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508Y1 - 냉면 절단용 전용가위 - Google Patents

냉면 절단용 전용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508Y1
KR200326508Y1 KR20-2003-0020297U KR20030020297U KR200326508Y1 KR 200326508 Y1 KR200326508 Y1 KR 200326508Y1 KR 20030020297 U KR20030020297 U KR 20030020297U KR 200326508 Y1 KR200326508 Y1 KR 2003265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cutting
cold
handle
co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훈
Original Assignee
황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훈 filed Critical 황성훈
Priority to KR20-2003-0020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5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5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5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10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 B25G1/102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the shape being specially adapted to facilitate handling or improve gri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면 절단용 전용가위에 관한 것으로, 일측 내측선단면에는 컷팅날이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중심측이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된 몸체를 갖는 가위에 있어서, 힌지축은 컷팅날의 일직선상에 형성되고 힌지축 상부의 몸체가 수직절곡되어 컷팅날과 손잡이가 90∼120도의 각도로 형성된 절곡몸체를 구비하여, 면발의 절단에 전용으로 사용되어 위생적이고, 면발의 절단시 손목을 크게 비틀지 않고도 면발을 손쉽게 절단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면 절단용 전용가위{ exclusive scissors for cutting cold noodle dish}
본 고안은 냉면 절단용 전용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면발의절단에 전용으로 사용되어 위생적이고, 면발의 절단시 손목을 크게 비틀지 않고도 면발을 손쉽게 절단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한 냉면 절단용 전용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위(scissors)는 2개의 날[刃]을 교차시켜 옷감, 종이, 가죽, 털 등을 자르는 기구로, 가위의 날이 엇갈려 있는 2개의 다리에 각각 손가락을 끼고 벌렸다 오므렸다 하여, 지레의 원리로 물건을 자르는데, 형태와 용도가 다양하다.
지렛대의 원리에 바탕을 둔 것으로 지레의 작용점, 받침점, 힘점의 상호관계에 의하여, 힘점이 작용점과 받침점 사이에 있는 원지점식(元支點式), 지레의 받침점이 힘점과 작용점의 사이에 있는 중간지점식, 작용점이 힘점과 받침점 사이에 있는 선(先)지점식의 3가지로 구별된다.
따라서 이것을 응용한 가위도 3종으로 대별된다. 원지점식에 속하는 것으로서 손자수용 가위, 잎따기가위, 망(綱)베기가위 등이 있고, 중간지점식에 속하는 것으로는 재단가위, 꽃가위, 전정가위, 전지가위, 잔디가위, 양철가위, 버튼홀가위, 의료가위, 이용(理容)가위 등이 있다. 선지점식에 속하는 것은 눌러서 자르는 가위와 과실따기 가위 등이 있다.
이런 가위는 음식점 등에서 질긴 재질의 냉면이나 쫄면의 면발을 짧게 자르는 용도로도 사용되는 바, 그릇에 담긴 냉면이나 쫄면의 면발을 자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가위의 손잡이에 손을 끼운 다음, 가위날부분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서 질긴 냉면이나 쫄면의 면발을 짧게 여러 부분을 절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냉면이나 쫄면 면발의 절단용도로 사용되는 가위는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가위를 사용하는 것으로, 면발의 절단시 가위의 손잡이를 수직으로 세워서 사용하는 바, 이때, 사용자의 손목부위는 180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엄지손가락이 하측으로 향하도록 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조작하여 힌지축을 축으로 칼날을 회동시켜 면발을 절단하여야 하므로 가위의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때 사용되는 가위는 시중에서 여러 용도로 사용되는 가위로 냉면이나 쫄면의 질긴 면발을 자르는 용도 외에도 다른 용도로 전용되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의 절단에 사용되는 가위의 위생이 불결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면발의 절단에 전용으로 사용되어 위생적이고, 면발의 절단시 손목을 크게 비틀지 않고도 면발을 손쉽게 절단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한 냉면 절단용 전용가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 내측선단면에는 컷팅날이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중심측이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된 몸체를 갖는 가위에 있어서;
힌지축은 컷팅날의 일직선상에 형성되고 힌지축 상부의 몸체가 수직절곡되어컷팅날과 손잡이가 90∼120도의 각도로 형성된 절곡몸체를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절곡몸체의 컷팅날과 손잡이의 각도를 예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는 바, 이때에는 45∼89도의 각도로 절곡되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절곡몸체가 힌지축을 축으로 벌어진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면 절단용 전용가위 11,11a : 가위몸체
12,12a : 절곡몸체 14,14a : 컷팅날
15,15a : 손잡이 16 : 힌지축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절곡몸체가 힌지축을 축으로 벌어진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냉면 절단용 전용가위(1)는 일측 내측선단면에는 컷팅날(14)(14a)이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손잡이(15)(15a)가 형성되며 중심측이 힌지축(1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된 몸체(11)(11a)는 힌지축(16)이 컷팅날(14)(14a)의 일직선상에 형성되고 힌지축(16) 상부에서 수직절곡되어 컷팅날(14)(14a)과 손잡이(15)(15a)가 90∼120도의 각도로 형성된 절곡몸체(12)(12a)로 구성된다.
절곡몸체(12)(12a)인 컷팅날(14)(14a)과 손잡이(15)(15a)의 각도는 둔각이 아닌 예각으로도 형성시킬 수도 있는 바, 이때에는 45∼89도의 각도로 절곡되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냉면 절단용 전용가위(1)의 손잡이(15)(15a)를 잡고 냉면그릇(도시않음)에 담긴 냉면의 면발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기 위해서는, 손잡이(15)(15a)를 냉면그릇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위치시킨 다음, 냉면 절단용 전용가위(1) 상부의 손잡이(15)(15a)를 벌리고 하부의 컷팅날(14)(14a)을 냉면그릇 내측의 냉면 면발에 삽입시킨다.
이렇게 컷팅날(14)(14a)이 벌어진 채로 냉면 면발에 삽입되면, 사용자는 냉면그릇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위치된 손잡이(15)(15a)를 오므려, 컷팅날(14)(14a)을 힌지축(16)을 축으로 오므리면, 가위몸체(11)(11a) 일단측의 컷팅날(14)(14a) 사이에 놓여진 냉면 면발은 바로 절단된다.
이렇게 냉면면발을 여러 차례 절단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가위몸체(11)(11a)의 상단에 위치된 손잡이(15)(15a)는 가위몸체(11)(11a)와 수직으로 절곡되거나, 91∼120도의 각도로 절곡된 절곡몸체(12)(12a)에 의해 가위몸체(11)(11a)와 진행방향이 틀어져 절곡되고, 이 절곡몸체(12)(12a)에 의해 사용자는 손목을 비틀지 않고도 냉면 절단용 전용가위(1)의 컷팅날(14)(14a)로 냉면그릇 내부의 면발을 여러 번 손쉽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절곡몸체(12)(12a)의 각도를 예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냉면 면발의 절단시, 사용자가 손잡이(15)(15a)를 잡고 손목을 비트는 각도를 더욱 작게 구성시킬 수 있어 사용이 더욱 간편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2)

