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4346A - 가위 - Google Patents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4346A
KR20230044346A KR1020210126814A KR20210126814A KR20230044346A KR 20230044346 A KR20230044346 A KR 20230044346A KR 1020210126814 A KR1020210126814 A KR 1020210126814A KR 20210126814 A KR20210126814 A KR 20210126814A KR 20230044346 A KR20230044346 A KR 20230044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blade
sabuk
handle
c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순길
Original Assignee
장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순길 filed Critical 장순길
Priority to KR1020210126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4346A/ko
Publication of KR20230044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4Hand shears; Scissors with detachabl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8Joi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위의 모양과 기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위는 계단 같은 모양을 함에 따라 절단된 물체가 손에 잘 닿지 않고, 가위를 잡은 손이 가위의 진행 방향을 향하며, 가위로 물체를 절단할 때 자르기와 베기를 동시에 작동하여 절단력이 우수하고, 가위 자체에 가위의 두 날이 물체를 절단하는 위치에서 서로 밀착하도록 하는 기능이 있어서 왼손이나 오른손으로 차이 없이 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위는 사무용은 물론 재단, 식품 가공, 철판 가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일의 효율을 올려 줄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가위 {SCISSORS}
가위의 형태와 기능이 관련된 분야이다.
가위는 정날과 동날이 사북을 중심으로 일정 부분 회전하며, 정날과 동날이 서로 엇갈려 만나는 지점에서 두 날 사이에 놓인 물체를 절단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절단하는 물체에는 종이, 테이프, 비닐, 고무, 천, 가죽, 얇은 철판, 양철, 함석, 알루미늄판, 고기, 야채, 나무, 머리카락, 생체 등 다양한 재질과 형태가 있고, 절단 거리와 절단된 모양도 다양하다.
칼을 물체에 대고 칼날에 압력을 가해 물체를 절단하는 것을 '자르기'라 하고, 칼을 물체에 대고 칼날 길이 방향으로 칼을 끌어서 물체를 절단하는 것을 '베기'라고 할 때, 종래의 가위는 날을 사용함에 있어서 '자르기' 방법이 사용되는 장치로 볼 수 있다.
가위에서 정날을 포함하여 몸통, 자루, 및 손잡이 등이 있는 물체를 '정짝', 동날을 포함하여 몸통, 자루, 및 손잡이 등이 있는 물체를 '동짝'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종래의 정짝과 동짝은 대략적으로 일직선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정짝과 동짝의 접촉은 정날과 동날이 엇갈리며 만나는 지점(이하 '교점'이라 한다)과 사북에서 발생하였다.
종래의 가위가 교점에서 절단이 잘 실현되기 위해서는 교점에서 정날과 동날의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고 서로 잘 밀착될 필요가 있었다. 그렇게 서로 잘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북을 지레의 받침점으로 하여 정짝 손잡이와 동짝 손잡이의 사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두 손잡이의 사이에 힘이 작용하고 있어야 하였다.
사람의 손은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및 새끼손가락 중 전체 또는 일부가 잡고 있는 물체를 엄지손가락이 밀기는 쉽고 당기기는 어려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은 왼쪽으로, 왼손의 엄지손가락은 오른쪽으로 미는 것이 쉬운 것이다.
종래의 가위는 대체로 오른손으로 사용될 때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이 왼쪽으로 밀기 쉬운 특징에 맞게 교점에서 정날과 동날의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고 밀착되기 쉬운 형태로 정짝과 동짝이 만들어지고 사북을 통해 조립되었다. 그렇게 만들어진 가위는 왼손으로 사용될 때 교점에서 정날과 동날의 사이에 틈이 생기기 쉬웠다.
