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786A -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786A
KR20140011786A KR1020120078924A KR20120078924A KR20140011786A KR 20140011786 A KR20140011786 A KR 20140011786A KR 1020120078924 A KR1020120078924 A KR 1020120078924A KR 20120078924 A KR20120078924 A KR 20120078924A KR 20140011786 A KR20140011786 A KR 20140011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ment
management
server
loc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1591B1 (ko
Inventor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이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우 filed Critical 이성우
Priority to KR1020120078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591B1/ko
Publication of KR20140011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각 차량화물 출하 로컬단위를 출하관리서버에서 제어하여 출하관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출하관리서버가 운영불가인 상태에서도 각 로컬단위에서 출하관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궁극적으로 무인화 출하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출하제어정보에 따라서 각 로컬단위의 출하관리를 제어하고 각 로컬단위에서 제공되는 출하관리정보를 저장 및 각 로컬단위의 출하관리정보를 동기화시키고 중앙관리시스템에서 에러가 발생될 경우 에러복구시간 동안 로컬단위에서 진행될 출하관리제어정보를 지정하고, 그 생성된 출하관리정보를 동기화진행할 로컬단위를 지정하여 로컬단위에서 각 로컬단위의 출하관리 및 출하관리정보가 동기화 제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앙시스템의 복구 시간동안 각 로컬단위에서 출하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A VEHICLE CARGO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각 차량화물 출하 로컬단위를 출하관리서버에서 제어하여 출하관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출하관리서버가 운영불가인 상태에서도 각 로컬단위에서 출하관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궁극적으로 무인화 출하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물, 오일, 시멘트 등의 물류 출하관리는 물류의 중량 및 차량 입 출입 관리 등 다양한 단계의 관리가 요구됨에 따라서 많은 시간과 인적 관리가 요구되었다.
특히 이와 같은 물류의 출하관리는 차량의 중량을 계량하여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소 단위라 할 수 있어 관리운영자에 의한 인위적인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근래에는 무인계량시스템을 구비하여 각 출하 로컬단위를 관리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798137 "유비쿼터스 환경의 차량계량 시스템"에서는 무인 계량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화물출하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유비쿼터스 환경의 차량계량 시스템에서는 차량의 중량을 계량하고 차량정보를 수집하는 무인계량부; 및 차량의 중량 및 차량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받아 차량별로 계량실적을 산출하고, 산출된 차량계량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여 운송회사서버로 제공하는 중앙관리부를 포함하는 차량계량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와 같은 차량계량 시스템에 의해 신뢰성 높은 차량의 계량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계량 정보에 대한 통합관리가 용이하여 차량 계량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무인계량시스템에 따르면, 다수의 각 로컬단위로 설치되는 무인계량부로 부터 차량계량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관리부에서 제공받아 통합하여 관리하게 되나, 중앙관리부의 시스템 오류 또는 에러에 의해 동작이 불가한 상태에서는 전체시스템의 운영이 불가하여 중앙관리부가 회복되기전까지 각 로컬단위의 무인계량부에서의 물류 출하가 정지되어야만 했다.
