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3839A - 조작 장치, 작업 차량, 및 조작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조작 장치, 작업 차량, 및 조작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3839A
KR20230043839A KR1020237002503A KR20237002503A KR20230043839A KR 20230043839 A KR20230043839 A KR 20230043839A KR 1020237002503 A KR1020237002503 A KR 1020237002503A KR 20237002503 A KR20237002503 A KR 20237002503A KR 20230043839 A KR20230043839 A KR 20230043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function
screen
uni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2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스케 카와구치
카즈키 타무라
쇼고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43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8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K37/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02F9/2012Setting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levers, e.g. changing assigned functions among operations levers, setting functions dependent on the operator or seat orien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4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60K2360/1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for controlling multipl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60K2360/113Scrolling through menu i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60K2360/115Selection of menu i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26Rotatable input devices for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31Pivotable input devices for instruments
    • B60K2370/1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조작 장치(1)는 다이얼(12)과, 표시부(22)와, 할당부(320)를 구비한다. 다이얼(12)은 회전 조작을 접수한다. 할당부(320)는 엔진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엔진 조작 기능과, 표시부(22)에 표시된 화면에 따른 조작을 행하는 화면 조작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다이얼(12)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할당한다. 할당부(320)는 엔진(501)을 시동시키는 키 스위치가 온이 된 것에 따라서,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을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조작 장치, 작업 차량, 및 조작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조작 장치, 작업 차량, 및 조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작업기는 표시 장치와, 저그 다이얼을 구비한다. 저그 다이얼은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표시 항목의 조작을 한다. 표시 장치와 저그 다이얼은 운전석에 착좌한 오퍼레이터가 동일 시계 내에서 시인 가능한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표시 장치를 보면서 저그 다이얼을 조작 가능하며, 직감적으로 표시 장치의 조작을 하기 쉽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9-11675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작업기에서는, 저그 다이얼 이외에 엔진의 회전수를 조절하기 위한 저그 다이얼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부품점수가 증가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작 장치, 작업 차량, 및 조작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조작 장치는 다이얼과, 표시부와, 할당부를 구비한다. 다이얼은 회전 조작을 접수한다. 할당부는 엔진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엔진 조작 기능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화면에 따른 조작을 행하는 화면 조작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상기 다이얼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할당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작업 차량은 상기 조작 장치와, 작업을 실행하는 작업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의하면, 조작 제어 방법은 다이얼과 표시부를 구비하는 조작 장치에 있어서 실행된다. 조작 제어 방법은 엔진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엔진 조작 기능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화면에 따른 조작을 행하는 화면 조작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상기 다이얼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할당하는 스텝과, 상기 다이얼이 회전 조작을 접수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작 장치, 작업 차량, 및 조작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의 상부 선회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의 다이얼 조작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의 다이얼 조작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의 표시부 및 복수의 누름 버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 1에 의한 작업 차량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의 다이얼에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는 것에 따라서 표시되는 제 1 기능 통지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의 다이얼에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의 다이얼 조작부의 점등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의 다이얼에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 다이얼의 조작에 따라서 표시되는 회전수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의 다이얼에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는 것에 따라서 표시되는 제 2 기능 통지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의 다이얼에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의 다이얼 조작부의 점등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실행되는 조작 제어 방법의 일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실행되는 조작 제어 방법의 다른 일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화면 전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실행되는 제 1 화면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화면 전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실행되는 제 2 화면 제어 방법의 일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실행되는 제 2 화면 제어 방법의 다른 일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100)을 설명한다. 이하, 작업 차량(100)이 유압 셔블인 경우를 예로 들어서 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유압 셔블은 건설 기계의 일례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100)의 상부 선회체(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에서는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상부 선회체(200)의 지붕을 생략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차량(100)은 상부 선회체(200)를 구비한다. 상부 선회체(200)는 하부 주행체(400)(후술의 도 4)에 대하여 선회한다. 상부 선회체(200)는 유압 펌프(600)(후술의 도 4) 및 유압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선회한다. 상부 선회체(200)에는 작업기(300)(후술의 도 4)가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선회체(200)는 조작 장치(1)와, 조종실(205)과, 좌석(210)과, 복수의 조작 레버(220)와, 배치 부재(230)를 구비한다.
조종실(205)에는 조작 장치(1), 좌석(210), 복수의 조작 레버(220), 및 배치 부재(230)가 배치된다. 좌석(210)에는 조작자가 착좌한다. 조작자는 작업 차량(100)의 조종자이다. 복수의 조작 레버(220) 각각은 조작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한다. 조작 레버(220)는 작업 차량(100)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이다.
조작 장치(1)는 조작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고, 작업 차량(100)의 조작, 작업 차량(100)에 대한 각종 정보의 입력, 및 작업 차량(100)에 관한 각종 정보의 표시를 실행한다. 조작 장치(1)는 다이얼 조작부(10)와, 조작부(20)를 구비한다.
다이얼 조작부(10)는 조작자로부터의 회전 조작을 접수한다. 다이얼 조작부(10)는 조작자로부터의 압박 조작을 접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얼 조작부(10)는 배치 부재(230)에 배치된다. 배치 부재(230)에 다이얼 조작부(10)를 배치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는, 배치 부재(230)의 형상 및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다이얼 조작부(10)는 다이얼(12)을 구비한다. 다이얼 조작부(10)는 적어도 1개의 스위치(14)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이얼 조작부(10)는 복수의 스위치(14)(예를 들면, 3개의 스위치(14))를 구비한다. 스위치(14)는 다이얼(12)의 이웃에 배치되어, 조작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한다. 다이얼(12) 및 각 스위치(14)의 상세는 후술한다. 스위치(14)는 「조작자」 또는 「제 1 조작자」의 일례에 상당한다.
조작부(2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조작자로부터의 압박 조작을 접수한다. 조작부(20)는 표시부(22)와, 적어도 1개의 누름 버튼(24)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부(20)는 복수의 누름 버튼(24)(예를 들면, 6개의 누름 버튼(24))을 구비한다. 누름 버튼(24)은 「제 2 조작자」의 일례에 상당한다. 표시부(22)는 작업 차량(100)에 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22)는 작업 차량(100)의 상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또는 카메라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부(22)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디스플레이이다. 표시부(22)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각 누름 버튼(24)은 GUI의 위젯으로서 표시부(22)에 표시되어도 좋다.
이어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다이얼 조작부(10)를 설명한다. 도 2a는 다이얼 조작부(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다이얼 조작부(1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얼 조작부(10)는 베이스 부재(17)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부재(17)에는 다이얼(12)과, 복수의 스위치(14)가 배치된다. 베이스 부재(17)에 다이얼(12) 및 스위치(14)를 배치할 수 있는 한은 베이스 부재(17)의 형상 및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이얼(12)은 조작자로부터의 회전 조작을 접수한다. 그 결과, 다이얼(12)은 회전한다. 다이얼(12)은, 예를 들면 조작자에 의해 쥐어지는 다이얼 본체와, 회전축과, 다이얼 본체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회전 센서를 구비한다. 다이얼 본체는, 예를 들면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갖는다. 회전 센서는, 예를 들면 로터리 인코더이다.
다이얼(12)은 회전 조작뿐만 아니라, 조작자로부터의 압박 조작을 접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이얼(12)은 누름 버튼으로서도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얼(12)에는 엔진 조작 기능과 화면 조작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이 선택적으로 할당된다. 엔진 조작 기능이란, 엔진(501)(후술의 도 4)의 회전수를 조절(제어)하는 기능의 것이다. 화면 조작 기능이란, 표시부(22)에 표시된 화상에 따른 조작을 행하는 기능의 것이다. 즉, 화면 조작 기능이란, 표시부(22)에 표시된 화면을 조작하는 기능의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 장치(1)는 1개의 다이얼(12)에 의해, 엔진(501)의 회전수의 조절과, 표시부(22)에 표시된 화면에 따른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엔진(501)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다이얼과, 표시부(22)에 표시된 화면에 따른 조작을 행하는 다이얼을 각각 구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작 장치(1)의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다이얼(12)에 의해 조작 장치(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엔진(501)의 회전수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 조작과 표시부(22)의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회전 조작에서 다이얼(12)을 공용한다. 따라서, 엔진(501)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경우와 표시부(22)의 화면을 조작하는 경우에서, 회전 조작을 행하는 다이얼(12)의 위치가 같다. 그 결과, 다이얼(12)의 조작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다이얼(12)을 조작 레버(220)의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조작자는 다이얼(12)의 회전 조작과 조작 레버(220)의 조작의 연계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스위치(14) 중 스위치(14A)는 다이얼(12)에 할당하는 기능을, 엔진 조작 기능과 화면 조작 기능 사이에서 변경하는 것을 지시하는 조작자이다. 따라서, 조작자는 스위치(14A)를 조작함으로써 다이얼(12)에 할당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스위치(14A)는 아이콘(16A)을 갖는다. 아이콘(16A)은 스위치(14A)가 다이얼(12)에 할당하는 기능을 변경하기 위한 조작자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복수의 스위치(14) 중 스위치(14B)는 표시부(22)에 초기 화면(SCA)(후술의 도 3)을 표시시키는 것을 지시하는 조작자이다. 따라서, 조작자는 스위치(14B)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부(22)에 대하여 즉시 초기 화면(SCA)을 표시시킬 수 있다. 스위치(14B)의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위치(14B)는 아이콘(16B)을 갖는다. 아이콘(16B)은 스위치(14B)가 초기 화면(SCA)을 표시시키기 위한 조작자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복수의 스위치(14) 중 스위치(14C)는 표시부(22)에 표시 중인 화면으로부터 1개 앞의 화면으로 되돌리는 것을 지시하는 조작자이다. 따라서, 조작자는 스위치(14C)를 조작함으로써 1개 앞의 화면을 표시부(22)에 용이하게 표시시킬 수 있다. 스위치(14C)의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위치(14C)는 아이콘(16C)을 갖는다. 아이콘(16C)은 스위치(14C)가 1개 앞의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조작자인 것을 나타낸다.
