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1052A -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 배관 어셈블리, 사방 밸브 어셈블리 및 공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 배관 어셈블리, 사방 밸브 어셈블리 및 공조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41052A KR20230041052A KR1020237005571A KR20237005571A KR20230041052A KR 20230041052 A KR20230041052 A KR 20230041052A KR 1020237005571 A KR1020237005571 A KR 1020237005571A KR 20237005571 A KR20237005571 A KR 20237005571A KR 20230041052 A KR20230041052 A KR 202300410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copper sleeve
- connection
- assembly
- s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8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8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8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3584 silence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219 bra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10000906 Bronz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74 bronz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KUNSUQLRTQLHQQ-UHFFFAOYSA-N copper tin Chemical compound [Cu].[Sn] KUNSUQLRTQLH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7 detri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66 inser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07—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joining pipes of dissimilar materia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6—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of fluid flow reversing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four-way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Valve Housing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100), 배관 어셈블리(300), 사방 밸브 어셈블리(400) 및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100)는 스테인리스강관(10) 및 구리 슬리브(20)를 포함한다. 스테인리스강관(10)은 연결부(11)를 포함한다. 구리 슬리브(20)는 연결부(11) 외측벽을 씌우도록 설치된다. 연결부(11) 외측벽과 구리 슬리브(20) 내측벽 사이는 땜납 수용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11)의 축 방향을 따라, 땜납 수용층(30)은 연결부(11) 반경 방향을 따르는 두께가 점차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또는 구리 슬리브(20) 내측벽은 연결부(11)에서 먼 일단에 단차(40)가 설치되며, 땜납은 단차(40)에 맞닿는다. 이러한 구조는 구리 슬리브와 스테인리스강관 용접 연결 과정에서, 구리 슬리브 외벽에 흐름 납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리 슬리브와 스테인리스강관 사이의 용접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2020년 10월 16일 출원된 출원번호는 202022318930.5이고 발명의 명칭은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인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본 출원에 전체로서 인용되었다. 본 출원은 2020년 9월 21일 출원된 출원번호는 202010994104.4이고 발명의 명칭은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인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본 출원에 전체로서 인용되었다. 본 출원은 2020년 9월 21일 출원된 출원번호는 202022080360.0이고 발명의 명칭은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인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본 출원에 전체로서 인용되었다. 본 출원은 2020년 8월 21일 제출된 출원번호는 202021773611.7이고 발명의 명칭은 "배관 어셈블리, 사방 밸브 어셈블리 및 공조 시스템"인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본 출원에 전체로서 인용되었다.
본 출원은 냉동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 배관 어셈블리, 사방 밸브 어셈블리 및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는 스테인리스강관 및 구리 슬리브를 포함한다. 구리 슬리브는 직접 스테인리스강관의 외측벽에 용접되며, 형성된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는 다시 에어컨의 구리관 어셈블리와 연결된다.
그러나 구리 슬리브와 스테인리스강관의 용접 연결 과정에서, 구리 슬리브 외벽에 흐름 납땜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에어컨의 구리관 어셈블리와 구리 슬리브 사이의 용접을 수행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동시에, 스테인리스강관과 구리 슬리브 사이의 용접은 땜납이 너무 많이 필요하므로 용접 품질이 낮고 비용이 높다.
이를 고려하여, 상술한 기술적 문제에 대해, 흐름 납땜을 방지하고 용접 품질이 높으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 배관 어셈블리, 사방 밸브 어셈블리 및 공조 시스템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이하의 기술적 해결책을 제공한다.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는 스테인리스강관 및 구리 슬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인리스강관은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리 슬리브는 상기 연결부 외측벽을 씌우도록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 외측벽과 상기 구리 슬리브 내측벽 사이에 땜납 수용층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땜납 수용층은 상기 연결부 반경 방향을 따르는 두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또는 상기 구리 슬리브 내측벽은 상기 연결부에서 먼 일단에 단차가 설치되고, 땜납이 상기 단차에 맞닿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강관은 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설치된다. 상기 구리 슬리브는 상기 본체부에 근접한 일단에 플레어링단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레어링단 내로 연장되며, 상기 플레어링단 내측벽과 상기 땜납 수용층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본체부까지의 축선 방향을 따라, 상기 플레어링단의 직경이 점차 증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강관은 본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연결부까지의 축선 방향을 따라, 상기 구리 슬리브의 내경이 점차 감소한다.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부 외측벽과 상기 구리 슬리브 내측벽은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상기 땜납 수용층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강관은 본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연결부까지의 축선 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부의 외경이 점차 감소한다.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부 외측벽과 상기 구리 슬리브 내측벽은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상기 땜납 수용층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강관은 본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리 슬리브는 가이드 구간, 틈새 구간 및 꼭 끼워맞춤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틈새 구간의 양단은 각각 상기 가이드 구간과 상기 꼭 끼워맞춤 구간을 연결한다. 상기 가이드 구간은 상기 구리 슬리브에서 상기 본체부에 근접한 일단에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본체부까지의 축선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구간의 내경이 점차 증가한다. 상기 꼭 끼워맞춤 구간은 상기 연결부와 꼭 끼워맞춤된다.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본체부까지의 축선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구간과 상기 틈새 구간의 내측벽과 상기 연결부의 외측벽은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을 따라 두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상기 땜납 수용층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틈새 구간과 상기 꼭 끼워맞춤 구간 사이는 경사관 구간을 통해 전이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틈새 구간과 상기 연결부 사이는 틈새 끼워맞춤되고, 틈새 값은 0.01mm 내지 0.1mm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리 슬리브의 외경은 상기 본체부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외측벽 둘레 방향에는 복수의 오목홈이 설치된다.
배관 어셈블리는 상술한 바와 같은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인리스강관의 수량은 2개이고, 2개의 상기 스테인리스강관은 각각 제1 파이프 부재 및 제2 파이프 부재이다. 상기 구리 슬리브의 수량은 2개이고, 2개의 상기 구리 슬리브는 각각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이다. 상기 제1 연결관은 상기 제1 파이프 부재 일단의 외측을 씌우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파이프 부재와 용접된다. 상기 제1 파이프 부재 일단은 상기 제1 연결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온다. 상기 제1 파이프 부재는 상기 제1 연결관에서 연장되어 나오는 부분이 상기 제2 파이프 부재 내로 연장되어 들어가며, 상기 제2 파이프 부재와 래핑된다. 상기 제2 연결관 일단은 상기 제2 파이프 부재 일단의 외측을 씌우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파이프 부재와 용접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연결관 외측을 씌우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관과 용접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부재는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 일단에 설치된 네킹부를 포함한다. 상기 네킹부는 상기 연결부이다. 상기 제1 연결관은 상기 네킹부 외측을 씌우도록 설치되고, 상기 네킹부는 상기 제1 본체부에서 먼 일단이 상기 제2 파이프 부재 내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킹부의 외경은 상기 제2 파이프 부재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다. 그리고/또는 상기 네킹부의 외경은 상기 제1 본체부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킹부는 제2 파이프 부재 내로 연장되는 부분이 상기 제2 파이프 부재와 억지 끼워맞춤 또는 틈새 끼워맞춤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이프 부재는 제2 본체부 및 상기 제2 본체부 일단에 설치되는 플레어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어링부는 상기 연결부이다. 상기 플레어링부는 상기 제2 연결관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 연결관 내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연결관을 연결한다. 상기 제1 파이프 부재는 제1 연결관에서 연장되어 나오는 부분이 상기 플레어링부로 연장되어 들어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레어링부의 내경은 상기 제1 파이프 부재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다. 그리고/또는 상기 플레어링부의 내경은 상기 제2 본체부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부재는 상기 플레어링부 내로 연장되는 부분이 상기 플레어링부와 억지 끼워맞춤 또는 틈새 끼워맞춤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은 상기 제2 파이프 부재에서 먼 일단이 상기 제2 연결관에서 연장되어 나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은 상기 제2 연결관에서 연장되어 나오는 부분의 길이가 상기 제1 연결관의 길이의 1/10보다 크거나 같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부재와 상기 제2 파이프 부재 사이 래핑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2 연결관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다.
