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4789A -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4789A
KR20230044789A KR1020210127340A KR20210127340A KR20230044789A KR 20230044789 A KR20230044789 A KR 20230044789A KR 1020210127340 A KR1020210127340 A KR 1020210127340A KR 20210127340 A KR20210127340 A KR 20210127340A KR 20230044789 A KR20230044789 A KR 20230044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ing
metering
communication network
house
centr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우
안치문
류재환
정은호
이기배
박지영
유진성
Original Assignee
이순환거버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환거버넌스 filed Critical 이순환거버넌스
Priority to KR1020210127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4789A/ko
Publication of KR20230044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 G01G23/37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 G01G23/3728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with wireless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량의 중량을 계량하여 화물 적재량을 산출하는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무인 계량 사업장 내에 구축된 사내 통신망(local network)을 매개로 근무자(정상 근무) 또는 운전자(사내 통신망이 사외 통신망과 단절된 경우에 한 함)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바일을 기반으로 로컬 계량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사내 통신망과 사외 통신망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사외 통신망을 통해 무인 계량 사업장 외부에 구축된 중앙관제서버를 매개로 근무자(무인 계량 사업장 외부 근무(재택/출장/파견)) 또는 운전자가 원격 PC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계량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화물의 중량을 간편하게 계량하고, 관련정보(기초정보 및 계량정보 등)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및 방법{AUTOMATIC UNMANNED WEIGHING SYSTEM AND METHOD FOR COMMERCIAL VEHICLES}
본 발명은 화물차량의 중량을 계량하여 화물 적재량을 산출하는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무인 계량 사업장 내에 구축된 사내 통신망(local network)을 매개로 근무자(정상 근무) 또는 운전자(사내 통신망이 사외 통신망과 단절된 경우에 한 함)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바일을 기반으로 로컬 계량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사내 통신망과 사외 통신망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사외 통신망을 통해 무인 계량 사업장 외부에 구축된 중앙관제서버를 매개로 근무자(무인 계량 사업장 외부 근무(재택/출장/파견)) 또는 운전자가 원격 PC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계량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화물의 중량을 간편하게 계량하고, 관련정보(기초정보 및 계량정보 등)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량의 계량은 화물차량을 이용하여 화물을 반입/반출시키는 경우에 화물의 중량을 계량하여 화물차량에 선적되어 있는 화물 적재량에 따른 비용 또는 운송비 등을 산출하고, 그에 따른 관련정보들을 관리하기 위한 작업이다.
이러한 화물차량의 계량은 통상적으로 입고되는 화물차량의 중량을 1차 계측하고, 상기 화물차량이 운송한 화물을 하역시킨 후 공차상태의 화물차량의 중량을 2차 계측하며, 이렇게 계량된 계량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화물의 중량을 측정하게 된다.
즉, 화물차량의 계량은 화물차량 계량대(계근대)에 화물차량을 진입시켜 공차시와 실차시의 중량을 각각 계량하고, 이렇게 계량된 계량값을 수동으로 계산하여 화물의 중량을 산출한 후 그 화물의 실제 중량에 따라 계량 증명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화물차량의 계량은 관리자가 차량별, 회사별, 품목별로 구분하고, 화물의 중량을 수동으로 계산하여 계량 전표를 발급해야 하기 때문에 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다양한 품목(화물)을 취급하고, 입/출고 계량 수요가 많은 계량 사업장을 중심으로 자동 계량 시스템의 도입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화물차량용 자동 계량 시스템에 대한 기술로는 국내 등록특허 제10-035224호, 국내 등록특허 제10-0798137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201084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895725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361128호, 국내 등록특허 제10-2131603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21-0107316호 등을 포함하여 다수의 선행문헌들이 알려져 있다.
이들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된 자동 계량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계량대(계근대), 자동 계량기(터치 스크린/RF 카드 모듈 등), 인디케이터, 계량 단말기(계량 PC), 기초정보와 측정된 계량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이외에, 화물차량의 인증을 위한 카메라와, 차량진입 및 계량과 관련한 안내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여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전광판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문헌들을 포함하여 종래의 화물차량용 자동 계량 시스템에서는 자동 계량 뿐만 아니라, 근무자(관리자) 또는 화물차량 운전자의 계량을 위해 근무자나 운전자가 자동 계량기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직접 계량할 수 있도록 계량 사업장 내에 자동 계량기를 설치 운용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먼저, 종래에는 자동 계량기가 계량 사업장 내에 독립적으로 설치 운용됨에 따라 낙뢰나 차량 충돌 등으로 인한 파손이나 고장 위험성이 높다. 또한, 파손이나 고장 발생시 자동 계량기의 생산업체(유지보수 업체)에 입고시키거나, 혹은 유지보수 담당자가 계량 사업장으로 방문하여 수리 및 교체작업을 진행하는데, 자동 계량기의 생산업체가 계량 사업장이 소재하고 있는 지역에서 비교적 원거리에 소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동 시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신속한 복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계량 사업장 내에 자동 계량기를 독립적으로 설치 운용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셀프 계량을 위해 화물차량에서 하차하여 자동 계량기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계량 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한 단점이 있고, 특히 운전자가 셀프 계량을 위해 화물차량에서 하차하는 경우에는 계량시 운전자의 체중 만큼 오차가 발생되기 때문에 계량에 대한 신뢰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KR 10-1895725 B1, 2018. 