을 가지는 구성, 및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의 (A)의 전자 주입층(115) 대신에 전하 발생층(116)을 가지는 구성의 2종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층을 구성하는 재료에 대하여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발광층(113)은 발광 물질과 호스트 재료를 포함한다. 또한 발광층(113)은 그 외의 재료를 동시에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조성이 상이한 복수의 층의 적층이어도 좋다.
발광 물질은 형광 발광 물질이어도 좋고, 인광 발광 물질이어도 좋고, 열 활성화 지연 형광(TADF)을 나타내는 물질이어도 좋고, 그 외의 발광 물질이어도 좋다.
발광층(113)에서 형광 발광 물질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재료의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외의 형광 발광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5,6-비스[4-(10-페닐-9-안트릴)페닐]-2,2'-바이피리딘(약칭: PAP2BPy), 5,6-비스[4'-(10-페닐-9-안트릴)바이페닐-4-일]-2,2'-바이피리딘(약칭: PAPP2BPy), N,N'-다이페닐-N,N'-비스[4-(9-페닐-9H-플루오렌-9-일)페닐]피렌-1,6-다이아민(약칭: 1,6FLPAPrn), N,N'-비스(3-메틸페닐)-N,N'-비스[3-(9-페닐-9H-플루오렌-9-일)페닐]피렌-1,6-다이아민(약칭: 1,6mMemFLPAPrn), N,N'-비스[4-(9H-카바졸-9-일)페닐]-N,N'-다이페닐스틸벤-4,4'-다이아민(약칭: YGA2S), 4-(9H-카바졸-9-일)-4'-(10-페닐-9-안트릴)트라이페닐아민(약칭: YGAPA), 4-(9H-카바졸-9-일)-4'-(9,10-다이페닐-2-안트릴)트라이페닐아민(약칭: 2YGAPPA), N,9-다이페닐-N-[4-(10-페닐-9-안트릴)페닐]-9H-카바졸-3-아민(약칭: PCAPA), 페릴렌, 2,5,8,11-테트라-tert-뷰틸페릴렌(약칭: TBP), 4-(10-페닐-9-안트릴)-4'-(9-페닐-9H-카바졸-3-일)트라이페닐아민(약칭: PCBAPA), N,N''-(2-tert-뷰틸안트라센-9,10-다이일다이-4,1-페닐렌)비스[N,N',N'-트라이페닐-1,4-페닐렌다이아민](약칭: DPABPA), N,9-다이페닐-N-[4-(9,10-다이페닐-2-안트릴)페닐]-9H-카바졸-3-아민(약칭: 2PCAPPA), N-[4-(9,10-다이페닐-2-안트릴)페닐]-N,N',N'-트라이페닐-1,4-페닐렌다이아민(약칭: 2DPAPPA), N,N,N',N',N'',N'',N''',N'''-옥타페닐다이벤조[g,p]크리센-2,7,10,15-테트라아민(약칭: DBC1), 쿠마린30, N-(9,10-다이페닐-2-안트릴)-N,9-다이페닐-9H-카바졸-3-아민(약칭: 2PCAPA), N-[9,10-비스(1,1'-바이페닐-2-일)-2-안트릴]-N,9-다이페닐-9H-카바졸-3-아민(약칭: 2PCABPhA), N-(9,10-다이페닐-2-안트릴)-N,N',N'-트라이페닐-1,4-페닐렌다이아민(약칭: 2DPAPA), N-[9,10-비스(1,1'-바이페닐-2-일)-2-안트릴]-N,N',N'-트라이페닐-1,4-페닐렌다이아민(약칭: 2DPABPhA), 9,10-비스(1,1'-바이페닐-2-일)-N-[4-(9H-카바졸-9-일)페닐]-N-페닐안트라센-2-아민(약칭: 2YGABPhA), N,N,9-트라이페닐안트라센-9-아민(약칭: DPhAPhA), 쿠마린545T, N,N'-다이페닐퀴나크리돈(약칭: DPQd), 루브렌, 5,12-비스(1,1'-바이페닐-4-일)-6,11-다이페닐테트라센(약칭: BPT), 2-(2-{2-[4-(다이메틸아미노)페닐]에텐일}-6-메틸-4H-피란-4-일리덴)프로페인다이나이트릴(약칭: DCM1), 2-{2-메틸-6-[2-(2,3,6,7-테트라하이드로-1H,5H-벤조[ij]퀴놀리진-9-일)에텐일]-4H-피란-4-일리덴}프로페인다이나이트릴(약칭: DCM2), N,N,N',N'-테트라키스(4-메틸페닐)테트라센-5,11-다이아민(약칭: p-mPhTD), 7,14-다이페닐-N,N,N',N'-테트라키스(4-메틸페닐)아세나프토[1,2-a]플루오란텐-3,10-다이아민(약칭: p-mPhAFD), 2-{2-아이소프로필-6-[2-(1,1,7,7-테트라메틸-2,3,6,7-테트라하이드로-1H,5H-벤조[ij]퀴놀리진-9-일)에텐일]-4H-피란-4-일리덴}프로페인다이나이트릴(약칭: DCJTI), 2-{2-tert-뷰틸-6-[2-(1,1,7,7-테트라메틸-2,3,6,7-테트라하이드로-1H,5H-벤조[ij]퀴놀리진-9-일)에텐일]-4H-피란-4-일리덴}프로페인다이나이트릴(약칭: DCJTB), 2-(2,6-비스{2-[4-(다이메틸아미노)페닐]에텐일}-4H-피란-4-일리덴)프로페인다이나이트릴(약칭: BisDCM), 2-{2,6-비스[2-(8-메톡시-1,1,7,7-테트라메틸-2,3,6,7-테트라하이드로-1H,5H-벤조[ij]퀴놀리진-9-일)에텐일]-4H-피란-4-일리덴}프로페인다이나이트릴(약칭: BisDCJTM), N,N'-다이페닐-N,N'-(1,6-피렌-다이일)비스[(6-페닐벤조[b]나프토[1,2-d]퓨란)-8-아민](약칭: 1,6BnfAPrn-03), 3,10-비스[N-(9-페닐-9H-카바졸-2-일)-N-페닐아미노]나프토[2,3-b;6,7-b']비스벤조퓨란(약칭: 3,10PCA2Nbf(IV)-02), 3,10-비스[N-(다이벤조퓨란-3-일)-N-페닐아미노]나프토[2,3-b;6,7-b']비스벤조퓨란(약칭: 3,10FrA2Nbf(IV)-02)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1,6FLPAPrn, 1,6mMemFLPAPrn, 및 1,6BnfAPrn-03과 같은 피렌다이아민 화합물로 대표되는 축합 방향족 다이아민 화합물은 정공 트랩성이 높고, 발광 효율 및 신뢰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발광층(113)에서, 발광 물질로서 인광 발광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트리스{2-[5-(2-메틸페닐)-4-(2,6-다이메틸페닐)-4H-1,2,4-트라이아졸-3-일-κN2]페닐-κC}이리듐(III)(약칭: [Ir(mpptz-dmp)3]), 트리스(5-메틸-3,4-다이페닐-4H-1,2,4-트라이아졸레이토)이리듐(III)(약칭: [Ir(Mptz)3]), 트리스[4-(3-바이페닐)-5-아이소프로필-3-페닐-4H-1,2,4-트라이아졸레이토]이리듐(III)(약칭: [Ir(iPrptz-3b)3])과 같은 4H-트라이아졸 골격을 가지는 유기 금속 이리듐 착체나, 트리스[3-메틸-1-(2-메틸페닐)-5-페닐-1H-1,2,4-트라이아졸레이토]이리듐(III)(약칭: [Ir(Mptz1-mp)3]), 트리스(1-메틸-5-페닐-3-프로필-1H-1,2,4-트라이아졸레이토)이리듐(III)(약칭: [Ir(Prptz1-Me)3])과 같은 1H-트라이아졸 골격을 가지는 유기 금속 이리듐 착체나, fac-트리스[(1-2,6-다이아이소프로필페닐)-2-페닐-1H-이미다졸]이리듐(III)(약칭: [Ir(iPrpmi)3]), 트리스[3-(2,6-다이메틸페닐)-7-메틸이미다조[1,2-f]페난트리디네이토]이리듐(III)(약칭: [Ir(dmpimpt-Me)3])과 같은 이미다졸 골격을 가지는 유기 금속 이리듐 착체나, 비스[2-(4',6'-다이플루오로페닐)피리디네이토-N,C2']이리듐(III)테트라키스(1-피라졸릴)보레이트(약칭: FIr6), 비스[2-(4',6'-다이플루오로페닐)피리디네이토-N,C2']이리듐(III)피콜리네이트(약칭: FIrpic), 비스{2-[3',5'-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디네이토-N,C2'}이리듐(III)피콜리네이트(약칭: [Ir(CF3ppy)2(pic)]), 비스[2-(4',6'-다이플루오로페닐)피리디네이토-N,C2']이리듐(III)아세틸아세토네이트(약칭: FIracac)와 같은 전자 흡인기를 가지는 페닐피리딘 유도체를 배위자로 하는 유기 금속 이리듐 착체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청색의 인광 발광을 나타내는 화합물이고, 440nm 내지 520nm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발광의 피크를 가지는 화합물이다.
또한, 트리스(4-메틸-6-페닐피리미디네이토)이리듐(III)(약칭: [Ir(mppm)3]), 트리스(4-tert-뷰틸6-페닐피리미디네이토)이리듐(III)(약칭: [Ir(tBuppm)3]), (아세틸아세토네이토)비스(6-메틸-4-페닐피리미디네이토)이리듐(III)(약칭: [Ir(mppm)2(acac)]), (아세틸아세토네이토)비스(6-tert-뷰틸-4-페닐피리미디네이토)이리듐(III)(약칭: [Ir(tBuppm)2(acac)]), (아세틸아세토네이토)비스[6-(2-노보닐)-4-페닐피리미디네이토]이리듐(III)(약칭: [Ir(nbppm)2(acac)]), (아세틸아세토네이토)비스[5-메틸-6-(2-메틸페닐)-4-페닐피리미디네이토]이리듐(III)(약칭: [Ir(mpmppm)2(acac)]), (아세틸아세토네이토)비스(4,6-다이페닐피리미디네이토)이리듐(III)(약칭: [Ir(dppm)2(acac)])과 같은 피리미딘 골격을 가지는 유기 금속 이리듐 착체나, (아세틸아세토네이토)비스(3,5-다이메틸-2-페닐피라지네이토)이리듐(III)(약칭: [Ir(mppr-Me)2(acac)]), (아세틸아세토네이토)비스(5-아이소프로필-3-메틸-2-페닐피라지네이토)이리듐(III)(약칭: [Ir(mppr-iPr)2(acac)])과 같은 피라진 골격을 가지는 유기 금속 이리듐 착체나, 트리스(2-페닐피리디네이토-N,C2')이리듐(III)(약칭: [Ir(ppy)3]), 비스(2-페닐피리디네이토-N,C2')이리듐(III)아세틸아세토네이트(약칭: [Ir(ppy)2(acac)]), 비스(벤조[h]퀴놀리네이토)이리듐(III)아세틸아세토네이트(약칭: [Ir(bzq)2(acac)]), 트리스(벤조[h]퀴놀리네이토)이리듐(III)(약칭: [Ir(bzq)3]), 트리스(2-페닐퀴놀리네이토-N,C2')이리듐(III)(약칭: [Ir(pq)3]), 비스(2-페닐퀴놀리네이토-N,C2')이리듐(III)아세틸아세토네이트(약칭: [Ir(pq)2(acac)])와 같은 피리딘 골격을 가지는 유기 금속 이리듐 착체 외에, 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토)(모노페난트롤린)터븀(III)(약칭: [Tb(acac)3(Phen)])과 같은 희토류 금속 착체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주로 녹색의 인광 발광을 나타내는 화합물이고, 500nm 내지 600nm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발광의 피크를 가진다. 또한 피리미딘 골격을 가지는 유기 금속 이리듐 착체는, 신뢰성이나 발광 효율도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디바이스에 있어서는 하기 구조식(300) 또는 구조식(301)으로 나타내어지는 이리듐 착체를 발광 재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이리듐 착체는 알킬기를 가지기 때문에, 유기 용제에 용해되기 쉬우므로 바니시를 조정하기 쉽다.
[화학식 21]
Figure pct00021
또한, 상기 구조식(301)으로 나타내어지는 이리듐 착체를 포함하는 발광층을 ToF-SIMS로 측정하면, 포지티브 모드의 결과에 있어서 m/z=1676이나 프로덕트 이온인 m/z=1181, m/z=685에 시그널이 나타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다이아이소뷰티릴메타네이토)비스[4,6-비스(3-메틸페닐)피리미디네이토]이리듐(III)(약칭: [Ir(5mdppm)2(dibm)]), 비스[4,6-비스(3-메틸페닐)피리미디네이토](다이피발로일메타네이토)이리듐(III)(약칭: [Ir(5mdppm)2(dpm)]), 비스[4,6-다이(나프탈렌-1-일)피리미디네이토](다이피발로일메타네이토)이리듐(III)(약칭: [Ir(d1npm)2(dpm)])과 같은 피리미딘 골격을 가지는 유기 금속 이리듐 착체나, (아세틸아세토네이토)비스(2,3,5-트라이페닐피라지네이토)이리듐(III)(약칭: [Ir(tppr)2(acac)]), 비스(2,3,5-트라이페닐피라지네이토)(다이피발로일메타네이토)이리듐(III)(약칭: [Ir(tppr)2(dpm)]), (아세틸아세토네이토)비스[2,3-비스(4-플루오로페닐)퀴녹살리네이토]이리듐(III)(약칭: [Ir(Fdpq)2(acac)])과 같은 피라진 골격을 가지는 유기 금속 이리듐 착체나, 트리스(1-페닐아이소퀴놀리네이토-N,C2')이리듐(III)(약칭: [Ir(piq)3]), 비스(1-페닐아이소퀴놀리네이토-N,C2')이리듐(III)아세틸아세토네이트(약칭: [Ir(piq)2(acac)])와 같은 피리딘 골격을 가지는 유기 금속 이리듐 착체 외에, 2,3,7,8,12,13,17,18-옥타에틸-21H,23H-포르피린 백금(II)(약칭: PtOEP)과 같은 백금 착체나, 트리스(1,3-다이페닐-1,3-프로페인다이오네이토)(모노페난트롤린)유로퓸(III)(약칭: [Eu(DBM)3(Phen)]), 트리스[1-(2-테노일)-3,3,3-트라이플루오로아세토네이토](모노페난트롤린)유로퓸(III)(약칭: [Eu(TTA)3(Phen)])과 같은 희토류 금속 착체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적색의 인광 발광을 나타내는 화합물이고, 600nm 내지 700nm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발광의 피크를 가진다. 또한 피라진 골격을 가지는 유기 금속 이리듐 착체는 색도가 좋은 적색 발광이 얻어진다.