배관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배관 어셈블리는 냉동 시스템 중 사방 밸브의 연결관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배관 어셈블리는 상술한 바와 같은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인리스강관은 배관이다. 상기 구리 슬리브는 제1 구리 슬리브이다. 상기 배관은 상기 제1 구리 슬리브와 고정 연결딘다. 상기 제1 구리 슬리브는 상기 연결관과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스테인리스강관이다. 상기 배관 어셈블리는 제2 구리 슬리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2 구리 슬리브와 고정 연결된다. 상기 제2 구리 슬리브는 상기 제1 구리 슬리브와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리 슬리브는 상기 배관과 납땜에 의해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리 슬리브는 상기 배관을 연결하는 일단에 플레어링이 설치된다. 상기 플레어링은 상기 배관을 씌우도록 설치되며 맞닿는다. 상기 플레어링은 납땜에 의해 상기 배관과 고정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리 슬리브는 상기 연결관을 씌우도록 설치되고, 납땜에 의해 상기 연결관과 고정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리 슬리브는 상기 제2 구리 슬리브에 삽입 연결되고, 상기 제1 구리 슬리브는 상기 연결관에 맞닿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관 어셈블리는 소음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소음기는 상기 배관의 중간부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상기 연결관에서 상대적으로 먼 일단이 스톱 밸브를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배관 어셈블리는 제3 구리 슬리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3 구리 슬리브는 서로 연결된 직경 확장 구간 및 직선관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직경 확장 구간은 상기 배관을 씌우도록 설치되면 용접된다. 상기 직선관 구간은 상기 스톱 밸브의 플레어링 구간에 삽입 설치되며 용접된다. 상기 직선관 구간의 길이는 상기 스톱 밸브의 플레어링 구간 길이보다 크다.
사방 밸브 어셈블리는 사방 밸브 및 배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사방 밸브는 서로 연결된 밸브체 및 연결관을 포함한다. 상기 배관 어셈블리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배관 어셈블리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관 어셈블리는 제2 구리 슬리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2 구리 슬리브와 고정 연결된다. 상기 연결관의 수량은 4개이다. 그 중 1개의 상기 연결관은 상기 밸브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다른 3개의 상기 연결관은 상기 밸브체의 타측에 나란히 설치된다. 나란히 설치되며 중간에 위치한 상기 연결관이 연결되는 상기 제2 구리 슬리브는 양측의 상기 연결관이 연결되는 상기 제2 구리 슬리브에 돌출된다.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조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방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는, 연결부 외측벽과 상기 구리 슬리브 내측벽 사이에 땜납 수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의 축 방향을 따라, 땜납 수용층은 연결부 반경 방향을 따르는 두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며, 땜납을 땜납 수용층 지점에 거치한다. 또는 구리 슬리브 내측벽을 연결부에서 먼 일단에 단차를 설치하여, 땜납을 단차에 맞닿도록 한다. 땜납이 축적되기 용이한 동시에, 스테인리스강관과 구리 슬리브가 조립될 때 땜납이 유동하며 충분하게 용입될 수 있으며, 구리 슬리브 외벽에 흐름 납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리 슬리브와 스테인리스강관 사이의 용접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A지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B지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C지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틈새 구간과 꼭 끼워맞춤 구간이 전이 연결되는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의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어셈블리의 구조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제1 파이프 부재와 제1 연결관의 연결도이다.
도 14는 도 12에서 제2 파이프 부재와 제2 연결관의 연결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어셈블리의 구조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제1 파이프 부재와 제1 연결관의 연결도이다.
도 17은 도 15에서 제2 파이프 부재와 제2 연결관의 연결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어셈블리가 사방 밸브에 장착된 구조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배관 어셈블리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0은 도 19에서 D 지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에서, 100은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 10은 스테인리스강관, 11은 연결부, 12는 본체부, 13은 오목홈, 14는 원추면, 20은 구리 슬리브, 21은 플레어링단, 22는 가이드 구간, 23은 틈새 구간, 24는 꼭 끼워맞춤 구간, 25는 경사관 구간, 30은 땜납 수용층, 40은 단차, 50은 용접 링, 210은 제1 파이프 부재, 211은 네킹부, 212는 제1 본체부, 220은 제2 파이프 부재, 221은 플레어링부, 222는 제2 본체부, 230은 제1 연결관, 240은 제2 연결관, 300은 배관 어셈블리, 310은 배관, 320은 제1 구리 슬리브, 321은 플레어링단, 330은 제2 구리 슬리브, 340은 소음기, 350은 제3 구리 슬리브, 351은 직경 확장 구간, 352는 직선관 구간, 400은 사방 밸브 어셈블리, 521은 사방 밸브, 522는 연결관, 523은 밸브체, 524는 스톱 밸브, 5241은 플레어링 구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A지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B지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C지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틈새 구간과 꼭 끼워맞춤 구간이 전이 연결되는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의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어셈블리의 구조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제1 파이프 부재와 제1 연결관의 연결도이다.
도 14는 도 12에서 제2 파이프 부재와 제2 연결관의 연결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어셈블리의 구조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제1 파이프 부재와 제1 연결관의 연결도이다.
도 17은 도 15에서 제2 파이프 부재와 제2 연결관의 연결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어셈블리가 사방 밸브에 장착된 구조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배관 어셈블리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0은 도 19에서 D 지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에서, 100은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 10은 스테인리스강관, 11은 연결부, 12는 본체부, 13은 오목홈, 14는 원추면, 20은 구리 슬리브, 21은 플레어링단, 22는 가이드 구간, 23은 틈새 구간, 24는 꼭 끼워맞춤 구간, 25는 경사관 구간, 30은 땜납 수용층, 40은 단차, 50은 용접 링, 210은 제1 파이프 부재, 211은 네킹부, 212는 제1 본체부, 220은 제2 파이프 부재, 221은 플레어링부, 222는 제2 본체부, 230은 제1 연결관, 240은 제2 연결관, 300은 배관 어셈블리, 310은 배관, 320은 제1 구리 슬리브, 321은 플레어링단, 330은 제2 구리 슬리브, 340은 소음기, 350은 제3 구리 슬리브, 351은 직경 확장 구간, 352는 직선관 구간, 400은 사방 밸브 어셈블리, 521은 사방 밸브, 522는 연결관, 523은 밸브체, 524는 스톱 밸브, 5241은 플레어링 구간이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 실시방식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 실시방식의 기술적 해결책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된 실시방식은 본 출원의 전부가 아닌 일부 실시방식일 뿐이다. 본 출원의 실시방식을 기반으로 창의적인 작업 없이 당업자에 의해 획득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장착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장착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설치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설치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고정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출원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하다. 본원에서 본 출원의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또는/및"은 하나 이상의 관련하여 나열된 항목의 임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은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100)를 제공한다. 상기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100)는 공조 냉동 및 기타 파이프라인 수송 시스템에 적용되며, 파이프라인 구조 최적화, 연결 비용 절감에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며, 상기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100)는 스테인리스강관(10) 및 구리 슬리브(20)를 포함한다. 스테인리스강관(10)은 연결부(11)를 포함한다. 구리 슬리브(20)는 연결부(11) 외측벽을 씌우도록 설치된다. 냉동 기술 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에어컨의 구리관 그룹을 연결관으로 사용하여 두 부품을 연결한다. 구리관 그룹과의 연결 용이성을 위하여, 부품은 구리 재료로 제작한다. 구리 재료의 가격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생산 비용을 낮추기 위해 많은 기업들이 구리 재료 대신 스테인리스강 재료를 채택해 일부 부품을 제작한다. 제조 과정에서, 구리관 그룹과 스테인리스강 부품의 스테인리스강관(10)을 함께 용접해야 하나, 구리 재료와 스테인리스강 재료의 용접 특성 차이가 매우 크다. 따라서 직접 구리관 그룹과 스테인리스강관(10)을 함께 용접하는 공정의 난이도가 비교적 높다. 따라서 스테인리스강관(10) 외측에 하나의 구리 슬리브(20)를 씌우도록 설치하여 용접한 후, 구리관 그룹을 직접 구리 슬리브(20) 상에 용접한다.
