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397B1 -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 - Google Patents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397B1
KR102165397B1 KR1020190151181A KR20190151181A KR102165397B1 KR 102165397 B1 KR102165397 B1 KR 102165397B1 KR 1020190151181 A KR1020190151181 A KR 1020190151181A KR 20190151181 A KR20190151181 A KR 20190151181A KR 102165397 B1 KR102165397 B1 KR 102165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pair
insertion ring
piece
fix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용준
정용성
Original Assignee
송용준
정용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용준, 정용성 filed Critical 송용준
Priority to KR1020190151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20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 gripping bows i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8Joi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위가 손 안에 있는 상태에서 가위질을 할 수 있어 가위질할 때 흔들림이 없고, 가위를 잡을 때 엄지와 검지 이외에 다른 손가락으로도 자유롭게 잡을 수 있으며, 가위를 잡고 있지 않은 다른 손이 가위에 접촉하지 않고, 모발의 양감, 질감, 모양 등의 다양한 표현 및 연출을 위해 컷팅 자세나 가위의 회전각도를 힘들게 바꿀 필요가 없고, 초보자들도 쉽게 컷팅에 의한 다양한 미용 테크닉을 배울 수 있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컷팅날을 갖는 2개의 가위편이 서로 대칭을 이루며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가위편은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있어서, 상기 힌지의 앞쪽 가위편에 한 쌍의 손가락 삽입고리가 각각의 가위편 측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가위편 후단부에 한 쌍의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한 쌍의 손가락 삽입고리는 삽입고리 고정부에 의해 360도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Ergonomic spinner beauty scissors}
본 발명은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위가 손 안에 있는 상태에서 가위질을 할 수 있어 가위질할 때 흔들림이 없고, 가위를 잡을 때 엄지와 검지 이외에 다른 손가락으로도 자유롭게 잡을 수 있으며, 가위를 잡고 있지 않은 다른 손이 가위에 접촉하지 않고, 모발의 양감, 질감, 모양 등의 다양한 표현 및 연출을 위해 컷팅 자세나 가위의 회전각도를 힘들게 바꿀 필요가 없고, 초보자들도 쉽게 컷팅에 의한 다양한 미용 테크닉을 배울 수 있도록 한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미용가위는 이발소나 미용실에서 모발을 완전 컷팅 하거나 모발의 양을 줄이는데 사용된다. 상기 미용가위는 통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팅날(12)을 갖는 2개의 가위편(11)이 서로 대칭을 이루며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가위편(11)은 중간이 힌지(15)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각각의 가위편(12) 단부에 한 쌍의 손가락 삽입고리(13)가 일체로 구비되어 손잡이(14)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지의 미용가위는 오른 손의 엄지와 검지를 각각의 손가락 삽입고리(13)에 각각 삽입하고, 손가락 삽입고리(13)에 삽입된 엄지와 검지를 벌리고 좁히는 동작을 반복하면 각각의 가위편(11) 내측에 형성된 컷팅날(12)이 서로 겹치면서 모발을 절단함으로써 완전 컷팅이 이루어진다. 이때 2개의 가위편(11) 중에 일측 가위편(11)의 컷팅날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빗과 같이 빗살(11a)로 형성하면 모발의 양을 줄이는 용도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미용가위는 컷팅날이 힌지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손가락 삽입고리는 힌지의 후방측에 위치해 컷팅날과 손가락 삽입고리 간의 거리가 멀고, 가위와 팔이 직각을 이루어 손목이 꺽이며, 가위를 손가락으로 파지한 팔이 공중에 떠있는 상태로 모발에 대한 컷팅이 이루어지므로 흔들림으로 인한 컷팅의 불안정성을 초래하고, 가위를 잡고 있지 않은 다른 손이 가위에 인접한 모발을 잡거나 들고 있을 때, 가위가 그 손에 닿아 다치는 경우도 비일비재 하였다.
