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356Y1 - 난잎 커터 - Google Patents
난잎 커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24356Y1 KR200224356Y1 KR2020000033759U KR20000033759U KR200224356Y1 KR 200224356 Y1 KR200224356 Y1 KR 200224356Y1 KR 2020000033759 U KR2020000033759 U KR 2020000033759U KR 20000033759 U KR20000033759 U KR 20000033759U KR 200224356 Y1 KR200224356 Y1 KR 20022435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gg
- cutting
- cutting edge
- cutter
- blad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잎 커터에 관한 것으로, 난잎 끝단모양의 절단날이 형성되어 있는 제 1절단날부, 제 1절단날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된 제 2절단날부 및 제 1절단날부와 제 2절단날부를 연결하여 제 1, 제 2절단날부 상호간의 간격을 조정 가능케 지지하는 연결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난잎 끝단을 소정의 곡선형태로 예쁘게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번의 동작으로 난잎 끝모양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해주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난잎 커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르거나 죽어 가는 난잎의 끝단을 절단하여 난잎의 마름이나 죽음이 더 이상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보기 좋도록 하기 위한 커터에 관한 것이다.
난은 그 생장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에 물을 너무 많이 주는 등 그 생장에 적절한 환경을 만들어주지 못하는 경우 쉽게 죽는다. 이러한 난에서 그 생장환경이 적절치 못한 경우 초기 증상으로 나타나는 것이 난잎이 그 끝에서부터 말라 들어가는 것이다. 이 경우 난잎의 끝을 잘라주어야 그 진행이 중단되며, 또 보기에도 좋다.
일반적으로 난잎을 잘라주기 위해 일반 가위나 원예용 가위를 사용하는 데, 통상 직선으로 난잎이 절단되기 때문에 보기에 흉하다. 뿐만 아니라 대략이라도 난잎의 끝단을 원래의 모양에 맞추어 잘라주기 위해서는 적어도 2번 이상의 가위질을 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한 번의 커팅으로 난잎의 끝단모양을 낼 수 있는 난잎 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난잎 커터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난잎 커터의 제 1절단날부와 제 2절단날부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난잎 커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난잎 커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난잎 커터 110 : 제 1절단날부
120 : 제 2절단날부 130 : 연결지지부
131 : 제 1연결지지체 132 : 제 1손잡이
136 : 제 2연결지지체 137 : 제 2손잡이
140 : 직선절단날부
본 고안의 목적은 난잎을 절단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난잎 커터에 있어서, 난잎 끝단모양의 절단날이 형성되어 있는 제 1절단날부, 제 1절단날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된 제 2절단날부 및 제 1절단날부와 제 2절단날부를 연결하여 제 1, 제 2절단날부 상호간의 간격을 조정 가능케 지지하는 연결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잎 커터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연결지지부는 ㄷ자 모양으로 절곡 되어 제 1절단날부와 제 2절단날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위 연결지지부는 제 1절단날부에 연결되고 일단에 제 1손잡이가 형성된 제 1연결지지체와, 제 2절단날부에 연결되고 일단에 형성된 제 2손잡이를 구비하여 제 1연결지지체의 일측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결합된 제 2연결지지체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위 제 1절단날부와 제 2절단날부는 그 크기를 달리하여 2개 이상씩 설치하고, 직선절단을 위한 직선절단날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난잎 커터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난잎 커터의 제 1절단날부와 제 2절단날부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난잎 커터(100)는 제1절단날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절단날부(110)는 절단하고자 하는 난잎의 끝모양을 하고 있다. 이는 한 번의 절단으로 난잎 끝모양을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난잎 커터(100)는 제 2절단날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2절단날부(120)는 제 1절단날부(110)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으며, 이 역시 제 1절단날부(110)에서와 마찬가지로 난잎 끝모양을 하고 있다. 즉, 제 1절단날부(110)와 제 2절단날부(120)가 서로 맞물려서 난잎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고안에 따른 난잎 커터(100)는 연결지지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결지지부(130)는 대략 ㄷ자 형태로 절곡 되어 앞에서 설명한 제 1절단날부(110)와 제 2절단날부(120)를 일체로 연결하여 제 1절단날부(110)와 제 2절단날부(120) 상호간의 간격을 조정 가능케 지지하며, 손잡이 역할도 한다. 이러한 연결지지부(130)는 필요에 따라 여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부분인데, 이는 뒤쪽에서 더 설명된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난잎 커터(100)를 손에 잡고 절단하고자 하는 난잎을 두 제 1절단날부(110)와 제 2절단날부(120) 사이에 위치토록 한 다음 연결지지부(130)를 가압 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절단날부(110)와 제 2절단날부(120)가 서로 맞물리고, 난잎은 제 1, 제 2절단날부(110, 120) 형태로 절단되게 된다.
물론, 연결지지부(130)의 일측을 가압 하던 힘을 제거하면 연결지지부(130)는 자체 탄성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복귀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난잎 커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난잎 커터(100) 역시 제 1절단날부(110)와 제 2절단날부(120) 및 연결지지부(130)로 구성된 것으로, 그 기본적인 구성은 도 1과 도 2를 통해 설명한 것과 동일하나, 연결지지부(130)의 끝단에 각각 형성된 제 1절단날부(110)와 제 2절단날부(120)가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 앞에서 설명한 난잎 커터(100)와 다르다. 즉, 연결지지부(130)의 일측 끝단에 그 크기가 서로 다른 2개의 제 1절단날부(110)를 각각 형성하고, 또 연결지지부(130)의 타측 끝단에 그 크기가 서로 다른 2개의 제 2절단날부(120)를 각각 형성하여 난잎의 크기에 따라 적당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어, 큰 것은 일측 끝단에서 반대편을 향한 깊이가 10㎜, 바깥쪽 넓은 부분의 폭이 7㎜ 정도 되게 하고, 작은 것은 그 깊이가 7㎜ 바깥쪽 폭이 5㎜ 정도 되게 각각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제 1절단날부(110)와 제 2절단날부(120)의 마주보는 부분의 크기는 동일하도록 형성하여야 한다.
