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3090A -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3090A
KR20230043090A KR1020230036830A KR20230036830A KR20230043090A KR 20230043090 A KR20230043090 A KR 20230043090A KR 1020230036830 A KR1020230036830 A KR 1020230036830A KR 20230036830 A KR20230036830 A KR 20230036830A KR 20230043090 A KR20230043090 A KR 20230043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heater
reflector
reg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성
윤부근
박용종
이지영
하주영
한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43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2Reflectors for radiation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는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에 대한 반사율을 달리하는 복수의 영역이 포함된 열전달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조리대상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히터; 및 상기 히터와 마주보도록 마련되고, 상기 히터에서 발생된 열에 대한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열전달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COOK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장치는 한번에 한 종류의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조리온도와 시간이 요구되는 음식들이 일반적인 조리장치에서 한번에 조리될 경우, 어떤 음식은 덜 조리되고 어떤 음식은 과하게 조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조리온도, 조리시간 또는 조리법이 요구되는 여러 음식들이 일반적인 조리장치에서 적절하게 조리되기 위해서는 한번에 하나의 음식이 조리되어야 하므로 많은 조리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에 조리 시간의 절약과 에너지 절약을 위해, 서로 다른 조리온도, 조리시간 또는 조리법이 요구되는 여러 음식들이 한번에 조리될 수 있는 조리장치를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에 대한 반사율을 달리하는 복수의 영역이 포함된 열전달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조리대상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히터; 및 상기 히터와 마주보도록 마련되고, 상기 히터에서 발생된 열에 대한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열전달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열전달 조절장치는 상기 복수의 영역을 각각 투과한 전자기파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열전달 조절장치의 복수의 영역 간의 경계에 마련되어 입사되는 전자기파를 반사하는 반사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 조절장치는 상기 히터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 면 중 상기 복수의 영역 간의 경계에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된 반사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 조절장치는 서로 이격되어 마련된 상기 복수의 영역과 상기 복수의 영역 간의 열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격된 공간에 상기 히터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 면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마련된 반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 조절장치는 상기 복수의 영역에 각각 마련된,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은 상기 열전달 조절장치가 상기 히터와 마주보는 면 및 상기 마주보는 면의 반대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 조절장치의 복수의 영역은 각각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 조절장치의 복수의 영역은, 상기 히터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 면이 볼록한 형태를 갖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리대상의 조리상태를 감지하도록 마련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조리대상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마련된 적외선센서, 상기 조리대상에서 생성되는 가스를 감지하도록 마련된 가스센서 및 상기 조리대상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마련된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 조절장치를 통해 인가되는 열에 의해 조리되는 복수의 조리대상의 상태변화에 따라 상기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장치의 바닥면은 조리 대상이 놓여지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은 서로 다른 열 흡수율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은 상기 열전달 조절장치의 복수의 영역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은 상호 간의 열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서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은, 상기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 상호 간의 열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격된 공간에 미리 정해진 기준값 미만의 열전도율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장치는 바닥면의 하부에 상기 복수의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하부 반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반사장치의 복수의 영역은 서로 다른 열 반사율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 조절장치는 상기 히터에서 생성된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영역 및 상기 히터에서 생성된 전자기파가 통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전자기파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영역은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제1영역의 면적이 증가하면 제1영역의 증가된 부분에 인접한 제2영역의 면적은 감소되고, 제1영역의 면적이 감소하면 제1영역의 감소된 부분에 인접한 제2영역의 면적은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는 뚜껑; 및 조리장치의 히터에서 발생한 열에 대한 서로 다른 열전도도를 갖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복수의 영역은 상호 간의 열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서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이격된 공간에 미리 정해진 기준값 미만의 열전도율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은 조리장치의 히터에서 생성된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영역 및 상기 히터에서 생성된 전자기파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전자기파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영역은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제1영역의 면적이 증가하면 제1영역의 증가된 부분에 인접한 제2영역의 면적은 감소되고, 제1영역의 면적이 감소하면 제1영역의 감소된 부분에 인접한 제2영역의 면적은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는 뚜껑; 및 서로 다른 재질 또는 구조를 갖도록 마련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은 조리대상이 놓여지는 석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은 물이 담기도록 마련된 저수 공간 및 조리대상이 놓여질 수 있도록 상기 저수 공간의 상부에 마련되고 증기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조리장치의 센서에서 조리대상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조리대상들을 각각 조리하기 위한 복수의 히터 각각의 예상구동시간과 출력을 결정하고; 결정된 예상구동시간 중 어느 한 예상구동시간을 상기 복수의 히터의 구동시간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복수의 히터의 출력을 상기 결정된 복수의 히터의 구동시간에 기초하여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정된 예상구동시간 중 어느 한 예상구동시간을 상기 복수의 히터의 구동시간으로 결정하는 것은, 상기 결정된 예상구동시간 중 최대 예상구동시간을 복수의 히터의 구동시간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복수의 히터의 출력을 상기 결정된 복수의 히터의 구동시간에 기초하여 조절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히터 중 구동시간이 상기 결정된 최대 예상구동시간보다 짧은 히터의 경우, 상기 히터의 출력을 결정된 출력보다 낮은 출력으로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예상구동시간 중 어느 한 예상구동시간을 상기 복수의 히터의 구동시간으로 결정하는 것은, 상기 결정된 예상구동시간 중 최소 예상구동시간을 복수의 히터의 구동시간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복수의 히터의 출력을 상기 결정된 복수의 히터의 구동시간에 기초하여 조절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히터 중 구동시간이 상기 결정된 최소 예상구동시간보다 긴 히터의 경우, 상기 히터의 출력을 결정된 출력보다 높은 출력으로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복수의 히터; 상기 복수의 히터와 각각 마주보도록 마련되고, 상기 히터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 면이 볼록한 형태를 갖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장치에서 복수의 조리대상이 함께 조리될 수 있으므로 조리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장치에서 복수의 조리대상이 함께 조리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조리대상이 각각 조리될 때보다 소비되는 에너지가 저감될 수 있다.
도 1내지 도 3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장치를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장치를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장치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장치와 복수의 히터를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장치와 복수의 히터가 포함된 조리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6 및 도 17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바닥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바닥면 하부에 마련된 하부 반사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9 내지 도 21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를 도시한다.
도 22 및 도 23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가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1내지 도 3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장치를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장치를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도 9 및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장치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조리대상을 가열하여 음식의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예를 들면, 오븐, 전자레인지, 원적외선 조리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오븐을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2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케이스(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1), 케이스(1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13) 및 케이스(1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패널(14)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실(20)은 박스형태로 케이스(10) 내부에 마련되고 도어에 의해 전면이 개폐될 수 있다. 전면패널(11)은 전면이 개방된 조리실(20)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개구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실(20)은 조리실의 좌우측 벽에 돌출되도록 마련된 복수의 지지대(2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21)에는 조리대상이 놓여질 수 있는 랙(23)이 장착될 수 있다.
