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839B1 - 도서관 보관함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서관 보관함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839B1
KR101170839B1 KR1020100003579A KR20100003579A KR101170839B1 KR 101170839 B1 KR101170839 B1 KR 101170839B1 KR 1020100003579 A KR1020100003579 A KR 1020100003579A KR 20100003579 A KR20100003579 A KR 20100003579A KR 101170839 B1 KR101170839 B1 KR 101170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storage
list
applicant
lib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3382A (ko
Inventor
임병구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에스엠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003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839B1/ko
Publication of KR20110083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2Indicating arrangements
    • H03J1/025Indicating arrangements with voiced announc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서관 보관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함을 사용하기를 희망하는 도서관 이용자 대비 보관함 개수가 턱없이 부족한 도서관에서 보관함 사용현황을 자동 관리하여 사용이 종료된 보관함이 발생하면 즉시 보관함 사용을 신청한 대기자에게 보관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정 사용자가 보관함을 장기간 독점 사용하지 않도록 하여 보관함 사용에 형평성을 잃지 않도록 하는 보관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서관 보관함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물품 보관함;과, 상기 물품 보관함들의 사용신청, 사용허가, 사용현황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도서관 보관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보관함 사용현황 목록, 보관함 사용자 목록, 예비 허가자 목록, 사용 대기자 목록을 갖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보관함의 사용신청과, 신청자의 정보를 접수받는 신청접수부와, 상기 신청접수부에 보관함의 사용신청이 접수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보관함 사용현황 목록에 등록된 정보를 독출하여 사용 가능한 보관함이 있는지 검색하고, 검색결과 사용 가능한 보관함이 있는 때에는 데이터베이스의 예비 허가자 목록에 신청자의 정보를 등록하고, 사용 가능한 보관함이 없는 때에는 데이터베이스의 사용 대기자 목록에 신청자의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예비 허가자 목록에 신청자가 등록되었는지 여부와, 사용 대기자 목록에 신청자가 등록되어 있으며 보관함 사용현황 목록에 사용 가능한 보관함 또는 소정 기일 내에 사용 가능하게 되는 보관함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검색부와, 상기 검색부의 검색결과를 받아 신청자에게 보관함의 사용 가능 여부 또는 예상되는 사용 가능 시기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알림부와, 신청자의 보관함 사용이 허가된 때에 신청자에게 보관함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권한부여부와, 관리서버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서관 보관함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locker}
본 발명은 도서관 보관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함을 사용하기를 희망하는 도서관 이용자 대비 보관함 개수가 턱없이 부족한 도서관에서 보관함 사용현황을 자동 관리하여 사용이 종료된 보관함이 발생하면 즉시 보관함 사용을 신청한 대기자에게 보관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정 사용자가 보관함을 장기간 독점 사용하지 않도록 하여 보관함 사용에 형평성을 잃지 않도록 하는 보관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학교의 도서관이나 국공립 도서관은 학생과 수험생들이 많이 이용한다. 그리고 학생이나 수험생과 같은 이용자들은 도서관을 일시적으로 방문하는 것이 아니고 장기간 지속적으로 방문을 한다.
그리고 이들 학생이나 수험생은 여러 종류의 수험서적을 갖고 있어 도서관에 배치되어 있는 보관함에 수험서적을 넣어 두고 필요할 때마다 꺼내 쓰기를 원한다.
그런데 도서관에는 보관함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보관함 사용을 희망하는 이용자에게 모두 보관함을 사용하게 할 수 없다.
따라서 미사용 중인 보관함 있는 것을 간과하여 보관함 이용 신청자에게 보관함 사용을 허가하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물건이 장기간 보관함에 수납되어 있을 뿐이고 실제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보관함은 다른 신청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정인이 보관함을 장기간 독점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등 하여 보관함의 관리를 철저히 하고 보관함 이용에 형평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현재의 도서관은 보관함 이용을 관리할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아 보관함 사용과 관리가 주먹구구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문제이다.