종래의 가위는 주로 오른손으로 사용되도록 만들어졌고, 따라서 왼손으로 사용될 때에는 절단이 잘 실현되지 않는 불편이 초래되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종래의 가위 중에는 사북으로 사북 구멍 주위의 정짝의 몸통과 동짝의 몸통을 항상 서로 밀착되도록 만들어 놓은 경우도 있었다. 이런 가위는 왼손으로 사용될 수도 있었지만, 정짝 몸통의 면과 동짝 몸통의 면이 항상 서로 밀착하고 있어서 가위를 작동시키는 데에 힘이 많이 들고, 엄지손가락으로 동날 손잡이를 미는 것이 소용없고 불필요하게 되었다. 이것은 사북의 주위에서 정짝 몸통과 동짝 몸통이 면으로 서로 닿아 있어서 엄지손가락으로 동날 손잡이를 밀어도 그 힘이 사북을 지레의 받침점으로 하여 교점에 전달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런 가위의 날이 가위의 몸통에서 직선 형태로 되어 있으면 가위를 오므렸다 폈다할 때 옮겨가는 교점을 따라가며 정날과 동날이 교점에서 계속 밀착하고 있기 어렵기 때문에 가위의 날이 끝으로 갈수록 조금 휘게 만들게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가위의 날이 쉽게 상하고, 날이 조금만 상해도 절단이 잘 되지 않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종이와 같이 절단에 큰 힘이 들지 않는 물체를 자르는 용도 등으로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26508 냉면 절단용 전용가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85799 가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61402 주방용 가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43850 곡면용 이발가위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564930 농업용 가위
없음
한 손에 맞추어진 가위가 다른 손에는 불편하다는 사실은 두 손을 동시에 사용할 때 쉽게 마주치게 된다. 예를 들면 젓가락과 가위를 사용할 때이다. 왼손으로 젓가락을 잡기도 어렵고 가위를 잡기도 어렵지만 한 가지를 잡아야 한다면 가위를 잡는 것이 보통일 것이다. 왼손으로 사용될 때나 오른손으로 사용될 때나 차이가 없이 불편하지 않게 사용될 수 있는 가위를 만드는 것이 과제이다.
종래의 가위는 오므렸을 때 두 날과 사북과 두 손잡이가 대체로 일직선 상에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가위가 물체를 절단하며 앞으로 진행할 때 절단된 물체가 사북 옆을 지나 손잡이 옆을 지나게 된다. 즉 손잡이를 잡고 있는 손의 옆을 지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절단되는 물체의 종류에 따라 일직선으로 똑바로 자르는 일을 어렵게 만들기도 하고, 사용자를 불편하게 만들기도 한다. 예를 들어 재질이 얇은 철판이거나 뜨거운 고기라면 손을 다치거나 손에 고기가 닿거나 고기에 있는 피나 양념 등이 손에 묻기 쉽다. 손잡이의 방향을 가위의 진행 방향과 같게 유지하되 절단된 물체가 잘 닿지 않는 곳에 손잡이가 있도록 하는 것이 과제이다.
종래의 가위로 물체를 절단할 때 날을 사용함에 있어서 자르기 방법이 주로 이용되었다. 자르기와 베기를 비교하기 쉬운 예를 들면, 면도기로 면도를 할 때 면도기를 꾹 눌러도 살이 쉽게 잘라지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면도기가 옆으로 조금이라도 움직이는 경우에는 살이 쉽게 베이고 만다. 종이는 물론 고기나 무우 같은 물체를 절단을 할 때 자르기 방법만을 이용할 것이 아니라 베기 방법을 동시에 이용한다면 더 쉽게 절단할 수 있을 것이다. 자르기 방법과 베기 방법이 동시에 이용될 수 있는 가위를 만드는 것이 과제이다.
