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727B1 - 화물계량처리장치, 화물계량 통합관리시스템,화물계량처리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물계량처리장치, 화물계량 통합관리시스템,화물계량처리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727B1
KR100561727B1 KR1020030053855A KR20030053855A KR100561727B1 KR 100561727 B1 KR100561727 B1 KR 100561727B1 KR 1020030053855 A KR1020030053855 A KR 1020030053855A KR 20030053855 A KR20030053855 A KR 20030053855A KR 100561727 B1 KR100561727 B1 KR 100561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vehicle
information
image
weig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4766A (ko
Inventor
박동근
Original Assignee
삼일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일솔루션(주) filed Critical 삼일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030053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727B1/ko
Publication of KR20050114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계량(貨物計量)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물이 적재되는 차량의 중량을 하중감지센서와 전자저울을 통해 계량(計量)하여 상기 화물의 중량과 금액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록 및 관리하는 화물계량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물계량 처리장치가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와, 상기 차량의 고유정보와 중량정보를 포함하는 화물계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계량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메모리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화물계량 데이터를 상기 계량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계량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화물계량 입력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작부로부터 데이터 입력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그와 동시에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차량의 이미지와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이미지 획득/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가 상기 이미지 획득/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물계량(貨物計量), 하중감지센서, 전자저울

Description

화물계량처리장치, 화물계량 통합관리시스템, 화물계량처리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System for managing data of measuring cargo, Apparatus and Method for doing cargo}
도 1 은 종래 화물계량처리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 는 종래 화물계량처리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화물계량 통합관리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계량처리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리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계량처리작업 화면표시 예시도이다.
도 7a, 7b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집계처리작업 화면표시 예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원/부본 비교 화면표시 예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계량처리장치의 화물계량처리 흐름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계량처리장치의 화물계량처리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화물계량(貨物計量)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보다 투명하게 화물계량 거래를 감시할 수 있고, 나아가 중앙관리국에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여러 지역의 화물계량정보를 입력받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화물계량 (貨物計量)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화물계량처리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화물계량처리시스템은 크게 측정부(110)과 화물계량처리장치(120)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부(110)는 하중감지센서(111)와 전자저울(113)을 포함한다. 상기 하중감지센서(111)는 외력에 비례하여 탄성 변형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물리적 변화량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스트레인게이지(strain gauge)를 포함하는 로드셀로 구현되며, 고철, 구리, 비철 등과 같은 화물을 적재한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다. 상기 전자저울(113)은 상기 하중감지센서(111)로부터 입력되는 하중감지신호를 통해 상기 차량의 중량을 산출하고 이를 표시한다. 상기 전자저울(113)의 구현기술은 이미 널리 공지된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화물계량처리장치(120)는 화물계량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본체와 모니터와 입/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며, 작업자(1)로부터 거래처, 차량번호, 화물의 종류, 계량 날짜/시간 및 전자저울에 표시된 차량의 중량정보를 포함하는 화물계량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저장한다. 이하, 종래 화물계량처리장치(12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종래 화물계량처리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 래 화물계량처리장치(120)는 조작부(121)와 표시부(123)와 메모리(125)와 제어부 (127)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121)는 작업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수단으로서, 키보드 마우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23)는 화물계량입력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메모리(125)는 화물계량입력 및 관리에 대한 애플리케이션과 화물 계량데이터DB (1251)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27)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계량데이터처리부(1271)와 거래처관리부(1273)와 데이터집계처리부(1275)와 전표발행처리부(1277)를 포함한다.
