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537B1 - 사물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537B1
KR102407537B1 KR1020200115593A KR20200115593A KR102407537B1 KR 102407537 B1 KR102407537 B1 KR 102407537B1 KR 1020200115593 A KR1020200115593 A KR 1020200115593A KR 20200115593 A KR20200115593 A KR 20200115593A KR 102407537 B1 KR102407537 B1 KR 102407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period
compartment
luggag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3326A (ko
Inventor
김영근
Original Assignee
유진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진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5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537B1/ko
Publication of KR20220033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30Accessories, e.g. signalling devices, lamps, means for leaving mess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50/28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9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with central server lin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가 사물함에 대한 관리를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사물함의 각 칸에 배치된 물체 감지 센서로부터 내부의 물체 존재 여부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상기 센싱 정보를 토대로, 사물함의 각 칸들 중 현재 내부에 짐이 존재하는 칸을 식별하는 단계; 및 (c) 현재 내부에 짐이 존재하는 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물함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키오스크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함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사물함 관리 방법 및 시스템{LOCK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사물함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물함 사용자의 사용 기간이 만료 되었을지라도, 해당 사물함에 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사물함의 상태를 점유 상태로 표시해주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페 분위기에서 스터디를 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스터디 룸 또는 스터디 카페들이 많이 생기고 있다.
이러한 스터디 룸, 스터디 카페, 독서실, 도서관 등에는 사용자들의 짐을 보관하기 위한 사물함이 배치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일정 기간 동안의 사물함 이용 요금을 결제하여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사물함에 짐을 보관하게 된다.
또한, 각 사물함의 이용 상태에 대한 정보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이용 요금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진 사물함에 대해서는 점유 표시, 그렇지 않은 사물함에 대해서는 유휴 표시가 된다.
점유 표시가 된 사물함은 일정 기간 동안의 이용 요금이 결제된 사물함인데, 이용이 허용된 기간이 만료되면 해당 사물함에 대해서는 유휴 표시로 전환된다.
사용자는 유휴 표시된 사물함에 대해 신규로 이용 요금을 결제하여 사용 요청을 할 수 있는데, 이전 사용자가 짐을 빼지 않은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리자는 짐을 빼지 않은 사용자에게 유선 연락을 취하여 짐을 빼줄 것을 요청하고, 해당 사물함에 대해 신규로 이용 요금을 결제한 사용자에게는 양해를 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터디 카페 등에 배치되는 사물함의 각 칸에 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물함에 대한 이용 기간이 만료되었더라도 점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칸에 대한 신규 이용 요금 결제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물함에 대한 이용 요금 결제에 따라 이용이 허가된 기간이 만료된 경우, 만료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과 해당 사용자의 과거 사물함 이용 이력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관리 지침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가 사물함에 대한 관리를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사물함의 각 칸에 배치된 물체 감지 센서로부터 내부의 물체 존재 여부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상기 센싱 정보를 토대로, 사물함의 각 칸들 중 현재 내부에 짐이 존재하는 칸을 식별하는 단계; 및 (c) 현재 내부에 짐이 존재하는 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물함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키오스크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함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물체 감지 센서는, 사물함 각 칸 내부의 양 측면 중 여닫이 문이 장착되는 측면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현재 유휴 상태인 칸, 현재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유효한 이용 권한이 결제된 칸, 이용 기간이 만료되어 이용 권한이 없으나 내부에 짐이 존재하는 칸을 상호 다르게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기 또는 키오스크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키오스크로부터 사물함에 포함되는 특정 칸에 대한 이용 요금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 수행을 한 후, 상기 특정 칸에 대한 이용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물함 각 칸의 내부에 배치되는 물체 감지 센서; 및 상기 물체 감지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관리 서버가 사물함의 각 칸들 중 현재 내부에 짐이 