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7721A - 숯불판 높이 조절대 - Google Patents

숯불판 높이 조절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7721A
KR20230047721A KR1020210130884A KR20210130884A KR20230047721A KR 20230047721 A KR20230047721 A KR 20230047721A KR 1020210130884 A KR1020210130884 A KR 1020210130884A KR 20210130884 A KR20210130884 A KR 20210130884A KR 20230047721 A KR20230047721 A KR 20230047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furnace
base
charcoal plat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관
Original Assignee
정원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관 filed Critical 정원관
Priority to KR1020210130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7721A/ko
Publication of KR20230047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31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a fire box movable between different positions, e.g. horizontal, vertical, inclin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화로가 안착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부에 수직 설치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체결되고 일단에 스크류너트가 형성되며 타단은 체결홈을 포함하는 불판고정부와, 체결홈에 삽입되고 상기 화로의 상부에 이격적으로 위치되는 숯불판과 상기 스크류너트와 결합되고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리드스크류 및 상기 리드스크류와 연결되고 회전을 제어하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숯불판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식자재를 적절하게 조리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숯불판 높이 조절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숯불판 높이 조절대{CHARCOAL GRILL HEIGHT ADJUSTMENT STAND}
개시된 내용은 숯불판의 높낮이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하여 식자재를 적절하게 조리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숯불판 높이 조절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로는 숯불 등 열원을 담는 그릇을 의미하며, 식자재가 수용되는 조리용구를 열원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고정시킨 상태로 요리한다.
일반 팬션이나 음식점에서 사용하는 화로는 식자재를 올려놓은 숯불판의 상하 높낮이가 조절되지 않기 때문에 숯불의 화력이 강할 경우 숯불과 식자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식자재가 타는 문제점이 있으며 숯불의 화력이 약할 경우 숯불과 식자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식자재가 제대로 익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이러한 석쇠와 같은 불판에 고기를 올려놓고 구워먹는 동안 식자재가 너무 타거나 하는 경우 등을 방지하기 위해 화력에 따라 불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으나, 불판의 높낮이를 화력에 맞춰 조절하기 위한 간편한 기구가 제공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본의 아니게 식자재가 타버리거나 하는 등의 일이 자주 발생한다. 특히, 야외에서 숯불로 식자재를 구워먹을 때 숯불의 향이 베여 식자재의 풍미를 높이지만, 식자재를 굽는 도중에 화력에 따라 숯불판의 높낮이를 쉽게 맞추지 못하여 탄 식자재를 취식하기도 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종래에는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석쇠의 높이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미세높이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익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숯불판 높이 조절대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등록특허 제10-0931557호(2009.12.14 공고)에는 로스터 동체 양측 중앙부분에 수직으로 세로장공을 천공한 뒤 상기 로스터 동체 내측부분에서 세로장공을 중심으로 장착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와, 상기 고정브라켓트에 삽입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단에 석쇠받침봉이 장착 고정된 높이조절구로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브라켓트에는 상단이 개방된 개방홈을 형성하되, 상기 개방홈의 양측에 높이조절구의 가동편에 형성된 집게편이 끼워져 높이조절 및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상호 대칭으로 형성된 요철부와 높이조절구가 안정적으로 승강 조절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관을 형성하고, 높이조절구에는 석쇠받침봉의 중앙하부에 지지편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편의 소정위치에 스프링에 의해 복귀가능하며 상단에 요철부에 끼워져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된 집게편을 가진 가동편과, 상기 가동편과 한 조를 이루면서 상기한 스프링을 내장시켜 가동편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주는 고정편과, 상기 가동편 및 고정편을 지지 고정함과 동시에 안내관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상하 이송되도록 프레임을 구비하는 집게 조절부로 구성되는 야외용 숯불로스터의 석쇠높이 조절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2708호(2011.05.06 공고)에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단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직립 설치된 한 쌍의 지지 포스트와, 그립퍼 스톱편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 포스트에 결합된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면에는 구이판을 얹어놓도록 된 승강 프레임과, 상하면으로 관통된 가압 고정홀이 상기 지지 포스트 둘레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 프레임을 향하는 일단부는 상기 승강부재의 상기 그립퍼 스톱편에 걸려지도록 된 그립퍼와, 상기 승강부재의 상기 그립퍼 스톱퍼에 일단부측이 걸려진 상기 그립퍼의 타단부측을 경사지도록 탄지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에 하강하는 힘이 작용할 때 상기 그립퍼의 상기 가압 고정홀 부분이 상기 지지 포스트 둘레부에 가압되도록 작동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이판 지지대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야외용 숯불로스터의 석쇠높이 조절장치의 경우에는 화로와 석쇠높이 조절장치가 결합되어 있어, 기존 화로에 석쇠높이 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이판 지지대의 경우에는 숯불판을 사용자의 수동적인 작업을 통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나, 구동부와 연결하여 전동으로 숯불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1557호(2009.12.14 공고)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2708호(2011.05.06 공고)