그리고, 가위의 구조적인 특성, 즉 힌지의 전방측에 컷팅날이 위치하고, 손잡이가 힌지의 후방측에 위치하며, 반드시 엄지와 검지만으로 가위질을 해야만 되는 구조적인 특성으로 모발의 양감, 질감, 모양 등의 다양한 표현 및 연출을 위해 컷팅 자세 및 가위의 회전각도를 힘들게 바꾸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컷팅의 정확성도 떨어지며, 초보자들이 쉽게 따라하지 못해 컷팅에 의한 다양한 미용 테크닉을 습득하는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1073호(2006.11.13.공고.) "미용가위"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위가 손 안에 있는 상태에서 가위질을 할 수 있어 가위질할 때 흔들림이 없고, 가위를 잡을 때 엄지와 검지 이외에 다른 손가락으로도 자유롭게 잡을 수 있으며, 가위를 잡고 있지 않은 다른 손이 가위에 접촉하지 않고, 모발의 양감, 질감, 모양 등의 다양한 표현 및 연출을 위해 컷팅 자세나 가위의 회전각도를 힘들게 바꿀 필요가 없고, 초보자들도 쉽게 컷팅에 의한 다양한 미용 테크닉을 배울 수 있도록 한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의 한 형태는, 컷팅날을 갖는 2개의 가위편이 서로 대칭을 이루며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가위편은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있어서, 상기 힌지의 앞쪽 가위편에 한 쌍의 손가락 삽입고리가 각각의 가위편 측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가위편 후단부에 한 쌍의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한 쌍의 손가락 삽입고리는 삽입고리 고정부에 의해 360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고리 고정부는 가위편에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된 고정나사와; 상기 고정나사의 외측에 삽입되는 관통홀을 갖는 수평면, 및 상기 수평면의 양측 후방측으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절곡면이 손가락 삽입고리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나사에 체결되는 조임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위편은 각각의 측면에 상기 손가락 삽입고리를 가위편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삽입고리 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삽입고리 위치조절부는 슬라이드홈이 각각의 가위편의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슬라이더가 상기 슬라이드홈의 내부에 위치한 고정나사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고리 고정부는 각각의 가위편의 양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양면 슬라이드홈과; 상기 양면 슬라이드홈에 양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에 수직의 고정나사를 갖는 양면 슬라이더와; 상기 양면 슬라이더의 고정나사 외측에 삽입되는 관통홀을 갖는 수평면, 및 상기 수평면의 양측 후방측으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절곡면이 손가락 삽입고리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나사에 체결되는 조임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컷팅날을 갖는 2개의 가위편이 서로 대칭을 이루며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가위편은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있어서, 상기 힌지의 앞쪽 가위편에 한 쌍의 손가락 삽입고리가 각각의 가위편 측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가위편 후단부에 한 쌍의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한 쌍의 손가락 삽입고리는 삽입고리 고정부에 의해 360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가위가 손 안에 있는 상태에서 가위질을 할 수 있어 가위질할 때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모발의 컷팅이 이루어질 수 있고, 가위를 잡을 때 엄지와 검지 이외에 다른 손가락으로도 자유롭게 잡을 수 있어 손가락 파지의 편의성을 가지며, 가위를 잡고 있지 않은 다른 손이 가위에 접촉하지 않아 사용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모발의 양감, 질감, 모양 등의 다양한 표현 및 연출을 위해 컷팅 자세나 가위의 회전각도를 힘들게 바꿀 필요가 없으며, 초보자들도 쉽게 컷팅에 의한 다양한 미용 테크닉을 배울 수 있어 사용의 간편성과 컷팅의 정확성 및 테크닉 습득의 신속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손가락 삽입고리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위편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를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컷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층 더 단계를 높인 컷팅의 다양한 테크닉을 어렵지 않게 구사할 수 있어 테크닉의 질적 향상을 기할 수 있는 이점도 갖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미용가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삽입고리 고정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
도 6은 도 5의 삽입고리 고정부 및 삽입고리 위치조절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
도 8은 도 7의 삽입고리 고정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를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삽입고리 고정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팅날(110a)을 갖는 2개의 가위편(110)이 서로 대칭을 이루며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가위편(110)은 힌지(120)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10b는 손이 다치지 않도록 하는 안전돌기이다.