참고로, 등록특허 제0823204호 "보관함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이나 등록특허 제0555227호 "보관함을 이용한 물품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등과 같이 보관함을 관리하는 시스템과 관리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들 시스템은 지하철역, 터미널, 공항 등에 설치되는 보관함의 관리를 위한 것이고, 이용자들도 장시간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단기간 일시적으로 이용하는 것이고, 보관함 관리의 중점은 사용자가 물건을 수납한 후에 찾기까지 안전하게 보관하는 보안에 중점을 둔 시스템으로서, 본 발명과는 보관함 이용자들의 특성이 확연히 다르고 그에 따라 보관함을 관리하는 방법이나 시스템 자체도 다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 도서관에서 보관함의 관리가 주먹구구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보관함 사용을 희망하는 신청자는 넘침에도 불구하고 미사용 중인 보관함이나 실질적으로 불사용 중인 보관함이 발생되는 등 보관함 이용효율이 떨어지고, 특정인이 보관함 사용을 장기간 독점하거나 보관함 사용 신청을 먼저 하였음에도 후에 신청한 사람에게 보관함을 사용하게 하는 등의 형평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보관함들의 사용현황과 보관함 사용 신청과 보관함 사용 허가 등을 자동으로 관리하여 보관함 이용효율을 높이고 형평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도서관 보관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서관 보관함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물품 보관함;과,
상기 물품 보관함들의 사용신청, 사용허가, 사용현황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도서관 보관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보관함 사용현황 목록, 보관함 사용자 목록, 예비 허가자 목록, 사용 대기자 목록을 갖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보관함의 사용신청과, 신청자의 정보를 접수받는 신청접수부와,
상기 신청접수부에 보관함의 사용신청이 접수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보관함 사용현황 목록에 등록된 정보를 독출하여 사용 가능한 보관함이 있는지 검색하고, 검색결과 사용 가능한 보관함이 있는 때에는 데이터베이스의 예비 허가자 목록에 신청자의 정보를 등록하고, 사용 가능한 보관함이 없는 때에는 데이터베이스의 사용 대기자 목록에 신청자의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예비 허가자 목록에 신청자가 등록되었는지 여부와, 사용 대기자 목록에 신청자가 등록되어 있으며 보관함 사용현황 목록에 사용 가능한 보관함 또는 소정 기일 내에 사용 가능하게 되는 보관함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검색부와,
상기 검색부의 검색결과를 받아 신청자에게 보관함의 사용 가능 여부 또는 예상되는 사용 가능 시기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알림부와,
신청자의 보관함 사용이 허가된 때에 신청자에게 보관함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권한부여부와,
관리서버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예비 허가자 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신청자로부터 보관함 사용료가 결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결제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관함에는 비밀번호 입력으로 잠금이 해제되는 도어 잠금수단과, 송수신모듈과, 상기 도어 잠금수단과 송수신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송수신모듈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권한부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송수신모듈에 비밀번호를 전송하여 상기 커트롤러가 전송된 비밀번호를 도어 잠금수단의 비밀번호로 설정하도록 하고, 상기 알림부를 통해 신청자의 휴대폰으로 비밀번호와 보관함번호를 단문메시지로 전송하여 신청자에게 보관한 사용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관함에는 물품이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수납감지부와, 스피커와, 음성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보관함의 도어가 개방되었다가 폐쇄된 때에 상기 수납감지부로부터 물건이 수납되어 있지 않다는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보관함의 사용을 종료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음성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잠금수단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을 통해 보관함의 사용을 종료한다는 사용자의 응답이 있으면 이를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보관함의 도어가 개방되었다가 폐쇄된 때에 보관함의 사용종료일이 소정기일 이내이며 사용자가 보관함 사용의 연장이 가능한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보관함의 사용을 