본 출원에서 연결부(11) 외측벽과 구리 슬리브(20) 내측벽 사이는 땜납 수용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땜납 수용층(30)은 땜납의 유동을 용이하게 하고, 구리 슬리브(20)의 외벽에 흐름 납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구리 슬리브(20)와 에어컨의 구리관 그룹 사이의 용접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연결부(11)의 축 방향을 따라, 땜납 수용층(30)은 연결부(11)의 반경 방향을 따르는 두께가 점점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땜납이 축적되기 용이한 동시에, 스테인리스강관(10)과 구리 슬리브(20)가 조립될 때 땜납이 충분하게 용입될 수 있으며, 구리 슬리브(20) 외벽에 흐름 납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땜납 수용층(30) 내 흐름 납땜은 구리 슬리브(20)와 스테인리스강관(10) 사이의 용접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100)는 용접 링(50)을 더 포함한다. 구리 슬리브(20) 내측벽은 연결부(11)에서 먼 일단에 단차(40)가 설치된다. 용접 링(50)을 스테인리스강관(10)의 단부에 거치하고 단차(40)에 맞닿도록 한다. 용접 시, 단차(40)의 맞닿음으로 인해, 구리 슬리브(20) 외벽에서 용접 링(50)의 흐름 납땜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용접 링(50)이 이탈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100)의 구조도이다. 스테인리스강관(10)은 본체부(12)를 더 포함한다. 연결부(11)는 본체부(12)의 일단에 설치되며, 본체부(12)와 원추면(14)을 통해 전이되며 일체로 성형된다. 구리 슬리브(20)는 본체부(12)에 근접한 일단이 플레어링단(21)을 구비한다. 연결부(11)는 플레어링단(21) 내로 연장되며, 플레어링단(21) 내측벽과 땜납 수용층(30)을 형성한다. 땜납을 플레어링단(21) 지점에 거치하여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땜납 수용층(30)은 땜납을 수용할 수 있으며, 용접 과정에서 흐름 납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용접 후 땜납 수용층(30) 내로 유입되어 구리 슬리브(20)와 스테인리스강관(10) 사이의 용접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1)에서 본체부(12)까지의 축선 방향을 따라, 플레어링단(21)의 직경이 점차 증가하여, 스테인리스강관(10)이 구리 슬리브(20) 내에 장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100)의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부(12)에서 연결부(11)까지의 축선 방향을 따라, 구리 슬리브(20)의 내경이 점차 감소한다. 또한 연결부(11)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결부(11) 외측벽과 구리 슬리브(20) 내측벽이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땜납 수용층(30)을 형성한다. 땜납을 구리 슬리브(20)에서 본체부(12)에 근접한 일단에 거치할 수 있으며, 땜납은 땜납 수용층(30) 내에 유입되어, 흐름 납땜을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구리 슬리브(20)와 스테인리스강관(10) 사이의 용접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에서 연결부(11)까지의 축선 방향을 따라, 구리 슬리브(20)의 내경이 점차 감소하며, 구리 슬리브(20)의 조립 위치를 보장할 수도 있다. 스테인리스강관(10)이 구리 슬리브(20) 내로 연장될 때, 구리 슬리브(20)의 소직경단은 스테인리스강관(10)의 지속적인 연장 진입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으며, 구리 슬리브(20)와의 사이가 긴밀하게 조립 연결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100)의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부(12)에서 연결부(11)까지의 축선 방향을 따라, 연결부(11)의 외경이 점점 감소한다. 또한 연결부(11)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결부(11) 외측벽과 구리 슬리브(20) 내측벽은 두께가 점점 증가하는 땜납 수용층(30)을 형성한다. 땜납을 구리 슬리브(20)의 본체부(12)에서 먼 일단에 거치할 수 있으며, 용접 시 땜납이 땜납 수용층(30)에 유입되므로, 땜납의 용입을 보장할 수 있다. 동시에, 구리 슬리브(20)의 조립 위치를 보장할 수 있으며, 본체부(12)에서 연결부(11)까지의 축선 방향을 따라, 연결부(11)의 외경이 점차 감소한다. 연결부(11) 일단이 구리 슬리브(20)에 연장되어 들어갈 때, 구리 슬리브(20)가 연결부(11)의 타단과 꼭 끼워맞춤되므로, 구리 슬리브(20)의 조립 위치를 보장하여, 땜납이 쉽게 탈락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100)의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리 슬리브(20)는 가이드 구간(22), 틈새 구간(23) 및 꼭 끼워맞춤 구간(24)을 포함한다. 틈새 구간(23)의 양단은 각각 가이드 구간(22)과 꼭 끼워맞춤 구간(24)을 연결한다. 가이드 구간(22)은 구리 슬리브(20)의 본체부(12)에 근접한 일단에 설치된다. 또한 연결부(11)에서 본체부(12)까지의 축선 방향을 따라, 가이드 구간(22)의 내경이 점차 증가하여, 스테인리스강관(10)의 조립이 용이하다. 꼭 끼워맞춤 구간(24)과 연결부(11)가 꼭 끼워맞춤되어, 구리 슬리브(20)가 용접 시 탈락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연결부(11)에서 본체부(12)까지의 축선 방향을 따라, 가이드 구간(22)과 틈새 구간(23)의 내측벽과 연결부(11)의 외측벽은 연결부(11)의 반경 방향을 따라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땜납 수용층(30)을 형성한다. 땜납이 가이드 구간(22)의 단부에 거치될 때, 땜납 수용층(30)에 유입되어, 흐름 납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새 구간(23)과 꼭 끼워맞춤 구간(24)은 모두 내경이 변하지 않는 직선관 구간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새 구간(23)과 꼭 끼워맞춤 구간(24) 사이는 경사관 구간(25)을 통해 전이 연결되어, 구리 슬리브(20)의 가공이 용이하다. 동시에, 경사관 구간(25) 전이는 구리 슬리브(20)와 에어컨의 구리관 그룹의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틈새 구간(23)의 내벽과 연결부(11)의 외벽 사이에는 틈새가 구비되며, 꼭 끼워맞춤 구간(24)의 내벽과 연결부(11)의 외벽 사이는 꼭 끼워맞춤된다. 틈새 구간(23)에서 꼭 끼워맞춤 구간(24)까지의 축선 방향을 따라, 경사관 구간(25)의 내경이 점점 감소한다. 이처럼, 땜납이 땜납 수용층(30)에 침투되어, 흐름 납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틈새 구간(23)과 연결부(11) 사이는 틈새 끼워맞춤된다. 틈새 값은 0.01mm 내지 0.1mm이며, 땜납의 침투가 용이하고, 용접 시 느슨하여 탈락되지 않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틈새 구간(23)과 연결부(11) 사이의 틈새 값은 0.01mm, 0.02mm, 0.03mm, 0.04mm, 0.05mm, 0.06mm, 0.07mm, 0.08mm, 0.09mm, 0.1mm 등의 값일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구리 슬리브(20)의 외경은 본체부(12)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다. 따라서 구리 슬리브(20)를 에어컨의 구리관 그룹에 연결할 때, 구리관 그룹의 파이프 라인 설계를 변경할 필요 없이, 구리 슬리브(20)를 씌우도록 용접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된다. 구리 슬리브(20)의 외경이 본체부(12)의 외경보다 크면, 구리 슬리브(20)를 구리관 그룹의 파이프 라인에 씌울 수 없으므로, 구리관 그룹의 파이프 라인 설계를 변경해야 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1)는 스탬핑 성형을 채택한다. 연결부(11) 외측벽 둘레 방향에는 복수의 오목홈(13)이 설치된다. 오목홈(13)의 매칭을 통해, 구리 슬리브(20)와 스테인리스강관(10) 조립을 더욱 긴밀하게 보장할 수 있다. 동시에, 어느 정도 땜납이 오목홈(13) 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출원에 있어서, 오목홈(13)은 직선 패턴 홈이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오목홈(13)은 물결무늬 홈과 같은 다른 유형의 홈일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100)는, 연결부(11) 외측벽과 구리 슬리브(20) 내측벽 사이가 땜납 수용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11)의 축 방향을 따라, 땜납 수용층(30)은 연결부(11)의 반경 방향을 따르는 두께가 점점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며, 땜납을 땜납 수용층(30) 지점에 거치한다. 또는 구리 슬리브(20) 내측벽은 연결부(11)에서 먼 일단에 단차(40)가 설치되며, 땜납은 단차(40)에 맞닿는다. 땜납이 축적되기 용이한 동시에, 스테인리스강관(10)과 구리 슬리브(20)가 조립될 때 땜납이 유동하며 충분하게 용입될 수 있으며, 구리 슬리브(20) 외벽에 흐름 납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리 슬리브(20)와 스테인리스강관(10) 사이의 용접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를 포함하는 배관 어셈블리는 제공한다. 상기 배관 어셈블리에 있어서, 스테인리스강관의 수량은 2개이고, 2개의 스테인리스강관은 각각 제1 파이프 부재(210) 및 제2 파이프 부재(220)이다. 구리 슬리브의 수량은 2개이고, 2개의 구리 슬리브는 각각 제1 연결관(230) 및 제2 연결관(240)이다. 제1 연결관(230)은 제1 파이프 부재(210) 일단의 외측을 씌우도록 설치되며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용접된다. 제1 파이프 부재(210) 일단은 제1 연결관(23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온다. 제1 파이프 부재(210)는 제1 연결관(230)에서 연장되어 나오는 부분이 제2 파이프 부재(220) 내로 연장되어 들어가며, 제2 파이프 부재(220)와 래핑된다. 제2 연결관(240) 일단은 제2 파이프 부재(220) 일단의 외측을 씌우도록 설치되며 제2 파이프 부재(220)와 용접된다. 타단은 제1 연결관(230) 외측을 씌우도록 설치되며 제1 연결관(230)과 용접된다.