조리실(20)에는 조리대상을 가열시키는 히터(22)가 마련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히터(22)는 원적외선과 같은 전자기파를 생성하여 조리대상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히터(22)는 전기 저항체를 포함하는 전기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자기파를 생성하여 조리대상을 가열하는 히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히터의 하부에는 히터에서 생성되는 열의 조리대상으로의 전달을 조절하는 열전달 조절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열전달 조절장치는 열의 반사, 투과, 전도 등을 조절하여 히터에서 생성된 열의 조리대상으로의 전달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22)의 하부에는 열전달 조절장치로 히터(22)에서 생성된 전자기파에 대한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반사장치(100)가 마련될 수 있다. 반사장치(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된다. 또한, 조리장치(1)는 조리실 내부에 조리대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센서(5)를 포함한다. 센서(5)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도 후술된다.
조리실(20)의 후방에는 조리실(20)의 공기를 순환시켜 조리물이 골고루 가열되도록 하는 순환 팬(25)과, 순환 팬(25)을 구동시키는 순환 모터(24)가 마련될 수 있다. 순환 팬(25)의 전방에는 순환 팬(25)을 커버하는 팬 커버(26)가 마련될 수 있으며, 팬 커버(26)에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통공(27)이 형성된다.
도어는 케이스(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케이스(10) 하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어는 케이스(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
도어는 조리실(20) 내부의 조리대상의 조리 과정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유리(42)와 같은 투명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유리는 복수 개가 도어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는 유리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는 전방 도어 프레임(41a)과 후방 도어 프레임(41b)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는 하단에 도어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기 유입구(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의 하단에서 유입된 외기는 도어 내부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조리실(20)에서 전달되는 열기와 열교환 된 후 후방 도어 프레임(41b)에 마련되는 공기 토출구(45)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공기의 순환을 통해 도어 내부의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도어는 도어의 개폐를 위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도어 전면의 상단에 마련된 핸들(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가 케이스(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힌지 결합될 경우, 핸들(50)은 이에 대응하여 도어의 전면의 우측 또는 좌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핸들(50)은 도어(40)의 전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핸들(50)은 도어(4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핸들 지지부(51)와, 한 쌍의 핸들 지지부(51)를 연결하는 핸들 연장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장치(1)는 전면패널(11)의 전면 상부에 조리장치(1)의 각종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6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0)는 전장실 커버(15)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60)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ystal Display)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een Panel: TSP)을 채용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동작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한 좌표를 검출하는 터치 패널(touch panel), 터치 패널이 검출한 접촉 좌표를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한 제여 명령을 판단하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는 터치 패널을 통하여 검출하는 사용자의 터치 좌표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하는 제어 명령의 좌표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조리장치(1)는 전장실 커버(15)에 조리장치(1)의 동작을 위한 추가적인 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작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60)을 포함한 각종 부속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장품이 수용되는 전장실(7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장실(70)은 조리실(2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70)과 조리실(20)의 사이에는 조리실(20)의 열기가 전장실(7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장실(70)과 조리실(20)을 단열하는 단열재(7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단열재(71)는 전장실(70)과 조리실(20) 뿐만 아니라 조리실(20)의 열기가 조리장치(1)의 외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조리실(20) 외측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리장치(1)는 조리실(20) 주위에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전장실(70)을 냉각시키는 냉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장치(1)의 냉각 구조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냉각팬 유닛(72)과, 냉각팬 유닛(72)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조리장치(1)의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냉각 유로(73)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의 공기는 후면패널(14)에 형성된 통공(14a)을 통해 전장실(70)로 흡입되고, 전장실(70)로 흡입된 공기는 전장실(70) 내부를 유동하며 전장품을 냉각시킨 후에 냉각 유로(73)를 따라 토출구(74)를 통해 조리장치(1)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조리실(20)의 일부 공기는 배기유로(75)를 통해 냉각 유로(73)측으로 흡입되어 조리장치(1)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냉각 유로(73)에서 토출구(74)로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를 배기 유로(75)로 유입시키는 바이패스 홀(76)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바이패스 홀(76)은 개폐 장치(77)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바이패스 홀(76)의 개폐에 따라 냉각 유로(75)로 배기되는 조리실(20)의 공기의 배기량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서로 다른 조리온도, 조리시간 또는 조리법으로 조리되어야 하는 조리대상을 한번에 함께 조리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반사장치(100)를 포함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조리장치(1)가 하나의 히터(22)를 사용할 경우, 조리장치(1)는 서로 다른 조리온도 또는 조리시간을 필요로 하는 제1조리대상(F1)과 제2조리대상(F2)의 조리온도 또는 조리시간을 모두 충족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조리장치(1)는 서로 다른 조리온도 또는 조리시간을 갖는 복수의 조리대상을 한번에 조리하기 어렵다.
서로 다른 조리온도 또는 조리시간을 갖는 복수의 조리대상을 한번에 조리하기 위해서, 조리장치(1)는 각각의 조리대상을 그에 적합한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으로 조리해야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각각의 조리대상을 그에 적합한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으로 조리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반사장치를 포함한다.
반사장치(100)는 히터(22)에서 생성되는 전자기파가 반사장치(100)로 입사될 수 있도록 히터(22)의 하부에 마련된다. 반사장치(100)는 히터(22)의 전체적인 형상이나 면적을 커버할 수 있는 형상과 면적으로 구현되어 히터(22)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반사장치(100)가 원형인 경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반사장치(100)는 조리실 내부의 좌우벽면에 고정되어 설치되거나, 조리실 내부의 상면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반사장치(100)는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병진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반사장치(100)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어 설치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조리장치(1)의 반사장치(100)는 코팅 글래스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반사장치(100)는 글래스(110) 및 글래스(110)의 복수의 영역에 형성되고, 전자기파에 대한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코팅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반사장치(100)의 하면에 마련된 코팅층(120)이 나타나도록 도시된 반사장치(100)의 사시도가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반사장치(100)가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사장치(10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것처럼 히터(22)의 전체적인 형상이나 면적을 커버할 수 있는 형상과 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a)와 (b)에는 반사장치(100)가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두 개의 영역(121, 122)과 세 개의 영역(121, 122, 123)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영역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 개 이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반사장치(100)는 하나의 글래스(110)에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코팅층(120)이 복수의 영역에 각각 형성되어 마련될 수도 있고,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글래스(110)에 각각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코팅층(120)이 형성되고 복수의 글래스(110)가 조립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반사장치(100)는 복수의 영역이 히터(22)에서 생성되는 전자기파에 대한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도록, 동일한 반사율과 동일한 두께의 글래스(110)에 전술한 것처럼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코팅층(120)이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반사장치(100)는 반사율과 두께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복수의 글래스(110) 각각에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코팅층(120)이 형성되어 반사율이 서로 다른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반사장치(100)의 복수의 영역이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도록 글래스(110)의 두께나 반사율, 코팅층(120)의 반사율 등이 조절되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반사장치(100)가 구현될 수 있다.