상기 계량데이터처리부(1271)는 상기 조작부(121)로부터 화물계량입력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메모리(125)에 저장한다. 상기 거래처관리부(1273)는 각 거래처의 거래현황을 관리하고 상기 조작부(121)로부터 거래처별 거래현황 출력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상기 표시부(123)에 표시한다. 상기 데이터집계처리부(1275)는 상기 메모리(125)에 저장된 화물계량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거래처, 전표번호, 계량 날짜/시간, 차량번호, 화물의 종류, 화물의 중량, 단가, 환산금액 등을 기간별로 집계 처리한다. 상기 전표발행처리부(1277)는 화물계량데이터정보를 출력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화물계량정보를 입력하는 작업자가 임의로 화물의 중량 등을 조작하는 사례가 빈번하였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전자저울에 표시된 중량보다 적게 혹은 많게 기재하거나 이미 기록된 데이터를 재측정 등의 사유로 정정하는 과정에서 화물의 중량 등을 조작하였다. 또한, 작업자는 차량이 완전히 하중감지센서 (111) 위에 올라간 상태에서의 중량을 측정하여야 하는데, 이를 간과(看過)하고 화 물계량데이터를 입력하곤 하였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경제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정직하게 작업을 하는지 알 수 없어 작업자를 불신하게 되고, 나아가 관리자와 거래자가 화물거래 자체를 불신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지금까지는 중앙관리국에서 각 지사에서 수행되는 화물계량작업을 통합 관리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관리자와 거래자 모두 화물 거래 자체를 투명하게 감시할 수 있는 화물계량 처리장치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여러 지사에서 따로따로 수행되는 화물계량작업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한 곳에서 통합관리 할 수 있는 화물계량 처리장치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물계량 처리장치의 일 양상에 따르면, 화물이 적재되는 차량의 중량을 하중감지센서와 전자저울을 통해 계량(計量)하여 상기 화물의 중량과 금액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록 및 관리하는 화물계량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물계량 처리장치가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와, 상기 차량의 고유정보와 중량정보를 포함하는 화물계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계량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메모리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화물계량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계량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화물계량 입력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작부로부터 데이 터 입력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그와 동시에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차량의 이미지와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이미지 획득/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가 상기 이미지 획득/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화물계량 처리장치는 화물을 적재하는 차량의 고유정보 및 중량정보를 포함하는 화물계량 데이터와 차량의 이미지 및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동시에 저장 관리함으로써, 화물계량을 기록 관리하는 작업자가 화물의 중량을 임의로 조작하려는 부정한 시도를 억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관리자는 차량이 정확한 측정위치에 올려진 상태에서 계량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자와 거래자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계량 처리장치를 통해 화물 거래 자체를 투명하게 감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화물계량 처리장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통합관리장치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합관리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구 신호가 입력되면, 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통합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관리자는 여러 장소에서 따로따로 이루어지던 화물계량정보를 LAN, VAN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한 곳에서 통합관리 할 수 있 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지사는 화물계량처리장치가 설치되어 화물계량작업을 처리하는 곳을 의미하며, 중앙관리국은 통합관리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지사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하는 곳을 의미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화물계량 통합관리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계량 통합관리시스템은 여러 지사에 설치된 하중감지센서(111)와 전자저울(113)과 카메라(11a,11b)와 화물계량 처리장치가 구현된 클라이언트 컴퓨터(20)와 중앙관리국에 설치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30)로 구현된다.
상기 카메라(11a,11b)는 상기 하중감지센서(111) 위에 올려진 차량의 이미지와 상기 전자저울(113)에 표시된 차량의 중량정보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는 작업자(1)로부터 입력되는 화물계량데이터와 상기 카메라(11a,11b)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정보를 동시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측정이미지를 저장함으로써, 작업자(1)가 임의로 데이터를 조작하려는 부정한 의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관리자는 화물계량 시 차량의 이미지정보가 저장되므로 작업자(1)가 차량이 하중감지센서(111)에 완전히 올려진 상태가 아닌데도 이를 간과하고 계량데이 터를 입력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작업자(1)의 근무태도를 체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와 호스트 컴퓨터(30)는 통상적인 CPU, 메모리,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및 출력장치로서 디스플레이와 바람직하게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지원될 수 있는 운영체제 및 포인팅 장치 예를 들면, 마우스가 지원되며 통신을 위한 LAN카드 또는 모뎀 등의 통신장치들이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는 개인용 컴퓨터로 구현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컴퓨터(20)는 휴대폰이나 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와 같은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최근의 휴대폰이나 개인휴대정보단말기는 네트워크 접속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소프트웨어 추가에 의해 본 발명에서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은 본 명세서의 기재로 충분히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30)는 서버용 컴퓨터로 구현되며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20)와 근거리통신망(LAN)이나, 부가가치통신망(VAN)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계량처리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계량처리장치는 촬상부(10)와 조작부 (21)와 표시부(23)와 메모리(25)와 제어부(27)를 포함한다. 상기 촬상부(10)는 카메라로 구현되며, 측정부(110)의 하중감지센서 위에 올려진 차량의 이미지와 상기 차량의 중량을 표시하는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상기 조작부(21)는 통상의 키보드로 구현되며 조작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표시부(23)는 CRT, LCD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며, 화물계량데이터와 이미지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메모리(25)는 상대적으로 대용량의 저장장치인 하드디스크드라이브 또는 플래시메모리로 구현되며, 이미지데이터베이스(251)와 계량데이터베이스(253)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7)는 롬과 램과 주변장치가 집적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며, 계량데이터처리부(271)와 이미지 획득/처리부(272)와 데이터수정처리부(273)와 원/부본비교 처리부(274)와 거래처 관리부(275)와 데이터집계처리부(276)와 전표발행처리부 (277)를 포함한다.
