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7044A - 겔형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 이를 포함하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겔형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 이를 포함하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7044A
KR20230047044A KR1020220125630A KR20220125630A KR20230047044A KR 20230047044 A KR20230047044 A KR 20230047044A KR 1020220125630 A KR1020220125630 A KR 1020220125630A KR 20220125630 A KR20220125630 A KR 20220125630A KR 20230047044 A KR20230047044 A KR 20230047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polymer electrolyte
pmvema
polymer
g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태
문주용
이재연
송은호
조상혁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30047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0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poly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2/00
    • C08F26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poly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2/00 on to polymers of acids or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 C08F216/1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by an ether radical
    • C08F216/1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C08F220/32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containing glycidyl radical, e.g. glycid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02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maleic acid or itacon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메틸 비닐 에테르-알트-말레산) (Poly(methyl vinyl ether-alt-maleic acid), PMVEMA)과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glycidyl methacrylate, GMA)의 중합체(PMVEMA-GMA)로 이루어진 이차전지 겔형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 상기 고분자를 매트릭스로 포함하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및 상기 겔형 고분자 전행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겔형 고분자 전해질은 액체 전해질의 누수 가능성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고체 전해질보다 향상된 이온 전도도를 가지며, 기존의 폴리(메틸 비닐 에테르-알트-말레산) (PMVEMA) 기반으로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LiTFSI)를 첨가한 겔형 고분자 전해질과 달리 휘발성이 강한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도 잘 녹아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건조가 가능해 보다 높은 이온 전도도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겔형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 이를 포함하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POLYMER FOR GEL POLYMER ELECTROLYTE, GEL-TYPE POLYMER ELECTROLYTE INCLUDING SAM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이차전지 겔형 고분자 전해질의 매트릭스 고분자로 사용하기 위한 고분자, 이를 포함하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및 상기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대한 것이다.
현재 리튬 이온 배터리의 관심이 증가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이차 전지에 대한 개발이 지속되어 왔다.
배터리의 구성은 크게 4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데 양극, 음극, 전해질, 분리막이 그 예이다. 그 중 전해질의 개발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기존에는 액체 전해질을 기반으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액체 전해질이 높은 전위(potential)에서 분해가 되고 누수가 될 수 있어 환경 오염 및 안전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이를 보완하고자 다양한 고체 전해질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고체상의 경우 액체에 비하여 이온의 이동성이 낮아 전자 전달도가 확연히 떨어져 낮은 전도도를 가져 액상과 고상의 중간 상인 겔(gel) 형태의 전해질을 개발하여 각각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한다. 겔 형태의 전해질은 주로 고분자를 템플레이트(template)로 그 내부에 액상 전해질이 일부 포함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겔 형태의 전해질 내에서 이온 이동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관능기(functional group)이 포함된 고분자를 전해질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관능기 중에 산소 원자가 포함된 경우 높은 성능을 보이는 경향을 갖는데 이는 리튬 이온의 경우 양이온이 안정한 이온 상태여서 δ-를 띄는 산소 원자에 의해 호핑(Hopping)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1-0036762호 (공개일: 2001.05.07) 한국 공개특허 제10-2002-0071203호 (공개일: 2002.09.12)
본 발명은 상용화된 액체 전해질의 누수 가능성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고체 전해질보다 향상된 이온 전도도를 가진 리튬 이온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구현하기 위한 매트릭스용 고분자, 이를 포함하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및 해당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폴리(메틸 비닐 에테르-알트-말레산) (Poly(methyl vinyl ether-alt-maleic acid), PMVEMA)과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glycidyl methacrylate, GMA)의 중합체(PMVEMA-GMA)로 이루어진 이차전지 겔형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를 제안한다.
상기 PMVEMA-GMA는 개환 반응을 이용하여 PMVEMA의 표면에 있는 카르복실기의 하이드록사이드를 GMA의 하이드록사이드와 탈수 축합 반응시켜 합성할 수 있으며, 산소 원자 포함 반응기(C=O)를 풍부하게 가진다.
상기 PMVEMA-GMA를 합성함에 있어서, PMVEMA와 GMA를 1 : 1 내지 1 : 10의 중량비로 반응시켜 겔형 고분자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PMVEMA-GMA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겔형 고분자 전해질로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겔형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PMVEMA-GMA), 리튬염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제안한다.