이와 같이 중앙관리부의 시스템이 회복되기전 까지 각 무인계량 단위에서의 물량출하관리가 정지되어야만 함으로써, 시간적, 경제적 손실이 매우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중앙관리시스템에서 문제가 발생될 경우 각 로컬단위별로 출하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출하제어정보에 따라서 각 로컬단위의 출하관리를 제어하고 각 로컬단위에서 제공되는 출하관리정보를 저장 및 각 로컬단위의 출하관리정보를 동기화시키고 중앙관리시스템에서 에러가 발생될 경우 에러복구시간 동안 로컬단위에서 진행될 출하관리제어정보를 지정하고, 그 생성된 출하관리정보를 동기화진행할 로컬단위를 지정하여 로컬단위에서 각 로컬단위의 출하관리 및 출하관리정보가 동기화 제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앙시스템의 복구 시간동안 각 로컬단위에서 출하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은, 물류출하 관리수단을 포함하는 무인출하관리부를 각 물류출한별로 구성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출하관리서버에서 다수개의 무인출하관리부를 관리제어하는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출하관리서버에서 각 무인출하관리부의 출하관리정보를 동기화제어하고 에러상태에서 출하관리정보를 동기화 수행할 로컬서버로 무인출하관리부를 지정하여 각 무인출하관리부에서 출하관리가 이루어지고 지정된 로컬서버에서 각 무인출하관리부의 출하관리정보를 동기화 및 에러복구 시 출하관리정보를 출하관리서버에 동기화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시스템은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서버의 에러상태에서 로컬서버를 지정하는 로컬서버지정정보 및 에러상태에서의 출하제어정보를 각 무인출하관리부로 제공하며, 각 무인출하관리부로 부터 제공되는 출하관리정보를 저장 및 각 무인출하관리부의 로컬저장수단의 출하관리정보를 동기화 관리하고, 에러복구상태에서 각 무인출하관리부에 출하관리정보를 동기화 요청하여 각 무인출하관리부의 출하관리정보를 동기화 제어하는 서버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인출하관리부는 출하관리서버의 에러발생 시 출원관리서버에서 제공한 로컬출하제어정보에 따라서 출하관리제어하고, 로컬서버지정정보를 확인하여 로컬서버 여부를 판단하고 로컬서버인 경우에는 각 무인출하관리부로 부터 제공된 출하관리정보를 저장 및 각 무인출하관리부로 동기화시키고, 로컬서버가 아닌 경우에는 로컬서버로 지정된 무인출하관리부로 출하관리부를 제공하며, 출하관리서버가 복구되면 출하관리정보를 출하관리서버로 동기화시키는 로컬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시스템에 따르면 많은 수의 물류출하장을 구성하는 경우 출하관리서버가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각 물류출하장 단위로 물류출하가 진행될 수 있음으로써, 출하관리서버가 복구되는 동안 발생될 수 있는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는 효율적인 무인 물류출하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출하관리서버와 무인출하관리부의 데이터 동기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출하관리서버의 에러 상태에서 로컬서버로 지정된 무인출하관리부에 의한 데이터 동기화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출하관리서버의 데이터 동기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무인출하관리부의 로컬제어부에서의 출하관리서버 에러상태에서의 출하관리제어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본 발명 차량의 물류 출하관리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배차, 물류 출하, 물류출하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각 물류출하장별로 설치되는 무인출하관리부(100)와, 각 무인출하관리부(10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의 물류출하정보를 관리하는 출하관리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인출하관리부(100)는 각 물류출하장별 관리자의 관리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입력부(101)와, 차량의 입출입, 차량정보를 얻기 위한 RFID리더부(102)와, 물류출하장 내 진입된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여 차량영상정보를 얻기 위한 영상입력부(103)와, 물류출하장내 음성신호를 입력으로 음성정보를 얻기 위한 음성입력부(104)와, 물류출하장에 음성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음성출력부(105)와, 차량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계량측정부(106)와, 차량의 무게측정 과정을 제어관리하기 위한 계량제어부(107)와, 상기 출하관리서버(200)로 부터 제공된 물류출하 제어정보에 따라서 상기 물류출하장내 물류출하 관리를 제어하며, 출하관리서버(200)로 부터 제공된 물류출하제어정보 및 물류출하관리에 따라 발생된 물류 출하관리정보를 로컬데이터베이스(109)에 저장관리하며, 로컬데이터베이스(109)에 저장된 정보의 변동 시 출하관리서버(200)에 제공하며, 출하관리서버(200)의 에러발생 시 출하제어정보에 지정된 제어정보에 따라서 출하관리제어 및 출하관리정보를 