또한, 상술한 인광성 화합물 외에, 공지의 인광성 화합물을 선택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TADF 재료로서는 풀러렌 및 그 유도체, 아크리딘 및 그 유도체, 에오신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슘(Mg), 아연(Zn), 카드뮴(Cd), 주석(Sn), 백금(Pt), 인듐(In), 또는 팔라듐(Pd) 등을 포함하는 금속 함유 포르피린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함유 포르피린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의 구조식으로 나타내어지는 프로토포르피린-플루오린화 주석 착체(SnF2(Proto IX)), 메소포르피린-플루오린화 주석 착체(SnF2(Meso IX)), 헤마토포르피린-플루오린화 주석 착체(SnF2(Hemato IX)), 코프로포르피린테트라메틸에스터-플루오린화 주석 착체(SnF2(Copro III-4Me)), 옥타에틸포르피린-플루오린화 주석 착체(SnF2(OEP)), 에티오포르피린-플루오린화 주석 착체(SnF2(Etio I)), 옥타에틸포르피린-염화 백금 착체(PtCl2OEP) 등도 있다.
[화학식 22]
Figure pct00022
또한, 이하의 구조식으로 나타내어지는 2-(바이페닐-4-일)-4,6-비스(12-페닐인돌로[2,3-a]카바졸-11-일)-1,3,5-트라이아진(약칭: PIC-TRZ), 9-(4,6-다이페닐-1,3,5-트라이아진-2-일)-9'-페닐-9H,9'H-3,3'-바이카바졸(약칭: PCCzTzn), 9-[4-(4,6-다이페닐-1,3,5-트라이아진-2-일)페닐]-9'-페닐-9H,9'H-3,3'-바이카바졸(약칭: PCCzPTzn), 2-[4-(10H-페녹사진-10-일)페닐]-4,6-다이페닐-1,3,5-트라이아진(약칭: PXZ-TRZ), 3-[4-(5-페닐-5,10-다이하이드로페나진-10-일)페닐]-4,5-다이페닐-1,2,4-트라이아졸(약칭: PPZ-3TPT), 3-(9,9-다이메틸-9H-아크리딘-10-일)-9H-크산텐-9-온(약칭: ACRXTN), 비스[4-(9,9-다이메틸-9,10-다이하이드로아크리딘)페닐]설폰(약칭: DMAC-DPS), 10-페닐-10H,10'H-스파이로[아크리딘-9,9'-안트라센]-10'-온(약칭: ACRSA) 등의 π전자 과잉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 및 π전자 부족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 중 한쪽 또는 양쪽을 가지는 헤테로 고리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헤테로 고리 화합물은 π전자 과잉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 및 π전자 부족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가지기 때문에, 전자 수송성 및 정공 수송성이 모두 높아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π전자 부족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골격 중, 피리딘 골격, 다이아진 골격(피리미딘 골격, 피라진 골격, 피리다진 골격), 및 트라이아진 골격은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양호하므로 바람직하다. 특히 벤조퓨로피리미딘 골격, 벤조티에노피리미딘 골격, 벤조퓨로피라진 골격, 벤조티에노피라진 골격은 억셉터성이 높고 신뢰성이 양호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π전자 과잉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골격 중에서도, 아크리딘 골격, 페녹사진 골격, 페노싸이아진 골격, 퓨란 골격, 싸이오펜 골격, 및 피롤 골격은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양호하므로, 상기 골격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퓨란 골격으로서는 다이벤조퓨란 골격이 바람직하고, 싸이오펜 골격으로서는 다이벤조싸이오펜 골격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롤 골격으로서는 인돌 골격, 카바졸 골격, 인돌로카바졸 골격, 바이카바졸 골격, 3-(9-페닐-9H-카바졸-3-일)-9H-카바졸 골격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π전자 과잉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와 π전자 부족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가 직접 결합된 물질은 π전자 과잉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의 전자 공여성과 π전자 부족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의 전자 수용성이 모두 강해지고, S1 준위와 T1 준위의 에너지 차이가 작아지기 때문에, 열 활성화 지연 형광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π전자 부족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 대신에, 사이아노기와 같은 전자 흡인기가 결합된 방향족 고리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π전자 과잉형 골격으로서 방향족 아민 골격, 페나진 골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π전자 부족형 골격으로서 크산텐 골격, 싸이오크산텐다이옥사이드 골격, 옥사다이아졸 골격, 트라이아졸 골격, 이미다졸 골격, 안트라퀴논 골격, 페닐보레인이나 보레인트렌 등의 붕소 함유 골격, 벤조나이트릴 또는 사이아노벤젠 등의 나이트릴기 또는 사이아노기를 가지는 방향족 고리나 헤테로 방향족 고리, 벤조페논 등의 카보닐 골격, 포스핀옥사이드 골격, 설폰 골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π전자 부족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 및 π전자 과잉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의 적어도 한쪽 대신에 π전자 부족형 골격 및 π전자 과잉형 골격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23]
Figure pct00023
또한 TADF 재료는, S1 준위와 T1 준위의 차이가 작고, 역 항간 교차에 의하여 에너지를 삼중항 들뜬 에너지로부터 단일항 들뜬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는 재료이다. 그러므로 삼중항 들뜬 에너지를 미량의 열 에너지에 의하여 단일항 들뜬 에너지로 업컨버트(역 항간 교차)할 수 있어, 단일항 들뜬 상태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삼중항 들뜬 에너지를 발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2종류의 물질로 들뜬 상태를 형성하는 들뜬 복합체(엑사이플렉스, 엑시플렉스, 또는 Exciplex라고도 함)는, S1 준위와 T1 준위의 차이가 매우 작고, 삼중항 들뜬 에너지를 단일항 들뜬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TADF 재료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또한 T1 준위의 지표로서는 저온(예를 들어 77K 내지 10K)에서 관측되는 인광 스펙트럼을 사용하면 좋다. TADF 재료는, 그 형광 스펙트럼의 단파장 측의 꼬리(tail)에서 접선을 긋고, 그 외삽선의 파장의 에너지를 S1 준위로 하고, 인광 스펙트럼의 단파장 측의 꼬리에서 접선을 긋고, 그 외삽선의 파장의 에너지를 T1 준위로 한 경우에 그 S1 준위와 T1 준위의 차이가 0.3eV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eV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TADF 재료를 발광 물질로서 사용하는 경우, 호스트 재료의 S1 준위는 TADF 재료의 S1 준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스트 재료의 T1 준위는 TADF 재료의 T1 준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서는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나 정공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 상기 TADF 재료 등 다양한 캐리어 수송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정공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는 1×10-6cm2/Vs 이상의 정공 이동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아민 골격이나 π전자 과잉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4,4'-비스[N-(1-나프틸)-N-페닐아미노]바이페닐(약칭: NPB), N,N'-비스(3-메틸페닐)-N,N'-다이페닐-[1,1'-바이페닐]-4,4'-다이아민(약칭: TPD), 4,4'-비스[N-(스파이로-9,9'-바이플루오렌-2-일)-N-페닐아미노]바이페닐(약칭: BSPB), 4-페닐-4'-(9-페닐플루오렌-9-일)트라이페닐아민(약칭: BPAFLP), 4-페닐-3'-(9-페닐플루오렌-9-일)트라이페닐아민(약칭: mBPAFLP), 4-페닐-4'-(9-페닐-9H-카바졸-3-일)트라이페닐아민(약칭: PCBA1BP), 4,4'-다이페닐-4''-(9-페닐-9H-카바졸-3-일)트라이페닐아민(약칭: PCBBi1BP), 4-(1-나프틸)-4'-(9-페닐-9H-카바졸-3-일)트라이페닐아민(약칭: PCBANB), 4,4'-다이(1-나프틸)-4''-(9-페닐-9H-카바졸-3-일)트라이페닐아민(약칭: PCBNBB), 9,9-다이메틸-N-페닐-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플루오렌-2-아민(약칭: PCBAF), N-페닐-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9,9'-스파이로바이[9H-플루오렌]-2-아민(약칭: PCBASF) 등의 방향족 아민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이나, 1,3-비스(N-카바졸릴)벤젠(약칭: mCP), 4,4'-다이(N-카바졸릴)바이페닐(약칭: CBP), 3,6-비스(3,5-다이페닐페닐)-9-페닐카바졸(약칭: CzTP), 3,3'-비스(9-페닐-9H-카바졸)(약칭: PCCP) 등의 카바졸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이나, 4,4',4''-(벤젠-1,3,5-트라이일)트라이(다이벤조싸이오펜)(약칭: DBT3P-II), 2,8-다이페닐-4-[4-(9-페닐-9H-플루오렌-9-일)페닐]다이벤조싸이오펜(약칭: DBTFLP-III), 4-[4-(9-페닐-9H-플루오렌-9-일)페닐]-6-페닐다이벤조싸이오펜(약칭: DBTFLP-IV) 등의 싸이오펜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이나, 4,4',4''-(벤젠-1,3,5-트라이일)트라이(다이벤조퓨란)(약칭: DBF3P-II), 4-{3-[3-(9-페닐-9H-플루오렌-9-일)페닐]페닐}다이벤조퓨란(약칭: mmDBFFLBi-II) 등의 퓨란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이 있다. 상술한 것 중에서도 방향족 아민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이나 카바졸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은 신뢰성이 양호하고 정공 수송성이 높아 구동 전압 저감에도 기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N-(4-바이페닐)-6,N-다이페닐벤조[b]나프토[1,2-d]퓨란-8-아민(약칭: BnfABP), N,N-비스(4-바이페닐)-6-페닐벤조[b]나프토[1,2-d]퓨란-8-아민(약칭: BBABnf), 4,4'-비스(6-페닐벤조[b]나프토[1,2-d]퓨란-8-일)-4''-페닐트라이페닐아민(약칭: BnfBB1BP), N,N-비스(4-바이페닐)벤조[b]나프토[1,2-d]퓨란-6-아민(약칭: BBABnf(6)), N,N-비스(4-바이페닐)벤조[b]나프토[1,2-d]퓨란-8-아민(약칭: BBABnf(8)), N,N-비스(4-바이페닐)벤조[b]나프토[2,3-d]퓨란-4-아민(약칭: BBABnf(II)(4)), N,N-비스[4-(다이벤조퓨란-4-일)페닐]-4-아미노-p-터페닐(약칭: DBfBB1TP), N-[4-(다이벤조싸이오펜-4-일)페닐]-N-페닐-4-바이페닐아민(약칭: ThBA1BP), 4-(2-나프틸)-4',4''-다이페닐트라이페닐아민(약칭: BBAβNB), 4-[4-(2-나프틸)페닐]-4',4''-다이페닐트라이페닐아민(약칭: BBAβNBi), 4,4'-다이페닐-4''-(6;1'-바이나프틸-2-일)트라이페닐아민(약칭: BBAαNβNB), 4,4'-다이페닐-4''-(7;1'-바이나프틸-2-일)트라이페닐아민(약칭: BBAαNβNB-03), 4,4'-다이페닐-4''-(7-페닐)나프틸-2-일트라이페닐아민(약칭: BBAPβNB-03), 4,4'-다이페닐-4''-(6;2'-바이나프틸-2-일)트라이페닐아민(약칭: BBA(βN2)B), 4,4'-다이페닐-4''-(7;2'-바이나프틸-2-일)트라이페닐아민(약칭: BBA(βN2)B-03), 4,4'-다이페닐-4''-(4;2'-바이나프틸-1-일)트라이페닐아민(약칭: BBAβNαNB), 4,4'-다이페닐-4''-(5;2'-바이나프틸-1-일)트라이페닐아민(약칭: BBAβNαNB-02), 4-(4-바이페닐릴)-4'-(2-나프틸)-4''-페닐트라이페닐아민(약칭: TPBiAβNB), 4-(3-바이페닐릴)-4'-[4-(2-나프틸)페닐]-4''-페닐트라이페닐아민(약칭: mTPBiAβNBi), 4-(4-바이페닐릴)-4'-[4-(2-나프틸)페닐]-4''-페닐트라이페닐아민(약칭: TPBiAβNBi), 4-페닐-4'-(1-나프틸)트라이페닐아민(약칭: αNBA1BP), 4,4'-비스(1-나프틸)트라이페닐아민(약칭: αNBB1BP), 4,4'-다이페닐-4''-[4'-(카바졸-9-일)바이페닐-4-일]트라이페닐아민(약칭: YGTBi1BP), 4'-[4-(3-페닐-9H-카바졸-9-일)페닐]트리스(1,1'-바이페닐-4-일)아민(약칭: YGTBi1BP-02), 4-[4'-(카바졸-9-일)바이페닐-4-일]-4'-(2-나프틸)-4''-페닐트라이페닐아민(약칭: YGTBiβNB), 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N-[4-(1-나프틸)페닐]-9,9'-스파이로바이(9H-플루오렌)-2-아민(약칭: PCBNBSF), N,N-비스(4-바이페닐릴)-9,9'-스파이로바이[9H-플루오렌]-2-아민(약칭: BBASF), N,N-비스([1,1'-바이페닐]-4-일)-9,9'-스파이로바이[9H-플루오렌]-4-아민(약칭: BBASF(4)), N-(1,1'-바이페닐-2-일)-N-(9,9-다이메틸-9H-플루오렌-2-일)-9,9'-스파이로바이(9H-플루오렌)-4-아민(약칭: oFBiSF), N-(4-바이페닐)-N-(다이벤조퓨란-4-일)-9,9-다이메틸-9H-플루오렌-2-아민(약칭: FrBiF), N-[4-(1-나프틸)페닐]-N-[3-(6-페닐다이벤조퓨란-4-일)페닐]-1-나프틸아민(약칭: mPDBfBNBN), 4-페닐-4'-(9-페닐플루오렌-9-일)트라이페닐아민(약칭: BPAFLP), 4-페닐-3'-(9-페닐플루오렌-9-일)트라이페닐아민(약칭: mBPAFLP), 4-페닐-4'-[4-(9-페닐플루오렌-9-일)페닐]트라이페닐아민(약칭: BPAFLBi), 4,4'-다이(1-나프틸)-4''-(9-페닐-9H-카바졸-3-일)트라이페닐아민(약칭: PCBNBB), N-페닐-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9,9'-스파이로바이[9H-플루오렌]-2-아민(약칭: PCBASF), N-(1,1'-바이페닐-4-일)-9,9-다이메틸-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9H-플루오렌-2-아민(약칭: PCBBiF), N,N-비스(9,9-다이메틸-9H-플루오렌-2-일)-9,9'-스파이로바이-9H-플루오렌-4-아민, N,N-비스(9,9-다이메틸-9H-플루오렌-2-일)-9,9'-스파이로바이-9H-플루오렌-3-아민, N,N-비스(9,9-다이메틸-9H-플루오렌-2-일)-9,9'-스파이로바이-9H-플루오렌-2-아민, N,N-비스(9,9-다이메틸-9H-플루오렌-2-일)-9,9'-스파이로바이-9H-플루오렌-1-아민 등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비스(10-하이드록시벤조[h]퀴놀리네이토)베릴륨(II)(약칭: BeBq2), 비스(2-메틸-8-퀴놀리놀레이토)(4-페닐페놀레이토)알루미늄(III)(약칭: BAlq), 비스(8-퀴놀리놀레이토)아연(II)(약칭: Znq), 비스[2-(2-벤즈옥사졸릴)페놀레이토]아연(II)(약칭: ZnPBO), 비스[2-(2-벤조싸이아졸릴)페놀레이토]아연(II)(약칭: ZnBTZ) 등의 금속 착체나, π전자 부족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π전자 부족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2-(4-바이페닐릴)-5-(4-tert-뷰틸페닐)-1,3,4-옥사다이아졸(약칭: PBD), 3-(4-바이페닐릴)-4-페닐-5-(4-tert-뷰틸페닐)-1,2,4-트라이아졸(약칭: TAZ), 1,3-비스[5-(p-tert-뷰틸페닐)-1,3,4-옥사다이아졸-2-일]벤젠(약칭: OXD-7), 9-[4-(5-페닐-1,3,4-옥사다이아졸-2-일)페닐]-9H-카바졸(약칭: CO11), 2,2',2''-(1,3,5-벤젠트라이일)트리스(1-페닐-1H-벤즈이미다졸)(약칭: TPBI), 2-[3-(다이벤조싸이오펜-4-일)페닐]-1-페닐-1H-벤즈이미다졸(약칭: mDBTBIm-II) 등의 폴리아졸 골격을 가지는 헤테로 고리 화합물이나, 2-[3-(다이벤조싸이오펜-4-일)페닐]다이벤조[f,h]퀴녹살린(약칭: 2mDBTPDBq-II), 2-[3'-(다이벤조싸이오펜-4-일)바이페닐-3-일]다이벤조[f,h]퀴녹살린(약칭: 2mDBTBPDBq-II), 2-[3'-(9H-카바졸-9-일)바이페닐-3-일]다이벤조[f,h]퀴녹살린(약칭: 2mCzBPDBq), 4,6-비스[3-(페난트렌-9-일)페닐]피리미딘(약칭: 4,6mPnP2Pm), 4,6-비스[3-(4-다이벤조싸이엔일)페닐]피리미딘(약칭: 4,6mDBTP2Pm-II) 등의 다이아진 골격을 가지는 헤테로 고리 화합물이나, 3,5-비스[3-(9H-카바졸-9-일)페닐]피리딘(약칭: 35DCzPPy), 1,3,5-트라이[3-(3-피리딜)페닐]벤젠(약칭: TmPyPB) 등의 피리딘 골격을 가지는 헤테로 고리 화합물, 2-[3'-(9,9-다이메틸-9H-플루오렌-2-일)-1,1'-바이페닐-3-일]-4,6-다이페닐-1,3,5-트라이아진(약칭: mFBPTzn), 2-[(1,1'-바이페닐)-4-일]-4-페닐-6-[9,9'-스파이로바이(9H-플루오렌)-2-일]-1,3,5-트라이아진(약칭: BP-SFTzn), 2-{3-[3-(벤조[b]나프토[1,2-d]퓨란-8-일)페닐]페닐}-4,6-다이페닐-1,3,5-트라이아진(약칭: mBnfBPTzn), 2-{3-[3-(벤조[b]나프토[1,2-d]퓨란-6-일)페닐]페닐}-4,6-다이페닐-1,3,5-트라이아진(약칭: mBnfBPTzn-02) 등의 트라이아진 골격을 가지는 헤테로 고리 화합물이 있다. 