특히, 스위치(14A∼14C)는 다이얼(12)의 이웃에 배치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다이얼(12) 및 스위치(14A∼14C)를 조작하기 쉽다. 또한, 스위치(14A∼14C)는 일정 방향으로 늘어서서 배치된다.
이하, 스위치(14A), 스위치(14B), 및 스위치(14C)를 각각 할당 변경 스위치(14A), 초기 화면 스위치(14B), 및 되돌아가기 스위치(14C)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장치(1)는 표식(LB1)과 표식(LB2) 중 적어도 1개의 표식을 갖는다. 표식(LB1) 및 표식(LB2) 각각은 다이얼(12)이 엔진 조작 기능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자는 표식(LB1) 또는 표식(LB2)에 의해, 다이얼(12)이 엔진 조작 기능을 갖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표식(LB1)은 다이얼(12)의 이웃에 배치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표식(LB1)이 다이얼(12)에 관한 표식인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2b의 예에서는, 표식(LB1)은 배치 부재(230)에 배치된다. 또한, 표식(LB1)은 예를 들면, 베이스 부재(17)에 배치되어도 좋다.
한편, 표식(LB2)은 다이얼(12)에 배치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표식(LB2)이 다이얼(12)에 관한 표식인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2b의 예에서는, 표식(LB2)은 다이얼(12)의 상면에 배치된다.
또한, 표식(LB1) 및 표식(LB2)은 예를 들면, 각인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도장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표시부(22) 및 누름 버튼(24)을 설명한다. 도 3은 표시부(22) 및 복수의 누름 버튼(24)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22)는 초기 화면(SCA)을 표시한다. 초기 화면(SCA)은 시각 표시 영역(50)과, 할당 기능 표시 영역(52)과, 가동 시간 표시 영역(54)과, 연료 정보 표시 영역(56)과, 카메라 영상 표시 영역(58)과, 아이콘 표시 영역(60)과, 옵션 정보 표시 영역(62)과, 회전수 표시 영역(64)과, 피선택 영역(65)을 포함한다.
시각 표시 영역(50)에는 시각이 표시된다. 할당 기능 표시 영역(52)에는 다이얼(12)에 할당된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된다. 할당 기능 표시 영역(52)의 상세는 후술한다. 가동 시간 표시 영역(54)에는 작업 차량(100)의 가동 시간이 표시된다. 연료 정보 표시 영역(56)에는 엔진(501)의 연료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예를 들면, 연료 정보 표시 영역(56)에는 엔진(501)의 연료의 잔량 및 가동 가능 시간이 표시된다. 카메라 영상 표시 영역(58)에는 작업 차량(100)에 탑재된 백카메라의 영상이 표시된다. 아이콘 표시 영역(60)에는 작업 차량(100)의 각 기능 및 각 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아이콘이 표시된다. 옵션 정보 표시 영역(62)에는 작업 차량(100)에 관한 옵션 정보가 표시된다. 회전수 표시 영역(64)에는 엔진(501)의 회전수가 표시된다.
피선택 영역(65)은 조작자에 의해 선택되기 위한 영역이다. 구체적으로는, 피선택 영역(65)은 적어도 1개의 피선택부(66)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선택 영역(65)은 복수의 피선택부(66)(예를 들면, 6개의 피선택부(66))를 포함한다. 복수의 피선택부(66)는 일직선 상에 배치된다. 피선택부(66)는, 예를 들면 오브젝트이다. 복수의 피선택부(66)의 일부 또는 전부에, 예를 들면 화면의 조작에 관한 기능 또는 작업 차량(100)에 대한 설정에 관한 기능이 할당된다. 도 3의 예에서는, 초기 화면(SCA)에 대응한 기능이 각 피선택부(66)에 할당되어 있지만, 표시부(22)에 다른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화면에 대응한 기능이 각 피선택부(66)에 할당된다. 초기 화면(SCA)에 있어서 1개의 피선택부(66)의 선택이 확정되면, 표시부(22)는 피선택부(66)에 할당된 기능에 따른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복수의 누름 버튼(24)이 복수의 피선택부(66)에 각각 대응해서 배치된다. 복수의 누름 버튼(24)은 일직선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이얼 조작부(10)에 의한 표시부(22)의 조작은 금지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초기 화면(SCA)에 있어서 누름 버튼(24)이 압하되면, 누름 버튼(24)에 대응하는 피선택부(66)의 선택이 확정된다.
한편, 다이얼(12)에 대하여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이얼 조작부(10)에 의한 표시부(22)의 조작이 허가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표시부(22)는 초기 화면(SCA)에 있어서, 복수의 피선택부(66) 중 1개의 피선택부(66)에 커서(이하, 「커서(CS)」라고 기재한다)를 표시한다. 커서(CS)는 피선택부(66)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이다. 광의적으로는, 커서(CS)는 대상이 선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이다. 커서(CS)는, 예를 들면 특정의 색채를 갖는다. 그리고, 다이얼(12)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커서(CS)가 이동하여, 선택되는 피선택부(66)가 변경된다. 또한, 다이얼(12)에 대하여 압박 조작이 행해지면, 피선택부(66)의 선택이 확정된다. 또한, 다이얼(12)에 대하여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라도,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누름 버튼(24)에 의한 피선택부(66)의 선택의 확정이 가능하다.
이하, 복수의 피선택부(66)를 구별해서 설명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피선택부(66)를 각각 피선택부(66A), (66B), (66C), (66D), (66E), (66F)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복수의 누름 버튼(24)을 구별해서 설명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누름 버튼(24)을 각각 누름 버튼(24A), (24B), (24C), (24D), (24E), (24F)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피선택부(66A∼66F)에 각각 일대일로 대응해서 누름 버튼(24A∼24F)이 배치된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작업 차량(100)을 설명한다. 도 4는 작업 차량(1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차량(100)은 조작 장치(1) 및 상부 선회체(200)에 추가해서, 작업기(300)와, 하부 주행체(400)와, 블레이드(미도시)와, 엔진부(500)와, 유압 펌프(600)와, 컨트롤 밸브(700)와, 오일 탱크(800)를 더 구비한다. 또한, 조작 장치(1)는 주 제어 장치(30)를 더 구비한다. 주 제어 장치(30)는, 예를 들면 상부 선회체(200)의 내부이며, 다이얼 조작부(10) 및 조작부(20)와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다.
작업기(300)는 작업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기(300)는 버킷(미도시)과, 암(미도시)과, 붐(미도시)과, 복수의 유압 실린더(미도시)를 구비한다.
하부 주행체(400)의 상부에는 스위블 조인트(미도시)를 통해서 상부 선회체(200)가 배치된다. 하부 주행체(400)는 주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주행체(400)는 한쌍의 크롤러(미도시)와, 한쌍의 유압 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엔진부(500)는 엔진(501)과, 엔진 제어 장치(503)를 구비한다. 엔진 제어 장치(503)는 엔진(501)을 제어한다. 엔진 제어 장치(503)는, 예를 들면 ECU(Electronic Control Unit)이다. 엔진(501)에는 연료 탱크(미도시)로부터 연료가 공급된다.
엔진(501)은 유압 펌프(600)를 구동한다. 그 결과, 유압 펌프(600)는 압유를 컨트롤 밸브(700)로 송출한다. 압유란, 압력이 가해진 오일의 것이다. 컨트롤 밸브(700)는 각 조작 레버(220)의 조작을 따라서, 압유의 흐름을 제어한다. 컨트롤 밸브(700)는 상부 선회체(200)의 유압 모터, 작업기(300)의 각 유압 실린더, 하부 주행체(400)의 각 유압 모터, 및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미도시)에 대하여 압유를 공급한다.
다이얼 조작부(10)는 다이얼(12)의 회전량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회전 조작 정보를 주 제어 장치(30)로 출력한다. 또한, 다이얼 조작부(10)는 다이얼(12)이 압박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압박 조작 정보(온 정보 또는 오프 정보)를 주 제어 장치(30)로 출력한다. 또한, 다이얼 조작부(10)는 스위치(14A∼14C)가 압하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온 정보 또는 오프 정보)를 주 제어 장치(30)로 출력한다.
다이얼 조작부(10)는 광 출사부(16)와, 백라이트(18)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출사부(16)는 서로 상이한 색의 가시광을 출사한다. 예를 들면, 광 출사부(16)는 서로 상이한 색의 가시광을 출사하는 적어도 2개의 발광 소자를 구비한다. 발광 소자는,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이다. 광 출사부(16)의 상세는 후술한다.
백라이트(18)는 스위치(14A∼14C)의 이면을 향해서 가시광을 출사한다. 예를 들면, 백라이트(18)는 스위치(14A)의 이면을 향해서 광을 출사하는 발광 소자와, 스위치(14B)의 이면을 향해서 광을 출사하는 발광 소자와, 스위치(14C)의 이면을 향해서 광을 출사하는 발광 소자를 구비한다. 또는, 예를 들면 백라이트(18)는 스위치(14A)의 이면을 향해서 광을 출사하는 발광 소자와, 스위치(14B)의 이면 및 스위치(14C)의 이면을 향해서 광을 출사하는 발광 소자를 구비한다. 발광 소자는, 예를 들면 LED이다. 백라이트(18)의 상세는 후술한다.