존재하는 칸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물함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터디 카페 등에 배치되는 사물함의 각 칸에 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물함에 대한 이용 기간이 만료되었더라도 점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칸에 대한 신규 이용 요금 결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물함에 대한 이용 요금 결제에 따라 이용이 허가된 기간이 만료된 경우, 만료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과 해당 사용자의 과거 사물함 이용 이력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관리 지침이 생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키오스크(200), 관리 서버(300), 사물함(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와 관리 서버(300), 키오스크(200)와 관리 서버(300), 사물함(400) 내부의 장착된 통신 모듈과 관리 서버(300)는 통신망, 예를 들면, 이동통신망,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 무선통신망(WiFi: Wireless Fidelity)을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연산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기기라면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랩탑 노트북, PDA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관리 서버(300)로 스터디 카페에 대한 이용 요금 결제 요청 및 사물함(400)에 대한 이용 요금 결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스터디 카페에 대한 이용 요금 결제 시에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로 해당 스터디 카페에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자, 예를 들면, 바코드 또는 QR코드 등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식별자는 사용자가 결제한 이용 기간 동안 스터디 카페로의 출입 권한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동작들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관리 서버(300) 또는 이와는 다른 앱스토어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200)는 상기 설명한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스터디 카페에 대한 이용 요금 결제 요청 및 사물함(400)에 대한 이용 요금 결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식별자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면, NFC 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된 식별자를 통해 스터디 카페에 출입할 수 있는데, 출입 시 식별자에 대한 인식은 출입문 또는 상기 키오스크(200)에 설치되는 식별자 인식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인식된 식별자에 대한 정보는 관리 서버(300)로 전송되며, 관리 서버(300)는 해당 식별자에 대한 유효 여부를 확인 후, 출입문을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 결제 시 입력한 자신의 식별 정보, 예를 들면, 전화번호를 통해서도 출입 권한 인증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출입문 또는 상기 키오스크(200)에 설치되는 입력부를 통해 자신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300)는 상기 설명한 결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금융사 서버 등과 연계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며, 출입 권한으로서의 식별자를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키오스크(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출입 시 출입 권한을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키오스크(200)로 현재 이용 가능한 스터디 카페의 좌석 정보, 이용 가능한 사물함(400)의 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사용자는 이용 가능한 사물함(400)의 칸 중 일 이상을 선택하여, 해당 이용 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데, 관리 서버(300)는 사물함(400)의 각 칸에 대한 점유 상태 정보를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키오스크(200)에 전송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300)는 출입 권한 생성부(310), 출입 권한 검증부(320), 사물함 이용 권한 생성부(330), 사물함 점유 상태 확인부(340), 사물함 관리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출입 권한 생성부(310), 출입 권한 검증부(320), 사물함 이용 권한 생성부(330), 사물함 점유 상태 확인부(340), 사물함 관리부(350)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는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관리 서버(300) 또는 이와 통신 가능한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권한 생성부(310)는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키오스크(200)로부터 스터디 카페에 대한 이용 요금 결제 요청을 수신한 후, 결제 과정을 처리하고, 상기 이용 요금에 해당하는 이용 기간만큼 유효한 출입 권한을 해당 사용자에게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입 권한으로서의 식별자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키오스크(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권한 검증부(320)는 출입문 또는 키오스크(200)에 장착되는 식별자 인식기에 의해 인식되는 식별자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식별 정보(예를 들면, 전화번호)를 수신한 후, 해당 정보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한다. 유효성 검증 결과 해당 식별자 또는 식별 정보가 현재 유효한 출입 권한 정보라면, 출입문에 대한 구동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이용 권한 생성부(330)는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키오스크(200)에 현재 이용 가능한 사물함(400)의 칸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키오스크(200)로부터 특정 칸에 대한 선택 정보, 해당 칸에 대한 이용 기간 정보, 해당 칸에 대한 이용 요금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이를 통해 결제 과정을 처리하고, 해당 사물함(400)의 칸에 대해 설정된 기간만큼의 이용 권한을 해당 사용자에게 부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점유 상태 확인부(340)는 사물함(400)으로부터 각 칸에 대한 점유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키오스크(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400)의 각 칸에는 물체 감지 센서(410)가 장착될 수 있다.
