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310B1 - 컨테이너 스크랩 하화 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스크랩 하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310B1
KR101225310B1 KR1020100094662A KR20100094662A KR101225310B1 KR 101225310 B1 KR101225310 B1 KR 101225310B1 KR 1020100094662 A KR1020100094662 A KR 1020100094662A KR 20100094662 A KR20100094662 A KR 20100094662A KR 101225310 B1 KR101225310 B1 KR 101225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frame
scrap
hinge
contain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3064A (ko
Inventor
김남명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4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310B1/ko
Publication of KR2012003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31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스크랩 하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단이 지면에 힌지 고정된 탑재프레임(10)과, 상기 탑재프레임(10)의 타단을 밀어 올리는 리프팅장치(20)와, 상기 탑재프레임(10)의 후단에 인접하여 지하에 건설된 덤핑피트(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컨테이너 틸팅을 위한 별도의 틸팅 장비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스크랩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스크랩 하화시 차량의 이동이 필요 없게 됨으로써 스크랩 하화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작업 필요 공간이 감소된다.
또한, 안전가이드(13)에 의해 스크랩 하화 중 차량의 전복사고가 방지된다.
또한, 스크랩이 덤핑피트(30)의 내부로 하화되어 보관되므로 노지에 하화될 때에 비하여 더스트의 혼입량이 크게 감소되어 스크랩의 순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스크랩 하화 장치{apparatus for dumping scrap of container}
본 발명은 스크랩 하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테이너에 실려온 스크랩을 하화하기 위한 컨테이너 스크랩 하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로 제강에서는 스크랩을 주원료로 사용한다.
스크랩은 발생원에 따라 자가발생스크랩, 가공스크랩, 노폐스크랩으로 분류된다.
자가발생스크랩은 철강회사의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스크랩으로서 성분이 분명하여 품질이 양호하고, 가공스크랩은 자동차, 조선, 기계 등의 제조공정에서 발생한 스크랩으로서 출처가 명확하여 자가발생스크랩보다 품질이 더 우수하다.
반면, 노폐스크랩은 폐기된 철강제품으로부터 회수된 것으로 통상 다양한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제거한 후 사용한다.
상기 스크랩은 각 처에서 수거되어 대형 덤프트럭이나 컨테이너에 실려 철강공장으로 운반되어 하화된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로부터의 스크랩 하화작업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공간이 감소되고, 스크랩에 더스트가 혼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컨테이너 스크랩 하화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후단부가 지면에 힌지 연결된 탑재프레임과;
상기 탑재프레임의 전단부를 승강시키는 리프팅장치와;
상기 탑재프레임의 후단부에 인접하여 지하에 건설된 덤핑피트;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탑재프레임의 후단에 차량의 최후방바퀴를 지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재프레임에 상기 탑재프레임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 직립 설치된 컬럼부와, 상기 컬럼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연결부로 이루어진 안전가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재프레임의 후단부 하면에 형성된 힌지부에 힌지부재가 힌지축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힌지부재는 지하에 건설된 힌지기초의 상면에 볼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기초는 지반에 박힌 보강파일의 상부에 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팅장치는 유압실린더이고, 상기 유압실린더는 지하에 건설된 매립피트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 단부는 상기 탑재프레임의 전단부 하면에 형성된 힌지부에 힌지축을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립피트의 하부에 매립피트기초가 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덤핑피트의 탑재프레임 반대쪽 위치의 상단부에 크레인의 추락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덤핑피트의 바닥면에 철판이 깔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재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전단부에 하단이 힌지 연결된 스토핑멤버와, 상기 스토핑멤버의 후면과 상기 장착홈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가동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를 견인차량에서 분리하지 않고 트레일러 탑재 상태 그대로 스크랩 하화를 실시할 수 있고, 스크랩 하화 중간에 차량이 스크랩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크랩 하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스크랩 하화에 필요한 공간도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테이너 견인 차량에 별도의 유압 틸팅 설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고, 리치 스태커와 같은 컨테이너 분리 및 틸팅용 특수 장비를 이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스토퍼와 안전가이드에 의해 차량의 지지가 확실히 이루어짐으로써 스크랩 하화중 차량이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운전자 및 작업자의 안전성이 향상되고, 차량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탑재리프트가 스크랩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충분한 경사각도로 지울어지고, 스크랩이 지하에 건설된 덤핑피트로 낙하되기 때문에 컨테이너에서 스크랩의 배출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이는 스크랩 하화 작업시간 감소에 도움이 된다.
