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422B1 -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422B1
KR100862422B1 KR1020060075019A KR20060075019A KR100862422B1 KR 100862422 B1 KR100862422 B1 KR 100862422B1 KR 1020060075019 A KR1020060075019 A KR 1020060075019A KR 20060075019 A KR20060075019 A KR 20060075019A KR 100862422 B1 KR100862422 B1 KR 100862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r
parts
weigh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3465A (ko
Inventor
이원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5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422B1/ko
Priority to US11/648,865 priority patent/US7703345B2/en
Priority to CNA2007100883349A priority patent/CN101122992A/zh
Publication of KR20080013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각 공정별로 해체된 부품 및 회수된 액상류의 중량을 측정하는 검출수단과, 각 공정별로 작업 개시시점 및 종료시점을 감지하는 검출수단을 설치하고, 이들로부터 측정된 정보가 실시간으로 중앙 컴퓨터에 입력되도록 하여 상기 중앙 컴퓨터가 차량 정보와 함께 각 공정별로 작업시간 정보와 회수된 부품 및 액상류의 중량 정보 등을 수집하도록 함으로써, 폐차 처리 전체 공정에 대하여 작업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차종 및 공정별로 수집한 작업시간, 회수중량, 재활용율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도록 한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재활용율 법규 목표치 준수 여부나 폐차 적정 처리 여부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작업자에 대한 작업실적 수집 및 해체 용이성 평가, 폐차 처리 업무 전산화 등이 가능해지며, 수집한 데이터를 자동차 제조회사에 유용한 해체정보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Figure R1020060075019
폐차, 해체, 모니터링, 시간 정보, 중량 정보

Description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dismantling process of scrapped vehicle}
도 1은 종래기술에서 각 층별로 폐차 해체공정이 이루어지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서 RFID를 이용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하드웨어 구성과 작업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개별 폐차에 대한 모니터링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중앙 컴퓨터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수집된 데이터를 보여주는 프로그램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폐차 처리 시스템에서 각 공정마다 설치되는 클램프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폐차 처리 시스템에서 에어실린더가 작동하여 클램프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폐차 처리 시스템에서 에어실린더가 반대로 작동하 여 클램프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차 처리 시스템에서 클램프에 의해 대차가 클램핑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차 처리 시스템에서 클램프에 의한 대차의 클램핑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이송레일 32 : 피트
33 : 이송레일 34 : 승강장치
35 : 승강장치 36 : 대차
41 : 바코드 발행기 42 : 스캐너 장치
51 : 로드셀 52 : 계량장치
53 : 계량장치 54 : 로드셀
55 : 계량장치 56 : 계량장치
57 : 로드셀 58 : 로드셀
61 ~ 68 : 근접센서 80 : 클램프 장치
82 : 에어실린더 87 : 클램프
본 발명은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차 처리 전체 공정에 대하여 작업상황을 각 공정별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자동차는 인간의 생활 및 산업활동을 유지하는데 필수품이 되고 있으며, 등록대수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폐차대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폐차는 사용수명이 끝난 제품이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부가가치가 낮고, 여러 부품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제품이기 때문에 재사용을 위한 사전 처리가 필수적이며, 이러한 사전 처리가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처리비용이 매우 높다.
또한 중고부품의 재사용은 제품의 주기가 짧아 극히 한정적인 범위 내에서 적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폐차는 전체 차량 중량의 75% 정도가 평균적으로 재활용되고 있으며, 복잡한 재료로 구성된 대형 내구소비재라는 점을 감안할 때 다른 소비재에 비해 비교적 양호한 편이지만, 재활용 재료가 대부분 철이나 비철금속이고, 나머지 25%가 ASR로서 매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폐차 처리는 중고부품의 회수 및 재판매와, 폐차 슈레더(Shredder) 처리의 2가지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폐차 처리를 위한 인프라(infra)는 국토가 좁은 일본이나 유럽지역 국가들이 비교적 잘 구성되어 있는데, 독일의 경우 약 3,000 ~ 4,000개의 업체가 폐차를 처리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아직 경제적 가치를 가질 수 있는 폐차대수(약 100만대 이상)가 발생되지 않아 폐차 처리를 위한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지 않으며, 자동차 관리법으로 중고부품의 재사용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국내 폐차 처리 업체는 중고부품의 주요 공급원이 되지 못하고 단순히 폐차를 처리하는 기능을 주기능으로 하고 있고, 따라서 대부분의 업체가 규모의 채산성을 맞추지 못해 매우 영세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폐차로부터 발생하는 중고부품의 재활용 확대를 위하여 자동차 관리법의 개정요구가 높아 폐차의 재활용 허용부품을 대폭 확대하는 방향으로 법규가 개정되었다.