물체 감지 센서(410)는 사물함(400)의 각 칸마다 한 개 이상씩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물함(400)의 내부 양 측면 중 여닫이문이 장착되는 측면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에 장착됨으로써, 높이가 낮은 물체 또는 깊숙하게 위치하는 물체에 대한 감지도 가능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 감지 센서(410)는 사물함(400)의 각 칸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와 관련된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3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사물함(400)는 일 이상의 제어부(420)를 포함하는데, 하나의 제어부(420)는 복수개의 칸에 각각 배치된 복수개의 물체 감지 센서(410)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이들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420)는 제1 그룹(G1)을 이루는 물체 감지 센서(410)로부터 센싱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하나의 그룹(G1)은 예를 들면, 10개의 사물함 칸에 배치된 물체 감지 센서(410)들일 수 있다. 이러한 물체 감지 센서(410)는 예를 들면, 초음파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그 외에 물체의 존재 여부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 예를 들면, 적외선 센서 등의 접근 센서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 물체 감지 센서(410)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사물함 점유 상태 확인부(340)는 상기 설명한 물체 감지 센서(410)로부터의 센싱 신호를 사물함(400)의 제어부(4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를 통해 현재 내부에 짐이 존재하고 있는 칸을 식별할 수 있으며, 사물함(400) 각 칸에 대한 점유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키오스크(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물함 점유 상태 확인부(340)는 현재 유휴 상태인 칸(어떠한 사용자에 의해서도 이용 권한이 부여되지 않았으며, 현재 내부에 짐이 존재하지 않는 칸), 현재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유효한 이용 권한이 결제된 칸, 이용 기간이 만료되어 이용 권한이 없으나 내부에 짐이 존재하는 칸을 상이하게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키오스크(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체 사물함(400)을 이미지 형태로 나타낸 후, 각 칸을 그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입장에서는 현재 사물함(400) 각 칸에 대한 정확한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되며, 만약, 현재 이용 요금 결제가 가능한 칸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용 권한이 없으나 내부에 짐이 존재하는 칸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정보를 파악하여 관리자에게 해당 칸에 대해 짐을 비워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관리부(350)는 사물함 점유 상태 확인부(340)에 의해 확인된 정보를 기초로, 이용 권한이 없으나 내부에 짐이 존재하는 사물함(400)의 칸에 대해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짐이 존재하는 칸의 이용 기간 만료 후 경과 시간을 토대로 해당 칸에 대한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 기간 만료 후 제1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관리자 단말기(미도시됨)에 해당 정보를 알려줄 수 있고, 상기 제1 기간보다 긴 시간이 제2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관리자 단말기에 해당 칸을 강제로 비워도 됨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해당 칸에 대해 이용 요금을 결제했던 사용자의 단말기(100)에 짐이 강제적으로 비워질 것이라는 정보를 제공해줄 수도 있다. 이 때, 짐을 일정 기간 안에 스스로 비워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기간 및 제2 기간은 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일괄적으로 입력되어 관리 서버(300)에 전송되거나, 관리 서버(30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칸에 대해 이용 요금을 결제했던 사용자, 즉, 해당 칸의 짐 주인의 과거 이용 이력에 참조하여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간(T1) 및 제2 기간(T2)은 해당 사용자의 과거 스터디 카페 이용 요금 결제 실적(A)과, 사물함 이용 요금 결제 실적(B)에 비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112020095739953-pat00001
[수학식 2]
Figure 112020095739953-pat00002
상기 수학식에서 α, β, γ, δ는 가중치로서, 필요 또는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기간(T2)은 강제적으로 짐을 비우기 위한 임계 시간이므로, 사물함(400)의 점유와 관련된 결제 실적(B)에 상대적으로 더 큰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물함(400)의 각 칸에 대한 점유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물함(400)에 대한 정당한 이용 기간이 만료되었으나, 내부에 짐이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되어, 해당 칸에 대한 이용 요금 결제 및 이로 인한 트러블 발생 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단말기
200: 키오스크
300: 관리 서버
310: 출입 권한 생성부
320: 출입 권한 검증부
330: 사물함 이용 권한 생성부
340: 사물함 점유 상태 확인부
350: 사물함 관리부