동기화제어하는 로컬제어부(108)와, 출하관리서버(200)로 부터 제공된 출하제어정보, 출하관리에 따라 발생 또는 동기화 되는 출하관리정보가 저장관리 로컬데이터베이스(1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출하관리서버(2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 무인출하관리부(200)로 부터 제공된 영상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영상관리부(201)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 무인출하관리부(100)로 부터 제공된 음성정보를 저장 관리 및 물류출하장에게 제공될 음성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음성관리부(202)와, 각 무인출하관리부(100)로 부터 제공된 계량정보를 관리하는 계량관리부(203)와, 각 무인출하관리부(100)로 부터 제공된 물류출하장에 입 출입되는 차량정보를 관리하는 차량정보관리부(204)와, 서버데이터 베이스(206)에 등록된 출하제어정보를 각 무인출하관리부(100)로 제공하여 각 무인출하관리부(100)의 물류출하를 관리제어하며 각 무인출하관리부(100)로 부터 제공되는 출하관리정보를 저장 및 각 무인출하관리부(100)의 로컬데이터베이스(109)를 동기화 관리하는 서버제어부(205)와, 출하제어정보, 각 무인출하관리부(100)단위로 출하관리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서버데이터베이스(2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차량의 물류 출하관리 시스템은 각 로컬단위의 각 무인출하관리부(100)의 로컬데이터베이스(109)와 출하관리서버(200)의 서버데이터베이스(206)를 동기화하여 출하관리서버(200)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각 무인출하관리부(100) 단위에서 출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무인출하관리부(100)는 물류출하장단위로 설치되어 출하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차량의 배차, 물류 출하, 물류출하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사용자입력부(101)는 각 물류출하장에서 관리자가 물류출하에 관련한 정보의 입력 및 관리 제어를 위한 입력수단들을 포함한다.
RFID리더부(102)는 차량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 차량에 설치된 RFID 태그 정보를 읽어 들이기 위한 수단으로, RFID 태그에 기록된 차량정보를 읽어들인다.
상기 RFID 태그에 기록된 차량정보는 차량의 종류, 차량번호, 차량소속회사, 차량화물종류, 운행자 정보, 출하일 등 이들의 정보를 모두 포함하거나 이들 중 일부만을 포함하여 물류출하관리에 필요한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입력부(103)는 차량이 진입하면, 물류출하장 내 진입된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여 차량영상정보를 얻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물류출하장내에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설치되는 카메라는 차량의 번호판, 화물의 적재부, 운전석 등의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관리자가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각 위치별 영상정보를 얻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음성입력부(104)는 물류출하장내 음성신호를 입력으로 음성정보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물류출하장내에서 발생되는 상황에 대한 음성정보를 얻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음성출력부(105)는 출하관리서버(100)에서의 공지사항 또는 물류출하장내 관리자가 물류출하장내 운전사 및 작업자에게 안내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계량측정부(106)는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로드셀(Laod cell)을 이용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측정수단을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계량대에 설치하여 구성한다.
로컬제어부(108)는 물류출하제어정보에 따라서 물류출하를 관리하고 그 물류출하정보를 출하관리서버(200)로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로컬제어부(108)는 상기 출하관리서버(200)로 부터 제공된 물류출하제어정보에 따라서 물류출하관리 제어를 수행하며, 물류출하관리제어에 따라 발생되는 물류출하관리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9)에 저장 및 변동되는 데이터베이스(109) 정보를 출하관리서버(200) 또는 에러상황에 로컬서버로 지정된 무인출하관리부(100)로 제공하며, 출하관리서버(200) 또는 로컬서버로 지정된 무인출하관리부(100)의 동기화 요청에 따라서 출하관리서버(200)로 부터 제공된 출하관리정보를 동기화 저장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상기 로컬데이터베이스(109)는 출하관리서버(200)로 부터 제공된 출하제어정보와 출하관리 수행에 따라 생성되며 다른 무인출하관리부(100)의 출하관리정보와 동기화되는 출하관리정보가 저장 관리 된다.