화로의 화력에 따라 숯불판과 화로와의 간격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하여 식자재를 적절하게 조리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숯불판 높이 조절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원격으로 수신받은 무선신호에 따라,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원격으로 숯불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숯불판 높이 조절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화로가 안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수직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체결되고 일단에 스크류너트가 형성되며 타단은 체결홈을 포함하는 불판고정부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고 상기 화로의 상부에 이격적으로 위치되는 숯불판와, 상기 스크류너트와 결합되고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리드스크류 및 상기 리드스크류와 연결되고 회전을 제어하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숯불판 높이 조절대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무선신호에 의해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개시된 내용은 화로가 안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수직 설치되고 다수의 결합홈이 이격적으로 형성되는 지지대 및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화로의 상부에 이격적으로 위치되는 숯불판을 포함하는 숯불판 높이 조절대를 다른 실시예로 제시한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체결홈은 육각형상으로 형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판 높이 조절대에 의하면, 리드스크류를 이용하고 구동부로 동력을 발생시켜 숯불판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서, 식자재를 적절하게 조리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판 높이 조절대에 의하면, 구동부는 무선신호에 의해 원격제어하여, 원격으로 숯불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판 높이 조절대에 의하면, 화로의 화력에 따라 지지대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숯불판을 삽입하여 화로와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판 높이 조절대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판 높이 조절대의 정면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숯불판 높이 조절대의 사시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숯불판 높이 조절대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판(40) 높이 조절대(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판(40) 높이 조절대(1)의 정면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판(40) 높이 조절대(1)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로(11)가 안착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수직 설치되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에 체결되고 일단에 스크류너트(31)가 형성되며 타단은 체결홈(33)을 포함하는 불판고정부(30)와, 상기 체결홈(33)에 삽입되고 상기 화로(11)의 상부에 이격적으로 위치되는 숯불판(40)과, 상기 스크류너트(31)와 결합되고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리드스크류(50)와, 상기 리드스크류(50)와 연결되고 회전을 제어하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60)를 포함한다.
베이스(10)는 얇은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베이스(10)의 상부에는 화로(11)가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베이스(10)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베이스(10)의 측부에 화로(11)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의 상부에는 구동부(6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를 형성하여 숯풀판 높이 조절대가 작동시에 구동부(6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20)가 휘어지거나 베이스(1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대(20)의 하부에 지지목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판고정부(30)의 일단에 형성되는 스크류너트(31)는 구동부(60)에서 동력을 발생시키고 구동부(60)와 연결되는 리드스크류(50)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불판고정부(30)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대(20)의 외주면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한다.
체결홈(33)은 불판고정부(30)의 타단에 형성되어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숯불판(40)이 삽입된다. 이때, 체결홈(33)은 숯불판(40)이 삽입되고 숯불판(40)의 상부에 식자재가 구비되었을 때 체결된 숯불판(40)이 해제되지 않도록 체결홈(33)을 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숯불판(40)은 극히 가는 세선으로 성형되고 세라믹 코팅 처리함으로써, 고기와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고기가 잘 눌러붙지 않게 되고 눌러붙더라도 쉽게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청소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숯불판(40)의 상부에 식자재가 구비되었을 때, 숯불판(40)의 삽입돌기가 휘어지거나 체결홈(33)에서 해제되지 않도록 강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하거나, 일정 두께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드스크류(50)는 구동부(6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제공한다. 리드스크류(50)의 상부에는 루프가 형성됨으로써, 리드스크류(50)와 지지대(20)를 연결하여 구동부(60)의 진동에 의한 흔들림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루프와 리드스크류(50)가 접하는 지점에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안착부의 내부에는 리드스크류(5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구동부(60)는 모터와 감속기어박스로 구성된다. 모터는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됨으로써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화석연료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감속기어박스는 구동부(60)의 회전수를 필요한 회전수로 감속시켜 숯불판(40)의 높낮이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한편, 구동부(60)는 무선신호에 의해 원격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부(60)는 휴대용 원격조종기 또는 블루투스, 와이파이등이 내장된 휴대폰 등 무선제어기로 제어할 수 있다. 무선제어기는 무선신호를 발생시키고, 구동부(60)에 구비된 송수신기로 무선신호를 송신하여, 구동부(60)를 구동시키거나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송수신기는 구동부(60)를 제어하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원격제어부재는 송수신기로부터 받는 신호에 따라 구동부(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송수신기 및 원격제어부재의 구성은 널리 공지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숯불판(40) 높이 조절대(1)의 사시도이고,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숯불판(40) 높이 조절대(1)의 정면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숯불판(40) 높이 조절대(1)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로(11)가 안착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수직 설치되고 다수의 결합홈(21)이 이격적으로 형성되는 지지대(20)와,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되고 상기 화로(11)의 상부에 이격적으로 위치되는 숯불판(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숯불판(40)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화로(11)의 화력에 따라 지지대(20)에 형성되는 결합홈(21)에 삽입하여 식자재를 적절하게 조리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또한, 체결홈(33)은 육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체결홈(33)은 숯불판(40)이 삽입되고 숯불판(40)의 상부에 식자재가 구비되었을 때 체결된 숯불판(40)이 해제되지 않도록 육각형상의 체결홈(3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숯불판(40)의 삽입돌기는 육각형상으로 구성되어 숯불판(4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 견고하게 식자재를 지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불판(40) 높이 조절대(1)에 의하면, 리드스크류(50)를 이용하고 구동부(60)로 동력을 발생시켜 숯불판(40)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서, 식자재를 적절하게 조리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며, 구동부(60)는 무선신호에 의해 원격제어되어 원격으로 숯불판(4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숯불판(40) 높이 조절대(1)의 경우에는 화로(11)의 화력에 따라 지지대(20)에 형성되는 결합홈(21)에 숯불판(40)을 삽입하여 화로(11)와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숯불판 높이 조절대
10 : 베이스
11 : 화로
20 : 지지대
21 : 결합홈
30 : 불판고정부
31 : 스크류너트
33 : 체결홈
40 : 숯불판
50 : 리드스크류
60 : 구동부

