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066B1 - 폐자동차 이송시스템 - Google Patents

폐자동차 이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066B1
KR101347066B1 KR20120011000A KR20120011000A KR101347066B1 KR 101347066 B1 KR101347066 B1 KR 101347066B1 KR 20120011000 A KR20120011000 A KR 20120011000A KR 20120011000 A KR20120011000 A KR 20120011000A KR 101347066 B1 KR101347066 B1 KR 101347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aste
dismantling
scrapped
wast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11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9558A (ko
Inventor
이화조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20011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066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7/00Systematic disassembly of vehicles for recovery of salvageable components, e.g. for recyc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6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 폐기물의 처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폐자동차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폐자동차가 안착되는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를 이동시키는 동력부재로 구성된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폐자동차의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동차 이송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폐자동차의 해체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별 설비가 하나의 라인으로 직렬 배치되므로 구성 설비 및 과정이 방대하거나 복잡하지 않으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하나의 폐자동차 해체작업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도 다른 폐자동차 해체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폐자동차 이송시스템{MOVING SYSTEM OF SCRAPPED CAR}
본 발명은 고체 폐기물의 처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폐자동차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보유 대수의 증가로 폐차 처리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폐기물량을 줄이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인 폐자동차 처리는 프레스를 이용하여 차체를 압축함으로써 그 부피를 최소화시키는 정도이며, 이와 같이 압축된 차체는 제철소 등에서 재활되어 다시 사용되고 있으나, 압축된 차체에는 철과 같은 금속 뿐만 아니라 차체에 부착된 각종 재질, 예컨대 플라스틱이나 그 밖의 다른 재질이 혼재해 있음으로써 재활용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존의 폐자동차 처리는 대부분의 각종 부품을 떼어내지 않은 상태에서 차체를 압축하기 때문에 폐기물량이 늘어나며, 차량 시트 폼과 같은 고부가가치의 합성수지류가 그대로 폐기 처분되는 실정에 있다.
이에 최근에는 폐자동차 전체 중량의 약 75% 정도에 해당하는 부품을 재활용하는 기술이 다수 제안되었고, 이러한 부품의 분리를 위해 폐자동차 해체와 관련된 기술도 다수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폐자동차 해체 시스템의 경우 일정 면적을 갖춘 대지 위에 산개식으로 배열된 여러 설비를 이용해서 입고된 폐자동차를 해체 처리하였으나, 이는 구성 설비 및 과정이 복잡하고 방대하여 부품의 해체시간이나 해체비용이 과다 소요됨은 물론 해체작업 중 사고의 위험요소가 많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체형 컨베이어를 통해 차량을 이동시키고, 차량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해체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는 복수 대의 폐자동차 중 하나의 폐자동차 해체작업에 문제가 발생하여 중단된 경우 전체 공정이 중단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자동차의 해체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별 설비를 하나의 라인으로 직렬 배치한 폐자동차 이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폐자동차 해체작업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도 다른 폐자동차 해체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폐자동차 이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자동차가 안착되는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를 이동시키는 동력부재로 구성된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폐자동차의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동차 이송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이송부재에는 폐자동차의 타이어를 견인하는 견인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견인부재는 상기 이송부재에 폐자동차가 안착된 상태에서만 돌출되도록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부재에는 폐자동차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부재는 폐자동차의 해체작업에 따른 하중 변화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재와, 폐자동차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이송부 사이에는 폐자동차의 타이어가 이웃하는 상기 이송부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재 상단에는 폐자동차가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복수 개의 롤러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폐자동차 이송시스템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폐자동차의 해체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별 설비가 하나의 라인으로 직렬 배치되므로 구성 설비 및 과정이 방대하거나 복잡하지 않으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하나의 폐자동차 해체작업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도 다른 폐자동차 해체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자동차 이송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자동차 이송시스템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폐자동차 이송시스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자동차 이송시스템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자동차 이송시스템의 평면도이다.