상기 배관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2 파이프 부재(220) 사이는, 한편으로는 제1 연결관(230)과 제2 연결관(240)을 통해 용접되어 한 층의 고정 구조를 형성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1 파이프 부재(210) 부분이 제2 파이프 부재(220) 내에 연장되어 들어가, 제2 파이프 부재(220)와 래핑되어 다른 한 층의 고정 구조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2 파이프 부재(220) 사이의 연결부에는 다층 고정 구조가 존재한다. 따라서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2 파이프 부재(220) 사이의 연결이 견고하고 손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으며 사용 수명이 비교적 길다.
상기 배관 어셈블리는 공조 시스템 중 2개의 스테인리스강관 사이의 연결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 부재(210)는 스테인리스강관이고, 제2 파이프 부재(220)도 스테인리스강관이다. 제1 연결관(230)과 제2 연결관(240)은 모두 구리관이며, 용접 후 연결 강도가 높고 구조가 안정적이다. 제1 연결관(230)과 제2 연결관(240)은 동종 금속 파이프 부재이다. 동종 금속 파이프 부재 사이는 용접이 용이하며 용접 효과가 우수하다. 물론, 상기 배관 어셈블리는 상이한 재질의 파이프 부재 사이의 연결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제1 파이프 부재(210)는 스테인리스강관이고, 제2 파이프 부재(220)는 구리관이다. 또는 제1 파이프 부재(210)는 구리관이고, 제2 파이프 부재(220)는 스테인리스강관이다. 마찬가지로 제1 연결관(230)과 제2 연결관(24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파이프 부재(210)의 일단이 제2 파이프 부재(220) 내로 연장되어 들어가 제2 파이프 부재(220)와 래핑될 수만 있으면,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2 파이프 부재(220)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배관 어셈블리는, 제1 파이프 부재(210)가 제2 파이프 부재(220) 내로 연장되어 들어가 래핑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2 파이프 부재(220) 연결 지점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켰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2 및 도 14, 또는 도 15및 도 17을 참조하며,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2 파이프 부재(220) 사이 래핑 부분의 길이(L)는 제2 연결관(240)의 길이(H)보다 작거나 같다. 래핑 부분 길이가 너무 길면, 제1 파이프 부재(210)가 제2 파이프 부재(220)로 연장되어 들어가는 부분이 너무 길어짐을 의미한다. 이는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2 파이프 부재(220) 사이의 연결에 불리하며,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2 파이프 부재(220) 사이의 용접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래핑 부분의 길이(L)는 2mm 이상이다. 구체적으로, 래핑 부분의 길이(L)는 2mm, 3mm, 4mm, 5mm, 6mm, 7mm, 8mm, 9mm, 10mm, 11mm, 12mm, 13mm, 14mm, 15mm일 수 있다.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래핑 부분의 길이(L)는 5 내지 10mm이다. 길이가 적절하면,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2 파이프 부재(220) 사이의 연결 강도의 개선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2 파이프 부재(220) 사이의 연결도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연결관(240)의 내경은 제1 연결관(230)의 외경보다 크다. 이는 용접 전에 제2 연결관(240)이 제1 연결관(230) 외측을 씌우도록 연결하는 데 용이하며, 제2 연결관(240)과 제1 연결관(230) 사이의 조립이 편리하다. 조립 후, 제2 연결관(240)과 제1 연결관(230) 사이에는 틈새가 있다. 따라서 제2 연결관(240)과 제1 연결관(230)을 용접할 때, 땜납이 제2 연결관(240)과 제1 연결관(230) 사이에 침투하여 땜납층을 형성하기가 용이하며, 제2 연결관(240)과 제1 연결관(230)이 견고하게 연결된다.
도 12 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관(230)은 제2 파이프 부재(220)에서 먼 일단이 제2 연결관(240)에서 연장되어 나온다. 이와 같이, 제2 연결관(240)과 제1 연결관(230) 사이에 단차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는 제1 파이프 부재(210) 외측에 래핑된다. 이와 같이,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2 파이프 부재(220) 사이의 연결 구조(제1 연결관(230), 제2 연결관(240), 제1 파이프 부재(210) 및 제2 파이프 부재(220) 포함)는 보다 많은 겹침 부분을 갖는다. 따라서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2 파이프 부재(220) 사이의 연결 강도가 더욱 높다.
또한, 도 12 및 도 13,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며, 제1 연결관(230)은 제2 연결관(240)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부분의 길이(M)가 제1 연결관(230)의 길이(N)의 1/10보다 크거나 같다. 이를 통해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2 파이프 부재(220) 사이가 비교적 높은 연결 강도를 갖도록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관(230)에서 제2 파이프 부재(220)의 일단을 향하는 단면은 제2 파이프 부재(220)에서 제1 연결관(230)의 일단을 향하는 단면과 맞닿는다. 이와 같이, 제1 파이프 부재(210)가 제2 파이프 부재(220)로 연장되어 들어가는 길이가 더욱 길다. 다시 말해 래핑 부분 길이가 더욱 길다. 또한 제1 연결관(230)과 제2 연결관(240) 사이는 더욱 긴 겹침 부분을 가지므로,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2 파이프 부재(220)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제1 파이프 부재(210)가 제2 파이프 부재(220) 내로 연장되기 용이하도록,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는 제1 파이프 부재(210)가 제1 본체부(212) 및 제1 본체부(212) 일단에 설치된 네킹부(211)를 포함한다. 네킹부(211)는 스테인리스강관의 연결부이다. 제1 연결관(230)은 네킹부(211) 외측을 씌우도록 설치된다. 네킹부(211)는 제1 본체부(212)에서 먼 일단이 제2 파이프 부재(220) 내로 연장된다. 제1 파이프 부재(210)는 네킹부(211)를 포함한다. 네킹부(211)의 설치는 제1 파이프 부재(210)를 제2 파이프 부재(220) 내로 연장시키는 데 도움이 되며, 용접하기 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연결관(230)의 길이는 네킹부(211)의 길이보다 작다. 따라서 네킹부(211)는 제1 연결관(230) 내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제2 파이프 부재(220) 내로 연장되어 들어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네킹부(211)의 외경은 제2 파이프 부재(220)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다. 따라서 네킹부(211)는 제2 파이프 부재(220) 내로 용이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네킹부(211)의 외경은 제1 본체부(212)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다. 이와 같이, 네킹부(211)는 내경이 제1 본체부(212) 내경과 동일한 제2 파이프 부재(220) 내로 연장되기가 용이하다. 다시 말해, 제1 파이프 부재(210)의 제1 본체부(212)의 내경과 제2 파이프 부재(220)의 내경은 동일하다. 네킹부(211)는 매우 용이하게 제2 파이프 부재(220) 내로 연장되어 래핑을 형성한다.