상기 출하제어정보는 물류출하관리 제어를 위한 출하진행 제어정보와 출하관리서버(200) 에러 발생 시 서버 역할을 하는 무인출하관리부(200)를 지정하기 위한 로컬서버지정정보 및 로컬출하제어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로컬서버지정정보에 따라서 출하관리서버(200)와 통신이 단절될 경우에 로컬서버로 동작하여 각 로컬데이터베이스(109)의 정보를 동기화시킨다.
각 무인출하관리부(100)에서는 출하관리서버(200)와 통신이 단절될 경우에 로컬출하제어정보에 따라서 출하관리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출하관리서버(200)는 무인출하관리부(100)로 부터 제공되는 출하관리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영상관리부(201), 음성관리부(202), 계량관리부(203), 차량정보관리부(204), 서버제어부(205) 및 서버데이터베이스(206)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관리부(201)는 각 무인출하관리부(200)로 부터 제공된 영상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수단이다.
상기 음성관리부(202)는 각 무인출하관리부(100)로 부터 제공된 음성정보를 저장 관리 및 물류출하장에게 제공될 음성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각 무인출하관리부(100)로 부터 제공된 계량정보를 관리하는 수단이다.
상기 차량정보관리부(204)는 무인출하관리부(100)로 부터 제공된 물류출하장에 입출입 되는 차량정보를 관리하는 수단이다.
상기 서버제어부(205)는 서버데이터 베이스(206)에 등록된 출하제어정보를 무인출하관리부로 제공하여 각 무인출하관리부(100)의 물류출하를 관리제어하는 수단이다.
상기 서버데이터베이스(206)는 출하제어정보, 각 무인출하관리부(100) 별 출하관리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서버데이터베이스(2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출하제어정보는 물류출하관리를 위한 제어정보이다.
상기 출하제어정보에는 출하관리서버(200)의 에러발생으로 인하여 동작이 불가하게 될 경우에 대한 로컬서버지정정보와 로컬출하제어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로컬서버지정정보는 출하관리서버(200)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데이터베이스 정보의 동기화를 제어할 로컬서버를 지정하는 정보이다.
로컬서버지정정보는 로컬서버로 동작할 순위를 지정하는 정보로 구성된다.
즉 로컬서버로 지정한 무인출하관리부(100)가 에러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다음 로컬서버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류출하장별로 설치된 각 무인출하관리부(100)와 출하관리서버(2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물류출하장에서 처리되는 물류출하관리정보가 무인출하관리부(100)로 부터 출하관리서버(200)로 제공되고, 출하관리서버(200)에서 이를 통하여 관리 제어한다.
물류출하장 내로 차량이 진입되면 RFID리더부(102)에서는 차량에 설치된 RFID 태그를 읽어 차량이 진입하였음을 로컬제어부(108)로 알리고 읽어들인 차량정보를 로컬제어부(108)로 제공한다.
이때 차량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차량감지센서를 구성할 수 있다.
로컬제어부(108)에서는 차량정보를 확인하고 출하관리서버(200)로 부터 제공된 물류출하제어정보에 따라서 물류출하제어를 수행하며 그 물류출하관리정보로 로컬데이터베이스(109)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물류출하장내로 차량이 진입하여 차량정보가 확인되면 로컬제어부(108)에 따라서 물류출하제어가 수행되는 바,
영상입력부(103)에서는 각 설치된 카메라로 부터 차량의 각 부 영상을 촬영하여 차량의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로컬데이터베이스(109)에 저장한다.
음성입력부(104)에서는 물류출하장내의 음성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109)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출력부(105)를 통하여 물류출하장내 진입한 차량에 물류출하에 대한 안내 및 진행상황, 공지 정보를 알리게 된다.