또한, 다이얼 조작부(10)는 광 출사부(16)와 백라이트(18) 중 일방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조작부(20)는 표시 제어 장치(26)와, 소리 출력부(28)를 더 구비한다. 표시 제어 장치(26)는 표시부(22)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 장치(26)는, 예를 들면 ECU이다. 소리 출력부(28)는 소리를 출력한다. 소리 출력부(28)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버저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 장치(26)는 제어부(261)와, 기억부(263)를 구비한다. 제어부(26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기억부(263)는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데이터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억부(263)는 반도체 메모리와 같은 주 기억 장치와, 반도체 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및/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한다. 기억부(263)는 리무버블 미디어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기억부(263)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의 일례에 상당한다.
제어부(261)는 표시부(22)에 표시된 화면의 조작에 따라서 입력 또는 설정된 각종 정보를 주 제어 장치(30)로 출력한다.
제어부(261)는 표시 제어부(265)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61)의 프로세서는 기억부(263)의 기억 장치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표시 제어부(265)로서 기능한다. 표시 제어부(265)는 표시부(22)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265)는 누름 버튼(24A∼24F)이 압하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온 정보 또는 오프 정보)에 따라서, 표시부(22)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265)의 상세는 후술한다.
주 제어 장치(30)는 다이얼 조작부(10), 조작부(20), 및 엔진부(500)를 제어한다. 주 제어 장치(30)는, 예를 들면 ECU이다.
구체적으로는, 주 제어 장치(30)는 제어부(32)와, 기억부(34)를 구비한다. 제어부(32)는 CPU와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기억부(34)는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데이터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기억부(34)의 하드웨어 구성은, 예를 들면 기억부(263)의 하드웨어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제어부(32)는 다이얼 조작부(10)로부터, 다이얼(12)의 회전 조작 정보 및 압박 조작 정보를 취득함과 아울러, 스위치(14A∼14C)의 조작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제어부(32)는 표시 제어 장치(26)의 제어부(261)로부터, 표시부(22)에 표시된 화면의 조작에 따라서 입력 또는 설정된 각종 정보를 취득한다.
제어부(32)는 할당부(32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2)의 프로세서는 기억부(34)의 기억 장치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할당부(320)로서 기능한다.
할당부(320)는 엔진(501)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엔진 조작 기능과, 표시부(22)에 표시된 화면에 따른 조작을 행하는 화면 조작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다이얼(12)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할당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엔진(501)의 회전수를 조절하기 위한 전용 다이얼과, 표시부(22)에 표시된 화면에 따른 조작을 행하기 위한 전용 다이얼을 각각 구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작 장치(1)의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다이얼(12)에 의해 조작 장치(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할당부(320)는 할당 변경 스위치(14A)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다이얼(12)에 대하여 할당되는 기능을 엔진 조작 기능과 화면 조작 기능 사이에서 스위칭한다. 그리고, 할당부(320)는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다이얼(12)에 대하여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부(34)의 특정 영역(이하, 「특정 영역(MEM1)」이라고 기재한다)에 기억시킨다.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특정 영역(MEM1)에 기억되어 있는 것은 다이얼(12)에 의한 엔진(501)의 회전수의 조절이 허가됨과 아울러, 다이얼(12)에 의한 표시부(22)의 화면의 조작이 금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다이얼(12)에 대하여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특정 영역(MEM1)에 기억되어 있는 것은 다이얼(12)에 의한 엔진(501)의 회전수의 조절이 금지됨과 아울러, 다이얼(12)에 의한 표시부(22)의 화면의 조작이 허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다이얼(12)에 대하여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할당부(320)는 초기 화면 스위치(14B) 및 되돌아가기 스위치(14C)의 조작 정보를 유효한 정보로서 접수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이얼(12)에 대하여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 다이얼 조작부(10)에 대하여 조작부(20)의 누름 버튼(24A∼24F)과 동등의 조작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얼(12)에 대하여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할당부(320)는 다이얼(12)의 회전 조작 정보 및 압박 조작 정보를 유효한 정보로서 접수한다.
한편,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할당부(320)는 초기 화면 스위치(14B) 및 되돌아가기 스위치(14C)의 조작 정보를 무효한 정보로서 접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다이얼(12)에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 표시부(22)의 화면의 조작에 관한 초기 화면 스위치(14B) 및 되돌아가기 스위치(14C)를 무효로 함으로써, 조작자에 대하여 다이얼(12)에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할당부(320)는 다이얼(12)의 회전 조작 정보를 유효한 정보로서 접수하고, 다이얼(12)의 압박 조작 정보를 무효한 정보로서 접수하지 않는다.
또한, 할당부(320)는 다이얼(12)에 대하여 할당되어 있는 기능에 관계없이 할당 변경 스위치(14A)의 조작 정보를 유효한 정보로서 접수한다.
또한,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 조작부(20)의 표시 제어부(265)가 초기 화면 스위치(14B) 및 되돌아가기 스위치(14C)의 조작 정보, 및 다이얼(12)의 압박 조작 정보를 무효한 정보로서 접수하지 않도록 동작해도 좋다.
또한, 할당부(320)는 엔진(501)을 시동시키는 키 스위치가 온이 된 것에 따라서,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을 할당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자는 다이얼(12)을 조작함으로써 키 스위치를 온으로 하고 나서 즉시 엔진(501)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작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할당부(320)는 엔진부(5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할당부(320)는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엔진(501)의 회전수를 다이얼(12)의 회전 조작 정보에 따른 회전수로 조절(설정)하도록 엔진 제어 장치(503)를 제어한다. 그 결과, 엔진 제어 장치(503)는 엔진(501)의 회전수를 다이얼(12)의 회전 조작 정보에 따른 회전수로 조절(설정)한다.
또한, 할당부(320)는 조작부(2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할당부(320)는 다이얼(12)에 대하여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다이얼(12)에 대하여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다이얼(12)의 회전 조작 정보 및 압박 조작 정보, 및 초기 화면 스위치(14B) 및 되돌아가기 스위치(14C)의 조작 정보를 표시 제어 장치(26)의 제어부(261)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261)의 표시 제어부(265)는 다이얼(12)의 회전 조작 정보 및 압박 조작 정보, 및 초기 화면 스위치(14B) 및 되돌아가기 스위치(14C)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부(22)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65)는 누름 버튼(24A∼24F)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부(22)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한다.
한편, 할당부(320)는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 제어 장치(26)의 제어부(261)로 출력한다. 이 경우, 할당부(320)는 다이얼(12)의 회전 조작 정보 및 압박 조작 정보, 및 초기 화면 스위치(14B) 및 되돌아가기 스위치(14C)의 조작 정보를 표시 제어 장치(26)의 제어부(261)로 출력하지 않는다.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61)의 표시 제어부(265)는 누름 버튼(24A∼24F)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부(22)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한다.
표시 제어 장치(26)의 제어부(261)는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다이얼(12)에 대하여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부(263)의 특정 영역(이하, 「특정 영역(MEM2)」이라고 기재한다)에 기억시킨다.
계속해서, 도 2a 및 도 4를 참조하여 다이얼(12)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의 통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광 출사부(16)는 할당부(320)의 제어를 받아, 다이얼(12)에 있어서, 다이얼(12)에 할당된 기능을 시각에 의해 인식 가능하게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광 출사부(16)는 할당부(320)의 제어를 받아, 다이얼(12)의 기단부(12A)에 있어서,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경우와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경우에서 상이한 색의 가시광을 출사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자는 다이얼(12)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광 출사부(16)는 「기능 통지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예를 들면, 광 출사부(16)는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경우에, 할당부(320)의 제어를 받아, 다이얼(12)의 기단부(12A)와 베이스 부재(17)의 간극으로부터 제 1 색(예를 들면, 백색)의 가시광을 출사한다. 한편, 예를 들면 광 출사부(16)는 다이얼(12)에 대하여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경우에, 할당부(320)의 제어를 받아, 다이얼(12)의 기단부(12A)와 베이스 부재(17)의 간극으로부터, 제 2 색(예를 들면, 청색)의 가시광을 출사한다.
