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316A -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316A
KR20210107316A KR1020200022130A KR20200022130A KR20210107316A KR 20210107316 A KR20210107316 A KR 20210107316A KR 1020200022130 A KR1020200022130 A KR 1020200022130A KR 20200022130 A KR20200022130 A KR 20200022130A KR 20210107316 A KR20210107316 A KR 20210107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entral control
weight
weighing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훈석
Original Assignee
(주)대지 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지 에스텍 filed Critical (주)대지 에스텍
Priority to KR1020200022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7316A/ko
Publication of KR20210107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3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은 지면에 설치되어 1개 이상의 로드셀을 통해 화물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계근대, 상기 계근대에서 측정한 화물차량의 무게정보를 수신하며, 전반적으로 무인계근시스템을 관리하고, 상기 관리에 대한 데이터를 가지고 통계를 내는 통계계산부를 포함하는 중앙제어장치, 사용자가 화물차량의 차량정보와 거래처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차량정보와 상기 무게정보를 포함하는 상차 확인서 및 계근 증명서를 문서로 발급하는 문서출력부, 상기 계근대에서 측정한 계근무게, 차량이 탑재한 화물, 차량 번호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화면출력부, 상기 화물차량의 번호판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차량번호인식장치, 상기 화물차량에 상차된 물품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물품인식장치, 상기 계근대에서 측정한 계근무게를 촬영하는 계근무게인식장치, 상기 통계계산부에서 통계낸 통계낸 통계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통신을 하기위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무인계근시스템을 관리하는 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System for automaticall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scrap}
본 발명은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공정에서 발생되는 스크랩을 효율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해서, 스크랩을 운반하는 화물차량의 무게를 스크랩 상차전후의 계근무게를 자동으로 측정이 가능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원의 효율적 운영과 자원의 사용 후 발생되는 폐기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란 자원 절약과 재활용을 촉진하도록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의 일정량 이상을 재활용하도록 생산자에게 의무를 부여하는 제도를 말한다. 해당연도 출고, 수입량에 비례해 재활용의무가 부여된다. 해당제품생산업체에서 거둬들인 환경부담금 일부를 재활용업체에 지원금으로 나눠주는 형식으로 운영된다.
한편, 스크랩이란 가공공정에서 발생되는 부스러기, 제품의 파편을 의미한다.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스크랩의 무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야 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랩을 운반하는 화물차량에 대한 무게측정(계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현재,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스크랩의 계근 관리는 화물차량의 중량을 측정하는 계근대 위로 화물 차량을 진입시키고 화물차량의 중량을 검출하고, 화물차량의 공차시와 실차시의 중량을 각각 측정한 후, 이를 차감하여 화물의 계근을 계산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즉, 종래의 계근 관리는 수동에 의한 계근관리 업체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방식은 수작업에 의한 낮은 작업성, 낮은 생산성, 수작업중 발생되는 오류에 따른 업무의 비효율성의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스크랩의 입출고와 관련하여 자료들이 데이터베이스화되지 않아 스크랩의 재고 상황 파악과 같은 스크랩 관리 업무의 효율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1241호 (2014.03.04.)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계근 업무의 수작업에 따른 부작용을 없애고, 수작업에 따른 데이터 입력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계근 업무의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계근상황을 실시간으로 종합적으로 관리할 뿐만 아니라, 스크랩의 계근 업무에 대한 자료들을 데이터베이스화 및 앱과의 연동을 통하여 스크랩의 재고 상황 파악 및 차량, 업체, 입출고일 등 사용자가 지정한 단위로 계근 업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은 지면에 설치되어 1개 이상의 로드셀을 통해 화물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계근대, 상기 계근대에서 측정한 화물차량의 무게정보를 수신하며, 전반적으로 무인계근시스템을 관리하고, 상기 관리에 대한 데이터를 가지고 통계를 내는 통계계산부를 포함하는 중앙제어장치,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동하며, 사용자가 화물차량의 차량정보와 거래처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동하며, 상기 차량정보와 상기 무게정보를 포함하는 상차 확인서 및 계근 증명서를 문서로 발급하는 문서출력부,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동하며, 상기 계근대에서 측정한 계근무게, 차량이 탑재한 화물, 차량 번호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화면출력부,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동하며, 상기 화물차량의 번호판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차량번호인식장치,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동하며, 상기 화물차량에 상차된 물품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물품인식장치,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동하며, 상기 계근대에서 측정한 계근무게를 촬영하는 계근무게인식장치,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동하며, 상기 통계계산부에서 통계낸 통계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동하며, 상기 관리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상기 관리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무인계근시스템을 관리하는 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차량번호인식장치에서 인식한 차량번호를 바탕으로 동일 차량에 대한 물품이 상차된 후의 계근무게와 물품이 상차되기 전의 계근무게를 구분하여 식별하고, 식별된 정보를 상기 화면출력부에 전송하여, 상기 화면출력부에서는 상차전후의 계근무게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계계산부는 스크랩 무게, 차량, 일자, 입출고일, 차량운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지정 단위로 무인계근시스템의 관리에 대한 통계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은 종전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스크랩의 계근 관리를 자동화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화 및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계근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며, 계근 업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계근 업무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으로, 작업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에 스마트기기의 앱을 통해 접근 및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관리자가 유지 관리 측면에서의 편리성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은 계근대(100), 중앙제어장치(200), 입력부(300), 문서출력부(400), 화면출력부(500), 차량번호인식장치(600), 물품인식장치(700), 계근무게인식장치(800), 데이터베이스부(900), 통신부(1000), 앱(1100)을 포함한다.