글래스(110)는 안료가 배합된 컬러 글래스로 구현되어 글래스(110) 자체의 반사율이 다양하게 조절될 수도 있다.
코팅층(120)은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나 PVD(Physical Vapor Deposition)공법을 통해 글래스(110)에 2~5nm 두께로 형성된 후, dipping공법이나 spray coating 공법을 통해 10~50um 범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120)은 전자기파 중 적외선에 대한 특정 반사율을 갖도록 SnO2나 Ag, STS 또는 Ti등의 산화물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코팅층(120)은 적외선뿐만 아니라 자외선, 가시광선 등에 대해 모두 특정 반사율을 갖도록 질산은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코팅층(120)은 반사장치(100)의 하면이나 상면 중 적어도 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120)의 반사율은 전술한 것처럼, 코팅재료나 두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반사장치(100)의 복수의 영역의 반사율은 글래스(110)의 두께나 반사율, 코팅층(120)의 재료나 두께 등의 요소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개시될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를 이용하여 조리될 수 있는 다양한 조리대상들이 적절하게 조리되는데 필요한 조리시간이나 조리온도 등의 데이터는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런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조리대상이 적합한 조리온도로 조리될 수 있도록 반사장치(100)의 복수의 영역의 반사율이 결정될 수 있고, 이렇게 결정된 반사율을 달성하기 위해 글래스(110)의 두께나 반사율, 코팅층(120)의 재료나 두께 등이 조절되어 반사장치(100)가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히터(22)를 포함하는 조리장치(1)일지라도, 전술한 반사장치(100)가 설치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조리대상을 한번에 조리할 수 있다.
도 4에는 서로 다른 조리온도가 요구되는 제1조리대상(F1)과 제2조리대상(F2)이 조리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반사장치(100)는 복수의 영역 중 제1영역(122)의 반사율보다 제2영역의 반사율이 높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영역(122)을 통과한 전자기파의 세기가 제2영역을 통과한 전자기파의 세기보다 높게 되고, 제1영역(122)을 통과한 전자기파가 입사되는 조리대상이 제2영역을 통과한 전자기파가 입사되는 조리대상보다 높은 조리온도로 조리될 수 있다. 복수의 조리대상 중 제1조리대상(F1)의 조리온도가 제2조리대상(F2)의 조리온도보다 높은 경우, 제1조리대상(F1)이 제1영역(122)에 대응되는 바닥면 또는 조리용기의 영역에 놓여지고, 제2조리대상(F2)이 제2영역에 대응되는 바닥면 또는 조리용기의 영역에 놓여지면 제1조리대상(F1)과 제2조리대상(F2)이 서로 다른 온도 즉, 제1조리대상(F1)이 제2조리대상(F2)보다 더 높은 온도로 조리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조리장치(1)는 조리대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마련된 센서(5)와, 열을 생성하는 히터(22)와, 센서(5)에서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히터(2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조리대상을 식별할 수 있고 조리대상의 조리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5)는 조리실 내부에 마련될 수 있고, 조리대상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 조리대상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조리대상에서 생성되는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장치(1)의 제어부(150)는 센서(5)에서 감지한 조리대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조리대상을 식별하고, 식별된 조리대상의 조리에 요구되는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조리대상에 따라 미리 저장된 조리온도와 조리시간 등을 포함하는 조리 데이터와 식별된 조리대상을 매칭시켜 식별된 조리대상의 조리에 요구되는 조리온도와 조리시간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다양한 조리대상들의 조리에 적합한 조리온도와 조리시간 등을 포함하는 조리 데이터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조리장치(1)는 별도의 메모리를 포함하여, 메모리에 전술한 조리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15)는 S램(S-RAM), D랩(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휘발성 메모리는 조리장치(1)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휘발성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불러와 기억하거나, 디스플레이 또는 조작부가 수신한 사용자 명령 및 제어부(150)가 출력하는 각종 제어 신호를 기억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반사장치(100)의 각 영역의 반사율과, 식별된 조리대상들의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에 기초하여, 히터(22)의 구동시간과 출력을 결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히터(22)를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복수의 조리대상의 조리가 동시에 끝날 수 있도록 조리시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조리시간 동안 히터(22)를 구동한다. 제어부(150)는 복수의 조리대상의 조리시간 중 가장 긴 조리시간을 히터(22)의 구동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히터(22)의 구동시간보다 짧은 조리시간이 요구됐던 조리대상의 경우 조리시간이 늘어나게 되므로, 해당 조리대상은 미리 저장된 조리온도보다 낮은 조리온도로 조리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는 결정된 히터(22) 구동시간에 따라 복수의 조리대상의 조리온도를 조절하고, 조절된 각각의 조리온도로 조리대상이 조리될 수 있도록 반사장치(100)의 복수의 영역의 반사율을 고려하여 히터(22)의 출력을 결정한다. 제어부(150)는 이렇게 결정된 히터(22)의 구동시간과 출력에 따라 히터(22)의 구동을 제어한다.