Claims (4)

  1. 화로가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수직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체결되고 일단에 스크류너트가 형성되며 타단은 체결홈을 포함하는 불판고정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고 상기 화로의 상부에 이격적으로 위치되는 숯불판;
    상기 스크류너트와 결합되고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리드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와 연결되고 회전을 제어하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숯불판 높이 조절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무선신호에 의해 원격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판 높이 조절대.
  3. 화로가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수직 설치되고 다수의 결합홈이 이격적으로 형성되는 지지대; 및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화로의 상부에 이격적으로 위치되는 숯불판을 포함하는 숯불판 높이 조절대.
  4. 청구항 1, 3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육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판 높이 조절대.
KR1020210130884A 2021-10-01 2021-10-01 숯불판 높이 조절대 KR20230047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884A KR20230047721A (ko) 2021-10-01 2021-10-01 숯불판 높이 조절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884A KR20230047721A (ko) 2021-10-01 2021-10-01 숯불판 높이 조절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721A true KR20230047721A (ko) 2023-04-10

Family

ID=8598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884A KR20230047721A (ko) 2021-10-01 2021-10-01 숯불판 높이 조절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772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557B1 (ko) 2008-03-05 2009-12-14 조현도 야외용 숯불로스터의 석쇠높이 조절장치
KR101032708B1 (ko) 2009-01-22 2011-05-06 전도영 구이판 지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557B1 (ko) 2008-03-05 2009-12-14 조현도 야외용 숯불로스터의 석쇠높이 조절장치
KR101032708B1 (ko) 2009-01-22 2011-05-06 전도영 구이판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22090A1 (en) Adjustable Pitch Cooking Grate
KR102243806B1 (ko) 자동 석쇠 구이기
KR101965101B1 (ko) 가스와 전기 겸용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US4932390A (en) Adjustable barbecue grill
KR20190130084A (ko) 볶음 요리용 조리장치
KR200384587Y1 (ko) 로스터의 버너 승강구조
KR20230047721A (ko) 숯불판 높이 조절대
KR200482646Y1 (ko)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화덕장치
KR100952758B1 (ko) 구이용 불판
JP7441974B2 (ja) 携帯用直火焼き器
CN113180450B (zh) 烹饪器具
KR200472637Y1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불판
KR102126160B1 (ko) 로스터 장치
KR101165528B1 (ko) 회전식 구이장치
KR200478779Y1 (ko) 구이용 회전기구
KR102233279B1 (ko)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KR101458747B1 (ko) 구이기용 가열수단지지구 및 이를 이용한 구이기
KR101583560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리를 구비한 구이기
KR101479422B1 (ko) 숯불구이기
CN216010931U (zh) 一种防干烧传感器可升降调节的安装结构及燃气灶
CN218419480U (zh) 一种通过机械升降调节火力的烹饪器具
KR20180024131A (ko) 구이기
CN202184603U (zh) 一种炉头可升降的智能烤炒炉
CN2439634Y (zh) 煤气炉炉架
KR102137611B1 (ko)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