최근 폐차 리사이클 관련 환경법규를 보면, 유럽지역 국가들이 이행해야 하는 EU 폐차법규 내용에서는 9인승 이하 승용/승합차, 총 중량 3.5톤 이하 트럭까지를 포함한 차량에 대하여 2002년 7월 1일 이후 모든 판매차량의 폐차회수를 자동차 제조업체가 무상으로 해야 하며, 2002년 7월 1일 이전 판매차량은 2007년 1월 1일부터 무상으로 회수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법규 내용으로 인해 각 자동차 제조업체는 자사 판매제품을 무상으로 회수해야 하는 한편, 자사 내 해체 시스템을 구축하여 회수된 폐차를 환경친화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바, 추가비용이 예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유럽의 폐차법규의 영향으로 국내 폐차 관련 법규도 머지 않아 자동차 제조업체가 폐기되는 자사 제품을 무상으로 회수해야 하는 내용으로 제정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위해서는 국내 자동차 제조업체 또한 폐차 해체 플랜트(plant) 시설을 보유해야 하는 것은 물론 해체 플랜트의 기본 이 되는 폐체 해체 시스템을 공정의 간단화 및 자동화, 단계별 차량의 대량 해체가 가능한 방향으로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자동차를 판매한 회사에서 자기가 판매한 차량을 전부 무상으로 회수하여 해체 처리하기 위해서는 판매량과 동일한 양의 폐차를 해체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는데, 자동차 제조회사가 종래의 일반적인 폐차 해체 시스템 및 방법을 그대로 이용할 경우 여러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종래의 폐차 해체 시스템의 경우 일정 면적을 갖춘 대지 위에 평면 산개식으로 배열된 여러 설비들을 이용하여 입고된 폐차를 해체 처리하는 시스템이며, 구성 설비 및 과정이 복잡하고 방대하여 부품의 해체시간이 과다 소요됨은 물론 차량 한 대당 해체비용이 크고, 작업 중 사고의 위험요소가 많음은 물론 해체작업 후 발생하는 부품을 보관할 수 있는 장소의 확보조차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4-246호(2004.1.3)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단계의 작업공정으로 이루어진 폐차 해체공정을 다층 구조물 또는 다층 건물(1)에서 각 층별로 분리하여, 최상층에서 아래층으로부터 내려오면서 순차적으로 각 층별로 폐차 해체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폐차 해체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상기 해체방법에서는, 하나의 층에서 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건물(1)의 양쪽 측방에 위치한 차량운반용 승강기(2)를 이용하여 폐차를 그 아래층으로 운반하도록 되어 있으며, 최상층에서 실시되는 액상류 회수 단계, 그 하층에서 실시되는 사전처리 단계로서 폭발부품 제거 및 재사용부품 회수 단계, 그 하층의 내장/외장부품 의 회수 단계, 그 하층의 엔진/배기계 일부 샤시부품 회수 단계, 최하층에서 실시되는 일부 잔류부품 회수 및 차체 압축 단계로 진행된다.
그리고, 일본공개특허 제2005-280682호(2005.10.13)에서는 처음 폐차 입고부터 마지막 차체 압축까지의 각 해체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별 설비들을 한 라인상에 직렬 배치하여 설치하고, 상기 각 설비들을 따라 폐차운반용 대차가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이송레일을 지상에 설치하며, 최종 공정까지 폐차 운반을 완료한 대차를 지하에 구축한 피트(pit) 및 피트 내 이송레일을 통해 다시 최초 공정까지 회수하는 대차 회수 시스템을 구비한 폐차 해체 시스템 및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상기 폐차 해체 시스템에서는 해체대상부품 체크 → 준비 → 폭발위험부품 처리 → 액상류 회수 → 외장부품 해체 → 내장부품 해체 → 엔진/변속기/배기계/샤시부품 해체 → 차체 압축의 공정 순으로 작업이 진행된다.
그리고, 엔진/변속기/배기계/샤시부품 해체가 끝나고 마지막 남은 차체를 처리한 뒤의 빈 대차는 피트 내로 하강시킨 뒤 대차 회수 시스템을 이용해 피트 내 이송레일을 따라 처음 위치로 회수하고, 이후 지상으로 상승시킨 뒤 다시 지상의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해체공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진행되는 폐차 처리 과정에서, 작업 대상이 되는 개별 폐차에 대하여 주요 공정의 작업 개시 및 종료 상황, 현재 작업위치, 공정별 작업 소요시간, 전체 공정의 최종 완료, 작업자 등과 같은 폐차 처리의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작업자에 대한 작업실적을 수집하며, 작업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한편, 수집한 데이터 베이스를 최적화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각 자동차 제조사에 유용한 해체 정보로서 제공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는 각종 정보 수집을 위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대차 대신 차체이송장치(1)가 이용되고, 전처리, 해체, 비철 회수, 차체 압축 등의 주요 공정에 RFID 리더기(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RFID 리더기(10)와 데이터 서버(20)가 LAN 통신망(21)으로 연결되어 각 RFID 리더기(10)에 의해 수집된 정보가 LAN 통신망(21)을 통해 데이터 서버(20)로 전송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RFID 리더기(10)는 작업자와 차량의 고유 아이디가 각각 입력된 두 장의 카드(태그)(11,12)로부터 식별 정보를 전송받도록 되어 있으며, 해당 RFID 리더기(10)가 카드(11,12)로부터 읽어들인 식별 정보를 데이터 서버(2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각 RFID 리더기(10)는 해당 공정의 작업 개시와 작업 종료를 인식하여 데이터 서버(20)로 전송하는데, 작업자가 각 공정의 RFID 리더기(10)에 카드(11,12)를 장착하여 인식시키는 시점이 작업 개시시점이 되고, RFID 리더기에서 카드를 제거하는 시점이 작업 종료시점이 된다.