연장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음성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잠금수단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을 통해 보관함의 사용 연장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 이를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도서관 보관함 관리 시스템은 관리서버를 통해 모든 보관함의 사용현황을 파악하여 사용이 종료된 보관함이 있거나 사용이 공 종료될 보관함이 있으면 신청자가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데이터베이스에 대기자목록을 두어 보관함 신청자가 많을 때에는 신청 순서대로 보관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함 사용료가 결제되면 즉시로 보관함의 비밀번호가 설정됨과 동시에 신청자 휴대폰으로 비밀번호가 전송되어 보관함 사용권한이 부여되고, 사용중인 보관함에 물건이 수납되지 않거나 사용 종료일이 며칠 남지 않은 때에는 보관함 사용을 종료할 것인지 보관함 사용을 연장할 것인지를 확인하여 사용을 종료하거나 연장을 하지 아니한 때에는 다른 신청자에게 보관함 사용을 허가 하는 등 도서관 이용자의 보관함 사용의 편의성과 형평성을 높이고 보관함 관리의 효율성이 뛰어나 보관함 관리 시스템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서관 보관함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활용한 보관함 관리방법의 개략적인 절차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서관 보관함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도서관에 배치되는 다수의 물품 보관함(20)과, 상기 보관함(20)의 사용현황, 사용 신청, 사용 허가 등을 관리하는 관리서버(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관리서버(10)는 통상적으로는 도서관 내에 설치될 것이나, 인터넷의 발달로 원격접속이 가능하므로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관리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12), 신청접수부(12), 등록부(14), 검색부(15), 알림부(16), 권하부여부, 결제확인부(18), 통신부(19), 제어부(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2)는 보관함(20) 관리를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2)에는 보관함(20) 사용현황 목록, 보관함(20) 사용자 목록, 예비 허가자 목록, 사용 대기자 목록, 사용 불허자 목록을 갖고, 기타 보관함(20)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와 관리서버(10)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상기 보관함(20) 사용현황 목록에는 보관함(20)들의 배치도, 번호, 각 보관함(20)이 현재 사용 중인지 여부, 보관함(20)이 신청자에게 예비적으로 허가되었는지 여부, 보관함(20) 사용 종료일, 보관함(20) 사용 연장횟수, 보관함(20)에 물건이 수납되어 있는지 여부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보관함(20) 사용자 목록은 보관함(20) 사용현황 목록의 사용중인 보관함(20)과 매칭되어 사용자의 성명, 연락처 등과 같은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예비 허가자 목록에는 보관함(20) 사용 신청자 중에서 사용 가능한 보관함(20)이 있어 사용 가능함을 통보하였으나 사용료 등을 결제하지 아니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이 허가되지 않은 신청자의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사용 대기자 목록에는 보관함(20) 사용 신청자 중에서 사용 가능한 보관함(20)이 없어 보관함(20) 사용을 대기하고 이는 신청자의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사용 불허자 목록에는 보관함(20) 사용을 신청하여도 보관함(20) 사용을 허가할 수 없는 도서관 이용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특정인이 보관함(20)을 장기간 독점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관함(20) 사용 기간이나 연장횟수를 제한한 경우에 이 제한에 해당하는 이용자나, 도서관의 기물을 파손하는 등으로 제제조치를 받은 이용자나, 기타 도서관 또는 보관함(20) 이용에 제약을 받은 이용자가 사용 불허자 목록에 저장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2)의 각 목록에 저장된 정보는 그때 그때 다른 목록으로 이동하여 저장이 되는데, 이는 제어부(11)가 제어를 한다.
상기 신청접수부(12)는 도서관 이용자가 보관함(20) 사용신청을 하는 때에 사용신청된 사실과, 신청자의 정보를 접수 받는다. 도서관 이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관리서버(10)에 접수하여 사용신청을 하고 자신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도서관에 설치된 컴퓨터를 통해 입력하거나, 관리자가 신청자의 신청을 받아 입력을 할 수도 있다.
상기 등록부(14)는 상기 신청접수부(12)에 보관함(20) 사용신청이 접수되면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고 검색하여 신청자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의 예비 허거자 목록이나 사용 대기자 목록에 등록시킨다.
