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584B1 -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584B1
KR101462584B1 KR1020120139859A KR20120139859A KR101462584B1 KR 101462584 B1 KR101462584 B1 KR 101462584B1 KR 1020120139859 A KR1020120139859 A KR 1020120139859A KR 20120139859 A KR20120139859 A KR 20120139859A KR 101462584 B1 KR101462584 B1 KR 101462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it
account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1823A (ko
Inventor
권오대
문종귀
정의석
최영민
전승열
강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은행
Priority to KR1020120139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584B1/ko
Publication of KR20140071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이 개시된다. 여기서,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은 금융기관에 설치되고, 금융업무를 처리하는 금융기관 서버, 그리고 상기 금융기관의 직원이 소지하여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직원이 방문한 출장지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상기 금융기관 서버와 연동하여 이동식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POTABLE BRANCH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이 인터넷 뱅킹과 같은 비대면 채널을 확장시키고는 있으나, 이로 인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즉, 은행 영업점에서 고객과 마주하여 고객이 필요로 하는 정보 등을 파악하고, 그에 기초하여 고객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것과 달리, 인터넷 뱅킹과 같은 비대면 채널에서는 고객을 특정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어 임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에 그치게 된다. 따라서, 임의의 사용자군으로 구성된 인터넷 뱅킹 고객을 상대로 은행에서 마켓팅 전략을 수립하여 영업 실적을 도모하기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중 은행들은 대부분 차량을 이용한 '이동식 점포'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컨테이너 차량에 은행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장비들을 담아 지점이 없는 지역이나 지점 방문이 어려운 고객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여 은행 업무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지만 차량을 이용하기 때문에 운신의 폭에 한계가 따르는 것은 사실이다. 또한, 차량 내에서 상담을 비롯한 은행 업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량이 상주할 수 있는 장소가 필요하고, 고객이 많을 경우 차량 밖에서 대기해야하는 불편함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장소에 제한없이 금융기관의 영업점 업무와 동일한 금융업무를 제공하고, 보안이 강화된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은 금융기관에 설치되고, 금융업무를 처리하는 금융기관 서버, 그리고 상기 금융기관의 직원이 소지하여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직원이 방문한 출장지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상기 금융기관 서버와 연동하여 이동식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금융기관에 설치되고, 상기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의 운영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관제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전용망과 접속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접속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전용망과 연결된 상기 금융기관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금융 업무를 요청하고,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계정 단말, 상기 계정 단말과 유선으로 연결되고,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관제 단말, 그리고 상기 계정 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금융업무의 지원 및 처리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통장 프린터, 카드 발급기, 스캐너, 핀패드, 전표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융업무 지원 장치들이 하나의 케이스 내에 탑재된 패키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관제 서버와 연동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 장치이고, 상기 계정 단말과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제1 연결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계정 단말은,
상기 제1 연결 포트와 상기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제2 연결 포트, 상기 패키지 장치와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제3 연결 포트 및 상기 패키지 장치와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제1 전원공급 포트가 형성되고 가방 형태를 가진 케이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내에 탑재되어 상기 제2 연결 포트, 상기 제3 연결 포트 및 상기 전원공급 포트와 접속되고, 상기 접속 인증 및 상기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휴대형 컴퓨터를 포함하며,
상기 패키지 장치는,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금융업무 지원 장치들에게 공급하는 전원 포트, 상기 전원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전원을 유선 케이블을 통해 상기 계정 단말로 공급하는 제2 전원공급 포트 및 유선 케이블을 통해 상기 계정 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금융업무 지원 장치들과 각각 연결되는 제4 연결 포트가 형성되고 이동이 가능한 형태의 케이스 내에 상기 금융업무 지원 장치들이 탑재될 수 있다.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와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관제 단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 그리고 상기 현재 위치가 포함된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출장 위치를 사전에 등록받아 저장하는 관리부, 그리고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출장 위치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계정 단말과 상기 전용망과의 접속을 해제시키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광고 스케쥴링에 따라 상기 금융기관의 금융상품을 홍보하는 광고를 상기 관제 단말로 전송하는 광고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광고를 수신하여 대기화면 상에 상기 광고를 출력하는 광고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는,
상기 출장이 허용된 단말정보, 상기 출장 위치 및 허용된 사용자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며,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계정 단말로부터 상기 금융기관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더 포함시키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출장 위치 간의 일치 여부,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관리부가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간의 일치 여부 및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포함된 단말정보와 상기 출장 위치에 매칭된 단말정보 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불일치하면 상기 전용망과의 접속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관리부는,
상기 출장 위치, 상기 단말정보 및 상기 허용된 사용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일 수 있다.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직원의 몸에 부착되어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이격 신호 감지기, 그리고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토대로 상기 관제 단말과 상기 직원 간의 이격 감지 결과를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더 포함시키는 이격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 감지부는,
상기 관제 단말과 상기 직원 간에 기 정해진 일정 범위를 벗어난 이격이 발생하면, 상기 관제 서버로 통보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이격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관제 단말의 분실 여부를 확인하여 조치하고, 분실이 확인되면, 상기 계정 단말과 상기 전용망과의 접속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이격 신호 감지기는,
상기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 모듈, 그리고 상기 신호 출력 모듈이 탑재되고 상기 직원의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정 단말은,
상기 이격이 발생하면, 상기 이격 감지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격화면 잠금 및 접근 잠금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모니터링부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모니터링부로 실시간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상기 감시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운영자가 볼 수 있도록 화면에 출력하는 표시부, 그리고 운영자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운영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전용망과의 접속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동작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일 수 있다.