조리대상의 조리 중에 센서(5)에서 조리대상의 조리상태가 감지되면, 제어부(150)는 조리대상의 조리상태변화에 따라, 히터(22)의 구동을 조리상태에 적합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에 나타난 조리대상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조리대상이 빠르게 익고 있는 경우, 제어부(150)는 히터(22)의 출력을 줄이거나, 히터(22)의 구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7 및 도 8에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반사장치(100)의 다른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반사장치(100)의 복수의 영역을 형성하는 글래스(110)가 하부로 볼록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반사장치(100)의 볼록한 면에 전술한 코팅층(120)이 복수의 영역 각각에 서로 다른 반사율로 코팅되어 마련될 수 있다. 반사장치(100)는 복수의 영역의 각각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볼록렌즈들이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반사장치(100)의 하부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볼록한 형태를 갖게 되면, 각각의 영역을 투과한 전자기파가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조리실의 바닥면에 놓인 조리대상으로 집중되게 된다. 각각의 영역을 투과한 전자기파가 인접한 다른 영역을 투과한 전자기파 쪽으로 진행할 경우, 서로 다른 영역을 투과한 전자기파 간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영역을 투과한 전자기파 간에 간섭이 발생하게 되면, 각 영역을 투과한 전자기파가 생성하는 열보다 크거나 작은 열이 조리대상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조리대상이 제대로 조리되기 어려울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반사장치(100)의 복수의 영역 각각의 하부면을 볼록한 형태로 마련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반사장치(100)의 복수의 영역의 볼록한 부분은, 히터(22)에서 생성되어 반사장치(100)로 입사하는 전자기파가 다른 영역을 투과한 전자기파 쪽으로 진행하지 않고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공간 내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반사장치(100)의 볼록한 부분의 곡률은, 조리실 내부의 크기를 고려하여, 반사장치(100)를 투과한 전자기파가 조리대상의 특정 부분에 집중되지 않도록 결정될 수 있다
도 8에는 반사장치(100)의 복수의 영역을 투과한 전자기파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반사장치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반사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반사장치(100)와 달리 반사장치(100)의 하면이 평평한 형태로 마련된다. 도 8에 도시된 반사장치(100)는 복수의 영역을 각각 투과한 전자기파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영역 간의 경계에 마련된 반사체(1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영역을 각각 투과한 전자기파 중 인접한 다른 영역을 투과한 전자기파 쪽으로 진행하는 전자기파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반사체(125)에서 반사되어 인접한 영역을 투과한 전자기파와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복수의 영역의 경계에 마련되는 반사체(125)는 전자기파의 반사에 적합한 반사율을 가질 수 있도록 실험을 통해 결정된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반사체(125)는 반사장치(100)의 하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반사장치(100)의 각 영역을 투과한 전자기파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는 도 8에 도시된 반사장치(1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반사장치(100)는 복수의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의 글래스(110)와 복수의 글래스(110) 간의 경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미리 정해진 두께를 갖도록 마련된 반사체(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복수의 글래스(110)의 하면에는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코팅층(12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사체(125)의 두께는 글래스(110)보다 두껍도록 마련되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반사체(125)가 반사장치(100)의 하면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반사체(125)는 복수의 영역 간의 열전도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반사체(125)가 복수의 영역을 형성하는 글래스(110)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어 글래스(110)간의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복수의 영역 간의 열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체(125)는 반사율과 함께 열전도율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 10에는 반사장치(10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반사장치(100)는 글래스(110)와 코팅층(120)을 포함하여 반사장치(100)를 투과하는 전자기파의 세기를 조절한 반면, 도 10에 도시된 반사장치(100)는 반사장치(100)에 입사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제1영역(124)과, 전자기파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수의 구멍(H)이 형성된 제2영역(126)을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반사장치(100)의 제1영역(124)과 제2영역(126)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각 영역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10의 (a)내지 (c)에 도시된 것처럼, 제1영역(124)의 면적이 증가하면, 제1영역(124)의 면적이 증가된 만큼 제2영역(126)의 면적은 감소될 수 있고, 반대로 제2영역(126)의 면적이 증가하면 제2영역(126)의 면적이 증가된 만큼 제1영역(124)의 면적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d)에 도시된 것처럼, 제1영역(124)과 제2영역(126)은 두 개 이상의 영역을 각각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반사장치(100)는 제2영역(126)이 히터(22)의 형상이나 면적을 커버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제1영역(124)이 제2영역(126)의 하면이나 상면에서 부채처럼 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되어 제1영역(124)이 제2영역(126)의 면적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런 구조는 일 예이고, 제1영역(124)과 제2영역(126)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반사장치(100)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에 도시된 반사장치(100)의 제1영역(124)과 제2영역(126)은 함석, 철, 알루미늄 또는 구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제2영역(126)은 전술한 재질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반사장치(100)는 전술한 재료에 대한 도색처리를 통해 히터(22)에서 생성된 열에 대한 반사율, 흡수율 또는 복사율 등이 조절될 수 있다.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글래스 재질의 반사장치(100)와 도 10에 도시된 반사장치(100)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도 4, 도 7 및 도 8 중 어느 한 예에 따른 반사장치(100)와 도 10에 도시된 반사장치(100)가 함께 사용되어 복수의 조리대상 각각을 적합한 조리온도로 한번에 조리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조리장치(1)처럼 하나의 히터(22)를 이용하여 복수의 조리대상을 조리할 수도 있고, 후술할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처럼 복수의 히터(22a, 22b)가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장치(100)와 복수의 히터(22a, 22b)를 포함하는 조리장치(1)의 일 예를 도시하고,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13 내지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장치(100)와 복수의 히터(22a, 22b)가 포함된 조리장치(1)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히터가 하나인 조리장치(1)와 달리 히터가 복수개인 조리장치(1)는 각각의 히터의 온도를 복수의 조리대상 각각의 조리온도에 맞게 조절하여 복수의 조리대상을 한번에 조리할 수 있다. 우선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부터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조리장치(1)는 히터의 개수가 복수개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4에 도시된 조리장치(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반사장치(100)의 서로 다른 반사율의 복수의 영역의 개수는 히터(22)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히터가 두 개이면 반사장치(100)의 영역 또는 두 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반사장치(100)의 영역의 개수가 히터의 개수와 동일한 경우는 일 예이고, 히터의 개수보다 많을 수도 있다. 반사장치(100)에 대한 설명은 도 4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복수의 히터(22a, 22b)가 이용될 경우, 동일한 종류의 히터가 이용될 수도 있고, 다른 종류의 히터가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선 등의 파장대를 포함하는 전자기파를 생성하는 히터와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는 히터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히터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에 도시된 조리장치(1)는 복수의 히터(22a, 22b)의 출력이 서로 다르게 조절될 수 있고, 반사장치(100)의 복수의 영역의 반사율 또한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조리장치(1)는 복수의 히터(22a, 22b) 각각에 대응하는 반사장치(100)의 영역의 반사율에 기초하여 복수의 히터(22a, 22b) 각각의 출력이 복수의 조리대상에 적합하게 조절됨으로써 보다 미세하게 조리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반사장치(100)의 복수의 영역 중 제1히터(22a)에 대응하는 제1영역(122)이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히터(22b)에 대응하는 반사장치(100)의 제2영역 또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제1영역(122)이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도록 마련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제2영역 또한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도록 마련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하나의 히터가 포함된 조리장치(1)보다 많은 수의 조리대상을 한번에 조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조리장치(1)는 조리대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마련된 센서(5)와, 열을 생성하는 복수의 히터(22a, 22b)와, 센서(5)에서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히터(22a, 22b)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5)에 대한 설명은 도 6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조리장치(1)의 제어부(150)는 센서(5)에서 감지한 조리대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조리대상을 식별하고, 식별된 조리대상의 조리에 요구되는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조리대상에 따라 미리 저장된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의 데이터와 식별된 조리대상을 매칭시켜 식별된 조리대상의 조리에 요구되는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다양한 조리대상들의 조리에 적합한 조리온도와 조리시간 등을 포함하는 조리 데이터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조리장치(1)는 별도의 메모리를 포함하여, 메모리에 전술한 조리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반사장치(100)의 각 영역의 반사율과, 식별된 조리대상들의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에 기초하여, 복수의 히터(22a, 22b) 각각의 예상구동시간과 출력을 결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히터를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복수의 조리대상의 조리가 동시에 끝날 수 있도록 각 조리대상의 조리시간과 조리온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조리시간 동안 복수의 히터(22a, 22b)를 구동한다. 즉, 제어부(150)는 제1조리대상(F1)의 조리에 제1조리시간이 요구되면, 제1히터(22a)의 예상구동시간을 제1조리시간으로 결정하고, 제2조리대상(F2)의 조리에 제2조리시간이 요구되면, 제2히터(22b)의 예상구동시간을 제2조리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제1조리대상(F1)의 조리에 제1조리온도가 요구되면 제1조리온도에 기초하여 제1히터(22a)의 출력(제1출력)을 결정하고, 제2조리대상(F2)의 조리에 제2조리온도가 요구되면 제2조리온도에 기초하여 제2히터(22b)의 출력(제2출력)을 결정한다.