상술한 것 중에서도, 다이아진 골격을 가지는 헤테로 고리 화합물이나, 피리딘 골격을 가지는 헤테로 고리 화합물이나, 트라이아진 골격을 가지는 헤테로 고리 화합물은 신뢰성이 양호하므로 바람직하다. 특히, 다이아진(피리미딘이나 피라진) 골격을 가지는 헤테로 고리 화합물, 트라이아진 골격을 가지는 헤테로 고리 화합물은 전자 수송성이 높고, 구동 전압 저감에도 기여한다.
호스트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TADF 재료로서는 상술한 TADF 재료를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TADF 재료를 호스트 재료로서 사용하면, TADF 재료에서 생성된 삼중항 들뜬 에너지가 역 항간 교차에 의하여 단일항 들뜬 에너지로 변환되고, 또한 발광 물질로 에너지 이동함으로써, 발광 디바이스의 발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TADF 재료가 에너지 도너로서 기능하고, 발광 물질이 에너지 억셉터로서 기능한다.
이는 상기 발광 물질이 형광 발광 물질인 경우에 매우 유효하다. 또한 이때 높은 발광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TADF 재료의 S1 준위가 형광 발광 물질의 S1 준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TADF 재료의 T1 준위가 형광 발광 물질의 S1 준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TADF 재료의 T1 준위는 형광 발광 물질의 T1 준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형광 발광 물질의 가장 낮은 에너지 측의 흡수대의 파장과 중첩되는 발광을 나타내는 TADF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TADF 재료로부터 형광 발광 물질로 들뜬 에너지가 원활하게 이동하여, 발광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역항간 교차에 의하여 삼중항 들뜬 에너지로부터 단일항 들뜬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생성되기 위해서는, TADF 재료에서 캐리어 재결합이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TADF 재료에서 생성된 삼중항 들뜬 에너지가 형광 발광 물질의 삼중항 들뜬 에너지로 이동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하여, 형광 발광 물질은 형광 발광 물질에 포함되는 발광단(발광의 원인이 되는 골격)의 주위에 보호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기로서는 π결합을 가지지 않는 치환기 및 포화 탄화수소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3 이상 10 이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이상 10 이하의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3 이상 10 이하의 트라이알킬실릴기를 들 수 있고, 복수의 보호기를 가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π결합을 가지지 않는 치환기는 캐리어를 수송하는 기능이 부족하기 때문에, 캐리어 수송이나 캐리어 재결합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고 TADF 재료와 형광 발광 물질의 발광단의 거리를 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단이란 형광 발광 물질에서 발광의 원인이 되는 원자단(골격)을 말한다. 발광단은 π결합을 가지는 골격인 것이 바람직하고,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축합 방향족 고리 또는 축합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합 방향족 고리 또는 축합 헤테로 방향족 고리로서는 페난트렌 골격, 스틸벤 골격, 아크리돈 골격, 페녹사진 골격, 페노싸이아진 골격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나프탈렌 골격, 안트라센 골격, 플루오렌 골격, 크리센 골격, 트라이페닐렌 골격, 테트라센 골격, 피렌 골격, 페릴렌 골격, 쿠마린 골격, 퀴나크리돈 골격, 나프토비스벤조퓨란 골격을 가지는 형광 발광 물질은 형광 양자 수율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형광 발광 물질을 발광 물질로서 사용하는 경우, 호스트 재료로서는 안트라센 골격을 가지는 재료가 적합하다. 안트라센 골격을 가지는 물질을 형광 발광 물질의 호스트 재료로서 사용하면, 발광 효율 및 내구성 모두가 양호한 발광층을 실현할 수 있다. 호스트 재료로서 사용하는 안트라센 골격을 가지는 물질로서는 다이페닐안트라센 골격, 특히 9,10-다이페닐안트라센 골격을 가지는 물질이 화학적으로 안정적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호스트 재료가 카바졸 골격을 가지는 경우, 정공 주입·수송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카바졸에 벤젠 고리가 더 축합된 벤조카바졸 골격을 가지는 경우에는, 카바졸보다 HOMO 준위가 0.1eV 정도 얕아져 정공이 들어가기 쉬워지기 때문에 더 바람직하다. 특히, 호스트 재료가 다이벤조카바졸 골격을 포함하는 경우, 카바졸보다 HOMO 준위가 0.1eV 정도 얕아져 정공이 들어가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정공 수송성도 우수하고 내열성도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호스트 재료로서 더 바람직한 것은, 9,10-다이페닐안트라센 골격 및 카바졸 골격(또는 벤조카바졸 골격이나 다이벤조카바졸 골격)을 동시에 가지는 물질이다. 또한 상기 정공 주입성·수송성의 관점에서, 카바졸 골격 대신에 벤조플루오렌 골격이나 다이벤조플루오렌 골격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물질의 예로서는, 9-페닐-3-[4-(10-페닐-9-안트릴)페닐]-9H-카바졸(약칭: PCzPA), 3-[4-(1-나프틸)-페닐]-9-페닐-9H-카바졸(약칭: PCPN), 9-[4-(10-페닐-9-안트라센일)페닐]-9H-카바졸(약칭: CzPA), 7-[4-(10-페닐-9-안트릴)페닐]-7H-다이벤조[c,g]카바졸(약칭: cgDBCzPA), 6-[3-(9,10-다이페닐-2-안트릴)페닐]-벤조[b]나프토[1,2-d]퓨란(약칭: 2mBnfPPA), 9-페닐-10-{4-(9-페닐-9H-플루오렌-9-일)바이페닐-4'-일}안트라센(약칭: FLPPA), 9-(1-나프틸)-10-[4-(2-나프틸)페닐]안트라센(약칭: αN-βNPAnth)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CzPA, cgDBCzPA, 2mBnfPPA, PCzPA는 매우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호스트 재료는 복수 종류의 물질이 혼합된 재료이어도 좋고, 혼합된 호스트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와 정공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와 정공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를 혼합함으로써, 발광층(113)의 수송성을 쉽게 조정할 수 있어 재결합 영역을 쉽게 제어할 수도 있다. 정공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와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의 함유량의 중량비는 정공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1:19 내지 19:1로 하면 좋다.
또한 상기 혼합된 재료의 일부로서는 인광 발광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인광 발광 물질은, 발광 물질로서 형광 발광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 형광 발광 물질에 들뜬 에너지를 공여하는 에너지 도너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혼합된 재료들로 들뜬 복합체를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들뜬 복합체로서는 발광 물질의 가장 낮은 에너지 측의 흡수대의 파장과 겹치는 발광을 나타내는 들뜬 복합체를 형성하는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에너지 이동이 원활하게 수행되어 발광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구동 전압도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들뜬 복합체를 형성하는 재료의 적어도 하나는 인광 발광 물질이어도 좋다. 이 경우 역 항간 교차에 의하여 삼중항 들뜬 에너지를 단일항 들뜬 에너지로 효율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
들뜬 복합체를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재료의 조합으로서는 정공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의 HOMO 준위가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의 HOMO 준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공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의 LUMO 준위가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의 LUMO 준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료의 LUMO 준위 및 HOMO 준위는 사이클릭 볼타메트리(CV) 측정으로 측정되는 재료의 전기 화학 특성(환원 전위 및 산화 전위)에서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들뜬 복합체의 형성은, 예를 들어 정공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의 발광 스펙트럼,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의 발광 스펙트럼, 및 이들 재료를 혼합한 혼합막의 발광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혼합막의 발광 스펙트럼이 각 재료의 발광 스펙트럼보다 장파장 측으로 시프트하는(또는 장파장 측에 새로운 피크를 가지는) 현상을 관측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정공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의 과도 포토루미네선스(PL),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의 과도 PL, 및 이들 재료를 혼합한 혼합막의 과도 PL을 비교하여, 혼합막의 과도 PL 수명이 각 재료의 과도 PL 수명보다 장수명 성분을 가지거나 지연 성분의 비율이 커지는 등의 과도 응답의 차이를 관측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도 PL을 과도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로 바꿔 읽어도 된다. 즉 정공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의 과도 EL,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재료의 과도 EL, 및 이들의 혼합막의 과도 EL을 비교하여 과도 응답의 차이를 관측하는 것에 의해서도 들뜬 복합체의 형성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수송층(114)은 본 발명의 구성을 가짐으로써 굴절률이 낮은 층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 전압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고 EL층(103) 내부에 굴절률이 낮은 층을 형성할 수 있어, 발광 디바이스의 외부 양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구성을 가지는 전자 수송층(114)은 전자 주입층(115)을 겸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자 수송층(114) 내에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금속의 금속 착체는 두께 방향에서 농도차(0인 경우도 포함함)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수송층(114)과 음극(102) 사이에, 전자 주입층(115)으로서, 플루오린화 리튬(LiF), 플루오린화 세슘(CsF), 플루오린화 칼슘(CaF2), 8-퀴놀리놀레이토-리튬(약칭: Liq) 등과 같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또는 이들의 화합물 또는 착체를 포함하는 층을 제공하여도 좋다. 전자 주입층(115)으로서는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층 내에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혹은 이들의 화합물을 포함시킨 것이나, 전자화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전자화물로서는 예를 들어 칼슘과 알루미늄의 혼합 산화물에 전자를 고농도로 첨가한 물질 등이 있다.
또한, 플루오린화 소듐을 사용함으로써, 발광 디바이스의 전자 수송성이나 내수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구성이 된다. 플루오린화 소듐을 전자 주입층(115)에 가지는 발광 디바이스의 전자 주입층을 ToF-SIMS 분석하면, Na2F+, NaF2 -, Na2F3 - 등, 소듐과 플루오린의 결합수가 다양한 음이온 또는 양이온에서 유래되는 시그널이 관측된다.