상기 계정 단말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부여받은 IP 주소 및 상기 직원의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용망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인증을 수행하는 접속 인증부, 상기 접속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금융기관 서버와 연결되어 고객이 요청한 금융업무를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 요청하여 처리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금융업무 지원 장치들로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 화면 보호 및 접근 제어를 포함한 상기 계정 단말의 통합 보안을 수행하는 통합 보안 모듈, 기 정의된 미디어 정책에 따른 미디어 재생 및 다운로드와 관련된 보안 기능을 수행하는 미디어 보안 모듈,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문서 암호화 기능을 포함한 보안을 수행하는 문서 보안 모듈, 그리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용망에 접속하여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정 단말은,
위급 상황에 상기 전용망과의 접속 해제를 요청하는 핫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정 단말은,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핫키는,
상기 키 입력부를 구성하는 둘 이상의 키들의 조합 또는 특정 키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핫키는,
상기 계정 단말의 대기화면에 표출되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계정 단말의 IP 주소를 토대로 전용망 접속 인증과,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접속 인증부, 상기 계정 단말의 IP 주소와, 상기 IP 주소에 매칭된 직원번호와 상기 계정 단말의 단말정보가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면 상기 금융기관의 모든 채널 접속을 허용하는 통합 채널 인증부, 상기 통합 채널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계정 단말의 IP 주소, 상기 직원번호 및 상기 단말정보를 토대로 계정 권한을 확인하고, 상기 계정 권한에 따라 차등적인 금융업무 처리를 허용하는 권한 관리부, 그리고 상기 권한 관리부가 허용한 금융업무 범위 내에서 상기 계정 단말이 요청한 금융업무를 처리하는 계정 거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운영 방법은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은, 금융기관의 직원이 소지하여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직원이 방문한 출장지에서 이동식 금융업무를 제공하는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 금융기관에 설치되어 상기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의 운영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관제 서버 및 상기 금융기관에 설치되어 상기 금융업무를 처리하는 금융기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 서버의 운영 방법으로서, 상기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토대로 상기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의 운영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운영 상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와 상기 금융기관 서버간의 접속을 강제로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의 출장 위치를 사전에 등록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포함된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와 상기 출장 위치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시키는 단계는,
상기 위치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출장 위치, 출장이 허용된 상기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의 단말정보 및 허용된 사용자 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포함된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 상기 단말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가 기 등록된 출장 위치, 단말정보 및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각각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시키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가 촬영한 주변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해제시키는 단계 사이에
상기 주변 영상을 모니터 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모니터 화면을 감시하는 운영자의 운영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제시키는 단계는,
상기 운영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전용망과의 접속을 해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운영 방법은, 금융기관의 직원이 소지하여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직원이 방문한 출장지에서 이동식 금융업무를 제공하는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는, 상기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의 운영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관제 서버와 연동하는 관제 단말, 상기 금융기관에 설치되어 상기 금융업무를 처리하는 금융기관 서버와 연동하는 계정 단말 및 상기 금융업무의 처리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금융업무 지원 장치들이 탑재된 패키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 단말의 운영 방법으로서,
상기 관제 단말이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현재 위치가 포함된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관제 서버에 등록된 출장 위치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계정 단말과 상기 금융기관 서버 간의 접속이 해제된다.
상기 측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관제 단말과 상기 계정 단말이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유선 케이블을 통해 상기 계정 단말에게 단말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여 전달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관제 단말의 단말정보, 상기 계정 단말의 단말정보,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현재 위치가 포함된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현재 위치, 상기 단말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하나라도 상기 관제 서버에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계정 단말과 상기 금융기관 서버 간의 접속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관제 단말에 구비된 이격 감지부가 상기 직원의 신체에 부착된 신호 출력 모듈이 생성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신호를 토대로 상기 관제 단말과 상기 직원 간에 정해진 범위를 벗어난 이격이 발생하는지 감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정해진 범위를 벗어난 이격이 발생하면, 상기 관제 서버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관제 단말과 상기 계정 단말이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하는 단계 이후,
상기 이격이 발생하면, 상기 계정 단말에게 화면 잠금 기능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터블 브랜치는 차량형 이동 점포를 운영하기 곤란한 곳에서도 지점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데다가 유지 비용이 저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정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프랜치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화면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관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제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제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제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정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관 서버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여기서, 포터블 브랜치(Portable Branch) 시스템은 금융기관의 영업점 직원이 고객을 직접 찾아가 금융기관의 영업점에서 발생되는 모든 금융업무를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때, 금융기관은 금융업무를 취급하는 모든 기관을 통칭하며, 예를들어, 통상의 은행 외에도 증권사, 상호신용금고, 신용조합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하면,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100, 200, 300, 400), 관제 서버(500), 금융기관 서버(600), 광고 서버(700), PT(Presentation Tear) 서버(800), BT(Business Tear) 서버(900), 무선 네트워크(1000) 및 전용망(1100)을 포함한다.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100, 200, 300, 400)는 금융기관의 출장 직원이 소지하여 이동이 가능하고 직원이 방문한 출장지에서 이동식 금융업무를 제공하는 휴대형 장치이다.
이러한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는 이격 감지기(100), 관제 단말(200), 계정 단말(300) 및 패키지 장치(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격 감지기(100)는 출장 직원의 신체에 부착되어 관제 단말(100)과의 이격을 감지하기 위한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장치이다. 이격 감지기(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블루투스(Blutooth) 모듈일 수 있다.
관제 단말(200)은 이격 감지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이격 감지기(100)가 송출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무선 신호를 토대로 출장 직원과의 이격 상태를 감지한다.
관제 단말(200)은 계정 단말(300)과 유선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 유무에 따라 계정 단말(300)과의 이격 상태를 감지한다.
관제 단말(200)은 무선 네트워크(1000)를 통해 관제 서버(500)와 연결되는데, 이때, PT 서버(800) 및 BT 서버(900)를 통과한다.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1000)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Wibro망을 포함한 이동통신망, 와이파이(WiFi)망, 무선랜(Wireless LAN)을 포함할 수 있다.
관제 단말(100)은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의 운영 상태 및 이격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여 관제 서버(500)로 전송한다.
또한, 관제 단말(100)은 무선 네트워크(1000)를 통해 광고 서버(700)와 연결된다. 그리고 광고 서버(700)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계정 단말(300)은 무선 네트워크(1000)를 통해 전용망(1100)을 거쳐 금융기관 서버(600)와 연결된다. 여기서, 전용망(1100)은 금융기관의 가상 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 이하 'VPN'이라 통칭함)을 포함한다.
계정 단말(300)은 무선 네트워크(1000)를 통해 전용망(1100)에 접속하여 접속 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접속 인증에 성공하면, 가상 IP를 할당받아 금융기관 서버(600)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금융업무를 요청하고,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패키지 장치(400)로 출력한다.