또한, 한 쌍의 손가락 삽입고리(130)가 힌지(120)의 앞쪽 가위편(110) 측방향에 위치하고, 한 쌍의 받침대(140)가 각각의 가위편(110)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손가락 삽입고리(130)는 삽입고리 고정부(150)에 의해 360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삽입고리 고정부(150)는 고정나사(151)가 가위편(110)에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나사(151)에 끼워지는 고정편(152)이 손가락 삽입고리(130)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152)을 관통한 고정나사(151)에 조임너트(153)가 체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편(152)은 수평면(152a), 및 상기 수평면(152a)의 양측 후방측으로 서로 평행한 절곡면(152c)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면(152a)은 중앙부에 고정나사(151)의 외측에 삽입되는 관통홀(152b)을 가지며, 상기 절곡면(152c)은 손가락 삽입고리(130)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손가락 삽입고리(130)가 힌지(120)의 전방측에 위치해 가위가 손 안에 있는 상태에서 가위질이 가능하고, 가위편(110)의 받침대(140)는 가위편(110)을 손 안에서 지지하므로 가위질이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위를 잡을 때 엄지와 검지 이외에 다른 손가락으로도 자유롭게 잡을 수 있어 손가락 파지의 편의성을 갖는 장점이 있고, 가위를 잡고 있지 않은 다른 손이 가위에 접촉하지 않아 다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삽입고리 고정부(150)는 고정편(152)의 관통홀(152b)을 가위편(110)의 고정나사(151) 외측에 삽입한 후 조임너트(153)를 고정나사(151)에 체결하고 조여서 손가락 삽입고리(130)를 가위편(110)에 고정함은 물론 조임너트(153)를 풀고 다시 조이는 것에 의해 손가락 삽입고리(130)의 회전 각도를 360도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각도의 자유로운 조절은 모발의 양감, 질감, 모양 등의 다양한 표현 및 연출을 위해 컷팅 자세나 가위의 회전각도를 힘들게 바꾸어야만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초보자들도 쉽게 컷팅에 의한 다양한 미용 테크닉을 배울 수 있게 해준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삽입고리 고정부 및 삽입고리 위치조절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로서, 여기서 특징은 손가락 삽입고리(130)를 가위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를 이동 및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고, 이러한 손가락 삽입고리(130)의 위치 이동은 삽입고리 위치조절부(160)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삽입고리 위치조절부(160)는 슬라이드홈(161)이 각각의 가위편(110)의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슬라이더(162)가 상기 슬라이드홈(161)의 내부에 위치한 고정나사(151)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한 조임너트(153)를 풀면 슬라이드홈(161)에 대한 슬라이더(162)의 압착이 느슨해져 손가락 삽입고리(130)를 손으로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위치가 결정되면 다시 느슨해진 슬라이더(162)를 조임너트(153)로 조임으로써 그 위치를 고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삽입고리 고정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로서, 여기서 특징은 가위편(110)이 두께가 얇은 것을 감안할 때 손가락 삽입고리(130)를 보다 용이하게 가위편(110)의 측면에 고정하는 것에 있고, 이와 함께 상기 삽입고리 고정부(150)가 손가락 삽입고리(130)를 가위편(110)에 360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가위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 및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삽입고리 고정부(150)는 한 쌍의 양면 슬라이드홈(154)이 각각의 가위편(110)의 양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양면 슬라이더(155)가 상기 양면 슬라이드홈(154)에 양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나사(151)가 상기 양면 슬라이더(155)에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되고, 손가락 삽입고리(130)에 연결된 고정편(152)이 조임너트(153)에 의해 상기 고정나사(151)에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편(152)은 상기 양면 슬라이더(155)의 고정나사(151) 외측에 삽입되는 관통홀(152b)을 갖는 수평면(152a), 및 상기 수평면(152a)의 양측 후방측으로 서로 평행하고 손가락 삽입고리(130)에 일체로 연결 및 형성된 한 쌍의 절곡면(152c)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한 조임너트(153)를 풀면 양면 슬라이드홈(154)에 대한 양면 슬라이더(155)의 압착이 느슨해져 손가락 삽입고리(130)를 손으로 가위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위치가 결정되면 다시 느슨해진 양면 슬라이더(155)를 조임너트(153)로 조임으로써 그 위치를 고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컷팅날을 갖는 2개의 가위편이 서로 대칭을 이루며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가위편은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있어서, 상기 힌지의 앞쪽 가위편에 한 쌍의 손가락 삽입고리가 각각의 가위편 측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가위편 후단부에 한 쌍의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한 쌍의 손가락 삽입고리는 삽입고리 고정부에 의해 360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가위가 손 안에 있는 상태에서 가위질을 할 수 있어 가위질할 때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모발의 컷팅이 이루어질 수 있고, 가위를 잡을 때 엄지와 검지 이외에 다른 손가락으로도 자유롭게 잡을 수 있어 손가락 파지의 편의성을 가지며, 가위를 잡고 있지 않은 다른 손이 가위에 접촉하지 않아 사용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모발의 양감, 질감, 모양 등의 다양한 표현 및 연출을 위해 컷팅 자세나 가위의 회전각도를 힘들게 바꿀 필요가 없고 초보자들도 쉽게 컷팅에 의한 다양한 미용 테크닉을 배울 수 있어 사용의 간편성과 컷팅의 정확성 및 테크닉 습득의 신속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손가락 삽입고리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위편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를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컷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층 더 단계를 높인 컷팅의 다양한 테크닉을 어렵지 않게 구사할 수 있어 테크닉의 질적 향상을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10: 가위편 110a: 컷팅날
