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1664A - 전자 내시경 - Google Patents

전자 내시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1664A
KR20230041664A KR1020227046441A KR20227046441A KR20230041664A KR 20230041664 A KR20230041664 A KR 20230041664A KR 1020227046441 A KR1020227046441 A KR 1020227046441A KR 20227046441 A KR20227046441 A KR 20227046441A KR 20230041664 A KR20230041664 A KR 20230041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portion
electronic endoscope
channel
bent
flexib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6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펑 저우
지안 장
멍화 리우
Original Assignee
항저우 라인제트 메디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항저우 라인제트 메디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항저우 라인제트 메디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41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1Manufacturing of endoscop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14Electrical cables in or with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insertion parts, e.g. vertebr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7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upper alimentary canal, e.g. oesophagoscopes, gast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receiving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순차적으로 서로 연결된 삽입부(2)와 동작부(3)를 포함하는 전자 내시경(1)에 있어서, 삽입부(2)는 선단부(21)와 절곡부(22)를 포함하고, 선단부(21)의 원단 단면은 경사면(211)을 구비하며, 경사면(211)과 선단부(21)의 원단 단면은 교차되어 능선(216)을 형성하고, 능선(216)과 절곡부(22)의 절곡 방향은 평행된다. 상기 전자 내시경(1)은 사용 환경에 대해 저렴한 원가로 비교적 양호한 통과성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내시경
본 발명은 의료기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ECRP,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은 십이지장경을 십이지장 하행부까지 삽입하여 십이지장 유두를 찾아내고, 조영 도관을 생체 검사 튜브 내에서 유두 개구부까지 삽입하며, 조영제 주입 후 X레이로 촬영하여 췌담관을 표시하는 기술이다. ERCP를 기반으로, 십이지장 유두 괄약근 절개술, 내시경적 비담즙 배액술, 내시경적 담즙 내 배액술, 내시경적 제석술 등 중재 치료를 진행할 수 있으며, 절개가 필요없고, 상처가 작아 환자들의 환영을 받고 있다. 상기 중재 치료는 통상적으로 중재 치료 기기가 상기 십이지장경의 기기 채널(또는 작업 채널, 겸자 채널로도 칭함)을 관통하도록 해야 하며, 십이지장 유두를 거쳐 담췌관 내에 진입하여 중재 치료를 진행한다. 중재 치료 기기가 내시경일 경우, 상기 십이지장경을 마더(mother) 내시경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중재 치료 기기로서의 내시경은,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비싸며, 반복 사용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중재 치료 기기로서의 내시경의 기능을 기본적으로 구현하면서도 원가가 저렴한 내시경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재 치료 기기로서의 내시경의 원가가 과도하게 높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재 치료 기기로 사용될 수 있고, 원가가 보다 낮은 전자 내시경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순차적으로 서로 연결된 삽입부와 동작부를 포함하는 전자 내시경을 공개하며, 삽입부는 선단부와 절곡부를 포함하고, 선단부의 원단 단면은 경사면을 구비하며, 경사면과 선단부의 원단 단면은 교차되어 능선을 형성하고, 능선과 절곡부의 절곡 방향은 평행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을 이용하여, 경사면의 마련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내시경이 절곡 방향에 수직인 수직 방향에서 양호한 통과성을 구비하도록 하고; 절곡 방향에 대한 능동 제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내시경이 절곡 방향에서 양호한 통과성을 구비하도록 하며; 또한, 동작부의 이동 또는 회전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내시경은 실제 상황에 따라 경사면을 이용하거나, 절곡 방향에 대한 능동 제어를 이용하거나, 경사면과 절곡 방향에 대한 능동 제어를 함께 이용하여 상이한 시나리오에서의 통과성을 구현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상술한 기술적 해결수단은 구조가 간단하고, 낮은 원가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상이한 시나리오는 적어도 마더 내시경의 작업 채널(또는 기기 채널 또는 겸자 채널 등으로도 칭함)을 관통하거나 십이지장 유두로 진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내시경은 인체에 사전에 배치된 마더 내시경을 통과할 시 양호한 통과성을 구비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내시경은 마더 내시경 관통 후 십이지장 유두로 진입할 시 양호한 통과성을 구비한다. 또한, 동작부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통과성의 우세는 낮은 원가의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경사면은 동작부의 측면을 향한다.
선택 가능하게, 동작부의 쉘 상에는 기기 포트가 마련되고, 경사면은 기기 포트의 일측을 향한다.
선택 가능하게, 절곡부는 축방향을 따라 절곡부를 관통하는 코드 채널을 포함하고, 코드 채널의 축선과 절곡부의 원단 단면의 교차 위치는 절곡부의 축선에 대해 편심 위치에 위치한다.
선택 가능하게, 코드 채널의 축선과 절곡부의 원단 단면의 교차 위치 사이의 연결선은 능선에 평행된다.
선택 가능하게, 선단부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베이스의 원단에는 카메라 유닛과 두 개의 조명 유닛이 마련되며, 두 개의 조명 유닛은 각각 카메라 유닛의 양측에 위치한다.
선택 가능하게, 절곡부는 보조 채널을 포함하고, 보조 채널은 수밀성을 구비한다.
선택 가능하게, 보조 채널과 선단부의 원단 단면의 교차 위치는 경사면 외의 영역에 위치한다.
선택 가능하게, 보조 채널은 두 개이고, 두 개의 보조 채널과 선단부의 원단 단면의 교차 위치는 각각 두 개의 조명 유닛에 접근한다.
선택 가능하게, 삽입부는 연성관부를 더 포함하고, 선단부, 절곡부와 연성관부는 모두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작업 채널이 마련되고, 선단부, 절곡부와 연성관부의 작업 채널 사이는 관부재를 통해 연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의 구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의 구조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의 구조의 좌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A-A를 따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절곡부가 그의 좌우 방향을 따라 절곡된 상태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6a는 도 3의 B-B를 따르는 선단부와 절곡부의 결합 위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도 3의 B-B를 따르는 절곡부와 연성관부의 결합 위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c는 도 3의 C-C를 따르는 선단부와 절곡부의 결합 위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d는 도 3의 C-C를 따르는 절곡부와 연성관부의 결합 위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의 내부 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의 내부 구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의 일부 내부 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의 일부 내부 구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의 배면 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기구의 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꽃잎 형상 블록의 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동부의 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하, 특정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며,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내용을 통해 본 발명의 기타 장점 및 효과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소개되나, 이는 본 발명의 특징이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됨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실시형태와 함께 발명을 소개하는 목적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반하여 확장될 수 있는 기타 선택 또는 변경을 포함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 대한 심층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이하의 설명에는 많은 구체적인 세부사항이 포함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세부사항을 이용하지 않고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점을 혼란시키거나 흐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 구체적인 세부사항은 설명에서 생략된다. 그리고, 충돌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시예의 특징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 및 문자는 이하의 도면에서 유사한 항목을 표시하며, 따라서 어느 한 항목이 하나의 도면에서 정의되었을 경우, 이후의 도면에서 그에 대해 추가로 정의 및 해석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용어 "상", "하", "내", "바닥" 등이 표시하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에 기반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발명 제품을 사용 시 상규적으로 배치하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이며, 본 발명의 설명 및 설명의 간략화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 표시되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 방향을 구비하거나, 특정된 방향으로 구성 및 동작되어야 함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하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용어 "근"(가까운), "원"(먼)은 상대적인 위치 관계이고, 조작자가 기기를 동작시켜 목표 물체에 대한 처리를 진행할 경우, 상기 기기를 따라 조작자에 접근하는 일측이 "근"이고, 목표 물체에 접근하는 일측이 "원"이다.