또한, 음극에 접하여 바륨 등 알칼리 토금속을 포함하는 층이 제공되어 있어도 좋다. 이로써 음극으로부터의 전자 주입성이 양호해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륨을 포함하는 층은 동시에 헤테로 방향족 화합물을 가져도 좋다. 상기 헤테로 방향족 화합물로서는 페난트롤린 골격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하기 구조식(400)으로 나타내어지는 2-페닐-9-[3-(9-페닐-1,10-페난트롤린-2-일)페닐]-1,10-페난트롤린 등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4]
Figure pct00024
2-페닐-9-[3-(9-페닐-1,10-페난트롤린-2-일)페닐]-1,10-페난트롤린을 포함하는 층은 ToF-SIMS 분석을 수행하면, 포지티브 모드 및 네거티브 모드의 양쪽에 있어서 m/z=587에 시그널이 관측된다. 또한, 같은 상기 재료를 성막하였을 때, 같은 층 또는 접하는 층에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이나 이들의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알칼리 금속 착체(예를 들어, Na 착체인 경우에는 m/z=609) 또는 알칼리 토금속 착체(예를 들어 Ba 착체인 경우에는 m/z=724) 등의 이온이 검출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자 주입층(115)으로서,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물질(바람직하게는 바이피리딘 골격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에, 상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플루오린화물을 미결정 상태가 되는 농도 이상(50wt% 이상) 포함시킨 층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층은 굴절률이 낮은 층이기 때문에, 외부 양자 효율이 더 양호한 발광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A)의 전자 주입층(115) 대신에 전하 발생층(116)을 제공하여도 좋다(도 1의 (B)). 전하 발생층(116)은 전위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층의 음극 측과 접하는 층에 정공을, 양극 측과 접하는 층에 전자를 주입할 수 있는 층을 말한다. 전하 발생층(116)에는 적어도 P형층(117)이 포함된다. P형층(117)은 상술한 정공 주입층(111)을 구성할 수 있는 재료로서 열거한 복합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형층(117)은 복합 재료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상술한 억셉터 재료를 포함하는 막과 정공 수송 재료를 포함하는 막을 적층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P형층(117)에 전위를 인가함으로써 전자 수송층(114)에 전자가, 음극(102)에 정공이 주입되고, 발광 디바이스가 동작한다.
또한 전하 발생층(116)에는 P형층(117) 외에, 전자 릴레이층(118) 및 전자 주입 버퍼층(119)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릴레이층(118)은 적어도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고, 전자 주입 버퍼층(119)과 P형층(117)의 상호 작용을 방지하여 전자를 원활하게 수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전자 릴레이층(118)에 포함되는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물질의 LUMO 준위는 P형층(117)에서의 억셉터성 물질의 LUMO 준위와, 전자 수송층(114)에서의 전하 발생층(116)과 접하는 층에 포함되는 물질의 LUMO 준위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릴레이층(118)에 사용되는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물질에서의 LUMO 준위의 구체적인 에너지 준위는 -5.0eV 이상, 바람직하게는 -5.0eV 이상 -3.0eV 이하인 것이 좋다. 또한 전자 릴레이층(118)에 사용되는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물질로서는 프탈로사이아닌계 재료 또는 금속-산소 결합과 방향족 배위자를 가지는 금속 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주입 버퍼층(119)에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희토류 금속, 및 이들의 화합물(알칼리 금속 화합물(산화 리튬 등의 산화물, 할로젠화물, 탄산 리튬이나 탄산 세슘 등의 탄산염을 포함함),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산화물, 할로젠화물, 탄산염을 포함함), 또는 희토류 금속의 화합물(산화물, 할로젠화물, 탄산염을 포함함)) 등 전자 주입성이 높은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주입 버퍼층(119)이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물질과 도너성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너성 물질로서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희토류 금속, 및 이들의 화합물(알칼리 금속 화합물(산화 리튬 등의 산화물, 할로젠화물, 탄산 리튬이나 탄산 세슘 등의 탄산염을 포함함),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산화물, 할로젠화물, 탄산염을 포함함), 또는 희토류 금속의 화합물(산화물, 할로젠화물, 탄산염을 포함함)) 외에, 테트라싸이아나프타센(약칭: TTN), 니켈로센, 데카메틸니켈로센 등의 유기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물질은 상술한 전자 수송층(114)을 구성하는 재료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료는 굴절률이 낮은 유기 화합물이기 때문에, 전자 주입 버퍼층(119)에 사용함으로써 외부 양자 효율이 양호한 발광 디바이스를 얻을 수 있다.
음극(102)을 형성하는 물질로서는, 일함수가 작은(구체적으로는 3.8eV 이하) 금속, 합금, 전기 전도성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극 재료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리튬(Li)이나 세슘(Cs) 등의 알칼리 금속, 및 마그네슘(Mg), 칼슘(Ca), 스트론튬(Sr) 등의 주기율표의 1족 또는 2족에 속하는 원소, 및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MgAg, AlLi), 유로퓸(Eu), 이터븀(Yb) 등의 희토류 금속, 및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음극(102)과 전자 수송층 사이에 전자 주입층을 제공함으로써, 일함수의 크기에 상관없이 Al, Ag, ITO, 실리콘, 또는 산화 실리콘을 포함한 산화 인듐-산화 주석 등 다양한 도전성 재료를 음극(102)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음극(102)을 가시광에 대하여 투과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한 경우, 도 1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극 측으로부터 광을 발하는 발광 디바이스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극을 가지는 발광 디바이스는 양극(101)을 기판 측에 제작한 경우, 소위 톱 이미션형 발광 디바이스로 할 수 있다.
이들 도전성 재료는 진공 증착법이나 스퍼터링법 등의 건식법, 잉크젯법, 스핀 코팅법 등을 사용하여 성막할 수 있다. 또한 졸겔법을 사용하여 습식법으로 형성하여도 좋고, 금속 재료의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습식법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EL층(103)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건식법, 습식법을 불문하고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 그라비어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잉크젯법, 또는 스핀 코팅법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각 전극 또는 각 층을 상이한 성막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양극(101)과 음극(102) 사이에 제공되는 층의 구성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발광 영역과 전극이나 캐리어 주입층에 사용되는 금속이 근접하여 일어나는 소광이 억제되도록, 양극(101) 및 음극(102)으로부터 떨어진 곳에 정공과 전자가 재결합하는 발광 영역을 제공한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층(113)과 접하는 정공 수송층이나 전자 수송층, 특히 발광층(113)에서의 재결합 영역에 가까운 캐리어 수송층은, 발광층에서 생성된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 이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발광층을 구성하는 발광 재료 또는 발광층에 포함되는 발광 재료가 가지는 밴드 갭보다 큰 밴드 갭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복수의 발광 유닛을 적층한 구성의 발광 디바이스(적층형 소자, 탠덤형 소자라고도 함)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발광 디바이스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복수의 발광 유닛을 가지는 발광 디바이스이다. 하나의 발광 유닛은 도 1의 (A)에 나타낸 EL층(103)과 거의 같은 구성을 가진다. 즉, 탠덤형 소자는 복수의 발광 유닛을 가지는 발광 디바이스이고, 도 1의 (A) 또는 (B)에 나타낸 발광 디바이스는 하나의 발광 유닛을 가지는 발광 디바이스라고 할 수 있다.
탠덤형 소자에 있어서, 양극과 음극 사이에는, 제 1 발광 유닛과 제 2 발광 유닛이 적층되어 있고, 제 1 발광 유닛과 제 2 발광 유닛 사이에는 전하 발생층이 제공되어 있다. 양극과 음극은 각각 도 1의 (A)에서의 양극(101)과 음극(102)에 상당하고, 도 1의 (A)를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발광 유닛과 제 2 발광 유닛은 서로 같은 구성이어도 좋고 상이한 구성이어도 좋다.
탠덤형 소자에서의 전하 발생층은 양극과 음극에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한쪽의 발광 유닛에 전자를 주입하고, 다른 쪽의 발광 유닛에 정공을 주입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양극의 전위가 음극의 전위보다 높아지도록 전압이 인가된 경우, 전하 발생층은 제 1 발광 유닛에 전자를 주입하고 제 2 발광 유닛에 정공을 주입하는 것이면 좋다.
전하 발생층은 도 1의 (B)에서 설명한 전하 발생층(116)과 같은 구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화합물과 금속 산화물의 복합 재료는 캐리어 주입성, 캐리어 수송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저전압 구동, 저전류 구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유닛의 양극 측의 면이 전하 발생층에 접하는 경우에는, 전하 발생층이 발광 유닛의 정공 주입층의 역할도 할 수 있기 때문에, 발광 유닛에는 정공 주입층을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탠덤형 소자의 전하 발생층에 전자 주입 버퍼층(119)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전자 주입 버퍼층(119)이 양극 측의 발광 유닛에서의 전자 주입층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양극 측의 발광 유닛에는 반드시 전자 주입층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이상에서 2개의 발광 유닛을 가지는 탠덤형 소자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3개 이상의 발광 유닛을 적층한 탠덤형 소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한 쌍의 전극 사이에 복수의 발광 유닛을 전하 발생층으로 칸막이하여 배치함으로써, 전류 밀도를 낮게 유지한 채, 고휘도 발광을 가능하게 하고, 더 장수명의 소자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소비 전력이 낮은 발광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각 발광 유닛의 발광색을 다르게 함으로써, 발광 디바이스 전체로 원하는 색의 발광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발광 유닛을 가지는 발광 디바이스에서, 제 1 발광 유닛으로 적색과 녹색의 발광색을, 제 2 발광 유닛으로 청색의 발광색을 얻음으로써, 발광 디바이스 전체로 백색 발광하는 발광 디바이스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EL층(103), 제 1 발광 유닛, 제 2 발광 유닛, 및 전하 발생층 등의 각 층이나 전극은, 예를 들어 증착법(진공 증착법을 포함함), 액적 토출법(잉크젯법이라고도 함), 도포법, 그라비어 인쇄법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저분자 재료, 중분자 재료(올리고머, 덴드리머를 포함함), 또는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와 자유로이 조합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를 사용한 발광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제작한 발광 장치에 대하여 도 2의 (A) 및 (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의 (A)는 발광 장치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에 나타낸 일점쇄선 A-B 및 일점쇄선 C-D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 발광 장치는 발광 디바이스의 발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점선으로 나타낸 구동 회로부(소스선 구동 회로)(601), 화소부(602), 구동 회로부(게이트선 구동 회로)(603)를 포함한다. 또한 604는 밀봉 기판을, 605는 실재를 나타내고, 실재(605)로 둘러싸인 내측은 공간(607)이다.
또한 리드 배선(608)은 소스선 구동 회로(601) 및 게이트선 구동 회로(603)에 입력되는 신호를 전송(傳送)하기 위한 배선이고, 외부 입력 단자가 되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609)로부터 비디오 신호, 클록 신호, 스타트 신호, 리셋 신호 등을 받는다. 또한 여기서는 FPC만을 도시하였지만, 이 FPC에 인쇄 배선판(PWB)이 장착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는, 발광 장치 본체뿐만 아니라, 이에 FPC 또는 PWB가 장착된 것도 발광 장치의 범주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단면 구조에 대하여 도 2의 (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소자 기판(610) 위에는 구동 회로부 및 화소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여기서는 구동 회로부인 소스선 구동 회로(601)와, 화소부(602) 내의 하나의 화소를 나타내었다.
소자 기판(610)은 유리, 석영, 유기 수지, 금속, 합금, 반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판 외에,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PVF(폴리바이닐플루오라이드), 폴리에스터, 또는 아크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여 제작하면 좋다.
화소나 구동 회로에 사용되는 트랜지스터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역 스태거형 트랜지스터로 하여도 좋고, 스태거형 트랜지스터로 하여도 좋다. 또한, 톱 게이트형 트랜지스터이어도 좋고 보텀 게이트형 트랜지스터이어도 좋다. 트랜지스터에 사용되는 반도체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실리콘, 저마늄, 탄소화 실리콘, 질화 갈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In-Ga-Zn 산화물 등, 인듐, 갈륨, 아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트랜지스터에 사용하는 반도체 재료의 결정성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비정질 반도체, 결정성을 가지는 반도체(미결정 반도체, 다결정 반도체, 단결정 반도체, 또는 일부에 결정 영역을 가지는 반도체)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결정성을 가지는 반도체를 사용하면, 트랜지스터 특성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화소나 구동 회로에 제공되는 트랜지스터 외에, 후술하는 터치 센서 등에 사용되는 트랜지스터 등의 반도체 장치에는 산화물 반도체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실리콘보다 밴드 갭이 넓은 산화물 반도체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보다 밴드 갭이 넓은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함으로써, 트랜지스터의 오프 상태에서의 전류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산화물 반도체는 적어도 인듐(In) 또는 아연(Zn)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In-M-Zn 산화물(M은 Al, Ti, Ga, Ge, Y, Zr, Sn, La, Ce, 또는 Hf 등의 금속)로 표기되는 산화물을 포함하는 산화물 반도체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특히 반도체층으로서는 복수의 결정부를 가지고, 상기 결정부는 c축이 반도체층의 피형성면 또는 반도체층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향되고, 또한 인접한 결정부들 사이에 입계를 가지지 않는 산화물 반도체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층으로서 이와 같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전기 특성의 변동이 억제되어 신뢰성이 높은 트랜지스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반도체층을 가지는 트랜지스터는 오프 전류가 작기 때문에,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용량 소자에 축적된 전하가 장기간에 걸쳐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랜지스터를 화소에 적용함으로써, 각 표시 영역에 표시된 화상의 계조를 유지하면서 구동 회로를 정지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소비 전력이 크게 저감된 발광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의 특성 안정화 등을 위하여 하지막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막으로서는 산화 실리콘막, 질화 실리콘막, 산화질화 실리콘막, 질화산화 실리콘막 등의 무기 절연막을 사용하고, 단층으로 또는 적층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하지막은 스퍼터링법, 화학 기상 성장(CVD: Chemical Vapor Deposition)법(플라스마 CVD법, 열 CVD법, MOCVD(Metal Organic CVD)법 등), 원자층 퇴적(ALD: Atomic Layer Deposition)법, 도포법, 인쇄법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지막은 필요에 따라 제공하면 된다.
또한 FET(623)는 구동 회로부(601)에 형성되는 트랜지스터 중 하나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구동 회로는 다양한 CMOS 회로, PMOS 회로, 또는 NMOS 회로로 형성되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판 위에 구동 회로를 형성한 드라이버 일체형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고 구동 회로를 기판 위가 아니라 외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화소부(602)는 스위칭용 FET(611), 전류 제어용 FET(612), 및 전류 제어용 FET(612)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양극(613)을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FET와, 용량 소자를 조합한 화소부로 하여도 좋다.
또한 양극(613)의 단부를 덮어 절연물(61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포지티브형 감광성 아크릴 수지막을 사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나중에 형성하는 EL층 등의 피복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절연물(614)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곡률을 가지는 곡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절연물(614)의 재료로서 포지티브형 감광성 아크릴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절연물(614)의 상단부에만 곡률 반경(0.2μm 내지 3μm)을 가지는 곡면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연물(614)로서는 네거티브형 감광성 수지 및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중 어느 쪽이든 사용할 수 있다.
