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118A - 픽업 및 로딩 장치 - Google Patents

픽업 및 로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118A
KR20230039118A KR1020210122033A KR20210122033A KR20230039118A KR 20230039118 A KR20230039118 A KR 20230039118A KR 1020210122033 A KR1020210122033 A KR 1020210122033A KR 20210122033 A KR20210122033 A KR 20210122033A KR 20230039118 A KR20230039118 A KR 20230039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up
pick
frame
loading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7491B1 (ko
Inventor
전대웅
Original Assignee
길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길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210122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491B1/ko
Publication of KR20230039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업 및 로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픽업 및 로딩 장치는 내측 하부가 비어 있는 구조로 제공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어, 공정 대상물을 픽업하는 픽업부;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픽업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픽업 및 로딩 장치{Pickup and lo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픽업 및 로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상이한 형상의 공정 대상물이 혼합되어 이송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픽업 및 로딩을 수행할 수 있는 픽업 및 로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과 같은 장치의 경우, 무수히 많은 부품이 상호 조립되어 만들어 진다. 이때, 각각의 부품의 경우도 최종적으로 설계에 따른 형상, 구조 등을 가지기 위해 복수의 가공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에 따라, 기계, 장치의 부품은 복수의 가공 장치, 가공 장치 사이를 이송하는 이송 장치 등이 구비된 설비를 통해 생산된다.
그러나, 자동차의 경우, 수요자의 수요에 만족하고자 다양한 차종이 생산되고 있고, 이에 따라 자동차에 있어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품이라 하더라도 상이한 차종에 사용되는 것은 구조가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부품 생산을 위한 설비를 개별적으로 구비하는 경우, 공장의 부지, 설비의 가동 효율 측면에서 매우 불합리하다. 이에 따라, 상이한 구조의 부품을 가공, 이송할 수 있는 설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이한 형상의 공정 대상물이 혼합되어 이송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픽업을 수행할 수 있는 픽업 및 로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측 하부가 비어 있는 구조로 제공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어, 공정 대상물을 픽업하는 픽업부;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픽업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픽업 및 로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평판 구조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 아래쪽에 위치되는 메인 연결부; 상기 메인 연결부의 상부에서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제공되는 구동 연결부; 및 상기 메인 연결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픽업부에 연결되는 하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연결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연결부는 상기 메인 연결부의 좌우 방향 양측에서 각각 아래쪽으로 연장되게 제공되고, 상기 픽업부는 좌우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연결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업부는 전후 방향으로 2개가 제공되어, 각각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이한 형상의 공정 대상물이 혼합되어 이송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픽업을 수행할 수 있는 픽업 및 로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픽업 및 로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픽업 및 로딩 장치의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픽업 및 로딩 장치의 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된 제1 클램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픽업 및 로딩 장치의 하부를 우측에서 좌측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픽업 및 로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픽업 및 로딩 장치의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픽업 및 로딩 장치의 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된 제1 클램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픽업 및 로딩 장치의 하부를 우측에서 좌측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픽업 및 로딩 장치(20)는 프레임(200), 연결부(220, 222, 235) 및 픽업부(230)를 포함한다.
픽업 및 로딩 장치(20)는 공정 대상물을 픽업한 후 다시 내려 놓을 수 있도록 제공된다. 공정 대상물은 서로 형상이 상이한 것이 적어도 2가지 이상 섞여 있는 상태로 픽업 및 로딩 장치(20)로 반입될 수 있다. 픽업 및 로딩 장치(20)에 의해 픽업되는 공정 대상물은 자동차의 부품일 수 있다. 일 예로, 공정 대상물은 자동차의 헤드 라인부에 결합되는 덕트 등일 수 있다. 이때, 덕트는 서로 상이한 차종에 사용되어, 서로 형상이 상이한 것이 픽업 및 로딩 장치(20) 측으로 반입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픽업 및 로딩 장치(20)의 골격을 제공한다. 프레임(200)은 내측 하부가 비어 있는 구조로 제공된다. 프레임(200)은 상단부가 측부에 대해 고정된 구조로 제공되거나, 상단부가 측부에 대해 이동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200)은 상단부가 측부에 대해 평면상의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는 프레임(200)의 상단부가 측부에 대해 고정된 구조로 제공되는 경우가 예시되었다.
