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799Y1 - 가위 - Google Patents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799Y1
KR200285799Y1 KR2020020014379U KR20020014379U KR200285799Y1 KR 200285799 Y1 KR200285799 Y1 KR 200285799Y1 KR 2020020014379 U KR2020020014379 U KR 2020020014379U KR 20020014379 U KR20020014379 U KR 20020014379U KR 200285799 Y1 KR200285799 Y1 KR 2002857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lower blades
blade
cutting
low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수일
Original Assignee
전수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수일 filed Critical 전수일
Priority to KR2020020014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7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799Y1/ko

Links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가위는 서로 교차되도록 밀착되는 상,하부날(100)(200)과, 그 상,하부날(100)(200)의 후단부(110)(210)에 구비된 손잡이(120)(220)과, 그 상,하부날(100)(200)의 교차부에 결합되어 상,하부날(100)(200)이 밀착된 상태로 회동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300)으로 구성되고, 그 상,하부날(100)(200)의 후단부(110)(210)가 고정부(300)을 축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굽은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가위를 이용한 절단작업시 가위를 잡은 손은 피절단물의 아래에 위치하고 피절단물의 평면위로는 가위의 상부날전단부만이 올라오므로 보다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위 { scissors }
본 고안은 가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위를 이용한 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위는 종이나 천 등을 절단할 때에 주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가위를 보인 평면도로서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일정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상부날(10)과 하부날(20)이 'X'자 형태로 교차되도록 밀착되어 있고 그 상부날(10)과 하부날(20)이 교차되는 부분이 체결구(3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날(10)과 하부날(20)의 후단부(11)(21)에는 손가락끼움공(40)이 구비된 손잡이(12)(22)가 있고, 전단부에는 절단부(10a)(20a)가 각각 가공되어 있으며 상,하부날 전단부의 중심축(a)와 상,하부날 후단부의 중심축(b)가 동일선상에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가위를 사용할 때는 사용자가 손잡이(12)(22)의 손가락끼움공(40)에 손가락을 끼우고 상부날(10)과 하부날(20)을 적정각도가 되도록 벌린 다음, 그와 같이 벌어진 상부날(10)과 하부날(20)의 사이에 절단하고자 하는 피절단물을 위치시킨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손가락끼움공(40)에 끼워진 손가락에 힘을 가하면 상부날(10)과 하부날(20)사이의 벌어졌던 각도가 작아지면서 그 사이에 놓여진 피절단물이 상,하부날(10)(20)의 절단부(10a)(20a)가 교차되는 것에 의하여 절단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가위는 상,하부날 전단부의 중심축(a)와 상,하부날 후단부의 중심축(b)가 동일선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피절단물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상,하부날 전단부의 중심축(a)와 후단부의 중심축(b)를 상부날(10)과 하부날(20) 사이에 끼워진 피절단물의 평면과 동일평면에 놓이게 하여야 하므로, 피절단물을 눈높이까지 들어 올리거나 손목을 무리하게 굽히게 되어 손목에 부담을 줄 뿐만 아니라, 손잡이를 잡은 손의 일부가 피절단물의 표면위로 올라오므로 절단하고자 하는 부위의 시야를 가리기도 하며, 피절단부분이 가위질을 하는 손에 의해 벌어져 원하지 않는 부위가 찢어지는 경우도 있으며, 가위질을 하는 손에 피절단부위가 걸려 작업을 수행하는데 걸리적거리기도 하며 날카로운 피절단부분에 의해 상처를 입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X'자 형상을 가지는 가위의 형상을 변형시켜, 절단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하는데 적합한 가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종래의 가위를 보인 평면도
도 2. 본 고안에 따른 가위의 평면도
도 3. 본 고안에 따른 가위의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상부날 200 하부날
110 상부날의 후단부 210 하부날의 후단부
120 상부날의 손잡이 220 하부날의 손잡이
300 고정부 400 손가락 끼움공
a 상,하부날 전단부의 중심축
b 상,하부날 후단부의 중심축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교차되도록 밀착되는 상,하부날과 그 상,하부날의 후단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그 상,하부날의 교차부에 결합되어 상,하부날이 밀착된 상태로 회동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날 후단부의 중심축을 고정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전단부의 중심축에서 아래쪽으로 회전시켜 상,하부날의 후단부가 아래쪽으로 꺾인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가위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위를 보인 평면도로서 사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가위는 상부날(100)과 하부날(200)이 교차되도록 밀착되어 있고 상기 상부날(100)과 하부날(200)의 교차부에는 상,하부날(100)(200)이 밀착된상태로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부(300)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날(100)과 하부날(200)의 후단부(110)(210)에는 손가락끼움공(400)이 구비된 손잡이(120)(220)이 있고 상,하부날의 전단부에는 일정각도로 경사지도록 절단부(101)(201)이 각각 가공되어 있다. 도면중 'a'는 상기 상,하부날 전단부의 가상의 중심축을 표시한 것이고, 'b'는 상기 상,하부날 후단부의 가상의 중심축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 상,하부날(100)(200)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각각 'a'와 'b'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벌어지거나 조여진다. 상기 상,하부날 후단부의 중심축(b)는 상,하부날 전단부의 중심축(a)와 동일선상에 있지 않고 고정부(300)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하부날 전단부의 중심축(a)의 오른쪽 아래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한 위치에 놓여 있으며 상,하부날의 후단부(110)(210)이 중심축(b)에 맞추어지도록 상,하부날(100)(200)이 고정부(300)부위에서 아래로 꺾여진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므로 본 고안의 가위는 전체적으로 직선형이 아닌 꺽인 형태을 가지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작용효과를 실시례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손잡이(120)(220)의 손가락끼움공(400)에 손가락을 끼우고, 끼워진 손가락을 벌려서 상부날(100)과 하부날(200)을 적정각도로 벌어지도록 한 다음, 그 벌어진 상부날(100)과 하부날(200)의 사이에 절단하고자 하는 피절단물을 위치시킨다. 이때 가위를 잡은 손은 피절단물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그런후 손가락끼움공(400)에 끼워진 손가락에 힘을 가하면 상부날(100)과 하부날(200) 사이의 벌어졌던 각도가 좁아지면서 그 사이에 놓여진 피절단물이 상,하부날(100)(200)의 절단부(101)(201)이 교차되는 부위에서 절단이 이루어진다.
이런한 과정에서 상,하부날의 후단부(110)(210)은 피절단물의 아래쪽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고 피절단물의 표면위로는 상부날(100)의 전단부만이 올라와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기존의 가위를 사용할 때처럼 가위중심축을 피절단물의 평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기위하여 무리하게 손목을 구부릴 필요가 없이 자연스럽게 파지한 상태로 작업을 하면 되므로 손목에 부담을 덜어줄 수 있으며, 피절단물을 눈높이까지 들어올릴 필요도 없다. 또한 피절단물의 표면위로 상부날(100)의 전단부만이 올라오므로 손에 의하여 시야가 차단되는 일도 없어진다. 그리고 가위질을 하는 손이 피절단물의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미 절단된 부위가 손에 걸리지 않으므로 보다 정교하고 수월하게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손에 상처를 입을 염려가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위를 이용하면, 손목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의 가위는 후단부가 아래쪽으로 꺾여진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파지한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을 보다 수월하고 정교하게 할 수 있다. 가위질을 하는 손이 피절단물의 아래쪽에서 작업을 수행하므로 이미 절단된 부분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아 작업이 보다 수월해지며 피절단물의 표면에 대한 시야가 확보된다. 그리고 이미 절단된 피절단물의 날카로운 면에 의하여 상처를 입을 염려가 없다.