제어부(150)는 복수의 히터(22a, 22b) 각각의 예상구동시간 중 가장 긴 예상구동시간을 복수의 히터(22a, 22b)의 구동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히터(22a)의 예상구동시간이 제2히터(22b)의 예상구동시간보다 길 경우, 제어부(150)는 제1히터(22a)의 예상구동시간을 제1히터(22a)와 제2히터(22b)의 구동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구동시간보다 짧은 예상구동시간을 가진 제2히터(22b)의 경우 구동시간이 늘어나게 되므로, 제2히터(22b)에 의해 조리되는 제2조리대상(F2)은 미리 저장된 제2조리온도보다 낮은 조리온도로 조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제2히터(22b)의 출력이 상기 제2출력보다 감소되도록 제2히터(22b)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2히터(22b)에 대응되는 반사장치(100)의 영역의 반사율을 고려하여 제2히터(22b)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복수의 히터(22a, 22b) 각각의 예상구동시간 중 가장 짧은 예상구동시간을 복수의 히터(22a, 22b)의 구동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히터(22b)의 예상구동시간이 제1히터(22a)의 예상구동시간보다 짧을 경우, 제어부(150)는 제2히터(22b)의 예상구동시간을 제1히터(22a)와 제2히터(22b)의 구동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구동시간보다 긴 예상구동시간을 가진 제1히터(22a)의 경우 구동시간이 감소하게 되므로, 제1히터(22a)에 의해 조리되는 제1조리대상(F1)은 미리 저장된 제1조리온도보다 높은 조리온도로 조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제1히터(22a)의 출력이 상기 제1출력보다 증가하도록 제1히터(22a)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1히터(22a)에 대응되는 반사장치(100)의 영역의 반사율을 고려하여 제1히터(22a)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는 결정된 히터 구동시간과 반사장치(100)의 복수의 영역의 반사율을 고려하여 복수의 히터(22a, 22b) 각각의 출력을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과 결정된 히터의 구동시간에 따라 복수의 히터(22a, 22b)의 구동을 각각 제어한다.
조리대상의 조리 중에 센서(5)에서 조리대상의 조리상태가 감지되면, 제어부(150)는 조리대상의 조리상태변화에 따라, 히터의 구동을 조리상태에 적합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에 나타난 조리대상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조리대상이 빠르게 익고 있는 경우, 제어부(150)는 히터의 출력을 줄이거나, 히터의 구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5에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반사장치(100)의 다른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히터가 복수개인 점을 제외하고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와 동일하므로, 반사장치(100)에 대한 설명은 도 7의 반사장치(100)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마찬가지로,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도 히터가 복수개인 점을 제외하고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와 동일하므로, 반사장치(100)에 대한 설명은 도 8의 반사장치(100)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한편, 도 15를 참조하면, 반사장치(100)는 하면이 볼록한 형태의 광학렌즈(111)를 히터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포함한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나, 반사장치(100)가 코팅층(120)을 포함하지 않는 점이 상이하다. 도 15에 도시된 조리장치(1)는 복수의 히터(22a, 22b)를 포함하므로, 복수의 조리대상의 조리온도를 복수의 히터(22a, 22b)를 제어하여 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반사장치(100)는, 코팅층(120)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지 않고, 각각의 히터(22a, 22b)에서 생성된 전자기파를 각각의 조리대상에 집중시키기 위한 복수의 광학렌즈(111)를 포함한다. 반사장치(100)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광학렌즈(111)로 각각의 히터(22a, 22b)의 하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복수의 광학렌즈가 조립된 하나의 반사장치(100)로 히터의 하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조리대상이 놓여질 수 있는 조리실의 바닥면에 열 흡수율이 다른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바닥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도 18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바닥면 하부에 마련된 하부 반사장치(R)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조리장치(1)의 바닥면에는 서로 다른 조리온도가 요구되는 복수의 조리대상 각각이 놓여질 수 있는 복수의 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 바닥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영역은 서로 다른 열 흡수율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영역 중 제1영역(L1)은 열 흡수율이 제2영역(L2)보다 높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영역은 재료 고유의 비열이 다른 물질이나 상변화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영역 각각은 테트라데칸, 옥타데칸 또는 노나데칸 등의 물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영역 각각의 열 흡수율이 다르도록, 상기 선택된 물질은 각각의 영역에서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포함된 상기 선택된 물질의 비율을 서로 달리하여 열 흡수율이 달라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물질들의 조합을 통해 각 영역에서 서로 다른 열 흡수율을 달성할 수도 있다. 조리장치(1) 바닥면의 상기 복수의 영역을 구성하는 재료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열 흡수율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의 개수는 반사장치(100)의 복수의 영역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조리장치(1)의 히터(22)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히터(22)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조리장치(1)의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들과 조합될 수 있다. 즉, 도 16에 도시된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하나의 히터(22)와 반사장치(100)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와 복수개의 히터(22a, 22b)와 반사장치(100)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에 포함될 수 있다.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 중 열 흡수율이 높은 영역은 반사장치(100)의 반사율이 낮은 영역에 대응되거나, 복수의 히터(22a, 22b) 중 높은 출력으로 제어되는 히터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 중 열 흡수율이 낮은 영역은 반사장치(100)의 반사율이 높은 영역에 대응되거나, 복수의 히터(22a, 22b) 중 낮은 출력으로 제어되는 히터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L1, L2, L3)은 복수의 영역 간의 열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된 채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은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이격된 공간에 미리 정해진 기준값 미만의 낮은 열전도율을 갖는 물질(70), 예를 들면 테프론, 세라믹, 에어로젤 등과 같은 물질을 포함하여, 복수의 영역(L1, L2, L3) 간의 열전도를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8에는 조리장치(1)의 조리실 바닥면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 반사장치(R)가 도시되어 있다. 하부 반사장치(R)는 바닥면에서 흡수되어 바닥면의 하부로 복사되는 열을 다시 바닥면으로 반사하여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반사장치(R)의 열반사율이 높은 제1영역(R1)은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 중 열 흡수율이 높은 영역의 하부에 마련되어 바닥면으로부터 복사된 열을 다시 바닥면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하부 반사장치(R)의 열 반사율이 제1영역보다 낮은 제2영역(R2)은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 중 열 흡수율이 낮은 영역의 하부에 마련되어, 바닥면으로부터 복사된 열을 제1영역보다 적게 반사시킬 수 있다. 하부 반사장치(R)의 열 반사율이 제2영역보다 낮은 제3영역(R3)은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 중 열 흡수율이 낮은 영역의 하부에 마련되어, 바닥면으로부터 복사된 열을 제1영역보다 적게 반사시킬 수 있다. 