종래의 가위 중 사북으로 사북 구멍 주위의 정짝의 몸통과 동짝의 몸통을 항상 서로 밀착되도록 만들어 놓은 것이 아닌 경우에는 동짝과 정짝이 교점과 사북에서 접촉하기 때문에 교점에서 정날과 동날의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은 외부의 힘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가위의 동짝과 정짝이 4개 이상의 지점에서 계속적으로 서로 접촉을 이루고 있도록 하면, 교점에서 두 날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힘을 외부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게 된다. 외부의 힘에 의존하지 않고 교점에서 정날과 동날의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는 가위는 왼손으로 사용할 때나 오른손으로 사용할 때나 큰 차이가 없이 불편하지 않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위가 물체를 절단하며 앞으로 진행될 때 절단된 물체가 손에 닿기 쉬운 것은 날, 몸통, 자루, 및 손잡이가 포함되어 있는 정짝과 동짝이 대략적으로 일직선의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정날과 동날이 각각 사북, 자루, 및 손잡이가 이루는 선 상에 있지 않고 거리를 두고 떨어져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가위가 물체를 절단하며 앞으로 진행할 때 손잡이의 방향과 손잡이를 잡은 손의 방향이 가위의 진행 방향과 같게 유지되면서 절단된 물체가 사북과 손잡이에서 떨어진 지점에서 손잡이의 옆을 지나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로 된 가위는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교점에서 두 날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게 조정하기는 매우 어렵다. 상기 가위의 동짝과 정짝이 4개 이상의 지점에서 계속적으로 서로 접촉을 이루고 있도록 하는 방법을 통해 교점에서 두 날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게 되어 있어야 비로소 실제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정날과 동날이 사북을 지나는 직선 상에 있다면 두 날은 서로 엇갈려 만나기만 할 뿐 베기가 가능한 방향으로 동날을 길이 방향으로 끄는 성분의 운동이 나올 수가 없다. 정날과 동날이 각각 사북, 자루, 및 손잡이가 이루는 선 상에 있지 않고 거리를 두고 떨어져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떨어져 있는 거리에 비례해 동날은 베기가 가능한 길이 방향으로 동날을 끄는 성분의 운동이 발생하게 된다. 자르기 방법과 베기 방법이 동시에 작동하는 가위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위는 종래의 가위에 비해 (1) 물체의 절단된 부분이 손에 잘 닿지 않고, 손이 가위의 진행 방향으로 향해 있어 손으로 절단 방향을 조정하기 쉽고, (2) 왼손과 오른손 구분 없이 쉽게 사용이 가능하고, (3) 자르기 방법과 베기 방법이 동시에 작동하여 절단이 잘 된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한 가위는 놀이 공간, 사무 공간, 제단, 부엌, 식당, 수술, 농사, 공장, 유통 등 다양한 현장에서 편리하고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정짝(10) 및 동짝(20)의 앞쪽과 뒤쪽, 및 사북(5)을 보이고 있다. 정짝(10)에는 정날(1), 정짝 몸통(2), 정짝 자루(3), 정짝 손잡이(4), 정짝 사북 구멍(6), 정짝 선형 돌기(7), 및 두 점형 돌기(8)가 있다. 동짝(20)에는 동날(11), 동짝 몸통(12), 동짝 자루(13), 동짝 손잡이(14), 동짝 사북 구멍(16), 및 동짝 선형 돌기(17)가 있다. 단면 모양(9)은 두 점형 돌기(8), 정짝 선형 돌기(7), 및 동짝 선형 돌기(17)의 단면 모양을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정짝(10)과 동짝(20)이 사북(5)으로 조립된 모양들을 보이고 있다. 정날(1)과 동날(11)은 교점(21)에서 엇갈리며 교차하고 있고, 정짝 선형 돌기(7)와 동짝 선형 돌기(17)는 선형 돌기 교점(22)에서 엇갈리며 교차하고 있고, 두 점형 돌기(8)는 동짝 몸통(12)에 닿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정짝(40) 및 동짝(50)의 앞쪽과 뒤쪽, 및 사북(35)을 보이고 있다. 정짝(40)에는 정날(31), 정짝 몸통(32), 정짝 자루(33), 정짝 손잡이(34), 정짝 사북 구멍(36), 정짝 선형 돌기(37), 및 두 점형 돌기(38)가 있다. 동짝(50)에는 동날(41), 동짝 몸통(42), 동짝 자루(43), 동짝 손잡이(44), 동짝 사북 구멍(46), 및 동짝 선형 돌기(47)가 있다. 단면 모양(39)은 두 점형 돌기(38), 정짝 선형 돌기(37), 및 동짝 선형 돌기(47)의 단면 모양을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정짝(40)과 동짝(50)이 사북(35)으로 조립된 모양들을 보이고 있다. 정날(31)과 동날(41)은 교점(51)에서 엇갈리며 교차하고 있고, 정짝 선형 돌기(37)와 동짝 선형 돌기(47)는 선형 돌기 교점(52)에서 엇갈리며 교차하고 있고, 두 점형 돌기(38)는 동짝 몸통(42)에 닿아 있다.