이어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다이얼(12)에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경우의 조작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a는 다이얼(12)에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는 것에 따라서 표시되는 제 1 기능 통지 화상(7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다이얼(12)에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의 다이얼 조작부(10)의 점등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4에 나타내는 표시 제어부(265)는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것에 따라서, 제 1 기능 통지 화상(70)을 일시적으로 표시하도록 표시부(22)를 제어한다. 그 결과, 표시부(22)는 제 1 기능 통지 화상(70)을 일시적으로 표시한다. 제 1 기능 통지 화상(70)은 엔진 조작 기능이 다이얼(12)에 대하여 할당된 것을 나타낸다. 제 1 기능 통지 화상(70)은 「제 1 기능 통지 정보」의 일례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자는 제 1 기능 통지 화상(70)을 봄으로써 다이얼(12)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이 엔진 조작 기능인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265)는 「기능 통지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조작자는 제 1 기능 통지 화상(70)의 일시적인 표시 후에, 제 1 기능 통지 화상(70)의 배면에 위치하는 화상을 다시 시인할 수 있다. 특히, 도 5a의 예에서는, 표시부(22)는 제 1 기능 통지 화상(70)을 카메라 영상 표시 영역(58)에 일시적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조작자는 제 1 기능 통지 화상(70)의 일시적인 표시 후에, 카메라 영상 표시 영역(58)에 표시된 영상을 다시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a의 예에서는, 초기 화면(SCA)에 제 1 기능 통지 화상(70)이 표시되지만, 다른 화면이어도 마찬가지로, 표시부(22)는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것에 따라서, 제 1 기능 통지 화상(70)을 일시적으로 표시한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4에 나타내는 백라이트(18)는 할당부(320)의 제어를 받아, 할당 변경 스위치(14A)의 아이콘(16A)의 이면을 향해서 가시광을 조사하고, 아이콘(16A)을 점등함으로써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백라이트(18)는 할당부(320)의 제어를 받아, 초기 화면 스위치(14B)의 아이콘(16B)의 이면 및 되돌아가기 스위치(14C)의 아이콘(16C)의 이면을 향해서 가시광을 조사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할당 변경 스위치(14A)의 아이콘(16A)만이 점등한다. 그 결과, 조작자는 다이얼(12)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이 엔진 조작 기능인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백라이트(18)는 「기능 통지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도 5b의 예에서는, 백라이트(18)는 다이얼(12)의 이웃에 배치되는 아이콘(16A)의 이면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다이얼(12)에 할당된 기능을 시각에 의해 인식 가능하게 통지한다. 즉, 백라이트(18)는 다이얼(12)의 이웃에 있어서, 다이얼(12)에 할당된 기능을 시각에 의해 인식 가능하게 통지한다. 따라서, 다이얼(12)과 통지 위치(즉, 아이콘(16A)의 위치)가 가까우므로, 조작자는 다이얼(12)에 관한 통지가 행해져 있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엔진(501)의 회전수의 통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다이얼(12)에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 표시부(22)에 표시되는 회전수 화상(75)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22)는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표시 제어부(265)의 제어를 받아, 다이얼(12)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회전수 화상(75)을 일시적으로 표시한다. 회전수 화상(75)은 엔진(501)의 회전수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자는 회전수 화상(75)을 봄으로써 다이얼(12)에 의한 조작에 의해 엔진(501)의 회전수가 소망의 회전수로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회전수 화상(75)은 「회전수 정보」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조작자는 회전수 화상(75)의 일시적인 표시 후에, 회전수 화상(75)의 배면에 위치하는 화상을 다시 시인할 수 있다. 특히, 도 6의 예에서는 표시부(22)는 회전수 화상(75)을 카메라 영상 표시 영역(58)에 일시적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조작자는 회전수 화상(75)의 일시적인 표시 후에, 카메라 영상 표시 영역(58)에 표시된 영상을 다시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는 초기 화면(SCA)에 회전수 화상(75)이 표시되지만, 다른 화면이어도 마찬가지로, 표시부(22)는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이얼(12)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회전수 화상(75)을 일시적으로 표시한다.
이어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다이얼(12)에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경우의 조작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a는 다이얼(12)에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는 것에 따라서 표시되는 제 2 기능 통지 화상(8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다이얼(12)에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의 다이얼 조작부(10)의 점등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4에 나타내는 표시 제어부(265)는 다이얼(12)에 대하여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것에 따라서, 제 2 기능 통지 화상(80)을 일시적으로 표시하도록 표시부(22)를 제어한다. 그 결과, 표시부(22)는 제 2 기능 통지 화상(80)을 일시적으로 표시한다. 제 2 기능 통지 화상(80)은 화면 조작 기능이 다이얼(12)에 대하여 할당된 것을 나타낸다. 제 2 기능 통지 화상(80)은 「제 2 기능 통지 정보」의 일례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자는 제 2 기능 통지 화상(80)을 봄으로써 다이얼(12)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이 화면 조작 기능인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자는 제 2 기능 통지 화상(80)의 일시적인 표시 후에, 제 2 기능 통지 화상(80)의 배면에 위치하는 화상을 다시 시인할 수 있다. 특히, 도 7a의 예에서는, 표시부(22)는 제 2 기능 통지 화상(80)을 카메라 영상 표시 영역(58)에 일시적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조작자는 제 2 기능 통지 화상(80)의 일시적인 표시 후에, 카메라 영상 표시 영역(58)에 표시된 영상을 다시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a의 예에서는 초기 화면(SCA)에 제 2 기능 통지 화상(80)이 표시되지만, 다른 화면이어도 마찬가지로, 표시부(22)는 다이얼(12)에 대하여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것에 따라서, 제 2 기능 통지 화상(80)을 일시적으로 표시한다.
또한, 화면 조작 기능이 다이얼(12)에 대하여 할당되어 있는 경우, 표시부(22)는 표시 제어부(265)의 제어를 받아, 초기 화면(SCA)의 피선택부(66A∼66F) 중 1개에 커서(CS)를 표시한다. 도 7a에서는, 커서(CS)는 해칭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또한, 표시부(22)는 표시 제어부(265)의 제어를 받아, 다이얼(12)의 회전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피선택부(66A∼66F) 상에서 커서(CS)를 이동한다. 그리고, 다이얼(12)이 압박된 것을 다이얼(12)의 압박 조작 정보가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 표시 제어부(265)는 커서(CS)가 위치하는 피선택부(66)의 선택을 확정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65)는 선택이 확정된 피선택부(66)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22)를 제어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65)는 표시부(22)를 제어함으로써 화면 조작 기능이 다이얼(12)에 대하여 할당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기능 통지 화상(82)을, 화면 조작 기능이 다이얼(12)에 대하여 할당되어 있는 기간에 걸쳐 표시하도록 표시부(22)를 제어한다. 따라서, 표시부(22)는 화면 조작 기능이 다이얼(12)에 대하여 할당되어 있는 기간에 걸쳐 기능 통지 화상(82)을 표시한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자는 화면 조작 기능이 다이얼(12)에 대하여 할당되어 있는 기간에 걸쳐, 다이얼(12)에 대하여 할당되어 있는 기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7a의 예에서는, 표시부(22)는 표시 제어부(265)의 제어를 받아, 할당 기능 표시 영역(52)에 기능 통지 화상(82)을 표시한다. 기능 통지 화상(82)은 「기능 통지 정보」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65)는 표시부(22)를 제어함으로써 엔진 조작 기능이 다이얼(12)에 대하여 할당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기능 통지 화상을, 엔진 조작 기능이 다이얼(12)에 대하여 할당되어 있는 기간에 걸쳐 표시하도록 표시부(22)를 제어해도 좋다.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4에 나타내는 백라이트(18)는 할당부(320)의 제어를 받아, 할당 변경 스위치(14A)의 아이콘(16A)의 이면과, 초기 화면 스위치(14B)의 아이콘(16B)의 이면과, 되돌아가기 스위치(14C)의 아이콘(16C)의 이면을 향해서 가시광을 조사하고, 아이콘(16A∼16C)을 점등함으로써 다이얼(12)에 대하여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다이얼(12)에 대하여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든 아이콘(16A∼16C)이 점등한다. 그 결과, 조작자는 다이얼(12)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이 화면 조작 기능인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7b의 예에서는, 백라이트(18)는 다이얼(12)의 이웃에 배치되는 아이콘(16A∼16C)의 이면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다이얼(12)에 할당된 기능을 시각에 의해 인식 가능하게 통지한다. 즉, 백라이트(18)는 다이얼(12)의 이웃에 있어서, 다이얼(12)에 할당된 기능을 시각에 의해 인식 가능하게 통지한다. 따라서, 다이얼(12)과 통지 위치(즉, 아이콘(16A∼16C)의 위치)가 가까우므로, 조작자는 다이얼(12)에 관한 통지가 행해져 있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상, 도 4, 도 5a, 도 5b,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표시 제어부(265), 광 출사부(16), 및 백라이트(18)는 엔진 조작 기능과 화면 조작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이 다이얼(12)에 할당되어 있는지를 시각에 의해 인식 가능하게 통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자는 다이얼(12)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265), 광 출사부(16), 및 백라이트(18)뿐만 아니라, 표시부(22)도 「기능 통지부」라고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소리 출력부(28)가 할당부(320)의 제어를 받아, 엔진 조작 기능과 화면 조작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이 다이얼(12)에 할당되어 있는지를 음성에 의해 인식 가능하게 통지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조작자는 다이얼(12)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작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작업 차량(100)(조작 장치(1))에 있어서 실행되는 조작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제어 방법은 스텝 S1∼스텝 S18을 포함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 S1에 있어서 작업 차량(100)의 키 스위치가 온으로 된다.
이어서, 스텝 S2에 있어서 엔진(501)이 시동한다.
이어서, 스텝 S3에 있어서 할당부(320)는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을 할당한다.
이어서, 스텝 S4에 있어서 표시부(22)는 다이얼(12)에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것을 나타내는 제 1 기능 통지 화상(70)(도 5a)을 일시적으로 표시한다.
이어서, 스텝 S5에 있어서 광 출사부(16)는 다이얼(12)의 기단부(12A)에 있어서, 다이얼(12)에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것을 나타내는 제 1 색의 가시광을 출사한다.
이어서, 스텝 S6에 있어서 백라이트(18)는 할당 변경 스위치(14A)를 점등함과 아울러, 초기 화면 스위치(14B) 및 되돌아가기 스위치(14C)를 소등한다.
이어서, 스텝 S7에 있어서 할당부(320)는 다이얼(12)의 회전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다이얼(12)이 회전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7은 「다이얼이 회전 조작을 접수하는 스텝」의 일례에 상당한다.
스텝 S7에서 다이얼(12)이 회전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0으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7에서 다이얼(12)이 회전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8로 진행된다.
스텝 S8에 있어서, 할당부(320)는 엔진 제어 장치(503)를 통해서, 다이얼(12)의 회전 조작 정보에 따라서 엔진(501)의 회전수를 조절한다.
이어서, 스텝 S9에 있어서 표시부(22)는 엔진(501)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회전수 화상(75)(도 6)을 일시적으로 표시한다.