08. 30., "화물차량 무인 계량 시스템" KR 10-1361128 B1, 2014. 02. 04., "화물차량용 무인 계량 시스템" KR 10-2021-0107316 A, 2021. 09. 01.,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 KR 10-2131603 B1, 2020. 07. 02., "무인 계근 자동화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화물차량용 자동 무인 계량 사업장 내에 독립적으로 설치 운용되는 터치식 자동 계량기를 대체하여 모바일 기반으로 자동 계량을 수행할 수 있는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무자의 근무 위치 또는 사내 통신망(사내 인터넷망)과 사외 통신망(사외 인터넷망)의 연결 상태에 따라 근무자와 운전자에게 로컬 계량 및 원격 계량을 제공하여 근무자 또는 운전자에게 계량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는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자동 계량기에서 제공하는 기능(각종 정보 입력, 로그인 인증, 계량 등)을 이동통신단말기 내에서 구현할 수 있는 모바일 웹을 제공하는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계량 사업장 내에 설치되고, 로드셀을 구비하여 화물차량의 중량을 계량하는 계량대; 상기 계량대로부터 계량된 화물차량의 중량을 제공받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상기 인디케이터로부터 상기 계량대에서 계량된 화물차량의 중량을 포함하는 계량정보를 제공받아 등록 관리하고, 계량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계량 PC; 계량 사업장의 외부에 설치되고, 사외 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계량 PC와 접속하며, 상기 계량 PC와 데이터 동기화를 통해 실시간 연동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중앙관제서버; 계량 사업장의 외부에 위치되고, 외부 근무자가 사용하며, 사외 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중앙관제서버와 접속하여 기초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계량 PC로부터 제공받은 계량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서버를 통해 제공받는 원격 PC; 계량 사업장 내에 위치되고, 내부 근무자 또는 화물차량의 운전자가 사용하며, 사내 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기반으로 상기 계량 PC와 데이터 통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지고, 사내 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계량 PC에 접속하여 기초정보를 상기 계량 PC로 제공하고, 상기 계량 PC로부터 계량정보를 제공받는 사내 단말기; 및 계량 사업장의 외부에 위치되고, 외부 근무자가 사용하며, 사외 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기반으로 상기 중앙관제서버와 데이터 통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지고, 사외 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중앙관제서버와 접속하여 기초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계량 PC로부터 제공받은 계량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서버를 통해 제공받는 사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계량 PC는 상기 사내 단말기나, 상기 중앙관제서버를 매개로 상기 원격 PC 또는 상기 사외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기초정보를 제공받아 등록 저장하는 기초정보 등록모듈; 상기 사내 단말기나 상기 중앙관제서버를 매개로 상기 원격 PC 또는 상기 사외 단말기의 접속 요청에 대해 상기 계량 PC에 대한 접속 권한을 부여하는 로그인 및 인증모듈; 상기 인디케이터로부터 상기 계량대에서 계량된 공차 또는 실차 상태의 화물차량의 중량을 제공받고, 이 두 중량의 차이를 토대로 화물 적재량을 산출하는 계량모듈; 및 상기 계량모듈을 통해 화물차량에 대한 계량이 완료되면, 입출고, 업체 고유번호, 년/월/일 및 계량번호를 포함하는 계량 고유번호를 생성하는 고유번호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내 단말기는 사내 통신망을 통해 화물차량에 대한 로컬 계량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 PC와 상기 사외 단말기는 사외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서버를 매개로 화물차량에 대한 원격 계량을 수행하도록 제공하되, 상기 사내 단말기의 사용자가 화물차량의 운전자인 경우에는 사내 통신망과 사외 통신망이 단절된 경우에만 상기 사내 단말기와 상기 계량 PC 간의 접속을 허용하여 로컬 계량을 수행하고, 사내 통신망과 사외 통신망이 서로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사내 단말기와 상기 계량 PC 간의 접속을 불허하여 사외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서버를 매개로 원격 계량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내 단말기 또는 상기 사외 단말기에는 상기 계량 PC에 접속하기 위한 로그인 및 인증을 위해 필요한 기초정보를 상기 계량 PC에 등록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계량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계량 프로그램은 자동 로그인 진입시 QR 코드의 인식을 통해 업체명 또는 차량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동 입력하고, 수동 로그인 진입시에는 업체명 또는 차량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동 입력하도록 제공하는 과정과, 입출고에 따라 입출고되는 품목을 선택하여 등록하도록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내 단말기의 사용자가 화물차량의 운전자인 경우에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한 상기 중앙관제서버의 접속 로그인 및 인증과정이 통과되더라도 현재 위치가 계량 사업장의 중심에서 접속 허용 반경을 벗어난 경우 상기 중앙관제서버에 대한 접속을 불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계량 사업장에 정상 출근하는 내부 근무자의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진 사내 단말기를 이용하여 계량 사업장 내에 구축된 사내 통신망을 매개로 계량을 총괄하는 계량 PC에 접속하여 로컬 계량을 수행하고, 계량 사업장의 외부에 근무하는 외부 근무자의 경우에는 원격 PC를 이용하여 사외 통신망을 통해 계량 사업장 외부에 구축된 중앙관제서버에 접속되어 사외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계량 PC에 데이터 동기화된 상기 중앙관제서버를 통해 원격 계량을 수행하며, 상기 사내 단말기의 사용자가 화물차량의 운전자의 경우에는 사내 통신망이 사외 통신망과 단절된 경우에는 상기 로컬 계량으로 수행하고, 사내 통신망이 사외 통신망과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원격 계량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내 단말기의 사용자가 화물차량의 운전자인 경우에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한 상기 중앙관제서버의 접속 로그인 및 인증과정이 통과되더라도 현재 위치가 계량 사업장의 중심에서 접속 허용 반경을 벗어난 경우 상기 중앙관제서버에 대한 접속을 