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725B1 -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 - Google Patents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725B1
KR101895725B1 KR1020170094059A KR20170094059A KR101895725B1 KR 101895725 B1 KR101895725 B1 KR 101895725B1 KR 1020170094059 A KR1020170094059 A KR 1020170094059A KR 20170094059 A KR20170094059 A KR 20170094059A KR 101895725 B1 KR101895725 B1 KR 101895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receiving
vehicle
ligh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송희
Original Assignee
김송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송희 filed Critical 김송희
Priority to KR1020170094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21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hav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for weighing during mo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2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multipl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위에 설치된 계량대로 화물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화물차량의 차량정보를 획득하는 차량정보획득모듈과, 상기 화물차량의 진입여부 및 계량위치 도달여부와 함께, 화물차량 운전자의 하차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모듈과, 상기 화물차량의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메시지 또는 경고메시지를 스피커와 전광판을 통해 음성과 문자로 출력하는 안내모듈과, 상기 계량위치에 정차된 화물차량의 중량을 측정하여 계량정보를 생성하는 계량모듈과, 상기 감지모듈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안내모듈의 출력 및 계량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획득된 차량정보, 생성된 계량정보를 전송받아 화물차량별 계량값을 산출 및 저장하는 관리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물차량 운전자의 체중까지 고려하여 오차발생의 가능성을 제거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있게 화물의 중량을 계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 {Unmanned weighing system for truck}
본 발명은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화물차량에 적재된 화물의 중량을 무인으로 자동 계량하되, 특히 화물차량 운전자의 체중까지 고려하여 오차발생의 가능성을 제거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있게 화물의 중량을 계량할 수 있는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계량(車輛]計量)이란, 화주 회사에서부터 화물을 선적한 화물차량이 화물 수취회사로 들어오는 경우 상기 화물차량에 선적된 화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을 말하며, 화물의 적재량과 운송거리에 따라 화물차량의 운임이 정해지고, 화주 회사와 화물 수취회사 사이에 화물의 대금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차량계량은 정확하면서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차량계량은 통상적으로 입고되는 화물차량의 중량을 1차 계측하고, 상기 화물차량이 운송한 화물을 하역시킨 뒤 공차상태의 화물차량의 중량을 2차 계측하여, 두 계량 값의 차이로써 화물의 중량을 계량하게 된다.
이러한 화물차량의 계량을 위한 무인 계량시스템이 종래 개시되어 있는 바, 종래 통상적인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은 화물차량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지면 위에 설치되는 계량대와, 상기 계량대로 진입하는 화물차량의 차량정보를 획득하는 차량정보획득부와, 상기 계량대 위에 정차된 화물차량의 중량을 측정하는 계량측정부와, 획득된 차량정보 및 측정된 계량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외에 계량대로 진입하는 화물차량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차량진입, 계량과 관련한 여러 안내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여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전광판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무인 계량시스템은 화물차량이 계량대로 진입하면 화물차량의 차량정보를 획득한 후, 화물차량이 계량대 위에 일정한 시간동안 정차한 상태에서 계량측정부가 화물차량의 중량을 계량하면, 관리서버에서 화물차량의 공차중량을 뺀 화물의 중량을 산출하고 이를 해당 화물차량에 대한 계량데이터로 저장하면서 화물운송에 대한 송장을 발행함으로써 무인으로 화물의 계량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무인 계량시스템에서는 화물차량을 계량대 위에 정차시킨 후 화물차량에 대한 계량이 이루어지는 동안 화물차량의 운전자가 화물차량으로부터 자유롭게 하차를 할 수 있으면서, 이를 감지 및 관리할 수가 없기 때문에 정확한 화물의 계량에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즉, 1차 계량시에는 운전자가 화물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계량이 이루어졌으나 2차 계량시에는 운전자가 화물차량으로부터 하차한 상태에서 계량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그 반대의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운전자의 체중만큼 화물의 계량값이 증감되어 계량값에 오차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물론, 화물차량에 적재된 화물의 전체중량은 보통 톤(ton) 단위인데 운전자의 체중은 대략 70∼100kg 정도로서 화물의 중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값이기 때문에 운전자의 하차여부에 따른 이러한 계량오차가 폐기물 등과 같은 값싼 품목인 경우에는 비용차이가 크지 않아 별로 문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화물차량의 적재 화물이 예컨대 동(bronze), 구리(copper), 합금 등과 같이 비교적 고가의 품목인 경우에는 이러한 계량오차 및 그에 따른 제반 비용차이를 무시할 수 없으며, 또한 이러한 계량오차가 화물운송시마다 반복될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화물 