패키지 장치(400)는 금융업무의 지원 및 처리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금융업무 지원장치들을 하나의 케이스 내에 탑재하여 하나의 물리적 단위로 합병한 장치라 정의한다. 패키지 장치(400)는 계정 단말(300)과 유선으로 연결된다.
또한, 관제 서버(500), 금융기관 서버(600), 광고 서버(700), PT 서버(800), BT 서버(900) 및 전용망(1100)은 금융기관에 설치된다.
여기서, 관제 서버(500)는 금융기관에 설치되고, 관제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토대로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의 운영 상태 및 이격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위치 기반으로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의 운영을 통제한다. 또한, 출장 직원과 관제 단말(200)간의 이격 상태, 관제 단말(200)과 계정 단말(300) 간의 분리 상태에 따라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의 운영을 통제한다.
이때, 운영 통제 방식은 계정 단말(300)의 VPN 접속을 강제 해지시킨다.
또한, 관제 서버(500)는 무선 네트워크(1000)에 바로 접속하지 않고, PT 서버(800)와 BT 서버(900)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1000)와 접속될 수 있다.
이때, PT 서버(800)는 무선 네트워크(1000)와 물리적으로 접속되는 금융기관의 외부망에 위치한다. PT 서버(800)는 금융기관에서 주로 화면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이다. 즉, 무선 네트워크(1000)를 통해 접속한 관제 단말(200)에게 정해진 화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BT 서버(900)는 내부 서버로서, 관제 단말(200)이 전송한 데이터를 관제 서버(500)로 전달하고, 관제 서버(500)가 출력하는 데이터를 관제 단말(200)로 전달한다.
PT 서버(800)와 BT 서버(900)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XML(eXtensible Markup Languag) 암호화(Encryption) 메시지를 교환한다.
여기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서버(500), PT 서버(800), BT 서버(900)는 리눅스(Linux)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사용할 수 있다.
관제 서버(500)는 관제 단말(200)에 설치된 웹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관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AS, Web Application Server)일 수 있다.
한편, 금융기관 서버(600)는 금융업무를 처리하는 서버로서, VPN(1100)과 접속되고, VPN 접속, 계정계 로그인, 금융업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기관 시스템을 통칭한다.
광고 서버(700)는 금융기관에 마련되어 금융기관 및 금융상품을 홍보하는 광고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광고 서버(700)는 무선 네트워크(1000)를 통해 관제 단말(200)로 정해진 광고 스케쥴에 따라 광고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기존 금융기관의 영업점에서 이루어지는 금융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기능, 장치들을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100, 200, 300, 400)로 구현한다. 그리고, 관제 서버(500)를 통해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100, 200, 300, 400)의 운영을 통제하여 보안을 강화시킨다. 이로써, 장소에 제한없이 금융기관의 이동식 영업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제 단말(200)은 무선 통신부(201), 연결 포트(203), 위치 측정부(205), 이격 감지부(207), 감시 카메라(209), 광고 제공부(211) 및 제어부(213)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201)는 무선 네트워크(1000)를 통해 관제 서버(500)와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연결 포트(203)는 외부 기기 즉 계정 단말(300)과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연결 포트(203)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이고, 유선 케이블은 USB 케이블 일 수 있다.
위치 측정부(205)는 관제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한다. 위치 측정부(205)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와이파이 AP(WiFi Access Point), 3G 기지국 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GPS 측위가 어려운 도심지 또는 실내 지역의 경우, WLAN(wireless lan) 측위기술을 활용하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격 감지부(207)는 이격 감지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이격 감지기(100)가 송출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포함한다.
이격 감지부(207)는 이격 감지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토대로 이격 감지기(100)를 부착한 출장 직원과 관제 단말(200) 간의 이격을 감지한다. 그리고 정해진 범위를 벗어난 이격이 발생하면, 관제 서버(500)로 이격 알림을 통보한다. 또한, 관제 단말(200)의 화면 잠금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계정 단말(300)로 화면 잠금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이격 감지부(207)는 무선 신호의 수신 세기가 기 정해진 세기 이하가 되거나 무선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정해진 범위를 벗어난 이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감시 카메라(209)는 관제 서버(500)와 무선 네트워크(1000)를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제 서버(500)로 전송한다. 이때, 감시 카메라(209)는 관제 단말(200)에 내장될 수 있다. 또는 유무선으로 관제 단말(200)과 연결되는 외부 기기일 수 있다.
광고 제공부(211)는 무선 네트워크(1000)를 통해 광고 서버(700)와 연결된다. 그리고 광고 서버(700)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대기화면에 출력한다.
제어부(213)는 웹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관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관제 서버(500)로 접속하고, 관제 서버(500)의 제어하에 동작한다. 제어부(213)는 무선 통신부(201), 연결 포트(203), 위치 측정부(205), 이격 감지부(207), 감시 카메라(209) 및 광고 제공부(211)와 연결되어 이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13)는 주기적으로 또는 관제 서버(500)의 주기적인 요청에 따라 연결 포트(203)과 계정 단말(300)간의 연결 상태, 위치 측정부(205)가 측정한 현재 위치, 이격 감지부(207)가 감지한 이격 감지 상태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여 관제 서버(500)로 전송한다.
이때, 계정 단말(300)로부터 출장 직원의 사용자 정보 예를들어 VPN 접속자의 이름과, 관제 단말(200) 또는 계정 단말(300)에 내장된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에 할당된 기기정보를 모니터링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정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계정 단말(300)은 무선 통신부(301), 제1 연결 포트(303), 제2 연결 포트(305), 전원 포트(307), 핫키(309), 접속 인증부(311), 사용자 인증부(313), 통합 보안 모듈(315), 미디어 보안 모듈(317), 문서 보안 모듈(319) 및 제어부(321)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301)는 무선 네트워크(1000)를 통해 은행 전용망(1100) 및 금융기관 서버(600)에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1 연결 포트(303)는 관제 단말(200)과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제2 연결 포트(305)는 패키지 장치(400)와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이때, 제1 연결 포트(303) 및 제2 연결 포트(305)는 데이터 케이블이 연결되는 포트로서, USB 케이블과 연결되는 USB 포트일 수 있다.