상기 등록부(14)는 사용신청이 있으면, 우선 데이터베이스(12)의 사용 불허자 목록에 신청자가 등록되었는지 검색하여 등록되었으면 알림부(16)를 통해 보관함(20) 사용이 제한(불허)되어 있음을 알리고, 사용 불허자 목록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보관함(20) 사용현황 목록에 등록된 정보를 독출하여 현재 사용 가능한 보관함(20)이 있는지 검색을 한다. 검색결과 사용 가능한 보관함(20)이 있는 때(물론 이때는 사용 대기자 목록에는 신청자가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것이다.)에는 예비 허가자 목록에 신청자의 정보를 등록하고, 사용 가능한 보관함(20)이 없는 때에는 사용 대기자 목록에 신청자의 정보를 등록한다.
상기 검색부(15)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2)의 보관한 사용현황 목록, 예비 허가자 목록, 사용 대기자 목록을 수시로 검색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비 허가자 목록에 새로운 신청자가 등록되었는지 여부와, 보관함(20) 사용현황 목록에 사용 가능한 보관함(20) 또는 소정 기일 내에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보관함(20)이 등록되었는지 여부와, 사용 대기자 목록에 신청자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알림부(16)로 전송한다. 또한 보관함(20) 사용현황 목록에 사용 가능한 보관함(20) 또는 소정 기일 내에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보관함(20)이 등록되고 사용 대기자 목록에 신청자가 등록되어 있는 때에는 선 순위의 사용 대기자 목록에 등록된 신청인을 예비 허가자 목록으로 이동시켜 저장한다.
상기 알림부(16)는 검색부(15)의 검색결과 예비 허가자 목록에 새로운 신청인이 등록된 경우 그 신청인에게 보관함(20)이 사용 가능함, 사용 가능한 시점, 사용료, 사용료 결제기한, 사용 가능한 보관함(20) 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알린다. 사용 대기자 목록에 등록된 신청자가 있으며 사용 가능한 보관함(20)이 발생되는 때에는 그 신청자는 예비 허가자 목록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새롭게 예비 허가자 목록에 등록되는 신청자이므로 위와 동일하게 알림부(16)를 통해 정보가 전송된다. 그리고 알림부(16)는 보관함(20)의 사용이 종료된 이후에도 보관하에 물건이 수납되어 있거나 관리자가 물건을 수거한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등 보관함(20) 관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보관함(20) 사용자, 신청자, 도서관 이용자 등에게 알릴 수도 있다.
상기 알림부(16)로는 도서관 입구에 설치되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나, 신청자의 휴대폰으로 문자메시지(SMS)를 전송하는 SMS전송기, 신청자에게 메일을 보내는 메일발송기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전달을 위한 신청자의 휴대폰 번호나 메일 주소 등은 보관함(20) 사용신청시에 신청자의 정보로 데이터베이스(12)에 등록 저장되어 있다.
상기 결제확인부(18)는 알림부(16)를 통해 보관함(20) 사용 가능함을 전송 받은 예비 허가자가 보관함(20) 사용료를 결제(납부)하였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사용료는 현금뿐만 아니라 포인트, 쿠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무료 또는 특정조건의 충족 등이 될 수도 있다.