상기 계량데이터처리부(271)는 상기 조작부(21)로부터 전표번호, 계량 날짜/시간, 입고/출고, 차량번호, 거래처(업체명), 품목(화물의 종류, 예를 들어 고철, 비철, 구리 등), 공차중량, 실차중량, 단가,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화물계량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계량데이터베이스(253)에 저장한다.
상기 이미지 획득/처리부(272)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차량의 이미지와 상기 차량의 중량을 표시하는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이미지데이터베이스(251)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 획득/처리부(272)는 프레임 그레이버(FRAME GRABBER)로 구현되며, 상기 조작부(21)로부터 화물계량 입력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그 때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이미지데이터베이스(251)에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수정처리부(273)는 상기 조작부(21)로부터 화물계량 입력정보 수정신호가 수신되면, 수정사유정보와 수정된 화물계량 데이터와 차량의 이미지 및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원본과 별도로 상기 메모리(25)에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수정처리부(273)에서 수행되는 수정모드는 차량 재측정과 데이터변경이 있다. 상기 차량 재측정은 차량의 하중측정정보와 상기 차량의 이미지와 상기 차량의 중량을 표시하는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다시 획득하고자 할 경우 수행되는 과정이다. 한편, 상기 데이터변경은 작업자가 단가, 화물계량데이터 등을 잘못 입력하고 지나친 경우에 상기 데이터를 수정하고자 할 경우 수행되는 과정이다.
이후 제어부(27)는 화물계량 입력정보 수정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수정신호가 입력되면 수정사유정보와 수정된 화물계량 데이터와 차량의 이미지 및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원본과 별도로 메모리(25)에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정모드는 차량 재측정과 데이터변경이 있다.
상기 원/부본비교 처리부(274)는 상기 조작부(21)로부터 화물계량 데이터와 이미지정보에 관한 원본 및 수정에 의한 부본 확인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 (25)로부터 해당 정보를 읽어 들여 상기 표시부(23)에 표시한다.
상기 거래처 관리부(275)는 각 거래처마다의 거래현황을 관리한다.
상기 데이터집계처리부(276)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화물계량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거래처, 전표번호, 계량 날짜/시간, 차량번호, 화물의 종류, 화물의 중량, 단가, 환산금액, 원/부 차이 등을 기간별로 집계처리한다.
상기 전표발행처리부(277)는 상기 조작부(21)로부터 전표발행신호가 입력된면 상기 메모리(25)에 저장된 화물계량데이터정보를 읽어들여 출력장치 예를 들어, 모니터, 프린터 등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양상에 따라 화물계량처리장치는 통신부(2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 전송처리부(278)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29)는 LAN모뎀이나 네트워크 어댑터로 구현되며, 상기 데이터 전송처리부(278)는 상기 통신부(29)를 통해 통합관리장치가 구현된 호스트 컴퓨터(30)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구 신호가 입력되면, 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25)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통합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리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리장치는 통신부(31)와 조작부(33)와 표시부(35)와 메모리(37)와 제어부(39)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31)는 LAN모뎀이나 네트워크 어댑터로 구현되며, 상기 화물계량처리장치와 데이터를 통신한다. 상기 조작부(33)는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것으로서, 키보드와 마우스로 구현된다. 상기 표시부(35)는 각종 표시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CRT, LCD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된다. 상기 메모리(37)는 상대적으로 대용량의 저장장치인 하드디스크드라이브 또는 플래시메모리로 구현되며, 이미지데이터베이스(371)와 계량데이터베이스(373)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39)는 롬과 램과 주변장치가 집적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며, 계량데이터수신처리부(391)와 데이터집계처리부(393)와 원/부본비교 처리부(395)와 거래처 관리부(397)를 포함한다.