네킹부(211)는 제2 파이프 부재(220) 내로 연장되는 부분이 제2 파이프 부재(220)와 억지 끼워맞춤 또는 틈새 끼워맞춤된다. 네킹부(211)는 제2 파이프 부재(220)와 억지 끼워맞춤되어,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2 파이프 부재(220)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네킹부(211)와 제2 파이프 부재(220)는 틈새 끼워맞춤된다. 제1 연결관(230)과 제2 연결관(240)을 용접할 때, 땜납이 네킹부(211)와 제2 파이프 부재(220) 사이의 틈새에 침투될 수 있다. 용접 후 용접층을 형성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2 파이프 부재(220)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네킹부(211)가 제2 파이프 부재(220) 내로 연장되는 부분이 제2 파이프 부재(220)와 억지 끼워맞춤 또는 틈새 끼워맞춤되는 것은 모두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2 파이프 부재(220)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며, 상기 실시예에서 배관 어셈블리의 연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S11: 제1 파이프 부재(210)의 일단은 네킹 처리를 거쳐 네킹부(211)를 형성한다. 그 후 제1 연결관(230)은 네킹부(211) 외측을 씌우도록 설치되며, 네킹부(211)의 제1 본체부(212)에서 먼 단부를 제1 연결관(230)에서 연장시킨다. 상기 제1 파이프 부재(210)는 스테인리스강관이며, 제1 연결관(230)은 구리관이다. 주석 청동 땜납을 사용해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1 연결관(230)을 용접한다. 상기 단계에서 용접 링을 채택할 수 있으며, 노내납땜의 방식을 통해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용접 전에, 먼저 용접 링이 네킹부(211) 외측을 씌우도록 설치한 다음, 제1 연결관(230)이 네킹부(211)를 씌우도록 설치할 수 있다.
S12: 제2 연결관(240) 일단이 제2 파이프 부재(220) 일단을 씌우도록 설치한다. 즉, 제2 파이프 부재(220) 일단이 제2 연결관(240) 내로 연장된다. 제2 파이프 부재(220)가 제2 연결관(240)으로 연장되어 들어가는 부분의 길이가 제2 연결관(240)의 길이보다 작기 때문에, 제2 연결관(240) 내에 제1 연결관(230)이 연장 진입될 공간이 남게 된다. 상기 제2 파이프 부재(220)는 스테인리스강관이며, 제2 연결관(240)은 구리관이다. 주석 청동 땜납을 사용해 제2 파이프 부재(220)와 제2 연결관(240)을 용접한다. 상기 단계에서 용접 링을 채택할 수 있으며, 노내납땜의 방식을 통해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용접 전에, 먼저 용접 링이 제2 파이프 부재(220) 외측을 씌우도록 설치한 다음, 제2 연결관(240)이 제2 파이프 부재(220)를 씌우도록 설치할 수 있다.
S13: 함께 용접되는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1 연결관(230)을 제2 파이프 부재(220)와 제2 연결관(240)에 조립한다. 제1 연결관(230) 일단을 제2 연결관(240) 내로 연장시키고, 제1 파이프 부재(210)의 네킹부(211)를 제2 파이프 부재(220) 내로 연장시켜, 용접 전의 조립을 완료한다. 그 후 화염 용접의 방식을 통해 제1 연결관(230)과 제2 연결관(240)을 용접할 수 있다. 제1 연결관(230)과 제2 연결관(240) 사이는 구리 땜납에 의해 용접될 수 있다.
상기 가공 방법에서 단계 S11과 단계 S12 사이에는 선후 순서 관계가 없다. 단계 S11과 단계 S12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각각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파이프 부재(220)는 제2 본체부(222) 및 제2 본체부(222) 일단에 설치된 플레어링부(221)를 포함한다. 플레어링부(221)는 스테인리스강관의 연결부이다. 플레어링부(221)는 제2 연결관(240) 일단으로부터 제2 연결관(240) 내로 연장되어 제2 연결관(240)을 연결한다. 제1 파이프 부재(210)는 제1 연결관(230)에서 연장되어 나오는 부분이 플레어링부(221)로 연장되어 들어간다. 제2 파이프 부재(220)는 플레어링부(221)를 포함한다. 플레어링부(221)의 설치는 제1 파이프 부재(210)를 제2 파이프 부재(220) 내로 연장시키는 데 도움이 되며, 용접하기 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레어링부(221)의 내경은 제1 파이프 부재(210)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다. 이와 같이, 제1 파이프 부재(210)는 플레어링부(221) 내로 매우 용이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플레어링부(221)의 내경은 제2 본체부(222)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다. 이와 같이, 외경이 제2 본체부(222) 외경과 동일한 제1 파이프 부재(210)는 플레어링부(221) 내로 연장되기가 용이하다. 다시 말해, 제1 파이프 부재(210)의 외경과 제2 파이프 부재(220)의 제2 본체부(222)의 외경이 동일하다. 제1 파이프 부재(210)는 매우 용이하게 제2 파이프 부재(220)의 플레어링부(221) 내로 연장되어 래핑을 형성한다.
제1 파이프 부재(210)는 플레어링부(221) 내로 연장되는 부분이 플레어링부(221)와 억지 끼워맞춤 또는 틈새 끼워맞춤된다. 제1 파이프 부재(210)와 플레어링부(221)의 억지 끼워맞춤은,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2 파이프 부재(220)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제1 파이프 부재(210)와 플레어링부(221)는 틈새 끼워맞춤된다. 제1 연결관(230)과 제2 연결관(240)을 용접할 때, 땜납이 제1 파이프 부재(210)와 플레어링부(221) 사이의 틈새에 침투될 수 있다. 용접 후 용접층을 형성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2 파이프 부재(220)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파이프 부재(210)가 플레어링부(221) 내로 연장되는 부분이 플레어링부(221)와 억지 끼워맞춤 또는 틈새 끼워맞춤되는 것은 모두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2 파이프 부재(220)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며, 상기 실시예에서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의 가공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S21: 제1 연결관(230)이 제1 파이프 부재(210) 외측을 씌우도록 설치하며, 제1 파이프 부재(210)의 일단이 제1 연결관(230)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도록 한다. 상기 제1 파이프 부재(210)는 스테인리스강관이며, 제1 연결관(230)은 구리관이다. 주석 청동 땜납을 사용해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1 연결관(230)을 용접한다. 상기 단계에서 용접 링을 채택할 수 있으며, 노내납땜의 방식을 통해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용접 전에, 먼저 용접 링이 제1 파이프 부재(210) 외측을 씌우도록 설치한 다음, 제1 연결관(230)이 제1 파이프 부재를 씌우도록 설치할 수 있다.
S22: 제2 파이프 부재(220)의 일단은 플레어링 처리를 거쳐 플레어링부(221)를 형성한다. 그 후 제2 연결관(240)은 플레어링부(221) 외측을 씌우도록 설치된다. 즉, 플레어링부(221)가 제2 연결관(240) 내로 연장된다. 플레어링부(221)는 제2 연결관(240)으로 연장되어 들어가는 부분의 길이가 제2 연결관(240)의 길이보다 작다. 따라서 제2 연결관(240) 내에 제1 연결관(230)이 연장 진입될 공간이 남게 된다. 상기 제2 파이프 부재(220)는 스테인리스강관이며, 제2 연결관(240)은 구리관이다. 주석 청동 땜납을 사용해 제2 파이프 부재(220)와 제2 연결관(240)을 용접한다. 상기 단계에서 용접 링을 채택할 수 있으며, 노내납땜의 방식을 통해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용접 전에, 먼저 용접 링이 플레어링부(221) 외측을 씌우도록 설치한 다음, 제2 연결관(240)이 플레어링부(221)를 씌우도록 설치할 수 있다.