불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계량대로 진입하는 화물차량의 중량을 계량하는 과정; (b) 계량된 화물차량의 중량을 토대로 화물차량의 계량을 총괄하는 계량 PC에서 입차 확인 및 계량 진행 여부를 판단하고, 계량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로 계량 진행을 통보하는 과정; (c) 상기 계량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등록된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기초정보를 이용하여 로그인 및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계량 PC에 대한 접속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 (d) 상기 계량대를 통해 화물차량을 1차 계량하여 1차 계량정보를 획득하는 한편, 무인 카메라를 통해 1차 계량과정을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1차 계량영상을 회득하고, 이렇게 획득된 1차 계량정보를 상기 계량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과정; (e) 상기 계량대를 통해 화물차량을 2차 계량하여 2차 계량정보를 획득하는 한편, 무인 카메라를 통해 2차 계량과정을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2차 계량영상을 회득하고, 이렇게 획득된 2차 계량정보를 상기 계량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과정; (f) 상기 계량 PC를 통해 상기 1차 및 2차 계량영상에 포함된 차량번호와 등록된 기초정보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비교하여 계량정보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는 과정; 및 (g) 상기 계량 PC를 통해 상기 1차 및 2차 계량정보를 이용하여 화물 적재량을 산출하고, 계량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와 산출된 화물 적재량을 상기 사내 단말기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계량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계량 사업장 내부에 근무하는 내부 근무자인 경우, 계량 사업장 내부에 구축된 사내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계량 PC와 데이터 통신하여 로컬 계량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계량 사업장의 외부에 근무하는 외부 근무자인 경우에는 사외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계량 PC와 데이터 동기화되어 데이터를 실시간 연동하여 서로 주고받는 중앙관제서버와 데이터 통신하여 원격 계량을 수행하며, 사용자가 화물차량의 운전자인 경우에는 사내 통신망과 사외 통신망이 단절된 경우에만 사내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계량 PC와 데이터 통신하여 로컬 계량을 수행하고 사내 통신망과 사외 통신망이 연결된 경우에는 중앙관제서버와 데이터 통신하여 원격 계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상기한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방법을 실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근무자의 근무 위치, 그리고 사내 통신망과 사외 통신망 간의 접속 상태에 따라 모바일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로컬 계량 또는 원격 계량을 제공함으로써 화물차량의 중량 및 화물 적재량을 보다 간편하게 계량할 수 있고, 관련정보(기초정보 및 계량정보 등)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모바일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로컬 계량 또는 원격 계량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무인 계량 사업장 내에 독립적으로 설치 운용되는 자동 계량기를 효과적으로 대체하여 종래의 자동 계량기에서 지적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량 PC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그인 및 인증모듈을 이용한 로그인 및 인증과정의 흐름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그인 및 인증과정시 사내 단말기의 웹 화면을 도시한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관제서버에 접속을 위한 로그인 및 인증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운전자의 위치별 접속 허용 반경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계량 고유번호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가령,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과정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과정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로컬 계량'이라 함은 무인 계량 사업장 내에 구축된 사내 통신망을 통해 계량 PC와 접속하여 계량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원격 계량'이라 함은 상기 사내 통신망과 연결된 사외 통신망을 통해 사내 통신망에 연결된 상태에서 중앙관제서버를 매개로 계량 PC에 접속하여 계량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사내 통신망' 및 '사외 통신망'은 WiFi망,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들 망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사내 단말기'와 '사외 단말기'는 각각 모바일을 기반으로 무선 통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통해 다른 기기들과 연결되고, WiFi망 또는 이동통신망(3G/LTE/4G/5G 등)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다. 예를 들어,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Assistant),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중앙관제서버'는 인터넷망을 통해 계량 PC와 데이터 동기화되고,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서버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소프트웨어적으로 C, C++, Jab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제서버는 각종 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들이 내부 또는 외부에 구축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들은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저장 공간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형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 또는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로 구현될 수 있고, 적절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element)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무인 계량 사업장에 정상 출근하는 내부 근무자의 경우 계량 사업장 내에 구축된 사내 통신망, 예컨대 WiFi망을 통해 계량을 담당하는 계량 PC와 사내 단말기(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반으로 하는 로컬 계량을 제공한다. 이때, 화물차량의 운전자의 경우에는 사내 통신망이 사외 통신망과 단절된 경우(즉, 사외 통신망을 통해 사내 통신망에 접속이 불가한 경우)에만 로컬 계량을 제공한다.
