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498Y1 - 길이 가변 미용가위 - Google Patents

길이 가변 미용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498Y1
KR200456498Y1 KR2020090001121U KR20090001121U KR200456498Y1 KR 200456498 Y1 KR200456498 Y1 KR 200456498Y1 KR 2020090001121 U KR2020090001121 U KR 2020090001121U KR 20090001121 U KR20090001121 U KR 20090001121U KR 200456498 Y1 KR200456498 Y1 KR 200456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
rail
moving part
handle
scis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988U (ko
Inventor
박성근
Original Assignee
박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근 filed Critical 박성근
Priority to KR2020090001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498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9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4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20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 gripping bows i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26B13/08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with cutting edges wavy or toothed in the plane of the blad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발을 자르기 위한 엄지측 손잡이부 및 중지측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미용가위에 있어서, 엄지측 손잡이부는, 중지측 손잡이의 길이와 대응되는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그 일측에 소정 피치의 요철부가 형성된 레일; 레일에 결합되고, 일측에 요철부에 대응되는 걸림부재가 구비된 이동부; 및 이동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링형의 엄지측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 미용가위를 구현한바, 레일을 따라 엄지측 손잡이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손가락, 손목 및 팔에 부담을 발생하지 않으며 다양한 각도로 이발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시간 이발을 하여도 미용사가 피로감을 쉽게 느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미용, 가위, 이발, 레일, 길이, 가변