용어 "제1", "제2" 등은 설명의 구분을 위한 것일 뿐,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별도의 명확한 규정 및 한정이 없는 한, 용어 "마련", "서로 연결", "연결"은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고정 연결일 수 있고, 탈착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기계적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두 개의 소자 내부의 연통일 수 있다. 당업자에게 있어서, 구체적인 경우에 따라 상기 용어가 본 실시예에서의 구체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중재 치료 기기로서의 내시경의 일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절곡부 및/또는 연성관부는 복수의 채널 또는 캐비티와 관련된다. 이때, "채널" 또는 "캐비티"로 설명하는 것은 주로 대체적으로 솔리드 상태의 절곡부 및/또는 연성관부에 상대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절곡부 및/또는 연성관부가 나타내는 상태가 솔리드가 아닐 경우, 예를 들어, 대체적으로 중공 상태일 경우,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절곡부 및/또는 연성관부에 관련되는 채널 또는 캐비티는 관로 또는 경로일 수 있다. 즉, 상응한 부재에 필요한 경로를 제공할 수만 있다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절곡부 및/또는 연성관부의 채널 또는 캐비티는 관로 또는 경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수단 및 장점이 보다 명료해지도록 하기 위해, 이하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추가로 상세한 설명을 진행한다.
내시경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ECRP,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은 십이지장경을 십이지장 하행부까지 삽입하여 십이지장 유두를 찾아내고, 조영 도관을 생체 검사 튜브 내에서 유두 개구부까지 삽입하며, 조영제 주입 후 X레이로 촬영하여 췌담관을 표시하는 기술이다. ERCP를 기반으로, 십이지장 유두 괄약근 절개술, 내시경적 비담즙 배액술, 내시경적 담즙 내 배액술, 내시경적 제석술 등 중재 치료를 진행할 수 있으며, 절개가 필요없고, 상처가 작아 환자들의 환영을 받고 있다. 상기 중재 치료는 통상적으로 중재 치료 기기가 상기 십이지장경의 기기 채널(또는 작업 채널, 겸자 채널로도 칭함)을 관통하도록 해야 하며, 십이지장 유두를 거쳐 담췌관 내에 진입하여 중재 치료를 진행한다. 중재 치료 기기가 내시경일 경우, 상기 십이지장경을 마더(mother) 내시경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중재 치료 기기로서의 내시경은,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비싸며, ERCP 시술 및 상응한 중재 치료를 구현함과 아울러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한다.
2019년 8월 6일, 미국 "New York Times"는 한 편의 글을 발표하였으며, 제목은 "Why Are These Medical Instruments So Tough to Sterilize"이고, 작자는 Roni Caryn Rabin이다. 이 제목은 36 크립톤(36kr.com)에 의해 "매년 50만 환자에 의해 접촉되는 내시경은 왜서 소독하기 어려운가?"로 번역되었다. 이 글에는, 세계 각지의 의료 기관에서, 췌장과 담관 등 질병을 진단과 치료 시, 모두 뱀모양 십이지장경(duodenoscope)을 이용해야 한다고 적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섬유 광학 소자에는 다음과 같은 뚜렷한 단점이 존재한다. 즉, 경구적으로 이를 소장 상반부로 삽입할 수 있고, 반복 사용 가능하나, 상규적인 방식으로 소독을 진행할 수 없다. 통상적인 경우, 이들은 모두 손으로 세척 후, 식기 세척기와 같은 기계에 방치되어 재차 세척된다. 재차 세척 과정에서, 전용 화학품도 첨가하여 미생물을 소멸한다. 각 과정에서 모두 엄격하게 요구 사항에 따라 세척을 진행하더라도 이러한 기기에는 여전히 세균이 잔류될 수 있으며, 환자는 이로 인해 감염될 수 있다. 실제로, 미국 및 유럽의 많은 의료 기관에서는 모두 십이지장경으로 인해 환자가 감염된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사례가 수백 건에 달한다. 그러나 최근의 한 시험에 따르면, 관련 규제 기관에서 숨겨진 위험을 심각하게 과소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상가상으로, 이러한 기기는 약물 내성 감염의 확산을 야기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감염은 현재 치유 방안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중재 치료 기기로서의 내시경에도 상기 문제가 존재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췌장과 담관 등 질병을 진단 및 치료하는 상기 기능을 구현하면서 철저한 청결 불가로 인한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내시경이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중요한 것은 원가가 저렴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환자들은 여전히 사용하기 어렵다. 원가가 어느 정도 저렴하면, 저렴한 원가의 내시경은 일회용 내시경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때 내시경의 철저한 청결 불가로 인한 이차 감염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중재 치료 기기로 상기 ERCP 시술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전자 내시경 및 상기 전자 내시경에 포함되는, 상응하게 독립적으로 제조, 사용 가능한 부재를 제공한다.
방향의 설명에 대한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1)에서, 동작부(3) 상의 회전 손잡이(3111)는 동작부(3)의 정면에 위치한다. 동작부(3) 상에는 기기 포트(307)가 마련되고, 기기 포트(307)는 동작부(3)의 측면에 위치한다. 경사면(211)은 동작부(3)의 측면을 향한다. 경사면(211)은 기기 포트(307)의 일측을 향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의 구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1)은 가늘고 긴 삽입부(2), 삽입부(2)의 근단 일측에 마련된 동작부(3)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서로 연결된 삽입부(2)와 동작부(3)를 포함하는 전자 내시경(1)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의 구조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에는 원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선단부(21), 절곡부(22) 및 연성관부(23)가 마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의 구조의 좌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과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의 선단부(21)에는 대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나타내는 베이스(210)가 마련된다. 베이스(210) 상에는 베이스(210) 원단 단면의 하측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된 경사면(211)이 마련된다. 당업자라면, 상기 "절단"이 경사면(211)의 형상을 쉽게 형상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경사면(211)의 형성 과정에 대한 한정이 아님을 이해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10)에는 축방향을 따라 베이스(210)를 관통하는 복수의 캐비티가 마련되며, 카메라 유닛(212)을 고정하기 위한 캐비티, 조명 유닛(213)을 고정하기 위한 캐비티, 작업 기기의 관통을 허용하기 위한 작업 채널(214)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 일측으로부터 베이스(210)를 관찰하면, 작업 채널(214)의 대부분 영역은 경사면(211)에 위치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을 이용하여, 경사면의 마련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내시경이 절곡 방향에 수직인 수직 방향에서 양호한 통과성을 구비하도록 하고; 절곡 방향에 대한 능동 제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내시경이 절곡 방향에서 양호한 통과성을 구비하도록 하며; 또한, 동작부의 이동 또는 회전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내시경은 실제 상황에 따라 경사면을 이용하거나, 절곡 방향에 대한 능동 제어를 이용하거나, 경사면과 절곡 방향에 대한 능동 제어를 함께 이용하여 상이한 시나리오에서의 통과성을 구현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상술한 기술적 해결수단은 구조가 간단하고, 낮은 원가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저렴한 원가의 우세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내시경의 각 구조에서 구현된다.
베이스(210)는 깨끗한 물이 통과되도록 허용하는 보조 채널(2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는 물을 예시로 하였으며, 주로 직관적으로 보조 채널(215)이 통과 물체에 따라 상응한 특징을 설정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인 바, 즉, 보조 채널(215)이 물의 채널로 이용될 시, 기본적으로 밀폐되어야 하며, 일정한 압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하고, 물이 적절하게 베이스(210)의 원단까지 수송되어 세척 등 작용을 정상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어야 하며, 보조 채널(215)이 물만 통과되도록 허용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 채널(215)은 두 개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1)의 삽입부(2)에서, 보조 채널(215)과 선단부(21)의 원단 단면의 교차 위치는 경사면(211) 외의 영역에 위치한다.
출원인은, 하나의 조명 유닛에 비해, 쌍을 이루면서 대칭 마련되는 조명 유닛은 카메라 유닛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보다 선명하고, 사각이 적도록 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실제 제품에서는 크기가 매우 작을 수 있는 베이스(210) 상에 카메라 유닛(212)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조명 유닛(213)을 여전히 마련하였다. 출원인은, 이로 인해 기타 캐비티의 크기가 부득이 더 작아지더라도 적어도 상기 두 개의 조명 유닛(213)을 마련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1)의 삽입부(2)에서, 두 개의 고정된 조명 유닛(213)은 카메라 유닛(212)의 양측에 위치한다. 두 개의 보조 채널(215)과 선단부(21)의 원단 단면의 교차 위치는 각각 두 개의 조명 유닛(213)에 접근한다.