이때, 상기 리튬염은 양이온으로 Li+를 포함하고, 음이온으로는 F-, Cl-, Br-, BF4 -, NO3 -, N(CN)2 -, ClO4 -, AlO4 -, AlCl4 -, PF6 -, SbF6 -, AsF6 -, BF2C2O4 -, BC4O8 -, (CF3)2PF4 -, (CF3)3PF3 -, (CF3)PF2 -, (CF3)5PF-, (CF3)6P-, CF3SO3 -, C4F9SO3 -, CF3CF2SO3 -, (CF3SO2)2N-, (FSO2)2N-, CF3CF2(CF3)2CO-, (CF3SO2)2CH-, (SF5)3C-, (CF3SO2)3C-, CF3(CF2)7SO3 -, CF3CO2 -, CH3CO2 -, SCN- 및 (CF3CF2SO2)2N-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의 구체적인 예로서 LiClO4, LiPF6, LiCF3CF2SO3, Li(CF3SO2)2N, Li(FSO2)2N, LiCF3(CF2)7SO3, Li(CF3CF2SO2)2N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겔형 고분자 전해질에 포함되는 유기용매는 이차전지의 충방전 과정에서 산화 반응 등에 의한 분해가 최소화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전해질에 첨가하는 첨가제와 함께 목적하는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에테르계 용매, 에스테르계 용매, 또는 아미드계 용매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용매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겔 폴리머 전해질은, 양극 및 음극 피막에서의 부반응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 N,N'-디클로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 비닐렌카보네이트, 포화설톤, 및 환형 설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겔 폴리머 전해질은, 필요에 따라 비환형 설폰(디비닐설폰, 디메틸 설폰, 디에틸 설폰, 메틸에틸 설폰, 또는 메틸비닐설폰 등), 알킬실릴 화합물(트리(트리메틸실릴) 포스페이트, 트리(트리메틸실릴) 포스파이트, 트리(트리에틸실릴) 포스페이트, 트리(트리에틸실릴) 포스파이트, 트리(트리메틸실릴) 보레이트, 또는 트리(트리에틸실릴) 보레이트 등) 및 무기계 화합물(리튬 디플루오로(비스옥살레이트) 포스페이트, 리튬 디플루오로 포스페이트, 리튬 테트라플루오로옥살라토포스페이트, 리튬 비스(플루오로설포닐) 이미드,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 설포닐)이미드 등)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SEI 막 형성용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명이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로서, 양극, 음극, 이들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및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겔 폴리머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선택적으로 개재된 분리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에 상기 PMVEMA-GMA를 매트릭스로 포함하는 겔형 폴리머 전해질을 주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 조립체를 이루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 각각은 종래 리튬 이차전지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던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합제층을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합제층은 양극활물질, 바인더, 도전재 및 용매 등을 포함하는 양극 슬러리를 양극 집전체 상에 코팅한 후, 건조 및 압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intercalation) 및 디인터칼레이션(deintercalation)이 가능한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코발트, 망간, 니켈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1종 이상의 금속과 리튬을 포함하는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은 리튬-망간계 산화물(LiMnO2, LiMn2O4 등), 리튬-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CoO2 등), 리튬-니켈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O2 등), 리튬-니켈-망간계 산화물, 리튬-니켈-코발트계 산화물, 리튬-망간-코발트계 산화물, 리튬-니켈-망간-코발트계 산화물 또는 리튬-니켈-코발트-전이금속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활물질과 도전재 등의 결합과 집전체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그라파이트,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니스 블랙, 램프 블랙, 서멀 블랙 등의 탄소계 물질,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섬유상 도전재, 알루미늄, 니켈 등의 금속 분말 등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은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합제층을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음극 합제층은 음극 집전체상에 음극활물질, 바인더, 도전재 및 용매 등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코팅한 후, 건조 및 압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활물질은 난흑연화 탄소, 인조흑연, 천연흑연 등의 탄소계 물질, 리튬 함유 티타늄 복합 산화물, 규소계 합금, 주석계 합금, SnO, SnO2,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 Bi2O3, Bi2O4, Bi2O5 등의 금속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도전재, 활물질 및 집전체 간의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폴리머(EPDM), 술폰화-EPDM,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불소 고무, 이들의 다양한 공중합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음극 활물질의 도전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으로서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멀 블랙 등의 탄소계 물질,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섬유상 도전재, 알루미늄, 니켈 등의 금속 분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또는 NMP, 알코올 등의 유기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양측 전극의 내부 단락을 차단하고 전해질을 함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분자 수지, 충진제 및 용매를 혼합하여 분리막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분리막 조성물을 전극 상부에 직접 코팅 및 건조하여 분리막 필름을 형성하거나, 상기 분리막 조성물을 지지체 상에 캐스팅 및 건조된 후, 상기 지지체로부터 박리된 분리막 필름을 전극 상부에 라미네이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공성 고분자 필름, 예를 들어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고분자 필름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튬 이차전지의 외형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캔을 사용한 원통형, 각형, 파우치형 또는 코인형 등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겔형 고분자 전해질은 액체 전해질의 누수 가능성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고체 전해질보다 향상된 이온 전도도를 가지며, 기존의 폴리(메틸 비닐 에테르-알트-말레산) (PMVEMA) 기반으로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LiTFSI)를 첨가한 겔형 고분자 전해질과 달리 휘발성이 강한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도 잘 녹아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건조가 가능해 보다 높은 이온 전도도를 나타낸다.