그리고, 무인 계량 사업장의 외부에 근무하는 외부 근무자(재택/출장/파견)의 경우에는 원격 PC를 이용하여 사외 통신망을 통해 무인 계량 사업장 외부에 구축된 중앙관제서버를 매개로 하는 원격 계량을 제공한다. 이때, 화물차량의 운전자의 경우에는 사외 단말기(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반으로 원격 계량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은 수동 계량과 자동 계량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자동 계량시에는 모바일 웹을 이용한 모바일 기반으로 화물차량(1)의 중량을 자동 계량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은 계량대(11)와, 인디케이터(12), 계량 PC(personal computer)(13) 및 사내 단말기(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무인 계량 사업장에 정상 출근하는 정상 근무자는 계량 사업장 내에 위치함에 따라 사내 통신망(2), 예컨대 WiFi망을 통해 계량을 담당하는 계량 PC(13)와 사내 단말기(14)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반으로 로컬 계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물차량의 운전자의 경우에는 계량 사업장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도 보안성을 고려하여 사내 통신망이 사외 통신망과 단절된 경우(즉, 사외 통신망을 통해 사내 통신망에 접속이 불가한 경우)에만 로컬 계량을 수행하도록 제공한다.
또한, 무인 계량 사업장의 외부에 근무하는 외부 근무자(재택/출장/파견)는 원격 PC(16)를 이용하여 사외 통신망(2')을 통해 무인 계량 사업장 외부에 구축된 중앙관제서버(15)를 매개로 원격 계량을 수행하거나, 이동통신단말기인 사외 단말기(14')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반으로 원격 계량을 수행할 수도 있다.
계량대(11), 인디케이터(12) 및 계량 PC(13)는 계량 사업장 내에 구축된 사내 통신망, 예를 들면 TCP/IP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고, 사내 단말기(14)는 WiFi망을 매개로 계량 PC(13)와 모바일 기반으로 통신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계량대(11)는 무인 계량대(계근대)로서, 화물차량(1)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지면 상에 설치되고, 로드셀(LC)을 구비하여 화물차량(1)의 총중량을 계량한다. 이러한 계량대(11)는 공차 상태 또는 실차 상태의 화물차량(1)의 총중량을 각각 계량한다.
로드셀(LC)은 화물차량(1)의 총중량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측정장치이다.
인디케이터(12)는 계량대(11)에서 계량된 화물차량(1)의 중량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로드셀(LC)에서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하중(kg 또는 Ton 단위)으로 표시한다.
계량 PC(13)는 도 1과 같이, 무인 계량 사업장 내에 설치되어 계량을 총괄하는 단말기로서, 인디케이터(12)와 데이터 통신하여 인디케이터(12)로부터 화물차량(1)의 총중량을 제공받아 화물차량(1)에 적재된 화물 적재량을 산출하여 관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량 PC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계량 PC(13)는 기초정보 등록모듈(13a), 로그인 및 인증모듈(13b), 계량모듈(13c), 통신모듈(13d) 및 메모리(13e)를 포함한다.
기초정보 등록모듈(13a)은 계량을 위해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받아 메모리(13e)에 등록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초정보는 반입/반출, 차량번호, 반입/반출 품목(제품), 운전자(운반자) 정보(성명, 연락처 등), 거래처 정보(업체명, 연락처 등), 패스워드(업체별 고유한 비밀번호)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초정보에서 차량번호와 거래처 정보 중 업체명, 패스워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사내 단말기(14)에 대한 계량 PC(13)의 접속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로그인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기초정보 등록모듈(13a)은 계량 PC(13)에 구비된 입력부(키보드 등)를 통해 기초정보를 사전에 입력받아 등록하거나, 메모리 장치를 통해 사전에 입력받아 메모리(13e)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사내 단말기(14)로부터 제공받아 신규로 등록할 수도 있다. 이때, 메모리(13e)에 등록된 기초정보는 변동시 갱신될 수 있다.
로그인 및 인증모듈(13b)은 계량 PC(13)에 접속을 요청하는 사내 단말기(14)에 대한 로그인 및 인증을 수행하여 계량 PC(13)의 접속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모듈이다.
계량모듈(13c)은 인디케이터(12)로부터 계량정보, 즉 화물차량(1)의 총중량을 제공받아 화물 적재량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공차와 실차 상태의 화물차량(1)의 총중량을 각각 제공받은 후 이 두 값의 차이를 계산하여 화물 적재량을 산출한다.
또한, 계량모듈(13c)은 산출된 화물 적재량을 토대로 계량증명을 실시하고, 공차 또는 실차시 화물차량(1)의 총중량과 산출된 화물 적재량 등을 포함하는 계량정보를 이용하여 계량전표를 발급한다. 계량정보는 메모리(13e)에 등록 저장될 수 있다.
통신모듈(13d)은 종래의 자동 계량기를 대체하여 모바일 기반 무선 통신으로 자동 계량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계량 사업장 내에 위치하고 있는 사내 단말기(14)와 연결된다. 또한 사외 통신망(2')을 통해 중앙관제서버(15)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한다.
사내 단말기(14)는 사내 통신망(2), 즉 WiFi망을 매개로 계량 PC(13)에 접속하여 로그인 및 인증을 위한 기초정보를 입력하거나 계량 PC(13)로부터 계량정보를 제공받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그인 및 인증모듈을 이용한 로그인 및 인증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속 권한 인증과정은 사외 통신망(2')의 네트워크 접속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즉, 사외 통신망(2')이 사내 통신망(2)과 단절된 경우에만 운전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사내 WiFi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한다.