계근대(100)는 지면에 설치되어 1개 이상의 로드셀을 통해 화물 차량의 무게를 계근하는 부분이다. 1개 이상의 로드 셀을 구비하고 화물 차량의 무게를 측정으로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중앙제어장치를 측정된 무게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계근대는 10m 이상의 길이를 지니며, 차량이 입고된 후 운전자가 입력부를 통해서 차량정보, 거래처정보 등을 입력한 후에, 계근을 실시하게 된다. 계근된 정보값은 화면출력부를 통해 사용자 등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중앙제어장치(200)는 무인 계근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컴퓨터에 해당되는 것으로, 상기 계근대에서 측정한 화물차량의 무게정보를 수신하며, 전반적으로 무인계근시스템을 관리하는 장치이다. 각종 인식장치(CCTV)에서 촬영된 자료를 저장받고 프린터 등의 문서출력부로 신호를 보내는 등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장치(200)는 상기 무게정보, 상기 자료를 포함하는 전반적으로 무인계근시스템 관리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가지고 통계를 내는 통계계산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통계계산부(210)는 차량번호, 차량운전자, 스크랩의 무게, 스크랩의 일고 및 출고일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지정 단위에 따라 통계를 계산한다.
입력부(300)는 터치패널식 입력부가 바람직하며, 상기 중앙제어장치에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매개체로 운전자가 해당 화물차량의 해당 차량정보와 거래처 정보 등을 기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입력부(300)는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동하며, 사용자가 화물차량의 차량정보와 거래처정보를 기입하는 부분이다.
터치패널식 입력부(300)는 운전자가 터치를 통해 각종 단계를 행하게 되며, 차량정보를 기입하고, 거래처 정보 등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문서출력부(400)는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동하며, 상차 확인서 및 계근 증명서를 문서로 발급하는 장치이다. 통상, 중앙제어장치(ex. 컴퓨터)와 전기적, 통신적으로 연결된 프린터가 사용된다.
화면출력부(500) 또한,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동되며, 상기 계근대에서 측정한 계근무게, 차량이 탑재한 화물, 차량 번호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부분이다. 화면출력부를 통해서, 계근무게, 화물, 차량번호를 표시함으로, 운전자 뿐만 아니라 계근관리자가 육안으로 계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차량번호인식장치(600)은 상기 화물차량의 번호판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부분으로, 차량 번호판의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스마트 CCTV가 사용될 수 있다. 차량번호인식장치(600)에서 촬영된 번호판을 바탕으로 차량번호를 인식한 후, 인식된 차량번호 정보를 상기 중앙제어장치에 전송하여, 계근된 계근정보에 차량정보를 매칭시킨다. 매칭된 차량정보는 화물출력이나 문서출력시 계근정보와 함께 제공된다.
물품인식장치(700)는 상기 화물차량에 상차된 물품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부분으로, 촬영용 CCTV가 사용될 수 있다. 물품인식장치에 의해 촬영된 화물차량에 상차된 물품의 영상정보는 상기 중앙제어장치로 전송된 후, 화면출력부를 통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계근무게인식장치(800)는 상기 계근대에서 측정한 계근무게를 촬영하는 부분으로, 촬영용 CCTV가 사용된다. 계근무게인식장치(800)에 의해 촬영된 계근무게값을 표시하는 영상정보는 상기 중앙제어장치로 전송된 후 화면출력부를 통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차량번호인식장치에서 인식한 차량번호를 바탕으로 동일 차량에 대한 물품이 상차된 후의 계근무게와 물품이 상차되기 전의 계근무게를 구분하여 식별하고, 식별된 정보를 상기 화면출력부에 전송하여, 상기 화면출력부에서는 상차전후의 계근무게를 동시에 표시하게 된다.
이를 통해, 물품을 계근 무게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부정한 행위에 따른 물품의 차이를 신속히 확인/검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잇다.
데이터베이스부(900)는 화물차량의 정보, 거래처 정보, 계근 무게 및 상기 통계계산부(210)에서 통계낸 통계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된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계근 업무를 종합적으로 관리 할 수 있다.
통신부(1000)는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동하며, 상기 관리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앱(1100)과 송수신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중앙제어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앱으로 전송하고,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중앙 제어 장치의 제어도 가능하게 한다.
앱(1100)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스마트폰이나 스마트TV같은 스마트 기기에서 돌아가는 응용프로그램으로써,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해당된다.