110b: 안전돌기 120: 힌지
130: 손가락 삽입고리 140: 받침대
150: 삽입고리 고정부
151: 고정나사 152: 고정편
152a: 수평면 152b: 관통홀
152c: 절곡면 153: 조임너트
154: 양면 슬라이드홈 155: 양면 슬라이더
160: 삽입고리 위치조절부
161: 슬라이드홈 162: 슬라이더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컷팅날(110a)을 갖는 2개의 가위편(110)이 서로 대칭을 이루며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가위편(110)은 힌지(120)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힌지(120)의 앞쪽 가위편(110)에 한 쌍의 손가락 삽입고리(130)가 각각의 가위편(110) 측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가위편(110) 후단부에 한 쌍의 받침대(14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손가락 삽입고리(130)는 삽입고리 고정부(150)에 의해 360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삽입고리 고정부(150)는 가위편(110)에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된 고정나사(151)와, 상기 고정나사(151)의 외측에 삽입되는 관통홀(152b)을 갖는 수평면(152a) 및 상기 수평면(152a)의 양측 후방측으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절곡면(152c)이 손가락 삽입고리(130)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152)과, 상기 고정나사(151)에 체결되는 조임너트(153);로 구성되며,
    상기 가위편(110)은 각각의 측면에 상기 손가락 삽입고리(130)를 가위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삽입고리 위치조절부(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고리 위치조절부(160)는 슬라이드홈(161)이 각각의 가위편(110)의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슬라이더(162)가 상기 슬라이드홈(161)의 내부에 위치한 고정나사(151)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에 있어서,
    상기 삽입고리 고정부(150)는 각각의 가위편(110)의 양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양면 슬라이드홈(154)과;
    상기 양면 슬라이드홈(154)에 양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에 수직의 고정나사(151)를 갖는 양면 슬라이더(155)와;
    상기 양면 슬라이더(155)의 고정나사(151) 외측에 삽입되는 관통홀(152b)을 갖는 수평면(152a), 및 상기 수평면(152a)의 양측 후방측으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절곡면(152c)이 손가락 삽입고리(130)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152)과;
    상기 고정나사(151)에 체결되는 조임너트(1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





KR1020190151181A 2019-11-22 2019-11-22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 KR102165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181A KR102165397B1 (ko) 2019-11-22 2019-11-22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181A KR102165397B1 (ko) 2019-11-22 2019-11-22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397B1 true KR102165397B1 (ko) 2020-10-14

Family

ID=72847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181A KR102165397B1 (ko) 2019-11-22 2019-11-22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39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6233U (ja) * 2004-06-28 2004-12-16 ▲しゅく▼玲 呉 鋏把手構造
KR200421656Y1 (ko) * 2006-05-02 2006-07-18 김정달 가위
KR200431073Y1 (ko) 2006-09-01 2006-11-13 신승일 미용가위
CN201271899Y (zh) * 2008-08-10 2009-07-15 蓝子花 一种新型剪刀
KR20130090536A (ko) * 2012-02-06 2013-08-14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셀프 이발용 가위
KR101370991B1 (ko) * 2012-02-27 2014-03-14 김정태 과실 전지용 가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6233U (ja) * 2004-06-28 2004-12-16 ▲しゅく▼玲 呉 鋏把手構造
KR200421656Y1 (ko) * 2006-05-02 2006-07-18 김정달 가위
KR200431073Y1 (ko) 2006-09-01 2006-11-13 신승일 미용가위
CN201271899Y (zh) * 2008-08-10 2009-07-15 蓝子花 一种新型剪刀
KR20130090536A (ko) * 2012-02-06 2013-08-14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셀프 이발용 가위
KR101370991B1 (ko) * 2012-02-27 2014-03-14 김정태 과실 전지용 가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6760B2 (en) Hairdresser'S tool
JP5872126B2 (ja)
KR102165397B1 (ko)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
JP4289624B2 (ja)
JPS581485A (ja) はさみ
JP3223584U (ja) 把持部を有する道具
KR200456498Y1 (ko) 길이 가변 미용가위
EP1649773B1 (en) Hairdryer
GB2484487A (en) Comb with integral cutting guide
KR200436168Y1 (ko) 조발용 가위
JPH02189179A (ja) 理・美容用鋏
KR101760596B1 (ko) 각도 조절 가능한 빗
US10478979B1 (en) Shears useful for cutting hair
JP7228215B1 (ja) カミソリの柄及び当該カミソリの柄を備えるカミソリ
JP2007006999A (ja) 理美容用鋏
JP7472084B2 (ja) ペン型ハサミ
JPH038224Y2 (ko)
JP3032395U (ja) 理髪用はさみ
JPH038223Y2 (ko)
JP3448592B2 (ja) 理容・美容用鋏
JP2000300865A (ja) ヘアカットレザー
JPH09220376A (ja) 理美容用鋏
JP3664390B2 (ja) ヘアカット方法
FR2955284A1 (fr) Paire de ciseaux ergonomique
KR100938213B1 (ko) 슬라이드 미용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