양극(613) 위에는 EL층(616) 및 음극(61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양극(613)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일함수가 큰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ITO막, 실리콘을 포함한 인듐 주석 산화물막, 2wt% 내지 20wt%의 산화 아연을 포함한 산화 인듐막, 질화 타이타늄막, 크로뮴막, 텅스텐막, Zn막, Pt막 등의 단층막 외에, 질화 타이타늄막과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막의 적층, 질화 타이타늄막과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막과 질화 타이타늄막의 3층 구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층 구조로 하면, 배선으로서의 저항도 낮고, 양호한 옴 접촉(ohmic contact)이 얻어지며, 양극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EL층(616)은 증착 마스크를 사용한 증착법, 잉크젯법, 스핀 코팅법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된다. EL층(616)은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EL층(616)을 구성하는 다른 재료로서는 저분자 화합물 또는 고분자 화합물(올리고머, 덴드리머를 포함함)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EL층(616) 위에 형성되고 음극(617)에 사용하는 재료로서는 일함수가 작은 재료(Al, Mg, Li, Ca, 또는 이들의 합금이나 화합물(MgAg, MgIn, AlLi 등) 등)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EL층(616)에서 생긴 광이 음극(617)을 투과하는 경우에는 음극(617)으로서 막 두께가 얇은 금속 박막과, 투명 도전막(ITO, 2wt% 내지 20wt%의 산화 아연을 포함한 산화 인듐, 실리콘을 포함한 인듐 주석 산화물, 산화 아연(ZnO) 등)의 적층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양극(613), EL층(616), 및 음극(617)으로 발광 디바이스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발광 디바이스는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이다. 또한 화소부에는 복수의 발광 디바이스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발광 장치에는,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와, 이 외의 구성을 가지는 발광 디바이스의 양쪽이 혼재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실재(605)로 밀봉 기판(604)과 소자 기판(610)을 접합함으로써, 소자 기판(610), 밀봉 기판(604), 및 실재(605)로 둘러싸인 공간(607)에 발광 디바이스(618)가 제공된 구조가 된다. 또한 공간(607)에는 충전재가 충전되어 있고, 불활성 기체(질소나 아르곤 등)가 충전되는 경우 외에, 실재로 충전되는 경우도 있다. 밀봉 기판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거기에 건조제를 제공함으로써, 수분의 영향으로 인한 열화를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실재(605)에는 에폭시계 수지나 유리 프릿(glass frit)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재료는 수분이나 산소를 가능한 한 투과시키지 않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봉 기판(604)에 사용하는 재료로서는 유리 기판이나 석영 기판 외에,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PVF(폴리바이닐플루오라이드), 폴리에스터, 또는 아크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의 (A) 및 (B)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음극 위에 보호막을 제공하여도 좋다. 보호막은 유기 수지막이나 무기 절연막으로 형성하면 좋다. 또한 실재(605)의 노출된 부분을 덮도록 보호막이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보호막은 한 쌍의 기판의 표면 및 측면, 밀봉층, 절연층 등의 노출된 측면을 덮어 제공할 수 있다.
보호막에는 물 등의 불순물을 투과시키기 어려운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물 등의 불순물이 외부로부터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보호막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산화물, 질화물, 플루오린화물, 황화물, 삼원 화합물, 금속, 또는 폴리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산화 알루미늄, 산화 하프늄, 하프늄실리케이트, 산화 란타넘, 산화 실리콘, 타이타늄산 스트론튬, 산화 탄탈럼, 산화 타이타늄, 산화 아연, 산화 나이오븀, 산화 지르코늄, 산화 주석, 산화 이트륨, 산화 세륨, 산화 스칸듐, 산화 어븀, 산화 바나듐, 또는 산화 인듐 등을 포함하는 재료, 질화 알루미늄, 질화 하프늄, 질화 실리콘, 질화 탄탈럼, 질화 타이타늄, 질화 나이오븀, 질화 몰리브데넘, 질화 지르코늄, 또는 질화 갈륨 등을 포함하는 재료, 혹은 타이타늄 및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질화물, 타이타늄 및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산화물, 알루미늄 및 아연을 포함하는 산화물, 망가니즈 및 아연을 포함하는 황화물, 세륨 및 스트론튬을 포함하는 황화물, 어븀 및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산화물, 이트륨 및 지르코늄을 포함하는 산화물 등을 포함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보호막은 단차 피복성(step coverage)이 양호한 성막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 중 하나에 ALD법이 있다. ALD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재료를 보호막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D법을 사용함으로써, 크랙이나 핀홀 등의 결함이 저감되거나 두께가 균일한, 치밀한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호막의 형성 시에 가공 부재에 가해지는 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LD법을 사용함으로써 복잡한 요철 형상을 가지는 표면, 터치 패널의 상면, 측면, 및 뒷면에까지 균일하고 결함이 적은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제작된 발광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발광 장치에는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특성이 양호한 발광 장치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는 발광 효율이 양호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작은 발광 장치로 할 수 있다.
도 3의 (A) 및 (B)에는, 백색 발광을 나타내는 발광 디바이스를 형성하고 착색층(컬러 필터) 등을 제공함으로써 풀 컬러 표시를 실현한 발광 장치의 예를 나타내었다. 도 3의 (A)에는 기판(1001), 하지 절연막(1002), 게이트 절연막(1003), 게이트 전극(1006), 게이트 전극(1007), 게이트 전극(1008), 제 1 층간 절연막(1020), 제 2 층간 절연막(1021), 주변부(1042), 화소부(1040), 구동 회로부(1041), 발광 디바이스의 양극(1024W), 발광 디바이스의 양극(1024R), 발광 디바이스의 양극(1024G), 발광 디바이스의 양극(1024B), 격벽(1025), EL층(1028), 발광 디바이스의 음극(1029), 밀봉 기판(1031), 실재(1032) 등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 3의 (A)에서는 착색층(적색 착색층(1034R), 녹색 착색층(1034G), 청색 착색층(1034B))이 투명한 기재(1033)에 제공되어 있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1035)를 더 제공하여도 좋다. 착색층 및 블랙 매트릭스(1035)가 제공된 투명한 기재(1033)는 위치를 맞추어 기판(1001)에 고정된다. 또한, 착색층 및 블랙 매트릭스(1035)는 오버코트층으로 덮여 있다. 또한 도 3의 (A)에서는 광이 착색층을 투과하지 않고 외부로 방출되는 발광층과, 광이 각 색의 착색층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발광층이 있고, 착색층을 투과하지 않는 광은 백색이 되고, 착색층을 투과하는 광은 적색, 녹색, 청색이 되기 때문에, 4색의 화소로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도 3의 (B)에는 착색층(적색 착색층(1034R), 녹색 착색층(1034G), 청색 착색층(1034B))을 게이트 절연막(1003)과 제 1 층간 절연막(1020) 사이에 형성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착색층은 기판(1001)과 밀봉 기판(1031) 사이에 제공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발광 장치는 FET가 형성된 기판(1001) 측으로 광이 추출되는 구조(보텀 이미션형)의 발광 장치이지만, 밀봉 기판(1031) 측으로 발광을 추출하는 구조(톱 이미션형)의 발광 장치이어도 좋다. 톱 이미션형 발광 장치의 단면도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이 경우, 기판(1001)에는 광을 투과시키지 않는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FET와 발광 디바이스의 양극을 접속하는 접속 전극을 제작하는 단계까지는 보텀 이미션형 발광 장치와 같은 식으로 형성한다. 그 후, 전극(1022)을 덮도록 제 3 층간 절연막(1037)을 형성한다. 이 절연막은 평탄화의 역할을 가져도 좋다. 제 3 층간 절연막(1037)은 제 2 층간 절연막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다른 공지의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발광 디바이스의 양극(1024W), 발광 디바이스의 양극(1024R), 발광 디바이스의 양극(1024G), 발광 디바이스의 양극(1024B)은 양극으로 하였지만, 음극이어도 좋다. 또한 도 4와 같은 톱 이미션형 발광 장치의 경우, 양극을 반사 전극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L층(1028)의 구성은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EL층(103)과 같은 구성으로 하고, 또한 백색 발광이 얻어지는 소자 구조로 한다.
도 4와 같은 톱 이미션 구조의 경우, 착색층(적색 착색층(1034R), 녹색 착색층(1034G), 청색 착색층(1034B))을 제공한 밀봉 기판(1031)으로 밀봉을 할 수 있다. 밀봉 기판(1031)에는, 화소들 간에 위치하는 블랙 매트릭스(1035)를 제공하여도 좋다. 착색층(적색 착색층(1034R), 녹색 착색층(1034G), 청색 착색층(1034B)) 및 블랙 매트릭스(1035)는 오버코트층으로 덮여 있어도 좋다. 또한, 밀봉 기판(1031)에는 투광성을 가지는 기판을 사용한다. 또한 여기서는 적색, 녹색, 청색, 백색의 4색을 사용하여 풀 컬러 표시를 수행하는 예를 제시하였지만,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색, 황색, 녹색, 청색의 4색이나, 적색, 녹색, 청색의 3색을 사용하여 풀 컬러 표시를 수행하여도 좋다.
톱 이미션형 발광 장치에서는 마이크로캐비티 구조를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캐비티 구조를 가지는 발광 디바이스는 양극을 반사 전극으로 하고, 음극을 반투과 반반사 전극으로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반사 전극과 반투과 반반사 전극 사이에는 적어도 EL층을 가지고, 적어도 발광 영역이 되는 발광층을 가진다.
또한 반사 전극은 가시광의 반사율이 4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이고, 또한 저항률이 1×10-2Ωcm 이하인 막이다. 또한 반투과 반반사 전극은 가시광의 반사율이 2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이고, 또한 저항률이 1×10-2Ωcm 이하인 막이다.
EL층에 포함되는 발광층으로부터 사출되는 발광은 반사 전극과 반투과 반반사 전극에 의하여 반사되어 공진된다.
상기 발광 디바이스에서는, 투명 도전막이나 상술한 복합 재료, 캐리어 수송 재료 등의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반사 전극과 반투과 반반사 전극 사이의 광학적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반사 전극과 반투과 반반사 전극 사이에서, 공진하는 파장의 광을 강하게 하고, 공진하지 않는 파장의 광을 감쇠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 전극에 의하여 반사되어 되돌아온 광(제 1 반사광)은 발광층으로부터 반투과 반반사 전극에 직접 입사하는 광(제 1 입사광)과의 큰 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에, 반사 전극과 발광층의 광학적 거리를 (2n-1)λ/4(다만 n은 1 이상의 자연수이고, λ는 증폭하고자 하는 발광의 파장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적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제 1 반사광과 제 1 입사광의 위상을 맞추어 발광층으로부터의 발광을 더 증폭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 EL층은 복수의 발광층을 가지는 구조이어도 좋고, 하나의 발광층을 가지는 구조이어도 좋고, 예를 들어 상술한 탠덤형 발광 디바이스의 구성과 조합하여, 하나의 발광 디바이스에 전하 발생층을 끼우는 복수의 EL층을 제공하고, 각 EL층이 하나 또는 복수의 발광층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마이크로캐비티 구조를 가짐으로써 정면 방향에서의 특정 파장의 발광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적색, 황색, 녹색, 청색의 4색의 부화소로 영상을 표시하는 발광 장치의 경우, 황색 발광에 의하여 휘도를 높이고, 모든 부화소에서 각 색의 파장에 맞춘 마이크로캐비티 구조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특성이 양호한 발광 장치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발광 장치에는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특성이 양호한 발광 장치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는 발광 효율이 양호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작은 발광 장치로 할 수 있다.
여기까지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발광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하에서는 패시브 매트릭스형 발광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 및 (B)에는 본 발명을 적용하여 제작한 패시브 매트릭스형 발광 장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5의 (A)는 발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나타낸 일점쇄선 X-Y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에서, 기판(951) 위에는, 전극(952)과 전극(956) 사이에 EL층(955)이 제공된다. 전극(952)의 단부는 절연층(953)으로 덮여 있다. 그리고 절연층(953) 위에는 격벽층(954)이 제공되어 있다. 격벽층(954)의 측벽은, 기판 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한쪽 측벽과 다른 쪽의 측벽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사를 가진다. 즉 격벽층(954)의 짧은 변 방향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이고, 저변(절연층(953)의 면 방향과 같은 방향을 향하고 절연층(953)과 접하는 변)이 상변(절연층(953)의 면 방향과 같은 방향을 향하고 절연층(953)과 접하지 않는 변)보다 짧다. 이와 같이 격벽층(954)을 제공함으로써, 정전기 등에 기인한 발광 디바이스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시브 매트릭스형 발광 장치에서도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양호한 발광 장치 또는 소비 전력이 작은 발광 장치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발광 장치는 매트릭스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미소한 발광 디바이스를 각각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을 표현하는 표시 장치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와 자유로이 조합될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를 조명 장치로서 사용하는 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의 (B)는 조명 장치의 상면도이고, 도 6의 (A)는 도 6의 (B)에 나타낸 선분 e-f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조명 장치는 지지체인 투광성을 가지는 기판(400) 위에 양극(401)이 형성되어 있다. 양극(401)은 실시형태 1에서의 양극(101)에 상당한다. 양극(401) 측으로부터 발광을 추출하는 경우, 양극(401)을 투광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한다.
음극(404)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패드(412)가 기판(400) 위에 형성된다.
양극(401) 위에는 EL층(403)이 형성되어 있다. EL층(403)은 실시형태 1에서의 EL층(103)의 구성, 또는 제 1 발광 유닛과 제 2 발광 유닛과 전하 발생층을 조합한 구성 등에 상당한다. 또한 이들 구성에 대해서는 앞의 기재를 참조하기 바란다.