Claims (1)

  1. 서로 교차되도록 밀착되는 상,하부날과 그 상,하부날의 후단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그 상,하부날의 교차부에 결합되어 상,하부날이 밀착된 상태로 회동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날은 고정부 부위에서 상,하부날의 후단부가 아래쪽으로 꺾여진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KR2020020014379U 2002-05-10 2002-05-10 가위 KR200285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379U KR200285799Y1 (ko) 2002-05-10 2002-05-10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379U KR200285799Y1 (ko) 2002-05-10 2002-05-10 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799Y1 true KR200285799Y1 (ko) 2002-08-14

Family

ID=7312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379U KR200285799Y1 (ko) 2002-05-10 2002-05-10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7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346A (ko) 2021-09-26 2023-04-04 장순길 가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346A (ko) 2021-09-26 2023-04-04 장순길 가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6698A (en) Suture remover
US3877145A (en) Scissors for surgical and other uses
EP1656893A2 (en) Combined grip-cut tool
KR200285799Y1 (ko) 가위
US3908268A (en) Wire-holding attachment for wire-clippers
US4595132A (en) Device for fracturing glass along a scoreline
WO2003099145A1 (fr) Scalpel chirurgical a garde mobile et garde de lame de scalpel
JPH0713644Y2 (ja)
KR100953136B1 (ko) 니퍼날체 및 이를 이용한 니퍼
KR200345310Y1 (ko) 안전커터 기능이 있는 가위손잡이
JP2005304655A (ja) 鼻毛切り用鋏
KR102002561B1 (ko) 코털 제거기
KR101986614B1 (ko) 헤어디자인 보조기구
KR200413828Y1 (ko) 집게의 장력을 조절 가능한 집게형 가위
KR200166338Y1 (ko) 가위
GB2412344A (en) Grip-cut tool
JPH1057640A (ja) 紙等の中央部を裁断できるハサミ
KR200347752Y1 (ko) 가위
JPH0210984Y2 (ko)
JP3725971B2 (ja) 魚の骨抜き具
JPH09225894A (ja) カッター刃の保護カバー
JP2021178152A (ja) 異物除去鉗子
JPH0543745Y2 (ko)
KR200224356Y1 (ko) 난잎 커터
KR200263256Y1 (ko) 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