사외 통신망(2')과 사외 통신망(2)이 단절된 경우, 운전자는 사내 단말기(14)를 이용하여 사내 통신망(2)을 통해 계량 PC(13)에 접속하고(S1, S2), 사외 통신망(2')과 사내 통신망(2)이 연결된 경우에는 사외 통신망(2')을 매개로 중앙관제서버(15)에 접속한다(S6, S7). 즉, 사내 통신망(2)과 사외 통신망(2')이 단절된 상태에서만 사내 통신망(2)을 통해 계량 PC(13)에 접속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사내 단말기(14)에는 화물차량(1)의 계량을 위한 모바일 웹(이하, 계량 프로그램이라 함)이 설치되어 있고, 이를 이용하여 로그인 및 인증과정과 계량과정을 진행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그인 및 인증과정시 사내 단말기의 웹 화면을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4는 자동 및 수동 로그인시 웹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입고시 계량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출고시 계량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같이, 계량 프로그램은 자동 로그인 방식과 수동 로그인 방식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자동 로그인 방식과 수동 로그인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가령, 자동 로그인 방식에서는 '자동 로그인'을 선택한 후 QR 코드를 인식하면, 업체명이 자동 선택되고, 차량번호가 자동 입력된다. 수동 로그인 방식에서는 '수동 로그인'을 선택한 후 업체명 및/또는 차량번호를 각각 수동으로 입력한다.
자동 로그인 방식은 차량번호가 기등록되어 있고, QR 코드 인식이 가능한 경우 적용하고, 수동 로그인 방식은 차량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않은 경우(신규등록)이거나, 혹은 차량번호가 기등록된 경우에도 QR 코드 인식이 불가한 경우 적용한다.
가령, 사내 단말기(14)에는 계량 PC(13)에 대한 접속 권한을 부여받기 위해 필요한 기초정보를 계량 PC(13)에 등록하고 계량 PC(13)로부터 계량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사내 단말기(14)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계량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계량 프로그램은 사내 단말기(14)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자동 로그인 진입시, QR 코드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QR 코드의 인식을 통해 업체명 또는 차량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동 입력하고, 수동 로그인 진입시에는 업체명 또는 차량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동 입력하도록 제공하고(도 4참조), 입고시에는 입고되는 품목(물품)을 선택하여 등록하도록 제공하고(도 5참조), 출고시에는 출고되는 품목을 선택하여 등록하도록 제공한다(도 6참조).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자동 로그인 및 수동 로그인 방식은 업체명과 차량번호의 입력 과정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구분한 것으로, 업체명과 차량번호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 정보 확인하기 위한 '입력 정보 확인 버튼'("위의 정보가 맞습니까?")과 '계량 시작 버튼'("예(계량하기)", "아니오(이전화면)")이 제공된다.
이어서, 사내 단말기(14)로부터 로그인 및 인증을 위한 기초정보가 입력되면, 계량 PC(13)의 로그인 및 인증모듈(13b)은 입력된 기초정보와 데이터베이스로 기능하는 메모리(13e)에 기등록된 기초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인증을 완료하고, 인증이 완료된 사내 단말기(14)에 대해 계량 PC(13)에 대한 접속 권한을 부여한다(S4, S5).
도 3의 과정 S2에서, 사외 통신망(2')이 사내 통신망(2)과 단절된 상태인 경우에는 사내 통신망(2)을 이용하지 않고 외부 접속망인 사외 통신망(2'), 즉 통신사별 이동통신망을 통해 계량 PC(13)와 접속된 중앙관제서버(15)에 접속한다(S6, S7).
사외 통신망(2')을 이용하여 중앙관제서버(15)에 접속한 경우에도, 도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 로그인 또는 수동 로그인을 진행하여 로그인 및 인증을 수행한다.
상기 로그인 및 인증과정에서 입력되는 로그인 정보는 업체명과 차량번호 이외에 패스워드(업체별 고유 비밀번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안을 위해 로그 및 인증은 1회성으로, 해당 화물차량(1)에 대한 계량이 완료되거나, 혹은 일정 시간 경과시에는 자동 로그아웃(logout)되어 재차 로그인 및 인증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한편,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등과 같은 고전염성 바이러스의 출몰로 인한 재택근무나 출장 등으로 인해 계량 사업장 외에서 근무하는 외부 근무자 또는 사외 통신망(2')과 사내 통신망(2) 간의 단절로 인해 사외 통신망(2')을 통해 사내 통신망(2)에 접속이 불가한 운전자가 계량할 수 있도록 중앙관제서버(15)를 포함한다.
중앙관제서버(15)는 계량 PC(13)와 모든 데이터가 동기화되어 계량 PC(13)의 모든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데이터 유실 발생시 상호 간에 자동 백업/복구 기능을 제공한다.
원격 PC(16)는 재택근무나 출장 등으로 인해 계량 사업장 외에서 근무하는 외부 근무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사외 통신망(2')을 매개로 중앙관제서버(15)에 접속하되, 보안을 위해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한 로그인 및 인증과정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사외 단말기(14')는 재택근무나 출장 등으로 인해 계량 사업장 외에서 근무하는 외부 근무자가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서, 앞서 전술한 계량 프로그램과 동일하게 구동하는 모바일 웹 또는 모바일 앱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보안을 위해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한 로그인 및 인증과정을 통해 접속할 수 있으며, 특히 운전자의 경우에는 GPS를 이용한 위치정보 기반으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관제서버에 접속을 위한 로그인 및 인증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운전자의 위치별 접속 허용 반경의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계량 사업장 외부에서 사외 통신망(2')을 매개로 중앙관제서버(15)에 접속하고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 및 인증을 수행한다(S11, S12).