S23: 함께 용접되는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1 연결관(230)을 제2 파이프 부재(220)와 제2 연결관(240)에 조립한다. 제1 연결관(230) 일단을 제2 연결관(240) 내로 연장시키고, 제1 파이프 부재(210)의 일단을 제2 파이프 부재(220)의 플레어링부(221) 내로 연장시켜, 용접 전의 조립을 완료한다. 그 후 화염 용접의 방식을 통해 제1 연결관(230)과 제2 연결관(240)을 용접할 수 있다. 제1 연결관(230)과 제2 연결관(240) 사이는 구리 땜납에 의해 용접될 수 있다.
상기 가공 방법에서 단계 S21과 단계 S22 사이에는 선후 순서 관계가 없다. 단계 S21과 단계 S22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각각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는 특히 2개의 관경이 동일한 파이프 부재를 연결하는 데 적용된다. 다시 말해, 제1 파이프 부재(210)와 제2 파이프 부재(220)의 외경이 동일하며, 내경도 동일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는 2개의 관경이 상이한 파이프 부재를 연결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연결할 2개의 파이프 부재 사이가 래핑 부분을 형성하기만 하면, 2개의 파이프 부재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함께 참조하면, 도 18은 본 출원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어셈블리(300)가 사방 밸브(521)에 장착된 구조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배관 어셈블리(300)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구조도이다.
본 출원은 공조 시스템의 사방 밸브(521)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배관 어셈블리(300)를 제공한다.
사방 밸브는 통상적으로 배관 어셈블리를 채택하여 공조 시스템 중의 다른 부재에 연결된다. 종래의 사방 밸브를 연결하기 위한 배관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모두 구리로 제작되어, 공조 시스템 중 구리로 제작된 다른 파이프 부재와 연결하기가 용이하다. 구리로 제작된 파이프 부재는 열 전도 성능이 우수하고 연결이 용이하며 용접 이음이 쉽게 출현하지 않는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구리로 제작된 파이프 부재는 가격이 비싸 공조 시스템의 전체 생산 비용을 상승시킨다.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은 배관 어셈블리(300)를 제공한다. 상기 배관 어셈블리(300)는 서로 용접된 제1 구리 슬리브(320) 및 배관(310)을 설치함으로써, 배관 어셈블리(300)의 생산 비용을 그에 상응하도록 절감시킬 수 있다.
배관 어셈블리(300)는 상기와 같은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스테인리스강관은 배관(310)이고, 구리 슬리브는 제1 구리 슬리브(320)이다. 배관(310)은 직선관 또는 곡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제 설치 공간 및 사용 수요에 따라 그에 상응하도록 설치된다. 제1 구리 슬리브(320)는 연결관(522) 또는 기타 부재를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관 어셈블리(300)가 상이한 재질의 사방 밸브(521)의 연결관(522)에 더욱 잘 연결되도록, 배관 어셈블리(300)는 제2 구리 슬리브(330)를 더 포함한다. 제2 구리 슬리브(330)는 사방 밸브(521)의 연결관(522)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며, 제1 구리 슬리브(320)와 더 용접된다.
제2 구리 슬리브(330)의 설치를 통해, 원래 구리로 제작된 사방 밸브(521) 연결관(522)을 스테인리스강관인 연결관(522)으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공조 시스템의 생산 비용이 이에 상응하여 절감될 수 있다. 사방 밸브(521) 내에서 원래 구리로 제작된 연결관을 연결관(522)으로 대체하며, 대응하는 배관 어셈블리(300) 중의 배관(310)도 상응하는 스테인리스강관을 채택한다.
연결관(522)의 생산 비용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연결관(522)은 구리로 제작할 수 있으며, 제1 구리 슬리브(320)는 직접 구리로 제작된 연결관(522)에 연결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사방 밸브(521)의 연결관이 연결관(522)으로 대체되므로, 동시에 배관(310)도 스테인리스강관을 채택한다. 연결관(522)과 배관(310) 사이에 직접 일반 용접을 수행하면, 스테인리스강 재료의 표면 조직이 변하여, 스테인리스강 재료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관(522) 및 배관(310)은 각각 제2 구리 슬리브(330) 및 제1 구리 슬리브(320)과 서로 고정한 다음, 용접을 통해 제2 구리 슬리브(330) 및 제1 구리 슬리브(320)를 서로 고정시킨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 20은 도 19에서 D 지점의 부분 확대도이다.
구체적으로, 제2 구리 슬리브(330)는 대체적으로 둥근 환형이므로, 사방 밸브(521)의 연결관(522) 외측을 씌우도록 설치하기가 용이하다. 제2 구리 슬리브(330)는 연결관(522)을 배관(310)에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제2 구리 슬리브(330)와 연결관(522) 사이는 먼저 노내납땜에 의해 고정된다. 그 다음 용접 후 제2 구리 슬리브(330)가 있는 연결관(522)을 배관(310)에 연결한다. 여기에서, 납땜의 용접 온도는 900℃보다 높다. 따라서 제2 구리 슬리브(330) 및 연결관(522) 사이는 용접 누락 등의 문제를 더욱 잘 방지할 수 있으며, 이들 둘 사이를 밀봉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구리 슬리브(330)는 연결관(522)의 내벽에 설치하여, 삽입 설치의 방식으로 연결관(522)에 연결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제2 구리 슬리브(330)와 연결관(522) 사이의 밀봉 연결을 구현할 수 있기만 하면 된다.
제1 구리 슬리브(320)는 대체적으로 중공의 통형 구조이다. 제1 구리 슬리브(320)의 일단은 외부로 확장되며 동일한 직경의 플레어링단(321)을 형성한다. 플레어링단(321)은 배관(310)과 용접 고정하는 동시에 배관(310)의 삽입 연결 깊이를 한정하는 데 사용된다. 플레어링단(321)은 배관(310)의 단부를 씌우도록 설치되며 맞닿는다. 또한 배관(310)과의 사이가 노내납땜에 의해 고정 및 밀봉된다. 여기에서, 제1 구리 슬리브(320)와 배관(310)의 납땜 온도도 마찬가지로 900℃보다 높다. 용접 후 제1 구리 슬리브(320)가 있는 배관(310)은 제2 구리 슬리브(330)가 있는 연결관(522)과 용접 고정된다. 제2 구리 슬리브(330)와 제1 구리 슬리브(320) 사이의 용접은 일반 화염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배관 어셈블리(300)와 사방 밸브(521)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제1 구리 슬리브(320)의 설치 이유는 제2 구리 슬리브(330)와 유사하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구리 슬리브(320)의 플레어링단(321)은 삽입 설치 등 방식에 의해 배관(310)의 내벽에 설치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는 배관(310)과의 사이가 밀봉 연결될 수 있기만 하면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구리 슬리브(330)와 연결관(522) 및 제1 구리 슬리브(320)가 서로 연결된 포트 지점에는 외부 플랜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외부 플랜지와 연결관(522) 또는 제1 구리 슬리브(320)의 외벽 사이에는 땜납 수용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땜납의 축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하여 용접 강도가 향상된다.