상기 권한부여부(17)는 신청자의 보관함(20) 사용이 최종적으로 허가된 때(통상 상기 결제확인부(18)가 사용료가 결제되었음을 확인하는 때가 될 것이다.)에 신청자에게 보관함(20) 사용 권한을 부여한다.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으로는 보관함(20)의 도어가 비밀번호로 개폐되는 때에는 비밀번호와 보관함(20) 번호를 알림부(16)를 통해 전송하는 것과, 카드로 보관함(20)의 도어가 개폐되는 때에는 보관함(20)의 번호와 카드 수령을 알림부(16)를 통해 고지하는 것과, 기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잠기는 보관함(20)의 경우, 권한부여부(17)가 통신부(19)를 통해 보관함(20)의 송수신모듈(23)로 비밀번호를 전송하여 상기 커트롤러가 전송된 비밀번호를 도어 잠금수단(22)의 비밀번호로 설정하도록 하고, 상기 알림부(16)를 통해 신청자의 휴대폰으로 비밀번호와 보관함(20)번호를 단문메시지로 전송하여 신청자에게 보관한 사용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2), 등록부(14), 검색부(15), 알림부(16), 결제확인부(18), 권한부여부(17), 통신부(19)와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한다. 즉, 관리서버(10)를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통신부(19)는 상기 보관함(20)에 구비되어 있는 송수신모듈(23)과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보관함(20)에는 도어 잠금수단(22), 송수신모듈(23), 수납감지부(24), 스피커(26), 메모리(25), 컨트롤러(21)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 잠금수단(22)은 보관함(20)의 도어을 잠그고,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장치로, 비밀번호 입력으로 잠금을 해제하거나, 카드를 읽어 잠금을 해제하거나, 생체인식수단(예; 지문, 홍채)을 인지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납감지부(24)는 보관함(20)에 물품이 수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로 압력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26)는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메모리(25)에는 스피커(26)로 출력할 음성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모듈(23)은 관리서버(10)의 통신부(19)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컨트롤러(21)는 잠금수단(22), 송수신모듈(23), 수납감지부(24), 스피커(26), 메모리(25)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보관함(20)에 수납감지부(24), 스피커(26), 메모리(25), 컨트롤러(21), 송수신모듈(23) 등을 구비시키는 것은 보관함(20) 이용과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보관함(20)을 사용한 때, 즉 보관함(20)의 도어가 개방되었다가 폐쇄된 때에, 보관함(20)에 물품이 수납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보관함(20)의 사용을 중단하기 위해 물품을 수거한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수납감지부(24)가 보관함(20)에 물건이 수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보관함(20)에 물건이 수납되어 있다가 수거되면 이를 컨트롤러(21)로 전송한다. 그러면 컨트롤러(21)는 메모리(25)의 음성정보 중 보관함(20)의 사용을 종료할 것인지를 묻는 음성과 종료여부를 잠금수단(22)에 구비된 입력부(통상 버튼)를 통해 선택하도록 하는 음성을 스피커(26)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가 보관함(20) 사용을 종료한다는 응답을 하면 이를 송수신모듈(23)을 통해 관리서버(10)로 전송시킨다. 사용 종료 신호를 전송받은 관리서버(10)는 이 보관함(20)을 사용 가능한 보관함(20)으로 등록하고 이후의 절차를 진행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보관함(20)을 사용한 때, 즉 보관함(20)의 도어가 개방되었다가 폐쇄된 때에, 보관함(20) 사용 종료일이 며칠 남지 아니하고 사용자가 보관함(20)의 사용을 연장할 수 있는 경우에는 컨트롤러(21)는 메모리(25)의 음성정보 중 보관함(20)의 사용을 연장할 것인지를 묻는 음성정보를 스피커(26)로 출력시키고, 잠금수단(22)의 버튼을 통해 이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 이를 송수신모듈(23)을 통해 관리서버(10)로 전송한다. 관리서버(10)는 연장하지 않는다는 응답을 받으면 이 보관함(20)의 사용 종료일을 등록하여 다른 신청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연장을 한다는 응답을 받으면 신청자에게 연장 사용에 대한 사용료 납부 등을 알린다.