전원 포트(307)는 패키지 장치(400)와 전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계정 단말(300)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다.
핫키(309)는 위급 상황에 계정 단말(300)과 VPN(1100)간의 접속 해제를 요청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핫키(309)는 계정 단말(300)에 구비된 키 입력부(미도시)를 구성하는 둘 이상의 키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혹은 전용 키 버튼일 수 있다. 혹은 계정 단말(300)의 대기화면에 표출되는 아이콘일 수 있다.
접속 인증부(311)는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부여받은 IP 주소 및 출장 직원의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용망(110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증부(313)는 접속 인증에 성공하면, 금융기관 서버(600)로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통합 보안 모듈(315)은 화면 보호 및 접근 제어를 포함한 계정 단말(300)의 통합 보안을 수행한다. 예컨대, 알약과 같은 PC 보안툴을 지칭한다.
미디어 보안 모듈(317)은 기 정의된 미디어 정책에 따른 미디어 재생 및 다운로드와 관련된 보안 기능을 수행한다.
문서 보안 모듈(319)은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문서 암호화 기능을 포함한 보안을 수행한다.
제어부(321)는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금융기관 서버(600)와 연결되어 고객이 요청한 금융업무를 금융기관 서버(600)로 요청하여 처리 결과를 수신하고, 패키지 장치(400)로 처리 결과를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패키지 장치(400)는 통장 프린터(401), 카드 발급기(403), 스캐너(405), 핀패드(407), 전표 출력부(409), 외부 전원포트(411), 전원포트(413) 및 연결포트(415)를 포함한다.
이때, 통장 프린터(401), 카드 발급기(403), 스캐너(405), 핀패드(407), 전표 출력부(409)는 영업점에서 금융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금융업무 지원 장치로서, 상기에 국한되지 않고 금융업무 처리에 필요한 장치들이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외부 전원포트(411)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외부 전원포트(411)는 복수의 금융업무 지원장치(401, 403, 405, 407, 409)와 각각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전원포트(413)와 연결된다.
전원포트(413)는 전원 케이블을 통해 계정 단말(300)과 연결되어 계정 단말(300)에게 전원을 공급한다.
연결포트(415)는 복수의 금융업무 지원장치(401, 403, 405, 407, 409)와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계정 단말(300)과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즉 연결포트(415)는 계정 단말(300)과 복수의 금융업무 지원장치(401, 403, 405, 407, 409)를 서로 연결시켜 데이터 입출력 경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연결포트(415) 역시 USB 포트일 수 있다.
여기서, 통장 프린터(401)는 삽입되는 통장에 해당하는 고객의 성명, 고객의 주민등록번호 및 계좌번호, 계좌 개설일자를 확인하고 이러한 정보에 해당하는 금융 거래 내역을 통장에 프린트한다.
카드 발급기(403)는 입력되는 카드 발급 내역 정보에 따라 카드를 발급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테면 은행 계원이 고객이 요청한 카드의 종류, 발급 매수, 카드에 인자될 텍스트를 입력하면 입력된 내역 정보에 맞게 카드를 발급한다.
스캐너(405)는 신분증 또는 작성된 거래 신청서의 아날로그 화상(畵像)을 감지하여 디지털 화상으로 변환한다.
핀패드(PIN(Personal Information Number) pad)(407)는 카드의 핀번호 및 카드와 연결된 고객의 계좌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암호화하여 계정 단말(200)로 전달한다.
전표 출력부(409)는 금융업무 처리 결과를 출력한다.
계정 단말(300)은 이러한 금융업무 지원 장치들과 연결되어 영업점 창구와 동일한 금융업무를 처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프랜치 디바이스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이격 감지기(100)는 출장 직원의 손목에 부착되는 밴드 형태로 구현된다. 즉, 이격 감지기(100)는 신축성 있는 소재의 손목 밴드(101)에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출력 모듈(103)이 부착되어 있다.
관제 단말(200)은 관제 서버(500)와 연동하는 웹 어플리케이션(web??application)이 탑재된 스마트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관제 단말(200)의 연결 포트(203)는 USB 케이블을 통해 계정 단말(300)과 연결된다.
계정 단말(300)은 케이스(323) 및 케이스(323)내에 탑재되는 휴대형 컴퓨터(325)를 포함한다. 이때, 휴대형 컴퓨터(325)는 노트북 컴퓨터일 수 있다.
이때, 케이스(323)는 서류 가방 형태의 하드 케이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323)의 일측에는 관제 단말(200)과 연결되는 제1 연결 포트(30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323)의 타측에는 패키지 장치(400)와 연결되는 제2 연결 포트(305) 및 전원 포트(307)가 형성되어 있다.
휴대형 컴퓨터(325)는 도 3의 설명에서 언급한 무선 통신부(301), 핫키(309), 접속 인증부(311), 사용자 인증부(313), 통합 보안 모듈(315), 미디어 보안 모듈(317), 문서 보안 모듈(319) 및 제어부(321)를 포함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301), 핫키(309), 접속 인증부(311), 사용자 인증부(313), 통합 보안 모듈(315), 미디어 보안 모듈(317), 문서 보안 모듈(319) 및 제어부(321)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결합된 칩 형태로 휴대형 컴퓨터(325) 내에 탑재될 수 있다.
패키지 장치(400)는 이동이 가능한 수단, 예컨대 바퀴가 달린 케이스(419) 내에 복수의 금융업무 지원 장치들이 탑재된다.
따라서, 출장 직원은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두 개의 케이스 즉 계정 단말(300)의 케이스(323) 및 패키지 장치(400)의 케이스(419)를 출장지로 이동시키면, 영업점과 마찬가지로 금융업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관제 서버(500)는 관리부(501), 관리정보 DB(503), 모니터링부(505), 표시부(507) 및 입력부(509)를 포함한다.
관리부(501)는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100, 200, 300, 400)의 출장 위치를 사전에 등록받아 관리정보 DB(503)에 저장한다.