이어서, 스텝 S10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65)는 조작부(20)의 누름 버튼(24A∼24F)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부(22)의 화면을 조작(제어)한다.
이어서, 스텝 S11에 있어서 할당부(320)는 할당 변경 스위치(14A)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할당 변경 스위치(14A)가 압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에서 할당 변경 스위치(14A)가 압하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7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11에서 할당 변경 스위치(14A)가 압하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도 9의 스텝 S12로 진행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 S12에 있어서 할당부(320)는 다이얼(12)에 대하여 화면 조작 기능을 할당한다.
이어서, 스텝 S13에 있어서 표시부(22)는 다이얼(12)에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것을 나타내는 제 2 기능 통지 화상(80)(도 7a)을 일시적으로 표시한다.
이어서, 스텝 S14에 있어서 표시부(22)는 다이얼(12)에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것을 나타내는 기능 통지 화상(82)(도 7a)을 다이얼(12)에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기간에 걸쳐 계속해서 표시한다.
이어서, 스텝 S15에 있어서 광 출사부(16)는 다이얼(12)의 기단부(12A)에 있어서, 다이얼(12)에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것을 나타내는 제 2 색의 가시광을 출사한다.
이어서, 스텝 S16에 있어서 백라이트(18)는 할당 변경 스위치(14A), 초기 화면 스위치(14B), 및 되돌아가기 스위치(14C)를 점등한다.
이어서, 스텝 S17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65)는 다이얼(12)의 회전 조작 정보 및 압박 조작 정보, 초기 화면 스위치(14B)의 조작 정보, 되돌아가기 스위치(14C)의 조작 정보, 및 누름 버튼(24A∼24F)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부(22)의 화면을 조작(제어)한다. 스텝 S17은 「다이얼이 회전 조작을 접수하는 스텝」의 일례에 상당한다.
이어서, 스텝 S18에 있어서 할당부(320)는 할당 변경 스위치(14A)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할당 변경 스위치(14A)가 압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8에서 할당 변경 스위치(14A)가 압하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7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18에서 할당 변경 스위치(14A)가 압하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도 8의 스텝 S3으로 진행된다.
이상,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작 제어 방법에 의하면, 엔진(501)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엔진 조작 기능과, 표시부(22)에 표시된 화면에 따른 조작을 행하는 화면 조작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다이얼(12)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할당한다(스텝 S3, S12). 따라서, 작업 차량(100)에 있어서 조작 제어 방법이 실행됨으로써 엔진(501)의 회전수를 조절하기 위한 전용 다이얼과, 표시부(22)에 표시된 화면에 따른 조작을 행하기 위한 전용 다이얼을 각각 구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작 장치(1)의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다이얼(12)에 의해 조작 장치(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여 표시부(22)에 있어서의 화면의 전이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0은 표시부(22)에 있어서의 화면의 전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22)는 표시 제어부(265)의 제어를 받아, 제 1 설정 화면(SCB)을 표시한다. 제 1 설정 화면(SCB)은 복수의 항목 선택부(85)와, 커서(CS)를 포함한다. 도 10에서는, 커서(CS)가 해칭에 의해 나타내어져 있다. 항목 선택부(85)는 조작부(20)에 대하여 설정되는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영역이다.
이하, 도 10 및 후술의 도 11의 설명에 있어서, 「결정」을 나타내는 피선택부(66F)에 대응하는 누름 버튼(24F)(도 3)을 「결정 버튼(24F)」이라고 기재하고, 「되돌아가기」를 나타내는 피선택부(66A)에 대응하는 누름 버튼(24A)(도 3)을 「되돌아가기 버튼(24A)」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우선, 다이얼(12)에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서, 주로 다이얼 조작부(10)에 의한 조작에만 착목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부(22)는 표시 제어부(265)의 제어를 받아,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표시부(22)는 커서(CS)를, 다이얼(12)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복수의 항목 선택부(85) 상을 이동시킨다. 도 10의 예에서는, 「일시 설정」을 나타내는 항목 선택부(85)에 커서(CS)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일시 설정」을 나타내는 항목 선택부(85)가 선택되어 있다.
그리고, 다이얼(12)이 압박되면, 항목 선택부(85)의 선택이 확정된다. 그 결과, 표시부(22)는 제 1 설정 화면(SCB)을 항목 선택부(85)가 나타내는 항목에 따른 제 2 설정 화면(SCC)으로 변경한다. 즉, 표시부(22)는 제 1 설정 화면(SCB)으로부터 제 2 설정 화면(SCC)으로 전이시킨다.
제 2 설정 화면(SCC)은 복수의 수치 입력부(87)와, 복수의 아이콘(89)과, 커서(CS)를 포함한다. 수치 입력부(87)는 수치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다. 수치 입력부(87)마다 한쌍의 아이콘(89)이 배치된다.
표시부(22)는 커서(CS)를, 다이얼(12)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복수의 수치 입력부(87) 상을 이동시킨다. 도 10의 예에서는, 「20」이 입력된 수치 입력부(87)에 커서(CS)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20」이 입력된 수치 입력부(87)가 선택되어 있다.
한편, 제 2 설정 화면(SCC)에서는, 표시부(22)는 다이얼(12)의 회전 조작에 의한 수치 입력부(87)의 수치의 변경을 실행하지 않는다. 아이콘(89)은 다이얼(12)의 회전 조작에 의해 수치 입력부(87)의 수치를 변경할 수 없는 것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 2 설정 화면(SCC)에서는, 다이얼(12)의 회전 조작은 복수의 수치 입력부(87)로부터 1개의 수치 입력부(87)를 선택하기 위해서만 접수된다.
그리고, 다이얼(12)이 압박되면 표시부(22)는 제 2 설정 화면(SCC)을 제 3 설정 화면(SCD)으로 변경한다. 즉, 표시부(22)는 제 2 설정 화면(SCC)으로부터 제 3 설정 화면(SCD)으로 전이시킨다.
제 3 설정 화면(SCD)의 구성은 제 2 설정 화면(SCC)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단, 제 3 설정 화면(SCD)에서는, 표시부(22)는 선택된 수치 입력부(87)에 있어서, 다이얼(12)의 회전 조작에 의한 수치의 변경을 실행한다. 또한, 제 3 설정 화면(SCD)에서는, 선택된 수치 입력부(87)를 끼우는 한쌍의 아이콘(89A)은 다이얼(12)의 회전 조작에 의해 수치 입력부(87)의 수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 3 설정 화면(SCD)에서는, 표시부(22)는 선택된 수치 입력부(87)에 있어서, 피선택부(66C, 66D)에 대응하는 누름 버튼(24C, 24D)(도 3)의 조작에 따라서 수치의 변경을 실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다이얼(12)이 압박되거나, 또는 다이얼 조작부(10)의 되돌아가기 스위치(14C)(도 2b)가 압하되면, 표시부(22)는 제 3 설정 화면(SCD)을 제 2 설정 화면(SCC)으로 변경한다. 즉, 표시부(22)는 제 3 설정 화면(SCD)으로부터 제 2 설정 화면(SCC)으로 전이시킨다.
또한, 다이얼 조작부(10)의 되돌아가기 스위치(14C)가 압하되면, 표시부(22)는 제 2 설정 화면(SCC)을 제 1 설정 화면(SCB)으로 변경한다. 즉, 표시부(22)는 제 2 설정 화면(SCC)으로부터 제 1 설정 화면(SCB)으로 전이시킨다.
이어서, 다이얼(12)에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표시부(22)는 표시 제어부(265)의 제어를 받아,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표시부(22)는 커서(CS)를, 피선택부(66B∼66E)에 대응하는 누름 버튼(24B∼24E)(도 3)의 조작에 따라서 복수의 항목 선택부(85) 상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결정 버튼(24F)이 압하되면, 항목 선택부(85)의 선택이 확정된다. 그 결과, 표시부(22)는 제 1 설정 화면(SCB)을 제 2 설정 화면(SCC)으로 변경한다. 즉, 표시부(22)는 제 1 설정 화면(SCB)으로부터 제 2 설정 화면(SCC)으로 전이시킨다.
제 2 설정 화면(SCC)에 있어서, 표시부(22)는 커서(CS)를, 피선택부(66B, 66E)에 대응하는 누름 버튼(24B, 24E)(도 3)의 조작에 따라서 복수의 수치 입력부(87) 상을 이동시킨다.
또한, 제 2 설정 화면(SCC)에서는, 표시부(22)는 선택된 수치 입력부(87)에 있어서, 피선택부(66C, 66D)에 대응하는 누름 버튼(24C, 24D)(도 3)의 조작에 따라서 수치의 변경을 실행한다. 따라서, 다이얼(12)에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표시부(22)는 제 2 설정 화면(SCC)으로부터 제 3 설정 화면(SCD)으로의 변경을 실행하지 않는다. 즉, 다이얼(12)에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표시부(22)는 제 3 설정 화면(SCD)을 표시하지 않는다.
그리고, 되돌아가기 버튼(24A)이 압하되면, 표시부(22)는 제 2 설정 화면(SCC)을 제 1 설정 화면(SCB)으로 변경한다. 즉, 표시부(22)는 제 2 설정 화면(SCC)으로부터 제 1 설정 화면(SCB)으로 전이시킨다.
또한, 다이얼(12)에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라도, 누름 버튼(24A∼24F)(도 3)은 제 1 설정 화면(SCB) 및 제 2 설정 화면(SCC)에 있어서, 다이얼(12)에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와 같은 기능을 갖고, 표시부(22)는 누름 버튼(24A∼24F)의 조작에 따라서 화면을 표시한다.