결국, 데이터 서버(20)로는 RFID 리더기(10)들에 의해 공정별로 차량 정보, 작업 개시시간, 작업 종료시간, 작업시간 및 작업자 정보가 입력되어 수집되며, 이를 통해 작업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고, 작업자에 대한 작업실적을 수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폐차 해체 시스템에서는 폐차의 공정 이동상황을 작업자가 카드를 이용하여 리더기에 직접 인식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고, 또한 작업 개시나 종료시간, 소요시간 등 시간 정보만 수집이 가능할 뿐, 각 공정의 적정 처리 준수 여부나 재활용율 법규 목표치 준수 여부 등을 모니터링하고 해체 부품의 중량, 액상류 회수율 등 보다 유용한 해체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차량 정보와 함께 각 공정별로 작업시간 정보와 회수된 부품 및 액상류의 중량 정보 등을 수집하는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수집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폐차 처리 전체 공정의 작업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차종 및 공정별로 수집한 작업시간, 회수중량, 재활용율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는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활용율 법규 목표치 준수 여부나 폐차 적정 처리 여부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작업자에 대한 작업실적 수집 및 해체 용이성 평가, 폐차 처리 업무 전산화 등을 가능하게 하는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폐차 입고 후 폐차 등록 및 해체대상부품 체크 공정, 폭발위험부품 처리 공정, 준비 공정, 액상류 회수 공정, 외장부품 해체 공정, 내장부품 해체 공정, 엔진/변속기 해체 공정, 차체 압축 공정에 의해 폐차를 처리하는 폐차 처리 시스템에서, 폐차 입고 후 폐차 등록 및 해체대상부품 체크 공정에서 차종 및 이력 등의 차량 정보와 체크된 해체대상부품 목록 등 작업지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폐차 등록 및 해체대상부품 체크 공정에서 입고된 폐차 중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중량 검출수단과; 상기 각 공정별로 해체된 부품 및 회수된 액상류의 중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각 중량 검출수단과; 상기 각 공정별로 작업 개시시점 및 종료시점을 검출하기 위한 각 검출수단과; 상기 차체 압축 공정에서 압축된 차체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중량 검출수단과; 상기 입력수단 및 각 검출수단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처리 및 저장하고, 출력 및 표시하는 중앙 컴퓨터;를 포함하는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입력수단은, 차량 정보와 작업지시 정보를 입력하여 바코드를 발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 바코드 발행기와; 상기 바코드 발행기에 의해 발행된 바코드로부터 입력된 정보들을 읽어들여 상기 중앙 컴퓨터에 전송하도록 연결된 스캐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차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검출수단은, 상기 폐차 등록 및 해체대상부품 체크 공정에서, 지상의 이송레일과 피트 내 이송레일 사이에서 대차 를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장치에 설치된 로드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상류 회수 공정에서 회수된 액상류의 중량을 검출하기 위한 중량 검출수단은, 액상류 종류별로 중량 검출이 가능하도록 각 액상류 용기에 설치되는 로드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차 등록 및 해체대상부품 체크 공정, 폭발위험부품 처리 공정, 준비 공정, 액상류 회수 공정, 외장부품 해체 공정, 내장부품 해체 공정, 엔진/변속기 해체 공정에서, 상기 작업 개시시점 및 종료시점을 검출하기 위한 각 검출수단은, 대차와 결합/분리되면서 대차를 작업위치에 고정/고정해제하게 되는 클램프 장치의 클램프에 설치되어 대차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이고, 상기 중앙 컴퓨터가 상기 근접센서의 신호로부터 대차와의 결합시를 작업 개시시점으로, 분리시를 작업 종료시점으로 판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체 압축 공정에서, 상기 작업 개시시점 및 종료시점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은, 차체압축장치에 설치되어 차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이고, 상기 중앙 컴퓨터가 상기 근접센서의 신호로부터 작업 대상인 차체가 최초 감지되는 시점을 작업 개시시점으로, 작업 완료 후 차체가 이동하여 분리되는 시점을 작업 종료시점으로 판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하드웨어 구성과 작 업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첨부한 도 5는 개별 폐차에 대한 모니터링의 흐름도이고, 도 6은 중앙 컴퓨터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수집된 데이터를 보여주는 프로그램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예의 폐차 해체 시스템에서는 폐차가 입고되면 폐차 등록 및 해체대상부품 체크 공정(S1) → 폭발위험부품 처리 공정(S2) → 준비 공정(S3) → 액상류 회수 공정(S4) → 외장부품 해체 공정(S5) → 내장부품 해체 공정(S6) → 엔진/변속기 해체 공정(S7) → 차체 압축 공정(S8)의 순으로 작업이 진행된다.
도 3에서 도면부호 31은 지상에 설치되어 공정의 진행 순서대로 대차(36)가 이송하게 되는 이송레일을 나타내며, 도면부호 32는 대차(36)의 회수를 위한 피트(pit)를, 도면부호 33은 피트(32) 내에 설치된 대차 회수용 이송레일을, 도면부호 34와 35는 지상의 이송레일(31)과 피트(32) 내 이송레일(33) 사이에서 대차(36)를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를 각각 나타낸다.