물론, 두 제 1절단날부(110) 사이와 두 제 2절단날부(120) 사이의 앞쪽 끝단 직선부에도 마주보는 부분에 날을 각각 형성하여 난잎을 직선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직선절단날부(140)를 형성하여두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나타낸 난잎 커터(100)를 이용하면 절단하고자 하는 난잎이 큰 것인 경우에는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쪽의 제 1, 제 2절단날부(110, 120)를 이용하고, 상대적으로 난잎의 크기 작은 것을 절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제 1, 제 2절단부(110, 120)의 날을 이용해 절단하면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난잎 커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난잎 커터(100)는 필요에 따라 가위를 응용한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잎 끝모양을 하고 있는 제 1절단날부(110)와 이에 대응되게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 2절단날부(120)를 제 1손잡이(132)가 형성되어 있는 제 1연결지지체(131)와 제 2손잡이(137)가 형성되어 있는 제 2연결지지체(136) 끝단에 각각 형성하고, 제 1연결지지체(131)의 일측에 제 2연결지지체(136)를 소정 지지점을 중심으로 제자리 회동 가능케 결합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여기서 제 1연결지지체(131)와 제 1연결지지체(131)의 일측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제 2연결지지체(136)는 연결지지부(130)에 해당된다. 이렇게 하는 경우 적은 힘으로도 난잎을 절단할 수 있다. 또, 제 1연결지지체(131)와 제 2연결지지체(136)는 제 1절단날부(110)와 제 2절단날부(120)에 대해 대략 ㄱ자 형태로 꺾어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 이유는 단지, 제 1절단날부(110)와 제 2절단날부(120)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난잎 커터를 이용하는 경우 난잎 끝단을 소정의 곡선형태로 예쁘게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번의 동작으로 난잎 끝모양으로 절단할 수 있어 편리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직선절단날부를 더 형성하여 난잎을 직선으로 절단할 수도 있다.
Claims (4)
- 난잎을 절단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난잎 커터에 있어서,상기 난잎 끝단모양의 절단날이 형성되어 있는 제 1절단날부;상기 제 1절단날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된 제 2절단날부; 및상기 제 1절단날부와 제 2절단날부를 연결하여 제 1, 제 2절단날부 상호간의 간격을 조정 가능케 지지하는 연결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잎 커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부는 ㄷ자 모양으로 절곡 되어 상기 제 1절단날부와 제 2절단날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난잎 커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제 1절단날부에 연결되고 일단에 제 1손잡이가 형성된 제 1연결지지체와, 상기 제 2절단날부에 연결되고 일단에 형성된 제 2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제 1연결지지체의 일측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결합된 제 2연결지지체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잎 커터.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절단날부와 제 2절단날부는 각각 2이상 형성되어 있고, 직선절단을 위한 직선절단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잎 커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3759U KR200224356Y1 (ko) | 2000-12-01 | 2000-12-01 | 난잎 커터 |
JP2001148705A JP2002172279A (ja) | 2000-12-01 | 2001-05-18 | 蘭葉カッタ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3759U KR200224356Y1 (ko) | 2000-12-01 | 2000-12-01 | 난잎 커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24356Y1 true KR200224356Y1 (ko) | 2001-05-15 |
Family
ID=19672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33759U KR200224356Y1 (ko) | 2000-12-01 | 2000-12-01 | 난잎 커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002172279A (ko) |
KR (1) | KR200224356Y1 (ko) |
-
2000
- 2000-12-01 KR KR2020000033759U patent/KR20022435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
- 2001-05-18 JP JP2001148705A patent/JP2002172279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2172279A (ja) | 2002-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438442S1 (en) | Knife blade | |
US5529130A (en) | Root cutter | |
USD404485S (en) | Surgical saw blade hub | |
JP2001238890A5 (ko) | ||
US5421090A (en) | Structure of scissors | |
KR200224356Y1 (ko) | 난잎 커터 | |
USD347150S (en) | Cutting blade for rotating cutters | |
USD458280S1 (en) | Knives for an agricultural cutterhead | |
US2249515A (en) | Shear | |
USD361026S (en) | Patterned scissors | |
USD371728S (en) | Bagel cutter guide | |
USD407622S (en) | Asymmetric handle for folding scissors | |
USD403944S (en) | Asymmetric handle for folding scissors | |
KR200402940Y1 (ko) | 주방용 가위 | |
DE60130886D1 (de) | Schneidmesser zum schneiden von lebensmitteln | |
USD1025727S1 (en) | Pruning shears with axial offset handles | |
KR200184844Y1 (ko) | 햄칼 | |
CA2286915A1 (en) | Knife for cutting tuberous plants, mainly potatoes, into rods or other shapes | |
KR200155081Y1 (ko) | 화훼용 전정가위 | |
KR200217336Y1 (ko) | 줄기 절단구조를 갖는 오이 재배기 | |
GB1597108A (en) | Device for decoratively cutting fruit and vegetables | |
JP3001781U (ja) | 葱調理器 | |
KR930007451Y1 (ko) | 전지가위 | |
JP2571612Y2 (ja) | 植木鋏 | |
KR200266605Y1 (ko) | 가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