이상,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이얼(12)에 대하여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정보(이하, 「정보(F1)」라고 기재한다)를 입력 또는 설정하기 위한 제 2 설정 화면(SCC)이 표시되어 있는 기간에 있어서, 다이얼(12)이 압박 조작을 접수한 것에 따라서, 표시부(22)는 제 2 설정 화면(SCC)을, 정보(F1)를 입력 또는 설정하기 위한 제 3 설정 화면(SCD)으로 변경한다. 한편,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제 2 설정 화면(SCC)으로부터 제 3 설정 화면(SCD)으로의 변경은 실행되지 않는다. 제 2 설정 화면(SCC)은 「제 1 화면」의 일례에 상당하고, 제 3 설정 화면(SCD)은 「제 2 화면」의 일례에 상당한다.
즉, 다이얼(12)에 대하여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정보(F1)를 입력 또는 설정하기 위한 전용의 제 3 설정 화면(SCD)이 추가로 준비된다. 따라서, 다이얼 조작부(10)의 조작의 자유도가 조작부(20)의 조작의 자유도보다 작은 경우라도, 다이얼(12)에 대하여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와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서, 적어도 제 2 설정 화면(SCC)을 공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작자에 의한 화면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b의 예에서는 다이얼 조작부(10)의 조작의 자유도는 「4」이다. 즉, 다이얼 조작부(10)의 조작의 자유도로서는, 다이얼(12)의 시계 방향의 회전 조작과, 반시계 방향의 회전 조작과, 압박 조작과, 되돌아가기 스위치(14C)의 압하 조작이 있다. 또한, 도 3의 예에서는 조작부(20)의 조작의 자유도는 「6」이다. 즉, 조작부(20)의 조작의 자유도로서, 6개의 누름 버튼(24A∼24F) 각각의 압하 조작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이얼 조작부(10)의 조작의 자유도가 조작부(20)의 조작의 자유도보다 작은 것을, 다이얼(12)에 대하여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 제 3 설정 화면(SCD)을 추가로 준비함으로써 보충하고 있다.
이어서, 도 4,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화면 전이를 행하는 경우의 제 1 화면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작업 차량(100)(조작 장치(1))에 있어서 실행되는 제 1 화면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 1 화면 제어 방법은 다이얼(12)에 대하여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의 화면 제어 방법이다. 또한,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서, 할당 변경 스위치(14A) 및 초기 화면 스위치(14B)는 조작되지 않는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화면 제어 방법은 스텝 S31∼스텝 S39를 포함한다.
스텝 S31에 있어서, 표시부(22)는 표시 제어부(265)의 제어를 받아, 제 1 설정 화면(SCB)을 표시한다.
이어서, 스텝 S32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65)는 다이얼(12)의 회전 조작 정보 및 압박 조작 정보, 되돌아가기 스위치(14C)의 조작 정보, 및 누름 버튼(24A∼24F)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부(22)에 표시된 제 1 설정 화면(SCB)을 조작(제어)한다.
이어서, 스텝 S33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65)는 다이얼(12)의 압박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다이얼(12)이 압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65)는 결정 버튼(24F)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결정 버튼(24F)이 압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3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32로 진행된다. 부정 판정은 다이얼(12)이 압박되지 않고, 또한 결정 버튼(24F)이 압하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것을 나타낸다.
한편, 스텝 S33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34로 진행된다. 긍정 판정은 다이얼(12)이 압박되거나, 또는 결정 버튼(24F)이 압하되었다고 판정된 것을 나타낸다.
스텝 S34에 있어서, 표시부(22)는 표시 제어부(265)의 제어를 받아, 제 2 설정 화면(SCC)을 표시한다.
이어서, 스텝 S35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65)는 다이얼(12)의 회전 조작 정보 및 압박 조작 정보, 되돌아가기 스위치(14C)의 조작 정보, 및 누름 버튼(24A∼24E)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부(22)에 표시된 제 2 설정 화면(SCC)을 조작(제어)한다.
이어서, 스텝 S36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65)는 다이얼(12)의 압박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다이얼(12)이 압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6에서 다이얼(12)이 압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40으로 진행된다.
스텝 S40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65)는 되돌아가기 스위치(14C) 및 되돌아가기 버튼(24A)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되돌아가기 스위치(14C) 또는 되돌아가기 버튼(24A)이 압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40에서 되돌아가기 스위치(14C) 및 되돌아가기 버튼(24A)이 압하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35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40에서 되돌아가기 스위치(14C) 또는 되돌아가기 버튼(24A)이 압하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31로 진행된다.
또한, 스텝 S36에서 다이얼(12)이 압박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37로 진행된다.
스텝 S37에 있어서, 표시부(22)는 표시 제어부(265)의 제어를 받아, 제 3 설정 화면(SCD)을 표시한다.
이어서, 스텝 S38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65)는 다이얼(12)의 회전 조작 정보 및 압박 조작 정보, 되돌아가기 스위치(14C)의 조작 정보, 및 누름 버튼(24A, 24C, 24D)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부(22)에 표시된 제 3 설정 화면(SCD)을 조작(제어)한다.
이어서, 스텝 S39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65)는 다이얼(12)의 압박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다이얼(12)이 압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65)는 되돌아가기 스위치(14C) 및 되돌아가기 버튼(24A)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되돌아가기 스위치(14C) 또는 되돌아가기 버튼(24A)이 압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9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38로 진행된다. 부정 판정은 다이얼(12)이 압박되지 않고, 또한 되돌아가기 스위치(14C) 및 되돌아가기 버튼(24A)이 압하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것을 나타낸다.
한편, 스텝 S39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34로 진행된다. 긍정 판정은 다이얼(12)이 압박되거나, 되돌아가기 스위치(14C)가 압하되거나, 또는 되돌아가기 버튼(24A)이 압하되었다고 판정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다이얼(12)에 대하여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의 화면 제어 방법에서는, 스텝 S36∼S39는 실행되지 않고, 스텝 S35 후에 스텝 S40이 실행된다. 또한, 이 경우, 화면 제어 방법에 있어서는, 다이얼 조작부(10)에 의해서는 화면의 조작은 행해지지 않고, 누름 버튼(24A∼24F)만으로 화면의 조작이 행해진다.
이어서, 도 4 및 도 12를 참조하여 표시부(22)에 있어서의 화면의 전이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표시부(22)에 있어서의 화면의 전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22)는 표시 제어부(265)의 제어를 받아, 제 1 기능 조작 화면(SCE)을 표시한다. 제 1 기능 조작 화면(SCE)은 작업 차량(100)에 관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하는 화면이다. 작업 차량(100)은 「기계」의 일례에 상당한다.
제 1 기능 조작 화면(SCE)은 복수의 항목 선택부(95)와, 커서(CS)를 포함한다. 도 12에서는, 커서(CS)가 해칭에 의해 나타내어져 있다. 항목 선택부(95)는 작업 차량(100)에 관한 기능의 대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영역이다.
이하, 도 12 및 후술의 도 13, 도 14의 설명에 있어서, 「결정」 또는 「리셋」을 나타내는 피선택부(66F)에 대응하는 누름 버튼(24F)(도 3)을 「결정 버튼(24F)」이라고 기재하고, 「되돌아가기」를 나타내는 피선택부(66A)에 대응하는 누름 버튼(24A)(도 3)을 「되돌아가기 버튼(24A)」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다이얼(12)에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서, 주로 다이얼 조작부(10)에 의한 조작에만 착목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부(22)는 표시 제어부(265)의 제어를 받아,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표시부(22)는 커서(CS)를, 다이얼(12)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복수의 항목 선택부(95) 상을 이동시킨다. 도 12의 예에서는, 「시간 확인과 리셋」을 나타내는 항목 선택부(95)에 커서(CS)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시간 확인과 리셋」을 나타내는 항목 선택부(95)가 선택되어 있다.
그리고, 다이얼(12)이 압박되면, 항목 선택부(95)의 선택이 확정된다. 그 결과, 표시부(22)는 제 1 기능 조작 화면(SCE)을 항목 선택부(95)가 나타내는 항목에 따른 제 2 기능 조작 화면(SCF)으로 변경한다. 즉, 표시부(22)는 제 1 기능 조작 화면(SCE)으로부터 제 2 기능 조작 화면(SCF)으로 전이시킨다.
제 2 기능 조작 화면(SCF)은 작업 차량(100)에 관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하는 화면이다. 제 2 기능 조작 화면(SCF)은 복수의 항목 선택부(97)와, 복수의 대상 표시부(98)와, 커서(CS)를 포함한다. 항목 선택부(97)는 작업 차량(100)에 관한 기능의 소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영역이다. 복수의 대상 표시부(98)는 복수의 항목 선택부(97)에 각각 대응해서 배치된다. 대상 표시부(98)는 항목 선택부(97)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기능의 실행 대상을 표시한다.
표시부(22)는 커서(CS)를, 다이얼(12)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복수의 항목 선택부(97) 상을 이동시킨다. 도 12의 예에서는, 「엔진 오일」을 나타내는 항목 선택부(97)에 커서(CS)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엔진 오일」을 나타내는 항목 선택부(97)가 선택되어 있다.
그리고, 다이얼(12)이 압박되면, 표시부(22)는 제 2 기능 조작 화면(SCF)을 제 3 기능 조작 화면(SCG)으로 변경한다. 즉, 표시부(22)는 제 2 기능 조작 화면(SCF)으로부터 제 3 기능 조작 화면(SCG)으로 전이시킨다.