베이스(210)는 경질이어야 하며, 경질에 대한 정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1)이 인체 내에서 작업 시, 베이스(210)가 상응한 압력을 견디고, 상응한 저항력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하며, 그에 마련된 촬영 유닛(212), 조명 유닛(213), 작업 채널(214), 보조 채널(215)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베이스(210)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금속, 표면에 유약칠한 세라믹, 멜라민 수지 등과 같이 기타 상기 조건에 부합되는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1)의 삽입부(2)에서, 카메라 유닛(212)과 작업 채널(214)은 선단부(21)의 횡단면 상의 양단에 대향되게 마련된다. 횡단면은 선단부(21)의 축선에 수직인 절단면이다.
도 4는 도 2의 A-A를 따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부(22)의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절곡부(22)와 연성관부(23)의 횡단면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모두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캐비티 채널이 마련되며, 와이어 채널(223), 작업 채널(224)을 포함한다.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보조 채널(225)을 더 마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채널(225)은 수밀성을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절곡부(22)와 연성관부(23)의 내부 구조의 마련은, 베이스(210)의 내부 구조와 서로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210) 상에 마련된 카메라 유닛(212)과 조명 유닛(213)은 절곡부(22)와 연성관부(23) 내의 와이어 채널(223)에 의해 전선, 데이터선 등 와이어(24)가 제공되어야 한다. 와이어(24)는 전기 공급 또는 전자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전도성을 구현할 수 있음을 표시한다. 베이스(210) 상에 마련된 작업 채널(214)은, 절곡부(22)와 연성관부(23)에도 대응되는 작업 채널(224)이 마련되어야만 작업 채널(214, 224)을 통과하는 기기 등 물체들이 근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연성관부(23), 절곡부(22), 베이스(210)를 관통하여 인체 또는 피검체 내로 진입되도록 할 수 있다. 베이스(210) 상에 보조 채널(215) 마련 시, 절곡부(22)와 연성관부(23)에 마찬가지로 대응되는 보조 채널(225)을 마련할 수 있으며, 보조 채널(215)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1)의 삽입부(2)에서, 와이어 채널(223)과 작업 채널(224)은 절곡부(22)의 횡단면 상의 양단에 대향되게 마련된다. 횡단면은 선단부(21)의 축선에 수직인 절단면이다.
계속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10)의 내부 구조와 달리, 절곡부(22)와 연성관부(23)의 내부에는 코드 채널(226)이 마련되며, 상기 채널을 마련하는 목적은 주로 절곡부(22)의 절곡에 대한 제어를 구현하기 위해서이다. 코드 채널(226)에는 코드(20)가 방치될 수 있고, 코드(20)는 동작부(3)의 동작 기구(31)에 위치하여 순차적으로 동작부(3), 연성관부(23), 절곡부(22)를 관통하며, 최종적으로 절곡부(22)의 원단의 편심위치에 고정된다. 이로써, 조작자가 동작 기구(31) 제어 시 코드(30)를 잡아당기면, 코드(20)는 절곡부(22)의 원단의 편심 위치에 작용하게 되어, 절곡부(22)에 편심위치를 향한 절곡이 발생되도록 한다. 즉, 절곡부(22)의 절곡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코드 채널(226)이 절곡부(22)의 원단 단면에서의 마련 위치이다. 절곡부(22)의 원단에서 코드(20)의 고정점을 상이한 편심 위치에 마련하면, 절곡부(22)의 절곡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절곡부(22)의 양방향 절곡을 구현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출원인은 두 개의 코드(20)를 마련하였고, 상기 두 개의 코드(20)의 근단은 동작 기구(31)에 연결되며, 원단은 상기 경로를 따라 연장되고 각각 절곡부(22)의 원단의 상이한 편심 위치에 고정되어, 절곡부(22)의 양방향 절곡을 구현한다. 절곡부(22)가 한 방향에서의 절곡 각도가 최대한 크도록 하기 위해, 상기 두 개의 코드(20)는 절곡부(22)의 원단의 고정 위치에서 대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절곡부(22)는 두 개의 코드 채널(226)을 포함하고, 두 개의 코드 채널(226)은 절곡부(22)의 원단 단면의 교차 위치에서 미러링되게 절곡부(22)의 원단 단면의 좌우 양단(도 4)에 마련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절곡부(22)의 원단 단면이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 함께 마련될 수도 있어, 절곡부(22)의 최대 절곡 각도의 구현에 유리하게 된다. 즉, 두 개의 코드 채널(226)과 절곡부(22)의 원단 단면의 교차 위치는 작업 채널(224)을 지나는 축선의 종단면에 대해 대칭되게 마련된다.
도 5는 절곡부가 그의 좌우 방향을 따라 절곡된 상태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1)의 삽입부(2)에서, 절곡부(22)는 절곡부(22)를 관통하는 와이어 채널(223), 작업 채널(224) 및 코드 채널(226)을 포함하고, 코드 채널(226)의 축선과 절곡부(22)의 원단 단면의 교차 위치는 절곡부(22)의 축선에 대해 편심위치에 위치한다. 즉, 코드 채널(226)의 축선과 절곡부(22)의 축선은 중첩되지 않는다. 보조 채널(225) 마련 시, 두 개의 코드 채널(226)과 절곡부(22)의 원단 단면의 교차 위치는 각각 두 개의 보조 채널(225)과 절곡부(22)의 원단 단면의 교차 위치에 접근한다.
본 발명에서, 두 개의 코드 채널(226)과 절곡부(22)의 원단 단면의 교차 위치 사이의 연결선은 대체적으로 능선(216)에 평행되고, 이로써 능선(216)과 절곡부(22)의 절곡 방향이 대체적으로 평행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조작자가 코드(20)를 절곡부(22) 일측으로 절곡되도록 제어할 시, 연성관부(23)도 일정한 각도의 절곡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자의 제어가 보다 정밀하도록 하기 위해, 연성관부(23)의 재료는 절곡부(22)보다 단단하게 마련되며, 이로써 조작자가 코드(20)를 통해 절곡부(22)를 제어하여 선단부(21)의 절곡을 구동할 시, 연성관부(23)는 기본적으로 절곡되지 않으며, 이로써 선단부(21)의 위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에서, 목적에 따라, 연성관부(23)의 재료를 절곡부(22)의 재료와 동일하게 마련하여 필요 시 연성관부(23)가 절곡부(22)의 동작에 따라 동작되는 종동 동작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재료 선택을 통해 절곡부(22)와 연성관부(23)의 절곡을 제어하는 것만 언급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동일한 재료의 상이한 규격, 또는 상이한 부위를 상이한 재료 또는 동일한 재료의 상이한 규격으로 설정함으로써 절곡부(22)의 절곡 각도와 연성관부(23)의 종동 동작의 제어를 모두 실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연성관부(23)가 상대적으로 절곡되기 보다 어렵고, 절곡부(22)가 상대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절곡되도록 구현하기 위해, 일 측면으로 양자의 내, 외(예를 들어, 외부 커버 부재, 외측 도포 재료, 내벽에 부착되는 내부 커버 부재, 내측 도포 재료)에 부착되는 재질을 고려할 수 있고, 다른 일 측면으로, 채널 또는 캐비티를 대체하는 관로의 재질에 대해 고려할 수 있다. 이때, 관로는 채널 또는 캐비티를 대체하기 위한 것이므로, 절곡부(22) 및/또는 연성관부(23)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또한, 재질 이외에, 상기 각 부재의 구조, 예를 들어 부르동관을 통해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1)의 삽입부(2)에서, 절곡부(22)의 재료 또는 절곡부(22)에 부착되는 재료는 연성관부(23)의 재료 또는 연성관부(23)에 부착되는 재료의 강도보다 더 낮고, 즉, 보다 유연하며, 보다 용이하게 절곡된다. 또는, 절곡부(22) 내에 마련된 관로의 재료 또는 구조는 연성관부(23) 내의 관로의 재료 또는 구조보다 강도가 더 낮고, 즉 보다 유연하고, 보다 용이하게 절곡된다. 예를 들어, 부르동관을 이용하여 관로를 지지할 수 있고, 배열이 보다 성긴 부르동관 또는 선재 직경이 보다 작은 부르동관은 보다 용이하게 절곡된다.