가위는 천, 종이, 얇은 철판, 야채, 고기, 머리카락 따위를 자르는 기구이며, 날이 있는 두 개의 쇠를 교차시키고 가운데 사북을 박고,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자루를 벌렸다 오므렸다 하여 두 날 사이에 놓인 물체를 자르게 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위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체들의 앞과 뒤의 모양을 보이고 있다. 가위로 물체를 자를 때 두 날이 같은 정도로 움직일 수도 있지만, 자르는 물체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자르는 위치를 잡는 일에 더 집중하며 조금 정지해 있는 경향이 있는 날이 있고, 자르는 물체의 위쪽에 위치하며 자르는 일에 더 집중하며 활동적인 경향이 있는 날이 있어 서로 구분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전자는 정날(1), 후자는 동날(11)이라고 불린다. 정날(1)을 포함한 쇠를 정짝(10), 동날(11)을 포함한 쇠를 동짝(20)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1의 위 두 그림에는 각각 정짝(10)의 앞과 뒤의 모양이 그려져 있고, 그 아래의 두 그림에는 동짝(20)의 앞과 뒤의 모양이 각각 그려져 있고, 그 아래의 그림에는 사북(5)의 모양이 그려져 있다.
정짝(10)과 동짝(20)의 중앙에 가까운 곳에는 각각 각각 정짝 사북 구멍(6), 동짝 사북 구멍(16)이 있고, 각 사북 구멍(6, 16)의 주위에는 각각 정짝 몸통(2)과 동짝 몸통(12)이 있고, 또 정짝(10)에는 정짝 자루(3)와 정짝 손잡이(4), 동짝(20)에는 동짝 자루(13)와 동짝 손잡이(14)가 있다.
정짝(10)의 정짝 사북 구멍(6) 주변의 정짝 몸통(2)에는 점형 돌기(8)가 2개, 정짝 선형 돌기(7)가 1개 있다. 세 돌기(8, 7)의 단면 모양(9)은 반원 모양을 보이고 있는데 그렇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점형 돌기(8)는 필요에 따라 원기둥의 위에 반구면이 있는 모양이거나 끝이 무딘 원뿔 모양이 될 수도 있고 필요한 높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정짝 선형 돌기(7)는 점형 돌기(8)들이 선상에 붙어서 늘어서거나 가로로 길게 확장되어 담 같은 모양이 될 수 있고 선을 따라가며 위치에 따라 다르게 필요한 높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세 돌기(8, 7)는 정짝 몸통(2)에서 동짝(20)과 접하게 되는 쪽에 위치한다. 두 점형 돌기(8)는 정짝 몸통(2)에 있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동짝 몸통(12)에 둘 다 있을 수도 있고, 정짝 몸통(2)과 동짝 몸통(12)에 하나씩 있을 수도 있다.
동짝(20)의 동짝 사북 구멍(16) 주변의 동짝 몸통(12)에는 동짝 선형 돌기(17)가 1개 있다. 동짝 선형 돌기(17)의 단면 모양(9)은 반원 모양을 보이고 있는데 그렇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동짝 선형 돌기(17)는 점형 돌기(8)들이 선상에 붙어서 늘어서거나 가로로 길게 확장되어 담 같은 모양이 될 수 있고 선을 따라가며 위치에 따라 다르게 필요한 높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동짝 선형 돌기(17)는 동짝 몸통(12)에서 정짝(10)과 접하게 되는 쪽에 위치한다.