도 1은 개환 반응을 활용한 PMVEMA-GMA 고분자 제조 과정 모식도이다.
도 2는 합성 전후의 PMVEMA와 PMVEMA-GMA 분자 구조를 비교한 결과이다( (a): FT-IR (b): H1NMR ).
도 3은 합성된 PMVEMA-GMA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분석 결과이다.
도 4는 합성한 고분자 PMEVMA-GMA의 (a)X-ray 회절 분석법 (XRD) 그래프와 (b) 시차 주사 열량계 (DSC) 그래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개환 반응을 이용한 PMVEMA-GMA의 합성
개환 반응을 이용하여 PMVEMA의 표면에 있는 카르복실기의 하이드록사이드를 GMA의 하이드록사이드와 탈수 축합 반응을 통해 중합하는 과정이다.
GMA는 epoxy기가 있는 고분자로 개환 반응을 진행하여 다양한 고분자에 접목시켜 새로운 분자 구조체로 합성하여 활용한다. PMVEMA는 물과 에탄올 등에 녹는 반면 휘발성이 좋은 THF에 녹지 않고 굉장히 높은 결정성을 가져 이온 전도도에 굉장히 불리한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PMVEMA에 GMA를 접합하여 결정도를 낮추고 THF에 녹는 고분자를 합성하였다. 도 1은 해당 고분자의 합성과정을 간단한 구조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3g의 PMVEMA를 50 mL의 에탄올이 담겨있는 100 mL의 둥근플라스크에 넣고 8시간 동안 충분히 녹여준다. PMVEMA가 완전히 녹은 후에 9,15,21,30 g (1:1, 1:3, 1:5, 1:7, 1:10의 질량 비율)의 GMA를 넣고 2시간 이상 질소로 퍼징하여 내부의 산소를 모두 질소로 치환해준다. 그 이후 50 oC 혹은 70 oC로 3~7시간 반응을 진행한다. 반응이후 n-hexane혹은 n-hexane과 benzene혼합 용액에 침전을 잡고 얻게 된 고분자를 진공오븐에서 열을 가하지 않고 24시간 이상 건조한다. 상기 합성된 고분자를 PMVEMA-GMA라고 명명한다.
합성된 PMVEMA-GMA를 활용한 리튬 이온이 포함된 겔-고분자 매트릭스의 제조
10 질량%의 고분자를 유기용매 (DMF, THF)에 충분히 녹여준다. Li 염 (LiTFSI)을 고분자 대비 20 질량 %로 녹여 stainless steel에 캐스팅한다. 이후 캐스팅한 고분자를 50 oC 혹은 80 oC로 건조하여 측정을 진행했다.
도 2(a)의 FT-IR 분석 결과를 참조하면, GMA는 760 cm-1에서 에폭시기의 특징적인 band를 보여준다. PMVEMA에 GMA를 그래프팅 한 후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637 cm-1은 GMA의 구조 내부에 C=C와 관련된 band이다. 이러한 관측을 통해 GMA가 성공적으로 PMVEMA에 중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b)의 NMR 구조체를 통해서도 성공적으로 합성된 PMVEMA-GMA를 확인할 수 있다. 3.0 ppm에서 일반적으로 나오는 epoxy ring의 peak가 나오지 않았고 총 5군데의 GMA의 peak이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의 수소는 doublet 형태로 peak이 나타나는데 그 이유는 이중 결합이 회전이 불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이중선으로 나타난다. NMR을 통해서 중합 비율을 계산해 보았을 때 GMA:PMVEMA의 경우 1.25 : 1(분자량 기준) 및 1.14 : 1(중량 기준)이었다.
도 3은 1:5와 1:10의 고분자를 합성한 이후 GPC를 측정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PMVEMA는 THF에 녹지 않아 GPC를 따로 측정하지 않았다. GPC 상에서 합성 이후 M w M n 이 증가한것을 확인하였다. 1:10의 경우 합성이 될 수 있는 용매의 양이 적어 같은 시간, 같은 양으로 반응을 진행하였을 때 제대로 중합이 진행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1:5의 경우 PMVEMA의 분자량 범위에서 나오는 피크 이외에 다른 픽이 나오는 것으로 봐서 성공적으로 고분자가 합성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도 4는 합성한 고분자의 결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 X-ray 회절 분석법과 시차 주사 열량계로 각각 1:2, 1:4의 비율로 합성한 고분자와 PMVEMA의 결정성을 비교하였다. PMVEMA에 비하여 1:2 비율로 합성한 고분자의 경우 굉장히 낮은 결정성을 보이며 1:4의 비율로 합성 하게 되면 결정성이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전해질로 활용하기에는 부적절한 비율로 보인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를 DSC를 통하여 측정했을 때 PMVEMA보다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가지 측정 결과를 통해 1:2비율의 고분자가 PMVEMA보다 결정성이 확연히 낮아졌고 따라서 좋은 성능의 겔 고분자 전해질로 활용 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PMVEMA와 PMVEMA-GMA를 각각 DMF에 녹이고 80oC의 높은 온도에서 건조를 진행한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 측정 결과로서 상당히 낮은 값을 보이는데 그 이유는 고온으로 건조할 경우 내부에 이온이 이동통로로 활용될 수 있는 용매가 다수 증발되어 고체 전해질에 가까운 형태로 건조된다.