계량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키고, 화물차량의 운전자, 화주회사, 화물 수취회사 사이에 불필요한 분쟁을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361128호 : 화물차량용 무인 계량시스템 등록특허 제10-0561727호 : 화물계량처리장치 등록실용신안 제20-0322918호 : 차량번호 인식기를 이용한 차량계량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차량의 계량시 화물차량 운전자의 하차여부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체중 가감에 따른 계량오차의 발생가능성을 제거함으로써 화물차량 계량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지면위에 설치된 계량대로 화물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화물차량의 차량정보를 획득하는 차량정보획득모듈과, 상기 화물차량의 진입여부 및 계량위치 도달여부와 함께, 화물차량 운전자의 하차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모듈과, 상기 화물차량의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메시지 또는 경고메시지를 스피커와 전광판을 통해 음성과 문자로 출력하는 안내모듈과, 상기 계량위치에 정차된 화물차량의 중량을 측정하여 계량정보를 생성하는 계량모듈과, 상기 감지모듈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안내모듈의 출력 및 계량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획득된 차량정보, 생성된 계량정보를 전송받아 화물차량별 계량값을 산출 및 저장하는 관리제어모듈을 포함하는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이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계량대의 후단 좌측 및 선단 우측에 각각 마련되며, 광을 발신하는 발광소자가 90도 방향전환 가능하게 각각 구비된 제1 및 제2 광발신부와, 상기 계량대의 후단 우측 및 선단 좌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신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소자가 90도 방향전환 가능하게 각각 구비된 제1 및 제2 광수신부와, 상기 제1 및 제2 광발신부의 발광소자와 제1 및 제2 광수신부의 수광소자 각각의 방향전환을 제어하는 감지세팅부를 포함하여, 제1 광발신부의 발광소자와 제1 광수신부의 수광소자가 좌우방향으로 상호 마주보는 상태에서 광 수신여부에 따라 화물차량의 진입여부를 감지하고, 제2 광발신부의 발광소자와 제2 광수신부의 수광소자가 좌우방향으로 상호 마주보는 상태에서 광 수신여부에 따라 화물차량의 계량위치 도달여부를 감지한 후, 감지세팅부에 의해 각각의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가 90도 방향전환되어, 제1 광발신부의 발광소자와 제2 광수신부의 수광소자 및 제2 광발신부의 발광소자와 제1 광수신부의 수광소자가 각각 전후방향으로 상호 마주보는 상태에서 광 수신여부에 따라 화물차량 운전자의 하차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계량대의 후단 및 선단에 좌우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광발신부와 제1 및 제2 광수신부가 좌우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광발신부와 제1 및 제2 광수신부가 좌우방향 위치이동되도록 이동력을 제공하는 이동력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세팅부는 제1 광발신부의 발광소자와 제2 광수신부의 수광소자 및 제2 광발신부의 발광소자와 제1 광수신부의 수광소자가 각각 전후방향으로 상호 마주보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력제공부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 광발신부와 제1 및 제2 광수신부가 화물차량의 좌우 측면에 근접 위치되도록 세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광발신부와 제2 광수신부는 제1 광발신부와 제1 광수신부에 의해 화물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에 의하면,
화물차량의 계량시 화물차량 운전자의 하차여부까지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체중 가감에 따른 계량오차의 발생가능성을 제거함으로써 화물운송관련 운전자, 화주회사, 화물수취회사 상호간의 불필요한 분쟁가능성을 최소화시키고, 화물차량 계량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지모드의 전환을 통해 차량의 위치감지와 함께 운전자의 하차여부 감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설치 및 운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계량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계량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감지모듈이 차량진입 및 계량위치도달여부를 감지하는 상태를 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감지모듈이 운전자의 하차여부를 감지하는 상태를 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모듈의 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설치되어”,“연결되어”, “결합되어”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설치, 연결,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들로서,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은 크게 볼 때 계량대(100)와, 차량정보획득모듈(200)과, 감지모듈(300)과, 안내모듈(400)과, 계량모듈(500)과, 관리제어모듈(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 계량대(100)는 화물차량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며, 계량대상 화물차량은 계량을 받기 위해 상기 계량대(100)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차량정보획득모듈(200)은 계량을 위해 상기 계량대(100)로 진입하는 화물차량의 차량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차량정보획득모듈(200)은 일 예로 차량번호, 업체명 등의 차량정보가 등록된 바코드, RFID와 같은 인식카드가 화물차량에 비치되고, 화물차량이 계량대(100)로 진입하면 상기 인식카드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인식카드로부터 차량정보를 수신하는 무선리더기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차량정보의 획득기술은 종래에도 카메라를 통해 진입하는 화물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데이터를 광학문자인식기로 분석하여 차량정보를 획득하는 구성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들이 개시되어 있는 바, 특별하게 제한될 필요없이 종래 개시된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정보획득모듈(200)에서 획득된 차량정보는 후술하는 관리제어모듈(600)로 전송된다.