또한, 관리부(501)는 출장이 허용된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100, 200, 300, 400)의 기기정보 및 출장자를 등록받아 출장 위치와 매핑시켜 관리정보 DB(503)에 저장한다.
관리부(501)는 관제 서버(500)를 운용하는 운용자 또는 금융기관 직원이 출장 위치, 기기정보 및 출장자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웹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관리부(501)는 웹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505)는 관제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토대로 관제 화면을 출력하고,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100, 200, 300, 400)의 운영 통제 및 이격 통제를 한다.
이때, 모니터링부(505)는 관제 단말(200)로부터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모니터링부(505)는 관제 단말(200)에게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주기는 일정 시간, 영업시작시, 상태가 바뀔대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관제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모니터링 정보는 관제 단말(200)의 현재 위치,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100, 200, 300, 400)의 기기정보 및 출장자 즉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다.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100, 200, 300, 400)의 기기정보는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100, 200, 300, 400)에 할당된 고유정보로서, 문자 및 숫자가 결합된 일련번호일 수 있다. 이러한 기기정보는 관제 단말(200)에 저장되거나 또는 계정 단말(300)에 저장되어 관제 단말(200)로 전달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505)는 관제 단말(200)의 기기정보, 사용자 정보 및 현재 위치가 관리정보 DB(503)에 등록된 기기정보, 사용자 정보 및 출장 위치와 상호 매칭되는지 판단한다. 이때, 불일치하면 계정 단말(300)의 VPN 접속을 강제로 해지시킨다. 이처럼, 모니터링부(505)는 위치 기반의 운영 통제를 수행한다.
또한, 모니터링부(505)는 이격 감지기(100)와 관제 단말(200) 간의 이격 감지 상태가 포함된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이격 감지기(100)와 관제 단말(200) 간의 기 정의된 범위를 벗어난 이탈이 감지되면, 계정 단말(300)의 VPN 접속을 강제로 해지시킬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505)는 관제 단말(200)과 계정 단말(300) 간의 이격 감지 상태가 포함된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관제 단말(200)과 계정 단말(300)이 분리된 경우, 계정 단말(300)의 VPN 접속을 강제로 해지시킬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505)는 관제 단말(200)의 현재 위치, 이격 감지 상태에 따라 분실 여부를 판단하고, 조치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505)는 관제 단말(200)이 촬영한 주변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관제 화면의 일부에 표시하여 운용자가 확인하게 할 수 있다.
표시부(507)는 모니터링부(505)가 생성한 관제 화면을 출력하는 모니터이다.
입력부(509)는 운용자의 관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컨대 컴퓨터 키패드 등이 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화면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관제 화면(1300)은 관제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모니터링 정보를 출력한다. 관제 화면(1300)은 기기명칭(1301), 기기번호(1303), 사용 직원명(1305), 현재 위치(1305), 이격 상태(1307), 운영 상태(1309)를 포함한다.
기기명칭(1301) 및 기기번호(1303)은 관제 단말(200) 또는 계정 단말(300)에 저장되고, 모니터링 정보에 포함된다.
사용 직원명(1305)은 VPN 접속 인증 및 공인인증서 로그인에 성공한 출장 직원의 이름을 계정 단말(300)로부터 획득한 관제 단말(200)이 모니터링 정보에 포함시킨다.
현재 위치(1305)는 관제 단말(200)의 위치를 나타내고, 지도(1311)에 표시될 수 있다.
이격 상태(1307)는 관제 단말(200)과 출장 직원간의 이격 상태 및 관제 단말(200)과 계정 단말(300) 간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관제 단말(200)과 출장 직원 간에 기 정의된 범위 이상 떨어지지 않은 경우 및 관제 단말(200)과 계정 단말(300) 간에 분리되지 않은 경우, 이격 상태(1307)는 정상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둘 중 하나라도 이격 또는 분리된 경우, 이격 상태는 비정상으로 표시된다.
운영 상태(1309)는 관제 단말(200)이 관제 서버(500)와 연결되고, 작동 되고 있는 경우, 운영중으로 표시된다. 이때, 현재 위치가 기 등록된 출장 위치와 일치할 경우, 운영중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관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도 9를 참조하면, 금융기관 서버(600)는 접속 인증부(601), 통합 채널 인증부(603), 권한 관리부(605) 및 계정 거래부(607)를 포함한다.
접속 인증부(601)는 계정 단말(300)의 VPN 접속 인증 및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즉, 계정 단말(300)이 무선 네트워크(1000)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 및 VPN 로그인 아이디ㅇ패스워드를 토대로 VPN 접속 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공인인증센터(1400)와 연동하여 출장 직원의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접속 인증부(601)는 사용자 별로 가상 IP 주소를 매핑하여 관리한다. 따라서, VPN 접속 인증에 성공하면 계정 단말(300)에게 공인인증서 로그인 사용자의 가상 IP 주소를 부여한다.
통합 채널 인증부(603)는 계정 단말(300)에게 할당되는 단말 IP, 단말 IP 별로 영업점 번호, 단말 IP 별로 기기번호를 각각 관리한다. 여기서, 단말 IP는 가상 IP 주소를 지칭한다.
통합 채널 인증부(603)는 계정 단말(300)이 할당받은 가상 IP 주소가 기 저장된 단말 IP에 포함되는지와, 계정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영업점 번호 및 기기 정보가 기 저장된 가상 IP 주소에 매칭된 영업점 번호 및 기기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일치하면, 금융기관의 모든 채널 접속을 허용한다. 이러한 통합 채널 인증부(503)는 MCA(Multi Channel Architecture)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MCA 인증은 은행 내 모든 채널 즉 영업점, ATM, 인터넷뱅킹, 모바일/폰뱅킹, 콜센터 등으로의 접근을 통합하고 인증한다.
권한 관리부(605)는 EAM(Extranet Access Management)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권한 관리부(605)는 통합 채널 인증에 성공하면, 계정 단말(300)의 가상 IP 주소, 영업점 번호 및 기기정보를 토대로 계정 권한을 확인한다. 그리고 확인한 계정 권한에 따라 차등적인 금융업무 처리를 허용한다.