입고된 폐차(100)는 대차(36) 위에 올려진 뒤 지상의 이송레일(31)을 따르는 대차(36)와 함께 상기 공정들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이 폐차(100)가 공정들을 따라 이동되면서 공정별로 각 작업이 진행된다.
그리고, 엔진/변속기 해체 공정(S6)을 마친 차체는 압축되고, 대차(36)는 엔진/변속기 해체 공정(S6)에서 승강장치(35)에 의해 피트(32) 내 이송레일(33)로 옮겨진 뒤 다시 폐차 등록 및 해체대상부품 체크 공정(S1)에서 승강장치(34)에 의해 지상으로 올려지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회수된 대차(36) 위에 다시 새로이 입고된 폐차(100)가 올려지면 대차(36)와 함께 폐차가 이동되면서 동일한 방식으로 다시 해체공정이 진행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폐차(100)의 입고 중량, 압축된 차체 중량, 액상류의 회수중량 및 해체부품의 중량을 측정하고 또한 작업 개시 및 종료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여러 검출수단을 이용하는 바, 상기 검출수단들에 의해 측정된 정보가 유선통신에 의해 중앙 컴퓨터로 수집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차 처리 과정을 각 공정별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폐차 등록 및 해체대상부품 체크 공정(S1)에서, 폐차(100)가 입고되면, 작업자는 차종, 년식, 주행거리 등 각종 차량 정보와 함께 차량에서 해체해야 할 부품들을 체크한 뒤, 소정의 입력수단을 이용해 차량 정보와 작업지시 정보들을 입력하며, 입력된 데이터들은 유선통신(71)으로 연결된 중앙 컴퓨터(7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예컨대, 바코드 발행기(41)를 이용해 차량 정보와 체크된 정보들이 입력되도록 바코드를 발행한다.
상기 바코드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종 및 이력(년식, 주행거리 등) 등 차량 정보, 그리고 해체해야 할 부품들의 목록 등을 포함한 작업지시서 정보가 입력되며, 이러한 정보들이 입력된 바코드를 스캐너 장치(42)로 읽어준 뒤 폐차(100)에 부착한다.
상기 스캐너 장치(42)는 중앙 컴퓨터(70)로 유선통신(71)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바코드로부터 스캐너 장치(42)에 의해 읽혀진 정보, 즉 바코드에 입력된 정보들은 중앙 컴퓨터(7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물론, 차량에 대한 그 밖의 기초 정보 및 검수 내역들을 바코드 형태가 아닌 별도 단말기를 통해 작업자가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들이 중앙 컴퓨터로 전송된 후 저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폐차 등록 및 해체대상부품 체크 공정(S1)에서, 승강장치(리프트)(34) 위에 놓여진 대차(36) 위에 폐차(100)가 올려지면 승강장치에 일체로 설치된 로드셀(51)에 의해 중량(대차와 폐차의 중량임)이 검출되고, 상기 로드셀(51)에 의해 측정된 값은 유선통신(71)을 통해 중앙 컴퓨터(70)로 전송되어 수집된다.
상기 로드셀(51)은 측정된 값이 중앙 컴퓨터(7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유선통신(71), 예컨대 RS-422 통신을 통해 중앙 컴퓨터(70)와 연결되어 있으며, 폐차(100)가 대차(36)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폐차(100)와 대차(36)의 중량을 함께 검출하여 전송하게 되면 중앙 컴퓨터(70)에는 대차 중량(알고 있는 중량임)을 뺀 폐차 중량이 체크되어 수집되게 된다.
한편, 폐차 등록 및 해체대상부품 체크 공정(S1)의 작업 개시시점과 종료시점을 측정하기 위한 검출수단이 설치되는 바, 이 검출수단으로는 대차(36)를 작업위치에 고정시켜주는 클램프 장치에 설치된 근접센서(61)가 이용된다.
이러한 근접센서(61~67)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차 등록 및 해체대상부품 체크 공정(S1)뿐만 아니라 폐차 처리 전체 공정에서 각 공정(S1~S7)마다 각각 설치되는데, 특히 각 공정에서 대차를 작업위치에 고정시켜 주는 클램프 장치에 설치된다(단, 차체 압축 공정(S8)에서는 차체를 감지하도록 차체압축장치(38)에 설치됨).
첨부한 도 7과 도 8은 폐차 처리 시스템에서 각 공정마다 설치되는 클램프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에어실린더(82)가 작동하게 되면 클램프(87)가 상승하면서 대차를 작업위치에 고정시켜 주는 클램프 장치(8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 장치(80)는 이송레일(31)의 중간위치에 설치되며, 특히 이송레일(31)을 따르는 대차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측의 대차를 클램프(87)가 고정(클램프 온)/고정해제(클램프 오프)하게 된다.