또한, 상기 덤핑피트는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스크랩에 더스트의 혼입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순물의 감소로 스크랩 품질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더스트 혼입 방지는 상기 덤핑피트의 바닥에 철판을 깔아줌으로써 배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재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탑재프레임의 내부로 접혀졌다 펼쳐지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가동스토퍼가 구비됨으로써 후방의 스토퍼와 더불어 하중을 분담함으로써 차량의 바퀴 및 바퀴축이 고하중에 의해 변형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동스토퍼는 차량의 진출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스크랩 하화 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스크랩 하화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탑재프레임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동스토퍼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후단부가 지면에 힌지 연결된 탑재프레임(10)과, 상기 탑재프레임(10)의 전단부를 승강시키는 리프팅장치(20)와, 상기 탑재프레임(10)의 후단부에 인접하여 지하에 건설된 덤핑피트(30)를 포함한다.
상기 탑재프레임(10)은 컨테이너가 적재된 트레일러와, 상기 트레일러를 견인하는 견인차량이 연결상태에서 탑재될 수 있는 길이와 폭을 가지며, 컨테이너와 그에 실린 스크랩, 트레일러 및 견인차량의 총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진다.(이후, 단순히 '차량'으로 지칭되면 상기와 같이 견인차량, 컨테이너가 탑재된 트레일러가 연결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탑재프레임(10)의 전방 단부는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차량의 진입 및 진출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탑재프레임(10)의 후단부 하면에는 힌지 연결을 위한 힌지부(12) 한 쌍이 돌출 형성된다.(도면에는 측면이 도시되었기 때문에 1개만 도시되었다.)
한편, 상기 탑재프레임(10)의 힌지부(12)와 결합되는 힌지부재(51)는 지면에 고정된다.
상기 힌지부재(51)는 상기 한 쌍의 힌지부(12)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힌지부(12)와 힌지부재(51)에 형성된 구멍으로 힌지축(52)이 삽입되어 힌지를 구성한다.
상기 힌지부재(51)는 지하에 매립된 힌지기초(5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힌지기초(50)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상면이 지면에 근접하도록 건설되고, 그 상면에 상기 힌지부재(51)가 놓여지며, 상기 힌지부재(51)의 플랜지부(51a)가 힌지기초(50)에 볼트(51b)로 고정된다.
상기 힌지기초(50)는 힌지부재(51)를 통해 전달되는 고하중을 지반으로 원활히 분산시킬 수 있도록 힌지부재(51)의 플랜지부보다 충분히 큰 면적으로 건설된다.
또한, 지반이 견고하지 못한 경우에는 건설 위치에 먼저 보강파일(53)을 박고, 상기 보강파일(53)의 상부에 상기 힌지기초(50)를 건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탑재프레임(10)의 전단부 하면에는 폭방향 중앙 위치에 또 다른 힌지부(11) 한 쌍이 형성된다.(도 3참조)
상기 힌지부(11)에 상기 리프팅장치(20)가 연결된다.
상기 리프팅장치(20)는 유압을 이용한 것으로 탑재프레임(10)의 전단부 하방에 유압실린더(21)가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21)의 실린더로드(22)가 상기 힌지부(11)에 힌지축(23)을 매개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실린더로드(22)의 단부는 상기 한 쌍의 힌지부(11) 사이에 삽입되어 힌지축(23)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축(23) 삽입 구멍을 갖춘 힌지연결부(22a)가 형성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탑재프레임(10)으로 차량이 출입할 때 상기 탑재프레임(10)은 수평 상태로 지면에 근접하여 있어야만 하므로 상기 리프팅장치(20)도 지하에 매립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재프레임(10)의 전단부 하방에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매립피트(40)가 건설되고, 상기 매립피트(40)의 바닥면에 상기 유압실린더(21)가 고정된다.