상기 계량데이터수신처리부(391)는 상기 통신부(31)를 통해 상기 화물계량 처리장치에 데이터 전송 요구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화물계량 처리장치로부터 화물 계량데이터와 차량의 이미지정보 및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메모리(37)에 각각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집계처리부(393)는 상기 메모리(37)에 저장된 화물계량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거래처, 전표번호, 계량 날짜/시간, 차량번호, 화물의 종류, 화물의 중량, 단가, 환산금액, 원/부 차이 등을 지사별 기간별로 집계 처리한다.
상기 원/부본비교 처리부(395)는 상기 조작부(21)로부터 원/부본 확인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37)로부터 화물계량 데이터에 대한 원/부본 정보와 이미지정보에 대한 부본정보를 읽어 들여 상기 표시부(35)에 표시한다.
상기 거래처 관리부(397)는 각 거래처마다의 거래현황을 관리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계량처리작업을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계량처리작업을 위한 화면에는 크게 선택창과 입력창을 포함한다. 상기 선택창은 일반계량, 공차계량, 관리자, 확인 및 종료와 자료관리, 전표발행 및 코드관리를 포함하는 작업메뉴란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창은 전표번호, 계량날짜, 입고/출고, 차량번호, 거래처, 품목, 총중량, 공차중량, 단가, 수정, 실중량, 합계금액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입고는 화물을 적재한 차량이 지사에 들어오는 것을 의미하며, 출고는 화물을 적재한 차량이 지사로부터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도 7a, 7b 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집계처리작업 화면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집계처리작업을 위한 화면에는 지사설정, 거래처, 품명, 차량번호, 입고/출고, 원/부 차이를 포함하는 선택창과 검색기간을 기입하는 입력창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작업자가 지사설정에 우전전기를, 거래처에 비솔을, 품명에 전부를, 차량번호에 전부를, 입고, 원/부 차이를 선택하고, 검색기간을 2003년 4월 14일을 기입하고 검색을 누르면 도 7a에 도시된 데이터표가 생성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작업자가 최종 화물계량데이터 집계를 확인하게 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사명(회사명)과 전표번호 계량 날짜/시간, 거래처명(업체명)과 차량번호, 실중량, 단가, 출금을 표시하는 데이터표가 화면에 표시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원/부본 비교 화면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계량처리장치와 통합관리장치는 조작부로부터 원/부본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메모리(37)에 저장된 화물계량데이터에 관한 원장/부장정보와 함께 원장 또는 부장에 해당하는 공차 및 실차 이미지와 중량이 표시된 전자저울 이미지를 각각 표시부(35)에 표시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계량처리장치의 화물계량처리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화물을 출하(出荷)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우선, 제어부(27)는 조작부(21)로부터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차량의 고유정보와 중량정보를 포함하는 화물계량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41). 이 후 제어부(27)는 상기 조작부(21)로부터 입력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그와 동시에 카메라로부터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차량의 이미지와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메모리(25)에 저장한다(S42).
이후 제어부(27)는 화물이 적재된 차량의 고유정보와 중량정보를 포함하는 화물계량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43). 이 후 제어부(27)는 상기 조작부(21)로부터 입력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그와 동시에 카메라로부터 화물이 적재된 차량의 이미지와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메모리(25)에 저장한다(S44).
이후 제어부(27)는 상기 단계 42와 단계 44에서 얻어진 차량의 고유정보와 중량정보를 통해 차량에 적재된 화물의 중량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화물의 중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적재된 화물의 금액정보를 산출한다(S45).
이후 제어부(27)는 화물계량 입력정보 수정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수정신호가 입력되면 수정사유정보와 수정된 화물계량 데이터와 차량의 이미지 및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원본과 별도로 메모리(25)에 저장한다.
제어부(27)는 조작부(21)로부터 차량 재측정신호가 입력되면(S46) 실차 화물계량데이터 수신과 이미지 획득/저장 및 차량에 적재된 화물의 중량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화물의 중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적재된 화물의 금액정보를 산출을 처리하는 단계43, 44, 45를 반복 수행한다.
한편, 제어부(27)는 조작부(21)로부터 데이터변경신호가 입력되면(S47) 입력한 화물계량데이터 화면정보를 표시부에 출력한다. 이 후 제어부(27)는 데이터변경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S48) 조작부(21)로부터 데이터 변경확인신호가 입력되면 수정사유정보와 수정된 화물계량 데이터를 메모리(25)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작업자가 계량정보를 수정한 이유와 그 내역을 자세히 알 수 있는 것이 다.