정짝(10)과 동짝(20)은 각각 정짝 몸통(2)과 동짝 몸통(12)의 가장자리에서 'ㄱ' 자로 두 번 꺽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결과 정날(1)은 정짝 사북 구멍(5), 정짝 몸통(2), 정짝 자루(3), 및 정짝 손잡이(4)가 이루는 선 상에 있지 않고 거리를 두고 떨어져서 평행으로 있게 되었고, 동날(11)은 동짝 사북 구멍(15), 동짝 몸통(12), 동짝 자루(13), 및 동짝 손잡이(14)가 이루는 선 상에 있지 않고 거리를 두고 떨어져서 평행으로 있게 되었다. 이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가위는 손잡이의 방향을 가위의 진행 방향과 같게 유지하면서 절단된 물체가 잘 닿지 않는 곳에 손잡이가 있게 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2에는 정짝(10)과 동짝(20)이 사북(5)을 이용하여 조립된 모습들을 보이고 있다. 두 번째 그림에서 동짝 손잡이(14)가 사북(5)을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동날(11)은 정날(1) 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동날(11)의 운동은 두 개의 화살표로 표시한 것과 같이 정날(1)을 향해 움직이는 성분의 운동과 함께 교점(21)을 향해 움직이는 성분의 운동도 함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동날(11)의 이런 성분의 운동은 동날(11)이 물체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자르기' 방법과 함께 '베기' 방법이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것은 동날(11)이 사북(5)과 일직선 상에 있지 않고 동날(11)이 사북(5)에서 일정 부분 떨어져 있어서 생기는 현상이다. 이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가위는 자르기 방법과 베기 방법이 동시에 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의 세 번째 그림에는 두 번째 그림에서 정짝 몸통(2)에 의해 가려진 정짝 선형 돌기(7), 동짝 선형 돌기(17), 및 두 점형 돌기(8)를 점선으로 더 보이고 있다. 여기서 정짝(10)과 동짝(20)은 교점(21), 두 점형 돌기(8)가 동짝 몸통(12)에 닿는 두 점, 및 정짝 선형 돌기(7)와 동짝 선형 돌기(17)가 만나는 선형 돌기 교점(22)을 포함한 4개의 지점에서 서로 닿아 있고, 사북(5)은 이 4개의 지점들을 연결한 점선들의 중앙에서 정짝(10)과 동짝(20)에 닿아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그림을 통해 사북(5)의 길이를 조정하여 두 점형 돌기(8)가 동짝 몸통(12)에 닿도록 조정될 수 있고, 두 점형 돌기(8)의 높이를 조정하여 교점(21)에서 정날(1)과 동날(11)이 닿아 있을 때 흔들리지 않게 조정될 수 있으며, 두 점형 돌기(8)가 지레의 받침점의 역할을 하고, 정짝 선형 돌기(7)의 높이와 동짝 선형 돌기(17)의 높이의 조정을 통하여 선형 돌기 교점(22)에서 정짝 몸통(2)과 동짝 몸통(12)의 사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하면, 교점(21)에서 정날(1)과 동날(11)의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고 정날(1)과 동날(11)이 서로 밀착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2의 네 번째 그림은 세 번째 그림에 비해 정날(1)과 동날(11)의 사이가 더 오므려진 상태를 보이고 있다. 교점(21)과 선형 돌기 교점(22)의 위치가 변하였지만 이때에도 교점(21)과 선형 돌기 교점(22)은 사북(5)을 중간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있는데, 선형 돌기 교점(22)에서 정짝 몸통(2)과 동짝 몸통(12)의 사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면, 교점(21)에서 정날(1)과 동날(11)이 서로 밀착하게 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양쪽의 선형 돌기(7, 17)의 높이는 위치에 따라 정짝 몸통(2)과 동짝 몸통(12)의 사이가 필요한 만큼 벌어질 수 있도록 잘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자세히 보면 교점(21)과 선형 돌기 교점(22)의 위치가 변한 것과 동시에 두 점형 돌기(8)가 동짝 몸통(12)에 닿는 위치도 변하게 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교점(21)의 이동에 따라 이동한 교점(21)에서 두 날(1, 11)이 물체의 절단에 더 유리한 각도를 가질 수 있도록 두 점형 돌기(8)가 닿는 동짝 몸통(12) 부분의 바닥 높이를 조정해 놓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동짝 몸통(12)의 바닥이 선형 돌기와 같은 식으로 튀어 나올 수도 있고 홈처럼 파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이것으로 정짝(10)과 동짝(20)이 4개 이상의 지점에서 계속적으로 접촉을 이루고 있는 가위의 정날(1)과 동날(11)은 외부의 힘에 의존하지 않고 오므려들거나 벌어지거나 상관없이 교점(21)에서 정날(1)과 동날(11)이 서로 밀착하게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가위는 왼손으로 사용할 때나 오른손으로 사용할 때나 큰 차이가 없이 불편하지 않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정짝(10)과 동짝(20)이 각각 정짝 몸통(2)과 동짝 몸통(12)의 가장자리에서 'ㄱ' 자로 두 번 꺽어져 있어, 손으로 두 손잡이(4, 14)를 잡고 교점(21)에서 두 날(1, 11)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게 조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별 어려움 없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가위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체들의 앞과 뒤의 모양을 보이고 있다. 정날(31)을 포함한 쇠를 정짝(40), 동날(41)을 포함한 쇠를 동짝(50)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3의 위 두 그림에는 각각 정짝(40)의 앞과 뒤의 모양이 그려져 있고, 그 아래의 두 그림에는 동짝(50)의 앞과 뒤의 모양이 각각 그려져 있고, 그 아래의 그림에는 사북(35)의 모양이 그려져 있다.