상기 감지모듈(300)은 계량대(100)로 진입하는 화물차량의 진입여부, 화물차량의 계량위치 도달여부를 감지하면서, 특히 화물차량 운전자의 하차여부까지 감지하며,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관리제어모듈(6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감지모듈(300)의 세부구성에 대한 설명은 다른 구성들을 먼저 살펴본 후,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안내모듈(400)은 화물차량의 진입시부터 화물계량의 종료시까지 화물차량의 운전자가 여러상황을 즉각 인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안내메시지 또는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안내모듈(400)은 안내메시지 또는 경고메시지를 음성형태로 출력하는 스피커와, 문자형태로 출력하는 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량모듈(500)은 계량대(100)로 진입한 화물차량이 계량위치에 정차되면 화물차량의 중량을 측정하여 계량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계량모듈(500)은 계량대(100)의 하부에 마련되어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510)과, 상기 로드셀(51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디지털 계량정보로 변환하는 인디케이터(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리제어모듈(60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계량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측정된 데이터들을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관리제어모듈(600)은 감지모듈(300)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전송받아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데, 먼저 감지모듈(300)로부터 화물차량의 진입에 대한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정보획득모듈(200)을 동작시켜 진입하는 화물차량으로부터 차량정보를 획득하도록 제어하고, 안내모듈(400)이 차량의 진입메시지를 음성과 문자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어서, 화물차량의 계량위치 도달에 대한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안내모듈(400)이 차량정지 메시지를 음성과 문자로 출력하여 화물차량이 정차하도록 제어하면서, 동시에 감지모듈(300)이 운전자의 하차여부를 감지하도록 감지모듈(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어서, 계량모듈(500)이 정차된 화물차량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계량모듈(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때, 계량과정에서 감지모듈(300)로부터 운전자의 하차에 대한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안내모듈(400)이 차량에서 하차하지 말라는 취지의 경고메시지를 음성과 문자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면서 계량모듈(500)이 재세팅되어 다시 중량을 측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관리제어모듈(600)은 차량정보획득모듈(200)로부터 획득된 차량정보와 계량모듈(500)에서 측정된 계량정보를 수신하여, 화물차량별 계량값을 산출하고 이를 저장 및 관리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았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인 상기 감지모듈(300)의 세부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상기 감지모듈(300)의 구성 및 작용이 예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감지모듈(300)은 제1 광발신부(310) 및 제2 광발신부(320)로 이루어진 한쌍의 광발신부와, 제1 광수신부(330) 및 제2 광수신부(340)로 이루어진 한쌍의 광수신부와, 감지세팅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 광발신부(310)는 계량대(100)의 후단 좌측에 마련되고, 제2 광발신부(320)는 계량대(100)의 전단 우측에 마련된다.
상기 제1 광수신부(330)는 계량대(100)의 후단 우측에 마련되고, 제2 광수신부(340)는 계량대(100)의 전단 좌측에 마련된다.