이후 제어부(27)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통합관리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구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데이터 전송 요구 신호가 수신되면 그 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25)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통합관리장치로 전송한다 (S49, 50). 이후 제어부(27)는 외부로부터 종료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종료신호가 입력되면 시스템을 종료한다(S51).
도 10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계량처리장치의 화물계량처리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화물을 입하(入荷)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우선, 제어부(27)는 조작부(21)로부터 화물이 적재된 차량의 고유정보와 중량정보를 포함하는 화물계량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61). 이 후 제어부(27)는 상기 조작부(21)로부터 입력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그와 동시에 카메라로부터 화물이 적재된 차량의 이미지와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메모리(25)에 저장한다(S62).
이후 제어부(27)는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차량의 고유정보와 중량정보를 포함하는 화물계량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63). 이 후 제어부(27)는 상기 조작부(21)로부터 입력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그와 동시에 카메라로부터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차량의 이미지와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메모리(25)에 저장한다(S64).
이후 제어부(27)는 상기 단계 62와 단계 64에서 얻어진 차량의 고유정보와 중량정보를 통해 차량에 적재된 화물의 중량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화물의 중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적재된 화물의 금액정보를 산출한다(S65).
이하, 화물계량 처리방법(S66∼S71)은 도 9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물을 적재하는 차량의 고유정보 및 중량정보를 포함하는 화물계량 데이터와 차량의 이미지 및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동시에 저장 관리함으로써, 화물계량을 기록 관리하는 작업자가 화물의 중량을 임의로 조작하려는 부정한 시도를 억제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관리자와 거래자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계량 처리장치를 통해 화물 거래 자체를 투명하게 감시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관리자는 여러 장소에서 따로따로 이루어지던 화물계량정보를 LAN, VAN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한 곳에서 통합관리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화물이 적재되는 차량의 중량을 하중감지센서와 전자저울을 통해 계량하여 화물의 중량과 그에 따른 화물의 금액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록 및 관리하는 화물계량 처리장치에 있어서, 화물계량 처리장치가: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화물계량 데이터를 입력받아 계량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계량데이터처리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데이터 입력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차량의 이미지와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이미지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이미지 획득/처리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화물계량 입력정보 수정신호가 입력되면, 수정사유정보와 수정된 화물계량 데이터와 차량의 이미지 및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원본과 별도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수정처리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원/부본 확인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화물계량 데이터에 대한 원/부본 정보와 이미지정보에 대한 부본정보를 읽어 들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원/부본 비교처리부와;
    화물계량 입력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계량 처리장치.
  5. 삭제
  6. 화물을 적재되는 차량의 고유정보와 중량정보를 포함하는 화물계량데이터 및 차량의 이미지와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저장/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물계량 처리장치와; 상기 화물계량 처리장치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통합관리장치를 포함하는 화물계량 통합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장치가: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와;
    상기 화물계량 처리장치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통신부와;
    화물계량데이터를 저장하는 계량데이터베이스와; 차량의 이미지와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메모리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화물계량 처리장치에 데이터 전송요구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화물계량 처리장치로부터 화물계량데이터와 차량의 이미지정보 및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메모리에 각각 저장하는 계량데이터 수신처리부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화물계량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거래처, 전표번호, 계량 날짜/시간, 차량번호, 화물의 종류, 화물의 중량, 단가, 환산금액, 원/부 차이 등을 지사별 기간별로 집계처리하는 데이터집계처리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화물계량 데이터와 이미지정보에 관한 원본 및 수정에 의한 부본 확인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해당 정보를 읽어 들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원/부본 비교처리부;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상기 화물계량데이터 및 차량의 이미지와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와 데이터 집계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계량 통합관리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화물이 적재되는 차량의 중량을 하중감지센서와 전자저울을 통해 계량하여 상기 화물의 중량정보와 금액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저장 및 관리하는 화물계량 처리장치에서 수행 가능한 화물계량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물계량 처리방법이:
    a)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차량의 고유정보와 중량정보를 포함하는 화물계량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와;
    b)입력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그와 동시에 카메라로부터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차량의 이미지와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c)화물이 적재된 차량의 고유정보와 중량정보를 포함하는 화물계량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와;