계정 거래부(607)는 권한 관리부(605)가 허용한 금융업무 범위 내에서 계정 단말(300)이 요청한 금융업무를 처리한다. 여기서, 금융업무는 영업점에서 처리 가능한 모든 금융업무를 포함한다.
이제, 지금까지 설명한 구성을 토대로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제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때, 도 2의 구성과 연계하여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관제 단말(200)의 제어부(213)가 기 설치된 관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S101)하여 관제 서버(500)에 접속한다.
관제 단말(200)의 제1 연결 포트(203)가 계정 단말(300)과 연결된다(S103).
관제 단말(200)의 제어부(213)가 제1 연결 포트(203)를 통해 계정 단말(300)로부터 VPN 로그인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한다(S105). 예컨대 출장 직원의 이름이 될 수 있다.
관제 단말(200)의 위치 측정부(205)가 현재 위치를 측정한다(S107).
관제 단말(200)의 제어부(213)는 이격 감지기(100)와 이격 감지부(207) 간의 이격 상태 및 제1 연결 포트(203)와 계정 단말(300)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S109). 그리고 S107 단계에서 생성한 현재 위치, S109 단계에서 확인한 이격 감지 상태 및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 정보에 포함시켜 관제 서버(500)로 전송한다(S111).
이때, 현재 위치와 이격 감지 상태ㅇ연결 상태는 별도의 모니터링 정보로 생성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제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때, 도 2의 구성과 연계하여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관제 단말(200)의 제어부(213)는 이격 감지기(100)와 이격 감지부(207) 간의 이격 범위가 기 정의된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한다(S201).
이때, 기 정의된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관제 단말(200)의 화면 잠금 및 계정 단말(300)에게 요청하여 계정 단말(300)의 화면 잠금을 수행할 수 있다(S203). 그리고 기 정의된 일정 범위를 벗어났음을 알리는 알림을 관제 서버(500)로 통보한다(S205).
또한, 관제 단말(200)의 제어부(213)는 제1 연결 포트(203)과 계정 단말(300) 간의 연결 상태가 분리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7). 이때, 분리된 경우, 관제 단말(200)의 화면 잠금 및 계정 단말(300)에게 요청하여 계정 단말(300)의 화면 잠금을 수행할 수 있다(S209). 그리고 분리 상태를 알리는 알림을 관제 서버(500)로 통보한다(S205).
이때, 화면 잠금은 비밀번호 입력을 통한 접속 로그인 과정을 거쳐야 해제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제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때, 도 2의 구성과 연계하여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관제 단말(200)의 광고 제공부(211)는 광고 서버(700)로부터 광고 스케줄링에 따른 광고 데이터를 수신한다(S301). 그리고 수신된 광고 데이터를 대기화면 상에 출력한다(S303). 그러면, 이동식 금융업무를 처리하면서 고객에게 관제 단말(200)의 대기화면을 통해 금융기관의 홍보 및 다양한 금융상품을 안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정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때, 도 3과 연계하여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계정 단말(300)의 접속 인증부(31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1000)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 사용자가 입력한 로그인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한 금융기관 서버(600)와 VPN 접속을 수행한다(S401). 그리고 VPN 접속에 성공하면, 금융기관 서버(600)로부터 가상 IP 주소를 할당받는다. 또한, 금융기관 서버(600)와 사용자의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로그인을 수행한다(S403).
다음, 계정 단말(300)의 사용자 인증부(313)는 S401 단계에서 할당받은 가상 IP 주소 및 가상 IP 주소에 매칭된 영업점 번호 및 기기번호를 이용한 금융기관 서버(600)와 통합 채널 인증(MCA 인증)을 수행한다(S405).
다음, 통합 채널 인증에 성공하면, 계정 단말(300)의 제어부(321)는 금융기관 서버(600)에서 부여한 계정 권한에 따른 금융업무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금융업무를 요청하여 처리한다(S407).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때, 도 7과 연계하여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관제 서버(500)의 관리부(501)가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의 출장 위치, 출장자, 출장 기기정보를 관리정보 DB(503)에 등록한다(S501).
이후, 관제 서버(500)의 모니터링부(505)는 관제 단말(200)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한다(S503).
관제 서버(500)의 모니터링부(505)는 모니터링 정보에 포한된 현재 위치, 사용자 정보, 기기정보가 S501 단계에서 등록된 각각의 정보와 비교(S505)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S507)
이때, 어느 하나라도 일치하지 않으면, 관제 서버(500)의 모니터링부(505)는 계정 단말(300)의 VPN 접속을 강제 해지시킨다(S509). 해지 방법은 계정 단말(300)로 VPN 접속 해제를 요청하여 계정 단말(300)이 해지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금융기관 서버(600)로 VPN 접속 해제를 요청하여 금융기관 서버(600)가 해지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모두 일치하면, 관제 서버(500)의 모니터링부(505)는 관제 화면에 정상 상태로 표시한다(S511).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때, 도 7과 연계하여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관제 서버(500)의 모니터링부(505)는 관제 단말(200)로부터 이격 상태가 포함된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한다(S601).
관제 서버(500)의 모니터링부(505)는 모니터링 정보에 포함된 이격 상태가 사용자 이탈을 나타내거나 또는 관제 단말(200)과 계정 단말(300)간의 분리를 나타내는지 판단한다(S603).
이때, 이격 감지기(100)와 이격된 거리가 일정 범위를 벗어나거나 또는 관제 단말(200)과 계정 단말(300) 간에 연결이 분리된 경우, 관제 서버(500)의 모니터링부(505)는 계정 단말(300)의 VPN 접속을 강제 해지시킨다(S605).
반면, 이격 감지기(100)와 이격된 거리가 일정 범위 이내이거나 또는 관제 단말(200)과 계정 단말(300) 간에 연결된 경우, 관제 서버(500)의 모니터링부(505)는 관제 화면에 이격 상태를 정상 상태로 표시한다(S607).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관 서버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때, 도 9와 연계하여 설명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금융기관 서버(600)의 접속 인증부(601)는 계정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VPN 로그인 및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수행하여 성공하는지 판단한다(S701).
이때, 성공하면, 금융기관 서버(600)의 접속 인증부(601)는 사용자 별 가상 IP를 계정 단말(300)에게 할당한다(S703).