Description

길이 가변 미용가위{Variable Length Beauty Scissors}
본 고안은 길이 가변 미용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엄지측 손잡이부에 레일을 설치하고, 엄지측 손잡이부를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손가락, 손목 및 팔에 부담을 주지 않고 편리하게 두상 및 컷팅 자세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이발이 가능한 길이 가변 미용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발소 또는 미용실 등에서 사용하는 미용가위는 엄지측 손잡이로 조작하는 상부날 부재 및 검지 또는 중지측 손잡이로 조작하는 하부날 부재 사이에 위치된 머리카락을 자르는 모발 커팅용 가위이다.
이러한 미용가위는 두상 및 헤어 스타일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이발을 해야한다. 하지만, 종래의 미용가위는 엄지측 손잡이 및 검지 또는 중지측 손잡이 부위가 고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각도로 이발을 하는 경우 엄지 손가락을 무리하게 손바닥 내부로 삽입하여 이발을 하거나, 손목을 과도하게 꺾어주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단시간 이러한 자세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손가락 및 손목에 큰 무리가 발생하지 않지만, 장시간 이발을 하는 경우에는 엄지손가락 또는 손목이 과도하게 꺾이게 되어 손가락 및 손목 뿐만 아니라 팔 전체에 무리가 발생하는 문제점 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엄지측 손잡이부에 레일을 설치하고, 엄지측 손잡이부를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손가락, 손목 및 팔에 부담을 주지 않고 편리하게 두상 및 컷팅 자세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이발이 가능한 길이 가변 미용가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모발을 자르기 위한 엄지측 손잡이부 및 중지측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미용가위에 있어서, 엄지측 손잡이부는, 중지측 손잡이의 길이와 대응되는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그 일측에 소정 피치의 요철부가 형성된 레일; 레일에 결합되고, 일측에 요철부에 대응되는 걸림부재가 구비된 이동부; 및 이동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링형의 엄지측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 미용가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레일의 일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이동부의 일측에는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가이드 돌기가 더 형성된다.
또한, 중지측 손잡이부는 엄지측 손잡이부와 접촉하는 일측에 고무패킹을 구비하고, 이동부의 일측에는 고무패킹과 대응되는 홈이 더 형성된다.
또한, 이동부와 엄지측 고리 사이에는 엄지측 고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이 더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레일을 따라 엄지측 손잡이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손가락, 손목 및 팔에 부담을 발생하지 않으며 다양한 각도로 이발을 하여도 안정감 있게 이발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시간 이발을 하여도 미용사가 피로감을 쉽게 느끼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길이 가변 미용가위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길이 가변 미용가위(10)는 종래의 미용가위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 하부날 부재(250)와 연결되고, 중지측 고리(210)가 구비된 중지측 손잡이부(200) 및 길이 가변을 위한 레일(110)이 구비된 상부날 부재(150)와 연결된 엄지측 손잡이부(100)로 이루어진다.
< 엄지측 손잡이부의 구성>
(제 1 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 미용가위의 엄지측 손잡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 및 엄지측 고리(14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레일(110)은 중지측 손잡이부(200)의 길이와 대응되는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 지고, 그 일측에는 레일(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피치를 갖는 요철부(111)가 형성된다. 이러한 레일(110)의 종단면은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요철부(111)는 레일(110)을 따라 1cm 내지 2cm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좋고, 그 피치는 1mm 내지 5mm인 것이 좋다. 요철부(111)의 형상은 톱니형, 반타원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둥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이 좋다. 또한, 레일(110)의 요철부(111)가 형성된 일측과 대향 되는 일측에는 후술하는 이동부(120)가 레일(110)에서 이탈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홈(112)의 종단면은 삼각형 또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또한, 레일(110)의 종단 일측에는 중지측 손잡이부(200)와 접촉하는 면 일측에 고무패킹(113)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고무패킹(113)은 사용자가 이발을 하는 경우에 중지측 손잡이부(200)와 레일(110)이 접촉하며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후술하는 이동부(120)를 사용자가 이동부(120)의 길이를 과도하게 연장하는 경우에도 이동부(120)가 레일(1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120)는 레일(110)이 관통할 수 있도록 레일(110)의 종단면과 대응되는 중공이 형성된 직육면체 또는 타원 형상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동부(120)의 요철부(111)가 형성된 레일(110)의 일측과 대응되는 일측면의 외주면에는
Figure 112009006548590-utm00001
형상의 단면을 갖는 판재의 걸림부재(121)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부재(121)는 전술한 레일(110)의 요철부(111)에 걸리게 되어 이동 부(120)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요철부(111)의 피치에 맞추어 엄지측 손잡이부(1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홈(112)이 형성된 레일(110)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일측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홈(112)의 종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 돌기(122)가 형성되어 이동부(120)가 레일(110)을 따라 이동할 때 레일(110)에서 이탈하지 않고, 흔들림 없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120)의 일측에는 레일(110)의 종단 일측에 형성된 고무패킹(113)과 대응되는 걸림홈(123)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동부(120)의 길이를 걸림홈(123)의 길이만큼 더 연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동부(120)의 하부 일측에는 사용자의 엄지가 삽입되는 엄지측 고리(14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홈(124)이 형성되고, 엄지측 고리(140)는 관통홈(124)을 관통한 핀(130)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엄지측 고리(140)와 이동부(120) 사이에는 엄지측 고리(14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 스프링(131) 등과 같은 탄성체가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 스프링(131)에 의해 엄지측 고리(140)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핀(130)을 중심축으로 회전하여 사용자가 이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엄지측 고리(140)에서 손가락을 빼는 경우에는 엄지측 고리(140)를 가위(10)의 길이 방향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복구한다.
(제 2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 미용가위의 엄지측 손잡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120)는 전체적으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120)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걸림부재(121)는 레일(110)의 요철부(111)가 형성된 일측면과 대응되는 일측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그 재질은 판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걸림부재(121)는 판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레일(110)의 요철부(111)를 따라 엄지측 손잡이부(100)를 이동시키며 임의로 이동부(12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 3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 및 엄지측 고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 미용가위는 전체적으로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스프링(131)을 대신하여 원형판 형상 부재의 상부에 복수의 돌출부(132)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132)는 2개 내지 8개 구비되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4개의 돌출부(132)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엄지측 고리(140)의 상부면 일측에는 전술한 돌출부(132)에 대응되는 회전 제한 돌기(141)가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회전 제한 돌기는 원형판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소정의 주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원형판 형상 부재의 돌출부(132) 및 회전 제한 돌기(141)의 주기에 맞추어 엄지측 고리(140)을 회전하여 미용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길이 가변 미용가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 미용가위의 엄지측 손잡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 및 엄지측 고리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 미용가위의 엄지측 손잡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 및 엄지측 고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위 100 : 엄지측 손잡이부
110 : 레일 111 : 요철부
112 : 가이드 홈 113 : 고무패킹
120 : 이동부 121 : 걸림부재
122 : 가이드 돌기 123 : 걸림홈
124 : 관통홈 130 : 핀
131 : 회전 스프링 132 : 돌출부
140 : 엄지측 고리 141 : 회전 제한 돌기
150 : 상부날 부재 200 : 중지측 손잡이부
210 : 중지측 고리 250 : 하부날 부재