두 개의 코드(20)를 마련하고, 절곡부(22)와 연성관부(23)에 두 개의 코드 채널(226)을 마련한 상기 경우, 하나의 완전한 코드(20)의 일단을 연성관부(23)의 근단 일측으로부터 하나의 코드 채널(226)에 삽입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연성관부(23)와 절곡부(22)를 관통하며 절곡부(22)의 원단 일측으로부터 인출한 다음(이때, 절곡부(22)는 선단부(21)와 아직 연결되지 않음), 상기 일단을 절곡부(22)의 원단 일측으로부터 다른 코드 채널(226)로 삽입하고 연성관부(230의 근단 일측으로부터 인출한다. 즉, 하나의 코드(20)로 절곡부(22)와 연성관부(23)의 코드 채널(226)을 관통하여 U형을 형성하며, U형의 개구는 연성관부(23)의 근단 외부에 위치하고, U형의 폐구는 절곡부(22)의 원단 외부에 위치한다. 그 다음, 이때의 코드(20)의 절곡부(22)의 원단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과 절곡부(22)의 원단 단면을 고정하는 바, 예를 들어, 접착제로 접착하거나 용접하여 코드(20)의 신속한 장착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장착 방법은 작업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전자 내시경(1)에 적용되어 절곡 제어되는 코드(20)가 삽입부(2)에 장착되는 방법을 제공하였고, 삽입부(2)는 절곡부(22)와 연성관부(23)를 포함하고, 절곡부(22)와 연성관부(23)에는 모두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두 개의 코드 채널(226)이 마련되며, 장착 방법은,
하나의 코드(20)의 일단을 연성관부(23)의 근단 일측으로부터 하나의 코드 채널(226)로 삽입하는 단계;
코드(20)의 상기 일단을 절곡부(22)의 원단으로부터 인출하는 단계;
코드(20)의 상기 일단을 절곡부(22)의 원단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코드 채널(226)로 삽입하는 단계;
코드(20)의 상기 일단을 연성관부(23)의 근단으로부터 인출하는 단계; 및
절곡부(22)의 원단으로부터 돌출된 코드(20)의 일부를 절곡부(22)에 고정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사용 시나리오 중의 일 예로, ERCP 내시경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에서, 경구적으로 마더 내시경을 십이지장까지 삽입하고, 그 다음 마더 내시경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을 십이지장 유두(담관과 메인 췌장관은 십이지장의 공동 개구에 위치함) 내로 삽입하여 다양한 필요한 동작을 진행한다. 출원인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이 마더 내시경 중 상응한 채널(예를 들어, 작업 채널, 또는 기기 채널, 또는 겸자 채널로도 칭함)을 거쳐, 십이지장 유두에 삽입되어야 하며, 매우 높은 통과성을 요구함을 발견하였다. 본 실시예의 선단부(21)는 전자 내시경(1)이 전진하는 최선단에 위치하므로 이의 통과성이 가장 중요하다. 출원인은 실천을 통해, 선단부(21)의 통과성에 영향주는 요소는 주로 선단부(21)의 원단 형상 및 선단부(21)에 대한 절곡부(22)의 지지를 포함함을 발견하였다.
선단부(21)의 원단 형상은 선단부(21)의 통과성에 영향주는 하나의 영향 요소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선단부(21)는 베이스(210)를 포함하고, 베이스(210)에는 경사면(211)이 마련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211)과 베이스(210)의 원단 단면의 교차 위치에는 하나의 능선(216)이 형성된다. 출원인은, 동작의 편리를 만족시키면서 전자 내시경(1)의 원가를 증가하지 않는 전제 하에서, 능선(216)을 베이스(210)의 축선에 수직되게 마련하고, 아울러 절곡부(22)의 절곡 방향과 평행되게 마련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1)이 마더 내시경의 상응한 채널 내에서 관통될 시, 출원인은, 절곡부(22) 및/또는 연성관부(23)의 재료 선택을 통해 선단부(21)의 비교적 양호한 통과성을 구현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아울러, 출원인은, 통과성을 증가하기 위해, 동작부(3)의 구조 설정(상세한 구조는 후술되는 내용을 참조함)을 통해 절곡부(22) 및/또는 연성관부(23)가 마더 내시경의 상응한 채널의 구조에 따라 적응성 절곡이 발생될 시 코드(20)의 부적절한 구속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1)의 선단부(21)와 절곡부(22)가 마더 내시경 외부로 인출될 시, 절곡부(22)의 좌우 방향(능선(216)과 평행됨)에서의 절곡은 상술한 코드(20)의 제어를 통해 구현할 수 있고; 상하 방향(능선(216)과 수직됨)에서의 절곡은 우선 체외에 위치하는 전자 내시경(1)을 일정 각도로 전체 회전시킨 후(절곡부(22)는 이에 따라 회전됨), 상술한 코드(20)를 통해 절곡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절곡부(22) 및/또는 선단부(21)가 축심을 둘러싸는 절곡 방향을 쉽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통과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원가를 감소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1)의 삽입부(2)는 선단부(21)와 절곡부(22)를 포함하고, 선단부(21)의 원단 단면은 경사면(211)을 구비하며, 경사면(211)과 선단부(21)의 원단 단면은 교차되어 하나의 능선(216)을 형성하고, 능선(216)과 절곡부(22)의 절곡 방향은 평행된다.
절곡부(22)가 선단부(21)에 대한 지지력 크기도 선단부(21)의 통과성에 영향주는 하나의 영향 요소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1)이 비교적 좁은 인체의 어느 한 조직에 진입해야 될 경우, 예를 들어, 십이지장 유두에 진입할 시, 선단부(21)가 그 근단으로부터 받게 되는 지지는 비교적 중요하다. 지지가 과도하게 약할 경우, 저항력을 극복하여 성공적으로 진입하기 어렵게 된다. 출원인은, 이에 대해 선택 가능한 일 해결수단은 선단부(21)와 절곡부(22) 사이의 연결 방식을 개선하는 것임을 발견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는 내, 외측의 두 지지로부터 구현된다. 실제로, 대량의 실험 결과, 출원인은 내측 지지를 단독으로 제공하거나, 외측 지지를 단독으로 제공하거나, 내측, 외측 지지를 함께 제공하는 것은 모두 상기 지지 목적을 구현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도 6a는 도 3의 B-B를 따르는 선단부와 절곡부의 결합 위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도 3의 B-B를 따르는 절곡부와 연성관부의 결합 위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c는 도 3의 C-C를 따르는 선단부와 절곡부의 결합 위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d는 도 3의 C-C를 따르는 절곡부와 연성관부의 결합 위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지지는, 근단에 호온(horn) 개구(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된 하나의 스테인리스 강관(201)을 마련하고, 원단은 베이스(210)의 작업 채널(214) 내에 마련되며, 호온 개구가 마련된 근단은 절곡부(22)의 작업 채널(224) 내에 마련되며, 대체적으로 억지끼움을 형성하여 스테인리스 강관(201)과 베이스(210) 및 절곡부(22)의 연결이 보다 견고해지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기기가 작업 채널을 따라 근단으로부터 원단으로 전진 시, 호온 개구의 마련으로 인해, 절곡부(22)와 베이스(210)의 결합위치를 보다 쉽게 통과할 수도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을 베이스(210)의 보조 채널(215) 내에 마련하고, 근단을 절곡부(22)의 원단 내의 스테인리스 강관(201a)에 마련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절곡부(22)와 베이스(210)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는 전제 하에 내측 지지 작용도 할 수 있다.