픽업부(230)는 프레임(200)의 내측 하부에 위치된다. 픽업부(230)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 제공될 수 있다. 이하, 평면상에서 복수의 픽업부(230)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하고, 평면상에서 전후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 한다. 도 1에는 전후 방향으로 픽업부(230)가 2개 제공되는 경우가 예시되었다. 각각의 픽업부(230)는 연결부(220, 222, 235)에 의해 프레임(200)의 상부와 연결된다. 연결부(220, 222, 235)는 메인 연결부(220), 구동 연결부(222) 및 하부 연결부(235)를 포함한다.
메인 연결부(220)는 프레임(200)의 상부 아래쪽에 위치된다. 메인 연결부(220)는 평판 구조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구동 연결부(222)는 메인 연결부(220)의 상부에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프레임(200)의 상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어, 구동 연결부(222)는 홀을 통해 프레임(200)의 상부의 위쪽 공간으로 연장되게 제공될 수 있다. 구동 연결부(222)는 복수 제공될 수 있다. 구동 연결부(222)는 프레임(200)의 상부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일 예로, 구동 연결부(22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 형상으로 제공되어, 프레임(200)의 상부를 관통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연결부(222)는 승강 구동부(221)에 의해 의해 프레임(200)의 상부에 대해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승강 구동부(221)는 프레임(200)의 상부에 위치되고, 구동 연결부(222)에 연결되는 실린더 구조, 모터 구조 등으로 제공되어, 구동 연결부(222)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메인 연결부(220)의 위쪽에는 가이드 로드(225)가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 로드(225)는 메인 연결부(220)의 상부에 위쪽으로 연장되어, 프레임(200)의 상부를 상하로 관통하게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 로드(225)는 복수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220, 222, 235)가 상하 이동되면, 가이드 로드(225)는 프레임(200)의 상부에 대해 슬라이딩 되어, 연결부(220, 222, 235)가 틀어짐 없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보조한다.
하부 연결부(235)는 메인 연결부(220)의 좌우 방향 양측에서 각각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픽업부(230)의 좌우 방향 양측에서 픽업부(230)에 연결된다. 하부 연결부(235)의 상하 방향 길이는 픽업부(230)의 전후 방향 길이 및 상하 방향 길이보다 길게 제공된다.
픽업부(230)는 좌우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연결부(220, 222, 235)의 하단부(즉, 하부 연결부(23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부 연결부(235)와 픽업부(230)가 연결되는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는 픽업부(230)가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 구동부(236)가 제공될 수 있다.
픽업부(230)의 외측에는 공정 대상물을 픽업하는 클램프(241a, 241b)가 제공된다. 클램프(241a, 241b)는 픽업부(230)의 외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에 대해 대해 직교하는 영역에 위치된다. 클램프(241a, 241b)는 제1 클램프(241a) 및 제2 클램프(241b)를 포함한다. 제1 클램프(241a) 및 제2 클램프(241b)는 각각 픽업부(230)의 상면 및 하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에는 픽업부(230)가 회전되어, 제1 클램프(241a)가 전방을 향하고, 제2 클램프(241b)가 후방을 향하게 위치된 경우가 예시되었다. 제1 클램프(241a) 및 제2 클램프(241b)는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제공되어, 각각 상이한 형상의 공정 대상물을 픽업한다.
제1 클램프(241a) 및 제2 클램프(241b) 각각은 댐핑 로드(2411), 클램프부(2420) 및 고정부(2421)를 포함한다.
댐핑 로드(2411)는 좌우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일 예로, 픽업부(230)의 외측에는 플레이트 형상의 체결부(2410)가 제공되고, 댐핑 로드(2411)는 체결부(2410)의 외면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픽업부(230)는 체결부(2410)와 연결되는 영역이 좌우 방향으로 레일 구조로 제공되어, 체결부(2410)는 픽업부(23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2410)는 생략되고, 댐핑 로드(2411)는 픽업부(230)의 외측에서 바로 외측을 향해 연장되게 제공될 수도 있다. 댐핑 로드(2411)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 제공될 수 있다.