그리고 송수신모듈(23), 메모리(25), 컨트롤러(21) 등을 구비한 보관함(20)은 관리서버(10)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므로, 원격의 관리서버(10)에서 보관함(20)의 제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잠금수단(22)의 비밀번호 등을 설정, 변경 할 수 있고, 메모리(25)에 저장되는 음성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도2는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관함(20) 사용신청을 하여 보관함(20)을 사용허가를 받고 사용하다가 사용을 종료하기 까지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차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보관함(20) 관리 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
우선, 도서관 이용자 중에서 보관함(20) 이용을 원하는 자는 보관함(20) 사용신청을 하고(S10),
보관함(20) 사용신청이 접수되면 등록부(14)는 사용 가능한 보관함(20)이 있는지 검색하여(S20) 신청자를 사용 대기자 목록 또는 예비 허가자 목록에 등록 시킨다(S30, S50). 그리고 사용 대기자 목록에 등록된 신청자는 차후에 사용 가능한 보관함(20)이 새로 발생되면 예비 허가자 목록에 등록(S40, S50)된다.
예비 허가자 목록에 신청자가 등록되면 알림부(16)는 신청자에게 보관함(20) 번호, 사용료, 납부기간 등을 전송하고(S60),
신청자가 사용료를 납부하여 결제를 완료하면(S70), 보관함(20) 번호와 비밀번호 등을 알려 보관함(20) 사용을 허가한다(S80).
사용자의 보관함(20) 사용 중에 보관함(20) 사용 종료일이 임박하면(S91), 사용자에게 보관함(20) 사용을 더할 것인지(즉, 연장할 것인지)를 묻고(S92), 연장을 한다고 응답하면 다시 사용료 안내 등의 S60단계를 시작하고, 연장을 하지 않는다고 응답하면 사용을 종료하고(S95), 새롭게 사용 가능한 보관함(20)이 발생되었음을 데이터베이스(12)에 등록한다.
그리고 보관함(20) 사용 중에 사용자가 보관함(20)에 수납된 물건을 모두 수거하면(S93), 사용자에게 보관함(20) 사용을 종료할 것인지 여부를 물어(S94) 사용을 종료한다고 응답하면 사용을 종료하고(S95), 새롭게 사용 가능한 보관함(20)이 발생되었음을 데이터베이스(12)에 등록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구성으로 이루어진 도서관 보관함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관리서버 11 : 제어부
12 : 데이터베이스 13 : 신청접수부
14 : 등록부 15 : 검색부
16 : 알림부 17 : 권한부여부
18 : 결제확인부 19 : 통신부
20 : 보관함 21 : 컨트롤러
22 : 잠금수단 23 : 송수신모듈
24 : 수납감지부 25 : 메모리
26 : 스피커

Claims (4)

  1. 다수의 물품 보관함;과,
    상기 물품 보관함들의 사용신청, 사용허가, 사용현황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도서관 보관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보관함 사용현황 목록, 보관함 사용자 목록, 예비 허가자 목록, 사용 대기자 목록, 사용 불허자 목록을 갖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보관함의 사용신청과, 신청자의 정보를 접수받는 신청접수부와,
    상기 신청접수부에 보관함의 사용신청이 접수되면, 우선 신청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사용 불허자 목록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여 등록되어 있으면 알림부를 통해 사용이 제한되었음을 알리고, 사용 불허자 목록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보관함 사용현황 목록에 등록된 정보를 독출하여 사용 가능한 보관함이 있는지 검색하고, 검색결과 사용 가능한 보관함이 있는 때에는 데이터베이스의 예비 허가자 목록에 신청자의 정보를 등록하고, 사용 가능한 보관함이 없는 때에는 데이터베이스의 사용 대기자 목록에 신청자의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예비 허가자 목록에 신청자가 등록되었는지 여부와, 사용 대기자 목록에 신청자가 등록되어 있으며 보관함 사용현황 목록에 사용 가능한 보관함 또는 소정 기일 내에 사용 가능하게 되는 보관함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검색부와,
    상기 검색부의 검색결과를 받아 신청자에게 보관함의 사용 가능 여부 또는 예상되는 사용 가능 시기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알림부와,
    신청자의 보관함 사용이 허가된 때에 신청자에게 보관함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권한부여부와,
    관리서버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예비 허가자 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신청자로부터 보관함 사용료가 결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결제확인부와,
    상기 보관함의 송수신모듈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관함에는
    비밀번호 입력으로 잠금이 해제되는 도어 잠금수단과,
    상기 관리서버의 통신부와 통신하는 송수신모듈과,
    상기 도어 잠금수단과 송수신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물품이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수납감지부와,
    스피커와,