마찬가지로, 제1 구리 슬리브(320)와 배관(310) 및 제2 구리 슬리브(330)가 연결되는 포트에도 상응하도록 외부 플랜지를 설치하여 용접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구리 슬리브(330)는 제1 구리 슬리브(320)를 씌우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2 구리 슬리브(330) 내의 연결관(522)과 상기 제1 구리 슬리브(320)를 서로 맞닿게 한다. 제2 구리 슬리브(330)와 제1 구리 슬리브(320) 사이의 용접은, 용접 공정이 간단하며, 2개의 구리 슬리브 사이는 용접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동시에, 제2 구리 슬리브(330) 내의 연결관(522) 단면은 제1 구리 슬리브(320)의 삽입 연결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구리 슬리브(330)는 적동 재료로 제작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구리 슬리브(320)의 재료는 제2 구리 슬리브(330)와 동일하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용접 후 용접 누락 또는 크랙 등의 문제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배관(310)과 사방 밸브(521)의 연결관(522)이 서로 연결된 후, 그 중 하나의 배관(310)의 타단은 스톱 밸브(524)를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스톱 밸브(524)의 플레어링 구간(5241)과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배관(310)에서 스톱 밸브(524)를 연결하기 위한 일단에 제3 구리 슬리브(350)가 설치된다. 제3 구리 슬리브(350)는 서로 연결된 직경 확장 구간(351) 및 직선관 구간(352)을 포함한다. 직경 확장 구간(351)은 배관(310)을 씌우도록 설치되며 용접된다. 직선관 구간(352)은 스톱 밸브(524)의 플레어링 구간(5241)에 삽입 연결되며 용접된다. 또한 직선관 구간(352)의 길이는 스톱 밸브(524) 플레어링 구간(5241)의 길이보다 크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제3 구리 슬리브(350)와 플레어링 구간(5241) 사이의 용접점을 외부로 노출시켜, 추가적이 용접을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3 구리 슬리브(350)와 배관(310) 사이는 마찬가지로 납땜의 방식에 의해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행되는 공조 시스템의 소음이 감소될 수 있도록, 배관 어셈블리(300)의 배관(310) 중간부에는 소음기(340)가 설치된다. 상기 소음기(340)는 파이프 라인 내부에서 기류 진동으로 인해 발행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데 사용된다.
상기 배관 어셈블리(300)는 서로 용접된 제1 구리 슬리브(320) 및 배관(310)을 설치함으로써, 배관 어셈블리(300)가 그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본 출원은 사방 밸브 어셈블리(400)를 더 제공한다. 상기 사방 밸브 어셈블리(400)는 사방 밸브(521) 및 상술한 배관 어셈블리(3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방 밸브(521)는 밸브체(523) 및 연결관(522)을 포함한다. 연결관(522)은 밸브체(523)에 고정되며, 밸브체(523)와 연통된다. 통상적으로, 밸브체(523) 내부에는 연결관(522) 연통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요소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는 본 출원의 개선 핵심이 아니므로,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관(522)의 수량은 4개이다. 그 중 1개는 밸브체(523)의 일측에 설치되고, 다른 3개의 연결관(522)은 밸브체(523)의 타측에 나란히 설치된다. 나란히 설치된 3개의 연결관(522)과 상응하는 배관(310)이 용이한 연결을 위해, 나란히 설치되며 중간에 위치한 1개의 연결관(522)이 연결된 제2 구리 슬리브(330)는 양측의 연결관(522)이 연결된 제2 구리 슬리브(330)에 돌출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중간 연결관(522)에 연결된 제2 구리 슬리브(330)와 상응하는 제1 구리 슬리브(320) 사이의 용접점을 노출시켜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방 밸브(521)에는 5개의 연결관(522)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술한 배관 어셈블리(300)와 연결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상술한 사방 밸브 어셈블리(400)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미도시)을 더 제공한다.
물론, 상기 공조 시스템은 압축기, 콘덴서 등 공조 시스템에서 필수불가결한 부재를 더 포함하여, 공조 시스템의 운행을 보조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하여 구성 요소를 제한하는 것은, 상응하는 구성 요소를 용이하게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상기 용어에는 특별한 의미가 없으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없다.
상기 실시예의 각 기술적 특징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해 상기 실시예에 따른 각 기술적 특징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설명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의 조합에 모순이 없는 한, 이는 모두 본 명세서에 기술된 범위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통상의 당업자는 상기 실시예가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을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한다. 본 출원의 실질적 사상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를 적절하게 변경 및 수정한 것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31)
-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에 있어서,
스테인리스강관 및 구리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인리스강관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리 슬리브는 상기 연결부 외측벽을 씌우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 외측벽과 상기 구리 슬리브 내측벽 사이에 땜납 수용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땜납 수용층은 상기 연결부 반경 방향을 따르는 두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이 있거나; 또는 상기 구리 슬리브 내측벽은 상기 연결부에서 먼 일단에 단차가 설치되고, 땜납이 상기 단차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강관은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구리 슬리브는 상기 본체부에 근접한 일단에 플레어링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레어링단 내로 연장되며, 상기 플레어링단 내측벽과 상기 땜납 수용층을 형성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본체부까지의 축선 방향을 따라, 상기 플레어링단의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강관은 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연결부까지의 축선 방향을 따라, 상기 구리 슬리브의 내경이 점차 감소하고,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부 외측벽과 상기 구리 슬리브 내측벽은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상기 땜납 수용층을 형성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강관은 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연결부까지의 축선 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부의 외경이 점차 감소하고,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부 외측벽과 상기 구리 슬리브 내측벽은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상기 땜납 수용층을 형성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강관은 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리 슬리브는 가이드 구간, 틈새 구간 및 꼭 끼워맞춤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틈새 구간의 양단은 각각 상기 가이드 구간과 상기 꼭 끼워맞춤 구간을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 구간은 상기 구리 슬리브에서 상기 본체부에 근접한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본체부까지의 축선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구간의 내경이 점차 증가하고, 상기 꼭 끼워맞춤 구간은 상기 연결부와 꼭 끼워맞춤되고;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본체부까지의 축선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구간과 상기 틈새 구간의 내측벽과 상기 연결부의 외측벽은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을 따라 두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상기 땜납 수용층을 형성하는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 구간과 상기 꼭 끼워맞춤 구간 사이는 경사관 구간을 통해 전이 연결되는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 구간과 상기 연결부 사이는 틈새 끼워맞춤되고, 틈새 값은 0.01 내지 0.1mm인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슬리브의 외경은 상기 본체부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은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외측벽 둘레 방향에는 복수의 오목홈이 설치되는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 - 배관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항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인리스강관의 수량은 2개이고, 2개의 상기 스테인리스강관은 각각 제1 파이프 부재 및 제2 파이프 부재이고, 상기 구리 슬리브의 수량은 2개이고, 2개의 상기 구리 슬리브는 각각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이고;
상기 제1 연결관은 상기 제1 파이프 부재 일단의 외측을 씌우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파이프 부재와 용접되고, 상기 제1 파이프 부재 일단은 상기 제1 연결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고, 상기 제1 파이프 부재는 상기 제1 연결관에서 연장되어 나오는 부분이 상기 제2 파이프 부재 내로 연장되어 들어가며, 상기 제2 파이프 부재와 래핑되고;
상기 제2 연결관 일단은 상기 제2 파이프 부재 일단의 외측을 씌우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파이프 부재와 용접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연결관 외측을 씌우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관과 용접되는 배관 어셈블리.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부재는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 일단에 설치된 네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네킹부는 상기 연결부이고, 상기 제1 연결관은 상기 네킹부 외측을 씌우도록 설치되고, 상기 네킹부는 상기 제1 본체부에서 먼 일단이 상기 제2 파이프 부재 내로 연장되는 배관 어셈블리.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네킹부의 외경은 상기 제2 파이프 부재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고; 및/또는