클램프부(2420)는 댐핑 로드(24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댐핑 로드(2411)에 연결된다. 일 예로, 댐핑 로드(2411)는 클램프부(2420)를 관통하게 제공되고, 외측 단부는 클램프부(2420)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되게 마감처리 되어, 클램프부(24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댐핑 로드(2411)의 외면에는 클램프부(2420)와 픽업부(230) 사이의 구간에 탄성 부재가 제공되어, 클램프부(2420)를 외측을 향해 밀어낼 수 있다.
고정부(2421)는 클램프부(2420)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되게 제공된다. 고정부(2421)는 복수 제공될 수 있다. 고정부(2421)는 제1 클램프(241a)와 제2 클램프(241b)에 있어 서로 상이하게 배열된다. 고정부(2421)는 단부에 음압을 형성 가능하게 되어, 공정 대상물을 흡착한다. 고정부(2421)는 내측이 배관 구조로 제공되어, 음압 형성을 위한 클램프 구동부(242)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픽업부(230)의 일측에는 고정부(2421)에 음압을 형성하기 위한 클램프 구동부(242)가 제공되어, 고정부(2421)의 내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픽업부(230)는 픽업하려는 공정 대상물이 아래쪽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클램프(241a) 또는 제2 클램프(241b)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회전 된다. 이후, 승강 구동부(221)에 위해 연결부(220, 222, 235) 및 픽업부(230)가 하강한다. 이 후, 고정부(2421)가 공정 대상물에 접하거나 인접하게 위치되고, 고정부(2421)에 음압이 형성되면, 공정 대상물이 픽업된다. 픽업부(230)가 공정 대상물로 접근하는 과정에서, 픽업부(230)와 공정 대상물 사이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램프부(2420)가 픽업부(230)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충격을 흡수한다. 이후, 픽업부(230)는 상승한 후, 픽업된 공정 대상물을 내려 놓을 시점에 다시 하강하여 고정부(2421)에 형성된 음압이 사라지면, 공정 대상물은 클램프(241a, 241b)에서 분리된다. 또한, 픽업부(230)는 공정 대상물을 내려 놓을 때, 공정 대상물이 로딩 되는 위치(예를 들어, 공정 대상물이 조립 또는 부착될 영역 등)에 접한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기설정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램프부(2420)는 픽업부(230)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충격이 흡수되면서, 공정 대상물을 하방으로 가압 로딩할 수 있다.
전후 방향에 위치되는 각각의 픽업부(230)는 서로 함께 동작하여, 각각에 위치된 클램프(241a, 241b)를 통해 동시에 하나의 공정 대상물을 픽업 할 수 있다.
또한, 전후 방향에 위치되는 각각의 픽업부(230)는 개별적으로 동작하여, 서로 상이한 공정 대상물을 각각 픽업할 수 있다.
또한, 픽업부(230)는 제1 클램프(241a) 및 제1 클램프(241a) 중 하나가 공정 대상물을 픽업한 상태에서, 공정 대상물을 픽업한 제1 클램프(241a) 및 제1 클램프(241a) 중 하나가 위쪽을 향하도록 회전되고, 이후 제1 클램프(241a) 및 제1 클램프(241a) 중 나머지 하나를 통해 다른 공정 대상물을 픽업 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프레임 220: 메인 연결부
222: 구동 연결부 230: 픽업부
235: 하부 연결부

Claims (5)

  1. 내측 하부가 비어 있는 구조로 제공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어, 공정 대상물을 픽업하는 픽업부;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픽업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픽업 및 로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평판 구조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 아래쪽에 위치되는 메인 연결부;
    상기 메인 연결부의 상부에서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제공되는 구동 연결부; 및
    상기 메인 연결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픽업부에 연결되는 하부 연결부를 포함하는 픽업 및 로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연결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픽업 및 로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결부는 상기 메인 연결부의 좌우 방향 양측에서 각각 아래쪽으로 연장되게 제공되고,
    상기 픽업부는 좌우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연결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픽업 및 로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는 전후 방향으로 2개가 제공되어, 각각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는 픽업 및 로딩 장치.