즉, 도 3에 일 예시된 것처럼, 계량대(100)의 전후좌우에 광발신부와 광수신부가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서, 제1 광발신부(310)와 제2 광발신부(320)가 상호 대각선 방향으로, 제1 광수신부(330)와 제2 광수신부(340)가 또한 상호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마련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광발신부(310) 및 제2 광발신부(320)는 각각 광을 발신하는 발광소자(311, 321)를 각각 구비하며, 제1 광수신부(330) 및 제2 광수신부(340)는 상기 발광소자(311, 321)로부터 발신된 광을 수신할 수 있는 수광소자(331, 341)을 각각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311, 321)는 적외선 광을 발신하는 전자소자로서 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수광소자(331, 341)는 상기 발광소자(311, 321)에서 발신된 적외선 광을 수신하여 감지하는 전자소자로서, 적외선 광을 수신하면 전류값이 변화하면서 전기적인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포토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광발신부(310) 및 제2 광발신부(320)의 발광소자(311, 321), 제1 광수신부(330)와 제2 광수신부(340)의 수광소자(331, 341)는 모두 90도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일 예시된 것처럼, 제1 광발신부(310) 및 제2 광발신부(320)는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상기 발광소자(311, 321)를 일정높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주대(312, 322)와, 상기 지주대(312, 322)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소자(311, 321)를 90도 회동시키는 회동모터(313, 323)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광수신부(330)와 제2 광수신부(340) 또한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상기 수광소자(331, 341)를 일정높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주대(332, 342)와, 상기 지주대(332, 342)에 구비되어 상기 수광소자(331, 341)를 90도 회동시키는 회동모터(333, 3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세팅부(350)는 위와 같이 구성된 제1 광발신부(310) 및 제2 광발신부(320) 각각의 회동모터(313, 323)와 제1 광수신부(330) 및 제2 광수신부(340) 각각의 회동모터(333, 343) 동작을 제어하여 발광소자(311, 321)와 수광소자(331, 341)의 방향전환을 세팅한다.
즉, 감지세팅부(350)는 화물차량의 진입 및 계량위치 도달 감지시에는,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좌우측에 나란히 위치된 제1 광발신부(310)와 제1 광수신부(330)의 발광소자(311)와 수광소자(331)가 좌우방향을 향하여 상호 마주보고, 제2 광발신부(320)와 제2 광수신부(340)의 발광소자(321)와 수광소자(341)가 좌우방향을 향하여 상호 마주보도록 세팅한다.
그리고, 운전자의 하차여부 감지시에는, 도 4에 예시된 것처럼, 각각의 발광소자(311, 321), 수광소자(331, 341)가 90도 회동되도록 회동모터(313, 323, 333, 343)를 제어하여, 전후로 나란히 위치된 제1 광발신부(310)와 제2 광수신부(340)의 발광소자(311)와 수광소자(341)가 전후방향을 향하여 상호 마주보고, 제2 광발신부(320)와 제1 광수신부(330)의 발광소자(321)와 수광소자(331)가 전후방향을 향하여 상호 마주보도록 세팅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감지모듈(300)은, 먼저 제1 광발신부(310)의 발광소자(311)와 제1 광수신부(330)의 수광소자(331)가 좌우방향을 향하여 상호 마주보는 상태에서 광 수신여부에 따라 화물차량의 진입여부를 감지한다.
즉, 발광소자(311)에서 발신된 광이 수광소자(331)에서 수신되다가 화물차량이 진입하게 되면 순간적으로 광 수신이 차단되므로, 이 때 수광소자(331)는 화물차량의 진입에 대한 감지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제2 광발신부(320)의 발광소자(321)와 제2 광수신부(340)의 수광소자(341)가 좌우방향을 향하여 상호 마주보는 상태에서 광 수신여부에 따라 화물차량의 계량위치 도달여부를 감지한다.