제 3 기능 조작 화면(SCG)은 작업 차량(100)에 관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하는 화면이다. 제 3 기능 조작 화면(SCG)의 구성은 제 2 기능 조작 화면(SCF)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단, 제 3 기능 조작 화면(SCG)은 메시지 화상(101)을 포함한다. 도 12의 예에서는, 메시지 화상(101)은 복수의 항목 선택부(97) 및 복수의 대상 표시부(98)에 겹쳐서 표시되어 있다. 메시지 화상(101)은 실행하는 기능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와, 기능의 실행의 최종 확인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제 3 기능 조작 화면(SCG)에서는, 커서(CS)는 무효로 된다. 따라서, 제 3 기능 조작 화면(SCG)에서는, 커서(CS)의 위치는 변경할 수 없다.
또한, 표시부(22)는 제 2 기능 조작 화면(SCF)으로부터 제 3 기능 조작 화면(SCG)으로의 전이에 따라서, 제 3 기능 조작 화면(SCG)의 피선택 영역(65)에 커서(CSX)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부(22)는 제 2 기능 조작 화면(SCF)으로부터 제 3 기능 조작 화면(SCG)으로의 전이에 따라서, 「결정」을 나타내는 피선택부(66F)와 상이한 피선택부(66A∼66E)에 커서(CSX)를 표시한다. 도 12의 예에서는, 표시부(22)는 「되돌아가기」를 나타내는 피선택부(66A)에 커서(CSX)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 3 기능 조작 화면(SCG)에 있어서, 표시부(22)는 커서(CSX)를, 다이얼(12)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복수의 피선택부(66A∼66F) 상을 이동시킨다.
또한, 커서(CSX)가 「결정」을 나타내는 피선택부(66F)에 위치하고, 피선택부(66F)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다이얼(12)이 압박되면, 표시 제어 장치(26)의 제어부(261) 또는 주 제어 장치(30)의 제어부(32)는 항목 선택부(95, 97)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기능을 실행한다. 도 12의 예에서는, 대상 표시부(98)에 표시된 정보가 변경(예를 들면, 리셋)된다. 표시부(22)는 기능의 실행 결과를 표시한다.
한편, 제 3 기능 조작 화면(SCG)에 있어서 「되돌아가기」를 나타내는 피선택부(66A)에 커서(CSX)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다이얼(12)이 압박되면, 표시부(22)는 제 3 기능 조작 화면(SCG)을 제 2 기능 조작 화면(SCF)으로 변경한다. 즉, 표시부(22)는 제 3 기능 조작 화면(SCG)으로부터 제 2 기능 조작 화면(SCF)으로 전이시킨다. 따라서, 조작자가 다이얼(12)을 연타함으로써 제 1 기능 조작 화면(SCE)부터 제 3 기능 조작 화면(SCG)까지 한번에 전이시킨 경우라도, 과도하게 기능이 실행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연타란 다이얼(12)의 압박 조작을 연속해서 반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이얼(12)에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이거나,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라도, 제 1 기능 조작 화면(SCE)∼제 3 기능 조작 화면(SCG)에 있어서, 누름 버튼(24A∼24F)에 의해, 피선택 영역(65)의 피선택부(66A∼66F)에 따른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상,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표시부(22)에 표시된 화면이 다이얼(12)의 압박 조작에 따라서 제 2 기능 조작 화면(SCF)으로부터 제 3 기능 조작 화면(SCG)으로 변경되어, 제 3 기능 조작 화면(SCG)이 표시부(22)에 표시되어 있는 기간에 있어서, 다이얼(12)이 회전 조작을 접수하기 전에 다시 압박 조작을 접수한 경우, 표시부(22)는 제 3 기능 조작 화면(SCG)을 제 2 기능 조작 화면(SCF)으로 변경한다. 따라서, 조작자에 의한 다이얼(12)의 연타에 의해 과도하게 항목 선택부(95, 97)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기능이 실행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기능 조작 화면(SCF)은 「제 3 화면」의 일례에 상당하고, 제 3 기능 조작 화면(SCG)은 「제 4 화면」의 일례에 상당한다.
이어서, 도 4 및 도 12∼도 14를 참조하여 도 12에 나타내는 화면 전이를 행하는 경우의 제 2 화면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작업 차량(100)(조작 장치(1))에 있어서 실행되는 제 2 화면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 2 화면 제어 방법은 다이얼(12)에 대하여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의 화면 제어 방법이다. 또한,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서, 할당 변경 스위치(14A) 및 초기 화면 스위치(14B)는 조작되지 않는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화면 제어 방법은 스텝 S51∼스텝 S63을 포함한다.
스텝 S51에 있어서, 표시부(22)는 표시 제어부(265)의 제어를 받아, 제 1 기능 조작 화면(SCE)을 표시한다.
이어서, 스텝 S52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65)는 다이얼(12)의 회전 조작 정보 및 압박 조작 정보, 되돌아가기 스위치(14C)의 조작 정보, 및 누름 버튼(24A∼24C, 24F)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부(22)에 표시된 제 1 기능 조작 화면(SCE)을 조작(제어)한다.
이어서, 스텝 S53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65)는 다이얼(12)의 압박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다이얼(12)이 압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65)는 결정 버튼(24F)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결정 버튼(24F)이 압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53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52로 진행된다. 부정 판정은 다이얼(12)이 압박되지 않고, 또한 결정 버튼(24F)이 압하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것을 나타낸다.
한편, 스텝 S53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54로 진행된다. 긍정 판정은 다이얼(12)이 압박되거나, 또는 결정 버튼(24F)이 압하되었다고 판정된 것을 나타낸다.
스텝 S54에 있어서, 표시부(22)는 표시 제어부(265)의 제어를 받아, 제 2 기능 조작 화면(SCF)을 표시한다.
이어서, 스텝 S55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65)는 다이얼(12)의 회전 조작 정보 및 압박 조작 정보, 되돌아가기 스위치(14C)의 조작 정보, 및 누름 버튼(24A∼24C, 24F)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부(22)에 표시된 제 2 기능 조작 화면(SCF)을 조작(제어)한다.
이어서, 스텝 S56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65)는 다이얼(12)의 압박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다이얼(12)이 압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65)는 결정 버튼(24F)의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결정 버튼(24F)이 압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56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55로 진행된다. 부정 판정의 내용은 스텝 S53의 부정 판정의 내용과 같다.
한편, 스텝 S56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처리는 도 14의 스텝 S57로 진행된다. 긍정 판정의 내용은 스텝 S53의 긍정 판정의 내용과 같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 S57에 있어서 표시부(22)는 표시 제어부(265)의 제어를 받아, 제 3 기능 조작 화면(SCG)을 표시한다. 이 경우, 표시부(22)는 커서(CS)를 무효로 하고, 커서(CSX)를, 「되돌아가기」를 나타내는 피선택부(66A)에 표시한다.
이어서, 스텝 S58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65)는 다이얼(12)의 회전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다이얼(12)이 회전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58에서 다이얼(12)이 회전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61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58에서 다이얼(12)이 회전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59로 진행된다.
스텝 S59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65)는 다이얼(12)의 압박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다이얼(12)이 압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59에서 다이얼(12)이 압박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도 13의 스텝 S54로 진행된다. 그 결과, 표시부(22)에 표시된 화면은 제 3 기능 조작 화면(SCG)으로부터 제 2 기능 조작 화면(SCF)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텝 S59에서 다이얼(12)이 압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60으로 진행된다.
스텝 S60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65)는 다이얼(12)의 회전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다이얼(12)이 회전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60에서 다이얼(12)이 회전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다이얼(12)이 회전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스텝 S60에서 다이얼(12)이 회전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61로 진행된다.
스텝 S61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65)는 커서(CSX)가 「결정」을 나타내는 피선택부(66F)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다이얼(12)이 압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65)는 「결정」을 나타내는 피선택부(66F)에 대응하는 결정 버튼(24F)이 압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61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63으로 진행된다. 부정 판정의 내용은 스텝 S53의 부정 판정의 내용과 같다.
스텝 S63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65)는 커서(CSX)가 「되돌아가기」를 나타내는 피선택부(66A)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다이얼(12)이 압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65)는 「되돌아가기」를 나타내는 피선택부(66A)에 대응하는 되돌아가기 버튼(24A) 또는 되돌아가기 스위치(14C)가 압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63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60으로 진행된다. 부정 판정은 다이얼(12)이 압박되지 않고, 또한 되돌아가기 버튼(24A) 및 되돌아가기 스위치(14C)가 압하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것을 나타낸다.
한편, 스텝 S63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처리는 도 13의 스텝 S54로 진행된다. 긍정 판정은 다이얼(12)이 압박되거나, 되돌아가기 버튼(24A)이 압하되거나, 또는 되돌아가기 스위치(14C)가 압하되었다고 판정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스텝 S61에서 긍정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62로 진행된다. 긍정 판정의 내용은 스텝 S53의 긍정 판정의 내용과 같다.
스텝 S62에 있어서, 표시 제어 장치(26)의 제어부(261) 또는 주 제어 장치(30)의 제어부(32)는 항목 선택부(95, 97)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기능을 실행한다. 표시부(22)는 표시 제어부(265)의 제어를 받아, 기능의 실행 결과를 표시한다. 그리고,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단,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형태에 있어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기 (1)∼(5)의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복수의 구성 요소는 적당히 개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소정 실시형태에 나타내어지는 전 구성 요소 중 소정 구성 요소를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 요소에 추가해도 좋고, 또는 소정 실시형태에 나타내어지는 전 구성 요소 중 몇개의 구성 요소를 실시형태로부터 삭제해도 좋다.
또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각각의 구성 요소를 주체에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고, 도시된 각 구성 요소의 두께, 길이, 개수, 간격 등은 도면 작성의 형편상으로부터 실제와는 상이한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각 구성 요소의 구성은 일례로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효과로부터 실질적으로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스텝 S4∼S6, S9, S13∼S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이며,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면, 스텝 S4∼S6 중 1개 또는 2개가 실행되어도 좋고, 스텝 S13∼S16 중 1개, 2개, 또는 3개가 실행되어도 좋다.