    d)입력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그와 동시에 카메라로부터 화물이 적재된 차량의 이미지와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e)상기 b)단계와 d)단계에서 얻어진 차량의 고유정보와 중량정보를 통해 차량에 적재된 화물의 중량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화물의 중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적재된 화물의 금액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f)화물계량 입력정보 수정신호가 입력되면, 수정사유정보와 수정된 화물계량 데이터와 차량의 이미지 및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원본과 별도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g)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통합관리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구 신호가 입력되면, 그 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통합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계량 처리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화물이 적재되는 차량의 중량을 하중감지센서와 전자저울을 통해 계량하여 상기 화물의 중량정보와 금액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저장 및 관리하는 화물계량 처리장치에서 수행 가능한 화물계량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물계량 처리방법이:
    화물이 적재된 차량의 고유정보와 중량정보를 포함하는 화물계량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1 단계와;
    입력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그와 동시에 카메라로부터 화물이 적재된 차량의 이미지와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2 단계와;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차량의 고유정보와 중량정보를 포함하는 화물계량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3 단계와;
    입력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그와 동시에 카메라로부터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차량의 이미지와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와 제4 단계에서 얻어진 차량의 고유정보와 중량정보를 통해 차량에 적재된 화물의 중량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화물의 중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적재된 화물의 금액정보를 산출하는 제5 단계와;
    화물계량 입력정보 수정신호가 입력되면, 수정사유정보와 수정된 화물계량 데이터와 차량의 이미지 및 상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한 전자저울의 이미지를 원본과 별도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6 단계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통합관리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구 신호가 입력되면, 그 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통합관리장치로 전송하는 제7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계량 처리방법.
  13. 청구항 9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계량 처리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4. 청구항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계량 처리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30053855A 2003-08-04 2003-08-04 화물계량처리장치, 화물계량 통합관리시스템,화물계량처리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0561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855A KR100561727B1 (ko) 2003-08-04 2003-08-04 화물계량처리장치, 화물계량 통합관리시스템,화물계량처리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855A KR100561727B1 (ko) 2003-08-04 2003-08-04 화물계량처리장치, 화물계량 통합관리시스템,화물계량처리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766A KR20050114766A (ko) 2005-12-07
KR100561727B1 true KR100561727B1 (ko) 2006-03-15

Family

ID=37288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855A KR100561727B1 (ko) 2003-08-04 2003-08-04 화물계량처리장치, 화물계량 통합관리시스템,화물계량처리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7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716B1 (ko) * 2016-11-08 2018-04-26 (주)두타아이티 벌크항만 통합 물동 관리 방법과 장치
KR101895725B1 (ko) 2017-07-25 2018-09-05 김송희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422B1 (ko) * 2006-08-09 2008-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61128B1 (ko) * 2013-01-17 2014-02-13 주식회사 카스 화물차량용 무인 계량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716B1 (ko) * 2016-11-08 2018-04-26 (주)두타아이티 벌크항만 통합 물동 관리 방법과 장치
KR101895725B1 (ko) 2017-07-25 2018-09-05 김송희 화물차량 무인 계량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766A (ko)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8678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04116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精算装置、商品登録装置、情報処理方法、精算方法、商品登録方法、精算プログラム、及び商品登録プログラム
KR100561727B1 (ko) 화물계량처리장치, 화물계량 통합관리시스템,화물계량처리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6840377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9029668B (zh) 一种物品识别的自动称重系统
WO2018155719A1 (ja) 情報処理装置
CN206095393U (zh) 商品支付校验用称重系统
US8447655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CN113223254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智能支付设备及其控制方法
JP5491921B2 (ja) 経費管理サーバ、及び、当該経費管理サーバ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
CN113313564A (zh) 财务数据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219626087U (zh) 一种称重收银设备与销售系统
JP643622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475532B1 (ja) 監視システム
CN108922155B (zh) 基于移动终端的地磅秤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212931611U (zh) 一种电子汽车衡物联网称重系统
US20230281592A1 (en) Server and method
CN217504955U (zh) 一种地磅称重信息管理系统及其地磅单打印机
WO2024057614A1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2003022387A (ja) 店舗運営システム
CN114169775A (zh) 一种再生资源基地智能管理系统
JPH09113339A (ja) 積荷計量システム
JPH0276096A (ja) レシート発行機能付き電子秤
JP2021047904A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3482062B2 (ja) 商品販売登録デー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722

Effective date: 200511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100326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722

Effective date: 20051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