즉, 발광소자(321)에서 발신된 광이 수광소자(341)에서 수신되다가 화물차량의 선단이 해당 위치에 도달하면 순간적으로 광 수신이 차단되므로, 이 때 수광소자(341)는 화물차량의 계량위치 도달에 대한 감지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제2 광발신부(320) 및 제2 광수신부(340)는 차량진입 전에는 오프(Off)된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제1 광발신부(310)와 제1 광수신부(330)에 의해 차량 진입이 감지되면, 온(On) 상태로 전환되어 감지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광발신부(320) 및 제2 광수신부(340)에 의해 화물차량의 계량위치 도달이 감지된 후에는, 감지세팅부(350)에 의해 각각의 발광소자(311, 321)와 수광소자(331, 341)가 90도 회동을 통해 방향전환이 되며, 그에 따라 제1 광발신부(310)의 발광소자(311)와 제2 광수신부(340)의 수광소자(341)가 전후방향을 향하여 상호 마주보고 또한 제2 광발신부(320)의 발광소자(321)와 제1 광수신부(330)의 수광소자(331)가 전후방향을 향하여 상호 마주보는 상태에서 광 수신여부에 따라 운전자의 하차여부를 감지한다.
즉, 제1 광발신부(310) 및 제2 광발신부(320) 각각의 발광소자(311, 321)에서 전후방향으로 발신된 광이 제2 광수신부(340) 및 제1 광수신부(330) 각각의 수광소자(341, 331)에 수신되는 상태에서, 만약 운전자가 하차를 위해 화물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순간적으로 개방된 도어에 의해 광 수신이 차단되게 된다.
따라서, 광 수신이 차단되는 순간 수광소자(341, 331)는 화물차량 운전자의 하차에 대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한 관리제어모듈(600)은 즉각 안내모듈(400)을 제어하여 운전자가 하차하지 못하도록 경고메시지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구성의 감지모듈(300)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5에 예시된 것처럼, 레일부(360)와, 이동력제공부(3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일부(360)는 상기 계량대(100)의 후단 및 선단에 좌우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광발신부(31O, 320)와 제1 및 제2 광수신부(330, 340)가 좌우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즉, 제1 및 제2 광발신부(31O, 320)와 제1 및 제2 광수신부(330, 340)는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상기 레일부(36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그에 따라 좌우방향으로의 상호간 이격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력제공부(370)는 상기 레일부(360)를 따라 제1 및 제2 광발신부(310, 320)와 제1 및 제2 광수신부(330, 340)가 좌우방향으로 위치이동되도록 이동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렇게 레일부(360)와 이동력제공부(370)가 설치되면, 상기 감지세팅부(350)는 운전자의 하차여부 감지시에 이동력제공부(370)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 광발신부(31O, 320)와 제1 및 제2 광수신부(330, 340)가 화물차량의 좌우 측면에 근접 위치되도록 세팅하게 된다.
이러한 세팅은 일 예로서, 발광소자(311, 321)와 수광소자(331, 341)가 전후방향을 향하여 마주보도록 세팅하면서 먼저 제1 및 제2 광발신부(31O, 320)와 제1 및 제2 광수신부(330, 340)를 차량이 있는 내측방향으로 전진 이동시킨다.
이어서, 화물차량에 의한 광 차단이 수광소자(331, 341)에서 감지되면 이동을 정지시킨 후, 광이 수신되는 영역으로 조금 후진 이동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광발신부(31O, 320)와 제1 및 제2 광수신부(330, 340)가 화물차량의 좌우 측면에 근접 위치되도록 세팅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레일부(360)와 이동력제공부(370)를 추가 구성하고 감지세팅부(350)를 통해 제1 및 제2 광발신부(31O, 320)와 제1 및 제2 광수신부(330, 340)의 좌우방향 이격간격을 조정 세팅하도록 구성하는 것은 화물차량의 종류에 따라 차량폭이 상이한 경우, 그에 대응하여 광발신부와 광수신부의 위치를 조정 세팅함으로써 운전자의 하차여부를 보다 정밀하게 감지하기 위함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였는 바,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이하에서 간단하게 살펴본다.
화물차량이 계량을 위하여 계량대(100)로 진입하면, 먼저 감지모듈(300)의 제1 광발신부(310)와 제1 광수신부(330)에 의해서 차량의 진입이 감지된다.
이에 따라 차량정보획득모듈(200)은 동작하여 진입하는 화물차량의 차량정보를 획득하며, 동시에 관리제어모듈(600)에 의해 제2 광발신부(320)와 제2 광수신부(340)는 온(On) 동작된다.