이어서, 입력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통해 로그인 및 인증과정이 통과되면, 입력된 아이디를 통해 현재 접속을 요청한 요청자가 근로자 또는 운전자인지를 판단하고, 근로자인 경우에는 중앙관제서버(15)에 대한 접속 권한을 부여한다(S14, S16).
과정 S14에서, 접속을 요청한 요청자가 화물차량의 운전자인 경우에는 운전자의 이동통신단말기, 즉 사내 단말기(14)에 구비된 GPS 모듈을 이용하여 현재 사내 단말기(14)의 위치가 접속 허용 반경 이내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접속 허용반경 이내인 경우에는 중앙관제서버(15)에 대한 접속을 허가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접속을 불허한다(S15, S16).
접속 허용반경을 벗어나 접속이 불허된 경우에는, 해당 사내 단말기(14)로 접속 불허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접속 불허 이유와 접속 허용범위 이내로의 이동을 알리는 메시지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예시에서, 'T1' 이동통신단말기는 접속 허용반경 내에 해당되어 중앙관제서버(15)에 대한 접속을 허가되고, 'T2'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에는 접속 허용반경을 벗어나 중앙관제서버(15)에 대한 접속이 불허된다. 이때, 접속 허용반경은 계량 사어장에서 반경 500m 이내로 설정할 수 있으며, 그 범위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한편,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은 계량대(11)에서 계량이 이루어지는 화물차량(1)을 촬용하는 무인 카메라(17)와, 화물차량(1)의 진출입을 안내하는 안내표시장치(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물차량(1)의 진출입을 감지하는 감지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희석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화물차량(1)의 안전한 계량을 위해 기존 계량 사업장 내에 구축되어 있는 범용 장비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례로 계량 사업장 내에서 사내 통신망을 통해 화물차량에 대한 계량이 수행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계량대(11)로 진입하는 화물차량(1)을 계량한다. 이때, 계량은 입차 확인 및 알림용 계량으로서, 계량정보가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 자동 알리고, 그렇지 않고 설정값 이하인 경우에는 계량진행 불가를 자동으로 알린다. 이때, 알림은 계량 사업장 내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한 안내방송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입차 확인이 완료되면, 사내 단말기(14)를 통해 계량을 진행할 화물차량(1)과 관련한 기초정보를 계량 PC(13)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그 과정은 도 4와 동일하게 진행되며, 로그인 및 인증과정을 통해 계량 PC(13)에 대한 접속 권한을 부여받게 된다. 이때, 계량 PC(13)는 사내 단말기(14)에서 전송된 기초정보를 등록(수정)한다.
이때, 기초정보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웹 화면과 같이, 입고와 출고, 그리고, 입고와 출고시 각 품목을 포함한다. 입고와 출고, 각 품목들은 사내 단말기(14)의 웹 화면에서 제공되는 선택버튼을 선택(터치)하는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어서, 화물차량(1)에 대한 계량을 수행한다. 이때, 계량은 반입/반출 각각 1차 계량 및 2차 계량으로 각각 실시할 수 있으며, 계량정보에 대한 검증은 무인 카메라(17)를 통해 인식된 차량번호와 등록된 기초정보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사내 단말기(14)의 웹 화면에서 제공되는 "예(계량하기)"를 선택하면, 계량 PC(13)는 인디케이터(12)로부터 계량기(11)에서 계량된 1차 계량정보를 제공받는 한편, 무인 카메라(17)를 통해 1차 계량시 촬영된 영상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사내 단말기(14)는 계량 PC(13)를 통해 1차 계량정보를 제공받는다.
이어서, 1차 계량이 완료되면, 1차 계량과 동일한 방법으로 2차 계량을 실행한다. 즉, 계량 PC(13)는 인디케이터(12)로부터 계량기(11)에서 계량된 2차 계량정보를 제공받는 한편, 무인 카메라(17)를 통해 2차 계량시 촬영된 영상을 각각 제공받는다. 그리고, 사내 단말기(14)는 계량 PC(13)를 통해 2차 계량정보를 제공받는다.
이어서, 1차 계량 및 2차 계량시 무인 카메라(17)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계량정보에 대한 검증을 실시한다. 가령, 무인 카메라(17)를 통해 인식된 차량번호와 사내 단말기(14)로부터 등록된 기초정보, 즉 차량번호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검증을 '통과' 처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검증을 '실패' 처리한다.
검증이 완료되면, 1차 계량정보와 2차 계량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화물차량의 화물 적재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화물 적재량과 검증결과를 사내 단말기(14)로 제공한다. 그리고, 공차 또는 실차 상태에서 화물차량(1)의 총중량과 산출된 화물 적재량 등을 포함하는 계량정보를 이용하여 계량증명을 실시하고, 계량전표를 발급한다.