종래의 폐자동차 해체 시스템의 경우 산개식으로 배열된 여러 설비를 이용해서 입고된 폐자동차를 해체 처리하여 부품의 해체시간이나 해체비용이 과다 소요되고, 해체작업 중 사고의 위험요소가 많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폐자동차 이송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자동차(10)가 안착되는 이송부재(110)와, 상기 이송부재(110)를 이동시키는 동력부재(120)로 구성된 이송부(100)를 포함한다.
즉, 폐자동차(10)의 해체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별 설비가 하나의 라인으로 직렬 배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구성 설비 및 과정이 방대하거나 복잡하지 않으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컨베이어를 통해 폐자동차를 이동시키는 종래의 폐자동차 해체 시스템의 경우 이동하는 복수 대의 폐자동차 중 하나의 폐자동차 해체작업에 문제가 발생하여 중단되면 전체 공정이 중단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폐자동차 이송시스템은 상기 이송부(100)를 폐자동차(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열해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즉, 각각의 해체작업에 해당하는 이송부(100)가 별도로 분리되어 배열되므로 하나의 폐자동차(10)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해당 폐자동차(10)가 안착된 이송부(100)만 중단되고, 다른 이송부(100)에서는 정상적으로 해체작업이 진행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재(110)에는 폐자동차(10)의 타이어를 견인하는 견인부재(1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부재(110)가 구비되면 폐자동차(10)의 견인이 용이해지므로 해체작업의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견인부재(130)는 상기 이송부재(110)에 폐자동차(10)가 안착된 상태에서만 돌출되도록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폐자동차가 이송부재(110)에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견인부재(130)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이송부재(110)에 폐자동차(10)가 안착된 상태에서만 견인부재(130)가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이송부재(110)에 폐자동차(10)가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견인부재(130)가 외부로 돌출되지 아니하므로 이러한 견인부재(130)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견인부재(130)가 폐자동차(10) 안착 시에만 돌출되도록 별도의 구동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견인부재(130)는 폐자동차(10)의 전방 타이어 뿐만 아니라 후방 타이어도 견인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송부재(110)에는 폐자동차(10)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부(100)는 폐자동차(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된다. 즉, 폐자동차(10)가 안착된 이송부(100)에서만 해체작업이 진행되므로 폐자동차(10)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폐자동차(10)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이송부재(110)에 감지부재(140)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감지부재(140)를 통해 폐자동차(10)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한 견인부재(130)가 돌출되어 폐자동차(10)의 타이어를 견인 및 해당 해체작업이 진행 등 자동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재(140)는 폐자동차(10)의 해체작업에 따른 하중 변화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재(141)와, 폐자동차(10)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재(14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감지부재(141)는 폐자동차(10)의 해체작업에 따른 하중 변화를 감지하고, 이러한 하중 변화를 별도로 구비된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한다.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이러한 하중 변화를 통해 해당 해체작업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해당 해체작업이 완료되면 다음 해체작업을 위해 폐자동차(10)를 이동시킨다.
이때, 이러한 제1 감지부재(14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견인부재(13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견인부재(130)가 폐자동차(10)의 타이어를 견인할 때 제1 감지부재(141)를 통해 폐자동차(10)의 하중을 측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감지부재(142)를 통해 폐자동차(10)의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폐자동차(10)의 이동을 위해 폐자동차(10)가 이송부재(110)에 진입하면 견인부재(130)가 돌출되는데, 이러한 폐자동차(10)의 진입 여부는 제2 감지부재(142)를 통해 이루어진다.
제2 감지부재(142)는 폐자동차(10)의 진입이 감지되면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미도시)에서는 견인부재(130)가 돌출되도록 제어한다.
복수 개의 상기 이송부(100) 사이에는 폐자동차(10)의 타이어가 이웃하는 상기 이송부(100)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부재(1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폐자동차(10)의 해당 해체작업이 완료되면 폐자동차(10)는 다음 해체작업을 위해 이웃하는 이송부(100)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웃하는 이송부(100) 사이에는 이격공간(미도시)이 형성된다.
즉, 폐자동차(100) 이동 시 이러한 이격공간(미도시)에 폐자동차(100)의 타이어가 빠지게 되어 해체작업이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웃하는 이송부(100) 사이의 이격공간(미도시)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15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받침부재(150)가 구비되면 해체작업이 완료된 이송부(100)에서 다음 이송부(100)로 폐자동차(10)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받침부재(150) 상단에는 폐자동차(10)가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복수 개의 롤러(151)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150) 상단에 롤러(151)가 구비되면 폐자동차(10)가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으며, 이러한 롤러(151)가 자동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별도의 구동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폐자동차 100 : 이송부
110 : 이송부재 120 : 동력부재
130 : 견인부재 140 : 감지부재
141 : 제1 감지부재 142 : 제2 감지부재
150 : 받침부재 151 : 롤러