열반사율이 높은 제1영역은 흰색 색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열반사율이 낮은 제3영역은 검정색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부 반사장치(R)의 열 반사율은 전술한 것처럼 색상으로 조절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도 18에 도시된 하부 반사장치(R)와 관련된 실시예들은 조리장치(1)의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들과 조합될 수 있다. 즉, 도 18에 하부 반사장치(R)와 관련된 실시예들은 하나의 히터(22)와 반사장치(100)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와 복수개의 히터(22a, 22b)와 반사장치(100)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조리장치(1)의 조리실 바닥면에 열흡수율이 다른 복수의 영역이 마련될 수도 있고, 조리용기(200)의 바닥면에 열흡수율이 다른 복수의 영역이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9 내지 도 21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200)를 도시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200)의 본체(210)는 조리대상이 놓여지는 바닥면에 열흡수율이 서로 다른 복수의 영역(212, 214, 21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영역 중 제1영역(212)은 열 흡수율이 제2영역(214)보다 높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2영역(214)은 열흡수율이 제3영역(216)보다 높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영역은 재료 고유의 비열이 다른 물질이나 상변화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영역 각각은 테트라데칸, 옥타데칸 또는 노나데칸 등의 물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영역 각각의 열 흡수율이 다르도록, 상기 선택된 물질은 각각의 영역에서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포함된 상기 선택된 물질의 비율을 서로 달리하여 복수의 영역 각각의 열 흡수율이 달라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물질들의 조합을 통해 각 영역에서 서로 다른 열 흡수율을 달성할 수도 있다. 조리용기(200) 바닥면의 상기 복수의 영역을 구성하는 재료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열 흡수율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200)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의 개수는 조리장치(1)에 포함된 반사장치(100)의 복수의 영역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조리장치(1)의 히터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히터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조리용기(200)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 중 열 흡수율이 높은 영역은 반사장치(100)의 반사율이 낮은 영역에 대응되거나, 복수의 히터(22a, 22b) 중 높은 출력으로 제어되는 히터에 대응되도록 조리실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조리용기(200)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 중 열 흡수율이 낮은 영역은 반사장치(100)의 반사율이 높은 영역에 대응되거나, 복수의 히터(22a, 22b) 중 낮은 출력으로 제어되는 히터에 대응되도록 조리실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조리용기(200)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은 복수의 영역 간의 열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된 채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조리용기(200)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은 이격된 공간에 열전도율이 낮은 물질, 예를 들면 테프론, 세라믹, 에어로젤 등과 같은 물질을 포함하여, 복수의 영역 간의 열전도를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조리용기(200)의 바닥면은 서로 다른 열흡수율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고,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조리용기(200)의 바닥면은 서로 다른 조리법에 따른 조리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조리용기(200)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은 그릴에 굽는 조리방법에 따른 조리가 가능하도록 석쇠(211)가 설치될 수 있다. 석쇠는 설치되는 해당 영역의 크기나 형태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해당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석쇠는 해당 영역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히터(22)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석쇠가 가열되면, 석쇠 위에 놓인 조리대상은 가열된 석쇠에 의해 구워질 수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조리용기(200)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 중 다른 한 영역은 증기에 의한 찜요리가 가능하도록, 물이 담길 수 있는 저수공간과 저수공간의 상면에 증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지지부(213)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에는 조리대상이 놓일 수 있다. 저수공간의 물이 가열되어 증기가 발생하면 지지부의 구멍을 통과한 증기에 의해 지지부에 놓인 조리대상에 대한 찜 조리가 수행될 수 있다. 지지부는 설치되는 해당 영역의 크기나 형태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해당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는 해당 영역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조리용기(200)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 중 나머지 한 영역(215)은 조리대상을 데우는 조리방법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릴조리나 찜 조리와 달리 조리대상을 데우기 위한 영역은 별도의 구조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데우기 조리가 수행되도록 마련된 영역의 바닥면은 조리대상의 데우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열흡수율을 갖는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조리용기(200)는 조리장치(1)에서 사용되는 조리용기(200)의 재질 중 전자기파가 투과할 수 있는 일반적인 조리용기(200)의 뚜껑(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200)의 뚜껑(220)은, 뚜껑(220)에 입사하는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는 제1영역(221)과, 전자기파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수의 구멍(224)이 형성된 제2영역(223)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뚜껑(220)은 도 10에 도시된 반사장치(100)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뚜껑(220)의 제1영역(221)과 제2영역(223)은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각 영역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21의 (a)내지 (c)에 도시된 것처럼, 제1영역(221)의 면적이 증가하면, 제1영역(221)의 면적이 증가된 만큼 제2영역(223)의 면적은 감소될 수 있고, 반대로 제2영역(223)의 면적이 증가하면 제2영역(223)의 면적이 증가된 만큼 제1영역(221)의 면적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도 21의 (d)에 도시된 것처럼, 제1영역(221)과 제2영역(223)은 두 개 이상의 영역을 각각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1에 도시된 뚜껑(220)은 제2영역(223)이 조리용기(200) 본체(210)의 면적을 커버할 수 있도록 조리용기(200) 본체(2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영역(221)은 제2영역(223)의 하면이나 상면에서 제2영역(223)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부채처럼 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런 구조는 일 예이고, 제1영역(221)과 제2영역(223)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조리용기(200)의 뚜껑(220)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1에 도시된 조리용기(200) 뚜껑(220)의 제1영역(221)과 제2영역(223)은 함석, 철, 알루미늄 또는 구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제2영역(223)은 전술한 재질에 다수의 구멍(224)이 형성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뚜겅은 전술한 재료에 대한 도색처리를 통해 히터(22)에서 생성된 열에 대한 반사율, 흡수율 또는 복사율 등이 조절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의 제어방법을 도시한다. 도 22에는 조리장치(1)의 히터(22)가 하나인 경우 히터(22)의 제어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조리장치(1)의 센서(5)가 조리대상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면(500), 제어부(150)는 센서(5)의 정보에 기초하여 조리대상을 식별하고(510), 식별된 조리대상들의 조리에 요구되는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을 결정한다(520).