금융기관 서버(600)의 통합 채널 인증부(603)는 S703 단계에서 할당한 가상 IP 별로 영업점 번호 및 기기번호를 관리하고,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한 통합 채널 인증을 수행한다(S705).
이때, 통합 채널 인증에 성공하면(S707), 금융기관 서버(600)의 권한 관리부(605)는 계정 단말(300)의 권한을 확인한다(S709). 그리고 금융기관 서버(600)의 계정 거래부는 S707 단계에서 확인된 권한의 범위 내에서 계정 단말(300)이 요청한 금융업무를 제공한다(S711).
한편,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으로, 도 7 및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 관리부(501), 모니터링부(505), 접속 인증부(601), 통합 채널 인증부(603), 권한 관리부(605) 및 계정 거래부(607)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7을 참고하면,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1500)은 프로세서(1501), 메모리(1503), 적어도 하나의 저장장치(1505), 입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1507)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9)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501)는 중앙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메모리(1503)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램버스 DRAM(rambus DRAM, RDRAM), 동기식 DRAM(synchronous DRAM, SDRAM), 정적 RAM(static RAM, SRAM) 등의 RAM과 같은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 장치(1505)는 하드디스크(hard disk),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W(CD rewritable), DVD??ROM(digital video disk ROM), DVD??RAM, DVD??RW 디스크, 블루레이(blue??ray) 디스크 등의 광학디스크, 플래시메모리, 다양한 형태의 RAM과 같은 영구 또는 휘발성 저장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I/O 인터페이스(1507)는 프로세서(1501) 및/또는 메모리(1503)가 저장 장치(1505)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9)는 프로세서(1501) 및/또는 메모리(1503)가 무선 네트워크(1000) 및 전용망(110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501)는 관리부(501), 모니터링부(505), 접속 인증부(601), 통합 채널 인증부(603), 권한 관리부(605) 및 계정 거래부(607)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메모리(1503)에 로드하고, 관리 정보 DB(503)의 기능을 저장 장치(1505)에 위치시켜서, 도 7 및 도 9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03) 또는 저장장치(1505)는 프로세서(1501)와 연동하여 관리부(501), 모니터링부(505), 접속 인증부(601), 통합 채널 인증부(603), 권한 관리부(605) 및 계정 거래부(607)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한 프로세서(1501), 메모리(1503), 저장장치(1505), I/O 인터페이스(1507)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9)는 하나의 컴퓨터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의 컴퓨터에 분산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7은 각각의 서버 단위 즉 관제 서버(500) 및 금융기관 서버(600)로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17에 도시한 프로세서(1501), 메모리(1503), 적어도 하나의 저장장치(1505), 입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1507)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9)는 관제 서버(500)에 포함되고, 이때, 프로세서(1501)는 관리부(501), 모니터링부(505)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메모리(1503)에 로드하고, 관리 정보 DB(503)의 기능을 저장 장치(1505)에 위치시켜서, 도 7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프로세서(1501), 메모리(1503), 적어도 하나의 저장장치(1505), 입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1507)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9)는 금융기관 서버(600)에 포함되고, 이때, 프로세서(1501)는 접속 인증부(601), 통합 채널 인증부(603), 권한 관리부(605) 및 계정 거래부(607)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메모리(1503)에 로드하여 도 9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7)

  1. 금융기관에 설치되고, 금융업무를 처리하는 금융기관 서버,
    상기 금융기관의 직원이 소지하여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직원이 방문한 출장지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상기 금융기관 서버와 연동하여 이동식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 그리고
    상기 금융기관에 설치되고, 상기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의 운영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관제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전용망과 접속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접속 인증에 성공하면 가상 IP를 할당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전용망과 연결된 상기 금융기관 서버에 접속하여 성공하면, 상기 가상 IP주소에 매칭된 기기인증을 수행하여 성공하면, 부여한 계정 권한에 따른 상기 금융 업무를 요청하고,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계정 단말, 그리고
    상기 계정 단말과 유선으로 연결되고,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관제 단말
    을 포함하며,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와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관제 단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
    상기 현재 위치 및 상기 계정 단말로부터 상기 금융기관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직원의 몸에 부착되어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이격 신호 감지기, 그리고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토대로 상기 관제 단말과 상기 직원 간의 이격 감지 결과를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더 포함시키며, 상기 관제 단말과 상기 직원 간에 기 정해진 일정 범위를 벗어난 이격이 발생하면 상기 관제 서버로 통보하는 이격 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출장 위치를 사전에 등록받아 저장하며, 상기 출장이 허용된 단말정보, 상기 출장 위치 및 허용된 사용자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관리부, 그리고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출장 위치 간의 일치 여부,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관리부가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간의 일치 여부 및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포함된 단말정보와 상기 출장 위치에 매칭된 단말정보 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불일치하면 상기 전용망과의 접속을 해제시키며, 상기 이격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관제 단말의 분실 여부를 확인하여 조치하고, 분실이 확인되면, 상기 계정 단말과 상기 전용망과의 접속을 해제시키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계정 단말은,
    상기 이격이 발생하면, 상기 이격 감지부의 요청에 따라 이격화면 잠금 및 접근 잠금을 수행하며,
    상기 계정 단말과 상기 관제 단말의 유선 연결에 이격이 발생하면, 상기 관제 단말 및 상기 계정 단말의 화면 잠금이 수행되는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브랜치 디바이스는,
    상기 계정 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금융업무의 지원 및 처리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통장 프린터, 카드 발급기, 스캐너, 핀패드, 전표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융업무 지원 장치들이 하나의 케이스 내에 탑재된 패키지 장치
    를 더 포함하는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관제 서버와 연동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 장치이고,
    상기 계정 단말과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제1 연결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계정 단말은,
    상기 제1 연결 포트와 상기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제2 연결 포트, 상기 패키지 장치와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제3 연결 포트 및 상기 패키지 장치와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제1 전원공급 포트가 형성되고 가방 형태를 가진 케이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내에 탑재되어 상기 제2 연결 포트, 상기 제3 연결 포트 및 상기 전원공급 포트와 접속되고, 상기 접속 인증 및 상기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휴대형 컴퓨터를 포함하며,