한편, 상기 리프팅장치(20)에도 고하중이 걸리므로 이의 안정적인 지지 및 원활한 분산을 위해 상기 매립피트(40)의 하부에 매립피트기초(41)를 먼저 건설하고, 상기 매립피트기초(41)의 상면에 상기 매립피트(40)를 건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탑재프레임(10)의 후단부 상면에는 리프팅장치(20)에 의해 탑재프레임(10)의 전단부가 들어올려졌을 때 탑재된 차량의 최후방 바퀴(견인차량과 트레일러 연결 상태이므로 트레일러의 최후방 바퀴가 된다. 일반 덤프트럭인 경우에는 덤프트럭 자체의 최후방 바퀴임)를 지지하는 스토퍼(60)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60)는 탑재프레임(10)과 같은 재질의 강구조물로서 탑재프레임(10)에 견고하게 용접된다.
또한, 상기 탑재프레임(10)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 차량의 전복을 방지하는 안전가이드(13)가 복수 개 구비된다.
상기 안전가이드(13)는 탑재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데, 견인차량의 헤드부 즉, 운전석이 설치된 부분의 측면에 1개소, 이후 트레일러의 측면에 2개소가 설치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상기 안전가이드(13)는 차량이 탑재프레임(10)의 좌,우측으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탑재프레임(10)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 직립 설치된 컬럼부(13a,13b)와, 상기 컬럼부(13a,13b)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여 컬럼부(13a,13b)의 고정강도를 향상시켜주는 상부연결부(13c)로 이루어진다.
상기 덤핑피트(30)는 컨테이너로부터 낙하되는 스크랩이 쌓여 보관되는 곳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탑재프레임(10)의 후단부에 인접한 위치의 지하에 건설된다.
상기 덤핑피트(30)는 스크랩의 낙하충격에 견딜 수 있어야만 하므로 고강도 콘크리트 구조물로 건설되고, 바닥면에는 두꺼운 철판(31)을 깔아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러 대 분의 스크랩을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용량을 가지도록 건설된다. 예를 들어 차량 진입 방향으로의 길이 4m, 그에 직각인 폭 방향 길이 8m, 깊이 3m 정도면 충분하다.
한편, 상기 덤핑피트(30)에 있어서, 상기 탑재프레임(10)과 반대쪽 방향의 벽체 상단에는 또 다른 스토퍼(61)가 설치된다.
이 스토퍼(61)는 상기 스토퍼(60)와 같이 별도의 강구조물로 제작하여 상기 덤핑피트(30)의 상단에 장착할 수도 있고, 아니면 상기 덤핑피트(30) 제작시 해당 부분의 벽체를 지면보다 높게 형성하여 덤핑피트(30)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61)는 스크랩의 사용을 위해 덤핑피트(30)로부터 스크랩을 꺼내는 크레인차량이 작업중 덤핑피트(30)의 내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스크랩 하화를 위해 상기 탑재프레임(10)이 경사 상태로 회동되면 스크랩을 포함한 컨테이너 차량의 고하중이 상기 스토퍼(60)에 의해 지지되는 최후방 바퀴에 집중된다.
따라서, 상기 최후방 바퀴 및 바퀴축에 정상적인 사용상태를 초과하는 무리한 하중이 반복 작용하게 되므로 변형 및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재프레임(10)에 또 다른 스토퍼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는 탑재프레임(10)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견인차량의 최후방 바퀴를 지지하도록 된 것으로, 차량의 출입에 지장을 주지 말아야만 하므로 가동스토퍼(70)로 설치된다.
상기 가동스토퍼(70)는 상기 탑재프레임(10)의 상면에 형성된 장착홈(14)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장착홈(14)의 전방에 하단이 힌지연결된 스토핑멤버(71)와, 상기 스토핑멤버(71)의 후면과 상기 탑재프레임(10) 사이에 설치된 유압실린더(72)를 포함한다.
상기 유압실린더(72)는 후단부가 상기 탑재프레임(10)에 힌지연결되고 실린더로드의 전단부가 상기 스토핑멤버(71)에 형성된 장공형상의 가이드홈에 연결되는 구조로 장착된다.
상기 실린더로드의 출몰에 따른 길이변화를 수용하기 유리하도록 상기 유압실린더(72)는 후단부가 상기 탑재프레임(10)을 관통하여 그 하부로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리프팅장치(20) 비작동상태에서 상기 탑재프레임(10)은 지면에 근접한 수평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상태에서 컨테이너 차량(견인차량+트레일러+컨테이너)이 상기 탑재프레임(10)으로 후진하여 진입한다.
트레일러의 최후방바퀴(W1; 도 4참조)가 상기 스토퍼(60)에 맞닿은 상태에서 정지한다.