  1. 일측 내측선단면에는 컷팅날(14)(14a)이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손잡이(15)(15a)가 형성되어 중심측이 힌지축(1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된 몸체(11)(11a)를 갖는 가위에 있어서;
    힌지축(16)은 컷팅날(14)(14a)의 일직선상에 형성되고 힌지축(16) 상부의 몸체(11)(11a)가 수직절곡되어 컷팅날(14)(14a)과 손잡이(15)(15a)가 90∼120도의 각도로 형성된 절곡몸체(12)(12a)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면 절단용 전용가위.
  2. 제 1 항에 있어서;
    절곡몸체(12)(12a)는 컷팅날(14)(14a)과 손잡이(15)(15a)가 45∼89도의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면 절단용 전용가위.
KR20-2003-0020297U 2003-06-26 2003-06-26 냉면 절단용 전용가위 KR2003265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297U KR200326508Y1 (ko) 2003-06-26 2003-06-26 냉면 절단용 전용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297U KR200326508Y1 (ko) 2003-06-26 2003-06-26 냉면 절단용 전용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508Y1 true KR200326508Y1 (ko) 2003-09-13

Family

ID=49414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297U KR200326508Y1 (ko) 2003-06-26 2003-06-26 냉면 절단용 전용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5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5751A2 (ko) * 2010-06-08 2011-12-15 Kim Kyung Eun 주방용 가위
KR20230044346A (ko) 2021-09-26 2023-04-04 장순길 가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5751A2 (ko) * 2010-06-08 2011-12-15 Kim Kyung Eun 주방용 가위
WO2011155751A3 (ko) * 2010-06-08 2012-04-19 Kim Kyung Eun 주방용 가위
KR101145242B1 (ko) * 2010-06-08 2012-05-24 김경은 주방용 가위
KR20230044346A (ko) 2021-09-26 2023-04-04 장순길 가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97242C (en) Multi-function nipper device
US20090044412A1 (en) Garden shears
US20140325846A1 (en) Baby Safe Trimming Tool
US1967549A (en) Scissors
KR200326508Y1 (ko) 냉면 절단용 전용가위
US6883238B1 (en) Hairstyling scissors
CN106137426A (zh) 旋转式可换线牙线棒
US5943779A (en) Ergonomic cutting device
US20170231361A1 (en) Nail clipper assembly
KR101879436B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CN211378843U (zh) 茶叶种植用茶叶修剪设备
US6427332B1 (en) Clip type kitchen peeling tool
CN107258868A (zh) 一种杀鱼工具和杀鱼方法
KR200427244Y1 (ko) 가위
JP3086652U (ja) 収穫用ハサミ
CN220755578U (zh) 一种手套式花椒采收工具
AU2004304938B2 (en) Shellfish dressing device and method
JP2014155873A (ja) セルフカット方法及び手のひらハサミ
KR200305208Y1 (ko) 가위
KR200297865Y1 (ko) 배추김치등의 절단기
KR100830396B1 (ko) 손톱깎이용 파지유닛
CN206744841U (zh) 一种老年人用指甲钳
KR200276598Y1 (ko) 이미용 가위
CN205667327U (zh) 一种安全环保的柚子剥皮工具
JP2004024318A (ja) 理美容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