한편, 1차 계량 또는 2차 계량 완료 후 계류차량은 보다 효율적으로 업체별 계량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고유번호 생성모듈(13f)를 통해 업체별 계량 고유번호를 생성한다. 이때, 계량 고유번호의 데이터 포맷은 도 10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계량 고유번호의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계량 고유번호의 데이터 포맷(DF)은 입출고, 업체 고유번호, 년/월/일 및 계량번호를 포함한다. 이때, 계량번호는 계량되는 순서대로 부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방법은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기록 매체의 형태(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방법은 전체 또는 일부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 : 화물차량 2 : 사내 통신망
2‘ : 사외 통신망 11 : 계량대
12 : 인디케이터 13 : 계량 PC
13a : 기초정보 등록모듈 13b : 로그인 및 인증모듈
13c : 계량모듈 13d : 통신모듈
13e : 메모리(데이터베이스) 13f : 고유번호 생성모듈
14 : 사내 단말기 14‘ : 사외 단말기
15 : 중앙관제서버 17 : 무인 카메라
18 : 안내표시장치 LC : 로드셀

Claims (10)

  1. 계량 사업장 내에 설치되고, 로드셀을 구비하여 화물차량의 중량을 계량하는 계량대;
    상기 계량대로부터 계량된 화물차량의 중량을 제공받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상기 인디케이터로부터 상기 계량대에서 계량된 화물차량의 중량을 포함하는 계량정보를 제공받아 등록 관리하고, 계량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계량 PC;
    계량 사업장의 외부에 설치되고, 사외 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계량 PC와 접속하며, 상기 계량 PC와 데이터 동기화를 통해 실시간 연동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중앙관제서버;
    계량 사업장의 외부에 위치되고, 외부 근무자가 사용하며, 사외 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중앙관제서버와 접속하여 기초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계량 PC로부터 제공받은 계량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서버를 통해 제공받는 원격 PC;
    계량 사업장 내에 위치되고, 내부 근무자 또는 화물차량의 운전자가 사용하며, 사내 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기반으로 상기 계량 PC와 데이터 통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지고, 사내 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계량 PC에 접속하여 기초정보를 상기 계량 PC로 제공하고, 상기 계량 PC로부터 계량정보를 제공받는 사내 단말기; 및
    계량 사업장의 외부에 위치되고, 외부 근무자가 사용하며, 사외 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기반으로 상기 중앙관제서버와 데이터 통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지고, 사외 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중앙관제서버와 접속하여 기초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계량 PC로부터 제공받은 계량정보를 상기 중앙관제서버를 통해 제공받는 사외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PC는,
    상기 사내 단말기나, 상기 중앙관제서버를 매개로 상기 원격 PC 또는 상기 사외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기초정보를 제공받아 등록 저장하는 기초정보 등록모듈;
    상기 사내 단말기나 상기 중앙관제서버를 매개로 상기 원격 PC 또는 상기 사외 단말기의 접속 요청에 대해 상기 계량 PC에 대한 접속 권한을 부여하는 로그인 및 인증모듈;
    상기 인디케이터로부터 상기 계량대에서 계량된 공차 또는 실차 상태의 화물차량의 중량을 제공받고, 이 두 중량의 차이를 토대로 화물 적재량을 산출하는 계량모듈; 및
    상기 계량모듈을 통해 화물차량에 대한 계량이 완료되면, 입출고, 업체 고유번호, 년/월/일 및 계량번호를 포함하는 계량 고유번호를 생성하는 고유번호 생성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내 단말기는 사내 통신망을 통해 화물차량에 대한 로컬 계량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 PC와 상기 사외 단말기는 사외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서버를 매개로 화물차량에 대한 원격 계량을 수행하도록 제공하되, 상기 사내 단말기의 사용자가 화물차량의 운전자인 경우에는 사내 통신망과 사외 통신망이 단절된 경우에만 상기 사내 단말기와 상기 계량 PC 간의 접속을 허용하여 로컬 계량을 수행하고, 사내 통신망과 사외 통신망이 서로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사내 단말기와 상기 계량 PC 간의 접속을 불허하여 사외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서버를 매개로 원격 계량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내 단말기 또는 상기 사외 단말기에는 상기 계량 PC에 접속하기 위한 로그인 및 인증을 위해 필요한 기초정보를 상기 계량 PC에 등록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계량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계량 프로그램은 자동 로그인 진입시 QR 코드의 인식을 통해 업체명 또는 차량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동 입력하고, 수동 로그인 진입시에는 업체명 또는 차량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동 입력하도록 제공하는 과정과, 입출고에 따라 입출고되는 품목을 선택하여 등록하도록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내 단말기의 사용자가 화물차량의 운전자인 경우에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한 상기 중앙관제서버의 접속 로그인 및 인증과정이 통과되더라도 현재 위치가 계량 사업장의 중심에서 접속 허용 반경을 벗어난 경우 상기 중앙관제서버에 대한 접속을 불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6. 계량 사업장에 정상 출근하는 내부 근무자의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진 사내 단말기를 이용하여 계량 사업장 내에 구축된 사내 통신망을 매개로 계량을 총괄하는 계량 PC에 접속하여 로컬 계량을 수행하고, 계량 사업장의 외부에 근무하는 외부 근무자의 경우에는 원격 PC를 이용하여 사외 통신망을 통해 계량 사업장 외부에 구축된 중앙관제서버에 접속되어 사외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계량 PC에 데이터 동기화된 상기 중앙관제서버를 통해 원격 계량을 수행하며, 상기 사내 단말기의 사용자가 화물차량의 운전자의 경우에는 사내 통신망이 사외 통신망과 단절된 경우에는 상기 로컬 계량으로 수행하고, 사내 통신망이 사외 통신망과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원격 계량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내 단말기의 사용자가 화물차량의 운전자인 경우에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한 상기 중앙관제서버의 접속 로그인 및 인증과정이 통과되더라도 현재 위치가 계량 사업장의 중심에서 접속 허용 반경을 벗어난 경우 상기 중앙관제서버에 대한 접속을 불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8. (a) 계량대로 진입하는 화물차량의 중량을 계량하는 과정;
    (b) 계량된 화물차량의 중량을 토대로 화물차량의 계량을 총괄하는 계량 PC에서 입차 확인 및 계량 진행 여부를 판단하고, 계량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로 계량 진행을 통보하는 과정;
    (c) 상기 계량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등록된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기초정보를 이용하여 로그인 및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계량 PC에 대한 접속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