정짝(40)과 동짝(50)의 중앙에 가까운 곳에는 각각 정짝 사북 구멍(36), 동짝 사북 구멍(46)이 있고, 각 사북 구멍(36, 46)의 주위에는 각각 정짝 몸통(32)과 동짝 몸통(42)이 있고, 또 정짝(40)에는 정짝 자루(33)와 정짝 손잡이(34), 동짝(50)에는 동짝 자루(43)와 동짝 손잡이(44)가 있다.
정짝(40)의 정짝 사북 구멍(36) 주변의 정짝 몸통(32)에는 점형 돌기(38)가 2개, 정짝 선형 돌기(37)가 1개 있다. 세 돌기(38, 37)의 단면 모양(39)은 반원 모양을 보이고 있는데 그렇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점형 돌기(38)는 필요에 따라 원기둥의 위에 반구면이 있는 모양이거나 끝이 무딘 원뿔 모양이 될 수도 있고 필요한 높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정짝 선형 돌기(37)는 점형 돌기(38)들이 선상에 붙어서 늘어서거나 가로로 길게 확장되어 담 같은 모양이 될 수 있고 선을 따라가며 위치에 따라 다르게 필요한 높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세 돌기(38, 37)는 정짝 몸통(32)에서 동짝(50)과 접하게 되는 쪽에 위치한다. 두 점형 돌기(38)는 정짝 몸통(32)에 있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동짝 몸통(42)에 둘 다 있을 수도 있고, 정짝 몸통(32)과 동짝 몸통(42)에 하나씩 있을 수도 있다.
동짝(50)의 동짝 사북 구멍(46) 주변의 동짝 몸통(42)에는 동짝 선형 돌기(47)가 1개 있다. 동짝 선형 돌기(17)의 단면 모양(39)은 반원 모양을 보이고 있는데 그렇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동짝 선형 돌기(47)는 점형 돌기(38)들이 선상에 붙어서 늘어서거나 가로로 길게 확장되어 담 같은 모양이 될 수 있고 선을 따라가며 위치에 따라 다르게 필요한 높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동짝 선형 돌기(47)는 동짝 몸통(42)에서 정짝(40)과 접하게 되는 쪽에 위치한다.