Claims (7)

  1. 폐자동차(10)의 타이어를 견인하는 견인부재(130), 폐자동차(10)의 해체작업에 따른 하중 변화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재(141), 폐자동차(10)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재(142)가 구비되어 폐자동차(10)가 안착되는 이송부재(110): 및
    상기 이송부재(110)를 이동시키는 동력부재(120)로 구성된 이송부(100);
    를 포함하며,
    상기 견인부재(130)는 상기 이송부재(110)에 폐자동차(10)가 안착된 상태에서만 돌출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 감지부재(141)는 상기 견인부재(130)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100)는 폐자동차(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동차 이송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이송부(100) 사이에는 폐자동차(10)의 타이어가 이웃하는 상기 이송부(100)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부재(1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동차 이송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50) 상단에는 폐자동차(10)가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복수 개의 롤러(15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동차 이송시스템.
KR20120011000A 2012-02-02 2012-02-02 폐자동차 이송시스템 KR101347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11000A KR101347066B1 (ko) 2012-02-02 2012-02-02 폐자동차 이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11000A KR101347066B1 (ko) 2012-02-02 2012-02-02 폐자동차 이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558A KR20130089558A (ko) 2013-08-12
KR101347066B1 true KR101347066B1 (ko) 2014-01-07

Family

ID=49215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11000A KR101347066B1 (ko) 2012-02-02 2012-02-02 폐자동차 이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0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381A (ko) * 1998-02-07 1999-09-06 조용화 터널식 자동세차기의 차량 고정장치
KR20080013465A (ko) * 2006-08-09 2008-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
KR20080103624A (ko) * 2007-05-25 2008-11-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순환형 폐차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20280A (ko) * 2007-08-23 2009-02-26 (주)아진 승강장 대기차량의 자동이동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381A (ko) * 1998-02-07 1999-09-06 조용화 터널식 자동세차기의 차량 고정장치
KR20080013465A (ko) * 2006-08-09 2008-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폐차 처리 모니터링 시스템
KR20080103624A (ko) * 2007-05-25 2008-11-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순환형 폐차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20280A (ko) * 2007-08-23 2009-02-26 (주)아진 승강장 대기차량의 자동이동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558A (ko) 2013-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76153B (zh) 退役乘用车拆解系统
KR101347066B1 (ko) 폐자동차 이송시스템
CN101801821B (zh) 输送机滚筒支撑框架及接触输送机滚筒的方法
CN107271459B (zh) 一种拖车装置、车辆辐射检测系统及其方法
CN210150347U (zh) 一种适用于矿山石料装车的落料系统
CN206474213U (zh) 一种破碎机颚板及设有该颚板的颚式破碎机
KR101263890B1 (ko) 폐차 해체 시스템
KR100656008B1 (ko) 폐차 해체용 대차 회수 시스템
CN106347526A (zh) 一种柔性拆解线立体上下料系统
CN204833704U (zh) 车辆超载监控系统
CN104438332A (zh) 一种防止剪切头带入精轧机的装置
EP2826697A1 (en) Device for separating glass from discarded vehicles
CN102853887A (zh) 冶金配料翻钢秤装置
CN104428236A (zh) 用于乘客输送设备的安全元件
CN204022179U (zh) 电梯底坑防撞保护装置
CN108910557B (zh) 一种新型铰接式卸料车
KR101225310B1 (ko) 컨테이너 스크랩 하화 장치
CN202778673U (zh) 一种提升翻转机
CN102699611A (zh) 半挂车主纵梁翻转焊接工装
KR100774653B1 (ko) 폐차 유도 장치
CN202846681U (zh) 一种砌块成型机的料车行走机构
CN203392819U (zh) 重型平板运输车偏载保护装置
CN110539826B (zh) 报废车拆解系统
CN104261148A (zh) 一种工件自动输送装置
CN209815004U (zh) 一种切边机废料移出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