또한, 안내모듈(400)은 차량의 진입메시지를 음성 및 문자로 출력한다.
이어서, 화물차량이 계량대(100)로 더욱 진입하여 계량위치에 도달하면 제2 광발신부(320)와 제2 광수신부(340)에 의해서 차량의 계량위치 도달이 감지된다.
이에 따라 감지모듈(300)은 감지세팅부(350)에 의해 발광소자(311, 321)와 수광소자(331, 341)가 동시에 90도 방향전환되어 화물차량 도어의 개방 및 그에 따른 운전자의 하차여부를 감지하는 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안내모듈(400)은 계량위치 도달메시지를 음성 및 문자로 출력하며, 운전자는 차량을 정차한다.
이어서, 계량모듈(500)에서 정차된 화물차량의 중량을 측정하여 계량정보를 관리제어모듈(600)로 전송하며, 관리제어모듈(600)은 차량정보 및 계량정보를 토대로 차량별 계량데이터를 산출 및 저장한다.
한편, 차량 정차후 계량과정에서 운전자가 임의로 하차를 위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감지모듈(300)에서 이를 감지하게 되며, 그에 따라 안내모듈(400)은 경고메시지를 음성 및 문자로 출력하고, 계량모듈(500)은 리셋되어 다시 계량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의 무인 계량시스템에 의하면, 화물차량의 계량시 화물차량 운전자의 하차여부까지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체중 가감에 따른 계량오차의 발생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화물차량 계량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관련자들 상호간의 불필요한 분쟁가능성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 계량대 200: 차량정보획득모듈
300: 감지모듈 400: 안내모듈
500: 계량모듈 600: 관리제어모듈
310: 제1 광발신부 320: 제2 광발신부
330: 제1 광수신부 340: 제2 광수신부
350: 감지세팅부 360: 레일부
370: 이동력제공부

Claims (4)

  1. 지면위에 설치된 계량대로 화물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화물차량의 차량정보를 획득하는 차량정보획득모듈;
    상기 화물차량의 진입여부 및 계량위치 도달여부와 함께, 화물차량 운전자의 하차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모듈;
    상기 화물차량의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메시지 또는 경고메시지를 스피커와 전광판을 통해 음성과 문자로 출력하는 안내모듈;
    상기 계량위치에 정차된 화물차량의 중량을 측정하여 계량정보를 생성하는 계량모듈;
    상기 감지모듈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안내모듈의 출력 및 계량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획득된 차량정보, 생성된 계량정보를 전송받아 화물차량별 계량값을 산출 및 저장하는 관리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계량대의 후단 좌측 및 선단 우측에 각각 마련되며, 광을 발신하는 발광소자가 90도 방향전환 가능하게 각각 구비된 제1 및 제2 광발신부와, 상기 계량대의 후단 우측 및 선단 좌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신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소자가 90도 방향전환 가능하게 각각 구비된 제1 및 제2 광수신부와, 상기 제1 및 제2 광발신부의 발광소자와 제1 및 제2 광수신부의 수광소자 각각의 방향전환을 제어하는 감지세팅부를 포함하여,
    제1 광발신부의 발광소자와 제1 광수신부의 수광소자가 좌우방향으로 상호 마주보는 상태에서 광 수신여부에 따라 화물차량의 진입여부를 감지하고, 제2 광발신부의 발광소자와 제2 광수신부의 수광소자가 좌우방향으로 상호 마주보는 상태에서 광 수신여부에 따라 화물차량의 계량위치 도달여부를 감지한 후, 감지세팅부에 의해 각각의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가 90도 방향전환되어, 제1 광발신부의 발광소자와 제2 광수신부의 수광소자 및 제2 광발신부의 발광소자와 제1 광수신부의 수광소자가 각각 전후방향으로 상호 마주보는 상태에서 광 수신여부에 따라 화물차량 운전자의 하차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계량대의 후단 및 선단에 좌우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광발신부와 제1 및 제2 광수신부가 좌우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제1 및 제2 광발신부와 제1 및 제2 광수신부가 좌우방향 위치이동되도록 이동력을 제공하는 이동력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세팅부는 제1 광발신부의 발광소자와 제2 광수신부의 수광소자 및 제2 광발신부의 발광소자와 제1 광수신부의 수광소자가 각각 전후방향으로 상호 마주보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력제공부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 광발신부와 제1 및 제2 광수신부가 화물차량의 좌우 측면에 근접 위치되도록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발신부와 제2 광수신부는 제1 광발신부와 제1 광수신부에 의해 화물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
KR1020170094059A 2017-07-25 2017-07-25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 KR101895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059A KR101895725B1 (ko) 2017-07-25 2017-07-25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059A KR101895725B1 (ko) 2017-07-25 2017-07-25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725B1 true KR101895725B1 (ko) 2018-09-05