상기 상태에서 상기 리프팅장치(20)가 작동(유압실린더(21)에 유압이 공급되어 실린더로드(22)가 상방으로 돌출된다.)되면 탑재프레임(10)의 전단부가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다.
따라서, 상기 탑재프레임(10)이 후방의 힌지축(5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전방은 높고 후방은 낮은 경사진 상태로 기울어진다.
따라서, 컨테이너 후방의 도어를 개방하면 컨테이너로부터 스크랩이 쏟아져서 상기 덤핑피트(30)로 낙하하여 쌓이게 된다.
스크랩 하화가 완료되면 상기 리프팅장치(20)가 역으로 작동하여 탑재프레임(10)이 지면 근접 수평상태로 복귀되고, 이후 차량이 탑재프레임(10)을 빠져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진입, 탑재프레임(10)의 상향 회동, 탑재프레임(10)의 복귀, 차량의 진출과 같이 간단한 과정만으로 스크랩 하화 작업이 완료됨으로써 스크랩 하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소요시간도 대폭 감소된다.
또한, 차량의 후방이 스토퍼(60)에 의해 지지되고, 좌우 측면이 상기 안전가이드(13)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스크랩 하화시 차체 내의 하중 이동에 따른 불균형에 의해 차량이 전복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리프팅장치(20)는 상기 탑재프레임(10)을 최대 45°까지 기울일 수 있고, 또한 스크랩이 지하에 매립된 덤핑피트(30)로 낙하하기 때문에 스크랩 투하중 먼저 투하된 스크랩 더미에 의해 컨터에너 내부의 스크랩 배출이 방해받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크랩 하화 중에 컨테이너 차량 자체가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하화작업을 위한 공간이 많이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컨테이너 견인차량에 유압틸팅장치를 별도로 설치하거나, 리치 스태커(컨테이너 분리 및 틸팅을 위한 특수 차량)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랩이 노지의 지면에 투하되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 재질의 덤핑피트(30) 바닥면, 또는 그 바닥면 상부에 놓여진 철판(31)의 위에 투하되기 때문에 스크랩에 더스트가 혼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순물 함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스크랩의 품질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가동스토퍼(70)는 탑재프레임(10)으로 차량이 진입할 때는 비작동 상태로서 유압실린더(72)의 실린더로드는 수축상태에 있고, 상기 스토핑멤버(71)는 장착홈(14)의 내부에 보관된다.
따라서, 트레일러의 바퀴가 탑재프레임(10)의 후방으로 이동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는다.
이어, 차량 진입이 완료되면, 상기 유압실린더(72)가 작동되어 실린더로드가 돌출되면서 스토핑멤버(71)을 밀어 상향 회동시킨다.
따라서, 직립상태가 된 스토핑멤버(71)가 견인차량의 최후방바퀴(W2)를 지지함으로써 전체 차량의 하중이 상기 트레일러의 최후방바퀴(W1) 뿐만 아니라 견인차량의 최후방바퀴(W2)에도 분배되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최후방바퀴(W1,W2)들에 걸리는 부담이 감소됨으로써 바퀴 및 바퀴축이 과도 하중 및 그에 따른 피로의 누적에 의해 변형 및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후, 스크랩 하화가 완료되면 상기 유압실린더(72)가 역으로 작동하여 스토핑멤버(71)가 장착홈(14)의 내부로 복귀 회동됨으로써 트레일러 바퀴의 전진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며, 이로써 차량이 탑재프레임(10)으로부터 원활하게 빠져 나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컨테이너 차량의 스크랩 하화 뿐만 아니라 일반 트럭을 이용하여 운반된 스크랩의 하화 작업에도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탑재프레임 11,12 : 힌지부
13 : 안전가이드 14 : 장착홈
20 : 리프팅장치 21 : 유압실린더
22 : 실린더로드 22a : 힌지연결부
23 : 힌지축 30 : 덤핑피트
31 : 철판 40 : 매립피트
41 : 매립피트기초 50 : 힌지기초
51 : 힌지부재 51a : 플랜지부
52 : 힌지축 53 : 보강파일
60,61 : 스토퍼 70 : 가동스토퍼
71 : 스토핑멤버 72 : 유압실린더
W1 : 트레일러 최후방바퀴 W2 : 견인차량 최후방바퀴

Claims (10)

  1. 후단부가 지면에 힌지 연결된 탑재프레임과;
    상기 탑재프레임의 전단부를 승강시키는 리프팅장치와;
    상기 탑재프레임의 후단부에 인접하여 지하에 건설된 덤핑피트;를 포함하되,
    상기 탑재프레임의 후단부 하면에 형성된 힌지부에 힌지부재가 힌지축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힌지부재는 지하에 건설된 힌지기초의 상면에 볼팅되며,
    상기 힌지기초는 지반에 박힌 보강파일의 상부에 건설되고,
    상기 덤핑피트의 바닥면에 철판이 깔리며,