도 6a,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지지는, 외측에 베이스(210)를 일부 감싸고, 절곡부(22)의 원단을 일부 감싸는 하나의 스테인리스 강관(202)을 마련하는 것이다. 스테인리스 강관(202)은 베이스(210)와 절곡부(22)의 원단을 ?g(hoop) 연결하여, 베이스(210)와 절곡부(22)의 결합부 누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술한 지지 목적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각 스테인리스 강관 마련 시, 그 길이가 절곡부(22)의 절곡 각도에 대한 영향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출원인은 반복된 시험을 통해, 스테인리스 강관(201)의 규격이 8 ㎜일 경우, 통과성과 절곡 제어를 모두 용이하게 고려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베이스(210)에 인입되는 부분은 4 ㎜이하일 수 있고, 2~3.5 ㎜를 선택할 수도 있다. 스테인리스 강관(202)의 규격은 길이가 5~10 ㎜일 수 있고, 길이가 6 ㎜일 시 통과성과 절곡 제어를 모두 용이하게 고려할 수 있으며, 베이스(210)를 커버하는 부분과 절곡부(22)를 커버하는 부분은 각각 약 절반이고, 베이스(210)를 커버하는 부분이 절곡부(22)를 커버하는 부분보다 작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1)의 삽입부(2)에서, 선단부(21)의 작업 채널(214)과 절곡부(22)의 작업 채널(224) 사이는 관부재(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인리스 강관(201)임)를 통해 연통된다. 선단부(21)의 작업 채널(214)과 절곡부(22)의 작업 채널(224)을 연통하는 관부재(스테인리스 강관(201))는 호온 개구를 구비하며, 호온 개구는 절곡부(22)를 향하고 절곡부(22)의 작업 채널(224) 내에 마련된다. 선단부(21)의 보조 채널(215)과 절곡부(22)의 보조 채널(215) 사이는 관부재(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인리스 강관(201a)임)를 통해 연통된다. 선단부(21)의 보조 채널(215), 절곡부(22)의 보조 채널(215)과 연통되는 관부재 외측은 선단부(21)의 보조 채널(215), 절곡부(22)의 보조 채널(225)과 수밀적으로 연결된다. 선단부(21)와 절곡부(22) 사이는 외측으로부터 선단부(21)와 절곡부(22)의 접합 위치에 ?g 연결되는 관부재(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인리스 강관(202)임)를 통해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연성관부(23)와 절곡부(22)의 연결을 구현하기 위해, 또는, 연성관부(23)가 절곡부(22)에 대한 지지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단독으로 내, 외측 지지를 마련하거나 또는 내외측 지지를 함께 마련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절곡부(22)와 연성관부(23)의 횡단면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도 6b,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지지를 제공하는 경우, 원단이 절곡부(22)의 근단의 작업 채널(224) 내에 위치하고, 근단이 연성관부(23)의 원단의 작업 채널(224) 내에 위치하는 하나의 스테인리스 강관(203)을 마련할 수 있다. 또는, 단독으로 또는 별도로 원단이 절곡부(22)의 근단의 보조 채널(225) 내에 위치하고, 근단이 연성관부(23)의 원단의 보조 채널(225) 내에 위치하는 스테인리스 강관(205)을 마련할 수 있다. 도 6b,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지지를 제공하는 경우, 외측에 일부가 절곡부(22)의 근단을 감싸고, 일부가 연성관부(23)의 원단을 감싸는 스테인리스 강관(204)을 마련하는 것이다. 스테인리스 강관(204)은 완전한 강관일 수 있고, 축방향을 따라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부르동관일 수도 있으며, 기억 합금을 이용하여 제조된 강관 또는 개구 강관일 수 있다. 스테인리스 강관(204)이 축방향 개구를 가질 경우, 장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개구의 존재로 인해, 스테인리스 강관(204)을 통해 연결되는 부재의 크기 정밀도에 대한 요구가 비교적 높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개구단부는 와핑될 수 있고, 인체 또는 피검체에 삽입 후 인체 조직 또는 피검체를 긁거나 또는 장착의 안정성에 영향줄 수 있으며, 또는 내부 채널을 압박할 수 있다. 따라서, 원가와 효율 사이의 균형에 기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스테인리스 강관(204)은 절곡부(22)의 근단과 연성관부(23)의 원단을 ?g 연결하고, 전술한 내측 지지와 마찬가지로, 결합부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 목적을 구현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스테인리스 강관(203), 스테인리스 강관(204), 스테인리스 강관(205)의 길이를 고려하여 절곡부(22)와 연성관부(23)의 절곡 각도에 영향주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출원인은 반복 시험을 거쳐, 스테인리스 강관(203)의 규격이 길이가 5~10 ㎜인 경우, 통과성과 절곡 제어를 함께 고려하기 용이하고, 약 절반이 절곡부(22)에 인입된다고 판단하였다. 스테인리스 강관(204)의 규격은 길이가 5~12 ㎜일 수 있으며, 통과성과 절곡 제어를 함께 고려하기 용이하고, 약 절반은 절곡부(22)를 커버한다. 스테인리스 강관(205)의 규격은 5~10 ㎜일 수 있으며, 통과성과 절곡 제어를 함께 고려하기 용이하고, 약 절반은 절곡부(22)에 인입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연성관부(23)와 절곡부(22) 내에는 코드 채널(226)이 더 마련되며, 따라서 일부가 절곡부(22)의 근단의 코드 채널(226) 내에 위치하고, 일부가 연성관부(23)의 원단의 코드 채널(226) 내에 위치하는 스테인리스 강관(206)을 마련할 수 있어, 코드(20)가 결합부를 통과할 시 충분히 원할하도록 보장할 수 있고, 또한 전술한 지지 작용도 구현할 수 있다. 그 크기는 전술한 내측 지지를 제공하는 스테인리스 강관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1)의 삽입부(2)에서, 절곡부(22)의 작업 채널(224)과 연성관부(23)의 작업 채널(224) 사이는 관부재(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인리스 강관(203)임)를 통해 연통된다. 절곡부(22)의 코드 채널(226)과 연성관부(23)의 코드 채널(226) 사이는 관부재(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인리스 강관(206)임)를 통해 연통된다. 절곡부(22)의 보조 채널(225)과 연성관부(23)의 보조 채널(225) 사이는 관부재(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인리스 강관(205)임)를 통해 연통된다. 절곡부(22)의 보조 채널(225), 연성관부(23)의 보조 채널(225)과 연통되는 관부재(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인리스 강관(205)임)의 외측은 절곡부(22)의 보조 채널(225), 연성관부(23)의 보조 채널(225)과 수밀적으로 연결된다. 절곡부(22)와 연성관부(23) 사이는 외측으로부터 절곡부(22)와 연성관부(23)의 접합 위치에 ?g 연결되는 관부재(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인리스 강관(204)임)를 통해 연결된다.
절곡부(22)와 연성관부(23)는 모두 연성 재료로 제조되고, 이러한 연성 재료는 동일한 재료일 수 있고, 절곡부(220의 재료가 연성관부(23)의 재료보다 더 유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출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연성 재료는 Pebax® 탄성체(강성 폴리아미드와 연성 폴리에테르 블록으로 구성된 폴리에테르 아미드 블록 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각 스테인리스 강관은 접착 방식을 통해 연성 재료와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외측에 마련된 스테인리스 강관은 독립적으로 프레스 그립 공정(프레스 그립 머신을 이용) 또는 프레스 그립 공정과 접착 공정이 결합된 방식을 통해 내측의 ?g 연결된 부위와의 고정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열융착 방식을 통해 연성 재료와의 상호 연결을 구현할 수도 있으며, 열융착 방식으로 연성 재료를 상호 연결시킬 시, 적합한 공정에서, 열융착 처리를 거친 후 냉각된 연성 재료 자체가 충분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선단부(21)와 절곡부(22) 사이, 절곡부(22)와 연성관부(23) 사이에 내측 지지 또는 외측 지지를 위한 스테인리스 강관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즉, 열융착 공정을 통해, 선단부(21)와 절곡부(22) 사이, 절곡부(22)와 연성관부(23) 사이의 고정 연결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술한 필요한 내외측 지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열융착 후, 연성 재료 외면에 조잡한 표면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인체에 진입 후 이러한 조잡한 표면은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바, 경우에 따라 열융착 처리를 통해 연결된 연성 재료는 작업 시의 반복되는 절곡을 견디지 못해 결합 위치에서 단열될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원가가 보다 낮은 열융착 공정이 스테인리스 강관 및 스테인리스 강관과 연성 재료 사이의 접착 공정 또는 프레스 그립 공정을 대체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 조잡한 표면과 연결 강도를 종합하여 고려하면, 필요한 경우, 수요에 따라 상이한 부위에 상술한 다양한 공정과 구조를 적용하거나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선단부(21), 절곡부(22) 및 연성관부(23) 사이의 내, 외측 지지는 모두 스테인리스 강관을 이용하며, 당업자라면, 스테인리스 강관은 하나의 선택 가능한 형태일 뿐, 상기 내, 외측 지지가 필요한 강도, 기타 인체 또는 피검체에 진입 시 필요한 녹 방지, 표면 등 요구를 만족시킬 수만 있다면 폴리 유산과 같은 기타 재질의 지지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의 내부 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의 내부 구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의 일부 내부 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의 일부 내부 구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보다 명료한 도시를 위해, 도 8a, 8b는 도 7a, 7b에 비해 제어부(311), 종동부(312)를 제거하였다.