EL층(403)을 덮어 음극(404)을 형성한다. 음극(404)은 실시형태 1에서의 음극(102)에 상당한다. 발광을 양극(401) 측으로부터 추출하는 경우, 음극(404)은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형성된다. 음극(404)은 패드(412)와 접속됨으로써 전압이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기재된 조명 장치는 양극(401), EL층(403), 및 음극(404)을 가지는 발광 디바이스를 가진다. 상기 발광 디바이스는 발광 효율이 높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조명 장치를 소비 전력이 작은 조명 장치로 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발광 디바이스가 형성된 기판(400)과 밀봉 기판(407)을 실재(405) 및 실재(406)를 사용하여 고착시키고 밀봉함으로써 조명 장치가 완성된다. 실재(405) 및 실재(406)는 어느 한쪽만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내측의 실재(406)(도 6의 (B)에는 도시하지 않았음)에는 건조제를 섞을 수도 있고, 이로써 수분을 흡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패드(412)와 양극(401)의 일부를 실재(405) 및 실재(406)의 외부로 연장시켜 제공함으로써, 외부 입력 단자로 할 수 있다. 또한 그 위에 컨버터 등을 탑재한 IC칩(420) 등을 제공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기재된 조명 장치에서는 EL 소자에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가 사용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작은 조명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와 자유로이 조합될 수 있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를 그 일부에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는 발광 효율이 양호하고 소비 전력이 작은 발광 디바이스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기재되는 전자 기기를 소비 전력이 작은 발광부를 가지는 전자 기기로 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디바이스를 적용한 전자 기기로서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장치(텔레비전 또는 텔레비전 수신기라고도 함), 컴퓨터용 등의 모니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액자, 휴대 전화기(휴대 전화, 휴대 전화 장치라고도 함), 휴대용 게임기, 휴대 정보 단말기, 음향 재생 장치, 파친코기 등의 대형 게임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전자 기기의 구체적인 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7의 (A)는 텔레비전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텔레비전 장치는 하우징(7101)에 표시부(7103)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스탠드(7105)에 의하여 하우징(7101)을 지지한 구성을 나타내었다. 표시부(7103)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표시부(7103)는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를 매트릭스상으로 배열하여 구성되어 있다.
텔레비전 장치는 하우징(7101)이 가지는 조작 스위치 및 별체의 리모트 컨트롤러(7110)로 조작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7110)의 조작 키(7109)에 의하여, 채널 및 음량을 조작할 수 있고, 표시부(7103)에 표시되는 영상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711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7107)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110)에 제공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표시부(7107)에도 매트릭스상으로 배열된,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장치는 수신기, 모뎀 등을 가지는 구성으로 한다. 수신기에 의하여 일반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할 수 있고, 모뎀을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단방향(송신자로부터 수신자로) 또는 쌍방향(송신자와 수신자 간, 또는 수신자들끼리 등)의 정보 통신을 할 수도 있다.
도 7의 (B1)에 나타낸 컴퓨터는 본체(7201), 하우징(7202), 표시부(7203), 키보드(7204), 외부 접속 포트(7205), 포인팅 디바이스(7206)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 컴퓨터는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를 매트릭스상으로 배열하여 표시부(7203)에 사용함으로써 제작된다. 도 7의 (B1)의 컴퓨터는 도 7의 (B2)에 나타낸 구조를 가져도 좋다. 도 7의 (B2)의 컴퓨터에는 키보드(7204) 및 포인팅 디바이스(7206) 대신에 표시부(7210)가 제공되어 있다. 표시부(7210)는 터치 패널식이므로, 표시부(7210)에 표시된 입력용 표시를 손가락 또는 전용 펜으로 조작함으로써 입력을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7210)는 입력용 표시뿐만 아니라 기타 화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7203)도 터치 패널이어도 좋다. 2개의 화면이 힌지로 연결됨으로써, 수납 및 운반을 할 때 화면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의 (C)는 휴대 단말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휴대 전화기는 하우징(7401)에 제공된 표시부(7402) 외에 조작 버튼(7403), 외부 접속 포트(7404), 스피커(7405), 마이크로폰(7406) 등을 가진다. 또한, 상기 휴대 전화기는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를 매트릭스상으로 배열되어 제작된 표시부(7402)를 가진다.
도 7의 (C)에 나타낸 휴대 단말기는, 표시부(7402)를 손가락 등으로 터치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시부(7402)를 손가락 등으로 터치함으로써, 전화를 걸거나 메일을 작성하는 등의 조작을 할 수 있다.
표시부(7402)의 화면에는 주로 3가지 모드가 있다. 하나는 화상 표시를 주로 하는 표시 모드이고, 또 하나는 문자 등의 정보 입력을 주로 하는 입력 모드이다. 마지막 하나는 표시 모드와 입력 모드의 2가지 모드가 조합된 표시+입력 모드이다.
예를 들어 전화를 걸거나 메일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표시부(7402)의 모드를 문자의 입력을 주로 하는 문자 입력 모드로 하여, 화면에 표시된 문자를 입력하면 좋다. 이 경우 표시부(7402)의 화면 대부분에 키보드 또는 번호 버튼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 단말기 내부에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 기울기를 검출하는 센서를 가지는 검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방향(세로인지 가로인지)을 판단하여, 표시부(7402)의 화면 표시를 자동적으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화면 모드는 표시부(7402)를 터치하거나 하우징(7401)의 조작 버튼(7403)을 조작함으로써 전환된다. 또한 표시부(7402)에 표시되는 화상의 종류에 따라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 신호가 동영상의 데이터이면 표시 모드로, 텍스트 데이터이면 입력 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입력 모드에서 표시부(7402)의 광 센서로 검출되는 신호를 검지하고, 표시부(7402)의 터치 조작에 의한 입력이 일정 기간 없는 경우에는 화면의 모드를 입력 모드로부터 표시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여도 좋다.
표시부(7402)는 이미지 센서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7402)를 손바닥 또는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장문, 지문 등을 촬상함으로써, 본인 인증을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에 근적외광을 발광하는 백라이트 또는 근적외광을 발광하는 센싱용 광원을 사용하면, 손가락 정맥, 손바닥 정맥 등을 촬상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기재되는 구성은,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4에 기재된 구성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를 구비한 발광 장치의 적용 범위는 매우 넓고, 이 발광 장치를 다양한 분야의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소비 전력이 작은 전자 기기를 얻을 수 있다.
도 8의 (A)는 로봇 청소기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로봇 청소기(5100)는 상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5101), 측면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5102), 브러시(5103), 조작 버튼(5104)을 가진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로봇 청소기(5100)의 하면에는 바퀴, 흡입구 등이 제공되어 있다. 로봇 청소기(5100)는 그 외에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가속도 센서, 피에조 센서, 광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의 각종 센서를 가진다. 또한 로봇 청소기(5100)는 무선 통신 수단을 가진다.
로봇 청소기(5100)는 자율적으로 주행하고, 먼지(5120)를 검지하고, 하면에 제공된 흡입구로부터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로봇 청소기(5100)는 카메라(5102)가 촬영한 화상을 해석하여 벽, 가구, 또는 단차 등의 장애물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배선 등 브러시(5103)에 얽히기 쉬운 물체를 검지한 경우에는 브러시(5103)의 회전을 멈출 수 있다.
디스플레이(5101)에는 배터리 잔량이나 흡입한 먼지의 양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5100)가 주행한 경로를 디스플레이(5101)에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디스플레이(5101)를 터치 패널로 하고, 조작 버튼(5104)을 디스플레이(5101)에 제공하여도 좋다.
로봇 청소기(5100)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전자 기기(5140)와 통신할 수 있다. 카메라(5102)가 촬영한 화상을 휴대 전자 기기(514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로봇 청소기(5100)의 소유자는 밖에 있어도 방의 상황을 알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5101)의 표시를 스마트폰 등의 휴대 전자 기기로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장치는 디스플레이(5101)에 사용할 수 있다.
도 8의 (B)에 나타낸 로봇(2100)은 연산 장치(2110), 조도 센서(2101), 마이크로폰(2102), 상부 카메라(2103), 스피커(2104), 디스플레이(2105), 하부 카메라(2106), 장애물 센서(2107), 및 이동 기구(2108)를 가진다.
마이크로폰(2102)은 사용자의 목소리 및 환경음 등을 검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스피커(2104)는 음성을 발하는 기능을 가진다. 로봇(2100)은 마이크로폰(2102) 및 스피커(2104)를 사용하여 사용자와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5)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로봇(2100)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2105)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5)에는 터치 패널을 탑재하여도 좋다. 또한 디스플레이(2105)는 탈착 가능한 정보 단말기이어도 좋고, 로봇(2100)의 정위치에 설치되면 충전 및 데이터의 수수를 할 수 있다.
상부 카메라(2103) 및 하부 카메라(2106)는 로봇(2100)의 주위를 촬상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장애물 센서(2107)는, 이동 기구(2108)를 사용하여 로봇(2100)이 앞으로 가는 진행 방향에서의 장애물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로봇(2100)은 상부 카메라(2103), 하부 카메라(2106), 및 장애물 센서(2107)를 사용하여 주위의 환경을 인식함으로써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장치는 디스플레이(2105)에 사용할 수 있다.
도 8의 (C)는 고글형 디스플레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고글형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하우징(5000), 표시부(5001), 표시부(5002), 스피커(5003), LED 램프(5004), 조작 키(전원 스위치, 또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함), 접속 단자(5006), 센서(5007)(힘, 변위, 위치, 속도, 가속도, 각속도, 회전수, 거리, 광, 액체, 자기, 온도, 화학 물질, 음성, 시간, 경도(硬度), 전기장, 전류, 전압, 전력, 방사선, 유량, 습도, 경사도, 진동, 냄새, 또는 적외선을 측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 마이크로폰(5008), 지지부(5012), 이어폰(5013) 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장치는 표시부(5001) 및 표시부(5002)에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를 조명 장치인 전기 스탠드에 사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나타낸 전기 스탠드는 하우징(2001)과 광원(2002)을 가지고, 광원(2002)에는 실시형태 3에 기재된 조명 장치를 사용하여도 좋다.
도 10은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를 실내의 조명 장치(3001)로서 사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는 발광 효율이 높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작은 조명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는 대면적화가 가능하므로, 대면적의 조명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는 얇기 때문에, 박형화된 조명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는 자동차의 앞유리 및 대시 보드에도 탑재할 수 있다. 도 11에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를 자동차의 앞유리 및 대시 보드에 사용하는 일 형태를 나타내었다. 표시 영역(5200) 내지 표시 영역(5203)은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제공된 표시 영역이다.
표시 영역(5200)과 표시 영역(5201)은 자동차의 앞유리에 제공되고,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가 탑재된 표시 장치이다.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는 양극과 음극을 투광성을 가지는 전극으로 제작함으로써, 반대편이 비쳐 보이는 소위 시스루 상태의 표시 장치로 할 수 있다. 시스루 상태의 표시이면, 자동차의 앞유리에 설치하여도 시야를 가리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구동을 위한 트랜지스터 등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유기 반도체 재료를 사용한 유기 트랜지스터,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 등, 투광성을 가지는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표시 영역(5202)은 필러 부분에 제공되고, 실시형태 1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가 탑재된 표시 장치이다. 표시 영역(5202)은, 차체에 제공된 촬상 수단으로부터의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필러로 가려진 시야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대시 보드 부분에 제공된 표시 영역(5203)은 차체로 가려진 시야를, 자동차의 외측에 제공된 촬상 수단으로부터의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사각을 보완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보이지 않는 부분을 보완하도록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더 자연스럽고 위화감 없이 안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5203)은 내비게이션 정보, 속도계, 회전계, 에어컨디셔너의 설정 등을 표시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 항목 및 레이아웃은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정보는 표시 영역(5200) 내지 표시 영역(5202)에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5200) 내지 표시 영역(5203)을 조명 장치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2의 (A) 및 (B)에 접을 수 있는 휴대 정보 단말기(5150)를 나타내었다. 접을 수 있는 휴대 정보 단말기(5150)는 하우징(5151), 표시 영역(5152), 및 굴곡부(5153)를 가진다. 도 12의 (A)는 펼친 상태의 휴대 정보 단말기(515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B)는 접은 상태의 휴대 정보 단말기를 나타낸 것이다. 휴대 정보 단말기(5150)는 큰 표시 영역(5152)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접으면 작고 가반성(可搬性)이 우수하다.
표시 영역(5152)은 굴곡부(5153)에 의하여 반으로 접을 수 있다. 굴곡부(5153)는 신축할 수 있는 부재와 복수의 지지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접는 경우에는 신축할 수 있는 부재가 연장되고, 굴곡부(5153)는 2mm 이상, 바람직하게는 3mm 이상의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접힌다.
또한 표시 영역(5152)은 터치 센서(입력 장치)가 탑재된 터치 패널(입출력 장치)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장치를 표시 영역(5152)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A) 내지 (C)에 접을 수 있는 휴대 정보 단말기(9310)를 나타내었다. 도 13의 (A)는 펼친 상태의 휴대 정보 단말기(931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의 (B)는 펼친 상태에서 접은 상태로, 또는 접은 상태에서 펼친 상태로 변화되는 도중의 휴대 정보 단말기(931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의 (C)는 접은 상태의 휴대 정보 단말기(9310)를 나타낸 것이다. 휴대 정보 단말기(9310)는, 접은 상태에서는 가반성이 우수하고, 펼친 상태에서는 이음매가 없는 넓은 표시 영역을 가지므로 표시의 일람성이 높다.
표시 패널(9311)은 힌지(9313)로 연결된 3개의 하우징(9315)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한 표시 패널(9311)은 터치 센서(입력 장치)가 탑재된 터치 패널(입출력 장치)이어도 좋다. 또한 표시 패널(9311)은, 힌지(9313)를 이용하여 2개의 하우징(9315) 사이를 굴곡시킴으로써, 휴대 정보 단말기(9310)를 펼친 상태로부터 접은 상태로 가역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장치를 표시 패널(9311)에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참고 합성예 1>>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6-메틸-8-퀴놀리놀레이토-리튬(약칭: Li-6mq)의 합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Li-6mq의 구조식을 이하에 나타낸다.
[화학식 25]
Figure pct00025
8-하이드록시-6-메틸퀴놀린 2.0g(12.6mmol), 탈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약칭: THF) 130mL를 3구 플라스크에 넣고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리튬 tert-뷰톡사이드(약칭: tBuOLi)의 1M THF 용액 10.1mL(10.1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4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하여 황색 고체를 얻었다. 이 고체에 아세토나이트릴을 첨가하고 초음파를 조사한 후에 여과함으로써 담황색 고체를 얻었다. 이 세정 조작을 두 번 수행하였다. 여과물로서 Li-6mq의 담황색 고체 1.6g(수율 95%)을 얻었다. 본 합성 스킴을 이하에 나타낸다.
[화학식 26]
Figure pct00026
다음으로, Li-6mq의 탈수 아세톤 용액에서의 흡수 스펙트럼 및 발광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흡수 스펙트럼은 자외 가시 분광 광도계(JASCO Corporation 제조, V550형)를 사용하여 측정되고, 탈수 아세톤만을 석영 셀에 넣고 측정한 스펙트럼을 뺀 것이다. 또한, 발광 스펙트럼의 측정에는 형광 광도계(JASCO Corporation 제조 FP-8600)를 사용하였다.