계량제어부(107)에서는 계량측정부(106)를 통하여 화물이 선적되는 차량의 무게를 측정하여 화물의 선적을 진행하도록 하며, 선적이 완료되면 로컬제어부(108)에서는 해당 차량의 물류출하관리를 완료하고 차량정보별 물류출하관리정보로 로컬데이터베이스(109)에 저장 및 출하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각 물류출하장별로 설치된 무인출하관리부(100)로 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서 출하관리서버(200)에서는 각 물류출하장별로 차량정보와 함께 물류출하관리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인용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에 의해 물류출하장의 물류관리가 원격지의 출하관리서버(20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출하관리서버(200)가 에러가 발생되어 동작되지 않는 경우에는 각 무인출하관리부(100)에서 각 로컬단위로 출하관리가 이루어지며, 출하관리서버(200)가 복구되었을 때 처리된 각 로컬단위의 무인출하관리부(100)에 저장된 물류출하관리정보가 동기화되어 복구된다.
상기 출하관리서버(200)는 상기와 같이 각 무인출하관리부(100)로 부터 제공되는 출하관리정보를 서버데이터베이스(206)에 저장 및 이의 정보를 각 무인출하관리부(100)에 동기화 요청하여 각 무인출하관리부(100)의 로컬데이터베이스(109)에 동기화시킨다.
도 5는 상기 출하관리서버(200)의 서버제어부(205)의 데이터 동기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이후, 무인출하관리부(100)에서는 출하관리가 진행됨에 따라서 출하관리서버(200)와 지속적으로 통신하게 되는 바, 출하관리서버(200)에서 응답이 없으면 로컬제어부(108)에서는 출하제어정보에 포함된 서버에러 상황에서의 출하제어정보인 로컬서버지정정보와 로컬출하제어정보를 확인하여 현재 상황에서의 출하관리를 제어하게 된다.
로컬제어부(108)에서는 로컬서버지정정보에 지정된 무인출하관리부(100)로 로컬데이터베이스(109)의 출하관리정보가 변경되면 해당정보를 전송한다.
로컬서버로 지정된 무인출하관리부(100)의 로컬제어부(108)에서는 각 무인출하관리부(100)로 부터 제공된 출하관리정보를 로컬데이터베이스(109)에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각 무인출하관리부(109)에 동기화요청하여 동기화시킨다.
각 무인출하관리부(100)에서는 로컬서버로 지정된 무인출하관리부(100)로 부터 전송되는 동기화정보에 따라서 로컬데이터베이스(109)의 출하관리정보를 동기화한다.
도 6은 상기 무인출하관리부(100)의 로컬제어부(108)에서의 출하관리서버(200) 에러상태에서의 출하관리제어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이후 출하관리서버(200)가 정상화되면 출하관리서버(200)에서는 각 무인출하관리부(100)로 동기화를 요청하게 되고, 각 무인출하관리부(100)에서는 출하관리서버(200)로 로컬데이터베이스(109)의 정보를 전송하여 동기화완료 한다.
이와 같이 출하관리서버(200)에서 문제가 발생하여도 각 로컬단위에서 물류출하가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컬제어부(108)에서 이루어지는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에서의 로컬출하관리 제어방법을 다음과 같은 실행과정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출하관리서버(200)로 부터의 동기화 요청으로 부터 출하관리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출하관리정보 동기화 과정,
출하관리서버(200)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가를 확인하여 출하관리서버(200)의 상태를 판단하는 서버상태판단과정,
상기 서버상태판단과정 판단결과 에러상태인 경우에는 출하관리서버(200)에서 제공된 출하제어정보에 포함된 로컬서버지정정보를 확인하여 로컬서버 지정상태인 가를 판단하는 로컬서버판단과정,
상기 서버상태판단과정 판단결과 에러상태인 경우에는 출하관리서버(200)에서 제공된 출하제어정보에 포함된 로컬출하제어정보에 따라서 출하 제어관리하고 출하제어과정에서 생성된 출하관리정보를 로컬데이터베이스(109)에 저장하는 로컬출하제어과정,
상기 로컬서버판단과정의 판단결과 로컬서버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로컬출하제어과정에서 생성 저장된 출하관리정보를 로컬서버로 지정된 무인출하관리부(100)로 전송하고, 판단결과 상기 로컬출하제어과정에서 출하관리정보가 로컬데이터베이스(109)에 저장 및 무인출하관리부(100)로 부터 출하관리정보가 입력되면 로컬데이터베이스(109)에 저장하고 로컬데이터베이스(109)의 출하관리정보가 변경되면 로컬데이터베이스(109)에 저장된 출하관리정보를 각 무인출하관리부(100)의 출하관리정보로 동기화 시키는 로컬정보동기화과정,
출하관리서버(200)와의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출하관리서버(200)의 에러가 복구되었는 지를 확인하고, 에러가 복구되면 출하관리서버의 동기화요청에 따라서 로컬데이터베이스(109)의 출하관리정보를 출하관리서버로 동기화시키는 복구서버동기화과정, 으로 이루어진다.