도 7과 도 8의 작동상태에서 알 수 있듯이, 클램프 장치(80)에서 실제로 대차를 록킹/록킹해제시키는 클램프(87)는 에어실린더(82)의 동작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승한 상태에서 대차를 고정하고, 하강한 상태에서 대차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클램프 장치(80)에서 에어실린더(82)는 지지판(81) 위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에어실린더(82)의 피스톤(83) 선단부는 회동부재(84)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부재(84)에는 양쪽의 베어링(86)에 의해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 및 지지되는 회전축(85)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84)의 상단에는 클램프(87)가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클램프 장치(8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지지판(81) 위에 설치된 에어실린더(82)가 작동하여 피스톤(83)이 전진 동작할 경우, 피스톤(83)의 선단부에 결합된 회동부재(84)가 베어링(86)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회동부재(84) 상단의 클램프(87)가 상승하고(도 7 참조), 에어실린더(82)가 반대로 작동하여 피스톤(83)이 후진 동작할 경우, 회동부재(84)가 반대로 회전하면서 클램프(87)는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도 8 참조).
첨부한 도 9는 에어실린더가 작동하여 클램프(87)가 상승한 상태(도 7 및 도 11의 상태임)를 나타내며, 상승한 클램프(87)는 클램프 장치 상측으로 설치된 플레이트(88)의 통공(88a)을 통해 상방으로 돌출되어 대차를 걸어주도록 되어 있다(클램프 온(ON)).
첨부한 도 10은 에어실린더가 반대로 작동하여 클램프(87)가 하강한 상태(도 8 및 도 12의 상태임)를 나타내며, 이때 클램프(87)는 플레이트(88)의 통공(88a)에서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 있게 되고, 클램프(87)가 플레이트(88) 하측에 위치하게 되면서 대차와는 분리되면서 클램핑 상태가 해제되어진다(클램프 오프(OFF)).
도 7 및 도 8은 도 9 및 도 10의 플레이트(88)가 제거된 상태로 클램핑 장치(80)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한 도 11은 클램프(87)에 의해 대차(36)가 클램핑된 상태를 나타내며,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87)가 플레이트(88)의 통공(88a)을 통해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대차(36)와 결합되어 대차(36)가 고정된다(클램프 온(ON)).
그리고, 첨부한 도 12는 클램프(87)에 의한 대차(36)의 클램핑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며,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87)가 플레이트(88)의 통공(88a) 안으로 들어가면서 대차(36)와 불리되는 바, 이 상태에서는 대차(36)가 이송레일(31) 을 따라 이송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클램프 장치(80)에서 근접센서(61)는 클램프(87)에 장착되는 바, 상기 근접센서(61)는 유선통신(71)으로 중앙 컴퓨터(70)와 연결되어 있으며, 클램프(87)에 의해 대차(36)가 록킹/록킹해제될 때 대차(36)와의 접촉/접촉해제상태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를 중앙 컴퓨터(70)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결국, 클램프(87)가 대차(36)와 결합되면(클램프 온), 클램프(87)에 설치된 상기 근접센서(61)가 대차(36)를 감지하는 바, 이때 근접센서(61)가 출력하는 전기적인 신호가 유선통신(71)을 통해 중앙 컴퓨터(70)로 전송되며, 중앙 컴퓨터(70)는 전기적인 신호를 수신받게 되면 대차의 클램프 온 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중앙 컴퓨터(70)는 클램프 온되는 시점, 즉 클램프(87)와 대차(36)의 결합시점(대차가 근접센서에 의해 최초 감지된 시점)을 해당 공정의 작업 개시시점으로 인식하게 된다.
반대로 클램프(87)가 대차(36)와 분리되면(클램프 오프), 근접센서(61)가 대차(36)와의 분리상태를 감지하는 바, 이때 근접센서(61)가 출력하는 전기적인 신호가 유선통신(71)을 통해 중앙 컴퓨터(70)로 전송되며, 중앙 컴퓨터(70)는 상기 전기적인 신호를 수신받게 되면 대차(36)의 클램프 오프 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클램프 오프되는 시점, 즉 클램프(87)가 대차(36)와 분리되는 시점을 중앙 컴퓨터(70)는 해당 공정의 작업 종료시점으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 컴퓨터(70)는 근접센서(61)의 신호로부터 해당 공정의 작업 개 시시간과 종료시간, 해당 공정의 작업 소요시간을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의 근접센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차 처리 시스템의 각 공정에 설치된 클램프 장치에 모두 동일하게 설치되는 바, 각 근접센서(61~67)는 모두 중앙 컴퓨터(70)와 유선통신(71)을 통해 연결되며, 중앙 컴퓨터(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근접센서(61~67)의 신호로부터 대차(36)가 클램프 온 또는 클램프 오프되는 시점을 감지하여 작업 개시시간 및 종료시간, 작업 소요시간을 수집하게 된다.
다음으로, 폐차 등록 및 해체대상부품 체크 공정(S1)이 완료되면, 대차(36)에 의해 폐차(100)는 폭발처리 챔버(37) 내로 이동하고, 상기 폭발처리 챔버(37) 내에서 폭발위험부품을 사전에 제거하는 폭발위험부품 처리 공정(S2)이 진행된다.