Claims (5)

  1. 모발을 자르기 위한 엄지측 손잡이부(100) 및 중지측 손잡이부(200)로 이루어진 미용가위(10)에 있어서,
    상기 엄지측 손잡이부(100)는,
    상기 중지측 손잡이부(200)의 길이와 대응되는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소정 피치의 요철부(111)가 형성된 레일(110);
    상기 레일(110)에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요철부(111)에 대응되는 걸림부재(121)가 구비된 이동부(120); 및
    상기 이동부(120)의 일측에 결합되는 링형의 엄지측 고리(14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110)의 종단 일측에는 상기 중지측 손잡이부(200)와 접촉하는 면 일측에 고무패킹(113)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120)의 일측에는 상기 고무패킹(113)과 대응되는 걸림홈(123)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 미용가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110)의 일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120)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112)에 대응되는 가이드 돌기(122)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 미용가위.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120)와 엄지측 고리(140) 사이에는 엄지측 고리(14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 스프링(13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 미용가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121)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 미용가위.
KR2020090001121U 2009-02-03 2009-02-03 길이 가변 미용가위 KR200456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121U KR200456498Y1 (ko) 2009-02-03 2009-02-03 길이 가변 미용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121U KR200456498Y1 (ko) 2009-02-03 2009-02-03 길이 가변 미용가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988U KR20100007988U (ko) 2010-08-12
KR200456498Y1 true KR200456498Y1 (ko) 2011-11-02

Family

ID=44453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121U KR200456498Y1 (ko) 2009-02-03 2009-02-03 길이 가변 미용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4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886B1 (ko) * 2013-08-07 2015-03-16 한영동 컷팅 작업이 용이한 미용 가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645B1 (ko) * 2012-08-21 2015-03-03 조석우 가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6353A1 (fr) * 1996-06-04 1997-12-11 Taberlet Jean Jacques Outil a main tel qu'une paire de ciseaux a organe de prehension pivotant et rappel elastique
JP2004159962A (ja) * 2002-11-14 2004-06-10 Kaijirushi Hamono Kaihatsu Center:Kk 櫛付き鋏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6353A1 (fr) * 1996-06-04 1997-12-11 Taberlet Jean Jacques Outil a main tel qu'une paire de ciseaux a organe de prehension pivotant et rappel elastique
JP2004159962A (ja) * 2002-11-14 2004-06-10 Kaijirushi Hamono Kaihatsu Center:Kk 櫛付き鋏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886B1 (ko) * 2013-08-07 2015-03-16 한영동 컷팅 작업이 용이한 미용 가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988U (ko)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6393B2 (en) Handle extension for a shaver or applicator pad
US9326595B2 (en) Tweezer-applicator
US8701291B2 (en) Multi-purpose hair cutter
JP2004501696A (ja) 回転式かみそりおよびシェービング方法
JP3981360B2 (ja) 理容用具
JP3581845B2 (ja) 整髪用鋏組合せ構造
US8881406B2 (en) Shaving device with dual cutting elements
KR200456498Y1 (ko) 길이 가변 미용가위
KR102284772B1 (ko) 코털깎이
KR200475835Y1 (ko) 고정이 용이한 미용 가위
US7628161B1 (en) Hair-cutting and styling device and method of use
JP2004229710A (ja) マスカラブラシ
KR102165397B1 (ko)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스피너 미용가위
KR101823640B1 (ko) 겨드랑이 털 제거용 가위형 족집게
KR101611068B1 (ko) 화장용 도구
KR101663749B1 (ko) 다수의 미용가위가 탈착되는 미용가위조립체
US20140317938A1 (en) Hair Bang Clipper
JP5373025B2 (ja) 支持具及び支持具つき切断具
JP3218156U (ja) 化粧ブラシ
KR102253232B1 (ko) 손발톱 큐티클 제거용 가위
JP3115078U (ja) 理美容用櫛
WO2017098664A1 (ja)
KR102188764B1 (ko) 눈썹정리용 미용기구
KR200418639Y1 (ko) 미용 가위
JP4718632B2 (ja) はさ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