도 7a,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와 동작부(3)는 보호대(32)를 통해 연결되고, 보호대(32)는 대체적으로 원추 형상을 나타내며, 중간에 협착부(321)가 마련된다. 보호대(32)의 내부 캐비티는 삽입부(2)가 통과되도록 하는 바, 즉, 삽입부(2)의 근단은 동작부(3) 내로 인입되며, 보호대(32)의 근단면에 돌출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대(32)의 저단은 H 형상을 나타내고, H형상 부위의 협착 부위는 쉘의 상응한 돌출부위와 클램핑되어 조립된다. 보호대(32) 중간의 협착부(321)도 쉘(30)의 상응한 돌출부위와의 클램핑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도 7a, 도 7b, 도 8a,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부(3)는 내부 캐비티가 형성된 쉘(30)로 구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쉘(30)에는 보조 포트(306), 기기 포트(307), 버튼 포트(308), 회전 손잡이 포트(301)가 마련된다. 조작자가 왼손으로 동작부(3)를 잡고, 오른손으로 동작부(3) 상의 상응한 부재를 제어하여 최종적으로 절곡부(22)를 제어할 시, 조작자에 대해, 보호대(32)의 개구는 대체적으로 아래를 향하고, 기기 포트(307)는 동작부(3)의 전방측에 마련되며, 개구는 경사진 상방을 향하고; 회전 손잡이 포트(301)는 우측에 위치하고; 보조 포트(306)는 동작부(3)의 후측에 마련되며, 개구는 경사진 상방을 향한다. 회전 손잡이 포트(301)는 원형이고, 원환이 마련되며, 상기 원환은 회전 손잡이 포트(301)의 축선과 중첩되고, 각각 동작부(3)의 쉘(30)의 내, 외측으로 연장되어 플랜지를 형성하며, 내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는 내측 플랜지(3011)로 정의하고,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는 외측 플랜지(3012)로 정의한다. 동작부(3)는 조작자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내시경을 조작 시 홀딩에 사용될 수 있다.
동작부(3)는 동작 기구(31)를 포함한다. 동작 기구(31)는 제어부(311), 종동부(312), 잠금 부재(313), 코드 구속 부재(314)를 더 포함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311)는 회전 손잡이(3111), 회전축(3112)을 포함한다. 회전 손잡이(3111)는 쉘(30) 외부에 마련되고, 회전 손잡이(3111)의 내부로 향하는 일측의 단면에는 리미트 블록(3113)이 마련된다. 회전축(3112)과 회전 손잡이(3111)의 축선은 중첩되고, 회전축(3112)의 일단은 회전 손잡이(3111)에 고정되며, 타단의 외주에는 티스가 마련되고, 티스단으로 정의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손잡이(3111) 내측 단면에 마련된 상기 리미트 블록(3113)에 대응되게, 쉘(30)의 외측에는 다른 두 개의 리미트 블록(3113)이 마련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종동부(312)는 종동링(3121)을 포함하고, 종동링(3121)은 중공 원기둥에 근사하며, 쉘(30) 내부에 마련된다. 회전 손잡이 포트(301)에 접근한 상기 종동링(3121)의 일단의 외주에는 외측 티스가 마련되고, 외측 티스단(3122)으로 정의되며; 회전 손잡이 포트(301)에서 멀리 떨어진 일단 내주에는 내측 티스가 마련되고, 내측 티스단(3122)으로 정의된다. 종동링(3121)의 외측 티스단(3122)의 내경은 상기 회전 손잡이 포트(301)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내측 플랜지(3011)보다 크며, 이로 인해 종동링(3121)의 외측 티스단(3122)이 내측 플랜지(3011)에 씌움 마련되고 회전될 수 있다. 종동링(3121)에는 3개의 방사 방향으로 원주에 돌출된 환형 시트(3124)가 마련되고, 환형 시트(3124) 상에는 포지셔닝 홀(3125)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이한 환형 시트(3124)에 마련된 포지셔닝 홀(3125)은 원주 방향 위치에서 서로 중첩되는 바, 즉, 상이한 환형 시트(3124)에 마련된 포지셔닝 홀(3125)의 축선은 중첩된다.
잠금 부재(313)는 잠금 기구(3131), 꽃잎 형상 블록(3132), 잠금 블록(3133)을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잠금 기구(3131)는 원환(3134), 손잡이부(3135), 십자 블록(3136)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원환(3134), 손잡이부(3135), 십자 블록(3136)은 서로 고정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135)는 원환(3134)의 한쪽에 마련되고, 대체적으로 원환(3134)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며, 십자 블록(3136)은 손잡이부(3135)에 마련되고, 쉘(30)로 연장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쉘(30) 상에는 십자 블록(3136)에 대응되는 십자 슬롯(302)이 마련되고, 십자 블록(3136)은 십자 슬롯(302)을 통해 쉘(30)로 인입되며, 쉘(30) 내부에 위치하는 꽃잎 형상 블록(3132)과 고정 연결된다. 본 실시예는 꽃잎 형상 블록(3132)의 외측을 향하는 일단 내에 십자 블록(3136)과 클램핑될 수 있는 홈을 마련함으로써 십자 블록(3136)과 꽃잎 형상 블록(3132) 사이의 신속하고 안정적인 장착을 구현한다. 원환(3134)의 엣지에는 포지셔닝 블록(3137)이 마련되고, 상기 포지셔닝 블록(3137)은 원환(3134)의 내측(쉘(30)을 향하는 일측) 단면의 외연으로부터 내측(쉘(30))을 향해 연장되며, 연장 끝단에서 원환(3134)의 축선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차(3138)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1)의 동작부(3)에서, 잠금 기구(3131)의 십자 블록(3136)과 포지셔닝 블록(3137)은 원환(3134)의 동일 측에 위치한다.
잠금 블록(3133)은 쉘(30) 내벽에 마련되고 쉘(30) 내측을 향해 연장되며, 회전 손잡이 포트(301)를 향하는 상기 잠금 블록(3133)의 일측에는 첨상 돌기(3139)가 마련된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쉘(30) 상에는 슬롯(303)이 마련되고, 원환(3134) 엣지에 마련된 포지셔닝 블록(3137)은 각각 상기 슬롯(303)에 인입될 수 있으며, 포지셔닝 블록(3137) 끝단에 돌출된 단차(3138)와 슬롯(303) 가장자리가 클램핑되어, 원환(3134)이 쉘(30)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슬롯(303)이 포지셔닝 블록(3137)에 대한 제한, 및 십자 슬롯(302)이 십자 블록(3136)에 대한 제한에 따라 잠금 기구(3131)는 쉘(30)에 조립될 수 있으며, 쉘(30)에 대해 일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원환(3134)의 회전이 보다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원환(3134)의 내측 원을 회전 손잡이 포트(301)의 외측 플랜지(3012)에 씌움 마련되도록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원환(3134)의 회전은 포지셔닝 블록(3137)과 슬롯(303)의 결합에만 의존하게 되고, 원하지 않는 편심 회전이 발생되어 사용에 영향줄 수 있다.