상기 폭발위험부품 처리 공정(S2)에는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체되는 부품들의 중량 측정하기 위한 중량 검출수단으로서 저울을 포함한 계량장치(52)가 구비되는 바, 상기 계량장치(52)에 의해 측정된 해체부품의 중량은 유선통신(71)을 통해 중앙 컴퓨터(70)로 입력되어 수집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중앙 컴퓨터(70)는 계량장치(52)로부터 수신된 해체부품의 중량 정보와 함께 근접센서(62)에 의해 감지된 작업 개시시간 및 종료시간, 작업 소요시간 등의 작업에 대한 시간 정보를 유선통신(71)을 통해 수집한다.
한편, 폭발위험부품 처리 공정(S2)이 완료되면, 폐차(100)는 대차(36)와 함께 타이어, 후드, 배터리 등의 부품을 해체하는 준비 공정(S3)으로 이동하고, 이 준비 공정(S3)에도 검출수단으로서 폭발위험부품 처리 공정에서와 같이 계량장 치(53)와 근접센서(63)가 구비되는 바, 계량장치(53)로부터 해체된 부품의 중량 정보와 근접센서(63)에 의해 얻어지는 작업에 대한 시간 정보를 중앙 컴퓨터(70)가 수집한다.
다음으로, 폐차(100)가 대차와 함께 액상류 회수 공정(S4)으로 이동하며, 액상류 회수 공정(S4)에서는 차량에 남아 있는 냉매 및 연료(가솔린, 디젤 등), 엔진오일, 미션오일 및 각종 기구의 오일, 부동액, 브레이크액, 클러치액, 파워 스티어링액, 와셔액 등 액상류를 회수하게 된다.
액상류 회수 공정(S4)에는 회수되는 액상류가 그 종류별로 각 용기에 저장되므로, 각 용기별로 액상류 회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검출수단이 설치되며, 이때 상기 검출수단으로는 용기에 채워진 액상류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54)이 사용된다.
즉, 각 용기에 로드셀(54)이 설치되어 회수된 액상류의 중량을 종류별로 측정하는 바, 각 로드셀(54)에 의해 측정된 액상류의 종류별 중량은 유선통신(71)을 통해 중앙 컴퓨터(70)로 입력되어 수집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함께 중앙 컴퓨터(70)는 액상류의 종류별 중량 정보와 함께 전술한 바대로 근접센서(64)에 의해 감지된 작업 개시시간 및 종료시간, 작업 소요시간 등의 시간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와 같이 액상류 회수 공정(S4)이 완료되면, 폐차(100)는 대차(36)와 함께 외장부품 해체 공정 및 내장부품 해체 공정(S5,S6)을 차례로 거치게 되며, 두 공정(S5,S6)에서 계량장치(55,56)와 근접센서(65,66)가 구비되어 해체된 부품의 중 량 정보와 작업에 대한 시간 정보가 중앙 컴퓨터로 전송되도록 한 점은 앞의 공정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그 이후 공정인 엔진/변속기 해체 공정(S7)에는 로드셀(58)이 구비되어 해체된 엔진/변속기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로드셀(58)에 의해 측정된 엔진/변속기의 중량은 유선통신(71)을 통해 중앙 컴퓨터(70)로 입력되어 수집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함께 중앙 컴퓨터(70)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근접센서(67)에 의해 감지된 작업 개시시간 및 종료시간, 작업 소요시간 등의 시간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그리고, 차체 압축 공정(S8)에서는 엔진/변속기가 해체된 차체를 차체압축장치(38)로 이동시켜 차체를 압축하는 작업이 실시되며, 차체압축장치(38)에는 압축된 차체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검출수단, 예컨대 로드셀(58)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차체압축장치(38)에는 차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68)가 설치되는 바, 이 근접센서(68)에 대해서는 앞의 공정(S1~S7)에서 대차를 감지하여 신호 출력하는 근접센서와 작동원리가 동일하다.