Claims (3)

  1. 물류출하 관리수단을 포함하는 무인출하관리부를 각 물류출하장별로 구성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출하관리서버에서 다수개의 무인출하관리부를 관리제어하는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출하관리서버에서 각 무인출하관리부의 출하관리정보를 동기화제어하고 에러상태에서 출하관리정보를 동기화 수행할 로컬서버로 무인출하관리부를 지정하여 각 무인출하관리부에서 출하관리가 이루어지고 지정된 로컬서버에서 각 무인출하관리부의 출하관리정보를 동기화 및 에러복구 시 출하관리정보를 출하관리서버에 동기화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서버의 에러상태에서 로컬서버를 지정하는 로컬서버지정정보 및 에러상태에서의 출하제어정보를 각 무인출하관리부로 제공하며, 각 무인출하관리부로 부터 제공되는 출하관리정보를 저장 및 각 무인출하관리부의 로컬저장수단의 출하관리정보를 동기화 관리하고, 에러복구상태에서 각 무인출하관리부에 출하관리정보를 동기화 요청하여 각 무인출하관리부의 출하관리정보를 동기화 제어하는 서버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인출하관리부는 출하관리서버의 에러발생 시 출원관리서버에서 제공한 로컬출하제어정보에 따라서 출하관리제어하고, 로컬서버지정정보를 확인하여 로컬서버 여부를 판단하고 로컬서버인 경우에는 각 무인출하관리부로 부터 제공된 출하관리정보를 저장 및 각 무인출하관리부로 동기화시키고, 로컬서버가 아닌 경우에는 로컬서버로 지정된 무인출하관리부로 출하관리부를 제공하며, 출하관리서버가 복구되면 출하관리정보를 출하관리서버로 동기화시키는 로컬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
  3. 출하관리서버로 부터의 동기화 요청으로 부터 출하관리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출하관리정보 동기화 과정,
    출하관리서버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가를 확인하여 출하관리서버의 상태를 판단하는 서버상태판단과정,
    상기 서버상태판단과정 판단결과 에러상태인 경우에는 출하관리서버에서 제공된 출하제어정보에 포함된 로컬서버지정정보를 확인하여 로컬서버로 지정된 상태인 가를 판단하는 로컬서버판단과정,
    상기 서버상태판단과정 판단결과 에러상태인 경우에는 출하관리서버에서 제공된 출하제어정보에 포함된 로컬출하제어정보에 따라서 출하 제어관리하고 출하제어과정에서 생성된 출하관리정보를 로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로컬출하제어과정,
    상기 로컬서버판단과정의 판단결과 로컬서버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로컬출하제어과정에서 생성 저장된 출하관리정보를 로컬서버로 지정된 무인출하관리부로 전송하고, 판단결과 상기 로컬출하제어과정에서 출하관리정보가 로컬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무인출하관리부로 부터 출하관리정보가 입력되면 로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로컬데이터베이스의 출하관리정보가 변경되면 로컬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출하관리정보를 각 무인출하관리부의 출하관리정보로 동기화 시키는 로컬정보동기화과정,
    출하관리서버와의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출하관리서버의 오류가 복구되었는 지를 확인하고, 오류가 복구되면 출하관리서버의 동기화요청에 따라서 로컬데이터베이스의 출하관리정보를 출하관리서버로 동기화시키는 복구서버동기화과정,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에서의 로컬출하관리 제어방법.