상기 각 부재 사이의 서로 간의 위치 관계는, 회전축(3112)의 티스단이 순차적으로 회전 손잡이 포트(301)의 외측 플랜지(3012), 회전 손잡이 포트(301)의 내측 플랜지(3011), 종동링(3121)의 외측 티스단(3122), 종동링(3121)의 내측 티스단(3123)을 관통하여, 종동링(3121)의 내측 티스단(3123)과 치합되며, 축방향을 따라 종동링(3121)의 내측 티스단(3123)의 단면에 돌출된다. 이때, 외측 플랜지(3012)의 마련으로 인해, 회전 손잡이(3111) 내측 단면에 마련된 리미트 블록(3113)이 회전 손잡이(3111)를 따라 회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쉘(30)과 부딪히지 않게 된다. 회전 손잡이(3111) 회전 시, 쉘(30) 상의 리미트 블록(3113)은 회전 손잡이(3111) 내측 단면 상의 리미트 블록(3113)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통해 회전 손잡이(3111)의 최대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비잠금 상태에서, 조작자가 회전 손잡이(3111)를 회전하면, 회전 손잡이(3111)는 그와 고정 연결된 회전축(3112)의 회전을 구동하며, 회전축(3112)은 종동링(3121)이 내측 플랜지(3011)를 둘러싸고 회전되도록 구동함을 이해할 수 있다.
조작자가 잠금 상태를 원할 경우, 조작자는 손잡이(3135)를 이동하고, 손잡이(3135)는 원환(3134)의 회전을 구동하며, 원환(3134), 포지셔닝 블록(3137), 십자 블록(3136)은 각각 외측 플랜지(3102), 슬롯(303), 십자 슬롯(302)의 리미트 블록을 따라 일정 각도 회전하고, 이때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 블록(3136)은 쉘(30) 내부의 꽃잎 형상 블록(3132)이 십자 슬롯(302)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하며, 꽃잎 형상 블록(3132)의 돌출된 부위는 잠금 블록(3133)을 압박하여 잠금 블록(3133)이 탄성 변형되도록 하고, 그 첨상 돌기(3139)는 종동링(3121)의 외측 티스단(3122)과 클램핑되거나 치합되어 종동링(3121)이 회전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잠금을 구현한다.
기타 실시예에서, 회전축(3112)의 티스단에는 방사 방향으로 회전축(3112)을 관통하는 핀홀(3114)이 마련되고, 상기 핀홀(3114)을 관통하는 핀(3115)을 더 마련하여 종동링(3121)이 축방향을 따라 회전축(3112)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에서, 잠금 부재(313)는 환형홈(3130)을 더 포함하여 탄성 와셔의 방치에 이용되며, 본 발명의 회전 감합 완료 상태에서, 상기 탄성 와셔는 환형홈(3130) 내에 방치되며 원환(3134)과 쉘(3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탄성 와셔(3130)는 원환(3134)이 쉘(30)에 대해 회전 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할 수 있고; 잠금 상태에서, 마찰력을 증가하는 방식을 통해 원환(3134)과 쉘(30) 사이의 접촉에 댐핑이 증가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연결을 구현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서 십자 블록, 꽃잎 형상 블록으로 명명된 부재에 있어서, 십자 및 꽃잎에 대한 묘사는 모두 그 기능의 이해에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작명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원하는 구동 효과를 구현할 수만 있다면,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계속하여, 도 7a, 도 7b, 도 8a,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실시예는 근단에서 두 코드(20)를 당기거나 느슨하게 함으로써 절곡부(22)의 절곡을 제어함을 알 수 있다. 즉, 코드(20)의 원단은 절곡부(22)의 원단에 고정되고, 코드(20)의 근단은 순차적으로 절곡부(22), 연성관부(23), 보호대(32)를 거쳐 동작부(3)의 쉘(30)로 진입하며, 동작부(3)의 쉘(30) 내부에서 순차적으로 코드 구속 부재(314)를 관통한 후 종동링(3121)의 환형 시트(3124) 상에 마련된 적어도 두 개의 포지셔닝 홀(3125)을 관통한 후, 용접 또는 부착 방식을 통해 마지막으로 관통하는 포지셔닝 홀(3125)에 고정된다. 출원인은, 코드(20)의 근단에 대해, 먼저 하나의 환형 시트(3124) 상의 포지셔닝 홀(3125)을 관통하고 최종적으로 다른 하나의 환형 시트(3124) 상의 포지셔닝 홀(3125)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방식으로 포지셔닝할 경우, 신속하게 장착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드(20) 근단의 안정적인 포지셔닝도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동작 기구(31)의 동작에 영향주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코드(20)가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포지셔닝 홀(3125)을 관통한 후, 하나의 가는 막대기로 모든 포지셔닝 홀을 관통하고, 추가 클램핑을 위해, 포지셔닝 홀(3125) 위치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이로써 빠르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드(20) 근단의 안정적인 포지셔닝도 구현할 수 있으며, 동작 기구(31)의 동작에도 영향주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1)의 동작부(3)에서, 코드(20)의 근단은 종동링(3121)의 중간 환형 시트(3124)의 포지셔닝 홀(3125)을 관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1)의 동작부(3)에서, 종동링에는 가는 막대기가 마련되어 코드(20)가 관통된 포지셔닝 홀(3125)에 삽입되며 코드(20)의 근단을 포지셔닝 홀(3125)에 고정하는 데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코드 구속 부재(314)는 하나의 메인 와이어 패싱 플레이트(3141)와 두 개의 분기 와이어 패싱 플레이트(3142)를 포함한다. 메인 와이어 패싱 플레이트(3141)는 분기 와이어 패싱 플레이트(3142)의 원측에 마련되고, 분기 와이어 패싱 플레이트(3142)는 메인 와이어 패싱 플레이트(3141)의 근측에 마련된다. 메인 와이어 패싱 플레이트(3141)의 중간에는 두 개의 포지셔닝 홀(3125)이 마련되고, 각각 두 개의 코드(20)가 관통되도록 하며; 메인 와이어 패싱 플레이트(3141)의 엣지부에는 개구가 아래를 향하는 삽입홈이 마련되고, 쉘(30) 내벽에 고정되는 삽입 플레이트(304)에 삽입 연결될 수 있어, 쉘(30)에 대한 메인 와이어 패싱 플레이트(3141)의 위치를 신속하게 고정한다. 두 개의 분기 와이어 패싱 플레이트(3142)는 각각 두 개의 코드 패시지(305) 내에 마련되고, 각 분기 와이어 패싱 플레이트(3142)에는 하나의 포지셔닝 홀(3125)이 마련되며, 각 코드 패시지(305)의 내벽에는 삽입홈(3143)이 마련되고, 분기 와이어 패싱 플레이트(3142)는 코드 패시지(305)의 내벽의 삽입홈(3143)에 삽입 장착되어 쉘(30)에 고정된다. 당업자라면, 우선 코드(20)가 포지셔닝 홀(3125)을 관통하도록 한 후, 메인 와이어 패싱 플레이트(3141), 분기 와이어 패싱 플레이트(3142)를 삽입 고정하는 방식을 통해 비교적 높은 장착 효율을 실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1)의 동작부(3)에서, 쉘(30) 내부에는 코드 패시지(305)가 마련된다. 코드 패시지(305)에는 메인 와이어 패싱 플레이트(3141) 및/또는 분기 와이어 패싱 플레이트(3142)가 마련된다. 메인 와이어 패싱 플레이트(3141) 및/또는 분기 와이어 패싱 플레이트(3142)에는 포지셔닝 홀(3125)이 마련된다. 메인 와이어 패싱 플레이트(3141)에는 두 개의 상하로 마련된 포지셔닝 홀(3125)이 마련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2)가 보다 용이하게 마더 내시경의 상응한 채널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즉, 삽입부(2)가 사용 환경으로서의 마더 내시경의 상응한 채널에 대한 통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동작부(3)에 대한 구조 설정을 통해, 절곡부(22) 및/또는 연성관부(23)가 마더 내시경의 상응한 채널의 구조에 따라 적응성 절곡이 발생할 시 코드(20)의 부적절한 구속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출원인은, 코드(20)가 너무 팽팽하여 상기 통과성에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드(20)가 우선 일정 정도의 이완 상태를 유지해야 함을 발견하였다. 이때, 코드(20)가 메인 와이어 패싱 플레이트(3141)와 분기 와이어 패싱 플레이트(3142) 상의 포지셔닝 홀(3125)을 관통하는 구조가 마련되거나, 또는 코드(20)가 환형 시트(3124) 상의 포지셔닝 홀(3125)을 관통하는 구조가 마련되어, 코드(20)가 이완되는 경우, 코드(20) 사이 및 주위의 부재와의 사이에는 간섭 또는 혼란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조작 과정에서, 회전 손잡이(3111)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코드(20)가 신속하게 작업 상태로 진입하여 정상적으로 역할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내시경(1)의 동작부(3)에서, 쉘(30) 내부에 마련된 코드(20)의 길이는 쉘(30) 내부에서 코드(20)의 경로보다 크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부(3)의 쉘(30) 상에는 보조 포트(306), 기기 포트(307)가 더 마련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2)는 근단을 향해 연장되어 동작부(3)의 쉘(30)로 진입하며, 보호대(32)의 근단 단면에 돌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2)의 연성관부(23)는 쉘(30) 내부로 보호대(32)의 근단 단면에 돌출되며, 구체적으로 삽입부(2)의 연성관부(23)의 내부에는 작업 채널(224), 와이어 채널(223), 코드 채널(226)이 마련되고, 기타 실시예에서 보조 채널(225)이 더 마련될 수 있다.