즉, 중앙 컴퓨터(70)는 근접센서(68)의 신호로부터 압축 작업의 대상이 되는 차체가 최초 감지되는 시점을 작업 개시시점으로, 차체 압축 작업이 완료되어 압축된 차체가 근접센서로부터 이동(분리)되는 시점을 작업 완료 시점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로드셀(58)에 의해 측정된 압축 차체 중량은 유선통신(71)을 통해 중앙 컴퓨터(70)로 전송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근접센서(68)에 의해 감지된 작업 개 시시간 및 종료시간, 작업 소요시간 등의 시간 정보가 중앙 컴퓨터(70)에 의해 수집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모니터링 및 수집된 각종 데이터들이 중앙 컴퓨터(70)의 소프트웨어 상에 출력된 화면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공정별로 작업 개시 및 종료시간과 작업 소요시간, 해체된 부품의 중량 및 액상류의 회수량 등 정보가 수집되며, 이렇게 수집된 정보들은 중앙 컴퓨터(70)에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간단한 조작으로 중앙 컴퓨터에 차량 정보와 함께 각 공정별로 작업시간 정보와 해체된 부품 및 회수된 액상류의 중량 정보 등이 수집되어 저장되는 바, 작업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차종 및 공정별로 수집한 작업시간, 회수중량, 재활용율 등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재활용율 법규 목표치 준수 여부나 폐차 적정 처리 여부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작업자에 대한 작업실적 수집 및 해체 용이성 평가, 폐차 처리 업무 전산화 등이 가능해지며, 수집한 데이터를 자동차 제조회사에 유용한 해체정보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으로 중앙 컴퓨터에 차량 정보와 함께 각 공정별로 작업시간 정보와 해체된 부품 및 회수된 액상류의 중량 정보 등이 수집되어 저장될 수 있는 바, 작업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차종 및 공정별로 수집한 작업시간, 회수중량, 재활용율 등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재활용율 법규 목표치 준수 여부나 폐차 적정 처리 여부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작업자에 대한 작업실적 수집 및 해체 용이성 평가, 폐차 처리 업무 전산화 등이 가능해지며, 수집한 데이터를 자동차 제조회사에 유용한 해체정보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폐차 입고 후 폐차 등록 및 해체대상부품 체크 공정, 폭발위험부품 처리 공정, 준비 공정, 액상류 회수 공정, 외장부품 해체 공정, 내장부품 해체 공정, 엔진/변속기 해체 공정, 차체 압축 공정에 의해 폐차를 처리하는 폐차 처리 시스템에서,
    폐차 입고 후 폐차 등록 및 해체대상부품 체크 공정에서 차종 및 이력 등의 차량 정보와 체크된 해체대상부품 목록 등 작업지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폐차 등록 및 해체대상부품 체크 공정에서 입고된 폐차 중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폐차 중량 검출수단과;
    상기 각 공정별로 해체된 부품 및 회수된 액상류의 중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다수의 각 공정별 해체 부품 중량 검출수단 및 다수의 각 공정별 액상류 중량 검출수단과;
    상기 각 공정별로 작업 개시시점 및 종료시점을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각 공정별 작업 개시시점 및 종료시점 검출수단과;
    상기 차체 압축 공정에서 압축된 차체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압축 차체 중량 검출수단과;
    상기 입력수단 및 각 검출수단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처리 및 저장하고, 출력 및 표시하는 중앙 컴퓨터;
    를 포함하는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차량 정보와 작업지시 정보를 입력하여 바코드를 발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 바코드 발행기와;
    상기 바코드 발행기에 의해 발행된 바코드로부터 입력된 정보들을 읽어들여 상기 중앙 컴퓨터에 전송하도록 연결된 스캐너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차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폐차 중량 검출수단은, 상기 폐차 등록 및 해체대상부품 체크 공정에서, 지상의 이송레일과 피트 내 이송레일 사이에서 대차를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장치에 설치된 로드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상류 회수 공정에서 회수된 액상류의 중량을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각 공정별 액상류 중량 검출수단은, 액상류 종류별로 중량 검출이 가능하도록 각 액상류 용기에 설치되는 로드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차 등록 및 해체대상부품 체크 공정, 폭발위험부품 처리 공정, 준비 공정, 액상류 회수 공정, 외장부품 해체 공정, 내장부품 해체 공정, 엔진/변속기 해체 공정에서, 상기 작업 개시시점 및 종료시점을 검출하기 위한 각 검출수단은, 대차와 결합/분리되면서 대차를 작업위치에 고정/고정해제하게 되는 클램프 장치의 클램프에 설치되어 대차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이고, 상기 중앙 컴퓨터가 상기 근접센서의 신호로부터 대차와의 결합시를 작업 개시시점으로, 분리시를 작업 종료시점으로 판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체 압축 공정에서, 상기 작업 개시시점 및 종료시점을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각 공정별 작업 개시시점 및 종료시점 검출수단은, 차체압축장치에 설치되어 차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이고, 상기 중앙 컴퓨터가 상기 근접센서의 신호로부터 작업 대상인 차체가 최초 감지되는 시점을 작업 개시시점으로, 작업 완료 후 차체가 이동하여 분리되는 시점을 작업 종료시점으로 판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060075019A 2006-08-09 2006-08-09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0862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019A KR100862422B1 (ko) 2006-08-09 2006-08-09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
US11/648,865 US7703345B2 (en) 2006-08-09 2006-12-29 System for monitoring dismantling process of scrapped vehicle
CNA2007100883349A CN101122992A (zh) 2006-08-09 2007-03-15 用于监控报废车辆的解体处理的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019A KR100862422B1 (ko) 2006-08-09 2006-08-09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465A KR20080013465A (ko) 2008-02-13
KR100862422B1 true KR100862422B1 (ko) 2008-10-08

Family

ID=39085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019A KR100862422B1 (ko) 2006-08-09 2006-08-09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03345B2 (ko)
KR (1) KR100862422B1 (ko)
CN (1) CN1011229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890B1 (ko) * 2011-08-03 2013-05-13 박창희 폐차 해체 시스템