KR1020210122033A 2021-09-13 2021-09-13 픽업 및 로딩 장치 KR102637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033A KR102637491B1 (ko) 2021-09-13 2021-09-13 픽업 및 로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033A KR102637491B1 (ko) 2021-09-13 2021-09-13 픽업 및 로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118A true KR20230039118A (ko) 2023-03-21
KR102637491B1 KR102637491B1 (ko) 2024-02-16

Family

ID=85800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033A KR102637491B1 (ko) 2021-09-13 2021-09-13 픽업 및 로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49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461A (ko) * 1998-12-31 1999-04-26 이충규 자동차 도어트림용 원단 이송장치
JPH11239941A (ja) * 1998-02-23 1999-09-07 Toyoda Mach Works Ltd 工作機械の工具交換アーム
KR20030003875A (ko) * 2001-07-04 2003-0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패널 이송장치
KR20030012438A (ko) * 2001-08-01 2003-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스트 핸들러의 반도체 디바이스 로딩장치
KR20060113109A (ko) * 2005-04-29 2006-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터리 방식의 반도체 소자 픽 앤 플레이스 장치
KR20100072816A (ko) * 2008-12-22 2010-07-01 주성엔지니어링(주) 기판 이송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101078272B1 (ko) * 2011-07-06 2011-10-31 주식회사 맥스로텍 산업용 소재 이송장치의 그립퍼 교체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941A (ja) * 1998-02-23 1999-09-07 Toyoda Mach Works Ltd 工作機械の工具交換アーム
KR19990030461A (ko) * 1998-12-31 1999-04-26 이충규 자동차 도어트림용 원단 이송장치
KR20030003875A (ko) * 2001-07-04 2003-0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패널 이송장치
KR20030012438A (ko) * 2001-08-01 2003-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스트 핸들러의 반도체 디바이스 로딩장치
KR20060113109A (ko) * 2005-04-29 2006-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터리 방식의 반도체 소자 픽 앤 플레이스 장치
KR20100072816A (ko) * 2008-12-22 2010-07-01 주성엔지니어링(주) 기판 이송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101078272B1 (ko) * 2011-07-06 2011-10-31 주식회사 맥스로텍 산업용 소재 이송장치의 그립퍼 교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491B1 (ko) 202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14613B (zh) 用于装配操作的部件装载工具
CN101549656B (zh) 电气地操作的座椅滑动设备
US11007663B2 (en) Device for releasing catch between precut substrates, robot, and robot system therefor
US11325667B2 (en) System for changing height of hanger mounting plate
KR100993474B1 (ko) 스테이지장치
KR101277252B1 (ko) 픽업장치
CN112304644A (zh) 激振装置
CN112304631A (zh) 激振装置
CN106180457A (zh) 一种双工位拆垛上料装置
KR20230039118A (ko) 픽업 및 로딩 장치
CN1814483A (zh) 驻车制动器均衡器
KR20120049815A (ko) 케이블의 고정지그, 팔레트 및 기계식 주차장
CN211870731U (zh) 一种下料装置
KR101634659B1 (ko) 산업용 로봇 이송 시스템의 소음 및 진동 저감 장치
KR20200060683A (ko) 재료 픽킹 기계식 암 유닛과 연결 가능한 cnc밀링머신
KR20060118730A (ko) 차량 바디의 셔틀라인 시스템
KR101360045B1 (ko) 다차종 차체 조립 시스템의 사이드 패널 얼라인 장치
KR102419848B1 (ko) 피커 가변 조절 장치
CN204077855U (zh) 一种汽车侧围散件的专用下线输送装置
CN210102897U (zh) 一种横杆分张装置
CN109290977B (zh) 一种用于自动化定位装置的保压机构
CN210418361U (zh) 上下料执行机构和具有其的在线式智能检测机器
JP2021181362A (ja) 無人搬送車
CN105271073B (zh) 集装箱车载装卸工具组合结构
KR101785986B1 (ko) 케이블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