    상기 탑재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전단부에 하단이 힌지 연결된 스토핑멤버와, 상기 스토핑멤버의 후면과 상기 장착홈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가동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스크랩 하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재프레임의 후단에 차량의 최후방바퀴를 지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스크랩 하화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재프레임에 상기 탑재프레임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 직립 설치된 컬럼부와, 상기 컬럼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연결부로 이루어진 안전가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스크랩 하화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장치는 유압실린더이고, 상기 유압실린더는 지하에 건설된 매립피트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 단부는 상기 탑재프레임의 전단부 하면에 형성된 힌지부에 힌지축을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스크랩 하화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매립피트의 하부에 매립피트기초가 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스크랩 하화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덤핑피트의 탑재프레임 반대쪽 위치의 상단부에 크레인의 추락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스크랩 하화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00094662A 2010-09-29 2010-09-29 컨테이너 스크랩 하화 장치 KR101225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662A KR101225310B1 (ko) 2010-09-29 2010-09-29 컨테이너 스크랩 하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662A KR101225310B1 (ko) 2010-09-29 2010-09-29 컨테이너 스크랩 하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064A KR20120033064A (ko) 2012-04-06
KR101225310B1 true KR101225310B1 (ko) 2013-01-22

Family

ID=46135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662A KR101225310B1 (ko) 2010-09-29 2010-09-29 컨테이너 스크랩 하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3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6523A (zh) * 2014-09-04 2014-12-03 吴桐 全自动汽车卸料系统
CN105413503A (zh) * 2015-12-24 2016-03-23 杭州凡腾科技有限公司 一种染料封闭化料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0313U (ja) * 1996-04-17 1996-10-22 大同特殊鋼株式会社 スクラップ用荷降し装置
JP2733745B2 (ja) * 1994-07-29 1998-03-30 丸俊建材株式会社 トラック用荷下ろ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3745B2 (ja) * 1994-07-29 1998-03-30 丸俊建材株式会社 トラック用荷下ろし装置
JP3030313U (ja) * 1996-04-17 1996-10-22 大同特殊鋼株式会社 スクラップ用荷降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6523A (zh) * 2014-09-04 2014-12-03 吴桐 全自动汽车卸料系统
CN105413503A (zh) * 2015-12-24 2016-03-23 杭州凡腾科技有限公司 一种染料封闭化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064A (ko) 201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1744A (en) Transportable crusher unit
US9428094B2 (en) Transport apparatus for elongate objects
AU2009292613B2 (en) Mobile crushing station
US20060263182A1 (en) Fork lift attachment tools and methods
KR101225310B1 (ko) 컨테이너 스크랩 하화 장치
JP3793263B2 (ja) 軌框のバラスト道床下盤の整復法と装置
US8584295B1 (en) Rollable snow and ice remover for vehicle roofs
EP0070663B1 (en) Skip trailer
CN204938407U (zh) 集装箱散装货物卸货机
US20090047106A1 (en) In-Ground Unloading for Side-dump Trailers
US4071115A (en) Multi-story lift device
JPH0317546B2 (ko)
CN105110027A (zh) 一种集装箱散装货物卸货机
CN2934333Y (zh) 一种输料转运车
CN220948124U (zh) 一种钢管桩的省力移动装置
CN212579860U (zh) 井下矿车装载限宽装置
JP3013631U (ja) リサイクル車
CN210598179U (zh) 建筑工地钢筋升降装置
JP3009186U (ja) リサイクル車
CN210620066U (zh) 一种起吊车设备
US6397423B1 (en) Apparatus for catching debris while demolishing a bridge structure
JP3661892B2 (ja) 自走式破砕機
CN211280798U (zh) 一种运石车落石防护装置
JP3009187U (ja) リサイクル車
JP3028180U (ja) 移動式の破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