KR101362459B1 (ko) 2013-04-01 2014-02-11 박창희 폐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066B1 (ko) * 2012-02-02 2014-01-0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폐자동차 이송시스템
CN103373408B (zh) * 2012-04-26 2015-06-03 湖南万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报废汽车拆解回收方法及设备
CN105752208A (zh) * 2016-02-26 2016-07-13 武汉理工大学 退役乘用车拆解流水线
CN106743324B (zh) * 2016-12-27 2019-05-10 格林美(武汉)城市矿产循环产业园开发有限公司 报废汽车拆解线的输送时间控制系统
CN108082334B (zh) * 2017-12-15 2023-05-30 铜陵天奇蓝天机械设备有限公司 报废汽车拆解流水线及应用该流水线的信息化管理系统
US11279425B1 (en) * 2018-07-20 2022-03-22 EMR (USA Holdings) Inc. Vehicle disassembly system and method
KR101983512B1 (ko) * 2018-10-31 2019-09-03 최호 폐차 처리방법
JP7163235B2 (ja) 2019-03-29 2022-10-3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分析方法、作業分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10103802A (ko) * 2020-02-14 2021-08-24 양연옥 차량용 엔진의 재활용을 위한 관리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CN113886671B (zh) * 2021-09-08 2022-09-13 南通优效云计算科技有限公司 机动车拆解信息智能录入方法及系统
CN114535250B (zh) * 2022-03-08 2022-09-20 佛山市南海瑞泰机动车报废有限公司 一种报废汽车整体资源化的处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2389A (ko) * 1997-12-22 1999-07-05 류정열 폐자동차의 부품 해체 시스템
KR20000019310A (ko) * 1998-09-10 2000-04-06 류정열 폐자동차에서의 액상류 회수장치
KR20050095727A (ko) * 2004-03-27 2005-09-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폐차 해체 시스템 및 방법
KR20050114766A (ko) * 2003-08-04 2005-12-07 (주)지네트 화물계량처리장치, 화물계량 통합관리시스템,화물계량처리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16729B1 (fr) * 1987-06-16 1989-09-29 Boyenval Hugues Procede modulaire de demontage de vehicules automobiles legers
US5176187A (en) * 1989-06-27 1993-01-05 Ashland Oil, Inc. Flexible gas salvage containers and process for use
US5521815A (en) * 1992-01-31 1996-05-28 K.L.E. Irrevocable Trust Uniform system for verifying and tracking articles of value
US6076064A (en) * 1992-01-31 2000-06-13 Rose, Jr.; R. Edward Uniform system for verifying and tracking the title of articles or objects of value
JPH0664502A (ja) 1992-08-19 1994-03-08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解体方法
KR100452453B1 (ko) 2002-06-24 2004-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폐차 해체방법
US7493683B2 (en) * 2004-02-13 2009-02-24 Robert Davidyan Method of disassembling an automobile
KR100723607B1 (ko) 2004-02-23 2007-06-04 주식회사 오토에코 친환경적인 폐차 처리 시스템
KR20060054834A (ko) 2004-11-16 2006-05-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정보기반 폐차 해체시스템과 이에 사용되는 폐차 정보시스템 및 폐차 해체 플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2389A (ko) * 1997-12-22 1999-07-05 류정열 폐자동차의 부품 해체 시스템
KR20000019310A (ko) * 1998-09-10 2000-04-06 류정열 폐자동차에서의 액상류 회수장치
KR20050114766A (ko) * 2003-08-04 2005-12-07 (주)지네트 화물계량처리장치, 화물계량 통합관리시스템,화물계량처리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050095727A (ko) * 2004-03-27 2005-09-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폐차 해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890B1 (ko) * 2011-08-03 2013-05-13 박창희 폐차 해체 시스템
KR101362459B1 (ko) 2013-04-01 2014-02-11 박창희 폐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03345B2 (en) 2010-04-27
US20080051928A1 (en) 2008-02-28
KR20080013465A (ko) 2008-02-13
CN101122992A (zh)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422B1 (ko)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
KR20050095727A (ko) 폐차 해체 시스템 및 방법
US98584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deliveries of a fluid to a set of tanks
US8602298B2 (en) Recycl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783923B1 (ko) 폐차 해체시스템 및 방법
JPH06168253A (ja) 製品解体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4483234A (zh) 一种铁矿石品位自动检测系统和方法
WO2017216755A1 (en) Waste collection system
EP2045587A2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ication of a measurement device
CN107545531A (zh) 一种生活垃圾收运压缩综合管理的方法
CN207843116U (zh) 报废汽车拆解流水线
CN106225892A (zh) 行车钢水计量方法及系统
CN111062985A (zh) 一种车载泔水回收体积测量系统和方法
JP2000126749A (ja) リサイクル処理管理システムおよびリサイクル処理管理方法
KR101263890B1 (ko) 폐차 해체 시스템
CN202433209U (zh) 烧结机台车车轮状态检测装置
KR101983512B1 (ko) 폐차 처리방법
KR20060054834A (ko) 정보기반 폐차 해체시스템과 이에 사용되는 폐차 정보시스템 및 폐차 해체 플랜트
CN111882748A (zh) 一种能识别检测收纳支付的回收机
Kozlov et al. Technical and economic assessment of vehicle recycling cost in the Russian Federation
WO2008109542A1 (en) Recycl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hankelov et al. Selection of garbage trucks with rational parameters according to the criterion of minimum work cycle time
KR100723607B1 (ko) 친환경적인 폐차 처리 시스템
JP6635568B2 (ja) 廃棄自動車物流管理システム
KR101362459B1 (ko) 폐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