    (d) 상기 계량대를 통해 화물차량을 1차 계량하여 1차 계량정보를 획득하는 한편, 무인 카메라를 통해 1차 계량과정을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1차 계량영상을 회득하고, 이렇게 획득된 1차 계량정보를 상기 계량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과정;
    (e) 상기 계량대를 통해 화물차량을 2차 계량하여 2차 계량정보를 획득하는 한편, 무인 카메라를 통해 2차 계량과정을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2차 계량영상을 회득하고, 이렇게 획득된 2차 계량정보를 상기 계량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과정;
    (f) 상기 계량 PC를 통해 상기 1차 및 2차 계량영상에 포함된 차량번호와 등록된 기초정보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비교하여 계량정보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는 과정; 및
    (g) 상기 계량 PC를 통해 상기 1차 및 2차 계량정보를 이용하여 화물 적재량을 산출하고, 계량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와 산출된 화물 적재량을 상기 사내 단말기로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계량 사업장 내부에 근무하는 내부 근무자인 경우, 계량 사업장 내부에 구축된 사내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계량 PC와 데이터 통신하여 로컬 계량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계량 사업장의 외부에 근무하는 외부 근무자인 경우에는 사외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계량 PC와 데이터 동기화되어 데이터를 실시간 연동하여 서로 주고받는 중앙관제서버와 데이터 통신하여 원격 계량을 수행하며, 사용자가 화물차량의 운전자인 경우에는 사내 통신망과 사외 통신망이 단절된 경우에만 사내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계량 PC와 데이터 통신하여 로컬 계량을 수행하고 사내 통신망과 사외 통신망이 연결된 경우에는 중앙관제서버와 데이터 통신하여 원격 계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방법.
  10.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방법을 실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27340A 2021-09-27 2021-09-27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44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340A KR20230044789A (ko) 2021-09-27 2021-09-27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340A KR20230044789A (ko) 2021-09-27 2021-09-27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789A true KR20230044789A (ko) 2023-04-04

Family

ID=85928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340A KR20230044789A (ko) 2021-09-27 2021-09-27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47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02977A (zh) * 2023-06-28 2023-07-28 广东长盈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无人值守称重方法、称重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128B1 (ko) 2013-01-17 2014-02-13 주식회사 카스 화물차량용 무인 계량 시스템
KR101895725B1 (ko) 2017-07-25 2018-09-05 김송희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
KR102131603B1 (ko) 2019-12-16 2020-07-08 이수행 무인 계근 자동화 시스템
KR20210107316A (ko) 2020-02-24 2021-09-01 (주)대지 에스텍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128B1 (ko) 2013-01-17 2014-02-13 주식회사 카스 화물차량용 무인 계량 시스템
KR101895725B1 (ko) 2017-07-25 2018-09-05 김송희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
KR102131603B1 (ko) 2019-12-16 2020-07-08 이수행 무인 계근 자동화 시스템
KR20210107316A (ko) 2020-02-24 2021-09-01 (주)대지 에스텍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02977A (zh) * 2023-06-28 2023-07-28 广东长盈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无人值守称重方法、称重装置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9924B2 (en) System for parcel transport and tracking operat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CN113256278A (zh) 基于区块链的测量设备租赁方法及装置
US9582837B2 (en) Management system for gas cock opening and closing
KR20230044789A (ko)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및 방법
US20200327218A1 (en) Method for authenticating a vehicle, authentication unit, service unit and central computer unit external to the vehicle
GB2524283A (en) Transport system user inspection
KR20140011786A (ko)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
CN112488609A (zh) 电力工具管理系统、方法、设备和存储介质
CN108108782A (zh) 一种核电站的施工机具安全信息管理系统和方法
KR20120019422A (ko) Qr코드를 이용한 보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9563992B2 (en) System and method of associating, assigning, and authenticating users with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using biometrics
CN115859379A (zh) 一种行程数据的校验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1016629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ayment system and program
JP2019046202A (ja) 宅配ボックス、宅配サーバ、宅配システム、宅配方法
JP6829079B2 (ja) 車両管理システム
KR102204891B1 (ko) 고장시 비상 제어 기능이 부가된 무인보관시스템
KR102407537B1 (ko) 사물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u et al. Design of dynamic surveillance system for port bulk cargo entering and leaving the warehouse based on RFID technology
KR101462584B1 (ko)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N210924860U (zh) 一种基于iBeacon技术的机房安全监控系统
KR102433039B1 (ko) 폐기물 처리를 위한 혼잡도 산출 시스템
CA3110989C (en) System for parcel transport and tracking operat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JP6475812B1 (ja) 供給地点登録チェック方法、コンピュータおよびプログラム
CN117974148A (zh) 停车费异常处理方法、系统、电子设备及介质
JP2022102112A (ja) 作業対価算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