조리장치(1)의 제어부(150)는 센서(5)에서 감지한 조리대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조리대상을 식별하고, 식별된 조리대상의 조리에 요구되는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조리대상에 따라 미리 저장된 조리온도와 조리시간 등을 포함하는 조리 데이터와 식별된 조리대상을 매칭시켜 식별된 조리대상의 조리에 요구되는 조리온도와 조리시간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조리대상들의 결정된 조리온도와 조리시간 등에 기초하여 히터(22)의 구동시간과 출력을 결정하고(530), 결정된 구동시간과 출력에 기초하여 히터(22)의 구동을 제어한다(540).
제어부(150)는 식별된 조리대상들의 조리온도와 조리시간 및 반사장치(100)의 각 영역의 반사율에 기초하여, 히터(22)의 구동시간과 출력을 결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히터(22)를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복수의 조리대상의 조리가 동시에 끝날 수 있도록 조리시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조리시간 동안 히터(22)를 구동한다. 제어부(150)는 복수의 조리대상의 조리시간 중 가장 긴 조리시간을 히터(22)의 구동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히터(22)의 구동시간보다 짧은 조리시간이 요구됐던 조리대상의 경우 조리시간이 늘어나게 되므로, 해당 조리대상은 미리 저장된 조리온도보다 낮은 조리온도로 조리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는 결정된 히터(22) 구동시간에 따라 복수의 조리대상의 조리온도를 조절하고, 조절된 각각의 조리온도로 조리대상이 조리될 수 있도록 반사장치(100)의 복수의 영역의 반사율을 고려하여 히터(22)의 출력을 결정한다. 제어부(150)는 이렇게 결정된 히터(22)의 구동시간과 출력에 따라 히터(22)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조리대상의 조리 중에 센서(5)에서 조리대상의 조리상태가 감지되면, 조리대상의 조리상태변화에 따라, 히터(22)의 구동을 조리상태에 적합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에 나타난 조리대상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조리대상이 빠르게 익고 있는 경우, 제어부(150)는 히터(22)의 출력을 줄이거나, 히터(22)의 구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23에는 조리장치(1)의 히터(22)가 복수개인 경우 히터(22)의 제어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조리장치(1)의 센서(5)가 조리대상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면(600), 제어부(150)는 센서(5)의 정보에 기초하여 조리대상을 식별하고(610), 식별된 조리대상들을 조리하기 위한 복수의 히터(22a, 22b)의 예상구동시간과 출력을 결정한다(620).
조리장치(1)의 제어부(150)는 센서(5)에서 감지한 조리대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조리대상을 식별하고, 식별된 조리대상의 조리에 요구되는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조리대상에 따라 미리 저장된 조리온도와 조리시간 등을 포함하는 조리 데이터와 식별된 조리대상을 매칭시켜 식별된 조리대상의 조리에 요구되는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반사장치(100)의 각 영역의 반사율과, 식별된 조리대상들의 조리온도와 조리시간에 기초하여, 복수의 히터(22a, 22b) 각각의 예상구동시간과 출력을 결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히터를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복수의 조리대상의 조리가 동시에 끝날 수 있도록 각 조리대상의 조리시간과 조리온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조리시간 동안 복수의 히터(22a, 22b)를 구동한다. 즉, 제어부(150)는 제1조리대상(F1)의 조리에 제1조리시간이 요구되면, 제1히터(22a)의 예상구동시간을 제1조리시간으로 결정하고, 제2조리대상(F2)의 조리에 제2조리시간이 요구되면, 제2히터(22b)의 예상구동시간을 제2조리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제1조리대상(F1)의 조리에 제1조리온도가 요구되면 제1조리온도에 기초하여 제1히터(22a)의 출력(제1출력)을 결정하고, 제2조리대상(F2)의 조리에 제2조리온도가 요구되면 제2조리온도에 기초하여 제2히터(22b)의 출력(제2출력)을 결정한다.
제어부(150)는 결정된 예상구동시간 중 어느 한 예상구동시간을 복수의 히터(22a, 22b)의 구동시간으로 결정하고(630), 결정된 복수의 히터(22a, 22b)의 출력을 결정된 복수의 히터(22a, 22b)의 구동시간에 기초하여 조절한다(640).
제어부(150)는 복수의 히터(22a, 22b) 각각의 예상구동시간 중 가장 긴 예상구동시간을 복수의 히터(22a, 22b)의 구동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히터(22a)의 예상구동시간이 제2히터(22b)의 예상구동시간보다 길 경우, 제어부(150)는 제1히터(22a)의 예상구동시간을 제1히터(22a)와 제2히터(22b)의 구동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구동시간보다 짧은 예상구동시간을 가진 제2히터(22b)의 경우 구동시간이 늘어나게 되므로, 제2히터(22b)에 의해 조리되는 제2조리대상(F2)은 미리 저장된 제2조리온도보다 낮은 조리온도로 조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제2히터(22b)의 출력이 상기 제2출력보다 감소되도록 제2히터(22b)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2히터(22b)에 대응되는 반사장치(100)의 영역의 반사율을 고려하여 제2히터(22b)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복수의 히터(22a, 22b) 각각의 예상구동시간 중 가장 짧은 예상구동시간을 복수의 히터(22a, 22b)의 구동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히터(22b)의 예상구동시간이 제1히터(22a)의 예상구동시간보다 짧을 경우, 제어부(150)는 제2히터(22b)의 예상구동시간을 제1히터(22a)와 제2히터(22b)의 구동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구동시간보다 긴 예상구동시간을 가진 제1히터(22a)의 경우 구동시간이 감소하게 되므로, 제1히터(22a)에 의해 조리되는 제1조리대상(F1)은 미리 저장된 제1조리온도보다 높은 조리온도로 조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제1히터(22a)의 출력이 상기 제1출력보다 증가하도록 제1히터(22a)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1히터(22a)에 대응되는 반사장치(100)의 영역의 반사율을 고려하여 제1히터(22a)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는 결정된 히터 구동시간과 반사장치(100)의 복수의 영역의 반사율을 고려하여 복수의 히터(22a, 22b) 각각의 출력을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과 결정된 히터의 구동시간에 따라 복수의 히터(22a, 22b)의 구동을 각각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조리대상의 조리 중에 센서(5)에서 조리대상의 조리상태가 감지되면, 제어부(150)는 조리대상의 조리상태변화에 따라, 히터의 구동을 조리상태에 적합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에 나타난 조리대상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조리대상이 빠르게 익고 있는 경우, 제어부(150)는 히터의 출력을 줄이거나, 히터의 구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개시된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 없이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을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개시된 발명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될 수 없다.