<표 1> DMF에 녹인 PMVEMA-GMA고분자의 리튬 이온 전도도
Figure pat00001
반면, 표 2는 THF에 녹여 낮은 온도에서 건조한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 측정 결과이다. PMVEMA는 THF에 녹지 않아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없었다. 50 oC에서 건조를 진행한 경우 이온 전도도가 월등히 높았고 이를 통해 GMA가 합성된 이후에 THF에 용해될 수 있고 낮은 온도에서 건조를 진행할 수 있어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예상된다.
<표 2> THF에 녹인 PMVEMA-GMA고분자의 리튬 이온 전도도
Figure pat00002
기존의 backbone의 경우 물이나 알코올에 녹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GMA를 합성한 이후 benzene이나 THF등 다양한 유기용매에 녹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더욱 다양하게 고분자가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 주었다. 본 발명에서도 이를 활용하여 휘발성이 높은 THF에 합성한 고분자를 녹였고 그 결과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가진 전해질 막으로의 발명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폴리(메틸 비닐 에테르-알트-말레산) (Poly(methyl vinyl ether-alt-maleic acid), PMVEMA)과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glycidyl methacrylate, GMA)의 중합체(PMVEMA-GMA)로 이루어진 이차전지 겔형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메틸 비닐 에테르-알트-말레산) (PMVEMA)과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GMA)을 1 : 1 내지 1 : 10의 중량비로 반응시켜 합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겔형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겔형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 리튬염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lith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LiTFSI)이고,
    상기 유기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5. 양극; 음극;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및 제3항에 따른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220125630A 2021-09-30 2022-09-30 겔형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 이를 포함하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2300470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383 2021-09-30
KR20210130383 2021-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044A true KR20230047044A (ko) 2023-04-06

Family

ID=8591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630A KR20230047044A (ko) 2021-09-30 2022-09-30 겔형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 이를 포함하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704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762A (ko) 1999-10-11 2001-05-07 김덕중 고분자 고체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2차 전지
KR20020071203A (ko) 2001-03-05 2002-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 소자를 위한 다성분계 복합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762A (ko) 1999-10-11 2001-05-07 김덕중 고분자 고체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2차 전지
KR20020071203A (ko) 2001-03-05 2002-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 소자를 위한 다성분계 복합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7251B2 (en) Anode with lithium containing ionic polymer coat,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09891654B (zh) 电解质添加剂和包括该添加剂的用于锂二次电池的非水电解质溶液
KR100873270B1 (ko)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US9093702B2 (en) Electrolytic solution for lithium battery, lithium battery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lithium battery
CN109776423B (zh) 一种双咪唑环功能离子液体及其制备方法和电解液以及锂二次电池
JP7055884B2 (ja) 非水性電解液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KR102271678B1 (ko) 비수성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10178258B (zh) 用于锂二次电池的电解质和包括该电解质的锂二次电池
CN111433962A (zh) 非水电解液电池用电解液和使用了其的非水电解液电池
US11757130B2 (en) Additive for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and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battery
CN101682080A (zh) 非水电解质和含有该非水电解质的电化学设备
CN109585754B (zh) 用于锂电池的复合膜、用于锂电池的正极以及锂电池
KR102486384B1 (ko) 랜덤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 보호 음극 및 리튬전지, 및 랜덤공중합체 제조방법
JP4417649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11326795A (zh) 用于锂二次电池的添加剂、电解质和包括其的锂二次电池
KR20230047044A (ko) 겔형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 이를 포함하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651545B1 (ko) 리튬전지용 복합막, 리튬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KR20180007544A (ko)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과 리튬 전지
KR20170120897A (ko) 유기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KR100993391B1 (ko)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US20230261260A1 (en) Composition for gel polymer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gel polymer electrolyte formed therefrom
KR20230031707A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230101253A (ko)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EP4322264A1 (en) Non-aqueous electrolyt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KR20220099852A (ko) 리튬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