또한, 스텝 S4∼S6의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순서여도 좋으며, 병행하여 실행되어도 좋다. 스텝 S13∼S16의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순서여도 좋으며, 병행하여 실행되어도 좋다.
또한, 도 2b의 표식(LB1) 및 표식(LB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이며, 필수는 아니다. 또한, 조작 장치(1)는 표식(LB1) 및 표식(LB2) 중 1개를 갖고 있어도 좋다.
(2) 도 4에 있어서, 할당부(320) 및 표시 제어부(265)가 개별의 제어 장치(주 제어 장치(30), 표시 제어 장치(26))에 포함되어 있지만, 같은 제어 장치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할당부(320)를 실현하는 주 제어 장치(30) 및 표시 제어부(265)를 실현하는 표시 제어 장치(26)는 일례로서, 할당부(320) 및 표시 제어부(265)는 임의의 컴퓨터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3) 도 1의 조작부(20)는 조종실(205)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고, 조종실(205)에 대하여 착탈 가능이어도 좋다. 또한, 조작부(20)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과 같은 휴대 통신 단말이어도 좋다.
(4) 표시부(22)는 작업 차량(100)의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에러 화면을 표시해도 좋다. 그리고, 에러에 따른 버저를 정지하는 경우에는 다이얼(12)에 대하여 할당된 기능에 관계없이, 누름 버튼(24A∼24F) 중, 버저 정지에 대응하는 누름 버튼(24)을 압하함으로써 버저가 정지된다.
(5) 도 1∼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차량(100)의 일례로서, 유압 셔블을 예로 들었지만, 엔진(501)의 회전수를 다이얼(12)에 의해 조절하는 한에 있어서는, 작업 차량(100)은 유압 셔블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른 건설 기계여도 좋고, 농업 기계여도 좋다. 건설 기계는, 예를 들면 휠 로더 등의 로더, 또는 캐리어이다. 농업 기계는, 예를 들면 승용형 트랙터, 승용형 콤바인, 또는 승용형 전식기이다.
본 발명은 조작 장치, 작업 차량, 및 조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며,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 조작 장치 12: 다이얼
14A: 할당 변경 스위치 14B: 초기 화면 스위치(조작자)
14C: 되돌아가기 스위치(조작자) 16: 광 출사부(기능 통지부)
18: 백라이트(기능 통지부) 22: 표시부
70: 제 1 기능 통지 화상(제 1 기능 통지 정보)
75: 회전수 화상(회전수 정보)
80: 제 2 기능 통지 화상(제 2 기능 통지 정보)
82: 기능 통지 화상(기능 통지 정보) 100: 작업 차량
265: 표시 제어부(기능 통지부) 300: 작업기
320: 할당부 LB1, LB2: 표식
SCC: 제 2 설정 화면(제 1 화면) SCD: 제 3 설정 화면(제 2 화면)
SCF: 제 2 기능 조작 화면(제 3 화면)
SCG: 제 3 기능 조작 화면(제 4 화면)

Claims (14)

  1. 회전 조작을 접수하는 다이얼과,
    표시부와,
    엔진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엔진 조작 기능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화면에 따른 조작을 행하는 화면 조작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상기 다이얼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할당하는 할당부를 구비하는 조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부는 상기 엔진을 시동시키는 키 스위치가 온이 된 것에 따라서, 상기 다이얼에 대하여 상기 엔진 조작 기능을 할당하는 조작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조작 기능과 상기 화면 조작 기능 중, 어느 기능이 상기 다이얼에 할당되어 있는지를 시각에 의해 인식 가능하게 통지하는 기능 통지부를 더 구비하는 조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통지부는 상기 다이얼에 있어서, 또는 상기 다이얼의 이웃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에 할당된 기능을 시각에 의해 인식 가능하게 통지하는 조작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통지부는 상기 다이얼의 기단부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에 대하여 상기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경우와 상기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경우에서 상이한 색의 가시광을 출사하는 조작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통지부는 상기 다이얼에 대하여 상기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것에 따라서, 제 1 기능 통지 정보를 일시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기능 통지 정보는 상기 엔진 조작 기능이 상기 다이얼에 대하여 할당된 것을 나타내고,
    상기 기능 통지부는 상기 다이얼에 대하여 상기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된 것에 따라서, 제 2 기능 통지 정보를 일시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 2 기능 통지 정보는 상기 화면 조작 기능이 상기 다이얼에 대하여 할당된 것을 나타내는 조작 장치.
  7.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통지부는 상기 화면 조작 기능이 상기 다이얼에 대하여 할당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기능 통지 정보를 상기 화면 조작 기능이 상기 다이얼에 대하여 할당되어 있는 기간에 걸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조작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다이얼에 대하여 상기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다이얼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상기 엔진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회전수 정보를 일시적으로 표시하는 조작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이 상기 엔진 조작 기능을 갖는 것을 나타내는 표식을 갖고,
    상기 표식은 상기 다이얼의 이웃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다이얼에 배치되는 조작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의 이웃에 배치되어,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다이얼에 대하여 상기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상기 조작자의 조작 정보는 유효한 정보로서 접수되며,
    상기 다이얼에 대하여 상기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상기 조작자의 조작 정보는 무효한 정보로서 접수되지 않는 조작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에 대하여 상기 화면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 1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기간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이 압박 조작을 접수한 것에 따라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 1 화면을, 상기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 2 화면으로 변경하고,
    상기 다이얼에 대하여 상기 엔진 조작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 2 화면으로의 변경은 실행되지 않는 조작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화면이 상기 다이얼의 압박 조작에 따라서 제 3 화면으로부터 제 4 화면으로 변경되고, 상기 제 4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기간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이 회전 조작을 접수하기 전에 다시 압박 조작을 접수한 경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 4 화면을 상기 제 3 화면으로 변경하며,
    상기 제 3 화면 및 상기 제 4 화면 각각은 기계에 관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하는 화면인 조작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작 장치와,
    작업을 실행하는 작업기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
  14. 다이얼과 표시부를 구비하는 조작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조작 제어 방법으로서,
    엔진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엔진 조작 기능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화면에 따른 조작을 행하는 화면 조작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상기 다이얼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할당하는 스텝과,
    상기 다이얼이 회전 조작을 접수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조작 제어 방법.
KR1020237002503A 2020-07-30 2021-07-21 조작 장치, 작업 차량, 및 조작 제어 방법 KR202300438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29243A JP2022026000A (ja) 2020-07-30 2020-07-30 操作装置、作業車両、および、操作制御方法
JPJP-P-2020-129243 2020-07-30
PCT/JP2021/027290 WO2022024913A1 (ja) 2020-07-30 2021-07-21 操作装置、作業車両、および、操作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839A true KR20230043839A (ko) 2023-03-31

Family

ID=8003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2503A KR20230043839A (ko) 2020-07-30 2021-07-21 조작 장치, 작업 차량, 및 조작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58018A1 (ko)
EP (1) EP4190617A1 (ko)
JP (1) JP2022026000A (ko)
KR (1) KR20230043839A (ko)
CN (1) CN116171237A (ko)
WO (1) WO202202491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16754A (ja) 2017-12-27 2019-07-1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及び作業機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6990B2 (ja) * 2006-09-13 2010-04-07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スロットルボリューム装置
KR101879874B1 (ko) * 2012-01-30 2018-07-1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JP2016082953A (ja) * 2014-10-29 2016-05-19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323918B2 (ja) * 2016-08-25 2018-05-16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16754A (ja) 2017-12-27 2019-07-1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及び作業機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90617A1 (en) 2023-06-07
WO2022024913A1 (ja) 2022-02-03
JP2022026000A (ja) 2022-02-10
CN116171237A (zh) 2023-05-26
US20230358018A1 (en)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0367B2 (en) Operator interface for a work machine
KR101213342B1 (ko) 로봇에 이용하는 티칭 박스 및 커스터마이즈 방법과 이를이용한 로봇 시스템
CN109072588B (zh) 挖土机的显示装置
US10606303B2 (en) Control lever for a vehicle
JP5492525B2 (ja) 表示/制御システム、その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作画エディタ装置、プログラム
US10774504B2 (en) Input-output control mapping with corresponding splash screen
NO343307B1 (no) Brukergrensesnitt for fjellborerigg
US20220119233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materials handling and/or construction machine
JP4355542B2 (ja) 作業車両における制御装置
WO2020149409A1 (ja) 作業機械の制御装置、作業機械、及び作業機械の制御方法
JP2024050888A (ja) 作業機械
JP7264873B2 (ja) ショベル、情報処理装置
KR20230043839A (ko) 조작 장치, 작업 차량, 및 조작 제어 방법
EP0480036A1 (en) Device for displaying operation pattern of hydraulic excavator
JP2003341976A (ja) コントロ−ルパネル
KR20090065003A (ko) 태스크 플로우에 적합한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화상형성장치
JP5881557B2 (ja)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を備えた作業機操作システム
JP5841509B2 (ja)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を備えた作業機操作システム
WO2017110520A1 (ja) 表示装置
US20240157795A1 (en) Display Device And Construction Machine
JP2012096732A (ja) 建設機械の操作スイッチ制御装置
RU2781962C2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машина, в частности землеройно-транспортная машина с пультом обслуживания
JP2002067736A (ja) 表示装置
KR20230153359A (ko) 조작 장치 및 건설 기계
KR101591442B1 (ko) 태스크 플로우에 적합한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