도 4에는 정짝(40)과 동짝(50)이 사북(35)을 이용하여 조립된 모습들을 보이고 있다. 두 번째 그림에서 동짝 손잡이(44)가 사북(35)을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동날(41)은 정날(31) 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동날(41)의 운동은 화살표로 표시한 것과 같이 정날(31)을 향해 움직이는 성분의 운동뿐이고 교점(51)을 향해 움직이는 성분의 운동은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4의 세 번째 그림에는 두 번째 그림에서 정짝 몸통(32)에 의해 가려진 정짝 선형 돌기(37), 동짝 선형 돌기(47), 및 두 점형 돌기(38)를 점선으로 더 보이고 있다. 여기서 정짝(40)과 동짝(50)은 교점(51), 두 점형 돌기(38)가 동짝 몸통(42)에 닿는 두 점, 및 정짝 선형 돌기(37)와 동짝 선형 돌기(47)가 만나는 선형 돌기 교점(52)을 포함한 4개의 지점에서 서로 닿아 있고, 사북(35)은 이 4개의 지점들을 연결한 점선들의 중앙에서 정짝(40)과 동짝(50)에 닿아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그림을 통해 사북(35)의 길이를 조정하여 두 점형 돌기(38)가 동짝 몸통(42)에 닿도록 조정될 수 있고, 두 점형 돌기(38)의 높이를 조정하여 교점(51)에서 정날(31)과 동날(41)이 닿아 있을 때 흔들리지 않게 조정될 수 있으며, 두 점형 돌기(38)가 지레의 받침점의 역할을 하고, 정짝 선형 돌기(37)의 높이와 동짝 선형 돌기(47)의 높이의 조정을 통하여 선형 돌기 교점(52)에서 정짝 몸통(32)과 동짝 몸통(42)의 사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하면, 교점(51)에서 정날(31)과 동날(41)의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고 정날(31)과 동날(41)이 서로 밀착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4의 네 번째 그림은 세 번째 그림에 비해 정날(31)과 동날(41)의 사이가 더 오므려진 상태를 보이고 있다. 교점(51)과 선형 돌기 교점(52)의 위치가 변하였지만 이때에도 교점(51)과 선형 돌기 교점(52)은 사북(35)을 중간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있는데, 선형 돌기 교점(52)에서 정짝 몸통(32)과 동짝 몸통(42)의 사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면, 교점(51)에서 정날(31)과 동날(41)이 서로 밀착하게 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양쪽의 선형 돌기(37, 47)의 높이는 위치에 따라 정짝 몸통(32)과 동짝 몸통(42)의 사이가 필요한 만큼 벌어질 수 있도록 잘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자세히 보면 교점(51)과 선형 돌기 교점(52)의 위치가 변한 것과 동시에 두 점형 돌기(38)가 동짝 몸통(42)에 닿는 위치도 변하게 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교점(51)의 이동에 따라 이동한 교점(51)에서 두 날(31, 41)이 물체의 절단에 더 유리한 각도를 가질 수 있도록 두 점형 돌기(38)가 닿는 동짝 몸통(42) 부분의 바닥 높이를 조정해 놓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동짝 몸통(42)의 바닥이 선형 돌기와 같은 식으로 튀어 나올 수도 있고 홈처럼 파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이것으로 정짝(40)과 동짝(50)이 4개 이상의 지점에서 계속적으로 접촉을 이루고 있는 가위의 정날(31)과 동날(41)은 외부의 힘에 의존하지 않고 오므려들거나 벌어지거나 상관없이 교점(51)에서 정날(31)과 동날(41)이 서로 밀착하게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가위는 왼손으로 사용할 때나 오른손으로 사용할 때나 큰 차이가 없이 불편하지 않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위는 용도가 많은 생활의 필수품이자 산업의 필수품이기도 하다. 종래의 가위는 아쉬운 대로 그 역할을 하고 있었지만 다소 불편함도 있었다. 일부 사람들은 그 불편함조차 느끼지 못 하고 있겠지만 개선된 장치를 사용해 본 후의 느낌은 다를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위는 종래의 가위에서 불편하게 했던 부분들을 해소하여 줄 수 있을 것이다. 종이 자르기, 봉투 자르기, 야채, 김치나 고기 자르기, 함석 자르기, 수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종래의 가위와는 다른 편리함을 느끼게 될 것이다.
1: 정날. 2: 정짝 몸통. 3: 정짝 자루. 4: 정짝 손잡이. 5 사북. 6: 정짝 사북 구멍. 7: 정짝 선형 돌기. 8: 점형 돌기. 9 단면 모양. 10: 정짝. 11: 동날. 12: 동짝 몸통. 13: 동짝 자루. 14: 동짝 손잡이. 16: 동짝 사북 구멍. 17: 동짝 선형 돌기. 20: 동짝. 21: 교점. 22: 선형 돌기 교점. 31: 정날. 32: 정짝 몸통. 33: 정짝 자루. 34: 정짝 손잡이. 35 사북. 36: 정짝 사북 구멍. 37: 정짝 선형 돌기. 38: 점형 돌기. 39 단면 모양. 40: 정짝. 41: 동날. 42: 동짝 몸통. 43: 동짝 자루. 44: 동짝 손잡이. 46: 동짝 사북 구멍. 47: 동짝 선형 돌기. 50: 동짝. 51: 교점. 52: 선형 돌기 교점.