KR1020120078924A 2012-07-19 2012-07-19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 KR101411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924A KR101411591B1 (ko) 2012-07-19 2012-07-19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924A KR101411591B1 (ko) 2012-07-19 2012-07-19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786A true KR20140011786A (ko) 2014-01-29
KR101411591B1 KR101411591B1 (ko) 2014-07-02

Family

ID=50143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924A KR101411591B1 (ko) 2012-07-19 2012-07-19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5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4110A (zh) * 2020-11-23 2021-03-02 卡车司机(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过磅管理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30056117A (ko) * 2021-10-19 2023-04-27 아콘소프트 주식회사 엣지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엣지 클라우드 기반의 컴퓨팅 시스템
KR20230056105A (ko) * 2021-10-19 2023-04-27 아콘소프트 주식회사 운영 자동화 기능을 가진 엣지 클라우드 기반 컴퓨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498A (ko) 2022-01-25 2023-08-01 (주)기원테크 골재운반 차량의 무인 출하 관리 장치
KR102659442B1 (ko) 2022-12-21 2024-04-22 주식회사 브이투브이 대규모 화물의 분류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9322C2 (sv) 2001-06-29 2003-02-11 E2 Home Ab System och förfarande för integration av funktionalitet i kommunikationsterminaler
KR100590472B1 (ko) 2003-06-02 2006-06-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의 감시 방법 및 시스템
KR101044511B1 (ko) * 2009-07-23 2011-06-27 주식회사 코리아로지스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운송차량 공동배차 시스템 및 배차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4110A (zh) * 2020-11-23 2021-03-02 卡车司机(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过磅管理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30056117A (ko) * 2021-10-19 2023-04-27 아콘소프트 주식회사 엣지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엣지 클라우드 기반의 컴퓨팅 시스템
KR20230056105A (ko) * 2021-10-19 2023-04-27 아콘소프트 주식회사 운영 자동화 기능을 가진 엣지 클라우드 기반 컴퓨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591B1 (ko)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2305B2 (en) Oil-field electronic run tickets
US11875422B2 (en) Baggage transportation using autonomous vehicle
KR101411591B1 (ko) 차량의 화물 출하관리 시스템
CA2733365C (en) Key control and related fleet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EP2930681A1 (en) Transportation boarding system using geotagging and mobile devices
KR102131603B1 (ko) 무인 계근 자동화 시스템
US10673948B2 (en) Trailer identification, inspection, and verification using a vehicle gateway
US20150046298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deliveries
US10589720B1 (en) Automated system for car access in retail environment
US20230058856A1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parking lot management apparatus, parking lot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2016212734A (ja) 駐車場利用情報収集装置、駐車場利用情報収集方法、駐車位置予測方法、駐車場利用情報収集プログラム
US20140035723A1 (en) Mobile appl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99463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occupancy of a seat arranged in a transportation vehicle
JP6190509B1 (ja) ガスボンベ管理システム
JP2005135070A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装置、検知装置、及び情報通信端末
KR102422616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화물 차량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6152555B2 (ja) 物流管理システム、端末装置、物流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40783B2 (ja) ゲート管理システム、ゲート管理方法、およびゲート管理プログラム
US11418517B2 (en) Creation of a blockchain for maintenance records
US11501565B2 (en) Passenger management device, passeng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assenger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7394331B2 (ja) 配送支援システム、配送支援方法及び携帯情報端末
JP2017100855A (ja) 車両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車両情報管理方法
KR101464485B1 (ko) 적응적 화물 배송 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000902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ool management of transportation assets
US11498805B2 (en) Creation of a blockchain for maintenance records using identification ta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