도 14에서, Li-6mq의 탈수 아세톤 용액은 390nm에 흡수 피크가 보이고, 발광 파장의 피크는 540nm(여기 파장 385nm)이었다.
<<참고 합성예 2>>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저굴절률 전자 수송성 재료의 합성 방법의 일례를 이하에 나타낸다.
우선, 구조식(200)으로 나타내어지는 유기 화합물인 2-{(3',5'-다이-tert-뷰틸)-1,1'-바이페닐-3-일}-4,6-비스(3,5-다이-tert-뷰틸페닐)-1,3,5-트라이아진(약칭: mmtBumBP-dmmtBuPTzn)의 합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mmtBumBP-dmmtBuPTzn의 구조를 이하에 나타낸다.
[화학식 27]
Figure pct00027
<단계 1: 3-브로모-3',5'-다이-tert-뷰틸바이페닐의 합성>
3구 플라스크에 3,5-다이-tert-뷰틸페닐보론산 1.0g(4.3mmol), 1-브로모-3-아이오도벤젠 1.5g(5.2mmol), 2mol/L 탄산 포타슘 수용액 4.5mL, 톨루엔 20mL, 에탄올 3mL를 넣고, 감압하에서 교반함으로써 탈기하였다. 여기에 트리스(2-메틸페닐)포스핀(약칭: P(o-tolyl)3) 52mg(0.17mmol), 아세트산 팔라듐(II)(약칭: Pd(OAc)2) 10mg(0.043mmol)을 더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 80℃에서 1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료된 후, 톨루엔으로 추출을 수행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을 사용하여 건조시켰다. 이 혼합물을 자연 여과하고, 얻어진 여과액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 헥세인)로 정제함으로써, 목적물인 백색 고체 1.0g(수율: 68%)을 얻었다. 단계 1의 합성 스킴을 이하에 나타낸다.
[화학식 28]
Figure pct00028
<단계 2: 2-(3',5'-다이-tert-뷰틸바이페닐-3-일)-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레인의 합성>
3구 플라스크에 3-브로모-3',5'-다이-tert-뷰틸바이페닐 1.0g(2.9mmol), 비스(피나콜레이토)다이보론 0.96g(3.8mmol), 아세트산 포타슘 0.94g(9.6mmol), 1,4-다이옥세인 30mL를 넣고, 감압하에서 교반함으로써 탈기하였다. 여기에 2-다이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6'-다이메톡시바이페닐(약칭: SPhos) 0.12g(0.30mmol), [1,1'-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다이클로라이드다이클로로메테인 부가물(약칭: Pd(dppf)2Cl2·CH2Cl2) 0.12g(0.15mmol)을 더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 110℃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료된 후, 톨루엔으로 추출을 수행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을 사용하여 건조시켰다. 이 혼합물을 자연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 톨루엔)로 정제함으로써, 목적물인 황색 오일 0.89g(수율: 78%)을 얻었다. 단계 2의 합성 스킴을 이하에 나타낸다.
[화학식 29]
Figure pct00029
<단계 3: mmtBumBP-dmmtBuPTzn의 합성>
3구 플라스크에 4,6-비스(3,5-다이-tert-뷰틸-페닐)-2-클로로-1,3,5-트라이아진 0.8g(1.6mmol), 2-(3',5'-다이-tert-뷰틸바이페닐-3-일)-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레인 0.89g(2.3mmol), 인산 삼포타슘 0.68g(3.2mmol), 물 3mL, 톨루엔 8mL, 1,4-다이옥세인 3mL를 넣고, 감압하에서 교반함으로써 탈기하였다. 또한 이에 아세트산 팔라듐(II) 3.5mg(0.016mmol), 트리스(2-메틸페닐)포스핀 10mg(0.032mmol)을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에 있어서 12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이 종료된 후,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을 수행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을 사용하여 건조시켰다. 이 혼합물을 자연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을 농축하고,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 아세트산 에틸:헥세인=1:20)로 정제하여 고체를 얻었다. 이 고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 클로로폼:헥세인=5:1에서 클로로폼:헥세인=1:0으로 변화시켰음)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헥세인을 사용하여 재결정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백색 고체를 0.88g(수율: 76%) 얻었다. 단계 3의 합성 스킴을 이하에 나타낸다.
[화학식 30]
Figure pct00030
얻어진 백색 고체 0.87g을 트레인 서블리메이션법으로 압력 5.8Pa에서 아르곤 가스를 흘리면서 230℃의 조건으로 고체를 가열하여 승화 정제하였다. 승화 정제 후, 목적물인 백색 고체를 0.82g, 회수율 95%로 얻었다.
또한 상기 단계 3에서 얻은 백색 고체의 핵자기 공명 분광법(1H-NMR)에 의한 분석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이 결과로부터, 상기 합성법으로 상술한 구조식(200)으로 나타내어지는 mmtBumBP-dmmtBuPTzn이 얻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1H NMR(CDCl3, 300MHz):δ=1.42-1.49(m, 54H), 7.50(s, 1H), 7.61-7.70(m, 5H), 7.87(d, 1H), 8.68-8.69(m, 4H), 8.78(d, 1H), 9.06(s, 1H).
또한, 상술한 합성 방법으로 얻어진 mmtBumBP-dmmtBuPTzn의 굴절률을 분광 엘립소미터(J.A. Woollam Japan Corp. 제조, M-2000U)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도 15에 나타내었다. 측정에는 석영 기판 위에 각 층의 재료를 진공 증착법으로 약 50nm 성막한 막을 사용하였다. 또한, 도 15에는 상광선의 굴절률인 n, Ordinary와 이상광선의 굴절률인 n, Extra-ordinary를 기재하였다.
도 15에서 mmtBumBP-dmmtBuPTzn은 청색 발광 영역(455nm 이상 465nm 이하) 전체에서 상광선 굴절률이 1.50 이상 1.75 이하의 범위에 있고, 또한 633nm에 대한 상광선 굴절률도 1.45 이상 1.70 이하의 범위에 있으므로, 굴절률이 낮은 재료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하기 구조식(201) 내지 구조식(204)으로 나타내어지는 유기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화학식 31]
Figure pct00031
또한, 각 유기 화합물의 핵자기 공명 분광법(1H-NMR)에 의한 분석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구조식(201): 2-{(3',5'-다이-tert-뷰틸)-1,1'-바이페닐-3-일}-4,6-다이페닐-1,3,5-트라이아진(약칭: mmtBumBPTzn)
1H NMR(CDCl3, 300MHz):δ=1.44(s, 18H), 7.51-7.68(m, 10H), 7.83(d, 1H), 8.73-8.81(m, 5H), 9.01(s, 1H).
구조식(202): 2-(3,3'',5,5''-테트라-tert-뷰틸-1,1':3',1''-페닐-5'-일)-4,6-다이페닐-1,3,5-트라이아진(약칭: mmtBumTPTzn)
1H NMR(CDCl3, 300MHz):δ=1.44(s, 36H), 7.54-7.62(m, 12H), 7.99(t, 1H), 8.79(d, 4H), 8.92(d, 2H).
구조식(203): 2-{(3',5'-다이-tert-뷰틸)-1,1'-바이페닐-3-일}-4,6-비스(3,5-다이-tert-뷰틸페닐)-1,3-피리미딘(약칭: mmtBumBP-dmmtBuPPm)
1H NMR(CDCl3, 300MHz):δ=1.39-1.45(m, 54H), 7.47(t, 1H), 7.59-7.65(m, 5H), 7.76(d, 1H), 7.95(s, 1H), 8.06(d, 4H), 8.73(d, 1H, 8.99(s, 1H)).
구조식(204) 2-(3,3'',5',5''-테트라-tert-뷰틸-1,1':3',1''-터페닐-5-일)-4,6-다이페닐-1,3,5-트라이아진(약칭: mmtBumTPTzn-02)
1H NMR(CDCl3, 300MHz):δ=1.41(s, 18H), 1.49(s, 9H), 1.52(s, 9H), 7.49(s, 3H), 7.58-7.63(m, 7H), 7.69-7.70(m, 2H), 7.88(t, 1H), 8.77-8.83(m, 6H).
이상의 유기 화합물은 모두 청색 발광 영역(455nm 이상 465nm 이하)에서의 상광선 굴절률이 1.50 이상 1.75 이하 또는 굴절률의 측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633nm의 광에 대한 상광선 굴절률이 1.45 이상 1.70 이하인 유기 화합물이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발명의 일 형태의 발광 디바이스를 모방한 시료에 대하여 전자 스핀 공명(ESR: Electron Spin Resonance)법을 사용하여 평가한 결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시료 1, 비교 시료 1, 및 비교 시료 2의 제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료 1의 제작 방법)
12텅스토(VI)인산 n수화물(약칭: H3O40PW12, FUJIFILM Wako Pure Chemical Corporation 제조)과 4-다이페닐아미노다이페닐아민(DPA)을 1mol:8mol의 비율로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에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석영 기판 위에 적하하여 성막하였다. 얻어진 성막 기판을 약 150℃의 핫플레이트 위에서 건조시켜, 시료 1을 얻었다.
[화학식 32]
Figure pct00032
시료 1에 포함되는 H3O40PW12는 헤테로폴리산이고, 시료 1에 포함되는 DPA는 2급 아민 화합물이다. 즉, 시료 1은 헤테로폴리산과 2급 아민의 혼합막을 가진다.
(비교 시료 1의 제작 방법)
H3O40PW12를 DMF에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석영 기판 위에 적하하여 성막하였다. 얻어진 성막 기판을 약 150℃의 핫플레이트 위에서 건조시켜, 비교 시료 1을 얻었다.
(비교 시료 2의 제작 방법)
DPA를 DMF에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석영 기판 위에 적하하여 성막하였다. 얻어진 성막 기판을 약 150℃의 핫플레이트 위에서 건조시켜, 비교 시료 2를 얻었다.
시료 1, 비교 시료 1, 및 비교 시료 2의 각각에 있어서, 기판을 분단하고, 이를 석영 튜브에 넣고, ESR법으로 전자 스핀 공명 스펙트럼(ESR 스펙트럼)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ESR 스펙트럼으로부터, 빈 석영 튜브에서 유래된 ESR 스펙트럼을 각각 뺀 값을 얻었다.
시료 1, 비교 시료 1, 및 비교 시료 2의 ESR 측정을 수행한 결과를 도 18에 나타내었다. 도 18은 시료 1, 비교 시료 1, 및 비교 시료 2의 ES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에 있어서 가로축은 g값이고, 세로축은 스핀 강도(Intensity)[a.u.]이다.
또한, ESR 스펙트럼의 측정은 전자 스핀 공명 측정 장치 JES FA300형(JEOL Ltd. 제조)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측정은 공진 주파수(약 9.2GHz), 출력(1mW), 변조 자기장(50mT), 변조 폭(0.5mT), 시간 상수(0.03sec), 스위프 시간(4min),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그리고, Mn2+ 제 3 시그널 및 제 4 시그널의 위치에 의하여 자기장 보정을 수행하였다.
측정의 결과, 시료 1의 ESR 스펙트럼에서는 현저히 강한 시그널이 검출되었다. 시료 1의 ESR 스펙트럼에서 검출된 시그널로부터 산출된 g값은 약 2.00이었다. 이는 H3O40PW12와 DPA의 상호 작용으로 형성되는 반점유 궤도에서 유래되는 g값(g=2.00)이다. 한편, 비교 시료 1의 ESR 스펙트럼 및 비교 시료 2의 ESR 스펙트럼으로부터는 약 2.00의 g값에 강한 시그널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헤테로폴리산과 2급 아민의 혼합막 및 혼합물은 혼합되지 않은 것에 비하여 약 2.00의 g값의 스핀 밀도가 현저히 증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캐리어가 생성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헤테로폴리산과 2급 아민의 혼합막을 정공 주입층에 사용하면, 정공 주입성이 양호한 소자가 얻어진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또한, 헤테로폴리산과 2급 아민의 혼합막을 가지는 정공 주입층은 ESR법에 의한 전자 스핀 공명 스펙트럼의 측정에서 약 2.00의 g값에 시그널을 가진다.
다음으로, 시료 1, 비교 시료 1, 및 비교 시료 2의 자외 가시 흡수 스펙트럼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자외 가시 흡수 스펙트럼의 측정에는 자외 가시 분광 광도계(V-550, 박막: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oration 제조, U-4100)를 사용하였다. 또한, 값은 기판을 포함한 투과율과 반사율로부터 산출한 흡광도(-log10[%T/(100-%R)])로부터 산출하였다. 또한, %T는 투과율을 나타내고, %R는 반사율을 나타낸다.
시료 1의 자외 가시 흡수 스펙트럼을 도 19에, 비교 시료 1의 자외 가시 흡수 스펙트럼을 도 20에, 비교 시료 2의 자외 가시 흡수 스펙트럼을 도 21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19 내지 도 21에서 가로축은 파장(nm)이고, 세로축은 흡광도이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료 1은 400nm 내지 1500nm 부근의 범위에서 H3O40PW12와 DPA 간의 분자 간 상호 작용(전하 이동 전이)에서 유래된 흡수가 출현되었다. 한편,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 시료 1 및 비교 시료 2에서는 상기 범위에서 강한 흡수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시료 1, 비교 시료 1, 및 비교 시료 2 중 어느 자외 가시 흡수 스펙트럼에도 나타난 900nm 부근의 작은 피크는 측정 장치의 광원을 전환한 것에서 유래된 스펙트럼의 흐트러짐이다.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헤테로폴리산과 2급 아민의 혼합막 및 혼합물은 혼합되지 않은 것에 비하여 400nm 내지 1500nm 부근의 범위에서 새로운 분자 간 상호 작용(전하 이동 전이)에서 유래된 흡수가 현저히 증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앞의 ESR의 스핀 밀도의 증대와도 상관성이 있다. 그러므로, 캐리어가 생성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헤테로폴리산과 2급 아민의 혼합막을 정공 주입층에 사용하면, 정공 주입성이 양호한 소자가 얻어진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또한, 헤테로폴리산과 2급 아민의 혼합막을 가지는 정공 주입층은 자외 가시 흡수 스펙트럼의 측정에서 400nm 이상 1500nm 이하에 피크가 위치하는 흡수를 가진다.