    상기 패키지 장치는,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금융업무 지원 장치들에게 공급하는 전원 포트, 상기 전원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전원을 유선 케이블을 통해 상기 계정 단말로 공급하는 제2 전원공급 포트 및 유선 케이블을 통해 상기 계정 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금융업무 지원 장치들과 각각 연결되는 제4 연결 포트가 형성되고 이동이 가능한 형태의 케이스 내에 상기 금융업무 지원 장치들이 탑재되는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출장 위치, 상기 단말정보 및 상기 허용된 사용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인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신호 감지기는,
    상기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 모듈, 그리고
    상기 신호 출력 모듈이 탑재되고 상기 직원의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밴드
    를 포함하는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모니터링부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모니터링부로 실시간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상기 감시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운영자가 볼 수 있도록 화면에 출력하는 표시부, 그리고
    운영자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운영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전용망과의 접속을 해제시키는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동작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인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정 단말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부여받은 상기 IP 주소 및 상기 직원의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용망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인증을 수행하는 접속 인증부,
    상기 접속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금융기관 서버와 연결되어 고객이 요청한 금융업무를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 요청하여 처리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금융업무 지원 장치들로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
    화면 보호 및 접근 제어를 포함한 상기 계정 단말의 통합 보안을 수행하는 통합 보안 모듈,
    기 정의된 미디어 정책에 따른 미디어 재생 및 다운로드와 관련된 보안 기능을 수행하는 미디어 보안 모듈,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문서 암호화 기능을 포함한 보안을 수행하는 문서 보안 모듈, 그리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용망에 접속하여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를 포함하는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계정 단말은,
    위급 상황에 상기 전용망과의 접속 해제를 요청하는 핫키를 더 포함하는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계정 단말은,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핫키는,
    상기 키 입력부를 구성하는 둘 이상의 키들의 조합 또는 특정 키버튼을 포함하는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핫키는,
    상기 계정 단말의 대기화면에 표출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계정 단말의 IP 주소를 토대로 전용망 접속 인증과,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접속 인증부,
    상기 계정 단말의 IP 주소와, 상기 IP 주소에 매칭된 직원번호와 상기 계정 단말의 단말정보가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면 상기 금융기관의 모든 채널 접속을 허용하는 통합 채널 인증부,
    상기 통합 채널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계정 단말의 IP 주소, 상기 직원번호 및 상기 단말정보를 토대로 계정 권한을 확인하고, 상기 계정 권한에 따라 차등적인 금융업무 처리를 허용하는 권한 관리부, 그리고
    상기 권한 관리부가 허용한 금융업무 범위 내에서 상기 계정 단말이 요청한 금융업무를 처리하는 계정 거래부
    를 포함하는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120139859A 2012-12-04 2012-12-04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1462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859A KR101462584B1 (ko) 2012-12-04 2012-12-04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859A KR101462584B1 (ko) 2012-12-04 2012-12-04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823A KR20140071823A (ko) 2014-06-12
KR101462584B1 true KR101462584B1 (ko) 2014-12-05

Family

ID=51126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859A KR101462584B1 (ko) 2012-12-04 2012-12-04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5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547B1 (ko) * 2015-11-20 2023-07-26 주식회사 케이티 전용망에서의 이동 단말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678A (ko) * 2000-05-12 2001-04-06 이명기 이동은행 서비스 시스템용 단말기 및 그 이용방법
KR20040036050A (ko) * 2002-10-23 2004-04-30 하나로전자결제 주식회사 무선금융단말기를 이용한 금융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2955A (ko) * 2007-07-05 2009-01-09 김문주 Rf 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101036936B1 (ko) * 2010-05-18 2011-05-25 문준철 스마트 폰 기반 외부 증권업무처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678A (ko) * 2000-05-12 2001-04-06 이명기 이동은행 서비스 시스템용 단말기 및 그 이용방법
KR20040036050A (ko) * 2002-10-23 2004-04-30 하나로전자결제 주식회사 무선금융단말기를 이용한 금융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2955A (ko) * 2007-07-05 2009-01-09 김문주 Rf 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101036936B1 (ko) * 2010-05-18 2011-05-25 문준철 스마트 폰 기반 외부 증권업무처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823A (ko)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2100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and electronically validating tickets and tokens
CN105493538B (zh) 用于安全元件中心式nfc架构的nfc访问控制的系统和方法
US9904800B2 (en) Portable e-wallet and universal card
JP5935871B2 (ja) 決済処理システム、決済端末、通信装置、決済サーバ、及び決済処理方法
US20170017947A1 (en) Trusted nfc ticketing
US9916576B2 (en) In-market personalization of payment devices
US8190885B2 (en) Non-volatile memory sub-system integrated with security for storing near field transactions
BR112021000301A2 (pt) Cartão inteligente, sistema para o acesso seguro de informação, e, método de acesso de informação
US20140273857A1 (en) Systems and methods to secure short-range proximity signals
JP6417467B1 (ja) 仮想又は拡張現実空間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10440014B1 (en) Portable secure access module
US9928494B2 (en) Verifying a status of a user device used for settling a transaction with a point of sale terminal
CA29459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ustomized tokens
KR20160015375A (ko)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의 규칙들을 이용한 거래 승인
ITRM20110391A1 (it) Metodo e apparecchiatura per il trasferimento di una somma di denaro con l'utilizzo di un codice immagine bidimensionale
KR20190091081A (ko) 전자 지갑 결제시 보안이 강화된 방법으로 와이파이에 자동 접속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240144764A1 (en) Access and use control system
KR101462584B1 (ko) 포터블 브랜치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US20120150741A1 (en) Mobile device for providing smart wallet service and layer structure for operating smart wallet service
WO201821319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and electronically validating tickets and tokens
CN109801059B (zh) 一种移动支付系统和移动支付方法
US20150363766A1 (en) Transaction management
US200901727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nting computer peripheral devices in-situ
KR20160102948A (ko) 금융 이체를 위한 2채널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3875B1 (ko) 앱투앱 사용자 직접 결제 방식의 결제 시스템,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휴대단말기용 애플리케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