Family

ID=63594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059A KR101895725B1 (ko) 2017-07-25 2017-07-25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7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789A (ko) 2021-09-27 2023-04-04 이순환거버넌스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375B1 (ko) * 1987-02-06 1990-06-23 정영창 차종 판별장치
KR200322918Y1 (ko) 2003-05-28 2003-08-14 주식회사 포스코 차량번호 인식기를 이용한 차량계량시스템
KR100561727B1 (ko) 2003-08-04 2006-03-15 삼일솔루션(주) 화물계량처리장치, 화물계량 통합관리시스템,화물계량처리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361128B1 (ko) 2013-01-17 2014-02-13 주식회사 카스 화물차량용 무인 계량 시스템
KR20160094355A (ko) * 2016-07-20 2016-08-09 에스트래픽 (주) 차량진입감지장치
KR20170084909A (ko) * 2016-01-13 2017-07-21 이동효 자동세차기의 드라잉롤러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375B1 (ko) * 1987-02-06 1990-06-23 정영창 차종 판별장치
KR200322918Y1 (ko) 2003-05-28 2003-08-14 주식회사 포스코 차량번호 인식기를 이용한 차량계량시스템
KR100561727B1 (ko) 2003-08-04 2006-03-15 삼일솔루션(주) 화물계량처리장치, 화물계량 통합관리시스템,화물계량처리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361128B1 (ko) 2013-01-17 2014-02-13 주식회사 카스 화물차량용 무인 계량 시스템
KR20170084909A (ko) * 2016-01-13 2017-07-21 이동효 자동세차기의 드라잉롤러 건조장치
KR20160094355A (ko) * 2016-07-20 2016-08-09 에스트래픽 (주) 차량진입감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789A (ko) 2021-09-27 2023-04-04 이순환거버넌스 화물차량용 무인 자동화 계량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5401B2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system
US201803655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articulation angle
RU250902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создания сигнала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US20130220708A1 (en) Portable axle scale system using smart terminal
EP3477339A1 (en) Distance measuring device and distance measuring method
US8669861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risk profile using RFID tags
CN112166307B (zh) 用于车辆动态称重的称重系统的通信装置及服务器
US11842641B2 (en) Free lock detection of a micromobility transit vehicle systems and methods
US20130201034A1 (en) Control Devices and Methods for a Road Toll System
CN111009115A (zh) 遗失物品递送辅助装置、遗失物品递送辅助系统、遗失物品递送辅助方法以及存储介质
CN105931495B (zh) 一种基于车联网的车距防撞预警装置及方法
US11798292B2 (en) Driving assistant method, vehicle, and storage medium
JP2019197268A (ja) バス乗降停車時間予測装置
US10982962B2 (en) V2X location accuracy enhancement
US20240027605A1 (en) Method for execution by a sensor system for a traffic infrastructure device, and sensor system
KR101895725B1 (ko)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
CN112729505A (zh) 一种无人值守的智能地磅系统
KR101994171B1 (ko) 버스 도착 알림 시스템
US20240182132A1 (en) Steering assembly for micromobility transit vehicles
KR102041188B1 (ko)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
KR20200002230A (ko) 실시간 업데이트된 도로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CN112750337A (zh) 一种限高架碰撞无线报警系统及其报警方法
CN112036332A (zh) 公共交通的乘客密度检测系统、检测方法
KR101885849B1 (ko) 탑승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237293A1 (en) Vehicle item identification and regist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