상기 네킹부의 외경은 상기 제1 본체부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은 배관 어셈블리.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네킹부는 제2 파이프 부재 내로 연장되는 부분이 상기 제2 파이프 부재와 억지 끼워맞춤 또는 틈새 끼워맞춤되는 배관 어셈블리.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이프 부재는 제2 본체부 및 상기 제2 본체부 일단에 설치되는 플레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어링부는 상기 연결부이고, 상기 플레어링부는 상기 제2 연결관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 연결관 내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연결관을 연결하고, 상기 제1 파이프 부재는 제1 연결관에서 연장되어 나오는 부분이 상기 플레어링부로 연장되어 들어가는 배관 어셈블리.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어링부의 내경은 상기 제1 파이프 부재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고; 및/또는
상기 플레어링부의 내경은 상기 제2 본체부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은 배관 어셈블리.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부재는 상기 플레어링부 내로 연장되는 부분이 상기 플레어링부와 억지 끼워맞춤 또는 틈새 끼워맞춤되는 배관 어셈브리.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은 상기 제2 파이프 부재에서 먼 일단이 상기 제2 연결관에서 연장되어 나가는 배관 어셈블리.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은 상기 제2 연결관에서 연장되어 나오는 부분의 길이가 상기 제1 연결관의 길이의 1/10보다 크거나 같은 배관 어셈블리.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부재와 상기 제2 파이프 부재 사이 래핑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2 연결관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은 배관 어셈블리. - 배관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배관 어셈블리는 냉동 시스템 중 사방 밸브의 연결관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배관 어셈블리는 제1항에 따른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인리스강관은 배관이고, 상기 구리 슬리브는 제1 구리 슬리브이고, 상기 배관은 상기 제1 구리 슬리브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 구리 슬리브는 상기 연결관과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배관 어셈블리.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스테인리스강관이고, 상기 배관 어셈블리는 제2 구리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2 구리 슬리브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 구리 슬리브는 상기 제1 구리 슬리브와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배관 어셈블리.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리 슬리브는 상기 배관과 납땜에 의해 고정되는 배관 어셈블리.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리 슬리브는 상기 배관을 연결하는 일단에 플레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플레어링은 상기 배관을 씌우도록 설치되며 맞닿고, 상기 플레어링은 납땜에 의해 상기 배관과 고정 연결되는 배관 어셈블리.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리 슬리브는 상기 연결관을 씌우도록 설치되고, 납땜에 의해 상기 연결관과 고정 연결되는 배관 어셈블리.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리 슬리브는 상기 제2 구리 슬리브에 삽입 연결되고, 상기 제1 구리 슬리브는 상기 연결관에 맞닿는 배관 어셈블리. - 제21항에 있어서,
소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음기는 상기 배관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배관 어셈블리.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상기 연결관에서 상대적으로 먼 일단이 스톱 밸브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배관 어셈블리는 제3 구리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구리 슬리브는 서로 연결된 직경 확장 구간 및 직선관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직경 확장 구간은 상기 배관을 씌우도록 설치되어 용접되고, 상기 직선관 구간은 상기 스톱 밸브의 플레어링 구간에 삽입 설치되어 용접되고, 상기 직선관 구간의 길이는 상기 스톱 밸브의 플레어링 구간 길이보다 큰 배관 어셈블리. - 사방 밸브 어셈블리에 있어서,
사방 밸브 및 배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사방 밸브는 서로 연결된 밸브체 및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 어셈블리는 제2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관 어셈블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밸브 어셈블리.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어셈블리는 제2 구리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2 구리 슬리브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의 수량은 4개이고, 그 중 1개의 상기 연결관은 상기 밸브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다른 3개의 상기 연결관은 상기 밸브체의 타측에 나란히 설치되고; 나란히 설치되며 중간에 위치한 1개의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는 상기 제2 구리 슬리브는 양측의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는 상기 제2 구리 슬리브에서 돌출되는 사방 밸브 어셈블리. - 제29항 또는 제30항에 따른 사방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021773611.7U CN213685372U (zh) | 2020-08-21 | 2020-08-21 | 配管组件、四通阀组件以及空调系统 |
CN202021773611.7 | 2020-08-21 | ||
CN202010994104.4 | 2020-09-21 | ||
CN202022080360.0 | 2020-09-21 | ||
CN202022080360.0U CN213685654U (zh) | 2020-09-21 | 2020-09-21 | 管件连接结构 |
CN202010994104.4A CN112178308A (zh) | 2020-09-21 | 2020-09-21 | 管件连接结构 |
CN202022318930.5 | 2020-10-16 | ||
CN202022318930.5U CN214248583U (zh) | 2020-10-16 | 2020-10-16 | 管组件连接结构 |
PCT/CN2021/113483 WO2022037635A1 (zh) | 2020-08-21 | 2021-08-19 | 管组件连接结构、配管组件、四通阀组件及空调系统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1052A true KR20230041052A (ko) | 2023-03-23 |
Family
ID=80322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05571A KR20230041052A (ko) | 2020-08-21 | 2021-08-19 |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 배관 어셈블리, 사방 밸브 어셈블리 및 공조 시스템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7536994B2 (ko) |
KR (1) | KR20230041052A (ko) |
WO (1) | WO2022037635A1 (ko)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02285A (en) * | 1976-03-24 | 1977-01-11 | General Electric Company | Method of metallurgically joining tubing |
JP4290544B2 (ja) | 2003-12-19 | 2009-07-08 |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KR20080095628A (ko) * | 2007-04-25 | 2008-10-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JP5357495B2 (ja) | 2008-10-20 | 2013-12-04 |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 冷凍サイクル装置 |
JP5310714B2 (ja) * | 2010-12-28 | 2013-10-09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金属管の接合構造及び熱交換器 |
JP6075958B2 (ja) | 2012-02-22 | 2017-02-08 | 日新製鋼株式会社 | ステンレス鋼管のろう付け方法 |
CN204226888U (zh) * | 2014-10-29 | 2015-03-25 | 广州华凌制冷设备有限公司 | 用于空调器的管路连接组件 |
CN204308363U (zh) * | 2014-12-03 | 2015-05-06 | 嵊州市新起点焊接科技有限公司 | 一种铜与不锈钢连接组件 |
CN106555910B (zh) * | 2015-09-30 | 2019-01-18 | 新昌县四通机电有限公司 | 管道连接结构及方法、空调机组的管路总成 |
JP6387029B2 (ja) | 2016-02-04 | 2018-09-05 |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 四方弁およびこれ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 |
JP6964526B2 (ja) | 2018-01-17 | 2021-11-10 |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 熱源装置 |
CN208457378U (zh) * | 2018-05-21 | 2019-02-01 | 佛山市顺德区三胜家电制造有限公司 | 插接式不锈钢管及铜管焊接结构 |
CN112178308A (zh) * | 2020-09-21 | 2021-01-05 |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 管件连接结构 |
CN213685654U (zh) * | 2020-09-21 | 2021-07-13 |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 管件连接结构 |
CN213685372U (zh) * | 2020-08-21 | 2021-07-13 |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 配管组件、四通阀组件以及空调系统 |
-
2021
- 2021-08-19 JP JP2023503425A patent/JP7536994B2/ja active Active
- 2021-08-19 KR KR1020237005571A patent/KR2023004105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1-08-19 WO PCT/CN2021/113483 patent/WO2022037635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3537674A (ja) | 2023-09-05 |
WO2022037635A1 (zh) | 2022-02-24 |
JP7536994B2 (ja) | 2024-08-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594602B1 (en) | Vibration absorption tub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12178308A (zh) | 管件连接结构 | |
JP7345660B2 (ja) | 消音器及び空調 | |
KR20230041052A (ko) | 파이프 어셈블리 연결 구조, 배관 어셈블리, 사방 밸브 어셈블리 및 공조 시스템 | |
US20140291983A1 (en) | Welding connection structure for pipe | |
CN111397406A (zh) | 板式换热器 | |
CN107476958B (zh) | 一种压缩机吸气结构 | |
CN213685372U (zh) | 配管组件、四通阀组件以及空调系统 | |
EP4283220A1 (en) | Gas collecting pipe assembly | |
CN214248583U (zh) | 管组件连接结构 | |
CN215057659U (zh) | 排气消声器和具有排气消声器的车辆 | |
CN213685654U (zh) | 管件连接结构 | |
CN213631075U (zh) | 集气管组件 | |
JP2023543938A (ja) | 管接続機構、これを備えた冷凍システム、および、冷凍機器 | |
KR20220143135A (ko) |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 | |
JP2023510466A (ja) | フィルタサイレンサ及び空調装置 | |
CN108526636B (zh) | 减震管及其制造方法 | |
CN210266379U (zh) | 一种管件连接结构、一种消音器、一种空调系统及一种制冷系统 | |
CN220366068U (zh) | 一种连接管组件 | |
KR20230175297A (ko) | 소음기 어셈블리 및 공조기 | |
WO2022083623A1 (zh) | 单向阀 | |
CN217506883U (zh) | 一种不锈钢消音器 | |
CN221463216U (zh) | 应用于制冷系统的不锈钢管组件 | |
CN221075594U (zh) | 不锈钢波纹管及流体传输组件 | |
JP7398560B2 (ja) | 電子膨張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