Claims (2)

  1. 가위에 있어서,
    정짝 몸통에 정짝 사북 구멍과 정짝 선형 돌기가 있고, 상기 정짝 몸통을 중심으로 정날과 정짝 자루 및 정짝 손잡이가 양쪽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져 평행인 정짝;
    동짝 몸통에 동짝 사북 구멍과 동짝 선형 돌기가 있고, 상기 동짝 몸통을 중심으로 동날과 동짝 자루 및 동짝 손잡이가 양쪽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져 평행인 동짝;
    상기 정짝 몸통과 상기 동짝 몸통 중 어느 두 곳에 설치된 점형 돌기; 및
    상기 정짝 사북 구멍과 상기 동짝 사북 구멍에 설치되는 사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2. 가위에 있어서,
    정짝 몸통에 정짝 사북 구멍과 정짝 선형 돌기가 있는 정짝;
    동짝 몸통에 동짝 사북 구멍과 동짝 선형 돌기가 있는 동짝;
    상기 정짝 몸통과 상기 동짝 몸통 중 어느 두 곳에 설치된 점형 돌기; 및
    상기 정짝 사북 구멍과 상기 동짝 사북 구멍에 설치되는 사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KR1020210126814A 2021-09-26 2021-09-26 가위 KR20230044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814A KR20230044346A (ko) 2021-09-26 2021-09-26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814A KR20230044346A (ko) 2021-09-26 2021-09-26 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346A true KR20230044346A (ko) 2023-04-04

Family

ID=85928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814A KR20230044346A (ko) 2021-09-26 2021-09-26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4346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850Y1 (ko) 2001-05-12 2001-10-15 김재석 곡면용 이발가위
KR200261402Y1 (ko) 2001-10-18 2002-01-23 오인승 주방용 가위
KR200285799Y1 (ko) 2002-05-10 2002-08-14 전수일 가위
KR200326508Y1 (ko) 2003-06-26 2003-09-13 황성훈 냉면 절단용 전용가위
KR101564930B1 (ko) 2014-11-11 2015-11-02 서해종 농업용 가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850Y1 (ko) 2001-05-12 2001-10-15 김재석 곡면용 이발가위
KR200261402Y1 (ko) 2001-10-18 2002-01-23 오인승 주방용 가위
KR200285799Y1 (ko) 2002-05-10 2002-08-14 전수일 가위
KR200326508Y1 (ko) 2003-06-26 2003-09-13 황성훈 냉면 절단용 전용가위
KR101564930B1 (ko) 2014-11-11 2015-11-02 서해종 농업용 가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25020A (en) Method of cutting hair
US3772783A (en) Hand clipper
US2839830A (en) Eating utensil
KR20230044346A (ko) 가위
US3257723A (en) Shears
CN202285644U (zh) 园艺剪结构
US20170231361A1 (en) Nail clipper assembly
CN207273273U (zh) 一种多功能极速剃须装置
US1129685A (en) Shears.
US2405200A (en) Safety razor
JPH0679424U (ja) 切り替え式皮むき器
TWD203852S (zh) 剪刀
JP2020130824A (ja) ニッパー式爪切り
JP3231033U (ja) パウチ容器オープナー
JP3235762U (ja) 着脱式包丁保持用補助具
US424954A (en) Table-knife
CN209807386U (zh) 一种新型指甲剪
JP2014155873A (ja) セルフカット方法及び手のひらハサミ
KR102165397B1 (ko)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
KR20140024719A (ko) 가위
KR200305208Y1 (ko) 가위
KR102377328B1 (ko) 치즈 나이프
JP4988944B1 (ja) 保持補助付器具及び保持補助具
US20220371213A1 (en) Knife Ring
JPS64211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