101: 양극, 102: 음극, 103: EL층, 111: 정공 주입층, 112: 정공 수송층, 113: 발광층, 114: 전자 수송층, 115: 전자 주입층, 116: 전하 발생층, 117: P형층, 118: 전자 릴레이층, 119: 전자 주입 버퍼층, 120: 정공 수송 영역, 121: 전자 수송 영역, 400: 기판, 401: 양극, 403: EL층, 404: 음극, 405: 실재, 406: 실재, 407: 밀봉 기판, 412: 패드, 420: IC칩, 601: 구동 회로부(소스선 구동 회로), 602: 화소부, 603: 구동 회로부(게이트선 구동 회로), 604: 밀봉 기판, 605: 실재, 607: 공간, 608: 배선, 609: FPC(플렉시블 인쇄 회로), 610: 소자 기판, 611: 스위칭용 FET, 612: 전류 제어용 FET, 613: 양극, 614: 절연물, 616: EL층, 617: 음극, 618: 발광 디바이스, 623: FET, 730: 절연막, 770: 평탄화 절연막, 772: 도전막, 782: 발광 소자, 783: 액적 토출 장치, 784: 액적, 785: 층, 786: 층, 788: 도전막, 951: 기판, 952: 전극, 953: 절연층, 954: 격벽층, 955: EL층, 956: 전극, 1001: 기판, 1002: 하지 절연막, 1003: 게이트 절연막, 1006: 게이트 전극, 1007: 게이트 전극, 1008: 게이트 전극, 1020: 제 1 층간 절연막, 1021: 제 2 층간 절연막, 1022: 전극, 1024B: 양극, 1024G: 양극, 1024R: 양극, 1024W: 양극, 1025: 격벽, 1028: EL층, 1029: 음극, 1031: 밀봉 기판, 1032: 실재, 1033: 투명한 기재, 1034B: 청색 착색층, 1034G: 녹색 착색층, 1034R: 적색 착색층, 1035: 블랙 매트릭스, 1037: 제 3 층간 절연막, 1040: 화소부, 1041: 구동 회로부, 1042: 주변부, 1400: 액적 토출 장치, 1402: 기판, 1403: 액적 토출 수단, 1404: 촬상 수단, 1405: 헤드, 1406: 점선, 1407: 제어 수단, 1408: 기억 매체, 1409: 화상 처리 수단, 1410: 컴퓨터, 1411: 마커, 1412: 헤드, 1413: 재료 공급원, 1414: 재료 공급원, 1415: 재료 공급원, 1416: 헤드, 2001: 하우징, 2002: 광원, 2100: 로봇, 2101: 조도 센서, 2102: 마이크로폰, 2103: 상부 카메라, 2104: 스피커, 2105: 디스플레이, 2106: 하부 카메라, 2107: 장애물 센서, 2108: 이동 기구, 2110: 연산 장치, 3001: 조명 장치, 5000: 하우징, 5001: 표시부, 5002: 표시부, 5003: 스피커, 5004: LED 램프, 5006: 접속 단자, 5007: 센서, 5008: 마이크로폰, 5012: 지지부, 5013: 이어폰, 5100: 로봇 청소기, 5101: 디스플레이, 5102: 카메라, 5103: 브러시, 5104: 조작 버튼, 5120: 먼지, 5140: 휴대 전자 기기, 5150: 휴대 정보 단말기, 5151: 하우징, 5152: 표시 영역, 5153: 굴곡부, 5200: 표시 영역, 5201: 표시 영역, 5202: 표시 영역, 5203: 표시 영역, 7101: 하우징, 7103: 표시부, 7105: 스탠드, 7107: 표시부, 7109: 조작 키, 7110: 리모트 컨트롤러, 7201: 본체, 7202: 하우징, 7203: 표시부, 7204: 키보드, 7205: 외부 접속 포트, 7206: 포인팅 디바이스, 7210: 표시부, 7401: 하우징, 7402: 표시부, 7403: 조작 버튼, 7404: 외부 접속 포트, 7405: 스피커, 7406: 마이크로폰, 9310: 휴대 정보 단말기, 9311: 표시 패널, 9313: 힌지, 9315: 하우징

Claims (33)

  1. 발광 디바이스로서,
    양극과,
    음극과,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EL층을 가지고,
    상기 EL층은 정공 수송 영역과, 발광층과, 전자 수송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정공 수송 영역은 상기 양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전자 수송 영역은 상기 음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정공 수송 영역은 헤테로폴리산이 포함되는 바니시를 도포 및 소성함으로써 형성된 층을 가지고,
    상기 전자 수송 영역은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을 가지고,
    상기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의 파장 455nm 이상 465nm 이하의 광에서의 상광선 굴절률이 1.50 이상 1.75 이하인, 발광 디바이스.
  2. 발광 디바이스로서,
    양극과,
    음극과,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EL층을 가지고,
    상기 EL층은 정공 수송 영역과, 발광층과, 전자 수송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정공 수송 영역은 상기 양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전자 수송 영역은 상기 음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정공 수송 영역은 헤테로폴리산이 포함되는 바니시를 도포 및 소성함으로써 형성된 층을 가지고,
    상기 전자 수송 영역은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을 가지고,
    상기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의 파장 633nm의 광에 대한 상광선 굴절률이 1.45 이상 1.70 이하인, 발광 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 영역이 상기 헤테로폴리산 및 π전자 과잉형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 또는 상기 헤테로폴리산 및 π전자 과잉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이 포함되는 바니시를 도포 및 소성함으로써 형성된 층을 가지는, 발광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π전자 과잉형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 및 상기 π전자 과잉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이 아릴아민인, 발광 디바이스.
  5. 발광 디바이스로서,
    양극과,
    음극과,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EL층을 가지고,
    상기 EL층은 정공 수송 영역과, 발광층과, 전자 수송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정공 수송 영역은 상기 양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전자 수송 영역은 상기 음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정공 수송 영역은 헤테로폴리산을 가지고,
    상기 전자 수송 영역은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을 가지고,
    상기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은 파장 455nm 이상 465nm 이하의 광에서의 상광선 굴절률이 1.50 이상 1.75 이하인, 발광 디바이스.
  6. 발광 디바이스로서,
    양극과,
    음극과,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EL층을 가지고,
    상기 EL층은 정공 수송 영역과, 발광층과, 전자 수송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정공 수송 영역은 상기 양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전자 수송 영역은 상기 음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정공 수송 영역은 헤테로폴리산을 가지고,
    상기 전자 수송 영역은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을 가지고,
    상기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의 파장 633nm의 광에 대한 상광선 굴절률이 1.45 이상 1.70 이하인, 발광 디바이스.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 영역이 상기 헤테로폴리산 및 π전자 과잉형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 또는 상기 헤테로폴리산 및 π전자 과잉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발광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π전자 과잉형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 및 상기 π전자 과잉형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이 아릴아민인, 발광 디바이스.
  9.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 영역이 상기 헤테로폴리산 및 3급 아민을 포함하는, 발광 디바이스.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폴리산이 인텅스텐산인, 발광 디바이스.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 영역이 아릴설폰산을 포함하는, 발광 디바이스.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 영역이 정공 수송층과 정공 주입층을 가지고,
    상기 정공 주입층이 상기 양극에 접하여 제공되고,
    상기 정공 주입층이 상기 헤테로폴리산 및 2급 아민을 포함하는, 발광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주입층이 ESR법에 의한 전자 스핀 공명 스펙트럼의 측정에서 약 2.00의 g값에 시그널을 가지는, 발광 디바이스.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주입층이 자외 가시 흡수 스펙트럼의 측정에서 400nm 이상 1500nm 이하에 피크가 위치하는 흡수를 가지는, 발광 디바이스.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이 이리듐 착체를 포함하는, 발광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리듐 착체가 녹색의 인광을 나타내는, 발광 디바이스.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이 ToF-SIMS에 의한 포지티브 모드의 측정에서 m/z=1676 부근에 시그널을 가지는, 발광 디바이스.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리듐 착체가 하기 구조식(301)으로 나타내어지는 이리듐 착체인, 발광 디바이스.
    [화학식 1]
    Figure pct00033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이 질소를 포함하는 6원자 고리의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적어도 하나, 벤젠 고리를 2개, 하나 또는 복수의 탄소수 6 내지 14의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 복수의 sp3 혼성 궤도로 결합을 형성하는 탄화수소기를 가지고,
    상기 sp3 혼성 궤도로 결합을 형성하는 탄소의 총수가 상기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의 분자 내의 총 탄소수의 10% 이상 60% 이하인, 발광 디바이스.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 영역이 전자 수송층과 전자 주입층을 가지고,
    상기 전자 주입층이 상기 음극에 접하여 제공되고,
    상기 전자 수송층이 상기 전자 수송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발광 디바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이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금속 착체를 포함하는, 발광 디바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금속 착체가 8-퀴놀리놀레이토 구조를 포함하는 배위자를 가지는, 발광 디바이스.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금속 착체가 리튬의 금속 착체인, 발광 디바이스.
  24. 제 20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주입층이 ToF-SIMS에 의한 포지티브 모드 또는 네거티브 모드의 측정에서 m/z=587 부근에 시그널을 가지는, 발광 디바이스.
  25. 제 20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주입층이 헤테로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발광 디바이스.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 방향족 화합물이 2-페닐-9-[3-(9-페닐-1,10-페난트롤린-2-일)페닐]-1,10-페난트롤린인, 발광 디바이스.
  27. 제 20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주입층이 플루오린과 소듐을 포함하는, 발광 디바이스.
  28. 제 20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주입층이 바륨을 포함하는, 발광 디바이스.
  29. 발광 장치로서,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를 복수로 가지고,
    상기 복수의 발광 디바이스가 적어도 적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디바이스와 녹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적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디바이스의 발광층 및 상기 녹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디바이스의 발광층이 이리듐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디바이스 및 상기 녹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디바이스의 각각으로부터 얻어지는 광이 모두 인광인, 발광 장치.
  31.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디바이스가 청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청색으로 발광하는 발광 디바이스로부터 얻어지는 광이 형광인, 발광 장치.
  32. 발광 장치로서,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광 디바이스를 복수로 가지는, 발광 장치.
  33. 표시 장치로서,
    제 29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광 장치를 가지는, 표시 장치.
KR1020237007537A 2020-08-12 2021-07-29 발광 디바이스,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KR202300483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36296 2020-08-12
JPJP-P-2020-136296 2020-08-12
PCT/IB2021/056887 WO2022034421A1 (ja) 2020-08-12 2021-07-29 発光デバイス、発光装置、電子機器および照明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363A true KR20230048363A (ko) 2023-04-11

Family

ID=8024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7537A KR20230048363A (ko) 2020-08-12 2021-07-29 발광 디바이스,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76700A1 (ko)
JP (1) JPWO2022034421A1 (ko)
KR (1) KR20230048363A (ko)
CN (1) CN116057612A (ko)
WO (1) WO20220344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903A (ko) * 2021-04-08 2022-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76692A1 (en) 2017-05-19 2020-06-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Light-Emitting Device, Electronic Appliance, and Ligh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2917B (zh) * 2014-03-27 2019-01-08 日产化学工业株式会社 三芳基胺衍生物及其利用
KR101729660B1 (ko) * 2014-05-09 2017-04-26 (주)씨엠디엘 신규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전자 기기
GB2547645A (en) * 2016-02-22 2017-08-30 Cambridge Display Tech Ltd Compound,composition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JP6691848B2 (ja) * 2016-07-21 2020-05-13 株式会社デンソー 発光素子、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085033B1 (ko) * 2017-06-16 2020-03-05 머티어리얼사이언스 주식회사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11005048B2 (en) * 2017-07-14 2021-05-11 Cynora Gmbh Organic molecules, in particular for use in optoelectronic devices
EP3755695B1 (en) * 2018-02-20 2023-10-1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molecules, especially for use in optoelectronic devices
WO2019239998A1 (ja) * 2018-06-12 2019-12-19 住友化学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20027258A1 (ja) * 2018-08-03 2020-02-06 日産化学株式会社 フッ化芳香族第二級アミン化合物の製造方法
EP3837254B1 (en) * 2018-08-13 2022-10-1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molecules for optoelectronic devices
JP2020043182A (ja) * 2018-09-07 2020-03-19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電子機器
WO2020122113A1 (ja) * 2018-12-13 2020-06-18 日産化学株式会社 電荷輸送性ワニス
CN110981860A (zh) * 2019-12-27 2020-04-10 陕西莱特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杂环化合物及其合成方法和有机电致发光器件和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76692A1 (en) 2017-05-19 2020-06-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Light-Emitting Device, Electronic Appliance, and Ligh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76700A1 (en) 2023-08-31
JPWO2022034421A1 (ko) 2022-02-17
CN116057612A (zh) 2023-05-02
WO2022034421A1 (ja)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5009B (zh) 发光元件、发光装置、电子设备及照明装置
KR102499281B1 (ko) 발광 디바이스,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CN113773298A (zh) 发光元件、发光装置、电子设备、照明装置、照明系统及引导系统
WO2019180545A1 (ja) 発光素子、発光装置、電子機器および照明装置
KR20210133168A (ko) 발광 디바이스용 재료, 전자 수송층용 재료, 유기 화합물, 발광 디바이스,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JP2024061839A (ja) 発光デバイス、発光装置、電子機器及び照明装置
WO2022034421A1 (ja) 発光デバイス、発光装置、電子機器および照明装置
TW202029546A (zh) 發光裝置、發光設備、電子裝置及照明裝置
CN114975808A (zh) 发光器件、显示装置、发光装置、电子设备以及照明装置
TW202110821A (zh) 發光器件、發光裝置、電子裝置、照明設備及化合物
WO2022018572A1 (ja) 発光デバイス、発光装置、電子機器および照明装置
WO2021186306A1 (ja) 発光デバイス、発光装置、電子機器および照明装置
KR20230000968A (ko) 발광 디바이스, 표시 장치,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CN115132935A (zh) 发光器件、显示装置、发光装置、电子设备及照明装置
KR20230034305A (ko) 발광 디바이스,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TW202147665A (zh) 發光器件、金屬錯合物、發光裝置、電子裝置及照明設備
KR20230098192A (ko) 유기 화합물, 캐리어 수송용 재료, 호스트용 재료, 발광 디바이스,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KR20220140774A (ko) 유기 화합물, 발광 디바이스, 전자 디바이스, 전자 기기, 발광 장치, 및 조명 장치
CN116574137A (zh) 有机化合物、发光器件、显示装置、电子设备、发光装置及照明装置
CN117716804A (zh) 发光装置、显示装置、电子设备及照明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