상기 앱을 통해 관리자는 무인계근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반적인 무인계근시스템의 관리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의 작동 순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스크랩을 적재한 화물차량이 계근대(100)에 도착하게 된다. 운전자는 계근대에 화물차량을 입고시킨 후에 통상 관리실에 비치되어 있는 입력부(300)을 통해 차량번호와 업체명을 입력한 후 계근을 실시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번호인식장치(600)과, 물품인식장치(700)와, 계근무게인식장치(800)가 작동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차량번호, 물품, 계근무게 등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정보를 입력받은 후 데이터베이스부(900)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문서출력부에 전송하여 문서출력부에서 서면 형태로 출력하게 한다.
서면으로 출력되는 것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된 화면출력부를 통해서 화면으로 차량번호, 물품정보, 계근무게 정보 등이 표시되며, 앱(1100)을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계근대
200: 중앙제어장치
300: 입력부
400: 문서출력부
500: 화면출력부
600: 차량번호인식장치
700: 물품인식장치
800: 계근무게인식장치
900: 데이터베이스부
1000: 통신부
1100: 앱

Claims (3)

  1. 지면에 설치되어 1개 이상의 로드셀을 통해 화물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는 계근대;
    상기 계근대에서 측정한 화물차량의 무게정보를 수신하며, 전반적으로 무인계근시스템을 관리하고, 상기 관리에 대한 데이터를 가지고 통계를 내는 통계계산부를 포함하는 중앙제어장치;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동하며, 사용자가 화물차량의 차량정보와 거래처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동하며, 상기 차량정보와 상기 무게정보를 포함하는 상차 확인서 및 계근 증명서를 문서로 발급하는 문서출력부;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동하며, 상기 계근대에서 측정한 계근무게, 차량이 탑재한 화물, 차량 번호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화면출력부;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동하며, 상기 화물차량의 번호판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차량번호인식장치;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동하며, 상기 화물차량에 상차된 물품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물품인식장치;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동하며, 상기 계근대에서 측정한 계근무게를 촬영하는 계근무게인식장치;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동하며, 상기 통계계산부에서 통계낸 통계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동하며, 상기 관리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상기 관리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무인계근시스템을 관리하는 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상기 차량번호인식장치에서 인식한 차량번호를 바탕으로 동일 차량에 대한 물품이 상차된 후의 계근무게와 물품이 상차되기 전의 계근무게를 구분하여 식별하고, 식별된 정보를 상기 화면출력부에 전송하여, 상기 화면출력부에서는 상차전후의 계근무게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계산부는 스크랩 무게, 차량, 일자, 입출고일, 차량운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지정 단위로 무인계근시스템의 관리에 대한 통계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
KR1020200022130A 2020-02-24 2020-02-24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 KR202101073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130A KR20210107316A (ko) 2020-02-24 2020-02-24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130A KR20210107316A (ko) 2020-02-24 2020-02-24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316A true KR20210107316A (ko) 2021-09-01

Family

ID=77780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130A KR20210107316A (ko) 2020-02-24 2020-02-24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73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789A (ko) 2021-09-27 2023-04-04 이순환거버넌스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241U (ko) 2012-08-21 2014-03-04 (주)대지 에스텍 무인계근으로 스크랩 erp활용 및 부정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241U (ko) 2012-08-21 2014-03-04 (주)대지 에스텍 무인계근으로 스크랩 erp활용 및 부정방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789A (ko) 2021-09-27 2023-04-04 이순환거버넌스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05289B (zh) 一种工业物联网平台
CN112633797A (zh) 一种港口货物作业智能管理系统和方法
CN102282447A (zh) 货物跟踪和监视系统及方法
CN106076865A (zh) 一种拆回旧电能表自动分拣处理系统
US201903042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recyclable materials
CN212931612U (zh) 一种适用于工地材料运输的地磅管理系统
CN203811256U (zh) 一种无人值守计量检测系统
US11780190B2 (en) Smart baler
CN105629941A (zh) 一种利用rfid对钢管流转工序的实时品质管理系统
KR101201084B1 (ko) 무인 계근관리 시스템
KR20210107316A (ko) 스크랩 무인계근시스템
US20160224023A1 (en) Automated production system for mobile phone
US10095986B2 (en) System and method of electronically classifying transportation documents
CN113362025A (zh) 数据核算系统、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电子设备
US86222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ally organizing transport documents
CN102243729A (zh) 基于车牌信息识别的物资出厂管理系统及管理方法
KR20140001241U (ko) 무인계근으로 스크랩 erp활용 및 부정방지 시스템
KR20150039925A (ko) 첨단 계근 시스템
CN114707993B (zh) 一种合同研判方法、系统和网络侧服务端
US202201805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materials
CN115511331A (zh) 车辆生产管理制造系统、方法及存储介质
KR20200121683A (ko) 금속 스크랩의 생산자책임재활용을 위한 무인계근시스템
CN211180629U (zh) 一种矿产品发运智能管控系统
CN113554402A (zh) 一种网络货运调度系统
CN201716771U (zh) 基于识别车牌的出厂物资实时管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