기기 포트(307)에는 루어 테이퍼(3071)가 마련되고, 스테인리스 강관(3072)을 통해 연성관부(23)의 작업 채널(224)과 연통된다. 보조 포트(306)에는 보호대(3061)가 마련되고, 스테인리스 강관(3062)을 통해 연성관부(23)의 보조 채널(225)과 연통된다(도면에는 보조 포트(306)와 스테인리스 강관(3062)의 연통 상태를 도시하지 않음).
기타 실시예에서, 동작부(3)의 쉘(30) 내부에는 전자 제어 유닛(33)이 더 마련되고, 전자 제어 유닛(33)의 버튼(331)은 조작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쉘(30) 상의 버튼 포트(308)로부터 쉘(30)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동작부(3)의 쉘(30) 상에는 전자 출력 포트(332)가 더 마련될 수 있고, 전자 제어 유닛(33), 카메라 유닛(212), 조명 유닛(213), 전자 출력 포트(332)는 와이어(24)를 통해 필요한 전력 공급 및 데이터 전송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상술한 내용은 구체적인 실시형태와 함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가 이러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없음을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라면 형식상 및 세부사항으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약간의 간단한 추론 또는 치환을 포함하는 다양한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순차적으로 서로 연결된 삽입부와 동작부를 포함하는 전자 내시경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선단부와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의 원단 단면은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경사면과 상기 선단부의 원단 단면은 교차되어 능선을 형성하고, 상기 능선과 상기 절곡부의 절곡 방향은 평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내시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동작부의 측면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내시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의 쉘 상에는 기기 포트가 마련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기기 포트의 일측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내시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절곡부를 관통하는 코드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코드 채널의 축선과 상기 절곡부의 원단 단면의 교차 위치는 상기 절곡부의 축선에 대해 편심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내시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채널의 축선과 상기 절곡부의 원단 단면의 교차 위치 사이의 연결선은 상기 능선에 평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내시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원단에는 카메라 유닛과 두 개의 조명 유닛이 마련되며, 두 개의 상기 조명 유닛은 각각 상기 카메라 유닛의 양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내시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보조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채널은 수밀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내시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채널과 상기 선단부의 원단 단면의 교차 위치는 상기 경사면 외의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내시경.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채널은 두 개이고, 두 개의 상기 보조 채널과 상기 선단부의 원단 단면의 교차 위치는 각각 두 개의 상기 조명 유닛에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내시경.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연성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 상기 절곡부와 상기 연성관부에는 모두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작업 채널이 마련되고, 상기 선단부, 상기 절곡부와 상기 연성관부의 상기 작업 채널 사이는 관부재를 통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내시경.
KR1020227046441A 2020-07-03 2021-06-07 전자 내시경 KR202300416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631476.0A CN113876284A (zh) 2020-07-03 2020-07-03 电子内窥镜
CN202010631476.0 2020-07-03
PCT/CN2021/098683 WO2022001587A1 (zh) 2020-07-03 2021-06-07 电子内窥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664A true KR20230041664A (ko) 2023-03-24

Family

ID=7901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6441A KR20230041664A (ko) 2020-07-03 2021-06-07 전자 내시경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84884A1 (ko)
EP (1) EP4159106A1 (ko)
JP (1) JP2023531095A (ko)
KR (1) KR20230041664A (ko)
CN (1) CN113876284A (ko)
BR (1) BR112022026769A2 (ko)
WO (1) WO2022001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1855B (zh) * 2022-04-14 2022-07-12 杭州莱恩瑟特医疗技术有限公司 牵引机构及阑尾镜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3309A (ja) * 1986-05-21 1987-12-09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の先端部
US5305736A (en) * 1991-04-26 1994-04-26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Distal end part of endoscope
JP2005013708A (ja) * 2003-05-30 2005-01-20 Olympus Corp 内視鏡及びその組立方法
JP3854946B2 (ja) * 2003-05-30 2006-12-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JP5604247B2 (ja) * 2010-09-28 2014-10-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装置
JP2012075658A (ja) * 2010-09-30 2012-04-19 Fujifilm Corp 内視鏡装置
JP2012090741A (ja) * 2010-10-26 2012-05-17 Fujifilm Corp 内視鏡装置
JP5238099B2 (ja) * 2011-02-28 2013-07-17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湾曲部付医療装置
CN104486985B (zh) * 2013-02-15 2017-03-08 奥林巴斯株式会社 活检系统
JP5698877B1 (ja) * 2013-04-12 2015-04-08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内視鏡
JP5663709B1 (ja) * 2013-05-27 2015-02-04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
JP5901862B2 (ja) * 2014-03-04 2016-04-1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処置システム及び内視鏡用処置具
JP5989277B2 (ja) * 2014-09-04 2016-09-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の先端構造
CN105662327A (zh) * 2016-01-29 2016-06-15 姜克让 护套内窥镜
CN207666561U (zh) * 2017-03-28 2018-07-31 深圳英美达医疗技术有限公司 内窥镜
CN218943294U (zh) * 2020-07-03 2023-05-02 杭州莱恩瑟特医疗技术有限公司 插入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31095A (ja) 2023-07-20
CN113876284A (zh) 2022-01-04
US20230284884A1 (en) 2023-09-14
WO2022001587A1 (zh) 2022-01-06
EP4159106A1 (en) 2023-04-05
BR112022026769A2 (pt)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4733B2 (en) Complex irrigation/suction flow path in a medical device
JP6279555B2 (ja) シースを備えた細長い医療用器具
JPH01313038A (ja) 使い捨てシースと共に用いる内視鏡
US10863886B2 (en) Rotatable introducers
JPH0150406B2 (ko)
CN218943294U (zh) 插入部
US20180028783A1 (en) Steerable catheter handle
US5536235A (en) Endoscope apparatus of endoscope cover type
BR112019004451B1 (pt) Endoscópio flexível
JP6289795B1 (ja) 処置具及び処置システム
KR20230041664A (ko) 전자 내시경
WO2019240170A1 (ja) 硬性内視鏡のカバーおよび内視鏡ユニット
JP7158950B2 (ja) 内視鏡補助具、内視鏡、内視鏡補助具及び内視鏡
JP3422213B2 (ja) 内視鏡ガイド装置
CN216394292U (zh) 引流导管和灌洗引流装置
JPH1199124A (ja) ガイドマニピュレータおよび作業支援装置
EP2640253A1 (en) Medical device for using an endoscopic instrument for diagnostic or operating purposes, particularly in urology and gynecology
JP3435214B2 (ja) 内視鏡
JPH045135Y2 (ko)
JP3713286B2 (ja) 内視鏡カバー
KR102229513B1 (ko) 조향 가능 카테터 핸들
JPH0681501U (ja) 硬性内視鏡の洗浄具
JPH07303U (ja) 内視鏡用処置具
CN214966791U (zh) 一种腔镜手术用气腹针保护装置
US20230364382A1 (en) Catheter shaft with tapered inner diameter for improved flow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