22: 히터
100: 반사장치
125: 반사체
R: 하부 반사장치
200: 조리용기

Claims (15)

  1. 조리실; 및
    상기 조리실 내에 위치한 조리대상을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히터와 마주보도록 마련되고, 복수의 조리대상이 배치되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의 상기 복수의 영역은 서로 다른 열 흡수율을 갖도록 마련되는 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은
    상호 간의 열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서로 이격되는 조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복수의 영역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마련되고 미리 정해진 기준값 미만의 열전도율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조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닥면의 복수의 영역 각각의 열 흡수율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히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조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리대상 각각의 조리 상태를 감지하도록 마련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조리 상태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에 배치되고, 코팅 글래스를 포함하는 반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히터에 의해 생성된 열을 상기 조리실 내의 제1 조리대상으로 안내하는 제1 반사율을 갖는 제1 영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히터에 의해 생성된 열을 상기 조리실 내의 제2 조리대상으로 안내하는 상기 제1 반사율과 다른 제2 반사율을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리대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히터에 의해 상기 제1 반사율에 따라 제1 온도에서 가열되고,
    상기 제2 조리대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히터에 의해 상기 제2 반사율에 따라 제2 온도에서 가열되는 조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상기 복수의 영역은
    상기 반사 장치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조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하부 반사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반사장치의 복수의 영역은 서로 다른 열 반사율을 갖도록 마련되는 조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히터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 면 중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간의 경계에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된 반사체;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반사 장치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히터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 면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마련된 반사체;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장치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각각 마련된 제1 코팅층 및 제2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팅층 및 상기 제2 코팅층은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조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층 및 상기 제2 코팅층은,
    상기 반사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히터와 마주보는 면 및 상기 마주보는 면의 반대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마련되는 조리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글래스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글래스;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글래스는,
    렌즈이고,
    상기 렌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히터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 면이 볼록한 형태를 갖는 조리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이 증가하면 상기 제1 영역의 증가된 부분에 인접한 상기 제2 영역의 면적은 감소되고, 상기 제1 영역의 면적이 감소하면 상기 제1 영역의 감소된 부분에 인접한 상기 제2 영역의 면적은 증가되도록 마련되는 조리장치.
KR1020230036830A 2016-05-31 2023-03-21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430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43197P 2016-05-31 2016-05-31
US62/343,197 2016-05-31
US201662345079P 2016-06-03 2016-06-03
US62/345,079 2016-06-03
KR1020160087941A KR102514099B1 (ko) 2016-05-31 2016-07-12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941A Division KR102514099B1 (ko) 2016-05-31 2016-07-12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090A true KR20230043090A (ko) 2023-03-30

Family

ID=609198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941A KR102514099B1 (ko) 2016-05-31 2016-07-12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230036830A KR20230043090A (ko) 2016-05-31 2023-03-21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941A KR102514099B1 (ko) 2016-05-31 2016-07-12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514099B1 (ko)
AU (1) AU2017273057B2 (ko)
CA (1) CA30163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791B1 (ko) * 2019-03-08 2020-04-07 문경환 에어프라이어, 오븐 등 간접열을 이용한 조리기구용 실리콘 냄비
EP3838086A1 (en) 2019-12-19 2021-06-23 Koninklijke Philips N.V. Configurable air fry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210145910A (ko) * 2020-05-26 2021-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KR102395739B1 (ko) * 2020-10-10 2022-05-09 (주)대교통상 오븐
US20220202239A1 (en) * 2020-12-30 2022-06-30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KR102549109B1 (ko) * 2021-11-18 2023-06-29 주식회사 비욘드허니컴 자동 조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223Y1 (ko) * 1992-11-26 1996-08-26 정광순 조리용기
KR200146080Y1 (ko) * 1996-10-14 1999-06-15 윤종용 가스 오븐 렌지의 오븐 조리실 냉각 장치
KR19990023550U (ko) * 1997-12-06 1999-07-05 전주범 전자렌지의 사절판
KR20060013843A (ko) * 2004-08-09 2006-02-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렌지의 조리실 분리 구조
JP2006286373A (ja) * 2005-03-31 2006-10-19 Miyao Company Ltd マイクロ波透過性部材、および電子レンジ
JP5446164B2 (ja) * 2008-08-06 2014-03-19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4781406B2 (ja) * 2008-08-08 2011-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5066063B2 (ja) * 2008-11-26 2012-11-0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高周波加熱装置
EP2618634A1 (en) * 2012-01-23 2013-07-24 Whirlpool Corporatio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DE102014111021B4 (de) * 2014-08-04 2016-06-16 Miele & Cie. Kg Gar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16304A1 (en) 2017-12-07
AU2017273057B2 (en) 2022-04-21
KR20170135619A (ko) 2017-12-08
KR102514099B1 (ko) 2023-03-27
AU2017273057A1 (en) 2018-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40476B (zh) 烹饪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514099B1 (ko)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900936B2 (en) Over-the-range microwave ove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05823096B (zh) 烹饪装置及其控制方法
CN103156532A (zh) 用于封闭系统式烤箱的烤盘元件
US10788218B2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liance
US20110198344A1 (en) Cooker
CN104272867A (zh) 用于遏制宽频带rf泄漏的多扼流器系统
JP2023101780A (ja) 加熱調理器
JP5446164B2 (ja) 加熱調理器
US20120111204A1 (en) Heating cooker
KR102132473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조리기기
EP3825612B1 (en) A cooking device with an infrared heating assembly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559753B1 (ko) 조리장치
JP2001074249A (ja) オーブントースター
KR102402039B1 (ko) 조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563519B1 (ko) 조리기기
JP5683248B2 (ja) 加熱調理装置
JP5812667B2 (ja) 加熱調理装置
JP2000205574A (ja) オ―ブント―スタ―
JP2006214662A5 (ko)
KR20060082249A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101121917B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JP5785648B2 (ja) 加熱調理器
JP5624232B1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