    음성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권한부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송수신모듈에 비밀번호를 전송하여 상기 컨트롤러가 전송된 비밀번호를 도어 잠금수단의 비밀번호로 설정하도록 하고, 상기 알림부를 통해 신청자의 휴대폰으로 비밀번호와 보관함번호를 단문메시지로 전송하여 신청자에게 보관한 사용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보관함의 도어가 개방되었다가 폐쇄된 때에 상기 수납감지부로부터 물건이 수납되어 있지 않다는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보관함의 사용을 종료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음성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잠금수단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을 통해 보관함의 사용을 종료한다는 사용자의 응답이 있으면 이를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보관함의 도어가 개방되었다가 폐쇄된 때에 보관함의 사용종료일이 소정기일 이내이며 사용자가 보관함 사용의 연장이 가능한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보관함의 사용을 연장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음성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잠금수단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을 통해 보관함의 사용 연장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 이를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용 물품 보관함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00003579A 2010-01-14 2010-01-14 도서관 보관함 관리 시스템 KR101170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579A KR101170839B1 (ko) 2010-01-14 2010-01-14 도서관 보관함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579A KR101170839B1 (ko) 2010-01-14 2010-01-14 도서관 보관함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382A KR20110083382A (ko) 2011-07-20
KR101170839B1 true KR101170839B1 (ko) 2012-08-03

Family

ID=44921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579A KR101170839B1 (ko) 2010-01-14 2010-01-14 도서관 보관함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8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667B1 (ko) * 2012-09-03 2014-07-17 주식회사 로텍스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관 좌석 예약 및 운영 시스템
WO2014196730A1 (ko) * 2013-06-05 2014-12-11 Na Ye Ryong 무인 사물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02937B1 (ko) * 2014-05-22 2015-03-16 최근오 관리 서버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91612B1 (ko) * 2018-01-03 2019-06-2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스터 기능 이전을 통한 물품 거래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2247522B1 (ko) * 2019-04-12 2021-04-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Qr코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개폐 시스템 및 방법
KR102407537B1 (ko) * 2020-09-09 2022-06-10 유진기술 주식회사 사물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382A (ko)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839B1 (ko) 도서관 보관함 관리 시스템
JP3709805B2 (ja) 商品レンタル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80091503A1 (en) Networked storage system and method
JP6879626B2 (ja) ホテルキーシステム
WO2011033839A1 (ja) 資産管理システム
KR101722900B1 (ko) 임시 비밀번호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7241368A (ja) セキュリティ管理装置、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174061A (ja) 既設ロッカーを利用した物販システムにおける、鍵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0186329A (ja) 出入金システム
KR20200139528A (ko)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통합 인증 프로그램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
KR101076207B1 (ko) 무인차량키출납기를 포함한 차량관리시스템
JP7400055B2 (ja) ロッカー装置
JP2018076641A (ja) 鍵管理装置、鍵管理システム及び鍵管理方法
JP2020065731A (ja) 物品収納決済システム
JP6825742B1 (ja) 施設利用管理システム、施設利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034317B (zh) 管理系统、游戏装置、管理装置及管理方法
CN102034017B (zh) 管理系统、游戏装置、管理装置及管理方法
JP5355353B2 (ja) 持出し管理システム
JP2010174516A (ja) 引き出し開閉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端末装置、引き出し開閉管理プログラム、及び引き出し開閉管理方法
US2020038042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servation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JP2005148842A (ja) 車両管理装置
KR20140032062A (ko) 사물함이 설치된 열람테이블을 포함하는 열람실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JP2018141331A (ja) 鍵管理システム及び鍵管理方法
JP2006004337A (ja) カード決済システム
JP6838937B2 (ja) 鍵管理装置、鍵管理システム及び鍵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