Claims (5)

  1. 관리 서버가 사물함에 대한 관리를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사물함의 각 칸에 배치된 물체 감지 센서로부터 내부의 물체 존재 여부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상기 센싱 정보를 토대로, 사물함의 각 칸들 중 현재 내부에 짐이 존재하는 칸을 식별하는 단계; 및
    (c) 현재 내부에 짐이 존재하는 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물함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키오스크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현재 유휴 상태인 칸, 현재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유효한 이용 권한이 결제된 칸, 이용 기간이 만료되어 이용 권한이 없으나 내부에 짐이 존재하는 칸을 상호 다르게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기 또는 키오스크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 권한이 없으나 내부에 짐이 존재하는 칸에 대해서는, 이용 기간 만료 후 제1 기간이 경과한 후, 제1 기간 경과에 대한 사실을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1 기간보다 긴 제2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해당 칸을 강제로 비워도 된다는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간(T1)과 제2 기간(T2)은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설정되고,
    Figure 112022042809786-pat00007

    Figure 112022042809786-pat00008

    상기 수학식에서, A는 상기 이용 권한이 없으나 내부에 짐이 존재하는 칸에 대한 직전 이용 요금 결제 사용자의 스터티 카페에 대한 과거 요금 결제 실적, B는 상기 직전 이용 요금 결제 사용자의 사물함 이용 요금 결제 실적, α, β, γ, δ는 가중치이며, 상기 δ는 γ보다 크게 설정되는, 사물함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감지 센서는, 사물함 각 칸 내부의 양 측면 중 여닫이 문이 장착되는 측면의 하단에 배치되는, 사물함 관리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키오스크로부터 사물함에 포함되는 특정 칸에 대한 이용 요금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 수행을 한 후, 상기 특정 칸에 대한 이용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함 관리 방법.
  5. 사물함 각 칸의 내부에 배치되는 물체 감지 센서; 및
    상기 물체 감지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관리 서버가 사물함의 각 칸들 중 현재 내부에 짐이 존재하는 칸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현재 유휴 상태인 칸, 현재 임의의 사용자에 의해 유효한 이용 권한이 결제된 칸, 이용 기간이 만료되어 이용 권한이 없으나 내부에 짐이 존재하는 칸을 상호 다르게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기 또는 키오스크에 전송하고,
    상기 이용 권한이 없으나 내부에 짐이 존재하는 칸에 대해서는, 이용 기간 만료 후 제1 기간이 경과한 후, 제1 기간 경과에 대한 사실을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1 기간보다 긴 제2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해당 칸을 강제로 비워도 된다는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제1 기간(T1)과 제2 기간(T2)은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설정되고,
    Figure 112022042809786-pat00009

    Figure 112022042809786-pat00010

    상기 수학식에서, A는 상기 이용 권한이 없으나 내부에 짐이 존재하는 칸에 대한 직전 이용 요금 결제 사용자의 스터티 카페에 대한 과거 요금 결제 실적, B는 상기 직전 이용 요금 결제 사용자의 사물함 이용 요금 결제 실적, α, β, γ, δ는 가중치이며, 상기 δ는 γ보다 크게 설정되는, 사물함 관리 시스템.
KR1020200115593A 2020-09-09 2020-09-09 사물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407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593A KR102407537B1 (ko) 2020-09-09 2020-09-09 사물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593A KR102407537B1 (ko) 2020-09-09 2020-09-09 사물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326A KR20220033326A (ko) 2022-03-16
KR102407537B1 true KR102407537B1 (ko) 2022-06-10

Family

ID=80937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593A KR102407537B1 (ko) 2020-09-09 2020-09-09 사물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53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839B1 (ko) * 2010-01-14 2012-08-03 (주)에스엠씨코리아 도서관 보관함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326A (ko)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21323A1 (en) Blockchain-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TWI529636B (zh) Portab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1689235A (zh) 用户认证装置、用户认证方法以及用户认证程序
EP3465643B1 (en)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with associated beacon
JP5640735B2 (ja) 複数の携帯通信端末および現金取引装置と通信可能に接続された現金管理サーバ
CA2346908A1 (en) A parking management system
US11429924B2 (en) System for parcel transport and tracking operat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US201502870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ed vending solutions
US117689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afely storing an object
EP2940641B1 (en) Information accessing device, computer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ess control system, mobile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and program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JP6440885B1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07537B1 (ko) 사물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83382A (ko) 도서관 보관함 관리 시스템
US20210272382A1 (en) Automated parking tracker
KR20130110437A (ko) 주차관리 시스템
EP1506506A1 (en) Small sum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through pre-approval using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KR940010573A (ko) 원격자동응답식 전자식별 시스템 및 자동식별 방법
JP5811254B2 (ja) 現金管理システムおよび現金管理方法
JP2019197524A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65190B1 (ko) 무인 매장 관리 방법 및 무인 매장 관리 장치
KR102490432B1 (ko) 키오스크를 통한 포터 전용 세탁 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5061481B (zh) 血糖检测无人车的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521163B2 (en) System for parcel transport and tracking operat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US11521164B2 (en) System for parcel transport and tracking operat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KR20220033327A (ko) 좌석 관리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